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해양조사산업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리해양학

1. 쿠로시오 해류와 약학적으로 가장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멕시코 만류
  2. 남적도 해류
  3. 캘리포니아 해류
  4. 포클랜드 해류
(정답률: 91%)
  • 쿠로시오 해류와 멕시코 만류는 모두 따뜻한 해류로, 열대 지방에서 발생합니다. 또한 두 해류 모두 북태평양에서 발생하며, 주로 서쪽으로 흐릅니다. 따라서 약학적으로 가장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은 멕시코 만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형류에 작용하는 힘은?

  1. 전향력, 마찰력
  2. 전향력, 압력경도력
  3. 압력경도력, 마찰력
  4. 마찰력, 중력
(정답률: 82%)
  • 지형류에 작용하는 힘은 전향력과 압력경도력입니다.

    전향력은 회전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힘입니다. 지형류는 대부분 바다나 호수에서 발생하므로,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향력이 지형류에 영향을 미칩니다.

    압력경도력은 압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힘으로, 지형류에서는 바다나 호수의 수위 차이에 따라 발생합니다. 수위 차이가 큰 지역에서는 압력이 크게 차이나므로, 압력경도력이 발생하여 지형류를 유발합니다.

    따라서, 지형류에 작용하는 힘은 전향력과 압력경도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안의 어느 지점의 연평균 해면이 수준점(TBM) 하 250cm 이고, M2, S2, K1, O1 분조의 조차가 각각 120cm, 30cm, 10cm, 5cm라 하면 이 지점의 기본 수준면(DL)은 수준점(TBM) 하 얼마에 위치하는가?

  1. 250 cm
  2. 332.5 cm
  3. 415 cm
  4. 580 cm
(정답률: 62%)
  • 기본 수준면(DL)은 수준점(TBM)에서 각 조차의 합을 빼준 값이다. 따라서 DL = TBM - (M2 + S2 + K1 + O1) = 250 - (120 + 30 + 10 + 5) = 332.5 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32.5 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M2 분조의 각속도는 시간당 28.9841도 이며 S2 분조의 각속도는 시간당 30도이다. 조화분석으로 이 두 분조를 분리해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석관측 자료의 길이는?

  1. 8일
  2. 15일
  3. 21일
  4. 30일
(정답률: 90%)
  • M2 분조와 S2 분조의 주기는 각각 12.42시간과 11.97시간이다. 이 두 주기의 최소공배수는 약 60시간이다. 따라서 조화분석을 위해 최소한 60시간의 조석관측 자료가 필요하다. 이를 일수로 환산하면 60시간 ÷ 4시간/일 = 15일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취송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면에서의 흐름은 북반구에서 풍향에 대하여 대개 오른쪽으로 45° 방향으로 흐른다.
  2. 표면에서 깊이 내려 갈수록 유속은 작아진다.
  3. 상부마찰 저항심도는 풍속에 역비례하고 위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4. 상부 마찰저항 심도 내 해수 전체는 북반구에서 풍향의 오른쪽 90° 방향으로 흐른다.
(정답률: 80%)
  • "상부 마찰저항 심도 내 해수 전체는 북반구에서 풍향의 오른쪽 90° 방향으로 흐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북반구에서 풍향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45° 방향으로 흐르며, 이는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입니다.

    상부마찰 저항심도는 풍속이 높을수록 작아지며, 위도가 낮을수록 작아집니다. 이는 상부에서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마찰이 작용하는 깊이가 얕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표면에서 깊이 내려갈수록 유속은 작아지는데, 이는 바닥면에서의 마찰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만 내에서 발생하는 부진동의 주기는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1. 만의 길이에만 의존
  2. 만의 폭에만 의존
  3. 만의 길이와 폭에만 의존
  4. 만의 길이와 폭, 깊이에 의존
(정답률: 87%)
  • 만 내에서 발생하는 부진동의 주기는 만의 길이와 폭, 그리고 깊이에 모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만의 길이와 폭, 깊이에 의존"이 정답이다. 만의 길이가 길면 주기가 길어지고, 만의 폭이 넓으면 주기가 짧아지며, 만의 깊이가 깊으면 주기가 길어진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가 모두 부진동의 주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답은 "만의 길이와 폭, 깊이에 의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최근 해양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염분의 단위는?

  1. psu
  2. %
  3. per mil
  4. ptu
(정답률: 91%)
  • 최근 해양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염분의 단위는 "psu"이다. 이는 Practical Salinity Unit의 약자로, 염분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다. 이는 염분 농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단위이다. %나 per mil은 염분 농도를 나타내는 다른 단위이지만, psu가 보다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단위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최근 해양학에서는 psu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PTU는 대기학에서 사용되는 온도의 단위이므로, 염분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하구(표면적 100km2, 평균수심 50m)로 하천오염수(오염농도 5ppm)가 시간당 0.05 km3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 하구의 잔류시간(residence time)시간은?

  1. 1시간
  2. 10시간
  3. 100시간
  4. 1000시간
(정답률: 79%)
  • 하구의 체적은 100km2 × 50m = 5km3 이다. 따라서 하구에 유입되는 물의 체적이 하구의 체적과 같아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면 된다. 이는 5km3 ÷ 0.05 km3/시간 = 100시간 이므로, 정답은 "100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El Nino와 관련된 해양현상 중 맞지 않는 것은?

