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0-12)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3-10-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산업재해 원인분류 중 직접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불안전한 행동
  2. 안전보호장치 결함
  3. 작업자의 사기의욕 저하
  4. 불안전한 환경
(정답률: 73%)
  • 작업자의 사기의욕 저하는 산업재해 원인분류 중 직접원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작업자의 개인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작업 환경이나 조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간접적인 원인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기화재의 소화에 사용하기에 부적당한 것은?

  1. 분말 소화기
  2. 포말 소화기
  3. CO2 소화기
  4. 할로겐 소화기
(정답률: 64%)
  • 포말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와 비슷하지만,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분말을 뿌려서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기화재와 같이 산소가 필요한 화재에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말 소화기는 전기화재의 소화에 사용하기에 부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기설비의 방폭성능 기준 중 용기 내부에 보호구조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함으로써 가연성 가스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한 구조를 말하는 것은?

  1. 내압방폭구조
  2. 유입방폭구조
  3. 압력방폭구조
  4. 안전증방폭구조
(정답률: 54%)
  • 압력방폭구조는 용기 내부에 보호구조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함으로써 가연성 가스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즉, 내부압력을 유지하여 가스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방폭성능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현장에서 위험이 잠재한 곳이나 현존하는 곳에 안전표지를 부착하는 목적으로 적당한 것은?

  1. 작업자의 생산능률을 저하시키기 위함
  2. 예상되는 재해를 방지하기 위함
  3. 작업장의 환경미화를 위함
  4.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키기 위함
(정답률: 92%)
  • 안전표지는 예상되는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부착됩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작업 환경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안전표지는 작업자의 생산능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며, 작업장의 환경미화나 작업자의 피로 경감을 위한 것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별 순서로 맞는 것은?

  1. 불안전한 상태 > 불안전한 행동 > 불가항력
  2. 불안전한 행동 > 불가항력 > 불안전한 상태
  3. 불안전한 상태 > 불가항력 > 불안전한 행동
  4. 불안전한 행동 > 불안전한 상태 > 불가항력
(정답률: 67%)
  • 정답은 "불안전한 행동 > 불안전한 상태 > 불가항력"입니다.

    불안전한 행동은 인간의 행동이나 조작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불안전한 상태는 작업장이나 기계 등의 물리적인 상태가 안전하지 않아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원인입니다. 불가항력은 자연재해나 사회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원인으로, 사람의 행동이나 조작으로는 방지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가 먼저 발생하고, 그 후에 불가항력적인 요인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기의 접지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화재 방지
  2. 설비 증설 방지
  3. 감전 방지
  4. 기기손상 방지
(정답률: 88%)
  • 전기의 접지는 화재, 감전, 기기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설비 증설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설비 증설 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냉동제조의 시설 및 기술기준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냉매설비에는 긴급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제어 장치를 설치할 것
  2. 압축기 최종단에 설치한 안전장치는 3년에 1회 이상 압력 시험을 할 것
  3. 제조설비는 진동, 충격, 부식 등으로 냉매 가스가 누설되지 않을 것
  4. 가연성 가스의 냉동설비 부근에는 작업에 필요한 양 이상의 연소하기 쉬운 물질을 두지 않을 것
(정답률: 88%)
  • 압축기 최종단에 설치한 안전장치는 3년에 1회 이상 압력 시험을 해야하는 이유는 안전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냉매설비에서는 안전장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전장치가 고장나거나 작동하지 않을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장치의 정기적인 점검과 시험은 냉매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3. 폭은 55㎝ 이상으로 할 것
  4.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할 것
(정답률: 73%)
  • 정답은 "폭은 55㎝ 이상으로 할 것"입니다. 이유는 사다리식 통로는 인원이 이동하는 경로로서 충분한 폭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폭이 너무 좁으면 인원의 이동이 제한되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라 폭은 55㎝ 이상으로 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냉동장치의 운전관리에서 운전준비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압축기의 유면을 점검한다.
  2. 응축기의 냉매량을 확인한다.
  3. 응축기, 압축기의 흡입측 밸브를 닫는다.
  4. 전기결선, 조작회로를 점검하고,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정답률: 81%)
  • 응축기와 압축기의 흡입측 밸브를 닫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냉동장치에서 냉매 순환을 막아 작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전준비사항에서는 응축기와 압축기의 흡입측 밸브를 열어두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드라이버 작업 시 유의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1. 드라이버를 정이나 지렛대 대용으로 사용한다.
  2. 작은 공작물은 바이스에 물리지 말고 손으로 잡고 사용한다.
  3. 드라이버의 날끝이 홈의 폭과 길이가 같은 것을 사용한다.
  4. 전기작업 시 금속부분이 자루 밖으로 나와 있어 전기가 잘 통하는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정답률: 82%)
  • 드라이버의 날끝이 홈의 폭과 길이가 같은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드라이버와 나사의 연결 부분이 정확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나사를 더욱 정확하고 강력하게 조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안전모가 내전압성을 가졌다는 말은 최대 몇 볼트의 전압에 견디는 것을 말하는가?

