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재료의 강도란 물체의 하중이 작용할 때 그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때 강도 중 하중 속도 및 적용에 따라 분류되는 강도가 아닌 것은?

  1. 정적 강도
  2. 충격강도
  3. 피로 강도
  4. 릴렉세이션 강도
(정답률: 80%)
  • 릴렉세이션 강도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체가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강도이기 때문에, 하중 속도나 적용에 따라 분류되는 강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에서 ƒck=30MPa 일 때, 등각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a를 구하기 위한 계수 β1의 크기는?

  1. 0.815
  2. 0.830
  3. 0.836
  4. 0.850
(정답률: 51%)
  • 등각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a를 구하기 위한 계수 β1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β1 = 1 - 0.4(ƒck/100) = 1 - 0.4(30/100) = 0.88

    하지만, 이 계수는 균일한 휨모멘트를 받는 경우에 적용되며, 실제로는 휨모멘트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보정계수인 k1을 곱해줘야 합니다.

    k1 = 1 - (3/4)(d/a) + (1/8)(d/a)3

    여기서, d는 부재의 높이이며, 일반적으로 d/a는 0.5 이하입니다. 따라서, k1은 대략 0.9 정도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구해야 하는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a = (M/(β1k1bd2))1/3

    여기서, b는 부재의 너비이며, M은 휨모멘트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β1k1 = 0.88 x 0.9 = 0.792 이므로, 최종적으로 a/b = 0.836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83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효 높이 D=450㎜인 단 철근 직사각형 보에 압축을 받는 이형철근의 기본 정착 길이가 400㎜라면 압축 이형 철근의 정착 길이는? (단, 보정 계수는 0.75이다.)

  1. 250㎜
  2. 300㎜
  3. 350㎜
  4. 400㎜
(정답률: 53%)
  • 압축 이형 철근의 정착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압축 이형 철근의 기본 정착 길이 × 보정 계수 = 압축 이형 철근의 정착 길이

    따라서, 압축 이형 철근의 정착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400㎜ × 0.75 = 300㎜

    따라서, 정답은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휨을 받는 콘크리트 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는 인장강도에 강하나 압축강도에는 약하다.
  2. 철근의 탄성계수는 2.0×105 MPa를 표준으로 한다.
  3.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율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4. 철근은 압축력보다 주로 인장력에 저항한다.
(정답률: 68%)
  • "콘크리트는 인장강도에 강하나 압축강도에는 약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콘크리트는 주로 압축력에 강하고 인장력에는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보의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상부에 위치한 철근은 인장력을 받아 보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철근과 콘크리트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철근의 탄성계수는 2.0×105 MPa를 표준으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율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는 것도 맞습니다. 철근은 압축력에도 인장력에도 저항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강용 섬유를 혼입하여 주로 연성, 균열 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는?

  1. 고강도 콘크리트
  2. 섬유보강 콘크리트
  3.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67%)
  •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보강용 섬유를 혼입하여 연성, 균열 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섬유보강 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간 25m인 단순보에 고정하중 200kN/m, 휨하중 150kN/m이 작용하고 있다.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보에 작용하는 극한 하중은? (단, 하중계수는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에 따른다.)

  1. 400kN/m
  2. 480kN/m
  3. 560kN/m
  4. 640kN/m
(정답률: 53%)
  • 강도설계법에서는 극한 하중을 구하기 위해 안전율을 고려해야 한다.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에서는 보의 안전율을 1.5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보에 작용하는 극한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극한 하중 = (고정하중 × 하중계수 + 휨하중 × 하중계수) ÷ 안전율
    = (200kN/m × 1.2 + 150kN/m × 1.6) ÷ 1.5
    = 480kN/m

