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1-22)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6-01-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정전 작업시의 안전관리 사항 중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무전압 상태의 유지
  2. 잔류전하의 방전
  3. 단락접지
  4. 과열, 습기, 부식의 방지
(정답률: 62%)
  • 과열, 습기, 부식의 방지는 정전 작업시에도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 안전관리 사항입니다. 이는 전기 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며, 과열, 습기, 부식이 발생하면 전기 설비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적합하지 못한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압가스 일반 제조시 저장탱크를 지하에 묻을 경우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

  1. 저장탱크의 주위에 마른 모래를 채워둘 것
  2. 지하에 묻는 저장탱크의 외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을 할 것
  3. 저장탱크를 묻는 곳의 주위에는 지상에 경계를 표시할 것
  4. 저장탱크의 정상부와 지면과의 거리는 1m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68%)
  • 저장탱크의 정상부와 지면과의 거리를 1m 이상으로 하는 것은 안전을 위한 기준입니다. 만약 저장탱크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깝다면 지하 수위 변동 등으로 인해 저장탱크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장탱크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정상부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1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일러 수위가 낮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습증기 발생의 원인이 된다.
  2. 수면계에 물때가 붙는다.
  3. 보일러가 과열되기 쉽다.
  4. 습증기압이 높아 누설된다.
(정답률: 83%)
  • 보일러 수위가 낮으면 보일러 내부에 물이 충분하지 않아 보일러의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과열되기 쉽습니다. 이는 보일러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보일러 수위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안전사고 방지의 기본원리 5단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사실의 발견→분석→시정방법의 선정→안전조직→시정책의 적용
  2. 안전조직→사실의 발견→분석→시정방법의 선정→시정책의 적용
  3. 사실의 발견→시정방법의 선정→분석→시정책의 적용→안전조직
  4. 안전조직→사실의 발견→시정방법의 선정→시정책의 적용→분석
(정답률: 50%)
  • 안전사고 방지의 기본원리 5단계는 사실의 발견, 분석, 시정방법의 선정, 안전조직, 시정책의 적용 순서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먼저 사실을 발견하고, 그 사실을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한 후, 시정방법을 선정하고 안전조직을 구성하여 시정책을 적용하는 것이 안전사고 방지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조직→사실의 발견→분석→시정방법의 선정→시정책의 적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크용접 작업 중 아크 빛으로 인하여 혈안이 되고, 눈이 붓는 수가 있으며 눈병이 생긴다. 이 때 우선 취해야 할 일은?

  1. 안약을 넣고, 계속 작업해도 좋다.
  2. 먼 산을 보고, 눈의 피로를 푼다.
  3. 냉찜질을 하고, 안정을 취한다.
  4. 묽은 염수를 넣고, 안정을 취한 다음 찬물로 씻는다.
(정답률: 58%)
  • 아크용접 작업 중 눈에 아크 빛이 들어가면 눈이 붓고 혈안이 되며 눈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때 눈을 쉬게 하고 열을 식히기 위해 냉찜질을 하고,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안약을 넣고 계속 작업하면 눈의 피로가 더 심해질 수 있으며, 먼 산을 보는 것은 눈의 피로를 푸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열을 식히는 데에는 효과가 미미합니다. 묽은 염수를 넣고 안정을 취한 다음 찬물로 씻는 것도 열을 식히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냉찜질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수공구에 관한 안전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위 환경에 주의해서 작업을 시작한다.
  2. 수공구 상자내의 수공구는 잘 정리 정돈하여 놓는다.
  3. 수공구는 항상 작업에 맞도록 점검과 보수를 한다.
  4. 수공구는 기계나 재료 등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한다.
(정답률: 93%)
  • "수공구는 기계나 재료 등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안전사항입니다. 수공구는 안정적인 표면 위에 놓고 사용해야 하며, 떨어뜨리거나 굴러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유는 수공구가 떨어지거나 굴러떨어질 경우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부딪혀 상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를 단기간 정지했을 경우에 사용되는 보존법은?