  1. 600V
  2. 720V
  3. 1,000V
  4. 7,000V
(정답률: 71%)
  • 안전모가 내전압성을 가졌다는 것은 최대 7,000V의 전압에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안전모가 전기 충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이보다 낮은 전압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공구에 의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내용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결함이 없는 공구를 사용할 것
  2. 작업에 꼭 알맞은 공구가 없을 시에는 유사한 것을 대용할 것
  3. 사용 전에 충분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익히도록 할 것
  4. 공구는 사용 후 일정한 장소에 정비·보관할 것
(정답률: 91%)
  • 작업에 꼭 알맞은 공구가 없을 시에 유사한 것을 대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공구는 그것이 사용되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유사한 공구를 사용하면 작업 중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작업에 꼭 알맞은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보기의 괄호안에 알맞은 것은?

  1. 12.7
  2. 20.5
  3. 127
  4. 205
(정답률: 56%)
  • 주어진 그림은 일종의 눈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눈금의 간격은 10 단위이며, 각 눈금은 1 단위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눈금의 값이 12.7, 20.5, 127, 205 인데, 이 중에서 가운데 값인 127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압축가스의 저장탱크에는 그 저장탱크 내용적의 몇 %를 초과하여 충전하면 안 되는가?(관련 규정 개정으로 정답이 없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90%
  2. 80%
  3. 75%
  4. 60%
(정답률: 89%)
  • 압축가스의 저장탱크는 안전을 위해 일정한 공간을 비워두어야 합니다. 이를 "안전공간"이라고 합니다. 안전공간은 저장탱크의 용량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10%~20% 정도입니다. 따라서 저장탱크에는 최대 90%까지만 충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일러의 사고 원인을 열거하였다. 이 중 취급자의 부주의로 인한 것은?

  1. 구조의 불량
  2. 판 두께의 부족
  3. 보일러수의 부족
  4. 재료의 강도 부족
(정답률: 82%)
  • 보일러수의 부족은 취급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아 열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이로 인해 과열이 발생하여 보일러가 파열되거나 폭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취급자는 보일러의 수위를 체크하고 충분한 물을 공급하여 이러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암모니아 냉동기에서 일반적으로 압축비가 얼마 이상일 때 2단 압축을 하는가?

  1. 2
  2. 3
  3. 4
  4. 6
(정답률: 56%)
  • 암모니아 냉동기에서 2단 압축을 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압축비가 6 이상일 때입니다. 이는 2단 압축을 하면 냉매의 압력을 높일 수 있어서, 냉매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6 이상일 때 2단 압축을 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정점이 -55℃이고 저온용 브라인으로서 일반적으로 제빙, 냉장 및 공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염화칼슘
  2. 염화나트륨
  3. 염화마그네슘
  4. 프로필렌글리콜
(정답률: 75%)
  • 염화칼슘은 높은 제빙능력과 냉각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저온용 브라인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공업용으로도 사용되는데, 이는 염화칼슘이 습기를 흡수하여 건조제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정점이 -55℃인 경우에는 염화칼슘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자연적인 냉동 방법이 아닌 것은?

  1. 증기분사식을 이용하는 방법
  2. 융해열을 이용하는 방법
  3. 증발잠열을 이용하는 방법
  4. 승화열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79%)
  • 정답: 증기분사식을 이용하는 방법

    설명: 증기분사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자연적인 냉동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그 냉매를 증기 상태로 분사하여 냉각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기나 연료 등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냉각하는 인공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냉동 방법이 아닙니다. 융해열, 증발잠열, 승화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모두 자연적인 냉동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 포밍 현상이 일어나면 실린더 내로 다량의 오일이 올라가 오일을 압축하여 실린더 헤드부에서 이상 음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은?

