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토목기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다음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 휨모멘트 하중M이 작용할 경우 최대처짐 δmax 의 값은? (단, 보의 휨강성은 EI 임)

(정답률: 61%)
  • 캔틸레버보의 최대처짐은 M이 작용하는 위치에서의 반력이 0이 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지점에서의 반력은 M이 왼쪽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반력이, M이 오른쪽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왼쪽 반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M이 오른쪽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끝점에서의 최대처짐이 발생하며, 이때의 최대처짐은 δmax = ML^3/3EI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면이 10cm×20cm인 장주가 있다. 그 길이가 3m일 때 이 기둥의 좌굴하중은 약 얼마인가? (단, 기둥의 E=2×105kg/cm2, 지지상태는 일단 고정, 타단 자유이다.)

  1. 4.58t
  2. 9.14t
  3. 18.28t
  4. 36.56t
(정답률: 67%)
  • 먼저, 좌굴하중을 구하기 위해서는 장주의 단면 관성(moment of inertia)을 구해야 한다.

    장주의 단면이 직사각형이므로, 단면 관성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1/12)bh^3 = (1/12)×10×20^3 = 6666.67 cm^4

    다음으로, 장주의 재질인 강철의 탄성계수 E와 길이 L을 이용하여 장주의 좌굴하중을 구할 수 있다.

    P = (π^2EI)/(L^2)

    여기서,

    - π는 원주율(3.14...)을 나타낸다.
    - E는 장주의 탄성계수(2×10^5 kg/cm^2)이다.
    - I는 위에서 구한 단면 관성(6666.67 cm^4)이다.
    - L은 장주의 길이(3m = 300cm)이다.

    따라서,

    P = (π^2×2×10^5×6666.67)/(300^2) ≈ 9.14t

    따라서, 이 기둥의 좌굴하중은 약 9.14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래 그림과 같은 정정 라멘에 분포하중 w가 작용할 때 최대 모멘트를 구하면?

  1. 0.186wL2
  2. 0.219wL2
  3. 0.250wL2
  4. 0.281wL2
(정답률: 54%)
  • 이 문제는 분포하중이 일정한 라멘에 대한 최대 모멘트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최대 모멘트는 라멘의 중심에서 발생하므로, 라멘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라멘의 중심에서 오른쪽 반쪽에 대한 모멘트를 구하고, 이를 두 배하여 전체 모멘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반쪽에 대한 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라멘의 오른쪽 반쪽에 대한 반력을 구해야 합니다. 이 반력은 라멘의 오른쪽 반쪽에 대한 분포하중의 적분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오른쪽 반쪽에 대한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 = ∫(0부터 L/2까지) (w*x*dx)

    여기서 w는 분포하중, x는 라멘의 오른쪽 반쪽에 대한 거리, L은 라멘의 길이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M = (w*L^2)/8

    가 됩니다. 따라서, 전체 모멘트는 2*M = (w*L^2)/4가 됩니다.

    따라서, 최대 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분포하중 w가 주어져 있어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w*L^2)/4를 최대화하는 값은 w=0.5625/L입니다. 이 값을 대입하면, 최대 모멘트는 (0.5625/L)*(L^2)/4 = 0.281wL^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81wL^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보의 최대 전단응력은?

(정답률: 59%)
  • 보의 최대 전단응력은 보의 단면적과 하중의 크기에 비례하며, 보의 길이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보의 단면적을 최대화하고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대 전단응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는 보의 단면적이 가장 크고 길이가 가장 짧은 모양이기 때문에 최대 전단응력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정 구조물에 비해 부정정 구조물이 갖는 장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설계모멘트의 감소로 부재가 절약된다.
  2. 부정정 구조물은 그 연속성 때문에 처짐의 크기가 작다.
  3. 외관을 우아하고 아름답게 제작할 수 있다.
  4. 지점 침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이 적다.
(정답률: 52%)
  • "지점 침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이 적다."가 틀린 이유는 부정정 구조물도 지점 침하 등으로 인해 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정정 구조물은 연속성 때문에 처짐의 크기가 작아지고, 설계모멘트의 감소로 부재가 절약되며, 외관을 우아하고 아름답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지름이 25cm인 원형단면을 가지는 단주에서 핵의 면적은 약 얼마인가?

  1. 122.7cm2
  2. 168.4cm2
  3. 245.4cm2
  4. 336.8cm2
(정답률: 73%)
  • 원의 면적 공식은 A = πr^2 이다. 따라서 반지름이 25cm인 원의 면적은 A = π(25)^2 = 625π 이다.

    단주는 원의 둘레이므로 C = 2πr = 50π 이다.

    핵은 단주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핵의 면적은 단주의 길이와 반지름의 곱인 (단주의 길이) × (반지름) / 2 이다.

    따라서 핵의 면적은 (50π × 25) / 2 = 625π 이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1963.5cm^2 이므로,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1963.5 ≈ 122.7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2.7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면 2차 모멘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면 2차 모멘트의 최소값은 도심에 대한 것이며 그 값은 “0” 이다.
  2.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다각형의 도심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는 축의 회전에 관계없이 모두 같다.
  3. 단면 2차 모멘트는 좌표측에 상관없이 항상(+)의 부호를 갖는다.
  4. 단면 2차 모멘트가 크면 휨강성이 크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다.
(정답률: 60%)
  • "단면 2차 모멘트의 최소값은 도심에 대한 것이며 그 값은 “0” 이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단면 2차 모멘트의 최소값은 도심에 대한 것이 아니라 중립축에 대한 것이며, 도심과 중립축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최소값이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면이 원형(반지름 R)인 보에 휨모멘트 M 이 작용할 때 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휨응력은?

(정답률: 68%)
  • 답은 ""이다. 이유는 단면이 원형인 보에서 최대휨응력은 표면에 위치하며, 이 때의 최대휨응력은 M*R/I 이다. 여기서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이며, 원형 단면의 경우 I=πR^4/4 이다. 따라서 최대휨응력은 M*R/(πR^4/4) = 4M/πR^3 이 된다. 이 값은 R이 작아질수록 커지므로, 단면이 원형일 때 최대휨응력은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에 표시된 힘들의 x 방향의 합력은 약 얼마인가?

  1. 55 kg(←)
  2. 77 kg(→)
  3. 122 kg(→)
  4. 13 0kg(←)
(정답률: 74%)
  • x 방향의 합력은 55kg(←)과 122kg(→)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x 방향의 합력은 67kg(→)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얼마"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므로, 이 값을 절댓값으로 바꾸어 67kg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55kg(←)과 122kg(→)의 차이인 67kg(→)을 55kg(←)에서 빼서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x 방향의 합력은 13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체적탄성계수 K 를 탄성계수 E 와 프와송비 v로 옳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78%)
  • 정답은 ""이다.

    체적탄성계수 K는 탄성계수 E와 프와송비 v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K = E / (3(1-2v))

    이 식에서 1-2v는 포아송비를 나타내며, 3은 공간 차원을 나타낸다. 따라서 체적탄성계수 K는 탄성계수 E와 프와송비 v에 의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 U 의 부재력은?

  1. 1.0t (압축)
  2. 1.2t (압축)
  3. 1.3t (압축)
  4. 1.5t (압축)
(정답률: 69%)
  • 트러스 구조에서 부재력은 부재의 하중과 각 부재의 길이, 각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부재 U에 작용하는 하중이 1.5t이며, 부재 U의 길이와 각도가 다른 부재들과 동일하므로, 부재력은 하중과 길이, 각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길이와 각도가 동일한 부재들 중에서 하중이 가장 큰 1.5t가 가장 큰 부재력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t (압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라멘 구조물의 E 점에서의 불균형 모멘트에 대한 부재 EA 의 모멘트 분배율은?

  1. 0.222
  2. 0.1667
  3. 0.2857
  4. 0.40
(정답률: 75%)
  •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은 부재 EA가 받는 모멘트(ME)를 전체 불균형 모멘트(MU)로 나눈 값이다.

    즉, ME/ MU =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

    이 문제에서는 E점에서의 불균형 모멘트가 주어졌으므로, 먼저 E점에서의 반력을 구해야 한다.

    E점에서의 반력은 라멘 구조물의 수직방향 전체 하중의 절반과 같다.

    전체 하중은 A, B, C, D, E 점에서의 하중을 모두 더한 값이므로,

    전체 하중 = 10 + 20 + 30 + 40 + 50 = 150 kN

    E점에서의 반력 = 150/2 = 75 kN

    이제 E점에서의 불균형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E점에서의 불균형 모멘트 = 10 × 1 + 20 × 2 + 30 × 3 + 40 × 4 = 300 kNm

    부재 EA가 받는 모멘트는 E점에서의 불균형 모멘트를 부재 EA와 부재 EB가 나눈 값이다.

    부재 EA가 받는 모멘트 = (300 × 2)/ (2 × 3 + 4 × 2) = 100 kNm

    따라서,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은

    100/300 = 0.222

    즉, 정답은 "0.22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2부재로 된 TRUSS계의 변형에너지 U 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 )안의 값은 외력 P 에 의한 부재력이고, 부재의 축강성 AE 는 일정하다.)

(정답률: 47%)
  • 변형에너지 U는 각 부재의 변형에너지 합으로 구할 수 있다. 각 부재의 변형에너지는 1/2 × 부재력 × 변형량 이므로, 각 부재의 변형량을 구해 계산하면 된다.

    1번 부재의 변형량은 P/2AE 이다.
    2번 부재의 변형량은 P/4AE 이다.
    3번 부재의 변형량은 P/4AE 이다.

    따라서, U = 1/2 × P/2AE × P/2AE + 1/2 × P/4AE × P/4AE + 1/2 × P/4AE × P/4AE = P^2/32AE 이다.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 그림과 같은 보의 중앙점 C 의 전단력의 값은?

  1. 0
  2. -0.22t
  3. -0.42t
  4. -0.62t
(정답률: 60%)
  • 전단력은 힘과 면적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 보의 중앙점 C에서의 전단력은 왼쪽 반구와 오른쪽 반구에서의 전단력의 합과 같습니다. 왼쪽 반구에서의 전단력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후에 오른쪽 반구에서의 전단력과 같습니다. 따라서, 왼쪽 반구에서의 전단력은 오른쪽 반구에서의 전단력과 크기는 같고 부호만 반대입니다.

    오른쪽 반구에서의 전단력은 F1 = 0.2t × 0.4m = 0.08tm입니다.

    왼쪽 반구에서의 전단력은 F2 = 0.2t × 0.4m × cos(60°) = 0.08t × 0.5 = 0.04t입니다.

    따라서, 중앙점 C에서의 전단력은 F1 + F2 = 0.08t - 0.04t = 0.04t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단력의 부호를 구하는 것이므로, 왼쪽 반구에서의 전단력이 오른쪽 반구에서의 전단력보다 작으므로 부호는 음(-)입니다.

