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직업상담사 2급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직업상담학

1. 다음 내용은 어떤 오류가 발생한 경우인가?

  1. 삭제
  2. 참고자료
  3. 어투의 사용
  4. 불분명한 동사사용
(정답률: 73%)
  • 이미지가 삭제되어서 보이지 않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직업상담의 문제유형에 대한 Crites의 분류 중 가능성이 많아서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과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은?

  1. 다재다능형
  2. 우유부단형
  3. 불충족형
  4. 비현실형
(정답률: 85%)
  • "다재다능형"은 여러 가지 분야에서 능력이 뛰어나고 다양한 관심사를 가지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이나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자신이 여러 가지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분야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애진로사정의 과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담자의 과거 직업에 대한 전문지식 분석
  2. 내담자의 과거 직업경력에 대한 정보수집
  3. 내담자의 가계도(genogram) 작성
  4. 내담자가 가진 자원과 장애물에 대한 평가
(정답률: 60%)
  • "내담자의 과거 직업에 대한 전문지식 분석"은 생애진로사정의 과정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내담자의 과거 직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애진로사정의 과정은 내담자의 현재 상황과 미래에 대한 진로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담자의 과거 직업에 대한 전문지식 분석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Herr가 제시한 직업상담사의 직무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상담자는 특수한 상담기법을 통해서 내담자의 문제를 확인하도록 한다.
  2. 상담자는 좋은 결정을 가져오기 위한 예비행동을 설명한다.
  3. 직업선택이 근본적인 관심사인 내담자에 대해서는 직업상담 실시를 보류하도록 한다.
  4. 내담자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종합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직업선택이 근본적인 관심사인 내담자에 대해서는 직업상담 실시를 보류하도록 한다." 이다. 이유는 직업상담사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내담자의 직업선택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업선택이 근본적인 관심사인 경우에도 직업상담을 보류하는 것은 상담사의 역할과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직업상담의 상담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담목표 설정은 상담전략 및 개입의 선택과 관련이 있다.
  2. 하위목표들은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수준이면 된다.
  3. 내담자의 기대나 가치를 반영하여야 한다.
  4. 상담목표는 가능한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해야 한다.
(정답률: 78%)
  • "하위목표들은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수준이면 된다."가 틀린 것이다. 하위목표들은 내담자의 개인적인 상황과 목표에 맞게 구체적이고 현실적이어야 한다. 보편적인 수준으로 설정하면 내담자의 개인적인 상황과 목표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간중심상담의 실현화 경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기체의 성장과 향상, 즉 발달을 촉진하고 지지한다.
  2. 성숙의 단계에 포함된 성장의 모든 국면에 영향을 준다.
  3. 동물을 제외한 살아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볼 수 있다.
  4. 유기체를 향상시키는 활동으로부터 도출된 기쁨과 만족을 강조한다.
(정답률: 77%)
  • "동물을 제외한 살아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볼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인간중심상담은 인간에게 중점을 둔 상담이기 때문에, 동물을 포함한 다른 생명체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업상담과정의 구조화단계에서 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담자에게 상담자의 자질, 역할, 책임에 대해서 미리 알려줄 필요가 없다.
  2. 내담자에게 검사나 과제를 잘 이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3. 상담 중에 얻은 내담자에 대한 비밀을 지키는 것은 당연하므로 사전에 이것을 밝혀두는 것은 오히려 내담자를 불안하게 만든다.
  4. 상담과정은 예측할 수 없으므로 상담 장소, 시간, 상담의 지속 등에 대해서 미리 합의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79%)
  • "내담자에게 검사나 과제를 잘 이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가 옳은 이유는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맡아야 하는지, 어떤 기대가 있는지를 미리 알고 있으면 내담자는 더욱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담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내담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상담 윤리강령의 역할과 기능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ㄹ, ㅁ
  4.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79%)
  • 상담 윤리강령은 상담사의 윤리적인 역할과 책임을 규정하고, 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따라서 상담사의 역할과 책임, 상담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인 원칙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상담의 질과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ㄱ, ㄴ, ㄷ: 상담사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하고, 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역할과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ㄴ, ㄷ, ㄹ: 상담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인 원칙을 규정하고, 상담 대상자의 권리와 자율성을 보호하며, 상담사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역할과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ㄱ, ㄴ, ㄹ, ㅁ: 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상담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인 원칙을 규정하고, 상담 대상자의 권리와 자율성을 보호하며, 상담사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역할과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담사의 자기관리와 교육 등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업상담 과정과 상담사의 역할을 잘못 짝지은 것은?

  1. 인지상담 - 수동적이고 수용적인 태도
  2. 정신분석적 상담 - 텅 빈 스크린
  3. 내담자 중심의 상담 - 촉진적인 관계형성 분위기 조성
  4. 행동주의상담 - 능동적이고 지시적인 역할
(정답률: 68%)
  • 인지상담은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상담 방법이기 때문에 상담사는 수동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해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이해하며,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인지상담 - 수동적이고 수용적인 태도"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인 개발과 의사 결정 시 사용하는 인지적 기법으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인지치료과정의 단계는?

  1. 2단계
  2. 3단계
  3. 4단계
  4. 5단계
(정답률: 60%)
  • 이 그림은 인지치료과정의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4단계는 "평가 및 계획 수립"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평가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4단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에서 사용하는 기법이 아닌 것은?

  1. 명료화
  2. 비교
  3. 소망-방어체계
  4. 반응 범주화
(정답률: 80%)
  • 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에서 사용하는 기법 중 "반응 범주화"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다른 기법들과 달리 Bordin이 제시한 8가지 기법 중에는 없기 때문입니다. "반응 범주화"는 일반적으로 심리검사나 행동분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한 반응을 일정한 범주로 분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직업카드분류(OCS)는 내담자의 어떤 특성을 사정하기 위한 도구인가?

  1. 흥미사정
  2. 가치사정
  3. 동기사정
  4. 성격사정
(정답률: 80%)
  • 직업카드분류(OCS)는 내담자의 흥미사정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이다. OCS는 내담자가 어떤 일에 대해 흥미를 가지는지, 어떤 일에 대해 흥미가 없는지를 파악하여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흥미사정"이 OCS의 주요한 분류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Erikson의 심리사회성 발달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1. 친밀감(intimacy) - 고립감(isolation)
  2. 근면성(industry) - 열등감(inferiority)
  3. 생성감(generativity) - 침체감(stagnation)
  4. 자아정체감(ego-identity) - 역할혼란(role confusion)
(정답률: 75%)
  • 이 시기는 중년기로, 이전에 건강한 자아정체감과 근면성을 발달시켰다면, 이제는 자신의 가치와 역할을 다시 생각하게 되는 시기입니다. 이때, 성취와 공헌을 통해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등의 생성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이전에 자아정체감과 근면성을 발달시키지 못했다면, 자신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불안감과 무기력함, 즉 침체감을 느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개방적 질문의 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험이 끝나고서 기분이 어떠했습니까?
  2. 지난주에 무슨 일이 있었습니까?
  3. 당신은 학교를 좋아하지요?
  4. 당신은 누이동생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정답률: 83%)
  • "시험이 끝나고서 기분이 어떠했습니까?"와 "지난주에 무슨 일이 있었습니까?"는 개방적 질문의 형태이며, "당신은 학교를 좋아하지요?"와 "당신은 누이동생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요?"도 개방적 질문의 형태이지만, 답변이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내용을 요구하는 것에 비해 "당신은 학교를 좋아하지요?"는 단순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으로, 개방적 질문의 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Beck의 인지행동상담에서 사용하는 주된 상담기법이 아닌 것은?

