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10-06)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02-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최대 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1방향슬래브의 정철근 및 부철근의 중심간격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슬래브두께의 2배이하, 또는 30cm이하
  2. 슬래브두께의 2배이하, 또는 40cm이하
  3. 슬래브두께의 3배이하, 또는 30cm이하
  4. 슬래브두께의 3배이하, 또는 40cm이하
(정답률: 70%)
  • 최대 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간격이 넓어질수록 휨모멘트를 견디는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 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간격은 최대한 좁게 가져가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너무 중심간격을 좁게 가져가면 철근간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중심간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슬래브두께와 중심간격의 비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슬래브두께의 2배이하, 또는 30cm이하"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슬래브두께의 2배 이하로 중심간격을 가져가면 충돌이나 가공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휨모멘트를 견딜 수 있는 철근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30cm 이하로 중심간격을 가져가면 철근의 경제성과 가공성을 고려한 적절한 범위 내에서 휨모멘트를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래브두께의 2배이하, 또는 30cm이하"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장력을 받는 D25 철근을 겹침이음할 때 A급이음이라면 겹침이음 길이는 얼마인가? (단, 기본정착길이 ℓd=50cm이며 수정계수는 없다.)

  1. 36cm
  2. 50cm
  3. 70cm
  4. 88cm
(정답률: 60%)
  • A급이음은 인장력을 최대한 전달하기 위한 이음 방법 중 하나로, 겹침이음 길이는 기본정착길이의 1배인 50cm이다. 따라서 정답은 "50cm"이다. 다른 선택지인 "36cm", "70cm", "88cm"은 모두 기본정착길이보다 짧거나 길기 때문에 A급이음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압축과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다음의 무엇과 반비례 하는가?

  1.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의 평방근
  2. 철근 1개의 단면적
  3. 철근의 항복점 강도
  4. 철근의 공칭 지름
(정답률: 41%)
  • 압축과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의 평방근"과 반비례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을수록 철근이 콘크리트에 더 잘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의 평방근이 높을수록 철근의 정착길이는 짧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조물 시공시에 철근을 묶어 다발로 쓸 때 철근다발의 피복두께는 다음 어느 값 이상이어야 하는가?

  1. 철근다발의 등가지름
  2.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3. 단면의 최대치수
  4. 단면의 최소치수
(정답률: 46%)
  • 철근다발의 피복두께는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때 철근다발의 등가지름은 철근다발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으로, 철근다발의 크기가 작을수록 부식이나 파손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복두께는 등가지름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철근다발의 등가지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의 주철근의 수평 순간격은 최소 얼마이상인가?

  1. 2.5cm 이상
  2. 3.5cm 이상
  3. 4.5cm 이상
  4. 5.5cm 이상
(정답률: 70%)
  • 보의 주철근의 수평 순간격은 보의 굴곡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평 순간격이 작을수록 보의 굴곡이 심해지므로, 보의 강도와 변형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수평 순간격이 최소한 2.5cm 이상이 되어야 보의 안전성과 성능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철근의 90° 표준갈고리는 90°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몇배이상 연장해야 하는가?

  1. 4배
  2. 6배
  3. 8배
  4. 12배
(정답률: 57%)
  • 주철근의 90° 표준갈고리는 철근의 각도가 90°이며, 이는 직각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갈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근을 90°로 구부려야 합니다. 이때, 철근을 구부린 끝에서 연장해야 하는 길이는 철근지름의 몇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갈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근을 반드시 구부려야 하므로, 구부린 부분에서는 철근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이때, 갈고리의 크기는 철근의 지름에 비례하므로, 구부린 부분에서는 철근을 충분히 연장해야 갈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근의 90° 표준갈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근을 구부린 끝에서 최소 12배 이상 연장해야 합니다. 이는 갈고리의 크기와 철근의 지름이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접합부 모서리 부분의 외측에 연하는 철근의 구부림 내면 반지름으로 알맞은 것은?

