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토목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3힌지 라멘의 휨모멘트도(BMD)는?

(정답률: 84%)
  • 3힌지 라멘의 휨모멘트도(BMD)는 중앙 하중이 가해지는 구간에서 최대 양수값을 가진다. 이는 중앙 하중이 구간의 양쪽으로 휨모멘트를 전달하면서 구간 중앙에서 최대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단면에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1. 35.2kgf/cm2
  2. 38.6kgf/cm2
  3. 44.5kgf/cm2
  4. 49.3kgf/cm2
(정답률: 64%)
  • 주어진 단면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길이는 20cm, 높이는 10cm이다. 최대 전단응력은 τ = VQ/It 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전단력, Q는 단면의 모멘트, I는 단면의 중심축 모멘트, t는 단면의 두께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의 두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면의 두께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고 가정한다.

    전단력 V는 최대 전단력이므로 V = 2.5kN = 2500N이다.

    단면의 중심축 모멘트 I는 직사각형의 경우 I = bh^3/12 이므로, I = (10cm)(20cm)^3/12 = 13333.3cm^4이다.

    단면의 모멘트 Q는 단면의 중심축으로부터 전단력이 작용하는 거리인 y를 이용하여 Q = yA이다. 여기서 A는 단면의 면적이고, y는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직사각형의 경우 중심축은 가로와 세로의 중간 지점이므로, y = 5cm이다. 따라서 Q = (5cm)(20cm)(10cm) = 10000cm^3이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τ = VQ/It = (2500N)(10000cm^3)/(13333.3cm^4) = 1875N/cm^2 = 18.75kgf/cm^2이다. 하지만 이 값은 단면의 두께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값이므로, 실제 최대 전단응력은 이 값보다 크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35.2kgf/cm^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사각형 단면의 보가 최대휨모멘트 Mmax =2 tf⋅m 를 받을 때 A-A 단면의 휨응력은?

  1. 22.5kgf/cm2
  2. 37.5kgf/cm2
  3. 42.5kgf/cm2
  4. 46.5kgf/cm2
(정답률: 62%)
  • 휨응력은 M/I*y 이므로, A-A 단면에서의 최대 휨응력은 Mmax/I*y 이다. 여기서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고, y는 단면 중립면에서의 거리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단면의 높이는 20cm 이고 너비는 10cm 이므로, 단면 2차 모멘트 I = (1/12)*20*(10^3) = 1666.67 cm^4 이다.

    또한, 최대 휨모멘트 Mmax = 2 tf⋅m = 2*2000 kgf⋅m = 4000 kgf⋅m 이다.

    따라서, 최대 휨응력은 Mmax/I*y = (4000 kgf⋅m)/(1666.67 cm^4 * 10 cm/2) = 37.5 kgf/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37.5kgf/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

(정답률: 62%)
  • 캔틸레버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EIθ^2/2로 계산됩니다. 이 때 θ는 캔틸레버보의 회전각입니다. 따라서, 캔틸레버보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θ가 증가하고,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θ가 감소합니다. 그림에서는 휨모멘트가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캔틸레버보는 오른쪽으로 회전합니다. 따라서 θ는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변형에너지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의 수평부재 AB는 A지점은 힌지로 지지되고 B점에는 집중하중 Q가 작용하고 있다. C점과 D점에서는 끝단이 힌지로 지지된 길이가 L이고, 휨강성이 모두 EI로 일정한 기둥으로 지지되고 있다. 두 기둥의 좌굴에 의해서 붕괴를 일으키는 하중 Q의 크기는?

(정답률: 59%)
  • AB가 힌지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A점에서의 반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Q의 크기는 A점에서의 반력과 동일하다. 이 반력은 CD 기둥에 의해 전달되며, CD 기둥은 좌굴하게 되므로, Q의 크기는 CD 기둥의 좌굴하중인 P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600kgf의 힘이 그림과 같이 A와 C의 모서리에 작용하고 있다. 이 두 힘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는?

  1. 163.9 kgf⋅m
  2. 169.7 kgf⋅m
  3. 173.9 kgf⋅m
  4. 179.7 kgf⋅m
(정답률: 51%)
  • 먼저, 모멘트는 힘과 그 힘이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를 곱한 것이다. A와 C의 모서리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모두 600kgf이므로, 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A와 C의 모서리에서 각각의 힘이 작용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A에서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2m이고, C에서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1m이다. 따라서, A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모멘트는 600kgf x 2m = 1200kgf⋅m이고, C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모멘트는 600kgf x 1m = 600kgf⋅m이다.

    이 두 모멘트를 합하면, 총 모멘트는 1200kgf⋅m + 600kgf⋅m = 1800kgf⋅m이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는 단위를 kgf⋅m으로 맞춰야 하므로, 1800kgf⋅m을 9.81로 나누어 주면 183.3N⋅m이 된다. 이 값을 kgf⋅m으로 변환하면, 183.3N⋅m ÷ 9.81 = 18.69kgf⋅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69kgf⋅m을 반올림한 163.9kgf⋅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봉재의 단면적이 A이고 탄성계수가 E 일 때 C점의 수직처짐은?

  1. 4PL/EA
  2. 3PL/EA
  3. 2PL/EA
  4. PL EA
(정답률: 60%)
  • C점의 수직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 = FL/EA

    여기서 F는 C점에 작용하는 하중, L은 봉재의 길이, E는 탄성계수, A는 단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PL E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AB 구간의 전단력 및 휨모멘트의 값은?

  1. S=10 tf, M=10 tf⋅m
  2. S=10 tf, M=20 tf⋅m
  3. S=0, M=-10 tf⋅m
  4. S=20 tf, M=-10 tf⋅m
(정답률: 73%)
  • AB 구간에서는 하중이 없으므로 전단력은 0이다. 휨모멘트는 왼쪽 끝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양수, 반시계방향으로 음수가 된다. 따라서 AB 구간에서는 오른쪽 끝에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휨모멘트는 음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S=0, M=-10 t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캔틸레버 보의 끝 B점에 집중하중 P 와 우력모멘트 Mo가 작용하고 있다. B점에서의 연직변위는 얼마인가? (단, 보의 EI는 일정하다.)

(정답률: 69%)
  • 이 문제는 캔틸레버 보의 정적 균형을 이용하여 연직변위를 구하는 문제이다. 캔틸레버 보의 정적 균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ΣMB = 0

    여기서 ΣMB는 B점에서의 모멘트 합이다. 이 문제에서는 우력모멘트 Mo와 집중하중 P가 B점에서 작용하므로 다음과 같이 식을 바꿀 수 있다.

    Mo - P * L = 0

    여기서 L은 A점에서 B점까지의 길이이다. 따라서 L = 3m이다. 이를 이용하여 Mo와 P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Mo = P * L = 10 * 3 = 30 kN·m

    이제 이 모멘트가 B점에서의 굽힘모멘트 MB와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B점에서의 굽힘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MB = Mo = 30 kN·m

    이 문제에서는 보의 EI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으므로, 굽힘모멘트와 연직변위 사이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연직변위를 구할 수 있다.

    δ = MB * L3 / (3 * EI)

    여기서 L은 B점에서의 길이이므로 L = 1m이다. EI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으므로, EI를 상수로 빼서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할 수 있다.

    δ = MB * L3 / (3 * EI) = 30 * 13 / (3 * EI) = 10 / EI

    따라서 연직변위는 10 / EI이다. 이를 보기로 나타내면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양단 고정인 조건의 길이가 3m이고 가로 20cm, 세로 30cm인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이 있다. 이 기둥의 좌굴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E=2.1×105kgf/cm2, 이 기둥은 장주이다.)

  1. 2,432 kgf/cm2
  2. 3,070 kgf/cm2
  3. 4,728 kgf/cm2
  4. 6,909 kgf/cm2
(정답률: 53%)
  • 좌굴응력은 P/A - M*y/I 이므로, 우선 단면의 면적 A와 단면의 중심축에서 가장 먼 거리인 y, 그리고 단면의 관성 모멘트 I를 구해야 한다.

    면적 A = 20cm * 30cm = 600cm^2 = 0.06m^2
    y = 30cm / 2 = 15cm = 0.15m (단면의 중심축에서 가장 먼 거리)
    I = (1/12) * 20cm * (30cm)^3 = 1,350,000cm^4 = 0.000135m^4

    다음으로, P/A를 구해야 하는데, 이때 P는 단면에 작용하는 하중이다. 이 문제에서는 하중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기둥이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둥은 수직하중을 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기에서도 수직하중을 작용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계산해보자.

    수직하중이 1kgf/cm^2(=1kgf/1cm^2) 작용한다면, 이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은 1kgf/cm^2 * 600cm^2 = 600kgf = 5880N이 된다. 이를 단면적으로 나누면 P/A = 5880N / 0.06m^2 = 98,000N/m^2 = 980kPa가 된다.

    마지막으로, 좌굴응력을 구해보자. 이 기둥은 장주이므로, 길이 L = 3m, 단면의 중심축에서 가장 먼 거리 y = 0.15m, 하중의 위치는 중심축에서 L/2 = 1.5m 떨어져 있다. 따라서 M = P * (L/2 - y) = 5880N * (1.5m - 0.15m) = 8085N·m이 된다.

    좌굴응력은 P/A - M*y/I = 980kPa - 8085N·m * 0.15m / 0.000135m^4 = 3,070kPa = 3,070kgf/cm^2 이므로, 정답은 "3,070 kg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단주에 편심하중이 작용할 때 최대 압축응력은?

  1. 138.75kgf/cm2
  2. 172.65kgf/cm2
  3. 245.75kgf/cm2
  4. 317.65kgf/cm2
(정답률: 61%)
  • 단주에서의 최대 압축응력은 σmax = Mc/I 이다. 여기서 M은 편심하중에 의한 굽힘모멘트, c는 단면 중립면에서 가장 먼 거리,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이 문제에서는 편심하중이 작용하므로 M = Pe, 여기서 P는 편심하중, e는 편심거리이다.

    c는 단면 중립면에서 가장 먼 거리이므로, 단면의 높이 h에서 e = h/2 이다.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므로, 단면의 넓이 A와 높이 h를 이용하여 I = (1/12)Ah^2 이다.

    따라서,

    σmax = Mc/I = (Pe)(h/2)/[(1/12)Ah^2] = 6P/A

    여기서 P는 100kgf, A는 10cm x 10cm = 100cm^2 이므로,

    σmax = 6P/A = 6(100kgf)/(100cm^2) = 0.6kgf/cm^2

    하지만 단위를 kgf/cm^2에서 N/mm^2로 바꾸면,

    1kgf = 9.81N, 1cm^2 = 10^-4m^2 이므로,

    σmax = 0.6kgf/cm^2 = (0.6kgf/cm^2)(9.81N/kgf)/(10^-4m^2/cm^2) = 58.86N/mm^2

    마지막으로, N/mm^2에서 kgf/cm^2로 다시 바꾸면,

    1N = 0.10197kgf, 1mm^2 = 10^-2cm^2 이므로,

    σmax = 58.86N/mm^2 = (58.86N/mm^2)(0.10197kgf/N)/(10^-2cm^2/mm^2) = 59.99kgf/cm^2

    따라서, 최대 압축응력은 약 138.75kg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3힌지 아치의 중간 힌지에 수평하중 P가 작용할 때 A지점의 수직반력과 수평반력은? (단, A지점의 반력은 그림과 같은 방향을 정(+)으로 한다.)

(정답률: 68%)
  • A지점의 수직반력은 P/2, 수평반력은 0이다. 이유는 중간 힌지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A지점에서는 수평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A지점에서는 수직방향으로만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중간 힌지에서는 P의 반만큼의 수직방향 힘이 전달되므로 A지점에서는 P/2의 수직방향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 U1 및 D1의 부재력은?

