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1-25)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15-01-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다음 중 정전기 방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불꽃 방전
  2. 연면 방전
  3. 분기 방전
  4. 코로나 방전
(정답률: 63%)
  • 분기 방전은 정전기 방전의 종류가 아닙니다. 분기 방전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가 뾰족한 끝 부분에서 방전되는 현상으로, 정전기 방전의 일종인데도 다른 종류의 방전과 구분되는 이유는 방전 형태와 발생 원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일러 운전 중 과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보일러의 수위가 안전저수면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보일러수의 순환을 교란시키지 말아야 한다.
  3. 보일러 전열면을 국부적으로 과열하여 운전한다.
  4. 보일러수가 농축되지 않게 운전한다.
(정답률: 92%)
  • "보일러 전열면을 국부적으로 과열하여 운전한다."는 틀린 사항입니다. 보일러 전열면이 과열되면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열면을 국부적으로 과열시키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보일러 운전 중에는 전열면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일러의 수압시험을 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균열의 유무를 조사
  2. 각종 덮개를 장치한 후의 기밀도 확인
  3. 이음부의 누설정도 확인
  4. 각종 스테이의 효력을 지시
(정답률: 83%)
  • 보일러의 수압시험은 보일러 내부에 압력을 가해 균열이나 누설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때 각종 스테이의 효력을 지시하는 것은 보일러 내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응축압력이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방법 중 틀린 것은?

  1. 송풍기의 풍량을 조절한다.
  2. 송풍기 출구에 댐퍼를 설치하여 풍량을 조절한다.
  3. 수냉식일 경우 냉각수의 공급을 증가시킨다.
  4. 수냉식일 경우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정답률: 52%)
  • 수냉식 냉각 시스템에서 냉각수의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은 응축압력이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는 냉각수의 유속을 높여서 냉각수와 냉매 간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 냉매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여 응축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작업 시 사용하는 해머의 조건으로 적절한 것은?

  1. 쐐기가 없는 것
  2. 타격면에 흠이 있는 것
  3. 타격면이 평탄할 것
  4. 머리가 깨어진 것
(정답률: 91%)
  • 해머는 타격면이 평탄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타격면에 흠이 있거나 쐐기가 없는 경우에는 해머의 힘이 골고루 전달되지 않아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머리가 깨어진 경우에는 작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타격면이 평탄한 것이 가장 적절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팽창밸브가 냉동 용량에 비하여 너무 작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1. 증발압력 상승
  2. 압축기 소요동력 감소
  3. 소요전류 증대
  4. 압축기 흡입가스 과열
(정답률: 51%)
  • 팽창밸브가 냉동 용량에 비하여 너무 작을 때는 증발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압축기 흡입가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압축기 흡입가스 과열로 이어지며, 이는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소요전류를 증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축기 흡입가스 과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의 운전 중 파열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위상승
  2. 강도의 부족
  3. 취급의 불량
  4. 계기류 고장
(정답률: 71%)
  • 보일러의 수위가 상승하면,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보일러 내부의 강도를 초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열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위상승이 파열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고압선과 저압선이 나란히 설치된 경우, 변압기의 1, 2차 코일의 절연파괴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은?

  1. 단락
  2. 지락
  3. 혼촉
  4. 누전
(정답률: 75%)
  • 고압선과 저압선이 나란히 설치된 경우, 변압기의 1, 2차 코일의 절연파괴로 인해 고압선과 저압선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혼촉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혼촉으로 인해 전기적인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계 작업 시 일반적인 안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취급자나 보조자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2. 칩이나 절삭된 물품에 손을 대지 않는다.
  3. 사용법을 확실히 모르면 손으로 움직여 본다.
  4. 기계는 사용 전에 점검한다.
(정답률: 95%)
  • "사용법을 확실히 모르면 손으로 움직여 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기계 작업 시에는 사용법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손으로 움직이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취급자나 보조자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칩이나 절삭된 물품에 손을 대지 않는다.", "기계는 사용 전에 점검한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호구의 적절한 선정 및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작업에 적절한 보호구를 선정한다.
  2. 작업장에는 필요한 수량의 보호구를 비치한다.
  3. 보호구는 방호 성능이 없도록 품질이 양호해야 한다.
  4. 보호구는 착용이 간편해야 한다.
(정답률: 91%)
  • "보호구는 방호 성능이 없도록 품질이 양호해야 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보호구는 방호 성능이 있어야 하며, 품질 또한 양호해야 합니다. 이유는 보호구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호구의 방호 성능과 품질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냉동기를 운전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기 유면 및 냉매량을 확인한다.
  2. 응축기, 유냉각기의 냉각수 입·출구밸브를 연다.
  3. 냉각수 펌프를 운전하여 응축기 및 실린더 자켓의 통수를 확인한다.
  4. 암모니아 냉동기의 경우는 오일 히터를 기동 30~60분 전에 통전한다.
(정답률: 72%)
  • 암모니아 냉동기의 경우는 오일 히터를 기동 30~60분 전에 통전한다. - 이것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암모니아 냉동기는 오일 히터를 기동하여 오일의 점도를 낮추어 압축기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기동 30~60분 전에 통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냉동기 검사에 합격한 냉동기 용기에 반드시 각인해야 할 사항은?

