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단철근의 형태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터럽과 굽힘철근의 조합
  2. 주철근에 15° 이하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3. 주인장 철근에 30°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4. 주인장 철근에 45°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정답률: 59%)
  • 전단력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아니기 때문에, 스터럽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철근은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주철근에 15° 이하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은 옳지 않은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실제 시험에 의한 설계기준강도(ƒck)와 압축강도의 표준편차(s)를 구했을 때 배합강도(ƒcr)를 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ƒcr≤35㎫인 경우)

  1. ƒcrck+1.34s[㎫],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2. ƒcrck+1.34s[㎫],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
  3. ƒcrck+1.64s[㎫], ƒcr=(0.85ƒck+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4. ƒcrck+1.64s[㎫], ƒcr=(0.85ƒck+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
(정답률: 62%)
  • 콘크리트의 강도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시험에 의한 설계기준강도(ƒck)와 압축강도의 표준편차(s)를 이용하여 배합강도(ƒcr)를 추정해야 합니다. 이때, ƒcrck+1.34s[㎫]와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ƒcrck+1.34s[㎫]의 경우,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배합강도가 설계기준강도에 가까워지므로,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1.34s의 값이 작아져서 배합강도가 설계기준강도에 가까워집니다. 따라서,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ƒcrck+1.34s[㎫]의 값이 작아져서, 더 작은 값이 됩니다.
    - ƒcr=(ƒck-3.5)+2.33s[㎫]의 경우,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배합강도가 설계기준강도에 가까워지므로,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2.33s의 값이 작아져서 배합강도가 설계기준강도에 가까워집니다. 하지만, ƒck에서 3.5를 뺀 값이 작아지므로,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ƒcr=(ƒck-3.5)+2.33s[㎫]의 값이 작아지지 않고, 오히려 커져서, 더 큰 값이 됩니다.

    따라서, ƒcrck+1.34s[㎫]와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터럽과 띠철근에서 90° 표준갈고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D16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연장하여야 한다.
  2. D19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3배 이상 연장하여야 한다.
  3. D22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연장하여야 한다.
  4. D25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3배 이상 연장하여야 한다.
(정답률: 30%)
  • 정답은 "D16 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연장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구부린 끝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갈고리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강도가 떨어지거나 갈고리가 빠져서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지름의 6배 이상 연장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되어 규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의 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령 28일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설계기준강도로 한다.
  2.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1/10~1/13 정도이다.
  3. 콘크리트의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1/5~1/8 정도이다.
  4. 인장 강도는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의 품질 결정에 이용된다.
(정답률: 59%)
  • "인장 강도는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의 품질 결정에 이용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인장 강도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의 경우 인장 강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차량의 무게와 충격에 견딜 수 없어 빠른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장 강도는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의 품질 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입도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골재는 크고 작은 알이 알맞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표준 범위 내인가를 확인한다.
  2. 입도가 잔골재의 표준 입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두 종류 이상의 잔골재를 혼합하여 입도를 조정하여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조립률의 범위는 5.0 이상인 것이 좋다.
  4. 조립률은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한 방법이다.
(정답률: 66%)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조립률의 범위는 5.0 이상인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조립률은 2.5 이상이면 충분하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b=400㎜, a=100㎜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ƒck = 25㎫ 일 때 콘크리트의 전압축력을 강도설계법으로 구한 값은? (단, b:부재의 폭(㎜), ƒck:콘크리트설계기준강도, a: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 분포의 깊이(㎜)

  1. 700KN
  2. 800KN
  3. 850KN
  4. 1000KN
(정답률: 44%)
  • 강도설계법에 따라 콘크리트의 전압축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ƒc = 0.85 × ƒck

    여기서 ƒck = 25㎫ 이므로,

    ƒc = 0.85 × 25㎫ = 21.25㎫

    따라서, 콘크리트의 전압축력은 21.25㎫입니다.

