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토양 입자 사잉의 작은 공극에 채워지는 물로서 표면장력에 의해 흡수 유지되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되며, 식물이 흡수 가능한 가장 유용한 토양수분은?

  1. 결합수
  2. 흡습수
  3. 모세관수
  4. 중력수
(정답률: 알수없음)
  • 모세관수는 토양 입자 사이의 작은 공극에 채워지는 물로서, 이동이 가능한 수분입니다. 이러한 모세관수는 토양 입자와 입자 사이의 간격이 작아서 표면장력에 의해 흡수되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됩니다. 따라서 식물이 흡수 가능한 가장 유용한 토양수분은 모세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육수생태계의 식물군락에 있어서 유형별 생활형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수변림은 육지의 면적 오염원의 유입을 막고 가지가 수변에 그늘을 드리워 어류의 은신처가 되며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이 주요수종이다.
  2. 추수식물군락은 호수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와 잎을 수면상으로 띄우는 식물로서 마름류, 수련 등이 있으며 어류, 양서류 등의 산란이나 그 새끼의 서식처로 이용된다.
  3. 침수식물군락은 호수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꽃 이외의 영양기관이 모두 수면 밑에 있으며 말줌, 말 등이 주요종으로서 수질정화 및 수서생물 서식에 기여한다.
  4. 부유식물은 뿌리를 호수바닥에 내리지 않고, 수면에 떠 있으며 주요 종은 개구리밥, 생이가래 등으로 질소, 인등의 흡수에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수식물군락은 호수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와 잎을 수면상으로 띄우는 식물로서 마름류, 수련 등이 있으며 어류, 양서류 등의 산란이나 그 새끼의 서식처로 이용된다. (잘못된 것이 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간 강유량이 25㎝ 미만인 지역이다.
  2. 낮과 밤의 온도 차가 30℃에 이를 정도로 기온 차가 심한 지역이다.
  3. 다른 생물군계에 비해 소수의 종이 살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단순한 장소이므로 항상 교란되기 쉽다.
  4. 사막은 덥거나 또는 열대 지방에만 존재하는 생태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막은 덥거나 또는 열대 지방에만 존재하는 생태계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사막은 지구상의 여러 지역에 존재하며, 열대 지방 뿐만 아니라 아열대, 기온대, 적도 근처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침식의 원인과 대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과도한 경작 : 2~3년마다 콩과식물을 심고 그대로 토양에 유기물로 남겨두어 부식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영양염류의 손실을 막는다.
  2. 과도한 목축 : 지나친 목초의 소비가 일어나기 전에 육류의 소비를 늘려 과도한 목축을 피한다.
  3. 삼림의 제거 : 삼림의 개간을 막고, 주기적으로 화재를 일으켜 삼림토양의 비옥도를 높인다.
  4. 경작지 확대 : 표토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를 제거한 다음 죽은 잡초의 뿌리와 줄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도한 경작은 콩과식물을 심고 그대로 토양에 유기물로 남겨두어 부식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영양염류의 손실을 막는다. 이는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고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느 군락에서 100개체의 생물이 있다고 가정한 경우 다음 중 종다양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

  1. 1개종이 91개체이고 9개종이 1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2. 3개종이 20개체이고 4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3. 7개종이 10개체이고 2개종이 15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4. 10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다양도는 한 지역 또는 군락 내에 서로 다른 종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종다양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 종의 수가 가장 많은 군락입니다.

    보기 중에서 종의 수가 가장 많은 군락은 "10개종이 10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입니다. 이 군락에는 10개의 서로 다른 종이 있으며, 각 종마다 10개체씩 총 100개체가 존재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의 수가 적거나, 한 종이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종다양도가 낮습니다. 예를 들어, "1개종이 91개체이고 9개종이 1개체씩 구성되어 있다." 는 한 종이 91개체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다양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이 설명하는 개념의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공생
  2. 공존
  3. 공진화
  4. 파편화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공진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진화란 어떤 시스템이나 구조물에서 특정한 주파수에서 진동이 공명을 일으켜 진폭이 크게 증폭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시스템이나 구조물이 특정한 주파수에서 공진하게 되면, 그 주파수에서의 진동이 크게 증폭되어 파괴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공진화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독성 잔류물은 생물잔재에 흡수되어 작은 고기의 조직에 농축되고, 다시 물고기를 먹는 새와 같은 최종 포식자에게 농축되는 것을 생물노축현상이라고 한다. 생물농축이 가장 심한 생물은?

  1. 플랑크톤
  2. 가마우지
  3. 알락할미새
  4. 피라미류
(정답률: 알수없음)
  • 가마우지는 큰 몸집에 비해 먹이 섭취량이 많아서 생물노축현상이 가장 심한 생물 중 하나이다. 또한, 가마우지는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노출된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유독성 잔류물을 먹이로 섭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가마우지는 생물농축이 가장 심한 생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기의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 중 콩과식물과 공생하는 박테리아는?

  1. Azotobacter
  2. Clostridium
  3. Nostoc
  4. Rhizobium
(정답률: 알수없음)
  • Rhizobium은 콩과식물의 뿌리에 공생하여 뿌리 결절에서 질소 고정을 수행하는 박테리아입니다. 이러한 능력은 콩과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습지생태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계절적 수위 변동 구간은 습지로 보지 않는다.
  2.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 사이의 전이지대이다.
  3. 수문, 토양, 식생이 습지를 판별하고 분류하는 주요지표이다.
  4. 부들, 달뿌리풀, 택사, 보풀, 줄 등이 분포하는 곳은 습지로 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절적 수위 변동 구간은 습지로 보지 않는다." 이 설명이 거리가 먼 이유는, 계절적 수위 변동 구간은 습지의 일부분이며, 습지의 특성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습지는 수위가 높아지면 물이 차오르고, 낮아지면 물이 빠져나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계절적 수위 변동 구간은 습지의 일부분으로 간주되며, 습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특정 군집이나 서식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동ㆍ식물을 가리키는 것은?