  1. 제조업체의 전화번호
  2. 용기의 번호
  3. 제조업체의 등록번호
  4. 제조업체의 주소
(정답률: 79%)
  • 냉동기 검사에 합격한 냉동기 용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용기의 식별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용기에는 반드시 고유한 번호가 부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냉동기 용기에 각인해야 할 사항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용기의 번호"입니다. 다른 사항들도 중요하지만, 용기의 식별을 위해서는 용기의 번호가 가장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스용접 작업 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용기밸브는 서서히 열고 닫는다.
  2. 용접 전에 소화기 및 방화사를 준비한다.
  3. 용접 전에 전격방지기 설치 유무를 확인한다.
  4. 역화방지를 위하여 안전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76%)
  • 가스용접 작업 시 전기적인 충격으로 인한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전격방지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용접 전에 전격방지기 설치 유무를 확인한다."가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기 기기의 방폭구조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내압 방폭구조
  2. 안전증 방폭구조
  3. 유입 방폭구조
  4. 차동 방폭구조
(정답률: 68%)
  • 차동 방폭구조는 전기기기의 방폭구조 형태 중 하나로, 전기기기 내부에 발생하는 화재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기기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내압 방폭구조, 안전증 방폭구조, 유입 방폭구조는 모두 전기기기의 방폭구조 형태 중 하나이지만, 차동 방폭구조는 방폭구조의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공구 사용에 대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공구함에 정리를 하면서 사용한다.
  2. 결함이 없는 완전한 공구를 사용한다.
  3. 작업완료 시 공구의 수량과 훼손 유무를 확인한다.
  4. 불량공구는 사용자가 임시 조치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93%)
  • 불량공구는 사용자가 임시 조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으며, 작업 중에 공구가 파손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안전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불량공구는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표준냉동사이클로 운전될 경우, 다음 왕복동 압축기용 냉매 중 토출가스 온도가 제일 높은 것은?

  1. 암모니아
  2. R-22
  3. R-12
  4. R-500
(정답률: 71%)
  • 암모니아는 다른 냉매에 비해 냉매 특성이 우수하여 냉동 시스템의 효율성이 높습니다. 또한, 토출가스 온도가 다른 냉매에 비해 낮아서 냉동기의 안전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표준냉동사이클로 운전될 경우에도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냉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의 압축 과정 동안 냉매의 상태변화로 틀린 것은?

  1. 압력 상승
  2. 온도 상승
  3. 엔탈피 증가
  4. 비체적 증가
(정답률: 59%)
  • 정답은 "비체적 증가"입니다.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에서 압축 과정은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때 냉매의 엔탈피도 증가합니다.

    하지만 냉매의 비체적은 압력과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냉매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일정합니다. 따라서 압축 과정에서 냉매의 비체적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동관작업용 공구가 아닌 것은?

  1. 익스펜더
  2. 티뽑기
  3. 플레어링 툴
  4. 클립
(정답률: 80%)
  • 클립은 동관작업용 공구가 아닙니다. 클립은 종이나 문서 등을 잠시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사무용품입니다. 반면, 익스펜더, 티뽑기, 플레어링 툴은 모두 동관작업에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익스펜더는 동관을 넓히는 데 사용되며, 티뽑기는 동관 내부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플레어링 툴은 동관의 끝을 넓혀서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유체의 입구와 출구의 각이 직각이며, 주로 방열기의 입구 연결밸브나 보일러 주증기 밸브로 사용되는 밸브는?

