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해양조사산업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리해양학

1. 다음 중 해류에 의해 이동되는 해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수색, 투명도
  2. 수온
  3. 염분
  4. 파고
(정답률: 74%)
  • 해류는 바다의 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이며, 이동되는 물의 특징으로는 수온, 염분 등이 있다. 하지만 파고는 해류에 의해 이동되는 물의 특징이 아니며, 파고는 바람이나 지진 등의 자연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바다의 파동 현상이다. 따라서 정답은 "파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계절 수온 약층이 가장 잘 형성되는 시기는?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87%)
  • 여름에는 해수면이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바람도 약하게 불어서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층과 차가운 심층이 분리되어 약층이 형성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깊이 100m와 200m 사이의 평균 현장빙요이 0.998cm3/g 이라면 이 두 깊이 사이의 역학적 심도는?

  1. 100.2 dynamic meter
  2. 99.8 dynamic meter
  3. 1002.0 dynamic meter
  4. 998.0 dynamic meter
(정답률: 90%)
  • 역학적 심도는 물의 밀도와 현장빙요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역학적 심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역학적 심도 = (평균 현장빙요 / 물의 밀도) x 깊이

    물의 밀도는 대략 1 g/cm3이므로, 위의 식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역학적 심도 = (0.998 cm3/g / 1 g/cm3) x 깊이

    따라서, 깊이가 100m일 때의 역학적 심도는 99.8 dynamic me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조력 계산에 포함되는 원심력은?

  1. 지구-달의 공통 질량중심에 대한 공전
  2. 지구에 대한 달의 공전
  3. 달에 대한 지구의 공전
  4. 지구의 자전
(정답률: 82%)
  • 기조력 계산에 포함되는 원심력은 "지구-달의 공통 질량중심에 대한 공전"입니다. 이는 지구와 달이 서로 공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지구와 달의 질량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심력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와 질량에 따라 달의 조석과 만월 등의 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의 주기(T), 파장(L), 파속(C), 각주파수(W), 파수(wave number, K)의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5%)
  • 답은 ""이다. 파속(C)는 파의 주기(T)와 파장(L)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C = L/T이다. 각주파수(W)는 2π/T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W = 2π/T이다. 파수(K)는 2π/L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K = 2π/L이다. 따라서 ""는 옳지 않은 관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리나라 근해에 영향을 미치는 한류는?

  1. 쿠로시오
  2. 리만 해류
  3. 쓰시마 해류
  4. 황해 난류
(정답률: 86%)
  • 리만 해류는 일본의 국경선 근처를 흐르는 해류로, 한국과 일본의 근접성 때문에 우리나라 근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 해류는 온도와 염분이 높은 일본의 남쪽 해역에서 북쪽으로 흐르면서 우리나라 근해까지 이어지는데, 이로 인해 우리나라 근해의 수온과 염분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어종 분포와 양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리만 해류는 우리나라 근해의 날씨와 기후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해양과 대기 간의 열교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근해에 영향을 미치는 한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리만 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양에서 저층수의 주 근원지는?

  1. 태평양
  2. 인도양
  3. 지중해
  4. 남극해
(정답률: 89%)
  • 대양에서 저층수의 주 근원지는 남극해입니다. 이는 남극해가 빙하와 얼음으로 덮여 있어서 수온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낮은 수온으로 인해 물의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물이 무거워져서 바닥으로 가까이 내려가게 됩니다. 따라서 남극해는 대양에서 저층수의 주요 근원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심해파에 있어서 가장 측정하기 쉬운 성질은?

  1. 파장
  2. 주기
  3. 파고
  4. 전파속도
(정답률: 67%)
  • 주기는 파동의 한 주기에서 다음 주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하며, 이는 파동의 진동수와 역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심해파에서는 파동의 주기를 측정하기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동의 진동수와 파장, 파고 등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반면에 파장은 파동의 한 주기에서 다음 주기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심해파에서는 이 거리를 직접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기가 더 측정하기 쉬운 성질이다. 전파속도는 파동이 전파되는 속도를 의미하며, 이는 파동의 주기와 파장에 의존하지만, 직접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심해파에서는 주기가 가장 측정하기 쉬운 성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해류 측정 기기가 아닌 것은?

  1. ADCP
  2. HF radar
  3. drifter
  4. CTD
(정답률: 84%)
  • 해류 측정 기기 중 CTD는 염분, 온도, 깊이를 측정하는 기기이지만, 해류를 직접 측정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CTD가 해류 측정 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하구(Estuar)에서 상·하층의 전류시각이 서로 달라지는 이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하구폭의 변화
  2. 하구수심의 변화
  3. 마찰
  4. 염분 성층
(정답률: 75%)
  • 하구에서는 강물과 바다물이 섞이면서 염분 농도가 서로 다른 상·하층이 형성됩니다. 이 때,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다물은 무게가 더 무겁기 때문에 하층으로 흘러가고, 염분 농도가 낮은 강물은 가벼워서 상층으로 흘러갑니다. 이렇게 염분 농도에 따라 상·하층이 형성되면, 상층과 하층 사이에는 염분 성층이 형성됩니다. 이 염분 성층 때문에 상·하층의 전류시각이 서로 달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른 해역에 비해 조류가 강한 네 곳 중 조류가 강한 이유가 다른 한 해역은?

  1. 인천
  2. 울돌목
  3. 노량해협
  4. 맹골수도
(정답률: 89%)
  • 인천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서 강한 조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인천항과 인근 지역에서 많은 배가 운항하고 있어서 바다의 물결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조류가 더욱 강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연중 거의 일정한 방향, 일정한 강도의 바람이 부는 무역풍에 의한 해류는?

