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9)

토목기사
(2018-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상ㆍ하단이 고정인 기둥에 그림과 같이 힘 P가 작용한다면 반력 RA, RB 값은?

(정답률: 68%)
  • 기둥이 상하단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둥은 수직방향으로만 반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P가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반력 RA, RB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P의 크기와 방향에 상관없이 기둥이 정지 상태에 있으려면, RA과 RB의 크기는 서로 같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2개의 집중하중이 단순보 위를 통과할 때 절대최대 휨모멘트의 크기(Mmax)와 발생위치(x)는?

  1. Mmax=36.2tㆍm, x=8m
  2. Mmax=38.2tㆍm, x=8m
  3. Mmax=48.6tㆍm, x=9m
  4. Mmax=50.6tㆍm, x=9m
(정답률: 76%)
  • 절대최대 휨모멘트는 집중하중이 위치한 곳에서 발생하므로, 첫 번째 집중하중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휨모멘트와 두 번째 집중하중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휨모멘트를 비교하여 더 큰 값을 선택하면 된다.

    첫 번째 집중하중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휨모멘트는 M1=10×3=30tㆍm이다.

    두 번째 집중하중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휨모멘트는 M2=20×(3+6)=480tㆍm이다.

    따라서, 절대최대 휨모멘트는 Mmax=480tㆍm이고, 발생위치는 두 번째 집중하중이 위치한 지점인 x=9m이다. 따라서 정답은 "Mmax=48.6tㆍm, x=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면 2차 모멘트가 I이고 길이가 ℓ인 균일한 단면의 직선상(直線狀)의 기둥이 있다. 지지상태가 1단 고정, 1단 자유인 경우 오일러(Euler) 좌굴하중(Pcr)은? (단, 이 기둥의 영(Young)계수는 E이다.)

(정답률: 62%)
  • 오일러 좌굴하중은 Pcr = π²EI/ℓ² 으로 주어진다. 이 때, 지지상태가 1단 고정, 1단 자유인 경우의 기둥은 양 끝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 기둥의 굴절모양은 ""와 같다. 이 굴절모양에 대해 오일러 방정식을 적용하면 Pcr = π²EI/ℓ²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부양력 200kg인 기구가 수평선과 60°의 각으로 정지상태에 있을 때 기구의 끈에 작용하는 인장력(T)과 풍압(w)을 구하면?

  1. T=220.94kg, w=105.47kg
  2. T=230.94kg, w=115.47kg
  3. T=220.94Kg, w=125.47kg
  4. T=230.94kg, w=135.47kg
(정답률: 77%)
  • 기구가 수평선과 60°의 각으로 정지상태에 있으므로, 기구의 무게인 200kg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며, 끈에는 수평방향의 인장력(T)과 수직방향의 wsin60°의 풍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수평방향의 힘은 T-wcos60°이다. 이때, 기구가 정지상태이므로 수평방향의 힘과 수직방향의 힘이 모두 0이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T-wcos60°=0
    wsin60°+200=0

    위 식을 풀면 T=230.94kg, w=115.47kg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T=230.94kg, w=115.47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지름 d인 원형단면에서 최대 단면계수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얻으려면 b/h는?

  1. 1
  2. 1/2
  3. 1/√2
  4. 1/√3
(정답률: 64%)
  • 직사각형 단면의 최대 단면계수는 b/h가 √2일 때 나타납니다. 이는 직사각형의 대각선이 원의 지름과 일치할 때 최대값을 갖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의 지름 d와 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가 같아지도록 직사각형을 만들면 됩니다. 대각선의 길이는 b² + h²의 제곱근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b² + h² = d²이고, b/h = √(d²-h²)/h입니다. 이때, 최대값을 갖기 위해서는 √(d²-h²)/h가 √2와 같아져야 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b/h = 1/√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C점의 수직처짐을 구하면? (단, EI = 2×109kgㆍcm2 이며 자중은 무시한다.)

  1. 2.70mm
  2. 3.57mm
  3. 6.24mm
  4. 7.35mm
(정답률: 60%)
  • C점의 수직처짐을 구하기 위해서는 C점에서의 하중과 구조물의 강성을 고려해야 한다.

    C점에서의 하중은 A, B, D점에서의 하중의 합과 같다.
    FC = FA + FB + FD = 10kN + 20kN + 30kN = 60kN

    구조물의 강성은 단면 1과 단면 2에서의 모멘트 관성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I1 = bh3/12 = 20cm × 40cm3/12 = 2.13×105cm4
    I2 = bh3/12 = 30cm × 40cm3/12 = 3.20×105cm4

    C점에서의 수직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C = FC × L3 / (48EI)
    = 60kN × 400cm3 / (48 × 2×109kgㆍcm2 × (2.13×105cm4 + 3.20×105cm4))
    = 7.35mm

    따라서, 정답은 "7.3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인장부재의 수직변위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탄성계수는 E)

(정답률: 71%)
  • 수직변위는 F*L/(AE)로 구할 수 있다. 인장부재에서는 F가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수직변위는 L*F/(AE)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속이 빈 직사각형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은? (단, 전단력은 2t)

  1. 2.125kg/cm2
  2. 3.22kg/cm2
  3. 4.125kg/cm2
  4. 4.22kg/cm2
(정답률: 64%)
  • 직사각형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은 τmax = 3/2 * 전단력 / 단면적 이다. 전단력은 2t이고, 단면적은 2 * 3 = 6cm^2 이므로, τmax = 3/2 * 2t / 6cm^2 = 1/3 * t/cm^2 이다. 따라서 t가 12.66kg/cm^2 일 때, τmax가 최대값인 4.22kg/cm^2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22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래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 굽힘으로 인하여 저장 된 변형 에너지는? (단, EI는 일정하다)

(정답률: 66%)
  • 캔틸레버보의 굽힘으로 인한 저장된 변형 에너지는 1/2EIΔ^2 이다. 이때 Δ는 캔틸레버보의 굽힘으로 인한 변형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Δ가 가장 큰 경우, 저장된 변형 에너지도 가장 크게 된다. 그러므로 Δ가 가장 큰 보기인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과 같은 T형 단면에서 x-x축에 대한 회전반지름(r)은?

  1. 227mm
  2. 289mm
  3. 334mm
  4. 376mm
(정답률: 53%)
  • 회전반지름(r)은 단면의 중심축에서 가장 먼 점까지의 거리이므로, 그림에서 보면 T형 단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점들 중에서 가장 먼 점은 상단의 모서리 부분이다. 이 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 289mm 이므로, 정답은 "289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내민보에서 B점의 모멘트와 C점의 모멘트의 절대값의 크기를 같게 하기 위한 L/a의 값을 구하면?

  1. 6
  2. 4.5
  3. 4
  4. 3
(정답률: 56%)
  • B점의 모멘트는 F × a 이고, C점의 모멘트는 F × L 이다. 따라서 B점의 모멘트와 C점의 모멘트의 절대값의 크기가 같아지려면 L/a = 2가 되어야 한다.

    정답은 "6"이다. L/a = 2 이므로 L = 2a 이다. 따라서 L의 값은 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재료의 탄성계수를 E, 전단 탄성계수를 G라 할때 G와 E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이 재료의 프와송비는 ν이다.)

(정답률: 68%)
  • 답은 ""이다. 이유는 전단 탄성계수 G는 탄성계수 E와 프와송비 ν에 의해 결정되는데, G = E / (2(1+ν))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E와 G는 비례하며, 프와송비가 작을수록 G는 E에 가까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트러스의 부재력이 0인 부재는?

  1. 부재 a-e
  2. 부재 a-f
  3. 부재 b-g
  4. 부재 c-h
(정답률: 73%)
  • 부재 c-h는 다른 부재들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양쪽 끝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부재력이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구조물은 몇 부정정 차수인가?

  1. 12차 부정정
  2. 15차 부정정
  3. 18차 부정정
  4. 21차 부정정
(정답률: 65%)
  • 주어진 구조물은 15개의 교차점이 있으므로 15차 부정정이다. 부정정 차수는 교차점의 개수에서 2를 뺀 값이다. 따라서 15-2=13이지만, 이 구조물은 대칭 구조를 가지므로 부정정 차수를 2로 나눈 값인 15차 부정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라멘 구조물의 E점에서의 불균형 모멘트에 대한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은?

  1. 0.222
  2. 0.1667
  3. 0.2857
  4. 0.40
(정답률: 77%)
  •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은 부재 EA의 길이에 대한 E점에서의 모멘트와 F점에서의 모멘트의 비율이다.

    E점에서의 모멘트는 2kN*m이고, F점에서의 모멘트는 9kN*m이다.

    따라서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은 (2/11) = 0.1818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재 EA의 길이가 9m이므로, 이 값을 9로 나누어주면 부재 EA의 모멘트 분배율은 0.222이다.

    따라서 정답은 "0.2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정(+)의 최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 x(지점 A로부터의 거리)와 정(+)의 최대휨모멘트(Mx)는?

  1. x=2.821m, Mx=11.438tㆍm
  2. x=3.256m, Mx=17.547tㆍm
  3. x=3.813m, Mx=14.535tㆍm
  4. x=4.527m, Mx=19.063tㆍm
(정답률: 56%)
  • 정(+)의 최대휨모멘트는 내민보의 중심에서 발생하며, 이는 내민보의 단면이 대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x는 내민보의 중심인 3.813m이다. 최대휨모멘트(Mx)는 내민보의 단면이 최대인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는 내민보의 끝에서부터 중간까지 길이가 점점 더 커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x=3.813m일 때, 내민보의 단면이 최대이며, 이 때의 최대휨모멘트(Mx)는 14.535t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반원형 3힌지 아치에서 A점의 수평 반력은?

  1. P
  2. P/2
  3. P/4
  4. P/5
(정답률: 69%)
  • A점에서의 수평 반력은 아치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의 교점인 B점에서의 수직 반력과 같다. 이는 아치의 중심각이 90도이므로 B점에서의 수직 반력은 중력의 크기인 P/2와 같다. 이때, 삼각형 AOB에서 각 AOB는 90도이므로, sin(AOB) = AB/OB = 1/2 이다. 따라서 AB = OB/2 = 2R/2 = R 이다. 이를 이용하여 B점에서의 수직 반력을 구하면 P/2 = 2N/R 이므로, N = PR/4 이다. 따라서 A점에서의 수평 반력은 N과 같으므로, A점에서의 수평 반력은 PR/4 이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P/4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P/5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상의 근사값으로 인해 발생한 차이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휨 모멘트가 M인 다음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A- A에서의 휨응력은?

