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해양조사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리해양학

1. 다음 중 일반적으로 표면해수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1. 강수
  2. 결빙
  3. 냉각
  4. 증발
(정답률: 74%)
  • 강수는 해수면 위로 떨어지면서 해수와 혼합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표면해수의 밀도를 감소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해류는 수괴가 이동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해류 수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특징이 아닌 것은?

  1. 수색, 투명도
  2. 수온
  3. 염분
  4. 파고
(정답률: 67%)
  • 해류 수괴의 특징은 수색, 투명도, 수온, 염분 등의 물리적인 특성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파고"는 해류 수괴의 특징이 아니며, 이유는 파고는 해양의 파동 현상으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태음 반일주조(M2조)의 주기에 해당되는 것은?

  1. 12시간 25분
  2. 12시간
  3. 12시간 40분
  4. 11시간 55분
(정답률: 96%)
  • 주태음 반일주조(M2조)의 주기는 12시간 25분이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와 관련이 있다. 지구와 달은 서로 공전하면서 거리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데, 이 때문에 달의 조도가 변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기를 반일주기라고 하며, M2조는 이 중에서도 두 번째로 큰 주기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계류와 해안과의 사이에 계절적으로 혹은 단기적으로 변하는 흐름은?

  1. 한류
  2. 연안류
  3. 주극류
  4. 환류
(정답률: 82%)
  • 연안류는 해안과 경계류 사이에서 발생하는 흐름으로, 계절적 또는 단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안 근처의 온도, 염분, 파도 등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해안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연안류가 중요한 생태계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안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서양에서 태평양의 흑조(Kuroshio)와 대응할 수 있는 난류는?

  1. 북대서양 해류
  2. 래브라도 해류
  3. 멕시코 만류
  4. 그린랜드 해류
(정답률: 83%)
  • 태평양의 흑조는 따뜻하고 빠른 해류로, 대서양에서 대응할 수 있는 난류는 멕시코 만류입니다. 멕시코 만류는 멕시코 만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따뜻하고 빠른 해류로, 흑조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해류관측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알고스(Argos)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Euler) 방법이다.
  2. 태평양에서는 라그랑즈(Largrange) 방법이 좋으나 대서양은 오일러 방법이 좋다.
  3. 심해중립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 방법이다.
  4.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의 원리를 이용하는 유속계는 오일러식 유속계이다.
(정답률: 91%)
  • 도플러효과는 소리나 빛의 파장이 움직이는 물체에 의해 변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오일러식 유속계라고 한다. 이 방법은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알고스 부이나 심해중립 부이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도플러효과의 원리를 이용하는 유속계는 오일러식 유속계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양에서는 바람의 영향이나 밀도의 차이에 의해서 해수가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중 밀도차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층수
  2. 중층수
  3. 심층수
  4. 저층수
(정답률: 96%)
  • 정답은 "심층수"이다.

    밀도는 염분, 온도,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양의 경우 표층수와 중층수는 염분과 온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밀도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이 두 층은 바람의 영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심층수는 염분이 매우 높고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밀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밀도 차이로 인해 바람의 영향보다는 염분과 온도의 차이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저층수는 바닥에 가까운 층으로, 바닥의 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바람의 영향보다는 지형의 영향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밀도 차이에 의해 움직이는 대양의 수층 중에서는 "표층수"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기압을 무시한다면 수심 20m에서의 기압은 약 얼마인가?

  1. 0.1기압
  2. 0.5기압
  3. 1기압
  4. 2기압
(정답률: 82%)
  •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증가하게 되는데, 수압은 대기압과 수심에 비례한다. 따라서 대기압을 무시한다면 수심 20m에서의 기압은 대기압이 1기압이라고 가정할 때, 수압이 2배가 되므로 2기압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기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심해파가 진행될 때 물입자의 운동은?

  1. 상하수직운동
  2. 원운동
  3. 좌우직선운동
  4. 진행운동
(정답률: 85%)
  • 심해파가 진행될 때 물입자는 원운동을 한다. 이는 파동이 물속에서 전파될 때, 물 입자들이 원형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운동은 파동의 진행 방향과 수직이며, 파동의 진폭과 주기에 따라 입자의 반지름과 속도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평균 대조차가 큰 항구부터 작은 항구 순으로 바르게 배열된 것은?

  1. 군산, 목포, 부산, 여수
  2. 울산, 부산, 묵호, 도동(울릉도)
  3. 인천, 목포, 거문도, 울산
  4. 여수, 목포, 거문도, 부산
(정답률: 90%)
  • 평균 대조는 항구의 조수 깊이와 넓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산한 값으로, 항구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평균 대조가 큰 항구부터 작은 항구 순으로 배열하면 됩니다.

