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이다. 틀린 것은?

  1. 중량이 가벼울 것
  2. 흡입배기 저항이 클 것
  3. 시야가 넓을 것
  4. 여과효율이 좋을 것
(정답률: 75%)
  • 방진마스크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을 차단하여 호흡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방진마스크는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흡입배기 저항이 클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흡입배기 저항이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의미합니다. 이 저항이 클수록 호흡이 어려워지고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방진마스크는 흡입배기 저항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그 외에는 중량이 가벼울 것, 시야가 넓을 것, 여과효율이 좋을 것 등이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으로 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화작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화재 시에는 가스밸브를 닫고 전기 스위치를 끈다.
  2.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경보를 한다.
  3. 전기배선시설 수리 시는 전기가 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4. 유류 및 카바이트에 붙은 불은 물로 끄는 것이 좋다.
(정답률: 84%)
  • 유류 및 카바이트에 붙은 불은 물로 끄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이는 물이 유류나 카바이트와 섞이면 불을 더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이러한 불은 화재진압제나 건조 소화제를 사용하여 진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크용접 작업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과 피부를 노출시키지 말 것
  2. 슬래그 제거 시는 보안경을 쓸 것
  3. 습기 있는 보호구는 착용하지 말 것
  4. 가열된 홀더는 물에 넣어 냉각 할 것
(정답률: 85%)
  • 가열된 홀더를 물에 넣어 냉각시키면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로 인해 홀더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일러 사용 중에 돌연히 비상사태가 발생해서 긴급하게 운전정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판단했을 때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①-②-③-④-⑤
  2. ①-②-④-③-⑤
  3. ①-②-④-⑤-③
  4. ①-⑤-②-③-④
(정답률: 39%)
  • ①-②-④-⑤-③ 순서로 맞는다.

    ①. 보일러 운전정지 버튼을 누른다.
    -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보일러 운전정지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②. 보일러 전원 스위치를 OFF로 돌린다.
    - 운전정지 버튼을 누르면 보일러가 멈추지만, 전원 스위치가 ON 상태라면 다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전원 스위치를 OFF로 돌려야 한다.

    ④. 관련 부서나 전문가에게 연락하여 조치를 취한다.
    - 비상사태가 발생했다면 즉시 관련 부서나 전문가에게 연락하여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⑤. 보일러가 안전하게 작동할 때까지 기다린다.
    - 보일러가 안전하게 작동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때, 보일러가 안전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①-②-④-⑤-③ 순서로 맞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연삭 작업의 안전수칙에 맞지 않는 것은?

  1. 작업도중 진동이나 마찰면에서의 팔열이 심하면 작업을 중지한다.
  2. 숫돌차에 편심이 생기거나 원주면의 메짐이 심하면 드레싱을 한다.
  3.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정면에 서서 작업한다.
  4. 축과 구멍에는 틈새가 없어야 한다.
(정답률: 74%)
  •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정면에 서서 작업한다는 것은 안전수칙에 맞지 않는다. 작업 시에는 작업자가 작업물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파악하고, 작업물과 작업기계의 위치를 고려하여 안전한 위치에서 작업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작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용기의 재검사기간의 설명이 바른 것은?

  1. 용기의 경과 연수가 15년 미만이며, 500ℓ 이상인 용접용기는 7년
  2. 용기의 경과 연수가 15년 미만이며, 500ℓ 미만인 용접용기는 5년
  3. 용기의 경과 연수가 15년 이상에서 20년 미만이며, 500ℓ이상인 용접용기는 3년
  4. 용기의 경과 연수가 20년 이상이며, 500ℓ 이상인 용접용기는 1년
(정답률: 37%)
  • 용기의 경과 연수가 오래될수록 용기 내부의 부식, 파손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재검사 주기가 짧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용기의 크기가 크면 큰 만큼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500ℓ 이상인 용접용기는 더 자주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용기의 경과 연수가 20년 이상이며, 500ℓ 이상인 용접용기는 가장 빠른 주기인 1년에 한 번씩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냉동장치에서 냉매가 적정량보다 많이 부족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할 작업은?

