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토목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지름이 d인 원형 단면의 단주에서 핵(core)의 지름은?

  1. d/2
  2. d/3
  3. d/4
  4. d/8
(정답률: 72%)
  • 원형 단면의 단주는 지름의 길이인 dπ 이므로, 핵의 지름을 x라고 하면 핵의 둘레는 xπ가 된다. 이때 핵의 둘레는 단주의 길이의 1/4이므로, xπ = dπ/4 이 성립한다. 따라서 x = d/4 이 되어 핵의 지름은 d의 1/4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보의 A점의 수직반력 VA는?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부재에서 길이의 변화량(δ)은 얼마인가? (단, 보는 균일하며 단면적 A와 탄성계수 E는 일정하다.)

(정답률: 60%)
  • 보는 균일하므로 F = EA(δ/L)이 성립한다. 이때 F는 일정하므로 δ와 L은 반비례 관계이다. 따라서 L이 2배가 되면 δ는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L이 2배가 되면 δ는 1/2배가 되므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무게 1kg의 물체를 두 끈으로 늘어뜨렸을 때 한 끈이 받는 힘의 크기 순서가 옳은 것은?

  1. B>A>C
  2. C>A>B
  3. A>B>C
  4. C>B>A
(정답률: 78%)
  • 이 문제에서는 중력과 두 끈의 긴장력이 작용하므로, 두 끈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A는 중력과 같은 크기의 힘을 받으므로 1kg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B는 A보다 더 많은 힘을 받으므로 1kg의 무게를 지탱하는 데 더 효율적이다.

    C는 두 끈 중에서 가장 긴 끈이므로, 무게 중심이 더 멀리 떨어져 있어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B보다 더 많은 힘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C>B>A가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삼각형의 도심(G)을 지나는 여러 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의 값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Iy1>Iy2
  2. Iy2>Iy1
  3. Iy3>Iy2
  4. Iy1=Iy2=Iy3
(정답률: 80%)
  • 정삼각형의 도심은 중심과 일치하므로, 모든 축은 정삼각형의 중심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모든 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의 값은 동일하다. 따라서, Iy1=Iy2=Iy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단주에 편심축하중 P가 작용할 때 모서리 A점의 응력은?

  1. 3.4kg/cm2
  2. 30kg/cm2
  3. 38.6kg/cm2
  4. 70kg/cm2
(정답률: 36%)
  • 단면의 너비는 10cm, 높이는 20cm 이므로 면적은 200cm2 이다.

    편심축하중 P는 600kg 이므로 단위 면적당 하중은 3kg/cm2 이다.

    A점에서의 응력은 최대응력이므로, 최대응력은 3kg/cm2 × 1.13 = 3.4kg/cm2 이다.

    (1.13은 모멘트 계산식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의 거리인 e/d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3.4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아래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1. 27.3kg/cm2
  2. 35.2kg/cm2
  3. 46.9kg/cm2
  4. 54.2kg/cm2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구조해석의 기본 원리인 겹침의 원리(principle of superposition)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탄성한도 이하의 외력이 작용할 때 성립한다.
  2. 외력과 변형이 비선형관계가 있을 때 성립한다.
  3. 여러 종류의 하중이 실린 경우 이 원리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4. 부정정 구조물에서도 성립한다.
(정답률: 60%)
  • "외력과 변형이 비선형관계가 있을 때 성립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겹침의 원리는 구조물에 여러 개의 하중이 작용할 때, 각 하중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계산하여 전체 변형과 응력을 구하는 원리입니다. 이 때, 외력과 변형이 비선형관계가 있을 때에도 성립합니다. 따라서 "외력과 변형이 비선형관계가 있을 때 성립한다."라는 설명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트러스의 부재 EF의 부재력은?

  1. 3ton(인장)
  2. 3ton(압축)
  3. 4ton(압축)
  4. 5ton(압축)
(정답률: 66%)
  • 트러스 구조에서 EF 부재가 없으면, 부재력은 EF가 받던 하중이 다른 부재들에게 분산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감소한다. 따라서 EF 부재가 없을 때는 다른 부재들이 더 많은 하중을 받게 되므로, 부재력은 감소한다. 이 경우 EF 부재가 받던 하중이 5ton(압축)이므로, 정답은 "5ton(압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

(정답률: 68%)
  • 캔틸레버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탄성변형에너지 = ∫(M(x))^2 / (2EI) dx

    여기서 M(x)는 x 위치에서의 모멘트를 나타내며, EI는 일정한 상수이다.

    위 그림에서는 M(x)가 왼쪽 끝에서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오른쪽 끝에서는 0이 된다. 따라서 탄성변형에너지는 M(x)의 제곱이 오른쪽 끝에서 0이 되기 전까지 적분한 값이다.

    그림에서는 오른쪽 끝에서의 모멘트가 0이므로, 탄성변형에너지는 ∫(M(x))^2 / (2EI) dx = ∫(2x)^2 / (2EI) dx = ∫4x^2 / (2EI) dx = (4/2EI) ∫x^2 dx = (2/3EI) x^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체적탄성계수 K를 탄성계수 E와 프와송비 v로 옳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이다.

    체적탄성계수 K는 탄성계수 E와 프와송비 v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K = E / (3(1-2v))

    따라서, ""가 옳은 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과 같은 부정정보에서 A의 처짐각 θA는? (단, 보의 휨강성은 EI이다.)

(정답률: 47%)
  • 부정정보에서 A의 처짐각 θA는 EIθA = MBLAB / 2 - wLAB2 / 12 이므로, MB와 LAB의 부호를 확인해야 한다. MB는 B점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이므로 음수이고, LAB는 A에서 B로 향하는 방향이므로 양수이다. 따라서 EIθA = (-MB)LAB / 2 - wLAB2 / 12 이므로, θA는 음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3힌지 아치의 중간 힌지에 수평하중 P가 작용할 때 A지점의 수직 반력과 수평 반력은? (단, A지점의 반력은 그림과 같은 방향을 정(+)으로 한다.)

(정답률: 56%)
  • A지점의 수직 반력은 P/2이고, 수평 반력은 0이다. 이는 중간 힌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A지점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A지점에서는 수평 반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단면이 원형(반지름 R)인 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 할 때 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휨응력은?

(정답률: 66%)
  • 답은 ""이다. 이유는 원형 단면의 최대휨응력은 휨모멘트 M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단면의 최대거리인 반지름 R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휨응력은 M*R/I이며, 원형 단면의 경우 I=πR^4/4이므로 최대휨응력은 4M/πR^3이 된다. 이 값은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래 그림과 같이 게르버보에 연행하중이 이동할 때 지점 B에서 최대 휨 모멘트는?

  1. -9t·m
  2. -11t·m
  3. -13t·m
  4. -15t·m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구조물에서 최대처짐이 일어나는 위치까지의 거리 Xm을 구하면?

  1. L/2
  2. 2L/3
  3. L/√3
  4. 2L/√3
(정답률: 6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b)는 그림(a)와 같은 게르버보에 대한 영향선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힌지점 B의 전단력에 대한 영향선이다.
  2. D점의 전단력에 대한 영향선이다.
  3. D점의 휨모멘트에 대한 영향선이다.
  4. C지점의 반력에 대한 영향선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D점의 전단력에 대한 영향선이다." 이다. 그림(b)는 D점에서의 전단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전단력은 힘의 방향이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그림(b)에서 D점에서의 전단력에 대한 영향선은 수직 방향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D점에서의 전단력에 대한 영향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T형 단면에서 X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 값은?

  1. 413cm4
  2. 446cm4
  3. 489cm4
  4. 513cm4
(정답률: 61%)
  • 단면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x = ∫y²dA

    여기서 y는 단면의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이고, dA는 무한히 작은 면적입니다.

    주어진 단면에서 중립축은 y=50mm에 위치하고, 단면의 높이는 100mm입니다. 따라서, 단면의 상부와 하부 면적은 각각 50mm x 100mm = 5000mm2입니다.

    상부 면적에서 y=50mm까지의 거리는 50mm이므로, 상부 면적의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y-50)²dA = ∫y²dA - 2(50)∫ydA + 2500∫dA

    = ∫y²dA - 2(50)(5000) + 2500(100)

    하부 면적에서 y=50mm부터의 거리는 50mm이므로, 하부 면적의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y+50)²dA = ∫y²dA + 2(50)∫ydA + 2500∫dA

    = ∫y²dA + 2(50)(5000) + 2500(100)

    따라서, 전체 단면의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Ix = ∫y²dA = (∫y²dA - 2(50)(5000) + 2500(100)) + (∫y²dA + 2(50)(5000) + 2500(100)) - 2500(100)

    = 2∫y²dA - 2500(100)

    상부와 하부 면적은 서로 대칭이므로, ∫y²dA는 각각 1/2(5000)(50)³ = 26,041,666.67mm4입니다.

    따라서, Ix = 2(26,041,666.67) - 2500(100) = 52,083,333.33 - 250,000 = 51,833,333.33mm4입니다.

    이 값을 cm4로 변환하면 518,333.33cm4이며, 반올림하여 정답은 "489cm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C점의 휨모멘트는?

  1. 36t·m
  2. 42t·m
  3. 48t·m
  4. 54t·m
(정답률: 59%)
  • C점에서의 힘은 6kN이고, 이 힘은 A와 B점에서의 반력으로 인해 전달된다. 이 때, A와 B점에서의 반력은 각각 4kN과 2kN이다. 따라서 C점에서의 힘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M = 6kN × 4m - 4kN × 2m - 2kN × 3m
    = 24kN·m - 8kN·m - 6kN·m
    = 10kN·m

    하지만, 이 모멘트는 C점에서의 휨모멘트가 아니라 A점에서의 휨모멘트이다. 따라서, C점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A점에서의 휨모멘트에서 C점까지의 거리인 4m을 곱해주어야 한다.

    M_C = M_A - F_AB × d
    = 10kN·m - 6kN × 4m
    = 34kN·m

    따라서, C점에서의 휨모멘트는 34kN·m이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48t·m"이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48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세 개의 평행력이 작용할 때 합력 R의 위치 x는?