  1. 생태적 내성종
  2. 생태적 지표종
  3. 생태적 제한종
  4. 생태적 최적종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적 지표종은 특정 군집이나 서식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동ㆍ식물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종으로서, 그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하는 지표종으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생태적 지표종은 해당 지역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보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양의 경관생태 유형 중 저질의 산소 공극률이 매우 높고, 큰 에너지 파랑의 작용이 우세하며, 매우 한정된 종들이 낮은 밀도로 서식하는 특징을 갖는 지역은?

  1. 자갈해안
  2. 암반해안
  3. 모래갯벌
  4. 사빈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갈해안은 저질의 산소 공극률이 매우 높고, 큰 에너지 파랑의 작용이 우세하며, 매우 한정된 종들이 낮은 밀도로 서식하는 특징을 갖는 지역이다. 이는 자갈해안이 파도가 강하게 치는 해안이기 때문에 자갈이 많이 쌓이고, 이로 인해 산소 공극률이 높아지며, 생물들이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자갈해안은 모래갯벌이나 암반해안에 비해 매우 한정된 종들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낮은 밀도로 서식하는 특징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국제자연보존연맹에 따르면 과거 50년간 야외 조사지에서 확인이 되지 않는 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절멸종
  2. 위기종
  3. 취약종
  4. 희귀종
(정답률: 알수없음)
  • 절멸종은 이미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마지막으로 관찰된 지 50년 이상이 지난 종을 말한다. 따라서 야외 조사지에서 확인이 되지 않는 종은 절멸종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개체군의 생장형(生長型)이나 밀도의 형성에 있어서 출생률이나 사망률을 보충하는 개체군의 분산(dispersal) 유형은?

  1. 이출, 이입, 승계
  2. 사망, 출생, 이출
  3. 이입, 이출, 회귀이동
  4. 번식, 회귀이동, 승계
(정답률: 알수없음)
  • 개체군의 생장형이나 밀도의 형성에 있어서 출생률이나 사망률을 보충하는 개체군의 분산 유형은 이입, 이출, 회귀이동입니다. 이입은 개체군에 새로운 개체가 들어오는 것을 의미하며, 이출은 개체군에서 개체가 떠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귀이동은 개체군이 밀집해지면서 개체들이 더 넓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분산 유형들은 개체군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며,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교토의정서와 관련된 감축대상가스가 아닌 것은?

  1. CO2
  2. CH4
  3. NH4
  4. CFCS
(정답률: 알수없음)
  • NH4은 암모니아로, 감축대상가스가 아닙니다. CO2, CH4, CFCS는 모두 대기 중의 온실가스로서,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감축이 필요한 대상입니다. 하지만 NH4은 대기 중에서 온실가스로 작용하지 않으며, 감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미국 LA 광화학 smog의 발생 메커니즘과 관련성이 없는 것은?

  1. 자외선
  2. 올레핀류 탄화수소
  3. 질소 산화물
  4. 황 산화물
(정답률: 알수없음)
  • 황 산화물은 LA 광화학 smog의 발생 메커니즘과 관련이 없습니다. LA 광화학 smog는 자외선과 올레핀류 탄화수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오존과 질소 산화물이 혼합되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군집유형별 총 광합성량(P)과 총 호흡량(R)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안정상태의 군집은 P/R = 1
  2. 독립영양군집은 P/R > 1
  3. 종속영양군집은 P/R < 1
  4. 소나무 조림지는 P/R < 1
(정답률: 알수없음)
  • "소나무 조림지는 P/R < 1" 이유는 종속영양군집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소나무는 다른 식물과 함께 자라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자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양분을 다른 식물과 공유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호흡량이 광합성량보다 높아져 P/R 값이 1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생산자
  2. 소비자
  3. 무기물
  4. 분해자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이다.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무기물은 생물체의 삶에 필요한 환경적인 조건을 제공하지만, 직접적으로 생태계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무기물이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내성의 법칙을 주장한 사람은?

  1. Shelford
  2. Liebig
  3. Odum
  4. F. Muller
(정답률: 알수없음)
  • 내성의 법칙을 주장한 사람은 Shelford이다. Shelford는 생태학자로서, 생물종이 적응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의 범위가 한계를 가지며, 이를 내성의 법칙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생물종은 특정한 환경 조건에서는 적응할 수 있지만, 그 범위를 벗어나면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해조류들이 서식지의 기질에 부착하기 위해 뮤코다당류와 당단백질을 분비하고 생성하는 초기의 부착기는?

  1. 족사(thread)
  2. 근경(rhizome)
  3. 가근(rhizoid)
  4. 종말닻(terminal anchor)
(정답률: 알수없음)
  • 해조류들이 서식지에 부착하기 위해 생성하는 초기의 부착기는 "족사(thread)"이다. 이는 해조류의 몸체에서 뻗어나온 섬유 모양의 구조물로, 서식지의 기질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뮤코다당류와 당단백질을 분비하여 생성된다. 족사는 근경이나 가근과는 달리 일시적인 부착기로, 서식지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 사라지게 된다. 종말닻은 해조류의 몸체 끝에 위치한 고정기로, 족사나 근경 등의 부착기와 함께 사용되어 안정적인 부착을 돕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태계 내에서의 에너지 이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생태계 기능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에너지이다.
  2. 에너지는 생태계 내ㆍ외로의 유입과 유출이 자유롭다.
  3. 생태계 내로 유입된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생태계 밖으로 유출된다.
  4. 태양에너지는 대기권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약 50%가 손실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에너지는 생태계 내ㆍ외로의 유입과 유출이 자유롭다."이다.

