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2-12)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2-02-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D16 이하의 철근을 사용하여 현장 타설한 콘크리트의 경우 흙에 접하거나 옥외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최소 피복 두께는?

  1. 20㎜
  2. 40㎜
  3. 50㎜
  4. 60㎜
(정답률: 71%)
  • D16 이하의 철근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굵기이며, 이러한 굵기의 철근을 사용한 콘크리트 부재는 흙이나 옥외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됩니다. 이 경우, 콘크리트 부재의 최소 피복 두께는 4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부재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에 일정하게 하중을 주면 응력의 변화는 없는데도 변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커지는 현상은?

  1. 건조수축
  2. 크리프
  3. 틱소트로피
  4. 릴랙세이션
(정답률: 70%)
  • 크리프는 일정한 하중을 가한 콘크리트의 변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분자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크리프는 시간 의존적인 변형 현상으로, 일정한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부재에 대한 강도 설계법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2. 철근의 변형률과 같은 위치의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같다.
  3. 콘크리트 압축 연단의 극한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
  4. 모든 철근의 탄성 계수는 Es=1.0×105MPa이다.
(정답률: 49%)
  • 정답은 "모든 철근의 탄성 계수는 Es=1.0×105MPa이다."입니다.

    철근의 탄성 계수는 철근의 재질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철근의 탄성 계수는 2.0×105MPa 이상입니다. 따라서 모든 철근의 탄성 계수가 1.0×105MPa인 것은 기본 가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를 배합 설계할 때 물-결합재 비를 결정할 때의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소요의 강도
  2. 내구성
  3. 수밀성
  4. 철근의 종류
(정답률: 76%)
  • 콘크리트의 물-결합재 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 수밀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철근의 종류"입니다. 왜냐하면 철근의 종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 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철근의 종류는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 등과는 관련이 있지만, 물-결합재 비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철근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입도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골재는 크고 작은 알이 알맞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입도가 표준 범위 내인가를 확인한다.
  2. 입도가 잔골재의 표준 입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두 종류 이상의 잔골재를 혼합하여 입도를 조정하여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조립률의 범위는 5.0 이상인 것이 좋다.
  4. 조립률은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한 방법이다.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조립률의 범위는 5.0 이상인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조립률은 일반적으로 0.4 ~ 1.0 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조립률을 선택해야 합니다. 조립률은 골재의 입도와 수량을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용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2.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일 것
  3. 연하고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하고 있을 것
  4.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의 유해물이 허용한도 내일 것
(정답률: 90%)
  • 콘크리트용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 중 "연하고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하고 있을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연하고 가느다란 석편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골재는 알맞은 입도를 가지며,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이어야 하며,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의 유해물이 허용한도 내에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 식에서 β1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5MPa 일 경우 β1의 값은?

  1. 0.801
  2. 0.822
  3. 0.850
  4. 0.878
(정답률: 39%)
  • β1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β1 = 0.85 - 0.05 × (fc - 28)/7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다. 따라서 fc = 35MPa 일 때,

    β1 = 0.85 - 0.05 × (35 - 28)/7 = 0.801

    따라서 정답은 "0.8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강도설계법에서 단철근 직사각형의 등가 직사각형의 응력분포의 길이 (a)를 구하는 공식은? (단, AS : 인장철근량, ƒy :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ƒck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b: 단면의 폭)

(정답률: 41%)
  • 강도설계법에서 단철근 직사각형의 등가 직사각형의 응력분포의 길이 (a)를 구하는 공식은 a = 0.8 × (AS / (ƒy × b))^(1/3) × (ƒck / 25)^(1/6) 이다. 이 공식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이 공식에서 ƒck 값이 증가하면 a 값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을수록 단면 내부의 응력분포가 더 짧아지므로, a 값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동일평면에서 평행한 철근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최소 몇 ㎜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63%)
  • 철근의 직경이나 강도 등의 조건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 직경인 10mm를 기준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철근의 직경이 10mm일 때, 철근의 중심간격이 15mm 이하이면 철근이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 순간격은 최소 15mm 이상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철근의 중심간격이 15mm 이상이라고 해서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철근의 강도나 구조물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수평 순간격이 더 넓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철근의 직경이 10mm일 때, 평행한 철근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최소 25mm 이상이어야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b=28cm, d=50cm, As=3-D25=15.20cm2인 단철근 직사각형의 보의 철근비는? (여기서, ƒck=28MPa, ƒy=420MPa이다.)

