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1-26)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4-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골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공 경량골재를 써서 만든 콘크리트로서 기건 단위질량이 1400~2000kg/m2인 콘크리트는?

  1. 유동화 콘크리트
  2. 경량골재 콘크리트
  3. 폴리머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 콘크리트
(정답률: 84%)
  • 기건 단위질량이 1400~2000kg/m2인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더 가벼운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이러한 가벼운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골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공 경량골재로 대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90° 표준갈고리를 가지는 주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얼마 더 연장되어야 하는가? (단, db는 철근의 공칭지름이다.)

  1. 4db
  2. 6db
  3. 9db
  4. 12db
(정답률: 68%)
  • 90° 표준갈고리를 가지는 주철근은 구부린 끝에서 2db 만큼 연장되어야 합니다. 이는 구부린 부분의 내부 반경이 철근의 지름인 2db 만큼 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2db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중 아래 보기의 ( )에 알맞은 것은?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률: 43%)
  • 주어진 그림에서, 빨간색 선분의 길이는 100이고, 파란색 선분의 길이는 50이다. 따라서, 빨간색과 파란색 선분의 길이를 합치면 1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철근 콘크리트 휨부재의 최소 철근량을 규정하고 있는 이유는?

  1. 부재의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2. 부재의 경제적인 단면 설계를 위하여
  3. 부재의 급작스러운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4. 부재의 재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정답률: 71%)
  •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철근 콘크리트 휨부재의 최소 철근량을 규정하는 이유는 부재의 급작스러운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적절한 철근량을 사용하지 않으면 부재가 갑자기 파괴될 수 있으며, 이는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소 철근량을 규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칠 경우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굵은 골재 중에서 5㎜ 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량
  2. 잔골재량 중 5㎜ 체에 남는 굵은 골재량
  3. 골재의 함수 상태
  4. 단위 시멘트량
(정답률: 59%)
  • 단위 시멘트량은 시방배합과 현장배합 모두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는 시멘트의 양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혼합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시방배합에서는 단위 시멘트량을 기준으로 굵은 골재와 잔골재의 비율을 조절하고, 현장배합에서도 단위 시멘트량을 유지하기 위해 시멘트와 골재의 양을 조절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현장배합으로 고칠 경우에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철근 콘크리트 보의 배근에 있어서 주철근의 이음 장소로 옳은 것은?

  1. 보의 중앙
  2. 지점에서 d/4인 곳
  3. 이음하기에 가장 편리한 곳
  4. 인장력이 가장 작게 발생하는 곳
(정답률: 72%)
  • 인장력은 보의 끝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이음 장소에서는 인장력이 더욱 증가합니다. 따라서 인장력이 가장 작게 발생하는 곳은 보의 중앙이며, 이는 보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옥외의 공기가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철근 콘크리트슬래브의 경우 D35 이하의 철근을 사용하였다면 최소 피복두께는?

  1. 20mm
  2. 30mm
  3. 40mm
  4. 50mm
(정답률: 39%)
  • D35 이하의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최소 피복두께는 20mm이다. 이는 국내 건축기준에 따른 것으로, 철근의 직경이 작을수록 피복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D35 이하의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최소 피복두께는 20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강도 설계법에서 ɑ=β1·c 식 중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가 30MPa일 때 β1 값은? (단, ɑ =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 c =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

  1. 0.850
  2. 0.836
  3. 0.756
  4. 0.736
(정답률: 52%)
  • β1 값은 0.85에서 0.05×(fck−30)/1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fck가 30MPa일 때, β1 값은 0.85−0.05×(30−30)/10 = 0.83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경 100mm의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서 압축하중이 300kN에서 파괴가 진행되었다면 압축강도는?

  1. 18.8MPa
  2. 25.4MPa
  3. 32.5MPa
  4. 38.2MPa
(정답률: 33%)
  • 압축강도는 파괴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입니다.