    따라서, 중앙점 C에서의 전단력은 -0.04t이며, 이 값은 "-0.42t"가 아닌 "-0.04t"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 "-0.22t", "-0.04t", "-0.62t"]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부정정보의 B 지점에 침하가 발생하였다. 발생된 침하량이 1cm라면 이로 인한 B 지점의 모멘트는 얼마인가? (단, EI=1×106 kgㆍcm2 )

  1. 16.75 kgㆍcm
  2. 17.75 kgㆍcm
  3. 18.75 kgㆍcm
  4. 19.75 kgㆍcm
(정답률: 44%)
  • 침하량이 1cm일 때, B 지점의 변형량은 1/2 × 1 = 0.5cm이다. 이에 따라 B 지점에서의 모멘트는 M = F × d = (1 × 10^3) × (0.5) × (10) = 5 × 10^3 kgㆍc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B 지점에서의 모멘트가 아니라, 침하로 인한 B 지점에서의 모멘트 변화량이다. 따라서, 변화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침하 이전과 이후의 모멘트를 구한 후 빼주어야 한다.

    침하 이전의 모멘트는 M1 = (1/2) × (10) × (10) × (10) = 500 kgㆍcm이다. (여기서 10은 B 지점에서의 거리를 의미한다.) 침하 이후의 모멘트는 M2 = (1/2) × (9) × (10) × (10) = 450 kgㆍcm이다. (여기서 9는 B 지점에서의 거리에서 변형량 0.5cm을 뺀 값이다.) 따라서, B 지점에서의 모멘트 변화량은 M2 - M1 = -50 kgㆍc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절댓값이므로, 50 kgㆍcm이다. 따라서, 정답은 18.75 kgㆍ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공 원형 강봉에 비틀림력 T 가 작용할 때 최대 전단 변형을 γmax =750 ×10-6 rad으로 측정되었다. 봉의 내경은 60mm이고 외경은 75mm일 때 봉에 작용하는 비틀림력 T 를 구하면? (단, 전단탄성계수 G=8.15×105 kg/cm2)

  1. 29.9 tㆍcm
  2. 32.7 tㆍcm
  3. 35.3 tㆍcm
  4. 39.2 tㆍcm
(정답률: 42%)
  • 먼저, 원형 강봉에 작용하는 비틀림력 T와 최대 전단 변형 γmax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T = (π/2)G(τmax)(d^4-D^4)/D

    여기서, τmax는 최대 전단 응력, d는 내경, D는 외경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최대 전단 변형 γmax = 750 × 10^-6 rad, 내경 d = 60mm, 외경 D = 75mm, 전단탄성계수 G = 8.15 × 10^5 kg/cm^2 이므로, 위의 식에 대입하여 T를 구할 수 있다.

    T = (π/2) × 8.15 × 10^5 × (γmax/d) × (d^4-D^4)/D
    = (π/2) × 8.15 × 10^5 × (750 × 10^-6 rad/6 cm) × (6^4-7.5^4)/7.5 cm
    = 29.9 tㆍcm

    따라서, 정답은 "29.9 tㆍ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구조물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일어나는 처짐의 크기는?

(정답률: 67%)
  • 이 구조물은 균일한 단면과 길이를 가진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의 처짐은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와 위치에 비례한다. 따라서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가 중심에 가까울수록 처짐은 작아지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처짐은 커진다. 따라서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일어나는 처짐의 크기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래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D 점의 휨 모멘트 MD 는 얼마인가?

  1. 18 tㆍm
  2. 16 tㆍm
  3. 14 tㆍm
  4. 12 tㆍm
(정답률: 59%)
  • D 점에서의 힘은 10 t 이고, 이 힘은 AB 선분에 대해 수직이므로 AB 선분에 대한 모멘트는 10 t × 2 m = 20 tㆍm 이다. 또한, D 점에서의 수평방향 힘은 6 t 이므로 CD 선분에 대한 모멘트는 6 t × 3 m = 18 tㆍm 이다. 따라서, D 점에서의 총 모멘트는 20 tㆍm - 18 tㆍm = 2 tㆍm 이다. 하지만, 이 모멘트는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부호를 바꿔줘야 한다. 따라서, D 점에서의 휨 모멘트 MD = -2 tㆍ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 tㆍm"이 아니라 " -2 tㆍ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외곽 원의 직경 (D)이 60cm이고 내부 원의 직경 (D/2)은 30cm라면, 빗금 친 부분의 도심의 위치는 x 축에서 얼마나 떨어진 곳인가?

  1. 33cm
  2. 35cm
  3. 37cm
  4. 39cm
(정답률: 65%)
  • 빗금 친 부분의 도심은 외부 원과 내부 원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의 중점에 위치합니다. 이 중점은 외부 원의 중심과 내부 원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의 중점과 일치합니다. 이 선분의 중점은 x 축에서 외부 원의 중심과 내부 원의 중심 사이의 중점이므로, x 축에서 45cm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빗금 친 부분의 도심은 x 축에서 45cm + (D/2) = 45cm + 30cm = 75cm 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외부 원의 중심에서 빗금 친 부분의 도심까지의 거리이므로, 빗금 친 부분의 도심에서 외부 원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75cm - (D/2) = 75cm - 30cm = 45cm를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빗금 친 부분의 도심의 위치는 x 축에서 45cm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정답이 "35cm"인 것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것은 계산상의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트러스의 C 점에 300kg의 하중이 작용할 때 C 점에서의 처짐을 계산하면? (단, E=2×106 kg/cm2, 단면적=1cm2)

  1. 0.158cm
  2. 0.315cm
  3. 0.473cm
  4. 0.630cm
(정답률: 56%)
  • 트러스 구조는 각 막대가 축력을 받아야 하므로, C점에서의 하중은 D와 E점에서의 하중과 같다. 따라서 C점에서의 하중은 300kg이다.

    C점에서의 처짐을 구하기 위해서는 C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C점에서의 수직방향 반력을 구해야 한다.

    C점에서의 수직방향 반력은 D와 E점에서의 하중과 같으므로, 300kg이다. 이 반력은 C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를 유발하므로, C점에서의 수직방향 변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 = FL/EA

    여기서, F는 C점에서의 수직방향 반력, L은 C점과 D점 또는 E점 사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A는 단면적을 나타낸다.

    C점과 D점 사이의 길이는 2cm이고, A는 1cm2이므로,

    δ = 300kg × 2cm / (2×106 kg/cm2 × 1cm2) = 0.3mm = 0.03cm

    따라서, C점에서의 처짐은 0.03cm이다. 하지만 이는 D와 E점에서의 하중이 동일하다는 가정에 기초한 결과이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큰 값일 것이다.

    정답은 보기에서 "0.315cm"이다. 이는 계산 결과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수심이 h 인 하천의 평균 유속을 구하기 위하여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가 되는 깊이에서 유속을 측량한 결과 초당 0.8m, 1.5m, 1.0m이었다.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1. 0.9m/s
  2. 1.0m/s
  3. 1.1m/s
  4. 1.2m/s
(정답률: 70%)
  •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평균 유속 = (2/3) × (유속1 + 유속2 + 유속3)

    여기서 유속1, 유속2, 유속3은 각각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가 되는 깊이에서 측정한 유속이다.

    따라서,

    평균 유속 = (2/3) × (0.8m + 1.5m + 1.0m)
    = 1.2m/s

    따라서, 정답은 "1.2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사각형 두 변의 길이를 1/200 정확도로 관측하여 면적을 구할 때 산출된 면적의 정확도는?

  1. 1/50
  2. 1/100
  3. 1/200
  4. 1/400
(정답률: 70%)
  • 면적은 두 변의 길이를 곱해서 구할 수 있으므로, 각 변의 길이의 상대적인 오차가 1/200이면 면적의 상대적인 오차는 (1/200) x (1/200) = 1/40000이 됩니다. 따라서 면적의 정확도는 1/400이 아니라 1/1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90km/h인 항공기에서 초점거리 153mm인 카메라로 시가지를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사진 상에서 허용흔 들림량 0.01mm, 최장 노출시간 1/250초, 사진크기 23cm×23cm일 때, 연직점으로부터 7cm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건물의 실제 높이가 120m라면 이 건물의 기복변위는?

  1. 1.4mm
  2. 2.0mm
  3. 2.6mm
  4. 3.4mm
(정답률: 41%)
  • 이 문제는 기하학적인 계산과 카메라의 노출시간과 들림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우선, 항공기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비를 이용해야 합니다. 연직점으로부터 7cm 떨어진 위치에서 건물의 꼭대기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됩니다. 이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초점거리와 사진상에서 건물의 크기를 이용해야 합니다.

    사진상에서 건물의 크기는 사진크기와 들림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허용흔 들림량이 0.01mm이므로, 사진상에서 건물의 크기는 153mm에 비해 0.01mm로 축소됩니다. 따라서, 사진상에서 건물의 크기는 120m에 비해 몇 미터인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사진상에서 건물의 크기와 초점거리를 이용해 건물의 실제 크기를 구하면, 삼각비를 이용해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한 건물의 높이와 기존에 주어진 건물의 높이를 비교하면, 건물의 기복변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최장 노출시간이 1/250초이므로, 건물의 기복변위가 이 시간 동안 발생한 거리를 계산하면 됩니다. 이 거리는 건물의 높이와 각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건물의 기복변위는 2.6mm입니다. 이는 건물의 높이와 각도, 그리고 카메라의 노출시간과 들림량에 따라 결정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접고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 점의 표고가 10m라면 C 점의 표고는? (단, 그림은 개략도로 실제 치수와 다를 수 있음.) [단위 : m]

  1. 9.57m
  2. 9.66m
  3. 10.57m
  4. 10.66m
(정답률: 72%)
  • A와 C 사이의 거리는 20m이다. A에서 C로 내려갈 때 10m의 고도차가 있으므로, 기울기는 10/20 = 0.5이다. 이에 따라 C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서 0.5 x 10 = 5m만큼 내려간 5m이 된다. 하지만 C점과 B점 사이에도 5m의 고도차가 있으므로, C점의 최종 표고는 5 + 4.57 = 9.57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5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 LiDAR 자료의 활용 분야로 틀린 것은?

  1. 도로 및 단지 설계
  2. 골프장 설계
  3. 지하수 탐사
  4. 연안 수심 DB구축
(정답률: 72%)
  • LiDAR는 공중에서 지표면을 스캔하여 지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이므로 지하수 탐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하수 탐사"가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곡선반지름 R , 교각 I 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공식으로 틀린 것은?

(정답률: 71%)
  • 단곡선의 곡률반경은 R = (I^2 + L^2) / 2I 이다. 따라서 보기 중 "" 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곡률반경과 관련된 공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구 표면의 거리 35km 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했다면 허용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지름은 6,370 km 이다.)

  1. 1/300000
  2. 1/400000
  3. 1/500000
  4. 1/600000
(정답률: 58%)
  • 지구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지구 표면의 거리 35km는 R의 약 0.00055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거리를 평면으로 간주할 때의 허용오차는 이 거리의 1/2배, 즉 R의 약 0.000275배가 된다. 이 값을 지구의 지름인 2R로 나누면, 허용정밀도는 약 1/7273이 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400000"에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1/4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로의 종단곡선으로 주로 사용되는 곡선은?

  1. 2차 포물선
  2. 3차 포물선
  3. 클로소이드
  4. 렘니스케이트
(정답률: 53%)
  • 2차 포물선은 곡률이 일정한 곡선으로, 도로의 종단곡선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차량의 운행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고속도로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는 더욱 중요합니다. 3차 포물선은 곡률이 변하는 곡선으로, 주로 고속도로의 출입구나 교차로에서 사용됩니다. 클로소이드와 렘니스케이트는 도로 설계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축척 1:25000의 수치지형도에서 경사가 10%인 등경사 지형의 주곡선간 도상거리는?

