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7-21)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3-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연삭기 숫돌의 파괴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
  2. 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3. 숫돌의 치수가 부적당할 때
  4. 숫돌 자체에 균열이 있을 때
(정답률: 86%)
  •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는 연삭 작업이 더디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괴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숫돌의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리거나 부적절한 작업으로 인해 숫돌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져 파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지급되는 보호구를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작업조건에 맞는 보호구로 올바른 것은?

  1. 용접시 불꽃 또는 물체가 날아 흩어질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면
  2.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감전되거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대
  3. 감전의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4.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 방한복
(정답률: 76%)
  • "용접시 불꽃 또는 물체가 날아 흩어질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면"은 용접 작업 시 불꽃이나 물체가 날아다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얼굴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호구입니다. 보안면은 얼굴과 머리를 완전히 가리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방폭 전기설비를 선정할 경우 중요하지 않은 것은?

  1. 대상가스의 종류
  2. 방호벽의 종류
  3.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4. 발화도
(정답률: 79%)
  • 방폭 전기설비를 선택할 때 중요한 것은 대상가스의 종류,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발화도 등과 같은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입니다. 하지만 방호벽의 종류는 전기설비의 방폭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은 요소입니다. 따라서 방호벽의 종류는 방폭 전기설비를 선택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가스장치실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구조에 대한 내용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벽에는 불연성 재료를 사용할 것
  2. 지붕과 천장에는 가벼운 불연성재료를 사용할 것
  3. 가스가 누출된 경우에는 그 가스가 정체되지 않도록 할 것
  4. 방음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률: 89%)
  • 가스장치실은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음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주변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소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의 취급상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밸브는 녹이 생겼을 때 잘 열리지 않으므로 그리스 등 기름을 발라둔다.
  2. 용기밸브의 개폐는 천천히 하며, 산소누출여부 검사는 비눗물을 사용한다.
  3. 용기밸브가 얼어서 녹일 경우에는 약 40℃정도의 따뜻한 물로 녹여야 한다.
  4. 산소용기는 눕혀두거나 굴리는 등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87%)
  • "용기밸브는 녹이 생겼을 때 잘 열리지 않으므로 그리스 등 기름을 발라둔다."가 틀린 것이다. 용기밸브에 그리스나 기름을 발라두면 산소와 접촉할 때 발화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발라두면 안 된다. 따라서 이 항목은 오히려 위험한 행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정 작업 시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시 보호구를 착용한다.
  2. 열처리 한 것은 정 작업을 하지 않는다.
  3. 공구의 사용전 이상 유무를 반드시 확인한다.
  4. 정의 머리 부분에는 기름을 칠해 사용한다.
(정답률: 93%)
  • 정의 머리 부분에 기름을 칠해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은 안전수칙입니다. 이는 기름이 미끄러워져 작업 도중에 정이 미끄러져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의 머리 부분은 깨끗하게 유지하고, 기름 등의 미끄러운 물질이 묻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발화온도가 낮아지는 조건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발열량이 높을수록
  2. 압력이 낮을수록
  3. 산소농도가 낮을수록
  4. 열전도도가 낮을수록
(정답률: 73%)
  • 발열량이 높을수록 발화시에 방출되는 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주변 온도가 높아져 발화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발열량이 낮아지면 발화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술적 대책이 될 수 없는 것은?

  1. 안전기준의 설정
  2. 정신교육의 강화
  3. 작업공정의 개선
  4. 환경설비의 개선
(정답률: 86%)
  • 정신교육의 강화는 기술적인 대책이 아니라 인적인 요소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기술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인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정신교육의 강화는 기술적인 대책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기술적인 대책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고 발생의 원인 중 정신적 요인에 해당되는 항목으로 맞는 것은?