  1. 슬로우스 밸브(Sluice valve)
  2. 체크밸브(Check valve)
  3. 앵글밸브(Angle valve)
  4. 게이트밸브(Gate valve)
(정답률: 73%)
  • 유체의 입구와 출구의 각이 직각인 밸브를 앵글밸브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주로 방열기의 입구 연결밸브나 보일러 주증기 밸브로 사용되는 밸브는 앵글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횡형 쉘 앤 튜브(Horizontal shell and tube)식 응축기에 부착되지 않는 것은?

  1. 역지 밸브
  2. 공기배출구
  3. 물 드레인 밸브
  4. 냉각수 배관 출·입구
(정답률: 65%)
  • 횡형 쉘 앤 튜브식 응축기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증발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응축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때 역지 밸브는 냉각수가 응축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역지 밸브는 응축기에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다른 보기들은 응축기에 부착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냉동장치의 냉매배관에서 흡입관의 시공상 주의점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의 흐름이 합류하는 곳은 T이음으로 연결한다.
  2. 압축기가 증발기보다 밑에 있는 경우, 흡입관은 증발기 상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올린 후 압축기로 가게 한다.
  3. 흡입관의 입상이 매우 길 때는 약 10m마다 중간에 트랩을 설치한다.
  4. 각각의 증발기에서 흡인 주관으로 들어가는 관은 주관 위에서 접속한다.
(정답률: 75%)
  • "두 개의 흐름이 합류하는 곳은 T이음으로 연결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압축기의 상부간격(Top Clearance)이 크면 냉동 장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1. 토출가스 온도가 낮아진다.
  2. 체적 효율이 상승한다.
  3. 윤활유가 열화되기 쉽다.
  4. 냉동능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61%)
  • 압축기의 상부간격이 크면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부에서 냉각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압축기 내부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윤활유가 열화되기 쉽게 만들어서 정상적인 윤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상부간격이 크면 윤활유가 열화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00V, 300W의 전열기를 100V 전압에서 사용할 경우 소비전력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정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약 50kW
  2. 약 75kW
  3. 약 100kW
  4. 약 150kW
(정답률: 80%)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100V로 감소하면 전류는 2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200V, 300W의 전열기를 100V에서 사용할 경우 전류는 1.5배가 되어 450W의 소비전력이 됩니다. 이를 kW 단위로 변환하면 약 0.45kW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약 50kW"가 아니라 "약 75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흡수식 냉동기에 사용되는 흡수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용액의 증기압이 낮을 것
  2. 농도변화에 의한 증기압의 변화가 클 것
  3. 재생에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
  4. 점도가 높지 않을 것
(정답률: 73%)
  • "농도변화에 의한 증기압의 변화가 클 것"이 틀린 것입니다. 흡수식 냉동기에서는 흡수제의 농도에 따라 증기압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 증기압 변화가 클수록 냉동기의 성능이 좋아지기 때문에 농도 변화에 의한 증기압 변화가 클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올바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동장치의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냉동톤(RT)이 있다. 1냉동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0℃의 물 1kg을 24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
  2. 0℃의 물 1ton을 24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
  3. 0℃의 물 1kg을 1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
  4. 0℃의 물 1ton을 1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
(정답률: 82%)
  • 0℃의 물 1ton을 24시간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이 1냉동톤이라는 것은, 냉동장치가 24시간 동안 0℃의 물 1ton을 얼음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열량과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동장치의 냉각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암모니아 냉매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물에 잘 용해된다.
  2. 밀폐형 압축기에 적합한 냉매이다.
  3. 다른 냉매보다 냉동효과가 크다.
  4. 가연성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다.
(정답률: 70%)
  • 암모니아 냉매는 물에 잘 용해되고, 다른 냉매보다 냉동효과가 크지만, 가연성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밀폐형 압축기에 적합한 냉매이기 때문에, 냉장 및 냉동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압축기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압축되고, 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동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기 및 열전도율이 좋다.
  2.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일반적으로 동파에 강하다.
  3. 산성에는 내식성이 강하고 알칼리성에는 심하게 침식된다.
  4. 전연성이 풍부하고 마찰저항이 적다.
(정답률: 79%)
  • "산성에는 내식성이 강하고 알칼리성에는 심하게 침식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동은 오히려 산성에는 약하고 알칼리성에는 강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동의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 층이 알칼리성 환경에서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회전 날개형 압축기에서 회전 날개의 부착은?