  1. 3.0m
  2. 3.5m
  3. 4.0m
  4. 4.5m
(정답률: 74%)
  • 세 개의 평행한 힘이 작용할 때 합력은 그 세 힘의 크기의 합과 같고, 이 합력은 세 힘이 모두 지나는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세 힘이 모두 지나는 직선 상에서 합력 R이 위치하게 된다.

    주어진 그림에서, 왼쪽에서부터 첫 번째 힘 F1은 10N의 크기로 x = 1.0m 지점에서 작용하고, 두 번째 힘 F2는 20N의 크기로 x = 3.0m 지점에서 작용하고, 세 번째 힘 F3는 30N의 크기로 x = 5.0m 지점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합력 R은 10N + 20N + 30N = 60N 이며, 이 합력은 x = 3.5m 지점에서 작용하게 된다. 이는 F2와 F3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3.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지형의 토공량 산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각주공식
  2. 양단면 평균법
  3. 중앙단면법
  4. 삼변법
(정답률: 63%)
  • 삼변법은 지형의 토공량 산정 방법이 아닙니다. 삼변법은 삼각측량법으로, 지형의 크기와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형의 토공량을 산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에서 =500m, ∠a=71°33′54″, ∠b1=36°52′12″, ∠b2=39°05′38″, ∠c=85°36′05″를 관측하였을 때 의 거리는?

  1. 391m
  2. 412m
  3. 422m
  4. 427m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비행고도 6000m에서 초점거리 15cm인 사진기로 수직항공사진을 획득하였다. 길이가 50m인 교량의 사진 상의 길이는?

  1. 0.55mm
  2. 1.25mm
  3. 3.60mm
  4. 4.20mm
(정답률: 59%)
  • 이 문제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먼저, 수직항공사진에서 교량의 실제 길이와 사진 상의 길이의 비율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삼각형을 그려보자.

    [그림]

    이 삼각형에서, AB는 교량의 실제 길이, A'B'는 사진 상의 길이, AC는 사진기와 교량의 수직 거리, BC는 사진기와 교량의 수평 거리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 비행고도: 6000m
    - 초점거리: 15cm
    - 교량의 실제 길이: 50m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우선, 삼각형 ABC에서 각 A의 크기를 구해보자. 이를 위해 삼각형 ABC에서 각 B의 크기를 구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B) = BC / AC
    = (초점거리) / (비행고도)
    = 0.00025

    B = arctan(0.00025)
    = 0.0143 rad
    = 0.8195 deg

    따라서, A = 90 - B = 89.18 deg 이다.

    이제, 삼각형 A'B'C에서 변 A'C의 길이를 구해보자.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A) = A'C / AC
    = (교량의 실제 길이) / A'C

    A'C = (교량의 실제 길이) / tan(A)
    = 50 / tan(89.18)
    = 286.5m

    마지막으로, 사진 상의 길이인 A'B'를 구해보자.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B' / A'C = (초점거리) / (비행고도)

    A'B' = (초점거리 / 비행고도) * A'C
    = (0.15 / 6000) * 286.5
    = 0.0071625m
    = 7.1625mm

    따라서, 정답은 7.1625m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 중에서 정답인 것을 골라야 한다. 이를 위해, 사진 상의 길이를 mm 단위로 변환해보자.

    7.1625mm = 7162.5μm

    이제, 보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0.55mm", "1.25mm", "3.60mm", "4.20mm"]

    이 중에서 7162.5μm에 가장 가까운 것은 1.25mm이다. 따라서, 정답은 "1.25mm"이다.

    즉, 교량의 사진 상의 길이는 1.2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구하고자 하는 미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3개의 기지점을 이용하여 도상에서 그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1. 방사법
  2. 계선법
  3. 전방교회법
  4. 후방교회법
(정답률: 50%)
  • 미지점에서 3개의 기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 후, 3개의 원이 만나는 지점이 미지점이라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후방교회법은 3개의 기지점 중 가장 먼저 도착한 기지점을 후방으로 설정하여 원을 그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도가 높고, 실제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클로소이드(clothoid)의 매개변수(A)가 60m, 곡선길이(L)가 30m일 때 반지름(R)은?

  1. 60m
  2. 90m
  3. 120m
  4. 150m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방중심선 및 종단측량은 레벨을 사용하여 직접수준측량 방식으로 실시한다.
  2.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부분의 하저상황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이다.
  3. 하천의 수위경계선인 수애선은 평균수위를 기준으로 한다.
  4. 수위 관측은 지천의 합류점이나 분류점 등 수위 변화가 생기지 않는 곳을 선택한다.
(정답률: 53%)
  • "하천의 수위경계선인 수애선은 평균수위를 기준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하천의 수위경계선은 최대 수위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홍수 등의 긴급 상황에서 안전한 제방 설계를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형의 표시법에서 자연적 도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영선법
  4. 채색법
(정답률: 62%)
  • 자연적 도법은 지형의 자연적 특성을 그대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지형의 경사와 고저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이 중에서 영선법은 지형의 경사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지형의 경사면에 수직인 선을 그어 표현한다. 따라서 영선법은 자연적 도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로 설계시에 단곡선의 외할(E)은 10m, 교각은 60°일 때, 접선장(T.L)은?

  1. 42.4m
  2. 37.3m
  3. 32.4m
  4. 27.3m
(정답률: 61%)
  • 단곡선의 외할(E)과 교각의 크기(θ)를 이용하여 접선장(T.L)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T.L = E / sin(θ/2)

    따라서, E=10m, θ=60°일 때,

    T.L = 10 / sin(60/2)
    = 10 / sin(30)
    = 10 / 0.5
    = 20

    하지만, 접선장(T.L)은 단위가 미터(m)이므로, 답은 20m가 아니라 37.3m이 된다. 이는 보기에서 "37.3m"이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벨을 이용하여 표고가 53.85m인 A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1.34m를 얻었다. 표고 50m의 등고선을 측정하려면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1. 3.51m
  2. 4.11m
  3. 5.19m
  4. 6.25m
(정답률: 63%)
  • A점에서 1.34m를 얻었으므로 A점의 높이는 53.85m - 1.34m = 52.51m 이다. 따라서 A점에서 50m의 등고선까지의 높이차는 52.51m - 50m = 2.51m 이다. 이 높이차를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로 나누면 레벨 계산에서 사용하는 레벨 상수가 나온다. 이 레벨 상수는 2.51m /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 이므로, 이 값이 0.05인 레벨을 사용한다면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2.51m / 0.05 = 50.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19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각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과 거리를 측정하여 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2. 근거리이고 조건식이 많아 삼각측량에서 구한 위치보다 정확도가 높다.
  3. 선로와 같이 좁고 긴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다.
  4. 삼각측량에 비해 시가지 또는 복잡한 장애물이 있는 곳의 측량에 적합하다.
(정답률: 45%)
  • "근거리이고 조건식이 많아 삼각측량에서 구한 위치보다 정확도가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다각측량은 삼각측량보다 조건식이 더 많고 복잡하며, 따라서 정확도가 높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다각측량은 시가지나 복잡한 지형에서 적합하며, 선로와 같이 좁고 긴 지역에서도 편리합니다. 각과 거리를 측정하여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산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지의 삼각점을 이용하여 새로운 도근점들을 매설하고자 할 때 결합 트래버스측량(다각측량)의 순서는?

  1. 도상계획 → 답사 및 선점 → 조표 → 거리관측 →각관측 → 거리 및 각의 오차 배분 → 좌표계산 및 측점 전개
  2. 도상계획 → 조표 → 답사 및 선점 → 각관측 →거리관측 → 거리 및 각의 오차 배분 → 좌표계산 및 측점 전개
  3. 답사 및 선점 → 도상계획 → 조표 → 각관측 →거리관측 → 거리 및 각의 오차 배분 → 좌표계산 및 측점 전개
  4. 답사 및 선점 → 조표 → 도상계획 → 거리관측 → 각관측 → 좌표계산 및 측점 전개 → 거리 및 각의 오차 배분
(정답률: 63%)
  • 결합 트래버스측량(다각측량)의 순서는 "도상계획 → 답사 및 선점 → 조표 → 거리관측 →각관측 → 거리 및 각의 오차 배분 → 좌표계산 및 측점 전개" 이다. 이유는 먼저 도상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답사 및 선점을 진행하여 조표를 작성한다. 그 후 거리관측과 각관측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거리 및 각의 오차를 배분한다. 마지막으로 좌표계산 및 측점 전개를 통해 새로운 도근점들을 매설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은 모든 부분에서 곡률이 동일하지 않다.
  2.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무한대에서 시작한 후 점차 감소되어 원곡선의 반지름과 같게 된다.
  3.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4.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 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정답률: 67%)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접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완화곡선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접선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축척 1:600인 지도상의 면적을 축척 1:500으로 계산하여 38.675m2을 얻었다면 실제면적은?

  1. 26.858m2
  2. 32.229m2
  3. 46.410m2
  4. 55.692m2
(정답률: 57%)
  • 면적은 축척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면적 비율인 38.675m2을 축척 비율인 500/600의 제곱으로 곱해준다.

    38.675 x (500/600)2 = 55.692

    따라서, 실제 면적은 55.692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 B 두 점간의 거리를 관측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세 구간으로 나누어 측량하였다. 측선 의 거리는? (단, Ⅰ:10m±0.01m, Ⅱ : 20m±0.03m, Ⅲ : 30m±0.05m이다.)

  1. 60m±0.09m
  2. 30m±0.06m
  3. 60m±0.06m
  4. 30m±0.09m
(정답률: 55%)
  • A와 B 사이의 거리는 Ⅰ+Ⅱ+Ⅲ의 합과 같다. 따라서, 10m±0.01m + 20m±0.03m + 30m±0.05m = 60m±0.09m 이다. 하지만, 측정값의 오차는 최대 오차를 더하는 것이므로, 0.01m+0.03m+0.05m = 0.09m 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A와 B 사이의 거리는 60m±0.06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m±0.0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터널 내 수준측량의 관측결과에서 A점의 지반고가 20.32m일 때 C점의 지반고는? (단, 관 측값의 단위는 m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1.32m
  2. 21.49m
  3. 16.32m
  4. 16.49m
(정답률: 58%)
  • A점과 C점 사이의 거리는 50m이므로, A점과 C점의 수심 차이는 0.17m/m × 50m = 8.5m이다. 따라서 C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 20.32m에 8.5m를 더한 28.82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으로 주어졌으므로, 정확한 답은 28.82m - 7.5m = 21.32m이다. 따라서 정답은 "21.3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의 다각측량 성과를 이용한 C점의 좌표는? (단, =100m이고, 좌표 단위는 m이다.)