  1. 누설 장소를 찾고 수리한다.
  2. 냉매의 종류를 확인한다.
  3. 펌프다운 시킨다.
  4. 냉매를 충전한다.
(정답률: 60%)
  • 냉동장치에서 냉매가 적정량보다 많이 부족한 경우, 이는 냉매가 누설되어 나간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누설 장소를 찾고 수리해야 합니다. 누설이 계속되면 냉동장치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냉매의 종류를 확인하거나 펌프다운 시키는 것은 누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보다는 누설 장소를 찾고 수리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냉매를 충전하는 것도 누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보기의 빈칸에 알맞은 말로 연결된 것은?

  1. ① 누전, ② 지락
  2. ① 지락, ② 누전
  3. ① 인화점, ② 발화점
  4. ① 발화점, ② 인화점
(정답률: 80%)
  • 이미지는 전기적인 문제로 인한 화재 위험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중에 발생하는 열로 인해 점점 더 뜨거워지면서 인화점과 발화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화점은 물질이 불꽃을 일으키는 온도를 말하며, 발화점은 물질이 불꽃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전기적인 문제로 인한 화재 위험에서는 인화점과 발화점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인화점, ② 발화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압력용기 내의 압력이 제한압력을 넘었을 때 열려서 파손을 방지하는 밸브는?

  1. 안전 밸브
  2. 첵 밸브
  3. 스톱 밸브
  4. 게이트 밸브
(정답률: 79%)
  • 안전 밸브는 압력용기 내의 압력이 제한압력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열어서 압력을 방출시켜 파손을 방지하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이름 그대로 안전을 위한 밸브로서, 압력용기 내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첵 밸브, 스톱 밸브, 게이트 밸브는 모두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이지만, 안전을 위한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신적 또는 육체적 활동의 부산물로 체내에 누적되어 활동능력을 둔화시킴으로서 사고원인이 되기 쉬운 것은?

  1. 근심걱정
  2. 주의 집중
  3. 피로
  4. 공상
(정답률: 90%)
  • 피로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 활동으로 인해 체내에 누적되어 활동능력을 둔화시키기 때문에, 사고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즉, 피로한 상태에서는 주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근심과 걱정이 늘어나며, 이로 인해 공상이나 실수 등으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머 작업시 보안경을 꼭 서야 할 경우에 해당되는 작업방향은?

  1. 위쪽방향
  2. 아래쪽 방향
  3. 왼쪽방향
  4. 오른쪽 방향
(정답률: 74%)
  • 해머 작업시 보안경을 꼭 서야 할 경우는 보통 철재나 콘크리트 등의 단단한 재질을 다룰 때입니다. 이때는 해머로 맞추는 방향에 따라 재질이 깨어져 나가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경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위쪽 방향으로 맞추면 재질이 덜 깨어지고 깔끔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쪽 방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감전되거나 전기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 있어서는 무엇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1. 보호구
  2. 구급용구
  3. 신호기
  4. 구명구
(정답률: 81%)
  • 감전이나 전기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는 보호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보호구는 작업자의 몸을 전기적 충격이나 화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전기 절연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구를 사용하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구의 안전한 취급방법이 아닌 것은?

  1. 손잡이에 묻은 기름, 그리스 등을 닦아낸다.
  2. 측정공구는 부드러운 헝겊위에 올려놓는다.
  3. 높은 곳에서 작업시 간단한 공구는 던져서 신속하게 전달한다.
  4. 날카로운 공구는 공구함에 넣어서 운반한다.
(정답률: 89%)
  • 높은 곳에서 간단한 공구를 던져서 전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부딪히거나 떨어져서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취급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방호장치의 기본목적이 아닌 것은?

  1. 작업자의 보호
  2. 인적, 물적 손실의 방지
  3. 기계기능의 향상
  4. 기계 위험 부위의 접촉방지
(정답률: 85%)
  • 방호장치의 기본목적은 작업자의 보호와 인적, 물적 손실의 방지, 그리고 기계 위험 부위의 접촉방지입니다. 따라서 기계기능의 향상은 방호장치의 기본목적이 아닙니다. 방호장치는 기계 작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공구에 의한 재해를 막는 내용 중 틀린 것은?

