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목제도(CAD)

1. 주철근에서 90° 표준갈고리는 구부린 끝에서 철근지름의 최소 몇 배 이상 연장되어야 하는가?

  1. 10배
  2. 12배
  3. 15배
  4. 20배
(정답률: 77%)
  • 90° 표준갈고리는 철근을 구부린 후 끝을 다시 평평하게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철근의 끝에서 갈고리 부분까지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갈고리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갈고리 부분까지의 길이는 철근지름의 최소 몇 배 이상 연장되어야 한다. 이때, 90° 표준갈고리의 길이는 철근지름의 12배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갈고리 부분까지의 길이가 충분하게 연장되어 갈고리가 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의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과 관계된 계수 β1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8MPa일 경우 β1의 값은?

  1. 0.65
  2. 0.68
  3. 0.78
  4. 0.85
(정답률: 42%)
  • β1 값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압축강도가 높을수록 β1 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압축강도가 38MPa인 콘크리트의 경우, 보기에서 가장 작은 값인 0.78이 정답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아질수록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의 각종 강도 중 크기가 가장 큰 것은? (단, 콘크리트는 보통 강도의 콘크리트에 한한다.)

  1. 부착강도
  2. 휨강도
  3. 압축강도
  4. 인장강도
(정답률: 80%)
  • 콘크리트는 대부분 압축력에 강한 재료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압축강도입니다. 즉, 콘크리트가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부착강도, 휨강도, 인장강도는 모두 콘크리트의 강도 중 하나이지만, 압축강도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괄호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연결된 것은? (단, 순서는 ㄱ-ㄴ-ㄷ)

  1. 소요강도 - 설계강도 - 공칭강도
  2. 설계강도 - 소요강도 - 공칭강도
  3. 공칭강도 - 설계강도 - 소요강도
  4. 설계강도 - 공칭강도 - 소요강도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할 때 집중하중 P를 받는 길이 L인 직사각형 보의 중립축에서의 휨 응력 크기는 몇 MPa로 가정하는가?

  1. PL
  2. P
  3. -PL
(정답률: 58%)
  • 정답이 "0"인 이유는, 직사각형 보의 중립축에서의 휨 응력 크기는 P×L/6I로 계산되는데, 이 때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관성 모멘트)를 나타내는 값이다. 하지만 제시된 그림에서는 단면의 형태가 직사각형이므로, I=(bh^3)/12로 계산된다. 이 때 b는 보의 너비, h는 보의 높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b와 h의 크기가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I의 크기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휨 응력 크기를 구할 수 없으므로, 정답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높이 d=300㎜, 폭 b=200㎜, 철근 단면적 As=1275mm2일 때,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a는? (단, fck=20MPa, fy=400MPa이다.)

  1. 40㎜
  2. 80㎜
  3. 120㎜
  4. 150㎜
(정답률: 29%)
  •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최대 허용 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P_{max}=0.85f_{ck}bfrac{d-a/2}{gamma_{m}}+Asf_{y}
    $$

    여기서 $gamma_{m}$은 하중 계수로, 일반적으로 1.5를 사용한다. 따라서,

    $$
    P_{max}=0.85times20times10^{6}times200timesfrac{300-a/2}{1.5times10^{3}}+1275times400times10^{6}=1.7a^{2}-2550a+240times10^{3}
    $$

    이 식에서 $P_{max}$는 a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이차함수의 꼭짓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a_{max}=-frac{b}{2a}=-frac{-2550}{2times1.7}=750
    $$

    하지만, 이 값은 보의 높이 d보다 크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a는 d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a가 작아질수록 $P_{max}$는 작아지므로, 가능한 가장 작은 a를 구해야 한다.

    $a=d$인 경우를 대입해보면,

    $$
    P_{max}=0.85times20times10^{6}times200timesfrac{300-300/2}{1.5times10^{3}}+1275times400times10^{6}=240times10^{3}
    $$

    $a=d-40$인 경우를 대입해보면,

    $$
    P_{max}=0.85times20times10^{6}times200timesfrac{300-260}{1.5times10^{3}}+1275times400times10^{6}=238.5times10^{3}
    $$

    $a=d-80$인 경우를 대입해보면,

    $$
    P_{max}=0.85times20times10^{6}times200timesfrac{300-220}{1.5times10^{3}}+1275times400times10^{6}=234times10^{3}
    $$

    $a=d-120$인 경우를 대입해보면,

    $$
    P_{max}=0.85times20times10^{6}times200timesfrac{300-180}{1.5times10^{3}}+1275times400times10^{6}=226.5times10^{3}
    $$

    따라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a는 15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나선철근의 정착은 나선철근의 끝에서 추가로 최소 몇 회전만큼 더 확보하여야 하는가?