  1. 불안과 초조
  2. 수면부족 및 피로
  3. 이해부족 및 훈련미숙
  4. 안전수칙의 미 제정
(정답률: 89%)
  • 사고 발생 시 불안과 초조한 상태에서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판단력이 저하되어 위험한 상황에서도 적극적인 대처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신적인 요인 중 불안과 초조가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안전모를 착용하는 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감전의 위험방지
  2. 추락에 위한 위험경감
  3. 물체의 낙하에 의한 위험방지
  4. 분진에 의한 재해방지
(정답률: 80%)
  • 안전모는 주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지만, 분진에 의한 재해방지를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분진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작은 입자들을 말하며, 건설 현장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진은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거나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전모를 착용하여 머리뿐만 아니라 얼굴과 목도 보호하면서 분진에 의한 재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진에 의한 재해방지는 안전모를 착용하는 목적과 관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전기의 예방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설비 주변에 적외선을 쪼인다.
  2. 적정 습도를 유지해 준다.
  3. 설비의 금속 부분을 접지한다.
  4. 대전 방지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83%)
  • "설비 주변에 적외선을 쪼인다."는 정전기 예방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정전기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적외선은 열을 방출하는데, 이는 곧 전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외선을 쪼이는 것은 오히려 정전기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은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냉동기의 기동전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토출밸브는 완전히 닫고 가동한다.
  2. 압축기의 유면을 확인한다.
  3. 액관 중에 있는 전자밸브의 작동을 확인한다.
  4. 냉각수 펌프의 작동 유·무를 확인한다.
(정답률: 86%)
  • "토출밸브는 완전히 닫고 가동한다."가 틀린 것은, 냉동기의 기동 전에는 토출밸브를 열어놓고 가동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냉매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재해 발생 중 사람이 건축물, 비계, 기계, 사다리, 계단 등에서 떨어지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괴
  2. 낙하
  3. 비래
  4. 추락
(정답률: 90%)
  • 정답: 추락

    추락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람이 건축물, 비계, 기계, 사다리, 계단 등에서 떨어지는 것을 추락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일러 압력계의 최고눈금은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 이상 지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가?

  1. 0.5 배
  2. 0.75 배
  3. 1.0 배
  4. 1.5 배
(정답률: 79%)
  • 보일러 압력계의 최고눈금은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의 1.5 배 이상 지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보일러의 최대압력이나 과부하 상황에서도 압력계가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1.5 배가 더 큰 범위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은 "1.5 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압 전선이 단선된 것을 발견하였을 때 어떠한 조치가 가장 안전한 것인가?

  1. 위험표시를 하고 돌아온다.
  2. 사고사항을 기록하고 다음 장소의 순찰을 계속한다.
  3. 발견 즉시 회사로 돌아와 보고한다.
  4. 통행의 접근을 막는 조치를 한다.
(정답률: 91%)
  • 고압 전선이 단선된 경우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생명에 위협이 있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조치는 통행의 접근을 막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전선 근처에 가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그 후에는 사고사항을 기록하고 회사로 보고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프레온 냉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누설되어 식품 등과 접촉하면 품질을 떨어뜨린다.
  2.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연소되지 않는다.
  3. 전기절연성이 양호하다.
  4. 비열비가 작아 압축기를 공냉식으로 할 수 있다.
(정답률: 61%)
  • "누설되어 식품 등과 접촉하면 품질을 떨어뜨린다."가 틀린 것은 프레온 냉매가 식품 등과 접촉해도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프레온 냉매는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연소되지 않으며 전기절연성이 양호하며 비열비가 작아 압축기를 공냉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1. AND회로
  2. OR회로
  3. NOT회로
  4. NAND회로
(정답률: 63%)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OR(OR gate)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흡입관경이 20mm(7/8'') 이하일 대 감온통의 부착 위치로 적당한 것은? (단, [보기] 표시가 감온통임)

