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등사각형의 깊이 ɑ=β1·c로 구한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가 280㎍f/cm2(28MPa)인 경우 β1 값은?

  1. 0.8
  2. 0.85
  3. 0.90
  4. 1.0
(정답률: 85%)
  • β1 값은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와 단철근의 항복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는 280㎍f/cm2(28MPa)이며, 단철근의 항복강도는 420㎍f/cm2(420MPa)이다. 따라서, β1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β1 = 0.85 × (280/420) = 0.85

    따라서, 정답은 "0.85"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와 단철근의 항복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 값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피복두께를 일정량 이상으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철근이 산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 내화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3. 부착 응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4. 아름다운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정답률: 84%)
  • 아름다운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철근의 피복두께를 일정량 이상으로 규정하는 이유는, 철근이 노출되어 녹이 생기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미관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철근이 녹거나 부식되면 강도가 약해져 구조물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아름다운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철근의 피복두께를 일정량 이상으로 규정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때 수정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단위수량
  2. 단위 시멘트량
  3. 단위 잔골재량
  4. 단위 굵은골재량
(정답률: 45%)
  • 단위 시멘트량은 시방배합에서 사용하는 시멘트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현장배합에서도 동일한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방배합과 현장배합에서 사용하는 단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수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골재의 함수상태는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1. 노건조상태
  2. 공기 중 건조상태
  3. 표면 건조 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률: 85%)
  •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은 골재와 시멘트 등의 재료의 적절한 배합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때 골재의 함수상태는 표면 건조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골재가 표면에서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 상태에서 골재는 최적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는 골재의 표면 건조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적절한 배합을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휨 부재에 대하여 강도 설계법으로 설계할 경우에 보가 파괴를 일으킬 때의 압축측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콘크리트 최대 변형률은?

  1. 0.3
  2. 0.03
  3. 0.003
  4. 0.0003
(정답률: 85%)
  • 휨 부재에서의 콘크리트 최대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최대 변형률 = (최대 응력)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강도 설계법에서는 보의 균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최대 응력을 구하고,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보통 2만 5000MPa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최대 변형률은 0.00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80° 표준갈고리는 반원끝에서 철근지름의 몇 배 이상 또는 몇 ㎝ 이상 더 연장해야 하는가?

  1. 4배, 6㎝
  2. 3배, 6㎝
  3. 3배, 5㎝
  4. 4배, 5㎝
(정답률: 51%)
  • 180° 표준갈고리는 반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철근을 굽히는 과정에서 반원의 끝에서 굽히기 때문에 반원의 끝에서 철근 지름의 몇 배 이상 또는 몇 ㎝ 이상 더 연장해야 합니다. 이때, 반원의 중심각이 180° 이므로, 반원의 둘레의 절반인 반지름의 길이만큼 철근을 연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철근 지름이 1배라면, 반원의 반지름만큼인 6㎝을 더 연장해야 하므로 정답은 "4배, 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16 이하의 스터럽과 띠철근으로 사용하는 표준갈고리에서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db는 철근의 공칭지름)

  1. 1db
  2. 2db
  3. 3db
  4. 4db
(정답률: 32%)
  • 갈고리에서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최소 2db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갈고리의 내부 곡면이 너무 가파르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갈고리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안전 요건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근 콘크리트 휨부재의 강도설계법에 대한 기본 가정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고 가정한다.
  2. 항복강도 fy 이하에서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의 ES배로 본다.
  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무시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이 완벽한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무시한다."입니다.

    철근 콘크리트 휨부재의 강도설계법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이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는 가정과 항복강도 fy 이하에서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의 ES배로 본다는 가정이 있습니다. 이는 휨부재의 균일한 변형을 가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압축 영역에서의 변형률이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무시하면 휨부재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다음의 무엇과 반비례하는가?

