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10)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5-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단면의 폭이 400mm, 유효깊이가 500mm, 인장 철근량이 1500mm2일 때 인장철근의 철근비는?

  1. 0.0075
  2. 0.08
  3. 0.075
  4. 0.01
(정답률: 53%)
  • 인장 철근량은 인장 철근의 단면적과 인장 철근의 개수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장 철근의 개수는 인장 철근량을 인장 철근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인장 철근의 단면적은 단면의 폭과 인장 철근의 깊이를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인장 철근의 단면적은 400mm x 500mm = 200000mm2입니다.

    인장 철근의 개수는 1500mm2 / 200000mm2 = 0.0075입니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철근비는 0.0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연행 콘크리트는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워커빌리티 조절이 어렵다.
  3. 한중콘크리트는 시공 시 하루 평균기온이 영하 4°C 이하인 경우에 시공한다.
  4. 서중콘크리트는 시공 시 하루 평균기온이 영상 25°C를 초과하는 경우에 시공한다.
(정답률: 60%)
  • "한중콘크리트는 시공 시 하루 평균기온이 영하 4°C 이하인 경우에 시공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시공 시 온도와 습도에 따라 경화 속도와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서 시공해야 합니다. 따라서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한중콘크리트는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특수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영하 4°C 이하인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되는 고강도 콘크리트용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위 시멘트량을 작게 하여 배합한다.
  2. 물-시멘트비를 크게 하여 시공한다.
  3. 고성능 감수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4. 골재는 내구성 이 큰 골재를 사용한다.
(정답률: 61%)
  • 고강도 콘크리트용 재료는 보통 단위 시멘트량을 작게 하여 배합하고, 물-시멘트비를 작게 하여 시공하며,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골재는 내구성이 큰 골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골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응력을 분산시키고,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내구성이 큰 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D25 철근을 사용한 90°표준갈고리는 90°구부린 끝에서 최소 얼마 이상 더 연장하여야 하는가? (단, db는 철근의 공칭 지름)

  1. 6db
  2. 9db
  3. 12db
  4. 15db
(정답률: 73%)
  • 90°표준갈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철근을 90°로 구부려야 합니다. 이때 철근의 길이는 구부린 부분의 길이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90°표준갈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부린 끝에서 최소한 철근 지름의 12배만큼 더 연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이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에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1. 6개
  2. 8개
  3. 9개
  4. 10개
(정답률: 64%)
  •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이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나선철근은 주철근을 둘러싸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감겨 있습니다. 이때, 나선철근이 한 바퀴 돌아가는 길이를 나선주기라고 합니다.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이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주철근은 나선철근에 의해 압축력을 받게 됩니다. 이때,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나선주기보다 작아지면 안 됩니다. 그 이유는 나선주기보다 주철근의 개수가 적으면, 압축력이 주철근에 집중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나선주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나선주기는 나선철근의 직경과 감긴 갯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일반적으로는 구체적인 조건이 주어져야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는 주어진 조건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선주기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선주기는 150mm ~ 200mm 정도이며, 이를 기준으로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약 6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폭 50cm, 유효깊이 80cm인 직사각형 부재에서 콘크리트 및 철근의 강도가 fck = 25MPa, fy = 400MPa일 때, 휨부재의 최소 철근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60cm2
  2. 8.00cm2
  3. 12.50cm2
  4. 14.00cm2
(정답률: 3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근의 배치에서 간격 제한에 대한 기준으로 빈칸에 알맞은 것은?