  1. 페루연안의 수온이 높아진다.
  2. 적도류가 약화된다.
  3. 태평양 서부의 저기압이 약화된다.
  4. 인도네시아 부근의 강우량이 많아진다.
(정답률: 65%)
  • 인도네시아 부근은 열대우림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El Nino 현상이 발생하면 인도네시아 부근의 강우량이 더욱 많아집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부근의 강우량이 많아진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마찰이 작용할 경우 지형류의 방향은 어떻게 변하는가?

  1. 변화 없다.
  2. 저압부쪽로 다소 편향
  3. 고압부쪽로 다소 편향
  4. 북반구에는 고압부로, 남반구에서는 저압부로 편향
(정답률: 65%)
  • 마찰이 작용하면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지표면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대기의 이동 방향이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저압부쪽으로 다소 편향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가장 큰 계절은?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82%)
  • 해수의 연직 안정도는 수온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데, 여름에는 해수면이 가장 따뜻해지기 때문에 수온 차이가 가장 적어져서 연직 안정도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여름이 가장 큰 연직 안정도를 가지는 계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σt와 △st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σt는 밀도, △st는 비용을 표시함)

  1. σt가 증가하면 △st도 증가한다.
  2. 수온이 증가하면 σt가 증가한다.
  3. 염분이 감소하면 σt가 증가한다.
  4. σt가 증가하면 △st는 감소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σt가 증가하면 △st는 감소한다." 이다. 이유는 밀도가 증가하면 같은 부피에 더 많은 물질이 들어가므로 비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더 많은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더 높은 밀도가 필요하며, 이는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양에서 적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수온을 측정하는 위성 장치는?

  1. AVHRR
  2. CZCS
  3. AQUR
  4. NDVI
(정답률: 84%)
  • AVHRR은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의 약자로, 적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지구의 대기, 해양, 땅 등의 온도와 색상 정보를 수집하는 위성 장치입니다. 따라서 해양에서 적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수온을 측정하는 위성 장치로서 AVHRR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해파의 군속도(group velocity)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심해파의 군속도는 항시 파속보다 느리다.
  2. 천해파의 군속도는 항시 파속보다 빠르다.
  3. 천해파의 군속도는 수심이 깊을수록 느리다.
  4. 심해파의 군속도는 수심이 깊을수록 빠르다.
(정답률: 68%)
  • 정답은 "심해파의 군속도는 항시 파속보다 느리다." 이다. 이유는 심해파는 파장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수심이 깊어지면 파장이 더욱 길어지게 되어 파동이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깊은 심해에서는 파속보다 군속이 더욱 느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해수의 수온, 염분 그리고 압력으로부터 해수의 밀도를 계산해낼 수 있는 수단은?

  1. IES80
  2. WGS-84
  3. NAD-27
  4. NQAA-11
(정답률: 62%)
  •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압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들 값들을 고려해야 한다. "IES80"은 국제표준안으로, 지구 중심에서의 중력가속도와 지심에서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해수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제공한다. 따라서 "IES80"은 수온, 염분, 압력 정보를 입력하면 해수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로 유입되는 해류는?

  1. 쓰시마(대마) 해류
  2. 오야시오
  3. 리만 해류
  4. 쿠로시오
(정답률: 75%)
  • 쓰시마(대마) 해류는 대한해협에서 일본의 쓰시마 섬을 지나 동해로 유입되는 해류로, 대한해협에서 일어나는 조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조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쓰시마(대마) 해류는 동해의 수온, 염분, 영양염 등을 영향을 주며, 동해의 어류와 해양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북반구에서 연안용승(coastal upwelling)이 나타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경우는? (단, 보는 위치를 육지를 기준으로 할 것)

  1. 해안을 향해 바람이 불어갈 때
  2. 해안을 왼쪽에 두고 육지와 평행하게 남풍이 바람이 불 때
  3. 바람이 대각선 방향으로 해안 쪽으로 불어갈 때
  4. 해안을 오른쪽에 두고 육지와 평행하게 남풍의 바람이 불 때
(정답률: 78%)
  • 해안을 오른쪽에 두고 육지와 평행하게 남풍의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불면서 바다의 수면이 북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바다 밑에서 차가운 물이 상승하여 따뜻한 표층수와 교체되면서 연안용승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가 연안용승이 나타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 해양의 수심은 다음 중 어느 것을 기준면으로 채택하고 있는가?

  1. 최저저조면
  2. 대조평균저저조면
  3. 인도대조저조면
  4. 평균대조저조면
(정답률: 77%)
  • 우리나라 해양의 수심은 "인도대조저조면"을 기준면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대조저조면을 평균한 것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수심을 측정할 때 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면은 국제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구-달의 체계에 있어서 기조력이 작용하더라도 조석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는 어떠한 가정 하에 발생할 수 있는가?

  1. 달과 태양이 같은 위도에 있는 경우
  2. 지구의 자전주기가 달의 공전주기와 같을 경우
  3. 달이 자전을 하지 않을 경우
  4. 지구가 자전을 하지 않을 경우
(정답률: 84%)
  • 조석현상은 지구의 자전과 달의 공전이 서로 다른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지구의 자전주기가 달의 공전주기와 같을 경우, 지구와 달은 항상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조석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의 자전주기가 달의 공전주기와 같을 경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DCP에 의한 유속관측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좋은 자료를 얻기 어려운 환경은?

