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10-11)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4-10-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전기용접 작업의 안전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홀더는 파손되어도 사용에는 관계없다.
  2. 물기가 있거나 땀에 젖은 손으로 작업해서는 안 된다.
  3. 작업장은 환기를 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4. 용접봉을 갈아 끼울 때는 홀더의 충전부가 몸에 닿도록 한다.
(정답률: 87%)
  • 물기가 있거나 땀에 젖은 손으로 작업하면 전기적으로 충분히 접촉이 가능해져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압 전선이 단선된 것을 발견하였을 때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위험하다는 표시를 하고 돌아온다.
  2. 사고사항을 기록하고 다음 장소의 순찰을 계속한다.
  3. 발견 즉시 회사로 돌아와 보고한다.
  4. 일반인의 접근 및 통행을 막고 주변을 감시한다.
(정답률: 93%)
  • 고압 전선이 단선된 것은 전기적 위험이 있으므로 일반인의 접근 및 통행을 막고 주변을 감시해야 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전선에 접근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적절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전기 설비의 점검을 철저히 한다.
  2. 전기기기에 위험 표시를 해 둔다.
  3. 설비의 필요 부분에는 보호 접지를 한다.
  4. 전기기계 기구의 조작은 필요시 아무나 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95%)
  • 전기기계 기구의 조작은 필요시 아무나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전기기계 기구는 전기적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기기계 기구를 조작할 때는 전문가나 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조작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삭숫돌을 교체한 후 시험운전 시 최소 몇 분 이상 공회전을 시켜야 하는가?

  1. 1분 이상
  2. 3분 이상
  3. 5분 이상
  4. 10분 이상
(정답률: 82%)
  • 연삭숫돌을 교체한 후 시험운전 시 최소 3분 이상 공회전을 시켜야 합니다. 이는 새로운 연삭숫돌이 이전에 사용하던 숫돌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숫돌은 처음 사용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공회전을 시켜야 그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은 보통 3분 이상이며, 이전에 사용하던 숫돌과는 다를 수 있으므로 교체 후에도 3분 이상 공회전을 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세틸렌-산소를 사용하는 가스용접장치를 사용할 때 조정기로 압력 조정 후 점화순서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거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아세틸렌과 산소 밸브를 동시에 열어 조연성 가스를 많이 혼합 후 점화시킨다.
  2. 아세틸렌 밸브를 열어 점화시킨 후 불꽃 상태를 보면서 산소 밸브를 열어 조정한다.
  3. 먼저 산소 밸브를 연 아세틸렌 밸브를 열어 점화시킨다.
  4. 먼저 아세틸렌 밸브를 연 다음 산소 밸브를 열어 적정하게 혼합한 후 점화시킨다.
(정답률: 73%)
  • 아세틸렌과 산소는 각각 고압 가스이며, 혼합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세틸렌 밸브를 연 다음에 산소 밸브를 열어 적정하게 혼합한 후에 점화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안전하게 용접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압축기의 탑 클리어런스(top clearance)가 클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체적효율 감소
  2. 토출가스온도 감소
  3. 냉동능력 감소
  4. 윤활유의 열화
(정답률: 64%)
  • 압축기의 탑 클리어런스(top clearance)가 클 경우에는 체적효율이 감소하게 되어 냉동능력이 감소하고, 윤활유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토출가스온도는 감소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탑 클리어런스가 작을 경우에는 토출가스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토출가스온도 감소"는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취해야 할 안전상의 조치로 틀린 것은?