  1. 25㎜ - 철근 공칭 지름
  2. 40㎜ - 철근 공칭 지름
  3. 25㎜ - 굵은 골재의 최대 공칭 치수
  4. 40㎜ - 굵은 골재의 최대 공칭 치수
(정답률: 44%)
  • 철근의 공칭 지름이 40㎜인 경우, 철근 간의 최소 간격은 40㎜ 이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간격을 좁게 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의 공칭 지름이 25㎜인 경우에는 간격 제한이 25㎜ 이하여야 하며, 굵은 골재의 최대 공칭 치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D16 이하의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는?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71%)
  • D16 이하의 철근은 지름이 16mm 이하인 철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철근은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는 4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철근의 지름이 작을수록 피복두께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휨 부재에 대하여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때의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은 완전하다.
  2.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극한 변형률은 0.003이다.
  3. 콘크리트 및 철근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 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4. 휨 부재의 극한 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과 인장강도를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58%)
  • 정답: "휨 부재의 극한 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과 인장강도를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 휨 부재의 극한 상태에서 휨 모멘트를 계산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만을 고려하면 된다. 이는 휨 부재가 극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압축되어 철근에 전달되는 힘이 주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개 이상의 철근을 묶어서 사용하는 다발철근의 사용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발철근의 지름은 등가단면적으로 환산된 한 개의 철근지름으로 보아야 한다.
  2. 다발철근으로 사용하는 철근의 개수는 4개 이하이어야 한다.
  3.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4. 보에서 D25를 초과하는 철근은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3%)
  • 보에서 D25를 초과하는 철근은 다발로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는, 이 크기 이상의 철근은 다발로 묶을 경우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는 철근의 간격이 너무 가까워져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결국 구조물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25를 초과하는 철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철근과 함께 다발로 묶을 때는 충분한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반 콘크리트 휨 부재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추가 장기처짐을 근사식으로 계산할 경우 재하기간 10년에 대한 시간경과계수(ε)는?

  1. 1.0
  2. 1.2
  3. 1.4
  4. 2.0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AE제, 감수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3. 시멘트량에 비해 골재의 양이 많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4. 단위수량이 적으면 유동성이 적어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정답률: 59%)
  • 시멘트량에 비해 골재의 양이 많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골재가 시멘트와 물 사이에 채워지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비중이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좋아지며, 워커빌리티가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은?

  1. 자르 시험
  2. 브리넬 시험
  3. 비비 시험
  4. 로스앤젤레스 시험
(정답률: 76%)
  • 비비 시험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반죽에 특정한 에너지를 가해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합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강도설계법으로 단철근 직사각형 보를 설계할 때, 콘크리트의 설계강도가 21MPa, 철근의 항복강도가 240MPa인 경우 균형 철근비는? (단, 계수 β1은 0.85이다.)

  1. 0.041
  2. 0.045
  3. 0.052
  4. 0.056
(정답률: 47%)
  • 강도설계법에서 균형 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ρbal = β1 × (fcd / fyd) = 0.85 × (21 / 240) = 0.045

    여기서, fcd는 콘크리트의 설계강도, fyd는 철근의 항복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0.0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철근기호의 SD 300에서 300의 의미는?

  1. 철근의 단면적
  2. 철근의 항복강도
  3. 철근의 연신율
  4. 철근의 공칭지름
(정답률: 62%)
  • SD 300은 철근의 항복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SD는 "Standard Deformed"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300은 철근의 항복강도를 나타내는데, 항복강도란 철근이 일정한 변형을 견디는 강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SD 300은 항복강도가 300MPa인 철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의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다.
  2.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한다.
  3.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조기강도가 커진다.
  4.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66%)
  •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입자들이 더 가늘어지기 때문에 물과 더 잘 혼합되어 경화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조기강도가 커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분말도가 높다고 해서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시멘트의 품질과 사용환경 등 여러 요인이 균열 및 풍화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 정착에서 전경량콘크리트의 fsp(쪼갬인장강도)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보정계수 값은?

  1. 0.75
  2. 0.8
  3. 0.85
  4. 1.2
(정답률: 42%)
  • 인장강도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보정계수 값은 0.75로 사용됩니다. 이는 전경량콘크리트의 fsp가 일반적으로 철근의 인장강도의 75%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0.75의 보정계수 값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시방배합과 현장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방배합에서 골재의 함수상태는 표면건조포화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2. 시방배합에서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구분하는 기준은 10㎜체이다.
  3.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 골재의 표면수량과 입도를 고려한다.
  4.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 혼화제를 희석시킨 희석수량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시방배합에서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구분하는 기준은 10㎜체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시방서에 따라 기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10㎜체를 기준으로 하지만, 시방서에 따라 다른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단철근 직사각형보를 강도 설계법으로 해석할 때 최소 철근량 이상으로 인장철근을 배치하는 이유는?