  1. 수온과 염분의 연직변화가 매우 큰 환경
  2. 해수가 매우 맑은 환경
  3. 파도가 강한 환경
  4. 조류가 강한 환경
(정답률: 63%)
  • ADCP는 음파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데, 해수가 매우 맑은 환경에서는 음파가 직선적으로 전파되어 반사되는 신호가 없기 때문에 유속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좋은 자료를 얻기 어려운 환경은 해수가 매우 맑은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학해양학

21. 리-비히의 최소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식물의 증식은 최소량으로 존재하는 영양물질에 의하여 제약받는다.
  2. 영양물질이 많으면 많을수록 모두 섭취한다.
  3. 해수중의 규산염의 양에 비례하여 다른 영양염을 흡수한다.
  4. 흡수하는 영양염의 N:P 비율은 8:1 이다.
(정답률: 78%)
  • 리-비히의 최소법칙은 "어떤 활동이나 과정에서 가장 제한적인 요소가 결여되면 그 활동이나 과정은 그 제한적인 요소의 양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식물의 증식은 최소량으로 존재하는 영양물질에 의하여 제약받는다."라는 설명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식물이 증식할 때 필요한 영양물질 중 가장 적게 존재하는 것이 결여되면, 그 영양물질의 양에 따라 식물의 증식이 제한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망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산화망간은 질산과 같이 쉽게 환원한다.
  2. 환원하기 위해서는 유김루과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3. 물에 녹기 쉬운 것은 +2가의 망간이다.
  4. 산화망간은 쉽게 물에 녹는다.
(정답률: 67%)
  • "산화망간은 쉽게 물에 녹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망간의 산화수에 따라 물에 녹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2가의 망간은 물에 녹기 쉽지만, +4, +7 등 높은 산화수의 망간은 물에 녹기 어렵다. 따라서 산화망간은 물에 녹기 어렵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심해저퇴적물의 퇴적속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핵종이 아닌 것은?

  1. 14C
  2. 230Th
  3. 228Th
  4. 231Pa
(정답률: 60%)
  • 심해저퇴적물의 퇴적속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핵종은 그 퇴적속도와 관련된 반감기가 적당한 핵종이어야 한다. 이 중에서 "228Th"는 반감기가 약 1.9년으로 적당한 범위에 속하며, 다른 핵종들은 반감기가 너무 짧거나 길어서 측정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228T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이 든 비커에 소금을 넣고 잘 저어서 완전히 녹였을 때 관측되는 현상으로 맞는 것은?

  1.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변화가 없다.
  2.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줄어든다.
  3.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늘어난다.
  4.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줄었다가 늘어나는 것을 불규칙하게 반복한다.
(정답률: 82%)
  • 정답: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줄어든다.

    이유: 소금이 물에 녹을 때, 이온 결합이 형성되어 물 분자와 결합하면서 용액의 부피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소금의 입자가 물 분자와 결합하여 더 큰 입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소금이 녹을 때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부영양화 해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COD가 높다.
  2. 부영양화된 바다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3. 깊이가 깊고 해류순환이 큰 바다일수록 심하다.
  4. 육지로부터 오·폐수의 유입이 크다.
(정답률: 83%)
  • "깊이가 깊고 해류순환이 큰 바다일수록 심하다."는 부영양화 해역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깊이가 깊고 해류순환이 큰 바다는 오히려 더 많은 양의 물질을 희석시키고 분산시키기 때문에 부영양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부적절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수분석에 있어서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시까지 보관하는 관점에서 분석 항목과 보관용기 및 보존 방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염분 – 유리용기 – 왁스로 밀봉
  2. 질산염 – 플라스틱용기 - 냉동보관
  3. 규산염 – 유리용기 - 냉동보관
  4. n-Hexane추출물질 – 유리용기 – 염산으로 PH<4로 보관
(정답률: 68%)
  • 규산염은 유리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적합하며, 냉동보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규산염 – 유리용기 - 냉동보관"이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해수중에서 존재하는 원소들 중 음이온으로 존재하는 것은?

  1. Cl
  2. Na
  3. K
  4. Mg
(정답률: 79%)
  • 해수중에서 존재하는 원소들 중 음이온으로 존재하는 것은 "Cl" (염소)입니다. 염소는 해수중에서 염화물 이온(Cl-)으로 존재하며, 이는 해수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음이온입니다.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2+)은 모두 양이온으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동위원소 질량분석으로 알아내기에 가장 어려운 항목은?

  1. 어류의 먹이 종류
  2. 산호초의 나이
  3. 연어의 회유 경로
  4. 고기후
(정답률: 75%)
  • 동위원소 질량분석은 원자나 분자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중에서 연어의 회유 경로를 알아내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이유는, 연어가 다양한 물고기와 먹이 사슬을 이루며 다양한 환경에서 성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어의 동위원소 조성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영향을 받아 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시간이 필요하다. 반면에 어류의 먹이 종류나 산호초의 나이 등은 상대적으로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정보들이다. "고기후"는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외하고 설명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수의 적조현상과 가장 관련이 먼 것은?

