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해양조사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리해양학

1. 다음 중 조석현상과 관련이 없는 용어는?

  1. 기조력
  2. 소조
  3. 일조부등
  4. 해일
(정답률: 94%)
  • 해일은 조석현상과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조석현상은 해양에서 일어나는 조류와 조류가 일으키는 파란파도 현상을 말하는데, 해일은 해양에서 일어나는 큰 파도로 인해 발생하는 해안 침수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해양의 대순환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무역풍에 의하여 남, 북적도 해류가 일어난다.
  2. 편서풍에 의하여 극류가 발생한다.
  3. 남, 북적도 해류사이에 적도 반류가 흐른다.
  4. 북반구에서 아열대 환류계의 순환방향은 시계방향이다.
(정답률: 83%)
  • "편서풍에 의하여 극류가 발생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동서풍에 의해 극류가 발생한다. 동서풍은 북극에서 남극으로 불어나는 공기와, 남극에서 북극으로 불어나는 공기가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때, 두 공기의 밀도 차이로 인해 극지방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극류와, 남극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극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구(해양+육지)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량보다 지구표면에서 흑체복사로 인하여 방출되는 열량이 더 크다. 그러나 지구의 열수지는 평균적으로 유입=유출을 만족시킨다. 그러면 이 차이는 무엇 때문에 기인되는가?

  1. 지열방출
  2. 대기에서의 반사 및 산란
  3. 대기의 온상효과(greenhouse effect)
  4. 해양의 열저장
(정답률: 94%)
  • 지구의 대기는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일부 흡수하여 지구 표면으로 전달하고, 지구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을 일부 잡아두어 대기 중에서 다시 지구 표면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이 대기의 온상효과(greenhouse effect)입니다. 이러한 온상효과로 인해 지구의 열수지는 유입과 유출이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의 열량 차이는 대기의 온상효과로 인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북반구에서 표층해류가 주로 바람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편향하는 원인은?

  1. 압력 경도력
  2. 밀도차에 의한 힘
  3. 원심력
  4. 자전의 전향력
(정답률: 93%)
  • 북반구에서 바람은 북쪽에서부터 불어오게 되는데, 이 때 자전의 전향력에 의해 표층해류는 오른쪽으로 편향하게 됩니다. 이는 지구의 회전에 따라 바람이 이동하는 동안 지구의 회전 방향과 바람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전의 전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양의 대류권은 400-600m의 심도까지며, 여기서는 해수의 상·하 및 수평혼합이 현저하게 행해진다. 여기에 맞지 않는 것은?

  1. 난류
  2. 이류
  3. 대류
  4. 확산
(정답률: 68%)
  • 난류는 불규칙한 방향과 세기로 일어나는 해류로, 대류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혼합 현상에 해당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대류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혼합 현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대류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조석을 일으키는 주된 힘은?

  1. 바람
  2. 마찰력
  3. 코리올리스힘
  4. 인력
(정답률: 80%)
  • 조석은 지구의 자전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의 중력인 인력이다. 인력은 지구의 질량에 의해 발생하며, 조석을 일으키는 주된 힘이다. 바람이나 마찰력, 코리올리스힘도 일부 영향을 미치지만, 그것들은 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적도해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편서풍의 취송에 의해서 일어난 해류이다.
  2. 무역풍의 취송에 의해서 일어난 해류이다.
  3. 경사류이다.
  4. 보류이다.
(정답률: 85%)
  • 정답은 "무역풍의 취송에 의해서 일어난 해류이다."이다. 적도해류는 적도 부근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로, 이는 지구 자전과 태양열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브라질 해류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페루 해류이다. 이 두 해류는 무역풍의 취송에 의해 발생하며, 브라질 해류는 북쪽으로, 페루 해류는 남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적도해류는 지구상의 기후와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바람에 의해 해수순환이 크게 좌우되는 층은?

  1. 표층
  2. 중층
  3. 심층
  4. 저층
(정답률: 82%)
  • 바람은 해양 표층의 물을 이동시키면서 해수순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해 해수순환이 크게 좌우되는 층은 "표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에크만 해류와 관계없는 것은?

  1. 바람
  2. 밀도
  3. 중력
  4. 마찰계수
(정답률: 59%)
  • 에크만 해류는 바람, 밀도, 마찰계수와 관련된 해류 현상이지만 중력은 관련이 없습니다. 중력은 지구의 중심에서 발생하는 인력으로, 에크만 해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태평양과 대서양간 수괴의 차이를 비교하고 있다. 올바른 것은?

  1. 태평양의 수온이 대서양보다 높다.
  2. 태평양의 수온이 대서양과 같다.
  3. 태평양의 염분이 대서양보다 낮다.
  4. 태평양의 수온과 염분이 대서양과 같다.
(정답률: 85%)
  • 정답: 태평양의 염분이 대서양보다 낮다.

    설명: 태평양은 대서양보다 크기가 더 크고, 더 많은 강들이 유입되기 때문에 더 많은 담수가 유입된다. 이로 인해 태평양의 염분이 대서양보다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수의 최대밀도를 나타내는 온도와 결빙되는 온도가 일치되는 경우의 해수의 염분은 얼마인가?

