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철근의 항복강도 fy=300MPa, d=600mm일 때 중립축의 깊이(c)를 강도설계법으로 구한 값은?

  1. 200mm
  2. 300mm
  3. 400mm
  4. 600mm
(정답률: 40%)
  • 강도설계법에서 중립면의 깊이(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 = (M / (fy * b)) * (1 + ((1 - (2 * a / b)) * ((M / (fy * b * c)) ^ 0.5)))

    여기서 M은 단면의 굽힘모멘트, b는 단면의 너비, a는 단면에서 압축존과 인장존의 경계까지의 거리, c는 중립면의 깊이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의 형태가 직사각형이므로 a = b / 2 입니다. 또한, 단면의 높이 d와 중립면의 깊이 c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c = d / 2

    따라서 위의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c = (M / (fy * b)) * (1 + ((1 - 1/2) * ((M / (fy * b * (d/2))) ^ 0.5)))
    c = (M / (fy * b)) * (1 + 0.5 * ((M / (fy * b * (d/2))) ^ 0.5)))
    c = (M / (fy * b)) * (1 + 0.5 * ((2 * M / (fy * b * d)) ^ 0.5)))
    c = (M / (fy * b)) * (1 + (M / (fy * b * d)) ^ 0.5)

    여기서 굽힘모멘트 M은 최대 굽힘모멘트인 fy * Zx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Zx는 단면의 단면계수로, 직사각형 단면의 경우 Zx = bd2/6 입니다.

    따라서 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 = (fy * Zx / (fy * b)) * (1 + (fy * Zx / (fy * b * d)) ^ 0.5)
    c = (Zx / b) * (1 + (Zx / (b * d)) ^ 0.5)
    c = (d / 2) * (1 + (1 / 12) ^ 0.5)
    c = 0.5 * d * 1.035
    c = 0.5175d

    따라서 d = 600mm일 때 c는 다음과 같습니다.

    c = 0.5175 * 600
    c = 310.5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30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단면이 평형 단면일 경우 중립축의 위치 결정에서 사용하는 철근의 탄성계수는?

  1. 2,000MPa
  2. 20,000MPa
  3. 200,000MPa
  4. 2,000,000MPa
(정답률: 58%)
  • 중립축의 위치 결정에서는 단면이 평형 단면일 때, 단면 내 응력과 변형이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철근의 탄성계수가 높을수록 변형에 대한 저항이 강해지므로, 중립축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철근은 탄성계수가 높은 200,000MPa의 철근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00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철근 D29 ~ D35의 경우에 180° 표준갈고리의 구부림 최소 내면 반지름은? (단, db : 철근의 공칭지름)

  1. 2db
  2. 3db
  3. 4db
  4. 5db
(정답률: 74%)
  • 철근 D29 ~ D35는 직경이 29mm에서 35mm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는 철근입니다. 이러한 철근을 구부릴 때, 최소 내면 반지름은 철근의 공칭지름인 db에 비례합니다.

    180° 표준갈고리로 구부릴 때, 최소 내면 반지름은 철근의 공칭지름인 db의 몇 배인지를 구해야 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소 내면 반지름 = 2db + 철근 직경