  1. 정서적 기법
  2. 반응적 기법
  3. 언어적 기법
  4. 행동적 기법
(정답률: 54%)
  • Beck의 인지행동상담에서 사용하는 주된 상담기법은 "언어적 기법", "정서적 기법", "행동적 기법"이다. "반응적 기법"은 Beck의 인지행동상담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법이다. 이유는 반응적 기법은 상담자가 환자의 말에 대해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Beck의 인지행동상담은 환자의 인지적인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객관적인 분석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행동주의 상담에서 내적인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체계적 둔감법
  2. 근육이완훈련
  3. 인지적 모델링과 사고정지
  4. 상표제도
(정답률: 77%)
  • 상표제도는 행동주의 상담에서 내적인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상표제도가 행동보다는 인식과 관련된 기술로, 개인의 자아개발과 자기관리를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표제도는 행동주의 상담에서 내적인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내담자가 자기지시적인 삶을 영위하고 상담자에게 의존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담사가 내담자와 지식을 공유하며 자기강화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행동주의 상담기법은?

  1. 모델링
  2. 과잉교정
  3. 내현적 가감법
  4. 자기관리 프로그램
(정답률: 77%)
  • 자기관리 프로그램은 내담자가 자기지시적인 삶을 영위하고 상담자에게 의존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담사가 내담자와 지식을 공유하며 자기강화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행동주의 상담기법이다. 이는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삶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담사는 내담자의 자기강화를 돕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자기관리 프로그램은 내담자의 자기지도력을 강화하고, 상담사의 의존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Adler의 개인주의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담자의 잘못된 가치보다는 잘못된 행동을 수정하는데 초점을 둔다.
  2. 상담자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며 내담자가 상담을 주도적으로 이끈다.
  3. 상담과정은 사건의 객관성보다는 주관적 지각과 해석을 중시한다.
  4. 내담자의 사회적 관심보다는 개인적 열등감의 극복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정답률: 49%)
  • Adler의 개인주의 상담은 "상담과정은 사건의 객관성보다는 주관적 지각과 해석을 중시한다."라는 설명이 옳다. 이는 내담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가치관, 신념 등을 중요시하며, 이를 토대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조력자 역할을 하며, 내담자가 주도적으로 상담을 이끌어가도록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의 잘못된 행동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개인적 열등감의 극복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기인식이 부족한 내담자를 사정할 때 인지에 대한 통찰을 재구조화하거나 발달시키는데 적합한 방법은?

  1. 직면이나 논리적 분석을 해준다.
  2. 불안에 대처하도록 심호흡을 시킨다.
  3. 은유나 비유를 사용한다.
  4. 사고를 재구조화 한다.
(정답률: 74%)
  • 은유나 비유는 추상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자기인식이 부족한 내담자를 사정할 때 인지에 대한 통찰을 재구조화하거나 발달시키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담기법 중 내담자가 전달하는 이야기의 표면적 의미를 상담자가 다른 말로 바꾸어서 말하는 것은?

  1. 탐색적 질문
  2. 요약과 재진술
  3. 명료화
  4. 적극적 경청
(정답률: 78%)
  • 내담자가 전달하는 이야기의 표면적 의미를 상담자가 다른 말로 바꾸어서 말하는 것은 "요약과 재진술"이다. 이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내담자가 말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며, 내담자의 이야기를 요약하고 재진술하여 내담자의 의도와 감정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하고,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직업심리학

21.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트레스 수준과 수행은 U형 관계를 가진다.
  2. B유형 행동은 관상동맥성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외적통제자는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더라도 크게 위험을 느끼지 않는다.
  4. 코티졸은 부신피질에서 방출하는 스트레스 통제 호르몬이다.
(정답률: 68%)
  • 코티졸은 부신피질에서 방출하는 스트레스 통제 호르몬이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의 대처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용하며, 혈당을 높이고 면역 기능을 억제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일수록 입사 후 업무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면, 이 검사는 어떠한 타당도가 높은 것인가?

  1.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2.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3.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4. 공인타당도(concurrent validity)
(정답률: 79%)
  •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입사 후 우수한 업무수행을 보인다면, 이 검사는 예언타당도가 높은 것입니다. 예언타당도란, 검사 결과가 미래의 어떤 결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지를 나타내는 타당도입니다. 따라서, 적성검사가 입사 후 업무수행 예측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에 해당하는 진로발달 이론은?

  1.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2. 인지적 정보처리적 진로이론
  3. 목표중심적 진로이론
  4. 자기효능감 중심의 진로이론
(정답률: 57%)
  • 이론에서는 개인의 인지적 정보처리 능력이 진로 선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며, 이를 토대로 진로 선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이론은 "인지적 정보처리적 진로이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강화계획 중 자동차 영업사원이 판매 대수에 따라 일정한 성과급을 받는 것은?

  1. 고정간격
  2. 고정비율
  3. 변동간격
  4. 변동비율
(정답률: 65%)
  • 자동차 영업사원이 판매 대수에 따라 일정한 성과급을 받는 것은 "고정비율"이다. 이는 판매 대수가 증가하면 성과급도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매 대수와 성과급 간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경력평가 프로그램을 만들지 알아보는 평가는?

  1. 슈퍼(Super) 평가
  2. 니즈평가
  3. 직무평가
  4. 조직평가
(정답률: 69%)
  •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경력평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필요성과 요구사항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니즈평가"입니다. 니즈평가는 대상자들의 요구사항과 필요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으로,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평가 방법입니다. 슈퍼(Super) 평가는 상위 성과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 직무평가는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것, 조직평가는 조직 전체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직업지도 시 직업적응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것은?