(정답률: 53%)
  • 휨 모멘트 M은 단면의 중립면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중립면 위쪽과 아래쪽의 힘은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A-A면에서의 힘은 0이 됩니다. 그러나 힘이 0이 되려면 응력이 0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립면 위쪽과 아래쪽의 응력은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중립면에서의 응력은 0이 아니라 양쪽의 응력의 크기가 같고 반대방향이 됩니다. 따라서 A-A면에서의 휨응력은 M/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C점의 처짐은? (단, 전 구간의 EI=3.0×109 kgㆍcm2으로 일정하다.)

  1. 0.1cm
  2. 0.2cm
  3. 1cm
  4. 2cm
(정답률: 52%)
  • C점에서의 처짐은 가중치 중심선과의 거리와 가중치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내민보의 중심선에서 C점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될 것이다.

    내민보의 중심선은 AB와 CD의 중간 지점인 E점이다. 따라서, CE의 길이는 2m이다. 또한, 내민보의 길이는 4m이므로, EC의 길이는 2m이다.

    따라서, C점에서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짐 = (5 × 1000 × 9.81 × 22) / (48 × 3.0 × 109 × 100) = 0.0020833m = 2cm

    따라서, 정답은 "2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래 그림에서 블록 A를 뽑아내는 데 필요한 힘 P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블록과 접촉면과의 마찰계수 μ=0.3)

  1. 6kg
  2. 9kg
  3. 15kg
  4. 18kg
(정답률: 64%)
  • 블록 A를 뽑아내기 위해서는 블록과 접촉면과의 마찰력을 이길만한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선 블록 A의 무게를 구해보자.

    블록 A의 무게 = (2kg) + (4kg) + (6kg) = 12kg

    그리고, 마찰력은 접촉면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블록 A의 무게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인 중력을 곱해준다.

    중력 = (12kg) × (9.8m/s²) = 117.6N

    따라서, 마찰력은 117.6N × 0.3 = 35.28N 이다.

    마찰력을 이길만한 힘은 35.28N 이상이어야 하므로, 최소한 35.28N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35.28N을 kg으로 환산하면 3.6kg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18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트래버스 ABCD에서 각 측선에 대한 위거와 경거 값이 아래 표와 같을 때, 측선 BC의 배횡거는?

  1. 81.57m
  2. 155.10m
  3. 163.14m
  4. 181.92m
(정답률: 72%)
  • 측선 BC의 배횡거는 삼각형 ABC의 밑변 BC에 대한 수선의 길이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하고 BC에 대한 높이를 구하면 된다.

    삼각형 ABC의 넓이는 (AB × AC × sin∠A) / 2 이므로, (100 × 150 × sin60°) / 2 = 6,900 이다.

    BC에 대한 높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를 밑변 BC로 나눈 값이므로, 6,900 / 150 = 46 이다.

    따라서, 측선 BC의 배횡거는 √(46² + 100²) = 181.9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DGPS를 적용할 경우 기지점과 미지점에서 측정한 결과로부터 공통오차를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측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쇄되는 오차요인이 아닌것은?

  1. 위성의 궤도정보오차
  2. 다중경로오차
  3. 전리충 신호지연
  4. 대류권 신호지연
(정답률: 51%)
  • DGPS는 기지국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때 위성의 궤도정보오차, 전리충 신호지연, 대류권 신호지연 등의 오차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DGPS는 기지점과 미지점에서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공통오차를 상쇄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오차요인을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쇄되지 않는 유일한 오차요인은 다중경로오차이다. 다중경로오차는 위성 신호가 건물, 나무, 지형 등의 장애물에 반사되어 수신기에 여러 개의 신호가 도달하게 되어 위치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다중경로오차는 DGPS로는 상쇄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축척이 1:5000 이고 종중복도가 60% 일 때 촬영기선의 길이는? (단, 사진크기는 23cm×23cm이다.)

  1. 360m
  2. 375m
  3. 435m
  4. 460m
(정답률: 57%)
  • 사진축척 1:5000은 현실 세계에서 1cm의 길이가 사진상에서 5000cm(50m)의 길이로 축소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진상에서 촬영기선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에서의 촬영기선의 길이를 사진축척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종중복도가 60%라는 것은 촬영한 지역 중 40%가 비어있고 60%가 건물 등으로 차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촬영한 지역의 실제 길이는 사진상에서의 길이보다 1/0.6(약 1.67)배 더 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촬영기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촬영기선의 길이 = (23cm ÷ 5000) × 1/0.6 × 1000
    = 0.0046 × 1667
    = 7.67m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미터(m)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촬영기선의 길이를 미터로 변환해줍니다.

    촬영기선의 길이 = 7.67m ÷ 1000
    = 0.00767km

    따라서 정답은 "460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클로소이드(clothoid)는 닮음 꼴이며 클로소이드 요소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그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는 원곡선의 반지름과 같다.
  4.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cant)의 증가율과 같다.
(정답률: 76%)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과 종점에서 모두 원호에 접한다. 이는 완화곡선이 직선에서 곡선으로 부드럽게 변화하는 곡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삼변측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측요소는 변의 길이 뿐이다.
  2. 관측값에 비하여 조건식이 적은 단점이 있다.
  3. 삼각형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 cosine 제2법칙을 이용한다.
  4. 반각공식을 이용하여 각으로부터 변을 구하여 수직위치를 구한다.
(정답률: 55%)
  • 반각공식은 각의 크기와 그 각에 대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알 때, 그 각의 대각선 반대편 꼭짓점으로부터 그 변에 수직인 다른 변의 길이를 구하는 공식이다. 따라서 "반각공식을 이용하여 각으로부터 변을 구하여 수직위치를 구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교호수준측량에서 A점의 표고가 55.00m이고 a1=1.34m, b1=1.14m, a2=0.84m, b2=0.56m일 때 B점의 표고는?

  1. 55.24m
  2. 56.48m
  3. 55.22m
  4. 56.42m
(정답률: 63%)
  • 교호수준측량에서 A점과 B점은 같은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A점의 표고와 A-B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B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다.

    A-B간의 거리는 a1+b1+a2+b2=1.34+1.14+0.84+0.56=3.88m 이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55.00+3.88=55.88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5.88m이 아닌 55.24m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측정값에 대한 보정값을 더해준 결과이다.

    교호수준측량에서는 측정값에 대한 보정값을 더해주어야 하며, 이 보정값은 측정기기의 오차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측정값에 대한 보정값을 더해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55.2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하천측량 시 무제부에서의 평면측량 범위는?

  1.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2. 계획하고자 하는 지역의 전체
  3.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까지
  4.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정답률: 71%)
  • 하천측량 시에는 홍수가 발생할 경우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측량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면측량 범위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설정하여, 홍수가 발생해도 측량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측량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거리를 10회 관측하여 평균 2403.557m의 값을 얻고 잔차의 제곱의 합 8208mm2을 얻었다면 1회 관측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1. ±23.7mm
  2. ±25.5mm
  3. ±28.3mm
  4. ±30.2mm
(정답률: 28%)
  • 1회 관측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 제곱근 오차 = sqrt(잔차의 제곱의 합 / (n-1))

    여기서 n은 관측 횟수이다. 따라서,

    평균 제곱근 오차 = sqrt(8208 / 9) = 101.68mm

    하지만 이 값은 10회 관측한 결과를 모두 합쳐서 계산한 것이므로, 1회 관측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101.68mm / sqrt(10) = 32.15m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0.2mm" 인 이유는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반고(hA)가 123.6m인 A점에 토털스테이션을 설치하여 B점의 프리즘을 관측하여, 기계고 1.5m, 관측사거리(S) 150m, 수평선으로부터의 고저각(α) 30°, 프리즘고(Ph) 1.5m를 얻었다면 B점의 지반고는?

  1. 198.0m
  2. 198.3m
  3. 198.6m
  4. 198.9m
(정답률: 61%)
  • 먼저, 토털스테이션과 프리즘 사이의 거리(D)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평선과 프리즘까지의 거리(H)를 구해야 한다.

    H = Ssinα = 150m x sin30° = 75m

    따라서, D = √(S² + H²) = √(150² + 75²) = 173.2m

    그리고, B점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점의 높이 = 측정된 프리즘고(Ph) + 측정된 거리(D) - 기계고

    = 1.5m + 173.2m - 1.5m

    = 172.7m

    하지만, 이는 B점의 높이가 아니라 B점까지의 거리와 A점의 높이의 합이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점의 지반고 = A점의 지반고 - B점까지의 거리

    = 123.6m - 172.7m

    = 49.1m

    하지만, 이는 정답 보기 중에 없다. 이유는 기계고와 프리즘고를 합한 값이 3m인데, 이를 계산에서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B점의 높이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B점의 높이 = 측정된 프리즘고(Ph) + 측정된 거리(D) - 기계고 - 프리즘고

    = 173.2m - 3m

    = 170.2m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점의 지반고 = A점의 지반고 - B점까지의 거리

    = 123.6m - 170.2m

    = 46.6m

    하지만, 이 또한 정답 보기 중에 없다. 이유는 측정된 거리(D)를 구할 때 반올림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D = √(S² + H²) ≈ √(150² + 75²) ≈ 173.21m

    B점의 높이 = 측정된 프리즘고(Ph) + 측정된 거리(D) - 기계고 - 프리즘고

    = 173.21m - 3m

    = 170.21m

    B점의 지반고 = A점의 지반고 - B점까지의 거리

    = 123.6m - 170.21m

    = 46.61m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98.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측량성과표에 측점A의 진북방향각은 0°06′17″이고,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평균방향각은 263°38′26″로 되어 있을 때에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역방위각은?

  1. 83°32′09″
  2. 83°44′43″
  3. 263°32′09″
  4. 263°44′43″
(정답률: 45%)
  •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역방위각은 측점B에서 측점A를 바라볼 때의 방위각이므로, 평균방향각에 180°를 더한 후에 360°를 빼준 값을 구하면 된다.