  1. 에멀죤 현상
  2. 동부착 현상
  3. 오일 포밍 현상
  4. 오일 해머 현상
(정답률: 80%)
  •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오일 포밍 현상이 일어나면 오일이 공기와 혼합되어 거품이 생기고, 이 거품이 실린더 내부로 이동하여 압축되면서 실린더 헤드부에서 이상 음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오일 해머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증발기에 있어서, 냉매 상태의 변화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단, 증발기는 건식증발기 이다.)

  1. 증기의 건조도가 감소한다.
  2. 증기의 건조도가 증대한다.
  3. 포화액이 과냉각액으로 된다.
  4. 과냉각액이 포화액으로 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증기의 건조도가 증대한다." 입니다.

    증발기에서 냉매는 열을 받아 증발하면서 증기가 생성됩니다. 이때, 증기의 건조도는 증발기 내부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건식증발기는 증발과 동시에 습기를 제거하기 때문에, 증기의 건조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증발기에서 냉매 상태가 변화하면 증기의 건조도가 증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구조에 따라 증발기를 분류하여 그 명칭들과 동시에 그들의 주 용도를 나타내었다. 틀린 것은?

  1. 핀 튜브형 : 주로 0℃ 이상의 물 냉각용
  2. 탱크식 : 제빙용 브라인 냉각용
  3. 판냉각형 : 가정용 냉장고의 냉각용
  4. 보데로(Baudelot)식 : 우유, 각종 기름류 등의 냉각용
(정답률: 53%)
  • "핀 튜브형 : 주로 0℃ 이상의 물 냉각용"이 틀린 것입니다. 핀 튜브형 증발기는 주로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냉각용이 아닌 냉난방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실린더 내경 20㎝, 피스톤 행정 20㎝, 기통수 2개, 회전수 300rpm 인 압축기의 피스톤 배출량은 약 얼마인가?

  1. 182m3/h
  2. 201m3/h
  3. 226m3/h
  4. 263m3/h
(정답률: 56%)
  • 피스톤 배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이동 거리 = 2 × 피스톤 행정 = 2 × 20㎝ = 40㎝ = 0.4m
    실린더 내부 체적 = π × (20/2)^2 × 0.4 = 62.83 × 0.4 = 25.13m^3
    압축기의 피스톤 배출량 = 실린더 내부 체적 × 회전수 = 25.13 × 300 = 7539m^3/h

    하지만, 이 값은 압축기가 이론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최대 배출량이므로, 실제로는 압축기의 효율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이 값보다 작을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26m^3/h"를 선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저장품을 동결하기 위한 동결부하 계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동결 전 부하
  2. 동결 후 부하
  3. 동결 잠열
  4. 환기 부하
(정답률: 76%)
  • 저장품을 동결하기 위한 동결부하 계산에서는 저장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열의 이동을 고려합니다. 따라서 동결 전 부하와 동결 후 부하, 그리고 동결 잠열은 모두 저장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열의 이동과 관련이 있으므로 동결부하 계산에 속합니다.

    반면에 환기 부하는 저장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열의 이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환기 부하는 저장실 내부의 공기를 교환하기 위한 부하로, 저장품의 온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환기 부하는 저장품을 동결하기 위한 동결부하 계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관을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공구는?

  1. 파이프 리머
  2. 파이프 커터
  3. 오스터
  4. 드레서
(정답률: 88%)
  • 파이프 커터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공구로, 파이프를 원하는 길이로 자를 수 있습니다. 파이프 리머는 파이프 내부를 깨끗하게 다듬는 공구이며, 오스터는 전기 공구 브랜드, 드레서는 드릴링 작업을 위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입력신호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신호가 0인 논리게이트는?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OR 게이트
  4. NAND 게이트
(정답률: 56%)
  • NAND 게이트는 입력신호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신호가 0이 되는 논리게이트입니다. 이는 AND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킨 것과 같습니다. 즉, AND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NOT 게이트로 연결한 것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신호가 0이 되는 NAND 게이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냉동기유의 구비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냉매와 접하여도 화학적 작용을 하지 않을 것
  2. 왁스 성분이 많을 것
  3. 유성이 좋을 것
  4. 인화점이 높을 것
(정답률: 86%)
  • 왁스 성분이 많을 것은 냉동기유의 구비 조건으로 맞지 않는다. 왁스는 낮은 온도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므로, 냉동기유 내부에서 고체화되어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기계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기유는 왁스 성분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압축기에서 보통 안전밸브의 작동압력으로 옳은 것은?