  1. 결함이 없는 공구를 사용할 것
  2. 외관이 좋은 공구만 사용할 것
  3. 작업에 올바른 공구만 취급할 것
  4. 공구는 안전한 장소에 둘 것
(정답률: 92%)
  • "외관이 좋은 공구만 사용할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외관이 좋은 공구가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니며, 결함이 없는 공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외관이 좋은 공구라고 해서 내부 결함이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결함이 없는 공구를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공비혼합냉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로 다른 냉매를 혼합하여 결점을 보완한 좋은 냉매로 만든다.
  2.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비등점이 일치하는 혼합냉매로 만든다.
  3. 공비혼합냉매를 사용하면 응축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공비혼합냉매는 혼합된 후 각각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된다.
(정답률: 68%)
  • 공비혼합냉매는 혼합된 후 각각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공비혼합냉매는 서로 다른 냉매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결점을 보완하고, 비등점을 일치시켜 좋은 냉매로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혼합된 후에는 각각의 냉매가 서로 다른 특성을 유지하지 않고, 새로운 냉매의 특성을 지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온도가 일정할 때 가스압력과 체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한다.
  2. 체적은 압력에 비례한다.
  3. 체적은 압력과 무관하다.
  4. 체적은 압력과 제곱 비례한다.
(정답률: 44%)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보일-찰스 법칙에 따르면, 일정한 온도에서 가스의 체적은 압력과 반비례한다. 이는 가스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로 인해 가스 분자들이 움직이는 평균 거리가 감소하면서 가스의 체적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가스 분자들이 서로 더 많이 충돌하게 되어 가스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반도체를 이용하는 냉동기는?

  1. 흡수식 냉동기
  2. 전자식 냉동기
  3. 증기분사식 냉동기
  4. 스크류식 냉동기
(정답률: 81%)
  • 반도체는 전기를 통해 열을 이동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식 냉동기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기를 통해 열을 이동시켜 냉각하는 냉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25℃의 순수한 물 50㎏을 10분 동안에 0℃까지 냉각하려 할 때, 최저 몇 냉동톤의 냉동기를 써야 하는가? (단, 손실은 흡수 열량의 25%이고, 냉동톤은 한국 냉동톤으로 한다.)

  1. 1.53 냉동톤
  2. 1.98 냉동톤
  3. 2.82 냉동톤
  4. 3.13 냉동톤
(정답률: 30%)
  • 먼저, 냉각에 필요한 열량을 계산해야 합니다. 물의 열용량은 1kg당 1℃당 1칼로리이므로, 50kg의 물을 25℃까지 냉각하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50kg × 25℃ × 1kcal/kg℃ = 1250kcal

    하지만, 문제에서 손실이 발생한다고 했으므로, 이 값을 1.25배로 늘려야 합니다.

    1250kcal × 1.25 = 1562.5kcal

    이제 이 값을 냉동톤으로 환산해야 합니다. 한국 냉동톤은 1시간에 3024kcal의 열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10분 동안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562.5kcal ÷ (3024kcal/시간 × 1/6시간) = 0.82냉동톤

    하지만, 이 값은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값입니다. 문제에서는 손실이 흡수 열량의 25%라고 했으므로, 실제 필요한 냉동톤은 다음과 같습니다.

    0.82냉동톤 ÷ (1 - 0.25) = 1.09냉동톤

    따라서, 최소한 1.09냉동톤의 냉동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이 주어졌으므로, 이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합니다.

    1.53냉동톤과 3.13냉동톤은 모두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들은 제외됩니다.

    2.82냉동톤은 손실을 고려한 값으로, 계산 결과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82냉동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관접합부의 수밀, 기밀유지와 기계적 성질 향상, 작업공정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접합법은?

  1. 용접 접합
  2. 플랜지 접합
  3. 리벳 접합
  4. 소켓 접합
(정답률: 58%)
  • 용접 접합은 부품을 녹여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부품 간의 접합면이 작아지기 때문에 수밀과 기밀유지 효과가 뛰어나며, 기계적 성질도 향상됩니다. 또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용접 접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냉동장치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밸브가 작동하기 전에 고압차단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조정한다.
  2. 온도식 자동 팽창변의 감온통은 증발기의 입구측에 붙인다.
  3. 가용전은 응축기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한다.
  4. 파열판은 주로 터보 냉동기의 저압측에 사용한다.
(정답률: 52%)
  • "온도식 자동 팽창변의 감온통은 증발기의 입구측에 붙인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온도식 자동 팽창변의 감온통은 증발기의 출구측에 붙입니다. 이는 증발기에서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화되어 가스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온통은 이러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팽창변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압축기 보호를 위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가용전
  2. 안전헤드
  3. 안전밸브
  4. 유압보호 스위치
(정답률: 50%)
  • 가용전은 압축기 보호를 위한 장치가 아닙니다. 가용전은 전기적인 용어로,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보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반면 안전헤드, 안전밸브, 유압보호 스위치는 압축기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액순환식 증발기에 대한 설명 중 알 맞는 것은?