    원주형 공시체의 단면적은 (π/4) x (d^2) 이므로,

    단면적 = (π/4) x (100mm)^2 = 7853.98mm^2

    압축강도 = 300kN / 7853.98mm^2 = 38.2MPa

    따라서 정답은 "38.2MP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띠철근 기둥에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40mm
  2. 60mm
  3. 80mm
  4. 100mm
(정답률: 60%)
  • 띠철근 기둥에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최소 4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이 너무 작으면 구조물이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취약해지고,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충분히 크게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마주 보는 두 변으로만 지지되는 슬래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1방향 슬래브
  2. 2방향 슬래브
  3. 3방향 슬래브
  4. 4방향 슬래브
(정답률: 65%)
  • 마주 보는 두 변으로만 지지되는 슬래브를 1방향 슬래브라고 합니다. 이는 슬래브가 한 방향으로만 강도를 받기 때문입니다. 2방향 슬래브는 두 변으로 지지되지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강도를 받기 때문에 1방향 슬래브와 구분됩니다. 3방향 슬래브와 4방향 슬래브는 각각 세 변과 네 변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더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지된 보의 설계에서 정역학적 균형 방정식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수평력 H, 수직력 V, 모멘트 M이다.)

  1. ∑H = 0, ∑V = 0, ∑M = 0
  2. ∑H = 0, ∑V = 1, ∑M = 1
  3. ∑H = 1, ∑V = 1, ∑M = 0
  4. ∑H = 1, ∑V = 1, ∑M = 1
(정답률: 54%)
  • 정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구조물에서는 모든 힘과 모멘트의 합이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수평, 수직, 회전 방향으로 나누어 각각의 합이 0이 되어야 하므로, 옳은 조건은 "∑H = 0, ∑V = 0, ∑M = 0" 입니다. 수평 방향으로는 좌우로 가해지는 힘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수직 방향으로는 위아래로 가해지는 힘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회전 방향으로는 구조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가해지는 모멘트와 반시계방향으로 가해지는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폭 b=400mm, 유효깊이 d=5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철근비는? (단, 철근의 단면적 AS=4,000m2 임)

  1. 0.02
  2. 0.03
  3. 0.04
  4. 0.05
(정답률: 56%)
  • 인장철근비는 인장철근의 단면적을 전체 단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단면적을 구해야 합니다.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철근은 보의 아랫면 중앙에 위치하므로, 인장력이 가장 큰 위치입니다. 이 위치에서의 인장력은 최대 굴절모멘트(MR)와 동일합니다. 최대 굴절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R = (하중 × L^2) / 8

    여기서 하중은 보의 중앙에 위치한 인장철근에 작용하는 하중입니다. 이 하중은 보의 중앙에서의 전단력(V)과 동일합니다. 전단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 = (하중 × L) / 2

    여기서 L은 보의 유효깊이입니다.

    따라서 최대 굴절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MR = ((하중 × L) / 2)^2 / 8 = (하중^2 × L^2) / 32

    이 값은 인장철근과 단철근의 합력에 의해 균형이 이루어지므로, 인장철근과 단철근의 합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중 = (인장철근의 합력 + 단철근의 합력) / 2

    여기서 인장철근의 합력은 인장철근의 단면적과 인장강도를 곱한 값입니다. 인장강도는 일반적으로 400MPa 정도입니다.

    따라서 인장철근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장철근비 = 인장철근의 단면적 / (인장철근의 단면적 + 단철근의 단면적)

    인장철근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장철근의 합력 = 하중 × 2 = ((인장철근의 단면적 × 400MPa) + (단철근의 단면적 × 250MPa)) × (400mm × 500mm) / 2

    인장철근의 단면적 = ((하중 × 2) / 400mm × 500mm) - (단철근의 단면적 × 250MPa / 400MPa)

    여기서 단철근의 단면적은 이미 주어졌으므로, 인장철근의 단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인장철근비 = 인장철근의 단면적 / (인장철근의 단면적 + 단철근의 단면적) = 0.02