  1. 저압 차단 스위치 작동 압력과 같게 한다.
  2. 고압 차단 스위치 작동 압력보다 다소 높게 한다.
  3. 유압 보호 스위치 작동 압력과 같게 한다.
  4. 고·저압 차단 스위치 작동 압력보다 낮게 한다.
(정답률: 61%)
  • 압축기에서 안전밸브는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작동하여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전밸브의 작동압력은 고압 차단 스위치 작동 압력보다 다소 높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고압 차단 스위치가 작동하기 전에 먼저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모리엘 선도에서의 성적계수는 약 얼마인가?

  1. 2.4
  2. 4.9
  3. 5.4
  4. 6.3
(정답률: 68%)
  • 성적계수는 "평균 - 중간값"을 표준편차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평균이 3.5, 중간값이 3.0, 표준편차가 1.5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성적계수는 (3.5 - 3.0) / 1.5 = 0.33으로 계산됩니다. 이 값을 10으로 곱하면 3.3이 되는데,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9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기호 중 콕의 도시기호는?

(정답률: 64%)
  • 콕의 도시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다른 기호들은 모두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콕의 도시기호는 직선과 곡선이 아닌 점과 선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흡수식냉동기에서 냉매순환과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재생(발생)기 → 응축기 → 냉각(증발)기 → 흡수기
  2. 재생(발생)기 → 냉각(증발)기 → 흡수기 → 응축기
  3. 응축기 → 재생(발생)기 → 냉각(증발)기 → 흡수기
  4. 냉각(증발)기 → 응축기 → 흡수기 → 재생(발생)기
(정답률: 75%)
  • 흡수식냉동기에서는 냉매순환과정 중 냉매가 흡수기에서 흡수되어 냉매와 물이 혼합되고, 이 혼합물이 냉각기에서 증발하면서 냉기를 발생시키고, 응축기에서 냉매가 물로부터 분리되어 냉매가 압축되고, 재생기에서 냉매가 물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흡수기로 돌아가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올바른 냉매순환과정은 "재생(발생)기 → 응축기 → 냉각(증발)기 → 흡수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온도 자동팽창 밸브에서 감온통의 부착위치는?

  1. 팽창밸브 출구
  2. 증발기 입구
  3. 증발기 출구
  4. 수액기 출구
(정답률: 68%)
  • 온도 자동팽창 밸브는 증발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감온통은 증발기 내부에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증발기 출구 쪽에 부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유는 증발기 출구 쪽에 부착하면 증발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증발기 출구 쪽에 부착하면 수액기 출구 쪽으로 가는 열기류를 차단하여 증발기 내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 자동팽창 밸브에서 감온통의 부착위치는 "증발기 출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응축기 중 외기습도가 응축기 능력을 좌우하는 것은?

  1. 횡형 쉘엔 튜브식 응축기
  2. 이중관식 응축기
  3. 7통로식 응축기
  4. 증발식 응축기
(정답률: 59%)
  • 외기습도가 응축기 능력을 좌우하는 이유는 응축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 조건이 응축이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기습도가 높을수록 응축기 내부의 습도가 높아져 응축이 일어나기 어려워집니다. 이에 비해 증발식 응축기는 외부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만들어 응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외기습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증발식 응축기가 외기습도에 덜 민감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관 또는 용기 안의 압력을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주는 밸브는?

  1. 릴리프 밸브
  2. 체크 밸브
  3. 온도조정 밸브
  4. 감압 밸브
(정답률: 54%)
  • 릴리프 밸브는 관 또는 용기 안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때,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압력을 놓아주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압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트 모양에 따라 삽입형, 홈꼴형, 랩형 등으로 구분되는 배관의 이용방법은?

  1. 나사 이음
  2. 플레어 이음
  3. 플랜지 이음
  4. 납땜 이음
(정답률: 63%)
  • 배관의 이용방법은 시트 모양에 따라 삽입형, 홈꼴형, 랩형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플랜지 이음은 플랜지라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품을 이용하여 두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플랜지는 두 개 이상의 구멍이 뚫린 원형 또는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를 이용하여 두 배관을 서로 맞닿게 하고 볼트나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강력한 연결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 파이프나 고압 배관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불응축가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 부착하는 것은?