    단, 이 문제에서는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크기와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 분포의 깊이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전체 구조물의 하중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전압축력을 구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 콘크리트의 전압축력은 약 850K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목 재료로서의 콘크리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나 구조물의 크기를 마음대로 만들 수 있다.
  2. 압축 강도와 내구성이 크다.
  3. 재료의 운반과 시공이 쉽다.
  4. 압축 강도에 비해 인장 강도가 크다.
(정답률: 73%)
  • "압축 강도에 비해 인장 강도가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콘크리트의 단점 중 하나로, 인장력에 대한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큰 스팬이나 굽은 형태의 부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강철과 함께 사용되어 강도와 내구성을 보완하는 형태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근콘크리트 보를 강도 설계법으로 설계할 경우 필요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가 파괴를 일으킬 때 압축 축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최대 변형률은 0.003이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며 그 경계면에서 상대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보의 극한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고려한다.
  4. 보에서 임의의 단면이 휨을 받기 전에 평면이었다면 휨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정답률: 54%)
  • "보에서 임의의 단면이 휨을 받기 전에 평면이었다면 휨변형을 일으킨 뒤에도 평면을 유지한다."는 가정이 옳지 않습니다.

    보가 휨을 받으면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철근은 인장력을 받습니다. 이 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지 않으면 콘크리트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의 극한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원칙적으로 겹침이음을 하여서는 안 되는 철근은?

  1. D19 미만의 철근
  2. D25 이상의 철근
  3. D32 이하의 철근
  4. D35 초과의 철근`
(정답률: 78%)
  • 겹침이음을 하면 강도감소와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겹침이음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겹침이음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겹침이음을 하면 안 되는 철근은 강도가 높은 철근입니다. D35 초과의 철근은 강도가 높아 겹침이음을 하면 강도감소와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겹침이음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밀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을 되도록 적게 한다.
  2. 물-결합재비를 되도록 적게 한다.
  3. 단위 굵은 골재량을 되도록 크게 한다.
  4. AE제를 사용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53%)
  • AE제는 공기 삽입제로,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삽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밀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은 "AE제를 사용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철근 구부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은 상온에서 구부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콘크리트 속에 일부가 묻혀 있는 철근은 현장에서 임의로 구부리지 않도록 한다.
  3. 구부린 철근을 큰 응력을 받는 곳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구부림 내면 반지지름을 더 작게 하여야 한다.
  4. D16 이하의 스터럽과 띠철근으로 사용하는 표준 갈고리의 구부림 내면 반지름은 철근 공칭지름의 2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9%)
  • "구부린 철근을 큰 응력을 받는 곳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구부림 내면 반지지름을 더 작게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오히려 구부린 철근을 큰 응력을 받는 곳에 배치할 때는 구부림 내면 반지름을 더 크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구부린 부분이 응력 집중이 일어나는 지점이기 때문에 내면 반지름을 크게 해서 응력을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철근을 소요두께의 콘크리트로 덮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철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3. 부착응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4. 내화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정답률: 61%)
  • 철근을 소요두께의 콘크리트로 덮는 이유는 부착응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철근과 콘크리트가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강화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공의 편의를 위해서라는 이유는 부착응력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과 콘크리트를 밀착시키기 위해 콘크리트를 철근 주변에 밀어넣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철근을 덮는 것이 시공상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철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나 내화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도 콘크리트를 덮을 수 있지만, 이는 부착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한 이유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압축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에서 지름이 6㎜ 이상이고, 나선간격이 100㎜ 이하인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에 대한 감소량은?

  1. 20%
  2. 25%
  3. 27%
  4. 33%
(정답률: 48%)
  •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에 대한 감소량은 나선철근의 나선간격이 작을수록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나선간격이 최소인 경우인 100㎜으로 가정하면, 이형철근의 횡단면적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압축이 작용할 때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나선철근이 없는 경우의 25%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둥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1배 이상인 압축재
  2.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2배 이상인 압축재
  3.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3배 이상인 압축재
  4.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4배 이상인 압축재
(정답률: 49%)
  • 기둥은 압축력을 받아도 변형이 적은 구조물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와 높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3배 이상인 압축재가 기둥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철근을 2단 이상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그 연직 순간격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62%)
  • 주철근을 2단 이상으로 배치할 경우, 각 층의 철근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서는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이는 철근의 겹침으로 인한 강도 감소를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주철근을 2단 이상으로 배치할 경우 연직 순간격은 최소 25㎜ 이상으로 두어야 합니다. 이는 국내 건축기준에서 규정한 최소 간격이며, 구조물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따라 더 넓은 간격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구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구성이 우수하다.
  2. 재료의 균질성을 가지고 있다.
  3. 차량 통행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4.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진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정답률: 81%)
  • "차량 통행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강구조의 특징으로 옳지 않습니다. 강구조는 차량 통행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강구조가 소음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구조 주변에 소음 방지 시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폭 b=400㎜, 유효 깊이 d=500㎜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인장 철근비는? (단, 철근의 단면적 As=5000mm2)