    따라서 정답은 "0.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골재알이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표면 건조 포화 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하는 물의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함수량
  2. 흡수량
  3. 유효흡수량
  4. 표면수량
(정답률: 70%)
  • 골재알이 공기 중 건조 상태에서 표면 건조 포화 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하는 물의 양을 유효흡수량이라고 합니다. 이는 골재알의 표면에 물이 흡수되는 양을 의미하며, 골재알의 내부까지 흡수되는 양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골재알의 실제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유효한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정한 온도와 수분으로 양생하면 강도가 높아진다.
  2.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다.
  3. 좋은 재료를 사용할수록 강도가 높아진다.
  4. 재령기간이 길수록 강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69%)
  •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강도가 높다."입니다. 이는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시멘트 입자들이 더 밀집되어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시멘트 입자들이 덜 밀집되어 강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에 철근을 배치할 때 철근을 묶어서 다발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휨부재의 경간 내에서 끝나는 한 다발철근 내의 개개 철근은 40db 이상 서로 엇갈리게 끝나야 한다.
  2. 반드시 이형철근이라야 하며, 묶는 개수는 최대 5개 이하이어야 한다.
  3.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보에서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
  4. 다발철근은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져야 한다.
(정답률: 58%)
  • "반드시 이형철근이라야 하며, 묶는 개수는 최대 5개 이하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철근을 다발로 사용하는 이유는 휨부재의 굽힘 모멘트를 견디기 위해 강도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 때, 철근이 서로 엇갈리게 끝나면 굽힘 모멘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휨부재의 경간 내에서 끝나는 한 다발철근 내의 개개 철근은 40db 이상 서로 엇갈리게 끝나야 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또한, 다발철근은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져야 하며,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보에서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이형철근이라야 하며, 묶는 개수는 최대 5개 이하이어야 한다."도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형철근을 사용하면 다발철근 내에서 철근이 서로 엇갈리게 끝나기 쉽고, 묶는 개수를 최대 5개 이하로 제한하면 다발철근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토목 재료로서의 콘크리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는 자체의 무게가 무겁다.
  2. 재료의 운반과 시공이 비교적 어렵다.
  3. 건조 수축에 의해 균열이 생기기 쉽다.
  4.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작다.
(정답률: 70%)
  • "재료의 운반과 시공이 비교적 어렵다."는 콘크리트의 특징이 아니라,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이다. 콘크리트는 자체의 무게가 무겁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운반과 시공이 비교적 어렵다. 이는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공사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근의 이음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접 이음
  2. 겹침 이음
  3. 신축 이음
  4. 기계적 이음
(정답률: 83%)
  • 철근의 이음방법 중 "신축 이음"은 새로운 철근을 이전 철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워넣는 방법으로, 철근의 길이를 연장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음방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례한도 이상의 응력에서도 하중을 제거하면 변형이 거의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의 한도를 칭하는 용어는?

  1. 상항복점
  2. 극한강도
  3. 탄성한도
  4. 소성한도
(정답률: 78%)
  • 탄성한도는 재료가 비례한도 이상의 응력을 받았을 때에도 하중을 제거하면 변형이 거의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한계를 말합니다. 이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범위를 나타내며, 탄성한도를 넘어서면 재료는 영구적인 변형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탄성한도는 재료의 탄성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공칭 휨 강도가 320kN·m로 계산되었다. 강도설계 시 이 보에 대한 설계강도는?