    태양에너지가 대기권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약 50%가 손실되는 이유는, 대기권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태양복사가 대기 분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일부가 반사, 산란, 흡수 등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의 양은 원래의 약 절반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학개론

21. 다음 중 자연 입지적 토지이용관리의 기본방향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의 가치를 이해하고 자연의 보전과 정비를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2. 토지이용관리의 수단으로 다양한 유도정책과 보조 등의 수단이 아닌 규제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자연환경과 관리를 위한 다양한 수단의 개발이 필요하다.
  4. 자연환경의 평가와 분석을 위한 합리적인 기준 및 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이용관리의 수단으로 다양한 유도정책과 보조 등의 수단이 아닌 규제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가 거리가 먼 이유는, 자연 입지적 토지이용관리의 기본방향은 규제와 유도, 보조 등 다양한 수단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규제만으로는 토지이용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유도와 보조 등의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고,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용도지역이 아닌 것은?

  1. 산업지역
  2. 자연환경보전지역
  3. 도시지역
  4. 농림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용도지역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인 자연환경보전지역, 도시지역, 농림지역은 모두 법률상의 용도지역에 해당한다. 산업지역은 산업시설이 설치되는 지역으로, 공장, 공단, 창고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자연환경보전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한 지역, 도시지역은 주거, 상업, 문화 등의 도시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 농림지역은 농업과 임업을 위한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존의 농촌계획에서 탈피하여 자연과 인간의 상호공존을 목표로 하는 생태마을의 조성에 있어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태적 부양능력(Ecological Viability)
  2. 문화적 다양성(Cultural Diversity)
  3. 살만한 정주환경(Liable Built Environment)
  4. 사회적 형평성(Social Equitable)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마을의 기본원칙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공존을 목표로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생태적 부양능력, 살만한 정주환경,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문화적 다양성은 이러한 기본원칙과는 별개의 개념으로, 생태마을의 조성에 있어서는 중요하지만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문화적 다양성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생태마을에서는 이를 존중하고 지원함으로써 사람들이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부문별 계획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닌 것은?

  1. 도시면적 대비 서식지 면적
  2. 전체 도시교통량 중 대중교통 분담율
  3. 1인당 천연가스 사용비율
  4. 개발지역을 감싸거나 관통하는 생태 녹지축의 존재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지역을 감싸거나 관통하는 생태 녹지축의 존재"는 부문별 계획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닙니다. 이는 환경보호나 생태계 보전을 위한 요소로서, 계획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지표로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간단히 말해, "개발지역을 감싸거나 관통하는 생태 녹지축의 존재"는 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환경적인 요소이지만,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부문별 계획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최근 도로와 택지개발이 주요 원인이 되어 도시 및 자연 지역의 녹지축과 생태축 단절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녹지축 복원이나 생태통로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이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원식생의 복원과 서식처 회복
  2. 목표생물종의 선정과 서식처 관리
  3. 휴양 기회 제공을 위한 양질의 탐방로 확보
  4. 훼손지역 식생구조 분석과 생물이동의 모니터링
(정답률: 알수없음)
  • 녹지축 복원이나 생태통로 계획을 진행할 때, 휴양 기회 제공을 위한 양질의 탐방로 확보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는 지역 주민들이 자연을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생태 네트워크 내의 비오톱 배치의 일반적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오톱의 면적은 가능한 클수록 좋다.
  2. 같은 면적이라면 하나보다 분할된 것이 좋다.
  3. 불연속적인 비오톱은 생태통로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4. 비오톱의 형태는 가능한 원형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같은 면적이라면 하나보다 분할된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생태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다른 생물종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비오톱이 분할되어 있을 경우 더 많은 생물종들이 서식할 수 있고, 더 많은 생태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할된 비오톱은 생태적으로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며, 생물종들이 이동하고 서식하는데 있어서도 더욱 편리하다. 따라서, 같은 면적이라면 비오톱을 분할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도시관리 계획결정으로 경관지구를 세분화 할 때 경관지구의 분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연경관지구
  2. 수변경관지구
  3. 시가지경관지구
  4. 역사경관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역사경관지구"

    설명: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도시관리 계획결정으로 경관지구를 세분화 할 때, 경관지구는 "자연경관지구", "수변경관지구", "시가지경관지구", "역사경관지구"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역사경관지구"는 역사적인 가치가 높은 지역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지구로, 역사적인 유물이나 건축물 등이 많은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역사경관지구"는 경관지구의 분류 유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시 열성화 완화 차원에서 바람환경을 중심으로 한 도시기상, 미기후, 지리조건을 고려하여 건물, 녹지배치계획 등을 수립하고 건축규제나 도시정비 계획을 제안하는 등의 환경친화적 도시계획을 위한 환경계획은?

  1. 바람길계획
  2. 경관계획
  3. 공원녹지계획
  4. 풍치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환경을 중심으로 한 도시기상, 미기후, 지리조건을 고려하여 건물, 녹지배치계획 등을 수립하고 건축규제나 도시정비 계획을 제안하는 등의 환경친화적 도시계획을 위한 환경계획은 "바람길계획"입니다. 이는 도시 내 바람의 흐름을 고려하여 건축물과 녹지를 배치함으로써 바람의 흐름을 유도하고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습지보전법에서 습지 중 습지보호지역 및 그 주변 지역을 주변관리지역으로 지정할 수 없는 것은?

  1. 특이한 경관적ㆍ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2.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ㆍ식물이 서식ㆍ도래하는 지역
  3. 자연생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4. 문화재 또는 역사적 유물이 있으며, 자연경관과 조화되어 보존의 가치가 있는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문화재 또는 역사적 유물이 있으며, 자연경관과 조화되어 보존의 가치가 있는 지역은 습지보전법에서 습지 중 습지보호지역 및 그 주변 지역을 주변관리지역으로 지정할 수 없는 이유는, 이 지역들은 문화유산이나 역사적 가치가 높아서 보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지역들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어서, 보존을 통해 지역의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의 경우 1차 순생산량(NNP)은 얼마인가? (단, 1차 총생산량은 20000kcal이고, 식물의 호흡량은 10000kcal이다.)