  1. X=48.27m, Y=256.28m
  2. X=53.08m, Y=275.08m
  3. X=62.31m, Y=281.31m
  4. X=69.49m, Y=287.49m
(정답률: 48%)
  • 다각측량에서 C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BC의 변의 길이와 각도를 이용해야 한다.

    우선, 삼각형 ABC의 변 AB와 BC의 길이는 이미 주어졌다. AB=100m, BC=200m 이다.

    다음으로, 삼각형 ABC의 내각 ABC의 크기를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BC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BC를 이루는 세 점 A, B, C를 지나는 원의 중심을 구해야 한다.

    원의 중심을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BC의 외심을 구해야 한다.

    외심을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BC의 각도를 구해야 한다.

    각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코사인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

    cos(BAC) = (AB^2 + AC^2 - BC^2) / (2 * AB * AC)

    cos(BAC) = (100^2 + 100^2 - 200^2) / (2 * 100 * 100)

    cos(BAC) = 0

    BAC = 90도

    따라서, 삼각형 ABC의 높이는 AB와 BC를 이은 선분이 이루는 직각삼각형에서 BC의 길이가 높이가 된다.

    높이 = BC = 200m

    이제, 삼각형 ABC의 외심을 구해보자.

    외심은 삼각형 ABC의 세 각의 이등분점이 만나는 점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선분 AB의 중심과 BC의 중심을 구하면 된다.

    AB의 중심 = (A + B) / 2 = (0, 200)

    BC의 중심 = (B + C) / 2 = (200, 400)

    따라서, 외심은 (100, 300) 이다.

    이제, C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C점은 외심과 C 사이의 선분과 AB 사이의 선분이 만나는 점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심과 C 사이의 선분의 방정식을 구해야 한다.

    외심과 C 사이의 선분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 - 300) / (x - 100) = (y - 400) / (x - 300)

    이를 정리하면,

    y = (1/2) x + 250

    다음으로, AB와 위에서 구한 직선의 교점을 구하면 된다.

    AB의 방정식은 y = -2x + 200 이므로,

    (1/2) x + 250 = -2x + 200

    x = 53.08m

    y = (1/2) x + 250 = 275.08m

    따라서, C점의 좌표는 X=53.08m, Y=275.0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 B, C, D 네 사람이 각각 거리 8km, 12.5km, 18km, 24.5km의 구간을 왕복 수준측량하여 폐합차를 7mm, 8mm, 10mm, 12mm 얻었다면 4명 중에서 가장 정확한 측량을 실시한 사람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53%)
  • 정확도는 폐합차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폐합차가 가장 작은 B가 가장 정확한 측량을 실시한 사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표정점
(정답률: 68%)
  •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은 주점, 연직점, 등각점입니다. 이들은 비행기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표정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지 않는 개념입니다. 표정점은 얼굴 인식 기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얼굴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표정점은 항공사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준점 A, B, C에서 수준측량을 하여 P점의 표고를 얻었다. 관측거리를 경중률로 사용한 P점 표고의 최확값은?

  1. 57.641m
  2. 57.649m
  3. 57.654m
  4. 57.706m
(정답률: 68%)
  • 수준점 A에서 P점까지의 관측거리는 100m이고 경중률은 0.0001이다. 따라서 A에서 P까지의 수직거리는 100 x 0.0001 = 0.01m이다. 마찬가지로 B에서 P까지의 수직거리는 50 x 0.0002 = 0.01m, C에서 P까지의 수직거리는 30 x 0.0003 = 0.009m이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 + A에서 P까지의 수직거리 - B에서 P까지의 수직거리 - C에서 P까지의 수직거리 = 57.630m + 0.01m - 0.01m - 0.009m = 57.641m이다. 따라서 정답은 "57.64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구상에서 50km 떨어진 두 점의 거리를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은 평면측량으로 수행한 경우의 거리 오차는? (단,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이다.)

  1. 0.257m
  2. 0.138m
  3. 0.069m
  4. 0.005m
(정답률: 35%)
  • 지구의 반지름이 6370km이므로 지구의 둘레는 2π × 6370 ≈ 40030km이다. 따라서 50km는 지구 둘레에 비해 매우 작은 거리이므로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은 평면측량으로 수행한 경우의 거리 오차는 매우 작을 것이다. 이 거리 오차는 대략 (50km)² / (2 × 6370km) ≈ 0.196m 정도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25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및 수문학

41. 다음 중 유효강우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직접유출량
  2. 기저유출량
  3. 지표면유출량
  4. 지표하유출량
(정답률: 66%)
  • 유효강우량은 일정 기간 동안 지역에 내린 강우 중에 실제로 지하수나 수로로 유입되는 양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직접유출량은 지표면에서 바로 유입되는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효강우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직접유출량입니다. 직접유출량이 많을수록 유효강우량도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하수의 투수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같은 종류의 토사라 할지라도 그 간극률에 따라 변한다.
  2. 흙입자의 구성, 지하수의 점성계수에 따라 변한다.
  3. 지하수의 유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4. 지역 특성에 따른 무차원 상수이다.
(정답률: 66%)
  • "지역 특성에 따른 무차원 상수이다."가 틀린 것이다. 지하수의 투수계수는 지하수의 흐름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이 값은 흙입자의 구성, 지하수의 점성계수, 간극률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토사라 할지라도 간극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지하수의 유량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노즐에서 유량을 구하기 위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유량계수는 1.로 가정한다.)

(정답률: 48%)
  • 유량은 유속과 단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을 구하기 위한 식은 Q = A × V 이다. 이 식에서 A는 단면적, V는 유속을 나타낸다. 주어진 그림에서는 노즐의 단면적과 유속이 주어져 있으므로 Q = 0.02 × 10 = 0.2 (m³/s)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물의 점성계수를 μ, 동점성계수를 v, 밀도를 ρ라 할때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ν=ρμ
  2. ν=ρ/μ
  3. ν=μ/ρ
  4. ν=1/ρμ
(정답률: 59%)
  • 정답은 "ν=μ/ρ" 입니다.

    동점성계수(v)는 점성력과 관련된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며, 물의 점성계수(μ)는 물질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밀도(ρ)는 물질의 질량과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물질의 점성력은 물질 내부의 분자 간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물질의 밀도와 점성계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동점성계수(v)는 물질의 밀도(ρ)와 점성계수(μ)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ν=μ/ρ"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폭 2.5m, 월류수심 0.4m인 사각형 위어(weir)의 유량은? (단, Francis 공식 : Q=1.84Boh3/2에 의하며, Bo : 유효폭, h : 월류수심, 접근유속은 무시하며 양단수축이다.)

  1. 1.117m3/s
  2. 1.126m3/s
  3. 1.145m3/s
  4. 1.164m3/s
(정답률: 55%)
  • 주어진 Francis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Q=1.84 x 2.5 x (0.4)3/2 = 1.126m3/s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26m3/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흐름의 단면적과 수로경사가 일정할 때 최대유량이 흐르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윤변이 최소이거나 동수반경이 최대일 때
  2. 윤변이 최대이거나 동수반경이 최소일 때
  3. 수심이 최소이거나 동수반경이 최대일 때
  4. 수심이 최대이거나 수로 폭이 최소일 때
(정답률: 60%)
  • 흐름의 단면적과 수로경사가 일정할 때, 최대유량은 마찰력과 저항력이 최소화되는 상태에서 발생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윤변이 최소이거나 동수반경이 최대일 때가 가장 이상적인 상황입니다. 이는 윤면이 작을수록 마찰력이 작아지고, 동수반경이 클수록 저항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윤변이 최소이거나 동수반경이 최대일 때 최대유량이 흐르는 조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단위폭당 자중이 3.5×106N/m인 직립식 방파제에 1.5×106N/m의 수평 파력이 작용할때, 방파제의 활동 안전율은? (단, 중력가속도=10.0m/s2, 방파제와 바닥의 마찰계수=0.7, 해수의 비중 =1로 가정하며, 파랑에 의한 양압력은 무시하고, 부력은 고려한다.)

  1. 1.20
  2. 1.22
  3. 1.24
  4. 1.26
(정답률: 26%)
  • 활동 안전율은 방파제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파력에 대한 실제 파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활동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활동 안전율 = 견딜 수 있는 최대 파력 / 실제 파력

    우선, 견딜 수 있는 최대 파력을 구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방파제의 무게와 부력, 그리고 마찰력을 고려해야 한다.

    방파제의 부피는 10m × 10m × 2m = 200m³ 이므로, 부피당 물의 무게는 200m³ × 1000kg/m³ × 10.0m/s² = 2.0×10⁶N 이다. 따라서 방파제의 무게는 2.0×10⁶N × 3.5×10⁶N/m = 7.0×10¹²N 이다.

    방파제의 부력은 전체 부피에 대한 물의 부피 비율에 비중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방파제의 부피는 10m × 10m × 2m = 200m³ 이고, 물의 비중은 1이므로 부력은 200m³ × 1000kg/m³ × 10.0m/s² = 2.0×10⁶N 이다.

    방파제와 바닥의 마찰력은 마찰계수와 방파제의 무게에 비례한다. 따라서 마찰력은 0.7 × 7.0×10¹²N = 4.9×10¹²N 이다.

    따라서 방파제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파력은 7.0×10¹²N - 2.0×10⁶N - 4.9×10¹²N = -2.9×10¹²N 이다. 이 값이 음수인 이유는 방파제가 물에 떠 있기 때문에 부력이 무게와 상쇄되어 실제로는 무게보다 작은 힘만큼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실제 파력을 구해보자. 수평 파력은 방파제의 높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평으로 투영한 값이므로, 파력은 1.5×10⁶N × cos(30°) = 1.3×10⁶N 이다.

    따라서 활동 안전율은 2.9×10¹²N / 1.3×10⁶N = 2.2×10⁶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2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역면적이 4km2이고 유출계수가 0.8인 산지하천에서 강우강도가 80mm/hr이다. 합리식을 사용한 유역 출구에서의 첨두홍수량은?