  1. 적도 해류
  2. 적도 반류
  3. 쿠로시오
  4. 북태평양 해류
(정답률: 74%)
  • 해류는 바람, 온도, 염분 등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데, 적도 해류는 연중 거의 일정한 방향, 일정한 강도의 바람이 부는 무역풍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바람은 적도 지역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불기 때문에, 적도 해류는 적도 지역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입니다. 따라서 "적도 해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수가 관성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위도 45도에서 속도 0.1m/s 일 때 관성원의 반경은?

  1. 1km
  2. 0.5km
  3. 10km
  4. 20km
(정답률: 53%)
  • 해수가 관성운동을 한다는 것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면서 방향을 바꾸지 않는 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관성원의 반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관성원의 반경 = (속도 / 각속도)

    여기서, 위도 45도에서의 지구의 자전각속도는 약 7.29 x 10^-5 rad/s 입니다. 따라서, 속도 0.1m/s 일 때의 각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속도 = 지구의 자전각속도 x cos(위도) = 7.29 x 10^-5 x cos(45) = 5.15 x 10^-5 rad/s

    따라서, 관성원의 반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관성원의 반경 = (0.1 / 5.15 x 10^-5) = 1942.3m = 1.9423km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k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형류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짝지은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정답률: 71%)
  • - ㄱ: 지형류는 강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표면의 수직 유동이다.
    - ㄴ: 지형류는 지형의 경사도와 지형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지형류는 직류와 회류로 나뉜다.
    - ㄹ: 지형류는 지형의 특성과 함께 강우량, 강우 강도, 강우 지속시간 등의 기상 요소에 따라 발생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형류의 크기와 속도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한 개의 위성에 의하여 조석이 일어나고 바다로 덮인 어느 행성이 있다. 행성의 하루는 24시간, 위성의 공전주기는 96시간 이라면, 이 행성에서 만조와 다음 만조사이의 시간 차이는?

  1. 12시간
  2. 16시간
  3. 24시간
  4. 48시간
(정답률: 61%)
  • 위성이 공전하는 주기가 96시간이므로, 위성이 한 바퀴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96시간이다. 따라서, 만약 위성이 한 점에서 조석을 일으키고 다시 그 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면 만조와 다음 만조사이의 시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위성이 한 점에서 조석을 일으키고 다시 그 점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위성의 공전주기인 96시간이다. 이때, 행성은 24시간 동안 자전하므로, 위성이 한 바퀴 돌아오는 동안 행성은 4번 자전한다. 따라서, 위성이 한 점에서 조석을 일으키고 다시 그 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4일(=96시간) + 1일(=24시간) = 120시간이다.

    만조와 다음 만조사이의 시간 차이는 조석이 일어난 시간과 다음 만조가 일어나는 시간의 차이이다. 이때, 행성은 24시간 동안 자전하므로, 만조와 다음 만조사이의 시간 차이는 24시간이다. 그러나 위에서 구한 것처럼, 위성이 한 점에서 조석을 일으키고 다시 그 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120시간이다. 따라서, 만조와 다음 만조사이의 시간 차이는 120시간 중에서 24시간만큼만 차이가 나므로, 정답은 120시간 - 24시간 = 96시간이다. 이는 보기에서 "16시간"이 아닌 "24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동해안에 용승을 일으킬 수 있는 바람은?

  1. 동풍
  2. 서풍
  3. 남풍
  4. 북풍
(정답률: 85%)
  • 남풍은 남쪽에서 불어와 동해안을 타고 올라가면서 바람이 강해져 용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진해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발생한 시점에는 심해파였으나 해안으로 접근하면서 천해파로 변형된다.
  2. 심해에서 해안으로 접근할수록 주기가 짧아진다.
  3. 해안으로 접근하면서 파속이 급격히 증가한다.
  4. 해안에서 파고가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수심이 얕아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89%)
  • 해안으로 접근하면서 파속이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수심이 얕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표면 수온의 관측에 잘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복사 온도계
  2. 봉상 온도계
  3. 전도 온도계
  4. 전기(저항)온도계
(정답률: 73%)
  • 전도 온도계는 물의 염분 농도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담수에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표면 수온의 관측에는 잘 이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괴를 분류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리량은?

  1. 수온, 압력
  2. 염분, 산소
  3. 수색, 탁도
  4. 수온, 염분
(정답률: 90%)
  • 수괴는 물 속에서 살아가는 생물들로서, 그들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인 물의 조건에 따라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리량은 수온과 염분입니다. 수온은 물의 온도를 나타내며, 생물들의 생리적 활동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염분은 물에 용해된 염의 양을 나타내며, 생물들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온과 염분은 수괴를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한 물리량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해류의 흐름을 직접 일으키는 힘은?

  1. 자전의 전향력
  2. 바람의 응력
  3. 원심력
  4. 마찰력
(정답률: 81%)
  • 해류의 흐름을 직접 일으키는 힘은 바람의 응력입니다. 바람은 바다 표면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바다 표면의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바람의 응력이 해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해양학

21. 해양 생물의 제한 원소(Bioilmiting elements)가 되지 않는 것은?

  1. N
  2. P
  3. K
  4. Si
(정답률: 74%)
  • 해양 생물의 제한 원소는 질소(N), 인(P), 규산(Si)이지만, 칼륨(K)은 제한 원소가 아닙니다. 칼륨은 해양 생물에게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이지만, 생물의 성장과 생존에 있어서는 다른 세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방사성 핵종 중 인공물질이 아닌 것은?