  1. 18.5%
  2. 24.7%
  3. 34.8%
  4. 35.6%
(정답률: 77%)
  • 해수의 최대밀도는 3.98℃일 때이며, 이 온도에서의 염분 농도는 3.5%입니다. 결빙되는 온도는 염분 농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8℃에서 -2.0℃ 사이입니다. 따라서, 최대밀도와 결빙되는 온도가 일치하려면 염분 농도는 약 24.7%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중위도 지방에서 표층수온은 언제 최대가 되는가?

  1. 9 시
  2. 11 시
  3. 14 시
  4. 16 시
(정답률: 76%)
  • 중위도 지방에서는 일반적으로 오후 2시부터 4시 사이에 태양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표층수온이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 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외양에서 폭풍으로 인하여 파가 발생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전파되어 간다. 연안의 어느 지점에서 파속 8m/sec 인 심해파들이 관측된 후 5시간 지나서 파속 4m/sec 인 심해파들이 관측되었다. 폭풍으로 파가 형성된 지점은 연안에서 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인가?

  1. 72 Km
  2. 144 Km
  3. 216 Km
  4. 288 Km
(정답률: 60%)
  • 파속은 파가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파속이 느려지면 파가 전파되는 거리도 줄어든다. 이 문제에서는 파속이 8m/sec 에서 4m/sec 로 줄어들었으므로, 파가 전파되는 거리는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폭풍으로 파가 형성된 지점은 연안에서 7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72 K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온의 해수를 우리나라의 동해에 공급하는 해류는?

  1. 오야시오해류
  2. 리만해류
  3. 북한해류
  4. 대마(쓰시마)해류
(정답률: 87%)
  • 대마(쓰시마)해류는 일본의 남쪽 해안에서 시작하여 동해로 향하는 해류로, 일본의 남쪽 지역에서는 고온의 해수가 생성되어 이를 우리나라 동해에 공급합니다. 따라서 대마(쓰시마)해류가 고온의 해수를 우리나라 동해에 공급하는 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하구(표면적=100km2, 평균수심=50m)로 하천오염수(오염농도=5ppm)가 시간당 0.05㎦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 하구의 잔존시간은?

  1. 1시간
  2. 10시간
  3. 100시간
  4. 1,000시간
(정답률: 83%)
  • 하구의 부피는 100km2 × 50m = 5,000,000m3 이다. 하지만 이 부피 중 일부는 이미 오염물질로 인해 차있을 것이므로, 오염물질이 유입되기 시작한 시점에서의 실제 오염물질 부피를 계산해야 한다.

    오염농도가 5ppm 이므로, 1m3의 물 중에는 5mg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5,000,000m3의 물 중에는 5ppm × 5,000,000m3 = 25,000kg = 25t의 오염물질이 이미 존재한다.

    시간당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0.05㎦ = 50m3/시간 × 5ppm = 250mg/시간 이다. 이 양을 이용하여, 잔존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25,000kg의 오염물질이 이미 존재하므로, 이 양을 시간당 유입되는 양으로 나누면 25,000kg ÷ 0.25kg/시간 = 100,000시간이 된다. 하지만 이는 오염물질이 전혀 제거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잔존시간이므로, 실제로는 더 짧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100시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해수 중의 기체의 용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2. 일반적으로 염분이 적을수록 크다.
  3. 해양 표면에서는 해수와 대기가 거의 평형을 이루어 포화에 가깝다.
  4. 해수 중에는 주로 산소, 질소 및 탄산가스 등이 용해되어 있다.
(정답률: 56%)
  •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체 분자들이 더 쉽게 용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무역풍에 의해서 일어나는 해류는?

  1. 북태평양 해류
  2. 알라스카 해류
  3. 적도 반류
  4. 남적도 해류
(정답률: 67%)
  • 무역풍은 적도 지역에서 북쪽으로 불어나는 바람이기 때문에, 적도 지역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남적도 해류가 일어납니다. 이는 무역풍이 바람에 의해 바다 표면이 밀려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북태평양 해류와 알라스카 해류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심해의 염분이 일정하고, 현장온도(insitu temp)가 연직으로 균일하면 이 해수의 연직 안정도는?

  1. 안정
  2. 불안정
  3. 중립
  4.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84%)
  • 심해의 염분이 일정하고, 현장온도가 연직으로 균일하면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연직 안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적도해역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1, 2
  2. 2, 3
  3. 3, 4
  4. 1, 4
(정답률: 66%)
  • 적도해역은 적도 부근에 위치한 해역으로, 일년 내내 높은 기온과 습도, 많은 강수량, 바람이 거의 없는 조건이 유지됩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으로 인해 대기 중 수증기 함량이 높아지고, 이는 대기 중 물방울의 형태로 존재하는 구름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적도해역은 구름이 많이 생기는 지역으로, 1번이 맞습니다. 또한, 적도해역은 해류가 강하고, 수온과 염분도 일정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조건으로 인해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며, 생물 다양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4번도 맞습니다. 2번과 3번은 적도해역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검조계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초음파식
  2. 압력식
  3. 부표식
  4. 중력식
(정답률: 87%)
  • 중력식이 검조계의 형식이 아닌 것은 이유는 중력식은 물체의 무게를 이용하여 물체의 질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다른 센서나 부품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초음파식, 압력식, 부표식은 각각 초음파, 압력, 부표를 이용하여 물체의 질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해양학

21. 신석(aragonite)를 만드는 것은?