  1. 2kcal
  2. 10000kcal
  3. 30000kcal
  4. 200000000kcal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총생산량은 20000kcal이고, 식물의 호흡량은 10000kcal이므로, 1차 순생산량(NNP)은 10000kcal이다. 이는 식물이 자신의 호흡에 필요한 열량을 제외한 나머지 열량으로 새로운 유기물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보기>의 설명에 적합한 생물 군계는?

  1. 툰드라
  2. 타이가
  3. 온대활엽수림
  4. 온대우림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나타난 생물군계는 "온대우림"이다. 그 중에서도 "타이가"는 온대우림의 하위 분류군으로, 열대우림과 아열대우림 사이에 위치하며, 대부분의 나무가 상당히 크고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이 서식하는 지역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에 관련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48년 프랑스 정부의 주도로 설립된 비정부 간 기구이다.
  2. 1980년 세계자연자원보존전략을 수립하였다.
  3.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목록인 적색 자료집(Red Data Books)를 매년 발표한다.
  4. 1961년 세계자연기금(WWF)을 발족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961년 세계자연기금(WWF)을 발족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이다. IUCN은 WWF의 창립에는 기여했지만,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아니다. WWF는 독립적인 비영리 단체로 설립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도립공원이 아닌 것은?

  1. 천마산(경기도)
  2. 금오산(경북)
  3. 칠갑산(충남)
  4. 선운산(전북)
(정답률: 알수없음)
  • 천마산은 국립공원이 아니라 도립공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개체군 성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고등동물 개체군은 자연계에서 흔히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다.
  2. 자원, 공간 등의 외부 요인의 제약이 없는 경우, 개체군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다.
  3. 기하급수적 증가모델을 S자형 모델이라 한다.
  4. 기하급수적 증가모델을 로지스틱 또는 시그모이드형 모델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원, 공간 등의 외부 요인의 제약이 없는 경우, 개체군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다. 이는 개체군 내에서 개체들이 번식하고 생존하면서 자원을 공유하고 경쟁하게 되는데, 이 때 자원이 충분하고 경쟁이 적은 경우 개체군은 빠르게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 모델을 기하급수적 증가모델이라 하며, S자형 모델과 로지스틱 또는 시그모이드형 모델은 다른 성장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합리적인 지구관리 계획을 위해 지구권 - 생물권 국제공동 연구 계획(IGBP: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에서 제안된 연구과제가 아닌 것은?

  1. 육지 생물권과 대기화학 환경과의 상호 작용
  2. 해양 생물권과 대기화학 환경과의 상호작용
  3. 질소(N) 순환과 생물권의 부영양화
  4. 육지 생태계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정답률: 알수없음)
  • "질소(N) 순환과 생물권의 부영양화"는 합리적인 지구관리 계획을 위해 제안된 연구과제 중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구권과 생물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IGBP에서는 중요한 주제이지만, 이 연구과제는 이미 다른 국제 연구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질소 순환과 생물권의 부영양화는 지구 환경 문제 중 하나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지구 상의 질소 순환 과정이 변화하면서 생물권의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식물의 성장과 생태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건강과 식량 생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리나라에서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위협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조경공사
  2. 수질오염
  3. 산성비
  4. 외래종의 도입
(정답률: 알수없음)
  • 조경공사는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거나 위협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조경공사는 오히려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조경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조경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개체군의 크기가 환경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에 가까워짐에 따라 환경저항은 어떻게 되나?

  1. 점점 커진다.
  2. 점점 작아진다.
  3. 작아지다가 커진다.
  4. 커지다가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체군의 크기가 환경수용능력에 가까워짐에 따라 자원의 부족과 경쟁이 심해지게 되어 환경저항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이는 개체군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며, 일부 개체는 생존에 실패하고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체군의 크기가 환경수용능력에 가까워질수록 환경저항은 점점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태ㆍ자연도 1등급 권역으로 분류하기 힘든 지역은?

  1. 장차 보전의 가치가 있는 2차림 산림 지역
  2.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3. 생물의 지리적 분포 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
  4.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주된 서식지
(정답률: 알수없음)
  • "장차 보전의 가치가 있는 2차림 산림 지역"은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이나 생물의 지리적 분포 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과는 달리, 주로 인간의 개입이 있어서 생태계가 불안정하고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서식지가 아닐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메니티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어메니티는 총체적인 환경의 질이다.
  2. 어메니티는 인간이 기분 좋다고 느끼는 물리적 환경의 상태이다.
  3. 어메니티는 나라와 개인에 관계없이 동일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4. 어메니티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개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어메니티는 나라와 개인에 관계없이 동일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어메니티는 지역, 문화, 개인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해석과 정의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어메니티는 상황에 따라 다른 개념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책정되는 환경계획의 접근방법이 아닌 것은?