  1. 1.0 회전
  2. 1.5 회전
  3. 2.0 회전
  4. 2.5 회전
(정답률: 73%)
  • 나선철근은 토크(회전력)를 이용하여 지반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이때 나선철근의 끝이 지반에 충분히 박히지 않으면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나선철근의 끝에서 추가로 최소 1.5 회전 이상 더 확보하여야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나선철근의 나선 모양이 지반과 밀착하여 지지력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이 밖에 혼화재료를 섞어 물로 비벼서 만든 것이다.
  2. 시멘트에 물만 넣어 반죽한 것이다.
  3. 시멘트와 잔골재를 물로 비벼서 만든 것이다.
  4. 시멘트와 굵은 골재를 섞어 물로 비벼서 만든 것이다.
(정답률: 81%)
  • 콘크리트는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이 밖에 혼화재료를 섞어 물로 비벼서 만든 것입니다. 이는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건축물의 구조물이나 바닥, 벽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이 밖에 혼화재료를 섞어 물로 비벼서 만든 것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밀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을 되도록 크게 한다.
  2. 물-결합재비를 되도록 적게 한다.
  3. 단위 굵은 골재량을 되도록 크게 한다.
  4. AE제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46%)
  • 단위수량을 되도록 크게 한다는 것은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밀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단위수량을 되도록 크게 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균형 변형률 상태에서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균형 철근비가 0.0251일 때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1. 0.002
  2. 0.003
  3. 0.004
  4. 0.005
(정답률: 78%)
  •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ε_c = ε_cu / (1 + α_cu / ε_cu)

    여기서,

    ε_cu = 균형 철근비 x 균열전단변형률 = 0.0251 x 0.0035 = 0.00008785

    α_cu = 0.85 x f_ck / E_c = 0.85 x 30 / 28000 = 0.00009107

    따라서,

    ε_c = 0.00008785 / (1 + 0.00009107 / 0.00008785) = 0.003

    즉,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0.0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조기 강도가 커서 긴급 공사나 한중 콘크리트에 알맞은 시멘트는?

  1. 알루미나 시멘트
  2. 팽창 시멘트
  3. 플라이 애시 시멘트
  4. 고로 슬래그 시멘트
(정답률: 53%)
  •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강도, 고내화성, 고내식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긴급 공사나 한중 콘크리트 등에 적합합니다. 또한,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학공장, 제철공장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에서 잔골재는 어느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가?

  1. 5㎜체를 전부 통과하고 표면건조포화상태인 골재
  2. 5㎜체를 전부 통과하고 공기중건조상태인 골재
  3. 5㎜체를 전부 남고 표면건조포화상태인 골재
  4. 5㎜체를 전부 남고 공기중건조상태인 골재
(정답률: 71%)
  • 잔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이 때, 잔골재의 크기는 시방배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잔골재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간을 차지하여 강도를 떨어뜨리고, 너무 작으면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미미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잔골재를 선택하기 위해 시방배합에서는 "5㎜체를 전부 통과하고 표면건조포화상태인 골재"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잔골재의 크기가 적절하며, 표면이 건조하고 포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450mm×450mm의 띠철근압축부재에 축방향 철근으로 D25(공칭지름 25.4mm)를 사용하고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5mm 일 때 이 기둥에 대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5mm 이상
  2. 30mm 이상
  3. 35mm 이상
  4. 40mm 이상
(정답률: 40%)
  • 450mm×450mm의 띠철근압축부재의 단면적은 202,500mm²이다. 이 기둥에 대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 순간격 = (0.36 × fck × b × d²) / (0.87fy)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공압강도, b는 단면의 너비, d는 단면의 높이, fy는 철근의 항복강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fck를 24MPa, fy를 300MPa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 순간격 = (0.36 × 24MPa × 450mm × 450mm²) / (0.87 × 300MPa)
    = 1,045,454.55mm³

    이제 이 값을 축방향 철근의 단면적으로 나누어서 순간격을 구할 수 있다.