  1. 직업생활에 적응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2. 여러 가지 직업 중에서 장ㆍ단점을 비교한다.
  3. 직업전환 및 실업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기만의 계획을 갖는다.
  4. 은퇴 후의 생애설계를 한다.
(정답률: 55%)
  • 직업지도 시 직업적응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직업 중에서 장ㆍ단점을 비교하는 것이 아닌, 직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자신의 능력과 성향에 맞는 직업을 찾는 것이 주요한 활동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직업 중에서 장ㆍ단점을 비교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담자의 적성과 흥미 또는 성격이 직업적 요구와 달라 생긴 직업적응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스트레스 관리 방안 모색
  2. 직업 전환
  3. 인간관계 개선 프로그램 제공
  4. 갈등관리 프로그램 제공
(정답률: 77%)
  • 내담자의 적성과 흥미 또는 성격이 직업적 요구와 달라 생긴 직업적응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직업 전환입니다. 이는 내담자가 더 적합한 직업을 찾아 새로운 환경에서 일하며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일시적인 해결책일 뿐,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검사 점수의 표준오차에 관한 설명을 옳은 것은?

  1. 검사의 표준오차는 클수록 좋다.
  2. 검사의 표준오차는 검사 점수의 타당도를 나타내는 수치다.
  3. 표준오차를 고려할 때 오차 범위 안의 점수 차이는 무시해도 된다.
  4. 검사의 표준오차는 표준편차의 다른 표현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표준오차를 고려할 때 오차 범위 안의 점수 차이는 무시해도 된다." 이다. 이유는 검사의 표준오차는 검사 점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이는 검사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표준오차를 고려하여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 오차 범위 안의 점수 차이는 검사 결과의 유효성을 무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직무능력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지능력 중에서 지각속도, 공간지향과 시각화는 기계적 능력에도 해당한다.
  2. 기계적응력 검사는 Fleishman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하였다.
  3. 직무활동에 따른 신체능력을 측정함에 있어 7점 철도를 이용한 사람은 Purdue이다.
  4. 정신운동능력 검사들은 복잡성 수준이 가장 낮은 직무들에 대해 타당도가 낮다.
(정답률: 53%)
  • "인지능력 중에서 지각속도, 공간지향과 시각화는 기계적 능력에도 해당한다."라는 설명이 옳은 이유는 이들 능력이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고, 공간적 관계를 이해하며, 빠르게 반응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능력은 기계적인 작업에서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Tolbert가 제시한 '개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교육정도(educational degree)
  2. 직업흥미(occupational interest)
  3. 직업전망(occupational prospective)
  4. 가정ㆍ성별ㆍ인종(familyㆍsexㆍrace)
(정답률: 65%)
  • 직업전망은 개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닙니다. Tolbert가 제시한 요인들 중에서는 교육정도, 직업흥미, 가정ㆍ성별ㆍ인종이 개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직업전망은 해당 직업이 미래에 어떤 발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예측이며, 개인의 진로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특성요인 이론의 기본적인 가정이 아닌 것은?

  1. 인간은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2. 직업에서의 성공을 위해 매우 구체적인 특성을 각 개인이 지닐 것을 요구한다.
  3. 진로선택은 다소 직접적인 인지과정이기 때문에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짝짓는 것은 가능하다.
  4.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사항이 밀접하게 관련을 맺을수록 직업적 성공의 가능성은 커진다.
(정답률: 61%)
  • 특성요인 이론의 기본적인 가정은 "인간의 특성은 일정하며, 이러한 특성이 직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가정은 특성요인 이론의 기본적인 가정이 아닙니다.

    이 가정은 오히려 인간의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특성은 개인의 경험, 문화,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가정은 특성요인 이론의 한계와 한계를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에 해당하는 스트레스 관리전략은?

  1. 반응지향적 관리전략
  2. 증후지향적 관리전략
  3. 평가지향적 관리전략
  4. 출처지향적 관리전략
(정답률: 70%)
  • 이 그림은 출처지향적 관리전략을 나타낸 것입니다. 출처지향적 관리전략은 스트레스의 원인을 찾아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방법을 찾아 적용합니다. 이는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진로성숙도 검사(CMI)의 태도척도 영역과 이를 측정하는 문항의 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결정성 -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
  2. 독립성 - 나는 졸업할 때까지는 진로선택 문제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겠다.
  3. 타협성 -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한 바가 거의 없다.
  4. 성향 - 나는 하고 싶기는 하나 할 수 없는 일을 생각하느라 시간을 보내곤 한다.
(정답률: 70%)
  • - 결정성: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결단력과 확신이 있는 정도)
    - 독립성: 졸업할 때까지는 진로선택 문제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겠다. (자신의 생각과 태도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정도)
    - 타협성: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한 바가 거의 없다. (타인의 의견이나 상황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정도)
    - 성향: 나는 하고 싶기는 하나 할 수 없는 일을 생각하느라 시간을 보내곤 한다. (자신의 성향과 관심사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정도)

    결정성이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 인 이유는, 결정성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문항에서는 "자주 바꾸고 있다" 라는 부정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결정성이 낮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즉, 이 사람은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결단력과 확신이 부족하고, 자신의 선택에 대해 자주 의심하거나 변동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직무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이다.
  2. 직무의 내용과 성질을 고려하여 직무들 간의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절차이다.
  3. 작업자의 직무수행 수준을 평가하는 절차이다.
  4. 작업자의 직무기술과 지식을 개선하는 공식적 절차이다.
(정답률: 57%)
  • 직무분석은 직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직업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성-요인이론은 Parsons의 직업지도모델에 기초하여 형성되었다.
  2. Super의 생애발달단계는 환상기-잠정기-현실기로 구분한다.
  3. 일을 승화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이론은 정신분석이론이다.
  4. Holland의 직업적 성격유형론에서 중요시하는 개념은 일관도, 일치도, 분화도 등이다.
(정답률: 65%)
  • Super의 생애발달단계는 환상기-잠정기-현실기로 구분하는 것이 맞으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Holland의 진로발달에 관한 육각형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여 대비되는 특성을 지닌 유형들이 아닌 것은?

  1. 진취형(E)과 탐구형(I)
  2. 사회형(S)과 예술형(A)
  3. 현실형(R)과 사회형(S)
  4. 예술형(A)과 관습형(C)
(정답률: 72%)
  • "진취형(E)과 탐구형(I)", "현실형(R)과 사회형(S)", "예술형(A)과 관습형(C)"은 모두 서로 대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사회형(S)과 예술형(A)"은 서로 대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다. 사회형은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사회적인 인맥을 유지하는 것을 좋아하며, 예술형은 예술적인 감각과 창의성을 중요시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서로 대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육각형에서 대비되는 유형들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신뢰도 과정
  2. 타당화 과정
  3. 추론 과정
  4. 개인차
(정답률: 64%)
  • 위 그림은 타당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은 측정 도구나 평가 방법이 목적에 부합하고 유효하며 신뢰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정답은 "타당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과업지향적 직무분석방법 중 기능적 직무분석의 세 가지 차원이 아닌 것은?