    따라서, 철근 D29 ~ D35의 경우에는 최소 내면 반지름이 4db이 됩니다. 이는 2db + 철근 직경을 계산하면 4db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즉, 철근의 공칭지름이 클수록 구부릴 때 필요한 공간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최소 내면 반지름이 커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방배합과 현장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방배합에서 골재의 함수 상태는 표면건조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2. 시방배합에서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구분하는 기준은 5㎜ 체이다.
  3.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 골재의 표면수량과 입도는 제외한다.
  4.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 혼화제를 희석시킨 희석수량 등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66%)
  •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 골재의 표면수량과 입도는 제외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시방배합에서는 골재의 표면수량과 입도를 고려하여 배합을 결정하지만, 현장배합에서도 골재의 표면수량과 입도를 고려하여 배합을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에도 골재의 표면수량과 입도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AE제를 사용하여 연행공기를 발생시켰다. 이 AE제 공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저하 시킨다.
  2.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AE공기가 잘 소실된다.
  3. 경화 후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된다.
  4. 기포의 직경이 클수록 잘 소실되지 않는다.
(정답률: 74%)
  • 경화 후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된다. - AE제 공기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키는데, 이 기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이 얼거나 녹을 때 발생하는 압력을 완화시켜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D35를 초과하는 철근의 이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겹침이음을 해야 한다.
  2. 일반적으로 갈고리를 하여 이음 한다.
  3. 용접이음을 해서는 안 된다.
  4. 이음부가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57%)
  • 철근의 이음은 겹침이음으로 해야 하며, 이음부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이음부가 충분히 강하고 안전하게 철근을 이어주기 위함입니다. 일반적으로 갈고리를 하여 이음하거나 용접을 하여 이음하는 것은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중이 크다.
  2. 내화성이 크다.
  3. 열전도율이 작다.
  4. 탄성계수가 작다.
(정답률: 55%)
  • 자중이 크다는 것은 경량골재 콘크리트가 무겁지 않고 가벼움을 의미하는데,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경량골재와 시멘트,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든 콘크리트로, 경량골재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자중이 작습니다. 따라서 "자중이 크다"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철근 표면 사이의 최단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복두께
  2. 철근의 간격
  3. 콘크리트의 여유
  4. 철근의 두께
(정답률: 87%)
  • 콘크리트 표면과 철근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거리를 최소화하여 철근이 콘크리트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철근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는 "피복두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복두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하루 평균기온이 몇 °C를 초과할 경우에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는가?

  1. 20°C
  2. 25°C
  3. 30°C
  4. 35°C
(정답률: 80%)
  • 서중 콘크리트는 기온이 25°C 이상일 때 시공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혼합물의 온도에 따라 경도화되는데, 기온이 낮을수록 경도화가 느리고, 기온이 높을수록 경도화가 빠릅니다. 따라서 기온이 25°C 이상일 때 시공하면 콘크리트가 빠르게 경도화되어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배치된 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간격은 25㎜ 이상으로 하고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어야 한다.
  2. 순간격은 20㎜ 이상으로 하고 상하 철근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다.
  3. 순간격은 25㎜ 이상으로 하고 상하 철근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다.
  4. 순각격은 20㎜ 이상으로 하고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어야 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순간격은 25㎜ 이상으로 하고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어야 한다."입니다.

    철근은 구조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배치된 철근은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철근의 배치 방법에 따라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이 달라집니다.

    순간격은 철근의 간격을 의미합니다. 철근 간의 순간격이 너무 작으면 구조물이 강해지지 않고, 너무 크면 구조물이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순간격은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는 것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상하 철근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하 철근을 동일 연직면내에 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시험은?

  1. 자르 시험
  2. 브리넬 시험
  3. 비비 시험
  4. 로스앤젤레스 시험
(정답률: 83%)
  • 비비 시험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반죽에 일정한 에너지를 가해주고, 그 에너지에 대한 반죽의 저항력을 측정하여 질기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비비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죽의 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보기의 내용에서 괄호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연결된 것은?

  1. ① 0.002 ② 최대변형률
  2. ① 0.002 ② 균형변형률
  3. ① 0.003 ② 최대변형률
  4. ① 0.003 ② 균형변형률
(정답률: 39%)
  • 이유는 재료의 물성에 따라 균형변형률과 최대변형률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재료의 균형변형률이 0.003이고, 최대변형률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은 "① 0.003 ② 균형변형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간인 ɭ인 단순보에서 등분포하중 ω를 받고 있을 때 최대 휨모멘트는?

  1. (ωɭ2)/2
  2. (ωɭ2)/4
  3. (ωɭ2)/8
  4. (ωɭ2)/16
(정답률: 57%)
  • 단순보에서의 최대 휨모멘트는 중심에서의 휨모멘트입니다. 중심에서의 휨모멘트는 등분포하중의 반값과 지간의 제곱을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최대 휨모멘트는 (ωɭ2)/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시멘트비가 적을수록 크리프는 감소한다.
  2. 단위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크리프는 감소한다.
  3. 주위의 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감소한다.
  4. 주위의 온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감소한다.
(정답률: 39%)
  • "주위의 온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감소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높은 온도에서 경화되면 물이 빨리 증발하여 수분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크리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주위의 온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장 철근 한 개의 지름이 30mm이고, 표준 갈고리를 가지는 인장 철근의 기본 정착 길이가 300mm라면 표준 갈고리를 가지는 이형 인장 철근의 정착 길이는? (단, 보정계수는 0.8이다.)