  1. 철근지름의 최소 10배이상
  2. 철근지름의 최소 5배이상
  3. 철근지름의 최소 12배이상
  4. 철근지름의 최소 6배이상
(정답률: 33%)
  • 접합부 모서리 부분은 구조물에서 가장 큰 응력을 받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 연결된 철근은 충분한 강도와 구부림 내성이 필요합니다. 철근의 구부림 내면 반지름이 작으면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철근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한 철근지름의 10배 이상이 되어야 충분한 구부림 내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근지름의 최소 10배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압축 철근의 겹침이음에서 콘크리트 설계 기준 강도가 210kgf/cm2 미만인 경우에 겹침이음 길이는 규정된 길이보다 얼마나 증가시켜야 하는가?

  1. 1/2 증가
  2. 1/3 증가
  3. 1/4 증가
  4. 1/5 증가
(정답률: 44%)
  • 압축 철근의 겹침이음에서 콘크리트 설계 기준 강도가 210kgf/cm2 미만인 경우에는 겹침이음 길이를 규정된 길이보다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는 겹침이음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 콘크리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겹침이음 길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겹치는 철근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에서는 더욱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 때, 겹침이음 길이를 1/3 증가시키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겹치는 철근의 단면적이 약 1/3 정도 감소하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D22 이형철근으로 135° 표준갈고리를 제작할 때, 135° 구부린 끝에서 최소 얼마 이상 더 연장하여야 하는가? (단, db는 철근의 지름이다.)

  1. 6db
  2. 9db
  3. 12db
  4. 15db
(정답률: 50%)
  • 갈고리 부분에서의 인장응력을 고려하여 연장량을 계산해야 한다. 이 때, 이형철근의 경우 단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각 부분에서의 인장응력이 다르다. 따라서, 최소 연장량은 가장 인장응력이 큰 부분에서의 연장량이다.

    135° 표준갈고리의 경우, 갈고리 부분에서의 인장응력은 최대값인 0.9fy이다. 이 때, 인장응력과 연장량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σ = Eε

    여기서, σ는 인장응력, E는 탄성계수, ε는 변형률을 나타낸다. 이 식을 변형하여 연장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ε = σ / E

    따라서, 갈고리 부분에서의 최소 연장량은 다음과 같다.

    ε = 0.9fy / E

    ε = 0.9 × 235 / 200,000 = 0.001065

    갈고리 부분의 길이는 2db이므로, 최소 연장량은 다음과 같다.

    ΔL = 2db × ε = 2db × 0.001065 = 0.00213db

    따라서, 135° 표준갈고리를 제작할 때, 135° 구부린 끝에서 최소 0.00213db 이상 더 연장하여야 한다. 이 값은 약 0.2db에 해당하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근의 단부를 콘크리트에 효과적으로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효율성이 가장 떨어지는 방법은?

  1. 묻힘길이를 증대시킨다.
  2. 갈고리를 만든다.
  3. 이형철근을 사용한다.
  4. 약간 녹슨 철근을 사용한다.
(정답률: 81%)
  • 약간 녹슨 철근을 사용하는 것은 철근의 표면이 부식되어 녹이 생기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더욱 밀착되어 효과적으로 정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흙에 접하거나 외기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로 D29 이상의 철근의 경우 최소 피복 두께는 얼마인가? (단,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경우임)

  1. 2㎝
  2. 4㎝
  3. 6㎝
  4. 8㎝
(정답률: 43%)
  • D29 이상의 철근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강하므로 최소한 6cm의 피복 두께가 필요하다. 이는 철근이 노출되어서는 안 되며,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강도 설계법의 기본가정 중 콘크리트의 압축 연단에서 이용할 수 있는 최대 변형률은 얼마인가?