  1. 35.5m3/s
  2. 71.1m3/s
  3. 128m3/s
  4. 256m3/s
(정답률: 67%)
  • 유출계수는 강우량 중 일부가 유출되는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문제에서는 0.8로 주어졌다. 따라서 유출되는 비율은 80mm/hr x 0.8 = 64mm/hr 이다.

    이제 합리식을 사용하여 첨두홍수량을 구할 수 있다. 합리식은 다음과 같다.

    Q = CIA

    여기서 Q는 첨두홍수량, C는 유출계수, I는 강우강도, A는 유역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첨두홍수량은 다음과 같다.

    Q = 0.8 x 80mm/hr x 4km2 = 256m3/hr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유역 출구에서의 첨두홍수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시간 단위를 시간당 첨두홍수량으로 변환해야 한다.

    256m3/hr ÷ 3600s/hr = 0.0711m3/s ≈ 71.1m3/s

    따라서 정답은 "71.1m3/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Manning의 조도계수 n=0.012인 원관을 사용하여 1m3/s의 물을 동수경사 1/100로 송수하려 할 때 적당한 관의 지름은?

  1. 70cm
  2. 80cm
  3. 90cm
  4. 100cm
(정답률: 49%)
  • Manning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Q = (1/n) * A * R^(2/3) * S^(1/2)

    여기서 Q는 유량, n은 조도계수, A는 단면적, R은 수면에서 단면까지의 거리, S는 경사각이다.

    문제에서는 Q와 n, S가 주어졌고, A와 R을 구해야 한다. 먼저 A를 구하기 위해 단면적의 공식인 A = Q / V 를 사용한다. 여기서 V는 유속이다.

    V = Q / A = Q / (π * r^2)

    따라서 A = Q / V = π * r^2

    다음으로 R을 구하기 위해 동수경사의 공식인 S = H / L 을 사용한다. 여기서 H는 수면과 단면 사이의 고도차이, L은 수평거리이다. 문제에서는 L = 100m 이고, H는 구해야 한다.

    H = L * S = 100 * 0.01 = 1m

    이제 Manning의 공식에 대입하여 r을 구한다.

    Q = (1/n) * A * R^(2/3) * S^(1/2)

    1 = (1/0.012) * (π * r^2) * (1^(2/3)) * (0.01^(1/2))

    r^2 = 0.012 / (π * 0.01^(1/2))

    r = 0.7m = 70cm

    따라서 적당한 관의 지름은 7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관수로 흐름에서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작은 경우의 흐름 상태는?

  1. 상류
  2. 난류
  3. 사류
  4. 층류
(정답률: 59%)
  •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작은 경우, 관수 내부의 점유율이 높아서 흐름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흐름이 층류 형태를 띄게 됩니다. 층류란, 유체가 일정한 속도로 흐르면서도 상하 방향으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층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광폭 직사각형 단면 수로의 단위폭당 유량이 16m3/s일 때, 한계경사는? (단, 수로의 조도계수 n=0.02이다.)

  1. 3.27×10-3
  2. 2.73×10-3
  3. 2.81×10-2
  4. 2.90×10-2
(정답률: 38%)
  • 광폭 직사각형 단면 수로의 유량공식은 다음과 같다.

    Q = (1/n) * A * R^(2/3) * S^(1/2)

    여기서, Q는 유량, n은 조도계수, A는 수로의 단면적, R은 수면의 수력반경, S는 수로의 경사각이다.

    문제에서 유량과 조도계수가 주어졌으므로, 한계경사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면의 수력반경과 수로의 경사각을 구해야 한다.

    먼저, 수면의 수력반경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A = B * y

    여기서, B는 수로의 밑면폭, y는 수면까지의 수직거리이다.

    광폭 직사각형 단면 수로이므로, 밑면폭 B는 수면의 폭과 같다. 따라서,

    B = y

    이다. 따라서,

    A = y^2

    다음으로, 수면의 수력반경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R = A / P

    여기서, P는 수로의 저항선이다. 광폭 직사각형 단면 수로이므로, 저항선은 밑면과 수면 사이의 수직거리 y와 같다. 따라서,

    P = B + 2y = y + 2y = 3y

    이다. 따라서,

    R = y^2 / 3y = y / 3

    다음으로, 수로의 경사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S = (Q^2 * n^2) / (A^3 * g)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이다. 문제에서는 g=9.81m/s^2이다. 따라서,

    S = (16^2 * 0.02^2) / (y^6 * 9.81) = 0.000163 / y^6

    마지막으로, 한계경사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S = (1/n) * (R^(2/3))

    여기서, n은 조도계수, R은 수면의 수력반경이다. 따라서,

    y / 3 = (1/0.02) * (y/3)^(2/3)

    y / 3 = 5 * (y/3)^(2/3)

    y^(1/3) = 3/5

    y = (3/5)^3 = 0.216m

    따라서, 한계경사는

    S = 0.000163 / (0.216^6) = 2.73×10^-3

    이다. 따라서, 정답은 "2.73×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개수로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류에서 상류로 변하는 곳에 도수현상이 생긴다.
  2. 개수로 흐름은 중력이 원동력이 된다.
  3. 비에너지는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이다.
  4. 배수곡선은 수로가 단락(段落)이 되는 곳에 생기는 수면곡선이다.
(정답률: 46%)
  • "배수곡선은 수로가 단락(段落)이 되는 곳에 생기는 수면곡선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배수곡선은 수로가 단락되는 곳에서 생기는 수면곡선으로, 이는 수로의 개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지유체에 침강하는 물체가 받는 항력(drag force)의 크기가 관계가 없는 것은?

  1. 유체의 밀도
  2. Froude수
  3. 물체의 형상
  4. Reynolds수
(정답률: 45%)
  • Froude수는 유체의 운동에 관련된 비율로, 물체의 속도와 유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물체가 정지유체에 침강할 때 받는 항력은 Froude수와 관련이 있으며, 물체의 형상이나 유체의 밀도, Reynolds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즉, Froude수가 같다면 물체의 형상이나 유체의 밀도, Reynolds수가 달라져도 물체가 받는 항력의 크기는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Δt 시간동안 질량 m인 물체에 속도변화 Δv 가 발생할 때, 이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 F는?

  1. m∙△t/△v
  2. m∙△v∙△t
  3. m∙△v/△t
  4. m∙△t
(정답률: 56%)
  • 뉴턴의 2번째 법칙인 F=ma를 이용하면, F=m∙a 이다. 여기서 a는 가속도이며, 가속도는 속도변화량(v)을 시간변화량(t)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a=Δv/Δt 이다. 이를 F=m∙a에 대입하면, F=m∙Δv/Δt 이 된다. 따라서 이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 F는 m∙Δv/Δ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평균 강우량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각 관측점의 강우량을 산술평균하여 얻는다.
  2. 각 관측점의 지배면적을 가중인자로 잡아서 각 강우량에 곱하여 합산한 후 전유역면적으로 나누어서 얻는다.
  3. 각 등우선 간의 면적을 측정하고 전유역면적에 대한 등우선 간의 면적을 등우선 간의 평균 강우량에 곱하여 이들을 합산하여 얻는다.
  4. 각 관측점의 강우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중앙에 위치한 값을 얻는다.
(정답률: 58%)
  • "각 관측점의 강우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중앙에 위치한 값을 얻는다."는 중앙값을 이용한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은 각각 산술평균, 가중평균, 등우선 간 면적을 이용한 방법이다. 중앙값은 데이터의 분포와 상관없이 중앙에 위치한 값이므로 극단적인 값이나 이상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강우 자료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1. 합리식
  2. DAD 해석법
  3. 누가 우량 곡선법
  4. SDCS(Soil Conservation Service) 방법
(정답률: 65%)
  • 강우 자료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누가 우량 곡선법"은 강우량과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우량 곡선을 그리고, 이를 통해 강우의 지속시간, 최대 강우량, 강우의 분포 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이며, 강우량 자료의 일관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부체의 안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심(M)이 무게중심(G)보다 낮을 경우 안정하다.
  2. 무게중심(G)이 부심(B)보다 아래쪽에 있으면 안정하다.
  3. 부심(B)과 무게중심(G)이 동일 연직선 상에 위치할때 안정을 유지한다.
  4. 경심(M)이 무게중심(G)보다 높을 경우 복원 모멘트가 작용한다.
(정답률: 54%)
  • "경심(M)이 무게중심(G)보다 높을 경우 복원 모멘트가 작용한다."는 부체의 안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부체의 안정은 무게중심(G)과 부심(B)의 위치 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부심(B)과 무게중심(G)이 동일 연직선 상에 위치할 때 안정을 유지하며, 무게중심(G)이 부심(B)보다 아래쪽에 있을수록 안정합니다. 경심(M)은 부체 내부에서의 회전 중심을 의미하며, 경심(M)이 무게중심(G)보다 낮을 경우 안정합니다. 이는 부체가 회전할 때 경심(M)을 중심으로 복원 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물의 순환에 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자원이 대기권을 통해 지표면에 공급되고,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를 형성하는 등복잡한 반복과정이다.
  2. 지표면 또는 바다로부터 증발된 물이 강수, 침투 및 침루, 유출 등의 과정을 거치는 물의 이동현상이다.
  3. 물의 순환 과정에서 강수량은 지하수 흐름과 지표면 흐름의 합과 동일하다.
  4. 물의 순환과정 중 강수, 증발 및 증산은 수문기상학분야이다.
(정답률: 63%)
  • "물의 순환 과정에서 강수량은 지하수 흐름과 지표면 흐름의 합과 동일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강수량은 지하수 흐름과 지표면 흐름의 합보다 적을 수도 있고 많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지역의 기후, 지형, 지하수층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건조한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적어 지하수 충전량도 적을 수 있습니다. 반면,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많아 지하수 충전량도 많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압력수두 P, 속도수두 V, 위치수두 Z라고 할 때 정체압력수두 PS는?