  1. 3H
  2. 90Sr
  3. 137Cs
  4. 222Rn
(정답률: 69%)
  • 인공물질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방사성 핵종 중에서 인공물질이 아닌 것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222Rn"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방사성 핵종으로, 라돈 가스로서 지하광산 등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222Rn"이 인공물질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염분의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밀도에 의한 방법
  2. 염소도에 의한 방법
  3. 윙클러 아지드법을 이용한 방법
  4. 전기전도도에 의한 방법
(정답률: 79%)
  • 윙클러 아지드법은 염분 측정 방법이 아니라, 물의 증발과 냉각을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윙클러 아지드법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에서 대양에서의 질산염의 수직분포도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0%)
  • 정답: ①

    해설:
    이 그래프는 대양에서의 질산염 농도를 수직축으로, 수심을 수평축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래프 상에서 질산염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200m 깊이인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래프는 대양에서의 질산염의 수직분포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②는 대양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고, ③은 대양에서의 염분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④는 대양에서의 해류 분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4C에 의한 심층수의 연령측정 결과 1회에 해양대순환에 걸리는 시간은?

  1. 약 700년
  2. 약 1600년
  3. 약 2900년
  4. 약 3500년
(정답률: 78%)
  • 14C는 반감기가 약 5730년인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따라서, 심층수에서 14C의 농도를 측정하여 그 연령을 구할 수 있다. 해양대순환은 대략 1000년에서 2000년 사이의 시간이 걸리므로, 14C 연령측정 결과가 약 1600년이라면 이는 해양대순환에 걸리는 시간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수 중 pH에 대한 설명에 잘못된 것은?

  1. 해수의 온도가 10℃ 증가할 때 pH는 0.0003 만큼 감소한다.
  2. 광합성이 왕성한 해역은 CO2가 감소하므로 pH가 증가한다.
  3. 수중의 탄산가스가 증가하면 pH는 증가한다.
  4. 황화물이 산화하면 pH는 감소한다.
(정답률: 79%)
  • "수중의 탄산가스가 증가하면 pH는 증가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탄산가스는 이산화탄소(CO2)와 물(H2O)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수소 이온(H+)과 결합하여 탄산 이온(HCO3-)과 이중탄산 이온(CO3^2-)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수소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pH가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중의 탄산가스가 증가하면 pH는 감소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오염 물질이 바다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해양오염의 비중이 가장 큰 기원은?

  1. 해양투기
  2. 해양사고
  3. 대기
  4. 강물
(정답률: 90%)
  • 강물은 육지에서 많은 양의 오염물질을 운반하여 바다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해양오염의 비중이 가장 큰 기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해수에 이산화탄소가 용해할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 )안의 내용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a) CO32-, (b) HCO3-, (c) CO32-
  2. (a) H2CO3, (b) HCO3-, (c) CO32-
  3. (a) CO32-, (b) H2CO3, (c) HCO3-
  4. (a) HCO3-, (b) H2CO3, (c) CO32-
(정답률: 75%)
  • H2CO3 → HCO3- + H+ → CO32- + 2H+

    해수에 이산화탄소가 용해할 때, 먼저 이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탄산산(H2CO3)을 형성합니다. 이후, 탄산산은 물 분자와 반응하여 수소 이온(H+)과 탄산 이온(HCO3-)으로 분해됩니다. 마지막으로, 탄산 이온은 다시 물 분자와 반응하여 탄산 이온(CO32-)과 수소 이온으로 분해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H2CO3, (b) HCO3-, (c) CO3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 해양의 이산화탄소(CO2) 함량을 대기중의 총량과 비교하면 몇 배나 되는가?

  1. 40배 이하
  2. 40 ~ 50배
  3. 50 ~ 60배
  4. 60배 이상
(정답률: 75%)
  • 전 해양의 이산화탄소(CO2) 함량은 대기중의 총량보다 훨씬 많습니다. 실제로, 해양은 지구상의 모든 이산화탄소 중 약 93%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 해양의 이산화탄소(CO2) 함량은 대기중의 총량보다 60배 이상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수의 염분도가 증가됨에 따라 해수의 물리화학적 특성도 변한다. 다음 중 염분도의 증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도도가 증가한다.
  2. 삼투압이 증가한다.
  3. 빙점이 상승한다.
  4. 굴절률이 증가한다.
(정답률: 81%)
  • 빙점이 상승하는 이유는 염분이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물 분자의 운동에 제약을 가하고, 따라서 물 분자가 얼어 고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열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염분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 분자와 염분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빙점이 상승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북태평양이 외양역에서 수직농도 분포가 수심 2000m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이는 성분은?

  1. 질산염
  2. 인산염
  3. 규산염
  4. 탄산염
(정답률: 73%)
  • 북태평양에서 수직농도 분포가 수심 2000m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이는 성분은 규산염입니다. 이는 규산염이 해양에서 가장 흔하게 존재하는 무기물질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규산염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류의 성장과 같은 생물학적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규산염은 해양의 탄소 순환과 pH 조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성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수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1. SO4
  2. Pb
  3. Cl
  4. Ca
(정답률: 78%)
  • 해수의 주성분은 "SO4", "Cl", "Ca"이다. Pb는 해수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주성분이 아니다. Pb는 대기오염이나 산업폐기물 등으로 인해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핵종 중 심해저 망간단괴에 성장속도 측정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228Th (반감기=1.9년)
  2. 210Pb (반감기=22년)
  3. 210Po (반감기=138년)
  4. 230Th (반감기=7.5×104년)
(정답률: 85%)
  •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를 측정하는데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나이팅(nuclide) 기술이 이용된다. 이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하여 다른 동위원소로 변화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230Th가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유는 그 반감기가 다른 핵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이다. 반감기가 길면 측정 가능한 시간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230Th가 심해저 망간단괴의 성장속도 측정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바닷물에 가장 많이 녹아 있는 기체는?