  1. 0.001
  2. 0.003
  3. 0.01
  4. 0.03
(정답률: 84%)
  • 콘크리트의 압축 연단에서 이용할 수 있는 최대 변형률은 0.003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상, 압축하면 변형률이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즉, 콘크리트는 압축하면 변형률이 작아지므로, 강도 설계 시 이를 고려하여 최대 변형률을 0.003으로 가정합니다. 이를 초과하면 콘크리트의 파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단철근 직사각형보를 강도 설계법으로 설계하고자 한다. 기본 가정이 틀린 것은?

  1. 보에 휨을 받기전에 생각한 임의의 단면은 휨을 받아 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그대로 평면을 유지한다.
  2. 항복강도에 해당하는 변형률보다 큰 변형률에 대해서 도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관계 없이 항복강도와 같다.
  3.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무시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의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64%)
  •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무시한다는 것은, 보의 극한 상태에서는 이미 콘크리트가 파괴되어 압축강도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극한 상태에서는 철근만으로 보의 강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단철근 직사각형 보를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한 조건으로 최대 철근비는 균형 철근비의 몇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가?

  1. 50%
  2. 65%
  3. 75%
  4. 90%
(정답률: 54%)
  • 단철근 직사각형 보를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균형 철근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균형 철근비란 단면적당 철근의 합계를 단면적과 나눈 값으로, 단면적당 철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이 너무 작으면 보가 파괴될 수 있고, 너무 크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 철근비는 균형 철근비의 일정 비율 이하로 규정됩니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75% 정도로 설정됩니다. 즉, 최대 철근비는 균형 철근비의 75% 이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이 비율 이하로 설정하면 보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정 하중 2tonf/m, 활 하중 3tonf/m를 지지해야 할 경간 5m의 단순보를 단철근 직사각형 보로 설계하려고 한다. 이 보의 구조계산에 적용되는 하중은 얼마인가?

  1. 6.9tonf/m
  2. 7.9tonf/m
  3. 8.9tonf/m
  4. 9.9tonf/m
(정답률: 46%)
  • 고정 하중과 활 하중을 더한 값이 총 하중이므로, 이 보의 총 하중은 2tonf/m + 3tonf/m = 5tonf/m 이다.

    단순보는 균일하게 분포된 하중을 받는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중심부의 최대 응력은 최대 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최대 모멘트는 (총 하중) x (경간의 제곱) / 8 이므로, 이 보의 최대 모멘트는 5tonf/m x (5m)^2 / 8 = 15.625tonf・m 이다.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 (I)는 단철근 직사각형의 경우 (단면 너비 x 단면 높이^3) / 12 이므로, 이 보의 모멘트 of inertia는 (200mm x 400mm^3) / 12 = 21,333,333.33mm^4 이다.

    따라서, 최대 응력은 (최대 모멘트 x 보의 높이 / 2) / 모멘트 of inertia 이므로, 이 보의 최대 응력은 (15.625tonf・m x 400mm / 2) / 21,333,333.33mm^4 = 0.000146tonf/mm^2 이다.

    이 보의 허용 응력은 일반적으로 165N/mm^2 이므로, 이 보의 허용 하중은 (허용 응력 x 단면적) / 1000 이다.

    단면적은 단철근 직사각형의 경우 (단면 너비 x 단면 높이) 이므로, 이 보의 단면적은 200mm x 400mm = 80,000mm^2 이다.

    따라서, 이 보의 허용 하중은 (165N/mm^2 x 80,000mm^2) / 1000 = 13.2tonf/m 이다.

    하지만, 이 보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허용 하중의 60%인 7.9tonf/m으로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철근 콘크리트가 구조 재료로 널리 이용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이 좋다.
  2. 콘크리트 속의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3.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거의 같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온도에 대한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률: 57%)
  •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거의 같다는 이유는 두 재료가 서로 잘 붙어서 하나의 단단한 구조체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외부의 힘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구조 재료로서 강재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1. 재료의 균질성이 떨어진다.
  2.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어렵다.
  3. 차량 통행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4. 강 구조물을 사전 제작하여 조립이 힘들다.
(정답률: 77%)
  • 강재는 고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어 구조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강재는 질량이 무거우며, 표면이 균질하지 않아 차량 통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목 구조물의 종류에서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 쳐서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는 구조는 어느 것인가?