  1. 중금속
  2. 영양염
  3. 정체해역
  4. 유기폐수의 과다 유입
(정답률: 83%)
  • 해수의 적조현상은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며, 이는 대부분 영양염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금속은 유기물과는 달리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중금속은 해수의 적조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정체해역과 유기폐수의 과다 유입도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지만, 적조현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해수의 pH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은?

  1. 해양생물에 의한 광합성작용 증가
  2. 해양동물에 의한 호흡작용의 증가
  3. 수온의 증가
  4. 수심의 증가
(정답률: 64%)
  • 해양생물에 의한 광합성작용 증가는 해양에서의 광합성 작용이 증가하여 해양 생물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함으로써 해수의 pH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이는 해양 생태계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존 이산화탄소의 해수 중 수직적 분포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층역에서 최소값을 보인다.
  2. 약 1000m 수심에서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3.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한다.
  4. 표층에서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광합성으로 유기물로 환원되어 해수 중에서 제거된다.
(정답률: 59%)
  •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산화탄소는 해수 중에서 광합성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표층에서 최소값을 보이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증가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약 1000m 수심에서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는 이유는 해수 중에서의 화학적 반응과 수송 현상 때문입니다. 이 깊이에서는 수온과 염분도의 변화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해수와 반응하여 카르보네이트 이온으로 전환되기 시작합니다. 또한, 이 깊이에서는 해류와 함께 이산화탄소가 상승하여 표층으로 이동하지 않고 해저로 향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약 1000m 수심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수중에 존재하는 질소 중 규조류가 흡수하는 영양염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O3- - N
  2. NH4+ - N
  3. NO2- - N
  4. 용존 N2
(정답률: 81%)
  • 규조류는 영양염류 중에서 질산염(NO3-, NO2-)과 암모늄(NH4+)을 흡수하여 성장합니다. 하지만 용존 N2는 질소 분자로서 규조류가 직접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양염류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양의 유기물분해 과정은 아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분자비인 호흡률의 값은?

  1. 106
  2. 138
  3. 7.8
  4. 0.78
(정답률: 71%)
  • 식에서 유기물(C6H12O6)과 산소(O2)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이 생성된다. 이 반응은 호흡과정에서 일어나며, 호흡률은 생성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자수와 사용되는 산소(O2) 분자수의 비율을 나타낸다.

    식에서 유기물(C6H12O6) 1몰이 사용되면, 이산화탄소(CO2) 6몰이 생성된다. 또한, 산소(O2) 6몰이 사용된다. 따라서 호흡률은 CO2 분자수(6몰) / O2 분자수(6몰) = 1 이 된다. 이 값은 간단하게 정리하면 0.7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해양퇴적물의 퇴적속도 결정방법 중에서 비교적 반감기가 짧아서 연안퇴적물의 퇴적속도 결정에 주로 이용되는 동위원소는?

  1. 210Pb
  2. 230Th
  3. 231Pa
  4. 40K
(정답률: 80%)
  •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는 그 동위원소가 절반으로 붕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짧을수록 빠르게 붕괴하며, 이는 해당 동위원소가 사용되는 퇴적속도 결정 방법에서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10Pb의 반감기는 약 22년으로, 다른 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따라서 연안퇴적물의 퇴적속도 결정에 주로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해양에서 용존산소의 분포에 가장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인은?

  1. 생물에 의한 호흡
  2. 광합성 작용
  3. 표층수와 저층수의 혼합
  4. 무기입자의 침강
(정답률: 67%)
  • 해양에서 용존산소의 분포는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 중에서도 무기입자의 침강은 가장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입니다. 이는 무기입자가 해양 바닥으로 침전하여 해양의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혼합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기입자의 침강은 용존산소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해수시료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막기 위한 보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 이하
  2. 5℃ 이하
  3. 0℃ 이하
  4. -20℃ 이하
(정답률: 77%)
  • 해수시료에는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보관 중에 유기물 분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생물의 활동은 온도에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활동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해수시료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막기 위해서는 보관 온도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20℃ 이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거의 억제할 수 있는 온도로, 가장 적합한 보관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 해양에서 탄소의 순환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1. 해양생물의 성장
  2. 유기물의 침강
  3. 유기물의 분해
  4. 표층 산소의 대기 방출
(정답률: 65%)
  • 표층 산소의 대기 방출은 해양에서 탄소의 순환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과정입니다. 해양생물의 성장과 유기물의 침강, 분해는 모두 해양에서의 유기물 순환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탄소의 순환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표층 산소의 대기 방출이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해수의 화학적 성분의 상대적인 비는 염분이 변화해도 일정하다.
  2. 질소, 인, 규소 등 생물과 관련된 원소들은 표층수보다 저층수에 높에 분포한다.
  3. 알칼리금속은 98% 이상이 유리이온으로 존재한다.
  4.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평균체류시간은 극히 짧다.
(정답률: 69%)
  •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평균체류시간은 극히 짧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거의 영원히 해수 중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들은 해수 중에서 매우 안정적이며, 화학적 반응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바닷물에 녹아 있는 주성분 원소 사이의 상호 비율은 다음 중 어떤 물과 가장 가까운가?