  1.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3. 연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4.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50%)
  • 취성파괴는 철근의 인장강도를 초과하여 일어나는 파괴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크게 위협합니다. 따라서 최소 철근량 이상으로 인장철근을 배치하여 취성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블리딩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2. 단위 수량을 크게 한다.
  3. 감수제를 사용한다.
  4. AE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63%)
  • 단위 수량을 크게 한다는 것은 물의 양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블리딩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위 수량을 크게 한다는 것은 오히려 블리딩을 크게 만들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토목 구조물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구조의 안전성
  2. 사용의 편리성
  3. 건설의 경제성
  4. 재료의 다양성
(정답률: 77%)
  • 구조의 안전성, 사용의 편리성, 건설의 경제성은 모두 토목 구조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재료의 다양성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현재 시대에서는 다양한 재료가 개발되어 있고, 이를 활용하여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료의 다양성은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요소로서, 설계자가 다양한 재료를 고려하여 최적의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러스의 종류 중 주트러스로는 잘 쓰이지 않으나, 가로 브레이싱에 주로 사용되는 형식은?

  1. K 트러스
  2. 프랫(pratt) 트러스
  3. 하우(howe) 트러스
  4. 워런(warren) 트러스
(정답률: 69%)
  • 가로 브레이싱에 주로 사용되는 형식은 K 트러스입니다. K 트러스는 상부와 하부가 대각선으로 교차되어 있는 형태로,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가로 브레이싱에 적합합니다. 또한, K 트러스는 강도와 안정성이 높아서 건축물의 구조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 방법 중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한 후에 긴장재를 넣고 긴장하는 방법은?

  1. 프리캐스트 방식
  2. 포스트텐션 방식
  3. 프리텐션 방식
  4. 롱라인 방식
(정답률: 62%)
  • 콘크리트를 미리 제작한 후에 긴장재를 넣고 긴장하는 방식은 프리캐스트 방식이며,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한 후에 긴장재를 넣고 긴장하는 방식은 포스트텐션 방식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긴장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긴장재를 넣어서 더욱 강력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도로교를 설계할 때 하중의 종류를 크게 지속하는 하중과 변동하는 하중으로 구분할 때, 지속하는 하중에 해당되는 것은?

  1. 충격
  2. 풍하중
  3. 제동하중
  4. 프리스트레스힘
(정답률: 45%)
  • 지속하는 하중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작용하는 하중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도로교를 설계할 때 지속하는 하중에 해당되는 것은 프리스트레스힘입니다. 프리스트레스힘은 콘크리트에 인장력을 가해 미리 인장시켜 놓음으로써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도로교의 구조물에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이 적어지고, 더욱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힘은 도로교 설계 시 지속하는 하중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상부 수직 하중을 하부 지반에 분산시키기 위해 저면을 확대시킨 철근 콘크리트판은?

  1. 비내력벽
  2. 슬래브판
  3. 확대 기초판
  4. 플랫 플레이트
(정답률: 63%)
  • 상부 수직 하중을 하부 지반에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초판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저면을 확대시킨 철근 콘크리트판은 기존의 기초판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하중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확대 기초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폭 b=300mm이고, 유효높이 d=500mm를 가진 단철근 직사각형보가 있다. 이 보의 철근비가 0.01일 때 인장철근량은?

  1. 1000mm2
  2. 1500mm2
  3. 2000mm2
  4. 3000mm2
(정답률: 78%)
  • 인장철근량은 인장강도와 단면적, 그리고 철근의 길이에 비례한다. 이 문제에서는 인장강도와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인장철근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단면적은 폭과 유효높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300mm x 500mm = 150,000mm2 이다.

