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05)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08-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물-시멘트비가 55%이고, 단위 수량이 176Kg 이면 단위 시멘트량은?

  1. 273Kg
  2. 295Kg
  3. 320Kg
  4. 350Kg
(정답률: 57%)
  • 물-시멘트비가 55%이므로 시멘트의 비율은 45%입니다. 따라서 단위 수량인 176Kg 중에서 시멘트의 비율인 45%에 해당하는 부분을 구하면 됩니다.

    176Kg × 0.45 = 79.2Kg

    따라서 단위 시멘트량은 79.2Kg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 시멘트량이 320Kg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단위 수량인 176Kg에 대한 시멘트의 비율이 45%일 때 필요한 시멘트량을 계산한 결과를 320Kg으로 변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장 이형철근의 겹칩이음 분류 중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겹침 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는 겹침이음은?

  1. A급 이음
  2. B급 이음
  3. C급 이음
  4. D급 이음
(정답률: 59%)
  • A급 이음은 겹침이음의 최상급으로,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겹침 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는 겹침이음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철근의 충분한 겹침과 이음이 필요한 구간에서 적절한 겹침이음을 제공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해당 조건이 충족되므로 A급 이음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철근비는? (단, As=1520mm2, fck=24MPa)

  1. 0.0432
  2. 0.0332
  3. 0.0232
  4. 0.0132
(정답률: 29%)
  • (인장)철근비는 인장철근의 단면적 합을 단축면적과 곱한 값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단면적 합을 구해야 합니다.

    인장철근의 단면적 합은 As=1520mm2입니다.

    단축면적은 b×d=200×400=80000mm2입니다.

    따라서 (인장)철근비는 As/(b×d)=1520/80000=0.019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fck=24MPa인 경우를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허용응력은 fy=435MPa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인장철근비를 다시 계산하면:

    (인장)철근비 = As/(b×d)×fy/fck = 1520/80000×435/24 = 0.0132

    따라서 정답은 "0.013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골재의 표면수는 없고 골재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는 골재의 함수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절대 건조 포화 상태
  2. 공기 중 건조 상태
  3. 표면 건조 포화 상태
  4. 습윤 상태
(정답률: 79%)
  • 골재의 표면수는 없기 때문에 골재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는 골재 내부의 모든 공간이 물로 채워져 있어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표면 건조 포화 상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에 영향을 주는 주요 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와 철근 표면의 마찰 작용
  2. 시멘트풀과 철근 표면의 정착 작용
  3. 이형 철근 표면에 의한 기계적 작용
  4. 거푸집에 의한 압축 작용
(정답률: 68%)
  •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철근 주변으로 흐르면서 공기가 포집되어 생기는 작은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압축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압력을 가합니다. 이 압력은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력을 높여주는 주요 원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거푸집에 의한 압축 작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몇 %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것인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60%)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굵은 골재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크기 이상의 입자는 90% 이상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80° 표준갈고리는 구부린 반원 끝에서 철근지름의 최소 몇 배 이상을 연장 하여야 하는가?

