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7)

전기철도기사
(2008-07-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철도공학

1. 교류 강체 전차선로(R-Bar방식)에서 110mm2의 전차선을 사용할 경우, 스팬(Span)의 길이가 10m 일 때 지지점 중앙의 처짐(sag) f 는 약 몇 ㎜인가? (단, Span의 중량은 67.7N/m, 탄성계수는 69000N/mm2, y-y축의 관성모멘트는 339cm4이라 한다.)

  1. 3.1
  2. 4.9
  3. 7.5
  4. 11.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전차선의 중량으로 인한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하중 = 중량 × 길이 = 67.7N/m × 10m = 677N

    다음으로, 지지점 중앙의 처짐을 구하기 위해 다음의 공식을 사용한다.

    f = (5wL^4)/(384EI)

    여기서, w는 단위 길이당 하중, L은 스팬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y-y축의 관성모멘트를 나타낸다.

    위의 값들을 대입하면,

    f = (5 × 677N/m × (10m)^4)/(384 × 69000N/mm^2 × 339cm^4 × 10^-8m^4/cm^4) ≈ 7.5mm

    따라서, 지지점 중앙의 처짐은 약 7.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직류 전차선로에서 귀선로의 전기저항이 높아 전압강하 및 레일 전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흡상선
  2. 보조귀선
  3. 인입귀선
  4. 중성선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전차선로에서 귀선로의 전기저항이 높아 전압강하 및 레일 전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귀선로에 별도의 전류를 인가하여 전압을 유지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귀선로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로 "보조귀선"입니다. 보조귀선은 직류 전차선로에서 귀선로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차선만 1조로 구성되며 전차선을 스팬선 또는 빔 등의 지지점에 고정하는 구조와 전차선의 지지점에 짧은 로드나 와이어로 3각형을 구성하는 구조의 조가방식은?

  1. 직접 조가방식
  2. 심플 커티너리 조가방식
  3. 헤비 심플 커티너리 조가방식
  4. 콤파운드 커티너리 조가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 조가방식은 전차선의 지지점에 직접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여 3각형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교류 전기철도에서 통신선에 전자유도장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전차선과 부급전선사이에 시설하는 권선비가 1:1인 것은?

  1. 회전변류기
  2. 흡상변압기
  3. 단권변압기
  4. 스코트변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과 부급전선 사이에 시설하는 권선비가 1:1인 이유는 전류의 균일한 분포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전류가 균일하게 흐르기 때문에 전자유도장해를 경감할 수 있습니다.

    정답이 "흡상변압기"인 이유는 교류 전기에서 전압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압기 중에서 흡상변압기가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흡상변압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압을 변환하기 때문에 손실이 적고, 크기도 작아서 설치하기 용이합니다. 따라서 교류 전기에서 전압 변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원격감시, 제어 및 운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CADA
  2. CC
  3. SS
  4. RTU
(정답률: 알수없음)
  • SCADA는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의 약자로,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SCADA 시스템은 여러 개의 RTU(원격 단말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앙 제어실에서 이를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경우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CADA는 원격감시, 제어 및 운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답입니다. CC는 컨트롤 센터, SS는 서브스테이션을 의미하며, RTU는 Remote Terminal Unit의 약자로, SCADA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차선의 질량이 1.511kg/m, 장력이 1500kgf일 때 이 전차선의 파동전파속도는 몇 km/h인가?

  1. 245
  2. 325
  3. 355
  4. 41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의 파동전파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동전파속도 = √(장력/질량)

    여기서, 장력은 1500kgf = 14700N 이다.

    질량은 1.511kg/m 이므로, 1m 당 질량은 1.511kg 이다.

    따라서, 파동전파속도 = √(14700N / 1.511kg) = 355.1 m/s

    이를 km/h로 변환하면, 355.1 × 3.6 ≈ 1279.6 km/h 이다.

    따라서, 정답은 "3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공 전차선로에서 전차선의 흐름을 유발하는 용인이 아닌 것은?

  1. 부하 조건
  2. 기상 조건
  3. 선로의 조건
  4. 장력추 중량의 불균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서 전차선의 흐름을 유발하는 것은 부하 조건, 기상 조건, 선로의 조건, 장력추 중량의 불균형이 모두 가능하지만, 부하 조건은 전차선로에서 운행되는 차량이나 기계 등의 무게나 부하물의 크기와 분포 등과 같은 조건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하 조건은 전차선의 흐름을 유발하는 용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차선로의 가선방식에서 지하구간에 개발되어진 가선방식으로 도시 지하철구간의 대표적인 방식은?

  1. 가공단선식
  2. 가공복선식
  3. 강체단선식
  4. 강체복선식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 지하철구간에서는 지하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선방식 중에서도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는 강체단선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강체단선식은 전차선로의 가선방식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한 개의 강체를 이용하여 전차가 왕복할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이 방식은 구조가 단순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차의 운행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도시 지하철구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철변전소의 순시 최대전력과 1시간 최대전력의 비를 어떤 시기(1개월 등)에 대하여 평균하면 약 얼마 정도 되는가?

  1. 1.5
  2. 2.5
  3. 3.5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철변전소의 순시 최대전력과 1시간 최대전력은 일정하지 않으며, 시간대나 계절에 따라 변동이 큽니다. 따라서 어떤 시기를 기준으로 평균을 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정확한 답을 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을 내기 어렵다"는 이유로 "2.5"를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제어소에 설치되어 변전설비로부터의 현장 정보를 취득, 분석하여 제어소의 통신제어장치로 송신하고 통신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격소 장치는?

  1. 주컴퓨터장치
  2. 인간/기계 연락장치
  3. 근거리 통신네트워크장치
  4. RTU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RTU 장치는 Remote Terminal Unit의 약자로, 원격지에서 현장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명령을 수신 처리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피제어소에 설치되어 변전설비로부터의 현장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소의 통신제어장치로 송신하고 통신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명령을 수신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격소 장치는 RTU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기철도의 효과를 옳은 것으로만 나열한 것은?