  1. 쾌적한 환경보전과 환경창조를 위한 생태, 대기, 물 등 부문 환경별 계획
  2. 환경친화적 행정 및 정책구조의 형성을 위한 계획
  3. 환경친화적인 사회기반의 형성을 위한 계획부문
  4.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토지수급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부문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토지수급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부문은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책정되는 환경계획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토지 이용과 관련된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생태, 대기, 물 등 환경 부문에 대한 계획이나, 환경친화적인 행정 및 정책구조, 사회기반의 형성 등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계획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생물이 어느 서식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옮겨가는 것을 생물의 이동이라 한다. 다음 중 동물이 이동하는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부적합한 환경을 회피하기 위하여
  2. 번식을 위하여
  3. 개체군의 분산을 위하여
  4. 생활사를 마감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사를 마감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것은 생물의 이동 목적으로 볼 수 없다. 이동 목적은 주로 부적합한 환경을 회피하거나 번식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개체군의 분산을 위해 이동하는 것이다. 생활사를 마감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이며, 동물의 이동 목적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토양여과층의 기능 및 시공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빗물에 씻겨 내리는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2. 세립토양의 여과와 투수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3. 설치 위치는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뿌리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근 기능을 함께 가지는 경우도 있다.
  4. 옥상녹화시스템의 수분이 건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빗물에 씻겨 내리는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토양여과층은 빗물을 여과하여 시스템 하부로 유출되는 세립토양을 막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뿌리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근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옥상녹화시스템의 수분이 건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은 다른 구성 요소인 방수막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해안ㆍ생태계의 복원을 위한 지역구분으로 육지와 바다사잉의 이행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안구
  2. 조간대
  3. 저서환경
  4. 원앙구
(정답률: 알수없음)
  • 육지와 바다 사이에 위치한 지역을 해안이라고 하며, 이 지역은 조간대, 저서환경, 원앙구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 조간대는 해안에서 육지로 이어지는 부분으로, 매일 물결과 조류 등에 의해 노출되거나 물에 잠기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서식하며, 해안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해안 생태계의 복원을 위한 지역구분으로 조간대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산 비탈 사방녹화공사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양침식은 우수의 침식성과 토양의 수식성(erodibility)의 관계가 크다.
  2. 산 비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탈면의 경사를 완화시켜야 한다.
  3. 산 비탈이 일단 붕괴를 멈추었더라도 추가 붕괴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4. 산 비탈 사방녹화 공사를 위한 임황 조사 내용에는 지형, 지질, 토질, 토양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 비탈 사방녹화 공사를 위한 임황 조사 내용에는 지형, 지질, 토질, 토양 등이 있다."가 아닌 "토양침식은 우수의 침식성과 토양의 수식성(erodibility)의 관계가 크다."입니다.

    토양침식은 우수의 침식성과 토양의 수식성(erodibility)의 관계가 크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산 비탈 사방녹화 공사를 위한 임황 조사 내용에는 지형, 지질, 토질, 토양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산 비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탈면의 경사를 완화시켜야 하며, 산 비탈이 일단 붕괴를 멈추었더라도 추가 붕괴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토적계산표에서 BP에서 No2까지의 토적은 얼마인가? (단, 양단면적평균법을 사용한다.)

  1. 60m3
  2. 80m3
  3. 100m3
  4. 120m3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면적평균법을 사용하면, BP와 No2 사이의 토적은 (BP면적 + No2면적) / 2 x BP와 No2 사이의 거리가 된다. 따라서, BP와 No2 사이의 거리는 10m이므로, (BP면적 + No2면적) / 2 x 10m = (20m2 + 180m2) / 2 x 10m = 100m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한지형 잔디 초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톨훼스큐
  2. 페레니얼라이그라스
  3. 크리핑레드훼스큐
  4. 위핑러브그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핑러브그라스는 보기 중 유일하게 "잔디"가 아닌 "풀"에 해당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한지형 잔디 초종으로 볼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잔디에 해당하는 식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폐광지 복원 기법으로서 복사이식(copy trans planting)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대상지 인근 주변 지역에 있는 건강한 식생지역의 일정 면적을 토양(표토)부터 식생까지 그대로 옮겨주는 기법
  2. 식재 후 자연적인 경쟁 및 천이 등에 의해서 극상림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법
  3. 식생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만 제공하는 기법
  4. 산림의 종자원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나 다른 교란을 중지하는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지 인근 주변 지역에 있는 건강한 식생지역의 일정 면적을 토양(표토)부터 식생까지 그대로 옮겨주는 기법은 복사이식(copy trans plant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황폐지 복구에 적합한 수종은?

  1. 잣나무
  2. 포플러류
  3. 상수리나무
  4. 물오리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물오리나무는 불모지나 황폐지에서도 잘 자라는 생명력이 강한 수종으로, 건조하고 열대성 기후에 적응하며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황폐지의 수분을 보충하고 토양을 고온고습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황폐지 복구에 적합한 수종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Louis(1995)가 제안한 생태적 완결성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생물할적 완결성(biological integrity)
  2. 화학적 완결성(chemical integrity)
  3. 문화적 완결성(cultural integrity)
  4. 물리적 완결성(physical integrity)
(정답률: 알수없음)
  • Louis(1995)가 제안한 생태적 완결성의 구성요소는 "생물학적 완결성(biological integrity)", "화학적 완결성(chemical integrity)", "물리적 완결성(physical integrity)"입니다. "문화적 완결성(cultural integrity)"은 생태적 완결성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유는 문화적 완결성은 인간의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요소와 관련된 것으로, 생태계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점토의 일종으로 팽윤성이 있기 때문에 사질토의 개량에 효과가 있는 토양 개량제는?

  1. 펄라이트
  2. 버미큘라이트
  3. 제오라이트
  4. 벤토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벤토나이트는 팽윤성이 높은 점토의 일종으로, 이로 인해 토양의 수분 보유력을 높여주고 토양 구조를 개선시켜주는 토양 개량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사질토의 개량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수질정화를 위한 대체습지 조성시 맞지 않는 원칙은?