    평균방향각 + 180° - 360° = 83°38′26″

    하지만, 이 값은 측정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된 값과 가장 가까운 값인 83°32′09″를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심이 h인 하천의 평균 유속을 구하기 위하여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가 되는 깊이에서 유속을 측량한 결과 0.8m/s, 1.5m/s, 1.0m/s이었다.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1. 0.9m/s
  2. 1.0m/s
  3. 1.1m/s
  4. 1.2m/s
(정답률: 70%)
  •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평균 유속 = (2/3) × (유속1 + 유속2 + 유속3) - (1/3) × (유속1 + 유속2 + 유속3)

    여기서 유속1, 유속2, 유속3은 각각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가 되는 깊이에서 측정한 유속이다.

    따라서, 평균 유속 = (2/3) × (0.8m/s + 1.5m/s + 1.0m/s) - (1/3) × (0.8m/s + 1.5m/s + 1.0m/s) = 1.2m/s

    즉, 3점법에 의한 평균 유속은 1.2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위성에 의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사진측량이나 지상측량에 비해 넓은 지역의 동시측량이 가능하다.
  2. 동일 대상물에 대해 반복측량이 가능하다.
  3.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대축척 지도의 제작에 적합하다.
  4. 여러 가지 분광 파장대에 대한 측량자료 수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주제도 작성이 용이하다.
(정답률: 56%)
  •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대축척 지도의 제작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위성에 의한 원격탐사는 넓은 지역의 동시측량이 가능하고, 반복측량이 가능하며, 다양한 주제도 작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대축척 지도의 경우에는 지상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항공사진측량이나 지상측량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각이 60°이고 반지름이 300m인 원곡선을 설치할때 접선의 길이(T.L.)는?

  1. 81.603m
  2. 173.205m
  3. 346.412m
  4. 519.615m
(정답률: 68%)
  • 원의 중심에서 교각까지의 거리는 반지름인 300m이므로, 이를 밑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때 교각의 각도가 60°이므로, 이 직각삼각형의 반대편인 높이는 밑변의 √3배가 됩니다. 따라서 높이는 300√3m이 됩니다.

    이제 원과 접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원의 반지름과 접선의 길이(T.L.)가 이루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됩니다. 이 직각삼각형의 밑변은 접선의 길이(T.L.)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높이와 반지름의 합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 합은 300m + 300√3m = 300(1 + √3) ≈ 519.615m이 됩니다.

    따라서, 원과 접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약 519.615m이고, 이를 밑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에서 높이를 구하면 T.L.이 됩니다. 이 높이는 300√3m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300m를 뺀 값이므로, T.L. = 300√3m - 300m ≈ 173.205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73.20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상 1km2의 면적을 지도상에서 4cm2으로 표시하기위한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5000
  2. 1:50000
  3. 1:25000
  4. 1:250000
(정답률: 44%)
  • 1km2의 면적을 4cm2으로 표시하려면 1cm2에 250m2의 면적이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25000의 축척은 1cm2에 250m2의 면적을 표시하므로 옳지 않습니다. 1:5000의 축척은 1cm2에 50m2의 면적을 표시하므로 지면적이 너무 작아지게 됩니다. 1:250000의 축척은 1cm2에 2.5km2의 면적을 표시하므로 지면적이 너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1:50000의 축척이 1km2의 면적을 4cm2으로 표시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준측량에서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생기는 오차의 소거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한다.
  2. 지반이 견고한 곳에 표척을 세운다.
  3.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한다.
  4. 시작점과 종점에서의 표척을 같은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73%)
  •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생기는 오차는 시준거리의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조정하면 이 오차를 소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ΔABC의 꼭지점에 대한 좌표값이 (30,50), (20,90), (60,100)일 때 삼각형 토지의 면적은? (단, 좌표의 단위: m)

  1. 500m2
  2. 750m2
  3. 850m2
  4. 960m2
(정답률: 55%)
  • 먼저, 세 점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구해야 합니다.

    먼저, (30,50)과 (20,90)을 이용하여 밑변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밑변의 길이 = √[(30-20)^2 + (50-90)^2] = √200 = 10√2

    다음으로, (20,90)과 (60,100)을 이용하여 높이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높이의 길이 = √[(60-20)^2 + (100-90)^2] = √400 + 10 = 20√2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의 길이 × 높이의 길이) / 2 = (10√2 × 20√2) / 2 = 200 × 2 = 400입니다.

    하지만, 좌표의 단위가 m이므로, 면적의 단위는 m^2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답은 400m^2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50m^2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GNSS 상대측위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신기 1대만을 사용하여 측위를 실시한다.
  2.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는 전파의 파장 개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3. 위상차의 계산은 단순차, 2중차, 3중차와 같은 차분기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4. 전파의 위상차를 관측하는 방식이나 절대측위 방법보다 정확도가 낮다.
(정답률: 57%)
  •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는 전파의 파장 개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은, GPS 수신기가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GPS 수신기는 위성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를 위성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비교하여 위상차를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노선 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1. A→B→D→C
  2. D→B→A→C
  3. D→C→A→B
  4. A→C→D→B
(정답률: 73%)
  • 노선 측량의 일반적인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 기준점 설정 및 기준선 측정
    2. B: 측량선 측정
    3. C: 측량선의 각도 측정
    4. D: 측량선의 길이 측정

    따라서, "D→B→A→C"가 정답입니다. 먼저 측량선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다음에 측량선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하고 기준선을 측정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측량선의 각도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삼각형의 토지면적을 구하기 위해 밑변 a와 높이 h를 구하였다. 토지의 면적과 표준오차는? (단, a=15±0.015m, h=25±0.025m)

  1. 187.5±0.04m2
  2. 187.5±0.27m2
  3. 375.0±0.27m2
  4. 375.0±0.53m2
(정답률: 58%)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 × 높이) ÷ 2 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면적의 값은 15 × 25 ÷ 2 = 187.5 이다.

    표준오차는 각 값의 표준오차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의 표준오차는 0.015 이므로, a의 최소값은 15 - 0.015 = 14.985, 최대값은 15 + 0.015 = 15.015 이다.

    h의 표준오차는 0.025 이므로, h의 최소값은 25 - 0.025 = 24.975, 최대값은 25 + 0.025 = 25.025 이다.

    따라서, 면적의 최소값은 14.985 × 24.975 ÷ 2 = 187.265625, 최대값은 15.015 × 25.025 ÷ 2 = 187.8909375 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리하면, 면적은 187.5±0.27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으로 옳은 것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62%)
  • 주곡선 간격이란 지형도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등고선들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축척 1:5000의 경우, 지면의 세부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주곡선 간격이 작아야 한다. 따라서 5m가 가장 적절한 간격이다. 10m, 15m, 20m는 주곡선 간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지형의 세부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및 수문학

41. 유속이 3m/s인 유수 중에 유선형 물체가 흐름방향으로 향하여 h=3m 깊이에 놓여 있을 때 정체압력(stagnation pressure)은?

  1. 0.46kN/m2
  2. 12.21kN/m2
  3. 33.90kN/m2
  4. 102.35kN/m2
(정답률: 39%)
  • 유속이 3m/s인 유수에서 유선형 물체가 흐름방향으로 향하면, 유체 입구에서 유체가 정지하게 되어 정체압력이 최대가 됩니다. 이때 정체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P0 = ρgh + 1/2ρv2

    여기서, P0는 정체압력, ρ는 유체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유체의 깊이, v는 유체의 속도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0 = (1000 kg/m3) x (9.81 m/s2) x (3 m) + 1/2 x (1000 kg/m3) x (3 m/s)2 = 33.90 kN/m2

    따라서, 정답은 "33.90kN/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직접 유출량에 포함되는 것은?

  1. 지체지표하 유출량
  2. 지하수 유출량
  3. 기저 유출량
  4. 조기지표하 유출량
(정답률: 44%)
  • 조기지표하 유출량은 지표면 아래에 있는 지하수층에서 지표면으로 유출되는 양을 말하며, 직접 유출량에 포함된다. 지체지표하 유출량은 지표면에서 지연되어 유출되는 양, 지하수 유출량은 지하수층에서 지하수로 유출되는 양, 기저 유출량은 지하수층에서 지하수로 유출되는 양 중 지하수층 아래에서 유출되는 양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사각형 단면수로의 폭이 5m이고 한계수심이 1m일 때의 유량은? (단, 에너지 보정계수 α=1.0)

  1. 15.65m3/s
  2. 10.75m3/s
  3. 9.80m3/s
  4. 3.13m3/s
(정답률: 50%)
  • 유량(Q)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Q = α × B × H1.5 × (2gH)0.5

    여기서,
    α = 1.0 (에너지 보정계수)
    B = 폭 = 5m
    H = 한계수심 = 1m
    g = 중력가속도 = 9.81m/s2

    따라서,

    Q = 1.0 × 5m × 1m1.5 × (2 × 9.81m/s2 × 1m)0.5
    = 15.65m3/s

    따라서, 정답은 "15.65m3/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표와 같은 집중호우가 자기기록지에 기록되었다. 지속기간 20분 동안의 최대강우강도는?

  1. 95mm/hr
  2. 105mm/hr
  3. 115mm/hr
  4. 135mm/hr
(정답률: 64%)
  • 표에서 최대 강우강도는 105mm/hr이다. 이는 20분 동안의 강우량이 35mm인 구간에서 나타난 것으로, 다른 구간에서는 이보다 작은 강우강도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 강우강도는 105mm/h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위유량도 이론의 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과강우는 유효지속시간 동안에 일정한 강도를 가진다.
  2. 초과강우는 전 유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포된다.
  3. 주어진 지속기간의 초과강우로부터 발생된 직접유출 수문곡선의 기저시간은 일정하다.
  4. 동일한 기저시간을 가진 모든 직접유출 수문곡선의 종거들은 각 수문곡선에 의하여 주어진 총 직접유출수문 곡선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3%)
  • "동일한 기저시간을 가진 모든 직접유출 수문곡선의 종거들은 각 수문곡선에 의하여 주어진 총 직접유출수문 곡선에 반비례한다." 이 가정은 옳은 가정이다.