  1. 합성 구조
  2. 무근 콘크리트 구조
  3. 철근 콘크리트 구조
  4. 프리스트레스트 구조
(정답률: 55%)
  • 정답은 "합성 구조"입니다. 합성 구조는 강재와 콘크리트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강재와 콘크리트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강재는 인장력을,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 쳐서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는 구조는 합성 구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강재에서 고장력 볼트의 구멍은 볼트의 호칭지름에 얼마의 값을 더 하는가?

  1. 2 ㎜
  2. 3 ㎜
  3. 5 ㎜
  4. 6 ㎜
(정답률: 49%)
  • 고장력 볼트는 일반적인 볼트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볼트가 당겨지는 힘이 강해지면서 강재의 구멍이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재의 구멍은 볼트의 호칭지름에 일정한 여유공간을 더해주어야 합니다. 이 여유공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볼트의 직경에 따라 다르며, 고장력 볼트의 경우에는 3mm 정도의 여유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용 재료에 따른 교량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철근 콘크리트교
  2. 강교
  3. 목교
  4. 거더교
(정답률: 72%)
  • 거더교는 사용 재료에 따른 교량의 분류가 아닌 것입니다. 거더교는 교량의 형태에 따라 분류됩니다. 거더교는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도 등의 교량에서 지지 역할을 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거더를 놓고 그 위에 교각을 놓아 만든 교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다음은 아치교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

  1. 상부구조의 주체가 아치(arch)로 된 교량을 말한다.
  2. 계곡이나 지간이 긴 곳에 적당하다.
  3. 미관이 아름답다.
  4.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아치교는 서해대교이다.
(정답률: 79%)
  • 정답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아치교는 서해대교이다." 이다.

    서해대교는 아치교가 아니라, 현수교(悬索교)이다. 아치교는 상부구조의 주체가 아치로 된 교량을 말하며, 서해대교는 아치가 아닌 케이블을 이용한 현수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방향 슬래브에서 배력 철근을 배치하는 이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2. 주철근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3.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4.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하기 위하여
(정답률: 68%)
  •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하는 것은 배력 철근의 배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하기 위하여"는 옳지 않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강구조의 강재 이음 방법이 아닌 것은?

  1. 겹침 이음
  2. 용접 이음
  3. 고장력 볼트 이음
  4. 리벳 이음
(정답률: 35%)
  • 겹침 이음은 강재를 겹쳐서 이음을 만드는 방법으로, 강도가 약해지고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강구조의 강재 이음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등교를 설계할 때 DB-24를 적용한다. 이 때 총 중량은?

  1. 13.5 tf
  2. 24.3 tf
  3. 32.4 tf
  4. 43.2 tf
(정답률: 32%)
  • DB-24는 24인치 직경의 더미 베어링을 의미합니다. 이 더미 베어링은 1개당 1.8tf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4개의 DB-24를 사용하면 최대 하중은 24 x 1.8 = 43.2 t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3.2 t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옹벽의 전도에 대한 안정 조건에서 저항 모멘트가 회전 모멘트의 최소 몇 배 이상이 되도록 설계 기준에서 요구하고 있는가?

  1. 2배
  2. 2.5배
  3. 3배
  4. 4배
(정답률: 45%)
  • 옹벽의 전도에 대한 안정 조건에서는 저항 모멘트가 회전 모멘트의 최소 2배 이상이 되도록 설계 기준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 모멘트가 회전 모멘트의 2배 이상이 되면 옹벽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옹벽이 회전하거나 무너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한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교량 설계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고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1. 주하중
  2. 부하중
  3. 특수 하중
  4. 충돌 하중
(정답률: 77%)
  • 주하중은 교량에 직접 작용하는 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의 하중으로 항상 존재하며, 교량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하중입니다. 따라서 교량 설계 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하중이며,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기 때문에 교량의 수명과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구조용 강재나 강관을 축방향으로 보강한 기둥은?