  1.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의 제곱근
  2. 철근 1개의 단면적
  3. 철근의 항복점 강도
  4. 철근의 공칭지름
(정답률: 29%)
  •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콘크리트와 철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 마찰력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철근의 단면적에 비례하고, 철근의 항복점 강도와 공칭지름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의 제곱근과 반비례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면 마찰력이 증가하여 정착길이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겹침이음을 해서는 안 되는 철근은?

  1. D16
  2. D19
  3. D25
  4. D38
(정답률: 74%)
  • 겹침이음을 하면 안 되는 철근은 지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계 시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 D38은 다른 보기에 비해 직경이 크기 때문에 겹침이음 시 구조물 내부에서 충격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파괴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D38은 겹침이음을 해서는 안 되는 철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다.
  2. 시멘트의 입자가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한다.
  3.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조기강도가 커진다.
  4.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82%)
  •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사실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물과 반응하여 혼합물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조기강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분말도가 높다고 해서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과도한 분말도는 건조하고 바람이 많은 환경에서는 오히려 균열 및 풍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단 철근으로 수직 스터럽의 간격은 어떠한 경우이든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20㎝ 이하
  2. 30㎝ 이하
  3. 40㎝ 이하
  4. 60㎝ 이하
(정답률: 14%)
  • 전단 철근은 수평하게 놓인 철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이러한 전단력을 버티기 위해서는 수직 스터럽의 간격이 적어도 전단 철근의 직경의 2배 이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단 철근의 직경이 30㎜ 이하인 경우, 수직 스터럽의 간격은 60㎝ 이하로 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철근의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철근은 이어대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최대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곳에서 이음을 하는 것이 좋다.
  3. 이음 부는 서로 엇갈리게 하는 것이 좋다.
  4. 겹침이음은 A급 이음과 B급 이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이음 부는 서로 엇갈리게 하는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음 부분에서는 철근의 연결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최대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곳에서 이음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철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철근비가 균형철근비보다 작으면 콘크리트의 압축 파괴가 일어난다.
  2. 철근이 균형철근보다 많을 경우 연성파괴로 사전에 붕괴의 조짐을 볼 수 있다.
  3. 사전에 붕괴의 조짐을 볼 수 있는 형태는 취성파괴이다.
  4.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균형철근비의 75% 이하로 철근을 사용한다.
(정답률: 27%)
  •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균형철근비의 75% 이하로 철근을 사용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균형철근비보다 철근비가 작을 경우 콘크리트의 연성파괴를 유도하여 구조물이 붕괴하기 전에 미리 경고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표준 갈고리를 가지는 인장이형철근의 보정계수가 0.7이고 기본 정착 길이가 57㎝이었다. 이 인장 철근의 정착 길이를 구하면?

  1. 32㎝
  2. 34㎝
  3. 38㎝
  4. 40㎝
(정답률: 42%)
  • 보정계수가 0.7이므로 기본 정착 길이에 0.7을 곱해준 값이 실제 정착 길이가 된다. 따라서, 정착 길이 = 57㎝ × 0.7 = 39.9㎝ ≈ 40㎝ 이므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구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에 비해 품질 관리가 어렵다.
  2. 재료의 세기 즉 강도가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작다.
  3. 콘크리트에 비해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4. 콘크리트에 비해 부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없다.
(정답률: 63%)
  • 강구조는 강철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의 특징 중 콘크리트에 비해 공사기간이 단축된다는 것은 강철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처럼 현장에서 제작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공사를 완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토목 구조물의 종류에 있어서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져서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주형 구조
  2. 콘크리트 구조
  3. 합성 구조
  4. 강 구조
(정답률: 66%)
  • 강재와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구조물을 만드는 것을 합성 구조라고 합니다. 이 경우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져서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여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합성 구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일반적인 옹벽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력시 옹벽
  2. 캔틸레버 옹벽
  3. 뒷부벽식 옹벽
  4. 연결확대 옹벽
(정답률: 53%)
  • 연결확대 옹벽은 일반적인 옹벽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기존의 옹벽에 새로운 구조물을 연결하여 확대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옹벽과는 구조와 기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토목 구조물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건설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2. 공공의 목적으로 건설되기 때문에 사회의 감시와 비판을 받게 된다.
  3. 구조물의 공용 기간이 길어 장래를 예측하여 설계하고 건설해야 한다.
  4. 다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쉽다.
(정답률: 85%)
  • 다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쉽다는 것은 토목 구조물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산업 제품과는 달리, 각각의 구조물이 고유한 설계와 제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토목 구조물은 대량 생산이 어렵고, 각각의 구조물이 고유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작과 설계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공공의 목적으로 건설되기 때문에 사회의 감시와 비판을 받게 되고, 구조물의 공용 기간이 길어 장래를 예측하여 설계하고 건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요구 조건이 아닌 것은?