  1. 건조 보존법
  2. 만수 보존법
  3. 밀폐 보존법
  4. 석회 보존법
(정답률: 55%)
  • 만수 보존법은 보일러를 단기간 정지했을 때 사용되는 보존법으로, 보일러 내부에 물을 채워놓고 보일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와 물이 섞이지 않도록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보일러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보일러를 재가동할 때 빠른 가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보존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냉동기 윤활유 구비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고 점도액일 것
  2. 전기적 절연내력이 클 것
  3. 냉매가스와 용해가 적을 것
  4. 인화점이 높을 것
(정답률: 64%)
  • 고 점도액일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냉동기에서는 윤활유가 냉매와 함께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점도가 높은 윤활유는 순환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열전달 효율도 떨어뜨리게 됩니다. 따라서 냉동기 윤활유는 점도가 낮은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냉동제조의 시설 및 기술기준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냉동제조설비 중 특정설비는 검사에 합격한 것일 것
  2. 냉동제조시설 중 냉매설비에는 자동제어 장치를 설치할 것
  3. 제조설비는 진동, 충격, 부식 등으로 냉매가스가 누설되지 아니할 것
  4. 압축기 최종 단에 설치한 안정장치는 2년에 1회 이상 작동시험을 할 것
(정답률: 85%)
  • 압축기 최종 단에 설치한 안정장치는 2년에 1회 이상 작동시험을 해야하는 이유는 안정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압축기가 과열되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안전한 운영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안전모의 취급 안전관리 사항 중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산이나 알카리를 취급하는 곳에서는 펠트나 파이버모자를 사용해야 한다.
  2. 화기를 취급하는 곳에서는 몸체와 차양이 셀룰로이드로 된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 월 1회 정도로 세척한다.
  4. 모체와 착장제의 땀방지대의 간격은 5㎜ 이하로 한다.
(정답률: 47%)
  • "모체와 착장제의 땀방지대의 간격은 5㎜ 이하로 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이유가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규정이 적용되는 상황이나 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소용기를 취급할 때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

  1. 항상 40℃ 이하로 유지할 것
  2. 밸브의 개폐는 급격히 할 것
  3. 화기로부터 멀리할 것
  4. 밸브에는 그리이스나 기름 등을 묻히지 말 것
(정답률: 87%)
  • 밸브의 개폐를 급격히 하는 것은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를 초래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밸브의 개폐는 서서히, 부드럽게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휘발성 유류의 취급시 지켜야 할 안전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의 공기가 외부와 차단 되도록 한다.
  2. 수시로 인화물질의 누설여부를 점검한다.
  3. 소화기를 규정에 맞게 준비하고, 평상시에 조작방법을 익혀 둔다.
  4. 정전기가 발생하는 화학섬유 작업복의 착용을 금한다.
(정답률: 85%)
  • "실내의 공기가 외부와 차단 되도록 한다."는 옳은 안전사항입니다. 이는 휘발성 유류가 공기 중에 증발하여 농도가 높아지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내 환기를 잘 시켜서 공기를 교체하거나, 문과 창문을 닫아서 외부와 차단하여 누출된 유류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냉매누설 검지법 중 암모니아의 누설검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취기
  2. 붉은 리트머스시험지
  3. 페놀프타렌지
  4. 헤라이드 토치
(정답률: 62%)
  • 암모니아는 붉은 리트머스시험지와 페놀프타렌지로 검출할 수 있으며, 취기로도 냄새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헤라이드 토치는 암모니아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헤라이드 토치는 유독가스 누출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데, 암모니아는 불꽃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감전시 조치사항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병원에 연락한다.
  2. 감전된 사람의 발을 잡아 도전체에서 떼어낸다.
  3. 부근에 스위치가 있으면 즉시 끈다.
  4. 전원의 식별이 어려울 때는 즉시 전기부서에 연락한다.
(정답률: 79%)
  • 감전된 사람의 발을 잡아 도전체에서 떼어내는 것은 잘못된 조치이다. 이는 자신도 감전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조치는 전원을 차단하고, 감전자와 접촉하지 않고 구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감전된 사람의 발을 잡아 도전체에서 떼어낸다."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공구 작업에서 재해를 가장 많이 입는 신체 부위는?