  1. 띠철근 기둥
  2. 합성 기둥
  3. 나선 철근 기둥
  4. 복합 기둥
(정답률: 40%)
  • 합성 기둥은 구조용 강재나 강관을 축방향으로 보강하여 만든 기둥으로, 보강재와 본재가 합쳐져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개 이상의 기둥을 1개의 확대 기초로 받치도록 만든 기초는?

  1. 독립 확대 기초
  2. 벽 확대 기초
  3. 연결 확대 기초
  4. 전면 기초
(정답률: 70%)
  • 연결 확대 기초는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기초로 받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기둥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연결 확대 기초는 다른 기초들과 달리 여러 개의 기둥을 받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기둥들 간의 연결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설계 하중에 있어서 원심 하중은 교면상 얼마정도의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는가?

  1. 1.0m
  2. 1.3m
  3. 1.8m
  4. 2.3m
(정답률: 51%)
  • 원심 하중은 회전하는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하중으로,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합니다. 따라서 원심 하중이 교면상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높이는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중심축에서 멀리 떨어진 "1.8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목 구조물에 대한 설계의 절차에 있어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1. 재료의 선정
  2. 응력의 결정
  3. 하중의 결정
  4. 사용성의 검토
(정답률: 51%)
  • 토목 구조물의 설계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조물에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재료의 선정은 구조물의 기능, 하중, 사용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후에 이루어지는 응력의 결정, 하중의 결정, 사용성의 검토 등의 과정에서도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재료의 선정은 토목 구조물 설계의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면에 사용되는 글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문장은 가로 왼쪽부터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글자의 크기는 높이로 나타내며, 6종류를 표준으로 한다.
  3. 글자체는 고딕체를,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4. 글자는 수직 또는 수직에서 35虔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
(정답률: 83%)
  • "글자는 수직 또는 수직에서 35虔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글자는 도면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각도로 쓰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글자는 수직 또는 수평에서 15도~30도 정도의 각도로 쓰이며, 특별한 경우에는 45도까지 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글자는 수직 또는 수직에서 35虔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단면도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선은?

  1. 해칭선
  2. 절단선
  3. 피치선
  4. 파단선
(정답률: 52%)
  • 해칭선은 단면도에서 절단면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이는 단면도에서 물체를 수평으로 자른 후, 그 자른 면을 보여주는 그림이기 때문에, 절단면을 나타내는 선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선이 해칭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선의 접속과 교차 방법이 틀린 것은?

(정답률: 78%)
  • 선의 교차 방법은 두 선이 서로 교차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교차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선의 접속 방법은 두 선이 어떤 점에서 만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이 그림은 두 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평행한 상태이기 때문에, 교차 방법은 없지만, 끝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방법은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교차 방법과 접속 방법이 모두 있는 경우이거나, 둘 다 없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건설재료의 단면 경계 표시 기호 중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5%)
  •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기호는 "" 입니다. 이 기호는 건설재료의 단면 경계 표시 기호 중에서도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호 내부에 있는 두 개의 수평선은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는?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2. DRAM(Dynamic RAM)
  3. SRAM(Static RAM)
  4. ROM(Read Only Memory)
(정답률: 64%)
  • 캐시 메모리는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장치입니다.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해 놓으면, CPU가 해당 데이터를 요청할 때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보다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시 메모리는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속도가 빠른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면의 번호, 도면의 이름, 도면의 작성일 제도자의 이름 등을 기입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도면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은?