    철근비가 0.01이므로, 전체 단면적 중 철근이 차지하는 비율은 1%이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1%인 150,000mm2 x 0.01 = 1500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0m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개 이상의 기둥을 1개의 확대 기초로 지지 하도록 만든 기초는?

  1. 경사 확대 기초
  2. 연결 확대 기초
  3. 독립 확대 기초
  4. 계단식 확대 기초
(정답률: 69%)
  • 연결 확대 기초는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확대 기초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기둥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큰 기둥처럼 작용하게 됩니다. 이 방식은 기둥들 간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기둥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연결 확대 기초가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교량의 구성을 바닥판, 바닥틀, 교각, 교대, 기초 등으로 구분할 때, 바닥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부 구조로서 사람이나 차량 등을 직접 받쳐주는 포장 및 슬래브 부분을 뜻한다.
  2. 상부 구조로서 바닥판에 실리는 하중을 받쳐서 주형에 전달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3. 하부 구조로서 상부 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로 전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4. 하부 구조로서 상부 구조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으로 전해주는 부분을 뜻한다.
(정답률: 49%)
  • 바닥틀은 교량의 상부 구조로서 바닥판에 실리는 하중을 받쳐서 주형에 전달해주는 부분을 뜻합니다. 이는 바닥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부 구조로서 바닥판에 실리는 하중을 받쳐서 주형에 전달해주는 부분을 뜻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철근 콘크리트를 널리 이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자중이 크다.
  2. 철근과 콘크리트가 부착이 매우 잘 된다.
  3.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
  4.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정답률: 60%)
  • 철근 콘크리트를 널리 이용하는 이유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부착이 매우 잘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중이 크다는 이유는 아닙니다. 자중이 크다는 것은 구조물의 무게가 무거워져서 지지대나 기초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둥과 같이 압축력을 받는 부재가 압축력에 의해 휘거나 파괴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로
  2. 좌굴
  3. 연화
  4. 쇄굴
(정답률: 70%)
  • 기둥과 같은 부재가 압축력을 받으면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밀착하여 압축력을 분산시키려고 하지만, 일정한 수준 이상의 압축력이 가해지면 입자들 사이의 결합력이 깨져서 부재가 휘거나 파괴되는 현상을 좌굴이라고 합니다. 이는 부재의 내부 구조가 불균일하게 변형되어 발생하는데, 좌굴이 일어나면 부재의 강도와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어떤 토목 구조물에 대한 특성을 설명한 것인가?

  1. H형 강 구조
  2. 무근 콘크리트
  3. 철근 콘크리트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63%)
  • 위 그림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콘크리트와 달리, 구조물 내부에 인장력을 가하는 철근 대신 인장강도가 높은 강선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강화합니다. 이로 인해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이 높아지며, 철근 콘크리트에 비해 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구조물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구조 재료로서 강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구조 해석이 단순하다.
  2.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쉽다.
  3.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진 구조로 만들 수 있다.
  4. 긴 지간의 교량, 고층 건물에 유효하게 쓰인다.
(정답률: 45%)
  • 답: "구조 해석이 단순하다."는 강재의 특징이 아니다.

    설명: 강재는 부재를 개수하거나 보강하기 쉽고,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진 구조로 만들 수 있으며, 긴 지간의 교량이나 고층 건물에 유효하게 쓰인다. 하지만 강재의 구조 해석이 단순하다는 것은 그 특징이 아니다. 구조 해석은 강재의 형상, 크기, 하중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 모양의 구조물로 지지 조건에 의한 주철근 구조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되는 것은?