  1. 머리
  2. 다리
(정답률: 90%)
  • 수공구 작업에서는 손이 가장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손에 부상을 입을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수공구 작업 중에는 날카로운 도구나 무거운 물체를 다루기 때문에 손에 상처나 찰과상, 불안정한 작업환경에서는 손목이나 손가락을 쉽게 다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손은 수공구 작업에서 가장 많이 부상을 입는 신체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고체 이산화탄소가 기화할 때 필요한 열은?

  1. 융해열
  2. 응고열
  3. 승화열
  4. 증발열
(정답률: 75%)
  • 고체 이산화탄소가 기화할 때 필요한 열은 승화열입니다. 이는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할 때 필요한 열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고체에서 기체로 변할 때는 승화열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냉동장치의 고압측에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것 중 부적당 한 것은?

  1. 스프링식 안전밸브
  2. 플로우트 스위치
  3. 고압차단 스위치
  4. 가용전
(정답률: 51%)
  • 플로우트 스위치는 냉매 유량을 감지하여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냉동장치의 고압측에는 냉매 유량이 아닌 고압을 감지하여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플로우트 스위치는 부적당한 안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수분의 냉매에 대한 용해도가 가장 큰 것은?

  1. R-22
  2. 암모니아
  3. 탄산가스
  4. 아황산가스
(정답률: 82%)
  • 암모니아는 수분과 매우 잘 용해되기 때문에, 수분의 냉매로 사용될 때 용해도가 가장 큽니다. 이는 냉매로서의 효율성을 높이고, 냉각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면에 R-22, 탄산가스, 아황산가스는 수분과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수분의 냉매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를 일정하게 하고, 압축기 흡입가스의 상태를 건포화증기로 할 때 증발온도를 상승시키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

  1. 압축비 증가
  2. 냉동효과 증가
  3. 성적계수 감소
  4. 압축일량 증가
(정답률: 51%)
  • 증발온도를 상승시키면 냉매의 증발에 필요한 엔탈피가 증가하게 되어 냉동효과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동효과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압축기 구동 전동기로 흐르는 전류가 5A이고 전압이 100V일 때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몇 W인가?

  1. 4
  2. 20
  3. 250
  4. 500
(정답률: 52%)
  •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100V x 5A = 500W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강관의 피복재료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규조토
  2. 석면
  3. 기포성 수지
  4. 광명단
(정답률: 53%)
  • 강관의 피복재료로는 내식성, 내구성, 내화성 등이 중요한데, 광명단은 내화성이 부족하여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암모니아 냉동기에서 오일 분리기의 설치로 적당한 것은?

  1. 압축기와 증발기 사이
  2.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3.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
  4. 응축기와 팽창변 사이
(정답률: 70%)
  • 암모니아 냉동기에서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암모니아 기체가 응축기에서 액체로 변화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이후 수액기에서 액체와 증기가 분리되어 증발기에서 증발하면서 냉기를 발생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오일이 함유된 암모니아 기체는 오일 분리기를 통해 분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오일 분리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이유는 압축기에서 오일이 함유된 암모니아 기체가 응축기로 이동하면서 오일이 응축기 내부에 머무르게 되어, 냉동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오일 분리기를 설치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냉동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만액식 증발기에서 전열을 좋게 하는 조건 중 틀린 것은?

  1. 냉각관이 냉매에 잠겨있거나 접촉해 있을 것
  2. 관 간격이 넓을 것
  3. 관면이 거칠거나 핀이 부착되어 있을 것
  4. 평균온도차가 클 것
(정답률: 58%)
  • 관 간격이 넓을수록 냉매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어서 열전달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 간격이 넓을수록 전열을 좋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용압력이 10kg/cm2의 비교적 낮은 증기, 물, 기름, 가스 및 공기배관용에 사용하며, 아크 용접에 의해 제조된 관은?