  1. 256kN·m
  2. 272kN·m
  3. 320kN·m
  4. 384kN·m
(정답률: 43%)
  • 공칭 휨 강도는 보의 크기와 재료에 따라 정해진 값으로, 이 값 이하로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설계강도는 공칭 휨 강도를 안전계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안전계수는 보통 1.5 ~ 1.7 정도로 설정되며, 이 문제에서는 안전계수가 1.4로 주어졌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설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설계강도 = 공칭 휨 강도 ÷ 안전계수
    = 320kN·m ÷ 1.4
    ≈ 228.57kN·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정답을 선택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28.57kN·m 대신에 272kN·m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 값은 공칭 휨 강도를 1.18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설계강도 = 공칭 휨 강도 ÷ 1.18
    = 320kN·m ÷ 1.18
    ≈ 271.19kN·m

    따라서, 정답은 "272k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PS 강재에서 필요한 성질로만 짝지어진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ㄱ, ㄷ, ㄹ
(정답률: 71%)
  • PS 강재에서 필요한 성질로만 짝지어진 것은 "ㄱ, ㄷ, ㄹ" 입니다.

    - "ㄱ"은 강도가 높고 인성이 낮아서 단단하고 깨지기 어렵습니다.
    - "ㄷ"은 끌어당기는 힘이 강하고 인성이 높아서 가공이 용이합니다.
    - "ㄹ"은 인성이 높아서 가공 후 변형이 적고,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습니다.

    따라서, PS 강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성질이 필요하므로 "ㄱ, ㄷ, ㄹ"이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포스트 텐션 방식에서 PS 강재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에 부착시키기 위해 시스 안에 시멘트 풀 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그라우팅
  2. 덕트
  3. 프레시네
  4. 디비다그
(정답률: 84%)
  • 그라우팅은 시멘트 풀 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높이고, PS 강재가 녹슬지 않도록 방지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그라우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중을 포함하여 P=2,700kN인 수직 하중을 받는 독립 확대 기초에서 허용 지지력 Pɑ=300kN/m2일 때, 결제적인 기초의 한 변의 길이는? (단, 기초는 정사각형임)

  1. 2m
  2. 3m
  3. 4m
  4. 5m
(정답률: 65%)
  • 독립 확대 기초에서 허용 지지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Pɑ = qNc + 0.5γBNq

    여기서, q는 지반의 단면적 하중, Nc는 베어링 용량 계수, γ는 지반의 단위 무게, B는 기초의 너비, Nq는 베어링 용량 계수입니다.

    정사각형 기초의 경우, B = L이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집니다.

    Pɑ = qNc + 0.5γL2Nq

    여기서, q는 P/L2이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Pɑ = PNc/L2 + 0.5γL2Nq

    이를 L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5γL4Nq - PɑL2 + PNc = 0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L = 3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천, 계곡, 해협 등에 가설하여 교통 소통을 위한 통로를 지지하도록 한 구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교량
  2. 옹벽
  3. 기둥
  4. 슬래브
(정답률: 75%)
  • 교량은 하천, 계곡, 해협 등에 가설하여 교통 소통을 위한 통로를 지지하도록 한 구조물로, 다른 보기인 옹벽, 기둥, 슬래브는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일 뿐이며, 교량이라는 개념을 대표하는 용어는 "교량"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힘은 변화하지 않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변형이 증가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탄성
  2. 크랙
  3. 소성
  4. 크리프
(정답률: 73%)
  • 크리프는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구조물이 변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크리프가 일어나는 재료의 분자 구조가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크리프 현상이 발생하여 구조물이 변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 있는 확대 기초는?

  1. 말뚝 기초
  2. 벽 확대 기초
  3. 군 말뚝 기초
  4. 독립 확대 기초
(정답률: 84%)
  • 독립 확대 기초는 기둥 하나에 대한 하중을 기초 하나가 단독으로 받도록 설계된 기초입니다. 다른 기초들은 여러 개의 기둥이나 벽 등을 지지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독립 확대 기초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철근 콘크리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이 크다.
  2. 다른 구조에 비하여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든다.
  3.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4. 각 부재를 일체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강성이 큰 구조가 된다.
(정답률: 78%)
  • 철근 콘크리트는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이 크고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으며 각 부재를 일체로 만들 수 있어 전체적으로 강성이 큰 구조가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구조에 비하여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든다."는 장점이 아닌 단점입니다. 철근 콘크리트는 초기 비용이 높지만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들어 강력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강 구조에 사용하는 강재의 종류에 있어서 녹슬기 쉬운 강재의 단점을 개선한 강재는?