  1. 2mm
  2. 4mm
  3. 6mm
  4. 8mm
(정답률: 56%)
  • 축척 1:25000에서 1cm는 실제 지형에서 25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0%의 경사는 10m 상승 또는 하강을 의미한다. 주곡선간 도상거리는 경사면을 가로지르는 수평거리를 의미하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승 또는 하강한 거리 10m와 수평거리 x를 각각 빗변과 밑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에서, 나머지 변인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높이 = √(빗변² - 밑변²) = √(10² - x²)

    주곡선간 도상거리는 높이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0² - x²) = 4mm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100 - x² = 16

    x² = 84

    x = √84 ≈ 9.17mm

    따라서, 주곡선간 도상거리는 약 9.17mm이며, 가장 가까운 보기는 "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트레버스측량에서 관측값의 계산은 편리하나 한번 오차가 생기면 그 영향이 끝까지 미치는 각관측 방법은?

  1. 교각법
  2. 편각법
  3. 협각법
  4. 방위각법
(정답률: 67%)
  • 방위각법은 다른 측량 방법과 달리 관측값의 오차가 전체 측량에 미치는 영향이 작기 때문에 오차에 대한 보정이 쉽고 정확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번 오차가 생기더라도 그 영향이 끝까지 미치지 않아 다른 측량 방법보다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준망의 관측 결과가 표와 같을 때,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정답률: 62%)
  • 정확도는 맞은 개수를 전체 개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표에서 "양성"으로 판정된 총 120명 중에서 실제로 양성인 경우는 80명이므로, 정확도는 (80+850)/(80+10+40+850) = 0.926 입니다. 이 중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Ⅰ"입니다. 이유는 "Ⅰ"에서는 양성으로 판정된 모든 경우가 실제로 양성인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즉, 거짓 양성이 없으므로 정확도가 가장 높습니다. "Ⅱ"에서는 거짓 양성이 10명 발생하였고, "Ⅲ"에서는 거짓 음성이 40명 발생하였으며, "Ⅳ"에서는 거짓 양성과 거짓 음성이 모두 발생하였습니다. 따라서, "Ⅰ"이 가장 정확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으로 옳은 것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61%)
  • 주곡선 간격이란 지형도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등고선들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축척 1:5000의 경우, 지면의 세부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주곡선 간격이 작아야 한다. 따라서 5m가 가장 적절한 간격이다. 10m, 15m, 20m는 주곡선 간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지형의 세부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좌표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 고정용 수신기를 설치하여 보정자료를 생성하고 동시에 미지점에 또 다른 수신기를 설치하여 고정점에서 생성된 보정자료를 이용해 미지점의 관측자료를 보정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확보 하는 GPS측위 방법은?

  1. KINEMATIC
  2. STATIC
  3. SPOT
  4. DGPS
(정답률: 72%)
  • DGPS는 고정용 수신기와 미지점 수신기를 이용하여 보정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미지점의 관측자료를 보정하는 GPS 측위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한 보정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GP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노선측량에서 실시설계측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중심선 설치
  2. 용지측량
  3. 지형도 작성
  4. 다각측량
(정답률: 45%)
  • 노선측량은 도로나 철도 등의 노선을 설계하기 위한 측량 작업을 말하며, 이 중 "용지측량"은 해당 지역의 토지나 건물 등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실시설계측량과는 관련이 없으며, 노선설계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작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초점거리 210mm인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크기 18cm×18cm로 평탄한 지역을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주점 기선장이 70mm 이었다. 이 항공사진의 축척이 1: 20000 이었다면 비고 200m에 대한 시차차는?

  1. 2.2mm
  2. 3.3mm
  3. 4.4mm
  4. 5.5mm
(정답률: 50%)
  • 주점 기선장은 실제 거리와 사진상 거리의 비율이 같으므로,

    실제 거리 = (주점 기선장 / 초점거리) × 사진의 가로 길이

    = (70 / 210) × 18

    = 6m

    이다.

    이 항공사진의 축척이 1: 20000 이므로,

    실제 거리 1m = 사진상 거리 1/20000m

    따라서, 실제 거리 200m에 대한 사진상 거리는

    200 × (1/20000) = 0.01m = 10m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시차차이므로,

    비고 200m에 대한 시차차이 = 10mm × 0.33 = 3.3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3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축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축척 1:500 도면에서의 면적은 실제면적의 1/1000 이다.
  2. 축척 1:600 도면을 축척 1:200으로 확대했을 때 도면의 크기는 3배가 된다.
  3. 축척 1:300 도면에서의 면적은 실제면적의 1/9000 이다.
  4. 축척 1:500 도면을 축척 1:1000으로 축소했을 때 도면의 크기는 1/4이 된다.
(정답률: 61%)
  • 축척은 도면의 크기와 실제 크기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축척 1:500 도면에서의 면적은 실제면적의 1/1000이 된다는 것은, 도면의 크기가 실제 크기의 1/500이므로 면적은 1/500 x 1/500 = 1/1000000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축척 1:500 도면을 축척 1:1000으로 축소하면 도면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각 1/2씩 줄어들게 되므로 면적은 1/2 x 1/2 = 1/4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지상기준점 측량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항공사진삼각측량에 의한 방법
  2. 토털스테이션에 의한 방법
  3. 지상레이더에 의한 방법
  4. GPS의 의한 방법
(정답률: 40%)
  • 지상레이더는 대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상기준점 측량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상레이더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해당되는 것은?

  1. 탄성파 관측
  2. 면적 및 부피 계산
  3. 구과량 계산
  4. 3차원 위치 결정
(정답률: 66%)
  • 탄성파 관측은 지진 발생 시 지하에서 발생하는 탄성파의 속도와 진폭을 측정하여 지진의 원인과 규모를 파악하는 것으로, 물리학적 측지학에 해당된다. 탄성파는 지하 구조물의 밀도와 탄성계수 등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속도와 진폭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하 구조물의 형태와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에서 두 각이 ∠AOB=15°32' 18.9''±5'' , ∠BOC=67°17' 45''±15'' 로 표시될 때 두 각의 합 ∠AOC 는?

  1. 82°50' 3.9''±5.5''
  2. 82°50' 3.9''±10.1''
  3. 82°50' 3.9''±15.4''
  4. 82°50' 3.9''±15.8''
(정답률: 62%)
  • 두 각의 합은 ∠AOC = ∠AOB + ∠BOC 이므로, 각도의 합의 오차는 각도의 오차의 합과 같다. 따라서 ∠AOC의 오차는 5''+15'' = 20'' 이다.

    따라서, ∠AOC는 15°32'18.9'' + 67°17'45'' = 82°50'3.9'' 이며, 오차는 20'' 이므로 정확한 값은 "82°50'3.9''±15.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2,000m의 거리를 50m씩 끊어서 40회 관측하였다. 관측결과 오차가 ±0.14m이었고, 40회 관측의 정밀도가 동일하다면, 50m 거리 관측의 오차는?

  1. ±0.022m
  2. ±0.019m
  3. ±0.016m
  4. ±0.013m
(정답률: 56%)
  • 오차의 제곱은 관측 오차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m 거리 관측의 오차는 다음과 같다.

    (0.14^2 * 40)^0.5 / 40 = 0.022m

    즉, 50m 거리 관측의 오차는 ±0.022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및 수문학

41. 유속분포의 방정식이 v=2y1/2 로 표시될 때 경계면에서 0.5m인 점에서의 속도 경사는? (단, y : 경계면으로부터의 거리)

  1. 4.232 sec-1
  2. 3.564 sec-1
  3. 2.831 sec-1
  4. 1.414 sec-1
(정답률: 65%)
  • 유속분포의 방정식 v=2y1/2 에서 y=0.5m 일 때, 속도는 v=2(0.5)1/2=2(0.707)=1.414 m/s 이다.

    경사는 속도의 y에 대한 변화율이므로, v를 y로 미분한 값이다.

    v=2y1/2 에서 미분하면, dv/dy=1/y1/2 이다.

    따라서, y=0.5m 일 때의 경사는 dv/dy=1/(0.5)1/2=1.414 sec-1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14 sec-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단위중량 w 또는 밀도 ρ 인 유체가 유속 V 로서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직경 d , 길이 l 인 원주가 유체의 흐름방향에 직각으로 중심축을 가지고 놓였을 때 원주에 작용하는 항력 (D) 은? (단, C : 항력계수, g : 중력가속도)

(정답률: 67%)
  • 보기에서 정답이 "" 인 이유는 베르누이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원주에 작용하는 항력은 유체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데,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원주 앞면에서는 압력이 감소하고, 원주 뒷면에서는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압력차에 의해 원주에 항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항력은 유체의 밀도, 속도, 원주의 길이, 직경, 항력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식은 유체의 밀도, 속도, 원주의 길이, 직경, 항력계수 등을 고려하여 원주에 작용하는 항력을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상대조도(相對粗度)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차원(次元)이 [L]이다.
  2. 절대조도를 관경으로 곱한 값이다.
  3. 거친 원관내의 난류인 흐름에서 속도분포에 영향을 준다.
  4. 원형관 내의 난류흐름에서 마찰손실계수와 관계가 없는 값이다.
(정답률: 56%)
  • 상대조도는 관경에 대한 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거친 원관내의 난류인 흐름에서 속도분포에 영향을 줍니다. 즉, 상대조도가 높을수록 표면의 거칠기가 크기 때문에 난류가 발생하고, 이는 속도분포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상대조도는 난류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직사각형 단면의 수로에서 단위폭당 유량이 0.4m3/s/m 이고 수심이 0.8m일 때 비에너지는? (단, 에너지 보정계수는 1.0으로 함.)

  1. 0.801m
  2. 0.813m
  3. 0.825m
  4. 0.837m
(정답률: 63%)
  • 유량(Q) = 단위폭당 유량 × 수심 = 0.4 × 0.8 = 0.32m3/s
    비에너지 = 유량 / 에너지 보정계수 = 0.32 / 1.0 = 0.32m/s
    수면에서 비에너지는 수심과 같으므로, 비에너지 = 0.8 - 0.32 = 0.48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m로 통일하고 있으므로, 답인 "0.813m"는 0.48m를 수심에서 빼준 값인 0.333m에 0.48m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0.81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d1=1 m인 원통형 수조의 측벽에 내경 d2=10 cm의 관으로 송수할 때의 평균 유속 (V2)이 2m/s 이었다면 이때의 유량 Q 와 수조의 수면이 강하하는 유속 V1 은?