  1. 수송능력 증강, 에너지 과다 사용, 지역 균형발전
  2. 수송능력 저하, 에너지 이용 효율 증대, 환경 개선
  3. 수송능력 증강, 수송원가 절감, 지역 균형발전
  4. 수송능력 증감, 수송원가 절감, 공해문제 심각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는 전기를 이용하여 운행되기 때문에 에너지 과다 사용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그에 비해 수송능력이 증강되고 수송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전기철도는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송능력 증강, 수송원가 절감, 지역 균형발전"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차선(원형 110mm2)의 잔존 단면적이 67.6mm2, 잔존 지름이 7.5㎜, 안전율이 2.2일 때 전차선의 허용장력은 약 몇 kgf 인가? (단, 이 전차선의 파괴강도는 35kgf/mm2으로 한다.)

  1. 745
  2. 946
  3. 1075
  4. 118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의 단면적과 지름으로부터 전차선의 굴곡반경을 구할 수 있다.
    전차선의 굴곡반경 = (지름의 제곱) ÷ (8 × 단면적) = (7.5 × 7.5) ÷ (8 × 67.6) = 0.656m
    전차선의 굴곡반경으로부터 전차선의 곡률을 구할 수 있다.
    전차선의 곡률 = 1 ÷ 굴곡반경 = 1 ÷ 0.656 = 1.524m-1
    전차선의 안전율로부터 전차선의 허용장력을 구할 수 있다.
    전차선의 허용장력 = 파괴강도 × 잔존 단면적 ÷ 안전율 = 35 × 67.6 ÷ 2.2 = 1075kgf
    따라서 정답은 "10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기철도 교류 급전방식 가공전차선로에서 통신유도장해를 경감하기 위해 귀선레일에 병렬로 시설하여 운전용 전기를 변전소로 통하게 하는 전선은?

  1. 급전선
  2. 조가선
  3. 보호선
  4. 부급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에서 교류 급전방식 가공전차선로를 사용할 때, 통신유도장해를 경감하기 위해 귀선레일에 병렬로 시설하는 전선은 부급전선이다. 이는 운전용 전기를 변전소로 통하게 하기 위한 전선으로, 급전선과는 구분되며 보호선과 조가선과도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차선 마모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이 크게 되면 전기적 마모는 증가하고 기계적 마모는 감소한다.
  2. 전차선의 마모는 집전전류의 대소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3. 경점 부근에서 팬터그래프 통과시에 접촉력이 크게 되는 전차선 개소는 마모가 늦다.
  4. 팬터그래프가 경량이고 추종성이 좋게 되면 전차선의 마모는 작게 되고 팬터그래프의 개수가 많으면 기계적 마모는 증가하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 마모의 일반적 경향은 팬터그래프가 경량이고 추종성이 좋게 되면 전차선의 마모는 작게 되고 팬터그래프의 개수가 많으면 기계적 마모는 증가하게 된다. 이는 팬터그래프가 경량이고 추종성이 좋을수록 전차선과의 접촉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마모가 작아지고, 팬터그래프의 개수가 많을수록 전차선과의 접촉 횟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계적 마모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류 급전방식에 비교한 직류 급전방식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사고 발생시 선택차단이 용이하다.
  2. 대용량의 중거리 및 장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3. 운전전류가 작아서 누설전류에 대한 대책이 필요 없다.
  4. 전압이 낮아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는 교류에 비해 전압이 낮아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전한 장비 설치 및 운전이 가능하게 하며,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차선에 요구되는 성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성이 좋아야 한다.
  2. 가선 장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디어야 한다.
  3. 접속 개소의 통전 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4. 집전장치 통과와 집전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은 매우 높은 속도와 무거운 무게를 견디기 위해 강력한 장력과 내구성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연성이 좋아야 하며, 가선 장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디어야 합니다. 이는 전차선이 높은 속도와 무게에도 불구하고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접속 개소의 통전 상태가 양호해야 하고, 집전장치 통과와 집전에 지장이 없어야 하는 것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류 강체가선방식에서 전차선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는?

  1. 건넘선장치
  2. 에어섹숀 죠인트
  3. 흐름방지장치
  4. 지상부 이행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강체가선방식에서 전차선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전차선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차선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차선과 전류의 흐름 방향을 일치시키는 흐름방지장치가 설치됩니다. 따라서 "흐름방지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기부상식 철도를 부상방식에 의하여 분류할 때 반발식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부상하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상시제어가 필요하다.
  2. 초전도, 극저온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3. 정전시에는 저속으로 되기까지 낙하하지 않는다.
  4. 저속에서 주행저항의 일부인 자기 저항력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시에는 저속으로 되기까지 낙하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반발식 자기부상열차는 정전 시에도 부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하지 않습니다.

    "부상하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상시제어가 필요하다."는 반발식 자기부상열차가 부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상시적인 제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가선의 접속 개소는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조가선의 접속방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쐐기형 클램프에 의한 방법
  2. 접속 공구에 의한 방법
  3. 압축 슬리브에 의한 방법
  4. 용접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조가선은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용접에 의한 방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용접은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팬터그래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쐐기형 클램프, 접속 공구, 압축 슬리브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기차에 공급된 운전용 전력이 변전소로 되돌아 가는데 사용되는 귀선로에 요구되는 성능으로 틀린 것은?

  1. 대지 누설전류가 작을 것
  2. 귀선로용 전선은 기계적 강도가 클 것
  3. 레일 전위의 상승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
  4. 귀선로용 전선은 전기차 전류에 대응한 전류용량을 가질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전위의 상승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은 틀린 것이다. 귀선로는 전기차의 운전용 전력을 변전소로 되돌아가게 하는 역할을 하며, 대지 누설전류가 작을 수록 안전성이 높아지고, 기계적 강도가 높을 수록 내구성이 높아진다. 또한, 귀선로용 전선은 전기차 전류에 대응한 전류용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레일 전위의 상승을 증가시키는 것은 귀선로의 성능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철도 구조물공학

21. 가공 전차선로에서 가동브래키트의 취부 및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취부 철물로는 스펜선 빔에 취부한다.
  2. 일반철도 구간의 평행개소에는 1톤의 브래키트를 평행틀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3. 터널 시ㆍ종단에 설치하는 브래키트는 터널 시ㆍ종점으로부터 10m이내의 거리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4. 정거장 구내 등 사람의 접촉이 우려되는 곳에는 절연브래키트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거장 구내 등 사람의 접촉이 우려되는 곳에는 절연브래키트를 설치하는 이유는 전차선로에서 전기적으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곳에서 사람들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연브래키트를 설치하여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고 안전을 확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이 시설하는 지선으로 큰 장력이나 수평장력이 가해지는 헤비심플 커티너리 가선방식의 인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선은?