  1. 배관용 아크 용접 탄소강관
  2.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3. 아아크 스테인레스 강관
  4. 배관용 합금강관
(정답률: 69%)
  • 사용압력이 비교적 낮은 증기, 물, 기름, 가스 및 공기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고압이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탄소강관이 적합하며, 아크 용접으로 제조된 것은 용접 부위가 강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관용 아크 용접 탄소강관"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냉동장치에 대하여 맞는 것은?

  1. R-12의 경우는 드라이어를 사용하나 R-22의 경우는 필요하지 않다.
  2. 암모니아의 경우에는 유분리기를 쓰지 않는다.
  3. R-12의 경우는 압축기의 물자켓이 반드시 필요하다.
  4. R-22의 자동 팽창변은 암모니아에 사용될 수 없다.
(정답률: 37%)
  • 암모니아는 R-22와는 다른 냉매이며, 냉동장치 내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의 재질과 호환성이 다르기 때문에 R-22의 자동 팽창변은 암모니아에 사용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셸 튜브 응축기는?

  1. 공랭식 응축기이다.
  2. 수냉식 응축기이다.
  3. 역류식 응축기이다.
  4. 강제 대류식 응축기이다.
(정답률: 56%)
  • 셸 튜브 응축기는 냉매를 수냉식으로 응축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은 "수냉식 응축기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동관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전기 및 열전도율이 좋다.
  2.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동파되지 않는다.
  3. 산성에는 내식성이 강하고 알카리성에는 심하게 침식된다.
  4. 전연성이 풍부하고 마찰저항이 적다.
(정답률: 78%)
  • 정답은 "전기 및 열전도율이 좋다." 이다.

    산성은 동을 산화시켜서 동산화물을 생성하고, 알카리성은 동을 침식시켜서 동이 용해되기 때문에 동은 산성에는 내식성이 강하고 알카리성에는 심하게 침식된다. 이는 동의 표면에 있는 산화물 및 침식물이 동의 내부로 침투하여 동의 물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의 사항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1BTU란 물 1Lb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2. 1kcal란 물 1kg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3. 1BTU는 3.968kcal에 해당된다.
  4. 기체에는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크다.
(정답률: 56%)
  • 잘못된 사항은 "기체에는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크다." 입니다. 기체의 경우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같은 값이기 때문에 크기가 같습니다.

    1BTU는 1파운드의 물을 1℉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며, 1BTU는 1.055kcal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BTU는 3.968kcal이 아니라 1.055kc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불연속 제어에 속하는 것은?

  1. on-off 제어
  2. 서어보 제어
  3. 페회로 제어
  4. 시퀸스 제어
(정답률: 75%)
  • on-off 제어는 제어 대상이 특정 기준값을 넘어서면 제어기가 작동하여 출력을 켜고,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출력을 끄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출력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며, 따라서 불연속 제어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기와 같은 냉동기의 냉매 배관에서 고압액 냉매배관은 어느 부분인가?

(정답률: 65%)
  • 고압액 냉매배관은 냉동기에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기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압축기에서 나온 냉매가 ③번 부분으로 들어가고, 그 후에 ④번 부분으로 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흡수식냉동기의 주요부품이 아닌 것은?

  1. 응축기
  2. 증발기
  3. 발생기
  4. 압축기
(정답률: 66%)
  • 흡수식냉동기는 압축기 대신 발생기를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하지 않고, 열을 이용하여 냉매를 분리하고 흡수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압축기는 흡수식냉동기의 주요부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00A강관을 B(inch)호칭으로 지름을 표시하면?

  1. 2B
  2. 4B
  3. 10B
  4. 12B
(정답률: 42%)
  • 300A 강관의 외경은 12인치이므로, B호칭에서 12가 해당하는 지름이다. 따라서 정답은 "12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브롬화 리듐(LiBr) 수용액이 필요한 장치는?