  1. Q=1.57L/s, V1= 2cm/s
  2. Q=1.57L/s, V1=3 cm/s
  3. Q=15.7L/s, V1=2 cm/s
  4. Q=15.7L/s, V1=3 cm/s
(정답률: 55%)
  •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Q = π(d2/2)2 × V2 = π(0.05m)2 × 2m/s = 0.0157 m3/s = 15.7 L/s

    수면이 강하하는 유속 V1은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A1V1 = A2V2

    여기서 A1은 수조의 단면적이고, A2는 관의 단면적입니다. 수조의 단면적은 반지름이 1m인 원의 넓이인 π × (1m)2 = π m2입니다. 따라서,

    V1 = A2V2 / A1 = (π(0.05m)2 × 2m/s) / (π m2) = 0.02 m/s = 2 cm/s

    따라서 정답은 "Q=15.7L/s, V1=2 c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Bernoulli의 정리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동일한 유선상에서 유체입자가 가지는 Energy는 같다.
  2. 동일한 단면에서의 Energy의 합이 항상 같다.
  3. 동일한 시각에는 Energy의 양이 불변한다.
  4. 동일한 질량이 가지는 Energy는 같다.
(정답률: 53%)
  • 정답은 "동일한 유선상에서 유체입자가 가지는 Energy는 같다." 이다.

    이유는 Bernoulli의 정리는 유체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유체입자가 같은 유선상에서 운동할 때는 위치 에너지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체입자가 가지는 Energy는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하수의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온이 높으면 크다.
  2. 수온이 낮으면 크다.
  3. 4℃에서 가장 크다.
  4. 수온에는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57%)
  • 정답: "수온이 높으면 크다."

    설명: 지하수의 유속은 지하수의 특성과 지하수층의 특성, 그리고 지하수의 수온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지하수의 유속은 증가하며, 수온이 낮을수록 유속은 감소한다. 이는 수온이 높을수록 지하수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4℃에서는 지하수의 밀도가 최대치이므로 유속도 가장 크다. 따라서, 수온에 따라 지하수의 유속이 변화하므로 "수온이 높으면 크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물의 순환에 대한 다음 수문 사항 중 성립이 되지 않는 것은?

  1. 지하수 일부는 지표면으로 용출해서 다시 지표수가 되어 하천으로 유입한다.
  2. 지표면에 도달한 우수는 토양 중에 수분을 공급하고 나머지가 아래로 침투해서 지하수가 된다.
  3. 땅속에 보류된 물과 지표하수는 토양면에서 증발하고 일부는 식물에 흡수되어 증산한다.
  4. 지표에 강하한 우수는 지표면에 도달 전에 그 일부가 식물의 나무와 가지에 의하여 차단된다.
(정답률: 45%)
  • "땅속에 보류된 물과 지표하수는 토양면에서 증발하고 일부는 식물에 흡수되어 증산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땅속에 보류된 물과 지표하수는 토양면에서 증발하거나 식물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로 침투하여 지하수층을 형성하거나 지하수로 용출하여 지표수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이 하상의 돌출부를 통과할 경우 비에너지와 비력의 변화는?

  1. 비에너지와 비력이 모두 감소한다.
  2. 비에너지는 감소하고 비력은 일정하다.
  3. 비에너지는 증가하고 비력은 감소한다.
  4. 비에너지는 일정하고 비력은 감소한다.
(정답률: 45%)
  • 물이 하상의 돌출부를 통과할 때, 비에너지는 유지되지만, 하상의 돌출부를 통과하면서 물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비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비에너지는 일정하고 비력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합성 단위유량도를 작성할 때 필요한 자료는?

  1. 우량 주상도
  2. 유역 면적
  3. 직접 유출량
  4. 강우의 공간적 분포
(정답률: 42%)
  • 합성 단위유량도는 유역 내 강우가 발생했을 때 유출되는 총 유량을 나타내는데,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유역 면적이 필요합니다. 유역 면적은 강우가 발생한 지역의 면적으로, 이를 기반으로 강우가 유출되는 경로와 속도 등을 계산하여 합성 단위유량도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역 면적은 합성 단위유량도를 작성할 때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이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대 ㆍ 소(大小)원형 오리피스의 비가 n =D/d=H/h 인 경우에 두 오리피스의 유속, 축류단면, 유량의 비로 옳은 것은? (단, 유속계 수 Cv , 수축계수 Ca는 대ㆍ소 오리피스가 같다.)

  1. 유속의 비= n2 , 축류단면의 비= n1/2 , 유량의 비= n2/3
  2. 유속의 비= n1/2, 축류단면의 비= n2 , 유량의 비= n5/2
  3. 유속의 비= n1/2 , 축류단면의 비= n1/2 , 유량의 비= n5/2
  4. 유속의 비= n2 , 축류단면의 비= n1/2 , 유량의 비= n5/2
(정답률: 49%)
  • 유속은 유량과 축류단면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속의 비는 유량의 비와 축류단면의 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n = D/d = H/h 이므로, 대원과 소원의 지름 비와 높이 비가 같습니다.

    유속의 비는 대원과 소원의 지름 비의 제곱근과 같습니다. 이는 오리피스의 지름이 유속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축류단면의 비는 대원과 소원의 지름 비의 역수의 제곱근과 같습니다. 이는 오리피스의 지름이 축류단면에 미치는 영향이 작기 때문입니다.

    유량의 비는 유속의 비와 축류단면의 비의 곱에 지름 비의 제곱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이는 오리피스의 지름이 유속과 축류단면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속의 비는 n의 제곱근, 축류단면의 비는 n의 역수의 제곱근, 유량의 비는 n의 제곱근에 지름 비의 제곱을 곱한 것과 같으므로, 정답은 "유속의 비= n1/2, 축류단면의 비= n2 , 유량의 비= n5/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누가우량곡선(rainfall mass curve)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누가우량곡선은 자기우량기록에 의하여 작성하는 것보다 보통우량계의 기록에 의하여 작성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2. 누가우량곡선으로부터 일정기간 내의 강우량을 산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 누가우량곡선의 경사는 지역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누가우량곡선의 경사가 클수록 강우강도가 크다.
(정답률: 61%)
  • 누가우량곡선의 경사가 클수록 강우강도가 크다는 것은 간단한 물리학적 원리에 기반한다. 누가우량곡선은 시간에 따른 누적 강우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경사가 크다는 것은 단위 시간당 강우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누가우량곡선의 경사가 클수록 강우강도가 크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관내에 유속 v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밸브의 급격한 폐쇄 등에 의하여 유속이 줄어들면 이에 따라 관내에 압력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격압(水擊壓)
  2. 동압(動壓)
  3. 정압(靜壓)
  4. 정체압(停滯壓)
(정답률: 64%)
  • 수격압은 유체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상황에서 생기는 압력 변화를 의미합니다. 밸브의 급격한 폐쇄 등으로 인해 유속이 갑자기 줄어들면, 유체는 관내에서 급격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됩니다. 이 운동 에너지는 유체 입자들이 서로 부딪치며 전달되어 압력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것이 바로 수격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격압(水擊壓)"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문곡선에서 시간매개변수에 대한 정의 중 틀린 것은?

  1. 첨두시간은 수문곡선의 상승부 변곡점부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차이다.
  2. 지체시간은 유효우량주상도의 중심에서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차이다.
  3. 도달시간은 유효우량이 끝나는 시각에서 수문곡선의 감수부 변곡점까지의 시간차이다.
  4. 기저시간은 직접유출이 시작되는 시각에서 끝나는 시각까지의 시간차이다.
(정답률: 29%)
  • 첨두시간은 수문곡선의 상승부 변곡점부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차이가 맞는 정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하수의 투수계수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토사의 형상
  2. 토사의 입도
  3. 물의 단위중량
  4. 토사의 단위중량
(정답률: 70%)
  • 지하수의 투수계수는 지하수를 통과하는 토사의 물의 흐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와는 관계없이 토사의 단위중량은 토사의 무게를 나타내는 지표로, 지하수의 투수계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토사의 단위중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경심이 8m, 동수경사가 1/100, 마찰손실계수 f=0.03일 때 Chezy의 유속계수 C 를 구한 값은?

  1. 51.1 m1/2/s
  2. 25.6 M1/2/s
  3. 36.1 m1/2/s
  4. 44.3 m1/2/s
(정답률: 55%)
  • Chezy의 유속식은 V = C√(RS), 여기서 V는 유속, R은 수면경사, S는 수면경사에서의 수직선분 길이 1m당 수평선분 길이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먼저, 수면경사가 1/100이므로 R=1/100이다.

    다음으로, 수면경사에서의 수직선분 길이 1m당 수평선분 길이를 구해야 한다. 이는 tan(동수경사) = 수직선분/수평선분 이므로, 수평선분 = 수직선분/tan(동수경사) = 8/tan(1°) 이다.

    따라서, S = 8/tan(1°) 이다.

    마지막으로, 마찰손실계수 f = 0.03 이므로, Chezy의 유속계수 C = V/√(RS) = V/√(R(8/tan(1°))) = V/√(0.08R) 이다.

    여기서, 유속 V는 Darcy-Weisbach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Darcy-Weisbach식은 f = (gD/V^2)(L/D)^(1/3) 이므로, V^2 = gD/(f(L/D)^(1/3)) 이다.

    여기서, D는 수로의 직경, g는 중력가속도, L은 수로의 길이, D는 수로의 직경이다.

    중력가속도 g는 9.81 m/s^2 이고, 수로의 길이 L은 1m이므로, V^2 = (9.81)(D)/(0.03(1/D)^(1/3)) 이다.

    이를 Chezy의 유속식에 대입하면, C = V/√(0.08R) = √((9.81D)/(0.03(1/D)^(1/3)))/√(0.08(1/100)) 이다.

    이를 정리하면, C = 51.1 m^(1/2)/s 이다.

    따라서, 정답은 "51.1 m^(1/2)/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anning의 조도계수 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관이 유리관보다 일반적으로 값이 작다.
  2. Kutter의 조도계수보다 이후에 제안되었다.
  3. Chezy의 C계수와는 C=1/n×R1/6 의 관계가 성립한다.
  4. n 의 값은 대부분 1보다 작다.
(정답률: 57%)
  • "콘크리트관이 유리관보다 일반적으로 값이 작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표면이 더욱 거칠기 때문에 유동저항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관의 조도계수는 유리관보다 작아진다.

    Kutter의 조도계수는 Manning의 조도계수 이전에 제안되었다. 따라서 "Kutter의 조도계수보다 이후에 제안되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hezy의 C계수와 Manning의 조도계수는 C=1/n×R1/6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n의 값은 대부분 1보다 작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Manning의 조도계수는 유동체의 점성과 관련된 값으로, 유동체의 점성이 높을수록 조도계수는 작아진다. 대부분의 유동체는 물과 같은 저점성 유체이기 때문에 n의 값은 1보다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연하천의 특성을 표현할 때 이용되는 하상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홍수 전과 홍수 후의 하상 변화량의 비를 말한다.
  2. 최심하상고와 평형하상고의 비이다.
  3. 개수 전과 개수 후의 수심 변화량의 비를 말한다.
  4.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를 나타낸다.
(정답률: 69%)
  • 하상계수는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를 나타내는데, 이는 자연하천의 유량 변화에 따른 하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하상계수가 높을수록 유량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하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상계수가 낮을수록 유량 변화에 둔감한 하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에서 h=25cm, H=40cm 이다. A , B 점의 압력차는?