  1. 확대기초
  2. 슬래브
  3. 기둥
  4. 옹벽
(정답률: 72%)
  • 슬래브는 지지 조건에 의한 주철근 구조 중 하나로, 두께에 비해 폭이 넓은 판 모양의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슬래브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철근 콘크리트에서 중립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응력이 “0”이다.
  2. 인장력이 압축력보다 크다.
  3. 압축력이 인장력보다 크다.
  4. 인장력, 압축력이 모두 최대값을 갖는다.
(정답률: 57%)
  • 철근 콘크리트에서 중립축은 인장력과 압축력이 서로 상쇄되어 응력이 0이 되는 축입니다. 즉, 인장력과 압축력이 모두 최대값을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쇄되어 응력이 0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응력이 “0”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축방향 철근을 나선 철근으로 촘촘히 둘러 감은 기둥은?

  1. 합성 기둥
  2. 띠철근 기둥
  3. 나선 철근 기둥
  4. 프리스트레스트 기둥
(정답률: 68%)
  • 나선 철근 기둥은 축방향 철근을 나선 모양으로 감아서 만든 기둥으로, 철근 간격이 촘촘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디자인적으로도 독특하고 아름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문자에 대한 토목제도 통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자의 크기는 높이에 따라 표시한다.
  2. 숫자는 주로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3. 글자는 필기체로 쓰고 수직 또는 30°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
  4. 영자는 주로 로마자의 대문자를 사용하나 기호, 그 밖에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는 소문자를 사용해도 좋다.
(정답률: 75%)
  • "글자는 필기체로 쓰고 수직 또는 30°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공식적인 규정은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일성을 위해 수직 또는 경사지게 쓰는 것이 좋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축척
  2. 도면명
  3. 산출물량
  4. 도면번호
(정답률: 79%)
  • 도면의 표제란에는 해당 도면의 기본 정보를 기입하며, 이 중에서 산출물량은 도면의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이지만, 도면의 실제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산출물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실제 거리가 120m인 옹벽을 축척 1:1200의 도면에 그릴 때 도면상의 길이는?

  1. 12㎜
  2. 100㎜
  3. 10000㎜
  4. 120000㎜
(정답률: 57%)
  • 축척 1:1200은 1cm의 실제 길이를 1200cm(12m)의 길이로 축소하여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제 길이 120m를 1:1200 축척의 도면에 그릴 때, 120m을 12m으로 축소한 후 1cm에 해당하는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1cm의 실제 길이는 12m/100cm = 0.12m입니다. 이를 밀리미터로 환산하면 120m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기의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때 평면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71%)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에서 보면 물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평면도에서도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어야 합니다. ""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는 수직으로 선이 그려져 있으며, ""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지만, 물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콘크리트 구조물 제도에서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은?

  1. 단면도
  2. 구조도
  3. 상세도
  4. 일반도
(정답률: 54%)
  • 일반도는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표시한 도면으로, 구조물의 전반적인 형태와 크기, 위치 등을 보여줍니다. 이에 비해 단면도는 구조물의 단면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구조물의 내부 구조와 세부적인 부분을 보여줍니다. 구조도는 구조물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세도는 일부 구성 요소나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구조물 전체의 개략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은 일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제도 용지 중 A0도면의 치수는 몇 ㎜인가?

  1. 841 x 1189
  2. 594 x 841
  3. 420 x 594
  4. 297 x 420
(정답률: 84%)
  • 제도 용지는 ISO 216 표준에 따라 만들어지며, A0 크기는 1m²의 면적을 가지며 가로 세로 비율은 1:√2 입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x^2 = 1m² 이므로 x = √1m² = √1000mm² = 31.62...mm 입니다. 이를 가로 세로 비율에 따라 나누면 가로는 31.62...mm x √2 ≈ 44.4mm, 세로는 31.62...mm x √2 x √2 ≈ 62.9mm 입니다. 이 값을 10배씩 곱해주면 A0 용지의 치수인 841mm x 1189m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41 x 118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파선(숨은선)의 사용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단면도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2.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이다.
  3.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겉모양을 표시한다.
  4. 부분 생략 또는 부분 단면의 경계를 표시 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이다."입니다. 파선은 물체의 내부 구조나 숨겨진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단면도, 겉모양, 부분 생략 등을 나타내는 선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판형재의 치수표시에서 강관의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ϕA×t
  2. D×t
  3. ϕD×t
  4. A×t
(정답률: 69%)
  • 강관의 표시 방법은 "ϕA×t"이 옳습니다.