  1. 의족충(Pteropod)
  2. 코콜리드(Coccolith)
  3. 미소플랑크톤(nanoplankton)
  4. 유공충(foraminifora)
(정답률: 74%)
  • 신석(aragonite)은 바다에서 생산되는 칼슘 탄산염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칼슘 탄산염은 바다에서 생물들이 분비하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신석을 만드는 주요 생물은 의족충(Pteropod)입니다. 의족충은 바다에서 자주 발견되는 작은 해양생물로, 신석을 만드는데 필요한 칼슘 탄산염을 분비합니다. 따라서 의족충은 신석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것은?

  1. Na+
  2. Cl-
  3. Ca2+
  4. Br-
(정답률: 87%)
  • 해수는 염분이 녹아있는 물이기 때문에 이온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이온은 염화나트륨(NaCl)에서 나오는 염화 이온(Cl-)입니다. NaCl은 해수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염분이며, Na+와 Cl-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Cl- 이온이 해수에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의 기체성분 중 불활성 기체가 아닌 것은?

  1. Xe
  2. Ar
  3. Kr
  4. CO2
(정답률: 82%)
  • CO2는 화학적으로 활성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활성 기체가 아닙니다. Xe, Ar, Kr은 모두 규소나 탄소와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기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해수의 적조현상과 가장 관련이 먼 것은?

  1. 중금속
  2. 영양염
  3. 정체해역
  4. 산소의 감소
(정답률: 88%)
  • 해수의 적조현상은 해양 생물들이 과도한 영양염에 의해 죽어서 발생합니다. 이 영양염은 대개 농업 및 산업에서 사용되는 비료나 폐수 등에서 나오는 질소와 인 등의 무기물 성분입니다. 이러한 영양염이 해수에 과도하게 유입되면, 해양 생물들이 증식하면서 산소를 소비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해수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는 중금속 등의 유해 물질이 해수 중에서 농축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금속은 해수의 적조현상과 가장 관련이 먼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관련이 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수 중 지방산(脂肪酸)이 저질(底質)과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물질은 비교적 비활성적인 복합체로서 원유(原油)를 내포하는 화합물을 생성한다. 이 물질의 이름은?

  1. 황색물질(Yellow Substance)
  2. 케로신(Kerosene)
  3. 케로겐(Kerogen)
  4. 복합지방산(複合脂肪酸)
(정답률: 75%)
  • 해수 중 지방산이 저질과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물질은 케로겐이다. 케로겐은 비활성적인 복합체로서 원유를 내포하는 화합물로, 지방산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형성된 유기물의 일종이다. 이러한 케로겐은 지하에서 압력과 열의 영향을 받아 원유나 천연가스로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퇴적물 시료의 채취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중력식 코어러(Gravity corer)
  2. 피스톤 코어러(Piston corer)
  3. 박스 코어러(Box corer)
  4. 니스킨(Niskin bottle)
(정답률: 93%)
  • 니스킨은 퇴적물 시료의 채취보다는 해양수 샘플링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퇴적물 시료의 채취에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코어러들은 퇴적물의 층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니스킨은 해양수의 특정 깊이에서 샘플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는데 관한 설명이다. 잘못 기술된 것은?

  1. 유기물을 산화분해 시키는데 있어 KMnO4법이 K2Cr2On법보다 더 산화력이 강하다.
  2. 해수나 염소이온이 다량 함유된 시료에는 알칼리성 KMnO4법이 사용된다.
  3. 원칙적으로는 채수 직후에 측정하여야 하나 운반 및 보관 시에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냉동시킨다.
  4. 시료 중의 염소이온은 KMnO4와 반응하여 과대한 COD값을 나타내므로 황산은(Ag2SO4)을 가하여 염소이온을 고정시킨다.
(정답률: 71%)
  • "유기물을 산화분해 시키는데 있어 KMnO4법이 K2Cr2On법보다 더 산화력이 강하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실제로는 K2Cr2On법이 KMnO4법보다 더 산화력이 강하다. 이유는 K2Cr2On이 Cr(VI)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Cr(VI)는 Mn(VII)보다 더 높은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K2Cr2On법이 더 높은 COD 값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느 시간에 방사능 A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A=AOe-λt" 이 때 AO는 최초방사능, t는 반감기, λ는 붕괴 상수라 할 때 최초 방사능(AO)이 반으로 되는 (tl/2) 기간(t)은?

  1. t½=3.01/∴
  2. t½=0.693/∴
  3. t½=6.93/∴
  4. t½=0.301/∴
(정답률: 77%)
  • 최초 방사능(AO)이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을 반감기(t½)라고 한다.

    따라서,

    A = AOe-λt

    A/AO = e-λt

    1/2 = e-λt½

    ln(1/2) = -λt½

    t½ = ln(2)/λ

    λ은 붕괴 상수이므로 λ = ln(2)/t

    따라서,

    t½ = ln(2)/(ln(2)/t)

    t½ = t

    즉, 반감기는 최초 방사능의 수명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t½=0.69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관용되는 용존 산소량의 표시 단위는?

  1. μg-at/ℓ
  2. μmol·kg-1
  3. PPb
(정답률: 71%)
  • 일반적으로 용존 산소량은 물의 부피나 무게에 대한 비율로 표시됩니다. 그러나 물의 밀도는 온도와 염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부피나 무게 단위로 표시하면 비교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용존 산소량은 일정한 무게의 물에 용존된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μmol·kg-1 단위로 표시됩니다. 이는 물의 밀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비교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환경정책 기본법 중 해역의 기준에서 등급 Ⅱ는 어떤 수질을 말하는가?