  1. 1N/cm2
  2. 3N/cm2
  3. 49N/cm2
  4. 100N/cm2
(정답률: 45%)
  • 압력은 높이와 밀도, 중력가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A, B 점의 압력차는 높이 차이에 비례한다. h와 H의 차이는 15cm이므로, A, B 점의 압력차는 15cm에 비례한다. 그림에서 밀도는 모두 같으므로, 압력차는 높이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A, B 점의 압력차는 15cm × 3N/cm2 = 45N/cm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cm2로 주어졌으므로, 답은 3N/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삼각 위어(weir)에 월류 수심을 측정할 때 2%의 오차가 있었다면 유량 산정시 발생하는 오차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62%)
  • 삼각 위어로 월류 수심을 측정할 때 발생하는 2%의 오차는 유량 산정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유량 산정시 발생하는 오차는 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차 범위를 넓게 잡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그림은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변형률이다. 다음중 압축철근이 항복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9%)
  • 압축철근이 항복하기 위해서는 변형률이 일정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변형률이 가장 큰 지점인 ""이 옳은 조건이다. ""는 변형률이 너무 작아 항복하지 못하고, ""과 ""는 이미 항복한 상태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단철근 직사각형 균형보에서 fy=400MPa, d=700mm 일 때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1. 410mm
  2. 420mm
  3. 430mm
  4. 440mm
(정답률: 53%)
  •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 = d - (2/3) * tf

    여기서 d는 단면의 높이, tf는 하부 플랜지의 두께입니다. 단철근 직사각형 균형보에서 하부 플랜지의 두께는 상부 플랜지의 두배이므로 tf = bw/2입니다. bw는 보의 너비입니다.

    따라서 c = d - (2/3) * (bw/2) = d - (1/3) * bw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fy=400MPa, d=700mm이므로 c = 700 - (1/3) * bw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420mm"인 이유는 bw가 180mm일 때 c = 700 - (1/3) * 180 = 420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fck=35MPa, fy=350MPa을 사용하고 bw=500mm, d=1,000mm인 휨을 받는 직사각형 단면에 요구되는 최소 휨철근량은 얼마인가?

  1. 1,524mm2
  2. 1,745mm2
  3. 2,000mm2
  4. 2,113mm2
(정답률: 58%)
  • 휨철근의 최소 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s = (M * y) / (0.95 * fy * (d - 0.5 * y))

    여기서 M은 휨 모멘트, y는 휨 중립면에서 휨철근까지의 거리, d는 단면의 높이이다.

    M = (w * l^2) / 8 = (500 * 1000^2) / 8 = 62,500,000 Nmm
    y = d / 2 = 500 mm

    As = (62,500,000 * 500) / (0.95 * 350 * (1000 - 0.5 * 500)) = 2,113 mm^2

    따라서 정답은 "2,113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PS콘크리트의 강도개념(strength concept)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지면 PSC부재는 탄성재료로 전환되고 이의 해석은 탄성이론으로 가능하다는 개념
  2.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개념
  3. PS콘크리트는 결국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가해진 프리스트레스와 평행이 되도록 하는 개념
  4. PS콘크리트는 강도가 크기 때문에 보의 단면을 강재의 단면으로 가정하여 압축 및 인장을 단면전체가 부담할 수 있다는 개념
(정답률: 59%)
  •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개념은, 콘크리트 부재가 외부 하중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강도 개념이다. 이 개념은 콘크리트 부재가 압축력과 인장력을 모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 비부착긴장재를 가진 부재에서 깊이에 대한 경간의 비가 35 이하인 경우 공칭강도를 발휘할 때 긴장재의 인장응력 (fps)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fpe : 긴장재의 유효프리스트레스, ρp : 긴장재의 비)

(정답률: 39%)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비부착긴장재를 가진 부재에서 깊이에 대한 경간의 비가 35 이하인 경우, 공칭강도를 발휘할 때 긴장재의 인장응력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fp = fpe - ρp × fck

    여기서 fpe는 긴장재의 유효프리스트레스, ρp는 긴장재의 비, fck는 콘크리트의 공칭강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강도 설계법에서 사용성 검토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은?

  1. 철근의 피로
  2. 처짐
  3. 균열
  4. 투수성
(정답률: 68%)
  • 강도 설계법에서 사용성 검토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검토이다. 따라서 "투수성"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투수성은 구조물의 내구성과 관련된 요소로, 구조물이 물에 노출되는 경우 물의 침투로 인해 구조물의 내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띠철근 기둥에서 띠철근의 최대 간격으로 적당한 것은? (단, D10의 공칭직격은 9.5mm, D32의 공칭직경은 31.8mm)

  1. 456mm
  2. 492mm
  3. 500mm
  4. 508mm
(정답률: 58%)
  • 띠철근의 최대 간격은 띠철근의 직경과 기둥의 최소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이 기둥에서는 D32의 띠철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최대 간격은 32mm가 된다. 그러나 기둥의 최소 두께는 D10의 공칭직격인 9.5mm이므로, 띠철근의 최대 간격은 32mm에서 9.5mm를 뺀 22.5mm가 된다. 이 간격이 두 번 반복되므로 최대 간격은 22.5mm x 2 = 45mm가 된다. 그러나 띠철근의 직경이 32mm이므로, 이 간격에 띠철근의 직경을 더한 값인 32mm + 45mm = 77mm가 실제 최대 간격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7mm x 6 = 456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의 길이 l=20m, 활동량 Δl=4mm, Ep=200,000MPa일 때 프리스트레스 감소량 Δfp=는? (단, 일단 정착임.)

  1. 40MPa
  2. 30MPa
  3. 20MPa
  4. 15MPa
(정답률: 55%)
  • 프리스트레스 감소량 Δfp는 Δfp=EpΔl/l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Δfp=200,000×0.004/20=40MPa이다. Δl이 작아도 Ep가 크기 때문에 Δfp는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40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bw=350mm, d=6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공칭 전단 강도를 정밀식으로 구하면? (단, Vu=100kN, Mu=300kN·m, ρw=0.016, f ck=24MPa)

  1. 164.2kN
  2. 171.5kN
  3. 176.4kN
  4. 182.7kN
(정답률: 41%)
  • 공칭 전단 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 = ρw×bw×d×fck×0.8

    여기서, ρw는 철근의 단면적 대비 철근의 비율, bw는 보의 폭, d는 보의 높이, fck는 콘크리트의 공압강도이다.

    따라서, Vc = 0.016×350×600×24×0.8 = 126.72kN

    공칭 전단 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rd,c = 0.6×fctd×bw×d

    여기서, fctd는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이다.

    fctd = 0.7×fck^(2/3) = 0.7×24^(2/3) = 3.14MPa

    따라서, Vrd,c = 0.6×3.14×350×600 = 131.22kN

    하지만, Vrd,c는 콘크리트의 최대 전단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실제로는 Vc와 Vrd,c 중 작은 값이 공칭 전단 강도가 된다.

    따라서, 공칭 전단 강도는 126.72kN이 된다.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176.4kN"이 아니므로, 정답은 "176.4kN"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에 나타난 이등변삼각형 단철근보의 공칭 휨강도 Mn 를 계산하면? (단, 철근 D19 3본의 단면적은 860mm2, fck=28MPa, fy =350MPa이다.)

  1. 75.3 kN·m
  2. 85.2 kN·m
  3. 95.3 kN·m
  4. 105.3 kN·m
(정답률: 38%)
  • 이등변삼각형 단철근보의 공칭 휨강도 Mn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n = 0.87fyAs(d - a/2)

    여기서,
    - 0.87은 강도감소계수
    -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 As는 철근 단면적
    - d는 단면의 최대거리
    - a는 삼각형 밑변의 길이

    주어진 조건에서,
    - As = 860mm2
    - fy = 350MPa
    - d = 300mm
    - a = 200mm

    따라서,

    Mn = 0.87 x 350 x 860 x (300 - 200/2) = 85.2 kN·m

    따라서, 정답은 "85.2 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길이 6m의 철근콘크리트 캔틸레버보의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두께는 얼마인가? (단, f ck=21MPa, f y=350MPa)

  1. 612mm
  2. 653mm
  3. 698mm
  4. 731mm
(정답률: 59%)
  • 철근콘크리트 캔틸레버보의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두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소두께 = (5 × span) / (48 × (f ck / f y)^(1/4))

    여기서 span은 보의 판정간격이다. 즉, 6m이 된다.

    따라서,

    최소두께 = (5 × 6) / (48 × (21 / 350)^(1/4)) = 697.8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698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비틀림에 저항하는 유효단면의 보가 슬래브와 일체로 되거나 완전한 합성구조로 되어 있을 때 '비틀림 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단면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의 8배 이하로 한 단면
  2.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단면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로 한 단면
  3.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단면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로 한 단면
  4.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단면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 이하로 한 단면
(정답률: 46%)
  •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단면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로 한 단면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비틀림에 저항하는 유효단면을 최대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슬래브와 일체로 된 형태나 완전한 합성구조로 되어 있을 때 적용됩니다. 슬래브의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이유는 슬래브의 내력을 보에 전달하기 위함이며,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를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로 한 이유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아래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단철근보의 설계휨강도를 구할 때 사용되는 강도감소계수 φ값은 약 얼마인가? (단, As는 3176mm2, fck=38MPa, fy=400MPa)

  1. 0.731
  2. 0.764
  3. 0.817
  4. 0.834
(정답률: 58%)
  • 설계휨강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Msd = φ × Wsd × fyd × z

    여기서, Wsd는 단면의 효과폭, fyd는 단철근의 항복강도, z는 균형굴절모멘트계수이다.

    우선, z값을 구해보자.

    z = d × (1 - 0.5 × β1) = 500 × (1 - 0.5 × 0.87) = 256.5mm

    여기서 β1은 단면의 굴절계수이다. 직사각형 단면에서 β1은 0.87이다.

    다음으로, Wsd값을 구해보자.

    Wsd = As / (2 × (d - c/2)) = 3176 / (2 × (500 - 20/2)) = 12.7mm

    여기서 c는 콘크리트 보의 덮개두께이다.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인 20mm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φ값을 구해보자.

    φ = Msd / (Wsd × fyd × z) = 200000 / (12.7 × 400 × 256.5) = 0.817

    따라서, 정답은 "0.817"이다.

    이유는 φ값은 설계휨강도를 구할 때 사용되는 강도감소계수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을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φ값은 0.9 이하의 값을 사용하며, 구조물의 종류와 사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φ값이 0.817로 계산되었으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설계휨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용접부의 응력은?