    - "ϕ"는 강관의 외경(diameter)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A"는 강관 단면적(area)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t"는 강관의 두께(thickness)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ϕA×t"는 강관의 외경과 단면적, 그리고 두께를 모두 고려한 표시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강관의 특정한 치수만을 고려한 것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절토면의 경사 표시가 바르게 된 것은?

(정답률: 78%)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절토면의 경사 표시는 일반적으로 위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그림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사가 일정하지 않거나, 아래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윤곽선으로 알맞은 것은?

  1. 0.3mm 굵기의 실선
  2. 0.5mm 굵기의 파선
  3. 0.7mm 굵기의 실선
  4. 0.9mm 굵기의 파선
(정답률: 54%)
  •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윤곽선은 뚜렷하게 보이고 구분이 쉬워야 합니다. 따라서 굵기가 얇은 0.3mm 굵기의 실선은 너무 얇아서 눈에 잘 띄지 않을 수 있고, 0.5mm 굵기의 파선은 점선이기 때문에 윤곽선으로는 부적합합니다. 0.9mm 굵기의 파선은 너무 두껍기 때문에 그림을 가려서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7mm 굵기의 실선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이 굵기는 눈에 잘 띄고, 그림을 한정하는 데도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제도 용지의 폭과 길이의 비는 얼마인가?

  1. 1 : √5
  2. 1 : √3
  3. 1 : √2
  4. 1 : 1
(정답률: 85%)
  • 제도 용지의 폭과 길이의 비는 "1 : √2" 이다. 이는 제도 용지가 A0 크기에서 시작하여 한 변의 길이를 절반으로 나누면 A1, 다시 절반으로 나누면 A2, 이런 식으로 크기가 줄어들면서 긴 변의 길이는 항상 짧은 변의 길이의 √2 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폭과 길이의 비는 1 :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투시도에서 물체가 기면에 평행으로 무한히 멀리 있을 때 수평선 위의 한 점으로 모이게 되는 점은?

  1. 사점
  2. 소점
  3. 정점
  4. 대점
(정답률: 63%)
  • 투시도에서 물체가 기면에 평행으로 무한히 멀리 있을 때, 빛은 물체에서 수평선으로 직진하게 됩니다. 이 때, 빛이 눈에 도달하는 지점은 수평선 위의 한 점으로 모이게 됩니다. 이 점을 소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체가 무한히 멀리 있기 때문에, 빛이 수평선과 만나는 지점이 무한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킹
  2. 암호화
  3. 방화벽 설치
  4. 인트라넷 구축
(정답률: 84%)
  • 해킹은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보안을 침해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해킹"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해킹은 불법적으로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변조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으로는 암호화, 방화벽 설치, 인트라넷 구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에서와 같이 주사위를 바라보았을 때 우측면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투상법은 제3각법이며, 물체의 모서리 부분의 표현은 무시한다.)

(정답률: 81%)
  • 우측면을 보면 2와 3이 보이는데, 이 두 면이 서로 맞닿아 있으므로 반대편에는 5와 4가 위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조물 설계에서 도면 작도 방법에 대한 기본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면도는 실선으로 주어진 치수대로 정확히 그린다.
  2. 철근 치수 및 기호를 표시하고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단면도에 배근될 철근 수량과 간격을 정확하게 그린다.
  4. 일반적으로 일반도를 먼저 그리고 단면도를 가장 나중에 그리는 것이 편하다.
(정답률: 74%)
  • 일반적으로 일반도를 먼저 그리고 단면도를 가장 나중에 그리는 것이 편한 이유는, 일반도를 먼저 그리면 전체적인 구조물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후에 단면도를 그리면, 일반도에서 파악한 구조물의 형태와 크기를 기반으로 단면도를 그릴 수 있습니다. 또한, 단면도는 일반도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세부적인 부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도를 먼저 그리고 단면도를 나중에 그리는 것이 보다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하천 측량 제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평면도
  2. 상세도
  3. 종단면도
  4. 횡단면도
(정답률: 49%)
  • 하천 측량 제도는 하천의 지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측량 방법으로,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를 포함합니다. 이 중에서 상세도는 하천의 세부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천 측량 제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상세도는 보통 건설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재료단면의 경계표시 중 지반면(흙)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86%)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면에서 지반면 아래쪽에 위치하며, 지반면 위쪽은 구조물이 위치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반면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각각 천장면, 바닥면, 벽면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캐드 명령어 ‘@20,30’의 의미는?