  1. 0.01
  2. 0.14
  3. 0.92
  4. 1.42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 철근의 정착 길이는 항상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0㎜ 이상
  2. 250㎜ 이상
  3. 350㎜ 이상
  4. 450㎜ 이상
(정답률: 34%)
  •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인장 철근이 콘크리트에 충분히 고정되지 않으면 구조물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장 철근의 정착 길이는 충분히 길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50㎜ 이상의 길이가 필요하며, 이는 인장 철근의 직경과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0㎜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철근콘크리트의 강도 설계법에서 단철근 직사각형보에 대한 균형 철근비(Pb)를 구하는 식은? (단, ƒck: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MPa), ƒy : 철근의 설계기준강도(MPa), β1 : 계수)

(정답률: 75%)
  • 강도 설계법에서 균형 철근비(Pb)는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철근의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ƒck)와 철근의 설계기준강도(ƒy) 그리고 계수(β1)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해당 식이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균형 철근비를 구하는 공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6KN/m의 등분포하중을 받는 지간 4m의 철근콘크리트 캔틀레버 보가 있다. 이 보의 작용 모멘트는? (단, 하중계수는 적용하지 않는다.)

  1. 12 KN·m
  2. 24 KN·m
  3. 36 KN·m
  4. 48 KN·m
(정답률: 25%)
  • 캔틀레버 보의 모멘트는 등분포하중의 크기와 지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모멘트 = (하중 × 지간^2) / 2 = (6KN/m × 4m^2) / 2 = 48 KN·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8 KN·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D16 이하의 스트럽이나 띠철근에서 철근을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은 철근 공칭 지름의 (db)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43%)
  • 철근을 구부릴 때 내면 반지름은 철근 공칭 지름의 2배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이는 철근을 구부릴 때 생기는 응력을 고려한 것입니다. 철근을 구부릴 때 구부리는 부위에서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응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철근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면 반지름을 충분히 크게 해서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철근 공칭 지름의 2배 이상으로 내면 반지름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E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구성과 수밀성이 감소된다.
  2.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3.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된다.
  4. 철근과의 부착 강도가 감소된다.
(정답률: 47%)
  • 정답: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AE 콘크리트는 공기 포함제를 첨가하여 공기 포함 구조를 형성하므로 내구성과 수밀성이 감소됩니다. 이는 공기 포함 구조로 인해 콘크리트의 밀도가 감소하고, 공기 포함 구조가 균열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과의 부착 강도도 감소됩니다. 그러나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은 개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경량골재는 일반적으로 입경이 작을수록 밀도가 커진다.
  2. 경량골재를 써서 만든 콘크리트로서 일반적으로 단위질량이 2500~2700Kg/m3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3. 경량골재의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바가 없을 때에는 20㎜ 이하로 한다.
  4. 골재 씻기 시험에 의하여 손실되는 양은 10% 이하로 한다.
(정답률: 71%)
  • 경량골재를 써서 만든 콘크리트로서 일반적으로 단위질량이 2500~2700Kg/m3인 콘크리트를 말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경량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밀도가 감소하므로, 일반적으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은 1600~2000Kg/m3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압축을 받는 부재의 모든 축방향 철근은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하는데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띠철근이나 철선지름의 몇 배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6배
  2. 32배
  3. 48배
  4. 64배
(정답률: 42%)
  • 압축을 받는 부재의 축방향 철근은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둘러싸는 띠철근은 축방향 철근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해야 합니다. 이때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축방향 철근의 직경이나 띠철근의 직경의 몇 배 이하로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축방향 철근의 직경의 48배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축방향 철근이 띠철근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어 변형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근을 용접에 의한 이음을 하는 경우 이 때, 이음부의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의 얼마 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완전용접이어야 하는가?