  1. 증발기가 여러 대가 되면 팽창밸브도 여러 개가 된다.
  2. 전열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공랭식에 주로 사용된다.
  3. 증발기출구에서 액이 80% 정도이고 기체가 20% 정도 차지한다.
  4. 다른 증발기에 비해 전열작용이 50%정도 양호하다.
(정답률: 76%)
  • 액순환식 증발기는 액과 기체가 번갈아가며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 증발기 출구에서 액이 80% 정도이고 기체가 20% 정도 차지하는 이유는, 증발기 내부에서 액과 기체가 번갈아가며 순환하면서 액이 증발하여 기체로 변하고, 기체는 냉각되어 다시 액으로 변하는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액이 증발하여 기체로 변하는 비율이 높아지면, 증발기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액과 기체의 비율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증발기 출구에서 액이 80% 정도이고 기체가 20% 정도 차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도표는 2단 압축 냉동사이클을 몰리엘 선도로서 표시한 것이다. 맞는 것은?

  1.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 : ③~⑦
  2. 증발기의 냉동효과 : ②~⑨
  3. 팽창변 통과직후의 냉매위치 : ⑦~⑨
  4. 응축기의 방출열량 : ⑧~②
(정답률: 67%)
  • 중간냉각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받아들이고, 증발기에서 수거된 냉매를 다시 압축기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간냉각기에서는 냉매가 압축되어 열이 발생하고, 증발기에서 수거된 냉매가 흡수되어 냉각효과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는 ③~⑦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입형 단동 압축기로 직경 200mm, 행정 200mm, 회전수 450rpm, 실린더수 2개의 피스톤 배제량은 얼마인가?

  1. 약 33.92m3/h
  2. 약 339.29m3/h
  3. 약 539.75m3/h
  4. 약 3397.9m3/h
(정답률: 34%)
  • 피스톤 배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배제량 = 실린더 내부 부피 × 회전수 × 실린더수

    실린더 내부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린더 내부 부피 = π × (직경/2)^2 × 행정

    따라서, 실린더 내부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린더 내부 부피 = π × (200/2)^2 × 200 = 62,831.8531 mm^3

    이를 m^3/h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62,831.8531 mm^3 = 0.0628318531 m^3

    따라서, 피스톤 배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배제량 = 0.0628318531 m^3 × 450 rpm × 2 = 56.2746679 m^3/h

    하지만, 이는 한 실린더의 배제량이므로, 두 실린더의 배제량을 합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피스톤 배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배제량 = 56.2746679 m^3/h × 2 = 112.549336 m^3/h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약 339.29m^3/h"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피스톤 배제량을 시간당으로 변환한 값입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피스톤 배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배제량 = 112.549336 m^3/h ÷ 0.33 = 약 339.29m^3/h

    따라서, 정답은 "약 339.29m^3/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배관의 중량을 천정이나 기타 위에서 매다는 방법으로 배관을 지지하는 장치는?

  1. 서포오트(Support)
  2. 앵커(Anchor)
  3. 행거(Hanger)
  4. 브레이스(Brace)
(정답률: 79%)
  • 배관을 천정이나 기타 위에서 매다는 방법으로 지지하는 장치를 행거(Hanger)라고 합니다. 이는 배관의 중량을 지탱하고,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서포오트(Support)는 지지대를 의미하며, 앵커(Anchor)는 고정 장치를 의미합니다. 브레이스(Brace)는 지지대와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의 안정성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동 전기밥솥
  2. 전기세탁기
  3. 가정용 전기냉장고
  4. 네온 싸인
(정답률: 76%)
  • 자동 전기밥솥과 전기세탁기는 시간에 따라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시퀀스 제어 시스템에 속합니다. 네온 싸인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속합니다. 그러나 가정용 전기냉장고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며, 온도를 유지하는 단순한 제어 시스템에 속하기 때문에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냉매가스 중 표준 냉동 사이클에서 냉동효과가 가장 큰 냉매 가스는?