  1. 기술(skill)
  2. 자료(data)
  3. 사람(people)
  4. 사물(things)
(정답률: 69%)
  • 기능적 직무분석의 세 가지 차원은 자료(data), 사람(people), 사물(things)이다. 기술(skill)은 차원이 아니라 직무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정답은 "기술(skil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스트레스 요인과 상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좌절(Frustration) - 원하는 목표가 지연되거나 차단될 때이다.
  2. 과잉부담(Overload) - 개인의 능력을 벗어난 일이나 요구일 때이다.
  3. 갈등(Conflict) - 두 가지의 긍정적인 일들이 갈등을 일으킬 때이다.
  4. 생활의 변화(Life Change) - 부정적인 사건이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을 때이다.
(정답률: 60%)
  • "갈등(Conflict) - 두 가지의 긍정적인 일들이 갈등을 일으킬 때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생활의 변화(Life Change) - 부정적인 사건이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을 때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처해야 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사, 취업 상황의 변화, 가족 구성원의 사망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능지수(IQ)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심리검사는?

  1. 비네 검사
  2. 스텐포드-비네 검사
  3. 다면적 인성검사
  4. 직업흥미검사
(정답률: 73%)
  • 지능지수(IQ)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심리검사는 "스텐포드-비네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1905년에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와 테오도어 서먼(Theodore Simon)이 개발한 검사로, 아이들의 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에는 성인들의 지능검사로도 널리 사용되었고,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와 실제 적용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직업정보론

41. 일반적인 직업정보 처리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수집 → 제공 → 분석 → 가공 → 평가
  2. 수집 → 가공 → 제공 → 분석 → 평가
  3. 수집 → 평가 → 가공 → 제공 → 분석
  4. 수집 → 분석 → 가공 → 제공 → 평가
(정답률: 75%)
  • 일반적인 직업정보 처리과정은 데이터를 수집한 후 분석하고, 이를 가공하여 제공하며, 마지막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수집 → 분석 → 가공 → 제공 → 평가"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직무기능(DPT)
  2. 숙련기간
  3. 자격ㆍ면허
  4. 직무개요
(정답률: 55%)
  • "직무개요"는 부가직업정보가 아니라 해당 직무의 역할과 책임, 필요한 역량 등을 설명하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직업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재직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직업정보를 수집하고자 한다. 설문지의 질문순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수한 것을 먼저 묻고 그 다음에 일반적인 것을 질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질문내용은 가급적 구체적인 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3. 개인 연봉에 관한 질문과 같이 민감한 질문은 가급적 뒤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질문은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8%)
  • "특수한 것을 먼저 묻고 그 다음에 일반적인 것을 질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이 설명은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일반적인 것을 먼저 묻고 그 다음에 특수한 것을 질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이다. 이유는 일반적인 질문으로 시작하면 대상자들이 설문조사 주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민감한 질문은 뒤로 배치하고,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질문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9)의 대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 농업, 임업 및 어업
  2. D 전기, 가스, 중기 및 수도사업
  3.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4. R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서비스업
(정답률: 62%)
  • "A 농업, 임업 및 어업", "D 전기, 가스, 중기 및 수도사업", "L 부동산업 및 임대업"은 모두 산업 분류에 해당하는 대분류이지만, "R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서비스업"은 서비스 분야에 해당하는 대분류가 아니기 때문에 대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실업급여 중 취업촉진수당이 아닌 것은?

  1. 직업능력개발 수당
  2. 광역 구직활동비
  3. 훈련연장급여
  4. 이주비
(정답률: 67%)
  • 실업급여는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이 중 취업촉진수당은 실업급여 수급자가 취업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따라서 "훈련연장급여"는 취업촉진수당이 아닌 것입니다. 훈련연장급여는 실업급여 수급자가 직업훈련을 받는 동안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업활동에 의한 통계자료의 수집, 제표, 분석 등을 위해서 활동카테고리를 제공한다.
  2.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관련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된다.
  3. 취업알선을 위한 구인ㆍ구직안내 기준으로 사용된다.
  4. 산업통계 자료의 정확성, 비교성을 위하여 모든 통계작성기관이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48%)
  • "취업알선을 위한 구인ㆍ구직안내 기준으로 사용된다."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목적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산업활동에 의한 통계자료의 수집, 제표, 분석 등을 위해서 활동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관련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된다. 또한 산업통계 자료의 정확성, 비교성을 위하여 모든 통계작성기관이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국직업전망(2015)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은 1번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직업전문가 및 재직자의 정성적 전망결과를 기반으로 하되 정량적 전망을 일부 반영하여 결과를 도출했다.
  2. 정성적 전망조사는 직업전망 수록직업을 대상으로 평균 5명의 재직자 및 전문가에게 실시했다.
  3. 수록직업은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에 기초하여 종사자수가 일정규모 이상이거나 청소년 및 일반구직자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는 직업 등을 우선으로 선정했다.
  4. KECO의 세분류 직업 429개 중 승진이나 경력개발을 통해 진입하는 관리직을 제외하였고, 직무가 유사한 직업은 소분류 단위로 통합했다.
(정답률: 63%)
  • 정답은 1번입니다. 이유는 "직업전망조사는 직업전망 수록직업을 대상으로 평균 5명의 재직자 및 전문가에게 실시했다."라는 문장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직업전망은 주로 정성적인 전망조사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부 정량적인 자료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성적 전망결과를 기반으로 하되 정량적 전망을 일부 반영하여 결과를 도출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공직업정보와 비교한 민간직업정보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요한 시기에 최대한 활용되도록 한시적으로 신속하게 생산되어 운영된다.
  2.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직업을 분류한다.
  3. 특정한 목적에 맞게 해당분야 및 직종을 제한적으로 선택한다.
  4. 시사적인 관심이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당 직업을 분류한다.
(정답률: 73%)
  •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직업을 분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직업 분류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ISCO(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라는 직업분류체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직업을 분류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응시자격의 제한이 없는 서비스분야 국가기술 자격 종목은?