    따라서, 정답은 "480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근의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은 잇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부득이 이어야 할 경우 최대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곳에서는 이음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이음부를 한 단면에 집중시켜 같은 부분에서 잇는 것이 좋다.
  4. 철근의 이음 방법에는 겹침 이음법, 용접 이음법, 기계적인 이음법 등이 있다.
(정답률: 55%)
  • "이음부를 한 단면에 집중시켜 같은 부분에서 잇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음부가 여러 단면에 걸쳐 있을 경우, 각 단면에서의 응력 분포가 불균일해져서 이음부 부근에서의 응력 집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음부를 한 단면에 집중시켜 같은 부분에서 잇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하는 부순돌(쇄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와 부착이 좋다.
  2. 수밀성, 내구성 등이 약간 저하된다.
  3. 보통 콘크리트 보다 단위수량이 10% 정도 많이 요구 된다.
  4. 부순돌은 강자갈과 달리 거친 표면 조직과 풍화암이 섞여 있지 않다.
(정답률: 50%)
  • 부순돌은 강자갈과 달리 거친 표면 조직과 풍화암이 섞여 있지 않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부순돌은 강자갈과 달리 자연적인 풍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서 표면이 더욱 단단하고 균일하지만, 풍화암이나 다른 불순물이 섞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순돌을 사용할 때에도 적절한 선별과 정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근콘크리트 보를 설계할 때 극한강도에서 압축 최대 변형률은 얼마로 가정 하는가?

  1. 0.001
  2. 0.0015
  3. 0.002
  4. 0.003
(정답률: 80%)
  • 철근콘크리트 보를 설계할 때 극한강도에서 압축 최대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합니다. 이는 철근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상 압축하면 변형률이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극한강도에서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수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 변형률을 0.003으로 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스터럽과 띠철근의 135° 표준갈고리는 구부림 끝에서 최소 얼마 이상 연장되어야 하는가? (단, D25 이하의 철근이고, db는 철근의 공칭지름이다.)

  1. 2db 이상
  2. 4db 이상
  3. 6db 이상
  4. 8db 이상
(정답률: 57%)
  • 갈고리 부분은 구부림으로 인해 인장력이 발생하므로, 갈고리 부분의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연장되어야 한다. 이때, 철근의 공칭지름이 작을수록 인장강도가 낮아지므로, D25 이하의 철근에서는 연장되어야 하는 길이가 더 많아진다. 또한, 갈고리 부분의 길이가 짧을수록 인장력이 집중되므로, 충분한 연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갈고리 부분의 연장은 최소 6db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의 시방 배합을 현장 배합으로 수정할 때 고려(보정)하여야 하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골재의 비중 및 잔골재율
  2. 골재의 비중 및 표면수량
  3. 골재의 입도 및 잔골재율
  4. 골재의 입도 및 표면수량
(정답률: 43%)
  •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은 골재의 입도와 표면수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방 배합을 현장 배합으로 수정할 때는 골재의 입도와 표면수량을 고려하여 보정해야 합니다. 골재의 입도가 크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낮아지고, 표면수량이 적으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작업 후 재료 분리 현상으로 시멘트와 골재가 가라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은?

  1. 블리딩
  2. 크리프
  3. 레이턴스
  4. 워커빌리티
(정답률: 91%)
  • 블리딩은 작업 후 시멘트와 골재가 가라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입니다. 이는 블러드(영어로는 blood)와 비슷한 모양새를 가지고 있어서 블리딩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근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철근이 부식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2. 철근과 콘크리트가 부착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3. 철근의 응력이 다른 철근으로 잘 전달 되도록 하기 위하여
  4. 철근의 양쪽 끝이 콘크리트 속에서 미끄러지거나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답률: 36%)
  • 철근과 콘크리트가 부착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해야 합니다. 이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철근 배근 간격이 너무 멀거나 불규칙하게 되면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부착력이 약해져서 구조물의 강도와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휨철근에 직사각방향으로 배근되는 수축-온도철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축-온도철근으로 배치되는 이형철근의 최소 철근비는 0.0014 이다.
  2. 수축-온도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수축-온도철근의 최대 간격은 500㎜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수축-온도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되어야 한다.
(정답률: 40%)
  • "수축-온도철근의 최대 간격은 500㎜ 이하로 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수축-온도철근은 슬래브의 수축과 온도변화로 인한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배치되는데, 간격이 너무 넓으면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로 하여야 하며, 최대 간격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골재알이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표면건조 포화 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하는 물의 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함수량
  2. 흡수량
  3. 유효 흡수량
  4. 표면수량
(정답률: 73%)
  • 골재알이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표면건조 포화 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하는 물의 양을 측정할 때, 골재알의 표면에 물이 흡수되는 양과 함께 내부 구조에 물이 흡수되는 양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때, 내부 구조에 물이 흡수되는 양은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면에 흡수되는 양만을 고려하여 측정한 것을 유효 흡수량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 흡수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유효 깊이 d=550㎜, 등가직사각형 길이 a=100㎜, 철근의 단면적용 1500㎜2인 단철근 콘크리트 보의 공칭 모멘트는? (단,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MPa 이다.)

