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직업상담사 2급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직업상담학

1. 진로상담 이론과 각 이론의 전제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1. 특성-요인이론(Trait-factor Theory) : 개인은 자신의 성격에 맞는 직업을 찾아야 만족한다.
  2. 의사결정이론(Decision making Theory) : 개인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다 .
  3.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 개인의 발달은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정도, 주변의 기대 등에 영항을 받지 않을 수 없다.
  4.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tic Theory) : 개인의 진로는 6세 이전에 결정된다.
(정답률: 61%)
  •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tic Theory) : 개인의 진로는 6세 이전에 결정된다. - 이론의 전제가 틀림

    정신분석이론은 개인의 무의식적인 부분이 진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이론의 전제는 개인의 진로가 6세 이전에 결정된다는 것으로, 이는 과도한 강조로 인해 현재의 상황과 개인의 선택에 대한 영향력을 무시하는 것으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tic Theory) 설명]
    정신분석이론은 개인의 무의식적인 부분이 인간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론은 개인의 성격, 경험, 가치관 등이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이론은 또한 개인의 어린 시절 경험이 진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이론은 개인의 무의식적인 부분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개인이 진로 선택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파악하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전화상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담관계가 안정적이다.
  2. 응급상황에 있는 내담자에게 도움을 준다.
  3. 청소년의 성문제 같은 사적인 문제를 상당하는데 좋다
  4. 익명성이 보장되어 신문노출을 꺼리는 내담자에게 적절 하다 .
(정답률: 86%)
  • "응급상황에 있는 내담자에게 도움을 준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전화상담은 일반적으로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급상황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담관계가 안정적이다."는 전화상담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전화상담은 대개 익명성이 보장되어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성문제와 같은 사적인 문제를 다루기에도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응 중 집단직업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구성원은 집단 직업상담 과정에서 이루어진 토의내용에 대한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
  2. 집단의 리더는 집단상담과 직업정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3. 6명에서 10명 정도의 인원이 이상적이다.
  4. 가능한 모임의 횟수를 최대화하여야 한다.
(정답률: 86%)
  • "가능한 모임의 횟수를 최대화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능한 모임의 횟수를 최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모임의 횟수를 설정하여 집단 직업상담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합니다. 이유는 너무 자주 모이면 구성원들의 부담이 커지고, 너무 적게 모이면 집단 상호작용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모임의 횟수를 설정하여 구성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집단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내담자의 무엇을 사정하기 위한 것인가?

  1. 내담자의 동기
  2. 내담자의 역할관계
  3. 내담자의 가치
  4. 내담자의 흥미
(정답률: 76%)
  • 위 그림은 "내담자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에서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자원과 능력, 그리고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정답은 "내담자의 가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직업상담의 기초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극적 경청 : 내담자의 내면적 감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내담자의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다
  2. 명료화 : 내담자의 말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분명한 측면을 상담자가 분명하게 밝히는 반응이다.
  3. 수용: 상담자가 내담자의 이야기에 주의를 집중하고 있고, 내담자를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기법 이다
  4. 해석 : 내담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문제들을 볼 수 있도록 사건들의 의미를 설정해 주는 것이다.
(정답률: 52%)
  •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적극적 경청은 내담자의 내면적 감정을 듣고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명료화는 내담자가 말하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 상담자가 질문하거나 요약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용은 내담자의 이야기에 주의를 집중하고, 내담자를 인격적으로 존중하는 것을 말합니다.

    해석은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이는 내담자의 자아 개발과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실존주의 상담 혹은 실존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본질에 대한 결정론적인 입장을 취한다.
  2. 자유와 책임을 강조한다.
  3. 개인이 겪는 불안은 하나의 삶의 조건이라고 본다.
  4. 개인이 자기 인식 능력을 강조한다.
(정답률: 58%)
  • "인간본질에 대한 결정론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존주의 상담 혹은 실존치료는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며, 개인이 겪는 불안은 삶의 조건이라고 보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개인이 자기 인식 능력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인간본질에 대한 결정론적인 입장을 취하지는 않습니다. 실존주의는 인간이 자유로운 존재이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인지적-정서적 상담(RE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lliS에 의해 개발되었다.
  2. 모든 내담자의 행동적-정서적 문제는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에서 발생한 것이다.
  3. 성격 자아상태 분석을 실시한다.
  4. A-B-C 이론을 적용한다.
(정답률: 60%)
  • "성격 자아상태 분석을 실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지적-정서적 상담(RET)에서는 성격 자아상태 분석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RET은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에서 발생한 행동적-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B-C 이론을 적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상담의 목표설정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전반적인 목표는 내담자의 욕구들에 의해 결정 된다
  2. 현존하는 문제를 평가하고 나서 목표설정 과정으로 들어간다.
  3. 상담자는 목표설정에 개입하지 않는다.
  4. 내담자의 목표를 끌어내기 위한 기법에는 면접안내가 있다 .
(정답률: 75%)
  • "상담자는 목표설정에 개입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내담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개입한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욕구와 필요성을 파악하고, 내담자가 원하는 변화와 목표를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면접안내는 내담자의 목표를 끌어내는 기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rites가 분류한 흥미와 적성에 따른 사람의 유형 중 재능(가능성)이 많아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과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은?

  1. 부적응형
  2. 우유부단형
  3. 다재다능형
  4. 비현실형
(정답률: 84%)
  • 다재다능형은 재능이 많아 다양한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그만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기 어려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유형은 흥미를 느끼는 직업과 적성에 맞는 직업 사이에서 고민하며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행동주의적 직업상담에서 사용하는 기법이 아닌 것은?

  1. 체계적 둔감화
  2. 역조건형성
  3. 사회적 모델링
  4. 충고와 설득
(정답률: 70%)
  • 충고와 설득은 행동주의적 직업상담에서 사용하는 기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행동주의적 직업상담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인 충고나 설득을 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상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대신, 체계적 둔감화, 역조건형성, 사회적 모델링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인지치료와 관련이 없는 개념은?

  1. 비합리적 신념
  2. 치료적인 논박과정
  3. 내담자-상담자의 협력적인 관계
  4. 전이 관계의 촉진
(정답률: 59%)
  • 전이 관계의 촉진은 인지치료와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이는 정신분석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과거 경험과 감정을 전이하는 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치료는 비합리적 신념, 치료적인 논박과정, 내담자-상담자의 협력적인 관계와 관련이 있으며, 전이 관계의 촉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사례에서 직면기법에 가장 가까운 반응은?