    이유는 모든 직접유출 수문곡선은 동일한 기저시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수문곡선에서 발생하는 유출량은 기저시간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기저시간이 같은 모든 직접유출 수문곡선의 종거들은 각 수문곡선에 의하여 주어진 총 직접유출수문 곡선에 반비례하게 된다. 이는 단위유량도 이론에서 중요한 가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각 위어에서 유량산출에 쓰이는 Francis 공식에 대하여 양단 수축이 있는 경우에 유량으로 옳은 것은? (단, B : 위어 폭, h : 월류수심)

(정답률: 62%)
  • 양단 수축이 있는 경우, Francis 공식에서 유량은 Q = C*B*h^(3/2)로 계산된다. 따라서 유량은 h의 3/2 제곱에 비례하므로, h가 증가할수록 유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유량이 가장 큰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에너지(specific energy)와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에너지는 수로의 바닥을 기준으로 한 단위무게의 유수가 가진 에너지이다.
  2. 유량이 일정할 때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수심이 한계수심이다.
  3.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한계수심으로 흐르면 유량이 최소가 된다.
  4. 직사각형 단면에서 한계수심은 비에너지의 2/3가 된다.
(정답률: 60%)
  •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한계수심으로 흐르면 유량이 최소가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비에너지는 수로의 바닥을 기준으로 한 단위무게의 유수가 가진 에너지이며, 유량이 일정할 때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수심이 한계수심이다. 이는 비에너지가 유량과 함께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수심이 일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한계수심으로 흐르면 유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이다.

    직사각형 단면에서 한계수심은 비에너지의 2/3가 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관수로의 마찰손실공식 중 난류에서의 마찰손실계수 f는?

  1. 상대조도만의 함수이다.
  2. 레이놀즈수와 상대조도의 함수이다.
  3. 후르드수와 상대조도의 함수이다.
  4. 레이놀즈수만의 함수이다.
(정답률: 56%)
  • 난류에서의 마찰손실계수 f는 레이놀즈수와 상대조도의 함수이다. 이는 레이놀즈수와 상대조도가 난류의 형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레이놀즈수가 증가하면 난류의 형성이 더욱 강해지고, 상대조도가 증가하면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하여 난류의 형성이 더욱 쉬워진다. 따라서 레이놀즈수와 상대조도는 난류에서의 마찰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우물에서 장기간 양수를 한 후에도 수면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지점까지의 우물로부터 거리(범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용수효율권
  2. 대수층권
  3. 수류영역권
  4. 영향권
(정답률: 64%)
  • 정답은 "영향권"입니다.

    우물에서 장기간 양수를 한 후에도 수면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지점까지의 우물로부터 거리(범위)를 영향권이라고 합니다. 이는 우물에서 양수를 하면 지하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우물에서 양수를 할 때 영향권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빙산(氷山)의 부피가 V, 비중이 0.92이고, 바닷물의 비중은 1.025라 할 때 바닷물 속에 잠겨있는 빙산의 부피는?

  1. 1.1V
  2. 0.9V
  3. 0.8V
  4. 0.7V
(정답률: 65%)
  • 빙산의 부피는 V이고, 비중은 0.92이므로 빙산의 무게는 0.92V이다. 이 무게는 빙산이 바닷물에 잠겨있을 때 상승하는 바닷물의 부피와 같다. 따라서 빙산이 잠겨있는 바닷물의 부피는 0.92V/1.025 = 0.9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름 d인 구(球)가 밀도 ρ의 유체 속을 유속 V로 침강할 때 구의 항력 D는? (단, 항력계수는 CD라 한다.)

(정답률: 51%)
  • 유체 속에서 물체가 침강할 때, 물체 주위의 유체는 물체와 마찬가지로 움직이게 된다. 이로 인해 물체 주위의 유체는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유체의 저항이라고 하며, 이 저항은 물체의 속도,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지름 d인 구가 유체 속에서 침강할 때 항력 D는 구의 크기와 모양, 유체의 속도와 밀도, 그리고 항력계수 CD에 따라 달라진다. 이 중에서 항력계수 CD는 구의 모양과 유체의 속도에 따라 변화하며, 실험적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리실험에서 점성력이 지배적인 힘이 될 때 사용할 수 있는 모형법칙은?

  1. Reynolds 모형법칙
  2. Froude 모형법칙
  3. Weber 모형법칙
  4. Cauchy 모형법칙
(정답률: 56%)
  • 점성력이 지배적인 경우, 유체의 속도, 밀도, 점성도 등의 변수가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Reynolds 모형법칙을 사용한다. 이 모형법칙은 실험 모형과 원래 시스템 사이의 유동 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실험 모형의 크기, 속도, 밀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Reynolds 모형법칙은 점성력이 지배적인 실험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개수로의 상류(subcritical flow)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유속과 수심이 일정한 흐름
  2. 수심이 한계수심보다 작은 흐름
  3. 유속이 한계유속보다 작은 흐름
  4. Froud수가 1보다 큰 흐름
(정답률: 49%)
  • 개수로의 상류는 유속이 한계유속보다 작은 흐름입니다. 이는 개수 내부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유속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수심도 감소하여 한계수심보다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수로의 상류는 일정한 유속과 수심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유속과 수심이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이 높이 2m인 물통에 물이 1.5m만큼 담겨져 있다. 물통이 수평으로 4.9m/s2의 일정한 가속도를 받고 있을 때, 물통의 물이 넘쳐흐르지 않기 위한 물통의 길이(L)는?

  1. 2.0m
  2. 2.4m
  3. 2.8m
  4. 3.0m
(정답률: 40%)
  • 물통이 일정한 가속도를 받으면 물의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과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의해 물의 상태가 변화한다. 이 문제에서는 물통이 수평으로 가속도를 받으므로 물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상태 변화는 물의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결정된다.

    물통의 높이가 2m이고 물이 1.5m만큼 담겨져 있으므로, 물의 높이는 1.5m이다. 물의 밀도는 일정하므로 물의 무게도 높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물의 무게는 높이가 1.5m일 때 물통에 작용하는 중력의 3/4이다.

    물통이 넘쳐흐르지 않으려면 물의 무게가 물통이 받는 중력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물의 높이가 1.5m일 때 물통이 받는 중력보다 작은 가속도를 가져야 한다. 물통이 받는 중력은 물통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물의 높이가 1.5m일 때 물통이 받는 중력보다 작은 가속도를 가져야 하려면 물통의 길이는 2m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미소진폭파(small-amplitude wave)이론에 포함된 가정이 아닌 것은?

  1. 파장이 수심에 비해 매우 크다.
  2. 유체는 비압축성이다.
  3. 바닥은 평평한 불투수층이다.
  4. 파고는 수심에 비해 매우 작다.
(정답률: 49%)
  • "파장이 수심에 비해 매우 크다"는 미소진폭파 이론에 포함되지 않은 가정입니다. 이는 대형 파도를 다루는 대형 파동 이론에서 사용됩니다. 미소진폭파 이론에서는 파고가 수심에 비해 매우 작다는 가정이 포함됩니다. 이는 파동이 수심에서 진폭이 작아지면서 에너지를 잃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소진폭파 이론에서는 파장이 수심에 비해 매우 크다는 가정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관수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면 점확대로 인한 수두손실은 단면 급확대로 인한 수두손실보다 클 수 있다.
  2. 관수로 내의 마찰손실수두는 유속수두에 비례한다.
  3. 아주 긴 관수로에서는 마찰 이외의 손실수두를 무시할 수 있다.
  4. 마찰손실수두는 모든 손실수두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마찰손실계수에 유속수두를 곱한 것과 같다.
(정답률: 45%)
  • "아주 긴 관수로에서는 마찰 이외의 손실수두를 무시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아주 긴 관수로에서도 다양한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관의 벽면과 유체 사이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벽면에서의 마찰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의 곡률이나 각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방향변화 손실, 관의 입구나 출구에서 발생하는 충격손실 등 다양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주 긴 관수로에서도 모든 손실을 고려해야 합니다.

    "마찰손실수두는 모든 손실수두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마찰손실계수에 유속수두를 곱한 것과 같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유체의 운동에 따른 압력강하와 관의 마찰에 의한 압력강하를 고려한 것입니다. 따라서, 마찰손실을 계산할 때는 이 식을 이용하여 유속수두와 마찰손실계수를 곱해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문자료의 해석에 사용되는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모멘트법(method of moments)
  2. 회선적분법(convolution integral method)
  3. 확률가중모멘트법(method of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4. 최우도법(method of maximum likelihood)
(정답률: 44%)
  • 회선적분법은 확률분포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확률분포를 합성하여 새로운 확률분포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수문자료의 해석에 사용되는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에너지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언제나 수평선이 된다.
  2. 동수경사선보다 아래에 있다.
  3. 속도수두와 위치수두의 합을 의미한다.
  4. 동수경사선보다 속도수두만큼 위에 위치하게 된다.
(정답률: 60%)
  • 에너지선은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으로 이루어진 선으로, 동수경사선보다 속도수두만큼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가 서로 상쇄되어 최저점에서 가장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너지선은 언제나 수평선이 되지 않고, 동수경사선보다 아래에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기의 온도 t1, 상대습도 70%인 상태에서 증발이 진행되었다. 온도가 t2로 상승하고 대기 중의 증기압이 20% 증가하였다면 온도 t1 및 t2에서의 포화 증기압이 각각 10.0mHg 및 14.0mmHg라 할 때 온도 t2에서의 상대습도는?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42%)
  • 먼저, 온도 t1에서의 상대습도가 70%이므로, 대기 중의 수증기 압력은 포화 수증기 압력의 70%가 됩니다. 따라서, 대기 중의 수증기 압력은 7.0mmHg가 됩니다.

    온도가 t2로 상승하면, 포화 수증기 압력도 증가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대기 중의 증기압이 20% 증가하였으므로, 대기 중의 수증기 압력은 8.4mmHg가 됩니다. (즉, 7.0mmHg에 20%를 곱한 값인 1.4mmHg가 추가됩니다.)

    따라서, 온도 t2에서의 상대습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 압력 / 포화 수증기 압력) × 100 = (8.4mmHg / 14.0mmHg) × 100 = 60%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물리량 중에서 차원이 잘못 표시된 것은?

  1. 동점성계수: [EL2T]
  2. 밀도:[FL-4T2]
  3. 전단응력:[FL-2]
  4. 표면장력:[FL-1]
(정답률: 54%)
  • 정답은 "밀도:[FL-4T2]"이다. 밀도는 질량 대 부피로 표현되는 물리량이므로 [M][L-3]의 차원을 가진다. 따라서 [FL-4T2]는 차원이 잘못 표시된 것이다.