  1. 빗물
  2. 강물
  3. 지하수
  4. 토양수
(정답률: 75%)
  • 정답은 "빗물"입니다. 바닷물은 염분이 많아서 다른 물들과 비교했을 때 나트륨, 염소, 마그네슘 등의 원소 비율이 높습니다. 그러나 빗물은 대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거쳐 바닷물보다 원소 비율이 낮습니다. 따라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주성분 원소 사이의 상호 비율이 가장 비슷한 것은 빗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양에서 적조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영양염류의 증가
  2. 태풍의 영향
  3. 수온의 상승
  4. 유기물 유입
(정답률: 85%)
  • 적조는 해양에서 일어나는 현상 중 하나로, 해양 생물들이 대량으로 죽어서 바다가 붉게 물들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적조의 발생 원인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태풍의 영향"입니다. 태풍은 바다의 수온을 높이고, 바람과 파도를 일으켜서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은 아닙니다. 적조는 대부분 영양염류의 증가, 수온의 상승, 유기물 유입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해양학

41. 온대지방의 연안 해역에 있어서 여름철 표층의 기초생산이 저하되는 가장 큰 원인은?

  1. 높은 염분농도
  2. 일사량의 과다
  3. 적조발생
  4. 영양염의 고갈
(정답률: 78%)
  • 온대지방의 연안 해역에서 여름철에는 일사량이 과다하고 염분농도가 높아지는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기초생산이 어려워지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원인은 영양염의 고갈입니다. 영양염은 해양 생태계에서 생물체의 생장과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를 말하는데, 여름철에는 해양에서의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영양염이 고갈되면 기초생산이 저하되어 다른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갑각류에 속하면서 성체가 고착생활을 하는 것은?

  1. 따개비
  2. 전복
  3. 멍게
(정답률: 73%)
  • 따개비는 갑각류에 속하면서 바닷속 바닥에 고정되어 살며, 성체가 고착생활을 한다. 이는 다른 보기인 전복, 게, 멍게는 바닷속 바위나 나무 등에 붙어서 살기 때문에 성체가 고착생활을 하지 않는 것과 다른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과 같은 유생기를 갖는 생물은?

  1. 꽃게
  2. 보리새우
  3. 우렁쉥이
  4. 해삼
(정답률: 82%)
  • 이 유생기는 보리새우의 특징적인 유생기인 "촉수"와 "눈"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보리새우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유생기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식물부유생물들이 침강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나타내는 생태, 생리적 적응 기작이 아닌 것은?

  1. 몸의 표면에서 돌출한 각종 돌기나 가시구조물
  2. 체적(크기)의 감소
  3. 전체적으로 평평한 몸 구조
  4. 몸체 구성물질의 수동적 조절
(정답률: 75%)
  • 몸체 구성물질의 수동적 조절은 동식물부유생물들이 침강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나타내는 생태, 생리적 적응 기작이 아닙니다. 이는 동식물부유생물의 몸체 구성물질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몸체 구성물질의 수동적 조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조간대 해수의 염분 변화에 가장 영향이 적은 것은?

  1. 계절
  2. 일조(日照)
  3. 강우(降雨)
  4. 퇴적물
(정답률: 82%)
  • 조간대 해수의 염분은 일조, 강우, 퇴적물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이 중에서 가장 영향이 적은 것은 "퇴적물"입니다. 퇴적물은 해안에서 바다로 흘러들어오는 흙, 모래, 자갈 등의 물질로, 염분 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홍조류는?

  1. 다시마
  2. 미역
  3. 청각
(정답률: 85%)
  •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홍조류는 "김"입니다. 이는 김이 홍조균류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가지고 있고, 또한 국민적인 음식인 김밥 등에도 널리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저서생태계에서 서식하는 각종 저서동물들의 굴착, 이동 등에 의해 저질의 물리, 화학적 환경이 변화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복행동
  2. 생물교란(작용)
  3. 편해작용
  4. 시너지효과
(정답률: 88%)
  • 생물교란(작용)은 생태계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이 서로의 존재와 활동으로 인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저서생태계에서 서식하는 각종 저서동물들의 굴착, 이동 등에 의해 저질의 물리, 화학적 환경이 변화되는 것을 생물교란(작용)이라고 한다. 이는 다른 생물들의 서식 환경을 변화시켜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거나 생태계의 불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미소플랑크톤(Nanoplankton)은 어느 정도의 크기인가?

  1. 0.2 ~ 2.0 μm
  2. 0.2 ~ 20 cm
  3. 0.02 ~ 0.2 μm
  4. 2.0 ~ 20 μm
(정답률: 76%)
  • 미소플랑크톤은 "미세한" 플랑크톤으로, 일반적으로 2.0 ~ 20 μm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정답은 "2.0 ~ 20 μm"이다. 다른 보기들은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미소플랑크톤의 크기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유영동물의 일종이 아닌 것은?

  1. 바다거북
  2. 바다뱀
  3. 오징어
  4. 야광충
(정답률: 87%)
  • 야광충은 유영동물이 아닌 저서성 동물이다. 유영동물은 물속에서 움직이는 동물을 말하는데, 야광충은 해저나 강 등의 바닥에서 살며 움직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양생태계에 있어서 동물플랑크톤은 대부분이 무엇인가?