(정답률: 77%)
  • 감온통은 흡입관경이 작을수록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20mm(7/8'') 이하인 경우에는 가장 작은 흡입관경인 12mm(1/2'')에 부착되는 ""이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기호 중 정압식 자동팽창 밸브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5%)
  • 정압식 자동팽창 밸브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밸브입니다. 이를 나타내는 그림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밸브의 위쪽에 있는 작은 원은 압력계를 나타내고, 밸브의 아래쪽에 있는 큰 원은 탱크나 파이프 안에 있는 공기를 나타냅니다. 밸브의 왼쪽에 있는 화살표는 공기가 들어가는 방향을 나타내며, 오른쪽에 있는 작은 원은 자동팽창 장치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밸브가 설계된 이유는 공기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포밍(oil foaming)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1. 오힐해머(oil hammer)의 우려가 있다.
  2. 응축기, 증발기 등에 오일이 유입되어 전열효과를 증가시킨다.
  3. 크랭크케이스 내에 오일부족현상을 초래한다.
  4. 오일포밍을 방지하기 위해 크랭크케이스 내에 히터를 설치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응축기, 증발기 등에 오일이 유입되어 전열효과를 증가시킨다."입니다. 이유는 냉동장치에서는 오일이 냉매와 함께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오일이 응축기나 증발기 등에 유입되면 냉매와 함께 순환하는 양이 증가하게 되어 전열효과가 증가합니다. 이는 냉동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오일포밍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오일의 유입을 막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서로 친화력을 가진 두 물질의 용해 및 유리작용을 이용하여 압축효과를 얻는 냉동법은 어느 것인가?

  1. 증기압축식 냉동법
  2. 흡수식 냉동법
  3. 증기분사식 냉동법
  4. 전자냉동법
(정답률: 67%)
  • 흡수식 냉동법은 서로 친화력을 가진 물질인 냉매와 냉동제를 이용하여 압축효과를 얻는 냉동법입니다. 냉매가 냉동제를 흡수함으로써 압축효과를 얻게 되며, 이 과정에서 열이 흡수되어 냉동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흡수식"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회전식 압축기에서 회전식 베인형의 베인은 어떻게 회전하는가?

  1. 무게에 의하여 실린더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2. 고압에 의하여 실린더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3. 스프링 힘에 의하여 실린더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4.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정답률: 85%)
  • 회전식 압축기에서 회전식 베인형의 베인은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에 밀착되어 회전합니다. 이는 베인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이 실린더 벽면에 작용하여 베인이 실린더 벽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심력은 회전 중인 물체에 대해 중심축에서 벗어난 물체가 회전 중심 방향으로 밀려나는 힘으로, 회전식 압축기에서는 이 원심력을 이용하여 베인이 실린더 벽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냉동능력이 40냉동톤인 냉동장치의 수직형 쉘 엔드 튜브 응축기에 필요한 냉각수량은 약 얼마인가? (단, 응축기 입구 온도는 23℃이며, 응축기 출구 온도는 28℃이다.)

  1. 51870(L/h)
  2. 43200(L/h)
  3. 38844(L/h)
  4. 34528(L/h)
(정답률: 3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동결점이 최저로 되는 용액의 농도를 공융농도라 하고 이때의 온도를 공융온도라 하는데, 다음 브라인 중에서 공융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염화칼슘
  2. 염화나트륨
  3. 염화마그네슘
  4. 에틸렌글리콜
(정답률: 67%)
  • 염화칼슘은 다른 용액들보다 더 많은 입자들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농도가 높아 공융온도가 가장 낮습니다. 이에 반해,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에틸렌글리콜은 농도가 낮아 공융온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대의 압축기를 이용해 저온의 증발 온도를 얻으려 할 경우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어 2단 압축 방식을 택한다. 1단 압축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기의 과열
  2. 냉동능력 증가
  3. 체적 효율 감소
  4. 성적계수 저하
(정답률: 71%)
  • 압축기의 과열은 1단 압축으로 인해 압축기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문제이며, 체적 효율 감소는 압축기 내부의 공기가 압축됨에 따라 체적이 줄어들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성적계수 저하는 압축기의 효율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냉동능력 증가가 1단 압축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아닙니다. 2단 압축 방식은 1단 압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냉동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채택하는 방식입니다. 2단 압축으로 인해 압축된 공기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져 냉동능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할로겐화탄화수소 냉매가 아닌 것은?

  1. R – 114
  2. R - 115
  3. R – 134a
  4. R - 717
(정답률: 67%)
  • R-717은 할로겐화탄화수소 냉매가 아닌, 즉 암모니아 냉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R-114, R-115, R-134a는 모두 할로겐화탄화수소 냉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냉동 사이클에서 이론적 성적계수가 5.0일 때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는 얼마인가?