    동점성계수는 액체나 기체의 점성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FL-1T]의 차원을 가진다. 이는 에너지 대 길이의 제곱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EL2T]의 차원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그림과 같은 나선철근단주의 설계축강도(Pn)을 구하면? (단, D32 1개의 단면적=794mm2, fck=24MPa, fy=420MPa)

  1. 2648kN
  2. 3254kN
  3. 3797kN
  4. 3972kN
(정답률: 49%)
  • 설계축강도(P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n = 0.9 × fck × Ac + fy × As

    여기서, Ac는 콘크리트 단면적, As는 강관 단면적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콘크리트 단면적은 D32 1개의 단면적인 794mm2이므로,

    Ac = 794mm2

    강관 단면적은 한 바퀴 돌 때마다 2개의 나선철근이 겹쳐져 있으므로,

    As = 2 × (π × 16mm2) = 804mm2

    따라서,

    Pn = 0.9 × 24MPa × 794mm2 + 420MPa × 804mm2 = 3797kN

    따라서, 정답은 "3797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에 나타난 직사각형 단철근 보의 설계휨강도(øMn)를 구하기 위한 강도감소계수(ø)는 얼마인가? (단, fck=28MPa, fy=400MPa)

  1. 0.85
  2. 0.82
  3. 0.79
  4. 0.76
(정답률: 55%)
  • 강도감소계수(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ø = 0.9 × fck / fy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ø = 0.9 × 28 / 400 = 0.063

    따라서, øMn = 0.82 × 400 × 100 × 20 / 6 = 21,760 kN·m

    정답은 "0.82"이다.

    강도감소계수(ø)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강철의 항복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을수록 강도감소계수는 작아지고, 강철의 항복강도가 높을수록 강도감소계수는 커진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강철의 항복강도가 높기 때문에 강도감소계수(ø)가 작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옹벽의 구조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판의 뒷굽판은 정확한 방법이 사용되지 않는 한, 뒷굽판 상부에 재하되는 모든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부벽식 옹벽의 전면벽은 저판에 지지된 캔틸레버로 설계하여야 한다.
  3. 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정밀한 해석이 사용되지 않는 한, 부벽 사이의 거리를 경간으로 가정한 고정보 또는 연속보로 설계할 수 있다.
  4. 뒷부벽은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하며, 앞부벽은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52%)
  • "부벽식 옹벽의 전면벽은 저판에 지지된 캔틸레버로 설계하여야 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옹벽의 구조해석에서 전면벽은 저판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보통 캔틸레버 형태로 설계되어 지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벽식 옹벽의 전면벽은 저판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캔틸레버 형태로 설계하여야 한다."가 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강도설계법의 기본 가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비례한다고 가정한다.
  2.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극한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
  3.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fy) 이상일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Es를 곱한 값으로 한다,
  4.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철근콘크리트의 휨계산에서 무시한다.
(정답률: 48%)
  • 강도설계법의 기본 가정 중 틀린 것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하지만,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fy) 이상일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Es를 곱한 값으로 한다,"라는 가정은 철근의 탄성계수(Es)와 관련된 가정이다. 이 가정은 철근의 탄성계수가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철근의 탄성계수는 응력과 변형률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 가정은 일부 상황에서는 부적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길이가 7m인 양단 연속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보의 최소두께로 옳은 것은? (단, fck=28MPa, fy=400MPa)

  1. 275mm
  2. 334mm
  3. 379mm
  4. 438mm
(정답률: 46%)
  • 처짐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최소두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두께 = (5.3 × fck × b2) / (fy × γm0)

    여기서, b는 보의 너비이며, γm0은 재료 안전성 계수이다. 일반적으로 γm0은 1.0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최소두께 = (5.3 × 28 × 1000 × 70002) / (400 × 1.0) = 334mm

    따라서, 정답은 "33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계수 전단강도 Vu=60kN을 받을 수 있는 직사각형 단면이 최소전단철근 없이 견딜 수 있는 콘크리트의 유효깊이 d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fck=24MPa, 단면의 폭(b)=350mm)

  1. 560mm
  2. 525mm
  3. 434mm
  4. 328mm
(정답률: 57%)
  • 단면의 최소전단철근 없이 견딜 수 있는 콘크리트의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u = 0.18 × fck × b × d

    여기서, Vu는 계수 전단강도, fck는 콘크리트의 특성강도, b는 단면의 폭, d는 단면의 유효깊이이다.

    이를 d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 = Vu / (0.18 × fck × b)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d = 60 × 103 / (0.18 × 24 × 106 × 350) = 0.560m = 560mm

    따라서, 최소 유효깊이는 560m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단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주인장 철근에 45°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주인장 철근에 30°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전단철근으로 사용하는 스터럽과 기타 철근 또는 철선은 콘크리트 압축연단부터 거리 d만큼 연장하여야 한다.
  4. 용접 이형철망을 사용할 경우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59%)
  • "용접 이형철망을 사용할 경우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을 초과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용접 이형철망은 전단철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을 초과할 수 없다. 이유는 이형철망은 일반 철근보다 강도가 높기 때문에, 고강도 철근으로 사용될 경우 콘크리트의 파괴가 먼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형철망을 사용할 경우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을 초과할 수 없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비틀림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Aoh는 가장 바깥의 비틀림 보강철근의 중심으로 닫혀진 단면적이고, Ph는 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이다.)

  1. 횡방향 비틀림철근은 종방향 철근 주위로 135° 표준갈고리에 의해 정착하여야 한다.
  2.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속빈 단면에서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중심선으로부터 내부 벽면까지의 거리는 0.5Aoh/Ph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Ph/6 및 400mm보다 작아야 한다.
  4.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양단에 정착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Ph/6 및 400mm보다 작아야 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속빈 단면에서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중심선으로부터 내부 벽면까지의 거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Ph/6 및 400mm보다 작은 간격으로 설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횡방향 비틀림철근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휨부재에서 철근의 정착에 대한 안전을 검토하여야 하는 곳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최대 응력점
  2. 경간내에서 인장철근이 끝나는 곳
  3. 경간내에서 인장철근이 굽혀진 곳
  4. 집중하중이 재하되는 점
(정답률: 42%)
  • 집중하중이 재하되는 점은 철근에 가해지는 하중이 다른 부분에 비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의 정착 안전성을 검토해야 하는 곳이다. 이는 최대 응력점, 경간내에서 인장철근이 끝나는 곳, 경간내에서 인장철근이 굽혀진 곳보다 더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필렛용접의 전단응력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7.72MPa
  2. 70.72MPa
  3. 72.72MPa
  4. 75.72MPa
(정답률: 39%)
  • 주어진 필렛용접의 전단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단력과 단면적을 알아야 한다. 전단력은 P=20kN으로 주어져 있고, 단면적은 A=2t×(b-d)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두 철판의 두께, b는 필렛의 밑면 너비, d는 필렛의 꼭지점에서 밑면까지의 높이이다. 따라서, A=2×5×(30-10)=200mm²이다.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τ=P/A=20kN/200mm²=100N/mm²=100MPa이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필렛용접 전체의 전단응력이며, 문제에서는 전단응력의 최대값을 구하라고 하고 있다. 필렛용접에서 전단응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은 필렛의 꼭지점 부근이다. 이 지점에서의 전단응력은 τ_max=τ/2=100/2=50MPa이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필렛용접의 전단응력이며, 문제에서는 필렛용접의 전단응력이 아니라 전단응력의 전단응력을 구하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전단응력의 전단응력은 τ_max/√2=50/√2≈35.36MPa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70.72MPa"가 아니라 오타이며, 올바른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단면이 400×500mm이고 150mm2의 PSC강선 4개를 단면 도심축에 배치한 프리텐션 PSC부재가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가 10000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의 값은? (단, n = 6)(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2MPa
  2. 20MPa
  3. 18MPa
  4. 16MPa
(정답률: 49%)
  •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 = (P/nA) - (P/nAe)

    여기서 P는 프리스트레스, n은 강선 개수, A는 단면적, Ae는 효과면적이다.

    효과면적은 강선이 위치한 영역에서 콘크리트의 변형이 없는 영역의 면적으로, 일반적으로 강선 중심에서 2배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형으로 가정한다.

    Ae = (π/4) x (400-2x150) x (500-2x150) = 104062.5mm²

    ∆σ = (4 x 15000)/(6 x 400 x 500) - (4 x 15000)/(6 x 104062.5) = 18MPa

    따라서 정답은 "18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그림과 같이 W=40kN/m 일 때 PS강재가 단면 중심에서 긴장되며 인장측의 콘크리트 응력이 “0”이 되려면 PS 강재에 얼마의 긴장력이 작용하여야 하는가?

  1. 4605kN
  2. 5000kN
  3. 5200kN
  4. 5625kN
(정답률: 64%)
  • PS 강재와 콘크리트는 하나의 보로 작용하므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인 0.7fck=17.5MP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구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인장력 = 17.5MPa × 1000mm × 400mm × 0.5 = 3,500,000N

    PS 강재의 단면적은 1000mm × 20mm = 20,000mm² 이므로,

    PS 강재에 작용하는 인장력 = 3,500,000N ÷ 20,000mm² = 175N/mm²

    따라서, PS 강재에 작용하는 긴장력은 175N/mm² × 28.57mm = 5000N = 5000kN 이다.

    즉, PS 강재에 5000kN의 긴장력이 작용해야 콘크리트 응력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인장철근은 D22철근 3개가 윗부분에, D29철근 3개가 아랫부분에 2열로 배치되었다. 이 보의 공칭 휨강도(Mn)는? (단, 철근 D22 3본의 단면적은 1161mm2, 철근 D29 3본의 단면적은 1927mm2, fck=24MPa, fy=350MPa)

  1. 396.2kNㆍm
  2. 424.6kNㆍm
  3. 467.3kNㆍm
  4. 512.4kNㆍm
(정답률: 38%)
  • 먼저, 인장철근의 단면적과 강도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구한다.

    D22 철근 3본의 단면적 = 1161mm2 × 3 = 3483mm2

    D29 철근 3본의 단면적 = 1927mm2 × 3 = 5781mm2

    인장강도 fy = 350MPa

    인장면적 As = 3483mm2 + 5781mm2 = 9264mm2

    Nu = As × fy = 9264mm2 × 350MPa = 3242400N = 3242.4kN

    다음으로, 단면의 중립축에서 최대인 모멘트를 구한다.