  1. 2배 이상
  2. 3배 이상
  3. 4배 이상
  4. 5배 이상
(정답률: 54%)
  • 180° 표준갈고리는 반원의 중심각이 180도이므로, 반원의 지름과 같은 길이의 철근을 사용하여도 갈고리의 끝이 구부러져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갈고리의 끝에서 철근지름의 최소 4배 이상을 연장해야 갈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갈고리의 끝에서 철근을 충분히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표준갈고리의 최소 내면 반지름을 두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철근을 잘 구부리기 위하여
  2.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3. 철근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4. 철근의 재질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정답률: 55%)
  • 표준갈고리는 철근을 고정시키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이때 갈고리가 철근에 밀착되어야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갈고리가 철근에 밀착되지 않고 공간이 남아있을 경우, 철근을 구부리거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철근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는 철근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표준갈고리의 최소 내면 반지름을 두어 철근의 재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근의 구부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철근은 가열해서 구부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D38 이상의 철근은 구부림 내면반지름을 철근지름의 5배 이상으로 하여야한다.
  3. 콘크리트 속에 일부가 묻혀 있는 철근은 현장에서 구부리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4. 큰 응력을 받는 곳에서 철근을 구부릴 때는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9%)
  • 정답은 "모든 철근은 가열해서 구부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입니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철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가열하지 않고도 구부릴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을 가열해서 구부리는 것이 원칙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도설계법에서 균형변형률 상태(균형보인 상태)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압축측 최외단 콘크리트의 응력은 fck이고, 철근의 변형률은 ES/fy에 도달한 상태
  2. 압축측 최외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0.003이고, 철근의 변형률은 fy/ES에 도달한 상태
  3. 압축측 최외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0.001이고, 철근의 변형률은 ES/fy에 도달한 상태
  4. 압축측 최외단 콘크리트의 응력은 0.75fck이고, 철근의 변형률은 fy/ES에 도달한 상태
(정답률: 81%)
  • 강도설계에서 균형변형률 상태란 구조물이 하중에 의해 변형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가 함께 변형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이 서로 같아지며, 이를 균형변형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압축측 최외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0.003이고, 철근의 변형률은 fy/ES에 도달한 상태"가 정답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균형변형률이 0.003이고, 철근의 균형변형률이 fy/ES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때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ES는 철근의 탄성계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섬유 보강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는 용도와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 및 활주로의 포장
  2. 중성자선의 차폐 재료
  3. 터널 라이닝
  4.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제품
(정답률: 36%)
  • 강섬유 보강콘크리트는 주로 도로 및 활주로의 포장, 터널 라이닝,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제품 등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중성자선의 차폐 재료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강섬유 보강콘크리트가 중성자선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중성자선은 전자나 양성자와는 달리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로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차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수한 재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중성자선의 차폐 재료로는 다른 재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의 전단 응력에 의한 균열에 대비해 보강된 철근이 아닌 것은?

  1. 굽힘 철근
  2. 경사 스터럽
  3. 수직 스터럽
  4. 조립 철근
(정답률: 50%)
  • 보의 전단 응력에 대한 균열은 보의 하중이 수직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이때 보강된 철근이 없으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강된 철근이 필요한데, 조립 철근은 다른 철근과 연결하여 보강할 수 있어 보강 효과가 높기 때문에 보의 전단 응력에 대한 균열에 대비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 이하의 철선이 사용될 때 최소 피복두께는?

  1. 20㎜
  2. 30㎜
  3. 40㎜
  4. 60㎜
(정답률: 55%)
  •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 이하의 철선이 사용될 때 최소 피복두께는 40㎜입니다. 이는 국내 건축기준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피복두께는 철근의 지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D16 이하의 지름은 16㎜ 이하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최소 피복두께는 40㎜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외부의 온도변화나 습도 등의 영향으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한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한다.
  4. 보의 휨을 받기 전에 생각한 임의의 단면을 휨을 받아 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그대로 평면을 유지한다.
(정답률: 32%)
  • 보의 휨을 받기 전에 생각한 임의의 단면을 휨을 받아 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그대로 평면을 유지한다. - 이는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인 "평면단면 가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가정은 구조물의 단면이 작아서 휨이 작용할 때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단면이 평면을 유지한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한다." - 이는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인 "중립면 가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가정은 구조물의 단면에서 중립면을 가정하고,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이 중립면으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을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 이는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인 "부착 가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가정은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이 완전하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힘을 철근과 콘크리트가 함께 받는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보의 극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한다." - 이는 강도 설계법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인 "단면의 균일한 응력 가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가정은 구조물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균일하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하고, 단면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모두 철근이 버틴다고 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장을 받는 곳에 겹침이음을 할 수 있는 철근은?

  1. D25
  2. D38
  3. D41
  4. D51
(정답률: 73%)
  • 인장을 받는 곳에서는 철근의 인장강도가 중요합니다. D25는 직경이 25mm인 철근으로, 인장강도가 235N/mm²입니다. 다른 보기들보다 직경이 작지만 인장강도는 비슷하거나 더 높기 때문에 인장을 받는 곳에서 겹침이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목구조물 설계 시 하중을 주하중, 부하중, 특수하중으로 분류할 때 주하중에 속하는 것은?