  1. 프레온 11
  2. 프레온 13
  3. 프레온 22
  4. 암모니아
(정답률: 59%)
  • 암모니아는 냉매 가스 중에서 냉동효과가 가장 큰 냉매 가스입니다. 이는 암모니아의 냉각능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암모니아는 환경 친화적이며 안전성이 높아서 산업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나사 패킹제 중 냉매배관에 많이 사용하며 빨리 굳어 페인트에 조금씩 섞어서 사용하는 것은?

  1. 광명단(Super heat)
  2. 액상합성수지
  3. 페인트
  4. 일산화연
(정답률: 49%)
  • 정답은 "일산화연"입니다. 이는 냉매배관에 많이 사용되며 빨리 굳어 페인트에 조금씩 섞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일산화연이 빠르게 굳어서 밀봉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산화연은 내열성과 내약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냉매배관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에도 강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냉매의 특성 중 틀린 것은?

  1. 냉동톤당 소요동력은 증발온도, 응축온도가 변하여도 일정하다.
  2. 압축비가 클수록 냉매 단위 중량당의 압축열이 커진다.
  3. 냉매 특성상 동일 냉동능력에 대한 소요동력은 적은 것이 좋다.
  4. 압축기 흡입가스가 과열하였을 때 NH3는 체적효율이 감소한다.
(정답률: 50%)
  • "냉동톤당 소요동력은 증발온도, 응축온도가 변하여도 일정하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압축비가 클수록 냉매 단위 중량당의 압축열이 커진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냉매 특성상 동일 냉동능력에 대한 소요동력은 적은 것이 좋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압축기 흡입가스가 과열하였을 때 NH3는 체적효율이 감소한다."는 냉매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압축기 클리어런스 값이 크면 어떤 영향이 있는가?

  1. 냉동능력이 증대된다.
  2. 토출가스 온도는 변화 없다.
  3. 체적효율이 증대한다.
  4. 윤활유가 열화 되기 쉽다.
(정답률: 60%)
  • 압축기 클리어런스 값이 크면 압축기 내부에서 압축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냉동능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체적효율이 감소합니다. 또한, 압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윤활유가 열화되기 쉬워지므로 정답은 "윤활유가 열화 되기 쉽다." 입니다. 토출가스 온도는 클리어런스 값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냉매 중 암모니아(NH3)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누설검지기 쉽다.
  2. 가격이 비싼 편이다.
  3. 임계온도, 응고온도 등이 적당하다.
  4.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냉매로 대규모 냉동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69%)
  • 암모니아는 누설검지기 쉽고, 임계온도와 응고온도가 적당하여 대규모 냉동장치에 널리 사용되어온 냉매입니다. 그러나 가격이 비싼 이유는, 암모니아는 공기 중에서 불안정하며,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위험성이 높아서 생산 및 운송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체적이란 어떤 것인가?

  1. 어느 물체의 체적이다.
  2. 단위 체적당 중량이다.
  3. 단위 체적당 엔탈피이다.
  4. 단위 중량당 체적이다.
(정답률: 58%)
  • 비체적은 단위 중량당 체적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물체의 단위 중량당 체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kg의 물체의 비체적이 1m³이라면, 이 물체의 1kg당 체적은 1m³이 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저단측 토출가스의 온도를 냉각시켜 고단측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부스터
  2. 인터 쿨러
  3. 콤파운드 압축기
  4. 익스팬션탱크
(정답률: 78%)
  • 인터 쿨러는 저단측 토출가스를 냉각시켜 고단측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관의 결합방식으로 적당한 것은?

  1. 용접식
  2. 플랜지식
  3. 소켓식
  4. 유니언식
(정답률: 80%)
  • 위 그림은 소켓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파이프의 끝 부분이 확장되어 있어 다른 파이프의 끝 부분을 삽입하여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켓식이 정답입니다. 용접식은 파이프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방식, 플랜지식은 플랜지라는 원형의 판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결합하는 방식, 유니언식은 두 개의 파이프를 나란히 놓고 중간에 유니언이라는 부품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보냉동기 윤활 사이클에서 마그네틱 플러그(MAGNETIC PLUG)가 하는 역할은?