  1. 도로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완충지대를 조성한다.
  2. 자갈, 모래를 이용해 1차 정화를 하고, 수생식물을 통해 2차 정화를 한다.
  3. 호안의 굴곡과 깊이를 일정하게 하여 물의 흐름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활착을 돕는다.
  4. 생물에 소음, 먼지, 진동 등의 영향을 막고, 인위적인 간섭을 막기 위한 완충지대를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호안의 굴곡과 깊이를 일정하게 하여 물의 흐름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활착을 돕는다."는 맞는 원칙이 아닙니다. 수질정화를 위한 대체습지 조성시에는 호안의 굴곡과 깊이를 다양하게 만들어 물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고, 수질정화 효과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적정량의 유기물은 식물생장에 필요한 요소이다. 산림 토양에서 낙엽이 분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낙엽이 분해되면 토양은 점차 알칼리성으로 변한다.
  2. 낙엽이 분해될 때 끝까지 분해되지 않은 페놀화합물과 탄닌류는 다른 식물이나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타감작용(allelopathy)을 하기도 한다.
  3. 산림토양의 C/N율은 경작토양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4. 표토 15cm 내 유기물 함량은 산림토양이 경작토양에 비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낙엽이 분해될 때 끝까지 분해되지 않은 페놀화합물과 탄닌류는 다른 식물이나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타감작용(allelopathy)을 하기도 한다."이다.

    이유는 낙엽이 분해될 때 일부 페놀화합물과 탄닌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토양에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다른 식물이나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타감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는 산림 생태계에서 생태적 경쟁을 유발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자연생태복원의 대상인 생물다양성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유전자의 다양성
  2. 생물종의 다양성
  3. 생태계의 다양성
  4. 암석의 다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생태복원은 인간의 개입으로 손상된 자연환경을 복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대상은 생물다양성이며, 유전자의 다양성, 생물종의 다양성, 생태계의 다양성은 모두 생물다양성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암석의 다양성은 생물다양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이다. 암석의 다양성은 지질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생물다양성 복원의 대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목의 식재기반재료로 유기질 토양개량자재들을 쓰고 있다. 다음 중 유기질 토양개량자재로 맞지 않는 것은?

  1. 왕겨
  2. 수피
  3. 제오라이트
  4. 소, 돼지, 닭 등의 분뇨
(정답률: 알수없음)
  • 제오라이트는 미네랄 기반의 토양개량자재로, 유기물이 아닌 물질입니다. 따라서 유기질 토양개량자재로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복원의 목표가 되는 공간의 생태적 속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패치의 면적이 클수록 생물의 서식환경이 열악하다.
  2. 면적이 같을 경우 패치가 여러 개일수록 생물의 서식 환경이 비교적 양호하다.
  3. 패치의 면적과 개수가 같을 때는 패치 간의 거리가 멀수록 생물서식환경이 열악하다.
  4. 같은 면적일 때 형태가 원형에 가까울수록 생물의 서식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패치의 면적과 개수가 같을 때는 패치 간의 거리가 멀수록 생물서식환경이 열악하다." 이유는 패치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로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생물의 이동이 어려워지고, 서로 다른 패치 간의 환경 차이가 커져서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서식처 환경조건으로서 청정한 수환경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물의 흐름이 거의 없는 유기물이 많은 논 같은 곳에서 주로 발견되는 것은?

  1. 버들치
  2. 반딧불이 유충
  3. 다슬기
  4. 달팽이
(정답률: 알수없음)
  • 달팽이는 물의 흐름이 거의 없는 유기물이 많은 논 같은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지정한 3대 핵심 생태축이 아닌 것은?

  1. 백두대간축
  2. 비무장지대축
  3. 한강축
  4. 도서 및 연안지역축
(정답률: 알수없음)
  • 한강축은 환경부에서 지정한 3대 핵심 생태축이 아닙니다. 이는 한강이 이미 다른 지정 생태축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한강은 "도서 및 연안지역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조사구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방형구법은 면에 의한 조사방법이다.
  2. 벨트트랜섹트법은 띠 형태의 조사방법으로 식생변화조사에 적합하다.
  3. 방형구법은 군집의 분류 및 군집조사에 적합하다.
  4. 관목림의 조사구 크기는 대체로 100 ~ 300m2 정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형구법은 면에 의한 조사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방형구법은 면이 아닌 선에 의한 조사방법이다. 방형구법은 군집의 분류 및 군집조사에 적합하다. 관목림의 조사구 크기는 대체로 100 ~ 300m2 정도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발생기대본수가 16000본/m2, 평균입수 2입/g, 순량률 40%, 발아율 50% 일 때에 파종 중량(g/m2)은?

  1. 4g/m2
  2. 3g/m2
  3. 2g/m2
  4. 1g/m2
(정답률: 알수없음)
  • 파종 중량(g/m2)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종 중량(g/m2) = 발생기대본수 × 평균입수 × 순량률 × 발아율 / 1000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파종 중량(g/m2) = 16000 × 2 × 0.4 × 0.5 / 1000000 = 0.0064

    따라서, 파종 중량은 0.0064g/m2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 중에서 가장 가깝게 2g/m2에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2g/m2"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0.0064g/m2이므로, 이 값이 가장 가까운 "1g/m2"보다는 "4g/m2"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 수관 화재(crown fire) 피해지에서 맹아발생이 가장 활발한 수충은?

  1. 소나무
  2. 낙엽송
  3. 참나무류
  4. 서어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참나무류는 수관 화재에서 맹아발생이 가장 활발한 수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참나무류가 수관 내부에 있는 물을 많이 흡수하여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관 화재가 발생하면 참나무류는 물을 많이 빨아들여 빠르게 성장하며, 이로 인해 맹아 발생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생태조사방법론

61. 육상식물의 표본 추출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1. 접점법
  2. 측구법
  3. 대상법
  4. 선차단법
(정답률: 알수없음)
  • 측구법은 육상식물의 표본 추출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이는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식물의 크기, 높이, 너비 등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비파괴적이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개채군에서 방형구 100개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더니 x2값이 2.683이 나왔다. 자유도 3에서 5% 유의수준의 x2값이 7.815 이라고 했을 때 이 개체군은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가?

  1. 임의분포
  2. 규칙분포
  3. 집중분포
  4. 알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개체군은 임의분포를 따르고 있다. 이는 x2값이 유의수준에서 기각역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우연히 발생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으며, 어떤 규칙이나 패턴을 따르는 분포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각종의 군락에 대하여 Ellenberg가 예시한 quadrat의 크기 중 맞지 않는 것은?