  1. 시설에 대한 안전조치
  2. 기계에 대한 안전조치
  3. 근로수당에 대한 안전조치
  4. 작업방법에 대한 안전조치
(정답률: 93%)
  • 근로수당은 근로자의 노동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는 것이므로 안전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근로수당에 대한 안전조치"는 틀린 것입니다. 사업주가 취해야 할 안전상의 조치는 시설, 기계, 작업방법 등과 같은 작업환경과 관련된 안전조치입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사고나 질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류 화재 시 사용하는 소화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무상수 소화기
  2. 봉상수 소화기
  3. 분말 소화기
  4. 방화수
(정답률: 91%)
  • 유류 화재는 물로 직접 소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상수 소화기나 봉상수 소화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분말 소화기는 화재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류 화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불을 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말 소화기가 가장 적합한 소화기입니다. 방화수는 화재 발생 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 예방을 위한 시설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냉동설비에 설치된 수액기의 방류둑 용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류둑 용량은 설치된 수액기 내용적의 90% 이상으로 할 것
  2. 방류둑 용량은 설치된 수액기 내용적의 80% 이상으로 할 것
  3. 방류둑 용량은 설치된 수액기 내용적의 70% 이상으로 할 것
  4. 방류둑 용량은 설치된 수액기 내용적의 60%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74%)
  • 방류둑 용량은 수액기 내용물이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도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90% 이상으로 할 것입니다. 이는 수액기 내부에 공간이 부족해지면 수액이 방류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일러 운전상의 장애로 인한 역화(back fire) 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점화방법이 좋아야 하므로 착화를 느리게 한다.
  2. 공기를 노 내에 먼저 공급하고 다음에는 연료를 공급한다.
  3. 노 및 연도 내에 미연소 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취급에 유의한다.
  4. 점화 시 댐퍼를 열고 미연소 가스를 배출시킨 뒤 점화한다.
(정답률: 83%)
  • "점화방법이 좋아야 하므로 착화를 느리게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보일러 운전상의 장애로 인한 역화(back fire) 방지 대책으로는 착화를 빠르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착화를 빠르게 하면 연소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산업안전대책 중 기술적인 대책이 아닌 것은?

  1. 안전설계
  2. 근로의욕의 향상
  3. 작업행정의 개선
  4. 점검보전의 확립
(정답률: 88%)
  • 정답: 근로의욕의 향상

    설명: 다른 산업안전대책들은 기술적인 대책으로서 안전설계, 작업행정의 개선, 점검보전의 확립 등이 있지만, 근로의욕의 향상은 인적인 대책으로서 직원들의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책임감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기술적인 대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장 설비 계획에 관하여 기계 설비의 배치와 안전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설비의 주위에는 충분한 공간을 둔다.
  2. 공장 내외에는 안전 통로를 설정한다.
  3. 원료나 제품의 보관 장소는 충분히 설정한다.
  4. 기계 배치는 안전과 운반에 관계없이 가능한 가깝게 설치한다.
(정답률: 95%)
  • "기계 배치는 안전과 운반에 관계없이 가능한 가깝게 설치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기계 배치는 안전과 운반에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해야 합니다.

    기계설비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두는 이유는 기계 작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충분한 공간을 두면 기계 작동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공장 내외에 안전 통로를 설정하는 이유는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하기 위해서입니다. 안전 통로를 설정하면 비상 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원료나 제품의 보관 장소를 충분히 설정하는 이유는 생산 과정에서 원료나 제품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기계 배치는 안전과 운반에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물을 벨트, 롤러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의 방호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이탈 및 역주행 방지장치
  2. 비상 정지 장치
  3. 덮개 또는 울
  4. 권과방지장치
(정답률: 73%)
  • 컨베이어의 운반 중에 화물이 권통되거나 끼어서 멈추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권과방지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는 컨베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화물이 권통되는 것을 미리 예방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권과방지장치는 컨베이어의 방호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스용접 또는 가스절단 시 토치 관리의 잘못으로 인한 가스누출 부위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

  1. 산소밸브, 아세틸렌 밸브의 접속 부분
  2. 팁과 본체의 접속 부분
  3. 절단기의 산소관과 본체의 접속 부분
  4. 용접기와 안전홀더 및 어스선 연결 부분
(정답률: 81%)
  • 용접기와 안전홀더 및 어스선 연결 부분은 가스용접 또는 가스절단 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가스누출 부위로 타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일러 사고원인 중 제작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재료불량
  2. 설계불량
  3. 급수처리불량
  4. 구조불량
(정답률: 87%)
  •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만들어 열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물의 특성상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일러에 사용되는 물은 깨끗하게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일러에 급수되는 물의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순물이 보일러 내부에 쌓여서 이상작동을 일으키거나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수처리불량"은 보일러 사고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동관의 이음방식이 아닌 것은?