  1. U1=5tf(압축), D1=9tf(인장)
  2. U1=5tf(인장), D1=9tf(압축)
  3. U1=9tf(압축), D1=5tf(인장)
  4. U1=9tf(인장), D1=5tf(압축)
(정답률: 59%)
  • 트러스 구조에서는 각 부재의 하중에 따라 인장력과 압축력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부재 U1과 D1에 대한 부재력을 구해야 합니다.

    먼저, 부재 U1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이 부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는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재 U1이 오른쪽으로 밀려나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재 U1의 부재력은 압축력입니다.

    다음으로, 부재 D1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이 부재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재 D1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위쪽에서 당겨지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재 D1의 부재력은 인장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U1=9tf(압축), D1=5tf(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허용 휨응력 σallow=50kgf/cm2 , 허용 전단응력 τallow=5kgf/cm2일 때 하중 P의 한계치는?

  1. 1,666.7kgf
  2. 2,516.7kgf
  3. 2,500.0kgf
  4. 2,314.8kgf
(정답률: 53%)
  • 단순보에서의 P의 한계치는 허용 휨응력과 허용 전단응력 중에서 더 작은 값에 의해 결정된다.

    허용 휨응력은 Mmax/I로 구할 수 있고, 이 보의 단면계수는 b×h2/6 = 20×402/6 = 5,333.3cm3이다.

    따라서 Mmax = σmax×I = σmax×bh2/6 = 50×5,333.3 = 266,666.7kgf·cm이다.

    P의 한계치는 Mmax와 L/2의 관계식 P×L/2 = Mmax에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보의 길이이다.

    L = 400cm이므로 P×200 = 266,666.7이고, P = 1,333.3kgf이다.

    하지만 이 보는 대각선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허용 전단응력도 고려해야 한다.

    허용 전단응력은 Vmax×t/Ib로 구할 수 있고, 여기서 Vmax는 P/2 = 666.7kgf, t는 보의 두께인 20cm, I는 위에서 구한 값인 5,333.3cm3, b는 보의 너비인 40cm이다.

    따라서 τmax = Vmax×t/Ib = 666.7×20/(5,333.3×40) = 0.5kgf/cm2이다.

    허용 전단응력은 5kgf/cm2이므로, 허용 휨응력보다 작으므로 P의 한계치는 허용 전단응력에 의해 결정된다.

    허용 전단응력에서 P의 한계치는 τmax×b×t = 0.5×40×20 = 400kgf이다.

    따라서 P의 한계치는 400kgf이다.

    따라서 정답은 "1,666.7kgf"가 아니라 "400kg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1차 부정정보에 등간격으로 집중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반력 RA와 RB의 비는?

(정답률: 55%)
  • 등간격으로 작용하는 집중하중은 반력도 등간격으로 작용하므로, RA와 RB는 등비관계에 있다. 따라서 RA : RB = b : a (a > b) 이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반력의 크기를 구하면 RA = (a/(a+b))W, RB = (b/(a+b))W 이다. 따라서 RA : RB = a : b 이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부재 AB가 받는 힘의 크기는?

  1. 3,166.7tf
  2. 3,274.2tf
  3. 3,368.5tf
  4. 3,485.4tf
(정답률: 63%)
  • 부재 AB가 받는 힘의 크기는 전체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AB 위에 위치하므로, 하중 중심으로부터 AB까지의 거리를 L이라고 하면, 부재 AB가 받는 힘의 크기는 (하중 × L)이 됩니다. 따라서, 부재 AB가 받는 힘의 크기는 1,050 × 3.0 = 3,150tf가 됩니다. 하지만, 이 구조물은 대칭 구조가 아니므로, 부재 AC와 동일한 크기의 힘이 AB에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부재 AB가 받는 총 힘의 크기는 3,150 + 3,150 = 6,300tf가 됩니다. 이를 2로 나누면, 부재 AB가 받는 힘의 크기는 3,150t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166.7tf"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등분포하중 q가 작용할 때 보의 최대 처짐은? (단, EI 는 일정하다.)

(정답률: 77%)
  • 보의 최대 처짐은 q가 가장 큰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는 보의 중심에서부터 L/2 거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최대 처짐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max = (5/384) * q * L^4 / EI

    위 식에서 L과 EI는 일정하므로, q가 가장 큰 경우에는 δmax가 가장 크다. 따라서 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경간 연속보의 중앙지점 B에서의 반력은? (단, EI는 일정하다.)

  1. 1/25P
  2. 1/15P
  3. 1/5P
  4. 3/10P
(정답률: 53%)
  • 이 문제는 중간점에서의 반력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 길이 L을 구해야 합니다. L은 2m + 3m + 2m = 7m 입니다. 그리고 중간점에서의 굽힘 각도를 구해야 합니다. 이는 오른쪽 끝에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굽힘 각도를 누적해가면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간점에서의 굽힘 각도는 0.002 rad 입니다. 이제 반력을 구하기 위해 EIw'' = M를 이용합니다. 중간점에서의 모멘트 M은 오른쪽 끝에서부터 중간점까지의 길이인 4m에서의 하중과 오른쪽 끝에서부터 중간점까지의 길이인 4m에서의 하중의 합과 중간점에서의 반력의 합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M = 2.4kN·m 입니다. 따라서 반력은 EIw''/M = (3EI/10L) × (0.002 rad) = 3/10P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단중심(Shear Center)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단중심이란 단면이 받아내는 전단력의 합력점의 위치를 말한다.
  2.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도심과 일치한다.
  3. 하중이 전단중심점을 통과하지 않으면 보는 비틀린다.
  4.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그 대칭축 선상에 있다.
(정답률: 52%)
  •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도심과 일치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전단중심은 단면이 받아내는 전단력의 합력점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대칭축과 일치하는 것은 맞지만 도심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심은 단면이 받는 모든 하중의 모멘트를 균형시키는 점으로, 전단력의 합력점과는 다른 개념이다.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이 대칭축 선상에 위치하는 이유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전단력이 상쇄되어 전단력의 합력점이 대칭축 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4개의 힘이 작용할 때 G점에 대한 모멘트는?

  1. 3,825 tf⋅m
  2. 2,025 tf⋅m
  3. 2,175 tf⋅m
  4. 1,650 tf⋅m
(정답률: 72%)
  • G점에 대한 모멘트는 힘과 그 힘이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수직거리를 곱한 값의 합이다. 따라서, 각 힘에 대한 모멘트를 계산하고 그 합을 구하면 된다.

    - 1번 힘: 1,200 × 3 = 3,600 tf⋅m
    - 2번 힘: 1,200 × 2 = 2,400 tf⋅m
    - 3번 힘: 1,200 × 1 = 1,200 tf⋅m
    - 4번 힘: 1,200 × 2 = 2,400 tf⋅m

    따라서, 모든 힘에 대한 모멘트의 합은 3,600 + 2,400 + 1,200 + 2,400 = 9,600 tf⋅m 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양의 방향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는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9,600에 -7,575를 빼면 G점에 대한 모멘트는 2,025 tf⋅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두 점간의 고저차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A, B 두 사람이 각각 다른 레벨과 표척을 사용하여 왕복관측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두 점간 고저차의 최확값은?

  1. 25.621m
  2. 25.577m
  3. 25.498m
  4. 25.449m
(정답률: 54%)
  • A와 B가 각각 측정한 높이의 평균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1.640 + 1.645) / 2 = 1.6425m
    B: (1.615 + 1.620) / 2 = 1.6175m

    따라서 두 점간의 고저차는 25.621 - (1.6425 - 1.6175) = 25.596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정확한 값이 아니며, 레벨링 오차와 표척 오차 등의 영향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오차가 적은 값인 25.577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선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단곡선 설치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지거법이다.
  2.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을 클로소이드 곡선이라 한다.
  3.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4.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종점에서 무한대이고 시점에서는 원곡선의 반지름이 된다.
(정답률: 54%)
  • 선측량은 도로, 철도, 하천 등의 공간을 설계하고 건설할 때 필요한 기술로, 곡선과 기울기 등을 측정하여 설계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을 클로소이드 곡선이라 한다." 이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곡률이 일정한 곡선이 아니라,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을 말한다. 이는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이 곡선을 지나갈 때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측선의 방위는? (단, 의 방위 = N 82°10′E, ∠ABC = 98°39′, ∠BCD = 67°14′이다.)

  1. S 6° 17' W
  2. S 83° 43' W
  3. N 6° 17' W
  4. N 83° 43' W
(정답률: 36%)
  • 우선 삼각형 ABC의 외각을 구하면 180° - 98°39′ = 81°21′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BCD의 내각을 구하면 180° - 67°14′ - 81°21′ = 31°25′이다. 이제 삼각형 BCD에서 의 방위를 구하기 위해 코사인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

    BC² + CD² - 2(BC)(CD)cos∠BCD = BD²

    BD는 트래버스의 길이이므로 알고 있다. BC와 CD는 삼각형 BCD에서 구할 수 있다.

    cos31°25′ = (BC² + CD² - BD²) / (2BC)(CD)

    cos31°25′을 계산하면 0.8489가 나오고, 이를 이용하여 BC² + CD² - BD² = 2(BC)(CD)(0.8489)를 계산할 수 있다.

    이제 삼각형 BCD에서 의 방위를 구하기 위해 사인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

    sin∠BCD / BD = sin∠CBD / CD

    sin67°14′ / BD = sin∠CBD / CD

    sin∠CBD = (CD)(sin67°14′) / BD

    sin∠CBD을 계산하면 0.9205가 나오고, 이를 이용하여 의 방위를 구할 수 있다.

    = 180° - 98°39′ - arcsin(0.9205) = 83°43′

    따라서 정답은 "N 83° 43' 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교각(I) 60°, 외선 길이(E) 15m인 단곡선을 설치할때 곡선길이는?

  1. 85.2m
  2. 91.3m
  3. 97.0m
  4. 101.5m
(정답률: 52%)
  • 단곡선의 곡률반경은 R=E/2sin(I/2)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I는 교각의 중심각이며, E는 외선 길이입니다. 따라서 R=15/2sin(30)=7.5m입니다. 곡률반경을 이용하여 곡선길이 L=2πR(I/360)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I는 라디안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I=60°=π/3 rad입니다. 따라서 L=2π×7.5×(π/3)/360=101.5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축척 1 : 50000 지형도 상에서 주곡선 간의 도상 길이가 1cm 이었다면 이 지형의 경사는?

  1. 4%
  2. 5%
  3. 6%
  4. 10%
(정답률: 49%)
  • 1cm의 도상 길이는 지형에서 50000cm (500m)의 실제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cm의 도상 길이에 해당하는 실제 거리를 50000으로 나누어 경사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cm의 도상 길이에 해당하는 실제 거리는 500m이므로, 경사율은 (500m / 50000m) x 100 = 1%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4%"가 아닌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평판측량의 전진법으로 측량하여 축척 1 : 300 도면을 작성하였다. 측점A를 출발하여 B, C, D, E, F를 지나 A점에 폐합시켰을 때 도상 오차가 0.6mm이었다면 측점E의 오차 배분량은? (단, 실제거리는 AB=40m, BC= 50m, CD=55m, DE=35m, EF=45m, FA=55m)

  1. 0.1mm
  2. 0.2mm
  3. 0.4mm
  4. 0.6mm
(정답률: 45%)
  • 오차 배분법에 의하면, 오차는 거리에 비례하여 분배된다. 따라서, 측점 A에서 측점 E까지의 거리는 AB+BC+CD+DE=40+50+55+35=180m이다. 따라서, 오차 배분량은 (0.6mm/180m)×35m=0.1167mm이다. 하지만, 축척이 1:300이므로, 실제 오차 배분량은 0.1167mm×300=35mm이다. 따라서, 정답은 0.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도형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지역의 면적 계산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좌표에 의한 계산법
  2. 방안지에 의한 방법
  3. 배횡거(D.M.D)에 의한 방법
  4. 두 변과 그 협각에 의한 방법
(정답률: 55%)
  • 도형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경우, 좌표에 의한 계산법이나 두 변과 그 협각에 의한 방법은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에는 방안지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방안지는 도형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면적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배횡거(D.M.D)에 의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같은 단순한 도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면적 계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준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의 조정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는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여 소거할 수 있다.
  2. 표척의 영눈금 오차는 출발점의 표척을 도착점에서 사용하여 소거할 수 있다.
  3. 측지삼각수준측량에서 곡률오차와 굴절오차는 그 양이 미소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4. 기포의 수평조정이나 표척면의 읽기는 육안으로 한계가 있으나 이로 인한 오차는 일반적으로 허용오차 범위 안에 들 수 있다.
(정답률: 68%)
  • "측지삼각수준측량에서 곡률오차와 굴절오차는 그 양이 미소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곡률오차와 굴절오차가 무시할 수 없는 크기일 수 있으며, 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측량 결과에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캔트(cant)의 크기가 C인 노선을 곡선의 반지름만 2배로 증가시키면 새로운 캔트 C′의 크기는?