  1. 질소
  2. 산소
  3. 이산화탄소
  4. 수소
(정답률: 71%)
  • 바닷물에는 대부분의 기체가 용해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녹아 있는 기체는 질소입니다. 이는 바닷물의 산성도와 온도 등의 조건이 질소의 용해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질소는 대기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체로서, 바닷물과 대기 사이의 교환도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닷물에 많이 녹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북대서양과 북태평양 심층수의 용존산소와 영양염의 농도를 비교하면?

  1. 북대서양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는 높고, 영양염 농도는 낮다.
  2. 북대서양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는 낮고, 영양염 농도는 낮다.
  3. 북태평양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는 높고, 영양염 농도는 낮다.
  4. 북태평양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는 낮고, 영양염 농도는 낮다.
(정답률: 73%)
  • 북대서양은 차가운 해류인 북대서양 해류가 흐르는 지역으로, 이 해류는 극지방에서 유입되는 차가운 물을 운반하며 영양염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북대서양은 대기순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대기 중 용존산소가 많이 용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북대서양에서는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고, 영양염 농도는 낮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수중에 용존하고 있는 화합물 중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통하여 생물농축되지 않는 것은?

  1. 염화탄화수소
  2. 요소
  3. 메틸수은
  4. 무기방사성 핵종
(정답률: 81%)
  • 해수중에 용존하고 있는 화합물 중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통하여 생물농축되지 않는 것은 "요소"이다. 이는 요소가 생물체에게 직접적으로 섭취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농축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염화탄화수소, 메틸수은, 무기방사성 핵종은 생물체에게 섭취되어 농축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산화 환경이 해양에서 생물체의 사체 즉 유기물이 산화 분해될 때 각 구성성분(C:N:P:O)의 조성비(원자비, Redfield)는?

  1. 106 : 16 : 1 : -138
  2. 106 : 16 : 1 : -276
  3. 106 : 16 : 1 : 138
  4. 106 : 16 : 1 : 276
(정답률: 74%)
  • 산화 환경에서 생물체의 사체가 산화 분해될 때, C:N:P:O의 조성비는 Redfield 비율이라고 불리며, 106:16:1:-138의 비율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산화 환경이 더욱 산성화되는 경우, 즉 더 많은 산소가 소비되는 경우에는 Redfield 비율보다 더 많은 산소가 소비되어 -276의 비율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6 : 16 : 1 : -27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수의 COD 측정에 사용되는 시약은?

  1. KMnO4
  2. KlO3
  3. HCl
  4. MnCl2
(정답률: 86%)
  • COD 측정은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때, KMnO4은 산화제로서 유기물을 산화시켜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KMnO4이 COD 측정에 사용되는 시약이다. KlO3, HCl, MnCl2는 COD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시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해수중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은?

  1. H3PO4
  2. H2PO4-
  3. HPO42-
  4. PO43-
(정답률: 63%)
  • 해수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은 "HCO3-"이다. 이는 해양 생물들이 CO2를 호흡하면서 방출하는 것과 해양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많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HPO42-"는 인산염 중 하나로, 해양에서는 일부 존재하지만 다른 인산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분포한다. 이는 해양에서의 인산염의 화학적 균형과 해양 생물들의 수요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류가 해양에 유출되었을 때의 진행 과정으로 맞는 것은?

  1. 슬릭 형성-에멀젼화-증발-타르덩어리 형성-미생물분해
  2. 타르덩어리 형성-슬릭 형성-미생물분해-증발-에멀젼화
  3. 에멀젼화-타르덩어리 형성-미생물분해-슬릭 형성-증발
  4. 슬릭 형성-증발-에멀젼화-미생물분해-타르덩어리 형성
(정답률: 70%)
  • 유류가 해양에 유출되면 먼저 유류가 해면 위로 떠오르면서 슬릭이 형성됩니다. 그 후에는 해양에서 증발이 일어나면서 유류가 농축되어 타르덩어리가 형성됩니다. 이어서 유류가 물과 혼합되어 에멀젼화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슬릭이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릭 형성-증발-에멀젼화-미생물분해-타르덩어리 형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해양학

41. 체장이 2~3cm 정도이며, 그 알은 보육낭에서 성체형까지 발생하는 연갑류 부유생물인 곤쟁이(Mysid)는 주로 어느 생물 종류의 천연먹이로 쓰이는가?

  1. 남조류
  2. 양서류
  3. 어류
  4. 조개류
(정답률: 88%)
  • 곤쟁이는 어류의 천연먹이로 쓰입니다. 이는 곤쟁이가 주로 해양에서 서식하며, 어류가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해양생물의 주된 질소 배설물의 형태는?

  1. 암모니아
  2. 요소
  3. 요소 및 요산
  4. 요산
(정답률: 76%)
  • 해양생물은 대부분 암모니아 형태로 질소를 배설합니다. 이는 해양에서의 화학 반응과 pH 등의 영향으로 인해 암모니아가 더 안정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모니아가 해양생물의 주된 질소 배설물의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해양 식물성 부유생물을 배양할 때 가장 적합한 pH는?