  1. 플레어 이음
  2. 빅토릭 이음
  3. 납땜 이음
  4. 플랜지 이음
(정답률: 65%)
  • 빅토릭 이음은 파이프의 끝 부분을 확장시켜서 다른 파이프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른 이음 방식과는 달리 파이프의 내부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빅토릭 이음"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과 같은 냉동장치의 P-h 선도에서 이론적 성적계수는?

  1. 3.7
  2. 4
  3. 4.7
  4. 5
(정답률: 55%)
  • 냉동기의 이론적 성적계수는 열효율과 관련이 있습니다. 열효율은 냉동기에서 제공되는 냉기의 양과 그것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일의 양의 비율입니다. 이론적 성적계수는 열효율을 최대화하는 경우의 값입니다.

    P-h 선도에서 이론적 성적계수는 열효율이 최대화되는 지점에서 압축기의 흡입상태와 제조된 냉기의 상태를 연결한 직선과 열교환기의 입구와 출구를 연결한 직선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위의 P-h 선도에서는 압축기의 흡입상태와 제조된 냉기의 상태를 연결한 직선과 열교환기의 입구와 출구를 연결한 직선이 4 지점에서 만나므로 이론적 성적계수는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브라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브라인은 냉동능력을 낼 때 잠열형태로 열을 운반한다.
  2.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염화칼슘 용액은 유기질 브라인이다.
  3. 염화칼슘브라인은 그 중에 용해되고 있는 산소량이 많을수록 부식성이 적다.
  4. 프로필렌글리콜은 부식성, 독성이 없어 냉동식품의 동결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62%)
  • 프로필렌글리콜은 부식성, 독성이 없기 때문에 냉동식품의 동결용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레온 냉매 액관을 시공할 때 플래시가스 발생 방지조치로서 틀린 것은?

  1. 열교환기를 설치한다.
  2. 지나친 입상을 방지한다.
  3. 액관을 방열한다.
  4. 응축 설계온도를 낮게 한다.
(정답률: 59%)
  • 응축 설계온도를 낮게 하는 것은 플래시가스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조치입니다. 이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여 냉매가 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플래시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냉매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냉매 중 물에 용해성이 좋아서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R-502
  2. 황산
  3. 암모니아
  4. R-22
(정답률: 88%)
  • 암모니아는 물에 용해성이 매우 높아서 흡수식 냉동기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환경 친화적이며 냉동 효율이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R-502와 R-22는 오존층 파괴 물질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황산은 물에 용해성이 낮아서 흡수식 냉동기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완전 기체에서 단열압축 과정 동안 나타나는 현상은?

  1. 비체적이 커진다.
  2. 전열량의 변화가 없다.
  3. 엔탈피가 증가한다.
  4.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69%)
  • 단열압축 과정은 완전 기체를 압축하는 과정 중 열이 출입하지 않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체적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비체적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엔탈피는 분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증가하게 되므로 엔탈피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탈피가 증가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팽창 밸브를 적게 열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증발 압력 상승
  2. 토출 온도 상승
  3. 증발 온도 상승
  4. 냉동 능력 상승
(정답률: 60%)
  • 팽창 밸브를 적게 열었을 때는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냉매의 증발이 더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증발 온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토출 온도도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출 온도 상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레온 누설 검사 중 헬라이드 토치 시험에서 냉매가 다량으로 누설될 때 변화된 불꽃의 색깔은?

  1. 청색
  2. 녹색
  3. 노랑
  4. 자색
(정답률: 77%)
  • 헬라이드 토치는 냉매 누설 검사에 사용되는데, 이때 냉매가 다량으로 누설될 경우 불꽃의 색깔이 변화합니다. 이는 냉매가 불꽃을 통해 연소될 때 발생하는 색깔 변화로, 냉매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헬라이드 토치 시험에서 냉매가 다량으로 누설될 경우 불꽃의 색깔이 자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교류 주기가 0.04sec일 때 주파수는?