  1. 제동하중
  2. 풍하중
  3. 활하중
  4. 원심하중
(정답률: 50%)
  • 주하중은 구조물이 일상적으로 견딜 수 있는 하중을 말하며, 활하중은 인명이나 물건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일시적인 하중을 말합니다. 따라서 활하중은 주하중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슬래브의 종류에는 1방향 슬래브와 2방향 슬래브가 있다. 이를 구분하는 기준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부철근의 구조
  2. 슬래브의 두께
  3. 지지하는 경계 조건
  4. 기둥의 높이
(정답률: 38%)
  • 슬래브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은 슬래브가 받는 하중의 방향과 크기이다. 1방향 슬래브는 일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반면, 2방향 슬래브는 양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이러한 슬래브의 종류는 지지하는 경계 조건과 가장 관계가 깊다. 지지하는 경계 조건은 슬래브가 받는 하중을 기둥이나 벽 등으로 전달하는 조건으로, 이 조건에 따라 슬래브의 종류와 두께가 결정된다. 따라서, 슬래브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지지하는 경계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목 구조물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다.
  2. 공용기간이 짧다.
  3. 다량생산이 아니다.
  4. 대부분 자연환경 속에 놓인다.
(정답률: 84%)
  • 공용기간이 짧다는 것은 토목 구조물이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축물과는 달리 토목 구조물이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어서 노후화와 부식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목 구조물은 설계 단계부터 내구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옹벽의 역할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교량의 받침대 역할을 한다.
  2. 비탈면에서 흙이 무너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 상하수도관으로 활용된다.
  4. 도로의 측구 역할을 한다.
(정답률: 71%)
  • 옹벽은 비탈면에서 흙이 무너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옹벽이 지형을 지탱하고, 지면의 경사를 완만하게 만들어서 흙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무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자중에 의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옹벽의 종류는?

  1. 캔틸레버식 옹벽
  2. 중력식 옹벽
  3. 앞부벽식 옹벽
  4. 뒷부벽식 옹벽
(정답률: 73%)
  • 중력식 옹벽은 무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자체 무게와 중력에 의해 안정을 유지하는 옹벽입니다. 따라서 지반의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강구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에 비해 품질 관리가 어렵다.
  2. 재료의 세기, 즉 강도가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작다.
  3. 콘크리트에 비해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4. 콘크리트에 비해 부재의 치수가 크게 된다.
(정답률: 52%)
  • 강구조는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부재의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며, 빠른 시간 내에 공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교각에 작용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은?

  1. 기둥
  2. 옹벽
  3. 슬래브
  4. 확대기초
(정답률: 40%)
  • 교각에 작용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반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지반의 분산력을 높이기 위한 넓은 지지면적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확대기초를 설치합니다. 확대기초는 일반적인 기초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교각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확대기초를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PS 강제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또 콘크리트에 부착시키기 위해 시스 안에 시멘트 풀 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그라우팅
  2. 덕트
  3. 프레시네
  4. 디비다그
(정답률: 78%)
  • 그라우팅은 시멘트 풀 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콘크리트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그라우팅입니다. 다른 보기인 덕트, 프레시네, 디비다그는 이와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구성이, 내화성, 내진성이 우수하다.
  2.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기 쉽다.
  3. 다른 구조물에 비하여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든다.
  4. 비교적 경량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65%)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강철과 콘크리트의 조합으로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화성과 내진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기 쉽고, 다른 구조물에 비하여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듭니다. 이 중에서 비교적 경량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무거운 구조물에 비해 더 가볍고, 따라서 건축물의 총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천, 계곡, 해협 등에 가설하여 교통소통을 위한 구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교량
  2. 옹벽
  3. 슬래브
  4. 기둥
(정답률: 80%)
  • 하천, 계곡, 해협 등을 가로지르는 구조물로서, 교통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교량입니다. 다른 보기인 옹벽, 슬래브, 기둥은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이지만, 교량 자체를 나타내는 용어는 교량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목 구조물의 설계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용 외력에 대한 구조물의 안정성
  2. 구조물 사용의 관리성과 내구성
  3. 토목 구조물로서의 희소적 가치
  4. 구조물 유지 보수의 경제성
(정답률: 75%)
  • 토목 구조물로서의 희소적 가치는 구조물의 설계와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이는 구조물이 단순히 건축물이나 교통시설로서의 기능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문화유산이나 예술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희소적 가치는 구조물의 설계와는 별개로 고려되어야 하며, 문화유산 보존 등의 목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양안에 주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케이블을 걸어 여기에 보강형 또는 봉강 트러스를 매단 형식의 교량은?