  1. 소요의 강도를 가질 것
  2. 내구성을 가질 것
  3. 수밀성을 가질 것
  4. 품질의 변동이 클 것
(정답률: 81%)
  • 품질의 변동이 클 것은 콘크리트의 요구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일정한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의 특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품질의 변동이 클 경우, 콘크리트의 특성이 일정하지 않아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 품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콘크리트에 일어날 수 있는 인장 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미리 계획적으로 압축 응력을 준 콘크리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강 구조물
  2. 합성 구조물
  3. 철근 콘크리트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69%)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콘크리트와 달리 미리 계획적으로 압축 응력을 줌으로써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는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강 구조물과 합성 구조물은 아니며, 철근 콘크리트와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동차와 같은 활하중이 교량위를 지나갈 때, 교량이 진동하게 되는 하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고정하중
  2. 풍하중
  3. 충격하중
  4. 충돌하중
(정답률: 56%)
  • 자동차와 같은 활하중이 교량위를 지나갈 때,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교량이 진동하게 되는데 이를 충격하중이라고 합니다. 이는 일시적이지만 교량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교량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서해대교와 같이 교각 위에 탑을 세우고 주탑과 경사로 배치된 케이블로 주형을 고정시키는 형식의 교량은?

  1. 현수교
  2. 라멘교
  3. 연속교
  4. 사장교
(정답률: 70%)
  • 교각 위에 탑을 세우고 주탑과 경사로 배치된 케이블로 주형을 고정시키는 형식의 교량은 사장교입니다. 이는 사장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교각과 탑, 케이블 등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옹벽의 안정에서 옹벽이 미끄러져 나아가게 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안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침하에 대한 안정
  3. 활동에 대한 안정
  4. 저판에 대한 안정
(정답률: 43%)
  • 옹벽이 미끄러져 나아가게 하려는 힘은 활동이며, 이에 저항하는 안정은 활동에 대한 안정입니다. 즉,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전도에 대한 안정, 침하에 대한 안정, 저판에 대한 안정은 모두 다른 상황에서의 안정을 의미하며,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교량의 설계하중에 있어서 주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2. 때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
  3. 설계에 있어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하중
  4. 온도의 변화에 따른 하중
(정답률: 65%)
  • 교량은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기 때문에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교량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때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른 하중은 중요하지만, 이러한 하중들은 일시적이거나 예측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교량의 설계하중에 있어서는 항상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주는 이점이 있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주로 이용되는 철근은?

  1. 원형 철근
  2. 민 철근
  3. 이형 철근
  4. 압축 철근
(정답률: 62%)
  • 이형 철근은 표면에 톱니 모양의 돌기가 있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주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방향 슬래브의 최대 휨 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정철근 및 부철근의 중심 간격으로 옳은 것은?

  1.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 이상이어야 한다.
  2.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 이하이어야 한다.
  3.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 이상이어야 한다.
  4.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56%)
  • 정답: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 이하이어야 한다."