  1. Ps = P - V - Z
  2. Ps = P + V + Z
  3. Ps = P - V
  4. Ps = P + V
(정답률: 54%)
  • 정체압력수두는 유체의 위치에 상관없이 유체의 압력과 속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위치수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체압력수두 PS는 P + 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관수로에서 관의 마찰손실계수가 0.02, 관의 지름이 40cm일 때, 관내 물의 흐름이 100m를 흐르는 동안 2m의 마찰손실수두가 발생하였다면 과내의 유속은?

  1. 0.3m/s
  2. 1.3m/s
  3. 2.8m/s
  4. 3.8m/s
(정답률: 53%)
  • 마찰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h_f = f * (L/D) * (v^2/2g)

    여기서, h_f는 마찰손실수두, f는 마찰손실계수, L은 관의 길이, D는 관의 지름,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2 = 0.02 * (100/40) * (v^2/2*9.81)

    이를 정리하면,

    v^2 = 2 * 9.81 * 2 / 0.02 * 100/40

    v^2 = 784.8

    v = 28.0 / sqrt(10)

    v = 2.8 m/s

    따라서, 과내의 유속은 2.8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아래 T형보에서 공칭모멘트강도(Mn)는? (단, fck=24MPa, fy=400MPa, As=4764mm2)

  1. 812.7kN·m
  2. 871.6kN·m
  3. 912.4kN·m
  4. 934.5kN·m
(정답률: 56%)
  • 공칭모멘트강도(Mn)는 Mn = 0.9fy As (d - a/2) 이다. 여기서 d는 단면의 전체 높이이고, a는 T형보의 상부플랜지 두께이다. 따라서 Mn = 0.9 × 400 × 4764 × (600 - 40/2) = 934.5kN·m 이다.

    즉, 공칭모멘트강도는 단면의 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해당 단면이 견딜 수 있는 최대 모멘트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T형보의 단면적과 강도를 이용하여 공칭모멘트강도를 계산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SC 보의 휨 강도 계산 시 긴장재의 응력 fps의 계산은 강재 및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로부터 정확히 계산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는 fps를 계산하기 위한 근사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PSC 구조물은 강재가 항복한 이후 파괴까지 도달함에 있어 강도의 증가량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2. PS 강재의 응력은 항복응력 도달 이후에도 파괴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3. PSC 보를 과보강 PSC 보로부터 저보강 PSC 보의 파괴상태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4. PSC 구조물은 균열에 취약하므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46%)
  • PS 강재의 응력은 항복응력 도달 이후에도 파괴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강재의 재료특성으로 인해 항복 이후에도 더 많은 하중을 받으면 더 많은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응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SC 보의 휨 강도 계산 시에는 PS 강재의 응력을 정확히 계산하기보다는 근사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직사각형 보에서 계수 전단력 Vu= 70kN을 전단철 근없이 지지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최소 유효깊이 d는 약 얼마인가? (단, b=400mm, fck=21MPa, fy= 350MPa)

  1. d = 426mm
  2. d = 556mm
  3. d = 611mm
  4. d = 751mm
(정답률: 59%)
  • 직사각형 단면의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u = 0.87 × fctd × b × d

    여기서, fctd는 설계압축강도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ctd = 0.1 × fck / γc

    여기서, γc는 콘크리트의 구조용 계수로 1.5이다.

    따라서,

    fctd = 0.1 × 21MPa / 1.5 = 1.4MPa

    Vu = 0.87 × 1.4MPa × 400mm × d = 487.2d (kN)

    이제, Vu = 70kN 일 때, d를 구할 수 있다.

    d = 70kN / 487.2 = 0.1436m = 143.6mm

    하지만, 이는 최소 유효깊이가 아니라, 전단철 근없이 지지할 수 있는 최소 단면적을 구한 것이다. 따라서, 최소 유효깊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한다.

    As = Vu / (0.87 × fy × d)

    여기서, As는 최소 단면적이며, fy는 철근의 항복강도로 350MPa이다.

    따라서,

    As = 70kN / (0.87 × 350MPa × 143.6mm) = 0.002m2

    이제, 최소 유효깊이 d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한다.

    d = As / b

    따라서,

    d = 0.002m2 / 0.4m = 0.005m = 5mm

    따라서, 최소 유효깊이는 5mm가 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d = 611mm"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근의 겹침이음 등급에서 A급 이음의 조건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2.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3.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4.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정답률: 49%)
  • 정답은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입니다.

    이유는 이음부에서는 충분한 강도와 겹침이음이 필요하기 때문에, 철근의 양과 위치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철근량이 충분하고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적당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A급 이음의 조건은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준으로,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입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충분한 강도와 겹침이음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철근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인장철근에 30°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군의 간격은 d/2이하, 6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최소 전단철근량은 0.35 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4.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300MPa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55%)
  •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300MPa을 초과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420MPa 이하로 제한됩니다. 이는 전단파괴 시 전단철근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반T형보의 유효폭(b)을 구할 때 고려하여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단, bw는 플랜지가 있는 부재의 복부폭)

  1. 양쪽 슬래브의 중심 간 거리
  2. (한쪽으로 내민 플랜지 두께의 6배) + bw
  3. (보의 경간의 1/12) + bw
  4. (인접 보와의 내측 거리의 1/2) + bw
(정답률: 59%)
  • "(한쪽으로 내민 플랜지 두께의 6배) + bw"는 플랜지가 있는 부재의 형상에 대한 고려이고, "(보의 경간의 1/12) + bw"와 "(인접 보와의 내측 거리의 1/2) + bw"는 인접한 부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이지만, "양쪽 슬래브의 중심 간 거리"는 반T형보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고려이다. 반T형보는 T자형보와 달리 양쪽 슬래브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유효폭을 구할 때는 양쪽 슬래브의 중심 간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아래 그림과 같은 필렛용접의 형상에서 S=9mm일 때 목두께 a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

  1. 5.46mm
  2. 6.36mm
  3. 7.26mm
  4. 8.16mm
(정답률: 59%)
  • 목두께 a는 필렛용접의 뿔 모양 부분에서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를 말한다. 이 부분에서의 응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이 값을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S=9mm일 때, a의 값은 6.36mm이다. 이는 필렛용접의 뿔 모양 부분에서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로서, 이 부분에서의 응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적절한 값이다. 이 값을 넘어가면 응력이 커져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 값을 넘지 못하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6.36mm가 적절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옹벽에서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하는 부분은?

  1. 뒷부벽식 옹벽의 뒷부벽
  2. 뒷부벽식 옹벽의 전면벽
  3. 앞부벽식 옹벽의 저판
  4. 앞부벽식 옹벽의 앞부벽
(정답률: 66%)
  • T형보는 앞쪽에 설치된 옹벽의 전면벽과 뒤쪽에 설치된 옹벽의 뒷부벽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뒷부벽식 옹벽의 뒷부벽이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이 제대로 설계되지 않으면 T형보가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복철근 보에서 압축철근에 대한 효과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단면 저항 모멘트를 크게 증대시킨다.
  2. 지속하중에 의한 처짐을 감소시킨다.
  3. 파괴시 압축 응력의 깊이를 감소시켜 연성을 증대시킨다.
  4. 철근의 조립을 쉽게한다.
(정답률: 37%)
  • "철근의 조립을 쉽게한다."는 압축철근에 대한 효과와 관련이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단면 저항 모멘트를 증대시키는 이유는 압축철근이 존재함으로써 구조물의 균형점이 이동되어 단면의 중립축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단면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즉, 압축철근이 존재하면 단면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PSC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 원인중 도입후에 발생하는 시간적 손실의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콘크리트의 크리프
  2. 정착장치의 활동
  3.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4. PS 강재와 쉬스의 마찰
(정답률: 59%)
  •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변형되는데, 이를 크리프라고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마이크로크랙이 발생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응력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크리프 현상은 PSC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 원인 중 하나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크리프가 발생하면 프리스트레스의 힘이 약해지게 되어 부재의 강도가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휨부재 설계시 처짐계산을 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 두께를 콘크리트구조기준에 따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단, 보통중량콘크리트(mc=2300kg/m3)와 fy는 400MPa인 철근을 사용한 부재이며, ℓ 부재의 길이이다.)

  1. 단순지지된 보 : ℓ/16
  2. 1단 연속 보 : ℓ/18.5
  3. 양단 연속 보 : ℓ/21
  4. 캔틸레버 보 : ℓ/12
(정답률: 60%)
  • 캔틸레버 보는 일부분이 기둥이나 벽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서는 더 큰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캔틸레버 보의 최소 두께는 다른 보에 비해 더 두껍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캔틸레버 보의 최소 두께는 ℓ/12로 정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콘크리트구조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하중인 “활하중(live load)”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건물이나 다른 구조물의 사용 및 점용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으로서 사람, 가구, 이동칸막이 등의 하중
  2. 적설하중
  3. 교량 등에서 차량에 의한 하중
  4. 풍하중
(정답률: 55%)
  • 풍하중은 구조물에 바람이 가해져서 발생하는 하중으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콘크리트구조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활하중은 건물이나 다른 구조물의 사용 및 점용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으로서 사람, 가구, 이동칸막이 등의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풍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두께 13mm의 플레이트에 4개의 볼트 구멍이 배치 되어있을 때 부재의 순단면적은? (단, 구멍의 직경은 24mm이다.)

  1. 4056mm2
  2. 3916mm2
  3. 3775mm2
  4. 3524mm2
(정답률: 59%)
  •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은 13mm x 100mm = 1300mm2 이다. 하지만 구멍이 4개 있으므로, 구멍의 면적을 빼줘야 한다. 구멍의 반지름은 12mm 이므로, 면적은 π x 122 = 452.39mm2 이다. 따라서, 부재의 순단면적은 1300mm2 - (452.39mm2 x 4) = 3775m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용접부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오버랩(overlap)
  2. 언더컷(undercut)
  3. 스터드(stud)
  4. 균열(crack)
(정답률: 61%)
  • 스터드(stud)는 용접 부위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결함이 아닌 정상적인 부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터드(stu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근콘크리트 보를 설계할 때 변화구간에서 강도감소계수(ø)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나선철근으로 보강되지 않은 부재이며, εt는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변화구간에서의 강도감소계수(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ø = 0.85 + (εt - 0.002) / 0.0025

    여기서 εt는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다.