    순간격 = 최소 순간격 / 축방향 철근의 단면적

    D25 철근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 × (D/2)²
    = 3.14 × (25.4/2)²
    = 506.71mm²

    따라서, 순간격은 다음과 같다.

    순간격 = 1,045,454.55mm³ / 506.71mm²
    = 2,063.01mm

    이 값은 2,063mm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이 "40mm 이상"인 이유는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이 2,063mm 이므로, 이 값보다 큰 40mm 이상이 되어야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간 2m의 캔틸레버보가 보 전체에 걸쳐 고정하중 20kN/m, 활하중 30kN/m,의 등분포 하중을 받고 있다. 이 보의 계수휨모멘트(Mu)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8kN·m
  2. 72kN·m
  3. 100kN·m
  4. 144kN·m
(정답률: 50%)
  • 캔틸레버보의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합산한 총 하중은 50kN/m이다. 이 하중을 바탕으로 보의 반력을 구하면, 50kN/m x 2m = 100kN이 된다. 이 반력을 이용하여 등분포 하중에 대한 모멘트를 구하면, Mu = (20kN/m x 2m x 2m) + (30kN/m x 2m x 1m) - (100kN x 2m) = 144kN·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4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멀리 배근된 철근 중심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
  2. 콘크리트 중심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근된 철근 중심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
  3.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멀리 배근된 철근 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
  4.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근된 철근 표면 사이의 최단거리
(정답률: 58%)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는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근된 철근 표면 사이의 최단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철근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콘크리트 표면과 그에 가장 가까이 배근된 철근 표면 사이의 최단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철근의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철근은 항상 이어서 사용해야 한다.
  2. 철근의 이음부는 최대 인장력 발생지점에 설치한다.
  3. 철근의 이음은 한 단면에 집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4. 철근의 이음에는 겹침 이음, 용접 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등이 있다.
(정답률: 77%)
  • 철근은 길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길이를 얻기 위해 이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 때 이음부는 최대 인장력 발생지점에 설치하여 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음부의 종류로는 겹침 이음, 용접 이음, 기계적 이음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의 이음에는 겹침 이음, 용접 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등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철근의 정착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철근의 지름
  2. 철근의 배근위치
  3. 콘크리트의 종류
  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정답률: 46%)
  • 철근의 정착 길이는 콘크리트의 강도, 철근의 지름, 배근위치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하지만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철근의 정착 길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강도 설계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의 탄성계수(Es) 표준값은?

  1. 150000MPa
  2. 200000MPa
  3. 230000MPa
  4. 280000MPa
(정답률: 60%)
  • 강도 설계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의 탄성계수(Es) 표준값은 200000MPa입니다. 이는 철근의 재질인 강철의 탄성계수 범위 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강철의 탄성계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지만, 대체로 190000MPa에서 210000MPa 사이의 값이 나오며, 이 중에서 200000MPa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기연행(AE)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구성과 수밀성이 개선된다.
  2. 워커빌리티가 저하된다.
  3.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된다.
  4. 강도가 저하된다.
(정답률: 61%)
  • 공기연행(AE) 콘크리트는 공기액화제를 첨가하여 공기를 혼합시켜 제조된 콘크리트로, 내구성과 수밀성이 개선되며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된다. 하지만 워커빌리티가 저하되는 이유는 공기가 혼합되어 콘크리트의 미세한 구조를 파괴하고,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가공성이 떨어지고, 시공성이 저하된다. 강도가 저하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시멘트 중에서 수화열이 적고,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댐이나 방파제 공사에 적합한 것은?

  1.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2. 플라이 애시 시멘트
  3. 알루미나 시멘트
  4. 팽창 시멘트
(정답률: 49%)
  • 플라이 애시 시멘트는 수화열이 적고,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댐이나 방파제 공사에 적합합니다. 이는 플라이 애시 시멘트가 산화된 석탄재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수화열이 적어지고, 석탄재의 불순물이 제거되어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철근콘크리트

21. 1방향 슬래브의 최대 휨 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정철근 및 부철근의 중심 간격으로 옳은 것은?

  1.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2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2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입니다.