    이유: 슬래브의 최대 휨 모멘트는 슬래브의 중심부에서 발생하며, 이 때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 간격이 넓어지면 휨 모멘트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 간격이 좁을수록 최대 휨 모멘트가 발생하는 단면에서의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슬래브 두께가 너무 얇으면 슬래브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최대 휨 모멘트가 발생하는 단면에서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로 설계해야 슬래브의 강도가 충분하며, 또한 30cm 이하로 설계해야 최대 휨 모멘트가 발생하는 단면에서의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축방향 압축을 받는 부재로서 높이가 단면의 최소 치수의 3배 정도 이상인 구조는?

  1. 기둥
  2. 옹벽
  3. 슬래브
(정답률: 58%)
  • 축방향 압축을 받는 부재는 단면의 최소 치수보다 높이가 3배 이상이어야 안전하다. 이를 만족하는 부재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기둥이다. 기둥은 축방향 압축을 받는 부재로서 높이가 충분히 길어서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보, 옹벽, 슬래브는 축방향 압축을 받는 부재로서 충분한 높이를 가지지 않아 안전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목 설계의 기본 개념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제성
  2. 미관
  3. 사용성과 내구성
  4. 희소성
(정답률: 70%)
  • 토목 설계의 기본 개념은 경제성, 사용성과 내구성, 그리고 미관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희소성"입니다. 희소성은 자원이나 물품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서 가격이 높아지는 경제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토목 설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따라서 토목 설계의 기본 개념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량의 구성 요소 중 상부구조에 속하는 것은?

  1. 교대
  2. 교각
  3. 기초
  4. 바닥판
(정답률: 49%)
  • 상부구조는 교량의 위쪽 부분을 의미하며, 주로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지나다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바닥판은 교량의 상부구조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로 설계 제도에서 평면도를 표현할 때 산악이나 구릉부의 지형을 나타내는데 사용 되는 것은?

  1. 거리표
  2. 축척
  3. 개다각형
  4. 등고선
(정답률: 80%)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산악이나 구릉부의 지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등고선은 지형의 고저차이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도로 설계에서는 지형의 경사도와 고저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도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면의 종류에서 복사도가 아닌 것은?

  1. 기본도
  2. 청사진
  3. 백사진
  4. 마이크로 사진
(정답률: 67%)
  • 복사도는 원본 도면을 복사하여 만든 도면이지만, 기본도는 처음부터 새롭게 그려진 도면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본도는 복사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제도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비로 옳은 것은?

  1. 1 : 1
  2. 1 : 2
  3. 1 : √2
  4. 1 : √3
(정답률: 84%)
  • 제도용지는 A0, A1, A2, A3, A4 등의 크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A4용지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1 : √2 입니다. 이 비율은 A3, A2, A1, A0용지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 비율은 제도용지를 접거나 분할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4용지를 접으면 A5용지가 되고, A5용지를 접으면 A6용지가 됩니다. 이때, 가로와 세로의 비율은 항상 1 : √2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제도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비는 1 :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도용 문자의 크기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내는가?

  1. 높이
  2. 나비
  3. 굵기
  4. 대각선 길이
(정답률: 79%)
  • 제도용 문자의 크기는 높이를 기준으로 나타냅니다. 이는 문자의 세로 길이를 의미하며, 문자의 크기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나비, 굵기, 대각선 길이는 모두 문자의 크기를 판단하는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이들은 높이와는 별개의 요소이므로 제도용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AD 작업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설계자가 컴퓨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방식으로 도면을 입·출력 할 수 있다.
  2. 도면분석, 수정, 제작이 수작업에 비하여 더 정확하고 빠르다.
  3. 설계 도면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 할 수 없으며, 표준화 작업이 어렵다.
  4. 설계시간의 단축으로 일의 생산성을 향상 시킨다.
(정답률: 76%)
  • 설계 도면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 할 수 없으며, 표준화 작업이 어렵다는 것은 CAD 작업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CAD 작업의 단점이며, 현재는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협업 기능과 표준화를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도에서 어떤 철근 배근을 나타낸 것인가?