  1. 0.5C
  2. C
  3. 2C
  4. 4C
(정답률: 68%)
  • 캔트의 크기는 곡선의 반지름의 두 배와 같습니다. 따라서 곡선의 반지름을 2배로 증가시키면 캔트의 크기는 원래 크기의 2배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곡선의 반지름을 2배로 증가시킨 후의 캔트의 크기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원래 크기의 절반인 0.5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터널 내의 천정에 측점 A, B를 정하여 A점에서 B점으로 수준측량을 한 결과, 고저차 +20.42m, A점에서의 기계고 -2.5m, B점에서의 표척관측값 -2.25m를 얻었다. A점에 세운 망원경 중심에서 표척 관측점(B)까지의 사거리 100.25m에 대한 망원경의 연직각은?

  1. 10° 14' 12"
  2. 10° 53' 56"
  3. 11° 53' 56"
  4. 23° 14' 12"
(정답률: 48%)
  • 먼저, A점과 B점 사이의 고저차를 계산해보자.

    고저차 = A점 기계고 - B점 표척관측값
    = -2.5m - (-2.25m)
    = -0.25m

    따라서, B점의 실제 고도는 A점보다 0.25m 높다.

    이제, 망원경의 연직각을 계산해보자.

    먼저, A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거리 = √(100.25² + 20.42²)
    = 102.05m

    다음으로, A점에서 B점까지의 상대고도를 계산한다.

    상대고도 = B점 고도 - A점 고도
    = (-2.25m) - (-2.5m)
    = 0.25m

    마지막으로, 망원경의 연직각을 계산한다.

    연직각 = arctan(상대고도 / 거리)
    = arctan(0.25 / 102.05)
    = 0.14°

    따라서, 망원경의 연직각은 0.14°이다. 이 값을 60으로 곱하면 분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연직각 = 0.14° × 60
    = 8.4'

    마지막으로, 분을 정답 형식에 맞게 변환하면 된다.

    정답: 10° 53'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00m2의 정사각형 토지면적을 0.2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한 1변의 최대허용오차는?

  1. 2mm
  2. 4mm
  3. 5mm
  4. 10mm
(정답률: 55%)
  • 면적의 최대허용오차는 변의 최대허용오차의 2배이므로,

    변의 최대허용오차 = 0.2m2의 제곱근 / 100m = 0.02m / 10m = 0.002m = 2mm

    따라서, 면적의 최대허용오차는 2mm x 2 = 4mm 이므로, 정답은 "4m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0.2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면적의 최대허용오차는 0.1m2의 제곱근 / 100m = 0.01m / 10m = 0.001m = 1mm 이다.

    따라서, 변의 최대허용오차는 1mm / 2 = 0.5mm 이므로, 정답은 "1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구상의 △ABC를 측정한 결과, 두 변의 거리가 a=30km, b=20km이었고, 그 사잇각이 80°이었다면 이때 발생하는 구과량은? (단, 지구의 곡선반지름은 6400km로 가정한다.)

  1. 1.49"
  2. 1.62"
  3. 2.04"
  4. 2.24"
(정답률: 38%)
  • 먼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알아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밑변이 b=20km이고, 높이는 이 밑변과 이루는 각이 80°이므로, sin(80°)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높이 = b × sin(80°) ≈ 19.14km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는 1/2 × a × 높이 ≈ 286.1km²이다.

    이제, 구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구의 반지름을 알아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지구의 곡선반지름이 6400k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와 구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구의 반지름 = 지구의 곡선반지름 × (삼각형의 넓이 / (4π × 지구의 곡선반지름²))^(1/2) ≈ 20.5km

    따라서, 구의 부피는 4/3 × π × 구의 반지름³ ≈ 1.49 × 10^10 km³이다.

    따라서, 정답은 "1.4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자(float)에 의해 유속을 측정하고자 한다. 측정지점 제1단면과 제2단면간의 거리가 가장 적합한 것은? (단, 큰 하천의 경우)

  1. 1~5m
  2. 20~50m
  3. 100~200m
  4. 500~1000m
(정답률: 60%)
  • 부자는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표면에 떠다니는 물체를 이용한다. 이 물체는 제1단면에서 출발하여 제2단면까지 이동하는데, 이동 거리가 너무 짧으면 측정 오차가 커지고, 너무 길면 물체의 이동 속도가 느려져서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적합한 거리는 100~200m이다. 이 거리는 측정 오차가 적고, 측정 시간도 적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형도 상에 나타나는 해안선의 표시기준은?

  1. 평균해면
  2. 평균고조면
  3. 약최저저조면
  4. 약최고고조면
(정답률: 48%)
  • 해안선의 표시 기준은 해수면의 변화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위와 가장 낮은 수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입니다. 이를 약최고고조면과 약최저저조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지형도 상에서 나타나는 해안선의 표시 기준은 약최고고조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진의 기하학적 성질 중 공간상의 임의의 점P(Xp, Yp, Zp)와 그에 대응하는 사진 상의 점(x, y) 및 사진기의 촬영중심 0(Xo, Yo, Zo)가 동일 직선상에 있어야 하는 조건은?

  1. 수렴조건
  2. 샤임플러그 조건
  3. 공선 조건
  4. 소실점 조건
(정답률: 45%)
  • 공간상의 임의의 점P, 사진 상의 점(x, y) 및 사진기의 촬영중심 0이 동일 직선상에 있어야 하는 조건은 공선 조건이다. 이는 사진상의 한 점이 실제 공간상의 어떤 점과 대응되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다.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사진상의 한 점이 실제 공간상의 어떤 점과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유심 삼각망에서 만족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① + ② + ⑨) - 180° = 0
  2. [① + ②] - [⑤ + ⑥] = 0
  3. (⑨ + ⑩ + ⑪ + ⑫) - 360° = 0
  4. (①+②+③+④+⑤+⑥+⑦+⑧) - 360° = 0
(정답률: 66%)
  • 정답은 "(⑨ + ⑩ + ⑪ + ⑫) - 360° = 0" 이다. 이는 육각형의 내각의 합이 720도이기 때문에, 육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세 개의 외각의 합은 360도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조건들은 각각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 삼각형의 외각의 합이 360도, 삼각망의 내각의 합이 360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① + ②] - [⑤ + ⑥] = 0"은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라는 조건에서 유도될 수 있다. 삼각형 ABC에서 ∠A + ∠B + ∠C = 180도이므로, ∠A + ∠B = 180도 - ∠C이다. 이를 삼각형 ADE와 ACF에 적용하면, (① + ②) - (⑤ + ⑥) = (∠ADE + ∠AED + ∠ACF + ∠AFC) - (∠EDC + ∠FEC) = (∠ADE + ∠ACF) - (∠EDC + ∠FEC) = (∠ADE + ∠ACF) - (∠BDC + ∠BEC) = (∠ADE + ∠ACF) - (∠ADE + ∠ACF) =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지구의 형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전타원체는 지구의 형상을 수학적으로 정의한 것이고, 어느 하나의 국가에 기준으로 채택한 타원체를 준거타원체라 한다.
  2. 지오이드는 물리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만든 불규칙한 곡면이며, 높이 측정의 기준이 된다.
  3. 임의 지점에서 회전타원체에 내린 법선이 적도면과 만나는 각도를 측지위도라 한다.
  4. 지오이드 상에서 중력 포텐셜의 크기는 중력이상에 의하여 달라진다.
(정답률: 55%)
  • "지오이드 상에서 중력 포텐셜의 크기는 중력이상에 의하여 달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오이드는 지구의 물리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만든 불규칙한 곡면이며, 높이 측정의 기준이 됩니다. 지구는 회전타원체로 정의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국가에 기준으로 채택한 타원체를 준거타원체라고 합니다. 임의 지점에서 회전타원체에 내린 법선이 적도면과 만나는 각도를 측지위도라고 합니다.

    중력 포텐셜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결정되며, 지구의 형상과 질량 분포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지오이드와 회전타원체는 중력 포텐셜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삼각측량에서 삼각점을 선점할 때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삼각형은 정삼각형에 가까울수록 좋다.
  2. 가능한 측점의 수를 많게 하고 거리가 짧을수록 유리하다.
  3. 미지점은 최소 3개, 최대 5개의 기지점에서 정ㆍ반양방향으로 시통이 되도록 한다.
  4. 삼각점의 위치는 다른 삼각점과 시준이 잘되어야 한다.
(정답률: 68%)
  • "삼각형은 정삼각형에 가까울수록 좋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가능한 측점의 수를 많게 하고 거리가 짧을수록 유리하다."는 이유는 삼각측량에서 측정 오차는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측점의 수를 많게 하고 거리를 짧게 하면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폐합트래버스 ABCD에서 각 측선의 경거, 위거가표와 같을 때, 측선의 방위각은?

  1. 133°
  2. 135°
  3. 137°
  4. 145°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초점거리가 200mm인 카메라로 촬영고도 10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지상 연직점으로부터 200m 떨어진 곳의 비고 400m인 산정에 대한 사진 상의 기복 변위는?

  1. 16mm
  2. 18mm
  3. 81mm
  4. 82mm
(정답률: 36%)
  • 초점거리가 200mm이므로, 카메라에서 지상 연직점까지의 거리는 1000m이다. 또한, 비고 400m인 산정까지의 거리는 200m이므로, 카메라에서 산정까지의 거리는 1200m이다.

    이 때, 기복 변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기복 변위 = (비고 / 카메라에서 대상까지의 거리) x 초점거리

    = (400 / 1200) x 200

    = 16mm

    따라서, 정답은 "1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및 수문학

41. 다음 중 증발량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에너지수지(energy budget) 방법
  2. 물수지(water budget) 방법
  3. IDF 곡선 방법
  4. Penman 방법
(정답률: 52%)
  • IDF 곡선 방법은 증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강수량의 빈도와 강도를 분석하여 홍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증발량 산정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물 속에 존재하는 임의의 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작용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2.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한다.
  3. 정수압은 임의의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
  4. 정수압의 수직압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65%)
  • 정수압은 액체나 기체 내부에서 임의의 면에 작용하는 압력이며, 이는 해당 면에 수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정수압은 임의의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수 전후의 수심이 각각 1m, 3m일 때 에너지손실은?

  1. 1/3m
  2. 1/2m
  3. 2/3m
  4. 4/5m
(정답률: 62%)
  • 에너지손실은 수심의 차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3m에서 1m로 내려갈 때의 에너지손실은 2/3m이 된다. 이는 수심의 차이가 2m이므로, 전체 에너지 중 2/3만큼이 손실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각형 단면의 광정 위어에서 월류수심 h=1m, 수로폭 b=2m, 접근유속 Va =2m/s일 때 위어의 월류량은? (단, 유량계수 C=0.65이고, 에너지 보정계수=1.0이다.)

  1. 1.76m3/s
  2. 2.21m3/s
  3. 2.66m3/s
  4. 2.92m3/s
(정답률: 23%)
  • 위어의 월류량 Q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C * b * h * Va

    여기서, C는 유량계수, b는 수로폭, h는 월류수심, Va는 접근유속이다.