    슬래브의 최대 휨 모멘트는 슬래브의 중심부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 간격이 넓어질수록 최대 휨 모멘트가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슬래브 두께가 두꺼울수록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최대 휨 모멘트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로 하여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 간격을 좁히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 최대 휨 모멘트를 적게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장지배단면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1. 0.85
  2. 0.80
  3. 0.75
  4. 0.70
(정답률: 52%)
  • 인장지배단면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0.85입니다. 이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자르면서 단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생하는 강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인장지배단면에서는 단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강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 감소된 강도를 원래 강도로 나눈 값이 강도감소계수입니다. 따라서 인장지배단면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0.8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독립 확대 기초의 크기가 3m×4m이고 하중의 크기가 600kN 일 때, 이 기초에 발생하는 지지력의 크기는?

  1. 30kN/m2
  2. 50kN/m2
  3. 100kN/m2
  4. 150kN/m2
(정답률: 64%)
  • 지지력은 기초의 면적과 지반의 지지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지반의 지지력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단 기초의 면적으로부터 지지력을 구해보겠습니다.

    기초의 면적은 3m×4m = 12m2 입니다. 하중의 크기는 600kN 이므로, 기초의 단위 면적당 하중은 600kN / 12m2 = 50kN/m2 입니다.

    따라서, 이 기초에 발생하는 지지력의 크기는 50kN/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목 구조물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다량으로 생산한다.
  2. 구조물의 수명이 길다.
  3. 구조물의 규모가 크다.
  4. 건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정답률: 83%)
  • 정답: "다량으로 생산한다."

    해설: 토목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건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며, 구조물의 규모가 크고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토목 구조물은 대부분 맞춤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량으로 생산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량으로 생산한다."는 토목 구조물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에 일어날 수 있는 인장 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계획적으로 압축 응력을 준 콘크리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강 구조물
  2. 합성 구조물
  3. 철근 콘크리트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71%)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콘크리트와 달리 철근 대신 인장 강도가 높은 강선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콘크리트는 인장 응력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져 더욱 강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강 구조물과 합성 구조물과 같은 고강도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 1000kN에 대하여 옹벽의 활동에 대한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 저항력은?

  1. 500kN
  2. 1000kN
  3. 1500kN
  4. 2000kN
(정답률: 55%)
  •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이 1000kN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최소 저항력은 1000kN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여유를 두어야 하므로, 최소 저항력은 1000kN보다 큰 값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일하게 1000kN보다 큰 값인 1500k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콘크리트구조기준에 따른다.)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62%)
  • 1방향 슬래브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래브의 두께는 하중에 따라 결정됩니다. 콘크리트구조기준에 따르면,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슬래브의 지지간격과 슬래브의 너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슬래브의 지지간격은 3m 이하로 설정되며, 슬래브의 너비는 1.2m 이하로 설정됩니다. 이에 따라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100mm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포스트 텐션 방식에 있어서 PS 강재를 콘크리트와 부착하기 위하여 시스 안에 시멘트 풀이나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앵커
  2. 라이닝
  3. 록 볼트
  4. 그라우팅
(정답률: 82%)
  • PS 강재와 콘크리트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을 채워야 합니다. 이때 시멘트 풀이나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공간을 채우는 작업을 그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라우팅은 포스트 텐션 방식에서 PS 강재를 콘크리트와 부착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철근 콘크리트를 널리 이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검사 및 개조, 해체가 매우 쉽다.
  2. 철근과 콘크리트는 부착이 매우 잘된다.
  3.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률: 77%)
  • 철근 콘크리트는 검사, 개조, 해체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아닌, 오히려 철근과 콘크리트가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분리가 어렵다는 점이 이유이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구조물을 분해하거나 개조하는 것이 어렵고, 해체할 때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활하중에 해당하는 것은?

  1. 자동차 하중
  2. 구조물의 자중
  3. 토압
  4. 수압
(정답률: 65%)
  • 활하중은 일시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자동차 하중은 도로 위에서 주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하중이기 때문에 활하중에 해당합니다. 구조물의 자중은 정적인 하중이며, 토압과 수압은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겹치기 이음 또는 T이음에 주로 사용되는 용접으로 용접할 모재를 겹쳐서 그 둘레를 용접하거나, 2개의 모재를 T형으로 하여 모재 구석에 용착 금속을 채우는 용접은?