  1.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2.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3.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4. 이음용 강재
(정답률: 67%)
  •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는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녹슬기 쉬운 단점을 개선한 강재입니다. 열간 압연 과정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결정조직이 세분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었고,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제조됩니다. 따라서 강 구조에 사용하는 강재로 적합하며, 내구성과 내식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 철근은?

  1. 띠철근
  2. 원형 철근
  3. 배력 철근
  4. 나선 철근
(정답률: 66%)
  • 배력 철근은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됩니다. 이는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배력 철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목 구조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용기간이 짧다.
  2. 다량생산이 아니다.
  3.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다.
  4. 대부분 자연환경 속에 놓인다.
(정답률: 78%)
  • 공용기간이 짧다는 것은 토목 구조물이 일시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공사 중인 도로나 다리, 임시 건물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물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철거되거나 대체되는 경우가 많아 공용기간이 짧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콘크리트구조기준의 기둥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벽체에 널말뚝이나 부벽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저판 및 벽체만으로 토압을 받도록 설계된 구조체
  2.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압축력을 작용시킨 구조체
  3. 지붕, 바닥 등의 상부 하중을 받아서 토대 및 기초에 전달하고 벽체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 구조체
  4. 축력을 받지 않거나 축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축력을 받는 구조체
(정답률: 72%)
  • 콘크리트구조기준의 기둥은 "지붕, 바닥 등의 상부 하중을 받아서 토대 및 기초에 전달하고 벽체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 구조체"입니다. 이는 기둥이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고 벽체와 연결하여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근의 기호 표시가 SD50이라고 할 때, “50”이 의미하는 것은?

  1. 인장 강도
  2. 압축 강도
  3. 항복 강도
  4. 파괴 강도
(정답률: 60%)
  • SD50에서 "50"은 항복 강도를 나타냅니다. 항복 강도는 재료가 일정한 변형을 견디는 최대 응력입니다. 따라서 철근의 기호 표시가 SD50이면 해당 철근은 항복 강도가 50kgf/mm²인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 구조의 특징 중 구조 재료로서의 강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강 구조물은 공장에서 사전 조립이 가능하다.
  2.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진 구조로 만들 수 있다.
  3. 내구성이 우수하여 관리가 잘된 강재는 거의 무한히 사용할 수 있다.
  4. 반복 하중에 대하여 피로가 발생하기 쉬우며, 그에 따라 강도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
(정답률: 50%)
  • "반복 하중에 대하여 피로가 발생하기 쉬우며, 그에 따라 강도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는 강재의 단점입니다. 이는 강재가 반복적인 하중을 받을 경우, 강재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 등으로 인해 피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강재를 사용할 때는 반복 하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캔틸레버식 역 T형 옹벽의 주철근을 가장 잘 배근한 것은?

(정답률: 53%)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캔틸레버식 역 T형 옹벽은 주로 교량, 타워, 기둥 등의 구조물에서 사용됩니다.
    2. 이 구조물에서는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이 모두 작용하므로, 주철근의 배근이 중요합니다.
    3. ""의 경우, 수평하중에 대한 보강근이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근과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습니다.
    4. 이러한 배근 방식은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가장 적절한 배근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량에 작용하는 주하중은?

  1. 활하중
  2. 풍하중
  3. 원심하중
  4. 충돌하중
(정답률: 66%)
  • 교량에 작용하는 주하중은 활하중입니다. 이는 교량의 구조물에 수평적인 힘을 가하는 하중으로,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교량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하중을 말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풍하중은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 원심하중은 회전하는 물체의 중심에서 발생하는 하중, 충돌하중은 충돌하는 물체의 운동량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은 어떤 상태의 지면을 나타낸 것인가?