  1. 0.015
  2. 0.025
  3. 0.035
  4. 0.045
(정답률: 61%)
  • 인장 철근비는 인장 철근의 단면적을 전체 단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보의 전체 단면적은 b*d=400*500=200000mm^2입니다. 인장 철근의 단면적은 As=5000mm^2이므로, 인장 철근비는 As/(b*d)=5000/(400*500)=0.02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0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목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구조, 강 구조, 콘크리트와 강재의 합성 구조로 나누는 것은 무엇에 따른 분류인가?

  1.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2. 사용재료에 따른 분류
  3. 시공방법에 따른 분류
  4. 시공비용에 따른 분류
(정답률: 54%)
  • 콘크리트 구조, 강 구조, 콘크리트와 강재의 합성 구조는 모두 토목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분류된다. 따라서 "사용재료에 따른 분류"가 정답이다.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경제성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가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독립 확대 기초의 크기가 2m x 3m이고 허용 지지력이 20KN/m2일 때,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1. 60KN
  2. 80KN
  3. 120KN
  4. 150KN
(정답률: 85%)
  • 독립 확대 기초의 허용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허용 하중 = 허용 지지력 x 기초 면적

    = 20KN/m2 x (2m x 3m)

    = 120KN

    따라서,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120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세계 토목 구조물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원전 1~2세기경 아치교의 발달 - 프랑스의 가르교
  2. 9~10세기경 미적, 구조적 변화 - 영국의 런던교
  3. 15세기 조선시대 건설 - 청계천의 수표교
  4. 21세기 신소재 신장비의 개발 - 미국의 금문교
(정답률: 51%)
  • "21세기 신소재 신장비의 개발 - 미국의 금문교"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금문교는 19세기에 건설되었으며, 21세기에 개발된 신소재와 신장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압축 부재에서 나선 철근비(Ps) 계산 시 설계 기준 항복강도(ƒyt)의 최대 허용값은?

  1. 300㎫
  2. 500㎫
  3. 700㎫
  4. 900㎫
(정답률: 30%)
  • 압축 부재에서 나선 철근비(Ps) 계산 시 사용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s = 0.85 × ƒyt × As / γs

    여기서 ƒyt는 설계 기준 항복강도이며, 최대 허용값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철근의 최대 항복강도를 50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국내 건축법에서 철근의 최대 항복강도를 70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 부재에서 나선 철근비(Ps) 계산 시에는 ƒyt의 최대 허용값으로 700㎫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탑과 경사로 배치되어 있는 인장 케이블 및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판은 주탑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케이블로 지지되어 있는 형태의 교량은?

  1. 사장교
  2. 라멘교
  3. 아치교
  4. 현수교
(정답률: 63%)
  • 주탑과 경사로 배치되어 있는 인장 케이블 및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판은 주탑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케이블로 지지되어 있는 형태는 사장교입니다. 사장교는 주탑과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케이블로 지지되어 있어서 경량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대처하기 어려운 지형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재료 중 단위 질량이 가장 큰 것은?

  1. 강재
  2. 역청재
  3. 콘크리트
  4. 철근 콘크리트
(정답률: 46%)
  • 강재는 다른 재료들에 비해 단위 질량이 가장 큽니다. 이는 강재가 철과 다른 원소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부피의 다른 재료들보다 더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 철근은 무엇인가?