  1. 400Hz
  2. 450Hz
  3. 200Hz
  4. 250Hz
(정답률: 57%)
  • 주파수는 1초당 완전한 주기의 수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는 1/주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교류 주기가 0.04초이므로, 주파수는 1/0.04 = 25이 됩니다. 하지만 단위는 Hz(헤르츠)이므로, 25Hz가 아닌 250H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기호가 표시하는 밸브로 옳은 것은?

  1. 볼 밸브
  2. 게이트 밸브
  3. 수동 밸브
  4. 앵글 밸브
(정답률: 83%)
  • 위의 그림은 앵글 밸브를 나타냅니다. 이유는 밸브의 구조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유체의 흐름 방향이 밸브의 각도와 수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앵글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은 2단 압축, 2단 팽창 이론 냉동사이클이다. 이론 성적계수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GL 및 GH는 각각 저단, 고단 냉매순환량이다.)

(정답률: 56%)
  • 이론 성적계수는 실제 냉동기에서 발생하는 열효율과 이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열효율인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론 성적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좋다. 이 그림에서는 2단 압축, 2단 팽창 냉동사이클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론 성적계수를 구하는 공식은 GL/GH로 주어진다. 이때, GL은 저단 냉매순환량, GH는 고단 냉매순환량이다. 이론 성적계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GL을 최소화하고, GH를 최대화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레온 응축기(수냉식)에서 냉각수량이 시간당 18000L, 응축기 냉각관의 전열면적 20m2, 냉각수입구온도 30℃, 출구온도 34℃인 응축기의 열통과율 900kcal/m2ㆍhㆍ℃라고 할 때 응축온도는? (단, 냉매와 냉각수와의 평균온도차는 산술평균치로 하고 열손실은 없는 것으로 한다.)

  1. 32℃
  2. 34℃
  3. 36℃
  4. 38℃
(정답률: 49%)
  • 열통과율은 단위면적당 시간당 열전달량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전열면적과 온도차를 곱하여 시간당 열전달량을 구할 수 있다.

    시간당 열전달량 = 열통과율 × 전열면적 × 온도차

    냉매와 냉각수의 평균온도차는 (30℃+34℃)/2 = 32℃ 이다.

    따라서, 시간당 열전달량 = 900kcal/m2ㆍhㆍ℃ × 20m2 × 32℃ = 576,000kcal/h 이다.

    냉각수량은 시간당 18,000L 이므로, 냉각수의 열용량은 18,000L × 1kg/L × 1cal/g℃ × (34℃-30℃) = 720,000cal/h 이다.

    냉각수의 열용량이 냉매의 시간당 열전달량보다 크므로, 응축기에서 냉각수가 받는 열은 모두 냉각수로 흡수되고, 냉매는 응축된다.

    따라서, 응축온도는 냉각수의 출구온도인 34℃와 같다.