  1. 수준면
  2. 지반면
  3. 흙깎기면
  4. 흙쌓기면
(정답률: 76%)
  • 그림은 지반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반면 위에 흙이 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답은 "흙쌓기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유닉스,(unix)
  2. 리눅스(linux)
  3. 윈도우즈(windows)
  4. 액세스(access)
(정답률: 62%)
  • 액세스(acces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일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수정, 삭제,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운영체제가 아닌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해당하는 액세스(acce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건설 재료 단면의 표시방법 중 모래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85%)
  • 모래는 건설 재료 중 하나이며, 단면에서는 점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 점으로 표시된 ""가 모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치수 기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 보조선과 치수선은 서로 교차하도록 한다.
  2. 치수 보조선은 각각의 치수선보다 약간 길게 끌어내어 그린다.
  3. 원의 지름을 표시하는 치수는 숫자 앞에 R을 붙여서 지름을 나타낸다.
  4. 치수 보조선은 치수를 기입하는 형상에 대해 평행하게 그린다.
(정답률: 51%)
  • 치수 보조선은 각각의 치수선보다 약간 길게 끌어내어 그리는 이유는 치수선과 치수 보조선이 교차하여 치수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함입니다. 치수 보조선이 치수선보다 짧으면 치수를 읽는 데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보다 약간 길게 끌어내어 그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선의 종류 중에서 치수선, 해칭선, 지시선 등으로 사용되는 선은?

  1. 가는실선
  2. 파선
  3. 일점쇄선
  4. 이점쇄선
(정답률: 71%)
  • 가는실선은 가장 기본적인 선으로, 직선적인 형태로 그려지며 치수선, 해칭선, 지시선 등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선들 중에서 가는실선이 정답입니다. 파선은 점선으로 표현되는 선, 일점쇄선은 선이 끊어지는 지점이 하나인 선, 이점쇄선은 선이 끊어지는 지점이 두 개인 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골재의 단면 표시 중 그림은 어떤 단면을 나타낸 것인가?

  1. 호박돌
  2. 사질토
  3. 모래
  4. 자갈
(정답률: 84%)
  • 주어진 그림은 사질토 단면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단면 내부에 작은 돌과 모래가 섞여 있고, 그 사이에 시멘트로 뭉쳐져 있는 것으로 보아 사질토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굵은 실선의 용도로 알맞은 것은?

  1. 외형선
  2. 치수선
  3. 대칭선
  4. 중심선
(정답률: 83%)
  • 굵은 실선은 제품의 외형을 나타내는 외형선으로 사용됩니다. 외형선은 제품의 모양과 크기를 보여주는 역할을 하며, 제품의 디자인과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종단면도에서 측점간의 거리는 20m, 측점의 지반고는 NO 0에서 100m, NO 1에서 106m이고, 계획선의 경사가 3%일 때 NO 1의 계획고는? (단, NO 0의 계획고는 100m이다.)

  1. 100.6m
  2. 101.3m
  3. 103.5m
  4. 105.6m
(정답률: 42%)
  • 종단면도에서 측점간의 거리는 20m이므로, NO 1의 지반고는 NO 0에서부터 6m 상승한 106m이다. 계획선의 경사가 3%이므로, 100m에서 3%만큼 상승한 103m이 NO 0의 계획고이다. 따라서 NO 1의 계획고는 NO 0의 계획고에서 6m만큼 상승한 103m + 6m = 109m이다. 하지만, NO 1의 지반고는 106m이므로, 계획고와 지반고의 차이인 109m - 106m = 3m만큼 감소시켜줘야 한다. 1m 상승에 대해 100m의 거리에서 3%의 경사를 가지므로, 3m 감소에 대해서는 100m의 거리에서 3/100 × 3 = 0.09m만큼 감소시켜줘야 한다. 따라서 NO 1의 계획고는 109m - 0.09m = 100.6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면을 사용 목적, 내용, 작성 방법 등에 따라 분류할 때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부품도
  2. 계획도
  3. 공정도
  4. 스케치도
(정답률: 67%)
  • 계획도는 설계나 건축 등의 계획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건축물의 배치, 구조, 크기 등을 나타내어 건축물의 전반적인 계획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에서는 계획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목제도 작업에서 도면 치수의 단위는?