  1. 아치교
  2. 현수교
  3. 연속교
  4. 라멘교
(정답률: 60%)
  • 주어진 보기 중에서 현수교는 양안에 주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케이블을 걸어 보강형 또는 봉강 트러스를 매단 형식의 교량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아치교, 연속교, 라멘교는 이와 다른 형태의 교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토목 구조물의 재료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구조물의 종류
  2. 재료 생산 업체
  3. 재료구입의 난이도
  4. 완성 후의 유지 관리비
(정답률: 46%)
  • 재료 생산 업체는 토목 구조물의 재료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구조물의 종류, 재료구입의 난이도, 완성 후의 유지 관리비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재료 생산 업체는 단지 재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구조물의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재료 생산 업체는 재료의 품질과 가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2개 이상의 기둥을 1개의 확대 기초로 지지하도록 만든 확대 기초는?

  1. 경사 확대기초
  2. 독립 확대기초
  3. 연결 확대기초
  4. 계단식 확대기초
(정답률: 71%)
  • 연결 확대기초는 2개 이상의 기둥을 1개의 확대 기초로 지지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이는 기둥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작용하게 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연결 확대기초는 다른 확대 기초들보다 더욱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도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괴상태 또는 파괴에 가까운 상태에 있는 구조물의 계산상 강도를 공칭강도라 한다.
  2. 공칭강도(Sn)에 강도감소계수(ø)를 곱하여 설계강도를 나타낸다.
  3. 계수하중에 의해 계산된 부재의 강도를 소요강도라 한다.
  4. "설계강도 < 소요강도"로 단면을 결정하는 설계방법이다.
(정답률: 39%)
  • 정답은 "설계강도 < 소요강도"로 단면을 결정하는 설계방법이다.

    설계강도는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하여 구하며, 이는 파괴에 가까운 상태에 있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고려한 값이다. 소요강도는 계수하중에 의해 계산된 부재의 강도를 나타내며, 이는 부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고려한 값이다.

    따라서, 설계강도는 부재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소요강도는 부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설계강도는 소요강도보다 작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면의 작성 방법에서 원도를 그리는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도면의 구성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
  2.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
  3. 도면의 배치 → 도면의 구성 → 도면의 검토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4.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도면의 검토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정답률: 70%)
  • 도면의 작성은 논리적인 순서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도면의 구성을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에 도면의 배치를 정하고, 선을 긋고, 글자와 기호를 쓰고, 마지막으로 도면을 검토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순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면의 구성 → 도면의 배치 → 선 긋기 → 글자 및 기호쓰기 → 도면의 검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면에 사용되는 글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문장은 가로 왼쪽부터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글자의 크기는 높이로 나타낸다.
  3.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4. 글자는 수직 또는 수직에서 35°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
(정답률: 90%)
  • "문장은 가로 왼쪽부터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문장은 가로 왼쪽부터 쓰는 것이 아니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글자는 수직 또는 수직에서 35°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쓰는 이유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수직으로 쓰면 글자 간 간격이 좁아지고, 글자가 서로 뒤섞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간의 경사를 주어 글자 간 간격을 넓히고, 글자를 더욱 뚜렷하게 보이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제도용지 A2의 규격으로 옳은 것은?(단, 단위 ㎜)

  1. 841×1189
  2. 420×594
  3. 515×728
  4. 210×297
(정답률: 74%)
  • 제도용지 A2의 규격은 420×594mm입니다.