  1. 17.8 kcal/kg
  2. 138.9 kcal/kg
  3. 19.5 kcal/kg
  4. 155.8 kcal/kg
(정답률: 44%)
  • 냉동 사이클에서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는 이론적 성적계수와 증발기 입구 상태점의 엔탈피 차이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증발기 입구 상태점의 엔탈피와 이론적 성적계수를 이용하여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를 계산해야 합니다.

    증발기 입구 상태점의 엔탈피는 138.9 kcal/kg입니다. 이론적 성적계수는 5.0이므로, 증발기 출구 상태점의 엔탈피는 138.9 + (138.9/5.0) = 167.7 kcal/kg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는 증발기 출구 상태점의 엔탈피에서 압축기의 압축 작업에 의해 추가된 엔탈피를 뺀 값이 됩니다. 이 압축 작업에 의해 추가된 엔탈피는 167.7 - 17.8 = 149.9 kcal/kg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는 149.9 - 19.5 = 130.4 kcal/kg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네 개의 선택지 중에서 정답이 "155.8 kcal/kg"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거나, 문제에서 제시한 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동적(動的)평형이 양호하여 진동이 적고 운전이 정숙하다.
  2. 압축비가 증가하여도 체적효율이 감소하지 않는다.
  3. 냉동능력에 비해 압축기가 작아서 설치면적이 작아진다.
  4. 부품의 교환이 간단하고 수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43%)
  • 압축비가 증가하여도 체적효율이 감소하지 않는 것은, 고속다기통 압축기가 고속 회전으로 인해 공기를 빠르게 압축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압축기 내부의 공기가 빠르게 이동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이 압축된 공기에 전달되어 압축비가 증가해도 체적효율이 감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속다기통 압축기는 작은 크기로도 높은 압축비를 유지할 수 있어 설치면적이 작아지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만액식 증발기의 전열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은?

  1. 냉각관이 냉매액에 잠겨있거나 접촉해 있을 것
  2. 증발기 관에 핀(fin)을 부착할 것
  3. 평균 온도차가 작고 유속이 빠를 것
  4. 유막이 없을 것
(정답률: 65%)
  • 평균 온도차가 작으면 열전달이 적어져서 전열이 좋아지지 않고, 유속이 빠르면 냉매액이 증발기를 빨리 통과하여 열전달이 충분하지 않아 전열이 좋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균 온도차가 크고 유속이 적당한 것이 전열을 좋게 하는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증발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식 증발기는 냉매액의 순환량이 많아 액분리가 필요하다.
  2. 프레온을 사용하는 만액식 증발기에서 증발기내 오일이 체류할 수 있으므로 유회수 장치가 필요하다.
  3. 반 만액식 증발기는 냉매액이 건식보다 많아 전열이 양호하다.
  4. 건식 증발기는 주로 공기냉각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48%)
  • "건식 증발기는 냉매액의 순환량이 많아 액분리가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건식 증발기는 냉매액이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액분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식 증발기는 냉매액의 순환량이 많아 액분리가 필요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열펌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저온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부에서 열을 방출한다.
  2. 성적계수는 냉동기 성적계수보다 압축소요동력 만큼 낮다.
  3. 제빙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4. 성적계수는 증발온도가 높고, 응축온도가 낮을수록 작다.
(정답률: 64%)
  • 열펌프는 열을 이동시키는 장치로, 저온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부에서 열을 방출합니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열이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펌프는 저온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부에서 열을 방출하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무기질 단열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코르크
  2. 유리섬유
  3. 암면
  4. 규조토
(정답률: 61%)
  • 코르크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기질 단열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유리섬유, 암면, 규조토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기질 단열재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냉동기유의 구비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적당한 점도를 가지며, 유막형성 능력이 뛰어날 것
  2. 인화점이 충분히 높아 고온에서도 변하지 않을 것
  3. 밀폐형에서 사용하는 것은 전기절연도가 클 것
  4. 냉매와 접촉하여도 화학반응을 하지 않고, 냉매와의 분리가 어려운 것
(정답률: 76%)
  • "냉매와 접촉하여도 화학반응을 하지 않고, 냉매와의 분리가 어려운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냉동기유는 냉매와 함께 사용되며, 냉매와의 반응이나 분리가 어려워야 효과적으로 냉매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냉동기유는 냉매와의 호환성이 중요한데, 냉매와의 반응이나 분리가 쉬운 경우 냉매의 특성이 변화하여 냉동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동기유는 냉매와의 호환성이 높아야 하며, 냉매와의 반응이나 분리가 어려워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냉동장치의 흡입관 시공 시 흡입관의 입상이 매우 길 때에는 약 몇 m 마다 중간에 트랩을 설치하는가?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73%)
  • 냉동장치의 흡입관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를 압축기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흡입관의 입상이 매우 길 경우, 흡입관 내부에 냉매가 응축되어 흡입관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흡입관의 중간에 트랩을 설치합니다. 이 트랩은 냉매가 응축되어 흡입관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흡입관의 입상이 10m 이상일 경우, 약 10m 마다 중간에 트랩을 설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압축기 보호장치 중 고압차단 스위치(HPS)의 작동압력은 정상적인 고압에 몇 kgf/cm2 정도 높게 설정하는가?