    따라서, Q = 0.65 * 2m * 1m * 2m/s = 2.6m3/s

    하지만, 문제에서 에너지 보정계수가 1.0으로 주어졌으므로, 보정된 월류량은 계산된 값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2.92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하수에 대한 Darcy 법칙의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향권의 반지름에 비례한다.
  2. 동수경사에 비례한다.
  3. 동수반경에 비례한다.
  4. 수심에 비례한다.
(정답률: 71%)
  • Darcy 법칙은 지하수의 유속을 나타내는 법칙으로, 지하수의 유속은 지하수의 영향권 반지름, 지하수의 동수경사, 지하수의 동수반경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하수의 동수경사이다. 이는 지하수의 동수경사가 클수록 지하수의 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수경사에 비례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이 일정한 수위차가 계속 유지되는 두 수조를 서로 연결하는 관내를 흐르는 유속의 근사값은? (단, 관의 마찰손실계수=0.03, 관의 지름 D=0.3m, 관의 길이 ℓ=300m이고 관의 유입 및 유출 손실수두는 무시한다.)

  1. 1.6m/s
  2. 2.3m/s
  3. 16m/s
  4. 23m/s
(정답률: 59%)
  • 이 문제에서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사용하여 유속을 구할 수 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보존된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 + 1/2ρv^2 + ρgh = 상수

    여기서 P는 압력, ρ는 유체의 밀도, v는 유속, h는 수위차, g는 중력가속도이다.

    두 수조를 연결하는 관에서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두 수조의 수위차를 알아야 한다. 그림에서 수위차는 2m이다.

    또한, 문제에서는 유입 및 유출 손실수두를 무시하므로,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상수는 유속이 일정한 경우에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위차와 압력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할 수 있다. 두 수조의 압력은 같으므로, 수위차에 해당하는 ρgh 항이 유속과 압력의 차이를 나타낸다.

    ρgh = P1 - P2

    여기서 P1은 상단 수조의 압력, P2는 하단 수조의 압력이다.

    따라서, 유속 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2gh/(1-0.03)(D/2)^4/5)

    = √(2×9.8×2/(0.97×0.3^4/5))

    ≈ 1.6m/s

    따라서, 정답은 "1.6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심에 비해 수로 폭이 매우 큰 사각형 수로에 유량 Q가 흐르고 있다. 동수경사를 I , 평균유속계수를 C 라고 할 때 Chezy 공식에 의한 수심은? (단, h : 수심, B : 수로 폭)

(정답률: 41%)
  • Chezy 공식은 다음과 같다.

    V = C√(IR)

    여기서 V는 유속, I는 동수경사, R은 수면하선길이/단면적이다.

    수로 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수면하선길이는 수심 h로 근사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수로의 단면적은 B*h이므로 R은 B/h가 된다.

    따라서,

    V = C√(I*B/h)

    Q = V*B*h

    Q/Bh = C√(I*B/h)

    h = (Q^2/C^2IB)^1/5

    이를 정리하면,

    h = (Q^2/IC^2B^2)^(1/5)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베르누이 정리(Bernoulli `s theorem)에 관한 표현식 중 틀린 것은? (단, z : 위치수두, p/w : 압력수두, v2/2g: 속도수두, He : 수차에 의한 유효낙차, Hp : 펌프의 총양정, h : 손실수두, 유체는 점1에서 점2로 흐른다.)

  1. 실제유체에서 손실수두를 고려할 경우
  2. 두 단면 사이에 수차(turbine)를 설치할 경우
  3. 두 단면 사이에 펌프(pump)를 설치한 경우
  4. 베르누이 정리를 압력항으로 표현할 경우
(정답률: 58%)
  • "두 단면 사이에 펌프(pump)를 설치한 경우 "가 틀린 표현식이 아닙니다.

    두 단면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면 압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압력수두(p/w)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베르누이 정리에서는 와 같은 표현식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실제 유체에서는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한 표현식은 와 같습니다. 또한 두 단면 사이에 수차(turbine)를 설치할 경우에는 와 같은 표현식이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베르누이 정리를 압력항으로 표현할 경우에는 와 같은 표현식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유수면을 가지고 있는 깊은 우물에서 양수량 Q를 일정하게 퍼냈더니 최초의 수위 H가 h0로 강하하여 정상흐름이 되었다. 이 때의 양수량은? (단, 우물의 반지름 = r0, 영향원의 반지름= R, 투수계수= k)

(정답률: 46%)
  • 자유수면을 가지고 있는 깊은 우물에서 양수량 Q를 일정하게 퍼냈더니 최초의 수위 H가 h0로 강하하여 정상흐름이 되었다고 하자. 이 때의 양수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물의 첫 번째 수위와 두 번째 수위 사이의 높이 차이를 구해야 한다. 이 높이 차이는 영향원의 반지름 R과 우물의 반지름 r0에 따라 달라지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구한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양수량 Q를 구할 수 있다. 이 때, 투수계수 k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비력(specific for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의 충격에 의해 생기는 힘의 크기
  2. 비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수심에서의 에너지
  3. 한계수심으로 흐를 때 한 단면에서의 총 에너지 크기
  4. 개수로의 어떤 단면에서 단위중량당 동수압과 정수 압의 합계
(정답률: 36%)
  • 비력은 물의 힘을 나타내는 단위중량당 동수압과 정수압의 합계로, 어떤 단면에서의 총 에너지 크기를 의미합니다. 즉, 해당 구간에서 물의 힘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의 충격에 의해 생기는 힘의 크기나 비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수심에서의 에너지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역면적이 25km2이고, 1시간에 내린 강우량이 120mm일 때 하천의 최대 유출량이 360m3/s이면 이 지역에 대한 합리식의 유출계수는?

  1. 0.32
  2. 0.43
  3. 0.56
  4. 0.72
(정답률: 61%)
  • 유출계수는 최대 유출량을 역면적과 강우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유출계수 = (최대 유출량 / 역면적) / 강우량 = (360 / 25) / 120 = 0.12 / 0.28 ≈ 0.43 이다. 이유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유출계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강우량이 120mm일 때 유출계수가 0.43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계유속으로 흐르고 있는 수로에서의 수심
  2. 흐루드 수(Froude Number)가 1인 흐름에서의 수심
  3. 일정한 유량을 흐르게 할 때 비에너지를 최대로 하는 수심
  4. 일정한 비에너지 아래에서 최대유량을 흐르게 할 수있는 수심
(정답률: 49%)
  • "일정한 유량을 흐르게 할 때 비에너지를 최대로 하는 수심"이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한계수심의 정의 중 하나입니다. 한계수심은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면서 비에너지를 최대화하는 수심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DAD 곡선을 작성하는 순서가 옳은 것은?

  1. 가 -다 -나 - 라
  2. 나 -가 -라 - 다
  3. 다 -나 -가 - 라
  4. 라 -다 -나 - 가
(정답률: 44%)
  • DAD 곡선은 먼저 D 점에서 시작하여 A 점으로 이동한 후, 다시 D 점으로 돌아와서 최종적으로 D 점에서 끝나는 곡선이다. 따라서 "가 -다 -나 - 라" 순서가 옳다. A 점은 D 점에서 시작하여 반드시 지나가야 하므로, "나 -가 -라 - 다" 순서는 옳지 않다. 또한, DAD 곡선은 D 점에서 시작하여 D 점에서 끝나므로, "다 -나 -가 - 라" 순서와 "라 -다 -나 - 가" 순서도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유효강우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직접유출량
  2. 기저유출량
  3. 지표면유출량
  4. 지표하유출량
(정답률: 64%)
  • 유효강우량은 일정 기간 동안 강우가 내릴 때 유입되는 최대 유량을 의미합니다. 이 때, 강우가 내린 물이 유입되는 경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직접유출량은 지표면을 통해 강우가 내린 물이 지하수나 하천으로 바로 유입되는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효강우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직접유출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형 관수로 내의 층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지름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2. 속도분포는 대수분포 곡선이며,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반비례한다.
  3. 마찰응력 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점성계수와 관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4.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42%)
  • 원형 관수로 내의 층류 흐름은 중심축을 따라 대칭이며,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다. 이는 관의 중심부에서 유속이 가장 빠르고, 벽면에 가까워질수록 유속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또한,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비례한다. 이는 관의 지름이 일정하다면, 압력강하량이 크면 유량이 커지고, 압력강하량이 작으면 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분포는 포물선이며, 유량은 압력강하량에 비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오리피스에서 수축계수의 정의와 그 크기로 옳은 것은? (단, ao : 수축단면적, a : 오리피스 단면적, Vo : 수축단면의 유속, V : 이론유속)

(정답률: 60%)
  • 정답은 ""이다. 수축계수는 오리피스 단면적과 수축단면적의 비율로 정의되며, 이 값은 항상 1보다 작다. 이유는 수축단면은 오리피스 단면보다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축계수가 1보다 작은 값이 되며, 이 값이 작을수록 유속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수로 흐름에서 난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찰손실계수는 레이놀즈수만 알면 구할 수 있다.
  2. 관벽 조도가 유속에 주는 영향은 층류일 때보다 작다.
  3. 관성력의 점성력에 대한 비율이 층류의 경우보다 크다.
  4. 에너지 손실은 주로 난류효과보다 유체의 점성 때문에 발생된다.
(정답률: 51%)
  • 난류는 유체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일어나는 불규칙한 운동이다. 이러한 난류는 관성력과 점성력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관성력은 유체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하며, 점성력은 유체의 점성과 표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관성력의 점성력에 대한 비율이 층류의 경우보다 크다는 것은 유체의 질량과 속도가 크기 때문에 난류가 발생할 때 관성력이 점성력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강우자료의 변화요소가 발생한 과거의 기록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자료의 일관성을 조사하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정상연강수량비율법
  2. DAD분석
  3. Thiessen의 가중법
  4. 이중누가우량분석
(정답률: 72%)
  • 강우자료의 변화요소가 발생한 과거의 기록치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자료를 조사해야 합니다. 이중누가우량분석은 강우량 자료를 분석하여 지역 간 강우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역 간 강우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보정하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자료를 조사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중누가우량분석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물이 담겨 있는 그릇을 정지 상태에서 가속도 a로 수평으로 잡아당겼을 때 발생되는 수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30°이었다면 가속도 a는? (단, 중력가속도=9.8m/s2)

  1. 약 4.9m/s2
  2. 약 5.7m/s2
  3. 약 8.5m/s2
  4. 약 17.0m/s2
(정답률: 46%)
  • 수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30°이므로, 그릇에 작용하는 힘 F는 수평방향으로 Fcos30°, 수직방향으로 Fsin30°의 크기를 가진다. 이 때 그릇에 작용하는 중력은 수직방향으로 mg의 크기를 가진다. 그릇이 가속도 a로 가속될 때, 그릇에 작용하는 힘과 중력의 합력이 ma가 된다.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합력은 Fcos30°이고,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합력은 Fsin30°-mg이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한다.

    Fcos30° = ma

    Fsin30° - mg = 0

    위 두 식을 이용하여 a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 Fcos30° / m = (Fsin30° / m)g = (0.5F / m)g

    여기서 F는 그릇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이고, m은 그릇의 질량이다. 중력가속도 g는 9.8m/s2이므로, a를 구하기 위해서는 F와 m의 값을 알아야 한다.

    그릇에 작용하는 힘 F는 수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30°일 때, 그릇의 경사각이 60°이 되도록 하는 힘이다. 이 때 그릇의 경사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60°이므로, 그릇에 작용하는 힘 F는 그림과 같이 mg의 2배인 2mg의 크기를 가진다.

    ![image.png](attachment:image.png)

    따라서 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 (0.5F / m)g = (0.5 × 2mg / m)g = 5.7m/s2

    따라서 정답은 "약 5.7m/s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동점성계수의 차원으로 옳은 것은?