  1. 복부 철근
  2. 이형 철근
  3. 원형 철근
  4. 띠철근
(정답률: 58%)
  •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 철근은 전단철근입니다. 이 중에서도 띠철근은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띠철근은 원형 철근과 달리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 철근으로는 띠철근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설계 하중에서 특수 하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설하중
  2. 충돌 하중
  3. 제동 하중
  4. 온도 변화와 영향
(정답률: 53%)
  • 설계 하중은 건축물이나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계산하여 적용하는 것이며, 이 중에서 온도 변화와 영향은 특수 하중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건축물이나 구조물이 노출된 환경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면 그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변화와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슬래브는 주철근 방향과 90° 방향으로 배력 철근을 설치한다. 그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열을 집중시켜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하여
  2. 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3. 주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4.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38%)
  • 슬래브에서 배력 철근을 주철근 방향과 90°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입니다. 이렇게 하면 슬래브 전체에 걸쳐 응력이 고르게 분포되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균열을 집중시켜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하여"라는 이유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목 구조물 건설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로 국가가 주관하여 건설한다.
  2. 주로 자연을 대상으로 건설한다.
  3. 주로 개인의 주체로 건설한다.
  4. 주로 국민의 이익을 목적으로 건설한다.
(정답률: 80%)
  • 정답: "주로 개인의 주체로 건설한다."

    해설: 토목 구조물 건설은 대부분 국가나 공공기관이 주도하여 건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대규모의 자금과 기술, 인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인이 주체로 건설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옹벽 설계 시 앞부벽은 무슨 보로 설계하는가?

  1. T형 보
  2. L형 보
  3. 직사각형 보
  4. 정사각형 보
(정답률: 36%)
  • 앞부분은 벽체의 무게와 압력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부분이므로, 강도와 안정성이 높은 직사각형 보로 설계하여 벽체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 직사각형 보는 단단하고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벽체의 무게와 압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옹벽 설계 시 앞부벽은 직사각형 보로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포스트 텐션 방식에서 정착 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쐐기 작용을 이용하는 방법
  2. 너트를 사용하는 방법
  3. 리벳 머리에 의한 방법
  4. 소일 네일링에 의한 방법
(정답률: 45%)
  • 소일 네일링은 포스트 텐션 방식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소일 네일링은 일반적으로 나무나 석재 등의 재료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콘크리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소일 네일링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 보기에 대한 토목 구조물의 설계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률: 39%)
  • 정답은 "㉤ → ㉢ → ㉡ → ㉣ → ㉠" 입니다.

    먼저, 구조물의 설계는 기본적으로 계획서 작성부터 시작됩니다. 따라서 ㉤에서는 계획서 작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음으로, ㉢에서는 구조물의 기본적인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고, ㉡에서는 구조물의 하중과 내력을 계산하여 안전성을 검토합니다.

    그 다음, ㉣에서는 구조물의 세부적인 디자인과 강도 등을 고려하여 상세한 설계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에서는 구조물의 시공과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설계를 완성합니다.

    따라서, "㉤ → ㉢ → ㉡ → ㉣ → ㉠"가 가장 적합한 설계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AD 작업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의 수정, 보완이 편리하다.
  2. 도면의 관리, 보관이 편리하다.
  3. 도면의 분석, 제작이 정확하다.
  4. 도면의 크기 설정, 축척 변경이 어렵다.
(정답률: 82%)
  • 도면의 크기 설정과 축척 변경은 CAD 소프트웨어에서 매우 쉽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도면의 크기 설정, 축척 변경이 어렵다"는 특징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천 측량 제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평면도
  2. 구조도
  3. 종단면도
  4. 횡단면도
(정답률: 43%)
  • 하천 측량 제도는 하천의 지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측량 방법으로,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구조도는 하천의 지반 구조와 지층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천 측량 제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조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나의 시점과 물체의 각 점을 방사선으로 이어서 그리는 도법은?

  1. 투시도법
  2. 구조 투상도법
  3. 부등각 투상법
  4. 축측 투상도법
(정답률: 51%)
  • 하나의 시점에서 물체의 각 점을 직선으로 이어서 그리는 도법을 투시도법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체의 실제 크기와 거리를 고려하여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현실적이고 정확한 그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시도법이 다른 도법들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정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이유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콘크리트를 표시하는 기호는?