  1. ”OO씨, 지금 느낌이 어떤가요?”
  2. ”OO씨가 방금 아무렇지도 않다고 하는 말이 어쩐지 믿기지 않는군요.”
  3. ”OO씨, 내가 만일 OO씨처럼 그런 지적을 받았다면 기문이 몹시 언짢겠는데요.”
  4. ”OO씨는 아무렇지도 않다고 말하지만, 지금 얼굴이 아주 굳어있고 목소리가 떨리는군요. 내적으로 지금 어떤 불편한 감정이 있는 것 같은데, OO씨의 반응이 궁금하군요
(정답률: 82%)
  • "”OO씨는 아무렇지도 않다고 말하지만, 지금 얼굴이 아주 굳어있고 목소리가 떨리는군요. 내적으로 지금 어떤 불편한 감정이 있는 것 같은데, OO씨의 반응이 궁금하군요" 이 보기는 직면기법에 가장 가까운 반응이다. 이는 상대방의 비언어적인 신호를 파악하고, 그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상대방의 감정을 드러내도록 유도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업상담에서 내담자가 검사도구에 대해 비현실적 기대를 가지고 있을 때 상담자가 취할 수 있는 행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즉시 검사를 실시한다.
  2. 검사 사용 목적에 대하여 내담자에게 설명한다.
  3. 검사종류의 선택을 독단적으로 한다.
  4. 심리검사는 상담관계를 방해하므로 실시하지 않는다.
(정답률: 83%)
  • 내담자가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을 때, 검사 사용 목적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내담자의 현실적인 인식을 돕고, 검사 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행동이다. 즉시 검사를 실시하거나 검사종류를 독단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내담자의 기대와 현실 사이의 간극을 더 벌일 수 있으며, 심리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것은 내담자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놓치게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업상담이론과 그에 대한 설명을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

  1. 교류분석적 상담 - 성격 자아상태 분석
  2. 내담자 중심 상담 - 비지시적 상담
  3. Adler의 개인주의 상담 - 심리성적 결정론
  4. 형태주의 상담 - Perls에 의해 발전
(정답률: 74%)
  • "Adler의 개인주의 상담 - 심리성적 결정론"은 틀린 것이다. Adler의 개인주의 상담은 개인의 삶의 목적과 가치, 그리고 자아 개발에 초점을 둔 상담이며, 심리성적 결정론은 행동이나 인지의 원인을 내면적인 요인에 찾는 이론이다. 따라서 Adler의 개인주의 상담과 심리성적 결정론은 서로 다른 이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업상담의 이론 중 내담자에 대한 자료를 과학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흥미, 지능, 적성, 성격 등 표준화 검사의 실시와 결과의 해석을 중요시하는 직업상담은 ?

  1. 정신역동적 직업상당
  2. 내담자 중심 직업상담
  3. 특성-요인 직업상담
  4. 발달적 직업상담
(정답률: 67%)
  • 특성-요인 직업상담은 내담자의 흥미, 지능, 적성, 성격 등과 같은 특성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적합한 직업을 찾아내는 방법론을 중요시하는 직업상담입니다. 따라서 표준화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여 내담자에게 적합한 직업을 제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직업상담자의 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업상담자는 내담자 개인 및 사회에 임박한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개인정보와 상담내용에 대한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
  2. 직업상담자는 자신이 실제로 갖추고 있는 자격 및 경험의 수준을 벗어나는 인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
  3. 직업상담은 심층적인 심리상담이 아니므로 비밀 유지 의무가 없다.
  4. 직업상담자는 내담자가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지 못하더라도 먼저 종결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72%)
  • 직업상담자는 자신이 실제로 갖추고 있는 자격 및 경험의 수준을 벗어나는 인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 이는 내담자의 이익과 안전을 위해 중요하며, 직업상담자가 자신의 능력을 과장하거나 거짓으로 표현하면 내담자가 잘못된 조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업상담자는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내담자에게 정확하고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내담자의 침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담자 개인에 대한 적대감에서 오는 저항이나 불안 때문에 생긴다.
  2. 상담관계가 이루어지기도 전에 일어난 침묵은 대개 긍정적이며 수용의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3. 내담자가 상담자에게서 재확인을 바라거나 상담자의 해석 등을 기대하며 침묵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4. 내담자가 이전에 표현했던 감정 상태에서 생긴 피로를 회복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정답률: 73%)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해설과 정답이 다릅니다. 개인에 대한 적대감에서 오는 저항이나 불안은 경우에따라 침묵으로 나타날수있으나, 일반적인 경우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1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직무만족 및 작업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은 ?

  1. Holland는 직무만족이나 안정성이 직무의 특성과 작업환경간의 상호작용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2. Maslow는 상위욕구가 좌절되면 이미 충족된 하위욕구에 대한 동기화가 다시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3. Alderfer는 인간의 욕구를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로 나누었다.
  4. Herzberg는 직무만족을 주는 동기요인이 충족되지 않으면 직무불만족이 생긴다고 주장했다.
(정답률: 42%)
  • Alderfer는 인간의 욕구를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로 나누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Rogers가 제시한 직업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태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진실하고 개방적인 자세
  2. 내담자의 입장에 대한 동감과 이해
  3. 자신의 감정에 대한 진실성 및 일관된 표현
  4. 내담자의 감정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
(정답률: 44%)
  • 정답은 "진실하고 개방적인 자세"입니다.

    "내담자의 입장에 대한 동감과 이해"는 직업상담자가 가져야 할 중요한 태도 중 하나입니다. 이는 내담자의 상황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내담자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직업상담의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따라서, "내담자의 입장에 대한 동감과 이해"는 직업상담자가 가져야 할 태도 중 하나이며, 이 보기에서는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애진로사정은 Adler의 개인 심리학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
  2. 생애진로사정의 구조는 진로사정, 전형적인 하루, 강점과 장애 및 요약으로 이루어진다.
  3. 생애진로사정은 직업상담의 마무리 단계로서 최종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시도이다.
  4. 생애진로사정은 구조화된 면담기술로서 짧은 시간에 체계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답률: 80%)
  • 생애진로사정은 직업상담의 마무리 단계로서 최종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직업심리학

21. 한 검사에서의 점수와 나중에 그 사람이 실제로 직무를 수행할 때의 수행수준 간의 관련성이 높을 때 어떤 그 검사는 타당도가 높다고 하는가?

  1. 구성타당도
  2. 내용타당도
  3. 예언타당도
  4. 동시타당도
(정답률: 73%)
  • 예언타당도는 한 검사에서의 점수와 나중에 그 사람이 실제로 직무를 수행할 때의 수행수준 간의 관련성을 측정하는 타당도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예언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구성타당도는 검사의 항목들이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고, 내용타당도는 검사의 내용이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동시타당도는 검사 결과와 다른 검사나 측정도구의 결과와의 관련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진로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지도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1. A → B → C → D
  2. B → A → C → D
  3. B → C → A → D
  4. A → C → B → D
(정답률: 67%)
  • 정답은 "B → A → C → D"입니다.

    B단계에서는 진로탐색을 통해 자신의 관심과 장단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A단계에서는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C단계에서는 계획을 실행하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경험을 쌓습니다.

    D단계에서는 진로에 대한 경험과 습득한 기술과 지식을 바탕으로 취업이나 진로전환을 준비하며, 필요한 대인관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경력개발단계를 성장, 탐색, 확립, 유지, 쇠퇴의 5단계로 구분한 사람은?

  1. Bordin
  2. Colby
  3. Super
  4. Parsons
(정답률: 78%)
  • Super는 경력개발단계를 구분한 사람 중 가장 잘 알려진 사람으로, 이론적으로 경력개발단계를 성장, 탐색, 확립, 유지, 쇠퇴의 5단계로 구분한 최초의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Super의 "Career Development Theory"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수행실적도 함께 증가한다.
  2. 스트레스 수준이 아주 낮으면 수행실적이 증가한다.
  3.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항을 준다.
  4. 지각이나 결근은 스트레스와는 상관이 없다.
(정답률: 68%)
  •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항을 준다. 이는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 낮아지고, 그에 따라 수행실적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직업적성검사 중 다양한 직업에 필요한인간의 능력을 9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은?