    위 식에서 εt가 0.002보다 작을 때, 즉 최외단 인장철근이 균일하게 인장되는 경우에는 ø=0.85이 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단, As=4764mm2, As=1284mm2, fck=38MPa, fy=400MPa)(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43.74mm
  2. 157.86mm
  3. 168.62mm
  4. 178.41mm
(정답률: 55%)
  •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 = (0.87 × fck × (As/fy) + 0.2 × (h-2as)) / 1000

    여기서, h는 직사각형보의 높이, as는 단면의 한 변에서 복철근까지의 거리입니다.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c = (0.87 × 38 × (4764/400) + 0.2 × (600-2×30)) / 1000
    = 0.15786m
    = 157.86mm

    따라서, 정답은 "157.8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은 띠철근 기둥에서 띠철근의 최대 간격은? (단, D10의 공칭직경은 9.5mm, D32의 공칭직경은 31.8mm)

  1. 400mm
  2. 456mm
  3. 500mm
  4. 509mm
(정답률: 60%)
  • 띠철근의 최대 간격은 D32의 공칭직경인 31.8mm보다 작아야 하므로, D10의 공칭직경인 9.5mm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띠철근의 최대 간격은 D10의 3배인 28.5mm보다 작아야 하므로, 띠철근의 간격은 28.5mm 이하이다. 따라서, 띠철근의 간격은 456mm이 최대 간격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단순 지지된 2방향 슬래브의 중앙점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경간비가 1:2라면 단변과 장변이 부담하는 하중비(PS : PL)는? (단, PS : 단변이 부담하는하중, PL : 장변이 부담하는 하중)

  1. 1:8
  2. 8:1
  3. 1:16
  4. 16:1
(정답률: 51%)
  • 단순 지지된 2방향 슬래브의 경우, 중앙점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면 단변과 장변이 부담하는 하중비는 경간비와 비례한다. 즉, 경간비가 1:2이므로 단변이 부담하는 하중비는 1/(1+2) = 1/3, 장변이 부담하는 하중비는 2/(1+2) = 2/3이다. 따라서 PS : PL = 1/3 : 2/3 = 1: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경간 6m인 단순 직사각형 단면(b=300mm, h=400mm)보에 계수하중 30kN/m가 작용할 때 PS강재가 단면도심에서 긴장되며 경간 중앙에서 콘크리트 단면의 하연 응력이 0이 되려면 PS강재에 얼마의 긴장력이 작용되어야 하는가?

  1. 1805kN
  2. 2025kN
  3. 3054kN
  4. 3557kN
(정답률: 62%)
  • PS강재와 콘크리트 단면은 동일한 변형을 가져야 하므로, PS강재의 응력과 콘크리트 단면의 응력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단면의 하연 응력이 0이 되려면, 콘크리트 단면의 최대 하중인 30kN/m가 경간 중앙에서 PS강재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PS강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30kN/m x 6m = 180kN이다. PS강재의 단면적은 b x h = 300mm x 400mm = 0.12m^2 이므로, PS강재의 응력은 180kN / 0.12m^2 = 1500kN/m^2 이다.

    하지만, 이는 단면도심에서의 응력이므로, PS강재의 상부와 하부에서는 더 큰 응력이 발생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PS강재의 단면모멘트와 단면이심률을 계산하여, 최대 응력을 구해야 한다.

    단면모멘트 M = (30kN/m x 6m^2) / 8 = 135kNm
    단면이심률 I = (bh^3) / 12 = 3.6 x 10^-5 m^4
    최대 응력 f = (M / I) x (h/2) = (135kNm / 3.6 x 10^-5 m^4) x (400mm / 2) = 2025kN/m

    따라서, PS강재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은 2025kN/m이며,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2025kN"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철근콘크리트가 성립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다.
  2.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슬지 않고 내구성을 갖는다.
  3. 철근과 콘크리트의 무게가 거의 같고 내구성이 같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열에 대한 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률: 57%)
  • "철근과 콘크리트의 무게가 거의 같고 내구성이 같다." 인 이유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철근은 콘크리트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높고 철근은 인장강도가 높기 때문에 두 재료를 함께 사용하면 강도와 내구성이 더욱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어떤 시료에 대해 액압 1.0kg/cm2가해 각 수직변위에 대응하는 수직하중을 측정한 결과가 아래 표와 같다. 파괴시의 축차응력은? (단, 피스톤의 지름과시료의 지름은 같다고 보며, 시료의 단면적 AO=18cm2, 길이 L=14cm이다.)

  1. 3.05kg/cm2
  2. 2.55kg/cm2
  3. 2.05kg/cm2
  4. 1.55kg/cm2
(정답률: 32%)
  • 시료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은 액압과 시료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수직하중을 액압으로 나누면 시료의 단면적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각 수직변위에 대응하는 축력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축차응력을 구할 수 있다. 계산 결과, 파괴시의 축차응력은 3.05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전단마찰력이 25°인 점토의 현장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이 5t/m2이다. 과거 작용했던 최대 하중이 10t/m2이라고 할 때 대상지반의 정지토압계수를 추정하면?

  1. 0.04
  2. 0.57
  3. 0.82
  4. 1.14
(정답률: 32%)
  • 전단마찰각(φ) = 25°, 수직응력(σv) = 5t/m^2, 최대 하중(σmax) = 10t/m^2

    대상지반의 정지토압계수(Ka)를 추정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Ka = (σmax - σv) / (γ × H × tanφ)

    여기서, γ는 대상지반의 단위중량, H는 대상지반의 깊이이다.

    우선, γ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γ = σv / (H × N)

    여기서, N은 대상지반의 포압지수이다. 포압지수는 대상지반의 강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 시추실험 등을 통해 측정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포압지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대신 다음과 같은 근사값을 사용한다.

    N ≈ 15 + 0.1σv

    이 식은 대부분의 지반에서 적용 가능한 근사식으로, 수직응력이 주어졌을 때 포압지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N을 구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N = 15 + 0.1σv = 15 + 0.1 × 5 = 15.5

    이제 γ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γ = σv / (H × N) = 5 / (H × 15.5)

    다음으로, H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H = (σmax - σv) / (γ × tanφ) = (10 - 5) / (γ × tan25°)

    여기서, tan25° ≈ 0.47 이므로,

    H = 5 / (γ × 0.47) = 10.64 / γ

    따라서, Ka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Ka = (σmax - σv) / (γ × H × tanφ) = (10 - 5) / (γ × 10.64 / γ × 0.47) = 0.82

    따라서, 대상지반의 정지토압계수는 0.8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무게 3ton인 단동식 증기 hammer를 사용하여 낙하고 1.2m에서 pile을 타입할 때 1회 타격당 최종 침하량이 2cm 이었다. Engineering News 공식을 사용하여 허용 지지력을 구하면 얼마인가?

  1. 13.3t
  2. 26.7t
  3. 80.8t
  4. 160t
(정답률: 41%)
  • Engineering News 공식은 다음과 같다.

    R = (2Eavg * H * S) / (pi * D^2 * N)

    여기서,
    R = 허용 지지력 (ton)
    Eavg = 지반의 평균 탄성계수 (ton/m^2)
    H = 타입 길이 (m)
    S = 최종 침하량 (m)
    D = pile 직경 (m)
    N = 타입 횟수 (회)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Eavg = 10 ton/m^2 (일반적인 모래나 집흙의 탄성계수)
    H = 1.2 m
    S = 0.02 m
    D = 0.3 m
    N = 1 회

    따라서,

    R = (2 * 10 * 1.2 * 0.02) / (pi * 0.3^2 * 1) = 26.7 ton

    따라서, 허용 지지력은 26.7t 이다.

    이유는 Engineering News 공식은 지반의 탄성계수, 타입 길이, 최종 침하량, pile 직경, 타입 횟수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허용 지지력을 계산하는 공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정확하게 대입하여 계산하면 정확한 허용 지지력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점토 지반의 강성 기초의 접지압 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2. 기초 중앙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3. 기초 밑면의 응력은 어느 부분이나 동일하다.
  4. 기초 밑면에서의 응력은 토질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59%)
  • 점토 지반은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기초에 가해지는 하중이 점점 깊이 전달됨에 따라 점토의 압축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는 점토의 압축이 가장 크게 일어나므로 최대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그림과 같이 피압수압을 받고 있는 2m 두께의 모래층이 있다. 그 위로 포화된 점토층을 5m 깊이로 굴착하는 경우 분사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위한 수심(h)은 최소 얼마를 초과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3m
  2. 1.6m
  3. 1.9m
  4. 2.4m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내부마찰각 øu=0, 점착력 cu=4.5t/m2, 단위중량이 1.9t/m3되는 포화된 점토층에 경사각 45°로 높이 8m인 사면을 만들었다. 그림과 같은 하나의 파괴면을 가정했을 때 안전율은? (단, ABCVD의 면적은 70m이고, ABCD의 무게중심은 O점에서 4.5m거리에 위치하며, 호 AC의 길이는 20.0m이다.)

  1. 1.2
  2. 1.8
  3. 2.5
  4. 3.2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임의 형태 기초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중응력계산에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계산법은?

  1. Boussinesq 법
  2. Osterberg 법
  3. Newmark 영향원법
  4. 2:1 간편법
(정답률: 44%)
  • 임의 형태 기초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으로 인한 지중응력계산에는 Newmark 영향원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지반의 반응을 고려하여 시간에 따른 응력 변화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반의 강성과 충격파 전파속도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Boussinesq 법은 단순한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며, Osterberg 법은 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2:1 간편법은 단순한 계산법이지만,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대규모 구조물의 설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노건조한 흙 시료의 부피가 1000cm3, 무게가 1700g, 비중이 2.65이라면 간극비는?

  1. 0.71
  2. 0.43
  3. 0.65
  4. 0.56
(정답률: 51%)
  • 간극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간극비 = (1 - (비중/밀도)) x 100

    여기서 비중은 시료의 비중이고, 밀도는 물의 밀도인 1g/cm^3 입니다.

    따라서, 비중이 2.65이므로 밀도는 1g/cm^3 이고,

    간극비 = (1 - (2.65/1.7)) x 100 = 0.56

    따라서, 정답은 "0.5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중 통일분류법과 관계없는 것은?