  1. 12
  2. 10
  3. 8
  4. 6
(정답률: 90%)
  • 해양 식물성 부유생물은 대부분 알칼리성을 선호하므로 pH가 높은 환경에서 잘 성장합니다. 따라서 pH 8이 가장 적합한 환경입니다. pH 12는 너무 높아서 생물에게 해로울 수 있고, pH 10은 적당하지만 pH 8보다는 약간 낮기 때문에 성장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pH 6은 산성 환경이므로 해양 식물성 부유생물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해양생물 중 분류학적으로 자포동물문(Phylum Cnidaria)에 속하지 않는 무리는?

  1. 해면
  2. 산호
  3. 말미잘
  4. 히드라
(정답률: 67%)
  • 해면은 분류학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자포동물문에 속하지 않습니다. 해면은 무척이나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과 동물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해면은 자포동물문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해산 현화식물 생태계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난과 비슷한 모양으로 길고 얇은 잎과 줄기는 뿌리줄기로 성장한다.
  2. 주로 해수 유동이 강하여 수중 영양염의 공급이 좋은 곳에 밀생한다.
  3. 열대해역에는 거북풀(turtle grass)가 많고 잘피(eel grass)는 온대와 열대의 연성 저질에 잘 서실한다.
  4. 뿌리로 영양분을 흡수한다.
(정답률: 69%)
  • "주로 해수 유동이 강하여 수중 영양염의 공급이 좋은 곳에 밀생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해당 식물의 생김새나 서식 지역 등을 설명하는 반면, 이 보기는 해당 식물이 자라는 환경적인 요인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하구역의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성요인에 따라 그 지형의 특성을 크게 해안평원 하구역, 구조하구역, 협만하구역, 반폐쇄석호하구역의 4가지로 구분한다.
  2. 하구역은 강으로부터 유입된 퇴적물입자 및 유기입자 등이 쌓여 조립질의 퇴적층을 형성한다.
  3. 연안역 중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강하구 수역이다.
  4. 하구역의 생물들은 대부분 광염성, 광온성 종들이다.
(정답률: 80%)
  • "하구역의 생물들은 대부분 광염성, 광온성 종들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하구역은 강으로부터 유입된 퇴적물입자 및 유기입자 등이 쌓여 조립질의 퇴적층을 형성하는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어류 중 측편형(側偏形)의 체형을 갖는 종류는?

  1. 참돔
  2. 가오리
  3. 양태
  4. 아귀
(정답률: 70%)
  • 참돔은 측편형 체형을 갖는 어류 중 하나입니다. 측편형 체형은 어류의 몸이 한쪽으로 누워 있는 형태를 말하며, 참돔은 몸이 좌우로 납작하게 늘어져 있어 측편형 체형을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부유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동물플랑크톤은?

  1. 물벼룩류
  2. 갯지렁이류
  3. 요각류
  4. 만각류
(정답률: 91%)
  • 요각류는 부유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동물플랑크톤 중 하나입니다. 이는 다른 동물플랑크톤과 달리 광합성을 수행하여 자신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요각류는 다른 동물플랑크톤의 먹이로도 중요하게 작용하여, 부유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어류 중 강하성회유(catadromous migration)를 하는 어종은?

  1. 송어
  2. 뱀장어
  3. 은연어
  4. 방어
(정답률: 86%)
  • 강하성회유란, 물고기가 산란을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뱀장어는 산란을 위해 강으로 이동하는 어종으로, 바다에서 성장한 후 강으로 올라가 산란을 한다. 따라서 뱀장어가 강하성회유를 하는 어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플랑크톤이 온대지방의 바다에서 가장 번식에 나쁜 계절은?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81%)
  • 겨울은 온도가 낮아지고 해수면에서 바람이 강해지는 계절이기 때문에 바다의 수온이 떨어지고 파도가 크게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플랑크톤의 번식 활동이 저하되기 때문에 겨울이 온대지방의 바다에서 가장 번식에 나쁜 계절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해양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중 서식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갯지렁이(다모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외관상 체절이 없다.
  2. 몸은 좌우대칭이며, 긴 원통형이다.
  3. 대부분 부유성 담륜자 유생시기를 거친 후, 변태하여 저서생활을 시작한다.
  4. 유기물 오염이 심화된 해역에서 대량으로 서식하기도 한다.
(정답률: 82%)
  • 갯지렁이는 몸이 긴 원통형이며,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외관상 체절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홍수림(맹그로브 숲)이 번성하는 환경은?

  1. 극지고산대
  2. 온대연안
  3. 열대연안
  4. 대양중앙부
(정답률: 88%)
  • 홍수림(맹그로브 숲)은 열대연안 지역에서 번성합니다. 이는 열대 지역에서 바닷물과 강물이 섞여 만들어지는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입니다. 또한, 열대 지역의 높은 기온과 습도, 그리고 풍부한 강우량도 홍수림(맹그로브 숲)의 번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 )안에 공통적으로 알맞은 것은?