  1. 미네소타 직업평가척도(MORS)
  2. 직 업 선호도 검사(VPI)
  3. 일반적성검사(GATB)
  4. 마이어 - 브릭스 유형검사(MBTI)
(정답률: 58%)
  • 일반적성검사(GATB)는 다양한 직업에 필요한 인간의 능력을 9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는 직업적성검사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일반적성검사(GAT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국내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금성과급제 또는 연봉제 실시와 관련하여, 공정하고 객관적인 임금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 직장 내 여러 직무들 각각이 조직효율성에 기여하는 상대적 가치를 판단하도록 해주는 것은?

  1. 직무분석
  2. 직무평가
  3. 직무수행평가
  4. 준거개발
(정답률: 61%)
  • 임금성과급제나 연봉제를 실시하는 기업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임금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직무평가를 실시합니다. 직무평가는 각 직무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평가하여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각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정한 임금수준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직무평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인지적 정보처리의 주요 전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진로선택은 인지적 및 정의적 과정들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2. 진로를 선택한다는 것은 하나의 문제해결 활동이다.
  3. 진로성숙은 진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는다.
  4. 진로문제해결은 고도의 기억력을 요하는 과제이다.
(정답률: 56%)
  • 정답: "진로문제해결은 고도의 기억력을 요하는 과제이다."

    진로성숙은 진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은 인지적 정보처리의 주요 전제 중 하나이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경험, 지식, 기술 등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정보와 자원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전제는 진로선택과 관련된 인지적 및 정의적 과정들의 상호작용의 결과와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하나의 문제해결 활동이라는 전제와도 일치한다. 하지만, 진로문제해결은 고도의 기억력을 요하는 과제라는 주장은 인지적 정보처리의 주요 전제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직무분석 기업 중 직무수행자의 직무 행동 가운데 성과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행동과 비효과적인 행동을 구분하여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은?

  1. 작업 수행 조사 체계(WPSS)
  2. 중요사건 기록법(CIT)
  3. 강제 선택 체크리스트(FCCL)
  4. 기능적 직무분석(DPT)
(정답률: 63%)
  • 직무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직무수행자의 성과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행동과 비효과적인 행동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중요사건 기록법(CIT)을 사용합니다. CIT는 직무수행자가 성과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상황을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행동과 비효과적인 행동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CIT는 직무분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WPSS, FCCL, DPT는 각각 작업 수행 조사 체계, 강제 선택 체크리스트, 기능적 직무분석으로, 직무분석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업동기와 관련된 이론 중 집단의 영향을 강조하고 타인에 대한 지각을 중시하며, 행동이 활성화되고 유지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 것은?

  1.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 Alderfer의 존재, 관계성, 성장(ERG) 이론
  3. Vroom의 기대-유인가 이론
  4. Adams의 형평성 이론
(정답률: 35%)
  • Adams의 형평성 이론은 집단의 영향과 타인에 대한 지각을 중시하며, 행동이 활성화되고 유지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이론이다.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노력과 보상을 타인과 비교하여 형평성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보상과 인센티브를 공정하게 제공하여 직원들이 형평성을 느끼도록 해야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구성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렴타당도
  2. 변별타당도
  3. 요인분석
  4. 공인타당도
(정답률: 59%)
  • 공인타당도는 구성요소들이 특정한 기준에 따라 평가되어 인정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은 구성요소들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공인타당도는 구성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직업을 전환하고자 하는 내담자에게서 반드시 우선적으로 탐색해야하는 것은?

  1. 변화에 대한 인지능력
  2. 새로운 직업에서 성공기대 수준
  3. 직업상담에 대한 기대
  4.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직업에 대한 애착 수준
(정답률: 72%)
  • "변화에 대한 인지능력"은 직업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변화와 적응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지능력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업상담을 진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개인관련 스트레스 요인인 A유형 행동을 보이는 사람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책임을 피한다.
  2. 쉽게 화를 낸다.
  3. 많은 일을 성취하려 한다.
  4. 늘 경쟁적 성취욕으로 가득 차 있다.
(정답률: 71%)
  • "책임을 피한다."는 A유형 행동을 보이는 사람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A유형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이 일을 끝내기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책임을 피하는 사람들은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을 회피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방해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심리검사의 규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규준이란 한 개인의 점수를 다른 사람들의 점수와 비교할 때, 비교가 되는 점수를 뜻한다.
  2. 한 개인의 점수가 70점일 때, 이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전체의 60%라면, 백분위 점수는 60점이다.
  3. 평균이 50점이고 표준편차가 10점인 표준점수체계에서, 한 개인의 점수가 70점이라면 상위 20%에 해당한다.
  4. 연령규준은 한 개인의 검사 점수를 규준 집단에 있는 사람들의 연령과 비교해서 몇 살에 해당되는지를 해석하는 규준을 뜻한다.
(정답률: 54%)
  • "한 개인의 점수가 70점일 때, 이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전체의 60%라면, 백분위 점수는 60점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백분위 점수는 전체 점수 중 해당 개인의 점수가 몇 %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한 개인의 점수가 70점일 때 이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전체의 60%라는 정보만으로는 백분위 점수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규준이란 한 개인의 점수를 다른 사람들의 점수와 비교할 때, 비교가 되는 점수를 뜻한다.", "평균이 50점이고 표준편차가 10점인 표준점수체계에서, 한 개인의 점수가 70점이라면 상위 20%에 해당한다.", "연령규준은 한 개인의 검사 점수를 규준 집단에 있는 사람들의 연령과 비교해서 몇 살에 해당되는지를 해석하는 규준을 뜻한다."는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심리검사의 유형과 그 예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1. 직업흥미검사-VPI
  2. 직업적성검사 -AGCT
  3. 성격검사 –CPI
  4. 직업상황검사 –In basket test
(정답률: 50%)
  • 정답은 "직업적성검사 -AGCT"이다. AGCT는 DNA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심리검사 유형이 아니다.