  1. 스프링 힘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2.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3. 고압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4. 무게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정답률: 88%)
  • 회전 날개형 압축기에서 회전 날개는 회전 운동을 하며 공기를 압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회전 날개는 높은 속도로 회전하므로 원심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회전 날개는 원심력에 의해 실린더에 부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회전식 압축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립이나 조정에 있어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2. 대형 압축기와 저온용 압축기에 많이 사용한다.
  3. 왕복동식보다 부품수가 적으며 흡입밸브가 없다.
  4. 압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진공펌프로도 사용된다.
(정답률: 65%)
  • "왕복동식보다 부품수가 적으며 흡입밸브가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회전식 압축기는 회전하는 로터 내부에 있는 블레이드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흡입밸브가 없는 것은 맞지만, 부품 수는 왕복동식보다 많습니다. 대형 압축기와 저온용 압축기에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회전식 압축기가 높은 압축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고체 냉각식 동결장치가 아닌 것은?

  1. 스파이럴식 동결장치
  2. 배치식 콘택트 프리져 동결장치
  3. 연속식 싱글 스틸 벨트 프리져 동결장치
  4. 드럼 프리져 동결장치
(정답률: 67%)
  • 스파이럴식 동결장치는 고체 냉각식 동결장치이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콘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연속식 동결장치입니다. 따라서 스파이럴식 동결장치가 아닌 것은 스파이럴식이 아닌 나머지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흡수식 냉동장치의 주요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재생기
  2. 흡수기
  3. 이젝터
  4. 용액펌프
(정답률: 74%)
  • 흡수식 냉동장치에서 이젝터는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젝터는 열펌프의 일종으로, 흡수식 냉동장치에서는 열펌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재생기, 흡수기, 용액펌프는 흡수식 냉동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단 증기압축기 냉동사이클에서 건조압축과 비교하여 과열압축이 일어날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기 소비동력이 커진다.
  2. 비체적이 커진다.
  3. 냉매 순환량이 증가한다.
  4. 토출가스의 온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50%)
  • "비체적이 커진다."가 틀린 것입니다.

    과열압축이 일어날 경우, 냉매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냉매의 비체적이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압축기 소비동력이 감소하고, 냉매 순환량이 증가합니다. 또한, 토출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맞지만, 이는 과열압축이나 건조압축에서 모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p-h선도(Mollier Diagram)에서 등온선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76%)
  • 정답은 ""입니다.

    p-h선도는 압력(pressure)과 수증기의 비율(humidity ratio)을 이용하여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등온선은 같은 온도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선으로, 이 경우에는 20℃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등온선입니다. 따라서 ""가 등온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냉동기의 2차 냉매인 브라인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낮은 응고점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동결되지 않을 것
  2. 비중이 적당하고 점도가 낮을 것
  3. 비열이 크고 열전달 특성이 좋을 것
  4. 증발이 쉽게 되고 잠열이 클 것
(정답률: 64%)
  • "증발이 쉽게 되고 잠열이 클 것"이 틀린 것은 브라인이 2차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발이 쉽고 잠열이 크지 않으면 냉동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두 전하 세기의 곱에 비례하고,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쿨롱의 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답률: 68%)
  •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쿨롱의 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법칙은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두 전하 세기의 곱에 비례하고,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두 전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힘은 약해지고, 전하의 크기가 커질수록 힘은 강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단압축 1단팽창 사이클에서 중간냉각기 주위에 연결되는 장치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가) : 수액기
  2. (나) : 고단측 압축
  3. (다) : 응축기
  4. (라) : 증발기
(정답률: 63%)
  • 2단압축 1단팽창 사이클에서 중간냉각기 주위에 연결되는 장치는 증발기에서 나온 증기를 다시 압축하여 압축기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응축기가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열을 이용하는 열펌프(Heat Pump)의 종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엔진 구동 열펌프
  2. 지하수 이용 열펌프
  3. 지표수 이용 열펌프
  4. 토양 이용 열펌프
(정답률: 83%)
  • 엔진 구동 열펌프는 외부 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내부 연료인 엔진을 이용하여 열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다른 열펌프들과는 달리 지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열원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는 일정하게 하고 증발온도를 저하시키면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2. 성능계수가 저하한다.
  3.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감소한다.
  4. 압축비가 증가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압축비가 증가한다."입니다.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증발온도를 저하시키면 냉매의 상태가 압축기에서 압축될 때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압축기에서 생성되는 열의 양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냉동능력을 감소시키고, 성능계수를 저하시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점토 또는 탄산마그네슘을 가하여 형틀에 압축 성형한 것으로 다른 보온재에 비해 단열효과가 떨어져 두껍게 시공하며, 500℃ 이하의 파이프, 탱크노벽 등의 보온에 사용하는 것은?