  1. 중심마크
  2. 표제란
  3. 윤곽선
  4. 재단마크
(정답률: 89%)
  • 도면의 번호, 이름, 작성일, 제도자의 이름 등을 표기하는 것은 도면의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정보를 모아서 표시하는 곳을 표제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제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윤곽선은 도면의 크기에 따라 몇 ㎜ 이상의 굵기인 실선으로 긋는가?

  1. 0.1㎜
  2. 0.3㎜
  3. 0.4㎜
  4. 0.5㎜
(정답률: 74%)
  • 윤곽선은 도면의 크기와 상관없이 최소 0.5㎜ 이상의 굵기로 긋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도면을 인쇄하거나 복사할 때 선이 흐릿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윤곽선은 도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더욱 뚜렷하게 보이도록 0.5㎜ 이상의 굵기로 그리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콘크리트 단면을 표시 한 것은?

(정답률: 82%)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 단면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콘크리트의 강도 등급을 나타내는 "C25"와 같은 표기와 함께 콘크리트 단면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강철근의 위치와 지름도 표시되어 있어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일반도는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이 때 사용하는 축척 표준이 아닌 것은?

  1. 1/100
  2. 1/400
  3. 1/600
  4. 1/1200
(정답률: 55%)
  • 콘크리트 일반도는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일반적으로 1/100, 1/200, 1/400 등의 축척 표준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1/12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축척 표준입니다. 이유는 1/1200의 축척은 너무 작아서, 구조물의 세부사항을 표시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일반도에서는 일반적으로 1/100, 1/200, 1/400 등의 축척 표준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면 이름 문자인 경우 문자의 높이로 적당한 것은?

  1. 2.24∼4.5㎜
  2. 9∼18㎜
  3. 9∼12.5㎜
  4. 6.3∼12.5㎜
(정답률: 53%)
  • 도면에서 문자는 가독성을 위해 충분한 크기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9∼18㎜의 높이로 작성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충분한 크기로 가독성을 높이면서도 도면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9∼18㎜는 대부분의 글꼴에서 자연스러운 크기로 인식되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을 지나 얼마를 더 연장하는가?

  1. 1∼2㎜
  2. 2∼3㎜
  3. 3∼5㎜
  4. 5∼6㎜
(정답률: 59%)
  •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을 지나 양쪽으로 1~2mm 정도 연장하여 그립니다. 이는 치수를 더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치수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시선은 수평선에 대해서 몇 도의 각도를 가지는 직선으로 긋는가?

  1. 30°
  2. 45°
  3. 60°
  4. 75°
(정답률: 28%)
  • 지시선은 수평선에 대해 60°의 각도를 가지는 직선으로 긋습니다. 이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이기 때문에, 수직선과 지시선이 이루는 각도가 90°이고, 지시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가 x°일 때, 수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는 90-x°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가 30°일 때, 수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는 60°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서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은?

  1. 일반도
  2. 구조도
  3. 상세도
  4. 구조 일반도
(정답률: 50%)
  • 일반도는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으로, 구조물의 전반적인 형태와 크기, 위치 등을 나타내어 구조물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구조도, 상세도, 구조 일반도보다는 구조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많은 치수선을 평행하게 그을 때에는 치수선간의 간격이 얼마의 같은 간격이 되도록 하는가?

  1. 5∼6㎜
  2. 7∼8㎜
  3. 8∼10㎜
  4. 10∼12㎜
(정답률: 49%)
  • 치수선 간격은 일반적으로 7∼8㎜로 설정합니다. 이는 치수선이 너무 가까이 있으면 혼란스러울 뿐만 아니라, 치수선에 적힌 숫자가 서로 겹쳐서 읽기 어렵게 됩니다. 반면에 치수선 간격이 너무 넓으면 치수선이 떨어져 있어서 치수를 측정하는 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7∼8㎜의 치수선 간격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와 같이 사용자가 그래픽으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방식을 영어 약어로 무엇이라 하는가?