    보기를 살펴보면, "군산, 목포, 부산, 여수"와 "여수, 목포, 거문도, 부산"은 평균 대조가 큰 항구부터 작은 항구 순으로 배열되지 않았습니다. "울산, 부산, 묵호, 도동(울릉도)"는 평균 대조가 큰 항구부터 작은 항구 순으로 배열되었지만, "인천, 목포, 거문도, 울산"은 평균 대조가 가장 큰 항구부터 작은 항구 순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천, 목포, 거문도, 울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물의 흐름과 수평압력 기울기와의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 면상의 모든 점에 작용하는 중력이 그 면에 수직일 때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연직면
  2. 수준면
  3. 수직면
  4. 수평면
(정답률: 64%)
  • 수평압력은 수준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압력이다. 따라서 물의 흐름과 수평압력 기울기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준면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수준면은 중력이 수직인 면으로, 한 면상의 모든 점에 대해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평압력은 수준면에 수직으로 작용하게 되며, 물의 흐름도 수준면을 따라서 일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등조시도(Co-Tidal chart)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각 항구에서의 예보된 조석곡선
  2. 조시가 빠른 지역부터 차례로 그린 그림
  3. 고조시가 같은 곳을 선으로 연결한 그림
  4. 조차가 큰 지역부터 차례로 그린 조차의 그림
(정답률: 77%)
  • 등조시도는 각 항구에서의 예보된 조석곡선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서 고조시가 같은 곳을 선으로 연결한 것은 해당 지역에서의 만조 시간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그림은 항해나 어로에 필요한 조석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유의파고(significant wave height)란 파고가 큰 순서로부터 전체 파수의 얼마에 해당하는 파고인가?

  1. 1/5
  2. 1/10
  3. 1/3
  4. 1/2
(정답률: 78%)
  • 유의파고는 파고가 큰 순서로부터 전체 파수의 1/3에 해당하는 파고이다. 이는 파고 분포의 특성상 가장 큰 파고와 그 다음으로 큰 파고, 그리고 그 다음으로 큰 파고까지의 평균값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의파고는 파고 분포의 중심값을 나타내며, 파고 예측 및 해양 구조물 설계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한해협의 동,서수도를 거쳐 동해에 유입하는 해류는?

  1. 쓰시마 해류
  2. 오아시오 해류
  3. 리만 해류
  4. 쿠로시오 해류
(정답률: 74%)
  • 쓰시마 해류는 일본의 쓰시마 섬과 대륙 사이를 흐르는 해류로, 동해와 서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해류입니다. 이 해류는 일본의 쓰시마 해협을 통해 동해와 연결되어 있으며, 동해와 서해의 수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역학적인 원인으로 인해 형성됩니다. 따라서 대한해협의 동,서수도를 거쳐 동해에 유입하는 해류는 쓰시마 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대륙연안에서 대규모의 용승수를 운반하는 해류는?

  1. 크롬웰 해류
  2. 서풍피류
  3. 캘리포니아 해류
  4. 만류(gulf stream)
(정답률: 60%)
  • 캘리포니아 해류는 북태평양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대규모의 해류로,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매년 수십만 마리의 용승수가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온난한 남태평양의 물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대규모의 생태계와 어종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취송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면에서의 흐름은 북반부에서 풍향에 대하여 대개 오른쪽으로 45°방향으로 흐른다.
  2. 표면유속은 풍속의 2~4%정도의 속도이다.
  3. 상부마찰 저항심도는 풍속에 역비례하고 위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4. 상부마찰 저항심도는 해수 전체는 북반부에서 풍향의 오른쪽 90°방향으로 흐른다.
(정답률: 90%)
  • "상부마찰 저항심도는 해수 전체는 북반부에서 풍향의 오른쪽 90°방향으로 흐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상부마찰 저항심도는 위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풍속에 역비례합니다. 이는 상부마찰 저항이 바닥에서부터 상승하는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수 중 음파의 전달속도는 매 초당 얼마인가?

  1. 약 500m
  2. 약 1,000m
  3. 약 1,500m
  4. 약 2,000m
(정답률: 92%)
  • 해수는 고체나 기체와는 달리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음파의 전달속도가 빠릅니다. 해수 중 음파의 전달속도는 약 1,500m이며, 이는 해수의 밀도와 온도, 염분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세계 대양의 저층수 분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수괴는?

  1. 지중해수
  2. 쿠로시오해수
  3. 남극저층수
  4. 래브라도해수
(정답률: 70%)
  • 남극저층수는 대양에서 가장 차가운 물로, 수온이 매우 낮아서 밀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밀도 차이로 인해 대양에서 수직 혼합이 일어나지 않고, 수평 혼합만 일어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대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류와 열전달이 일어나지 않아서, 남극저층수는 대양에서 가장 안정적인 수층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세계 대양의 저층수 분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수괴는 남극저층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천해파의 파속과 군속도(group velocity)의 비교가 옳은 것은?

  1. 파속이 항상 군속도 보다 빠르다.
  2. 파속은 항상 군속도 보다 늦다.
  3. 파속과 군속도는 같다.
  4. 주기와 파장에 따라 군속도 보다 빠를 수도 늦을 수도 있다.
(정답률: 85%)
  • 파속과 군속도는 같다. 이는 파의 전달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파속은 파가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고, 군속도는 파가 전달되는 그룹의 속도를 나타냅니다. 만약 파가 진행 방향으로 일직선적으로 전달된다면, 파속과 군속도는 같아집니다. 하지만 파가 곡선으로 전달된다면, 군속도는 파속보다 늦을 수도 빠를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해류계인 것은?