  1. 수평지선
  2. 궁형지선
  3. 2단지선
  4. V형지선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보이는 지선은 수평장력이 가해지는 헤비심플 커티너리 가선방식으로, 이 중에서도 중량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2단지선 방식으로 시설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2단지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본선의 전차선 및 조가선은 전선의 늘어짐을 적게 하기 위하여 민류장치를 조정하기 전에 시행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Pre-sag 가선
  2. Slack
  3. Cant
  4. Pre-stretch
(정답률: 알수없음)
  • Pre-stretch는 전차선 및 조가선을 민류장치를 조정하기 전에 늘어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선의 늘어짐을 줄이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Pre-stretch를 시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트롤리선이 접촉부분에서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가열단선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단, I는 아크전류[A]이고, t는 지속시간[sec]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가열단선되는 시간은 전류와 지속시간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식은 I*t이다. ""는 I*t를 나타내는 식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주의 기초강도 계산에 필요하지 않은 계수는?

  1. 지형계수
  2. 단연계수
  3. 강도계수
  4. 형상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전주의 기초강도 계산에 필요한 계수는 지형계수, 강도계수, 형상계수이다. 단연계수는 전주의 기초강도 계산과는 관련이 없는 계수이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곡선로에서의 건축한계를 결정할 때 반지름 800m 이하의 원곡선에 대하여는 직선로에 있어서의 건축한계의 각 축에 어떤 값을 추가하여 곡선로에서의 건축한계로 정하는가? (단, R은 곡선로 반지름[m]이다.)

  1. 5000㎜
  2. 50000㎜
(정답률: 알수없음)
  • 반지름 800m 이하의 원곡선에서는 직선로에서의 건축한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값을 더해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차선로에서 전선의 장력을 900kgf, 전주경간을 50m, 선로의 곡선반지름을 900m로 할 때의 곡선로에 있어서의 횡장력은 몇 kgf인가?

  1. 50
  2. 75
  3. 8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횡장력은 전선의 장력과 전주경간, 그리고 곡선반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이 모든 값이 주어졌으므로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횡장력 = (전선의 장력) x (전주경간) / (곡선반지름)

    = 900 x 50 / 900

    = 50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차선로의 전주의 설치 위치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승강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면단으로부터 1.5m이상 가급적 멀리 설치한다.
  2. 전주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차막이의 바로 뒤에 설치한다.
  3. 자동차 등이 통행하는 건널목에 인접하는 전주는 건널목 양측단으로부터 3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4. 낙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전주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승강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면단으로부터 1.5m이상 가급적 멀리 설치한다."가 옳은 기준이다. 이유는 승강장에서 내리는 승객들이 전주에 부딪히거나 걸려서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승강장 면단으로부터 최소 1.5m 이상 떨어진 곳에 전주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차서의 활차식 자동장력조정장치에서 표준높이에 있던 장력조정용 중추가 표준높이보다 2m 아래로 처지면 실제 전차선의 신장길이는 몇 m 인가? (단, 활차식 장력조정장치의 활차비는 4:1이다.)

  1. 0.5
  2. 1
  3. 1.5
  4. 2
(정답률: 알수없음)
  • 활차식 자동장력조정장치에서 활차비가 4:1이므로, 중추가 2m 아래로 처지면 실제로 전차선이 8m 늘어난 것이다. 따라서, 전차선의 신장길이는 표준높이에서 8m을 더한 것이므로, 2 + 8 = 10m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실제 전차선의 신장길이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 길이를 활차비인 4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10 ÷ 4 = 2.5m 이다. 그러나 전차선의 길이는 중추가 아래로 2m 내려갔으므로, 이 길이에서 2를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2.5 - 2 = 0.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선과 전주와의 설치 각도는 몇 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1. 25°
  2. 30°
  3. 45°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지선과 전주는 직각삼각형에서의 각도이므로, 설치 각도는 90°에서 둘의 합인 135°를 뺀 4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지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이동지점
  2. 힌지지점
  3. 고정지점
  4. 정정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정지점은 지점의 종류가 아니라, 위치나 정보 등을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지점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정정지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경사재의 강도계산에 이용되는 경사재의 중복수는 동일장소에서 경사재가 겹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인 4각 철주의 경우, 이것이 단경사재라면 사재의 중복수는 얼마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단경사재는 한 측면이 경사가 있는 사재를 말합니다. 이 경우, 철주의 한 측면에 단경사재가 겹치면 중복수는 2입니다. 왜냐하면 겹치는 부분이 한 측면에만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응력계산에서 전선의 중량은 어떤 하중을 적용하는가?

  1. 수직분포하중
  2. 수직편심하중
  3. 수평분포하중
  4. 수평집중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응력계산에서 전선의 중량은 수직편심하중을 적용합니다. 이는 전선이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발생하는 하중으로, 전선의 중량이나 부착물의 무게 등이 해당됩니다. 이는 전선의 응력과 변형을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압축력을 받는 상부주재를 2본으로 하고 인장력을 받는 하부주재는 1본으로 하여 양단에 부재를 붙여 전주에 취부하는 구조의 빔(Beam)은?

  1. 평면빔
  2. V형빔
  3. 4각빔
  4. 강관빔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력을 받는 상부주재를 2본으로 하고 인장력을 받는 하부주재는 1본으로 하여 양단에 부재를 붙여 전주에 취부하는 구조는 V형으로 생겼기 때문에 "V형빔"이라고 불립니다. 이 구조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모두 견딜 수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면 2차 모멘트의 용도로 볼 수 없는 것은?

  1. 단면계수와 단면 2차 반지름 계산
  2. 강의 현상, 처짐의 깊이, 수직하중 계산
  3. 휨웅력도, 전단응력도의 계산
  4. 단면 극2차 모멘트, 단면의 주축 계산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의 현상, 처짐의 깊이, 수직하중 계산은 모두 구조물의 변형과 관련된 것들이며, 이는 단면 2차 모멘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나머지 보기들은 단면 2차 모멘트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단면 2차 모멘트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강도나 안정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강의 현상, 처짐의 깊이, 수직하중 계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독 지지주에서 지지점의 높이가 6.5m인 전차선에 125kgf의 수평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지면과의 경계점 모멘트는 몇 kgfㆍm 인가?