  1. 150mm
  2. 180mm
  3. 210mm
  4. 240mm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250㎜, d=460㎜인 직사각형 보에서 균형철근비는? (단, 철근의 항복강도는 420MPa,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28MPa이다.)

  1. 0.0283
  2. 0.0250
  3. 0.0214
  4. 0.0176
(정답률: 34%)
  • 균형철근비는 철근의 단면적과 콘크리트 단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철근의 항복강도와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주어졌으므로, 균형철근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균등단면하중을 계산해야 합니다.

    콘크리트의 균등단면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cd = 0.85 × fck / γc
    Ac = b × d
    N = fcd × Ac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γc는 콘크리트의 단면적계수(1.5), fcd는 콘크리트의 설계강도, Ac는 콘크리트의 단면적, N은 균등단면하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균등단면하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fcd = 0.85 × 28 / 1.5 = 15.93 MPa
    Ac = 250 × 460 = 115000 ㎟
    N = 15.93 × 115000 = 1833950 N

    이제 균형철근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As = N / fy
    ρ = As / bd

    여기서,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As는 균형철근의 단면적, ρ은 균형철근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균형철근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As = 1833950 / 420 = 4366.07 ㎟
    ρ = 4366.07 / (250 × 460) = 0.0283

    따라서, 정답은 "0.02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압축부재의 띠철근 수직간격 결정시 검토하여야 할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300㎜ 이하
  2. 축방향 철근 지름의 16배 이하
  3. 띠철근 지름의 32배 이하
  4. 기둥 단면 최소 치수의 1/2 이하
(정답률: 42%)
  • 압축부재의 띠철근 수직간격 결정시 검토해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압축부재의 높이와 너비
    2. 띠철근 지름
    3. 축방향 철근 지름
    4. 기둥 단면 최소 치수

    이 중에서 "축방향 철근 지름의 16배 이하"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부재에서 축방향 철근은 압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축방향 철근의 지름이 작을수록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축방향 철근 지름이 너무 작으면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파손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축방향 철근 지름은 적절한 크기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이때, 띠철근 수직간격은 축방향 철근 지름의 16배 이하로 결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축방향 철근이 효과적으로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축방향 철근의 강도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블리딩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2. 단위 수량을 크게 한다.
  3. AE제를 사용한다.
  4. 감수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70%)
  • 단위 수량을 크게 한다는 것은 물의 양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중요한데, 이 비율이 높아지면 시멘트 입자들이 서로 밀착하지 않고 공간이 생기게 되어 강도가 떨어지고 블리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단위 수량을 크게 하는 것은 블리딩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Ld는 기본정착길이에 적용 가능한 모든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여야 한다. 이때 구한 정착길이 Ld는 항상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률: 29%)
  •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L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d = Lb × α1 × α2 × α3 × α4

    여기서 Lb는 기본정착길이이고, α1, α2, α3, α4는 각각 다음과 같은 보정계수이다.

    - α1: 철근의 직경에 따른 보정계수
    - α2: 철근의 재질에 따른 보정계수
    - α3: 철근의 표면상태에 따른 보정계수
    - α4: 철근의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에 따른 보정계수

    따라서 Ld는 기본정착길이에 이러한 보정계수를 모두 곱한 값이므로, 최소한 기본정착길이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간이 긴 단철근 직사각형 콘크리트보에 크기가 작은 하중이 작용할 경우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 응력은 압축측 콘크리트가 부담한다.
  2. 휘기 전에 평면인 단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을 유지 한다.
  3. 응력은 중립축에서 최대이며 거리에 반비례한다.
  4.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43%)
  • "응력은 중립축에서 최대이며 거리에 반비례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실제로는 응력은 중립축에서 최대가 되지 않고, 중립축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며 거리에 반비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단면의 모양과 하중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압축 응력은 압축측 콘크리트가 부담하며, 휘기 전에 평면인 단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을 유지합니다.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며, 이는 응력과 반대로 중립축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도로교 설계에서 하중을 주하중, 부하중, 주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 부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으로 구분할 때, 부하중에 해당하는 것은?