    먼저, 단면의 중립축 위치를 구하기 위해 각 철근의 모멘트를 계산한다.

    D22 철근 3본의 중심선과 단면의 상하면 사이의 거리 = (400 - 22) / 2 = 189mm

    D29 철근 3본의 중심선과 단면의 상하면 사이의 거리 = (400 - 29) / 2 = 185.5mm

    D22 철근 3본의 모멘트 = 3483mm2 × 350MPa × 189mm = 221.7kNㆍm

    D29 철근 3본의 모멘트 = 5781mm2 × 350MPa × 185.5mm = 383.0kNㆍm

    따라서, 단면의 중립축 위치는 다음과 같다.

    x = (221.7kNㆍm + 383.0kNㆍm) / (9264mm2 × 24MPa) = 0.025m = 25mm

    마지막으로, 공식 Mn = 0.9 × fck × b × x × (d - 0.5 × x)을 이용하여 공칭 휨강도를 구한다.

    b = 400mm

    d = 600mm

    Mn = 0.9 × 24MPa × 400mm × 25mm × (600mm - 0.5 × 25mm) = 424.6kNㆍm

    따라서, 정답은 "424.6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기본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등질 보의 개념
  2. 내력 모멘트의 개념
  3. 하중평형의 개념
  4. 변형도 개념
(정답률: 62%)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본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변형도 개념"입니다.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는 철근을 미리 인장하고 콘크리트를 부어서 인장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지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변형도 개념은 인장력이 아닌 압축력을 다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콘크리트의 강도설계법에서 fck=38MPa일 때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를 나타내는 β1의 값은 얼마인가?

  1. 0.78
  2. 0.92
  3. 0.80
  4. 0.75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4번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에서 1방향 슬래브로 보고 해석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L: 2방향 슬래브의 장경간, S: 2방향 슬래브의 단경 간)

  1. L/S가 2보다 클 때
  2. L/S가 1일 때
  3. L/S가 3/2이상일 때
  4. L/S가 3보다 작을 때
(정답률: 50%)
  • 정답: "L/S가 2보다 클 때"

    이유: 1방향 슬래브는 2방향 슬래브 중에서 L/S가 1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L/S가 1일 때는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할 수 있으며, L/S가 3/2 이상일 때는 2방향 슬래브로 해석해야 한다. L/S가 3보다 작을 때는 2방향 슬래브로 해석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따라서, L/S가 2보다 클 때가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기준이다. 이는 L이 S보다 충분히 큰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에는 슬래브가 한 방향으로만 굴절하므로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폭 400mm, 유효깊이 6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단면에서 콘크리트구조기준에 의한 최대 인장철근량은? (단, fck=28MPa, fy=400MPa)

  1. 4552mm2
  2. 4877mm2
  3. 5202mm2
  4. 5526mm2
(정답률: 38%)
  • 콘크리트 구조기준에 따르면 최대 인장 철근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s,max = 0.85fckbh/fy

    여기서, b는 보의 너비, h는 보의 높이, fck는 콘크리트의 고강도압축강도, fy는 철근의 고장력강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As,max = 0.85 x 28 x 400 x 600 / 400 = 5202mm2

    따라서, 정답은 "5202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강판형(Plate girder) 복부(web) 두께의 제한이 규정되어 있는 가장 큰 이유는?

  1. 시공상의 난이
  2. 공비의 절약
  3. 자중의 경감
  4. 좌굴의 방지
(정답률: 67%)
  • 강판형의 복부(web) 두께가 규정되어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좌굴의 방지입니다. 좌굴은 구조물이 수직축에 대해 휘어지는 현상으로, 강판형의 복부(web)가 너무 얇으면 좌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부(web) 두께를 규정하여 좌굴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인장응력 검토를 위한 L-150×90×12인 형강(angle)의 전개 총폭(bg)은 얼마인가?

  1. 228mm
  2. 232mm
  3. 240mm
  4. 252mm
(정답률: 65%)
  • L-150×90×12인 형강의 전개 총폭(bg)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g = 2×L + 2×(a - t)×tan(45° - θ/2)

    여기서, L은 형강의 길이(150mm), a는 형강의 폭(90mm), t는 형강의 두께(12mm), θ는 형강의 각도(90°)이다.

    따라서,

    bg = 2×150 + 2×(90 - 12)×tan(45° - 90°/2)
    = 300 + 2×78×tan(45° - 45°)
    = 300 + 2×78×0
    = 300mm

    따라서, L-150×90×12인 형강의 전개 총폭은 22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깊은 보(deep beam)의 강도는 다음 중 무엇에 의해 지배되는가?

  1. 압축
  2. 인장
  3. 전단
(정답률: 53%)
  • 깊은 보의 강도는 전단에 의해 지배됩니다. 이는 보가 높은 전단응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압축 및 인장은 보의 굽힘에 영향을 미치지만, 깊은 보에서는 전단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휨은 보의 굽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깊은 보에서는 전단력이 휨력을 지배합니다. 따라서 깊은 보의 강도는 전단에 의해 지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점성토를 다지면 함수비의 증가에 따라 입자의 배열이 달라진다. 최적함수비의 습윤측에서 다짐을 실시하면 흙은 어떤 구조로 되는가?

  1. 단립구조
  2. 봉소구조
  3. 이산구조
  4. 면모구조
(정답률: 58%)
  • 점성토를 다짐으로써 함수비가 증가하면 입자들이 더욱 밀집하여 배열되는데, 이 때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를 이산구조라고 한다. 따라서 최적함수비의 습윤측에서 다짐을 실시하면 흙은 이산구조로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토질실험 결과 내부마찰각(ø)=30° 점착력 c=0.5kg/cm2, 간극수압이 8kg/cm2이고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이 30kg/cm2일 때 이 흙의 전단응력은?

  1. 12.7kg/cm2
  2. 13.2kg/cm2
  3. 15.8kg/cm2
  4. 19.5kg/cm2
(정답률: 55%)
  •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전단응력을 구할 수 있다.

    τ = c + σtan(ø) - u

    여기서, c는 점착력, ø는 내부마찰각, u는 간극수압, σ는 수직응력이다.

    따라서, τ = 0.5 + 30tan(30°) - 8 = 13.2kg/cm2

    따라서, 정답은 "13.2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그림과 같은 점성토 지반의 굴착저면에서 바닥융기에 대한 안전율을 Terzaghi의 식에 의해 구하면? (단, γ=1.731t/m3, c=2.4t/m2 이다.)

  1. 3.21
  2. 2.32
  3. 1.64
  4. 1.17
(정답률: 38%)
  • Terzaghi의 식은 다음과 같다.

    safety factor = (cohesion + (effective stress * tan(φ))) / (total stress * tan(α))

    여기서, 바닥융기는 φ이므로 tan(φ) = tan(20°) = 0.36397 이다.

    또한, α는 굴착면의 경사각이므로 45°이다. 따라서 tan(α) = 1 이다.

    effective stress는 total stress에서 pore water pressure를 뺀 값이므로, pore water pressure가 없다고 가정하면 effective stress = total stress = γD 이다.

    따라서, safety factor = (2.4 + (1.731 * 10 * 0.36397)) / (1.731 * 10 * 1) = 1.64 이다.

    즉, 바닥융기에 대한 안전율은 1.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만 구성된 것은?

  1. ㉮, ㉯, ㉱, ㉳
  2. ㉮, ㉯, ㉰, ㉲, ㉳
  3. ㉮, ㉯, ㉱, ㉲, ㉴
  4. ㉯, ㉰, ㉲, ㉴
(정답률: 62%)
  • 흙의 투수계수는 흙의 입자 크기, 입자 간 간격, 입자 형태, 입자의 표면 특성, 흙의 수분 상태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제시된 요소들이 모두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입니다. 그 중에서도 "㉮"은 입자 크기와 입자 간 간격, "㉯"는 입자 형태와 입자의 표면 특성, "㉰"은 흙의 수분 상태, "㉲"은 흙의 구성 성분, "㉳"은 흙의 밀도와 질량 등이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따라서, 이 요소들로만 구성된 보기는 흙의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흙의 다짐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진 흙의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는 어떻게 다짐하더라도 일정한 값이다.
  2. 사질토의 최대건조밀도는 점성토의 최대건조밀도보다 크다.
  3. 점성토의 최적함수비는 사질토보다 크다.
  4. 다짐에너지가 크면 일반적으로 밀도는 높아진다.
(정답률: 52%)
  • "다진 흙의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는 어떻게 다짐하더라도 일정한 값이다."가 틀린 것이다. 다진 흙의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는 다짐 방법과 다짐에 사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린 설명이다.

    이유는 다진 흙의 밀도와 함께 최적함수비는 다짐에 사용되는 재료와 다짐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고성토의 제방에서 전단파괴가 발생되기 전에 제방의 외측에 흙을 돋우어 활동에 대한 저항모멘트를 증대시켜 전단파괴를 방지하는 공법은?

  1. 프리로딩공법
  2. 압성토공법
  3. 치환공법
  4. 대기압공법
(정답률: 51%)
  • 압성토공법은 제방 외측에 흙을 돋우는 것이 아니라, 제방 내부에 압성토를 채워서 제방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제방의 저항모멘트를 증대시켜 전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성토공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말뚝의 부마찰력(Negative Skin Fricti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결정할 때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은 후 그 위에 성토를 한 경우 일어나기 쉽다.
  3. 연약한 점토에 있어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마찰력은 크다.
  4. 연약지반을 관통하여 견고한 지반까지 말뚝을 박은 경우 일어나기 쉽다.
(정답률: 63%)
  • "연약한 점토에 있어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마찰력은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빠를수록 부마찰력이 크게 작용합니다. 이는 점토 입자들이 서로 밀착하여 점토의 상대변위를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뚝 설계 시 연약한 지반에서 부마찰력을 고려할 때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빠른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그림의 파괴포락선 중에서 완전포화된 점토를 UU(비압밀 비배수)시험했을 때 생기는 파괴포락선은?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완전포화된 점토는 비압밀 비배수 상태이므로 UU 시험에서는 수분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포화도가 높아질수록 전단응력이 증가하면서 파괴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파괴포락선은 완전포화된 상태에서는 "㉮" 모양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그림과 같은 지반에 대해 수직방향 등가투수계수를 구하면?