  1. [FL-2T]
  2. [L2 T-1]
  3. [FT-4T-2]
  4. [FL2]
(정답률: 46%)
  • 동점성계수는 힘과 속도의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므로, 차원은 [L2 T-1]이다. [FL-2T]는 힘과 길이의 비율, [FT-4T-2]는 힘과 시간의 비율, [FL2]는 힘과 길이의 제곱의 비율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아래 그림과 같은 단철근 T형보의 공칭휨모멘트 강도(Mn)은 얼마인가? (단, fck=24 MPa, fy=400 MPa이고, As=4500mm2)

  1. 1123.13 kNㆍm
  2. 1289.15 kNㆍm
  3. 1449.18 kNㆍm
  4. 1590.32 kNㆍm
(정답률: 57%)
  • 단철근 T형보의 공칭휨모멘트 강도(M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n = 0.9 × fy × As × (d - a/2)

    여기서, d는 단면의 전체 높이, a는 상부플랜지의 높이, As는 단면의 전체 단철근 면적이다.

    주어진 단철근 T형보의 경우, 전체 높이는 400 mm이고, 상부플랜지의 높이는 100 mm이다. 따라서, 하부웹의 높이는 300 mm이다.

    또한, 전체 단철근 면적은 4500 mm2이다.

    따라서, Mn = 0.9 × 400 MPa × 4500 mm2 × (300 - 100/2) = 1449.18 kNㆍ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49.18 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아래 그림과 같은 두께 19mm 평판의 순단면적을 구하면? (단, 볼트 체결을 위한 강판 구멍의 작은 직경은 25mm이다.)

  1. 3270mm2
  2. 3800mm2
  3. 3920mm2
  4. 4530mm2
(정답률: 51%)
  • 먼저 전체 면적을 구해보자.
    전체 면적 = (50+25)mm × (80+25)mm = 3750mm²
    하지만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이 있으므로 이를 제외해야 한다.
    구멍의 면적 = π(12.5mm)² = 490.87mm²
    따라서 순단면적은 전체 면적에서 구멍의 면적을 빼면 된다.
    순단면적 = 3750mm² - 490.87mm² = 3259.13mm²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3259.13mm²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3800mm²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구조물을 해석하여 설계하고자 할 때 계수고정하중은 항상 작용하고 있으므로 모든 경간에 재하시키면 되지만, 계수활하중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계수활하중을 배치하는 방법 중에서 적절하지 않은 방법은?

  1. 해당 바닥판에만 재하된 것으로 보아 해석한다.
  2.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하중조합은 모든 경간에 재하된 계수고정하중과 두 인접 경간에 만재된 계수활하중의 조합하중으로 해석한다.
  3.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하중조합은 모든 경간에 재하된 계수고정하중과 한 경간씩 건너서 만재된 계수활하중과의 조합하중으로 해석한다.
  4.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하중조합은 모든 경간에 재하된 계수고정하중과 모든 경간에 만재된 계수활하중의 조합하중으로 해석한다.
(정답률: 39%)
  • 정답: "해당 바닥판에만 재하된 것으로 보아 해석한다."

    해당 바닥판에만 재하된 계수활하중으로 해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하중을 받으며, 바닥판에만 하중이 작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모든 경간에 재하시키는 계수고정하중과 모든 경간에 만재된 계수활하중의 조합하중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는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고려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부분적 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물에 부분적으로 PSC부재를 사용하는 것
  2. 부재단면의 일부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
  3. 설계하중의 일부만 프리스트레스에 부담시키고 나머지는 긴장재에 부담시키는 것
  4. 설계하중이 작용할 때 PSC부재단면의 일부에 인장 응력이 생기는 것
(정답률: 51%)
  • 부분적 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은 부재단면의 일부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설계하중의 일부만 프리스트레스에 부담시키고 나머지는 긴장재에 부담시키는 것으로, 설계하중이 작용할 때 PSC부재단면의 일부에 인장 응력이 생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50MPa인 경우 콘크리트 탄성계수 및 크리프 계산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fcu)는?

  1. 54MPa
  2. 55MPa
  3. 56MPa
  4. 57MPa
(정답률: 57%)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와 평균압축강도(fcu)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fcu = fck + 8 MPa

    따라서, fck가 50MPa인 경우,

    fcu = 50MPa + 8 MPa = 58MPa

    하지만,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는 실제로 시공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반영하기 위해 조절됩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보통 fcu를 fck보다 5MPa 정도 높게 설정합니다. 따라서, fcu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cu = 50MPa + 8 MPa + 5 MPa = 63MPa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55MPa가 가장 근접한 값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국내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fcu가 55MPa일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1방향 슬래브의 구조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의 단변방향 보의 상부에 부모멘트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장변방향으로 슬래브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3.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은 위험단면을 제외한 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7%)
  •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정답인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은 위험단면을 제외한 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6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는 슬래브의 안전성을 고려한 것으로, 슬래브의 두께와 철근 배치 간격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어야 안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나선철근 압축부재 단면의 심부지름이 400mm, 기둥단면 지름이 500mm인 나선철근 기둥의 나선철근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나선철근의 설계기 준항복강도(fyt) = 400MPa, fck = 21MPa)

  1. 0.0133
  2. 0.0201
  3. 0.0248
  4. 0.0304
(정답률: 40%)
  • 나선철근비는 나선철근의 단면적을 기둥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나선철근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나선철근의 단면적과 기둥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나선철근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s = (π/4) × ds2

    여기서, ds는 심부지름이다. 따라서,

    As = (π/4) × 4002 = 50265.48 mm2

    기둥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c = (π/4) × dc2

    여기서, dc는 기둥단면 지름이다. 따라서,

    Ac = (π/4) × 5002 = 196349.54 mm2

    나선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ρ = As / Ac = 50265.48 / 196349.54 = 0.256

    하지만, 이 값은 최소 나선철근비이다. 따라서, 설계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나선철근비를 더 작게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나선철근비는 0.02 이하로 가져가는 것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나선철근비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답은 0.013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철근 콘크리트 휨 부재설계에 대한 일반원칙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인장철근이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률에 도달하고 동시에 압축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 변형률인 0.003에 도달할 때, 그 단면이 균형변형률 상태에 있다고 본다.
  2.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 이하인 경우, 압축연단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 변형률인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 순인장변형률이 0.005의 인장지배변형률 한계 이상인 단면을 인장지배단면이라고 한다.
  3.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을 초과하는 경우, 인장 지배변형률한계를 철근 항복변형률의 1.5배로 한다.
  4. 순인장변형률이 압축지배변형률 한계와 인장지배변 형률 한계 사이인 단면은 변화구간단면이라고 한다.
(정답률: 55%)
  • 일반원칙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을 초과하는 경우, 인장 지배변형률한계를 철근 항복변형률의 1.5배로 하는 이유는, 항복강도가 높은 철근은 항복변형률이 작기 때문에, 인장지배단면에서의 변형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지배단면에서의 변형을 충분히 고려하기 위해 인장 지배변형률한계를 더 높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래 그림과 같은 리벳이음에서 필요한 최소 리벳수를 구하면? (단, 리벳의 허용 전단응력은 100MPa, 허용 지압응력은 200MPa이고, φ22mm이다.)

  1. 4개
  2. 5개
  3. 6개
  4. 7개
(정답률: 41%)
  • 리벳이음에서 필요한 최소 리벳수는 허용 전단응력과 허용 지압응력을 모두 만족하는 리벳의 수를 의미한다. 이 그림에서는 각각의 리벳에 작용하는 힘이 다르므로, 각 리벳에 대해 전단응력과 지압응력을 계산하여 그 중 더 작은 값으로 허용응력을 계산해야 한다.

    가장 위쪽 리벳을 예로 들면, 리벳에 작용하는 힘은 10kN이다. 이 때 전단응력은 F/A = 10kN/(π/4 × 22^2mm) ≈ 25.5MPa, 지압응력은 F/(2 × t × d) = 10kN/(2 × 1.5mm × 22mm) ≈ 151.5MPa이다. 따라서 이 리벳의 허용응력은 25.5MPa로 결정된다.

    각 리벳에 대해 위와 같이 허용응력을 계산하면, 아래 표와 같다.

    | 리벳 | 전단응력(MPa) | 지압응력(MPa) | 허용응력(MPa) |
    |------|--------------|--------------|----------------|
    | 1 | 25.5 | 151.5 | 25.5 |
    | 2 | 25.5 | 151.5 | 25.5 |
    | 3 | 25.5 | 151.5 | 25.5 |
    | 4 | 25.5 | 151.5 | 25.5 |
    | 5 | 25.5 | 151.5 | 25.5 |
    | 6 | 25.5 | 151.5 | 25.5 |
    | 7 | 25.5 | 151.5 | 25.5 |
    | 8 | 25.5 | 151.5 | 25.5 |
    | 9 | 25.5 | 151.5 | 25.5 |

    모든 리벳의 허용응력이 100MPa와 200MPa를 모두 만족하므로, 필요한 최소 리벳수는 7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7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fck=21MPa fy=300MPa, 압축부콘크리트의 최대변형률은 0.003이고 인장철근의 응력은fy에 도달한다.)

  1. 압축철근은 항복응력에 도달하지 못한다.
  2.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280.1mm이다.
  3. 이 단면의 변화구간에 속한다.
  4. 이 단면의 공칭휨강도(Mn)는 788.4 kNㆍm이다.
(정답률: 52%)
  •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280.1mm이다. 이 단면의 변화구간에 속하며, 압축철근은 항복응력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인장철근만으로 단면의 휨강도를 계산한다. 따라서, Mn=0.9×fy×As×(d-0.5a)=0.9×300×314.2×(450-0.5×280.1)=788.4 kNㆍm이다. 따라서 "이 단면의 공칭휨강도(Mn)는 788.4 kNㆍm이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복철근으로 설계해야 할 경우를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단면이 넓어서 철근을 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2. 정, 부 모멘트를 교대로 받는 경우
  3. 크리프에 의해 발생하는 장기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4. 보의 높이가 제한되어 철근의 증가로 휨강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
(정답률: 28%)
  • 단면이 넓어서 철근을 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설계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철근의 분산은 단면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으며, 단면이 크다고 해서 반드시 복철근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단면이 넓어서 철근을 고루 분산시키기 위해"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래 그림과 같은 필렛용접의 현상에서 s=9mm일 때 목두께 a의 값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5.46mm
  2. 6.36mm
  3. 7.26mm
  4. 8.16mm
(정답률: 64%)
  • 필렛용접에서 목두께 a는 필렛의 높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필렛의 높이는 s의 0.7배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6.3mm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필렛이 너무 높아지면 용접재료의 낭비가 심해지므로 적당한 값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6.36mm가 가장 적당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bw=300, d=500mm인 단철근직사각형 보가 있다. 강도설계법으로 해석할 때 최소철근량은 얼마인가? (단, fck=35MPa, fy=400MPa이다.)

  1. 555mm2
  2. 525mm2
  3. 505mm2
  4. 485mm2
(정답률: 57%)
  • 최소철근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s,min = 0.13 × fck × bw × d / fy

    여기서, bw는 보의 폭, d는 보의 높이, fck는 콘크리트의 허용 인장강도, fy는 철근의 항복강도이다.

    따라서, As,min = 0.13 × 35MPa × 300mm × 500mm / 400MPa = 555mm2

    따라서, 정답은 "555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경간이 8m인 직사각형 PSC보(b=300mm, h=500mm)에 계수하중 w=40kN/m가 작용할 때 인장측의 콘크리트 응력이 0이 되려면 얼마의 긴장력으로 PS강재를 긴장해야 하는가? (단, PS강재는 콘크리트 단면도심에 배치되어 있음)

  1. P=1250kN
  2. P=1880kN
  3. P=2650kN
  4. P=3840kN
(정답률: 55%)
  • 먼저, 콘크리트 단면도심에서의 인장력과 PS강재의 긴장력이 같아지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단면도심에서의 인장력을 구해야 한다.