  1. 규조토
  2. 합성수지 패킹
  3. 석면
  4. 오일시일 패킹
(정답률: 76%)
  • 규조토는 점토 중에서도 단열성이 뛰어나며, 점토나 탄산마그네슘과 함께 압축 성형하여 만들어진 형틀로 두껍게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500℃ 이하의 보온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규조토"입니다. 합성수지 패킹, 석면, 오일시일 패킹은 보온재로 사용되지만, 규조토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의 열은?

  1. 승화열
  2. 응축열
  3. 증발열
  4. 융해열
(정답률: 79%)
  •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는 분자 간의 결합력이 깨져서 열이 흡수되어야 합니다. 이때 흡수되는 열을 증발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발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그림과 같이 15A 강관을 45° 엘보에 동일부속 나사 연결할 때 관의 실제 소요길이는? (단, 엘보중심 길이21mm, 나사물림 길이 11mm이다.)

  1. 약 255.8mm
  2. 약 258.8mm
  3. 약 274.8mm
  4. 약 262.8mm
(정답률: 48%)
  • 엘보 중심부터 나사물림까지의 길이는 21mm+11mm=32mm이다. 따라서, 45° 엘보에 연결된 15A 강관의 실제 소요길이는 32mm만큼 더 길어진다. 이때, 45° 엘보의 중심각이 45°이므로, 각도에 대한 호의 길이는 (파이/4)×반지름이다. 따라서, 15A 강관의 반지름은 (15/2)mm=7.5mm이므로, 호의 길이는 (파이/4)×7.5mm≈5.89mm이다. 이렇게 구한 호의 길이와 엘보 중심부터 나사물림까지의 길이를 더하면, 32mm+5.89mm≈37.89mm가 된다. 마지막으로, 15A 강관의 길이는 2000mm이므로, 실제 소요길이는 2000mm+37.89mm≈2,037.89mm≈약 262.8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262.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준냉동사이클에 의해 작동되는 냉동장치의 운전 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증발기 내의 액냉매는 피냉각 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증발기 내를 흘러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다.
  2. 응축온도는 냉각수 입구온도보다 높다.
  3. 팽창과정 동안 냉매는 단열팽창하므로 엔탈피가 증가한다.
  4. 압축기 토출 직후의 증기온도는 응축과정 중의 냉매 온도보다 낮다.
(정답률: 45%)
  • 정답은 "응축온도는 냉각수 입구온도보다 높다."입니다. 이유는 기준냉동사이클에서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고온 고압 상태로 증발기로 들어가면서 열을 방출하고, 증발기 내의 액냉매는 피냉각 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증발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증발기 내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이후 냉매는 압축기로 들어가면서 냉매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후 냉매는 응축기에서 냉각수와 열교환을 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응축온도는 냉각수 입구온도보다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표준냉동사이클의 p-h(압력-엔탈피)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축과정에서는 압력이 일정하다.
  2. 압축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다.
  3. 증발과정에서는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다.
  4. 팽창과정에서는 엔탈피와 압력이 일정하다.
(정답률: 50%)
  • 팽창과정에서는 엔탈피와 압력이 일정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팽창과정에서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체적이 증가하므로, 일정한 엔탈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있는 열이 일부 외부로 방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팽창과정에서는 엔탈피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냉동장치의 압축기에서 가장 이상적인 압축과정은?

  1. 등온 압축
  2. 등엔트로피 압축
  3. 등압 압축
  4. 등엔탈피 압축
(정답률: 72%)
  • 냉동장치의 압축기에서 가장 이상적인 압축과정은 등엔트로피 압축입니다. 이는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으로, 압축기에서 가스를 압축할 때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는 압축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며, 냉동기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등엔트로피 압축은 등엔탈피 압축보다 냉매의 온도 상승이 적어 에너지 손실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NH3 표준냉동사이클의 P-h선도이다. 플래시 가스 열량(kcal/kg)은 얼마인가?