  1. 1
  2. 4
  3. 10
  4. 25
(정답률: 70%)
  • 압축기 보호장치 중 고압차단 스위치(HPS)는 압축기 내부의 고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작동하여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HPS의 작동압력은 정상적인 고압에 비해 약 4kgf/cm2 정도 높게 설정됩니다. 이는 압축기가 일시적으로 고압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도 HPS가 작동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브라인을 사용할 때 금속의 부식방지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브라인 pH를 7.5~8.2정도로 유지 한다.
  2. 방청제를 첨가 한다.
  3. 산성이 강하면 가성소다로 중화시킨다.
  4. 공기와 접촉시키고, 산소를 용입시킨다.
(정답률: 84%)
  • 공기와 접촉시키고, 산소를 용입시키는 것은 금속의 부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부식방지법으로 맞지 않습니다. 산소는 금속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일으키고, 이는 금속의 부식을 가속화시킵니다. 따라서 브라인을 사용할 때는 공기와 접촉시키지 않고, 산소를 용입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냉동관련 설명에 대한 내용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1 Btu란 물 1lb를 1˚F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2. 1 kcal란 물 1kg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3. 1 Btu는 3.968 kcal에 해당된다.
  4. 기체에서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크다.
(정답률: 61%)
  • 잘못된 내용은 "1 Btu는 3.968 kcal에 해당된다." 입니다. 실제로는 1 Btu는 0.252 kcal에 해당됩니다.

    이유는 Btu와 kcal은 서로 다른 열량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Btu는 영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열량 단위이며, kcal은 국제단위계에서 사용되는 열량 단위입니다. 따라서 두 단위 간에는 변환 계수가 필요합니다.

    1 Btu = 252 cal = 0.252 kcal

    따라서 1 Btu는 0.252 kcal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00V 교류 전원에 1kW 배연용 송풍기를 접속하였더니 15A의 전류가 흘렀다. 이 송풍기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1. 0.57
  2. 0.67
  3. 0.77
  4. 0.87
(정답률: 61%)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이고, 피상전력은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전력입니다. 역률이 높을수록 유효전력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류와 전압을 알고 있으므로 피상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상전력 = 전압 x 전류 = 100V x 15A = 1500W

    유효전력은 1kW 이므로 역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역률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1kW / 1.5kW = 0.67

    따라서, 정답은 "0.6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핀 튜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 외측에 부착한다.
  2. 증발기에 핀 튜브를 사용하는 것은 전열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3. 핀은 열전달이 나쁜 유체 쪽에 부착한다.
  4.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 내측에 부착한다.
(정답률: 60%)
  • 정답: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 내측에 부착한다."

    핀 튜브는 열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디자인으로, 핀은 열전달이 좋은 유체(냉각수) 쪽에 부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 "핀은 열전달이 나쁜 유체 쪽에 부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핀 튜브는 증발기나 콘덴서 등에서 사용되며, 냉매가 흐르는 쪽과 냉각수가 흐르는 쪽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 "관내에 냉각수, 관외부에 프레온 냉매가 흐를 때 관 내측에 부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동 사이클의 구성 순서가 바른 것은?