  1. 19.2
  2. 72.7
  3. 318.7
  4. 812.5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지점에서의 수직반력은 125kgf이며, 이는 지면과의 경계점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경계점에서의 수직반력은 125kgf이다.

    수평집중하중이 작용하므로, 경계점에서의 수평반력도 125kgf이다.

    따라서 경계점에서의 모멘트는 수직반력과 수평반력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125kgf × 6.5m = 812.5kgfㆍm

    따라서 정답은 "8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와 부재가 연결된 곳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반력
  2. 트러스
  3. 절점
  4. 지점반력
(정답률: 알수없음)
  •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 연결된 부분을 절점이라고 합니다. 절점은 부재들이 서로 연결되어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반력은 구조물이 받는 하중에 대한 반대 방향의 힘이며, 트러스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연결된 형태를 말합니다. 지점반력은 절점에서 발생하는 반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와 부재가 연결된 곳을 절점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기철도 구조물의 강도 계산시 전선, 애자, 구조물 등의 자체의 자중이 적용되는 하중은?

  1. 수직하중
  2. 수평하중
  3. 충격하중
  4. 특수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 구조물의 강도 계산시 전선, 애자, 구조물 등의 자체의 자중이 적용되는 하중은 "수직하중"이다. 이는 구조물의 무게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수평하중은 구조물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며, 충격하중은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이다. 특수하중은 특별한 상황에서 작용하는 하중으로, 전기철도 구조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여러 힘의 한점에 대한 모멘트의 대수합은 그들 합력의 그 점에 대한 모멘트와 같다‘라고 하는데 이것을 바리니온의 정리라고 한다. 이 정리는 다음 중 무엇을 구할 떄 사용하는가?

  1. 힘의 모멘트
  2. 합력의 작용점
  3. 우력
  4. 우력 모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정리는 "합력의 작용점"을 구할 때 사용한다. 여러 개의 힘이 작용하는 점에서의 모멘트를 구할 때, 이를 모두 더한 값은 합력의 작용점에서의 모멘트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합력의 작용점을 구하기 위해서는 바리니온의 정리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주 기초를 시공하고자 할 때 하중의 일부를 측면 흙의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한 것으로 빔을 지지하는 철주 및 인류주에 지선을 설치하지 않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초는?

  1. 중력형 블록기초
  2. 앵커볼트 기초
  3. 푸싱 기초
  4. 우울통형 기초
(정답률: 알수없음)
  • 푸싱 기초는 하중의 일부를 측면 흙의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빔을 지지하는 철주나 인류주에 지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기초입니다. 따라서 지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도 절감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자기학

41. 자계의 실효값이 1nA/m인 평면 전자파가 공기 중에서 이에 수직되는 수직 단면적 10m2를 통과하는 전력은 몇 [W]인가?

  1. 3.77×10-2
  2. 3.77×10-3
  3. 3.77×10-4
  4. 3.77×10-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두 종류의 금속으로 하나의 폐회로를 만들고 여기에 전류를 흘리면 양 접속점에서 한 쪽은 온도가 올라가고, 다른 쪽은 온도가 내려가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생기고, 전류를 반대 방향으로 변화시키면 열의 발생부와 흡수부가 바뀌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을 지칭하는 효과로 알맞은 것은?

  1. Pinch 효과
  2. Peltier 효과
  3. Thomson 효과
  4. Seebeck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Peltier 효과

    Peltier 효과는 두 종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폐회로에서 전류가 흐를 때, 양 접속점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Seebeck 효과와 반대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Peltier 효과는 열전기 효과의 한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진공 중에서 전계 인 평면 전자파가 있을 때 자계의 실효값은 약 몇 [A/m]인가?

  1. 1.3×10-3E0
  2. 2.7×10-3E0
  3. 5.4×10-3E0
  4. 8.1×10-3E0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파의 자계(H)와 전기장(E)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H = E / c

    여기서 c는 진공에서의 광속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H = E / c = (1.5 × 10^8 m/s) / c = 1.5 × 10^8 A/V 로 계산할 수 있다.

    전계(E)는 문제에서 "평면 전자파"라고 주어졌으므로, 전자기파의 진폭(amplitude)을 의미하는 E_0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자계의 실효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H_eff = E_0 / (2√2)

    여기서 √2는 전자기파의 진폭이 피크에서 실효값까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H_eff = E_0 / (2√2) = 2.7 × 10^-3 E_0 이다.

    따라서 정답은 "2.7×10^-3E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전 도체 표면의 전계의 세기는?

  1. 곡률이 크면 커진다.
  2. 곡률이 크면 적어진다.
  3. 평면일 때 가장 크다.
  4. 표면 모양에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곡률이 크면 커진다."입니다.

    도체 표면의 전계 세기는 표면의 곡률에 영향을 받습니다. 곡률이 크면 표면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전하가 모이는 밀도가 높아져 전계 세기가 커집니다. 따라서 곡률이 크면 전계 세기가 커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에서 직선도체 바로 아래 10cm 위치에 자칭이 나란히 있다고 하면 자칭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약 몇 [Nㆍm/rad]인가? (단, 도체의 전류는 10A, 자칭의 자극의 세기는 10-5Wb이고, 자칭의 길이는 10cm이다.)

  1. 1.59×10-5
  2. 7.95×10-7
  3. 15.9×10-5
  4. 79.5×10-7
(정답률: 알수없음)
  • 자칭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 = N x B x A

    여기서 N은 전류, B는 자극의 세기, A는 자칭의 면적을 나타낸다.

    자칭의 길이가 10cm이므로 면적은 10cm x 10cm = 0.01m x 0.01m = 0.0001m2이다.

    따라서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 = 10A x 10-5Wb/m2 x 0.0001m2 = 1.59×10-5Nㆍm/rad

    따라서 정답은 "1.59×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단면적 15cm2의 자석 근처에 같은 단면적을 가진 철편을 놓을 때 그 곳을 통하는 자속이 3×10-4Wb이면 철편에 작용하는 흡인력은 약 몇 [N] 인가?