  1. 선태군락 : 1 ~ 4m2
  2. 방목초원 : 5 ~ 10m2
  3. 건생초원 : 10 ~ 25m2
  4. 삼림군락 : 200 ~ 500m2
(정답률: 알수없음)
  • Ellenberg는 군락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quadrat을 사용하였다. Quadrat은 일정한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군락 내의 식물 개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태군락, 방목초원, 건생초원, 삼림군락의 크기는 각각 1~4m², 5~10m², 10~25m², 200~500m²이다. 이 중 맞지 않는 것은 건생초원의 크기인 10~25m²이다.

    이유는 건생초원은 일반적으로 방목초원과 삼림군락 사이에 위치하며, 크기도 그 중간 정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생초원의 크기는 5~20m² 정도로 예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생태계의 천이에 따라 기대되는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영양염류의 순환이 초기단계에서는 개방적이나 성숙단계에서는 폐쇄적이다.
  2. 생물과 환경 사이의 영양물질의 교환속도가 초기단계에서는 느리나, 성숙단계에서는 빠르다.
  3. 영양물 재생에 있어서 부식물의 역할이 초기단계에서는 중요하나, 성숙단계에서는 중요치 않다.
  4. 층상구조와 공간적 이질성이 초기단계에서는 충분히 조직화되어 있으나, 성숙단계에서는 조직화가 불충분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영양염류의 순환이 초기단계에서는 개방적이나 성숙단계에서는 폐쇄적인 이유는, 초기단계에서는 생물의 수가 적고 영양물질의 공급이 많아서 영양염류가 증식하기 쉽기 때문에 개방적인 순환을 보이지만, 성숙단계에서는 생물의 수가 많고 영양물질의 공급이 제한되어 있어서 영양염류가 증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폐쇄적인 순환을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목본식물의 표집방법 중 확률적으로 두 지점 간(개체-개체 혹은 조사지점-개체)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사분각법
  2. 최단거리법
  3. 인접개체법
  4. 제외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제외각법"입니다. 제외각법은 조사지점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 거리 내에 있는 모든 개체를 제외한 후, 남은 개체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개체의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도 효과적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무작위적인 표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확률적으로 두 지점 간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제외각법을 사용한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양 분류의 목(order)과 주요특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엔티졸 : 생긴지 얼마 안되는 토양, 층의 분화가 거의 없다.
  2. 인셉티졸 : 습한 지역에 주로 나타난다.
  3. 몰리졸 : 검은색을 띄며, 유기물 함량이 높다.
  4. 알피졸 : 염기의 함량이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피졸은 염기의 함량이 높은 것이 올바른 특징입니다. 엔티졸은 층의 분화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며, 인셉티졸은 습한 지역에 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몰리졸은 유기물 함량이 높아 검은색을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알피졸은 염기의 함량이 높아서 pH가 높은 토양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생태조사시 현장의 지형적 특성을 측정하는 기구에 해당하는 것은?

  1. 고도계
  2. 줄자
  3. 노끈
  4. 사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조사시 현장의 지형적 특성을 측정하는 기구는 고도계입니다. 고도계는 지형의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생태조사에서는 지형의 고도를 측정하여 지형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줄자나 노끈은 길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사진기는 생태조사에서 현장의 상황을 기록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육상 무척추동물의 표본 추출법 중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야외에서 채집한 동물은 실험실 조사를 위해서 깨끗한 물에 담구어 조사한다.
  2. 스위핑법의 표준화를 위해 채집자의 보폭, 걷는 속도, 휩쓰는 범위, 속도, 회수 등을 일정하게 한다.
  3. 포충망에 잡힌 동물을 꺼낼 때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취제를 뿌린 후 잠시 후에 동물을 꺼내어 통에 담는다.
  4. 스위핑(sweeping)법은 보통 절지 동물이 많이 잡히고 쌍시류(파리, 모기 등)는 잘 잡히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야외에서 채집한 동물은 실험실 조사를 위해서 깨끗한 물에 담구어 조사한다."

    해설: 육상 무척추동물의 표본 추출법에서는 야외에서 채집한 동물을 깨끗한 물에 담구어 조사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동물의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채집한 장소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보존하고 조사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생물체 건조중량의 40~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물지구 화학적 순환에서 가장 중요한 원소는?

  1. C
  2. O
  3. H
  4. N
(정답률: 알수없음)
  • "C"는 유기물의 주요 구성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생물체의 건조중량의 40~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기물의 기본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CO2)의 형태로 대기 중에 존재하며, 광합성과 호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생물지구 화학적 순환에서 가장 중요한 원소는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Winkler법을 이용한 용존산소 측정을 위한 채수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물이 공기와 접촉하면 산소가 녹아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 물을 채워 넘치게 하여 공기방울이 완전히 빠져 나가도록 한다.
  3. 물 표본 처리 과정시 직사광선을 피한다.
  4. 채수한 뒤에 염소를 첨가하여 보존성을 높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수한 뒤에 염소를 첨가하여 보존성을 높인다. - 이유: 염소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채취한 물 샘플에 염소를 첨가하여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물 샘플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형구법으로 조사한 어떤 종의 상대밀도(RDi), 상대피도(RCi), 상대빈도(RFi)등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중요치(IVi)를 산정하였다. 중요치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이 종의 중요치는 0~5.00 또는 0 ~500%의 범위에 속한다.
  2. 중요치를 산정하는 요인이 많을수록 중요치의 객관성이 낮아진다.
  3. 중요치는 군집 내에서 그 종의 중요성 또는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한다.
  4. 중요치는 경우에 따라 두 가지 혹은 네 가지 요인으로 부터 산출할 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형구법으로 조사한 어떤 종의 상대밀도(RDi), 상대피도(RCi), 상대빈도(RFi)등을 이용하여 중요치(IVi)를 산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생태학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중요치는 종의 생태학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종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을 나타낸다. 중요치는 경우에 따라 두 가지 혹은 네 가지 요인으로 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 종의 중요치는 0~5.00 또는 0 ~500%의 범위에 속하며, 중요치를 산정하는 요인이 많을수록 중요치의 객관성이 낮아진다. 또한 중요치는 군집 내에서 그 종의 중요성 또는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군집 A가 25종, 군집 B가 20종이고, 두 군집에 10종이 공통으로 출현하는 종이 있을 때 군집의 유사도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Jaccard의 유사도 지수(CJ)에서 공통종이 일정한 경우 각 군집의 종수가 많으면 유사도 지수는 늘어난다.
  2. 군집계수에는 Jaccard 계수와 Sørensen 계수가 있다.
  3. Jacdard 계수와 Sørensen 계수는 출현종의 유ㆍ무만으로 계산한다.
  4. Morisita 유사도 지수는 두 군집에서 랜덤하게 추출한 개체들의 동일한 종일 확률을 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Jaccard의 유사도 지수(CJ)에서 공통종이 일정한 경우 각 군집의 종수가 많으면 유사도 지수는 늘어난다."는 옳은 설명이다.