    콘크리트 단면도심에서의 인장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frac{wL^2}{8} = frac{40 times 8^2}{8} = 320kN$

    여기서, $N$은 콘크리트 단면도심에서의 인장력, $w$는 계수하중, $L$은 직사각형 보의 길이(8m)이다.

    따라서, PS강재의 긴장력은 $320kN$이 되어야 한다. PS강재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bh = 0.3 times 0.5 = 0.15m^2$

    PS강재의 긴장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f_yA = 210 times 10^6 times 0.15 = 31.5 times 10^6 N = 3150kN$

    여기서, $f_y$는 PS강재의 항복강도이다.

    하지만, PS강재는 콘크리트 단면도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PS강재의 긴장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야 한다.

    $P = frac{NA}{d} = frac{320 times 10^3 times 0.15}{0.25} = 1920kN$

    여기서, $d$는 콘크리트 단면의 높이(500mm)이다.

    따라서, PS강재를 $3840kN$의 긴장력으로 긴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직사각형 보에서 계수 전단력 Vu=70kN을 전단철근 없이 지지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최소 유효깊이 d는 약 얼마인가? (단, bw=400mm, f ck=21MPa, fy=350MPa)

  1. d=426mm
  2. d=556mm
  3. d=611mm
  4. d=751mm
(정답률: 58%)
  • 직사각형 보에서 전단력을 전단철근 없이 지지하고자 할 때, 최소 유효깊이 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u = 0.6 × fck × bw × d

    여기서, 0.6는 전단파동 계수, fck는 콘크리트의 고강도압축강도, bw는 보의 폭, d는 유효깊이이다.

    이를 d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 = Vu / (0.6 × fck × bw)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d = 70 × 103 / (0.6 × 21 × 106 × 400) = 0.611m = 611mm

    따라서, 필요한 최소 유효깊이는 61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에 나타난 직사각형 단철근 보의 설계휨강도(φMn)를 구하기 위한 강도감소계수( φ )는 얼마인가? (단, fck=28MPa, fy=400MPa)

  1. 0.85
  2. 0.84
  3. 0.82
  4. 0.79
(정답률: 55%)
  • 강도감소계수(φ)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φ = 0.9 - 0.005 × (fck - 28) - 0.01 × (fy - 400)

    여기에 fck=28MPa, fy=400MPa를 대입하면,

    φ = 0.9 - 0.005 × (28 - 28) - 0.01 × (400 - 400) = 0.82

    따라서, 강도감소계수(φ)는 0.8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은 정사각형 독립확대 기초 저면에 작용하는 지압력이 q=100kPa 일 때 휨에 대한 위험단면의 휨모멘트 강도는 얼마인가?

  1. 216 kNㆍm
  2. 360 kNㆍm
  3. 260 kNㆍm
  4. 316 kNㆍm
(정답률: 41%)
  • 해당 문제는 정사각형 독립확대의 중심에 대한 휨모멘트를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지압력 q=100kPa는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이므로, 정사각형 독립확대의 면적인 A=1m^2에 대한 지압력은 qA=100kN이 된다.

    이제, 독립확대의 중심에 대한 휨모멘트를 구하기 위해, 독립확대를 가로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그러면, 독립확대의 중심에 대한 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qA/2) * (L/2)^2

    여기서 L은 독립확대의 변의 길이이다. 따라서, L=2m이므로,

    M = (100kN/m^2 * 1m^2 / 2) * (2m/2)^2 = 100kNㆍm

    따라서, 위험단면의 휨모멘트 강도는 216 kNㆍ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길이가 3m인 캔틸레버보의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 포하중이 100kN/m일 때 위험단면에서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은 약 얼마인가? (단, fck=24MPa, fy= 300MPa, b=300mm, d=500mm)

  1. 185kN
  2. 211kN
  3. 227kN
  4. 239kN
(정답률: 40%)
  • 먼저, 캔틸레버보의 중립면에서의 굽힘모멘트를 구해야 한다.
    캔틸레버보의 균일하게 분포된 하중에 의한 중립면에서의 굽힘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M = (qL^2)/2 = (100 × 3^2)/2 = 450 kNm/m

    다음으로, 전단력을 구하기 위해 전단력식을 사용한다.

    V = (0.87 × fck × b × d) / √3

    여기서,

    0.87 : 전단강도 감소 계수
    fck : 고강도 콘크리트의 공압강도
    b : 단면의 너비
    d : 단면의 높이

    위 식에 값을 대입하면,

    V = (0.87 × 24 × 300 × 500) / √3 = 1,025 kN

    하지만, 이 값은 전체 단면에서의 전단력이므로, 위험단면에서의 전단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안전율을 고려해야 한다.

    전단강도 감소 계수를 0.75로 가정하고, 안전율을 1.5로 가정하면,

    Vu = (1.5 × 0.75 × 0.87 × 24 × 300 × 500) / √3 = 211 kN

    따라서, 위험단면에서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은 211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부재의 최대모멘트 Ma와 균열모멘트 Mcr의 비(Ma/Mcr)가 0.95인 단순보의 순간처짐을 구하려고 할때 사용되는 유효단면 2차모멘트( I e )의 값은? (단, 철근을 무시한 중립축에 대한 총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는 Ig=540000cm4이고, 균열 단면의 단면2차모멘트 Icr =345080cm4이다.)

  1. 200738cm4
  2. 345080cm4
  3. 540000cm4
  4. 570724cm4
(정답률: 55%)
  • 단순보에서의 순간처짐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δ = Ma L / (2 E I e )

    여기서 Ma/Mcr = 0.95 이므로,

    Ma = 0.95 Mcr

    위 식을 δ에 대입하면,

    δ = 0.95 Mcr L / (2 E I e )

    양변을 정리하면,

    I e = 0.95 Mcr L / (2 E δ)

    따라서, 유효단면 2차모멘트 I e 의 값은 주어진 조건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 e = 0.95 × 345080cm4 × L / (2 × E × δ)

    여기서 L과 E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면2차모멘트 Ig를 사용하여 I e 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I e = Ig - Icr = 540000cm4 - 345080cm4 = 194920cm4

    따라서, 정답은 "540000cm4"이 아니라 "194920cm4"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단면이 400×500mm이고 150mm2의 PSC강선 4개를 단면 도심축에 배치한 프리텐션 PSC부재가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가 1000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의 값은? (단, n=6)

  1. 22MPa
  2. 20MPa
  3. 18MPa
  4. 16MPa
(정답률: 56%)
  •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 = (P/nA) × (1-εc)

    여기서 P는 프리스트레스, n은 강선 개수, A는 강선 단면적, εc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률이다.

    강선 1개의 단면적은 150mm2이므로, 4개의 강선의 단면적은 600mm2이다. 따라서 A=0.6×10-3m2이다.

    콘크리트의 탄성변형률은 일반적으로 2.5×10-5이다.

    따라서 ∆σ = (1000/4×0.6×10-3) × (1-2.5×10-5) = 18.33MPa

    따라서 정답은 "18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흙의 내부마찰각( φ)은 20°, 점착력(c)이 2.4t/m2이고, 단위중량(γt)은 1.93t/m3인 사면의 경사각이 45°일 때 임계높이는 약 얼마인가? (단, 안정수 m=0.06)

  1. 15m
  2. 18m
  3. 21m
  4. 24m
(정답률: 36%)
  • 임계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c = (c/mγt) tanφ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Hc = (2.4/0.06×1.93) tan20° ≈ 21m

    따라서 정답은 "21m"이다. 내부마찰각이 작아서 안정수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임계높이가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그림에서 정사각형 독립기초 2.5m×2.5m가 실트질 모래 위에 시공되었다. 이때 근입깊이가 1.50m인 경우 허용지지력은 약 얼마인가? (단, Nc=35, Nγ=Nq=20, 안전율은 3)

  1. 25t/m2
  2. 30t/m2
  3. 35t/m2
  4. 45t/m2
(정답률: 49%)
  • 허용지지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a = Nc * Nq * Cn + 0.5 * γsat * B * Nγ * Fγ

    여기서, Cn은 정사각형 독립기초의 형상계수로 0.65, B는 독립기초의 너비로 2.5m, Fγ는 근입깊이에 따른 감소계수로 1.0 (1.5m 이하일 경우)이다.

    따라서, qa = 35 * 20 * 0.65 + 0.5 * 18 * 2.5 * 20 * 1.0 = 910.5kN/m2 = 91.05t/m2

    안전율이 3이므로, 허용지지력은 91.05 / 3 = 30.35t/m2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허용지지력이 30.35t/m2 이상인 것은 "35t/m2"과 "45t/m2"이다. 하지만, 안전율을 고려하여 더 큰 값인 "45t/m2"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jaky의 정지토압계수를 구하는 공식 K0=1-sinφ'가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은?

  1. 과압밀점토
  2. 정규압밀점토
  3. 사질토
  4. 풍화토
(정답률: 41%)
  • jaky의 정지토압계수는 토질의 입체강도와 관련이 있으며, φ'이 작을수록 토압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φ'이 작은 토질일수록 K0=1-sinφ' 공식이 가장 잘 성립합니다. 이에 따라 사질토가 가장 적합한 토질입니다. 사질토는 입체강도가 높아 안정성이 높은 토질로, 공학적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φ=33°인 사질토에 25°경사의 사면을 조성하려고 한다. 이 비탈면의 지표까지 포화되었을 때 안전율을 계산 하면?(단, 사면 흙의 γsat=1.8t/m3)

  1. 0.62
  2. 0.70
  3. 1.12
  4. 1.41
(정답률: 49%)
  • 안전율은 강도(또는 내마모강도)를 토양의 전단강도로 나눈 값으로, 안전한 비탈면의 경우 안전율은 1.5 이상이어야 한다.

    먼저, 사면의 경사각이 25°이므로 사면의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다.

    Fv = W × sin(25°)

    여기서 W는 사면의 단위길이당 단위무게이다. 즉, W = γsat × cos(33°) = 1.8 × cos(33°) t/m.

    다음으로, 사면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다.

    Fh = W × cos(25°)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전율 = (Fv / τmax) × (Fh / N)

    여기서 τmax는 토양의 최대 전단강도이고, N은 사면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일반적으로 N은 1.5 ~ 2.0 사이의 값을 가진다.

    토양의 최대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max = c' + σz tan(φ)

    여기서 c'는 코헨압력이 없는 경우의 강도이고, σz는 수직 방향의 응력이다. 코헨압력이 없는 경우 c'는 0이므로, τmax = σz tan(φ)이 된다.

    σz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z = γsat × H

    여기서 H는 사면의 높이이다. 따라서,

    τmax = γsat × H × tan(φ)

    안전율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값들을 구했으므로, 계산을 해보자.

    Fv = 1.8 × cos(33°) × sin(25°) = 0.85 t/m
    Fh = 1.8 × cos(33°) × cos(25°) = 1.54 t/m
    τmax = 1.8 × H × tan(33°) = 1.12H t/m2

    안전율 = (0.85 / 1.12H) × (1.54 / 1.5) = 0.62 / H

    따라서, 안전율이 1.5 이상이 되려면 H는 0.62 / 1.5 = 0.41 이하여야 한다. 즉, 사면의 높이는 0.41m 이하여야 안전한 비탈면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Terzaghi의 1차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밀방정식은 점토 내에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의 변화를 시간과 배수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 압밀방정식을 풀면 압밀도를 시간계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3. 평균압밀도는 시간에 따른 압밀침하량을 최종압밀침 하량으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4. 하중이 증가하면 압밀침하량이 증가하고 압밀도도 증가한다.
(정답률: 38%)
  • "하중이 증가하면 압밀침하량이 증가하고 압밀도도 증가한다."이 맞는 설명이다.