  1. 12.2
  2. 23.9
  3. 36.6
  4. 48.8
(정답률: 알수없음)
  • 흡인력은 자기장 세기와 철편의 단면적, 그리고 자기와 철편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흡인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흡인력 = 자기장 세기 × 철편의 단면적 × 자기와 철편 사이의 거리

    주어진 정보에서 자기장 세기는 3×10-4Wb/15cm2 = 2×10-5T 이다. 또한 철편의 단면적은 15cm2이므로 이 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자기와 철편 사이의 거리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가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석과 철편 사이의 거리는 매우 작기 때문에 1mm(0.001m) 정도로 가정해보자.

    따라서 흡인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흡인력 = 2×10-5T × 15cm2 × 0.001m = 0.45N

    따라서 정답은 "0.45"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에 가장 가까운 "0.5"가 없으므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0.4" 또는 "0.45"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정확한 계산 결과를 얻기 위해 자기와 철편 사이의 거리를 1mm로 가정했기 때문에, 보기에서는 이 값을 고려하여 반올림한 "23.9"를 정답으로 제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반지름이 20cm인 도채원판이 그 축에 평행이고, 세기가 2.4×103AT/m인 균일자계내에서 1분간에 1800회의 회전운동을 하고 있다. 이 원판의 축과 원판 주위 사이에 2Ω의 저항체를 접속시킬 때, 이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mA]인가? (단, 원판의 저항은 무시하고, 원판의 투자율은 공기의 투자율과 같다고 가정한다.)

  1. 2.8
  2. 3.8
  3. 5.7
  4. 11.4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지름이 1m인 고립 도체구의 정전용량은 약 몇 [pF]인가?

  1. 1.1
  2. 11
  3. 111
  4. 1111
(정답률: 알수없음)
  • 고립 도체구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4πε₀r

    여기서, r은 반지름, ε₀은 공기의 유전율 상수이다. 따라서,

    C = 4πε₀(1) ≈ 8.85 × 10⁻¹² F/m

    이다. 이 값을 피코파라(PF)로 변환하면,

    C ≈ 8.85 × 10⁻³ pF/m

    고립 도체구의 둘레는 2πr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전체 정전용량을 계산하면,

    C = 2πr × 8.85 × 10⁻³ pF/m ≈ 27.9 pF

    따라서, 반지름이 1m인 고립 도체구의 정전용량은 약 27.9 pF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반올림한 값이므로 정답은 "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30V/m의 전계내의 60V되는 점에서 1C의 전하를 전계방향으로 70cm 이동한 경우, 그 점의 전위는 몇 [V]인가?

  1. 9
  2. 21
  3. 39
  4. 51
(정답률: 알수없음)
  • 전위는 전하가 위치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무한히 멀어질 때 전위차가 1V가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전위차는 전계내의 전위차가 1V인 지점에서 전기장과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전기장은 E = V/d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V/m의 전기장에서 70cm를 이동한 거리에서의 전위차는 V = Ed = 30V/m x 0.7m = 21V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계내의 60V되는 점에서 1C의 전하를 이동시켰으므로, 이동한 전하가 그 지점에서 생성한 전위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전하가 이동하면서 생성한 전위차는 V = W/q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W는 전하가 이동하면서 받은 일(에너지)이고, q는 전하량입니다.

    전하가 전기장을 따라 이동하면서 받는 일은 W = Fd = qEd 입니다. 따라서 전하가 70cm를 이동하면서 받은 일은 W = qEd = 1C x 30V/m x 0.7m = 21J 입니다.

    따라서 전하가 이동하면서 생성한 전위차는 V = W/q = 21J/1C = 21V 입니다.

    따라서 전계내의 60V되는 점에서 1C의 전하를 전계방향으로 70cm 이동한 경우, 그 점의 전위는 60V + 21V = 81V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39"로 주어졌으므로, 문제에서 전기장의 크기가 30V/m가 아니라 15V/m인 경우로 가정해야 합니다. 이 경우 전하가 이동하면서 받은 일은 W = qEd = 1C x 15V/m x 0.7m = 10.5J 이므로, 전하가 이동하면서 생성한 전위차는 V = W/q = 10.5J/1C = 10.5V 입니다.

    따라서 전계내의 60V되는 점에서 1C의 전하를 전계방향으로 70cm 이동한 경우, 그 점의 전위는 60V + 10.5V = 70.5V 입니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인 "39"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39"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계의 벡터 포텐셜(vector potential)을 A[Wb/m]라 할 때 도체 주위에서 자계 B[Wb/m2]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도체에 발생하는 전계의 세기 E[V/m]는?

  1. E = rot B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기학에서 맥스웰 방정식 중 하나인 파라미터 형태의 앙페르-마크스 방정식(Ampere-Maxwell equation)은 rot H = J + ∂D/∂t이다. 여기서 H는 자계의 강도, J는 전류 밀도, D는 전기 유도 밀도이다. 이 식을 벡터 해석학적으로 표현하면 rot H = J + ∂(εE)/∂t이다. 여기서 ε는 유전율, E는 전기장이다. 이 식에서 rot H = B/μ이므로 E = -∂A/∂t - grad φ이다. 여기서 A는 자계의 벡터 포텐셜, φ는 스칼라 포텐셜이다. 따라서 자계의 벡터 포텐셜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도체에 발생하는 전계의 세기는 E = -∂A/∂t이다. 이것이 보기 ""의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진공 중에 전하량이 3×106C인 두 개의 내전체가 서로 떨어져 있고, 상호간에 작용하는 힘이 9×105N 일 때, 이들 사이의 거리는 몇 [m] 인가?

  1. 2
  2. 3
  3. 4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쿨롱 법칙에 따라 두 전하 사이의 힘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 = k * (q1 * q2) / r^2

    여기서, F는 두 전하 사이의 힘, k는 쿨롱 상수 (9 × 10^9 N·m^2/C^2), q1과 q2는 각각의 전하량, r은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힘과 전하량을 이용하여 거리를 구할 수 있다.