  1. 수산생물의 서식, 양식 및 산란에 적합한 수질
  2. 해수욕등 해양에서의 관광, 여가선용 및 수산생물의 서식, 양식, 산란 이외의 수질
  3. 공업용수, 선박의 정박등 기타 용도에 이용되는 수질
  4. 국민의 일상생활에 불괘감을 주지 않을 정도의 수질
(정답률: 78%)
  • 해역의 기준에서 등급 Ⅱ는 해수욕등 해양에서의 관광, 여가선용 및 수산생물의 서식, 양식, 산란 이외의 수질을 말한다. 즉, 이 등급의 수질은 수산생물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보호하며, 관광 및 여가활동에 적합하며, 수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해수 중의 주성분은 절대값에 관계없이 상대적인 양은 일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하여 다음에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염소량으로 염분을 계산한다.
  2. 해양은 잘 혼합되어 있지 않다.
  3. 표준해수로 염분을 보정한다.
  4. 성분의 일정성 법칙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79%)
  • "해양은 잘 혼합되어 있지 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해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하며, 수심에 따라 온도, 염분, 압력 등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양에서는 수질 혼합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주성분의 상대적인 양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해양은 잘 혼합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수중의 현탁물질(懸濁物質)은 현탁유기탄소(Particulate Organic Carbon)와 용존(溶存)의 유기탄소로 대개 나누고 있다. 다음은 현탁유기탄소(P.O.C)의 측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관계가 먼 것은?

  1. 회화로(灰化爐)
  2. C.H.N 측정기
  3. 여과지(Glass fiber GF/C)
  4. 진공건조기
(정답률: 88%)
  • 진공건조기는 현탁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다른 것들은 현탁유기탄소를 측정하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회화로는 샘플을 소각하여 무기물질을 얻는 데 사용되며, C.H.N 측정기는 샘플의 탄소, 수소, 질소 함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여과지는 샘플을 여과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수의 주요성분 중 보존성 성분이 아닌 것은?

  1. Na+
  2. Cl-
  3. K+
  4. NH4+
(정답률: 75%)
  • 해수의 주요성분 중 보존성 성분은 Na+, Cl-, K+이다. 이들은 해수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해수의 염분 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반면에 NH4+는 해수에서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며, 농도가 높아지면 빠르게 분해된다. 따라서 NH4+는 보존성 성분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해수의 화학적 성분 중 해양에 체류시간(年)이 가장 긴 것은?

  1. Mn
  2. Fe
  3. Co
  4. Cd
(정답률: 70%)
  • 해수의 화학적 성분 중 해양에 체류시간이 가장 긴 것은 "Cd"입니다. 이는 Cd가 해양에서의 생태독성이 높아서 해양 생태계에서의 농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Cd는 지구 환경에서의 생태독성이 높아서 오랜 시간 동안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독성물질이 어류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이 잘못 된 것은?

  1. 같은 종(種)이라도 일반적으로 작은 것의 저항력이 약하다.
  2. 같은 종(種)이라도 일반적으로 어린 것의 저항력이 약하다.
  3. 고온에 비해 저온일 때 저항력이 약하다.
  4. 고온에 비해 고온일 때 저항력이 약하다.
(정답률: 86%)
  • "고온에 비해 고온일 때 저항력이 약하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독성물질은 일반적으로 고온일 때 더욱 활성화되어 독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온일 때 어류의 저항력이 약해지는 것은 오히려 독성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더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원소 중 해수중에서의 잔류시간이 가장 길어서 비교적 불활성 원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Al
  2. Be
  3. Fe
  4. Na
(정답률: 74%)
  • 정답은 "Na"입니다. 이유는 나트륨은 해수중에서 잔류시간이 가장 길어서 비교적 불활성 원소로 간주됩니다. 이는 나트륨의 화학적 성질과 해수중에서의 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나트륨은 해수에서 가장 풍부한 금속이며, 해수중에서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잔류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해수 중의 주성분을 나열하였다. 이 중 해수에서 농도가 가장 큰 것은?

  1. 황산염
  2. 칼륨
  3. 칼슘
  4. 마그네슘
(정답률: 70%)
  • 해수 중의 주성분은 "염분"이다. 이 중에서 농도가 가장 큰 것은 "황산염"이다. 이는 해수 중의 염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황산염은 해수에서 2번째로 많은 성분인 "염화나트륨"과 함께 해수의 염분 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해양환경 수질등급에서 해역등급1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H가 7.8 ∼ 8.3
  2. COD가 1 이상
  3. SS가 10 이하
  4. 용존산소(DO) 농도가 6㎎/ℓ 이상
(정답률: 78%)
  • COD는 환경오염물질 중 하나로서, 유기물의 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합니다. COD가 1 이상이라는 것은 해당 수질이 유기물 오염이 심한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해역등급1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OD가 1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pH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수소이온 농도의 역수의 상용대수
  2. 수소이온 농도의 상용대수의 역수
  3. 수소이온 농도의 지수의 상용대수
  4. 수소이온 농도의 상용대수의 지수
(정답률: 76%)
  • "수소이온 농도의 역수의 상용대수"가 맞는 이유는 pH가 수소이온 농도의 역수를 상용대수로 나타낸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pH가 낮을수록 수소이온 농도가 높아지고, pH가 높을수록 수소이온 농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pH는 화학적으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AOU(apparent oxygen utilizaion)에 대한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1. 겉보기 산소 소모량이다.
  2. 해수중의 포화용존산소량에서 현장존재량을 뺀 값이다.
  3. AOU값이 음(-)의 값이라는 것은 소모가 많다는 뜻이다.
  4. AOU값이 음(-)의 값이라는 것은 과포화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72%)
  • "AOU값이 음(-)의 값이라는 것은 소모가 많다는 뜻이다."가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AOU값이 음(-)의 값이라는 것은 현장에서의 포화용존산소량보다 적은 산소가 소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소모가 많다는 것이 아니라 소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해양학

41. 다음 적조생물 중 마비성 독소를 갖고 있어 큰 피해를 주는 것은?