  1. 85%
  2. 95%
  3. 115%
  4. 125%
(정답률: 71%)
  • 철근을 용접에 의한 이음을 하는 경우, 이음부의 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완전용접이어야 합니다. 이는 용접부의 강도가 원래 철근의 강도보다 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5% 이상의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완전용접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균형철근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취성파괴 방지를 위해 철근 사용량을 규제하는 것이다.
  2. 균형 철근비보다 철근을 많이 넣는 과다 철근보는 연성파괴가 일어나도록 한다.
  3. 균형 철근비를 사용하는 보를 균형보(평형보)라고 하며, 이 보의 단면을 균형단면(평형단면), 이때의 철근 량을 균형 철근량(평형 철근량)이라고 한다.
  4. 균형 철근비는 철근이 항복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률이 0.003에 도달할 때의 철근비를 뜻한다.
(정답률: 54%)
  • "균형 철근비보다 철근을 많이 넣는 과다 철근보는 연성파괴가 일어나도록 한다."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과다 철근보는 연성파괴가 아닌, 취성파괴를 일으키기 쉽습니다. 따라서 취성파괴 방지를 위해 철근 사용량을 규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잔골재의 조립률 2.3, 굵은골재의 조립률 6.7를 사용하여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질량비 1:1.5로 혼합하면 이때 혼합된 골재의 조립률은?

  1. 3.67
  2. 4.94
  3. 5.27
  4. 6.12
(정답률: 54%)
  •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질량비 1:1.5로 혼합하면, 총 질량은 1+1.5=2.5이 됩니다.

    잔골재의 조립률 2.3을 질량으로 환산하면, 1kg의 잔골재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2.3/(2.3+6.7) = 0.255의 굵은골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kg의 잔골재와 1.5kg의 굵은골재를 혼합하면, 총 1+1.5=2.5kg의 골재가 형성되고, 그 중 잔골재는 1kg이고 굵은골재는 1.5*0.255=0.3825kg입니다.

    이를 조립률로 환산하면, (1/2.5)*2.3 + (0.3825/2.5)*6.7 = 0.92 + 4.02 = 4.9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9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토목구조물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다량 생산을 할 수 있다.
  2. 대부분은 개인적인 목적으로 건설된다.
  3. 건설에 비용과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4. 구조물의 수명, 즉 공용 기간이 길다.
(정답률: 73%)
  • 토목구조물은 대부분 대규모 건축물로서, 건설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이는 구조물의 수명, 즉 공용 기간이 길다는 장점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토목구조물은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역사적인 토목 구조물로서 가장 오래된 교량은?

  1. 미국의 금문교
  2. 영국의 런던교
  3. 프랑스의 아비뇽교
  4. 프랑스의 가르교
(정답률: 58%)
  • 프랑스의 가르교는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교량으로, 약 2000년 전에 건설되었습니다. 따라서 가장 오래된 교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조 재료로서 강재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재료의 균질성이 떨어진다.
  2.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어렵다.
  3. 차량 통행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4. 강구조물을 사전 제작하여 조립하기 어렵다.
(정답률: 73%)
  • 강재는 질량이 무거우며, 단단하고 강한 재료이지만,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내성이 낮아 차량 통행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는 강재의 밀도가 높아서 진동이 전달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S형강
  2. PS강선
  3. PS강봉
  4. PS강연성
(정답률: 4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주로 인장력에 강한 강재가 사용되는데, PS형강은 인장강도가 낮아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PS형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재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교량의 설계하중에서 주하중이 아닌 것은?