  1. OS
  2. OA
  3. CAI
  4. GUI
(정답률: 41%)
  • 정답: GUI

    설명: GUI는 Graphical User Interface의 약어로, 사용자가 그래픽으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OS는 Operating System(운영 체제), OA는 Office Automation(사무 자동화), CAI는 Computer-Assisted Instruction(컴퓨터 지원 학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그래픽 대화 방식을 나타내는 것은 GU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투시도에 사용되는 기호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P.P. - 화면
  2. G.P. - 기면
  3. H.L. - 수평선
  4. V.P. - 시점
(정답률: 42%)
  • 정답은 "V.P. - 시점"입니다.

    투시도에서 V.P.는 Vanishing Point(소실점)을 의미합니다. 소실점은 수평선과 수직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투시도에서 물체의 깊이와 거리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V.P.는 시점이 아니라 소실점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반면, P.P.는 Picture Plane(화면)을, G.P.는 Ground Plane(기면)을, H.L.은 Horizon Line(수평선)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3각법으로 도면을 작성할 때 투상도, 물체, 눈의 위치로 바른 것은?

  1. 투상도→눈→물체
  2. 투상도→물체→눈
  3. 눈→물체→투상도
  4. 눈→투상도→물체
(정답률: 66%)
  • 제3각법은 눈에서 바라본 물체를 투상도를 통해 도면으로 그리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눈의 위치가 가장 먼저 나와야 하고, 그 다음으로는 투상도가 나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물체가 나와야 하는데, 이는 투상도를 통해 눈에서 바라본 물체를 그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눈→투상도→물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처럼 나타내는 투상법은?

  1. 정투상법
  2. 표고 투상법
  3. 축측 투상법
  4. 사투상법
(정답률: 79%)
  • 정답은 "표고 투상법"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근선이 수평선과 평행하게 그려져 있으며, 수직선이 수평선과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투상법 중에서도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는 투상법을 "표고 투상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 있어서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모양 치수를 모두 표시한 도면은?

  1. 일반도
  2. 구조 일반도
  3. 구조도
  4. 상세도
(정답률: 53%)
  • 구조 일반도는 건축물의 전반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건축물의 모양, 치수, 재료, 구조 등을 상세하게 표시하여 건축물의 안전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도면입니다. 따라서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모양 치수를 모두 표시한 도면은 구조 일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은 평면도상에서 지형의 어떠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가?

  1. 절토면
  2. 성토면
  3. 수준면
  4. 물매면
(정답률: 78%)
  • 이 그림은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지형도입니다. 성토면은 등고선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있어 경사가 가파른 지형을 나타내며, 이 그림에서는 등고선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있고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성토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도에서 어떤 철근 배근을 나타낸 것인가?

  1. 절곡 철근
  2. 스터럽
  3. 티 철근
  4. 나선 철근
(정답률: 69%)
  • 그림은 스터럽 배근을 나타낸 것입니다. 스터럽은 구조물의 수평적인 힘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배근 방법 중 하나입니다. 스터럽은 수평적인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철근 배근이 스터럽인 이유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의 보관을 위해 흔히 사용하는 마이크로 필름은 보관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도면의 확대 및 축소를 임의로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여 많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사진용 필름의 나비는 얼마인가?

  1. 25㎜
  2. 35㎜
  3. 40㎜
  4. 55㎜
(정답률: 34%)
  • 마이크로 필름은 일반적으로 35mm 크기를 사용합니다. 이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필름 크기 중 하나이며, 다양한 카메라 및 필름 스캐너에서 지원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 사진용 필름의 나비도 35mm 크기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마우스
  2. 키보드
  3. 플로터
  4. 펜마우스
(정답률: 80%)
  • 플로터는 CAD 시스템의 출력 장치이기 때문에 입력 장치가 아닙니다. 마우스, 키보드, 펜마우스는 모두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내는 정투상법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64%)
  • 이 그림은 두 벡터의 내적을 이용한 정투상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 벡터 A와 B가 이루는 각을 θ라고 할 때, A와 B의 내적은 |A||B|cos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cosθ가 0이 되는 경우는 두 벡터가 수직이거나 한 벡터가 0 벡터인 경우입니다. 따라서, cosθ가 0이 되는 경우에는 두 벡터가 직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는 cosθ가 0이 되는 경우를 제1각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이 그림은 "제1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료의 크기 단위를 작은 것부터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byte < word <bit
  2. byte < bit <word
  3. bit < byte < word
  4. bit < word < byte
(정답률: 63%)
  • 정답은 "bit < byte < word"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bit: 컴퓨터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가집니다.
    - byte: 8개의 bit가 모여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로, 문자나 숫자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word: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로, 보통 2바이트 또는 4바이트입니다.