  1. Skeletonema
  2. Chaetoceros
  3. Gymnodinium
  4. Trichodesmium
(정답률: 81%)
  • 정답인 Gymnodinium은 마비성 독소를 갖고 있어 인체나 동물에 큰 피해를 주는 적조생물입니다. Skeletonema, Chaetoceros, Trichodesmium은 마비성 독소를 갖고 있지 않거나 피해가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가장 외양성인 종류라 볼 수 있는 것은?

  1. 가다랭이
  2. 멸치
  3. 정어리
  4. 전갱이
(정답률: 68%)
  • 가다랭이는 다른 세 종류의 생선에 비해 가장 긴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와 꼬리가 작아서 가장 외양성이 뚜렷하게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어류의 연령을 산정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

  1. 항문
  2. 이빨
  3. 이석
(정답률: 80%)
  • 어류의 연령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이석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어류의 이빨에 형성되는 층이 연령에 따라 쌓이기 때문입니다. 이석은 이빨의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층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석이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이석의 두께를 측정하여 어류의 연령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발생과정에서 Nauplius, Zoea 및 Mysis기를 거치는 것은?

  1. 피조개
  2. 보리새우
  3. 해삼
  4. 우렁쉥이
(정답률: 90%)
  • 보리새우는 새우류 중에서도 Nauplius, Zoea, Mysis 세 가지 단계를 거쳐 성장하는 것으로, 다른 보기인 피조개, 해삼, 우렁쉥이는 이러한 발생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리새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온대지방에 있어서 식물성 부유생물이 가장 많이 번식하는 시기는?

  1. 겨울
  2. 여름
  3. 가을
(정답률: 67%)
  • 온대지방에서는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물의 온도도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식물성 부유생물들의 번식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따라서 봄이 가장 많이 번식하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개불(Echiuroid)의 일반적인 주 서식처는?

  1. 사니질의 연안 조간대
  2. 니질의 심해저
  3. 조간대의 바위틈새
  4. 조간대의 모래해변
(정답률: 66%)
  • 개불은 조간대에서 주로 발견되며, 사니질의 연안 조간대에서 발견됩니다. 이는 개불이 조간대의 바위틈새나 모래해변에 서식하는 것이 아니라,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조간대의 특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니질의 심해저는 개불의 서식 환경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동물군의 발생과정 중 medusa stage를 거치지 않는 것은?

  1. 히드라충류(Hydrozoa)
  2. 빗살해파리류(Gtenophora)
  3. 말미잘류(Anthoza)
  4. 해파리류(Scyphozoa)
(정답률: 71%)
  • 말미잘류(Anthoza)는 medusa stage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성체로 발생하는 동물군입니다. 반면, 히드라충류(Hydrozoa), 빗살해파리류(Gtenophora), 해파리류(Scyphozoa)는 모두 medusa stage를 거쳐서 성체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말미잘류(Anthoza)는 medusa stage를 거치지 않는 유일한 동물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해조류의 수직분포의 일반적인 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

  1. 갈조류 - 녹조류 - 홍조류
  2. 녹조류 - 홍조류 - 갈조류
  3. 홍조류 - 갈조류 - 녹조류
  4. 녹조류 - 갈조류 - 홍조류
(정답률: 83%)
  •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광합성을 위한 광량과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데, 녹조류는 광합성을 위해 녹색광을 이용하므로 얕은 해역에 분포하고, 갈조류는 갈색광을 이용하므로 중간 깊이에 분포하며, 홍조류는 적색광을 이용하므로 깊은 해역에 분포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순서는 "녹조류 - 갈조류 - 홍조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연안에서 표층수와 하층수간에 대류에 의해서 수질이 균일하게 되는 시기는?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70%)
  • 겨울에는 연안에서 수온이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더 밀도가 높은 수층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밀도차이로 인해 표층수와 하층수간에 대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질이 균일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이 연안에서 표층수와 하층수간에 대류에 의해서 수질이 균일하게 되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바다에서 보상심도(Compensation depth)는?

  1. 광합성량이 최대인 깊이
  2. 광합성량이 최소인 깊이
  3. 광합성량과 호흡량이 동일한 깊이
  4. 광합성량이 호흡량 보다 정확히 두배되는 깊이
(정답률: 87%)
  • 바다에서 보상심도는 광합성과 호흡이 균형을 이루는 깊이이다. 즉, 광합성량과 호흡량이 동일한 깊이이다. 이 깊이에서는 광합성과 호흡이 상호작용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균형을 이루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깊이 이상에서는 광합성이 더 많아지고, 이 깊이 이하에서는 호흡이 더 많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동물 중 비말대(spray zone)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1. 총알고동류
  2. 담치류
  3. 군수류
  4. 새우류
(정답률: 80%)
  • 총알고동류는 비말대에서 먹이를 잡기 위해 물을 뿜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비말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부유생물에서 가장 중요한 생물군은?