  1.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
  2. 흡수식 냉동장치
  3. 증기 분사식 냉동장치
  4. 전자 냉동장치
(정답률: 67%)
  • 흡수식 냉동장치는 냉매로 브롬화 리듐 수용액을 사용합니다. 이 수용액은 물보다 증기압이 낮기 때문에, 고온과 저압에서 물과 반응하여 냉매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흡수한 열은 흡수기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방출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냉매를 생성하고 열을 이동시켜 냉방을 수행하는 것이 흡수식 냉동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분간에 25℃의 순수한 물 100ℓ를 3℃로 냉각하기 위하여 필요한 냉동기의 냉동톤은?

  1. 0.66
  2. 39.76
  3. 37.67
  4. 45.18
(정답률: 48%)
  • 냉동톤은 냉동기가 1시간 동안 1파운드의 물을 1℉ 냉각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1분에 100/60 = 1.67파운드의 물을 냉각시켜야 합니다. 또한, 냉각해야 할 온도차는 25℃ - 3℃ = 22℃ 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냉동톤은 1.67 x 22 / 12 = 3.06 냉동톤 입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39.76 냉동톤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압축기에 대해서 옳은 것은?

  1. 토출가스 온도는 압축기의 흡입가스 과열도가 클수록 높아진다.
  2. 프레온 12를 사용하는 압축기에는 토출온도가 낮아 워터자켓(water jacket)을 부착한다.
  3. 톱 클리어런스(top clearance)가 클수록 체적효율이 커진다.
  4. 토출가스 온도가 상승하여도 체적효율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53%)
  • "토출가스 온도는 압축기의 흡입가스 과열도가 클수록 높아진다."는 이유는 압축기가 흡입한 가스를 압축할 때, 가스 분자들이 서로 밀집하여 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입가스의 과열도가 높을수록 압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많아져 토출가스의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냉매 증 오존층 파괴정도가 가장 큰 냉매는?

  1. R-22
  2. R-113
  3. R-134a
  4. R-142b
(정답률: 40%)
  • R-113은 CFC 냉매로, 오존층 파괴 포텐셜이 가장 높은 냉매 중 하나입니다. 이는 R-113 분자 내에 포함된 염소 원자가 오존 분자를 파괴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113은 환경에 매우 해로운 냉매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냉동장치에 설치하는 압력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항이 모두 조합된 것은?

  1. ①, ②
  2. ②, ③
  3. ③, ④
  4. ②, ④
(정답률: 46%)
  • 냉동장치에서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압력계를 설치합니다. 이때 압력계는 냉매의 종류와 압력 범위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

    ①은 "냉매의 종류와 압력 범위에 따라 선택된 압력계를 사용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옳지만, ②와 함께 선택되어야 하는 내용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②는 "압력계는 냉동장치의 가압기와 직접 연결되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옳습니다. 압력계는 냉매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가압기와 직접 연결되어야 합니다.

    ③은 "압력계는 냉동장치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옳지만, ②와 함께 선택되어야 하는 내용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④는 "압력계는 냉매의 종류와 압력 범위에 따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옳습니다. 압력계는 냉매의 종류와 압력 범위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④"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파수가 60Hz인 상용 교류에서 각속도는 몇 rad/sec인가?

  1. 141.4
  2. 171.1
  3. 377
  4. 623
(정답률: 39%)
  • 주파수(frequency)는 초당 진동수를 의미합니다. 상용 교류의 주파수가 60Hz이므로 1초당 60번의 진동을 합니다. 각속도는 초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각속도는 2π × 주파수 = 2π × 60 = 120π ≈ 377 (rad/sec) 입니다. 이는 각도를 라디안 단위로 표현한 것입니다. 377은 2π × 60의 근사치이며, 이는 상용 교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에바콘(EVA-CON)내부에 설치된 엘리미네이터의 역할은?