  1. 300kN·m
  2. 330kN·m
  3. 300,000,000kN·m
  4. 330,000,000kN·m
(정답률: 33%)
  • 공칭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칭 모멘트 = 철근의 항복모멘트 × 유효 깊이 × 등가직사각형 길이

    여기서 철근의 항복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철근의 항복모멘트 = 철근의 단면적 × 철근의 항복강도 ÷ 1.15

    따라서 철근의 항복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철근의 항복모멘트 = 1500㎜2 × 400MPa ÷ 1.15 = 521739.13 N·m

    따라서 공칭 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칭 모멘트 = 521739.13 N·m × 550㎜ × 100㎜ = 28695652174 N·mm = 28695.652174 kN·m ≈ 300kN·m

    따라서 정답은 "300kN·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는?

  1. 120㎜
  2. 100㎜
  3. 80㎜
  4. 60㎜
(정답률: 76%)
  •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는 수분과 염분 등의 영향을 받아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피복 두께가 필요합니다.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최소 100㎜의 피복 두께가 필요하며,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은?

  1. 배력철근
  2. 굽힘철근
  3. 비틀림철근
  4. 조립용철근
(정답률: 84%)
  • 배력철근은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되어 균열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배력철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폭 b=400mm, 유효깊이 d=5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철근비는? (단, 철근의 단면적 As=4000mm2)

  1. 0.02
  2. 0.03
  3. 0.04
  4. 0.05
(정답률: 61%)
  • 인장철근비는 인장철근의 단면적을 전체 단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단면적을 구해야 합니다.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철근은 보의 아랫면에서 50mm 높이에 위치하므로, 인장철근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인장철근의 너비 = 보의 폭 - 2 × 콘크리트 보강층 두께 - 인장철근과 콘크리트 보강층 사이의 간격
    = 400 - 2 × 25 - 12.5
    = 337.5mm

    인장철근의 면적 = 인장철근의 너비 × 인장철근의 높이
    = 337.5 × 8
    = 2700mm2

    전체 단면적은 폭과 유효깊이를 곱한 값입니다.

    전체 단면적 = 폭 × 유효깊이
    = 400 × 500
    = 200000mm2

    따라서 인장철근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장철근비 = 인장철근의 면적 ÷ 전체 단면적
    = 2700 ÷ 200000
    = 0.0135

    하지만, 인장철근비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해야 하므로, 반올림하여 0.0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숏크리트, 그라우트에 의한 지수 공법 등에 사용되는 혼화제는?

  1. 급결제
  2. 촉진제
  3. 지연제
  4. 발포제
(정답률: 67%)
  • 급결제는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한 혼화제 중 하나로, 숏크리트나 그라우트와 같은 지수 공법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응결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시간을 줄이고, 빠른 고강도를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급결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교량을 중심으로 세계 토목 구조물의 역사를 보면 재료 및 신기술의 발전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장대교량이 출현한 시기는?

  1. 기원 전 1~2세기
  2. 9~10세기
  3. 11~18세기
  4. 19~20세기 초
(정답률: 64%)
  • 19~20세기 초에는 철강과 콘크리트 등의 새로운 재료가 개발되어 대규모 구조물의 건설이 가능해졌고,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하여 장대교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술적 발전과 경제적 발전으로 인해 대규모 구조물의 건설이 가능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교량 설계에서 하중을 주하중, 부하중, 주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 부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으로 구분할 때 주하중이 아닌 것은?