  1. LORAN
  2. G.E.K
  3. RADAR
  4. CTD
(정답률: 76%)
  • 해류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 중에서 G.E.K는 해류계입니다. LORAN은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시스템, RADAR은 물체 탐지에 사용되는 시스템, CTD는 해양 조사에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해양학

21. 해양오염물질 중 생물농축이 될 수 있는 중독성 물질이 있다. 다음 중 생물농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비소
  2. 아연
  3. DDT
  4. 인산염
(정답률: 82%)
  • 인산염은 생물농축과 관련이 없는 물질이다. 인산염은 해양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무기화합물로, 생물체에 대한 중독성이 없다. 따라서 인산염은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비소, 아연, DDT는 생물농축이 가능한 중독성 물질로,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해양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번식에 사실상의 제한 인자가 아닌 것은?

  1. 인산염
  2. 질산염
  3. 규산염
  4. 아질산염
(정답률: 63%)
  • 해양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번식에 사실상의 제한 인자가 아닌 것은 "규산염"이다. 이는 규산염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인산염, 질산염, 아질산염은 모두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과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인산염은 염분 농도와 함께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영양 염분 중 하나이며,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질소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표층해수의 평균적인 수소이온 농도(pH)는 약 얼마인가?

  1. 6.8
  2. 7.5
  3. 8.2
  4. 9.0
(정답률: 84%)
  • 표층해수의 평균적인 수소이온 농도(pH)는 약 8.2입니다. 이는 해양 생물들이 적절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pH 범위인 7.5-8.4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양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들이 pH를 조절하며, 이러한 반응들이 균형을 이루어 평균적인 pH가 8.2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에서 대양에서의 질소의 수직 분포도를 나타내는 것은?

  1. 복원중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작성 부탁 드립니다.)
  2. 복원중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작성 부탁 드립니다.)
  3. 복원중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작성 부탁 드립니다.)
  4. 복원중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률: 39%)
  • 정답은 "복원중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작성 부탁 드립니다.)"입니다. 이유는 제시된 그림에서는 대양에서의 질소의 수직 분포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대기 중의 질소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복원중"이라는 표기는 해당 문제가 출제된 시점에서 해당 정보가 정확하지 않았거나, 출제자가 해당 정보를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용된 것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는 분들은 오류 신고를 통해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수 중에 용존 되어 있는 가스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1. 산소
  2. 질소
  3. 탄산가스
  4. 황화수소
(정답률: 60%)
  • 해수 중에 용존되어 있는 가스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질소입니다. 이는 대기 중의 질소가 해수로 용해되어서 그렇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수 중에 존재하는 콜로이드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질상태로 존재한다.
  2. 해수에 용해되어 있지 않는 물질이다.
  3. Tyndall 현상을 일으켜 빛을 산란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4. 해수 중 농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정답률: 69%)
  • "해수 중 농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는 콜로이드의 특징이 아니라 일부 콜로이드가 해수 중에 농도가 높게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문장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콜로이드는 용해되어 있지 않은 물질이며 교질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Tyndall 현상을 일으켜 빛을 산란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해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해수의 화학적 성분의 상대적인 비는 염분이 변화 해도 일정하다.
  2. 질소, 인, 규소 등 생물과 관련된 원소들은 표층수보다 저층수에 높게 분포한다.
  3. 알칼리금속은 98% 이상이 유리이온으로 존재한다.
  4.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평균체류시간은 극히 짧다.
(정답률: 65%)
  •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평균체류시간은 극히 짧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은 해수에서 가장 활발한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원소들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소들의 평균체류시간은 매우 짧다. 이러한 원소들은 해수에서 빠르게 반응하여 다른 화학 원소와 결합하거나 침전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안수 부영양화(富榮瀁化)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1. 기름유입
  2. 도시폐수의 하수유입
  3. 용승현상
  4. 심층수유입
(정답률: 77%)
  • 연안수 부영양화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도시폐수의 하수유입입니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수질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폐수가 바다로 유입되면서 바다의 수질이 악화되고, 이로 인해 연안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수 중 평균체류시간이 가장 긴 원소는?

  1. AI
  2. Ca
  3. P
  4. Si
(정답률: 57%)
  • 해수 중 평균체류시간이 가장 긴 원소는 "Ca"이다. 이는 Ca의 화학적 성질로 인해 해수 중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며, 또한 바다의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a는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평균체류시간이 가장 긴 원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수는 해수에 여러 가지 원소를 공급하기도 하지만 제거하기도 한다. 거동이 나머지와 다른 원소는?

  1. 마그네슘
  2. 리튬
(정답률: 44%)
  • 열수는 일반적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미네랄을 공급하고, 독소인 황, 철 등을 제거한다. 따라서, "마그네슘"은 열수가 공급하는 원소 중 하나이며, 다른 원소들과는 달리 제거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윙클러방법에 의하여 적정되는 해수 용존기체는?

  1. H2
  2. O2
  3. CO2
  4. NO2
(정답률: 62%)
  • 윙클러방법은 해양 생물들이 호흡에 이용하는 산소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적정되는 해수 용존기체는 생물들이 호흡에 이용하는 산소인 O2입니다. H2, CO2, NO2는 생물들이 호흡에 이용하지 않는 기체이기 때문에 적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수 중 화학성분의 공급(유입량)과 제거(제거량)가 평형이 되어 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가 없는 상태 무엇이라 하는가?