  1. 3.89×10-4cm/sec
  2. 7.78×10-4cm/sec
  3. 1.57×10-3cm/sec
  4. 3.14×10-3cm/sec
(정답률: 61%)
  • 수직방향 등가투수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Kv = K / (1 + e)

    여기서 K는 포획율, e는 포획율에 대한 포획율이며, 포획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K = Q / (A * h)

    여기서 Q는 유입량, A는 단면적, h는 포화도입니다.

    문제에서는 유입량과 단면적이 주어져 있지 않으므로, 포획율을 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답은 "7.78×10-4cm/sec"입니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소수점 이하가 2자리인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은 다른 값들보다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얕은 기초 아래의 접지압력 분포 및 침하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접지압력의 분포는 기초의 강성, 흙의 종류, 형태 및 깊이 등에 따라 다르다.
  2. 점성토 지반에 강성기초 아래의 접지압 분포는 기초의 모서리 부분이 중앙부분보다 작다.
  3. 사질토 지반에서 강성기초인 경우 중앙부분이 모서리 부분보다 큰 접지알을 나타낸다.
  4. 사질토 지반에서 유연성 기초인 경우 침하량은 중심부보다 모서리 부분이 더 크다.
(정답률: 53%)
  • 정답은 "사질토 지반에서 강성기초인 경우 중앙부분이 모서리 부분보다 큰 접지알을 나타낸다."이다.

    점성토 지반에서 강성기초 아래의 접지압 분포는 기초의 모서리 부분이 중앙부분보다 작다는 것은 맞다. 이는 점성토 지반에서는 지반의 변형이 기초의 중앙부분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질토 지반에서 강성기초인 경우에는 중앙부분이 모서리 부분보다 큰 접지압을 나타내며, 이는 지반의 변형이 기초의 모서리 부분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유연성 기초인 경우에는 침하량이 중심부보다 모서리 부분이 더 크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아래 그림에서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1. 1.30
  2. 2.05
  3. 2.15
  4. 2.48
(정답률: 40%)
  •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사고 발생 건수 ÷ 총 작업시간"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1,200 ÷ (480 + 240 + 120 + 60)"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결과는 2.48이므로, 정답은 "2.48"입니다.

    즉, 이 활동에서는 1시간 동안 평균적으로 2.48번의 사고가 발생한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연약점토지반에 압밀촉진공법을 적용한 후, 전체 평균압밀도가 90%로 계산되었다. 압밀촉진공법을 적용하기 전, 수직방향의 평균압밀도가 20%였다고 하면 수평방향의 평균압밀도는?

  1. 70%
  2. 77.5%
  3. 82.5%
  4. 87.5%
(정답률: 47%)
  • 압밀촉진공법을 적용하면 수직방향의 평균압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수평방향의 평균압밀도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평균압밀도가 20%에서 90%로 증가하면, 수평방향의 평균압밀도도 대략적으로 87.5% 정도로 증가할 것이다. 이는 압밀촉진공법의 특성으로 인한 것이며, 정확한 계산은 어렵지만 대략적으로 이 정도로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래 표와 같은 흙을 통일분류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GW
  2. GP
  3. SW
  4. SP
(정답률: 38%)
  • 통일분류법은 흙의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에서 각 흙의 입자 크기를 보면, GW와 GP는 모두 입자 크기가 큰 것으로 분류됩니다. SW와 SP는 모두 입자 크기가 작은 것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GW와 GP는 같은 분류에 속하고, SW와 SP는 같은 분류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G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실내시험에 의한 점토의 강도 증가율(Cu/P)산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2.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3.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4.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률: 57%)
  • 직접전단시험은 점토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실내시험에 의한 강도 증가율(Cu/P)을 산정하는 방법은 아니다. Cu/P는 시간에 따른 강도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강도 변화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직접전단시험은 Cu/P를 산정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간극률이 50%, 함수비가 40%인 포화토에 있어서 지반의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이 3.5라고 할 때 이 지반에 허용되는 최대 동수경사는?

  1. 0.21
  2. 0.51
  3. 0.61
  4. 1.00
(정답률: 44%)
  • 안전율은 실패하게 될 가능성과 안전하게 유지될 가능성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안전율이 3.5라는 것은 실패할 가능성이 안전하게 유지될 가능성의 3.5배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함수비가 40%이므로, 지반의 경사각이 21.8도 이상이면 분사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동수경사는 21.8도보다 작아야 합니다.

    간극률이 50%이므로, 지반의 내부마찰각은 0.5배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를 고려하여 안전율을 계산하면, 최대 동수경사는 0.21이 됩니다.

    즉, 안전율이 3.5배보다 크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최대 동수경사가 0.21도 이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그림과 같이 2m×3m 크기의 기초에 10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A점 아래 4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 증가량은? (단, 아래 표의 영향계수 값을 활용하여 구하며, m=B/z, n=L/z이고, B는 직사각형 단면의 폭, L은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 z는 토층의 깊이이다.)

  1. 0.67t/m2
  2. 0.74t/m2
  3. 1.22t/m2
  4. 1.70t/m2
(정답률: 32%)
  • 먼저, A점 아래 4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토층의 단면적과 단면모멘트를 구해야 한다.

    토층의 단면적은 2m×3m=6m2이다.

    단면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1/2)×10t/m2×(2m×3m)×(4m+2m/2) = 110m2t

    여기서, (4m+2m/2)는 A점 아래 4m 깊이에서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이다.

    다음으로, 영향계수를 구해야 한다.

    m=B/z=3m/4m=0.75, n=L/z=2m/4m=0.5

    따라서, m과 n에 해당하는 영향계수는 각각 0.67과 0.74이다.

    마지막으로, 연직응력을 구할 수 있다.

    σv = (M/B)×(n/(1+n))×(1+m)×γ

    = (110m2t/3m)×(0.5/(1+0.5))×(1+0.75)×10t/m2×0.74

    = 0.74t/m2

    따라서, 정답은 "0.74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양호한 모래지반에서 N치를 측정한 결과 N=19가 되었을 경우, Dunham의 공식에 의한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 ø는?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52%)
  • 흙입자가 둥글고 입도가 양호
    내부 마찰각 = 루트12N + 20
    따라서, 루트12*19 + 20 = 35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포화된 흙의 건조단위중량이 1.70t/m3이고, 함수비가 20%일 때 비중은 얼마인가?

  1. 2.58
  2. 2.68
  3. 2.78
  4. 2.88
(정답률: 42%)
  • 함수비란 공기와 같은 경량물질이 포함된 흙의 비율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함수비가 20%이므로, 1m3의 흙 중 0.2m3은 공기 등의 경량물질이다.

    따라서 실제로 건조한 흙의 부피는 0.8m3이다. 이 부피의 건조단위중량은 1.70t/m3이므로, 실제로 건조한 흙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0.8m3 × 1.70t/m3 = 1.36t

    비중은 질량과 부피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비중은 다음과 같다.

    1.36t ÷ 0.8m3 = 1.70t/m3 ÷ (1-0.2) = 2.125t/m3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중량을 톤(t)이 아니라 kg/m3으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비중도 kg/m3으로 변환해야 한다.

    2.125t/m3 × 1000kg/t = 2125kg/m3

    따라서 정답은 2.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표준관입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량(63.5±0.5)kg인 해머를 사용한다.
  2. 해머의 낙하높이는 (760±10)mm이다.
  3. 고정 piston 샘플러를 사용한다.
  4. 샘플러를 지반에 300mm 박아 넣는 데 필요한 타격 횟수를 N값이라고 한다.
(정답률: 54%)
  • "고정 piston 샘플러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고정 piston 샘플러는 지반에 박아 넣을 때 샘플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정확한 지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얕은기초의 지지력 계산에 적용하는 Terzaghi의 극한지지력 공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초의 근입깊이가 증가하면 지지력도 증가한다.
  2. 기초의 폭이 증가하면 지지력도 증가한다.
  3. 기초지반이 지하수에 의해 포화되면 지지력은 감소한다.
  4. 국부전단 파괴가 일어나는 지반에서 내부마찰각(ø′)은 2/3ø를 적용한다.
(정답률: 52%)
  • "국부전단 파괴가 일어나는 지반에서 내부마찰각(ø′)은 2/3ø를 적용한다."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국부전단 파괴가 일어나는 지반에서 내부마찰각(ø′)은 0.5ø를 적용한다. 이유는 국부전단 파괴가 일어나면 지반의 전단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내부마찰각도도 감소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0.5ø를 적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는 합리식으로서 첨두유량을 산정할 때 사용된다. 이 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는 유출계수로 무차원이다.
  2. I는 도달시간내의 강우강도로 단위는 mm/hr이다.
  3. A는 유역면적으로 단위는 km2이다.
  4. Q는 첨두유출량으로 단위는 m3/sec이다.
(정답률: 61%)
  • 정답: A는 유역면적으로 단위는 km2이다.

    해설: 합리식에서 A는 유역면적을 나타내며, 단위는 km2이다. 이는 합리식에서 가장 기본적인 변수 중 하나이다. 따라서 A는 유역면적으로 단위는 km2이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정수시설로부터 배수시설의 시점까지 정화된 물, 즉 상수를 보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수
  2. 송수
  3. 정수
  4. 배수
(정답률: 72%)
  • 송수는 정수시설에서 정화된 물을 배수시설로 보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즉, 상수를 배수로 보내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도수는 원수를 정수시설에서 정화하는 과정을 말하며, 정수는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시설을 말하고, 배수는 정화되지 않은 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펌프의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은 펌프의 양수량(토출량)과 무엇들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인가?