  1. 활하중
  2. 풍하중
  3. 고정하중
  4. 충격하중
(정답률: 58%)
  • 도로교에는 차량의 무게나 통행 중 발생하는 진동 등의 주하중 외에도, 바람이나 눈, 비 등의 기후 조건에 의한 부하중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 풍하중은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중으로, 도로교의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하중입니다. 특히, 도로교가 높은 지역에 위치하거나, 바람이 강한 지역에 위치할 경우 풍하중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로교 설계 시에는 풍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안전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재료의 강도가 크고, 콘크리트에 비하여 부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지간이 긴 교량을 축조하는데 유리한 토목 구조물의 구조는?

  1. 강 구조
  2. 석 구조
  3. 목 구조
  4. 흙 구조
(정답률: 89%)
  • 강 구조는 강철 재료의 강도가 크고, 콘크리트에 비하여 부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지간이 긴 교량을 축조하는데 유리합니다. 따라서, 지구력이 강한 구조물을 만들기에 적합하며, 대형 건축물이나 교량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및 설계 하중이 작용할 때의 단면 응력에 대한 가정 사항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 전다면이 유효하게 작용한다.
  2. 콘크리트와 PS강재는 탄성 재료로 가정한다.
  3. 부재의 길이 방향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4. PS강재 및 철근은 각각 그 위치의 콘크리트 변형률은 다르다.
(정답률: 34%)
  • PS강재 및 철근은 각각 그 위치의 콘크리트 변형률은 다르다. 이는 PS강재와 철근이 콘크리트와 다른 재료이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는 비교적 느리게 변형되는 탄성 재료이지만, PS강재와 철근은 더 빠르게 변형되는 플라스틱 재료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와 PS강재 또는 철근 사이에는 변형률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단면 응력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방향 슬래브에서 배력 철근을 배치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주철근의 간격유지
  2. 균열을 특정한 위치로 집중
  3.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 감소
  4. 고른 응력 분포
(정답률: 53%)
  • 배력 철근은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됩니다.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고른 응력 분포는 슬래브의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입니다.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 감소는 슬래브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배력 철근을 배치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균열을 특정한 위치로 집중시키는 것입니다. 균열이 집중되면 슬래브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균열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독립확대 기초의 크기가 2m×3m이고, 허용 지지력이 20kN/m2일 때,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1. 90kN
  2. 120kN
  3. 150kN
  4. 180kN
(정답률: 86%)
  • 독립확대 기초의 허용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허용 하중 = 허용 지지력 × 기초 면적
    = 20kN/m2 × (2m × 3m)
    = 120kN

    따라서,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120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구조물 재료에서 강재의 특징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균질성을 가지고 있다.
  2.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쉽다.
  3. 차량 통행 등에 의한 소음이 거의 없다.
  4.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82%)
  • 강재는 질량이 크고 단단하여 소음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통행 등에 의한 소음이 거의 없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가장 최근에 건설된 국내 교량은?

  1. 서해대교
  2. 양화대교
  3. 한강대교
  4. 남해대교
(정답률: 52%)
  • 정답: 서해대교

    설명: 서해대교는 2018년 10월에 개통된 국내 최신 교량입니다. 양화대교는 1985년, 한강대교는 1982년, 남해대교는 1973년에 건설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띠철근 기둥
  2. 나선 철근 기둥
  3. 합성 기둥
  4. 곡선 기둥
(정답률: 74%)
  •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보통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곡선 기둥은 직선적인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형식으로는 곡선 기둥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의 가설 방법으로 교대 후방의 작업장에서 교량 상부 구조를 세그먼트로 제작하고 교축 방향으로 밀어 내어 연속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은?