  1. 설하중
  2. 활하중
  3. 고정하중
  4. 충격하중
(정답률: 60%)
  • 설하중은 교량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량으로, 설계하중 중 주하중, 활하중, 고정하중, 충격하중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하중, 활하중, 고정하중, 충격하중은 모두 교량의 설계하중 중 하나이지만, 설하중은 설치 과정에서만 발생하는 중량으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띠철근 기둥의 축방향 철근 단면적에 최소 한도를 두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상외의 휨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2. 콘크리트의 크리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3.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의 영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4. 콘크리트의 부분적 결함을 철근으로 보충하기 위해서 이다.
(정답률: 51%)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의 영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띠철근 기둥의 축방향 철근 단면적에 최소 한도를 두는 이유는 예상외의 휨에 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축방향 철근 단면적이 충분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하중에 대응하지 못하고 기둥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방향 철근 단면적을 최소한의 한도로 두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사각형 독립확대 기초의 크기가 2m×3m 이고 허용 지지력이 250kN/m2 일 때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최대 하중의 크기는 얼마인가?

  1. 500kN
  2. 1,000kN
  3. 1,500kN
  4. 2,000kN
(정답률: 85%)
  • 직사각형 독립확대 기초의 최대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하중 = 허용 지지력 × 기초 면적

    기초 면적은 2m × 3m = 6m2 이므로,

    최대 하중 = 250kN/m2 × 6m2 = 1,500kN

    따라서, 정답은 "1,500k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방향 슬래브에서의 두께는 최소 몇 ㎜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70%)
  • 1방향 슬래브는 단방향으로 강화된 콘크리트 판이며, 일반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에 수직으로 강화재가 배치됩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두께가 얇을수록 강화재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구조물의 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소한 100㎜ 이상의 두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재의 용접 이음 방법이 아닌 것은?

  1. 아크 용접법
  2. 리벳 용접법
  3. 가스 용접법
  4. 특수 용접법
(정답률: 42%)
  • 리벳 용접법은 강재를 용접하는 방법이 아니라, 강재를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리벳 용접법은 강재의 용접 이음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에서 설명하는 구조물은?

  1. 기둥
  2. 슬래브
  3. 확대기초
(정답률: 75%)
  • 위 그림에서 보이는 수평적인 판이 슬래브입니다. 슬래브은 보와 기둥 사이에 위치하여 건물의 층간 구조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측방향 압축률을 받는 부재로서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몇 배 이상이 되어야 기둥이라고 하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51%)
  • 기둥은 수직하중을 받아야 하므로 안전성을 고려하여 측방향에서의 변형이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측방향 압축률이 일정 이상 이상이 되면 기둥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측방향 압축률을 받는 부재로서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3배 이상이 되어야 기둥으로 인정됩니다. 이는 기둥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으로서, 높이가 단면 최소 치수의 2배나 2.5배만 되어도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포시키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기초는?

  1. 독립 확대 기초
  2. 벽 확대 기초
  3. 연결 확대 기초
  4. 말뚝 기초
(정답률: 54%)
  • 벽 확대 기초는 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포시키기 위해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기초입니다. 벽 확대 기초는 벽의 무게와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벽의 너비만큼 기초를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벽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반의 부하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벽 확대 기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 쳐서 양자가 일체하도록 된 구조는?

  1. 철근 콘크리트 구조
  2. 콘크리트 구조
  3. 강 구조
  4. 합성 구조
(정답률: 53%)
  • 강재와 콘크리트가 함께 사용되어 일체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합성 구조"입니다. 강재는 인장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기 때문에 두 재료를 조합하여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성 구조는 대형 건축물이나 다리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의 손실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의 크리프
  2.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3. 콘크리트의 블리딩
  4.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정답률: 35%)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의 손실이 아닌 것은 "콘크리트의 블리딩"입니다. 콘크리트의 블리딩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물이 콘크리트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콘크리트의 표면이 부드러워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리스트레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철근 콘크리트(RC)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구성이 우수하다.
  2. 개조, 파괴가 쉽다.
  3.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든다.
  4. 여러 가지 모양과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기 쉽다.
(정답률: 72%)
  • RC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결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조나 파괴가 쉽다는 것은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RC 구조물을 개조하거나 파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며, 비용도 많이 듭니다. 따라서 RC의 특징 중에서 개조나 파괴가 쉽다는 것은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삼각 스케일에 표시된 축척이 아닌 것은?

  1. 1 : 10
  2. 1 : 200
  3. 1 : 300
  4. 1 : 600
(정답률: 67%)
  • 정답은 "1 : 600"입니다.