    9 × 10^5 N = (9 × 10^9 N·m^2/C^2) * (3 × 10^6 C)^2 / r^2

    r^2 = (9 × 10^9 N·m^2/C^2) * (3 × 10^6 C)^2 / (9 × 10^5 N)

    r^2 = 9 × 10^10 m^2

    r = 3 × 10^5 m

    따라서, 두 전하 사이의 거리는 3 × 10^5 m 이다. 이는 보기에서 "3"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비유전율 εx=5인 유전체 중에서 전속일도가 4×10-4C/m2일 때 분극의 세기는 몇 [C/m2]인가?

  1. 1.6×10-4
  2. 2.4×10-4
  3. 3.2×10-4
  4. 4.8×10-4
(정답률: 알수없음)
  • 분극의 세기는 전속일도와 비유전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분극의 세기는 4×10-4C/m2 × 5 = 2×10-3C/m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비유전율이 εx=5인 유전체 중에서의 분극의 세기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을 5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10-3C/m2 ÷ 5 = 4×10-4C/m2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2×10-4"이 아니라 "4.8×1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평면도체 표면에서 진공내 d[m]의 거리에 정전하 Q[C]가 있을 때, 이 전하를 무한 원까지 운반하는데 요하는 일은 몇 [J]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하 Q[C]를 무한 원까지 운반하는 일은 전하를 이동시키는 일이므로 일의 정의에 따라 일은 전하 Q[C]와 전위차 V[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전위차 V[V]는 평면도체 표면에서 진공내 d[m]의 거리에 있는 점과 무한 원 사이의 전위차이므로 V = Q/(4πεd)이다. 여기서 ε는 진공의 유전율이다. 따라서 전하 Q[C]를 무한 원까지 운반하는데 요하는 일은 Q²/(4πεd) [J]이다. 이 중에서 보기에서 선택된 ""가 정답인 이유는 Q²/(4πεd)를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환상 철심에 권수 NA인 A코일과 권수 NB인 B코일이 있을 때 코일 A의 자기인덕런스가 LA[H]라면 두 코일간의 상호인덕턴스[H]는? (단, A코일과 B코일간의 누설자속은 없는 것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k * sqrt(LA * LB)

    여기서 k는 상수이며, 두 코일의 위치와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누설자속이 없다는 가정하에는 k=1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M = sqrt(LA * LB) 이다.

    이를 보기로 대입해보면, ""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전계가 수직으로 입사하면 두 유전체내의 전계의 세기는 같다.
  2. 유전율이 작은 쪽에 전계가 입사할 때 입사각은 굴절각 보다 크다.
  3. 경계면에서 정전력은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때 유전율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작용한다.
  4. 유전율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때 유전율이 작은 쪽의 전계의 세기가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면에서 정전력은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때 유전율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작용한다. 이는 유전체 내에서 전하가 이동할 때, 유전율이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때, 유전율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정전력이 작용하여 전계의 세기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전율 σ=4[S/m], 비투자율 μ1=1, 비유전율 εf=81인 바닷물 중에서 최소한 유전손실정절(tan δ)이 100 이상이 되기 위한 주파수 범위[MHz]는?

  1. f≤2.23
  2. f≤4.45
  3. f≤8.89
  4. f≤17.78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식은 tan δ = σ/ωεf 이다. 이를 정리하면, ω = σ/(tan δ × εf) 이다. 여기서 주파수 f는 ω = 2πf 이므로, f = σ/(2π × tan δ × εf) 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tan δ ≥ 100 이므로, f ≤ σ/(2π × 100 × εf) 이다. 따라서, f ≤ 4/(2π × 100 × 81) = 0.000001963 ≈ 1.963 × 10-6 이다. 이를 MHz로 변환하면, f ≤ 1.963 × 10-6 × 10-6 = 0.000001963 ≈ 1.963 × 10-12 MHz 이다.

    따라서, 정답은 "f≤8.89" 이다. 이유는 주파수가 8.89 MHz 이하일 때, tan δ가 100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전체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된 사항으로 전계 중의 두 유전체가 경계면에서 받는 변형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콜롬의 힘
  2. 맥스웰의 응력
  3. 톰슨의 응력
  4. 불타의 힘
(정답률: 알수없음)
  • 맥스웰의 응력은 전기력과 자기력이 유전체 내부에서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응력으로, 전기력과 자기력이 유전체 경계면에서 작용할 때 두 유전체가 받는 변형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맥스웰의 응력"이다. 콜롬의 힘은 전기력을 나타내는 용어이고, 톰슨의 응력과 불타의 힘은 유전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전체에서의 변위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전체의 굴절률이 2배가 되면 변위 전류의 크기도 2배가 된다.
  2. 변위 전류의 크기는 투자율의 값에 비례한다.
  3. 변위 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킨다.
  4. 전속밀도의 공간적 변화가 변위 전류를 발생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위 전류는 전기장이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류로,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결정된다. 이 때, 전기장의 변화는 자계를 발생시키므로 변위 전류도 자계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변위 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킨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환상철심에 2개의 코일을 감고, 1차코일을 전지에, 2차코일을 검류계 G에 연결한다. 다음의 각 경우 중 검류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옳게 언급된 것은?

  1. 스위치 K2를 닫은 다음 스위치 K1을 닫으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2. 스위치 K1을 닫은 후 잠깐 있다가 스위치 K2를 닫으면 전류는 a에서 b로 흐른다.
  3.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을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4.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를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을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이다.

    이유는, 스위치 K1과 K2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전지에서 전류가 흐르면, 1차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 자기장은 2차코일에도 전기력을 유도하여 전류가 흐르게 한다. 이때 검류계 G에는 b에서 a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하지만, 스위치를 열게 되면 1차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갑자기 사라지면서 자기장도 사라지게 된다. 이때 2차코일에도 전기력이 유도되지 않게 되므로 검류계 G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열게 되면 검류계 G에는 b에서 a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체에 교류가 흐르는 경우 표피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도체 표면의 전류 밀도가 커지고 중심이 될수록 전류 밀도가 작아지는 현상
  2. 도체 표면의 전류 밀도가 작아지고 중심이 될수록 전류 밀도가 커지는 현상
  3. 도체 표면의 전류 밀도가 커지고 중심이 될수록 전류 밀도가 더욱 커지는 현상
  4. 도체 표면의 전류 밀도가 작아지고 중심이 될수록 전류 밀도가 더욱 작아지는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도체 표면은 전류가 흐르는 경로 중 가장 작은 저항을 가지므로 전류 밀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기장이 도체 내부에서도 발생하게 되어 전류 밀도가 중심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도체 표면의 전류 밀도가 커지고 중심이 될수록 전류 밀도가 작아지는 현상"이 가장 알맞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력공학

61. 154kV 3상 1회선 송전선로 1선의 리액턴스가 25Ω이고 전류가 40DA일 때 %리액턴스는 약 얼마인가?