  1. 기초생산자이다.
  2. 1차 소비자이다.
  3. 기초 생산자인데, 1차 소비자의 역할도 한다.
  4. 먹이 피라미드의 제일 위에 있다.
(정답률: 84%)
  • 동물플랑크톤은 해양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을 먹는 생물로서, 식물플랑크톤이 기초생산자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동물플랑크톤은 1차 소비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외양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종류는?

  1. 남조류 중 트리코데스미움(Trichodesmium)
  2. 규조류 중 스케레토네마(Skeletonema)
  3. 편조류 중 김노디늄(Gymnodinium)
  4. 요각류 중 카라누스(Calanus)
(정답률: 69%)
  • 트리코데스미움은 짙은 초록색으로 바다 표면을 덮는 대규모 적조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기 중 질소와 인이 부족한 바다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직접 질소 고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트리코데스미움은 대규모 적조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도(魚道)와 관계가 없는 종류는?

  1. 뱀장어
  2. 은어
  3. 연어
  4. 고등어
(정답률: 70%)
  • 고등어는 어도와 관계가 없는 종류의 물고기입니다. 다른 보기인 뱀장어, 은어, 연어는 모두 어도를 통해 이동하는 어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물질 중에서 일반 해수에 가장 많은 것은?

  1. H2CO3
  2. HCO3-
  3. CO3-
  4. CO2
(정답률: 73%)
  • 일반 해수는 약한 염기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이온화 상태인 HCO3-이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H2CO3는 해수에서 존재하지만, 불안정하고 빠르게 분해되어 HCO3-와 H+로 분해됩니다. CO3-는 해수에서는 매우 적은 양으로 존재하며, CO2는 대기와 해수 사이에서 교환되는 가스 상태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수 중의 무기 영양염류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물은?

  1. 어류
  2. 저서동물
  3. 식물플랑크톤
  4. 동물플랑크톤
(정답률: 91%)
  • 해수 중의 무기 영양염류는 식물플랑크톤이 필수적으로 필요로 합니다. 이는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유기물을 생산하기 위해 무기 영양염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류나 저서동물, 동물플랑크톤 등은 이러한 무기 영양염류를 직접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하등한 생물체 가운데 광합성 능력과 먹이 섭식 능력을 모두 갖춘 생물은?

  1. 자가영양생물
  2. 공생생물
  3. 기생생물
  4. 혼합영양생물
(정답률: 86%)
  • 혼합영양생물은 광합성과 먹이 섭식 능력을 모두 갖춘 생물로, 자신이 직접 태양광을 이용하여 영양소를 만들어내는 광합성과 다른 생물체나 유기물을 먹어서 영양소를 섭취하는 영양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합영양생물은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으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구역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특성은?

  1. 광염성
  2. 호냉성
  3. 부착성
  4. 주광성
(정답률: 88%)
  • 하구역은 해안가에서 바다와 만나는 지점으로, 해양과 달리 조류나 파도 등의 영향을 받아 물의 온도나 염도 등이 변화하기 때문에 생물들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특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광염성은 해양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광염성 생물은 빛에 반응하여 에너지를 얻고, 광합성을 통해 생산물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광합성 생산물은 다른 생물들의 영양원이 되어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하구역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광염성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는, 이 지역에서 빛이 충분히 들어오기 때문에 광합성을 통해 생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렁쉥이(멍게)가 속하는 분류군은?

  1. 자포동물문
  2. 연체동물문
  3. 극피동물문
  4. 척삭동물문
(정답률: 64%)
  • 우렁쉥이(멍게)는 척삭동물문에 속합니다. 이는 우렁쉥이가 신경계가 발달하고 척추동물로서 머리와 꼬리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자포동물문은 해파리와 같은 젤리 모양의 동물들을, 연체동물문은 문어와 같은 연체형 동물들을, 극피동물문은 갑각류와 같은 외골격을 가진 동물들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선박이나 어구에 대한 부착생물 방지용 페인트의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었고, 프랑스에서의 패각기형, 채묘부진, 영국에서의 고둥류의 임포섹스(imposex) 현상 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은?

  1. Cd
  2. DDT
  3. PCB
  4. TBT
(정답률: 80%)
  • TBT는 트리부틸주석이라는 화합물로, 선박이나 어구에 대한 부착생물 방지용 페인트의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TBT는 수생생물에게 매우 유해하며, 프랑스에서의 패각기형, 채묘부진, 영국에서의 고둥류의 임포섹스(imposex) 현상 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TBT는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며,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해역의 수괴짚종으로 잘 알려진 플랑크톤은?

  1. 화살벌레
  2. 키토세로스
  3. 오벨리아
  4. 비둘피아
(정답률: 77%)
  • 해역의 수괴짚종으로 잘 알려진 플랑크톤 중에서 "화살벌레"는 그 모양이 화살과 비슷하여 그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하구역의 생태적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온 염분의 단기변화가 외양에 비하여 크다.
  2. 해수종 및 담수종이 공존하여 인접 연안보다 생물다양성이 높다.
  3. 조류가 강하고 탁도가 높아 부유식물 생산력이 낮다.
  4. 광온-광염성인 생물이 주를 이룬다.
(정답률: 69%)
  • 정답은 "해수종 및 담수종이 공존하여 인접 연안보다 생물다양성이 높다."가 아닌 것입니다.