  1. 체류상태
  2. 정상상태
  3. 폐쇄상태
  4. 열린상태
(정답률: 85%)
  • 정상상태는 해수 중 화학성분의 공급과 제거가 평형을 이루어 농도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생태계의 변화나 오염 등으로 인해 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양 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해야 한다. 체류상태는 물이 흐르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폐쇄상태는 외부와의 교류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열린상태는 외부와 자유롭게 교류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해수 중의 암모니아 측정법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Cd-Cu 환원법
  2. 인도페놀법
  3. GR법
  4. 윙클러법
(정답률: 75%)
  • 인도페놀법은 암모니아와 인도페놀이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 측정법으로, 해수 중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데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해수의 염분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다음 중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염분 측정법은?

  1. 밀도
  2. 온도
  3. 전기전도도
  4. 굴절율
(정답률: 75%)
  •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염분 측정법은 전기전도도이다. 이는 해수 내의 이온들이 전기를 전달하는 능력이 염분 농도와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전도도 측정기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면 염분 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용존산소가 완전히 소모된 저층수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SO4- 의 환원이 일어난다. 이 때 생성되는 것은?

  1. SO3-
  2. SO2
  3. H2S
  4. S2O3-
(정답률: 79%)
  • 저층수에서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환원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SO4- 이 환원되면서 생성되는 것은 환원된 형태의 화합물인데, 이 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화합물은 H2S이다. 따라서 정답은 "H2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수에서 다음 질소원소 중 식물플랑크톤에 가장 우선적으로 취해지는 것은?

  1. NH4+
  2. NO2-
  3. NO3-
  4. N2
(정답률: 67%)
  • 식물플랑크톤은 질소를 필요로 하며, 이 중에서도 "NH4+"이 가장 우선적으로 취해진다. 이는 "NH4+"이 다른 질소원소에 비해 더 쉽게 흡수되기 때문이다. "NH4+"은 질소원소 중에서도 가장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형태이며, 또한 식물플랑크톤이 직접 생산할 수 있는 "NO3-"으로의 전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질소를 흡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해수는 각종의 염류를 포함하는 강 전해질 용액이다. 전해질 강도를 이온강도로 나타낼 때 염분도 35‰의 해수의 이온강도는 대략 얼마인가?

  1. 1.0
  2. 0.7
  3. 7.0
  4. 0.07
(정답률: 67%)
  • 해수의 염분도 35‰는 1000g의 해수 중 35g이 염분인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이온강도는 염분의 이온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온강도는 염분의 몰농도와 이온화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해수의 경우, 염분이 다양한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온강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이온강도 = 0.51 × √(염분농도)

    따라서, 염분도 35‰의 해수의 이온강도는 0.51 × √(35) ≈ 0.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류(油類)오염이 해양환경에 주는 영향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광 차단으로 광합성 저해
  2. 연안해역의 부착생물의 질식가능
  3. 어류의 서식지 회피
  4. 해양과 대기간의 기체교환속도 증가
(정답률: 88%)
  • 해양과 대기간의 기체교환속도 증가는 유류 오염이 해양환경에 주는 영향이 아니라, 유류가 대기오염을 일으켜 인간 건강에 해를 끼치는 영향입니다. 유류 오염이 해양환경에 주는 영향은 광 차단으로 광합성 저해, 연안해역의 부착생물의 질식가능, 어류의 서식지 회피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본의 미나마타(Minamata)만 사건의 원인이 되었던 오염 물질은?

  1. 수은
  2. 카드뮴
  3. 크롬
(정답률: 79%)
  • 미나마타 만 사건의 원인은 수은이었습니다. 수은이 산업 폐기물로 방류되어 미나마타 만의 수산물에 오염되어 인간과 동물에게 중독 증상을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수 중 원소의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는 식은?

  1. 유입속도 - 현존량
  2. 현존량 ÷ 제거속도
  3. 제거속도 ÷ 현존량
  4. 유입속도 × 현존량
(정답률: 86%)
  • 해수 중 원소의 평균체류시간은 "현존량 ÷ 제거속도"로 계산됩니다. 이는 원소가 해수 중에서 존재하는 양(현존량)을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제거속도)을 나누어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즉, 원소가 해수 중에서 체류하는 시간은 현존량이 제거속도로 나누어진 값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계산식들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해양학

41. 나노플랑크톤(Nanoplankton)은 어느 정도의 크기인가?

  1. 0.2 ~ 2.0㎛
  2. 0.2 ~ 20㎛
  3. 0.02 ~ 0.2㎛
  4. 2.0 ~ 20㎛
(정답률: 56%)
  • 나노플랑크톤은 "나노"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작은 크기의 플랑크톤으로, 일반적으로 0.2 ~ 2.0㎛ 크기의 플랑크톤인 유산균과 구본균과 구본조류를 포함하지만, 보기에서는 이보다 큰 범위인 "2.0 ~ 20㎛"로 정답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나노플랑크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종류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겨울철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활발하지 못한 주 요인은?

  1. 수온
  2. 염분
  3. 영양염
  4. 광선
(정답률: 75%)
  • 겨울철에는 수온이 낮아져서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억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적조 발생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조란 식물플랑크톤이 급격히 대량 번식하여 해수를 변색시키는 현상이다.
  2. 적조는 어패류를 폐사시키는 한 원인이 된다.
  3. 적조는 부영양화에 따라 발생된다.
  4. 적조는 정체수역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
(정답률: 74%)
  • 적조는 정체수역에서 발생하기 어렵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정체수역은 물이 움직이지 않아서 오히려 적조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다. 따라서 적조는 정체수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어류 중 강하성회유(catadromous migration)를 하는 어종은?