  1. 스포츠경영관리사
  2. 임상심리사2급
  3. 컨벤션기획사1급
  4.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정답률: 70%)
  • 스포츠경영관리사는 응시자격의 제한이 없는 서비스분야 국가기술 자격 종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종목은 각각 임상심리사2급은 의료분야, 컨벤션기획사1급은 문화관광분야,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는 의료관광분야에 해당하는 자격 종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적용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 단위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투입물과 생산 공정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된 항목에 분류해야 한다.
  2. 복합적인 활동 단위는 우선적으로 최상급 분류단계(대분류)를 정확히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하여야 한다.
  3. 산업 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서 분류하여야 한다.
  4.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별도 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정답률: 71%)
  •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별도 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적용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산 단위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투입물과 생산 공정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된 항목에 분류해야 한다.
    2. 복합적인 활동 단위는 우선적으로 최상급 분류단계(대분류)를 정확히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중, 소, 세, 세세분류 단계 항목을 결정하여야 한다.
    3. 산업 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서 분류하여야 한다.
    4.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동일한 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활동을 수행하는 단위는 자기계정과 자기책임하에서 생산하는 단위와 별도 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직업능력개발훈련 중 양성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근로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기초적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 개발훈련이다.
  2. 정보ㆍ통신매체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근로자에게 실시하는 기업능력개발훈련이다.
  3. 산업체의 생산시설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이다.
  4. 직업에 필요한 기초적인 직무수행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더 높은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이다.
(정답률: 67%)
  • 양성훈련은 "근로자에게 작업에 필요한 기초적 직무수행능력을 습득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직업능력 개발훈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어떤 국가기술자격 등급의 검정기준인가?

  1. 기능장
  2. 기 사
  3. 산업기사
  4. 기능사
(정답률: 62%)
  • 위 그림은 "기능사"의 검정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기능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2017년 1월 워크넷 구인ㆍ구직 및 취업동향에서 신규구인인원 420명, 신규구직건 수 800건, 취업건수가 210건이라면 구인배수는?(단, 소수 3째 자리에서 반올림)

  1. 0.53
  2. 0.79
  3. 1.50
  4. 3.81
(정답률: 55%)
  • 구인배수는 신규구인인원 ÷ 신규구직건 수 이므로, 420 ÷ 800 = 0.525 이다. 이 값을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표현하면 0.5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워크넷의 잡맵(Job Map)에서 제공하는 직업별 정보가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종사자수
  2. 평균학력
  3. 평균근속년수
  4. 성 비
(정답률: 65%)
  • 정답은 "성 비"입니다.

    워크넷의 잡맵은 직업별 정보를 제공하는데, 성 비는 직업과는 관련이 없는 인구통계학적인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 비를 제외한 "종사자수", "평균학력", "평균근속년수"는 모두 해당 직업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로 제공됩니다.

    평균학력은 해당 직업의 종사자들의 학력 수준을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의 분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직업분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0진법을 준용하였다.
  2. 직능 수준(Skill Level)을 분류의 우선적인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3. 직업분류의 기본 원칙인 포괄성과 배타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4. 최소 고용인원을 고려하여 모든 직무를 일괄적으로 직업단위로 분류하였다.
(정답률: 48%)
  • 한국고용직업분류(KECO)는 직업분류의 기본 원칙인 포괄성과 배타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습니다. 이는 모든 직무를 일괄적으로 직업단위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복되지 않는 분류체계를 구성하여 직업을 분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직업이 여러 분류에 속할 수 없으며, 모든 직업이 분류체계에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워크넷에서 채용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대 10개의 직종선택이 가능하다.
  2. 연령별 채용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3. 이메일 입사지원이 가능한 채용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4. 최저희망임금은 연봉, 월급, 일급, 시급별로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연령별 채용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워크넷에서는 직종, 지역, 근무형태, 학력, 경력 등 다양한 조건으로 채용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연령별로는 검색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최저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한다.
  2. 2017년 최저임금은 전년대비 7.3% 상승한 시간급 6,470원이다.
  3.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 기획재정부장관이 결정한다.
  4. 최저임금 적용을 받는 사용자는 최저임금액을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 적당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정답률: 72%)
  •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 기획재정부장관이 결정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심의하고 결정한 후, 기획재정부장관이 고시하여 시행됩니다. 이는 법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와 직능수준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은 3번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관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2. 판매 종사자 - 제2직능 수준 필요
  3. 군인 - 제2직능 수준 필요
  4. 단순노무 종사자 - 제1직능 수준 필요
(정답률: 78%)
  • 군인은 대개 군사작전 및 군사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하므로, 이를 위해 제2직능 수준의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군인 - 제2직능 수준 필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직업정보의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해 시각적 효과를 부가한다.
  2.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과도 연관되어 있다.
  3. 긍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출발해야 한다.
  4. 정보의 생명력을 측정하여 활용방법을 선정하고 이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상한다.
(정답률: 70%)
  • 정답: "정보의 생명력을 측정하여 활용방법을 선정하고 이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상한다."

    이유: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정보의 가치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므로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는 부적절하다.

    "긍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이유는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정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직업, 자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 또는 인터넷 사이트와 제공내용이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한국직업사전 - 직업별 평균 임금
  2. 한국직업전망 - 직업별 향후 일자리수 전망
  3. Q-NET(q-net.or.kr) - 자격종목별 합격률
  4. 민간자격정보서비스(pqi.or.kr) - 자격별 발급기관
(정답률: 69%)
  • "한국직업사전 - 직업별 평균 임금"은 직업별로 평균 임금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이며, 다른 정보들과는 달리 직업의 급여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노동시장론

61. 다음 표에서 실업률은?

  1. 4.0%
  2. 6.7%
  3. 10.0%
  4. 12.5%
(정답률: 61%)
  • 실업자 수를 총 인구수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실업률이다. 따라서, (실업자 수 ÷ 총 인구수) × 100 으로 계산하면 된다. 이 표에서 실업자 수는 1,000명이고, 총 인구수는 10,000명이다. 따라서, (1,000 ÷ 10,000) × 100 = 10.0% 이므로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특별한 기능이나 직업 또는 숙련도에 따라 조직된 배타적이며 동일직업의식이 강한 노동조합은?

  1. 일반노동조합
  2. 산업별 노동조합
  3. 직종별 노동조합
  4. 기업별 노동조합
(정답률: 66%)
  • 직종별 노동조합은 특정 직종에 속한 노동자들이 모여서 조직된 노동조합으로, 해당 직종에서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나 이슈에 대해 대응하고, 해당 직종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결성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직종의 노동자들은 서로의 문제와 이슈에 대해 공감하고,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활동하며, 이를 통해 더욱 강력한 대응과 보호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신고전학파가 주장하는 노동조합의 사회적 비용이 아닌 것은?