    하구역은 해양과 담수가 섞이는 지역으로, 해양 생물과 담수 생물이 함께 존재합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수온과 염분의 변화가 크다는 것은 하구역이 조류나 강우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렇습니다.

    조류가 강하고 탁도가 높아 부유식물 생산력이 낮다는 것은 하구역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광온-광염성인 생물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하구역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해양학

61. 망간단괴(manganese nodule)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곳은?

  1. 수심 30 ~ 70m의 해저
  2. 수심 100 ~ 200m의 해저
  3. 수심 1000 ~ 1500m의 해저
  4. 수심 4000 ~ 5000m의 해저
(정답률: 82%)
  • 망간단괴는 해저 바닥에 쌓인 미세한 입자들이 서로 뭉쳐서 형성되는데, 이 입자들은 바닥에서부터 수심이 깊어질수록 더 많이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수심이 깊은 4000 ~ 5000m의 해저에서 망간단괴가 가장 많이 발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장비에서 해상에서의 위치 결정과 관계없는 것은?

  1. 데카 트리스폰더, 인공위성 항법장치
  2. 6분의와 삼간분도기
  3. 로란 또는 미니 레인져
  4. 측면 주사장치(side scan sonar)
(정답률: 75%)
  • 측면 주사장치(side scan sonar)는 해상에서의 위치 결정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 장비는 해저 지형을 탐지하고 해저의 물고기나 해저 생물 등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치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가스수화물(Gas hydrate)의 주성분은?

  1. 메탄
  2. 에탄
  3. 부탄
  4. 프로판
(정답률: 82%)
  • 가스수화물은 물 분자와 가스 분자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화합물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흔한 가스수화물은 메탄 가스와 물 분자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메탄 수화물입니다. 따라서 가스수화물의 주성분은 메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베게너(Wegener)가 주장한 학설은?

  1. 판구조론
  2. 해저확장설
  3. 대륙이동설
  4. 지구수축설
(정답률: 75%)
  • 베게너는 대륙이동설을 주장했습니다. 이 학설은 지구의 대륙들이 서로 이동하며 분리되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베게너는 대륙들이 하나의 대륙으로 모여있었다가 서로 이동하면서 분리되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지구의 지각 변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삼각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립과 세립의 퇴적물을 찾아볼 수 있다.
  2. 사교층리, 연흔이 발달되어 있다.
  3. 화석은 기수, 담수의 육상생물이 존재한다.
  4. 침식작용에 의하여 암반이 노출되어 있다.
(정답률: 78%)
  • "침식작용에 의하여 암반이 노출되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삼각주는 일반적으로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암반이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퇴적물로 덮여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망간단괴는 다음 중 어떤 퇴적물에 속하는가?

  1. 육상기원퇴적물
  2. 생물기원퇴적물
  3. 수성기원퇴적물
  4. 우주기원퇴적물
(정답률: 79%)
  • 망간단괴는 수성기원퇴적물에 속한다. 이는 망간이 수성에서 형성되어 지구 표면으로 운반되어 망간단괴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륙주변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대륙붕(continental shelf)
  2. 대륙사면(continental slope)
  3. 대륙대(continental rise)
  4. 해저산맥(submarine ridges)
(정답률: 86%)
  • 해저산맥은 대륙주변부가 아닌 해저에 위치한 지형적 특징이다.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는 모두 대륙주변부에 위치한 지형적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아래 용어 중 해빈의 퇴적구조와 관계없는 것은?

  1. 연흔(ripple)
  2. 층리(bedding)
  3. 소류(rill mark)
  4. 조흔구조(striationn)
(정답률: 48%)
  • 해빈의 퇴적구조와 관련이 없는 용어는 "조흔구조(striationn)"입니다. 조흔구조는 빙하나 강 등의 흐름에 의해 암석 표면에 생긴 흔적으로, 해빈의 퇴적구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연흔, 층리, 소류는 모두 해빈의 퇴적구조 중 하나이며, 각각은 파도, 흐름, 비 등의 영향으로 생긴 흔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륙붕을 해안선에서 붕단(Shelf break)까지 연장된 지역이라고 할 때 붕단의 평균 수심 범위는?

  1. 약 130 ~ 140m
  2. 약 220 ~ 230m
  3. 약 310 ~ 320m
  4. 약 400m
(정답률: 77%)
  • 붕단은 대륙붕에서 해양 분지로 넘어가는 지점으로, 수심이 급격히 깊어지는 지점입니다. 일반적으로 붕단의 평균 수심 범위는 약 130 ~ 140m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륙붕에서 해양 분지로 넘어가는 지점이기 때문에, 수심이 깊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약 130 ~ 14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펄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률: 82%)
  • 자갈은 고운 모래나 펄보다 더 크고 굵은 모래보다는 작은 크기의 돌이 모여있는 것이기 때문에 경사가 가장 급한 곳으로 쌓이기 쉽습니다. 따라서 자갈로 구성된 해빈이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심해에서 해수의 깊이가 깊어지면 CaCO3의 용해가 증가해 해수 속의 탄산염 퇴적물이 모두 용해되는데, 이 깊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에크만 수심(Ekman depth)
  2. 쇄파대(breaker zone)
  3. 탄산염보상수심(CCD)
  4. 파동기저(wzve base)
(정답률: 78%)
  • 탄산염보상수심(CCD)은 해수 속에서 탄산염 퇴적물이 모두 용해되는 깊이를 말한다. 이 깊이는 해수의 압력과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4,000m 정도이다. CCD는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CCD 이하에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조개 등의 생물체가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CCD는 해양 생태계의 경계선으로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해수로부터 채취하는 광물자원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1. 마그네슘
  2. 소금
  3. 브롬
  4. 청수
(정답률: 76%)
  • 해수는 대부분의 경우 소금물이기 때문에, 해수로부터 채취하는 광물자원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소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수로부터 채취되는 광물자원 중 일부이지만, 소금은 가장 보편적이고 대표적인 자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음파탐사 중 가장 음파의 산란작용이 많이 일어나는 퇴적층은 어떤 퇴적물로 구성된 것인가?