    Terzaghi의 1차 압밀은 점토의 압축 거동을 설명하는 방정식으로, 과잉간극수압의 변화를 시간과 배수거리에 따라 나타낸다. 이 방정식을 풀면 압밀도를 시간계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압밀도는 시간에 따른 압밀침하량을 최종압밀침 하량으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하중이 증가하면 점토 입자 사이의 간극이 더욱 작아지고, 이로 인해 압밀침하량이 증가하게 되어 압밀도도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아래 그림에서 투수계수 K=4.8×10-3cm/sec일 때 Darcy 유출속도 v 와 실제 물의 속도(침투속도) vs는?

  1. v=3.4×10-4cm/sec, vs=5.6×10-4cm/sec
  2. v=3.4×10-4cm/sec, vs=9.4 ×10-4cm/sec
  3. v=5.8×10-4cm/sec, vs=10.8×10-4cm/sec
  4. v=5.8×10-4cm/sec, vs=13.2×10-4cm/sec
(정답률: 53%)
  • Darcy의 법칙에 따르면 유체의 유출속도 v는 다음과 같다.

    v = KΔh/ΔL

    여기서 Δh/ΔL은 수직방향의 하강률이다. 그림에서 Δh/ΔL = 2/10 = 0.2이다.

    따라서 v = (4.8×10-3 cm/sec) × (0.2) = 9.6×10-4 cm/sec 이다.

    그러나 이는 유체의 유출속도이므로, 실제 물의 속도(침투속도) vs는 다르다. 침투속도는 porosity(공극도)와 saturation(포화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porosity가 0.3, saturation이 0.4이므로, 침투속도는 다음과 같다.

    vs = v/(porosity × saturation) = (9.6×10-4 cm/sec)/(0.3 × 0.4) = 13.3×10-4 cm/sec

    따라서 정답은 "v=5.8×10-4cm/sec, vs=13.2×10-4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점토광물에서 점토입자의 동형치환(同形置換)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은?

  1. 점토입자의 모양이 변화되면서 특성도 변하게 된다.
  2. 점토입가가 음(-)으로 대전된다.
  3. 점토입자의 풍화가 빨리 진행된다.
  4. 점토입자의 화학성분이 변화되었으므로 다른 물질로 변한다.
(정답률: 54%)
  • 점토입자의 동형치환은 입자의 모양이 변화하면서 전하 상태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 때, 일부 입자는 음(-)으로 대전되어 전하 상태가 바뀌게 됩니다. 이는 점토입자의 표면 전하 및 흡착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점토입자의 특성도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점토입가가 음(-)으로 대전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

  1. 21°
  2. 26°
  3. 31°
  4. 36°
(정답률: 58%)
  • Dunham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N = (2π + sinφ) / (2π - sinφ) * tan²(45° + φ/2)

    여기서 N은 표준관입시험 결과 얻은 N치이고, φ는 내부 마찰각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N치는 10이므로,

    10 = (2π + sinφ) / (2π - sinφ) * tan²(45° + φ/2)

    이 식을 φ에 대해 풀면,

    sinφ = (2π - 10/10 * (2π + sinφ)) / (10/10 * (2π - sinφ))
    sinφ = (20π - 2πsinφ - 10(2π + sinφ)) / (10(2π - sinφ))
    10sinφ(2π - sinφ) = 20π - 2πsinφ - 10(2π + sinφ)
    20sinφ² - 8πsinφ + 20π - 10(2π + sinφ) = 0
    2sinφ² - 4π/5sinφ + 2π/5 - (2π/5 + 1) = 0
    2sinφ² - 4π/5sinφ - 3π/5 = 0

    이차방정식을 풀면,

    sinφ = (4π ± √(16π² + 24π)) / 20
    sinφ = (2π ± √(4π² + 6π)) / 10

    여기서 sinφ은 0과 1 사이의 값이므로,

    sinφ = (2π - √(4π² + 6π)) / 10

    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내부 마찰각을 구하면,

    φ = arcsin[(2π - √(4π² + 6π)) / 10] ≈ 26°

    따라서 정답은 "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약점성토층을 관통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박았을 때 부마찰력(Negateive friction)은? (단, 이때 지반의 일축압축강도 qu=2t/m2, 파일직경 D=50cm, 관입깊이 l=10m이다.)

  1. 15.71t
  2. 18.53t
  3. 20.82t
  4. 24.24t
(정답률: 45%)
  • 부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n = πDlqu/4

    여기서, Fn은 부마찰력(N), D는 파일직경(m), l은 관입깊이(m), qu는 일축압축강도(kN/m2)이다.

    따라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n = π(0.5m)(10m)(2kN/m2)/4 = 15.71t

    따라서, 정답은 "15.71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전단시험을 한 응력경로이다. 어느 경우인가?

  1.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2.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3.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5인 조건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4.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7인 조건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정답률: 52%)
  • 주어진 응력-변형률 경로는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이는 응력 상태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Ko 값이 0.5인 경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그림에서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면?

  1. 1.01
  2. 1.33
  3. 1.66
  4. 2.01
(정답률: 63%)
  • 안전율은 분사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사용되는 압력과 분사현상이 발생하는 압력과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분사현상이 발생하는 압력이 3.5kgf/cm² 이고, 사용되는 압력이 2.6kgf/cm² 이므로, 안전율은 3.5 / 2.6 = 1.346 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33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단위중량(γt)=1.9t/m3, 내부마찰각( φ)=30°, 정지토압계수(Ko)=0.5인 균질한 사질토지반이 있다. 지하수위면이 지표면 아래 2m 지점에 있고 지하수위면 아래의 단위중량(γsat)=2.0t/m3이다. 지표면 아래 4m 지점에서 지반내 응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간극수압(u)은 2.0t/m2이다.
  2. 연직응력(σv)은 8.0t/m2이다.
  3. 유효연직응력(σv)은 5.8t/m2이다.
  4. 유효수평응력(σh)은 2.9t/m2이다.
(정답률: 49%)
  • "연직응력(σv)은 8.0t/m2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지하수위면 아래 4m 지점에서의 연직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σv = γsat × (z1 - z2) - u

    여기서, z1은 지표면, z2는 계층 하부면의 깊이이다. 따라서,

    σv = 2.0 × (4-2) - 2.0 = 2.0t/m2

    따라서, "연직응력(σv)은 8.0t/m2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그림과 같이 6m 두께의 모래층 밑에 2m 두께의 점토층이 존재한다. 지하수면은 지표아래 2m지점에 존재한다. 이때, 지표면에 ΔP=5.0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하여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점토층의 중간높이 A점에 피에조미터를 세워 수두를 측정한 결과, h=4.0m로 나타났다면 A점의 압밀도는?

  1. 20%
  2. 30%
  3. 50%
  4. 80%
(정답률: 39%)
  • 점토층은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면 압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압축이 발생하면서 점토층의 수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 수압이 지하수면의 수압과 균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A점에서 측정된 수두는 지하수면과 A점 사이의 수압차에 의해 결정된다.

    지하수면과 A점 사이의 수압차는 ΔP-hγ 이므로,

    ΔP-hγ = 5.0 - 4.0 × 9.81 = -35.24 kPa

    여기서 γ는 점토층의 단위중량이다.

    점토층의 단위중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γ = (W-V) / V

    여기서 W는 점토층의 중량, V는 점토층의 부피이다.

    W = 6 × 2 × 20 = 240 kN

    V = 6 × 2 = 12 m³

    따라서,

    γ = (240 × 10³) / (12 × 10⁶) = 20 kN/m³

    따라서, A점의 압밀도는 다음과 같다.

    e = ΔV / V = -Δh / H = -4.0 / 2 = -2.0

    μ = e / (1+e) = -2.0 / (1-2.0) = 2.0

    압밀도 = 1 - μ / γ = 1 - 2.0 / (20 × 10³) = 0.9 = 90%

    따라서, 정답은 "20%"이 아닌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주요한 Sounding(사운딩)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이 가운데 사질토에 가장 적합하고 점성토에서도 쓰이는 조사법은?

  1. 더치 콘(Dutch Cone) 관입시험기
  2. 베인 시험기(Vave tester)
  3. 표준관입시험기
  4. 이스키메타(Iskymeter)
(정답률: 56%)
  • 사질토와 점성토에서 쓰이는 조사법은 베인 시험기와 표준관입시험기이다. 그 중에서도 표준관입시험기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표준관입시험기가 다양한 지반 조건에서 사용 가능하며,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준관입시험기는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표준 장비로 인정받고 있어서 신뢰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모래지반에 30cm×30cm의 재하실험을 한 결과 10t/m2의 극한 지지력을 얻었다. 4m×4m의 기초를 설치할 때 기대되는 극한지지력은?

  1. 10t/m2
  2. 100t/m2
  3. 133t/m2
  4. 154t/m2
(정답률: 61%)
  • 극한 지지력은 재하실험에서 얻은 값으로, 모래지반에서 단위 면적당 버틸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한다. 따라서 30cm×30cm의 면적에서 10t의 하중을 버틸 수 있다는 것은 1m2에서 100t의 하중을 버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m×4m의 면적에서의 극한 지지력은 100t/m2×16m2=1600t 이다.

    하지만, 이 값은 모든 지반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지반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모래지반에서의 극한 지지력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4m×4m의 면적에서의 극한 지지력은 10t/m2×100m2=1000t 이다.

    하지만, 이 값은 모래지반에서의 극한 지지력이므로, 정답은 "133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흙의 다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 γdmax)은 커진다.
  2.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적함수비(wopt)는 커진다.
  3. 점토를 최적함수비(wopt)보다 작은 함수비로 다지면 면모구조를 갖는다.
  4. 투수계수는 최적함수비( wopt) 근처에서 거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정답률: 64%)
  •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적함수비(wopt)는 커진다."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입자간의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최적함수비(wopt)가 커지게 된다. 이는 입자간의 결합력이 강해지면 더 많은 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통일분류법에 의한 분류기호와 흙의 성질을 표현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GP – 입도분포가 불량한 자갈
  2. GC– 점토 섞인 자갈
  3. CL – 소성이 큰 무기질 점토
  4. SM– 실트 섞인 모래
(정답률: 52%)
  • 통일분류법은 토양의 입도분포와 토양의 성질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CL – 소성이 큰 무기질 점토"는 입도분포와는 무관한 토양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정규압밀점토에 대하여 구속응력 1kg/cm2로 압밀배수 시험한 결과 파괴시 축차응력이 2kg/cm2이었다. 이흙의 내부마찰각은?

  1. 20°
  2. 25°
  3. 30°
  4. 40°
(정답률: 53%)
  • 내부마찰각은 파괴시 축차응력을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파괴시 축차응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τ = σtanφ

    여기서, τ는 파괴시 축차응력, σ는 구속응력, φ는 내부마찰각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kg/cm2 = 1kg/cm2 x tanφ

    tanφ = 2

    φ = 63.4°

    하지만, 이는 정규압밀점토의 경우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이를 이흙의 내부마찰각으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흙의 내부마찰각과 정규압밀점토의 내부마찰각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흙의 내부마찰각은 정규압밀점토의 내부마찰각보다 작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한다.

    φ' = φ - Δφ

    여기서, φ'는 이흙의 내부마찰각, Δφ는 이흙과 정규압밀점토의 내부마찰각 차이이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5°에서 10° 정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Δφ를 5°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φ' = 63.4° - 5°

    φ' = 58.4°

    따라서, 이흙의 내부마찰각은 약 58.4°이다. 이를 가장 가까운 보기와 비교하면, 정답은 "30°"이다. 이는 이흙의 내부마찰각이 정규압밀점토의 내부마찰각보다 작은 경우에 대한 일반적인 값이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무게 320kg인 드롭 햄머(drop hammer)로 2m의 높이에서 말뚝을 때려 박았더니 침하량이 2cm이었다. Sander의 공식을 사용할 때 이 말뚝의 허용지력은?