  1. PSM(precast segmental method)
  2.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3. FSM(full staging method)
  4.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정답률: 39%)
  • ILM은 교대 후방의 작업장에서 교량 상부 구조를 세그먼트로 제작하고 교축 방향으로 밀어 내어 연속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설명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IL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의 원인 중 도입할 때의 손실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마찰에 의한 손실
  2. 콘크리트의 크리프
  3.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4.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정답률: 44%)
  • 마찰에 의한 손실은 프리스트레스 케이블과 주변 콘크리트 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즉, 케이블이 콘크리트 내부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일어나는 손실입니다. 이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손실이 더 많이 발생하며, 케이블의 이동 속도와 콘크리트의 표면 조건에 따라 손실이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구조물에서 강재에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허용응력 이하의 작은 하중에서도 파괴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취성파괴
  2. 피로파괴
  3. 연성파괴
  4. 극한파괴
(정답률: 46%)
  • 강구조물에서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면, 강재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 등으로 인해 마이크로크랙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마이크로크랙은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점차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결국에는 허용응력 이하의 작은 하중에서도 강재가 파괴되는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현상을 피로파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 있는 기초는?

  1. 경사 확대기초
  2. 벽 확대기초
  3. 연결 확대기초
  4. 전면기초
(정답률: 33%)
  • 경사 확대기초는 기둥과 기초 사이에 경사면을 만들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 있는 기초입니다. 다른 기초들은 연결되어 있는 기둥들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 속에 묻혀 있는 철근과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저항하는 것을 부착이라 한다. 이러한 부착 작용의 3가지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멘트 풀과 철근 표면의 정착 작용
  2. 콘크리트와 철근 표면의 마찰 작용
  3. 이형 철근 표면의 요철에 의한 기계적 작용
  4. 원형 철근 표면의 요철에 의한 기계적 작용
(정답률: 50%)
  • 원형 철근은 요철이 없기 때문에 이형 철근과 달리 요철에 의한 기계적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원형 철근 표면의 요철에 의한 기계적 작용"은 부착 작용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토목 구조물의 공통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건설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2. 대부분 자연 환경 속에 놓인다.
  3. 공공의 목적으로 건설된다.
  4. 다량 생산을 전제로 한다.
(정답률: 88%)
  • 다량 생산을 전제로 한다는 것은 토목 구조물이 대량으로 필요하며, 대량 생산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와 생산 과정에서 표준화와 모듈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토목 구조물의 특징 중에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 모양의 구조물로 지지 조건에 의한 주철근 구조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되는 것은?

  1. 옹벽
  2. 기둥
  3. 슬래브
  4. 확대기초
(정답률: 72%)
  • 슬래브는 지지 조건에 따라 주철근 구조로 구분되는 구조물 중에서도, 폭이 넓은 판 모양의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슬래브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문자의 크기를 나타낼 때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1. 모양
  2. 굵기
  3. 높이
  4. 서체
(정답률: 90%)
  • 문자의 크기를 나타낼 때는 높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문자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모양과 굵기, 서체 등이 달라져도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문자의 크기를 표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테두리선, 표제란 등 도면 설정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파일과 그 확장자가 옳은 것은?

  1. CAD 파일 – DXF
  2. 템플릿 파일 - DWT
  3. 문자 파일 – HWP
  4. 그림 파일 - DWG
(정답률: 39%)
  • 템플릿 파일은 도면 설정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파일로, 새로운 도면을 작성할 때 이 파일을 기반으로 작성하면 미리 설정된 값들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DWT는 AutoCAD에서 사용되는 템플릿 파일의 확장자입니다. 따라서 "템플릿 파일 - DW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면의 분류에서 구조도에 표시하는 것이 곤란한 특정부분의 형상, 치수, 기구 등을 자세하게 표시하는 도면은?

  1. 일반도
  2. 구조도
  3. 상세도
  4. 제작도
(정답률: 79%)
  • 상세도는 구조도에 표시하기 어려운 특정 부분의 형상, 치수, 기구 등을 자세하게 표시하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상세도는 구조도와는 달리 더 자세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면의 경계 표시중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9%)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반면 위에는 건축물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반면 아래에 있는 바닥면, 천정면, 벽면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투상법에서 제1각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눈 → 물체 → 투상면
  2. 눈 → 투상면 → 물체
  3. 물체 → 눈 → 투상면
  4. 물체 → 투상면 → 눈
(정답률: 76%)
  • 정투상법에서 제1각법의 순서는 "눈 → 물체 → 투상면" 입니다. 이는 먼저 눈에서 물체를 바라보고, 그 다음에 물체에서 투상면을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이 순서를 지키면 눈과 물체, 물체와 투상면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도면을 CAD 좌표가 그려져 있는 판 위에 놓고 위치와 정보를 컴퓨터에 직접 입력하는 장치는?