  1. 비노조와의 임금격차와 고용저하에 따른 배분적 비효율
  2. 경직적 인사제도에 의한 기술적 비효율
  3. 파업으로 인한 생산중단에 따른 생산적 비효율
  4. 작업방해에 의한 구조적 비효율
(정답률: 51%)
  • 신고전학파는 노동조합이 일으키는 사회적 비용 중 작업방해에 의한 구조적 비효율이 아닌 것을 주장합니다. 작업방해는 노동자들이 일을 하지 않거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방식으로 생산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작업방해는 기업과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비효율의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노동 수요측면에서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세계화에 따른 기업간 경쟁 환경의 변화
  2. 정규직 근로자 해고의 어려움
  3. 고학력 취업자의 증가
  4. 정규노동자 고용비용의 증가
(정답률: 61%)
  • 고학력 취업자의 증가는 노동 수요측면에서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고학력 취업자들이 보통 높은 기술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서, 기업들이 이들을 정규직으로 고용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학력 취업자의 증가는 오히려 정규직 고용의 증가를 이끌어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소득정책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성장산업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
  2. 행정적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임금억제에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4. 급격한 물가상승기에 일시적으로 사용하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정답률: 57%)
  • 행정적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소득정책은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므로 행정적인 비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소득정책은 행정적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예산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금관리의 주요 구성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본급과 수당 등의 임금체계
  2. 임금지급 시기
  3. 노동생산성 수준에 따른 임금수준
  4. 고정급제와 성과급제 등의 임금형태
(정답률: 61%)
  • 임금지급 시기는 임금관리의 주요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임금체계, 임금형태, 임금수준과는 달리 임금을 지급하는 시기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임금지급 시기는 일반적으로 회사의 정책에 따라 결정되며, 주로 매월 지급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노동자들이 일한 대가를 적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임금지급 시기는 임금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달리 노동자들의 만족도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대 체
  2. 상 쇄
  3. 보 완
  4. 상 극
(정답률: 67%)
  • 이 그림은 대 체 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 체란 서로 반대되는 성질이나 상태를 가진 것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관계를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검은색과 흰색, 작은 원과 큰 원, 그리고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한 원들이 대 체 관계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은색 원이 커지면 흰색 원은 작아지고, 작은 원이 커지면 큰 원은 작아집니다. 이렇게 서로 반대되는 성질이나 상태를 가진 것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것이 대 체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생산성 임금제를 따를 때 실질 생산성 증가율이 5%이고 물가상승률이 2%라고 하면 명목임금의 인상분은?

  1. 3%
  2. 5%
  3. 7%
  4. 10%
(정답률: 65%)
  • 생산성 임금제를 따르면 인상된 임금은 실질 생산성 증가율에 따라 결정되므로, 실질 생산성 증가율이 5%이면 임금도 5% 인상됩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이 2%이므로, 명목임금의 인상분은 5% + 2% = 7%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한국의 임금 패리티(parity)지수는 100이고 일본의 임금패리티지수를 80이라 가정할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민소득을 감안한 한국의 임금수준이 일본보다 높다.
  2. 한국의 생산성과 삶의 질이 일본보다 낮다.
  3. 국민소득을 감안한 한국의 임금수준이 일본보다 낮다.
  4. 한국의 생산성과 삶의 질이 일본보다 높다.
(정답률: 57%)
  • 정답은 "국민소득을 감안한 한국의 임금수준이 일본보다 높다."입니다. 임금 패리티 지수는 두 나라의 평균 임금을 비교하는 지수이며, 한국의 임금 패리티 지수가 100이고 일본의 임금 패리티 지수가 80이므로, 한국의 평균 임금이 일본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민소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한국의 국민소득이 일본보다 높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노동수요의 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탄력적일수록 노동수요도 탄력적으로 된다.
  2. 총생산비에 대한 노동비용의 비중이 클수록 노동수요는 비탄력적이 된다.
  3. 노동을 다른 생산요소로 대체하는 것이 용이할수록 노동 수요는 탄력적으로 된다.
  4. 노동 이외 생산요소의 공급탄력성이 작을수록 노동수요는 비탄력적으로 된다.
(정답률: 60%)
  • "총생산비에 대한 노동비용의 비중이 클수록 노동수요는 비탄력적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총생산비에 대한 노동비용의 비중이 클수록, 생산물 가격에 대한 노동비용의 영향력이 커지기 때문에 생산물 가격 변화에 따른 노동수요의 변화가 적어져서 노동수요가 비탄력적이 됩니다. 즉, 노동비용이 생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노동수요의 탄력성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연공급(semiority-based pay)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정기 승급을 실시함에 따라 생활의 안정감과 장래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다.
  2. 위계질서의 확립이 용이하다.
  3. 동기부여 효과가 강하다.
  4.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정답률: 60%)
  • 연공급은 근속 연수에 따라 급여가 증가하는 제도로, 정기 승급이 있어서 생활의 안정감과 장래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위계질서의 확립이 용이하며,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공급의 단점 중 하나는 성과와는 무관하게 근속 연수에 따라 급여가 증가하기 때문에 동기부여 효과가 강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노사관계의 주체를 사용자 및 단체, 노동자 및 단체, 정부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는 기술, 시장 또는 예산상의 제약, 권력구조에 의해 결정된다는 노사관계이론은?

  1. 시스템이론
  2. 수렴이론
  3. 분산이론
  4. 단체교섭이론
(정답률: 61%)
  • 시스템이론은 노사관계를 시스템으로 보고, 이 시스템 내에서 각 주체들이 상호작용하며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론은 노동자, 사용자, 정부 등의 주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하는 것을 강조하며, 이들 간의 관계는 기술, 시장, 예산, 권력구조 등의 제약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시스템이론은 노사관계를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이해하며, 이를 분석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여성이 특정 직종에 집중되면서 여성노동시장의 경쟁이 격화됨으로써 여성의 임금 수준이 저하되는 현상은?

  1. 위협효과
  2. 파급효과
  3. 대체효과
  4. 혼잡효과
(정답률: 51%)
  • 여성이 특정 직종에 집중되면 경쟁이 격화되어 여성들의 임금 수준이 낮아지는 현상을 혼잡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해당 직종에서 여성들이 많이 일하게 되면서 경쟁이 심해지고, 이에 따라 임금 수준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여성들이 한계적인 직종에 집중하면서 경쟁이 심해져서 임금 수준이 낮아지는 것이 혼잡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사용자의 부가급여 선호 이유가 아닌 것은?

  1. 절세(節稅)효과
  2. 근로자 유치
  3. 장기근속 유도
  4. 퇴직금부담 감소
(정답률: 59%)
  • 퇴직금부담 감소는 사용자의 부가급여 선호 이유가 아닙니다. 이는 회사가 직원에게 지급해야 하는 퇴직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회사의 비용 절감을 위한 이유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경제활동 참가 또는 노동공급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사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근로소득이 클수록 경제활동 참가는 낮아진다.
  2. 취학 전 자녀수가 많을수록 경제활동 참가는 낮아진다.
  3.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경제활동 참가는 증가한다.
  4. 기업의 노동시간이 신축적일수록 노동공급이 감소한다.
(정답률: 60%)
  • "기업의 노동시간이 신축적일수록 노동공급이 감소한다."는 사실과 일치하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노동시간이 신축적일수록 노동자들은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활동 참가를 줄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마찰적 실업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 아닌 것은?