  1. 모래
  2. 자갈
  3. 펄과 모래의 혼합
(정답률: 63%)
  • 음파는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산란이 적게 일어나고, 밀도가 낮은 물질에서 산란이 많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자갈은 모래나 펄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음파탐사 중 가장 음파의 산란작용이 적게 일어나는 퇴적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탄성파 탐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반사법은 탄성파가 임계굴절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만 실시한다.
  2. 굴절법과 반사법 모두 수중청음기를 통해 탄성파를 수신한다.
  3. 반사법 자료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전파경로상의 모든 점의 속도정보가 필요하다.
  4. 석유탐사는 주로 반사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반사법은 탄성파가 임계굴절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만 실시한다."가 틀린 것이다. 반사법은 임계굴절이 일어나지 않은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반사법은 탄성파가 물과 같은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발생하는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반사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변환단층(transform fault)이란?

  1. 정단층의 일종이다.
  2. 역단층의 일종이다.
  3. 대양저 산맥에서 볼 수 있는 단층이다.
  4. 성장단층의 일종이다.
(정답률: 79%)
  • 변환단층은 대양저 산맥에서 볼 수 있는 단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조간대 퇴적물의 입도조직 특성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바다 쪽 부분에서 육지 쪽 부분으로 갈수록 퇴적물의 대부분이 세립화한다.
  2. 바다 쪽 부분에서 육지 쪽 부분으로 갈수록 퇴적물의 대부분이 조립화한다.
  3. 바다 쪽 부분에서 육지 쪽 부분으로 갈수록 입자크기에 관계없이 분급도가 양호해진다.
  4. 바다 쪽 부분에서 육지 쪽 부분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분급도가 불량해진다.
(정답률: 44%)
  • "바다 쪽 부분에서 육지 쪽 부분으로 갈수록 퇴적물의 대부분이 세립화한다."의 이유는, 바다 쪽에서는 파도와 해류 등의 영향으로 입자들이 섞이고 움직이면서 큰 입자들이 작은 입자들과 함께 굴러와 모여 조립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 조립체들이 육지 쪽으로 이동하면서 마찰과 충격 등의 영향으로 서로 부딪히면서 큰 입자들이 작은 입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세립화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연안용승작용이 활발한 대륙주변부의 해저에서 주로 발견되는 자생광물은?

  1. 어란석
  2. 황철석
  3. 인회석
  4. 방해석
(정답률: 52%)
  • 인회석은 대륙주변부의 해저에서 연안용승작용이 활발한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자생광물이다. 이는 인회석이 해저에서 형성되는 과정에서 연안에서 유입되는 유기물과 미세조류 등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어란석, 황철석, 방해석은 다른 환경에서 형성되는 광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해저 퇴적물 중에서 자생퇴적물이란?

  1. 화학반응으로 해저에 퇴적된 것을 말한다.
  2. 육상기원의 퇴적물이 해저로 이동되어 퇴적된 것을 말한다.
  3. 유기물이 자라서 된 것을 말한다.
  4. 유기물의 유해가 쌓여서 된 것을 말한다.
(정답률: 62%)
  • 자생퇴적물은 해저에서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물질로, 육상기원의 퇴적물과는 달리 해저에서 직접 형성된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퇴적물 중 원마도(roundness)가 가장 양호한 것은?

  1. 하천 퇴적물
  2. 호수 퇴적물
  3. 빙하 퇴적물
  4. 해빈 퇴적물
(정답률: 77%)
  • 해빈 퇴적물이 원마도가 가장 양호한 이유는, 해빈 퇴적물은 바다에서 파도와 해류에 의해 교란되어 둥근 모양을 가지는 둥근암석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빈 퇴적물은 다른 퇴적물에 비해 더욱 원형에 가까운 입체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원마도가 가장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에서 해저 선상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퇴적물(암)은?

  1. 적색점토
  2. 산호초
  3. 암염층
  4. 저탁암
(정답률: 67%)
  • 해저 선상지에서는 많은 종류의 퇴적물(암)이 발견됩니다. 그 중에서도 주로 발견되는 것은 바로 "저탁암"입니다. 이는 해저 바닥에 쌓인 부유물질이나 유기물이 산화되어 생긴 퇴적물로, 매우 단단하고 강한 압력과 온도에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저 선상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퇴적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