    제도용지는 국제표준인 ISO 216에 따라 A0부터 A10까지 크기가 정해져 있습니다. A0의 크기는 841×1189mm이며, 이를 반으로 접으면 A1, 다시 반으로 접으면 A2가 됩니다. 따라서 A2의 크기는 A0의 가로와 세로를 각각 반으로 나눈 값인 420×594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로평면도에서 선형요소를 기입할 때 교점을 나타내는 기호는?

  1. B.C
  2. E.C
  3. I.P
  4. T.L
(정답률: 50%)
  • 도로평면도에서 선형요소를 기입할 때 교점을 나타내는 기호는 "I.P"입니다. "I.P"는 Intersection Point의 약자로, 교차로나 신호등 등 교차하는 지점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B.C"는 Beginning of Curve, "E.C"는 End of Curve, "T.L"은 Tangent Length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곡선의 시작점, 끝점, 그리고 곡선과 접하는 직선의 길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교점을 나타내는 "I.P"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제도에서 투상법은 보는 방법과 그리는 방법을 일정한 규칙에 따르게 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투상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투상법
  2. 구조투상법
  3. 등각투상법
  4. 사투상법
(정답률: 68%)
  • 구조투상법은 투상법의 종류가 아니라 구조물의 형태와 크기를 그대로 나타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투상법은 모두 보는 방법과 그리는 방법에 일정한 규칙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선의 접속 방법으로 틀린 것은?

(정답률: 74%)
  • 선의 접속 방법으로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는 올바른 선의 접속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은 두 개의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연결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면의 작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그림은 간단히 하고, 중복을 피한다.
  2. 대칭적인 것은 중심선의 한쪽에 외형도, 반대쪽은 단면도로 표시할 수 있다.
  3. 경사면을 가진 구조물의 표시는 경사면 부분만의 보조도를 넣을 수 있다.
  4. 보이는 부분은 굵은 실선으로 하고, 숨겨진 부분은 가는 실선으로 하여 구분한다.
(정답률: 75%)
  • 보기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도면에서 보이는 부분과 숨겨진 부분을 구분하는 것은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보이는 부분은 직접적으로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숨겨진 부분은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보이는 부분은 굵은 실선으로, 숨겨진 부분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여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에서 치수기입 방법이 틀린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②"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치수선이 물체의 중심을 가로지르지 않고, 물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치수선이 물체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모두 치수선이 물체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있으며, 물체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인 토목구조물 제도에서 도면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단면도를 중심으로 저판 배근도는 하부에 그린다.
  2. 단면도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벽체 배근도를 그린다.
  3. 도면 상단에는 도면 명칭을 도면 크기에 알맞게 기입한다.
  4. 일반도는 단면도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그린다.
(정답률: 38%)
  • 일반도는 구조물의 전반적인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단면도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구조물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그립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크기와 위치, 배치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토목제도에 있어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으면 무슨 치수로 표시하는가?

  1. 완성치수
  2. 재료치수
  3. 재단치수
  4. 가상치수
(정답률: 54%)
  • 토목제도에서는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완성된 크기를 중요시하므로, 치수를 표시할 때는 완성치수를 사용합니다. 완성치수는 건축물이나 구조물이 완성된 후의 크기를 의미하며, 설계 시에는 이를 기준으로 계획하게 됩니다. 따라서 토목제도에서는 완성치수를 사용하여 치수를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다음 중 실선으로 표시하지 않는 것은?

  1. 치수선
  2. 지시선
  3. 인출선
  4. 가상선
(정답률: 77%)
  • 가상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선으로, 부품이나 제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상선은 실선으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면을 그릴 때 좌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좌표방법은?