    - Jaccard 계수와 Sørensen 계수는 출현종의 유ㆍ무만으로 계산한다.
    - Morisita 유사도 지수는 두 군집에서 랜덤하게 추출한 개체들의 동일한 종일 확률을 뜻한다.
    - 군집계수에는 Jaccard 계수와 Sørensen 계수가 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포유류의 조사 방법으로 잘 사용되지 않은 것은?

  1. 족적 조사
  2. 생포틀 조사
  3. 정점 조사
  4. 배설물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점 조사는 포유류의 조사 방법 중에서는 가장 잘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이는 정점 조사가 포유류의 이동 경로나 활동 패턴 등을 파악하는 데에는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즉, 포유류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것보다는 족적 조사, 생포틀 조사, 배설물 조사 등의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생태 자료수집에 앞서서 세우는 실험계획 사항이 아닌 것은?

  1. 표본추출의 조작
  2. 연구조사 자료의 분석
  3. 연구하려는 변수의 설발
  4. 연구실험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 자료수집에 앞서서 세우는 실험계획 사항은 연구하려는 변수의 설계, 표본추출의 조작, 연구조사 자료의 분석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연구실험 방법은 실험계획 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연구실험 방법은 실험을 수행하는 방법론으로, 실험계획 단계 이후에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낙엽 분해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1. 낙엽 트랩(litter trap)법
  2. 낙엽 주머니(litter bag)법
  3. 수확법
  4. 명병-암병법
(정답률: 알수없음)
  • 낙엽 주머니(litter bag)법은 낙엽을 일정한 크기의 주머니에 담아 땅 위에 놓고 일정 기간 동안 방치한 후, 그 주머니 안에 남아있는 낙엽의 무게를 측정하여 분해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낙엽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미생물이나 기타 생물들이 작용하는 것을 모사한 것으로, 자연환경에서의 분해속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삼림의 상대생장법에서 사용하는 상대생장식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흉고직경과 수고를 상대생장식에 대입하여 현존량을 구한다.
  2. 흉고직경과 수고를 상대생장식에 대입하여 연순생산량을 구한다.
  3. 기저면적과 밀도를 상대생장식에 대입하여 현존량을 구한다.
  4. 기저면적과 밀도를 상대생장식에 대입하여 연순생산량을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림의 상대생장법에서 사용하는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과 수고를 상대생장식에 대입하여 현존량을 구한다." 이다. 이유는 흉고직경과 수고는 나무의 크기와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산림의 현존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연순생산량이나 기저면적과 밀도는 다른 산림 자원 관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표본 추출 방법 중 환경 조건이 뚜렷하게 둘로 나뉠 경우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임의 추출법(무작위추출법)
  2. 계통 표본 추출법(규칙적인 추출법)
  3. 계층 임의 추출법
  4. 방형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 조건이 뚜렷하게 둘로 나뉠 경우, 각각의 환경 조건을 고르게 반영하기 위해 계층 임의 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을 서로 다른 계층으로 나눈 후, 각 계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각 계층에서 고르게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각 계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 조건이 뚜렷하게 둘로 나뉠 경우, 계층 임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천이과정이 시간의 순서에 따라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선태군집 - 지의군집 - 초원 - 관목림 - 양수림 - 음수림 - 혼합림
  2. 지의군집 - 선태군집 - 초언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
  3. 지의군집 - 선태군집 - 초원 - 관목림 - 양수림 - 음수림 - 홈합림
  4. 선태군집 - 지의군집 - 초원 - 관목림 - 혼합림 - 양수림 - 음수림
(정답률: 알수없음)
  • 천이과정은 일반적으로 지의군집에서 시작하여 선태군집, 초원, 관목림, 양수림, 음수림, 혼합림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지의군집 - 선태군집 - 초언 - 관목림 - 양수림 - 혼합림 - 음수림"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생물군집의 정량적 분석에서 조사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밀도
  2. 피도
  3. 빈도
  4. 습윤중량
(정답률: 알수없음)
  • 습윤중량은 생물군집의 정량적 분석에서 조사되는 항목이 아닙니다. 습윤중량은 토양의 수분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생물군집의 구성원이 아닌 환경적인 요소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습윤중량"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토성(soil texture)분석 시 눈 크기가 얼마인 체로 걸러지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조사하는가?

  1. 1mm
  2. 2mm
  3. 3mm
  4. 4mm
(정답률: 알수없음)
  • 토성 분석 시 눈 크기가 2mm 이하인 부분만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이유는 이 크기 이상의 입자는 토양의 물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mm 이하의 입자 크기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토양의 텍스처를 파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