  1. 풍하중
  2. 활하중
  3. 고정하중
  4. 충격하중
(정답률: 58%)
  • 주하중은 교량이 사용되는 중량이나 차량의 무게 등을 의미하며, 부하중은 교량 자체의 무게나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 등을 의미합니다. 특수하중은 주하중이나 부하중과는 별개로 특별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풍하중은 교량에 발생하는 특수하중 중 하나로,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입니다. 이는 주하중이나 부하중과는 별개의 하중으로, 교량 설계 시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슬래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래브는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모양의 구조이다.
  2. 2방향 슬래브는 주철근의 배치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도록 되어 있다.
  3. 주철근의 구조에 따라 크게 1방향 슬래브, 2방향 슬래브로 구별할 수 있다.
  4. 4변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중에서 단면에 대한 장변의 비가 4배를 넘으면 2방향 슬래브로 해석한다.
(정답률: 71%)
  • 4번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4변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중에서 단면에 대한 장변의 비가 4배를 넘으면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합니다. 이는 슬래브의 강성과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주철근의 배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철근 콘크리트가 건설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는 부착이 매우 잘 된다.
  2. 철근과 콘크리트의 항복응력이 거의 같다.
  3.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열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률: 70%)
  • 철근과 콘크리트의 항복응력이 거의 같다는 이유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함께 작용하여 구조물을 이루는 경우, 철근과 콘크리트는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작용하게 되어, 외부의 하중이 가해져도 철근과 콘크리트는 함께 변형하게 되어 항복응력이 거의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토목 구조물의 종류에서 합성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외력에 대한 불리한 응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위적인 내력을 준 콘크리트 구조
  2. 강재로 이루어진 구조로 부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공사 기간이 단축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구조
  3.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 쳐서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는 구조
  4.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배치하여 양자가 일체가 되어 외력을 받게 한 구조
(정답률: 48%)
  • 강재의 보 위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어 쳐서 양자가 일체로 작용하는 구조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장점을 결합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구조물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외력에 대한 불리한 응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위적인 내력을 준 콘크리트 구조와 달리, 외력을 받으면 강재와 콘크리트가 함께 작용하여 구조물을 지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구조 재료로서 강재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정기적인 도장이 필요하다.
  2. 지간이 짧은 곳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3.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가 발생되기 쉽다.
  4. 연결 부위로 인한 구조 해석이 복잡할 수 있다.
(정답률: 62%)
  • 강재는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지만, 지간이 짧은 곳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강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강재는 길이 방향으로는 강하고, 그에 비해 굽힘과 전단에 대한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길이가 긴 구조물에서는 지간이 긴 부분에서는 강재의 사용이 어렵고, 대신에 철근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개 이상의 기둥을 1개의 확대 기초로 지지하도록 만든 기초는?

  1. 경사 확대 기초
  2. 독립 확대 기초
  3. 연결 확대 기초
  4. 계단식 확대 기초
(정답률: 72%)
  • 연결 확대 기초는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확대 기초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기둥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기둥이 무너져도 다른 기둥들이 서로를 지탱하여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규모 건축물이나 다리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 철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 철근
  2. 절곡 철근
  3. 인장 철근
  4. 띠 철근
(정답률: 66%)
  • 띠 철근은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 철근으로, 기둥을 둘러싸는 띠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띠 철근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상부 수직 하중을 하부 지반에 분산시키기 위해 저면을 확대시킨 철근 콘크리트판은?

  1. 확대 기초판
  2. 플랫 플레이트
  3. 슬래브판
  4. 비내력벽
(정답률: 72%)
  • 상부 수직 하중을 하부 지반에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초판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저면을 확대시킨 철근 콘크리트판은 기존의 기초판을 확대하여 지지력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확대 기초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보의 설계를 위한 가정 사항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는 전단면이 유효하게 작용한다.
  2. 부재의 길이 방향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3. 콘크리트는 소성 재료로 PS강재는 탄성 재료로 가정한다.
  4. 부착되어 있는 PS강재 및 철근은 각각 그 위치의 콘크리트의 변형률과 같은 변형률을 일으킨다.
(정답률: 32%)
  • 정답인 "콘크리트는 소성 재료로 PS강재는 탄성 재료로 가정한다."는 가정 사항이 아니라 실제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는 소성 재료로, 즉 일정한 변형률 이상이 되면 파괴되는 재료이며, PS강재는 탄성 재료로, 즉 일정한 변형률 이하에서는 복원력을 가지고 변형이 일어나지만, 일정한 변형률 이상에서는 파괴되지 않고 변형이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이 두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보를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철근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이 우수하다.
  2. 균열 발생이 없고, 경사 및 개조 해체 등이 쉽다.
  3.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기 쉽다.
  4. 다른 구조물에 비하여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73%)
  • 철근 콘크리트는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기 쉽고 다른 구조물에 비하여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듭니다. 하지만 균열 발생이 없고, 경사 및 개조 해체 등이 쉽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철근 콘크리트도 시간이 지나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사나 개조 해체도 전문적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교량을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로 구분할 때 하부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바닥판
  2. 바닥틀
  3. 주트러스
  4. 교각
(정답률: 65%)
  • 교량의 하부 구조는 주로 지지력을 제공하고 교량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교각은 주로 교량의 수평적인 강도를 유지하고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부 구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위험 단면에서 1방향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의 철근의 중심 간격은?