  1. 카드뮴
  2. 염소
  3. 이산화탄소
(정답률: 81%)
  • 이 그림은 자석을 이용한 분리법 중 하나인 자석 분리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석 분리법은 자석에 반응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철은 자석에 반응하기 때문에 자석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양생물을 채집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반돈 채수기(van Dorn water sampler)
  2. 그랩 채니기(Grab sampler)
  3. 봉고 네트(Bongo net)
  4. CTD
(정답률: 87%)
  • CTD는 해양생물을 채집하는 기구가 아니라 해양 환경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CTD는 수온, 염분, 압력 등의 해양 환경 요소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조간대(潮間帶)의 생태학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건조되기 쉽다.
  2. 수온변화가 크다.
  3. 파도의 물리직 힘이 크게 작용한다.
  4. 광선이 언제나 부족하다.
(정답률: 95%)
  • 조간대는 해안과 바다 사이에 위치하여, 파도의 영향을 받으며 수온 변화가 크고 건조하기 쉽습니다. 또한 파도의 물리적 힘이 크게 작용하여 조류가 발달하고, 해조류와 동물들이 서식합니다. 하지만 조간대는 물이 없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광선이 언제나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산식물의 광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파장의 빛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엽록소 외에 보조색소를 발달시킨다.
  2. 광합성률과 산소발생률이 일치하는 수심을 보상수심이라 한다.
  3. 엽록체 내의 틸라코이드에 위치하는 엽록소와 틸라코이드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스트로마가 광합성에 관여한다.
  4. 광합성을 통해서 일차적으로 만들어지는 유기물은 단당류인 포도당이며, 다당류인 녹말 형태로 변환시켜 체내에 저장한다.
(정답률: 73%)
  • "광합성률과 산소발생률이 일치하는 수심을 보상수심이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엽록체 내에서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해 산소와 유기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광합성률과 산소발생률이 일치하는 깊이를 말한다. 이 깊이 이상에서는 광합성률이 산소발생률보다 작아져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보상수심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공기호흡을 하는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포유류
  2. 조류(鳥類)
  3. 파충류
  4. 원구류
(정답률: 84%)
  • 원구류는 공기호흡을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원구류는 물속에서 살며, 물 속에서 호흡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구류는 물속에서 호흡하는 수생 동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 중 한대지방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를 나타낸 곡선은?

(정답률: 83%)
  • 정답은 "③"입니다. 이유는 그래프에서 봄과 가을에 플랑크톤의 양이 가장 높고, 여름과 겨울에는 가장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절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곡선은 "③"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해양에서 부유생물의 유동은 해류의 흐름에 크게 의존하는데 이러한 회유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산란회유
  2. 유기회유
  3. 계절회유
  4. 색이회유
(정답률: 76%)
  • 해양에서 유동하는 부유생물은 바다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유동하는 부유생물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생기는 회전운동을 유기회유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기회유"입니다. "산란회유"는 부유생물의 산란과 관련된 회유, "계절회유"는 계절적인 온도나 염분 등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회유, "색이회유"는 바다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과 관련된 회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적조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모조류가 주원인 생물이다.
  2. 공장 및 도시 폐수가 하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3. 육수의 유입은 적조를 완화시킨다.
  4. 연안과 내만의 부영양화도 적조 유발에 관계된다.
(정답률: 80%)
  • "육수의 유입은 적조를 완화시킨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육수가 바다로 유입되면 바다의 염분 농도가 낮아지고, 물의 온도와 혼합되어 산소가 부족한 적조의 환경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수 유입은 적조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해양학

61. 제주도의 성인은?

  1. 화산활동
  2. 모래 퇴적
  3. 산호 퇴적
  4. 대륙분리
(정답률: 91%)
  • 제주도는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섬이기 때문에 "화산활동"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주도의 지형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제주도의 성인은 화산활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심해저의 원양성 퇴적물은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그 두 종류란?

  1. 점토와 실트
  2. 모래와 연니
  3. 연니와 적점토
  4. 적점토와 실트
(정답률: 73%)
  • 심해저의 원양성 퇴적물은 크게 연안부에서 쌓인 퇴적물과 해저심부에서 쌓인 퇴적물로 분류됩니다. 연안부에서 쌓인 퇴적물은 모래와 연니, 해저심부에서 쌓인 퇴적물은 점토와 실트, 적점토와 연니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니와 적점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륙대(continental ris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사는 대륙 대륙사면의 8분의 1정도로 완만하다.
  2. 대부분의 대양저의 서쪽 경계부의 심해의 해류는 대륙대의 모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3. 대륙대는 육지로부터 그리고 해저주변부로부터 운반된 퇴적물로 구성된 퇴적층이다.
  4. 대륙대는 태평양해저에 대단히 잘 발달되어 있다.
(정답률: 67%)
  • 정답은 "대륙대는 태평양해저에 대단히 잘 발달되어 있다." 이다. 대륙대는 모든 대양에서 발견되지만, 태평양해저에서는 그 크기와 발달 정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이 문장은 틀린 설명이다. 대륙대는 육지로부터 운반된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대양저의 서쪽 경계부의 심해의 해류는 대륙대의 모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대륙대의 경사는 대륙사면의 8분의 1정도로 완만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저확장과 관계되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오래된 해저지각이 맨틀 속으로 섭입되는 곳이 해구이다.
  2. 해저확장의 증거로는 변환단층, 열류량 등이 있다.
  3. 판구조론에 의하면 암석권은 약권위에서 맨틀의 열대류로 이동한다.
  4. 해저확장이란 지각이 방사능 물질의 열로 용해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정답률: 88%)
  • 해저확장이란 지각이 열로 인해 팽창하면서 해저지각이 확장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해저확장이란 지각이 방사능 물질의 열로 용해되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해저 지층에서 석유 및 가스를 많이 함유하는 저류 퇴적암은?