    삼각 스케일은 지도나 도면 등에서 실제 크기와 그림으로 나타낸 크기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이때, 삼각 스케일에 표시된 축척이 작을수록 그림으로 나타낸 크기가 실제 크기에 가깝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1 : 10"은 그림으로 나타낸 크기가 실제 크기의 10분의 1이라는 뜻이며, "1 : 200"은 그림으로 나타낸 크기가 실제 크기의 200분의 1이라는 뜻입니다. 마찬가지로, "1 : 300"은 그림으로 나타낸 크기가 실제 크기의 300분의 1이라는 뜻이며, "1 : 600"은 그림으로 나타낸 크기가 실제 크기의 600분의 1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1 : 10"은 삼각 스케일에 표시된 축척 중 가장 작은 값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CAD 작업 파일의 확장자로 옳은 것은?

  1. TXT
  2. DWG
  3. HWP
  4. JPG
(정답률: 73%)
  • 정답: DWG

    설명: DWG는 AutoCAD에서 사용하는 파일 형식으로, 2D 및 3D 디자인 및 도면 작업에 사용됩니다. TXT는 텍스트 파일, HWP는 한글 문서 파일, JPG는 이미지 파일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재료 단면의 경계표시가 나타내는 것은?

  1. 호박돌
  2. 바위
  3. 잡석
(정답률: 67%)
  •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경계표시는 호박돌을 나타냅니다. 호박돌은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재료와 구분하기 쉽습니다. 또한, 이러한 호박돌은 주로 도로나 교량의 기초 구조물을 만들 때 사용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견고하고 튼튼한 호박돌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경계표시가 호박돌을 나타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면 작도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설명은?

  1. 도면은 KS 토목제도 통칙에 따라 정확하게 그려야 한다.
  2. 도면의 안정감을 위해 치수선의 간격을 도면마다 다르게 하며, 표시도 다양하게 한다.
  3. 도면에는 불필요한 사항은 기입하지 않는다.
  4. 글씨는 명확하게 하고 띄어쓰기에 맞게 쓴다.
(정답률: 86%)
  • 도면의 안정감을 위해 치수선의 간격을 도면마다 다르게 하며, 표시도 다양하게 한다. - 이유: 도면의 크기, 복잡도, 표현하려는 내용 등에 따라 치수선의 간격과 표시 방법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일정한 간격과 방법으로 표시하면 도면의 가독성과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KS의 부문별 기호 중 토목·건축 부문의 기호는?

  1. KS C
  2. KS D
  3. KS E
  4. KS F
(정답률: 88%)
  • KS F는 토목·건축 부문의 기호입니다. 이는 KS 표준 기호체계에서 각 부문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파벳 코드 중 하나이며, F는 토목·건축 부문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따라서 KS F는 토목·건축 부문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호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치수 표기에서 특별한 명시가 없으면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가상치수
  2. 재료치수
  3. 재단치수
  4. 마무리치수
(정답률: 78%)
  • 일반적으로 치수 표기에서 특별한 명시가 없으면 마무리치수로 표시합니다. 이는 제품이 최종적으로 가지는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가상치수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재료치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재단치수는 재료를 자를 때 필요한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무리치수가 일반적인 표기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갈을 나타내는 재료의 단면의 경계 표시는?

(정답률: 88%)
  • 자갈은 둥근 모양의 작은 돌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단면에서는 각 돌들의 경계가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직선적인 경계나 각진 모양의 경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자갈을 나타내는 재료의 단면 경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자연석의 단면 표시로 옳은 것은?

(정답률: 57%)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자연석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면을 표시할 때는 이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모양으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는 자연석의 일반적인 단면을 가장 잘 대표하는 모양으로,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어떤 재료의 치수가 2-H 300×200×9×12×1000로 표시되었을 때 플렌지 두께는?