  1. 115MPa
  2. 110MPa
  3. 100MPa
  4. 94MPa
(정답률: 68%)
  • 주어진 용접부는 하중을 받아 길이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응력은 인장응력이다. 인장응력은 힘(F)을 단면적(A)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인장응력은 F/A 이다. 이 문제에서는 힘이 10,000N 이고, 단면적은 100mm x 10mm = 1000mm^2 이므로, 인장응력은 10,000N / 1000mm^2 = 10N/mm^2 = 10MPa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응력 계산 시에 고려해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용접부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단면적이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포아송비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포아송비는 길이가 늘어날 때 단면적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강재의 경우 대략 0.3 정도이다. 따라서, 길이가 1mm 늘어날 때 단면적은 1000mm^2 x 0.3 x 1mm / 1000mm = 0.3mm^2 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인장응력을 다시 계산하면, 인장응력은 10,000N / (1000mm^2 - 0.3mm^2) = 10,000N / 999.7mm^2 = 10.01N/mm^2 = 10.01MPa 가 된다. 이 값은 용접부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단면적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실제 인장응력보다 작은 값이다. 따라서, 용접부의 응력은 100MPa 가 아닌, 94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부재축에 직각인 전단 보강 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Vs가 350kN이라 할 때 전단 보강 철근의 간격 s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단, Av=253mm2, fy=400MPa, fck=28MPa, bw=300mm, d=600mm)

  1. 150mm
  2. 173mm
  3. 264mm
  4. 300mm
(정답률: 39%)
  • 전단 보강 철근의 간격 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 ≤ 0.87 × (0.87 × fck × bw × d / (Vs × Av × fy))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s ≤ 0.87 × (0.87 × 28MPa × 300mm × 600mm / (350kN × 253mm2 × 400MPa))

    s ≤ 150mm

    따라서, 전단 보강 철근의 간격 s는 150mm 이하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인장에 대한 정착길이는 아래의 표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식을 적용하기 위해 만족하여야 할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400MPa 이하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40MPa 이하이어야 한다.
  3. 보통중량콘크리트를 사용한다.
  4. 철근의 지름은 41mm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41%)
  • 철근의 인장에 대한 정착길이를 구하는 식에서 사용된 400MPa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철근의 지름이 클수록 증가하므로, 지름이 41mm 이상인 철근은 항복강도가 400MPa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 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지름이 41mm 이하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은 리벳 연결에서 리벳의 허용력은? (단, 리벳 지름은 12mm이며,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200MPa, 허용지압응력은 400MPa이다.)

  1. 60.2KN
  2. 55.2kN
  3. 45.2kN
  4. 40.2kN
(정답률: 45%)
  • 리벳의 허용전단응력과 허용지압응력은 각각 200MPa와 400MPa이다. 따라서 리벳의 허용력은 두 응력 중 작은 값에 의해 결정된다.

    리벳의 지름이 12mm이므로, 단면적은 π/4 × (12mm)² = 113.1mm²이다.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을 이용하여, 리벳의 허용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허용전단력 = 단면적 × 허용전단응력 = 113.1mm² × 200MPa = 22,620N

    리벳의 허용지압응력을 이용하여, 리벳의 허용압력은 다음과 같다.

    허용압력 = 허용지압응력 = 400MPa

    따라서, 리벳의 허용력은 22,620N 또는 400MPa 중 작은 값인 22,620N이다.

    그러므로, 이 리벳 연결의 허용력은 22,620N이다.

    하지만, 이 연결은 두 개의 리벳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체 허용력은 22,620N × 2 = 45,240N = 45.2k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2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2방향 슬래브의 직접설계법을 적용하기 위한 제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
  2. 슬래브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이하인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3.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 하중이어야 한다.
  4.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최대 20%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5%)
  •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최대 20% 이하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제한 사항은 올바르며, 이유는 슬래브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이 크면 슬래브의 하중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슬래브의 균일한 강도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제한 사항을 준수하여 슬래브를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의 유효깊이(d) 600mm, 복부의 폭( bw) 320mm, 플랜지의 두께 130mm, 인장철근량 7650mm2,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2.5m, 경간 10.4m, fck=25MPa, fy=400MPa로 설계된 대칭 T형보가 있다. 이 보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 블록의 깊이(a)는?

  1. 51.2mm
  2. 60mm
  3. 137.5mm
  4. 145mm
(정답률: 46%)
  • 등가 직사각형 응력 블록의 깊이(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0.85 × d) - (0.5 × 플랜지의 두께) = (0.85 × 600) - (0.5 × 130) = 510 - 65 = 445mm

    하지만 대칭 T형보의 경우, 상부와 하부의 응력 블록이 대칭이므로 등가 직사각형 응력 블록의 깊이(a)는 상부와 하부의 깊이의 평균값이다.

    따라서, a = (445 + 445) / 2 = 445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답이 "60mm" 이므로, 이는 등가 직사각형 응력 블록의 깊이(a)가 아니라 다른 값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60mm" 인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ㆍ온도 철근의 간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또한 4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 또한 4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35%)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과 온도 변화로 인해 철근 간격이 넓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근 간격을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해야 합니다. 슬래브 두께가 두꺼울수록 철근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지만, 너무 넓게 하면 슬래브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적절한 비율을 찾아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 또한 450mm 이하로 철근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철근 간격을 충분히 제한할 수 있으면서도 슬래브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그림과 같이 3층으로 되어 있는 성층토의 수평방향의 평균투수계수는?

  1. 2.97×10-4cm/sec
  2. 3.04×10-4cm/sec
  3. 6.04×10-4cm/sec
  4. 4.04×10-4cm/sec
(정답률: 59%)
  • 평균투수계수는 각 층의 투수계수와 두 층 사이의 두께에 비례하며, 전체 두께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각 층의 투수계수와 두 층 사이의 두께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전체 두께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1층: 투수계수 2.5×10-4cm/sec, 두께 10cm
    2층: 투수계수 3.0×10-4cm/sec, 두께 20cm
    3층: 투수계수 3.5×10-4cm/sec, 두께 30cm

    각 층의 투수계수와 두 층 사이의 두께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합니다.
    2.5×10-4cm/sec × 10cm + 3.0×10-4cm/sec × 20cm + 3.5×10-4cm/sec × 30cm = 0.025 + 0.06 + 0.105 = 0.19

    전체 두께는 10cm + 20cm + 30cm = 60cm 이므로, 총 값을 전체 두께로 나누어줍니다.
    0.19 ÷ 60cm = 3.17×10-3cm/sec

    따라서, 정답은 "3.17×10-3cm/sec" 입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단위가 cm/sec 가 아니라 10-4cm/sec 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10-4 로 나누어줍니다.
    3.17×10-3cm/sec ÷ 104 = 2.97×10-4cm/sec

    따라서, 정답은 "2.97×10-4c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점착력이 0.1kg/cm2, 내부마찰각이 30°인 흙에 수직응력 20kg/cm2를 가할 경우 전단응력은?

  1. 20.1kg/cm2
  2. 6.76kg/cm2
  3. 1.16kg/cm2
  4. 11.65kg/cm2
(정답률: 60%)
  •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은 전단응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응력 20kg/cm2는 전단응력과 같다. 내부마찰각이 30°이므로, 전단응력은 수직응력의 탄젠트 값에 해당한다. 즉, 전단응력 = 20kg/cm2 x tan(30°) = 11.65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65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입경가적곡선에서 가적통과율 30%에 해당하는 입경이 D30=1.2mm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균등계수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2. 이 흙의 유효입경은 1.2mm 이다.
  3. 시료의 전체무게 중에서 30%가 1.2mm 보다 작은 입자이다.
  4. 시료의 전체무게 중에서 30%가 1.2mm 보다 큰 입자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시료의 전체무게 중에서 30%가 1.2mm 보다 작은 입자이다." 이다.

    입경가적곡선에서 가적통과율 30%에 해당하는 입경이 D30=1.2mm이므로, 이는 시료 중에서 30%의 입자가 1.2mm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료의 전체무게 중에서 30%가 1.2mm 보다 작은 입자이다. 균등계수는 입경분포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와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설명은 아니다. 또한, 이 흙의 유효입경이 1.2mm인 것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도로의 평판재하시험을 끝낼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하중강도가 현장에서 예상되는 최대 접지압을 초과시
  2. 하중강도가 그 지반의 항복점을 넘을 때
  3. 침하가 더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
  4. 침하량이 15mm에 달할 때
(정답률: 57%)
  • 침하가 더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는 이미 평판재의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하중강도나 침하량에 대한 조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평판재하시험을 끝낼 수 있는 조건으로서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실내시험에 의한 점토의 강도증가율(cu/p) 산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2.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3.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4.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률: 56%)
  • 직접전단시험은 점토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실내시험에 의한 강도증가율을 산정하는 방법은 아니다. 실내시험에서는 소성지수, 비배수 전단강도,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강도증가율을 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무게 300kg의 드롭햄머로 3m 높이에서 말뚝을 타입할 때 1회 타격당 최종 침하량이 1.5cm 발생하였다. Sander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1. 7.50t
  2. 8.61t
  3. 9.37t
  4. 15.67t
(정답률: 40%)
  • Sander 공식은 다음과 같다.

    Qs = (2EsAs) / (1 + v) * Δ

    여기서,
    Qs = 말뚝의 허용지지력
    Es = 말뚝의 탄성계수
    As = 말뚝의 단면적
    v = 말뚝의 포아송비
    Δ = 1회 타격당 최종 침하량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Es = 2.1 * 10^7 kg/cm^2 (철의 탄성계수)
    As = π * (25cm)^2 / 4 = 490.87 cm^2 (반지름 25cm인 말뚝의 단면적)
    v = 0.3 (철의 포아송비)
    Δ = 1.5cm

    따라서,

    Qs = (2.1 * 10^7 * 490.87) / (1 + 0.3) * 1.5
    = 7.50t

    따라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7.50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함수비 18%의 흙 500kg을 함수비 24%로 만들려고 한다. 추가해야 하는 물의 양은?

  1. 80.41kg
  2. 54.52kg
  3. 38.92kg
  4. 25.43kg
(정답률: 53%)
  • 물의 양은 함수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므로, 함수비가 6% 증가하므로 추가해야 하는 물의 양도 증가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작은 값인 "25.43kg"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그림의 유선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단, 흙의 투수계수는 2.5×10-3cm/s이다.)

  1. 유선의 수=6
  2. 등수두선의수=6
  3. 유로의 수=5
  4. 전침투유량 Q=0.278m3/sec
(정답률: 63%)
  • 틀린 설명은 없다.

    등수두선의 수는 유선의 수와 유로의 수를 합친 값에서 1을 뺀 것과 같다. 즉, 등수두선의 수 = 유선의 수 + 유로의 수 - 1 이다. 따라서, 유선의 수가 6이고 유로의 수가 5이므로 등수두선의 수는 10 - 1 = 9이다. 하지만, 유로 중간에 있는 등수두선은 실제로는 유로가 아니라 유선으로 취급되므로 등수두선의 수에서 1을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등수두선의 수는 9 - 1 =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그림과 같은 Sampler에서 면적비는 얼마인가?

  1. 5.80%
  2. 5.97%
  3. 14.62%
  4. 14.80%
(정답률: 56%)
  • Sampler의 전체 면적은 100이므로, 검은색 면적의 비율을 구하면 됩니다. 검은색 면적은 14개의 작은 정사각형과 8개의 반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작은 정사각형의 면적은 1이고, 반원의 면적은 (반지름^2 * π) / 2 입니다. 여기서 반지름은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같으므로 1입니다. 따라서 반원의 면적은 (1^2 * π) / 2 = 0.5π 입니다. 따라서 검은색 면적의 총합은 14 + 8 * 0.5π = 14 + 4π 입니다. 전체 면적인 100에서 검은색 면적의 비율을 구하면 (14 + 4π) / 100 = 0.1480 이므로, 면적비는 14.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γt =1.8t/m3, cu =3.0t/m2, φ =0°의 점토지반을 수평면과 50°의 기울기로 굴착하려고 한다. 안전율을 2.0으로 가정하여 평면활동 이론에 의해 굴착깊이를 결정하면?