  1. 증발 → 응축 → 팽창 → 압축
  2. 압축 → 응축 → 증발 → 팽창
  3.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
  4. 팽창 → 압축 → 증발 → 응축
(정답률: 76%)
  •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때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압력과 온도가 상승하고, 이어서 응축기에서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액체 상태로 변합니다. 그리고 팽창기에서 냉매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냉매의 온도가 더욱 낮아지고, 마지막으로 증발기에서 냉매가 기계나 공간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 상태로 변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 순서는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의 동결잠열은 얼마인가?

  1. 79.68 kJ/kg
  2. 632 kJ/kg
  3. 333.62 kJ/kg
  4. 0.5 kJ/kg
(정답률: 48%)
  •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온도는 0℃로 유지되면서 상태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때, 물의 상태가 고체로 변하는 것을 동결이라고 합니다. 동결과정에서 물의 분자들은 서로 떨어져서 얼음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 분자들이 방출하는 열을 동결잠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의 동결잠열은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열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 값은 333.62 kJ/kg입니다. 이 값은 정확하게 측정된 값으로, 물의 온도와 압력 등의 조건이 일정할 때 얼음 생성에 필요한 열의 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축기의 축봉장치에서 슬립 링형 축봉장치의 종류에 속하는 것은?

  1. 소프트 패킹식
  2. 메탈릭 패킹식
  3. 스터핑 박스식
  4. 금속 벨로우즈식
(정답률: 60%)
  • 금속 벨로우즈식은 압축기의 축봉을 고정하는 장치로, 벨로우즈(금속 팽창 관)를 이용하여 축봉을 고정합니다. 이는 슬립 링형 축봉장치의 종류 중 하나로, 축봉과 벨로우즈 사이에는 패킹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누설이 적습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동관작업에 필요하지 않는 공구는?

  1. 튜브 벤더
  2. 사이징 툴
  3. 플레어링 툴
  4. 클립
(정답률: 83%)
  • 동관작업은 파이프나 튜브를 구부리거나 접합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튜브 벤더, 사이징 툴, 플레어링 툴은 모두 동관작업에 필요한 공구입니다. 그러나 클립은 동관작업과는 관련이 없는 공구로, 정답입니다. 클립은 보통 종이나 문서를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냉동능력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kcal/kg·m2
  2. kJ/h
  3. m3/h
  4. kcal/kg℃
(정답률: 64%)
  • 냉동능력은 일정한 시간 동안 냉매가 흐르는 양에 의해 흡수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에너지의 단위인 kJ로 표시됩니다. 또한, 냉동능력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시간 단위인 h가 함께 사용됩니다. 따라서 옳은 단위는 "kJ/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냉동기의 정상적인 운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운전관리상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윤활유의 압력, 온도 및 청정도
  2. 냉각수 온도 또는 냉각공기 온도
  3. 정지 중의 소음 및 진동
  4. 압축기용 전동기의 전압 및 전류
(정답률: 76%)
  • 정지 중에는 냉동기의 운전 상태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정지 중의 소음 및 진동은 운전관리상 검토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지 중의 소음 및 진동"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실내에 있는 사람이 느끼는 더위, 추위의 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수정 유효온도의 주요 요소는?

  1. 기온, 습도, 기류, 복사열
  2. 기온, 기류, 불쾌지수, 복사열
  3. 기온, 사람의 체온, 기류, 복사열
  4. 기온, 주위의 벽면온도, 기류, 복사열
(정답률: 79%)
  • 실내의 온도와 습도는 사람의 체감 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기류는 공기의 움직임에 따라 체감 온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또한, 복사열은 물체나 벽면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의미하며, 이 열이 사람의 체감 온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온, 습도, 기류, 복사열은 모두 실내의 온도와 습도, 공기의 움직임, 그리고 주변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양 등과 관련이 있어서 실내의 더위, 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송풍기의 법칙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동력은 회전속도비의 2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2. 풍량은 회전속도비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3. 압력은 회전속도비의 2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4. 풍량은 송풍기 크기비의 3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정답률: 41%)
  • 잘못된 것은 "풍량은 송풍기 크기비의 3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입니다.