  1. 오일 쿨러의 냉각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
  2. 오일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
  3. 윤활 사이클로 공급되는 유압을 일정하게 하여주는 역할
  4. 윤활 사이클로 공급되는 철분을 제거하여 장치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
(정답률: 71%)
  • 마그네틱 플러그는 윤활 사이클에서 공급되는 오일 중에 포함된 철분을 자석으로 붙잡아 제거함으로써 장치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냉동장치의 제어장치 중 온도제어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E.P.R
  2. T.C
  3. L.P.S
  4. O.P.S
(정답률: 75%)
  • 온도제어장치는 T.C (Thermocouple)에 해당됩니다. T.C는 열전대로, 냉동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제빙공장에서 냉동기를 가동하여 30℃의 물 1ton을 24시간 동안에 -9℃얼음으로 만들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열량은 얼마인가? (단, 외부로부터 열침입은 전혀 없는 것으로 하고, 물의 응고잠열은 80kcal/kg으로 한다.)

  1. 420kcal/h
  2. 4,770kcal/h
  3. 9,540kcal/h
  4. 11,000kcal/h
(정답률: 47%)
  • 물 1kg을 얼리기 위해서는 80kcal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1ton(1000kg)의 물을 얼리기 위해서는 80,000kcal의 열량이 필요하다. 이를 24시간 동안에 얼리기 위해서는 80,000kcal/24h = 3,333.33kcal/h의 열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냉동기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약 1.43배(1/0.7) 정도의 열량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3,333.33kcal/h x 1.43 = 4,770kcal/h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4,770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구경 강관을 조립할 대 또는 막혔을 때 쉽게 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연결 부속은 어느 것인가?

  1. 니플
  2. 유니언
  3. 엘보우
(정답률: 67%)
  • 유니언은 소구경 강관을 조립할 때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속으로, 파이프가 막혔을 때도 쉽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소구경 강관을 조립하거나 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압축 후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실린더헤드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다음 표를 참고하여 압축 후 냉매의 온도가 가장 높은 냉매는? (단, 모든 냉매는 같은 조건으로 압축함)

  1. R-12
  2. R-22
  3. NH3
  4. CH3Cl
(정답률: 67%)
  • 압축 후 냉매의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엔탈피 차이가 가장 큰 것입니다. NH3의 엔탈피 차이가 가장 크기 때문에 압축 후 냉매의 온도가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압축기가 1대일 경우 고압차단스위치(HPS)의 압력인출위치는 어디가 좋은가?

  1. 토출스톱밸브 직후
  2. 토출밸브 직전
  3. 토출밸브 직후와 토출밸브 직전 사이
  4. 고압부 어디라도 관계없다.
(정답률: 40%)
  • 압축기에서 압력이 가장 높은 곳은 토출밸브 직후이기 때문에 HPS를 토출밸브 직후에 설치하면 가장 정확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토출밸브 직후에 HPS를 설치하면 HPS가 토출밸브에 영향을 받아 작동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토출밸브 직전과 토출밸브 직후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증발식 응축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암모니아(NH3)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2. 물의 증발열을 이용한다.
  3. 냉각탑을 사용하는 것보다 응축압력이 높다.
  4. 소비 냉각수의 양이 적다.
(정답률: 38%)
  • "냉각탑을 사용하는 것보다 응축압력이 높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증발식 응축기는 냉각탑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냉각탑을 사용하지 않고 응축압력을 높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네온사인, 세탁기 등 미리 정해 놓은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공정제어
  2. 비공정제어
  3. 시퀀스제어
  4. 되먹임제어
(정답률: 87%)
  • 시퀀스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네온사인이나 세탁기와 같이 일정한 순서로 작동해야 하는 기계나 장치를 제어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세탁기에서는 물 공급 → 세제 투입 → 세탁 → 배수와 같은 순서로 작동해야 하므로 시퀀스제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보기의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이 순서대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감소, 감소, 크다, 정압, 정적
  2. 증가, 감소, 적다, 정압, 정적
  3. 감소, 증가, 크다, 정압, 정적
  4. 증가, 증가, 적다, 정압, 정적
(정답률: 48%)
  • 주어진 그림에서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물의 높이가 감소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물의 속도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물이 흐르는 파이프의 지름이 커지면서 정압이 일어나고, 마지막으로 물이 정적인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소, 감소, 크다, 정압, 정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 잘못 서술하고 있는 것은?