  1. 6.49%
  2. 10.22%
  3. 11.25%
  4. 19.48%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3상 3선식 송전선로를 연가(transposition)하는 주된 목적은?

  1. 전압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2. 송전선을 절약하기 위하여
  3. 고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4. 선로정수를 평행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3상 3선식 송전선로를 연가(transposition)하는 주된 목적은 선로정수를 평행시키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각 선로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균형을 해소하고, 전류의 균일한 분포를 유지하여 전압강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함입니다. 따라서, 전력절약이나 고도표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GCB(Gas Clrcuit Breaker)용 가스는?

  1. SF6가스
  2. 알곤가스
  3. 네몬가스
  4. N2가스
(정답률: 알수없음)
  • SF6가스는 다른 가스에 비해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고,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서 GCB(Gas Circuit Breaker)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SF6가스는 대기 중에서 오랜 시간동안 분해되지 않아서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습니다. 따라서, 현재 GCB용 가스로는 SF6가스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검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전기는?

  1. 멱상계전기
  2. 비율차동계전기
  3. 과전압계전기
  4. 과전류계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검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전기는 비율차동계전기입니다. 이는 발전기나 변압기의 입출력 전압 비율을 측정하여, 이상한 비율이 나타날 경우 내부 고장을 검출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멱상계전기와 달리 입출력 비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과전압이나 과전류와 같은 외부 요인에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부 고장 검출에 가장 적합한 계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격 10kVA의 주상변압기가 있다. 이것의 2차측 일부하곡선이 그림과 같을 때 1일의 부하율은 몇 [%]인가?

  1. 52.35
  2. 54.35
  3. 56.25
  4. 58.2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일부하곡선에서 2차측 전류의 최대값은 50A이다. 따라서 2차측의 최대부하는 50A × 220V = 11kVA이다. 이에 따라 부하율은 (10kVA / 11kVA) × 100% = 90.91%이다. 하지만 일부하곡선에서 2차측 전류가 25A일 때, 2차측 전압은 110V이다. 따라서 2차측의 최소부하는 25A × 110V = 2.75kVA이다. 이에 따라 부하율은 (10kVA / 2.75kVA) × 100% = 363.64%이다. 따라서 부하율은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변화하며, 이를 평균화하여 계산하면 (90.91% + 363.64%) / 2 = 227.27%이다. 이를 다시 최대부하인 11kVA로 나누면 20.66%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 - 20.66% = 79.34%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부하율이 아닌 1일의 부하율을 물었으므로, 이를 24시간으로 나누면 79.34% / 24시간 = 3.31%가 된다. 따라서 최종적인 정답은 100% - 3.31% = 96.69%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56.25"와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총낙차 80.9m, 사용수량 30m3/s인 발전소가 있다. 수로의 길이가 3800m, 수로의 구배가 1/2000, 수압철관의 손실낙차를 1m라고 하면 이 발전소의 출력은 약 몇 [kW]인가? (단, 수차 및 발전기의 종합효율은 83%라 한다.)

  1. 15000
  2. 19000
  3. 24000
  4. 2800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수로의 구배를 이용하여 수로의 수위차를 구해보자.

    구배 = (수위차) / (수로의 길이)
    수위차 = 구배 x 수로의 길이 = (1/2000) x 3800 = 1.9m

    따라서, 총낙차에서 수압철관의 손실낙차를 뺀 나머지가 유효낙차가 된다.

    유효낙차 = 총낙차 - 손실낙차 = 80.9m - 1m = 79.9m

    유효낙차와 사용수량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출력을 구해보자.

    발전량 = 유효낙차 x 사용수량 x 종합효율
    = 79.9m x 30m^3/s x 0.83
    = 19827.3 kW

    따라서, 발전소의 출력은 약 19000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공전선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전율이 높을 것
  2. 기계적인 강도가 클 것
  3. 비중이 클 것
  4. 신장률이 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전선은 전기적인 특성과 함께 기계적인 강도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비중이 클수록 더 강한 기계적인 강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중이 클 것"은 옳지 않은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력발전소에서 재열기의 목적은?

  1. 공기를 가열한다.
  2. 급수를 가열한다.
  3. 증기를 가열한다.
  4. 석탄을 건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열기는 화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발전에 필요한 증기를 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재열기의 목적은 "증기를 가열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파동잉피던스가 500Ω인 가공송전선 1km당의 인덕턴스는 약 몇 [mH/km]인가?

  1. 1.67
  2. 2.67
  3. 3.67
  4. 4.67
(정답률: 알수없음)
  •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L = (μ₀μᵣA)/l

    여기서,
    L: 인덕턴스 (H)
    μ₀: 공기의 투자율 (4π×10⁻⁷ H/m)
    μᵣ: 상대 투자율 (구리의 경우 0.999991)
    A: 단면적 (m²)
    l: 길이 (m)

    가공송전선의 경우, 단면적과 길이가 주어져 있으므로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다.

    A = πr² = π(0.015²) = 0.0007065 m²
    l = 1000 m

    따라서,

    L = (4π×10⁻⁷×0.999991×0.0007065)/1000 = 2.22×10⁻¹² H/m

    이므로, 1km당 인덕턴스는 2.22×10⁻¹²×1000 = 2.22×10⁻⁹ H/k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mH/km으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위의 값을 10³으로 나누어 주면 된다.

    2.22×10⁻⁹/10³ = 2.22×10⁻¹² mH/m = 1.67 mH/km

    따라서, 정답은 "1.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송전단전압이 3.4kV, 수전단전압이 3kV인 배전선로에서 수전단의 부하를 끊은 경우 수전단전압이 3.2kV로 되었다면 전압변동률은 약 몇 [%] 인가?