  1. 이전 점에서부터 Y축 방향으로 20, X축 방향으로 30만큼 이동된다는 의미
  2. 이전 점에서부터 X축 방향으로 20, Y축 방향으로 30만큼 이동된다는 의미
  3. 원점에서부터 Y축 방향으로 20, X축 방향으로 30만큼 이동된다는 의미
  4. 원점에서부터 X축 방향으로 20, Y축 방향으로 30만큼 이동된다는 의미
(정답률: 65%)
  • 이전 점에서부터 X축 방향으로 20, Y축 방향으로 30만큼 이동된다는 의미입니다. '@' 기호는 이전 점을 나타내며, 쉼표를 기준으로 앞이 X축 방향, 뒤가 Y축 방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대칭인 도형은 중심선에서 한쪽은 외형도를 그리고 그 반대쪽은 무엇을 표시하는가?

  1. 정면도
  2. 평면도
  3. 측면도
  4. 단면도
(정답률: 65%)
  • 대칭인 도형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형이 대칭을 이루므로, 중심선 한쪽에서는 도형의 외형을 그릴 수 있지만, 그 반대쪽에서는 도형의 내부 구조나 세부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반해, 단면도는 도형을 특정 평면으로 잘라서 보여주는 것으로, 도형의 내부 구조나 세부적인 부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대칭인 도형의 내부 구조나 세부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면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면도의 절단면에 가는 실선으로 규칙적으로 나열한 선은?

  1. 해칭선
  2. 절단선
  3. 피치선
  4. 파단선
(정답률: 64%)
  • 해칭선은 단면도에서 절단면에 가는 실선으로, 도면상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단면도에서 물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선들이 교차하여 형성됩니다. 따라서, 단면도에서 규칙적으로 나열된 선은 해칭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KS 토목제도 통칙에서 척도의 비가 1:1보다 작은 척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현척
  2. 배척
  3. 축척
  4. 소척
(정답률: 74%)
  • KS 토목제도 통칙에서 척도의 비가 1:1보다 작은 경우를 "축척"이라고 합니다. 이는 지도나 도면 등에서 실제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하여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축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투상도법에서 원근감이 나타나는 것은?

  1. 표고 투상법
  2. 정투상법
  3. 사투상법
  4. 투시도법
(정답률: 47%)
  • 투시도법은 시선이 떠 있는 곳에서 멀리 있는 대상일수록 작아지고, 가까이 있는 대상일수록 커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원리 때문에 투시도법으로 그린 그림에서는 원근감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투시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골재의 단면 표시 중 잡석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0%)
  • 잡석은 골재 내부에서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골재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단면 표시 중 잡석을 나타내는 것은 ""입니다. 이는 골재 내부에 있는 작은 돌조각들을 나타내며, 골재의 강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국제 및 국가별 표준규격 명칭과 기호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 표준화 기구 - ISO
  2. 영국 규격 - DIN
  3. 프랑스 규격 - NF
  4. 일본 규격 - JIS
(정답률: 72%)
  • 영국 규격은 DIN이 아니라 BS(British Standard)입니다. DIN은 독일 규격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니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Point
  2. RGB
  3. TFT
  4. DPI
(정답률: 66%)
  • 정답은 "DPI"입니다.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픽셀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모니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920x1080 해상도의 모니터는 가로 1인치와 세로 1인치에 각각 1920개와 1080개의 픽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