    직업적성검사는 개인의 능력과 성격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직업을 찾아주는 검사이다. AGCT와 같은 유전자 검사는 유전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Holland의 육각 모형 상에서 대각선에 해당되는 유형으로, 서로 대비되는 특성을 지닌 유형들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관습형(C)과 현실형(R)
  2. 사회형(S)과 탐구형(l)
  3. 현실형(R)과 진취형(E)
  4. 예술형(A)과 관습형(C)
(정답률: 69%)
  • Holland의 육각 모형에서 대각선에 해당하는 유형은 서로 대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술형(A)은 창의적이고 자유분방한 성향을 가지며, 관습형(C)은 보수적이고 규칙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유형은 서로 대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내담자의 직업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검사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1. 내담자의 요구에 충족하는 검사가 개발되어 있는지 조사한다.
  2. 검사를 하고자 하는 내담자의 목적을 탐색한다.
  3. 해당 검사도구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한다.
  4. 검사의 선택에 내담자를 포함시킨다.
(정답률: 67%)
  • 검사를 하고자 하는 내담자의 목적을 탐색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다. 이는 내담자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검사를 선택하고, 검사 결과를 적절하게 해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내담자와의 충분한 상담과 대화를 통해 내담자의 목적과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생애주기를 분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평균수명의 변화
  2. 초혼연령의 변화
  3. 잔여기간의 변화
  4. 직장선택의 변화
(정답률: 37%)
  • 생애주기를 분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평균수명의 변화, 초혼연령의 변화, 잔여기간의 변화입니다. 이들은 인간의 삶의 길이와 구성, 가족 형태, 경제활동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반면, 직장선택의 변화는 개인의 선택과 경향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생애주기 분석에서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rites의 이론에 기초한 진로성숙검사는 태도척도와 능력척도로 구성되며 진로선택 내용과 과정이 통합적으로 반영되었다.
  2. 마이어스· 브릭스 유형검사(MBTI)는 외향성·내향성·호감성·성실성·정서적·불안정성·경험개방성의 6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에서 한 하위척도의 점수가 70점0|라는 것은 규준집단에 비추어볼 때 평균보다 한 표준편차 아래인 것을 의미한다.
  4. 진로발달검사의 경우 인간이 가진 보편적인 경향성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미국에서 작성된 기존 규준을 우리나라에서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정답률: 61%)
  • "Crites의 이론에 기초한 진로성숙검사는 태도척도와 능력척도로 구성되며 진로선택 내용과 과정이 통합적으로 반영되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Crites의 진로성숙이론에서 진로선택의 과정을 태도와 능력 측면에서 평가하고자 한 것으로, 검사 결과는 진로선택에 대한 태도와 능력을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성격의 유형
  2. 역할 모호성
  3. 통제의 위치
  4. 사회적 지원
(정답률: 49%)
  • 정답: "성격의 유형"

    설명: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으로는 역할 모호성, 통제의 위치, 사회적 지원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성격의 유형은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성격의 유형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으로, 직무 스트레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Ginzberg의 진로발달 단계 중 현실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놀이중심의 단계이다.
  2. 일이 요구하는 조건에 대하여 점차로 인식하는 단계이다.
  3. 능력과 흥미의 통합단계이다.
  4. 현실에 적응하고 직업적 안정을 이루는 단계이다.
(정답률: 33%)
  • Ginzberg의 진로발달 단계 중 현실기는 능력과 흥미의 통합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의 능력과 흥미가 조화롭게 결합되어 현실적인 직업 선택이 이루어진다. 놀이중심의 단계와 일이 요구하는 조건에 대하여 점차로 인식하는 단계는 이전 단계에 해당한다. 현실에 적응하고 직업적 안정을 이루는 단계는 다음 단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직업정보론

41. 직업정보 수집 시의 유의점으로 틀린 것은?

  1.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2. 직업정보는 계획적으로 수립해야한다
  3. 자료를 수집하면 자료의 출처와 저자, 발행연도와 수집일자를 기입해야 한다.
  4. 수집한 정보는 항상 유효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료라도 별도 보관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73%)
  • 수집한 정보는 항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료는 삭제하고 필요한 자료만 보관하여 활용해야 한다. 이는 자료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과정보 중 사회계열에 해당하지 않는 학과는?

  1. 경영정보학과
  2. 유통학과
  3. 종교학과
  4. 지리학과
(정답률: 49%)
  • 주어진 보기 중 "경영정보학과", "유통학과", "지리학과"는 모두 사회계열에 해당하는 학과이지만, "종교학과"는 인문계열에 해당하는 학과이기 때문에 사회계열에 해당하지 않는 학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한국표준산업분류(2008)의 적용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단위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투입물과 생산공정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된 항목에 분류해야 한다.
  2. 복합적인 활동단위는 우선적으로 최상급 분류단계(대분류)를 정확히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하여야 한다.
  3. 산업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서 분류하여야 한다.
  4.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 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별도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정답률: 66%)
  •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 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별도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해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 하에서 활동을 수행하므로, 생산단위와는 별개의 활동단위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는 별도의 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선호직종임금정보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워크넷 개정전 문제로 현재 카테고리는 삭제되어 있으며 기존 정답은 1번 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성 별
  2. 연령별
  3. 학력별
  4. 청년, 청소년
(정답률: 72%)
  • "성 별"은 직업 선택과 무관한 개인의 인적 특성이기 때문에, 선호직종임금정보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업 선택과 관련된 인적 특성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직업선택결정모형 중 처방적 직업결정모형은?

  1. 타이드만과 오하라(Tiedeman & O’Hara)의 모형
  2. 힐튼(Hilton)의 모형
  3. 브룸(Vroom)의 모형
  4. 카츠(Katz)의 모형
(정답률: 56%)
  • 처방적 직업결정모형은 개인의 능력과 성향, 직업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모형이다. 이 중에서 카츠(Katz)의 모형은 개인의 능력과 성향, 직업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모형으로, 개인의 능력과 성향을 측정하고 이를 직업의 요구사항과 비교하여 적합한 직업을 결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따라서 카츠(Katz)의 모형이 처방적 직업결정모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5세 이상 인구 : 조사대상월 15일 현재 만 15세 이상인 자
  2. 경제활동인구 : 만 15세 이상 중 취업자와 실업자
  3. 취업자 :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5시간 이상 일한 자
  4. 자영업자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및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를 합친 개념
(정답률: 67%)
  • "자영업자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및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를 합친 개념"이 틀린 설명입니다. 자영업자는 고용원이 없는 개인사업자를 의미합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일반적으로 소기업 또는 중소기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국직업사전(2009)의 부가직업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 직무기능(DPT)
  2. 숙련기간
  3. 자격/면허
  4. 직무개요
(정답률: 57%)
  • "직무개요"는 부가직업정보가 아니라 해당 직무의 역할과 책임, 필요한 역량 등을 요약한 정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가직업정보로서 해당 직무의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한국표준직업분류(2007)의 대분류 중 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5개 중분류로 구성되어 있다.
  2. 관리자는 개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위나 직급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
  3. 현업을 겸할 경우에는 정책을 결정하고 관리, 지휘, 조정하는 데 직무시간의 80%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관리자 직군으로 분류한다.
  4. 관리자는 반드시 상당한 하부조직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하부조직원의 업무를 지휘 및 조정하는 것이 주 업무인 경우에 해당된다.
(정답률: 50%)
  • "관리자는 개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위나 직급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관리자는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실기능력이 중요하여 필기시험이 면제되는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종목이 아닌 것은?

  1. 조적기능사
  2. 건축도장기능사
  3. 도배기능사
  4. 미용사(피부)
(정답률: 70%)
  • 미용사(피부)는 실제로 손으로 피부를 다루는 작업이 많기 때문에 실기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필기시험이 면제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직업정보의 수집방법 중 기존 자료에 의한 수집방법이 아닌 것은?

  1. 각종 통계조사, 업무통계
  2. 신문 등 보도기사
  3. 구직표 ·구인표
  4. 직업안정기관 이용자로부터의 수집
(정답률: 60%)
  • 직업안정기관 이용자로부터의 수집은 직접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경험과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기존 자료에 의한 수집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직접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많은 연구나 조사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한국직업전망(2009)의 수록직업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에 기초하여 종사자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거나 청소년 및 일반 구직자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는 직업 혹은 직업정보를 제공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직업을 우선으로 선정하였다.
  2.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세분류 직업 429개 중 승진이나 경력개발을 통해 진입하는 관리직은 제외하였다.
  3.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17개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4. 직무가 유사한 직업의 경우 여러 개의 직업들을 개별적으로 수록하였다.
(정답률: 55%)
  • "직무가 유사한 직업의 경우 여러 개의 직업들을 개별적으로 수록하였다."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직무가 유사한 직업들이 서로 다른 직종으로 분류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직업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수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한국표준직업분류(2007)에서 다음이 의미하는 것은?