  1. 물의 증발을 양호하게 함
  2. 공기를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함
  3. 바람으로 인한 수분의 비산을 방지함
  4. 물의 과냉각을 방지함
(정답률: 60%)
  • 에바콘 내부에 설치된 엘리미네이터는 바람으로 인한 수분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엘리미네이터가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움직여 바람이 불어도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흡수식냉동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진동이 적다.
  2. 증기, 온수 등 배열을 이용할 수 있다.
  3. 부분 부하시는 운전비가 경제적이다.
  4. 물을 냉매로 하는 것은 저온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3%)
  • 물은 0℃에서 얼어서 고온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1kcal의 열을 전부 일로 바꾸면 몇 kgㆍm의 일이 되는가?

  1. 1/427kg·m
  2. 427kg·m
  3. 632kg·m
  4. 641kg·m
(정답률: 41%)
  • 1kcal은 4,186J의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kcal의 열을 전부 일로 바꾸면 4,186J의 일이 됩니다.

    1J는 1kg·m^2/s^2의 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4,186J의 일은 4,186kg·m^2/s^2의 일이 됩니다.

    하지만 일의 단위는 kg·m이 아니라 N·m입니다. 따라서 4,186kg·m^2/s^2의 일을 N·m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9.81m/s^2의 중력가속도를 곱해줘야 합니다.

    그러면 4,186kg·m^2/s^2 × 9.81m/s^2 = 41,184.66N·m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kg·m으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N·m을 kg·m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1N은 1kg·m/s^2이므로, 41,184.66N·m은 41,184.66kg·m/s^2의 일이 됩니다.

    하지만 일의 단위는 kg·m이므로, s^2를 나눠줘야 합니다.

    따라서 41,184.66kg·m/s^2 ÷ 9.81s^2 = 4,206.8kg·m이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근사치이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427kg·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증발식 응축기 설계시 1RT당 전열면적은?

  1. 1.3~1.5m2/RT
  2. 3.5~4m2/RT
  3. 5~6.5m2/RT
  4. 7.5~9m2/RT
(정답률: 51%)
  • 증발식 응축기 설계시 전열면적은 냉매의 증발열과 응축열을 전달하기 위한 면적으로, 냉매의 유량과 온도차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1RT당 1.3~1.5m2의 전열면적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적절한 냉매 유속과 증발열 전달을 위한 면적을 보장하기 위한 값으로, 다른 보기들보다 적절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배관에서 3방향으로 유체를 분기하여 나누어 보낼 때 쓰이는 부속품은?

  1. 레듀샤(Reducer)
  2. 소켓(Socket)
  3. 크로스(Cross)
  4. 엘보(Elbow)
(정답률: 63%)
  • 크로스는 4개의 연결구가 있어서 3방향으로 유체를 분기하여 나누어 보낼 때 적합한 부속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2개의 연결구를 가지고 있어서 이용 목적에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스크루우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흡입 및 토출밸브가 없다.
  2. 크랭크샤프트, 피스톤링 등의 마모부분이 없어 고장이 적다.
  3. 냉매의 압력손실이 없어 체적효율이 향상된다.
  4.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소음이 적다.
(정답률: 69%)
  •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소음이 적다는 것은 스크루우 압축기가 빠르게 회전하여 공기를 압축하기 때문에 진동이 적고, 이로 인해 소음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냉매와 윤활유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R-12의 액은 윤활유보다 비중이 크다.
  2. R-12와 윤활유는 혼합이 잘 안 된다.
  3. 암모니아액은 윤활유보다 비중이 크다.
  4. 암모니아액은 R-12보다 비중이 크다.
(정답률: 24%)
  • "R-12의 액은 윤활유보다 비중이 크다." 이유는 R-12가 윤활유보다 분자량이 크기 때문입니다. 분자량이 큰 물질은 같은 부피에서 더 많은 질량을 가지므로 비중이 더 높아집니다. 따라서 R-12의 액은 윤활유보다 비중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난방 열원으로서의 증기와 고온수를 비교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고저가 심하고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낮은 건물의 난방에는 증기가 유리하다.
  2. 고온수 난방방식은 간헐 운전에 적당하다.
  3. 증기난방방식은 부하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다.
  4. 배관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증기를 사용하면 배관지름이 커진다.
(정답률: 46%)
  • 정답: 증기난방방식은 부하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다.