  1. m
(정답률: 91%)
  • 토목제도 작업에서는 대부분의 치수가 작은 건축물부터 큰 다리, 교량 등의 대형 구조물까지 다양한 크기의 건축물을 다루기 때문에, 치수의 단위로는 보통 밀리미터(㎜)를 사용합니다. ㎜는 다른 단위에 비해 작은 단위이면서도 세밀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크기나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목제도 작업에서는 건축물의 크기나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치수의 단위로는 보통 밀리미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은 어느 재료 단면의 경계를 표시한 것인가?

  1. 암반
  2. 잡석
(정답률: 87%)
  • 그림에서 보이는 단면은 물과 흙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물은 흙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위에는 암반과 잡석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AD 작업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의 출력과 시간 단축이 어렵다.
  2. 도면의 관리, 보관이 편리하다.
  3. 도면의 분석, 제작이 정확하다.
  4. 도면의 수정, 보완이 편리하다.
(정답률: 88%)
  • CAD 작업은 디지털화된 작업이기 때문에 도면의 출력과 시간 단축이 어렵지 않습니다. 오히려 디지털화된 도면은 출력이 용이하며, 수정 및 보완도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면의 출력과 시간 단축이 어렵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컴퓨터에 사용되는 용어인 “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 내부에서 발생한 데이터가 이동하는 연결 통로
  2.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서로 바꾸어 주는 장치
  3. 컴퓨터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치한 접속 카드
  4. 종이에 표시한 마크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입력하는 장치
(정답률: 66%)
  • 컴퓨터 내부에서 발생한 데이터가 이동하는 연결 통로는 버스입니다. 이는 컴퓨터 내부의 다양한 부품들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로로,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버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투상법은 보는 방법과 그리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투상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투상법
  2. 등변 투상법
  3. 등각 투상법
  4. 사투상법
(정답률: 73%)
  • 등변 투상법은 보는 방법과 그리는 방법이 모두 원과 관련된 방법으로, 원 위의 한 점을 중심으로 원을 대응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투상법들과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면을 접어서 보관할 대 기본적인 도면의 크기는?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84%)
  • 도면을 접어서 보관할 때 펼쳤을 때 크기가 작아지면서도 내용이 잘 보이는 크기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국제표준인 ISO 216에 따라 A4 크기가 선택되었습니다. A4는 210mm x 297mm로, 접어서 보관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며, 인쇄용지의 표준 크기이기도 합니다. 또한, A4는 A3을 접으면 A4이 되고, A2를 접으면 A3이 되는 등 크기가 2배씩 커지거나 작아지는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도면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철근 표시법에 따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ø13 : 철근 기호(분류 번호) ⓐ의 지름 13mm의 이형 철근(일반 철근)
  2. ⓑD16 : 철근 기호(분류 번호) ⓒ의 지름 16mm의 원형 철근
  3. ⓒH16 : 철근 기호(분류 번호) ⓒ의 지름 16mm의 이형 철근(고강도 철근)
  4. 24ⓐ150=3600 : 전장 3600mm를 24mm로 150등분
(정답률: 54%)
  • 철근 표시법은 철근의 종류와 크기를 나타내는 표기법입니다. 이 중에서 ⓒH16은 철근 기호(분류 번호)이 C이며, 지름이 16mm인 이형 철근(고강도 철근)을 의미합니다. 이형 철근은 원형 철근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형 철근은 고강도 철근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면에 그려야 할 내용의 영역을 명확하게 하고, 제도용지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손상으로 기재 사항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는 선은?

  1. 윤곽선
  2. 외형선
  3. 치수선
  4. 중심선
(정답률: 65%)
  • 윤곽선은 물체의 윤곽이나 외형을 나타내는 선으로, 도면에 그려야 할 내용의 영역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제도용지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손상으로 기재 사항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윤곽선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윤곽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도 통칙에서 그림의 모양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아 착각될 우려가 있을 때 사용되는 문자 기입 방법은?