  1. 구인 및 구직에 대한 전국적 전산망 연결
  2. 직업안내와 직업상담 등 직업알선기관에 의한 효과적인 알선
  3. 고용실태 및 전망에 관한 자료제공
  4. 노동자의 전직과 관련된 재훈련 실시
(정답률: 68%)
  • 노동자의 전직과 관련된 재훈련은 마찰적 실업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 아니라 구조적 실업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기 때문입니다. 마찰적 실업은 일시적인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실업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인과 구직을 연결해주는 전산망 연결, 직업알선기관의 효과적인 알선, 고용실태 및 전망에 관한 자료제공 등의 정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속한 고용조정능력을 갖춘다.
  2. 전직실업자의 신속한 재취업능력을 높인다.
  3. 국제노동기구와의 연대를 모색한다.
  4. 노동수요측면의 능력위주 인사관행을 확립한다.
(정답률: 54%)
  • 국제노동기구와의 연대를 모색하는 것은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국제적인 협력과 조정이 필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기업이나 개인의 능력과 인사관행 등 내부적인 요소에 초점을 둔 것이라면, 국제노동기구와의 연대는 국제적인 차원에서 노동시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마르크스(K. Marx)에 의하면 기술진보로 인하여 상대적 과잉인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무슨 실업이라 하는가?

  1. 마찰적 실업
  2. 구조적 실업
  3. 기술적 실업
  4. 경기적 실업
(정답률: 57%)
  • 기술진보로 인해 생산성이 증가하면서 노동력이 불필요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기술적 실업이라고 합니다. 즉,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일부 직종이 사라지거나 대체되면서 일자리가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종사상지위별 취업자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영업자
  2. 무급가족종사자
  3. 임시근로자
  4. 관리자
(정답률: 48%)
  •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는 종사상지위별 취업자분류를 통해 경제활동인구를 분류합니다. 이 중에서 "관리자"는 종사상지위 중 하나이지만, 실제로 취업자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이는 관리자가 일반적으로 직원을 고용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는 직원으로 분류되고, 관리자는 직원을 고용하는 사업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관리자"는 종사상지위별 취업자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최저임금제도와 근로장려세제(EITC : earned imcome tax credi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ITC는 저소득근로계층을 수혜대상으로 한다.
  2. EITC는 이론적으로 저생산성 저임금근로자의 실업을 유발하지 않는다.
  3. 최저임금제도하에서는 최저임금 이하를 받는 근로자에게 그 혜택이 주어진다.
  4. EITC와 최저임금제 실시는 공통적으로 사중손실(dead weight loss) 발생으로 총경제후생(economic surplus)을 축소시킨다.
(정답률: 55%)
  • 정답은 "EITC와 최저임금제 실시는 공통적으로 사중손실(dead weight loss) 발생으로 총경제후생(economic surplus)을 축소시킨다."이다.

    이유는 최저임금제도와 EITC는 모두 근로자의 소득을 증가시키는 정책이지만, 이로 인해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고 고용을 줄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중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총경제후생을 축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을 시행할 때는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노동관계법규

81.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사용자가 기간제근로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때에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근로계약기간에 관한 사항
  2. 휴일ㆍ휴가에 관한 사항
  3.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 및 지불방법에 관한 사항
  4.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
(정답률: 48%)
  •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은 기간제근로자와의 근로계약에서 명시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규정된 근로시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근로계약서에 명시하여야 하는 사항이지만,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은 법률상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따로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여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모집과 채용
  2. 임 금
  3. 근로시간
  4. 교 육
(정답률: 48%)
  • 근로시간은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여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법률상 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여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상의 내용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ㄱ : 1년, ㄴ : 1배
  2. ㄱ : 2년, ㄴ : 2배
  3. ㄱ : 3년, ㄴ : 2배
  4. ㄱ : 5년, ㄴ : 3배
(정답률: 72%)
  •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서는 근로자의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근로자의 임금수준을 높이고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자의 교육 및 훈련을 받은 기간에 따라 지원하는 장려금의 금액이 다르게 책정된다. 즉, 근로자가 교육 및 훈련을 받은 기간이 길수록 장려금이 높아지며, 장려금은 근로자의 임금에 대한 배율로 책정된다. 따라서 "ㄱ : 5년, ㄴ : 3배"는 근로자가 교육 및 훈련을 받은 기간이 5년일 때 장려금이 근로자의 임금에 대해 3배로 지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상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기본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1. 근로자 개인의 희망ㆍ적성ㆍ능력에 맞게 생애에 걸쳐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2. 민간의 자율과 창의성이 존중되고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필요한 근로자에 대하여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도록 실시되어야 한다.
  3. 신기술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중요시되어야 한다.
  4. 교육 관계 법에 따른 학교교육 및 산업현장과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신기술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중요시되어야 한다." 이다. 이는 다른 원칙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신기술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기존의 기술과 지식만으로는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근로자들에게는 지속적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고용정책 기본법상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는 지역고용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지역 주민의 고용촉진과 고용안정 등에 관한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2.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는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한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수립한 고용정책에 관한 기본계획과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3.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는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필요하면 관계 중앙행정정기관의 장 및 관할 지역의 직업안정기관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4. 국가는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가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는 데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률: 51%)
  •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는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한 때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수립한 고용정책에 관한 기본계획과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고용노동부장관이 수립한 고용정책에 관한 기본계획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즉, 지역고용정책기본계획이 고용노동부장관이 수립한 고용정책에 관한 기본계획과 모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사용형태로 틀린 것은?

  1. 육아휴직을 11개월 동안 1회 사용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5개월씩 2회 사용
  3. 육아휴직을 6개월 동안 1회 사용하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개월 동안 1회 사용
  4. 육아휴직을 3개월 동안 1회 사용하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1개월씩 2회 사용
(정답률: 58%)
  • "육아휴직을 11개월 동안 1회 사용"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5개월씩 2회 사용"은 법률상 사용할 수 없는 형태이다. 육아휴직은 최대 1회에 대해 최대 1년간 사용 가능하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최대 2회에 대해 최대 1년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육아휴직을 3개월 동안 1회 사용하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1개월씩 2회 사용"이 가능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시 1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원칙적으로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3.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에 대하여 감급(減給)의 제재를 정할 경우에 그 감액은 1회의 금액이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총액이 1임금지급기의 임금 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
  4. 취업규칙은 법령이나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대하여 적용되는 단체협약과 어긋나서는 아니 되며, 고용노동부장관은 법령이나 단체협약에 어긋나는 취업규칙의 변경을 명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에 대하여 감급(減給)의 제재를 정할 경우에 그 감액은 1회의 금액이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총액이 1임금지급기의 임금 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가 틀린 것이다. 취업규칙에서 감급의 제재를 정할 경우, 감액은 1회의 금액이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며, 총액은 1임금지급기의 임금 총액의 1/10을 초과하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고용보험법의 적용제외 근로자에 해당하는 자는?