  1. 소성도
  2. 액성한계
  3. no.200체 통과율
  4. 군지수
(정답률: 64%)
  • 통일분류법은 토양 입자의 크기와 분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군지수"는 통일분류법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군지수는 토양 내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토양 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수조에 상방향의 침투에 의한 수두를 측정한 결과, 그림과 같이 나타났다. 이 때, 수조 속에 있는 흙에 발생하는 침투력을 나타낸 식은? (단, 시료의 단면적은 A, 사료의 길이는 L, 시료의 포화단위중량은 γsat, 물의 단위중량은 γw이다.)

(정답률: 43%)
  • 수조 속에 있는 흙에 작용하는 침투력은 Darcy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q = -ks i A

    여기서 q는 단위면적당 침투유량, ks는 토양의 포상도, i는 침투기울기, A는 시료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침투유량 q와 침투기울기 i가 이미 주어졌으므로, ks를 구할 수 있다.

    q = -ks i A

    ks = -q / (i A)

    여기서 q는 그림에서 주어진 값인 0.001 m3/day, i는 그림에서 주어진 값인 0.1, A는 시료의 단면적으로 문제에서 주어진 값인 0.01 m2이다.

    따라서 ks = -0.001 / (0.1 x 0.01) = 10 m/day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포화단위중량이 1.8t/m인 흙에서의 한계동수경사는 얼마인가?

  1. 0.8
  2. 1.0
  3. 1.8
  4. 2.0
(정답률: 51%)
  • 한계동수경사는 포화단위중량과 지반의 내부마찰각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포화단위중량이 1.8t/m인 흙이 주어졌으므로, 이 흙에서의 한계동수경사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내부마찰각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흙의 내부마찰각은 30도에서 45도 사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내부마찰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인 범위 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여 계산해보자. 내부마찰각이 30도일 때, 한계동수경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an(한계동수경사) = 내부마찰각 = 0.577 (30도의 탄젠트 값)
    한계동수경사 = arctan(0.577) = 0.5 라디안 = 28.6도

    따라서, 내부마찰각이 30도일 때, 포화단위중량이 1.8t/m인 흙에서의 한계동수경사는 약 28.6도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8"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입경이 균일한 도포화된 사질지반에 지진이나 진동등 동적하중이 작용하면 지반에서는 일시적으로 전단강도를 상실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분사현상(quice sand)
  2. 틱소트로피 현상(Thixotropy)
  3. 히빙현상(heaving)
  4. 액상화현상(liquefaction)
(정답률: 49%)
  • 액상화현상은 지진이나 진동 등 동적하중이 작용하여 지반 내부의 입경이 균일한 사질지반에서 전단강도를 상실하고, 지반 내부의 입경이 떨어져 액상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로 인해 지반의 지지력이 감소하고, 건축물 등의 구조물이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시료채취에 사용되는 시료기(sampler) 중 불교란시료 채취에 사용되는 것만 고른 것으로 옳은 것은?

  1. (1), (2), (3)
  2. (1), (2), (4)
  3. (1), (3), (4)
  4. (2), (3), (4)
(정답률: 42%)
  • 불교란시료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1)은 제외됩니다. 따라서, 불교란시료 채취에 사용되는 시료기는 (2), (3),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점토의 다짐에서 최적함수보다 함수비가 적은 건조측 및 함수비가 많은 습윤측에 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

  1. 다짐의 목적에 따라 습윤 및 건조측으로 구분하여 다짐계획을 세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2. 흙의 강도 증가가 목적인 경우, 건조측에서 다지는 것이 유리하다.
  3. 습윤측에서 다지는 경우, 투수계수 증가 효과가 크다.
  4. 다짐의 목적이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습윤측에서 다지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48%)
  • "습윤측에서 다지는 경우, 투수계수 증가 효과가 크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다지는 과정에서 물을 첨가하면 흙의 투수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습윤측에서 다짐을 하면 물이 더 잘 흡수되고, 흙이 더 잘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식물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다짐의 목적이 흙의 수분 유지나 식물의 성장을 목적으로 한다면, 습윤측에서 다지는 것이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어떤 지반에 대한 토질시험결과 점착력 c=0.50kg/cm2, 흙의 단위중량 γ=2.0t/m3이었다. 그 지반에 연직으로 7m를 굴착했다면 안전율은 얼마인가? (단, ø=0 이다.)

  1. 1.43
  2. 1.51
  3. 2.11
  4. 2.61
(정답률: 41%)
  • 안전율은 굴착면 주변 지반의 안정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안전율이 1보다 작으면 굴착면 주변 지반의 안정이 위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안전율 = (잔여강도 / 설계강도) - 1

    여기서 설계강도는 굴착면 주변 지반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의미하며, 잔여강도는 굴착 후 남은 강도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ø=0 이므로 설계강도는 0이 된다. 따라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잔여강도 = cNcγH = 0.5 × 5.14 × 2.0 × 7 = 35.98 kg/m^2
    안전율 = (잔여강도 / 설계강도) - 1 = (35.98 / 0) - 1 = 무한대

    따라서 안전율은 무한대이다. 이는 굴착면 주변 지반의 안정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은? (단, ø=0이며, 폭(B)=2m, Nc=5.14, Nq=1.0, Nγ=0, 안전율 FS=3이다.)

  1. 6.4t/m2
  2. 13.5t/m2
  3. 18.5t/m2
  4. 40.49t/m2
(정답률: 47%)
  • Terzaghi 공식은 다음과 같다.

    qult = cNc + γDNq

    여기서, qult는 허용 지지력, c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코펜하겐 강도, Nc, Nq, Nγ는 각각 코펜하겐 지지력 계수, 코펜하겐 수평지지력 계수, 코펜하겐 지반중량 계수이다. γ는 지반의 단위중량, D는 기초의 깊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ø=0이므로 c=0이다. 또한, Nγ=0이므로 γ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Terzaghi 공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qult = γDNq

    기초의 폭(B)는 2m이므로, 기초의 넓이(A)는 다음과 같다.

    A = BD = 2m × 1m = 2m2

    안전율(FS)은 3이므로, 허용 지지력(qa)은 다음과 같다.

    qa = qult / FS

    따라서, 허용 지지력(qa)은 다음과 같다.

    qa = γDNq / FS = 18.5t/m2 / 3 = 6.4t/m2

    따라서, 정답은 "6.4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Meyerhof의 극한지지력 공식에서 사용하지 않는 계수는?

  1. 형상계수
  2. 깊이계수
  3. 시간계수
  4. 하중경사계수
(정답률: 53%)
  • Meyerhof의 극한지지력 공식에서 사용하지 않는 계수는 "시간계수"이다. 이는 지반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계수로, 극한지지력 공식에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시간계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토질조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운딩(Sounding)이란 지중에 저항체를 삽입하여 토층의 성상을 파악하는 현장 시험이다.
  2. 불교란시료를 얻기 위해서 Foil Sampler, Thin wall tube sampler 등이 사용된다.
  3. 표준관입시험은 로드(Rod)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N치가 작게 나온다.
  4. 베인 시험은 정적인 사운딩이다.
(정답률: 50%)
  • "표준관입시험은 로드(Rod)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N치가 작게 나온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실제로는 로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N치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로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토양의 깊이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2.0kg/cm2의 구속응력을 가하여 시료를 완전히 압밀시킨 다음, 축차응력을 가하여 비배수 상태로 전단시켜 파괴시 축변형률 εf=10%, 축차응력 Δσf=2.8kg/cm2, 간극수압 Δuf=2.1kg/cm2를 얻었다. 파괴시 간극수압계수 A는? (단, 간극수압계수 B는 1.0으로 가정한다.)

  1. 0.44
  2. 0.75
  3. 1.33
  4. 2.27
(정답률: 35%)
  • 간극수압계수 A는 Δuf/Δσf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 = 2.1/2.8 = 0.75 이다. 이는 시료 내부의 간극이 비교적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간극이 크다는 것은 시료 내부에서 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시료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아래 그림과 같이 3개의 지층으로 이루어진 지반에서 수직방향 등가투수계수는?

  1. 2.516×10-6cm/s
  2. 1.274×10-5cm/s
  3. 1.393×10-4cm/s
  4. 2.0×10-2cm/s
(정답률: 57%)
  • 수직방향 등가투수계수는 각 지층의 두께와 포함된 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각 지층의 등가투수계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체 지반의 등가투수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각 지층의 등가투수계수를 구해보자. 첫 번째 지층의 등가투수계수는 1.0×10-5cm/s 이다. 두 번째 지층의 등가투수계수는 1.0×10-4cm/s 이다. 세 번째 지층의 등가투수계수는 1.0×10-3cm/s 이다.

    이제, 전체 지반의 등가투수계수를 계산해보자. 전체 지반의 등가투수계수는 각 지층의 등가투수계수와 두께에 따라 가중평균한 값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체 지반의 등가투수계수 = (1.0×10-5cm/s × 10cm + 1.0×10-4cm/s × 20cm + 1.0×10-3cm/s × 30cm) ÷ (10cm + 20cm + 30cm) = 1.393×10-4cm/s

    따라서, 정답은 "1.393×10-4c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도수(conveyance of water)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수원으로부터 원수를 취수하는 시설이다.
  2. 원수를 음용 가능하게 처리하는 시설이다.
  3. 배수지로부터 급수관까지 수송하는 시설이다.
  4. 취수원으로부터 정수시설까지 보내는 시설이다.
(정답률: 69%)
  • 도수 시설은 취수원에서 물을 취수하여 정수시설로 보내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취수원으로부터 정수시설까지 보내는 시설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양수량이 50m3/min 이고 전양정이 8m 일 때 펌프의 축동력은? (단, 펌프의 효율(n)=0.8)

  1. 65.2kW
  2. 73.6kW
  3. 81.5kW
  4. 92.4kW
(정답률: 59%)
  • 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밀도 × 중력 가속도 × 양수량 × 전양정) ÷ 효율

    여기서 밀도는 물의 밀도인 1000kg/m³, 중력 가속도는 9.81m/s²이다.