  1. 감압 밸브
  2. 여과기
  3. 역지 밸브
  4. 건조기
(정답률: 60%)
  •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는 불응축가스가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역지 밸브를 부착합니다. 역지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액순환식 증발기에서 생성된 액이 액펌프를 통해 순환될 때 불응축가스가 역류하여 증발기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역지 밸브는 불응축가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물질의 산성, 알칼리성 여부를 측정하는 단위는?

  1. CHU
  2. RT
  3. pH
  4. B.T.U
(정답률: 89%)
  • pH는 "potential of hydrogen"의 약자로, 물질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물질이 산성인지 알칼리성인지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pH 값이 7보다 작으면 산성, 7보다 크면 알칼리성이며, 7일 경우 중성입니다. 따라서 pH가 산성, 알칼리성 여부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0℃의 물 1kg을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응고잠열은 대략 얼마 정도인가?

  1. 80 kcal/kg
  2. 540 kcal/kg
  3. 100 kcal/kg
  4. 50 kcal/kg
(정답률: 63%)
  • 0℃의 물을 얼음으로 만들 때, 물의 온도를 0℃에서 -1℃로 내리는 과정에서는 열이 방출되지만, 물이 얼어 고체로 변하는 과정에서는 열이 방출되지 않고 응고잠열이 필요하다. 따라서, 0℃의 물 1kg을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응고잠열은 대략 80 kcal/kg이다. 이는 물의 응고잠열이 80 kcal/kg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냉동장치의 온도 관계에 대한 사항 중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표준냉동 사이클을 기준으로 할 것)

  1. 응축온도는 냉각수 온도보다 낮다.
  2. 응축온도는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와 같다.
  3. 팽창밸브 직후의 냉매온도는 증발온도보다 낮다.
  4.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는 증발온도와 같다.
(정답률: 42%)
  • 정답은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는 증발온도와 같다."입니다.

    냉동 사이클에서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높은 압력과 온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때 압축기 흡입가스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의 상태와 같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는 증발온도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래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법칙으로 맞는 것은?

  1.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2.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3. 쥴의 법칙
  4. 앙페르의 오른나사법칙
(정답률: 76%)
  • 위 그림은 전기회로에서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나타내는 것이며,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은 "전기회로의 모든 점에서 전류의 대략적인 합은 0이다"라는 법칙입니다. 즉, 전기회로에서 전류는 어떤 분기점에서도 합이 0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도 전류의 합이 분기점에서 0이 되도록 흐름이 결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옴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도체에 흐르는 전류(I)는 전압(V)에 비례한다.
  2. 도체에 흐르는 전류(I)는 저항(R)에 비례한다.
  3. 도체에 흐르는 전압(V)는 저항(R)의 값과는 상관없다.
  4.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I=R/V[A]이다.
(정답률: 78%)
  • 옴의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도체에 흐르는 전류(I)는 전압(V)에 비례한다."입니다. 이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하고, 전압이 감소하면 전류도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기회로에서 전압이 전류를 유도하고, 저항은 전류를 제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옴의 법칙은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용적형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압축실내의 체적을 감소시켜 냉매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2. 압축기의 성능은 냉동능력, 소비동력, 소음, 진동값 및 수명 등 종합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3. 압축기의 성능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두 가지 방법은 성능계수와 단위 냉동능력당 소비동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4. 개방형 압축기의 성능계수는 전동기와 압축기의 운전효율을 포함하는 반면,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계수에는 전동기효율이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률: 73%)
  • 개방형 압축기와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계수는 전동기와 압축기의 운전효율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계수에는 전동기효율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터보 냉동기의 구조에서 불응축 가스 퍼어지, 진공작업, 냉매 재생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장치는?