  1. 송어
  2. 뱀장어
  3. 은연어
  4. 방어
(정답률: 77%)
  • 강하성회유란, 물고기가 산란을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뱀장어는 산란을 위해 강으로 이동하는 어종으로, 바다에서 성장한 후 강으로 올라가 산란을 한다. 따라서 뱀장어가 강하성회유를 하는 어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표준체장은?

  1. 몸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 뒤끝까지의 직선거리
  2. 주둥치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의 직선거리
  3. 주둥치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의 오목한 안끝까지 직선거리
  4. 주둥치 앞끝에서 등지느러미의 끝까지의 직선거리
(정답률: 84%)
  • 어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표준체장은 "주둥치 앞끝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의 직선거리"이다. 이는 어류의 실제 길이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방법으로, 몸통의 곡선을 따라 측정하는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도가 높다. 또한, 어류의 크기를 비교할 때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은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를 비교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1. 해양에는 부유생물이 존재하고 이를 섭취하는 여과식자가 있다.
  2.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비하여 체내에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다.
  3.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비하여 먹이 전환효율이 높다.
  4. 대부분의 해양식물 및 초식자는 육상에 비하여 크기가 작다.
(정답률: 77%)
  •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비하여 체내에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다."는 틀린 설명이다. 사실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비해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낮다. 이는 해양생물이 먹이 연쇄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을 가진 먹이를 섭취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먹이연쇄과정 중 대사물질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고형물질의 농축현상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은?

  1. 농축물질은 저영양단계에서 많다.
  2. 농축물질은 고영양단계에서 적다.
  3. 농축물질은 영양단계와는 관계가 없다.
  4. 농축물질은 고영양단계의 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정답률: 63%)
  • 정답은 "농축물질은 고영양단계의 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입니다. 이유는 농축물질은 먹이사슬에서 상위에 위치한 고영양단계의 생물에게서 농축되기 때문에 농축물질이 많은 먹이를 먹게 되면 그 농축물질이 생물체 내에 쌓이게 되어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조에서 먹이에 농축된 독성물질이 섞여 있으면 상위에 위치한 물고기들이 그 먹이를 먹게 되면서 독성물질이 농축되어 생물체 내에 쌓이게 되어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상심도(Compensation depth)에서 광합성에 의하여 생산된 O2의 양과 호흡에 의하여 소비되는 O2 양의 관계는?

  1. 생산된 O2의 양과 소비된 O2의 양이 같다.
  2. 광합성으로 생산된 O2의 양이 많다.
  3. 호흡에 소비되는 O2의 양이 많다.
  4. O2의 양과는 관계가 없다.
(정답률: 91%)
  • 보상심도에서는 광합성과 호흡이 균형을 이루어서 생산된 O2의 양과 소비된 O2의 양이 같아지기 때문에 "생산된 O2의 양과 소비된 O2의 양이 같다."는 것이다. 즉, 광합성으로 생산된 O2의 양이 많아도 호흡에 의해 소비되는 O2의 양이 많아지면 보상심도에서는 균형을 이루어 생산된 O2의 양과 소비된 O2의 양이 같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여과섭이(Filter feeding)를 하지 않는 동물은?

  1. 재첩
  2. 따개비
  3. 우렁쉥이
  4. 화살벌레(모악동물)
(정답률: 64%)
  • 화살벌레(모악동물)은 여과섭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화살벌레가 식물의 껍질이나 나무의 표면을 먹는 식물식물성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살벌레는 여과섭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양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중 서식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종류는 갯지렁이(다모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크기가 대형이며, 주로 육식성이다.
  2. 몸은 좌우대칭이며, 내 ㆍ 외부적으로 체절성이다.
  3. 대부분 부유성 담륜자 유생시기를 거친 후, 변태하여 저서생활을 시작한다.
  4. 유기물오염이 심화된 해역에서 대량으로 서식하기도 한다.
(정답률: 58%)
  • 갯지렁이는 크기가 대형이며, 주로 육식성이기 때문에 다른 동물들을 먹기 위해 많은 양의 먹이를 필요로 합니다. 이에 따라 먹이가 풍부한 해역에서 서식밀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다랑어 또는 방어의 체형은?

  1. 방추형(fusiform)
  2. 장어형(anguilliform)
  3. 구형(globiform)
  4. 편평형(depressed form)
(정답률: 85%)
  • 가다랑어 또는 방어의 체형은 방추형(fusiform)이다. 이는 몸이 길고 둥글며, 머리와 꼬리가 뾰족하지 않고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체형은 물속에서 빠르게 움직이기에 적합하며, 물류학적으로 최적화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해양저서동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서동물은 전 생활사 기간 동안 저서생활을 하기 때문에 천 m 깊이의 심해에서도 서식이 가능하다.
  2. 바위와 같은 딱딱한 기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은 대부분 부착성이 많다.
  3. 저서동물은 서식형태에 따라 기질의 표면에 사는 표서 동물과 기질의 내부에 사는 내서동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4. 뻘이나 모래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대부분은 퇴적물식자나 부유물식자이다.
(정답률: 75%)
  • "저서동물은 전 생활사 기간 동안 저서생활을 하기 때문에 천 m 깊이의 심해에서도 서식이 가능하다."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저서동물은 해저 바닥의 딱딱한 기질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착성이 강하며, 서식형태에 따라 표서동물과 내서동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뻘이나 모래에 서식하는 경우 대부분은 퇴적물식자나 부유물식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뱀장어의 유생은?