  1. 남조류와 모악류(Chaetognatha)
  2. 녹조류와 단각류(Amphipoda)
  3. 편조류와 요각류(Copepoda)
  4. 규조류와 요각류(Copepoda)
(정답률: 93%)
  • 규조류와 요각류(Copepoda)는 해양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규조류는 해양에서 가장 중요한 산소 생산자 중 하나이며, 요각류는 규조류와 함께 해양 생태계의 기본적인 먹이 원천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 두 생물군은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해양 생물 중 규소(Si)와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Gymnodinium
  2. Gonyaulax
  3. Chaetoceros
  4. Chlorella
(정답률: 64%)
  • 규소는 규조편대 식물 중 하나인 디아톰(Diatom)의 주요 구성 성분입니다. 따라서, 규조편대 식물 중에서 규소와 관련이 가장 깊은 것은 디아톰입니다. 그리고 디아톰 중에서도 Chaetoceros는 규소셀벽의 구조와 함께 규소의 생태학적 역할을 연구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모델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해양 생물 중 규소와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Chaetocero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양 생물의 발광(發光)현상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태양광선
  2. 파도의 마찰
  3. 루시페린(liciferin)
  4. 클로로필(chlorophyll)
(정답률: 80%)
  • 해양 생물의 발광 현상과 관계가 깊은 것은 "루시페린(liciferin)"입니다. 루시페린은 해양 생물에서 발광을 일으키는 화학물질로, 발광 반응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루시페린이 없으면 해양 생물의 발광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해양에서 에너지의 전환효율이 가장 높은 곳은?

  1. 조간대 및 바다숲
  2. 외양
  3. 연안 및 근해
  4. 용승지역
(정답률: 50%)
  • 해양에서 에너지의 전환효율이 가장 높은 곳은 "용승지역"입니다. 이는 해수면과 해저 간의 수위차이로 인해 수력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수력 발전은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다른 재생 에너지와 달리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오염된 환경에서도 가장 잘 살아남는 동물은?

  1. 갯지렁이류
  2. 극피동물류
  3. 해파리류
  4. 새우류
(정답률: 91%)
  • 갯지렁이류는 호흡기로 물과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할 수 있고, 먹이를 찾아 다니며 생활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오염된 환경에서도 잘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갯지렁이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동물들의 먹이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해양의 동물성 부유생물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것은?

  1. 단각류(Amphipoda)
  2. 요각류(Copepoda)
  3. 만각류(Cirripedia)
  4. 십각류(Decapoda)
(정답률: 89%)
  • 요각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동물성 부유생물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작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각류는 식물성과 육묘성으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먹으며, 다른 동물들의 먹이로도 사용됩니다. 또한, 요각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의 분해와 생산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요각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유생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온약층과 해양생물과의 관계 기술 중 맞는 것은?

  1. 수온 약층 상층부에서는 대부분의 생물이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2. 열대 해역의 심층에는 수온약층이 없다.
  3. 수온약층의 하부에는 대부분의 생물이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4. 해양생물은 수온과 무관하게 분포한다.
(정답률: 74%)
  • 수온 약층 상층부에서는 대부분의 생물이 수온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수온 약층은 해양에서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으로, 이 영역에서는 생물들이 적절한 온도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하거나 생활 패턴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온 약층 상층부에서는 수온 변화가 생물의 분포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해양 생태계에서 생산력의 기본이 되는 생물군은?

  1. 박테리아
  2. 동물플랑크톤
  3. 어류
  4. 식물플랑크톤
(정답률: 88%)
  • 식물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주요 생물군 중 하나입니다. 이들이 생산한 유기물은 다른 생물들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작용하며, 해양 생태계의 생산력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정답은 "식물플랑크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류의 성장단계를 난기, 전자어기, 후자어기, 치어기, 미성어기, 성어기로 나눈다면 몸 표면의 반문과 색체 등을 제외하면 급속히 성어를 닮아가며 종의 생태학적 특징을 최초로 나타내는 시기는?

  1. 전자어기
  2. 후자어기
  3. 치어기
  4. 미성어기
(정답률: 80%)
  • 치어기는 어류가 최초로 종의 생태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시기이다. 이때 어류는 먹이를 찾아 다니며 먹이 사냥을 시작하고, 물속에서의 생활에 적응하며 수온, 염도 등 환경 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어류의 생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치어기 이전의 성장단계에서는 아직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해양학