    송풍기의 법칙에서 동력은 회전속도비의 2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는 것은,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두 배로 높이면 동력은 네 배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전운동의 운동에너지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풍량은 회전속도비에 비례하여 변화하며, 이는 회전속도가 높아질수록 공기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압력도 마찬가지로 회전속도비의 2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실내 냉방시 현열부하가 8000kcal/h인 실내를 26℃로 냉방하는 경우 20℃의 냉풍으로 송풍하면 필요한 송풍량은 약 몇 m3/h 인가? (단, 공기의 비열은 0.24kcal/kg℃이며, 비중량은 1.2kg/m3이다.)

  1. 2893
  2. 4630
  3. 5787
  4. 9260
(정답률: 52%)
  • 냉방시 현열부하가 8000kcal/h 이므로, 1시간에 8000kcal의 열을 제거해야 한다.

    공기의 비열이 0.24kcal/kg℃ 이므로, 1kg의 공기가 1℃ 온도가 내려갈 때 필요한 열량은 0.24kcal이다.

    따라서, 1시간에 제거해야 할 열량을 공기의 비열로 나누면 필요한 공기의 양을 구할 수 있다.

    8000kcal/h ÷ 0.24kcal/kg℃ = 33333.33kg/h

    하지만, 이는 질량이므로 부피로 변환해야 한다.

    공기의 비중량이 1.2kg/m3 이므로, 1m3의 공기 질량은 1.2kg이다.

    따라서, 필요한 공기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33333.33kg/h ÷ 1.2kg/m3 = 27777.78m3/h

    하지만, 이는 20℃의 공기를 사용한 경우이므로, 26℃의 공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냉각 효과가 떨어지므로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630" 인 이유는, 20℃의 공기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공기의 부피를 27777.78m3/h 로 계산하고, 이를 26℃의 공기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공기의 부피로 보정한 값이 "4630" 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체의 역류방지용으로 가장 적당한 밸브는?

  1. 게이트 밸브(gate valve)
  2. 글로브 밸브(globe valve)
  3. 앵글 밸브(angle valve)
  4. 체크 밸브(check valve)
(정답률: 77%)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 밸브로, 역류방지 기능이 있습니다. 다른 밸브들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지만, 역류방지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체의 역류방지용으로 가장 적당한 밸브는 체크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냉방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외벽 부분의 단열화
  2. 유리창 면적의 증대
  3. 틈새바람의 차단
  4. 조명기구 설치축소
(정답률: 72%)
  • 유리창 면적의 증대는 냉방부하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유리창은 태양열을 통해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면적이 증가하면 냉방기가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실내를 냉각해야 합니다. 따라서 유리창 면적을 줄이는 것이 냉방부하를 줄이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덕트 시공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덕트의 단면적비가 75% 이하의 축소부분은 압력손실을 적게하기 위해 30˚ 이하(고속덕트 에서는 15˚이하)로 한다.
  2. 덕트의 단면변화 시 정해진 각도를 넘을 경우에는 가이드 베인을 설치한다.
  3. 덕트의 단면적비가 75% 이하의 확대부분은 압력손실을 적게하기 위해 15˚ 이하(고속덕트 에서는 8˚이하)로 한다.
  4. 덕트의 경로는 될 수 있는 한 최장거리로 한다.
(정답률: 79%)
  • "덕트의 경로는 될 수 있는 한 최장거리로 한다."가 잘못된 내용이다. 덕트 시공에서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공기 이동을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최장거리로 설계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비용과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기조화기의 열원장치에 사용되는 온수보일러의 개방형 팽창탱크에 설치되지 않는 부속설비는?

  1. 통기관
  2. 수위계
  3. 팽창관
  4. 배수관
(정답률: 52%)
  • 열원장치에 사용되는 온수보일러의 개방형 팽창탱크는 물의 팽창과 수축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 때, 수위계는 탱크 내부의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요한 부속설비입니다. 따라서, 수위계가 설치되지 않으면 탱크 내부의 물의 수위를 파악할 수 없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환기방식 중 환기의 효과가 가장 낮은 환기법은?