  1. 키보드(keyboard)
  2. 스캐너(scanner)
  3. 디지타이저(digitizer)
  4. 프로젝터(projector)
(정답률: 45%)
  • 디지타이저는 도면이나 그림 등을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 CAD 좌표가 그려져 있는 판 위에 놓고 위치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디지타이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건설 재료의 단면 표시 중 모르타르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모르타르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르타르는 벽돌이나 돌을 붙이는 데 사용되는 시멘트와 같은 재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철근, 목재, 콘크리트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근의 기계적 이음을 표시하는 것은?

(정답률: 77%)
  • 철근의 기계적 이음을 표시하는 것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기호는 철근의 연결부분에서 두 개의 철근이 겹쳐져서 이음을 이루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다른 종류의 철근 연결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계적 이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이 길이가 L인 I형강의 치수 표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I H-B×L×t
  2. I L-B×H×t
  3. I B×L×H×t
  4. I H×B×t-L
(정답률: 56%)
  • I형강은 H×B×t-L로 표기합니다. 이유는 H는 형강의 높이, B는 윗폭, t는 플랜지 두께, L은 길이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B×t-L이 가장 적합한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형의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선, 위치 결정의 근거임을 나타내는 기준선 등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는?

  1. 1점 쇄선
  2. 2점 쇄선
  3. 파선
  4. 가는 실선
(정답률: 76%)
  • 도형의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선이나 위치 결정의 근거를 나타내는 기준선은 일반적으로 길이나 모양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단순히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러한 선들은 가느다란 선으로 표시되는데, 이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1점 쇄선"이다. 이는 선이 끝나는 지점에서 작은 점 하나가 쇄선 모양으로 그려진 것으로, 선의 끝을 명확하게 표시하면서도 선이 너무 두껍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국제 및 국가 규격 명칭 중 한국산업 규격은?

  1. NF
  2. ISO
  3. DIN
  4. KS
(정답률: 72%)
  • "KS"는 "Korean Standards"의 약자로, 한국에서 제정된 산업 규격을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인 "NF"는 "Norme Française"의 약자로 프랑스 산업 규격을,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을, "DIN"은 "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의 약자로 독일 산업 규격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문자의 선 굵기는 한글자, 숫자 및 영자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얼마로 하는 것이 좋은가?

  1. 1/2
  2. 1/5
  3. 1/7
  4. 1/9
(정답률: 78%)
  • 문자의 선 굵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문자 크기의 1/9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1/9가 가독성과 균형을 유지하기에 적절한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1/2나 1/5는 너무 두껍고, 1/7은 너무 얇아서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9가 가장 적절한 문자의 선 굵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로 옳은 것은?

  1. 지반면(흙)
  2. 호박돌
  3. 잡석
  4. 모래(사질토)
(정답률: 86%)
  • 이 그림에서 보이는 단면은 주로 토사층이며, 모래(사질토)는 흙과 호박돌, 잡석 등과 구분되는 지반재료 중 하나입니다. 모래는 입자 크기가 0.063mm ~ 2mm 이하인 지옥재료로, 흙보다는 입자 크기가 크고 호박돌, 잡석보다는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경계 표시로 모래(사질토)를 선택하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정투상도에서 표시되지 않는 도면은?

  1. 측면도
  2. 저면도
  3. 상세도
  4. 정면도
(정답률: 62%)
  • 정투상도는 3차원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때, 물체의 모든 면을 다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면만을 선택하여 표시합니다. 따라서, 정투상도에서 표시되지 않는 도면은 다른 면이나 세부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는 "상세도"입니다. 상세도는 물체의 특정 부분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 정투상도와 함께 사용하여 물체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면의 크기 중 A4 크기의 2배가 되는 도면은?

  1. A5
  2. A3
  3. B4
  4. B3
(정답률: 80%)
  • A4 크기의 2배는 A3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A4 크기는 210mm x 297mm이고, A3 크기는 297mm x 420mm입니다. 따라서 A4 크기의 2배가 되는 도면은 A3 크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로 종단면도의 기재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반고
  2. 계획고
  3. 추가거리
  4. 도로의 폭
(정답률: 43%)
  • 도로의 폭은 도로 종단면도의 기재 사항 중 하나이지만, 이는 주로 도로 설계 시에 결정되는 사항으로, 종단면도에서는 이미 결정된 도로의 폭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도로의 폭"은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투상도에서 물체 모양과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면은 어느 도면으로 선정하는 것이 좋은가?