  1. 절곡 철근
  2. 스터럽
  3. 띠철근
  4. 나선 철근
(정답률: 63%)
  • 그림은 스터럽 배근을 나타낸 것입니다. 스터럽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지지대와 연결되는 철근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평하게 배치된 철근을 연결하여 강도를 높입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철근을 연결하는 스터럽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정답은 "스터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조용 재료의 단면 표시 중 모래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89%)
  • 모래는 구조용 재료 중 하나로, 콘크리트나 시멘트 등의 혼합물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면 표시에서 모래를 나타내는 것은 구조용 재료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는 모래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다른 보기들은 각각 철근, 시멘트, 그리고 콘크리트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토목 구조물인 옹벽의 일반적인 도면 배치에서 단면도 하부에 그려지는 것은?

  1. 일반도
  2. 저판 배근도
  3. 벽체 배근도
  4. 주철근 조립도
(정답률: 55%)
  • 옹벽은 지반과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물로, 지반의 압력을 버티기 위해 강력한 지지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옹벽의 하부에는 저판이라는 수평적인 구조물이 설치됩니다. 이 저판은 옹벽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반의 압력을 분산시켜 옹벽을 지지합니다. 따라서 옹벽의 일반적인 도면 배치에서 단면도 하부에 그려지는 것은 저판 배근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큰 도면을 접어서 보관할 때 접어야할 기준이 되는 도면의 크기는?

  1. A0
  2. A1
  3. A3
  4. A4
(정답률: 81%)
  • A4는 ISO 216 규격에서 가장 작은 규격으로, 다른 규격들은 A4의 배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4로 접어서 보관하면 다른 규격도 쉽게 접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면의 크기는 종이재단 치수(KS A 5201)에 의하여 분류 했을 때 A3의 크기가 바른 것은?

  1. 841 x 1189
  2. 594 x 841
  3. 297 x 420
  4. 210 x 297
(정답률: 77%)
  • KS A 5201에 따르면 A3 크기는 A4 크기를 반으로 접어서 만든 것입니다. 즉, A4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반으로 나눈 값이 A3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됩니다. 따라서 A4의 크기는 210 x 297이므로, A3의 크기는 297 x 42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치수, 가공법, 주의사항 등을 써 넣기 위하여 쓰이며, 일반적으로 가로에 대하여 45°의 직선을 긋고, 인출되는 쪽에 화살표를 붙여 인출한 쪽의 끝에 가로선을 그어 가로선 위에 문자 또는 숫자를 기입하는 선은?

  1. 중심선
  2. 치수선
  3. 치수 보조선
  4. 인출선
(정답률: 52%)
  • 인출선은 가공법이나 주의사항 등을 써 넣기 위해 사용되며, 인출되는 쪽에 화살표를 붙여 인출한 쪽의 끝에 가로선을 그어 가로선 위에 문자 또는 숫자를 기입하는 선입니다. 따라서 인출선은 인출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도에서 해칭은 수평선, 중심선, 기준선에 대하여 몇 도로 기울여서 같은 간격으로 넣는가?