    이유: 증기는 빠른 열전달 속도와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하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증기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은 빠른 온도 조절이 필요한 건물이나 시설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공기조화용 흡입구 중 바닥 밑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은?

  1. 머쉬룸 형
  2. 그릴형
  3. 레지스터
  4. 아네모스스탯형
(정답률: 36%)
  • 머쉬룸 형 흡입구는 바닥 밑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그릇 모양의 디자인으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바닥 밑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공기순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기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조화는 일반적으로 보건용 공기조화와 산업용 공기조화로 대별된다.
  2. 공장, 연구소, 전산실 등과 같은 곳은 보건용 공기조화이다.
  3. 보건용 공조는 실내 인원에 대한 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산업용 공조는 생산 공정이나 물품의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률: 75%)
  • "공장, 연구소, 전산실 등과 같은 곳은 보건용 공기조화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공장, 연구소, 전산실 등은 산업용 공기조화에 해당하며, 생산 공정이나 물품의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보건용 공기조화는 실내 인원에 대한 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류 속에 혼입된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하여 냉각코일이나 에어와셔 출구 쪽에 설치하는 기기는?

  1. 엘리미네이터
  2. 루버
  3. 플러딩 노즐
  4. 바이패스 댐퍼
(정답률: 57%)
  • 엘리미네이터는 기류 속에 혼입된 물방울을 중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냉각코일이나 에어와셔 출구 쪽에 설치하여 물방울을 제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덕트 재료 중에서 고온의 공기 및 가스가 통과 하는 덕트 및 방화댐퍼, 보일러의 연도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1. 열간 압연 박강판
  2. 동판
  3. 알루미늄판
  4. 염화비닐
(정답률: 70%)
  • 고온의 공기 및 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및 방화댐퍼, 보일러의 연도 등에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요구되며, 높은 온도에도 변형이 적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재료 중에서 열간 압연 박강판은 강도가 높고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습니다. 따라서 열간 압연 박강판은 고온의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덕트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댐퍼 중 기본적인 기능이 다른 하나는?

  1. 버터플라이 댐퍼
  2. 루버 댐퍼
  3. 대향익형 루버 댐퍼
  4. 피벗 댐퍼
(정답률: 43%)
  • 피벗 댐퍼는 다른 댐퍼와 달리 회전축이 있어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댐퍼와는 달리 회전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실내온도 20℃, 외기온도 5℃, 열관류율 4kcal/m2h℃, 벽체의 두께가 150㎜인 사무실의 벽 면적이 20m2일 때 벽면의 열손실량은?

  1. 1,000kcal/h
  2. 1,100kcal/h
  3. 1,200kcal/h
  4. 1,300kcal/h
(정답률: 50%)
  • 벽면의 열손실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열손실량 = 열관류율 × 벽면적 × (실내온도 - 외기온도) × 시간

    여기서 벽면적은 20m2이고, 시간은 1시간으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열손실량 = 4kcal/m2h℃ × 20m2 × (20℃ - 5℃) × 1시간
    = 4kcal/m2h℃ × 20m2 × 15℃ × 1시간
    = 1,200kcal/h

    따라서, 정답은 "1,200kcal/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공기 공조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2. 청정도 제어가 용이하다.
  3. 동절기 가습이 용이하다.
  4.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정답률: 49%)
  • 개별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은 각각의 공간마다 온도, 습도, 공기흐름 등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공간을 최적화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개별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은 전공기 공조방식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팬코일 유닛방식((fan coil unit system)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바르지 않는 것은?