  1. 사암
  2. 증발암
  3. 쳐어트
  4. 이암
(정답률: 82%)
  • 사암은 해저 지층에서 석유 및 가스를 많이 함유하는 저류 퇴적암이다. 이는 사암이 고루하게 분포하며, 고체 입자 크기가 작아 공간이 많기 때문에 석유 및 가스가 축적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사암은 수성이 좋아 물이 흐르는 곳에서 많이 발견되며, 이는 석유 및 가스가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함유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심해저 퇴적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해저 퇴적층은 대부분 수 km 두께로 발달되며 촉방으로 조직의 변화가 상당히 다양하다.
  2. 심해는 다른 여러 해양환경에 비해서 비교적 단조로워 수천평방 km에 걸쳐 퇴적된 물질의 성분은 거의 균일하다.
  3. 심해저 퇴적물에는 대륙주변부 또는 해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도 있다.
  4. 심해저 퇴적물에는 대륙주변부의 영향을 받아 육지기원의 퇴적물이 저탁류에 의해서 심해저에 도달하는 퇴적물도 있다.
(정답률: 71%)
  • "심해는 다른 여러 해양환경에 비해서 비교적 단조로워 수천평방 km에 걸쳐 퇴적된 물질의 성분은 거의 균일하다."가 틀린 것이다. 심해저 퇴적층은 다양한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성분이 다양하며, 지질학적 조직도 다양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해파의 진행과 해양지형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파의 굴절현상은 얕은 바다에서 해파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먼저 도착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2. 해저가 깊은 바다 쪽으로 일정하게 경사된 경우 곶 부근은 바다가 얕기 때문에 만보다 훨씬 많은 양의 퇴적물이 퇴적한다.
  3. 해파는 해저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이 더 빨리 움직이고 해파는 해안에 접근함에 따라 해안에 평행하게 된다.
  4. 곶에서는 해파의 에너지가 수렴되며 만에서는 에너지가 분산된다.
(정답률: 70%)
  • 해파는 해저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이 더 빨리 움직이고 해파는 해안에 접근함에 따라 해안에 평행하게 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해저가 깊은 바다 쪽으로 일정하게 경사된 경우 곶 부근은 바다가 얕기 때문에 만보다 훨씬 많은 양의 퇴적물이 퇴적하는 이유는, 해일이 만으로 진행하면서 에너지가 분산되면서 퇴적물이 적게 쌓이는 반면, 곶 부근에서는 해일이 좁은 지역으로 진행하면서 에너지가 집중되어 퇴적물이 많이 쌓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우리나라 근해에 분포하는 점토광물 중 가장 흔한 광물은?

  1. 고령석(kaolinite)
  2. 녹니석(chlorite)
  3. 일라이트(illite)
  4. 스멕타이트(smentite)
(정답률: 90%)
  • 일라이트는 우리나라 근해에 분포하는 점토광물 중에서 가장 흔한 광물입니다. 이는 일라이트가 형성되는 환경인 해양 퇴적지에서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라이트는 고령석과 비교하여 더 넓은 온도와 압력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이 분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물이 담긴 1000mL 메스실런더에 직경 5ø(phi)인 구형의 석영입자를 떨어뜨린 후, 10cm 가라앉는데 2분이 걸렸다면, 같은 상황에서 직경 6ø인 구형 석영입자를 떨어뜨릴 때 같은 깊이까지 가라앉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Stokes 침강 법칙에 의거 계산하시오)

  1. 8분
  2. 4분
  3. 15초
  4. 7.5초
(정답률: 53%)
  • Stokes 침강 법칙에 따르면, 입자의 침강 속도는 입자의 반지름(r), 유체의 점성도(η), 입자와 유체의 밀도 차이(Δρ), 그리고 중력 가속도(g)에 의해 결정된다.

    v = (2/9) * (r^2) * (g * Δρ) / η

    따라서, 반지름이 5ø인 입자와 6ø인 입자의 침강 속도는 다음과 같다.

    v1 = (2/9) * (2.5 x 10^-5 m)^2 * (9.8 m/s^2 * 2650 kg/m^3) / (8.9 x 10^-4 Pa s) = 1.17 x 10^-5 m/s

    v2 = (2/9) * (3 x 10^-5 m)^2 * (9.8 m/s^2 * 2650 kg/m^3) / (8.9 x 10^-4 Pa s) = 1.87 x 10^-5 m/s

    여기서, 가라앉는 깊이는 입자의 침강 속도와 시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d = v * t

    따라서, 반지름이 5ø인 입자가 10cm까지 가라앉는데 걸린 시간은 다음과 같다.

    d1 = 0.1 m, v1 = 1.17 x 10^-5 m/s

    t1 = d1 / v1 = 0.1 m / 1.17 x 10^-5 m/s = 8.55 x 10^3 s = 8분 (약간 반올림)

    반지름이 6ø인 입자가 같은 깊이까지 가라앉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d2 = 0.1 m, v2 = 1.87 x 10^-5 m/s

    t2 = d2 / v2 = 0.1 m / 1.87 x 10^-5 m/s = 5.35 x 10^3 s = 5분 35초 (약간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8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해저에 분포하는 망간 단괴가 주로 분포하는 곳은?

  1. 대륙붕
  2. 대륙사면
  3. 해저산맥
  4. 심해저 분지
(정답률: 85%)
  • 망간 단괴는 심해저 분지에서 주로 분포합니다. 이는 심해저 분지가 지각 변동이 적고, 바닥 퇴적물이 많아 망간이 축적되기 때문입니다. 대륙붕과 대륙사면은 지각 변동이 많아 망간이 축적되기 어렵고, 해저산맥은 활동성이 높아 망간이 축적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해저퇴적물의 기원이 아닌 것은?