  1. 홈 용접(Groove Welding)
  2. 필릿 용접(Filet Welding)
  3. 슬롯 용접(Solt Welding)
  4. 플러그 용접(Plug Welding)
(정답률: 57%)
  • 겹치기 이음 또는 T이음에 주로 사용되는 용접은 필릿 용접입니다. 이는 모재를 겹쳐서 그 둘레를 용접하거나, 2개의 모재를 T형으로 하여 모재 구석에 용착 금속을 채우는 용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홈 용접, 슬롯 용접, 플러그 용접으로, 이들은 필릿 용접과는 용접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축방향 철근에 직교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철근을 감아 주근을 보강하고, 좌굴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둥은?

  1. 합성 기둥
  2. 띠철근 기둥
  3. 나선 철근 기둥
  4. 프리스트레스트 기둥
(정답률: 57%)
  • 띠철근 기둥은 축방향 철근에 직교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철근을 감아 주근을 보강하고, 좌굴을 방지하는 기둥입니다. 따라서 축방향 철근과 함께 사용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합성 기둥은 여러 개의 기둥을 합쳐서 만든 기둥이며, 나선 철근 기둥은 나선 모양의 철근을 사용한 기둥입니다. 프리스트레스트 기둥은 인장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목 구조물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초 : 슬래브를 지지하며 작용하는 하중을 기둥이나 교각에 전달한다.
  2. 슬래브 : 기둥, 교각 등에 작용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한다.
  3. 보 : 구조물에 작용하는 직접 하중을 받아 지지하는 슬래브에 하중을 전달한다.
  4. 기둥 : 보를 지지하고, 보를 통하여 전달된 하중이나 고정하중을 기초에 전달한다.
(정답률: 55%)
  • 기둥은 보를 지지하고, 보를 통하여 전달된 하중이나 고정하중을 기초에 전달하기 때문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보기의 특징이 설명하고 있는 교량 형식은?

  1. 단순교
  2. 아치교
  3. 트러스교
  4. 판형교
(정답률: 75%)
  • 이 교량은 중앙에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이 있어서 트러스교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량의 분류 방법과 교량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 - 연속교
  2.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콘크리트교
  3. 통로의 위치에 따른 분류 - 중로교
  4. 주형의 구조 형식에 따른 분류 - 고가교
(정답률: 60%)
  • 교량의 분류 방법 중 "통로의 위치에 따른 분류"는 교량이 건너는 도로나 철도 등의 통로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분류할 때, 중앙에 위치한 도로나 철도 위를 건너는 교량을 "중로교"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로의 위치에 따른 분류 - 중로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투상법 중 제3각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투상면→물체 순서로 놓는다.
  2. 제3면각 안에 물체를 놓고 투상하는 방법이다.
  3. 투상선이 투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투상한다.
  4.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상하에서 본 모양을 반대 위치에 그린다.
(정답률: 65%)
  •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상하에서 본 모양을 반대 위치에 그리는 것은 제3각법이 아니라 제1각법의 방법입니다. 제3각법은 물체를 제3면각 안에 놓고 투상하는 방법으로, 투상선이 투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투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에서 제3각법에 따라 도면을 작성할 때 평면도는?

(정답률: 78%)
  • 제3각법은 두 직선이 평행하지 않을 때, 두 직선 사이에 삼각형을 만들어 그 삼각형의 대각선과 기존의 직선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AB와 CD가 평행하지 않으므로 제3각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대각선 AC와 BD를 그리면 삼각형 ABC와 삼각형 BCD가 만들어지고, 이 두 삼각형의 꼭짓점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치수 기입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은?

  1. 치수의 중복 기입은 피해야 한다.
  2. 치수는 계산할 필요가 없도록 기입해야 한다.
  3. 주투상도에는 가능한 치수기입을 생략하여야 한다.
  4. 도면에 길이의 크기와 자세 및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정답률: 76%)
  • 주투상도는 전체적인 도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가능한 치수 기입을 생략하여야 합니다. 이는 도면의 가독성을 높이고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주투상도에는 가능한 치수기입을 생략하여야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설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 기호 중에서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5%)
  • 지반면(흙)을 나타내는 기호는 "" 입니다. 이 기호는 단면에서 지반면과 접하는 부분을 나타내며, 지반면 위쪽은 건축물이 위치하고 아래쪽은 흙이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치수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긋는다.
  2. 치수선은 가는 파선을 사용하여 긋는다.
  3. 일반적으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닐 때에는 치수선은 다른 치수선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
  4. 협소하여 화살표를 붙일 여백이 없을 때에는 치수선을 치수보조선 바깥쪽에 긋고 내측을 향하여 화살표를 붙인다.
(정답률: 71%)
  • "치수선은 가는 파선을 사용하여 긋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치수선은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되며, 가는 파선이 아닌 점선을 사용하여 긋습니다. 가는 파선은 치수보조선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목일반구조