  1. 직군
  2. 직럴
  3. 직업
  4. 직무
(정답률: 67%)
  • 위 그림은 한국표준직업분류(2007)에서 사용되는 직무분류표의 일부분이다. 이 중에서 "직무"란, 일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특정한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과 기술을 나타낸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직무"에 해당하는 분류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한국표준산업분류(2008)의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산업활동의 통계 단위는?

  1. 기업체단위
  2. 사업체단위
  3. 활동유형단위
  4. 지역단위
(정답률: 60%)
  • 한국표준산업분류(2008)에서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산업활동의 통계 단위를 "활동유형단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산업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경제적 활동을 하나의 단위로 취급하여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활동유형단위는 기업체단위나 사업체단위보다 더 세부적인 단위로서, 특정 산업활동의 성격과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의 분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업분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O진법을 준용한다.
  2. 직능수준(Skill Level)을 분류의 우선적인 기준으로 사용 하였다.
  3. 직업분류의 기본 원칙인 포괄성과 배타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4. 최소 고용인원을 고려하여 모든 직무를 일괄적으로 직업단위로 분류하였다.
(정답률: 55%)
  • KECO는 직업분류의 기본 원칙인 포괄성과 배타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습니다. 이는 모든 직무를 일괄적으로 직업단위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직무들을 중복되지 않게 분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KECO는 직무의 성격과 역할, 책임, 자격요건 등을 고려하여 직업을 분류합니다. 직능수준은 분류의 우선적인 기준이 되지만, 다른 요소들도 함께 고려됩니다. 1O진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 체계를 따르며, 최소 고용인원을 고려하여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국가기술자격 서비스분야의 응시자격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사회조사분석사2급 - 제한 없음
  2. 텔레마케팅관리사 - 해당실무에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3. 임상심리사 1급 -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4. 소비자전문상담사1급 - 해당 종목의 2급 자격 취득 후 소비자상담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사람
(정답률: 51%)
  • "텔레마케팅관리사 - 해당실무에 1년 이상 종사한 사람"이 틀린 것이다. 정확한 응시자격 기준은 "해당 분야 교육 이수 후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사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한국직업사전(2009)의 작업강도 중 ‘보통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고 4kg의 물건을 들어 올리고 때때로 장부, 소도구 등을 들어 올리거나 운반한다.
  2. 최고 8kg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4kg 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 올리거나 운반한다.
  3. 최고 20kg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10kg 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 올리거나 운반한다.
  4. 최고 40kg의 물건을 틀어 올리고 20kg 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 올리거나 운반한다.
(정답률: 65%)
  • 보통 작업의 작업강도는 최고 20kg의 물건을 들어올리고 10kg 정도의 물건을 빈번히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사무직이나 서비스업에서 많이 발생하는 작업 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국고용정보원이실시하는산업직업별고용구조조사 관한 실명으로 틀린 것은?(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은 1번 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산업 대분류 수준에서의 고용구조를 파악한다.
  2. 국가적 인적자원 수급정책을 위한 기본통계로 활용된다.
  3. 직업별 고용전망, 진로선택, 직업훈련, 취업알선 등 노동시장 정책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4.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15세 이상의 인구 중 취업상태에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전국 단위의 조사이다.
(정답률: 6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국직업사전(2009)의 본 직업명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해당 직업으로 알려진 명칭 혹은 그 직무에 통상적으로 호칭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2. 특별히 부르는 명칭이 없는 경우에는 직무내용과 산업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3. 실제로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조사의 경우 작업자들 간에 사용하는 호칭과 기업 내 직무편제상의 명칭이 다른 경우 직업명칭은 상위 책임자 및 인사 담당자의 의견으로 결정하였다.
  4. 가급적 외래어를 피하고 우리말로 표기하되 우리말 표기가 현장감이 없을 경우에는 외래어를 교육부에서 정한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표기하였다.
(정답률: 63%)
  • "실제로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조사의 경우 작업자들 간에 사용하는 호칭과 기업 내 직무편제상의 명칭이 다른 경우 직업명칭은 상위 책임자 및 인사 담당자의 의견으로 결정하였다."가 틀린 것이다. 직무조사에서는 작업자들 간에 사용하는 호칭과 기업 내 직무편제상의 명칭을 고려하여 직업명칭을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민간직업정보와 비교하여 공공직업정보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 및 운영된다.
  2. 광범위한 이용가능성에 따라 공공직업정보체계에 대한 직접적이며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3. 특정 문야 및 대상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산업 및 업종에 걸친 직종 등을 대상으로 한다.
  4. 직업별로 특정한 정보만을 강조하지 않고 보편적인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초적인 직업정보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9%)
  •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 및 운영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는 공공직업정보의 특성 중 하나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직업정보 유형열 특징에 관한 표의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A - 고. B - 적극, C -고, D -용이
  2. A - 고, B - 수동, C -저, D -제한적
  3. A - 저, B - 적극, C -고, D -제한적
  4. A - 저, B - 수동, C -저, D –용이
(정답률: 74%)
  • 이 직업정보 유형열은 "A - 고, B - 적극, C -고, D -제한적" 이유로 설명됩니다. 이는 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능력이 높은 수준이며, 적극적인 태도와 높은 업무 수행 능력이 요구되며, 업무 수행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의 제한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노동시장론

61. 임금체계의 유형 중 연공급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계질서의 확립이 어렵다.
  2. 동기부여 효과가 미약하다.
  3. 비합리적인 인건비 지출을 하게 된다.
  4. 능력 · 업무와의 연계성이 미악하다.
(정답률: 61%)
  • "위계질서의 확립이 어렵다."는 연공급의 단점이 아니라 직급이 많은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연공급은 직급이 적은 조직에서 적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위계질서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해지므로 이 단점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계질서의 확립이 어렵다."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정부가 노동시장에서 구인 · 구직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 직접적으로 줄어드는 실업의 유형은?

  1. 마찰적 실업
  2. 경기적 실업
  3. 구조적 실업
  4. 계절적 실업
(정답률: 62%)
  • 정부가 노동시장에서 구인 · 구직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 구직자들이 더 쉽게 적절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게 되므로 마찰적 실업이 줄어들게 됩니다. 마찰적 실업은 구직자와 적절한 일자리가 매칭되기까지의 시간이나 노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실업입니다. 따라서 구직 정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이러한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어 마찰적 실업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임금격차의 원인으로서 통계적 차별(Statistical Discrimination)이 일어나는 경우는?

