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수질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담수의 부영양화에 주된 원인물질로만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3. 다음 중 우리나라의 생태계 교란종이 아닌 것은?
4.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를 잘못 설명한 것은?
5. 열대우림의 개척단계와 극상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6. 다음 중 외부 간섭을 배제했을 경우 자연천이에 의해 나타나는 산림식생을 나타낸 도면은?
7. 살충제. 기타 인위적 화학물질 및 방사선 동위원소가 먹이사슬이나 영양단계에 축적되는 현상은?
8. 내부와 외부로부터 일시적인 교란을 받은 후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가려 하는 현상을 생태계의 ‘항상성’이라 하는데 이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작은?
9. 생태학자 Christern Raunkiaer에 의한 고동식물의 5가지 (Phanerophytes-P, Chamaephytes-Ch, Hemicryptophytes-H, Cryptonphytes-Cr, Therophytes-Th) 생활형 분류방법의 기준은 무엇인가?
10. 개체군의 종간 경쟁에서 경쟁적 배타원리(principle of competitive exclusion)와 같은 법칙은 무엇인가?
11. 개체군의 연령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 생물권의 3영역이 아닌 것은?
13. 다음 생태적 계층구조 중 상대적으로 가장 큰 단위는?
14. 유기금속화합물인 이것이 해양생물, 특히 연체동물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다. 선박이나 어구에 대한 부착생물 방지용 페인트로도 널리 사용되어 온 이것은 낮은 농도에서도 굴의 유생이 패사할 정도의 독성과 기형적인 성장 및 생식불능의 임포섹스(imposex)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것은?
15. 두 개체군 모두 상호작용으로 이익을 가지는 긍적적(+)인 관계 표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6. 환경평가에 있어서 환경 포텐셜의 4가지 개념이 아닌 것은?
17. 담수와 해수가 서로 뒤섞이는 지역(transition zone)으로 유입되는 영양물질이 많아 항상 생산성이 높은 환경이 유지되는 지역은?
18. 육상식물의 종자이동에 있어서 부착산포형 식물이 아닌 것은?
19. 다음 중 부영양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수계에서 직접 적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20. 해안지역을 육지화 시키는 간척(reclamation)에 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2과목: 환경학개론
21. 환경친화형 주거단지계획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방법으로 자연이 지니고 있는 본래의 가치 및 체계를 밝혀 인간의 사회적 가치 및 체계와 조화를 이루는 데 필요한 단지계획 접근 방법은?
22.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바탕에서 생태계의 보전 목적으로 옳지 못한 것은?
23. 환경친화적 도시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수립에 있어 고려해야 할 도시생태계의 특성이 아닌 것은?
24. 산림식생대 구분에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온량지수와 한랭지수가 있다. 어떤 도시의 월평균 기온이 5℃ 미만인 달은 4달이었고 해당달의 평균기온은 -3℃, -1℃, 2℃, 4℃ 였다고 할때의 한랭지수는?
25. 생태·자연도의 평가부문에 해당하지 않은 대상은?
26. 우리나라의 핵심 생태지역에 해당되지 않은 곳은?
27.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국제회의는?
28. 농촌지역에서 생물의 서식지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옳지 못한 것은?
29. 다음 ‘생태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30. 다음 중 2차 대기오염물질(secondary air pollution)에 해당하는 것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31. 도시생태 네트워크 계획과 관련 없는 것은?
32. 다음 중 임야지로 생산력이 낮지만 토양배수는 양호하며 유효토심은 30cm, 바위가 있으며 경사는 50%인 경우 토양적성등급은?
33. 해역의 환경기준에서 BOD를 사용하지 않고 COD를 사용하는 이유는?
34. 야생동·식물 보호법상에서 야생동·식물 특별보호구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5. 다음 조류 가운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이 아닌 것은?
36. 다음 중 정수성 수생식물이 아닌 것은?
37. 생물 종과 군집보호를 위한 우선순위 설정의 기준에 적용되지 않는 사항은?
38. 다음 중 태양으로부터 오는 유해한 자외선(UV)를 흡수해 주는 오존층(ozone layer)은 어느 대기층에 존재하는가?
39. 다음 중 도시건설 사업시 제안되는 환경계획 지표와 거리가 먼 것은?
40. 표지법에서 괭이갈매기 개체군의 개체수를 추정하려고 한다. 다음의 가정 중 타당한 것은?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자연생태복원의 긍적적인 목표로 가장 적합한 것은?