61. 방해석 및 애러고나이트(CaCO3) 퇴적물이 해저(海底)에 풍부히 퇴적되는 이유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해수의 온도가 높다.
  2. 해조 같은 해서식물에 의한 탄소동화 작용이 활발하다.
  3. 저위도의 해역이다.
  4. 해수의 온도가 낮고 수심이 대단히 깊다.
(정답률: 52%)
  • 해수의 온도가 낮고 수심이 대단히 깊은 지역에서는 해양 생물이 적게 분포하고, 또한 물속에서의 화학작용이 덜 일어나기 때문에 방해석 및 애러고나이트 퇴적물이 쌓이기 쉽습니다. 따라서, "해수의 온도가 낮고 수심이 대단히 깊다."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륙사면퇴적물의 일반적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륙사면에는 대륙붕과 달리 펄이 우세하다.
  2. 대륙사면 하부에는 많은 양의 잔류퇴적물이 홀로세 해침이후 분포한다.
  3. 대부분의 대륙사면은 1°이상의 경사를 가지며 협곡의 발달이 흔하다.
  4. 대륙사면 하부에는 저탁류에 의해 형성된 터비다이트 퇴적층이 주를 이룬다.
(정답률: 60%)
  • "대륙사면 하부에는 많은 양의 잔류퇴적물이 홀로세 해침이후 분포한다."가 틀린 것은, 대륙사면 하부에는 해양에서 운반된 퇴적물이 분포하며, 이는 대륙붕과는 다른 특징이다. 대륙사면 하부에는 강의 유입으로 인해 퇴적물이 쌓이고, 이는 지형적인 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퇴적층 중에서 투수성이 가장 좋은 것은?

  1. 펄로만 되어 있는 경우
  2. 펄과 모래가 반씩 혼합 되었을 때
  3. 고운 모래로 되어 있을 때
  4. 굵은 모래로만 되어 있을 때
(정답률: 72%)
  • 굵은 모래로만 되어 있는 경우가 투수성이 가장 좋은 이유는 굵은 입자 크기 때문입니다. 굵은 모래는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공간 사이에 빈 공간이 많아 물이 잘 통하고, 물이 쉽게 증발하여 건조한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뿌리가 깊게 자라고, 물이 잘 공급되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갈색점토 중에 함유되어 있지 않는 것은?

  1. 화산분출물
  2. 모래
  3. 우주진
  4. 생물유해
(정답률: 74%)
  • 갈색점토는 화산분출물, 우주진, 생물유해 등이 함유되어 있는 흙으로, 모래는 갈색점토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모래는 주로 규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갈색점토와는 구성 성분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지향사 활동 중에 퇴적되는 퇴적암은?

  1. 장석질사암(arkose)
  2. 유사사암(graywacke)
  3. 석영사암(quartz sandstone)
  4. 선상지역암(fan-glomerate)
(정답률: 57%)
  • 지향사 활동 중에 퇴적되는 퇴적암은 유사사암(graywacke)입니다. 이는 지하수나 강 등에서 운반되는 모래, 진흙, 자갈 등이 바위층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암석으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입자들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유사사암은 다른 퇴적암과 달리 입자 크기와 모양이 균일하지 않으며, 각각의 입자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광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조간대는 조석에 따라 3부분으로 구분되어지는데 가장 하부지역은?

  1. 조상대(supra-tidal flat)
  2. 조간대(inter-tidal flat)
  3. 조석대(tidal flat)
  4. 조하대(subtidal flat)
(정답률: 88%)
  • 조간대는 조석에 따라 3부분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조하대는 가장 하부지역을 말한다. 이 지역은 조석 아래에 있어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겨 있으며, 조류나 해조류 등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조하대는 조상대나 조간대와는 달리, 조류나 해조류 등의 수생 생물이 많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연안퇴적물 중 평균적으로 가장 많은 광물은?

  1. 석영
  2. 저어콘
  3. 운모
  4. 장석
(정답률: 88%)
  • 석영은 연안퇴적물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광물이다. 이는 석영이 지구 내부에서 매우 흔하게 존재하며, 또한 지각 변화에도 매우 강하게 저항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영은 연안에서 발견되는 퇴적물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광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해저 하부 30m정도의 깊이에 있는 퇴적물과 암층을 가장정확히 종단면도로 나타낼 수 있는 지구물리학적인 탐사방법은?

  1. 해양중력탐사법
  2. 탄성파탐사법
  3. 자력탐사법
  4. 열류량 측정에 의해
(정답률: 89%)
  • 해저 하부의 깊이에 있는 퇴적물과 암층을 가장 정확하게 종단면도로 나타낼 수 있는 지구물리학적인 탐사방법은 탄성파탐사법입니다. 이는 지하 구조물의 밀도와 탄성 모듈러스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형태와 깊이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하 구조물의 밀도와 탄성 모듈러스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해저 하부의 깊이에 있는 퇴적물과 암층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화산활동에 의하여 생성된 암석은?

  1. 석회암
  2. 현무암
  3. 역암
  4. 사암
(정답률: 80%)
  • 화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암석은 현무암입니다. 이는 용암이 지표면 위로 흘러나와 냉각하면서 형성되는 암석으로, 화산활동이 많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석회암은 해양생물의 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친수성 암석이며, 역암은 암석의 변성 과정에서 형성되는 암석입니다. 사암은 퇴적암으로, 강이나 바다 등에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빙하퇴적물의 특징은 어떤 것인가?

  1. 분급(分級)이 양호하다.
  2. 분급이 매우 불량하다.
  3. 해빈 퇴적물과 비슷한 분급을 보여준다.
  4. 분급이 양호하지도 불량하지도 않다.
(정답률: 82%)
  • 빙하퇴적물은 빙하가 운반하면서 매우 큰 크기의 암석 조각들이 섞여 있기 때문에 분급이 매우 불량하다. 즉, 입자 크기가 크고 불규칙하여 분류가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세립질 퇴적물의 입도 분석 방법 중 피펫 방법은 다음 법칙 중 어떤 것을 이용한 것인가?