  1. 비숙련 외국인노동자에게 낮은 임금을 설정할 때
  2. 임금이 개별 노동자의 한계생산성에 근거하여 설정될 때
  3. 사용자 자신의 개인적 편견에 띠라 근로자의 임금을 결정할 때
  4. 사용자가 근로자의 생산성에 대해 불완전한 정보를 갖고 있어 평균적인 인식을 근거로 임금을 결정할 때
(정답률: 59%)
  • 정답은 "사용자가 근로자의 생산성에 대해 불완전한 정보를 갖고 있어 평균적인 인식을 근거로 임금을 결정할 때"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개별 근로자의 실제 생산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대신 그룹의 평균적인 생산성을 기반으로 임금을 결정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통계적 차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노동시장 유연성(Labor Market Flexi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동시장 유연성이란 일반적으로 외부환경변화에 인적자원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재배분되는 노동 시장의 능력을 지칭한다.
  2. 외부적 · 수량적 유연성이란 해고를 좀 더 자유롭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파트타임직을 확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3. 외부적 수량적 유연성의 예에는 변형시간근로제, 탄력적 근무시간제 등이 있다
  4. 기능적 유연성이란 생산과정 변화에 대한 근로자의 적응력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45%)
  • "외부적 수량적 유연성의 예에는 변형시간근로제, 탄력적 근무시간제 등이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A, B
  2. A, C
  3. B, C
  4. A, B, C
(정답률: 51%)
  • A.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국가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B.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가계의 소득이 증가하고 가계 경제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C.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가정 내 균형과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A.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국가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옳다.
    B.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가계의 소득이 증가하고 가계 경제적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옳다.
    C. C는 옳지 않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가정 내 균형과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여겨지지만, 이것은 항상 그렇지는 않다. 따라서 C는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A,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금기금설(wage-fund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금기금의 규모는 일정하므로 시장임금의 크기는 임금기금을 노동자의 수로 나눈 값이 된다.
  2. 임금기금설은 노동공급측면의 역할을 중시한 노동의 장기적인 자연가격결정론에 해당된다.
  3. 임금기금설은 고임금이 고실업률을 야기시킨다고 하여 고용이론에 영항을 주었다.
  4. 임금기금설에 따라 노동조합의 교섭력을 통한 임금의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노동조합무용론이 제기되었다.
(정답률: 39%)
  • "임금기금설은 노동공급측면의 역할을 중시한 노동의 장기적인 자연가격결정론에 해당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임금기금설은 노동공급측면보다는 자본공급측면에서 임금을 결정하는 이론으로,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에게 지불할 수 있는 임금의 한계를 결정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노동의 장기적인 자연가격결정론과는 관련이 있지만, 노동공급측면보다는 자본공급측면에서의 이론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근로소득세의 인상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소득이 감소하므로 노동공급이 증가한다.
  2.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노동공급의 증감을 알 수 없다.
  3. 일반적으로 소득효과가 크므로 노동공급이 증가한다.
  4. 여가의 상대적 가격이 상승하므로 노동공급이 감소한다.
(정답률: 49%)
  • 근로소득세의 인상은 노동자의 소득을 감소시키므로, 이로 인해 노동자들은 노동을 더 많이 제공하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소득효과"라고 한다. 그러나 동시에 노동자들은 노동 대신 여가를 선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를 "대체효과"라고 한다. 이 두 가지 효과의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노동공급의 증감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노동공급의 증감을 알 수 없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고임금의 경제효과가 있을 때 새롭게 형성되는 노동수요곡선은 원래의 수요곡선보다 어떻게 되는가?

  1. 비탄력적이다.
  2. 탄력적이다.
  3. 단위탄력적이다.
  4. 무관하다.
(정답률: 53%)
  • 고임금의 경제효과가 있을 때 새롭게 형성되는 노동수요곡선은 원래의 수요곡선보다 비탄력적이다. 이는 고임금으로 인해 기업이 노동력을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동수요의 변화가 노동력의 가격 변화에 비해 적게 일어나므로 비탄력적인 노동수요곡선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노동수요의 결정요인으로 옳은 것은?

  1. 노동과 관련된 타 생산요소의 가격변화
  2. 인구의 규모와 구조
  3. 노동에 대한 노력의 강도
  4. 임금지불방식
(정답률: 60%)
  • 노동과 관련된 타 생산요소의 가격변화는 생산과정에서 노동과 함께 사용되는 자본, 원자재 등의 가격이 변화할 때 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부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자동차 제조업체는 노동보다는 자본을 더 많이 사용하므로 노동수요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중 하나로서 노동과 관련된 타 생산요소의 가격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내부노동시장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1차 노동자로 구성되어 진다.
  2. 장기근로자로 구성되어 진다.
  3. 승진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고용계약 형태가 다양하다.
(정답률: 57%)
  • 내부노동시장은 기업 내부에서 일어나는 인력의 이동과 채용을 의미하는데,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장기근로자로 구성되어 진다." 이다. 내부노동시장은 기업 내부에서 일어나는 인력 이동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업 내부에서 일하는 모든 종류의 노동자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고용계약 형태가 다양하다." 라는 특징은 내부노동시장에서 일하는 모든 종류의 노동자들이 다양한 형태의 고용계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소득재분배 정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저임금제의 실시
  2. 누진세의 적용
  3. 간접세의 강화
  4. 고용보험의 실시
(정답률: 46%)
  • 간접세의 강화는 소득재분배 정책이 아니라 소비세나 부가세 등의 간접세를 강화하는 정책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정책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간접세의 강화는 소비자들이 지출하는 금액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여 국가의 수입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며, 소득재분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임금상승에 따라 후방굴절하는 구간에서의 노동공급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여가는 소득효과가 양(+)인 정상재이다.)

  1. 여가가 정상재이기 때문에 항상 후방굴절한다.
  2. 여가에 대한 대체효과의 크기가 소득효과의 크기보다 크다.
  3. 여가에 대한 대체효과의 크기가 소득효과의 크기와 같다.
  4. 여가에 대한 대체효과의 크기가 소득효과의 크기보다 작다.
(정답률: 51%)
  • 임금상승으로 인해 노동자들의 소득이 증가하면, 노동자들은 더 많은 여가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노동공급이 감소한다. 이는 후방굴절하는 구간에서의 노동공급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여가가 정상재이기 때문에, 소득이 증가하면 여가 수요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여가에 대한 대체효과의 크기가 소득효과의 크기보다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보상적 임금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작업환경의 쾌적성 여부
  2. 성별 간의 소득차이
  3. 교육훈련 기회의 차이
  4. 고용의 안정성 여부
(정답률: 53%)
  • 성별 간의 소득차이는 보상적 임금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성별에 따라서 일자리의 종류나 직급, 경력 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공정한 대우와 교육, 훈련 등을 통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상적 임금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은 "작업환경의 쾌적성 여부", "교육훈련 기회의 차이", "고용의 안정성 여부"와 같은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임금이 10% 상승할 때 노동수요량이 20% 하락했다면 노동수요의 탄력성 값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57%)
  • 노동수요의 탄력성 값은 상대적인 변화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임금이 10% 상승했을 때 노동수요량이 20% 하락했다는 것은 상대적인 변화율로 계산하면 (-20%/10%) = -2.0 이 됩니다. 이는 노동수요량이 1% 상승할 때 임금이 0.5%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노동수요의 탄력성 값이 2.0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일국(-國)의 경제에서 최적 인적자원배분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때는 언제인가?