(정답률: 78%)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콘크리트를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로,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이 섞여서 굳어진 모양을 나타냅니다. 다른 기호들은 각각 철근, 목재, 벽돌 등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치수 기입 중 SR40 이 의미하는 것은?

  1. 반지름 40㎜인 원
  2. 반지름 40㎜인 구
  3. 한변이 40㎜인 정사각형
  4. 한변이 40㎜인 정삼각형
(정답률: 68%)
  • SR40은 "Sphere Radius 40mm"의 약자로, 반지름이 40mm인 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지름 40㎜인 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컴퓨터 하드웨어의 처리절차에서 괄호에 가장 적당한 것은?

  1. 처리
  2. 저장
  3. 명령
  4. 이동
(정답률: 58%)
  • 괄호 안의 동작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처리"가 가장 적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명령을 실행하거나 이동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이기 때문에 괄호 안에 들어가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물체를 '눈 → 투상면 → 물체' 의 순서로 놓는 정투상법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69%)
  • 제3각법은 물체를 눈에서 바라보는 시선과 수직인 투상면에 놓고, 이를 통해 물체를 투영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실제로 사진 촬영이나 그림 그리기에서도 많이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제3각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보통의 공장 리벳 표시로 알맞은 것은?

  1. ×
(정답률: 34%)
  • 정답은 "○"입니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사용하는 리벳 표시는 "○" 모양입니다. 이는 리벳이 제대로 고정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로, 시각적으로도 눈에 잘 띄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나 "◎"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은 무엇을 작도하기 위한 것인?

  1.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소 삼각형
  2.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대 삼각형
  3.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
  4.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소 직사각형
(정답률: 64%)
  • 그림은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을 작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유는 삼각형의 내각이 120도이므로, 삼각형의 한 변을 정사각형의 대각선으로 놓으면, 정사각형의 한 변은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1/√3배가 됩니다. 따라서,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을 구하려면,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3배로 늘린 후, 외접하는 정사각형을 그리고, 이 정사각형의 대각선을 삼각형의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을 그리면 됩니다. 이때, 그려진 정사각형은 삼각형에 내접하며, 그 변의 길이는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3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투상법은 보는 방법과 그리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투상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투상법
  2. 사투상법
  3. 등각 투상법
  4. 구조 투상법
(정답률: 74%)
  • 구조 투상법은 보는 방법이나 그리는 방법이 아니라, 대상의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투상법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CAD시스템에서 입력 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태블릿
  2. 키보드
  3. 디지타이져
  4. 플로터
(정답률: 71%)
  • 플로터는 출력 장치이기 때문에 입력 장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입력 장치는 데이터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장치이고, 출력 장치는 시스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플로터는 출력 장치에 해당하므로 입력 장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의 종류 중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은?

  1. 일점쇄선
  2. 파선
  3. 이점쇄선
  4. 실선
(정답률: 86%)
  •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은 파선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절단선이나 단면선 등으로 사용되며, 실선보다는 더 가벼운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점쇄선과 이점쇄선은 점선으로 표시되며, 보통 점선은 절단면이나 단면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림은 간단히 하고, 중복을 피한다.
  2. 대칭적인 것은 중심선의 한쪽을 외형도, 반대쪽을 단면도로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경사면을 가진 구조물에서 그 경사면의 모양을 표시하기 위하여 경사면 부분의 보조도를 넣을 수 있다.
  4. 보이는 부분은 파선으로 표시하고 숨겨진 부분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81%)
  • 옳지 않은 것은 "보이는 부분은 파선으로 표시하고 숨겨진 부분은 실선으로 표시한다."이다. 오히려 보이는 부분은 실선으로, 숨겨진 부분은 파선으로 표시한다. 이는 그림을 보는 사람이 구조물의 형태와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면 중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에 해당하는 것은?