  1. 2㎜
  2. 9㎜
  3. 12㎜
  4. 200㎜
(정답률: 67%)
  • 2-H는 스테인리스 강재의 규격을 나타내는 표기이며, 300×200은 플랜지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나타내고, 9㎜은 플랜지의 두께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12㎜는 재료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의 두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플랜지의 두께는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정투상법에서 제3각법에 의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면도는 정면도 아래에 그린다.
  2. 우측면도는 정면도 우측에 그린다.
  3. 제3면각 안에 물체를 놓고 투상하는 방법이다.
  4. 각 면에 보이는 물체는 보이는 면과 같은 면에 나타낸다.
(정답률: 69%)
  • "평면도는 정면도 아래에 그린다."는 제3각법에 대한 설명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이것입니다.

    제3각법은 물체를 제3면각 안에 놓고 투상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이때 우측면도는 정면도 우측에, 평면도는 정면도 아래에 그리며, 각 면에 보이는 물체는 해당 면에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치수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그린다.
  2. 치수선은 물체를 표시하는 도면의 내부에 그린다.
  3. 여러 개의 치수선을 평행하게 그릴 때 간격은 가급적 다향하게 그린다.
  4. 치수선은 가급적 교차하게 그린다.
(정답률: 64%)
  •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치수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치수선이 치수와 평행하게 그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치수선이 치수와 다른 방향으로 그려진다면, 치수를 잘못 해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치수 표시를 위해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그려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선의 종류 중 가장 굵게 그려져야 하는 선은?

  1. 중심선
  2. 윤곽선
  3. 파단선
  4. 치수선
(정답률: 75%)
  • 정답은 "윤곽선"입니다.

    윤곽선은 물체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으로, 물체의 윤곽을 따라 그려집니다. 따라서 가장 굵게 그려져야 하는 선이며,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제품 디자인, 건축 설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심선은 물체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 파단선은 물체를 나누는 선, 치수선은 물체의 크기나 거리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이들은 윤곽선보다는 상대적으로 얇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투상도에서 물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수평선에 대하여 주는 경사각이 아닌 것은?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41%)
  • 90°는 수평선에 대해 수직이기 때문입니다. 수평선에 대한 경사각은 수직이 아닌 기울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90°는 수평선에 대한 경사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로 설계제도에서 굴곡부 노선의 제도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곡선 시점을 나타내는 것은?

  1. I.P
  2. E.C
  3. T.L
  4. B.C
(정답률: 48%)
  • 정답은 "B.C"입니다.

    굴곡부 노선은 곡선과 직선이 번갈아 나타나는 도로 설계 방식입니다. 이때 곡선의 시점을 나타내는 기호는 "B.C"입니다. "I.P"는 초기점(Initial Point)을, "E.C"는 종점(End Point)을, "T.L"은 전체 길이(Total Length)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곡선 시점을 나타내는 기호는 "B.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은 컴퓨터 중앙처리 장치를 도식화한 것이다. (A) 부분에 해당하는 장치는?

  1. 저장장치
  2. 연산장치
  3. 처리장치
  4. 수합장치
(정답률: 50%)
  • 그림에서 (A) 부분은 중앙처리장치(CPU)의 핵심 부분인 연산장치(ALU)를 나타낸다. 연산장치는 컴퓨터에서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 부분은 연산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면을 표현형식에 따라 분류할 때 구조물의 구조 계산에 사용되는 선도로 교량의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은?

  1. 일반도
  2. 배근도
  3. 구조선도
  4. 상세도
(정답률: 64%)
  • 교량의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은 구조선도이다. 구조선도는 구조물의 구조 계산에 사용되는 선도로, 구조물의 주요 구성요소와 강도, 굵기 등을 표시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교량의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은 구조선도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서 지름 16㎜ 일반 이형 철근의 표식법으로 옳은 것은?