  1. 동일노동에 대해 동일임금이 지급될 때
  2. 완전고용을 이루었을 때
  3. 자연실업률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4. 경제원칙이 달성되었을 때
(정답률: 52%)
  • 일국의 경제에서 최적 인적자원배분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경우는 경제원칙이 달성되었을 때입니다. 이는 생산성이 최대화되고,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며,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동일노동에 대해 동일임금이 지급될 때"가 정답인 이유는, 이는 공정한 대우를 보장하며, 인력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보상이 결정되는 시장경제의 원칙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이는 경제적 자유와 효율성을 보장하면서도 사회적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경기침체시 실업률이 높아질 때 경제활동인구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1. 실망노동자효과 (Discouraged Worker Effect)
  2. 부가노동자효과(Added Worker Effect)
  3.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
  4. 대기실업효과(Wait-unemployment Effect)
(정답률: 65%)
  • 정답은 "실망노동자효과 (Discouraged Worker Effect)"입니다.

    경기침체시 실업률이 높아지면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이 실망하고 노동시장에서 물러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게 되며, 이는 실업률을 낮추는 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현상을 "실망노동자효과"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노동조합의 경제적 효과 중 파급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이 조직됨으로써 노동조합 조직부문에서의 상대적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그 결과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이 비조직부문의 임금을 하락시키는 효과이다.
  2.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의 잠재적인 조직위협에 의해서 비조직부문의 노동자의 임금이 인상되는 효과이다.
  3. 파급효과가 매우 강한 경우에는 노동조합이 이중노동시장을 형성시키게 한다.
  4. 파급효과가 강한 경우 조직부문의 임금인상이 비조합원을 저임금의 불안정한 직무로 몰아내는 간접효과를 가진다.
(정답률: 51%)
  •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이 조직됨으로써 노동조합 조직부문에서의 상대적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그 결과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이 비조직부문의 임금을 하락시키는 효과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노동조합이 조직됨으로써 파급효과는 비조합부문의 노동자들의 임금이 인상되는 효과입니다. 이는 노동조합의 조직위협에 의해 비조합부문의 기업들이 노동자들에게 더 높은 임금을 제공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동조합의 파급효과는 비조합부문의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던롭(Dunlop)이 노사관계를 규제하는 여건 혹은 환경으로 지적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시민의식
  2. 기술적 특성
  3. 시장 또는 예산제약
  4. 각 주체의 세력관계
(정답률: 63%)
  • 던롭이 노사관계를 규제하는 여건 혹은 환경으로 지적한 사항은 "기술적 특성", "시장 또는 예산제약", "각 주체의 세력관계"이다. 이 중에서 "시민의식"은 노사관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시민의식은 사회적인 가치관과 윤리적인 책임감을 갖춘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조합에 가입하고 있는 노동자만을 채용하고 일단 고용된 노동자라도 조합원자격을 상실하면 종업원이 될 수 없는 숍제도는?

  1. 클로즈드 숍(Closed Shop)
  2. 유니온 숍(Union Shop)
  3. 에이전시 숍(Agency Shop)
  4. 오픈 숍(Open shop)
(정답률: 66%)
  • 클로즈드 숍은 조합에 가입한 노동자만을 채용하고, 일단 고용된 노동자도 조합원이 되어야만 종업원으로 남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이 숍에서는 모든 종업원이 조합원이 되어야 하며, 조합원이 아닌 종업원은 해고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2차 노동시장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높은 임금
  2. 높은 안정성
  3. 높은 이직률
  4. 높은 승진율
(정답률: 65%)
  • 정답: "높은 이직률"

    이유: 2차 노동시장에서는 기술의 발전과 경쟁의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노동자들을 잘못 고용하거나 불필요한 인력을 해고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이직률이 높아졌다. 또한, 기업들은 노동자들의 경력과 기술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승진 기회가 많아지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경쟁 역시 치열해져 이직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노동관계법규

81.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상 사업주가가 근로자의 정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 정년이 몇 세 이상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하는가?

  1. 55세
  2. 57세
  3. 58세
  4. 60세
(정답률: 61%)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은 고령자의 고용을 촉진하고, 연령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따라서 사업주가 근로자의 정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 정년이 60세 이상이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는 고령자의 고용을 촉진하고, 연령에 따른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직업안정법상 유료직업소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료직업소개사업은 소개대상이 되는 근로자가 취업하려는 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유료직업 소개사업과 국외 유료직업소개사업으로 구분한다.
  2. 국내 유료직업소개사업을 하려는 자는 고용 노동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3. 유료직업소개사업을 등록한 자는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직업소개사업을 하게 하거나 그 등록증을 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유료직업소개사업을 하는 자 및 그 종사자는 구직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구인자로부터 선급금을 받아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53%)
  • "유료직업소개사업은 소개대상이 되는 근로자가 취업하려는 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유료직업 소개사업과 국외 유료직업소개사업으로 구분한다."이 부분은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유료직업소개사업을 하는 자 및 그 종사자는 구직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구인자로부터 선급금을 받아서는 아니 된다."가 아닌 "국내 유료직업소개사업을 하려는 자는 고용 노동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입니다.

    국내 유료직업소개사업을 하려는 자는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등록을 해야 합니다. 등록을 하지 않고 유료직업소개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고용정책기본법상 다수의 실업자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실업자의 고용안정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할 수 있는 실업대책 사업이 아닌 것은?

  1. 고용정책심의회의 구성
  2. 실업자의 취업촉진을 위한 훈련의 실시와 훈련에 대한 지원
  3. 고용촉진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자에 대한 대부
  4. 실업자에 대한 공공근로사업
(정답률: 39%)
  • 고용정책심의회의 구성은 고용정책기본법에서 규정된 실업대책 사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고용정책심의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주관하며, 고용정책에 대한 자문 및 검토를 수행하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실업자의 취업촉진을 위한 훈련의 실시와 훈련에 대한 지원, 고용촉진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자에 대한 대부, 실업자에 대한 공공근로사업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할 수 있는 실업대책 사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차별에 해당하는 것은?

  1. 직무의 성격에 비추어 특정 성(性)이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경우
  2. 여성 근로자의 임신 · 출산 · 수유 등 모성보호를 위한 조치를 하는 경우
  3. 동일한 업무를 담당하는 남녀 간의 정년연령을 달리 정하는 경우
  4. 이 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를 하는 경우
(정답률: 71%)
  • 정답은 "동일한 업무를 담당하는 남녀 간의 정년연령을 달리 정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성별에 따라 일정한 나이에서 은퇴를 강요하는 것으로, 남녀간의 업무 능력 차이가 아닌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대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차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고용보험법상 취업촉진수당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기재취업 수당
  2. 직업능력개발 수당
  3. 구직급여
  4. 이주비
(정답률: 62%)
  • 고용보험법상 취업촉진수당은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 지급되는 수당으로, 조기재취업 수당과 직업능력개발 수당, 이주비가 해당됩니다. 하지만 구직급여는 실직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생활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취업촉진을 위한 수당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고용보험법상 이직한 피보험자의 구직급여 수급요건으로 틀린 것은?