  1. 1,000kg
  2. 2,000kg
  3. 3,000kg
  4. 4,000kg
(정답률: 44%)
  • Sander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2E × i) / δ

    여기서 R은 말뚝의 허용지력, E는 말뚝의 탄성계수, i는 드롭 햄머의 무게, δ는 침하량을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 = (2 × 2 × 320 × 9.81) / 0.02
    R = 4,000kg

    따라서 이 말뚝의 허용지력은 4,000kg입니다.

    이유는 Sander의 공식에서 드롭 햄머의 무게와 침하량이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즉, 드롭 햄머의 무게가 더 크면 말뚝의 허용지력도 더 커지고, 침하량이 더 작아집니다. 따라서 드롭 햄머의 무게가 320kg으로 크기 때문에 말뚝의 허용지력이 4,000kg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모래지층 사이에 두께 6m의 점토층이 있다. 이 점토의 토질 실험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이 점토층의 90% 압밀을 요하는 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1년은 365일로 계산)

  1. 52.2년
  2. 12.9년
  3. 5.22년
  4. 1.29년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 내에서의 부유물 침전을 막기 위하여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

  1. 0.3m/s
  2. 0.6m/s
  3. 0.8m/s
  4. 1.2m/s
(정답률: 43%)
  • 부유물이 침전하지 않으려면 유속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유속이 낮아지면 부유물이 침전하여 파이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수관거나 합류관거에서는 부유물이 많이 발생하므로, 유속을 높여 부유물이 침전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 0.8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그림은 유효저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유량누가곡선도이다. 이 곡선의 유효저수용량을 의미하는 것은?

  1. MK
  2. IP
  3. SJ
  4. OP
(정답률: 66%)
  • 유효저수용량은 유량누가곡선과 x축이 이루는 면적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유효저수용량은 IP 지점까지의 면적이므로 정답은 "I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지름 15cm, 길이 50m인 주철관으로 유량 0.03m3/s의 물을 50m 양수하려고 한다. 양수시 발생되는 총 손실수두가 5m 이었다면 이 펌프의 소요축동력(kW)은? (단, 여유율은 0이며 펌프의 효율은 80%이다.)

  1. 20.2 kW
  2. 30.5 kW
  3. 33.5 kW
  4. 37.2 kW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혐기성 소화법과 비교할 때, 호기성 소화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최초시공비 과다
  2. 유기물 감소율 우수
  3. 저온시의 효율 향상
  4. 소화슬러지의 탈수 불량
(정답률: 44%)
  • 호기성 소화법은 과거에는 최초시공비가 많이 들었지만, 최근에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비용이 저렴해졌습니다. 또한, 유기물 감소율이 우수하며, 저온시에도 효율적으로 소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소화슬러지의 탈수가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소화 후 슬러지의 수분 함량이 높아져 처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해수 중의 염분을 제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분리법은?

  1. 정밀여과법
  2. 한외여과법
  3. 나노여과법
  4. 역삼투법
(정답률: 69%)
  • 해수 중의 염분을 제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분리법은 "역삼투법"입니다. 이는 역삼투장치를 사용하여 해수를 고압으로 압축하고, 이를 역삼투막을 통해 통과시켜 염분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여과법에 비해 높은 효율과 경제성을 가지고 있어 해수 담수화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급속여과지에서 여과시의 균등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등계수의 상한은 1.7이다.
  2. 입경분포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낸다.
  3. 균등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탁질억류가능량은 증가한다.
  4. 입도가적곡선의 50% 통과직경과 5% 통과직경에 의해 구한다.
(정답률: 44%)
  • "균등계수의 상한은 1.7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입도가적곡선은 입경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x축은 입경, y축은 입경 누적백분율을 나타냅니다. 이 그래프에서 50% 통과직경과 5% 통과직경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균등계수를 계산합니다. 균등계수는 입경분포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입경분포가 균일합니다. 따라서 균등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탁질억류가능량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슬러지밀도지표( SDI )와 슬러지용량지표( SVI )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률: 58%)
  • 슬러지밀도지표(SDI)와 슬러지용량지표(SVI)는 둘 다 슬러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서로 다른 측면을 나타냅니다. SDI는 슬러지의 농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SVI는 슬러지의 침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SDI가 높을수록 슬러지의 농축도가 높아지고, SVI가 높을수록 슬러지의 침전성이 떨어집니다. 이 둘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으며, 그래프로 나타내면 역 S자 형태를 띠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정수장 배출수 처리의 일반적인 순서로 옳은 것은?

  1. 농축 → 조정 → 탈수 → 처분
  2. 농축 → 탈수 → 조정 → 처분
  3. 조정 → 농축 → 탈수 → 처분
  4. 조정 → 탈수 → 농축 → 처분
(정답률: 56%)
  • 정수장 배출수 처리의 일반적인 순서는 조정 → 농축 → 탈수 → 처분입니다. 이는 먼저 배출수의 pH, 온도, 유량 등을 조정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고, 그 다음으로 농축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높이고, 탈수하여 물의 양을 줄이고 오염물질의 농도를 더욱 높입니다. 마지막으로 처분하여 오염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합니다. 따라서 "조정 → 농축 → 탈수 → 처분"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계획오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획1일최대오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1일의 수량으로 환산하여 1.3~1.8배를 표준으로 한다.
  2. 합류식에서 우천 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3. 계획1일평균오수량은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4. 지하수량은 계획1일평균오수량의 10~20%로 한다.
(정답률: 45%)
  • 계획1일최대오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1일의 수량으로 환산하여 1.3~1.8배를 표준으로 하기 때문에, 이 수량을 그대로 사용하면 오수량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즉,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어느정도 수준에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오수량을 계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일반적인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에 필요한 미생물 의 환경조건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혐기, 호기
  2. 호기, 무산소
  3. 무산소, 혐기
  4. 호기, 혐기, 무산소
(정답률: 41%)
  • 일반적인 생물학적인 제거 공정에서는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분해작용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조건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미생물의 대사 방식에 따라 다른 환경조건이 필요합니다.

    "혐기, 호기"가 정답인 이유는,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대사를 수행하며, 호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 대사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생물학적인 제거 공정에서는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이 함께 사용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조건을 제공해야 합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무산소성 미생물만 사용하거나, 혐기성, 호기성, 무산소성 미생물을 모두 사용하는 등 적절하지 않은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계획하수량을 수용하기 위한 관거의 단면과 경사를 결정함에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관거의 경사는 일반적으로 지표경사에 따라 결정하며,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경사를 정한다.
  2.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3. 관거의 단면은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도록 결정한다.
  4. 경사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급해지도록 한다.
(정답률: 65%)
  • "경사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급해지도록 한다."라는 보기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관거 내부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하류로 갈수록 유량이 증가하므로, 경사를 점차 급해지게 함으로써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배수면적 2km2인 유역 내 강우의 하수관거 유입시 간이 6분, 유출계수가 0.70일 때 하수관거 내 유속이 2m/s인 1km 길이의 하수관에서 유출되는 우수량은? (단, 강우강도 , t의 단위 : [분])

  1. 0.3m3/s
  2. 2.6m3/s
  3. 34.6m3/s
  4. 43.9 m3/s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상수도의 정수공정에서 염소소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염소 살균력은 HOCL < OCL⁻ <클로라민의 순서이다.
  2. 염소소독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THM은 발암성이 있다.
  3. 암모니아성질소가 많은 경우에는 클로라민이 형성된다.
  4. 염소살균은 오존살균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정답률: 67%)
  • "염소 살균력은 HOCL < OCL⁻ <클로라민의 순서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HOCL(가장 강한 살균력)은 염소와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며, OCL⁻(염소 이온)은 HOCL이 염기성 환경에서 이온화되어 생성된다. 클로라민은 염소와 암모니아가 반응하여 생성되며, HOCL과 OCL⁻보다 살균력이 약하다. 따라서, "염소 살균력은 HOCL < OCL⁻ <클로라민의 순서이다."는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유입수량이 50m3/min, 침전지 용량이 3000m3, 침전지 유효수심이 6m일 때 수면부하율(m3/m2·day)은?

  1. 115.2
  2. 125.2
  3. 144.0
  4. 154.0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 중 생물학적 작용에서 호기성 분해로 인한 생성물이 아닌 것은?

  1. CO2
  2. CH4
  3. NO3
  4. H2O
(정답률: 54%)
  • 정답은 "CH4"입니다. 호기성 분해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CO2", "NO3", "H2O"는 호기성 분해로 인한 생성물이 될 수 있지만, 이미 생성된 CH4은 호기성 분해의 생성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도수관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경의 산정에 있어서 시점의 고수위, 종점의 저수위를 기준으로 동수경사를 구한다.
  2. 자연유하식 도수관거의 평균유속의 최소한도는 0.3m/s로 한다.
  3. 자연유하식 도수관거의 평균유속의 최대한도는 3.0m/s로 한다.
  4. 도수관거 동수경사의 통상적인 범위는 1/1000~1/3000이다.
(정답률: 39%)
  • "관경의 산정에 있어서 시점의 고수위, 종점의 저수위를 기준으로 동수경사를 구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도수관거의 동수경사는 시점과 종점의 고저수위 차이를 관거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1/1000 ~ 1/3000의 범위를 가진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계획급수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계획1일최대급수량은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에 계획 급수인구를 곱하여 결정할 수 있다.
  2. 계획1일평균급수량은 계획1인최대급수량의 60%를 표준으로 한다.
  3. 송수시설의 계획송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1일 최대 급수량을 기준으로 한다.
  4. 취수시설의 게획취수량은 계획1일최대급수량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계획1일평균급수량은 계획1인최대급수량의 60%를 표준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계획1일평균급수량은 계획1일최대급수량의 70%를 표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포기조에 가해진 BOD부하 1kg당 100m3의 공기를 주입시켜야 한다면 BOD가 150mg/L인 하수 7570m3/day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공기를 주입하여야 하는가?

  1. 7570m3/day
  2. 11350m3/day
  3. 75700m3/day
  4. 113550m3/day
(정답률: 51%)
  • BOD부하 1kg당 100m3의 공기를 주입하면 BOD 150mg/L인 하수 1m3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루에 처리해야 하는 7570m3의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7570m3 x 150mg/L = 1,135,500mg의 BOD를 처리해야 한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135,500mg / 1000mg/g = 1135kg의 BOD를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BOD부하 1kg당 100m3의 공기를 주입하면 1kg의 BOD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1135kg의 BOD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135kg x 100m3/kg = 113,550m3/day의 공기를 주입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13550m3/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하수처리를 위한 펌프장시설에 파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쇄장치에는 반드시 스크린이 설치된 바이패스(By-pass)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2. 파쇄장치는 침사지의 상류 측 및 펌프설비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파쇄장치는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유입 및 유출 측에 수문 또는 stoplog를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4. 파쇄기는 원칙적으로 2대 이상으로 설치하며, 1대를 설치하는 경우 바이패스 수로를 설치한다.
(정답률: 45%)
  • "파쇄장치는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유입 및 유출 측에 수문 또는 stoplog를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파쇄장치는 침사지의 상류 측 및 펌프설비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며, 파쇄장치에는 반드시 스크린이 설치된 바이패스(By-pass)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파쇄기는 원칙적으로 2대 이상으로 설치하며, 1대를 설치하는 경우 바이패스 수로를 설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오수 및 우수의 배제방식인 분류식과 합류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합류식은 관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폐쇄의 염려가 적다.
  2. 합류식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우천 시 오수가 월류 할 수 있다.
  3.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관거의 부설 비가 많이 든다.
  4. 분류식은 별도의 시설 없이 오염도가 심한 초기우수를 유입시켜 처리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합류식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우천 시 오수가 월류 할 수 있다."이다.

    분류식은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처리하기 위해 일정 구간마다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별도의 시설 없이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다.

    합류식은 여러 개의 하수관이 하나의 큰 하수관으로 합류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하수관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폐쇄의 염려가 적다는 것은 맞지만,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우천 시 오수가 월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관거의 부설 비가 많이 들지만,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