  1. R16
  2. ø16
  3. D16
  4. H16
(정답률: 65%)
  •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서 일반 이형 철근의 표식법은 "D"로 시작하며, 그 뒤에 지름을 나타내는 숫자가 옵니다. 따라서 지름이 16㎜인 일반 이형 철근의 표식법은 "D16"입니다. "R16"은 사용되지 않는 표식법이며, "ø16"은 원형 철근의 표식법입니다. "H16"은 헤드 철근의 표식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척은 1:1을 의미한다.
  2. 척도의 종류는 축척, 현척, 배척이 있다.
  3. 척도는 물체의 실제 크기와 도면에서의 크기 비율을 말한다.
  4. 1:2는 2배로 크게 그린 배척을 의미한다.
(정답률: 69%)
  • 1:2는 2배로 크게 그린 배척을 의미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1:2는 실제 크기의 1/2만큼을 도면에서 그린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cm의 실제 크기를 가진 물체를 1:2 척도로 그리면 0.5cm로 그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치수의 기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협소한 구간에서의 치수 기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해도 된다.
  2. 경사의 방향을 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하향 경사 쪽으로 화살표를 붙인다.
  3. 원의 지름을 표시하는 치수선은 기준선 또는 중심선에 일치하지 않게 한다.
  4. 작은 원의 지름은 인출선을 써서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42%)
  • "협소한 구간에서의 치수 기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해도 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협소한 구간에서는 치수를 표시하기 어렵거나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능한 경우에는 모든 치수를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체를 투상면에 대하여 한쪽으로 경사지게 투상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은?

  1. 투시투상도
  2. 사투상도
  3. 등각투상도
  4. 축측투상도
(정답률: 49%)
  • 사투상도는 물체를 투상면에 대하여 한쪽으로 경사지게 투상하여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사투"는 "사선 투영"을 의미하며, 이 방법으로 투영한 그림이 입체적인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사투상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을 철하고자 할 때 어떤 쪽을 우선으로 철하는가?

  1. 위쪽
  2. 아래쪽
  3. 왼쪽
  4. 오른쪽
(정답률: 65%)
  • 보통 사람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도면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왼쪽을 우선으로 철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근의 표시 방법에서 "24@200=4800"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장 4800㎜를 24㎜ 간격으로 200등분
  2. 전장 4800㎜를 200㎜ 간격으로 24등분
  3. 전장 4800㎜를 24m 간격으로 200등분
  4. 전장 4800㎜를 24m 간격으로 200등분
(정답률: 74%)
  • "24@200=4800"에서 숫자 24는 철근의 간격을 나타내고, 숫자 200은 철근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장 4800㎜를 200㎜ 간격으로 24등분"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전체 길이를 24등분하여 각 구간의 길이가 200㎜가 되도록 철근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래 그림은 무엇을 작도하기 위한 것인가?

  1.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소 삼각형
  2. 사각형에 외접하는 최대 정삼각형
  3.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
  4.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소 직사각형
(정답률: 70%)
  • 정답은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입니다.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중심을 찾아야 합니다. 삼각형의 중심은 삼각형의 세 꼭지점을 이은 선분의 교점입니다. 이 교점을 중심으로 하고, 삼각형의 변과 내접하는 정사각형을 그리면 됩니다.

    이렇게 그린 정사각형은 삼각형에 내접하므로, 삼각형의 모든 변과 접합니다. 또한, 정사각형의 네 꼭지점은 삼각형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정사각형은 삼각형에 내접하는 최대 정사각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한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때 순서로 옳은 것은?

  1. 숨은선 → 외형선 → 절단선 → 중심선
  2.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3. 중심선 → 외형선 → 절단선 → 숨은선
  4. 숨은선 → 중심선 → 절단선 → 외형선
(정답률: 75%)
  • 정답은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입니다.

    외형선은 도면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제품의 형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그려져야 합니다.

    숨은선은 제품 내부의 부품이나 구조를 나타내며, 외형선 위에 그려집니다.

    절단선은 제품을 자르는 평면을 나타내며, 숨은선 위에 그려집니다.

    중심선은 제품의 중심축이나 중심선을 나타내며, 가장 마지막에 그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장치 중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터치패드
  2. 스캐너
  3. 태블릿
  4. 플롯터
(정답률: 74%)
  • 플롯터는 출력장치이기 때문에 입력장치가 아닙니다. 플롯터는 컴퓨터에서 만든 그림이나 도형을 실제로 출력하는 장치로, 주로 대형 포스터나 배너 등을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