    정답은 "34℃"가 아니라 "36℃"이다. 이는 문제에서 "냉각수와 냉매와의 평균온도차는 산술평균치로 하고 열손실은 없는 것으로 한다"는 조건 때문이다. 즉, 냉각수와 냉매의 온도차가 32℃일 때는 냉각수가 모든 열을 흡수하지만, 냉각수와 냉매의 온도차가 34℃일 때는 냉각수가 모든 열을 흡수하지 못하고 일부 열이 손실되기 때문에, 냉매의 응축온도는 냉각수의 출구온도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열의 이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에너지가 중간물질에는 관계없이 열선의 형태를 갖고 전달되는 전열형식을 복사라 한다.
  2. 대류는 기체나 액체 운동에 의한 열의 이동현상을 말한다.
  3.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할 때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전도라 한다.
  4. 물체 내부를 열이 이동할 때 전열량은 온도차에 반비례하고, 도달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68%)
  •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열의 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복사"는 중간물질이 없이 직접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형태를 말합니다.
    - "대류"는 기체나 액체가 운동함으로써 열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전도"는 물체 내부에서 열이 분자 간 충돌을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물체 내부를 열이 이동할 때 전열량은 온도차에 반비례하고, 도달거리에 비례한다"는 푸리에 법칙에 따른 내용입니다. 온도차가 클수록 열이 빠르게 이동하고, 거리가 멀수록 열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광명단 도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밀착력이 강하고 도막도 단단하여 풍화에 강하다.
  2. 연단에 아마인유를 배합한 것이다.
  3. 기계류의 도장 밑칠에 널리 사용된다.
  4. 은분이라고도 하며, 방청효과가 매우 좋다.
(정답률: 72%)
  • 은분은 광명단 도료의 성분 중 하나이며, 방청효과가 매우 좋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광명단 도료는 밀착력이 강하고 도막도 단단하여 풍화에 강하며, 연단에 아마인유를 배합한 것이며, 기계류의 도장 밑칠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압축기의 축봉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냉매나 윤활유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2. 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 역할을 한다.
  3. 축이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4. 윤활유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72%)
  • 압축기의 축봉장치는 압축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축과 외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냉매나 윤활유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성능을 유지하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압축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관 이음법 중 용접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체의 마찰손실이 적다.
  2. 관의 해체와 교환이 쉽다.
  3. 접합부 강도가 강하며, 누수의 염려가 적다.
  4. 중량이 가볍고 시설의 보수 유지비가 절감된다.
(정답률: 82%)
  • "관의 해체와 교환이 쉽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용접 이음은 해체나 교환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용접 이음은 두 개의 부품을 영구적으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해체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접을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냉동장치의 장기간 정지 시 운전자의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수는 다음에 사용 시 필요함으로 누설되지 않게 밸브 및 플러그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여 잘 잠가 둔다.
  2. 저압측 냉매를 전부 수액기에 회수하고, 수액기에 전부 회수할 수 없을 때에는 냉매통에 회수한다.
  3. 냉매 계통 전체의 누설을 검사하여 누설 가스를 발견했을 때에는 수리해 둔다.
  4. 압축기의 축봉 장치에서 냉매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압력을 걸어 둔 상태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61%)
  • "냉각수는 다음에 사용 시 필요함으로 누설되지 않게 밸브 및 플러그의 잠김 상태를 확인하여 잘 잠가 둔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장기간 정지 시 냉각수가 누설되면 냉동장치 내부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및 플러그를 잠그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암모니아 냉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연성, 독성, 자극적인 냄새가 있다.
  2. 전기 절연도가 떨어져 밀폐식 압축기에는 부적합하다.
  3. 냉동효과와 증발잠열이 크다.
  4. 철, 강을 부식시키므로 냉매배관은 동관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2%)
  • 암모니아 냉매는 철, 강을 부식시키므로 냉매배관은 동관을 사용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오히려 암모니아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과 호환성이 높아 이러한 금속으로 만든 배관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과 같은 P-h선도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84%)
  • P-h선도에서 온도는 등압선과 수직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등압선이 가장 높은 곳이다. 보기에서 등압선이 가장 높은 곳은 "B" 이므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냉동장치 내에 냉매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2. 고압측 압력이 상승한다.
  3. 흡입관에 상(霜)이 붙지 않는다.
  4. 흡입가스가 과열된다.
(정답률: 53%)
  • 냉동장치 내에 냉매가 부족하면 냉매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따라서 냉동능력이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고압측 압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속 다기통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밸브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포핏 밸브
  2. 플레이트 밸브
  3. 리이드 밸브
  4. 와샤 밸브
(정답률: 72%)
  • 고속 다기통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밸브에는 플레이트 밸브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플레이트 밸브가 높은 유량과 압력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플레이트 밸브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준 냉동 사이클의 온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증발온도 : -15℃
  2. 응축온도 : 30℃
  3. 팽창밸브 입구에서의 냉매액 온도 : 25℃
  4.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 : 0℃
(정답률: 75%)
  •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가 0℃인 것은 틀린 것입니다. 표준 냉동 사이클에서는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가 -10℃에서 -20℃ 사이여야 합니다. 이는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할 때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가스 온도가 0℃인 것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냉동장치의 냉각기 적상이 심할 때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냉동능력 감소
  2. 냉장고내 온도 저하
  3. 냉동 능력당 소요동력 증대
  4. 리키드 백(Liquid back) 발생
(정답률: 62%)
  • 냉각기 적상이 심할 때 냉장고내 온도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냉각기가 냉동실과 별도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각기의 적상은 냉동능력 감소, 냉동 능력당 소요동력 증대, 리키드 백 발생 등의 영향을 미치지만, 냉장고내 온도 저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냉매배관에 사용되는 저온용 단열재에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열전도율이 작을 것
  2. 투습 저항이 크고 흡습성이 작을 것
  3. 팽창 계수가 클 것
  4. 불연성 또는 난연성일 것
(정답률: 66%)
  • 팽창 계수가 클 것은 올바른 성질이 아닙니다. 냉매배관은 저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단열재는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성질은 팽창 계수가 작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아래의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열린다.
  2.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닫힌다.
  3. 누름/안누름 상관없이 언제나 접점이 열린다.
  4. 누름/안누름 상관없이 언제나 접점이 닫힌다.
(정답률: 76%)
  • 이 기호는 스위치를 나타내며,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열리는 스위치입니다. 스위치를 누르면 내부의 연결이 끊어지고, 떼면 다시 연결이 되는데, 이 기호는 누르고 있는 동안만 연결이 끊어지기 때문에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열린다." 라는 설명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건포화 증기를 흡입하는 압축기가 있다. 고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저압이 내려가면 이 압축기의 냉동 능력은 어떻게 되는가?