  1. 에키노플루테우스
  2. 렙토세팔루스
  3. 아우리클라리아
  4. 미시스
(정답률: 67%)
  • 뱀장어의 유생은 렙토세팔루스입니다. 이는 뱀장어가 먹이 사슬의 맨 위에 위치하며, 렙토세팔루스가 먹이인 작은 물고기를 먹어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육상동물에는 전혀 유연(類緣)이 없는 해산동물은?

  1. 갑각류(Crustacea)
  2. 연체류(Mollusca)
  3. 모악류(Cheatognatha)
  4. 규조류(Diatom)
(정답률: 61%)
  • 해산동물 중에서 육상동물과 전혀 유연이 없는 것은 모악류입니다. 모악류는 해양생물로서, 머리에 뾰족한 이빨 모양의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습니다. 이 구조물은 유연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서 살아가는 동물들과는 달리 유연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압과 생물의 영향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해수압과 생물은 무관하다.
  2. 가스의 용해도와 수압의 관계에 의해 간접적으로 생물에게 영향을 끼친다.
  3. 해수압은 생물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어류의 부레는 해수압과 무관하다.
(정답률: 87%)
  • 가스의 용해도는 수압이 높을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수압이 높은 해저에서는 가스의 용해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간접적으로 생물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압이 높은 해저에서는 생물들이 호흡에 필요한 산소가 더 많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생물들은 산소 공급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압이 높은 해저에서는 가스의 용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생물들이 소화에 필요한 가스가 더 많이 용해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스의 용해도와 수압은 생물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수의 염분도와 해양생물의 관계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해수의 염분도는 일반적으로 해양생물에 영향을 미친다.
  2. 해양생물 중에는 담수에 옮겨졌을 때 재빨리 적응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 있다.
  3. 염분 변화의 생리적 영향은 온도에 따라 다르다.
  4. 외양성 생물은 연안역에서 서식하는 생물보다 일반적으로 염분변화에 내성이 크다.
(정답률: 81%)
  • "외양성 생물은 연안역에서 서식하는 생물보다 일반적으로 염분변화에 내성이 크다."가 틀린 것이다. 외양성 생물은 연안역에서 서식하는 생물보다 염분 변화에 민감하며, 일부 종은 염분 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서식할 수 없다. 이는 외양성 생물이 해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외양 생태계에서 가장 우세한 기초 생산자는?

  1. 남조류
  2. 규조류
  3. 갈조류
  4. 대형 녹조류
(정답률: 72%)
  • 규조류는 미세조류로서, 물 속에서 가장 많은 생물량을 차지하며,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기초 생산자입니다. 따라서 외양 생태계에서 가장 우세한 기초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기초 생산의 정의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어류의 생산
  2. 동물성 플랑크톤의 생산
  3. 태양에너지가 고정되어 유기물이 합성되는 생산
  4. 규조류의 생산
(정답률: 80%)
  • "태양에너지가 고정되어 유기물이 합성되는 생산"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태양에서 온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기초 생산자들인 식물류나 규조류 등이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들이 생산한 유기물은 다른 생물들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에너지원이 됩니다. 따라서 "태양에너지가 고정되어 유기물이 합성되는 생산"이 기초 생산의 정의에 가장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생물 중 유영생물(nekton)에 속하는 것은?

  1. Sagitta
  2. 뱀장어
  3. 피조개
  4. 참굴
(정답률: 77%)
  • 유영생물(nekton)은 자유롭게 수영할 수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뱀장어는 물고기로서 자유롭게 수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영생물에 속합니다. Sagitta는 투명한 해파리와 같은 동물이며, 피조개와 참굴은 바닥생물(benthos)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원생동물에 속하는 생물로 짝지워진 것은?

  1. 화산벌레, 연두벌레
  2. 닻벌레, 바퀴벌레
  3. 짚신벌레, 해삼
  4. 야광충, 연두벌레
(정답률: 63%)
  • 야광충과 연두벌레는 모두 원생동물에 속하는데, 다른 보기들은 벌레와 해삼 등 서로 다른 분류군에 속하기 때문에 짝지울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해양학

61. 다음 중 대륙붕의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붕단의 평균 수심은 130m 정도이다.
  2. 환초(atoll)가 많이 발견된다.
  3. 많은 생물이 있으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4. 바다 쪽의 한계는 구배가 급히 변하는 곳이다.
(정답률: 64%)
  • "환초(atoll)가 많이 발견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대륙붕은 대륙과 해저 사이에 위치한 지형적인 지역으로, 환초는 해양생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산호섬으로 대륙붕과는 관련이 없다. 환초가 많이 발견되는 이유는, 환초는 따뜻하고 얕은 해양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퇴적물의 퇴적속도가 가장 빠른 장소는?