  1. 오일러의 법칙
  2. 스토크의 법칙
  3. 보엔의 법칙
  4. 뉴톤의 법칙
(정답률: 93%)
  • 정답: 스토크의 법칙

    피펫 방법은 세립질 퇴적물의 입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스토크의 법칙을 이용하여 입도를 측정합니다. 스토크의 법칙은 액체나 기체가 흐를 때, 흐르는 속도와 관련된 법칙으로,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흐르는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세립질 퇴적물의 입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정한 속도로 액체를 흘려보내고, 이때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흐르는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측정하여 입도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초호를 둘러싸는 원형 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가진 초를 무엇이라 칭하는가?

  1. 거초(fringing reef)
  2. 보초(barrier reef)
  3. 환초(atoll)
  4. 핀상초(table reef)
(정답률: 87%)
  • 환초는 산호초가 해수면 위로 성장하면서 중앙 부분이 침식되어 만들어진 원형 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가진 초를 말합니다. 따라서, 초호를 둘러싸는 원형 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가진 초를 환초(atoll)라고 합니다. 거초는 해안선을 따라 성장하는 초를 말하며, 보초는 해안과 바다 사이에 있는 초를 말합니다. 핀상초는 평평한 바닥 위에 성장하는 초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

  1. 대륙사면
  2. 대륙대
  3. 심해저평원
  4. 중앙해령
(정답률: 79%)
  • 심해저평원은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곳인 마리아나해저에 위치하며, 최대 수심은 약 11,000m에 이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보다 수심이 가장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륙대(continental rise)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단층에 의한 것이다.
  2. 해저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3.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
  4. 해저 확장이론과 관련된다.
(정답률: 62%)
  • 대륙대는 대륙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경사면 아래에 위치한 해저 지형이다. 이 지형은 대륙에서 유입되는 퇴적물로 인해 형성되며, 이 퇴적물은 해저 저탁류에 의해 운반되어 대륙대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대륙대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에코 사운더(Echo Sounder)는 무엇을 측정하는 장비인가?

  1. 퇴적층후 측정
  2. 물에서의 음파속도 측정
  3. 수심측정
  4. 퇴적층내의 음파속도 측정
(정답률: 74%)
  • 에코 사운더는 수심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이는 물에서의 음파가 발생하여 바닥면에 닿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심을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심측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해저 퇴적물 중에서 자생퇴적물이란?

  1. 화학반응으로 해저에 퇴적된 것을 말한다.
  2. 자동적으로 해저에서 생성되며 퇴적된 것을 말한다.
  3. 유기물이 자라서 된 것을 말한다.
  4. 유기물의 유해가 쌓여서 된 것을 말한다.
(정답률: 68%)
  • 자생퇴적물은 화학반응으로 해저에 퇴적된 것을 말하는데, 이는 해저에서 일어나는 화학적인 변화로 인해 생긴 물질들이 모여서 퇴적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해저에서 화학적인 반응으로 생긴 칼슘 카보네이트나 광물 등이 자생퇴적물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심해에 있는 천해성 점토 및 부유 퇴적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심해퇴적물에서 인정하는 대표적인 부유퇴적물은 석회질 연니이다.
  2. 심해저에도 연흔과 같은 퇴적구조가 발달한다.
  3. 천해성 점토는 대륙주변부를 지나는 해류에 의해서 운반되어 심해저에 도달된다.
  4. 천해성 점토는 주로 석영과 점토광물로 되어 있다.
(정답률: 54%)
  • "심해퇴적물에서 인정하는 대표적인 부유퇴적물은 석회질 연니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심해퇴적물에서 인정하는 대표적인 부유퇴적물은 규조퇴적물이며, 석회질 연니는 대표적인 천해성 점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반적으로 쐐기모양을 하며 육성퇴적물로 구성되고 상부층, 중부층, 하부층으로 구분될 수 있는 연안환경은?

  1. 삼각주
  2. 하구
  3. 초호
(정답률: 82%)
  • 삼각주는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구에서 바다로 향하는 삼각형 모양의 연안 지형물로, 강에서 운반된 퇴적물이 바다에서 파도와 조류의 영향을 받아 쌓여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퇴적물은 상부층, 중부층, 하부층으로 구분되며, 각 층마다 다른 크기와 형태의 입자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삼각주는 육성퇴적물로 구성되며, 상부층, 중부층, 하부층으로 구분될 수 있는 연안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음파탐사 중 가장 음파의 산란작용이 많이 일어나는 퇴적층은 어떤 퇴적물로 구성된 것인가?

  1. 모래
  2. 자갈
  3. 펄과 모래의 혼합
(정답률: 79%)
  • 음파는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산란이 많이 일어나므로, 자갈은 모래나 펄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음파의 산란작용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퇴적층이다. 따라서 정답은 "자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에서 조직성숙도(textural maturity)가 가장 양호한 퇴적층은?

  1. 해빈 퇴적층
  2. 빙 퇴적층
  3. 테일러스(talus)층
  4. 삼각주 퇴적층(deltaic deposit)
(정답률: 78%)
  • 해빈 퇴적층은 조직성숙도가 가장 높은 퇴적층 중 하나입니다. 이는 해빈 퇴적층이 잘 정렬된 입자 구조와 높은 결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빈 퇴적층은 고도의 질서와 규칙성을 가지고 있어서 조직성숙도가 높다고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