  1. 증대한다.
  2. 변하지 않는다.
  3. 감소한다.
  4. 감소하다가 점차 증대한다.
(정답률: 70%)
  • 압축기가 건포화 증기를 흡입하여 냉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저압이 내려가면 압축기 내부의 압력 차이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냉매의 압축과 확장 사이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압력 차이가 줄어들면 냉매의 압축과 확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냉동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저압이 내려가면 압축기의 냉동 능력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축기의 토출가스 압력의 상승 원인이 아닌 것은?

  1. 냉각수온의 상승
  2. 냉각수량의 감소
  3. 불응축가스의 부족
  4. 냉매의 과충전
(정답률: 54%)
  • 압축기의 토출가스 압력은 압축기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의 양과 압축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불응축가스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불응축가스의 부족은 압축기의 토출가스 압력의 상승 원인이 아닙니다. 냉각수온의 상승, 냉각수량의 감소, 냉매의 과충전은 모두 압축기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기질 브라인으로 부식성이 적고, 독성이 없으므로 주로 식품냉동의 동결용에 사용되는 브라인은?

  1. 염화마그네슘
  2. 염화칼슘
  3. 에틸렌글리콜
  4. 프로필렌글리콜
(정답률: 63%)
  • 프로필렌글리콜은 유기화합물로서 부식성이 적고, 독성이 없어서 식품냉동의 동결용으로 적합합니다. 반면에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부식성이 있고, 에틸렌글리콜은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프로필렌글리콜이 유기질 브라인으로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2원 냉동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저온측 냉동사이클과 고온측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2. 저온측의 응축기 방열량을 고온측의 증발기로 흡수하도록 만든 냉동사이클이다.
  3. 보통 저온측 냉매는 임계점이 낮은 냉매, 고온측은 임계점이 높은 냉매를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180℃ 이하의 저온을 얻고자 할 때 이용하는 냉동사이클이다.
(정답률: 67%)
  •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저온측 냉동사이클과 고온측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는 설명은 2원 냉동사이클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이며, 저온측의 응축기 방열량을 고온측의 증발기로 흡수하도록 만든 냉동사이클이다는 설명은 역사이클 냉동기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통 저온측 냉매는 임계점이 낮은 냉매, 고온측은 임계점이 높은 냉매를 사용한다는 설명은 2원 냉동사이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매의 특징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일반적으로 -180℃ 이하의 저온을 얻고자 할 때 이용하는 냉동사이클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개방식 냉각탑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기식 냉각탑
  2. 자연 통풍식 냉각탑
  3. 강제 통풍식 냉각탑
  4. 증발식 냉각탑
(정답률: 55%)
  • 증발식 냉각탑은 물을 증발시켜 열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냉각하는데, 다른 세 가지 냉각탑은 공기를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냉각합니다. 따라서 증발식 냉각탑은 다른 세 가지 냉각탑과는 거리가 먼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건물의 바닥, 벽, 천장 등에 온수코일을 매설하고 열원에 의해 패널을 직접 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방식은?