  1. 정면도
  2. 평면도
  3. 배면도
  4. 측면도
(정답률: 66%)
  • 정면도는 물체의 전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물체의 모양과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물체의 깊이와 높이를 파악할 수 있어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투상도에서 물체 모양과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면은 정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AD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우스 포인터로 아이콘을 클릭한다.
  2. 명령(Command) 창에 직접 명령어를 입력한다.
  3. 풀다운 명령에서 해당 명령어를 찾아 클릭한다.
  4. 검색창에 직접 명령어를 입력한다.
(정답률: 57%)
  • 검색창은 명령어를 실행하는 기능이 아니라, 명령어를 검색하여 해당 명령어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KS 토목제도 통칙에서 척도의 비가 1:1보다 작은 척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현척
  2. 배척
  3. 축척
  4. 소척
(정답률: 79%)
  • 축척은 지도나 도면 등에서 실제 크기보다 작은 비율로 축소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비가 1:1보다 작은 척도를 축척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각봉의 절단면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 입니다.

    각봉은 정육면체 모양이며, 절단면이 바르게 표시되었다면 각 면이 모두 직각이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만이 모든 면이 직각이므로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적어도 하나의 면이 직각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각 모서리가 직각으로 만나는 물체는 모서리를 세 축으로 하여 투상도를 그리면 입체의 모양을 하나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러한 투상법은?

  1. 정투상법
  2. 사투상법
  3. 축측 투상법
  4. 표고 투상법
(정답률: 35%)
  • 각 모서리가 직각으로 만나는 물체는 세 축으로 나누어 각 축을 따라 투상도를 그리면 입체의 모양을 하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축측 투상법은 이러한 세 축 중 하나를 중심으로 투상도를 그리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간단하고 직관적인 입체 모형을 그릴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면의 치수 표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 단위는 cm를 원칙으로 하며, 단위 기호는 표기하지 않는다.
  2. 시수선이 세로일 때 치수를 치수선 오른쪽에 표시한다.
  3. 좁은 공간에서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표시할 수 있다.
  4. 치수는 선이 교차하는 곳에 표기한다.
(정답률: 72%)
  • 좁은 공간에서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표시할 수 있는 이유는 인출선이 치수선과 수직으로 만나기 때문에 치수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인출선은 치수선과 수직으로 만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출선의 끝에 화살표를 표시하여 치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치수나 각종 기호 및 지시사항을 기입하기 위하여 도형에서 수평선으로 부터 빼낸 선"과 같은 종류의 선을 보기에서 골라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65%)
  • 문제에서 설명한 "치수나 각종 기호 및 지시사항을 기입하기 위하여 도형에서 수평선으로 부터 빼낸 선"은 치수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보기에서 ㉢와 ㉣은 모두 치수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철근의 표시법에서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이 400㎜임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D400
  2. Ø400
  3. @400 C.T.C
  4. 5@80=400
(정답률: 73%)
  • 철근의 표시법에서 "@400 C.T.C"는 "중심부터 중심까지 400mm 간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이 400mm임을 바르게 나타낸 것입니다. "D400"는 직경이 400mm인 것을 의미하며, "Ø400"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지만 표기 방식이 다릅니다. "5@80=400"은 80mm 간격으로 5개의 철근이 있으며, 이들의 합이 400mm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치수와 치수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으면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치수선의 단말기호(화살표)를 치수 보조선의 안쪽에 그릴 수 없는 경우에는 생략한다.
  3.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긋는다.
  4. 치수선은 물제를 표시하는 도면의 외부에 긋는다.
(정답률: 65%)
  • "치수선의 단말기호(화살표)를 치수 보조선의 안쪽에 그릴 수 없는 경우에는 생략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치수선의 단말기호가 치수 보조선의 안쪽에 그려지면 치수를 읽는 데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치수선의 단말기호는 치수 보조선의 바깥쪽에 그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