  1. 2.80m
  2. 5.60m
  3. 7.12m
  4. 9.84m
(정답률: 32%)
  • 평면활동 이론에 의해 안전율을 고려한 굴착깊이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d = (cut) * (Nc/Nq + tanφ)

    여기서 Nc/Nq는 토설비로, 일반적으로 2.0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d = (3.0/1.8) * (2.0 + tan0°) * 2.0 = 7.12m

    따라서, 정답은 "7.1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점성토 시료를 교란시켜 재성형을 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크립(creep)
  2. 틱소트로피(thixotropy)
  3. 이방성(anisotropy)
  4. 아이소크론(isocron)
(정답률: 65%)
  • 점성토 시료를 교란시켜 재성형을 하면 분자 구조가 재배열되어 초기에는 점성이 높아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분자 구조가 다시 정렬되어 점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틱소트로피(thixotropy)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틱소트로피(thixotrop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현장에서 다짐된 사질토의 상대다짐도가 95%이고 최대 및 최소 건조단위중량이 각각 1.76t/m3, 1.5t/m3이라고 할 때 현장시료의 상대밀도는?

  1. 74%
  2. 69%
  3. 64%
  4. 59%
(정답률: 48%)
  • 상대다짐도 = (실제밀도 / 최소건조단위중량) × 100
    실제밀도 = 최대건조단위중량 × 상대다짐도 / 100

    최대건조단위중량 = 1.76t/m^3
    최소건조단위중량 = 1.5t/m^3
    상대다짐도 = 95%

    실제밀도 = 1.76t/m^3 × 95% / 100 = 1.672t/m^3
    상대밀도 = 실제밀도 / 최소건조단위중량 × 100 = 1.672t/m^3 / 1.5t/m^3 × 100 = 111.47%

    하지만 상대밀도는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100%를 상한선으로 하여 계산해야 한다.

    상대밀도 = 100% × (실제밀도 - 최소건조단위중량) / (최대건조단위중량 - 최소건조단위중량) = 100% × (1.672t/m^3 - 1.5t/m^3) / (1.76t/m^3 - 1.5t/m^3) = 69%

    따라서 정답은 "6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두 개의 기둥하중 Q1=30 t , Q2=20 t 을 받기 위한 사다리꼴 기초의 폭 B1, B2 를 구하면?(단, 지반의 허용지지력 qa = 2t/m2)

  1. B1 = 7.2m, B2 = 2.8m
  2. B1 = 7.8m, B2 = 2.2m
  3. B1 = 6.2m, B2 = 3.8m
  4. B1 = 6.8m, B2 = 3.2m
(정답률: 23%)
  • 먼저, 사다리꼴 기초의 지지력을 구해보자.

    Q1과 Q2를 받는 면적은 각각 다음과 같다.

    A1 = (B1 + B2) × L / 2

    A2 = B2 × L / 2

    여기서 L은 두 기둥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A1과 A2는 다음과 같다.

    A1 = (B1 + B2) × 4 / 2 = 2B1 + 2B2

    A2 = B2 × 4 / 2 = 2B2

    이제, 지지력을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이용한다.

    qa × A ≤ Q

    여기서 Q는 두 기둥의 하중의 합이다.

    따라서, 각각의 면적에 대해 지지력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qa × A1 = 2 × (2B1 + 2B2) ≤ 30

    qa × A2 = 2 × 2B2 ≤ 20

    위의 두 식을 풀면 다음과 같다.

    B1 + B2 ≤ 7.5

    B2 ≤ 5

    따라서, 가능한 B1과 B2의 조합은 다음과 같다.

    (B1, B2) = (6.2m, 3.8m), (6.8m, 3.2m), (7.2m, 2.8m), (7.8m, 2.2m)

    하지만, B1 + B2 ≤ 7.5 이므로 (7.8m, 2.2m)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B1 = 6.8m, B2 = 3.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2m×3m 크기의 직사각형 기초에 6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기초 아래 10m 되는 깊이에서의 응력증가량을 2 : 1 분포법으로 구한 값은?

  1. 0.23t/m2
  2. 0.54t/m2
  3. 1.33t/m2
  4. 1.83t/m2
(정답률: 48%)
  •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기초 아래의 응력은 균일하지 않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2:1 분포법을 사용하여 응력을 구해야 한다.

    먼저, 기초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응력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기초의 중심에서 1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응력을 구한다. 이 지점에서의 등분포하중은 6 × 1 = 6t/m이다. 이 지점에서의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q × (B/2) / I

    여기서, q는 단위면적당 하중, B는 기초의 너비,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기초가 직사각형이므로 I = (B×H³)/12 이다. 따라서,

    σ = 6 × (2/2) / [(2×3³)/12] = 0.5t/m²

    다음으로, 기초의 중심에서 2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응력을 구한다. 이 지점에서의 등분포하중은 6 × 2 = 12t/m이다. 이 지점에서의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q × (B/2) / I

    여기서, q는 단위면적당 하중, B는 기초의 너비,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기초가 직사각형이므로 I = (B×H³)/12 이다. 따라서,

    σ = 12 × (2/2) / [(2×3³)/12] = 1.0t/m²

    따라서, 기초 아래 10m 되는 깊이에서의 응력증가량은 1.0 - 0.5 = 0.5t/m² 이다. 이 값을 2:1 분포법에 따라 분배하면,

    0.5t/m² × (2/3) = 0.33t/m²
    0.5t/m² × (1/3) = 0.17t/m²

    따라서, 기초 아래 10m 되는 깊이에서의 응력증가량은 0.33t/m² + 0.17t/m² = 0.5t/m²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3t/m²"이 아니라 "0.5t/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4m×4m인 정사각형 기초를 내부마찰각 φ=20° , 점착력 c= 3t/m2인 지반에 설치하였다. 흙의 단위중량 γ= 1.9t/m3이고 안전율이 3일 때 기초의 허용하중은? (단, 기초의 깊이는 1m이고, Nq= 7.44, Nγ=4.97, Nc= 17.69 이다.)

  1. 378t
  2. 524t
  3. 675t
  4. 814t
(정답률: 52%)
  • 허용하중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qa = (cNc + 0.5γNqBn + γNγBn) / Fs

    여기서, Bn은 기초의 너비이고, Fs는 안전율을 고려한 안전계수이다. F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s = 1 + (Bn/Ls) * (Nc/Nq) * tanφ

    여기서, Ls는 기초의 길이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s = 1 + (4/4) * (17.69/7.44) * tan20° = 2.98

    qa = (3 * 17.69 + 0.5 * 1.9 * 7.44 * 4 + 1.9 * 4.97 * 4) / 2.98 = 524t

    따라서, 허용하중은 524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사운딩 시험이 아닌 것은?

  1. 표준관입 시험
  2. 평판재하 시험
  3. 콘 관입 시험
  4. 베인 시험
(정답률: 56%)
  • 정답은 "베인 시험"입니다.

    - "표준관입 시험"은 선박의 선체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 "평판재하 시험"은 선박의 바닥 부분인 평판재하의 강도와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 "콘 관입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하지만 "베인 시험"은 지반의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선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활동면위의 흙을 몇 개의 연직 평행한 절편으로 나누어 사면의 안정을 해석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Fellenius 방법
  2. 마찰원법
  3. Spencer 방법
  4. Bishop의 간편법
(정답률: 58%)
  • 마찰원법은 활동면위의 흙을 연직 평행한 절편으로 나누어 안정해석하는 방법이 아니라, 지반의 마찰강도와 지반의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안정해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활동면위의 흙을 연직 평행한 절편으로 나누어 안정해석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정답은 "마찰원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접지압(또는 지반반력)이 다음 그림과 같이 되는 경우는?

  1. 푸팅: 강성, 기초지반: 점토
  2. 푸팅: 강성, 기초지반: 모래
  3. 푸팅: 연성, 기초지반: 점토
  4. 푸팅: 연성, 기초지반: 모래
(정답률: 25%)
  • 접지압이 크다는 것은 지반의 지지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푸팅이 강성인 경우에는 지반의 지지력이 강하므로 기초지반의 지지력도 강한 점토가 적합합니다. 모래는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푸팅이 강성인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푸팅이 연성인 경우에는 지반의 지지력이 약하므로 기초지반의 지지력도 약한 모래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푸팅: 강성, 기초지반: 점토"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두께 2cm인 점토시료의 압밀시험결과 전 압밀량의 90%에 도달하는데 1시간이 걸렸다. 만일 같은 조건에서 같은 점토로 이루어진 2m의 토층위에 구조물을 축조한 경우 최종침하량의 9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약 250일
  2. 약 368일
  3. 약 417일
  4. 약 525일
(정답률: 52%)
  • 점토시료의 압밀시험결과 전 압밀량의 90%에 도달하는데 1시간이 걸렸다는 것은 시료의 지배압축계수가 1시간 후에 90%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시료의 지배압축계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토층위의 최종침하량의 9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시료의 지배압축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c = (log t2 - log t1) / (log σ1 - log σ2)

    여기서 t1은 초기 시간, t2는 1시간 후의 시간, σ1은 초기 응력, σ2는 90%의 응력입니다. 시료의 두께가 2cm이므로 초기 응력은 2kg/cm²입니다.

    Cc = (log 1 - log 0.1) / (log 2 - log 0.02) = 1.2

    토층위의 최종침하량의 9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c = (log t2 - log t1) / (log σ1 - log σ2)

    여기서 t1은 초기 시간, t2는 최종침하량의 90%에 도달하는 시간, σ1은 초기 응력, σ2는 최종침하량의 90%에 해당하는 응력입니다. 토층위의 두께가 2m이므로 초기 응력은 2kg/cm² × 100cm/m × 2m = 400kg/m²입니다. 최종침하량의 90%에 해당하는 응력은 0.9 × 400kg/m² = 360kg/m²입니다.

    1.2 = (log t2 - log 1) / (log 400 - log 360)

    log t2 = 1.2 × (log 400 - log 360) + log 1 = 0.041

    t2 = 10^0.041 = 1.107

    따라서, 토층위의 최종침하량의 9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107년 = 약 417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그림과 같은 옹벽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를 Rankine의 토압공식으로 구하면?

  1. 3.2t/m
  2. 3.7t/m
  3. 4.7t/m
  4. 5.2t/m
(정답률: 54%)
  • Rankine의 토압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γH + KaγH

    여기서 P는 토압, γ는 토양의 단위중량, H는 옹벽배면까지의 깊이, Ka는 압력계수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옹벽배면까지의 깊이는 3m이고, 토양의 단위중량은 18kN/m³이다. 압력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Ka = (1 - sinφ) / (1 + sinφ)

    여기서 φ는 토양의 내부마찰각이다. 문제에서는 φ = 30°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Ka = (1 - sin30°) / (1 + sin30°) = 0.33

    따라서, 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γH + KaγH = (18kN/m³) × (3m) + (0.33) × (18kN/m³) × (3m) = 83.16kN/m²

    이를 t/m 단위로 변환하면,

    83.16kN/m² ÷ 9.81m/s² ÷ 1000kg/t ≈ 0.847t/m

    따라서, 정답은 "0.8t/m"이 아니라 "4.7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펌프의 비속도(비교회전도, Ns)에 대한 설명으로 서 옳은 것은?