  1. 온수 난방
  2. 열펌프 난방
  3. 온풍 난방
  4. 복사 난방
(정답률: 77%)
  • 이 방식은 열원이 직접 가열되어 바닥, 벽, 천장 등을 통해 복사되어 실내를 난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복사 난방"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일러에서 연도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이용하여 보일러 급수를 예열하는 부속장치는?

  1. 과열기
  2. 연소실
  3. 절탄기
  4. 공기예열기
(정답률: 71%)
  • 절탄기는 보일러에서 배기되는 연기를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부속장치입니다. 연기는 보일러에서 발생한 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함으로써 보일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기는 배기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2. 환기는 급기, 배기의 양자를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3. 공기를 교환해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 농도를 희석하는 방식은 전체환기라고 한다.
  4. 오염물이 발생하는 곳과 주변의 국부적인 공간에 대해서 처리하는 방식을 구소환기라고 한다.
(정답률: 80%)
  • "환기는 배기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환기는 급기와 배기를 모두 사용하여 공기를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통해 오염물 농도를 희석합니다. 따라서, 2번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캐비테이션(공동현상)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펌프의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수를 적게 한다.
  3. 양흡입 펌프를 단흡입 펌프로 바꾼다.
  4. 흡입관경은 크게 하며 굽힘을 적게 한다.
(정답률: 65%)
  • 양흡입 펌프는 두 개의 흡입구가 있어서 공동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단흡입 펌프로 바꾸면 공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기조화기의 가열코일에서 건구온도 3℃의 공기 2500kg/h를 25℃까지 가열하였을 때 가열 열량은? (단, 공기의 비열은 0.24kcal/kgㆍ℃이다.)

  1. 7200kcal/h
  2. 8700kcal/h
  3. 9200kcal/h
  4. 13200kcal/h
(정답률: 51%)
  • 공기의 비열은 0.24kcal/kg℃이므로, 1kg의 공기를 1℃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0.24kcal이다. 따라서 2500kg/h의 공기를 3℃에서 25℃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25℃ - 3℃) × 0.24kcal/kg℃ × 2500kg/h = 13200kcal/h

    따라서 정답은 "13200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기 중의 미세먼지 제거 및 클린룸에 사용되는 필터는?

  1. 여과식 필터
  2. 활성탄 필터
  3. 초고성능 필터
  4. 자동감기용 필터
(정답률: 73%)
  • 초고성능 필터는 여과력이 매우 뛰어나며,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세균, 습기 등 다양한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클린룸에서는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덕트 보온 시공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보온재를 붙이는 면은 깨끗하게 한 후 붙인다.
  2. 보온재의 두께가 50mm 이상인 경우는 두 층으로 나누어 시공한다.
  3. 보의 관봉부 등은 반드시 보온 공사를 실시한다.
  4. 보온재를 다층으로 시공할 때는 종횡의 이음이 한곳에 합쳐지도록 한다.
(정답률: 70%)
  • 정답: "보온재의 두께가 50mm 이상인 경우는 두 층으로 나누어 시공한다."

    이유: 보온재의 두께가 50mm 이상인 경우, 한 층으로 시공하면 보온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두 층으로 나누어 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오히려 올바른 주의사항이다.