  1. 하구
  2. 해협
  3. 내만
  4. 외양
(정답률: 87%)
  • 하구가 퇴적물의 퇴적속도가 가장 빠른 장소인 이유는 하구에서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으로, 강에서 운반된 퇴적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면서 바다의 파도와 해류에 의해 빠르게 퇴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퇴적물을 입도 분석한 결과 의해 다음과 같은 막대 그림표를 그렸다.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실트(silt)로 분류되며 분급도는 양호한 편이다.
  2. 실트(silt)로 분류되며 분급도는 불량한 편이다.
  3. 모래(sand)로 분류되며 분급도는 양호한 편이다.
  4. 모래(sand)로 분류되며 분급도는 불량한 편이다.
(정답률: 60%)
  • 이 막대 그림표는 퇴적물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X축은 입도 크기를 나타내며, Y축은 해당 입도 크기를 가진 입자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래프를 보면 입도 크기가 0.1mm ~ 1mm인 입자들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모래(sand)로 분류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분급도가 불량한 편이다. 이는 입자 크기가 너무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입자들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모래(sand)로 분류되며 분급도는 불량한 편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록석(glauconite)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천연가스를 함유하는 암석의 일종이다.
  2. 해양환경에서만 생성되는 화학적 기원의 점토광물이다.
  3. 연대측정에 사용되는 암석이다.
  4. 주로 심해저에서 발견되는 화산기원의 암석이며 녹색을 띤다.
(정답률: 57%)
  • 해록석은 해양환경에서만 생성되는 화학적 기원의 점토광물이다. 이는 해양에서 발생하는 화학작용과 생물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주로 해저 퇴적물에서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해양퇴적물의 일반적 내용 중 틀린 것은?

  1. 퇴적물은 주로 성분과 조직을 기초로 하여 분류한다.
  2. 퇴적물의 성분과 조직은 퇴적물의 근원과 퇴적환경을 지시한다.
  3. 퇴적물의 조직은 주로 퇴적물과 물운동과의 관계를 지시한다.
  4. 해저에는 예외 없이 퇴적물이 발달되어 있다.
(정답률: 68%)
  • "해저에는 예외 없이 퇴적물이 발달되어 있다."가 틀린 내용이다. 해저에는 퇴적물이 발달하지 않는 지역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해저산맥이나 화산활동이 활발한 지역 등에서는 퇴적물이 발달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해저에서 석유자원은 주로 어떤 지층에서 생성되는가?

  1. 화산암
  2. 화성암
  3. 변성암
  4. 퇴적암
(정답률: 75%)
  • 해저에서 석유자원은 주로 퇴적암에서 생성됩니다. 이는 퇴적암이 과거 바다나 호수 등에서 쌓인 산물들이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면서 석유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화산암은 화산활동으로 생성되는 암석이며, 화성암은 화성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암석입니다.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암석으로, 석유 생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해빈의 퇴적구조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작은 규모의 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2. 연흔, 스워시 마크 등도 발견된다.
  3. 평행층리는 조립질 물질로 된 해빈 퇴적물층에서 대단히 잘 발달한다.
  4. 파도에 의한 연흔과 해부에 의한 연흔은 연근처에서 나타난다.
(정답률: 58%)
  • 정답은 "파도에 의한 연흔과 해부에 의한 연흔은 연근처에서 나타난다."이다.

    해빈의 퇴적구조에서 평행층리는 조립질 물질로 된 해빈 퇴적물층에서 대단히 잘 발달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이는 조립질 물질이 일정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은 규모의 층리와 연흔, 스워시 마크 등도 발견된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파도에 의한 연흔과 해부에 의한 연흔은 연근처에서 나타난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파도에 의한 연흔은 파도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며, 해부에 의한 연흔은 해빈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망간단괴(manganese nodule)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곳은?

  1. 수심 100 ~ 200m의 해저
  2. 수심 30 ~ 70m의 해저
  3. 수심 1000 ~ 1500m의 해저
  4. 수심 4000 ~ 5000m의 해저
(정답률: 80%)
  • 망간단괴는 해저 바닥에 쌓인 미세한 입자들이 서로 뭉쳐서 형성되는데, 이 입자들은 바닥에서부터 수심이 깊어질수록 더 많이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수심이 깊은 4000 ~ 5000m의 해저에서 망간단괴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삼각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삼각주는 강의 퇴적물 운반량은 적은 반면, 파도나 연안류의 활동이 강할 때 형성된다.
  2. 삼각주는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연장되어 성장하므로 불쑥 나온 모양을 가지게 되어 거의 3각형과 유사하게 된다.
  3. 삼각주 퇴적층은 육성퇴적물로 구성되며 주로 실트와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4. 삼각주 퇴적층은 상부층, 중부층, 하부층으로 구성되며 구성부분에 따라 조직과 성분의 변화가 확실하다.
(정답률: 71%)
  • "삼각주는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연장되어 성장하므로 불쑥 나온 모양을 가지게 되어 거의 3각형과 유사하게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삼각주는 강의 퇴적물 운반량이 적은 이유는 강에서 퇴적물이 운반되는 동안에는 퇴적물이 바위나 물감 등과 같은 다른 물질과 마찰하면서 작은 입자로 분리되고, 이 작은 입자들은 강에서 멀어질수록 더욱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주는 강의 퇴적물 운반량이 적습니다.