  1. 고도의 실내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2. 부하 증가시 유닛 증설만으로 대처할 수 있다.
  3. 다수 유닛이 분산 설치되어 관리보수가 어렵다.
  4. 각 유닛마다 조절할 수 있어 개별 제어에 적합하다.
(정답률: 41%)
  • "다수 유닛이 분산 설치되어 관리보수가 어렵다."가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팬코일 유닛방식은 각각의 유닛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각 유닛마다 조절할 수 있어 개별 제어에 적합합니다. 또한 부하 증가시 유닛 증설만으로 대처할 수 있어 유연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공기청정 필터를 장착하여 고도의 실내 청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복사난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복사열에 의해 쾌감도가 높다.
  2. 실내온도의 고른 분포가 가능하다.
  3. 실온이 낮아도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외기에 따른 방열량 조절이 쉽다.
(정답률: 67%)
  • 복사난방은 복사열에 의해 쾌감도가 높아지고, 실내온도의 고른 분포가 가능하며, 실온이 낮아도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외기에 따른 방열량 조절이 쉽지 않은데, 이는 복사열이 직접적으로 외부와 연관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부 온도나 기상 조건에 따라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송풍기의 종류 중 축류형 송풍기는?

  1. 다익형
  2. 터보형
  3. 플로펠러형
  4. 리밋로드형
(정답률: 59%)
  • 축류형 송풍기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송풍기를 말합니다. 이 중 플로펠러형 송풍기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개 모양의 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움직입니다. 따라서 축류형 송풍기 중 플로펠러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일러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로 급수로부터 소요증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기준상태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환산증발량이라는 것이 있다. 다음 중 환산증발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00℃의 포화수를 100℃의 건포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증발량을 환산한 것
  2. 37.8℃의 포화수를 100℃의 건포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증발량을 환산한 것
  3. 100℃의 포화수를 소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증발량을 환산한 것
  4. 37.8℃의 포화수를 소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증발량을 환산한 것
(정답률: 47%)
  • 정답은 "100℃의 포화수를 100℃의 건포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증발량을 환산한 것"입니다. 이는 보일러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일러가 실제로 발생시키는 소요증기의 양을 환산하여 표시한 것입니다. 이 때 기준은 100℃의 포화수를 100℃의 건포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량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보일러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난방부하 계산시 여유율를 고려하여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 부하는?

  1. 유리를 통한 전도열
  2. 도입 외기부하
  3. 조명부하
  4. 벽체의 축열부하
(정답률: 45%)
  • 여유율은 난방 설비의 운전 중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여 추가적인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계산시에는 여유율을 고려하여 계산하지 않는 부하를 선택해야 합니다. 조명부하는 난방 설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여유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부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명부하는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기 선도에 관한 아래 도표를 보고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도표 중 f점은 습공기의 습구온도를 표시한다.
  2. 도표 중 c점은 습공기의 노점온도를 읽는 점이다.
  3. 도표 중 곡선 a는 습공기의 절대습도를 읽는 점이다.
  4. 도표 중 직선 b는 습공기의 비체적을 읽는 선이다.
(정답률: 57%)
  • 습공기의 비체적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하므로, 도표 중 직선 b는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비체적을 읽을 수 있는 선이다. 따라서 정답은 "도표 중 직선 b는 습공기의 비체적을 읽는 선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실내의 취득 현열량을 구하였더니 30,000kcal/h, 잠열이 10,000kcal/h이었다. 실내를 25℃, 50%로 유지하기 위해 취출온도 차 10℃로 송풍하고자 한다. 이 때의 현열비는?

  1. 0.7
  2. 0.75
  3. 0.8
  4. 0.85
(정답률: 58%)
  • 현열비는 취득 현열량과 잠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현열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취득 현열량과 잠열을 더한 값으로부터 현열비를 계산해야 한다.

    취득 현열량과 잠열을 더한 값은 30,000 + 10,000 = 40,000kcal/h 이다.

    송풍으로 인해 취출온도 차가 10℃가 되므로, 실내에서 취출되는 열의 양은 40,000 x 0.1 = 4,000kcal/h 이다.

    따라서 현열비는 30,000 / 4,000 = 7.5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현열비는 0.7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