  1. 절대 좌표
  2. 상대 좌표
  3. 극 좌표
  4. 원 좌표
(정답률: 56%)
  • 절대 좌표는 도면의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좌표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데 비해, 절대 좌표는 도면의 크기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나타내므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따라서 도면을 그릴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좌표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철근의 용접 이음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86%)
  • 철근의 용접 이음은 ""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이음부의 형태가 T자형으로, 두 개의 철근이 수직으로 만나는 부분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철근의 연결, 각도의 조절, 철근의 고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철근의 표시법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ø13 - 반지름 13㎜의 원형철근
  2. D16 - 공칭지름 16㎜의 이형철근
  3. H16 - 높이 16㎜의 고강도 이형철근
  4. ø13 - 공칭지름 13㎜의 이형철근
(정답률: 61%)
  • 정답은 "D16 - 공칭지름 16㎜의 이형철근" 입니다.

    철근의 표시법은 철근의 종류와 크기를 나타내는 표기법입니다. 철근의 종류는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나뉘며, 크기는 공칭지름 또는 높이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ø13 - 반지름 13㎜의 원형철근"은 원형철근이며, 반지름이 13㎜인 것을 나타냅니다. "H16 - 높이 16㎜의 고강도 이형철근"은 이형철근이며, 높이가 16㎜인 것을 나타내지만, H16은 철근의 표기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ø13 - 공칭지름 13㎜의 이형철근"은 공칭지름이 13㎜인 이형철근으로, 표기법이 맞지만, 정답은 D16입니다.

    D16은 공칭지름이 16㎜인 이형철근을 나타내며, D는 Deformed의 약자로, 철근의 표면에 불규칙한 돌출부가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D16은 공칭지름이 16㎜이고, 표면에 불규칙한 돌출부가 있는 이형철근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콘크리트 재료의 단면 표시는?

(정답률: 8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주로 강철재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강철재와 콘크리트의 단면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강철재와 콘크리트의 단면을 함께 보여주는 ""가 콘크리트 재료의 단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체 투상도에서 제3상한이 물체를 놓고 투상하는 방법의 투상법은?

  1. 제1각법
  2. 제3각법
  3. 축측 투상법
  4. 사투상법
(정답률: 72%)
  • 입체 투상도에서 제3상한은 물체를 놓고 투상할 때, 물체와 제3상한 사이에 수직인 평면을 투영면으로 삼고, 이 평면과 제3상한의 교점을 투상점으로 하는 투상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체의 크기와 거리에 관계없이 정확한 투상을 얻을 수 있으며, 입체 투상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상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3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면 중 일반적으로 배근도라고도 하며, 현장에서는 이 도면에 따라 철근의 가공, 배치 등을 행하는 중요한 도면은?

  1. 일반도
  2. 평면도
  3. 구조도
  4. 상세도
(정답률: 54%)
  •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면 중 배근도는 철근의 가공, 배치 등을 행하는 중요한 도면입니다. 이러한 배근도를 포함하여 구조물의 전반적인 구조와 상세한 부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 구조도입니다. 따라서 구조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면의 크기 중 A4 크기의 2배가 되는 도면은?

  1. A5
  2. A3
  3. B4
  4. B3
(정답률: 72%)
  • A4 크기의 2배는 A3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A4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2배로 늘리면 A3의 크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윤곽 및 윤곽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윤곽의 나비는 A0 크기에 대하여 최소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윤곽의 나비는 A1 크기에 대하여 최소 10m인 것이 바람직하다.
  3.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윤곽선은 최소 0.5㎜ 이상 두께의 실선으로 그린다.
  4. 도면을 철하기 위한 구멍 뚫기의 여유는 최소 나비 20㎜(윤곽선 포함)로 표제란에서 가장 떨어진 왼쪽 끝에 둔다.
(정답률: 58%)
  • "윤곽의 나비는 A1 크기에 대하여 최소 10m인 것이 바람직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윤곽의 나비는 A0 크기에 대하여 최소 20㎜인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유는 큰 도면일수록 작은 나비로 인해 윤곽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 중 암반면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4%)
  • 암반은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안정적인 지반으로, 재료 단면에서 암반면을 나타내는 것은 안정적인 지반을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에서 CAD시스템의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모니터
  2. 디지타이저
  3. 프린터
  4. 플로터
(정답률: 40%)
  • CAD시스템의 출력장치는 모니터, 프린터, 플로터이지만, 디지타이저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출력장치가 아닙니다. 디지타이저는 손으로 그린 그림이나 도면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KS의 부문별 기호 중 토목건축 부문의 기호는?