41. 건설 재료의 단면 표시 중 잡석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80%)
  • 잡석은 건설 재료 중에서 불순물이나 부적합한 물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면 표시에서 잡석을 나타내는 것은 건설 재료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는 잡석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다른 단면 표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로 설계에서 종단 측량 결과로서 종단면도에 기입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면적
  2. 거리
  3. 지반고
  4. 계획고
(정답률: 45%)
  • 종단 측량은 도로의 고도와 경사를 측정하는 것으로, 종단면도에는 지반고, 계획고, 거리 등이 기입됩니다. 하지만 면적은 종단 측량 결과로서 종단면도에 기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면적은 도로의 넓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단면도에서는 도로의 고도와 경사를 중심으로 그림을 그리기 때문에 면적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면적은 종단면도에 기입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블록의 단면 표시로 옳은 것은?

(정답률: 66%)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블록의 단면 표시에서는 블록의 모서리가 교차하는 부분이 보이지 않고, 블록의 모서리가 모두 연결되어 있는 모습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가 블록의 단면 표시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투상도에서 물체 모양과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면은 어느 도면으로 선정하는 것이 좋은가?

  1. 정면도
  2. 평면도
  3. 배면도
  4. 측면도
(정답률: 55%)
  • 정면도는 물체의 전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물체의 모양과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도면들과 함께 사용하여 물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각봉의 절단면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56%)
  • 각봉은 정육면체이므로 모든 면이 직각이고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절단면이 바르게 표시되기 위해서는 각 면이 직각이어야 한다. 보기 중에서는 ""만이 모든 면이 직각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목 CAD의 이용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듈화된 표준도면을 사용할 수 있다.
  2. 도면의 수정이 용이하다.
  3. 입체적 표현이 불가능 하나, 표현 방법이 다양하다.
  4. 다중작업(Multi-tasking)이 가능하다.
(정답률: 79%)
  • 입체적 표현이 불가능 하나, 표현 방법이 다양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토목 CAD는 입체적인 모델링을 통해 3차원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마우스
  2. 디지타이저
  3. 키보드
  4. 플로터
(정답률: 72%)
  • 플로터는 출력장치이기 때문에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가 아닙니다. 마우스, 디지타이저, 키보드는 모두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치수 기입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수선에는 분명한 단발 기호(화살표)를 표시한다.
  2. 치수 보조선은 대응하는 물리적 길이에 수직으로 그리는 것이 좋다.
  3. 치수 수치는 도면의 위 또는 왼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치수 보조선과 치수선이 다른 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44%)
  • "치수 수치는 도면의 위 또는 왼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치수 수치는 도면의 어느 위치에 표시해도 상관없으며, 치수선과 수치 사이에 공백을 두어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국 산업 표준(KS)에서 원칙적으로 하는 정투상도 그리기 방법은?

  1. 제1각법
  2. 제3각법
  3. 제5각법
  4. 다각법
(정답률: 83%)
  • 한국 산업 표준(KS)에서 원칙적으로 하는 정투상도 그리기 방법은 "제3각법"입니다. 이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그리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제한적인 상황에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제3각법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는?

  1. 캐시메모리(Cache Memory)
  2. DRAM(Dynamic RAM)
  3. SRAM(Static RAM)
  4. ROM(Read Only Memory)
(정답률: 64%)
  • 캐시메모리는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장치입니다.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메모리에 저장해 놓으면, CPU가 해당 데이터를 요청할 때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보다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시메모리는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속도가 빠른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면의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면도는 실선으로 주어진 치수대로 정확히 그린다.
  2. 단면도에 배근될 철근 수량을 정확히 하고, 철근 간경이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3. 단면도에 표시된 철근 단면은 원형으로 내부를 칠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4. 철근 치수 및 철근기호를 표시하고,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7%)
  • "단면도에 표시된 철근 단면은 원형으로 내부를 칠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가 틀린 것이며, 이는 철근 단면을 표시할 때 내부를 칠해도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철근이 구멍 안에 배치되는 경우나 철근이 다른 재료와 겹쳐져 있는 경우 등에는 내부를 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한 도면에서 두 종류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때 우선순위로 옳은 것은?