  1. 25°
  2. 35°
  3. 45°
  4. 90°
(정답률: 75%)
  • 해칭은 대각선으로 넣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각선의 각도는 45도이기 때문에 정답은 "45°"입니다. 이는 수평선, 중심선, 기준선 모두에 적용됩니다. 대각선으로 해칭을 하면 각각의 블록이 서로 겹치지 않고 균등하게 배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단면 중 철재인 강철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7%)
  • 강철은 탄소 함량이 높은 철강으로, 단면에서 탄소의 비중이 높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탄소의 비중이 높아 보이는 ""이(가) 강철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치수 기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로치수는 치수선의 위쪽에 쓰고, 세로 치수는 치수선의 오른쪽에 쓴다.
  2. 치수는 선과 교차하는 곳에는 될 수 있는 대로 쓰지 않는다.
  3. 협소한 구간이 연속될 때에는 치수선의 위쪽과 아래쪽에 번갈아 치수를 기입 할 수 있다.
  4. 경사는 백분율 또는 천분율로 표시할 수 있으며 경사방향 표시는 하향 경사 쪽으로 표시 한다.
(정답률: 50%)
  • "치수는 선과 교차하는 곳에는 될 수 있는 대로 쓰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치수는 선과 교차하는 곳에 정확하게 쓰여야 합니다. 이는 제품 제작 시 정확한 치수를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 중 암반면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6%)
  • 암반은 단면에서 굴곡이 없고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가 암반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목제도에서 실제 크기와 도면에서의 크기와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척도
  2. 연각선
  3. 도면
  4. 표제란
(정답률: 85%)
  • 토목제도에서 실제 크기와 도면에서의 크기와의 비를 나타내는 것을 척도라고 합니다. 척도는 도면상의 크기를 실제 크기로 환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분수나 비율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1:100 척도는 도면상의 1cm가 실제 세계에서는 100cm(1m)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척도는 토목제도에서 정확한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토목제도에서 작도 통칙으로서 틀린 것은?

  1. 도면은 될 수 있는 대로 간단히 하고, 중복을 피한다.
  2. 숨겨진 부분은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3. 경사면을 가진 구조물에서 그 경사면 부분만의 보조도를 넣어 표시한다.
  4. 대칭적인 것은 중심선의 한쪽을 외형도, 반대쪽을 단면도로 표시한다.
(정답률: 64%)
  • "숨겨진 부분은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토목제도에서는 숨겨진 부분을 점선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해당 부분이 실제로 존재하지만, 그림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부분적으로 잘려나간 부분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면을 그릴 때 좌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좌표 방법은?

  1. 절대좌표
  2. 상대좌표
  3. 극좌표
  4. 원좌표
(정답률: 56%)
  • 절대좌표는 도면의 좌측 하단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여, 모든 점들의 위치를 X, Y 좌표값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모든 점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면의 크기나 위치가 변경되어도 좌표값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절대좌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가는선
  2. 아주 굵은선
  3. 중심선
  4. 굵은선
(정답률: 73%)
  • 중심선은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가 아니라, 도면상에서 기하학적인 중심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따라서 중심선은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CAD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중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운영체제
  2. CPU
  3. RAM
  4. 사운드 카드
(정답률: 73%)
  • CAD 시스템은 주로 그래픽 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이므로, 그래픽 카드가 필수적입니다. 반면에 사운드 카드는 그래픽 작업과는 무관한 기능이므로, CAD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운드 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투시도에 사용되는 기호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P.P - 화면
  2. G.P - 기면
  3. H.L - 수평선
  4. V.P - 시점
(정답률: 39%)
  • 정답은 "V.P - 시점"입니다.

    투시도에서 V.P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만나는 점으로, 시점이 아닌 사라지는 점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V.P와 시점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연결이 틀린 것입니다.

    P.P는 화면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G.P는 기울어진 면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H.L은 수평선을 나타내며, V.P와 함께 투시도를 그리는 데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의 아래 끝에 설정하여 도면명, 도면번호, 설계자, 제도자, 심사자, 도면작성기관 도면작성 년 월 일 등과 같은 내용을 기입하는 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색인란
  2. 표제란
  3. 심사란
  4. 검인란
(정답률: 82%)
  • 도면의 제목과 정보를 표기하는 란을 "표제란"이라고 합니다. "색인란"은 도면의 내용을 쉽게 찾기 위한 색인을 작성하는 란이며, "심사란"은 도면의 품질을 심사하는 란, "검인란"은 도면의 검토 및 승인을 담당하는 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울기가 1 : 0.02 일 때 수직거리가 4500㎜ 이면 수평 거리는 몇 ㎜인가?