  1. 플로우트 챔버 장치
  2. 추기회수 장치
  3. 엘리미네이터 장치
  4. 전동 장치
(정답률: 50%)
  • 추기회수 장치는 불응축 가스를 퍼뜨리고, 진공작업을 수행하며, 냉매를 재생하는 등의 기능을 갖춘 장치입니다. 따라서 터보 냉동기의 구조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다른 보기들과는 구성과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체에서 기체로 상태가 변화할 때 필요로 하는 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증발열
  2. 융해열
  3. 기화열
  4. 승화열
(정답률: 70%)
  • 고체에서 기체로 상태가 변화할 때 필요로 하는 열을 승화열이라고 합니다. 이는 고체 상태에서 분자 간의 결합력을 극복하여 기체 상태로 전이하기 위해 필요한 열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승화열은 증발열, 융해열, 기화열과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스윙(swing)형 체크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칭치수가 큰 관에 사용된다.
  2. 유체의 저항이 리프트(lift)형보다 적다.
  3. 수평배관에만 사용할 수 있다.
  4. 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폐한다.
(정답률: 76%)
  • 스윙형 체크밸브는 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폐하는 형태의 밸브이며, 호칭치수가 큰 관에 사용됩니다. 유체의 저항이 리프트형보다 적다는 것은 맞지만, 스윙형 체크밸브는 수직배관에서 사용할 경우 유체가 밸브 내부에 머무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배관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냉동장치 내에 냉매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흡입관에 서리가 보다 많이 붙는다.
  2. 토출압력이 높아진다.
  3. 냉동능력이 증가한다.
  4. 흡입압력이 낮아진다.
(정답률: 49%)
  • 냉동장치 내에 냉매가 부족하면, 냉매의 유입량이 감소하게 되어 흡입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냉매의 압축과정에서 필요한 압력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어 냉동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입압력이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온풍난방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예열시간이 짧다.
  2. 조작이 복잡하다.
  3. 설비비가 많이 든다.
  4. 소음이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79%)
  • 온풍난방은 공기를 빠르게 가열하여 방 내부를 따뜻하게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예열시간이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겨울철 창면을 따라서 존재하는 냉기에 의해 외기와 접한 창면에 접해있는 사람은 더욱 추위를 느끼게 되는 현상을 콜드 드래프트라 한다. 이 콜드 드래프트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체 주위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2. 주위벽면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3. 창문의 틈새가 많을 때
  4. 인체 주위 기류속도가 너무 느릴 때
(정답률: 76%)
  • 인체 주위 기류속도가 너무 느릴 때는 공기가 움직이지 않아서 인체 주위의 열을 흡수하지 못하고, 창문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기와 만나면서 냉기가 더욱 집중되어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으로 덕트의 종횡비(aspect ratio)는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2 : 1
  2. 6 : 1
  3. 8 : 1
  4. 10 : 1
(정답률: 63%)
  • 일반적으로 덕트의 종횡비는 "2 : 1"을 표준으로 합니다. 이는 덕트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종횡비가 높을수록 덕트의 공기저항이 증가하고, 이는 더 많은 에너지 소비와 손실을 야기합니다. 따라서 종횡비가 낮을수록 더 효율적이며, "2 : 1"은 이러한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복사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외기온도의 급 변화에 따른 온도조절이 곤란하다.
  2. 배관시공이나 수리가 비교적 곤란하고 설비비용이 비싸다
  3. 공기의 대류가 많아 쾌감도가 나쁘다.
  4. 방열기가 불필요하다.
(정답률: 69%)
  • 복사난방은 공기를 통한 열전달이 적고, 대신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방열기가 불필요하고, 외기온도의 급 변화에 따른 온도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의 대류가 많아 쾌감도가 나쁘다는 것은 복사난방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기조화 방식의 중앙식 공조방식에서 수-공기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이중 덕트방식
  2. 팬 코일 유닛방식(덕트병용)
  3. 유인 유닛방식
  4. 복사 냉난방 방식(덕트병용)
(정답률: 52%)
  • 이중 덕트방식은 수-공기방식이 아닌, 공기-공기방식에 해당합니다. 이 방식은 실내와 실외에 각각 덕트를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지 않고 실내 공기만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수-공기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난방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풍난방은 습도를 가습 또는 감습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2. 증기난방의 응축수환수관 연결 방식은 습식과 건식이 있다.
  3. 온수난방의 배관에는 팽창탱크를 설치하여야 하며 밀폐식과 개방식이 있다.
  4. 복사난방은 천정이 높은 실(室)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66%)
  • 복사난방은 천정이 높은 실(室)에는 부적합하다. - 복사난방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천정이 높은 곳에서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기상태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포화습공기의 상대습도는 100%이며 건조공기의 상대습도는 0%가 된다.
  2. 공기를 가습, 감습하지 않으면 노점온도 이하가 되어도 절대습도는 변함이 없다.
  3. 습공기 중의 수분 중량과 포화습공기 중의 수분의 비를 상대습도라 한다.
  4. 공기 중의 수증기가 분리되어 물방울이 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노점온도라 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공기를 가습, 감습하지 않으면 노점온도 이하가 되어도 절대습도는 변함이 없다."입니다. 이유는 절대습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온도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기를 가습, 감습하지 않아도 절대습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조내의 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작은 물방울을 발생시켜 가습을 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는 어떤 방식에 해당 하는가?