  1.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에 보험 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50일 이상일 것
  2.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을 것
  3.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할 것
  4. 일용근로자는 수급자격 인정신청일 이전 1개월 동안의 근로일수가 10일 미만일 것
(정답률: 63%)
  •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에 보험 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50일 이상일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이직한 피보험자가 구직급여를 받기 위한 필수 요건 중 하나입니다. 이전 18개월간 보험 단위기간이 150일 이상이어야만 구직급여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용보험법에서 정한 기준이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구직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국가의 고용증진의무
  2. 근로조건기준의 법정주의
  3. 여자와 연소자의 근로의 특별보호
  4. 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근로기회의 평등보장
(정답률: 56%)
  •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관한 내용 중에서 "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근로기회의 평등보장"이 틀린 것이다. 이는 근로자들에게 근로기회를 공평하게 보장하는 것이 헌법적 의무이지만, 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근로기회의 평등보장은 헌법상 근로의 권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령상 훈련의 목적에 따라 구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집체훈련
  2. 양성훈련
  3. 향상훈련
  4. 전직훈련
(정답률: 66%)
  • 집체훈련은 근로자 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목적을 가진 훈련으로서, 예를 들어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팀 빌딩, 커뮤니케이션 등의 훈련을 말한다. 따라서 근로자 개인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훈련이 아니므로, 직업능력개발훈련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근로기준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먼 것은?

  1. 근로란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말한다.
  2.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3.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6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4. 단시간근로자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정답률: 59%)
  • "근로란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말한다."는 근로기준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먼 것이다.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6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이는 근로기준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근로기준법상 근로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을 2번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임금의 구성항목 · 계산방법 · 지급방법, 소정근로시간, 연차 유급휴가에 관한 사항은 서면으로 명시하고 근로자의 요구가 있으면 그 근로자에게 교부해야한다.
  2.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동일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3. 사용자는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지 않아도 된다.
  4. 사용자는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다.
(정답률: 73%)
  •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동일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이유는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라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시간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동일하게 결정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시간 근로자도 일정한 근로시간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반영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령상 고령자와 준고령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령자는 55세 이상인 사림이며, 준고령자는 50세 이상 55세 미만인 사람으로 한다.
  2. 고령자는 60세 이상인 사람이며. 준고령자는 5애| 이상 60세 미만인 사람으로 한다.
  3. 고령자는 58세 이상인 사람이며, 준고령자는 55세 이상 58세 미만인 사암으로 한다.
  4. 고령자는 65세 이상인 사람이며, 준고령자는 60세 이상 65세 미만인 사람으로 한다.
(정답률: 68%)
  • 고령자와 준고령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령자는 55세 이상인 사람이며, 준고령자는 50세 이상 55세 미만인 사람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령에서 고령자는 55세 이상으로 정의되고, 준고령자는 고령자와 비슷한 연령층으로 인식되어 50세 이상 55세 미만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근로기준법상 임금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률: 70%)
  • 근로기준법 제63조에 따르면 임금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3년입니다. 이는 근로자가 임금을 받지 못한 경우, 최종 지급일로부터 3년이 지나면 소멸되어 근로자가 임금을 청구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령상 직업능력개발계좌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업능력개발계좌란 직업능력개발훈련 비용과 작업능력개발에 관한 이력을 전산으로 종합 관리하는 계좌를 말한다.
  2. 노동부장관은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근로자에게 본인의 신청을 받아 직업능력개발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3. 고용노동부장관은 직업능력개발계좌를 발급받은 근로자가 인정받은 직업능력개발계좌 적합 훈련과정을 수강하는 경우에는 그 훈련비용의 전부를 지원해야 한다.
  4. 직업능력개발계좌의 발급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정답률: 61%)
  • 고용노동부장관은 직업능력개발계좌를 발급받은 근로자가 인정받은 직업능력개발계좌 적합 훈련과정을 수강하는 경우에는 그 훈련비용의 전부를 지원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고용노동부장관은 훈련비용 일부를 지원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근로자가 부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근로기준법상 임산부의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는 임신 중의 여성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 일의 보호휴가를 주어야 한다.
  2. 보호휴가 기간의 배정은 산후에 30일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사용자는 임신 중의 여성 근로자에게 시간 외 근로를 하게 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 근로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쉬운 종류의 근로로 전환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보호휴가 종료 후에는 휴가 전과 동일한 업무 또는 동등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한다.
(정답률: 62%)
  • 보호휴가 기간의 배정은 산후에 30일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보호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합쳐 90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임신 중의 여성 근로자가 출산과 육아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령상 제조업의 고령자 기준고용률은?

  1. 그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수의100분의2
  2. 그 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의 100분의 3
  3. 그 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의100분의5
  4. 그 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의 100분의 6
(정답률: 66%)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령에서는 제조업의 고령자 기준고용률을 "그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수의 100분의 2"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조업에서 고령자를 고용할 때, 그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수에 대해 100명당 2명 이상은 고령자로 고용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고령자 고용을 촉진하고, 고용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법적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직업안정법상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업무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2. 고용서비스 우수기관으로 인증을 받은 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이상 계속 사업 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
  3.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 일부터 3년으로 한다.
  4. 고용서비스 우수기관으로 인증을 받은 자가 인증의 유효기간이 지나기 전에 다시 인증을 받으려면 노동부장관에게 재인증을 신청하여야 한다.
(정답률: 49%)
  • "고용서비스 우수기관으로 인증을 받은 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이상 계속 사업 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해당 설명은 맞으며, 이는 고용노동부가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과 사업 실적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인증을 받은 기관은 일정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과 사업 실적을 유지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인증이 취소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헌법상 근로3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은 일체를 이루는 기본권이므로, 단결권이 인정되는 근로자에게는 예외 없이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까지 인정되어야 한다.
  2. 근로3권은 자유권적 성격과 생존권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
  3. 근로3권에 대해서는, 헌법에 명시된 제한 이상으로 기본권에 대한 일반적인 제한은 허용되지 아니 한다.
  4. 오늘날 대부분의 문명국가에서는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헌법상 명문으로 보장하고 있다.
(정답률: 47%)
  • 근로3권은 자유권적 성격과 생존권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 이는 근로자가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권리와 함께 일을 통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상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자격증이 있는 자만이 직업능력개발혼련을 위하여 훈련생을 가르칠 수 있다.
  2.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가 될 수 없다.
  3.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자격증을 대여한 자에 대하여는 그 자격을 취소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도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설치 · 운영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자격증이 있는 자만이 직업능력개발혼련을 위하여 훈련생을 가르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자격증이 없더라도, 해당 분야에서 경력이 3년 이상이면 교사로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육아휴직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육아휴직의 기간은 1년 이내로 한다.
  2. 사업주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입양한 자녀를 포함)를 양육하기 위하여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경우에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이유로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육아휴직 기간에는 그 근로자를 해고하지 못한다.
  4.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하나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68%)
  •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하나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하지 않는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육아휴직은 근속기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도 근속기간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휴직 전과 같은 업무나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사업주의 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고용정책기본법규상 사업주의 대량고용변동 신고시 이직하는 근로자 수에 포함되는 자는?

  1. 수습 사용된 날부터 3개월 이내의 사람
  2. 자기의 사정 또는 귀책사유로 이직하는 사람
  3. 상시 근무를 요하지 아니하는 사람으로 고용된 사람
  4. 6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을 정하여 고용된 사람으로서 당해 기간을 초과하여 계속 고용되고 있는 사람.
(정답률: 57%)
  • 6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을 정하여 고용된 사람으로서 당해 기간을 초과하여 계속 고용되고 있는 사람은 대량고용변동 신고시 이직하는 근로자 수에 포함되는 이유는, 이직하는 근로자 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에서 일정 기간동안 근무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근로자들은 이직하는 근로자 수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