  1.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또는 200㎜ 이하
  2.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또는 300㎜ 이하
  3.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 또는 400㎜ 이하
  4.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 또는 500㎜ 이하
(정답률: 77%)
  • 슬래브의 위험 단면에서 정모멘트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또는 300㎜ 이하의 철근 중심 간격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이는 슬래브의 굽힘 응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철근의 효과적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철근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굽힘 응력이 분산되어 슬래브의 강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또는 300㎜ 이하의 철근 중심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한 설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포스트 텐션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S강재를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2.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PS강재를 긴장한다.
  3. 그라우트를 주입시켜 PS강재를 콘크리트와 부착시킨다.
  4. 정착 방법에는 쐐기식과 지압식이 있다.
(정답률: 49%)
  • "PS강재를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포스트 텐션 공법에서는 PS강재를 콘크리트에 끼워넣은 후에 강재를 긴장시키고, 그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력을 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 구조의 판형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단력은 주로 복부판으로 저항한다.
  2. 일반적으로 주형의 단면은 휨모멘트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3. 풍하중이나 지진 하중 등의 수평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주형의 하부에 수직 브레이싱을 설치한다.
  4. 주형의 횡단면에 대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 방향으로 교차하여 사용하는 부재를 스트럽이라 한다.
(정답률: 20%)
  • 전단력은 주로 복부판으로 저항하는 이유는, 전단력은 인접한 두 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으로, 판형교의 경우 판의 두 면이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단력이 발생하면 판의 두 면 중 하나인 복부판이 이를 저항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판형교의 복부판은 전단력에 대한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면의 치수기입 원칙이 아닌 것은?

  1. 치수는 계산할 필요가 없도록 기입해야 한다.
  2. 치수는 될 수 있는 대로 주투상도에 기입해야 한다.
  3. 정확성을 위하여 반복적으로 중복해서 치수기입을 해야 한다.
  4. 길이와 크기, 자세 및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정답률: 78%)
  • 정확성을 위하여 반복적으로 중복해서 치수기입을 해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은 원칙입니다. 치수는 필요한 만큼만 기입하고, 중복해서 기입하면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성을 위해서는 필요한 치수만 기입하고, 중복해서 기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협소한 부분의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인출선
  2. 기준선
  3. 중심선
  4. 외형선
(정답률: 81%)
  • 인출선은 도면상에서 부품의 협소한 부분의 치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부품의 외형선과는 별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인출선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로 설계에 대한 순서가 옳은 것은?

  1. ① → ② → ③ → ④
  2. ① → ③ → ② → ④
  3. ② → ① → ③ → ④
  4. ② → ③ → ① → ④
(정답률: 50%)
  • 도로 설계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본설계 → ② 도로선정 → ③ 상세설계 → ④ 시공 및 유지보수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기본설계입니다. 기본설계는 도로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로, 도로의 용도, 교통량, 지형 등을 고려하여 도로의 크기, 높이, 경사 등을 결정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도로선정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기본설계에서 결정한 도로의 크기와 높이, 경사 등을 고려하여 실제 도로가 어디를 지나가야 하는지를 결정합니다.

    상세설계 단계에서는 도로의 디테일한 부분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곡선 부분이나 교차로 부분 등을 상세하게 설계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공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도로를 실제로 건설하고 유지보수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① → ③ → ② → ④"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국제 및 국가별 표준규격 명칭과 기호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 표준화 기구 - ISO
  2. 영국 규격 - DIN
  3. 프랑스 규격 - NF
  4. 일본 규격 - JIS
(정답률: 78%)
  • 영국 규격은 DIN이 아니라 BS(British Standard)입니다. DIN은 독일 규격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기의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때 평면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76%)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에서 보면 물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이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는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평면도에서도 이와 같은 방향으로 그려져야 합니다. ""는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재료단면의 경계표시 중 지반면(흙)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88%)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으로, 재료단면에서 지반면은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컴퓨터 연산 장치의 구성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누산기(accumulator)
  2. 가산기(adder)
  3.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4.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정답률: 41%)
  • 명령 레지스터는 연산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 CPU가 실행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문자의 선 굵기는 한글자, 숫자 및 영자일 때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얼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1/3
  2. 1/6
  3. 1/9
  4. 1/12
(정답률: 77%)
  • 문자의 선 굵기는 한글자, 숫자 및 영자일 때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1/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독성과 균형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문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선 굵기도 얇아져야 하며, 1/9는 이러한 규칙을 따르면서도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KS에서 원칙으로 하는 정투상도 그리기 방법은?