  1. 일반도
  2. 상세도
  3. 구조도
  4. 배근도
(정답률: 59%)
  • 일반도는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으로, 구조물의 크기와 위치, 주요 요소들의 배치 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면 중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에 해당하는 것은 일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면을 철하기 위한 구멍 뚫기의 여유를 설치할 때 최소 나비는?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38%)
  • 도면을 철하기 위한 구멍 뚫기의 여유는 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오차는 철하는 기계나 도구의 정확도, 작업자의 기술 등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유를 충분히 두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구멍 뚫기의 여유는 구멍의 지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름이 작을수록 오차가 적어져서 여유를 적게 두어도 되지만, 지름이 클수록 오차가 커져서 여유를 많이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5㎜", "10㎜", "15㎜"보다는 "20㎜"이 더 적절한 여유 크기입니다. 20mm의 여유를 두면 오차가 발생해도 구멍의 크기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치수 기호에서 지름을 나타내는 것은?

  1. R
  2. ø
  3. t
  4. C
(정답률: 69%)
  • "ø"는 노르웨이어로 "diameter"를 의미하는 "diameter"의 첫 글자인 "d"를 따온 것으로, 따라서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척은 1:1을 의미한다.
  2. 척도의 종류는 축척, 현척, 배척이 있다.
  3. 척도는 "대상물의 실제 치수"에 대한 "도면에 표시한 대상물"의 비로 나타낸다.
  4. 구조선도, 조립도, 배치도 등의 치수를 읽을 필요가 없는 것의 척도도 반드시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척도는 대상물의 실제 치수에 대한 도면에 표시한 대상물의 비로 나타내는 것이 맞으므로, 구조선도, 조립도, 배치도 등의 치수를 읽을 필요가 없는 것의 척도는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구조선도, 조립도, 배치도 등의 치수를 읽을 필요가 없는 것의 척도도 반드시 표시하여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면 작도에서 중심선을 나타내는 기호(약자)는?

  1. C.L.
  2. C.l.
  3. M.L.
  4. M.l.
(정답률: 70%)
  • 정답은 "C.L."입니다.

    C.L.은 "Center Line"의 약자로, 중심선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중심선은 물체의 중심을 나타내거나, 두 개 이상의 요소가 대칭되는 축을 나타내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면 작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C.L.은 이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근의 물량 산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 상세도에 의해 철근 종류별로 산출한다.
  2. 총 중량에 대한 할증을 원형 철근은 15%를 가산해서 계산한다.
  3. 배근도와 상세도에서 C.T.C와 철근 숫자로 철근의 수량을 계산한다.
  4. 철근의 직경에 따라 총 길이와 철근의 단위중량을 곱해서 총 중량을 계산한다.
(정답률: 46%)
  • "철근 상세도에 의해 철근 종류별로 산출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하지만 "총 중량에 대한 할증을 원형 철근은 15%를 가산해서 계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원형 철근은 일반적으로 총 중량에 대한 할증이 없으며, 다른 형태의 철근에 대해서도 할증은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의 종류와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할증율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긴 부재의 절단면 표시 중 파이프의 절단면 표시로 옳은 것은?

(정답률: 72%)
  • 파이프는 원형이므로 절단면은 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원입니다. 따라서 ""가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이프의 절단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제도 통칙에서 제도 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비로 옳은 것은?

  1. 1 : √2
  2. 1 : 1.5
  3. 1 : √3
  4. 1 : 2
(정답률: 87%)
  • 제도 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비는 "1 : √2" 입니다. 이는 A0 용지의 크기가 1m²이고 가로와 세로의 비가 "1 : √2"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1 용지는 A0 용지를 가로 또는 세로로 반으로 나눈 크기이며, 가로와 세로의 비는 그대로 "1 : √2"가 유지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2, A3, A4 용지의 크기와 가로 세로 비율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리벳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벳 기호는 리벳선 옆에 기입한다.
  2. 현장 리벳은 그 기호를 생략하지 않는다.
  3. 축이 투상면에 나란한 리벳은 그리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4. 도면에 다른 리벳을 사용할 경우 리벳마다 그 지름을 기입한다.
(정답률: 21%)
  • "도면에 다른 리벳을 사용할 경우 리벳마다 그 지름을 기입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리벳 기호는 리벳선 옆에 기입하는 이유는 리벳선과 기호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현장에서는 리벳 기호를 생략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축이 투상면에 나란한 리벳은 그리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그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철근, PC 강재 등 설계상 필요한 여러 가지 재료의 모양, 품질 등을 표시한 도면으로 현장에서 철근의 가공, 배치 등을 행하는 데 중요한 도면은?