  1. 단흡입을 양흡입으로 바꾼다.
  2. 수직측 펌프를 사용하고 회전차를 수중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3.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춘다.
  4. 펌프 회전수를 빠르게 한다.
(정답률: 70%)
  • 펌프 회전수를 빠르게 한다는 것은 캐비테이션을 예방하기 위해 펌프가 물을 더 빠르게 흡입하여 압력을 유지하고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즉, 빠른 회전수는 물의 유동성을 높여 캐비테이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다음 설명 중 중앙식 공기조화 방색에 대한 공통적인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

  1. 실내에는 취출구와 흡입구를 설치하면 되고, 팬코일 유닛과 같은 기구가 노출되지 않는다.
  2. 큰 부하를 가진 방에 대해서도 덕트가 적게 되고, 덕트 스페이스가 적다.
  3. 취급이 간단하고 대형의 것도 누구든지 운전할 수 있다.
  4. 대규모 건물에 채용하면 설비비가 절감되고, 보수관리가 편리하다.
(정답률: 48%)
  • 중앙식 공기조화 방식은 대규모 건물에 적합하며, 이는 설비비를 절감하고 보수관리가 편리하다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이는 대규모 건물에서는 분산식 공기조화 시스템보다 중앙식 공기조화 시스템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기조화용 덕트 부속기기의 댐퍼종류에서 주로 소형덕트의 개폐용으로 사용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완전히 닫았을 때 공기의 누설이 적으나 운전 중 개폐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며 날개가 중간정도 열렸을 때 와류가 생겨 유량조절용으로 부적당한 댐퍼는?

  1. 버터플라이 댐퍼
  2. 평행익형 댐퍼
  3. 대향익형 댐퍼
  4. 스프릿 댐퍼
(정답률: 66%)
  • 버터플라이 댐퍼는 구조가 간단하고 완전히 닫았을 때 공기의 누설이 적지만, 운전 중 개폐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하며 날개가 중간정도 열렸을 때 와류가 생겨 유량조절용으로 부적당한 댐퍼입니다. 이는 날개가 중간정도 열렸을 때 와류가 생기는 형태가 버터플라이 모양이기 때문에 버터플라이 댐퍼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난방부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벽체를 통한 부하
  2. 외기부하
  3. 틈새부하
  4. 인체 발생부하
(정답률: 59%)
  • 인체 발생부하는 난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 부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인체 발생부하는 인간의 신체 열에 의해 발생하는 열 부하로, 인간의 활동량, 체온, 옷차림 등에 따라 다르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난방 시스템 설계나 운영에서는 인체 발생부하를 고려해야 하지만, 난방 부하에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기조화의 목적에 대한 기술로서 옳은 것은?

  1. 공기의 정화와 온도만을 조절하는 설비이다.
  2. 공기의 정화와 기류 및 음향을 조절한다.
  3. 공기의 온도와 습도만을 조절하는 설비이다.
  4. 공기의 정화와 온도, 습도 및 기류를 조절한다.
(정답률: 87%)
  • 공기조화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이다. 따라서, "공기의 정화와 온도, 습도 및 기류를 조절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냉각코일을 결정하는 부하가 아닌 것은?

  1. 실내취득열량
  2. 외기부하
  3. 펌프배관부하
  4. 기기 내 취득열량
(정답률: 43%)
  • 펌프배관부하는 냉각기의 냉매 순환을 위한 펌프와 배관 등의 부하를 의미합니다. 이는 냉각기의 냉각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냉각코일을 결정하는 부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펌프배관부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기조화기에서 외면을 단열 시공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외부로부터의 열침입 방지
  2. 외부로부터의 소음차단
  3. 외부로부터의 습기차단
  4. 외부로부터의 충격차단
(정답률: 49%)
  • 공기조화기에서 외면을 단열 시공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의 열침입, 소음차단, 습기차단을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충격차단은 공기조화기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충격차단은 건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외벽재료나 창문 등의 설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잠열부하를 제거하는 경우 변화하지 않는 상태량은?

  1. 상대습도
  2. 비체적
  3. 절대습도
  4. 건구온도
(정답률: 29%)
  • 잠열부하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상대습도와 절대습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공기 내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로 변하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공기 내의 수증기 양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체적은 공기의 부피 변화와 관련된 값으로, 잠열부하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부피 변화가 없으므로 비체적도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상태량은 건구온도입니다. 건구온도는 공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잠열부하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온도는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기조화설비 중에서 열원장치의 구성요소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냉각탑
  2. 냉동기
  3. 보일러
  4. 덕트
(정답률: 72%)
  • 덕트는 열원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기조화설비의 부속품입니다. 따라서 덕트는 적당하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난방효율이 가장 좋은 난방 방식은?