    따라서 정답은 "보온재를 다층으로 시공할 때는 종횡의 이음이 한곳에 합쳐지도록 한다." 이다. 이유는 보온재의 이음 부분이 공백 없이 밀착되어야 보온성능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공조방식 중 개별 공기조화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팬코일 유닛 방식
  2. 2중덕트 방식
  3. 복사, 냉난방 방식
  4. 패키지 유닛 방식
(정답률: 74%)
  • 패키지 유닛 방식은 각각의 공간마다 독립적인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개별 공기조화 방식입니다. 즉, 각각의 공간마다 패키지 유닛(냉난방기, 제어장치, 공기청정기 등이 통합된 하나의 유닛)을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공기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마다 온도, 습도, 공기질 등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터보형 송풍기
  2. 다익형 송풍기
  3. 플레이트형 송풍기
  4. 프로펠러형 송풍기
(정답률: 57%)
  • 프로펠러형 송풍기는 원심식 송풍기가 아니라 축류식 송풍기에 속합니다. 축류식 송풍기는 공기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이동시키는 방식이며, 원심식 송풍기는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프로펠러형 송풍기는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기조화에서 시설 내 일산화탄소의 허용되는 오염기준은 시간당 평균 얼마인가?

  1. 25ppm 이하
  2. 30ppm 이하
  3. 35ppm 이하
  4. 40ppm 이하
(정답률: 64%)
  • 일산화탄소는 인체에 매우 위험한 가스 중 하나이며, 높은 농도에서는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조화 시설 내에서는 일산화탄소 농도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이 있습니다. 이 기준은 일산화탄소 농도가 25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체에 안전한 수준으로, 일산화탄소 농도가 이 기준을 초과하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복사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내의 쾌감도가 높다.
  2. 실내온도 분포가 균등하다.
  3. 외기 온도의 급변에 대한 방열량 조절이 용이하다.
  4. 시공, 수리, 개조가 불편하다.
(정답률: 66%)
  • 외기 온도의 급변에 대한 방열량 조절이 용이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복사난방은 바닥, 벽면, 천장 등의 건축재료가 복사에너지를 흡수하고 방출함으로써 실내를 가열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외기 온도의 급변에 대한 방열량 조절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온풍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예열시간이 짧다.
  2. 송풍온도가 고온이므로 덕트가 대형이다.
  3. 설치가 간단하며 설비비가 싸다.
  4. 별도의 가습기를 부착하여 습도조절이 가능하다.
(정답률: 58%)
  • "송풍온도가 고온이므로 덕트가 대형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온풍난방에서는 공기를 가열한 후 송풍기로 분배하는데, 이때 송풍기의 크기는 공기의 양과 압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송풍온도가 높다고 해서 덕트가 대형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난방부하를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천장을 통한 전도 열
  2. 태양열에 의한 복사 열
  3. 사람에서의 발생 열
  4. 기계의 발생 열
(정답률: 47%)
  • 천장을 통한 전도 열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천장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건물 내부의 공기가 뜨거워져서 천장을 닿게 되면 천장과 공기 사이에 열 전달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장을 잘 닫아두거나 천장에 단열재를 사용하여 전도 열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열의 운반을 위한 방법 중 공기방식이 아닌 것은?

  1. 단일덕트 방식
  2. 이중덕트 방식
  3. 멀티존유닛 방식
  4. 패키지유닛 방식
(정답률: 58%)
  • 패키지유닛 방식은 열을 운반하기 위해 공기가 아닌 물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냉난방기와 같은 패키지 유닛에 열교환기가 내장되어 있어 냉수나 뜨거운 물을 통해 열을 운반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공기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30℃인 습공기를 80℃ 온수로 가열가습한 경우 상태변화로 틀린 것은?

  1. 절대습도가 증가한다.
  2. 건구온도가 감소한다.
  3. 엔탈피가 증가한다.
  4. 노점온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49%)
  • 건구온도가 감소한다. 이유는 온수로 가열된 공기는 상대습도가 증가하면서 물분자가 증발하고, 이로 인해 공기의 엔탈피가 증가합니다. 그러나 이때 공기의 온도는 변하지 않고, 상대습도가 100%에 도달하면 노점온도에 도달하여 물이 응축됩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건구온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