  1. ㄹ - ㄱ - ㄷ - ㄴ
  2. ㄷ - ㄱ - ㄹ - ㄴ
  3. ㄱ - ㄴ - ㄷ - ㄹ
  4. ㄷ - ㄱ - ㄴ - ㄹ
(정답률: 67%)
  •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굵은 실선 (A)
    2. 얇은 실선 (B)
    3. 점선 (C)

    따라서, 위 도면에서는 ㄷ - ㄱ - ㄹ - ㄴ 순으로 우선순위가 결정됩니다.

    ㄹ은 굵은 실선과 얇은 실선이 겹치는 부분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그리고 굵은 실선과 얇은 실선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얇은 실선이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얇은 실선과 점선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점선이 우선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척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척
  2. 축척
  3. 현척
  4. 외척
(정답률: 86%)
  • 위의 보기에서 "외척"은 척도의 종류가 아닌 개념입니다. "외척"은 다른 사람이나 조직에서 지원을 받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척도의 종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기의 철강 재료 기호 표시에서 재질을 나타내는 기호 등을 표시하는 부분은?

(정답률: 57%)
  • 보기의 철강 재료 기호 표시에서 "㉡"은 탄소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는 구조용강, "㉢"는 저합금강, "㉣"은 고합금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재료의 치수가 2-H 300×200×9×12×1000로 표시되었을 때 플렌지 두께는?

  1. 300㎜
  2. 200㎜
  3. 12㎜
  4. 9㎜
(정답률: 53%)
  • 2-H는 스테인리스 강재의 규격을 나타내는 표기입니다. 300×200은 해당 재료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나타내며, 9㎜은 재료의 두께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12㎜는 플렌지 두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플렌지 두께는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이 구비하여야 할 일반적인 기본 요건으로 옳은 것은?

  1. 분야별 각기 독자적인 표현 체계를 가져야 한다.
  2. 기술의 국제 교류의 입장에서 국제성을 가져야 한다.
  3. 기호의 다양성과 제작자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야 한다.
  4. 대상물의 임의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기술의 국제 교류는 다양한 나라와 문화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면은 국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표현 체계와 국제적인 표준을 따라야 합니다. 이를 통해 다른 나라나 문화권에서도 도면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기술의 국제 교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국 산업 표준과 국제 표준화 기구의 기호가 순서대로 연결된 것은?

  1. ISO - ASTM
  2. KS - ISO
  3. KS - ASTM
  4. ISO - JIN
(정답률: 84%)
  • KS는 한국 산업 표준을 나타내고,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KS - ISO는 한국 산업 표준과 국제 표준화 기구의 기호가 순서대로 연결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한국 산업 표준과 미국 재료시험학회(ASTM) 또는 일본 산업 표준(JIN)과 국제 표준화 기구 또는 ASTM과 국제 표준화 기구의 기호가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실선
  3. 1점 쇄선
  4. 파선
(정답률: 84%)
  • 파선은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일반적으로 절단면이나 단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파선은 절단면이나 단면을 표시할 때 대상물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며, 대상물의 실제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대상물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파선은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데 가장 적합한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도 통칙에서 한글, 숫자 및 영자에 해당하는 문자의 선 굵기는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얼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1/2
  2. 1/5
  3. 1/9
  4. 1/13
(정답률: 70%)
  • 한글, 숫자 및 영자에 해당하는 문자의 선 굵기는 문자 크기의 호칭에 대하여 1/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 굵기와 문자 크기의 비율이 적절하게 맞아서 가독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선 굵기가 너무 얇으면 글씨가 흐릿해지고, 선 굵기가 너무 두껍다면 글씨가 더러워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1/9의 비율은 적절한 굵기를 유지하면서도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현 형식에 따라 분류한 도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일반도
  2. 외관도
  3. 시공도
  4. 구조선도
(정답률: 44%)
  • 시공도는 건축물의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구체적인 부재의 위치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시공도는 건축물의 구조와 시공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일반도, 외관도, 구조선도와 같은 다른 도면들은 건축물의 전반적인 모습이나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시공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공도는 다른 도면들과는 목적과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표현 형식에 따라 분류한 도면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