    따라서, bit가 가장 작은 단위이고, byte는 8개의 bit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bit보다 크며, word는 여러 개의 byte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byte보다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살표의 길이(a)와 나비(b)의 비로 적당한 것은?

  1. 1 : 1
  2. 2 : 1
  3. 3 : 1
  4. 4 : 1
(정답률: 54%)
  • 화살표의 길이와 나비의 크기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화살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나비의 크기도 커집니다. 따라서, 화살표의 길이와 나비의 비가 3:1이 적당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화살표의 길이가 3cm일 때 나비의 크기는 1cm이고, 화살표의 길이가 6cm일 때 나비의 크기는 2cm가 됩니다. 이와 같이 비례 관계를 유지하면서 적당한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이점쇄선인 선으로 표시하는 것은?

  1. 중심선
  2. 기준선
  3. 피치선
  4. 가상선
(정답률: 55%)
  • 이점쇄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선으로, 디자인 작업에서 가이드 역할을 합니다. 이중에서도 이점쇄선은 디자인 요소들의 위치와 간격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디자인 작업이 완료되면 보통 숨겨지거나 삭제됩니다. 따라서 이점쇄선은 가상적인 선이므로 "가상선"으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로 토목이나 건축에서 현장의 겨냥도, 구조물의 조감도 등에 쓰이는 방법은?

  1. 축투상도법
  2. 투시도법
  3. 사투상도법
  4. 정투상도법
(정답률: 41%)
  • 투시도법은 3차원 구조물을 2차원 평면에 투영하여 그리는 방법으로, 현장의 겨냥도나 구조물의 조감도를 그리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실제 구조물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며,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원도를 그리는 순서 중 옳은 것은?

  1. 도면의 구성→선긋기→도면배치→글자 및 기호쓰기→도면검토
  2. 도면의 구성→도면배치→선긋기→글자 및 기호쓰기→도면검토
  3. 도면의 구성→글자 및 기호쓰기 →선긋기→도면배치→도면검토
  4. 도면배치→도면의 구성→선긋기→글자 및 기호쓰기→도면검토
(정답률: 66%)
  • 정답은 "도면의 구성→도면배치→선긋기→글자 및 기호쓰기→도면검토"입니다.

    도면을 그리는 순서는 먼저 도면의 구성을 결정하고, 그 다음에 도면배치를 정하며, 이후에 선긋기를 하고, 글자 및 기호를 쓰고, 마지막으로 도면검토를 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도면의 구성은 도면에 필요한 내용을 결정하는 것으로, 도면의 목적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도면배치는 도면의 크기와 비율, 그리고 각 요소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선긋기는 도면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글자 및 기호쓰기는 도면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입니다. 마지막으로 도면검토는 도면의 오류나 누락된 부분을 찾아내고 수정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 구조물의 일반도 축척의 표준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1/100
  2. 1/200
  3. 1/300
  4. 1/500
(정답률: 52%)
  • 강 구조물은 대개 크기가 크고 복잡하여 작은 부분까지 정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축척이 작을수록 더 정확한 표시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1/300은 축척이 너무 작아서 작은 부분까지 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강 구조물의 일반도 축척의 표준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