42. 훼손지 복원을 위한 식생의 조건 중 틀린 것은?
43. 다음 중 물 환경요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44. 토양경도는 토양이 나타내는 역학적 저항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토양경도는 야마나타(山中式) 토양 경도계로 눈금을 읽어 측정한다. 토양경도와 식물생육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45. 다음 중 곤충의 서식을 위한 다공질 공간 제공기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46. 환경녹화공사 시공에 있어 각 항목별로 주의할 사항이 틀린 것은?
47. 앞 표면에 도드라진 줄이 있고 옆쪽이 5∼10mm로 한지형 잔디 중 질감이 가장 거칠고, 주형(bunch type)의 생육 특성을 지닌 잔디는?
48. 종자에서 막 발아한 시기로 한랭 ·건조 등의 환경변화에 가장 약한 시기는?
49. 식물생육에 적합한 토양은 용적비 기준으로 무기질 45%, 유기질 5%, 공기 20%, 수분 30% 이다. 도입식물의 원할한 생육을 위해서 우리나라 토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토양 구성성분과 토양 10m3에 포함해야 할 용적은?
50. 어떤 목본종자를 파종하여 훼손지를 복원하려고 하는데, 이때 목본종자의 조건이 다음과 같은 경우 이 목본종자의 발아율은? (단, 파종량 : 10g/m2, 평균립수 : 50립/g, 순도 : 100%, 보정률 : 0.5이다.)
51. 복원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2. 다음 토양개량제 중 투수·통기성의 개량 및 배수층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53. 다음 중 자연환경복원학의 발전에 이바지한 분야는?
54. 인공훼손지라고 할 수 없는 지역은?
55. 도로비탈면 토양의 염기치환용량 설계표면(개량목표치)은?
56. 미국 농무부법의 토양압경 기준에서 중간모래(중사)의 규격은?
57. 다음 보기의 환경 포텐셜은 어떤 유형을 설명한 것인가?
58. 다음 중 인공골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59. 화학적 토양침식 방지재 중에서 종비토 위에 살포하여 피막 형성 또는 고결에 의해서 침식 방지를 도모하는 것은?
60. 천이단계와 목본식물 종의 생활사 및 생리적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과목: 생태조사방법론
61. 토양의 미생물 수를 측정하는 방법 중 생균수측정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62. 다음 탁도의 단위 중 네펠로법에서 주로 사용하는 단위는?
63. 식물군집은 우점종은 이름에 따라 붙여진다. 상대우점값으로 우점종을 결정할 때 표에 제시된 군집에서 우점종으로 옳은 것은?
64. 식물군집조사에서 어떤 종이 덮는 지표면의 면적을 전체 생육지 면적으로 나눈 값을 계급화하여 평가할 때 사용하는 것은?
65. 휴대용 전파수신기(portable receiver)를 이용한 무선추적(radio-tracking)을 통해 연중(1년 동안) 생태와 서식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종은?
66. 다음 보기의 고정용액들 중 식물성 플랑크톤 고정에 적당한 것만 고른 것은?
67. 그림은 개체군의 3가지(기화분포, 집중분포, 규칙분포) 공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중 집중분포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아닌 것은?
68. 밀도가 높은 소형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수를 위한 기구가 아닌 것은?
69. 표본추출방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70. 용존산소량(DO)측정을 위한 종균접종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71. 삼림쇠퇴의 평가방법 설명이 틀린 것은?
72. 흡인병을 이용하여 채집하는 동물로 가장 적합한 것은?
73. 수중에서 식물의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74. 윈클러(Winkler)법으로 용존산소를 측정할 때 다음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사용되는 시약은?
75. 질산염의 농도가 1,000ppm 이상인 경우 희석하지 않고 이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76. 생물량 조사시 탈회분량을 측정할 때 시료를 태우는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77. 다음 중 생태계의 제한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8. 육상생태계의 생태조사시 우선 조사항목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79. 둥지 방형구(nested quadrat)와 종-면적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산림의 쇠퇴는 잎의 탈락률과 변색률을 조사하여 판정한다. 잎의 탈락률이 11∼25%이며, 잎의 변색률이 25% 이하인 것과 탈락률이 0∼10%이고, 잎의 변색률이 25∼60%로 조사된 삼림의 쇠퇴등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