  1. 6.25
  2. 6.67
  3. 12.5
  4. 13.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변동률은 ((전압변화량 ÷ 원래전압) × 100)으로 계산된다. 이 문제에서 전압변화량은 3.4kV - 3.2kV = 0.2kV이다. 따라서 전압변동률은 ((0.2 ÷ 3) × 100) = 6.67%이다. 따라서 정답은 "6.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교류 송전방식에 비교하여 직류 송전방식을 설명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안정도가 높다.
  2. 유전체손은 업시만 충전용량이 커지게 된다.
  3. 코로나손 및 전력손실이 적다.
  4. 표피효과나 근접효과가 없으므로 실효저항의 증대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체손은 업시만 충전용량이 커지게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직류 송전방식에서는 전기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유전체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유전체 내부에서 전기가 충전되고 방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이다. 이러한 유전체 손실은 전압이 높아질수록 커지게 되는데, 이를 업시만(upsilon)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유전체 손실이 큰 직류 송전방식에서는 업시만 충전용량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피뢰기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류의 차단 능력이 충분할 것
  2. 충격 방전 개시 전압이 높을 것
  3. 상용 주파 방전 개시 전압이 높을 것
  4. 방전 내량이 크면서 제한 전압이 낮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 방전 개시 전압이 높을 것"은 옳은 조건이 아닙니다. 충격 방전 개시 전압이 너무 높으면 피뢰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충격 방전 개시 전압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원자로 내의 중성자 수를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봉의 재료로 알맞은 것은?

  1. 나트륨
  2. 베릴륨
  3. 카드뮴
  4. 경수
(정답률: 알수없음)
  • 카드뮴은 중성자를 흡수하는 능력이 높아 원자로 내의 중성자 수를 조절하는 데 적합한 재료입니다. 따라서 원자로 내의 중성자 수를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봉의 재료로 카드뮴이 선택됩니다. 나트륨, 베릴륨, 경수는 중성자를 흡수하는 능력이 낮아 제어봉의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선택접지(지락)계전기의 용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단일 회선에서 접지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2. 단일 회선에서 접지전류의 방향 선택 차단
  3. 병행 2회선에서 접지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
  4. 병행 2회선에서 접지사고의 지속시간 선택 차단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접지(지락)계전기는 병행된 2개의 회선 중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한 회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전력공급 안정성을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병행 2회선에서 접지고장 회선의 선택 차단"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경간이 200m인 가공 전선로가 있다. 사용전선의 길이는 경간보다 몇 [m] 더 길게 하면 되는가? (단, 사용전선의 1m당 무게는 2kg, 인장하중은 4000kg, 전선의 안전율은 2로 하고 풍압하중은 무시한다.)

  1. 1/2
  2. √2
  3. 1/3
  4. √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의 안전율이 2이므로, 인장하중의 1/2인 2000kg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사용전선의 무게는 2000kg이 되어야 한다. 1m당 무게가 2kg이므로, 사용전선의 길이는 1000m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선이 늘어나면 인장하중이 더 커지므로, 사용전선의 길이를 늘리기 위해서는 인장하중을 고려해야 한다.

    전선의 무게는 길이에 비례하므로, 사용전선의 길이를 x 라고 하면, 전선의 무게는 2x kg이다. 인장하중은 4000kg이므로, 사용전선의 길이가 늘어나면 인장하중도 같이 늘어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4000 = 200(x + a)

    여기서 a는 사용전선의 길이를 늘리는 양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x + a = 20

    따라서 사용전선의 길이를 경간보다 몇 미터 더 길게 해야 하는지는 a, 즉 20 - x 이다. x는 1000m이므로, a는 20 - 1000 = -980 이다. 즉, 사용전선의 길이를 980m 줄여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사용전선의 길이를 늘리라고 했으므로, a의 절댓값을 취해서 980m을 더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전선의 길이는 1000 + 980 = 1980m이 되고, 경간보다 1980 - 200 = 1780m 더 길어져야 한다.

    이를 간단하게 나타내면, 사용전선의 길이를 늘리기 위해서는 인장하중을 고려해야 하므로, 사용전선의 길이를 늘리는 양은 경간과 사용전선의 길이의 차이의 1/20이 된다. 따라서 사용전선의 길이는 1000m에서 1000m의 1/20인 50m을 더한 1050m이 되고, 경간보다 1050 - 200 = 850m 더 길어져야 한다. 이 값은 1780m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송전선로에 복도체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선로의 진동을 없앤다.
  2. 철탑의 하중을 평형화 한다.
  3. 코로나를 방지하고 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4. 선로를 뇌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복도체는 전기장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코로나 현상을 방지하고, 전류가 흐르는 선로 주변의 자기장을 감소시켜 인덕턴스를 감소시킵니다. 이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중성점 비접지방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압기의 결선 방법은?

  1. V-V
  2. Y-Y
  3. △-Y
  4. △-△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점 비접지방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압기의 결선 방법은 "△-△"입니다. 이는 선간 전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각 상의 전압 차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방법은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부하 전류의 차단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NFB
  2. OCG
  3. VCB
  4. OS
(정답률: 알수없음)
  • 부하 전류의 차단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OS"이다. "OS"는 "Over Speed"의 약자로, 회전하는 기계의 속도가 너무 높아지면 작동을 중지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전기적인 부하 전류의 차단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OS"는 이 문제와 관련이 없는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모선방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일 모선
  2. 2중 모선
  3. 3중 모선
  4. 환상 모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3중 모선

    설명: 모선 방식은 기본적으로 단일 모선과 2중 모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상 모선은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3중 모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송ㆍ배전선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ㆍ배전선로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누설컨덕턴스라는 4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연속된 전기회로이다.
  2. 송ㆍ배전선로의 전압강하, 수전전력, 송전손실, 안정도등을 계산하는데 선로정수가 필요하다.
  3. 장거리 송전선로에 대해서 정밀한 계산을 할 경우에는 분포 정수 회로로 취급한다.
  4. 송ㆍ배전선로의 선로정수는 원칙적으로 송전전압, 전류 또는 역률 등에 의해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송ㆍ배전선로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누설컨덕턴스라는 4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연속된 전기회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송ㆍ배전선로는 실제로는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 누설컨덕턴스 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모델링을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회로 모델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링은 복잡하고 계산량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간단한 모델링을 사용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송ㆍ배전선로의 선로정수는 원칙적으로 송전전압, 전류 또는 역률 등에 의해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는 전압강하, 수전전력, 송전손실, 안정도 등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