  1. 온수난방
  2. 열펌프 난방
  3. 온풍난방
  4. 복사난방
(정답률: 29%)
  • 열펌프 난방은 외부의 자연열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난방보다 효율적이며, 온수난방보다도 더욱 효율적입니다. 또한, 온수난방과 달리 보일러나 라디에이터 등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비용도 저렴합니다. 따라서, 열펌프 난방은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인 난방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심 송풍기의 번호가 No 2일 때 깃의 지름은 얼마인가? (단, 단위는 ㎜)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률: 45%)
  • 원심 송풍기의 번호가 No 2인 경우, 깃의 지름은 300mm입니다. 이는 원심 송풍기의 규격에 따라 정해진 값으로, No 2 규격에 해당하는 깃의 지름이 300mm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가 증기의 공급관 속을 흐르는 것은 보일러에서 방열기까지의 무엇에 의하여 순환되는가?

  1. 압력차
  2. 온도차
  3. 속도차
  4. 밀도차
(정답률: 61%)
  •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는 높은 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증기는 방열기에서 낮은 압력을 가진 공기와 열 교환이 일어나면서 냉각되고, 이때 압력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보일러에서 방열기까지의 압력차에 의해 증기가 순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차 공조기로부터 보내온 고속공기가 노즐 속을 통과 할 때의 유인력에 의하여 2차 공기를 유인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패키지 방식
  2. 유인 유닛 방식
  3. FCU 방식
  4. 바이패스 방식
(정답률: 85%)
  • 유인 유닛 방식은 1차 공조기에서 보내온 고속공기가 노즐 속을 통과할 때의 유인력에 의해 2차 공기를 유인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냉난방기의 작동 원리와 유사하며,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냉각 및 가열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유인 유닛 방식은 고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조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온수난방장치의 체적이 700ℓ이다. 이 경우 개방식 팽창탱크의 필요 체적은 약 몇 ℓ인가?(단, 초기수온은 5℃, 보일러 운전시 수온을 80℃로 하고 각각의 온도에 대한 물의 밀도는 0.99999kg/ℓ 및 0.97183kg/ℓ로 하며, 개방식 팽창탱크의 용량은 온수팽창탱크의 2배로 한다.

  1. 40.5
  2. 41.2
  3. 43.5
  4. 45.7
(정답률: 15%)
  • 온수난방장치에서 물의 온도가 5℃에서 80℃로 상승하면 체적이 팽창하게 된다. 이때 개방식 팽창탱크가 필요한 이유는 물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압을 완화하기 위해서이다.

    물의 팽창률은 약 0.00021/℃이다. 따라서 물의 온도가 5℃에서 80℃로 상승하면 0.00021 x 75 x 700 = 11.025ℓ 만큼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개방식 팽창탱크의 용량은 온수팽창탱크의 2배로 주어졌으므로, 필요한 체적은 11.025 x 2 = 22.05ℓ이다.

    하지만, 물의 밀도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물의 밀도를 고려해야 한다. 물의 밀도는 5℃에서 0.99999kg/ℓ, 80℃에서 0.97183kg/ℓ이므로, 체적 계산식에 적용하면 11.025 x (0.99999/0.97183) x 2 = 22.5ℓ이 된다.

    따라서, 개방식 팽창탱크의 필요 체적은 약 22.5ℓ이며, 가장 가까운 정답은 40.5ℓ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이나 근사치 계산 등으로 인해 발생한 오차로 인해 생긴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외기냉방이 불가능한 공기조화 방식은?

  1. 정풍량 단일덕트방식
  2. 변풍량 단일덕트방식
  3. 팬코일유니트방식
  4. 각층유니트방식
(정답률: 41%)
  • 외기냉방이 불가능한 공기조화 방식은 실내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이 중 팬코일유니트방식은 냉난방기와 팬코일을 연결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방식으로, 외부 공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기냉방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공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용어들 중에서 단위표시가 틀린 것은?

  1. 상대습도 : %
  2. 엔탈피 : kcal/m3
  3. 절대습도 : kg/kg
  4. 수증기 분압 : ㎜Hg
(정답률: 39%)
  • 엔탈피는 단위로 kcal/kg 또는 kJ/kg를 사용합니다. m3℃는 부피와 온도의 단위이므로 엔탈피의 단위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탈피 : kcal/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