  1. 구조도
  2. 일반도
  3. 설계도
  4. 상세도
(정답률: 25%)
  • 구조도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전반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설계상 필요한 재료의 모양과 품질 등을 표시하여 현장에서 철근의 가공, 배치 등을 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근 등의 가공과 배치를 위한 도면으로 구조도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도면의 복사도 종류가 아닌 것은?

  1. 청사진
  2. 홍사진
  3. 백사진
  4. 마이크로 사진
(정답률: 58%)
  • 홍사진은 도면의 복사도 종류가 아닙니다. 청사진, 백사진, 마이크로 사진은 모두 도면의 복사도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큰 도면을 접을 때 기준이 되는 도면의 크기는?

  1. A0
  2. A1
  3. A3
  4. A4
(정답률: 82%)
  • 도면을 접을 때 기준이 되는 도면의 크기는 작아야 접히기 쉽기 때문입니다. A4는 A0, A1, A3보다 작은 크기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면 크기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접을 때 기준이 되는 도면의 크기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선의 길이를 측정하지 않고 선분 AB를 5등분하는 그림이다. 두 번째에 해당하는 작업은?

  1. 평행선 긋기
  2. 임의의 선분(AC) 긋기
  3. 선분 AC를 임의의 길이로 5등분
  4. 선분 AB를 임의의 길이로 다섯 개 나누기
(정답률: 59%)
  • 선분 AB를 임의의 길이로 다섯 개 나누는 것은 이미 그림에서 주어진 작업이므로, 이 작업은 제외됩니다. 또한, 평행선을 그리는 것은 이 문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분 AC를 임의의 길이로 5등분" 입니다. 이유는, 선분 AB를 5등분하면서 만들어진 점들과 선분 AC를 연결하면, 선분 AC를 5등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즉, 선분 AB를 5등분하면서 만들어진 점들은 선분 AC를 5등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토목 제도에서 가는 일점 쇄선을 사용해야 하는 선은?

  1. 외형선
  2. 치수선
  3. 중심선
  4. 치수 보조선
(정답률: 68%)
  • 일점 쇄선은 한 점에서 시작하여 모든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선으로, 토목 제도에서는 구조물의 중심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중심선이 가는 일점 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외형선은 구조물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 치수선은 구조물의 크기를 나타내는 선,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을 보조하는 선으로, 중심축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치수 기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치수는 도면상에서 다른 선에 의해 겹치거나 교차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기입한다.
  2. 가로 치수는 치수선의 아래쪽에, 세로 치수는 치수선의 오른쪽에 쓴다.
  3. 협소한 구간이 연속될 때에는 치수선의 위쪽과 아래쪽에 번갈아 치수를 기입할 수 있다.
  4. 경사는 백분율 또는 천분율로 표시할 수 있으며 경사 방향 표시는 하향경사 쪽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52%)
  • 가로 치수는 치수선의 아래쪽에, 세로 치수는 치수선의 오른쪽에 쓴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가로 치수는 치수선의 위쪽에, 세로 치수는 치수선의 왼쪽에 쓴다." 입니다. 이는 치수선이 물체의 왼쪽과 위쪽에 위치하며, 치수는 물체의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 그림의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1. 호박돌
  2. 석재
  3. 잡석
(정답률: 67%)
  • 이 그림은 건축물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중간에 있는 회색색 선은 재료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재료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답이 "호박돌"인 이유는 그림에서 회색색 선 위쪽에 있는 부분이 호박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흙", "석재", "잡석"은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철근의 표기법 중 “24@200=4800”의 의미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전장 4800㎜를 200㎜로 24등분
  2. 반지름 24㎜의 원형 철근을 200개 배치
  3. 지름 24㎜의 원형 철근을 200개 배치
  4. 반지름 200㎜ 원형 철근을 24개 배치
(정답률: 68%)
  • "24@200=4800"의 표기법은 철근의 크기와 간격을 나타내는 표기법입니다. 이 경우 "24@200=4800"은 전장 4800mm를 200mm 간격으로 24등분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철근을 200mm 간격으로 24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