  1. 육상기원
  2. 생물기원
  3. 자생적 광물의 침전
  4. 식물의 광합성 작용
(정답률: 84%)
  • 해저퇴적물의 기원이 아닌 것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입니다. 이는 해저퇴적물은 대부분 바다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의 유기물이 쌓여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물의 광합성 작용은 해저퇴적물의 기원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해양에서 채취한 저질(퇴적물)을 분석할 때 주요 실험 대상이 아닌 것은?

  1. 입도분석
  2. 중력분석
  3. 물성분석
  4. 광물분석
(정답률: 72%)
  • 중력분석은 해양에서 채취한 저질을 분석하는 실험 대상이 아닙니다. 중력분석은 고체 물질의 밀도를 측정하는 실험 방법으로, 저질의 성분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질을 분석할 때 중력분석은 주요 실험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

  1. 해령
  2. 심해저 평원
  3. 해구
  4. 기요
(정답률: 93%)
  • 해구는 해양 지형 중 가장 깊은 곳으로, 대부분의 해구는 6,000m 이상의 수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수심이 가장 깊은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의 일반적인 해저지형의 나열이 옳은 것은?

  1. 대륙붕→상부대륙대→대륙사면→하부대륙대
  2. 대륙붕→대륙사면→대륙대→심해평원
  3. 대륙붕→대륙대→대륙사면→심해평원
  4. 대륙사면→대륙대→대륙붕→심해평원
(정답률: 85%)
  • 해저지형은 대략적으로 대륙붕 → 대륙사면 → 대륙대 → 심해평원 순서로 나열됩니다. 이는 대륙붕에서는 해저가 깊어지다가 대륙사면에서는 급격하게 경사가 변하며 대륙대에서는 해저가 깊어지는 경사면이 더욱 급격해지고, 심해평원에서는 해저가 깊이 유지되는 평평한 지형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륙붕→대륙사면→대륙대→심해평원"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륙사면가 대륙붕의 경계부를 지칭하는 명칭은?

  1. 대륙경계
  2. 해양경계
  3. 대륙붕단
  4. 대륙대
(정답률: 84%)
  • 대륙사면가는 대륙과 해양의 경계를 의미하며, 이 중 대륙부분과 해양부분의 경계를 나누는 지점을 대륙붕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대륙붕단은 대륙과 해양의 경계부분을 지칭하는 명칭입니다. 대륙대는 대륙의 중심부를 의미하며, 대륙경계는 대륙과 다른 대륙의 경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hi(ø) scale에 의한 퇴적물의 입도 표시 중 모래(sand)의 크기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ø 보다 조립
  2. -1 ~ 4ø
  3. 5 ~ 8ø
  4. 8ø 보다 세립
(정답률: 78%)
  • Phi(ø) scale은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로그 스케일이다. 이 스케일에서 숫자가 작아질수록 입도가 크다. 따라서 "-2ø 보다 조립"은 입자가 너무 작아서 퇴적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5 ~ 8ø"과 "8ø 보다 세립"은 입자가 너무 크기 때문에 모래로 분류되지 않는다. 따라서, "-1 ~ 4ø" 범위가 모래 입자의 크기 범위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P파 에너지가 거의 도달하지 않는 지역인 음영대(shadow zone)는 진원으로부터 몇 도 위치에 존재하는가?

  1. 103 ~ 142°
  2. 143 ~ 175°
  3. 115 ~ 153°
  4. 125 ~ 163°
(정답률: 86%)
  • 음영대는 지진파가 지구의 액체부분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진파가 곡선으로 퍼져서 도달하지 않는 지역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진파의 속도가 액체와 고체에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음영대는 지진파의 진행방향과 진원과의 거리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103 ~ 142°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지진파가 지구의 액체부분을 통과할 때 곡선으로 퍼져서 도달하지 않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03 ~ 1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해양에 분포하는 육성기원 퇴적물 중 부유 상태로 파도나 해류에 의해 가장 먼 곳까지 운반되는 것은?

  1. 모래
  2. 점토
  3. 실트
  4. 잔자갈
(정답률: 79%)
  • 점토는 입자가 작고 경도가 낮아 부유 상태로 운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파도나 해류에 의해 가장 먼 곳까지 운반되는 것은 점토입니다. 모래나 실트는 입자가 크고 경도가 높아 부유 상태로 운반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잔자갈은 입자 크기가 불규칙하고 혼합물이므로 상황에 따라 부유 상태로 운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렴형 판경계부 중 2개의 대륙판이 서로 충돌하여 형성된 지역은?

  1. 마리아나 해구
  2. 대서양 중앙해령
  3. 히말라야 산맥
  4. 산안드레아스 단층대
(정답률: 86%)
  • 히말라야 산맥은 인도와 유라시아 대륙판이 충돌하여 형성된 지역입니다. 이 충돌로 인해 대규모의 산맥이 형성되었고, 이 지역은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를 비롯한 많은 고산지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심해저 망간단괴의 유용 금속 성분 중 경제성이 높은 성분이 아닌 것은?

  1. Cu
  2. Co
  3. Pb
  4. Ni
(정답률: 74%)
  • 심해저 망간단괴에서 경제성이 높은 금속 성분은 "Cu", "Co", "Ni" 이지만, "Pb"는 경제성이 높은 성분이 아닙니다. 이는 주로 납의 생산량이 많아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납은 독성이 높아서 환경오염 문제도 있어서 금속 산업에서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