  1. KS C
  2. KS D
  3. KS E
  4. KS F
(정답률: 89%)
  • KS F는 토목건축 부문의 기호입니다. KS C는 화학공업 부문, KS D는 기계공학 부문, KS E는 전기전자통신 부문을 나타내며, KS F는 건축공학 및 토목공학 부문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토목건축 부문의 기호는 KS 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철근의 기호 표시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영문의 대소문자의 구분은 무시한다.)

  1. W : 기초
  2. H : 헌치
  3. I : 벽체
  4. K : 슬래브
(정답률: 60%)
  • 철근의 기호 표시에서 H은 "헌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철근의 형상이 H자 모양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W는 "기초"를 나타내는데, 이는 철근이 기초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I는 "벽체"를 나타내는데, 이는 철근이 벽체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K는 "슬래브"를 나타내는데, 이는 철근이 슬래브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의 형상과 가장 유사한 H가 "헌치"를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기호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근의 표시법으로 @400 C.T.C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전장 40mm를 중심에서 절단 할 것
  2. 철근 지름이 40mm인 것을 배치할 것
  3.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이 400mm가 되도록 할 것
  4. 철근을 400mm 지점에서 겹침이음 할 것
(정답률: 66%)
  • @400 C.T.C는 "center to center"의 약어로,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표시법입니다. 따라서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이 400mm가 되도록 할 것"이라는 것은 철근을 400mm 간격으로 배치하라는 뜻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국제 표준화 기구의 표준 규격 기호는?

  1. ISO
  2. JIS
  3. NASA
  4. ASA
(정답률: 85%)
  • 국제 표준화 기구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이를 줄여서 ISO로 표기합니다. 따라서 국제 표준화 기구의 표준 규격 기호는 ISO입니다. JIS는 일본 산업 표준화 기구의 표준 규격 기호이며, NASA와 ASA는 미국의 우주항공 기관과 항공우주학회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선의 굵기 비율 중 가는선 : 굵은 선 : 아주 굵은 선의 비율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 : 2 : 3
  2. 1 : 2 : 4
  3. 1 : 2 : 5
  4. 1 : 3 : 6
(정답률: 74%)
  • 가는 선의 굵기를 1이라고 가정하면, 굵은 선은 2배, 아주 굵은 선은 4배가 되므로 비율은 1 : 2 : 4이다. 따라서 정답은 "1 : 2 :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높은 정밀도
  2. 생산성 향상
  3. 신뢰성의 향상
  4. 사업의 타당성 향상
(정답률: 67%)
  • CAD 시스템을 도입하면 제품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 높은 정밀도와 생산성 향상, 그리고 신뢰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에 큰 기여를 하게 됩니다. 또한, CAD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어 사업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면제도에 있어서 등고선의 종류 중 지형표시의 기본이 되는 선으로 가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은?

  1. 계곡선
  2. 주곡선
  3. 간곡선
  4. 조곡선
(정답률: 48%)
  • 주곡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내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선으로, 지형의 높이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형표시의 기본이 되는 등고선으로 가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주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거푸집의 크기 가로×세로×높이가 3m×2m×1m인 경우 이 안에 콘크리트를 손실 없이 채워 넣을 경우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은 약 얼마가 되는가? (단,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3t/m3로 가정한다.)

  1. 2.3t
  2. 5.2t
  3. 6.0t
  4. 13.8t
(정답률: 57%)
  • 거푸집의 부피는 가로×세로×높이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3m×2m×1m = 6m3이다. 이 부피만큼 콘크리트를 채워 넣으면 된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이 2.3t/m3이므로, 6m3당 2.3t의 콘크리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6×2.3 = 13.8t의 콘크리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3.8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목제도의 단면 표시에서 자연석을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4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해당 단면 표시에서 자연석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콘크리트나 철근 등의 인공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