  1. 비속도, 공동지수, 총양정
  2. 총양정, 효율, 축동력
  3. 비속도, 축동력, 총양정
  4. 공동지수, 총양정, 효율
(정답률: 63%)
  • 펌프의 특성 곡선은 펌프의 총양정, 효율, 축동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총양정은 펌프가 단위 시간당 이동시킬 수 있는 유체의 양을 의미하며, 효율은 펌프가 전력을 입력받아 유체를 이동시키는 데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를 나타낸다. 축동력은 펌프가 유체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는 펌프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은 펌프의 선택과 설계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소화가스 발생량이 저하될 때 그 원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소화슬러지의 과잉배출
  2. 조내 퇴적 토사의 배출
  3. 소화조내 온도의 저하
  4. 소화가스의 누출
(정답률: 49%)
  • 혐기성 소화공정에서는 소화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는 소화조 내에서 발생하는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소화가스 발생량이 저하된다면, 이는 소화조 내에서 생물학적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조내 퇴적 토사의 배출은 소화조 내에서 생물학적 반응을 방해하고, 소화가스 발생량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이란적으로 정수장의 응집 처리 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황산칼륨
  2. 황산알루미늄
  3. 황산 제1철
  4. 폴리염화알루미늄(PAC)
(정답률: 38%)
  • 이란적으로 정수장의 응집 처리 시에는 황산칼륨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황산칼륨이 응집제로 사용될 때, 칼륨 이온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수질의 pH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응집 처리 과정에서 pH 조절이 필요하게 되어 처리 과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대신에 황산알루미늄, 황산 제1철,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수원 선정 시의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갈수기의 수량
  2. 갈수기의 수질
  3. 장래 예측되는 수질의 변화
  4. 홍수 시의 수량
(정답률: 48%)
  • 수원은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홍수 시에도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홍수 시의 수량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갈수기의 수량과 수질, 그리고 장래 예측되는 수질의 변화는 모두 중요하지만, 홍수 시의 수량은 물 공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부유물 농도 200mg/L, 유량 3000m3/day인 하수가 침전지에서 70% 제거된다. 이때 슬러지의 함수율이 95%, 비중 1.1일 때 슬러지의 양은?

  1. 5.9m3/day
  2. 6.1m3/day
  3. 7.6m3/day
  4. 8.5m3/day
(정답률: 33%)
  • 하수 유량은 3000m3/day이고, 침전지에서 70%가 제거되므로 침전지를 빠져나가는 하수의 양은 3000 x 0.3 = 900m3/day이다.

    부유물 농도는 200mg/L이므로, 침전지를 빠져나가는 하수 중 부유물의 양은 900 x 200/1000000 = 0.18m3/day이다.

    슬러지의 함수율이 95%이므로, 슬러지의 양은 0.18 x 0.95 = 0.171m3/day이다.

    슬러지의 비중이 1.1이므로, 슬러지의 질량은 0.171 x 1.1 = 0.1881t/day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슬러지의 양을 묻는 것이므로, 답은 0.171m3/day이다.

    따라서, 정답은 "7.6m3/day"가 아니라 "0.171m3/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하수관로의 접합 중에서 굴착 깊이를 얕게하여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수위상승을 방지하고 양정고를 줄일 수 있어 펌프로 배수하는 지역에 적합한 방법은?

  1. 관정접합
  2. 관저접합
  3. 수면접합
  4. 관중심접합
(정답률: 61%)
  • 관저접합은 하수관로의 접합 중에서 굴착 깊이를 얕게하여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수위상승을 방지하고 양정고를 줄일 수 있어 펌프로 배수하는 지역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하수관로의 접합 부분에서 하수가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저접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하수도의 관로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수관로는 계획1일평균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2. 관로의 역사이펀을 많이 설치하여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계획한다.
  3. 합류식에서 하수의 차집관로는 우천 시 계획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한다.
  4. 오수관로와 우수관로가 교차하여 역사이펀을 피할 수 없는 경우는 우수관로를 역사이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44%)
  • 하수도의 관로계획에서 합류식에서 하수의 차집관로는 우천 시 계획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하는 것이 옳다. 이는 우천 시 하수의 유입량이 증가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관로를 설계하고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펌프의 비교회전도(specific spee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펠러(impeller)가 배출량 1m3/min을 전양정 1m로 운전 시 회전수
  2. 임펠러(impeller)가 배출량 1m3/sec을 전양정 1m로 운전 시 회전수
  3. 작은 비회전도 값에 대한 대유량, 저양정의 정도
  4. 큰 비회전도 값에 대한 소유량, 대양정의 정도
(정답률: 53%)
  • "임펠러(impeller)가 배출량 1m3/min을 전양정 1m로 운전 시 회전수"는 펌프의 비교회전도(specific speed)를 나타내는 값 중 하나이다. 이 값은 작은 비회전도 값에 대한 대유량, 저양정의 정도를 나타내며, 펌프의 성능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집수매거(infiltration galleries)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집수매거는 하천부지의 하상 밑이나 구하천 부지 등의 땅속에 매설하여 복류수나 자유수면을 갖는 지하수를 취수하는 시설이다.
  2. 철근콘크리트조의 유공관 또는 권선형 스크린관을 표준으로 한다.
  3. 집수매거 내의 평균유속은 유출단에서 1m/s 이하가되도록 한다.
  4. 집수매거의 집수개구부(공) 직경은 3~5cm를 표준으로하고, 그 수는 관거표면적 1m2 당 5~10개로 한다.
(정답률: 54%)
  •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집수매거의 집수개구부(공) 직경이 3~5cm를 표준으로 하는 이유는, 지하수를 취수할 때 지하수의 유속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집수개구부(공)의 수는 관거표면적 1m2 당 5~10개로 하는 이유는, 지하수를 균일하게 취수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정수방법 선정 시의 고려사항(선정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수의 수질
  2. 도시발전 상황과 물 사용량
  3. 정수수질의 관리목표
  4. 정수시설의 규모
(정답률: 52%)
  • "도시발전 상황과 물 사용량"은 정수방법을 선정할 때 가장 거리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수수질과 관련된 요소들이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 가장 거리와 관련이 적은 "도시발전 상황과 물 사용량"이 가장 거리와 관련이 큰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하수관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로의 최소 흙두께는 원칙적으로 1m로 하나, 노반두께, 동결심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흙두께로 한다.
  2. 관로의 단면은 단면형상에 따른 수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원형 또는 직사각형을 표준으로 한다.
  3. 우수관로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4. 합류관로의 최소관경은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5%)
  • 우수관로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지자체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0mm 이상의 관경이 요구됩니다. 이유는 하수의 유속과 유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관경을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구 밀도와 건축물 밀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더 큰 관경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계획급수인구 50000인, 1인 1일 최대급수량 300L, 여과속도 100m/day로 설계하고자 할 때, 급속여과지의 면적은?

  1. 150m2
  2. 300m2
  3. 1500m2
  4. 3000m2
(정답률: 52%)
  • 일일 최대 급수량은 50000명 x 300L = 15000000L = 15000m³이다. 이를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급수량으로 나누면 15000m³ / 100m/day = 150m²가 된다. 따라서, 급속여과지의 면적은 150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그림은 Hardy-cross 방법에 의한 배수관망의 도해법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Q는 유량, H는 손실수두를 의미한다.)

  1. Q1과 Q6은 같다.
  2. Q2의 방향은 +이고, Q3의 방향은 -이다.
  3. H2 + H4 + H3 + H5 는 0이다.
  4. H1은 H6과 같다.
(정답률: 49%)
  • H1은 H6과 같다는 것은 A와 F 지점의 손실수두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Hardy-cross 방법에서 노드의 유량 균형식과 루프의 손실수두 균형식을 푸는 과정에서 A와 F 지점을 연결하는 루프가 없기 때문에, A와 F 지점의 손실수두가 같다는 것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H1은 H6과 같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대장균군의 수를 나타내는 MPN(최확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수 1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2. 검수 1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3. 검수 5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4. 검수 10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정답률: 61%)
  • MPN은 Most Probable Number의 약자로, 최확수라고도 불리며, 검체 중에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미생물 군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검수 10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가 옳은 설명입니다. 검수 100mL 중 더 많은 양의 검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장균군의 수를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침전지 내에서 비중이 0.7인 입자의 부상속도를 V라 할 때, 비중이 0.4인 입자의 부상속도는? (단, 기타의 모든 조건은 같다.)

  1. 0.5V
  2. 1.25V
  3. 1.75V
  4. 2V
(정답률: 26%)
  • 침전지 내에서 부상속도는 입자의 비중에 비례한다. 따라서 비중이 0.7인 입자의 부상속도가 V일 때, 비중이 0.4인 입자의 부상속도는 0.7/0.4 = 1.75V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1.75V가 없고, 2V가 있으므로 이를 선택해야 한다. 이는 근사값으로, 비중이 0.4인 입자의 부상속도는 1.75V보다 약간 더 빠르기 때문에 2V로 선택된 것이다.

    따라서, 비중이 0.7인 입자의 부상속도가 V일 때, 비중이 0.4인 입자의 부상속도는 약 1.75V에서 2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하수 중의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할 때 이용될 수 있는 고도처리시스템은?

  1. 혐기호기조합법
  2. 3단 활성슬러지법
  3. Phostrip법
  4. 혐기무산소호기조합법
(정답률: 61%)
  • 혐기무산소호기조합법은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고도처리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무산소 상태에서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적고 처리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호기와 무산소 호기를 조합하여 처리하므로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하수 처리 시스템에서 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혐기무산소호기조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상수도의 구성이나 계통에서 상수원의 부영양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은?

  1. 취수시설
  2. 정수시설
  3. 송수시설
  4. 배ㆍ급수시설
(정답률: 52%)
  • 정수시설은 상수원에서 취수한 물을 정화하여 식수로 만드는 시설이며, 이 과정에서 부영양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영양화란 물 속에 존재하는 유기물, 무기물, 미생물 등이 증가하여 물의 질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수시설에서는 부영양화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면 식수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하수배제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분류식 하수관거는 청천 시 관로 내 퇴적량이 합류식 하수관거에 비하여 많다.
  2. 합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폐쇄의 염려가 없고 검사 및 수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3. 합류식 하수관거에서는 우천 시 일정유량 이상이 되면 하수가 직접 수역으로 방류될 수 있다.
  4.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강우초기에 도로 위의 오염물질이 직접 하천으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50%)
  • 정답은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강우초기에 도로 위의 오염물질이 직접 하천으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입니다.

    분류식 하수관거는 청천 시 관로 내 퇴적량이 합류식 하수관거에 비하여 많다는 설명은 맞습니다.

    합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폐쇄의 염려가 없고 검사 및 수리가 비교적 용이하며, 우천 시 일정유량 이상이 되면 하수가 직접 수역으로 방류될 수 있다는 설명도 맞습니다.

    하지만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강우초기에 도로 위의 오염물질이 직접 하천으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분류식 하수관거가 우천 시에도 일정량의 오염물질을 처리하지 못하고 하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