  1. 제1각법
  2. 제3각법
  3. 제5각법
  4. 다각법
(정답률: 86%)
  • KS에서 원칙으로 하는 정투상도 그리기 방법은 제3각법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한 변과 그 변의 양쪽에서 이루어지는 두 각의 크기를 이용하여 다른 두 변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고 정확하며 실제 측량에서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목제도를 목적과 내용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설계도 - 중요한 치수, 기능, 사용되는 재료를 표시한 도면
  2. 계획도 - 설계도를 기준으로 작업 제작에 이용되는 도면
  3. 구조도 - 구조물과 관련 있는 지형 및 지질을 표시한 도면
  4. 일반도 - 구조도에 표시하기 곤란한 부분의 형상, 치수를 표시한 도면
(정답률: 32%)
  • 토목제도는 목적과 내용에 따라 설계도, 계획도, 구조도, 일반도로 분류됩니다. 이 중 설계도는 중요한 치수, 기능, 사용되는 재료를 표시한 도면입니다. 설계도는 구체적인 디자인과 기술적인 세부사항을 보여주며, 제작과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토목공학에서 설계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도 작업을 할 때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속성
  2. 정확성
  3. 응용성
  4. 도덕성
(정답률: 89%)
  •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도 작업을 할 때의 특징은 신속성, 정확성, 응용성이 강조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덕성입니다. 컴퓨터는 인간의 명령에 따라 작동하며, 그 명령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판단은 인간의 책임입니다.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도 작업을 할 때에도 도덕적인 책임을 갖고 행동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단면 형상에 따른 절단면 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파이프를 나타낸 그림은?

(정답률: 7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파이프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절단면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원의 중심을 나타내는 점과 절단면을 나타내는 직선을 그림에서 표시한 것이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상세도 표준의 축척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 : 5
  2. 1 : 50
  3. 1 : 100
  4. 1 : 200
(정답률: 37%)
  •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개 크기가 크고 복잡하여 상세한 정보를 담은 도면이 필요합니다. 이때 도면의 축척은 구체적인 크기와 상세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 5 축척은 1cm의 실제 크기를 5cm로 축소하여 그린 도면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제 크기의 5배 작게 그려진 도면이며, 상세한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개 크기가 크고 복잡하여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1 : 5 축척이 가장 적당합니다.

    반면에 1 : 50, 1 : 100, 1 : 200 축척은 실제 크기를 더욱 작게 축소하여 그린 도면이므로 상세한 정보를 담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축척은 대개 건축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근도의 치수가 “7@250=1750”으로 표시되었을 때 이에 따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철근의 길이가 250㎜이다.
  2. 배열된 철근의 갯수는 알 수 없다.
  3. 철근과 다음 철근의 간격이 1750㎜이다.
  4. 철근을 250㎜ 간격으로 7등분하여 배열하였다.
(정답률: 83%)
  • 정답은 "철근을 250㎜ 간격으로 7등분하여 배열하였다."입니다. 이유는 "7@250=1750"에서 "@" 기호는 "갯수@간격=길이"를 의미하며, 따라서 "7@250"은 "250mm 간격으로 7개의 철근이 있다"는 뜻입니다. 이들 철근을 배열하면 전체 길이는 7개의 철근 간격인 6개의 간격과 첫 번째 철근과 마지막 철근의 길이를 더한 것인 1750m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물체를 평행으로 투상하여 표현하는 투상도가 아닌 것은?

  1. 정투상도
  2. 사투상도
  3. 투시 투상도
  4. 표고 투상도
(정답률: 23%)
  • 투시 투상도는 물체를 원근법에 따라 투시하여 표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투상도와는 구분됩니다. 정투상도는 물체를 수직으로 투상하여 표현하고, 사투상도는 물체를 경사각을 고려하여 투상하여 표현합니다. 표고 투상도는 지형의 고도를 고려하여 투상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의 종류와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형선은 굵은 실선으로 긋는다.
  2. 치수선은 가는 실선으로 긋는다.
  3. 숨은선은 파선으로 긋는다.
  4. 윤곽선은 1점 쇄선으로 긋는다.
(정답률: 77%)
  • 정답: 윤곽선은 1점 쇄선으로 긋는다.