  1. 55세 이후에 새로이 고용된 근로자
  2. 별정우체국법에 따른 별정우체국 직원
  3. 근로자파견사업에 고용된 파견근로자
  4. 6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고용되는 일용근로자
(정답률: 67%)
  • 고용보험법은 일부 근로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 중에서도 "별정우체국법에 따른 별정우체국 직원"은 해당됩니다. 이는 별정우체국법에 따라 우체국에서 근무하는 일부 직원들이 고용보험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고용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견사업주는 근로자를 파견근로자로서 고용하고자 할 때에는 미리 당해 근로자에게 그 취지를 서면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2. 파견사업주는 정당한 이유 없이 파견근로자 또는 파견근로자로서 고용되고자 하는 자와 그 고용관계의 종료 후 사용사업주에게 고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의 근로계약을 체결하여서는 아니 된다.
  3. 파견사업주는 파견사업관리대장을 작성ㆍ보존하여야 한다.
  4. 파견사업주는 파견근로자의 적절한 파견근로를 위하여 사용사업관리책임자를 선임하여야 한다.
(정답률: 55%)
  • "파견사업주는 파견근로자의 적절한 파견근로를 위하여 사용사업관리책임자를 선임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파견사업주가 파견근로자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조치 중 하나이다. 사용사업관리책임자는 파견사업주가 파견근로자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며, 파견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근로시간 및 임금 등을 적법하게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근로기준법상 해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를 하지 못한다.
  2.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3.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함이 원칙이다.
  4.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부당해고를 하면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할 수 있고, 구제신청은 부당해고가 있었던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를 하지 못한다."이다. 이는 근로기준법상 해고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근로계약법상 해고에 관한 내용이다. 근로기준법상 해고에 관한 설명은 모두 맞다. 구제신청은 부당해고가 있었던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하여야 한다는 것도 추가로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직업안정법상 직업안정기관에서 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고용정보의 제공
  2. 직업소개
  3. 직업지도
  4. 근로자 파견
(정답률: 68%)
  • 직업안정기관은 고용정보의 제공, 직업소개, 직업지도 등을 통해 근로자들의 직업안정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근로자 파견은 직업안정기관에서 하는 업무가 아닙니다. 근로자 파견은 일반적으로 인력파견업체나 인사담당자가 담당하는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헌법에 규정된 노동3권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처음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공무원인 근로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체행동권을 가질 수 없다.
  2.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3.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4. 법률이 정하는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은 원칙적으로 제한된다.
(정답률: 69%)
  •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이는 미성년자나 청소년 등 연령이 어린 근로자들이 불공정한 노동조건이나 근로환경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이다. 이는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 보호를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상 육아휴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주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의 양육을 위하여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경우 이를 허용해야 한다.
  2. 육아휴직기간은 6개월 이내로 하되, 해당 영아가 생후 1년이 되는 날을 경과할 수 없다.
  3. 육아휴직을 시작하려는 날의 전날까지 해당 사업에서의 계속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에게도 육아휴직을 허용해야 한다.
  4.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하며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64%)
  •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의 양육을 위해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경우, 사업주는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육아휴직기간은 6개월 이내이며, 해당 영아가 생후 1년이 되는 날을 경과할 수 없습니다. 또한, 육아휴직을 시작하려는 날의 전날까지 해당 사업에서의 계속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에게도 육아휴직을 허용해야 합니다.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마친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하며,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근로기준법상 평균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균임금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2. 일용근로자의 평균임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이나 직업에 따라 정하는 금액으로 한다.
  3. 평균임금이 그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한다.
  4.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금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정답률: 49%)
  • "일용근로자의 평균임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이나 직업에 따라 정하는 금액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는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상 평균임금의 적용이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직업안정법상 구인ㆍ구직의 신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외 취업희망자의 구인신청의 유효기간은 1년으로 한다.
  2.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관할구역의 읍ㆍ면ㆍ동사무소에 구인신청서와 구직신청서를 갖추어두어 구인자ㆍ구직자의 편의를 도모하여야 한다.
  3.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접수된 구인신청서 및 구직신청서를 3년간 관리ㆍ보관하여야 한다.
  4. 수리된 구인신청의 유효기간은 3개월이다.
(정답률: 57%)
  •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관할구역의 읍ㆍ면ㆍ동사무소에 구인신청서와 구직신청서를 갖추어두어 구인자ㆍ구직자의 편의를 도모하여야 한다. 이는 구인자와 구직자가 신청서를 쉽게 제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고용정책 기본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그 업무를 수행할 때에 합리적인 이유 없이 성별 등을 이유로 구직자를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
  2. 고용노동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5년마다 국가의 고용정책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상시 3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매년 근로자의 고용형태 현황을 공시하여야 한다.
  4. 고용정책기본법에서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정의된다.
(정답률: 64%)
  • 고용정책기본법에서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정의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는 고용정책기본법 제2조에 명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헌법상 근로의 특별한 보호 또는 우선적인 근로기회 보장의 대상자로서 명시되어있지 않은 것은?

  1. 여 자
  2. 연소자
  3. 실업자
  4. 국가유공자
(정답률: 66%)
  • 헌법상 근로의 특별한 보호 또는 우선적인 근로기회 보장의 대상자로서 명시되어 있는 것은 여자, 연소자, 국가유공자입니다. 그러나 실업자는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근로의 특별한 보호나 우선적인 근로기회 보장 대상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고용보험법상 이직한 피보험자의 구직급여 수급요건으로 틀린 것은?

  1.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50일 이상일 것
  2.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을 것
  3.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할 것
  4. 일용근로자는 수급자격 인정신청일 이전 1개월 동안의 근로일수가 10일 미만일 것
(정답률: 62%)
  •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50일 이상일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고용보험법상 이직한 피보험자의 구직급여 수급요건 중 하나로, 이전 18개월간 총 150일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구직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상 고령자인재은행으로 지정된 직업안정법에 따른 무료직업소개사업을 하는 비영리법인의 사업 법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2. 고령자에 대한 구인ㆍ구직 등록
  3. 고령자에 대한 직업지도 및 취업알선
  4. 취업희망 고령자에 대한 직업상담 및 정년퇴직자의 재취업 상담
(정답률: 59%)
  • "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비영리법인이 하는 무료직업소개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이유는, 이는 고령자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것으로, 직업소개와는 별개의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상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결격사유로 틀린 것은?

  1. 피성년후견인ㆍ피한정후견인
  2.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
  3.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4. 법원의 판결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사람
(정답률: 64%)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결격사유 중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직업능력개발법 제16조에 명시된 결격사유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사람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서 자격을 취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