  1. 22.5
  2. 45
  3. 90
  4. 180
(정답률: 49%)
  • 기울기가 1:0.02 이므로, 기울기는 y축 방향으로 1만큼 올라갈 때 x축 방향으로 0.02만큼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직거리가 4500㎜ 이므로, y축 방향으로 4500㎜만큼 올라갑니다.

    그러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얼마일까요?

    기울기가 1:0.02 이므로, y축 방향으로 1만큼 올라갈 때 x축 방향으로 0.02만큼 이동합니다.

    따라서, y축 방향으로 4500㎜만큼 올라가면 x축 방향으로는 0.02 × 4500 = 90㎜만큼 이동합니다.

    따라서, 수평 거리는 90㎜입니다.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투시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1소점 투시도
  2. 2소점 투시도
  3. 3소점 투시도
  4. 4소점 투시도
(정답률: 68%)
  • 4소점 투시도는 존재하지 않는 투시도입니다. 1소점 투시도는 한 점에서 바라본 시점을 나타내며, 2소점 투시도는 두 점에서 바라본 시점을 나타내며, 3소점 투시도는 세 점에서 바라본 시점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리벳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현장 리벳은 그 기호를 생략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리벳기호는 리벳선을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3. 축이 투상면에 나란한 리벳은 그리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4. 같은 도면 중에 다른 지름의 리벳을 사용할 경우, 리벳 마다 그 지름을 기입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35%)
  • 리벳은 두 개 이상의 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장치로, 보통 동그란 형태를 가지며, 도면상에서는 파선으로 표시된다. 이 때, 축이 투상면에 나란한 리벳은 그리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리벳은 도면상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벳을 그릴 때에는 실제로 보이는 부분만 그리도록 하며, 현장에서는 리벳 기호를 생략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투상선이 투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투상 되는 투영법은?

  1. 사투상법
  2. 정투상법
  3. 중심투상법
  4. 평생투사법
(정답률: 67%)
  • 정투상법은 투상선이 투상면에 수직으로 투영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정투상법이 적용됩니다. 사투상법은 투상선이 투상면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며, 중심투상법은 투상면이 구면인 경우에 사용됩니다. 평생투사법은 투상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 그림의 재료경계 표시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1. 호박돌
  2. 암반
  3. 콘크리트
(정답률: 77%)
  • 이 그림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재료들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정답이 "호박돌"인 이유는 그림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호박돌로 나타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흙", "암반", "콘크리트"는 그림에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박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플로터의 출력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맞는 것은?

  1. CPS(character Per Second)
  2. IPS(Inch Per Second)
  3. BPS(Bits Per Second)
  4. DPI(Dots Per Second)
(정답률: 40%)
  • IPS는 플로터가 1초당 출력할 수 있는 인치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플로터는 종이를 이동시켜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출력속도를 인치 단위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IPS가 플로터의 출력속도를 나타내는 적절한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트래버스 제도에서 삼각함수의 진수에 의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탄젠트법
  2. 사인과 코사인에 의한 방법
  3. 실측법
  4. 현장법
(정답률: 41%)
  • 실측법은 삼각함수의 진수에 의한 방법이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측정한 거리와 각도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실측법은 삼각함수의 진수에 의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 구조물의 도면 배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도면을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선과 지시선의 방향을 붙이는 것이 좋다.
  2. 평면도, 측면도, 단면도 등을 소재나 부재가 잘 나타나도록 각각 독립하여 그려도 된다.
  3. 강 구조물이 길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도 단면을 절단 하거나 생략하여 표시 하여서는 안 된다.
  4. 강 구조물의 도면은 가설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제작 단위마다 상세도를 작성한다.
(정답률: 36%)
  • "강 구조물이 길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도 단면을 절단 하거나 생략하여 표시 하여서는 안 된다."가 바르지 않은 것은, 강 구조물이 길고 많은 공간을 차지할수록 단면을 절단하여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단면을 표시하지 않으면 구조물의 내부 구조와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