    설명: 윤곽선은 물체의 윤곽을 나타내는 선으로, 굵기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점 쇄선은 윤곽선을 그리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물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윤곽선과는 목적과 용도가 다릅니다. 따라서 윤곽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투시 투상도의 종류 중 인접한 두 면이 각각 화면과 기면에 평행한 때의 것은?

  1. 평행 투시도
  2. 유각 투시도
  3. 경사 투시도
  4. 정사 투시도
(정답률: 83%)
  • 평행 투시도는 인접한 두 면이 각각 화면과 기면에 평행한 경우의 투시도이다. 이 경우에는 물체의 크기와 모양이 실제와 동일하게 보이며, 수직선은 수평선으로, 수평선은 수직선으로 보인다. 따라서 건축도면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실제 크기와 비율을 정확하게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토목제도에 통용되는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축척은 도면마다 기입할 필요가 없다.
  2. 글자는 명확하게 써야 하며, 문장은 세로로 위쪽부터 쓰는 것이 원칙이다.
  3. 도면은 될 수 있는 대로 실선으로 표시하고, 파선으로 표시함을 피한다.
  4. 대칭이 되는 도면은 중심선의 양쪽 모두를 단면도로 표시한다.
(정답률: 59%)
  • 도면은 될 수 있는 대로 실선으로 표시하고, 파선으로 표시함을 피하는 것은 도면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파선은 일반적으로 실선보다 얇고 끊어지기 쉬우므로, 도면을 읽는 사람들이 파선을 잘못 인식하거나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경우 실선으로 표시하여 도면의 명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축도기호가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등고선
  2. 성토
  3. 절토
  4. 과수원
(정답률: 78%)
  • 축도기호에서 나타나는 모양은 지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성토는 웅덩이 모양으로 표시되며, 지형이 오목한 부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위 축도기호에서는 성토가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제도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비로 옳은 것은?

  1. 1 : 1
  2. 1 : 2
  3. 1 : √2
  4. 1 : √3
(정답률: 92%)
  • 제도용지는 A0, A1, A2, A3, A4 등의 크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때, A0 용지의 크기는 1m²이며,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2m 입니다.

    그리고 A1 용지는 A0 용지를 절반으로 잘라서 만들어지며,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A0 용지의 가로와 세로 중 하나가 됩니다.

    즉, A1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는 1 : √2 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2, A3, A4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도 1 : √2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제도용지의 세로와 가로의 비는 1 : √2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을 철하기 위해 표제란에서 가장 떨어진 왼쪽 끝에 두는 구멍 뚫기의 여유를 설치할 때 최소 나비는?

  1. 5mm
  2. 10mm
  3. 15mm
  4. 20mm
(정답률: 43%)
  • 구멍을 뚫기 위한 여유는 구멍의 위치와 도면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mm 이상의 여유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큰 값인 "20mm"이 최소 나비로 적합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이 나타내고 있는 재료는?

  1. 목재
  2. 석재
  3. 강재
  4. 콘크리트
(정답률: 92%)
  •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나무로 만들어진 구조물이기 때문에 정답은 "목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재료의 단면 중 벽돌에 대한 표시로 옳은 것은?

(정답률: 86%)
  • 정답은 "" 입니다.

    벽돌은 일반적으로 빨간색이며, 그림에서도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다른 재료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면에 그려야 할 내용의 영역을 명확하게 하고, 제도 용지의 가장 자리에 생기는 손상으로 기재 사항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것은?

  1. 비교눈금
  2. 윤곽선
  3. 중심마크
  4. 중심선
(정답률: 73%)
  • 윤곽선은 도면에 그려야 할 내용의 영역을 명확하게 하고, 제도 용지의 가장 자리에 생기는 손상으로 기재 사항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면에서 다른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이며, 윤곽선은 도면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행과 열로 구성되어 각 셀의 값을 계산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1. 컴파일러
  2. 스프레드시트
  3. 프레젠테이션
  4. 워드 프로세서
(정답률: 54%)
  • 스프레드시트는 행과 열로 구성되어 각 셀의 값을 계산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컴파일러는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 프레젠테이션은 발표 자료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 워드 프로세서는 문서 작성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