  1. AS
  2. NS
  3. KS
  4. PS
(정답률: 65%)
  • NS는 비례하지 않는 그림의 모양을 나타내는 "Not to Scale"의 약어이다. 따라서 제도 통칙에서 그림의 모양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아 착각될 우려가 있을 때 NS를 사용하여 그림의 비례 관계가 없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구조물 설계를 위한 일반적인 도면의 작도순서로 옳은 것은?

  1. 단면도-일반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배근도
  2. 단면도-일반도-배근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
  3. 단면도-배근도-일반도-주철근조립도-철근상세도
  4. 단면도-배근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일반도
(정답률: 54%)
  • 단면도는 구조물의 단면을 그리는 것으로, 구조물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반도는 구조물의 전반적인 모습을 그리는 것으로, 구조물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철근상세도는 구조물 내부의 철근 배치를 그리는 것으로, 철근의 위치와 간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철근조립도는 철근을 조립하는 방법을 그리는 것으로, 철근의 연결 방법과 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배근도는 구조물 전체의 철근 배치를 그리는 것으로, 철근의 위치와 간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작도순서는 "단면도-배근도-일반도-주철근조립도-철근상세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건설 재료에서 콘크리트를 나타내는 단면 표시는?

(정답률: 86%)
  • 콘크리트는 주로 철근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철근을 나타내는 선과 함께 사용하여 단면을 표시합니다. ""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함께 나타내는 단면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투상도는 어떠한 방법으로 그리는 것을 윈칙으로 하는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84%)
  • 정투상도는 지형의 고도를 나타내는 등고선을 이용하여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때 등고선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높이를 나타내는데, 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제3각법입니다. 제1각법은 등고선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제2각법은 등고선 간격이 일정하지만 지형의 기울기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합니다. 제4각법은 제3각법과 비슷하지만 지형의 기울기를 과장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정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투상도에서는 제3각법을 사용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선의 길이를 측정하지 않고, 선분 AB를 5등분하는 그림이다. 두 번째에 해당하는 작업은?

  1. 평행선 긋기
  2. 임의의 선분(AC) 긋기
  3. 선분 AC를 임의의 길이로 5등분
  4. 선분 AB를 임의의 길이로 다섯 개 나누기
(정답률: 57%)
  • 선분 AB를 임의의 길이로 다섯 개 나누는 것은 이미 그림에서 주어진 작업이므로, 이 작업은 이미 완료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다음 작업은 "선분 AC를 임의의 길이로 5등분"입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선분 AB를 5등분하는 그림"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선분 AC를 5등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선분 AB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5등분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선분 AC를 5등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척도에서 물체의 실제 크기보다 확대하여 그리는 것은?

  1. 축척
  2. 현척
  3. 배척
  4. 실척
(정답률: 84%)
  • 배척은 실제 크기보다 크게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체를 확대하여 그리는 것이 배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면을 철하지 않을 경우 A3 도면 윤곽선의 최소 여백 치수로 알맞은 것은?

  1. 25㎜
  2. 20㎜
  3. 10㎜
  4. 5㎜
(정답률: 60%)
  • 도면을 철하지 않을 경우, 인쇄기의 정확도에 따라 윤곽선이 약간 찌그러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 여백을 두어야 합니다. 이 최소 여백은 일반적으로 10mm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자는 주로 로마자 대문자를 쓴다.
  2.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쓴다.
  3. 서체는 한 가지를 사용하며, 혼용하지 않는다.
  4. 글자는 수직 또는 25° 정도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
(정답률: 85%)
  • 글자를 수직 또는 25° 정도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쓰는 것은 한자를 쓸 때의 규칙이며, 한글은 수평으로 쓰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따라서 "글자는 수직 또는 25° 정도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