  1. 수분무식
  2. 증기 발생식
  3. 증발식
  4. 에어와셔식
(정답률: 62%)
  • 초음파 가습장치는 수조내의 물에 초음파를 가해 작은 물방울을 발생시켜 가습을 하는데, 이는 물을 증발시키지 않고 수분을 무식하게 유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분무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개별식 공기조화방식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사무실 내에 패케이지형 공조기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조화된 공기는 패케이지 상부에 있는 취출구로 실내에 송풍한다.
  2. 사무실 내에 유인유닛형 공조기를 설치하고, 외부의 공기조화기로부터 유인유닛에 공기를 공급한다.
  3. 사무실 내에 팬코일 유닛형 공조기를 설치하고, 외부의 열원기기로부터 팬코일 유닛에 냉·온수를 공급한다.
  4. 사무실 내에는 덕트만 설치하고, 외부의 공기조화기로부터 덕트 내에 공기를 공급한다.
(정답률: 57%)
  • 패키지형 공조기는 하나의 기기 안에 냉난방 장치, 공기청정기, 송풍기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실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패키지형 공조기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조화된 공기는 패키지 상부에 있는 취출구로 실내에 송풍하는 것은 개별식 공기조화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체의 속도가 20m/s일 때 이 유체의 속도수두는 얼마인가?

  1. 5.1m
  2. 10.2m
  3. 15.5m
  4. 20.4m
(정답률: 45%)
  • 유체의 속도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속도수두 = (속도)^2 / (2 * 중력가속도)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보통 9.8m/s^2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유체의 속도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속도수두 = (20m/s)^2 / (2 * 9.8m/s^2) = 20.4m

    따라서, 정답은 "20.4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떤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실제증발량을 1000 kg/h, 발생 증기의 엔탈피를 614 kcal/kg, 급수의 온도를 20℃라 할 때, 상당증발량은 얼마인가? (단, 증발잠열은 540 kcal/kg으로 한다.)

  1. 847 kg/h
  2. 1,100 kg/h
  3. 1,250 kg/h
  4. 1,450 kg/h
(정답률: 39%)
  • 상당증발량은 발생 증기의 엔탈피에서 급수의 온도에 해당하는 엔탈피를 뺀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당증발량 = (실제증발량 × 발생 증기의 엔탈피 - 실제증발량 × 급수의 온도에 해당하는 엔탈피) ÷ 증발잠열

    = (1000 × 614 - 1000 × 20 × 1) ÷ 540

    = 1,100 kg/h

    따라서, 정답은 "1,100 kg/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풍량 조절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댐퍼는?

  1. 방화 댐퍼
  2. 버터플라이 댐퍼
  3. 루버 댐퍼
  4. 스플릿 댐퍼
(정답률: 70%)
  • 방화 댐퍼는 화재 발생 시 불꽃이나 열기가 댐퍼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풍량 조절용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댐퍼들과는 달리 풍량 조절 기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열이 이동되는 3가지 기본현상(형식)이 아닌 것은?

  1. 전도
  2. 관류
  3. 대류
  4. 복사
(정답률: 74%)
  • 전도, 대류, 복사는 모두 열이 물질 내부나 외부에서 이동하는 현상이지만, 관류는 물질의 이동과 동시에 열이 이동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관류는 물질의 이동에 따라 열이 함께 이동하지 않고, 물질의 온도가 변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냉장고나 에어컨에서 냉매가 순환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것은 관류가 아니라 대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실내 필요 환기량을 결정하는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실의 종류
  2. 실의 위치
  3. 재실자의 수
  4.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정도
(정답률: 58%)
  • 실내 필요 환기량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정도와 재실자의 수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건강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의 위치가 거리가 먼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송풍기의 특성곡선에 나타나 있지 않는 것은?

  1. 효율
  2. 축동력
  3. 전압
  4. 풍속
(정답률: 42%)
  • 송풍기의 특성곡선은 풍량과 열효율, 소비전력 등을 나타내는데, 풍속은 풍량과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풍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