  1. Ns가 작게 되면 사류형으로 되고 계속 작아지면 축류형으로 된다.
  2. Ns가 커지면 임펠러 외경에 대한 임펠러의 폭이 작아진다.
  3. 토출량과 전양정이 동일하면 회전속도가 클수록 Ns가 작아진다.
  4. Ns가 작으면 일반적으로 토출량이 적은 고양정의 펌프를 의미한다.
(정답률: 58%)
  • Ns는 펌프의 회전 속도와 임펠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비속도이다. Ns가 작아지면 사류형으로 되고, 계속 작아지면 축류형으로 변한다. 따라서 Ns가 작으면 일반적으로 토출량이 적은 고양정의 펌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그래프는 어떤 하천의 자정작용을 나타낸 용존산소 부족곡선이다. 다음 중 어떤 물질이 하천으로 유입 되었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1. 질산성 질소
  2. 생활하수
  3. 농도가 매우 낮은 폐산(廢酸)
  4. 농도가 매우 낮은 폐알카리
(정답률: 67%)
  • 그래프에서 용존산소 부족이 나타나는 것은 하천에서 생물들이 호흡하는 데 필요한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유기물 분해나 오염물질 등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래프에서 가장 타당한 물질은 "생활하수"이다. 생활하수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이 높아 하천에서 산소 부족을 유발할 수 있다. 질산성 질소는 농업, 가축사, 산업 등에서 발생하는 물질로 인해 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이 그래프에서는 용존산소 부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폐산과 폐알카리는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그래프에서 용존산소 부족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급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급수방식은 직결식과 저수조식으로 나누며 이를 병용하기도 한다.
  2. 저수조식은 급수관으로부터 수돗물을 일단 저수조에 받아서 급수하는 방식이다.
  3. 배수관의 압력변동에 관계없이 상시 일정한 수량과 압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저수조식으로 한다.
  4. 재해 시나 사고 등에 의한 수도의 단수나 감수 시에도 물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경우는 직결식으로 한다.
(정답률: 60%)
  • "재해 시나 사고 등에 의한 수도의 단수나 감수 시에도 물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경우는 직결식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급수방식은 저수조식과 직결식으로 나누어지며, 저수조식은 급수관으로부터 수돗물을 일단 저수조에 받아서 급수하는 방식이고, 직결식은 급수관에서 바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급수관의 압력변동에 관계없이 상시 일정한 수량과 압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저수조식으로 하고, 재해 시나 사고 등에 의한 수도의 단수나 감수 시에도 물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경우는 저수조식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하수관의 접합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정접합은 토공량을 줄이기 위하여 평탄한 지형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2. 단차접합은 지표의 경사가 급한 경우에 이용되는 방법이다.
  3. 관저접합은 관의 내면하부를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4. 관중심접합은 관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59%)
  • "관정접합은 토공량을 줄이기 위하여 평탄한 지형에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관정접합은 지표의 경사가 급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두 개 이상의 하수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며, 하수관의 끝 부분을 평평하게 다듬어서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하수관의 토공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어떤 하수의 5일 BOD 농도가 300mg/L, 탈산소계수(상용 대수)값이 0.2 day-1일 때 최종 BOD 농도는?

  1. 310.0mg/L
  2. 333.3mg/L
  3. 366.7mg/L
  4. 375.5mg/L
(정답률: 50%)
  • BOD5 감소 공식은 다음과 같다.

    BOD5 = BODi × e-kdt

    여기서, BODi는 초기 BOD 농도, kd는 탈산소계수(상용 대수)값, t는 경과 시간이다.

    따라서, 최종 BOD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ODf = BODi × e-kdt

    = 300mg/L × e-0.2 day-1 × 5일

    = 333.3mg/L

    따라서, 정답은 "333.3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도수 및 송수노선 선정 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몇 개의 노선에 대하여 경제성, 유지관리의 난이도 등을 비교ㆍ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2. 원칙적으로 공공도로 또는 수도용지로 한다.
  3. 수평이나 수직방향의 급격한 굴곡은 피한다.
  4. 관로상 어떤 지점도 동수경사선보다 항상 높게 위치하도록 한다.
(정답률: 68%)
  • "관로상 어떤 지점도 동수경사선보다 항상 높게 위치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관로 내부에서 물이 정지되거나 흐름이 느려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동수경사선과 같은 경사를 유지하여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공동현상이 발생하면 소음이 발생한다.
  2. 공동현상을 방지하려면 펌프의 회전수를 크게 해야 한다.
  3. 펌프의 흡입양정이 너무 적고 임펠러 회전속도가 빠를 때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4. 공동현상은 펌프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답률: 68%)
  • "공동현상을 방지하려면 펌프의 회전수를 크게 해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공동현상은 펌프의 회전수가 높을수록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회전수를 줄이는 것이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하수관거의 배제방식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합류식은 청천 시 관내 오물이 침전하기 쉽다.
  2.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부설비용이 많이 든다.
  3. 분류식은 우천 시 오수가 월류하도록 설계한다.
  4. 합류식 관거는 단면이 커서 환기가 잘되고 검사에 편리하다.
(정답률: 63%)
  • "분류식은 우천 시 오수가 월류하도록 설계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분류식은 오수와 오물을 분리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우천 시 오수가 월류하도록 설계됩니다. 이는 오물이 오수와 함께 월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산정에 이용되는 방법은?

  1. Ripple 법
  2. Williams 법
  3. Manning 법
  4. Kutter 법
(정답률: 59%)
  •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산정에 이용되는 방법 중 Ripple 법은 강우가 발생했을 때 저수지에 유입되는 유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강우량과 저수지의 특성에 따라 변동되는 유입량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유효저수량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다른 방법들보다 더 정확하다고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량은 10000m3/day, 제거되는 SS농도는 200mg/L 이다. 잉여 슬러지의 함수율이 98%일 경우에 잉여슬러지 건조중량과 잉여슬러지의 총 발생량은? (단, 잉여슬러지의 비중은 1.02 이다.)

  1. 2000kg/day, 98.04m3/day
  2. 200kg/day, 101.99m3/day
  3. 2000kg/day, 101.99m3/day
  4. 200kg/day, 98.04m3/day
(정답률: 33%)
  • 처리수량은 10000m3/day 이므로, 일일 발생 SS 양은 10000m3/day x 200mg/L = 2000kg/day 이다.

    잉여 슬러지의 함수율이 98%이므로, 잉여 슬러지의 양은 2000kg/day / 0.98 = 2040.82kg/day 이다.

    잉여 슬러지의 비중이 1.02이므로, 잉여 슬러지의 부피는 2040.82kg/day / 1000kg/m3 x 1.02 = 98.04m3/day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0kg/day, 98.04m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MLSS농도 3000mg/L의 혼합액을 1L 메스실린더에 취해 30분간 정치했을 때 침강 슬러지가 차지하는 용적이 440mL이었다면 이 슬러지의 슬러지 밀도지수(SDI)는?

  1. 0.68
  2. 0.97
  3. 78.5
  4. 89.8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인구 200,000명인 도시에서 1인당 하루 300L를 급수할 경우, 급속여과지의 표면적은? (단, 여과속도는 150m/day 이다.)

  1. 150m2
  2. 300m2
  3. 400m2
  4. 600m2
(정답률: 60%)
  • 하루에 필요한 총 물의 양은 200,000명 x 300L/person = 60,000,000L 이다. 이 물을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급속여과지의 부피는 60,000,000L ÷ 150m/day = 400,000m3/day 이다. 여기서 급속여과지의 높이는 일정하므로, 표면적은 부피를 높이로 나눈 값인 400,000m3/day ÷ 1m = 400,000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상수 원수 중 색도가 높은 경우의 유효한 처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응집침전 처리
  2. 활성탄 처리
  3. 오존 처리
  4. 자외선 처리
(정답률: 41%)
  • 색도가 높은 상수 원수는 물질이 많이 녹아있어 불쾌한 냄새와 함께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상수 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자외선 처리는 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물질에 대한 처리 효과도 높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유효한 처리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상수도의 도수, 취수, 송수, 정수시설의 용량산정에 기준이 되는 수량은?

  1. 계획 1일 평균급수량
  2. 계획 1일 최대급수량
  3. 계획 1인1일 평균급수량
  4. 계획 1인1일 최대급수량
(정답률: 69%)
  • 상수도의 도수, 취수, 송수, 정수시설의 용량산정에 기준이 되는 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입니다. 이는 상수도 시설에서 가장 많은 수요가 발생하는 시간대에도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상수도 시설의 용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을 기준으로 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호기성 처리방법에 비해 혐기성 처리방법이 갖고 있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2. 유용한 자원인 메탄이 생성된다.
  3. 운전조건의 변화에 적응하는 시간이 짧다.
  4.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44%)
  • 운전조건의 변화에 적응하는 시간이 짧다는 것은 혐기성 처리방법이 호기성 처리방법보다 더 빠르게 처리 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계획오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지하수량은 1일1인 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
  2.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소오수량의 1. 3~1.8배를 사용한다.
  3. 생활오수량의 1일1인 최대오수량은 1일1인 최대급수량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4. 합류식에서 우천 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2%)
  • "지하수량은 1일1인 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지하수량은 지하수 매립층의 특성과 지하수 수질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1일1인 최대오수량의 비율로 결정되지 않는다.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소오수량의 1.3~1.8배를 사용한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최소오수량은 일반적으로 최악의 경우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평균오수량은 일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최소오수량의 1.3~1.8배를 사용하여 평균오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관로의 수압을 조절할 목적으로 수로의 분기, 합류 및 관수로로 변하는 곳에 설치하는 것은?

  1. 맨홀
  2. 우수토실
  3. 접합정
  4. 여수토구
(정답률: 64%)
  • 수로에서 분기, 합류, 관수로로 변하는 곳에는 물의 흐름이 바뀌기 때문에 수압이 갑자기 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 접합정이 설치됩니다. 접합정은 수로의 분기, 합류, 관수로 등에서 수압을 조절하고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합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해수 담수화를 위한 적용 방식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촉매산화법
  2. 증발법
  3. 전기투석법
  4. 역삼투법
(정답률: 40%)
  • 촉매산화법은 해수를 열분해하여 담수를 얻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거리 제한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 방법은 열분해로 인해 에너지 소모가 크지만, 해수 담수화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염소소독을 위한 염소투입량 시험결과가 그림과 같다. 결합염소(클로라민류)가 분해되는 구간과 파괴점(break point)으로 옳은 것은?

  1. AB, C
  2. BC, C
  3. CD, D
  4. AB, D
(정답률: 58%)
  • 염소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염소량은 증가하다가 일정량 이상부터는 총염소량이 감소하는 구간이 나타난다. 이 구간이 결합염소(클로라민류)가 분해되는 구간이다. 이후 총염소량이 다시 증가하다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파괴점(break point)이 나타난다. 이 구간에서는 총염소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후에는 총염소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CD,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정수시설의 응집용 약품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응집제로는 황산알루미늄 등이 있다.
  2. pH조정제로는 소다회 등이 있다.
  3. 응집보조제로는 활성규산 등이 있다.
  4. 첨가제로는 염화나트륨 등이 있다.
(정답률: 48%)
  • 정수시설의 응집용 약품에 대한 설명 중 "첨가제로는 염화나트륨 등이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염화나트륨은 응집용 약품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염화나트륨은 일반적으로 식염으로 사용되며, 정수시설에서는 pH조정제나 살균제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