  1. 제1종 환기
  2. 제2종 환기
  3. 제3종 환기
  4. 제4종 환기
(정답률: 75%)
  • 제4종 환기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외부 공기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지 않기 때문에 환기 효과가 가장 낮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구온도 20℃, 절대습도 0.008kg/kg(DA)인 공기의 비엔탈피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Cp)은 0.24kcal/kg℃, 수증기의 정압비열(Cp)은 0.441kcal/kg℃이다.)

  1. 7 kcal/kg(DA)
  2. 8.3 kcal/kg(DA)
  3. 9.6 kcal/kg(DA)
  4. 11 kcal/kg(DA)
(정답률: 39%)
  • 비엔탈피는 공기의 엔탈피와 수증기의 엔탈피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공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Cp * T

    여기서 Cp는 공기의 정압비열, T는 공기의 온도이다.

    따라서, 공기의 엔탈피는

    H_air = 0.24 * 20 = 4.8 kcal/kg(DA)

    수증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Cp * T + Lv

    여기서 Cp는 수증기의 정압비열, T는 수증기의 온도, Lv는 수증기의 증발열이다.

    절대습도가 0.008kg/kg(DA)이므로, 수증기의 질량은 0.008kg이다.

    수증기의 온도는 공기의 온도와 같으므로 20℃이다.

    수증기의 증발열은 597.3 kcal/kg(DA)이다.

    따라서, 수증기의 엔탈피는

    H_water = 0.441 * 20 + 597.3 = 605.7 kcal/kg(DA)

    따라서, 비엔탈피는

    H = H_air + H_water = 4.8 + 605.7 = 610.5 kcal/kg(DA)

    정답은 "9.6 kcal/kg(DA)"이다. 이는 단순히 610.5를 63.5(공기와 수증기의 질량 비율)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개별공조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2. 실내유닛이 분리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소음과 진동이 크다.
  3. 취급이 용이하며, 국소운전이 가능하다.
  4. 외기냉방이 용이하다.
(정답률: 76%)
  • 외기냉방이 용이하다는 것은 개별공조시스템에서 외부 공기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냉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별공조시스템은 각각의 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를 이용한 냉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역 환수(reverse return)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환수량을 늘리기 위하여
  2. 배관으로 인한 마찰저항이 균등해 지도록 하기 위하여
  3. 온수 귀환관을 가장 짧은 거리로 배관하기 위하여
  4.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50%)
  • 배관으로 인한 마찰저항이 균등해 지도록 하면, 역 환수 방식에서 물이 흐르는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율적인 열전달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열손실을 줄이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일러의 종류에 따른 전열면적당 증발량으로 틀린 것은?

  1. 노통보일러 : 45~65(kgf/m2·h) 정도
  2. 연관보일러 : 30~65(kgf/m2·h) 정도
  3. 입형보일러 : 15~20(kgf/m2·h) 정도
  4. 노통연관보일러 : 30~60(kgf/m2·h) 정도
(정답률: 48%)
  • "노통보일러 : 45~65(kgf/m2·h) 정도"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른 보일러들과 비교하여 증발량이 높은 편에 속하며, 이는 노통보일러가 연소 시에 고온과 고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통보일러는 대규모 건물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되며, 다른 보일러들보다 높은 증발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팬형가습기(증발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팬속의 물을 강제적으로 증발시켜 가습한다.
  2. 가습장치 중 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가습량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
  3. 가습의 응답속도가 느리다.
  4. 패키지형의 소형 공조기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58%)
  • "팬형가습기(증발식)"은 팬속의 물을 강제적으로 증발시켜 가습하는 방식이며, 가습장치 중 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가습량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팬속의 속도를 조절하여 가습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습의 응답속도가 느리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기 가열코일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열 코일
  2. 습 코일
  3. 증기 코일
  4. 온수 코일
(정답률: 63%)
  • 습 코일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된 표면에 수분이 응축되어 물이 되어 빠져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코일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중 덕트 공기조화 방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열매체가 공기이므로 실온의 응답이 빠르다.
  2. 혼합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없으므로 운전비가 적게 든다.
  3. 실내습도의 제어가 어렵다.
  4. 실내부하에 따라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