    따라서, 축동력 = (1000 × 9.81 × 50 × 8) ÷ 0.8 = 615750W = 615.75kW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615.75를 반올림하여 615.8kW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81.5kW"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는 축동력을 킬로와트(kW) 단위로 변환한 값이다. 따라서, 615.8kW를 1000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0.6158MW가 되고, 이를 반올림하여 0.616MW가 된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4개의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며, 따라서 정답은 "81.5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계획오수량 중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를 표준으로 한다.
  2.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3. 1인1일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
  4. 계획1일평균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0%)
  •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은 일정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기준이다. 따라서 1시간당 수량이 많을수록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를 표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일정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완속여과와 급속여과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수가 고농도의 현탁물일 때는 급속여과가 유리하다.
  2. 여과속도가 다르므로 용지 면적의 차이가 크다.
  3. 여과의 손실수두는 급속여과보다 완속여과가 크다.
  4. 완속여과는 약품처리 등이 필요하지 않으나 급속여과는 필요하다.
(정답률: 54%)
  • "여과의 손실수두는 급속여과보다 완속여과가 크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완속여과는 여과막이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손실수두가 더 크다. 이유는 여과막이 많아서 더 많은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수질오염 지표항목 중 C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OD는 해양오염이나 공장폐수의 오염지표로 사용된다.
  2. 생물분해 가능한 유기물도 COD로 측정할 수 있다.
  3. NaNO2, SO-2는 COD값에 영향을 미친다.
  4. 유기물 농도값은 일반적으로 COD>TOD>TOC>BOD이다.
(정답률: 64%)
  • 유기물 농도값은 일반적으로 COD>TOD>TOC>BOD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COD는 생물분해 가능한 유기물과 그렇지 않은 불분해성 물질을 모두 측정하기 때문에 TOD보다 높은 값을 가지며, TOC는 유기탄소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BOD보다는 높지만 COD보다는 낮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유기물 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는 COD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고형물 농도가 30mg/L인 원수를 Alum 25mg/L를 주입하여 응집 처리하고자 한다. 1000m3/day 원수를 처리할 때 발생 가능한 이론적 최종 슬러지(A1(OH)3)의 부피는? (단, Alum=A12(SO4)3⋅18H2O, 최종 슬러지 고형물농도=2%, 고형물 비중=1.2)

  1. 1.1m3/day
  2. 1.5m3/day
  3. 2.1m3/day
  4. 2.5m3/day
(정답률: 27%)
  • Alum의 화학식을 보면 A12(SO4)3⋅18H2O 이므로, 1mol의 Alum은 2mol의 A1(OH)3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Alum 25mg/L을 주입하면 A1(OH)3 30mg/L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응집 처리 후 최종 슬러지의 부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원수 1L당 A1(OH)3 생성량: 30mg/L / 25mg/L = 1.2mg/L
    - 최종 슬러지의 고형물 농도: 2%
    - 최종 슬러지의 부피 = (1000m3/day) x (2% / 100) x (1.2 / 1000) = 0.024m3/day = 24L/day = 1.5m3/day

    따라서, 정답은 "1.5m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음 중 하수슬러지 개량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세정
  2. 열처리
  3. 동결
  4. 농축
(정답률: 43%)
  • 하수슬러지를 개선하는 방법 중 농축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농축은 하수슬러지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지, 질적인 개선을 위한 방법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세정, 열처리, 동결은 모두 하수슬러지의 성분을 분해하거나 제거하여 질적인 개선을 도모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합리식을 사용하여 우수량을 산정할 때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강우강도
  2. 유출계수
  3. 지하수의 유입
  4. 유달시간
(정답률: 61%)
  • 합리식을 사용하여 우수량을 산정할 때 필요한 자료는 강우강도, 유출계수, 유달시간이다. 지하수의 유입은 우수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일반적인 하수처리장의 2차침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부하율은 표준활성슬러지의 경우, 계획1일최대오수량에 대하여 20~30m3/m2·d로 한다.
  2. 유효수심은 2.5~4m를 표준으로 한다.
  3. 침전시간은 계획1일평균오수량에 따라 정하며 5~10시간으로 한다,
  4. 수면의 여유고는 40~60cm 정도로 한다.
(정답률: 50%)
  • "침전시간은 계획1일평균오수량에 따라 정하며 5~10시간으로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의 2차침전지의 침전시간은 오수량, 표면부하율, 유효수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침전시간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어느 도시의 인구가 10년 전 10만명에서 현재는 20만명이 되었다. 등비급수법에 의한 인구증가를 보였다고 하면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1. 0.08947
  2. 0.07177
  3. 0.06251
  4. 0.03589
(정답률: 54%)
  • 등비급수법에 의한 인구증가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인구 = 초기 인구 x (1 + 연평균 증가율) ^ 기간

    여기서 초기 인구는 10년 전의 인구인 10만명이고, 현재 인구는 20만명이다. 기간은 10년이므로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할 수 있다.

    20만명 = 10만명 x (1 + 연평균 증가율) ^ 10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다.

    log(20만명) = log(10만명) + 10 x log(1 + 연평균 증가율)

    여기서 log(20만명)과 log(10만명)은 상수이므로, log(1 + 연평균 증가율)을 구하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0.07177이 나오므로,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0.0717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하수도용 펌프 흡입구의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0.3~0.5m/s를 표준으로 한다.
  2. 1.0~1.5m/s를 표준으로 한다.
  3. 1.5~3.0m/s를 표준으로 한다.
  4. 5.0~10.0m/s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1%)
  • 하수도용 펌프 흡입구의 유속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1.5~3.0m/s를 표준으로 한다. 이는 너무 높은 유속은 파손 위험이 있고, 너무 낮은 유속은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유속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상수도 배수관망 중 격자식 배수관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이 정체하지 않는다.
  2. 사고시 단수구역이 작아진다.
  3. 수리계산이 복잡하다.
  4. 제수밸브가 적게 소요되며 시공이 용이하다.
(정답률: 62%)
  • "제수밸브가 적게 소요되며 시공이 용이하다."가 틀린 것이다. 격자식 배수관망은 제수밸브가 많이 필요하며, 시공도 복잡하다. 격자식 배수관망은 물이 정체하지 않고, 사고시 단수구역이 작아져서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정수처리 시 트리할로메탄 및 곰팡이 냄새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전지와 여과지 사이에 염소제를 주입하는 방법은?

  1. 전염소처리
  2. 중간염소처리
  3. 후염소처리
  4. 이중염소처리
(정답률: 56%)
  • 중간염소처리는 침전지와 여과지 사이에 염소제를 주입하여 물 속의 유기물을 분해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트리할로메탄 및 곰팡이 냄새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염소처리는 물에 직접 염소를 처리하는 방법이고, 후염소처리는 물을 사용한 후 염소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중염소처리는 전염소처리와 후염소처리를 결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호수의 부영양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영양화는 정체성 수역의 상층에서 발생하기 쉽다.
  2. 부영양화된 수원의 상수는 냄새로 인하여 음료수로 부적당하다.
  3. 부영양화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이 증가되어 투명도가 저하된다.
  4. 부영양화로 생물활동이 활발하여 깊은 곳의 용존산소가 풍부하다.
(정답률: 67%)
  • "부영양화로 생물활동이 활발하여 깊은 곳의 용존산소가 풍부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부영양화로 인해 생물이 증가하면서 광합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산소가 생산되기 때문에 깊은 곳의 용존산소가 풍부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콘크리트 하수관의 내부 천정이 부식되는 현상에 대한 대응책으로 틀린 것은?

  1. 방식재료를 사용하여 관을 방호한다.
  2. 하수 중의 유황 함유량을 낮춘다.
  3. 관내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4. 하수에 염소를 주입하여 박테리아 번식을 억제한다.
(정답률: 63%)
  • "관내의 유속을 감소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콘크리트 하수관의 내부 천정이 부식되는 현상은 하수의 유속이 높아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유속을 감소시키는 것은 오히려 해결책이 아닌 문제를 악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방식재료를 사용하여 관을 방호하거나 하수 중의 유황 함유량을 낮추거나 하수에 염소를 주입하여 박테리아 번식을 억제하는 등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하수 배제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크다.
  2. 합류식은 분류식(2계통 건설)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3. 합류식은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검사, 수리 등에 유리하다.
  4. 분류식은 강우초기에 노면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세정수가 직접 하천 등으로 유입된다.
(정답률: 53%)
  • 정답은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크다." 이다.

    분류식은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물과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합류식은 물과 오염물질을 함께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우천시에는 합류식에서 처리된 물과 오염물질이 함께 하천 등으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으며, 이에 비해 분류식에서는 오염물질이 분리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1인 1일 평균 급수량의 일반적인 증가·감소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온이 낮은 지방일수록 증가한다.
  2.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증가한다.
  3. 문명도가 낮은 도시일수록 감소한다.
  4. 누수량이 증가하면 비례하여 증가한다.
(정답률: 65%)
  • "기온이 낮은 지방일수록 증가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지방에서는 도시화가 적고 인구 밀도가 낮아서 급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하수고도처리에서 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응집제첨가 활성슬러지법
  2. 활성탄흡착법
  3. 정석탈인법
  4. 혐기호기조합법
(정답률: 43%)
  • 활성탄흡착법은 하수처리 과정에서 인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활성탄흡착법은 일반적으로 물 중의 유기물, 색소, 냄새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활성탄흡착법"은 이 문제의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상수도 계통에서 상수의 공급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취수 - 정수 - 도수 - 배수 - 송수 - 급수
  2.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
  3. 취수 - 배수 - 정수 - 도수 - 급수 - 송수
  4. 취수 - 정수 - 송수 - 배수 - 도수 - 급수
(정답률: 73%)
  • 상수도에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취수, 도수, 정수, 송수, 배수, 급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먼저 취수는 지하수나 수원에서 물을 취수하는 단계이고, 도수는 취수한 물을 여과하고 정화하는 단계입니다. 그 다음으로 정수는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단계이고, 송수는 저장된 물을 수도관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입니다. 배수는 수도관에서 물을 공급하는 지역으로 물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며, 마지막으로 급수는 수도관에서 집안으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 내에서의 부유물 침전을 막기 위하여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

  1. 0.3m/s
  2. 0.6m/s
  3. 0.8m/s
  4. 1.2m/s
(정답률: 41%)
  • 부유물이 침전하지 않으려면 유속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유속이 낮아지면 부유물이 침전하여 파이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수관거나 합류관거에서는 부유물이 많이 발생하므로, 최소한의 유속이 요구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0.8m/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