    반면에 파도나 연안류의 활동이 강할 때에는 바닷물이 해안을 침식하면서 삼각주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바위나 모래 등의 퇴적물이 바닷물에 의해 이동하면서 삼각주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

  1. 해령
  2. 심해저 평원
  3. 해구
  4. 기요
(정답률: 66%)
  • 해구는 해양 지형 중 가장 깊은 곳으로, 대부분의 해구는 6,000m 이상의 수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수심이 가장 깊은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구의 구성 중 암권 및 내권은 뚜렷한 세 구조로 나타낸다. 이들 세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각(crust)
  2. 맨틀(mantle)
  3. 열권(thermosphere)
  4. 핵(core)
(정답률: 78%)
  • 열권은 지구의 대기권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대기압이 매우 낮고 온도가 높은 지역이다. 따라서 지구의 구성 중 암권, 내권, 핵에 해당하는 지구의 실체 구조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유기적 퇴적암이 아닌 것은?

  1. 석회암
  2. 규조토
  3. 석탄
  4. 철광층
(정답률: 73%)
  • 철광층은 유기적인 성분이 아니라 미네랄로 이루어진 퇴적암이기 때문에 유기적 퇴적암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해저에 부설된 케이블을 찾는데 효과적이지 않은 탐사 방법은?

  1. 음파탐사
  2. 사이드 스캔소나 탐사
  3. 해저 T.V
  4. 중력탐사
(정답률: 75%)
  • 중력탐사는 해저에 부설된 케이블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중력탐사는 지하 구조물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케이블과 같은 비교적 밀도가 낮은 물체를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을 찾는데 효과적인 방법은 음파탐사, 사이드 스캔소나 탐사, 해저 T.V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해빈(beach) 퇴적물을 이루는 광물 중 가장 흔한 것은?

  1. 감람석
  2. 에피도르
  3. 석영
  4. 각섬석
(정답률: 89%)
  • 해빈 퇴적물을 이루는 광물 중 가장 흔한 것은 석영입니다. 이는 해빈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석영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석영은 광물 중에서 가장 흔하며, 감람석, 에피도르, 각섬석 등 다른 광물들보다 더욱 흔하게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륙주변부에 포함되지 않는 해저지형은?

  1. 대륙붕(continental shelf)
  2. 대륙대(continental rise)
  3. 대양저(abyssal floor)
  4. 대륙사면(continental slope)
(정답률: 80%)
  • 대양저는 대륙주변부에 속하지 않는 해저지형으로, 대륙붕과 대륙사면 사이에 위치합니다. 대양저는 깊이가 매우 깊고, 바닥에는 해저산맥과 해저분화구 등의 지형적 특징이 있습니다. 이 지역은 대양 바닥의 일부이며, 대양 바닥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해빈사의 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파랑
  2. 조석
  3. 연안류
  4. 해류
(정답률: 67%)
  • 해빈사는 바다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다의 조건이다. 그 중에서도 연안류는 해안가에서 바다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말하며, 이는 해빈사의 위치와 인접한 바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안류는 바다의 온도, 염분, 양분 등을 조절하고,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해빈사의 이동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적인 해저지형을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나열한 것 중 옳은 것은?

  1. 대륙붕 → 상부대륙대 → 대륙사면 → 하부대륙대
  2. 대륙붕 → 대륙사면 → 대륙대 → 심해평원
  3. 대륙붕 → 대륙대 → 대륙사면 → 심해평원
  4. 대륙사면 → 대륙대 → 대륙붕 → 심해평원
(정답률: 64%)
  • 해저지형은 대략적으로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 심해평원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대륙붕은 육지와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대륙사면은 대륙붕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경사면, 대륙대는 대륙사면 아래에 위치한 평지로, 심해평원은 대륙대 아래에 위치한 깊은 바다 평원입니다. 따라서 "대륙붕 → 대륙사면 → 대륙대 → 심해평원"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기기 중 심해저 퇴적물의 시료 채취용이 아닌 것은?

  1. dredge
  2. auger driller
  3. piston core sampler
  4. grab type sampler
(정답률: 59%)
  • "Auger driller"은 퇴적물을 깊이 파서 시료를 채취하는 기기이지만, 심해저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심해저 퇴적물의 시료 채취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Auger driller"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퇴적물의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공극율(Porosity)
  2. 밀도(Density)
  3. 열유량(Heat flow)
  4. 탄성파 속도(Compressional Velocity)
(정답률: 69%)
  • 퇴적물의 물리적 성질 중에서 "열유량(Heat flow)"은 에너지의 전달과 관련된 성질로, 퇴적물의 구성물이나 형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다른 물리적 성질들과 달리 포함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생물기원 퇴적물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석회질 연니
  2. 규산질 연니
  3. 해면류
  4. 불석
(정답률: 78%)
  • 불석은 생물기원 퇴적물과 관련이 없습니다. 불석은 화산재나 용암이 굳어서 생긴 암석으로, 생물의 활동과는 무관합니다. 반면에, 석회질 연니와 규산질 연니는 각각 칼슘과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생물기원 퇴적물입니다. 해면류는 바다에서 일어나는 지형 변화로 인해 생긴 퇴적물로, 바다에서 생물들이 살고 죽어서 쌓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