  1. 48
  2. 55
  3. 313
  4. 368
(정답률: 63%)
  • NH3 표준냉동사이클에서 플래시 가스 열량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에서 급속히 확장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말한다. 따라서 P-h선도에서 증발기 직전의 상태인 포화상태에서의 엔탈피와 증발 후의 상태인 포화상태에서의 엔탈피를 구하면 된다.

    P-h선도에서 포화상태에서의 압력은 0.8 MPa, 엔탈피는 305 kcal/kg이고, 증발 후의 포화상태에서의 압력은 0.15 MPa, 엔탈피는 257 kcal/kg이다. 따라서 플래시 가스 열량은 305 - 257 = 48 kcal/kg이다. 따라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15℃의 공기 15㎏과 30℃의 공기 5㎏을 혼합할 때 혼합 후의 공기온도는?

  1. 약 22.5℃
  2. 약 20℃
  3. 약 19.2℃
  4. 약 18.7℃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동절기의 가열코일의 동결방지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온수코일은 야간 운전정지 중 순환펌프를 운전한다.
  2. 운전 중에는 전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외기를 예열하여 도입한다.
  3. 외기와 환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별도의 통로를 만든다.
  4. 증기코일의 경우 0.5㎏/cm2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고 코일 내에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9%)
  • 외기와 환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별도의 통로를 만드는 것은 가열코일의 동결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실내 공기의 순환을 위한 것으로, 가열코일의 동결방지와는 다른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송풍기의 효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정압효율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팬의 축 동력에 대한 공기의 저항력
  2. 팬의 축 동력에 대한 공기의 정압 동력
  3. 공기의 저항력에 대한 팬의 축 동력
  4. 공기의 정압 동력에 대한 팬의 축 동력
(정답률: 66%)
  • 송풍기의 효율을 표시하는 정압효율은 팬의 축 동력에 대한 공기의 정압 동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송풍기가 공기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동력과, 이동된 공기가 가지는 압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송풍기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압효율이 높을수록 송풍기가 더 많은 공기를 이동시키는 데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노통 연관 보일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통 보일러와 연관 보일러의 장점을 혼합한 보일러이다.
  2. 보유수량에 비해 보일러 열효율이 80~85% 정도로 좋다.
  3. 형체에 전열면적이 크다.
  4. 구조상 고압, 대용량에 적합하다.
(정답률: 65%)
  • 구조상 고압, 대용량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노통 연관 보일러는 노통 보일러와 연관 보일러의 장점을 혼합한 보일러로, 보유수량에 비해 보일러 열효율이 좋고 형체에 전열면적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고압, 대용량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기조화에 사용되는 온도 중 사람이 느끼는 감각에 대한 온도, 습도, 기류의 영향을 하나로 모아 만든 쾌감의 지표는?

  1. 유효온도(effective temperature : ET)
  2. 흑구온도(globe temperature : GT)
  3. 평균복사온도(mean radiant temperature : MRT)
  4. 작용온도(operation temperature : OT)
(정답률: 80%)
  • 공기조화에 사용되는 온도 중 사람이 느끼는 감각에 대한 온도, 습도, 기류의 영향을 하나로 모아 만든 쾌감의 지표는 유효온도입니다. 이는 인체의 열방출과 수증기방출, 대기의 온도, 상대습도, 기류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으로, 실제로 느끼는 온도와 가장 근접한 값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공기조화 시스템의 조절에 유효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핀(fin)이 붙은 튜브형 코일을 강판형 박스에 넣은 것으로 대류를 이용한 방열기는?

  1. 콘벡터(convector)
  2.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
  3. 유닛 히터(unit heater)
  4. 라디에이터(radiator)
(정답률: 53%)
  • 콘벡터는 핀이 붙은 튜브형 코일을 강판형 박스에 넣어 대류를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는 방식의 방열기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설명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콘벡터(convec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일 덕트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단일 덕트 스페이스가 비교적 크게 된다.
  2. 외기 냉방운전이 가능하다.
  3. 고성능 공기정화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4. 공조기가 집중되어 있으므로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48%)
  • 고성능 공기정화장치는 복수의 덕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일 덕트 방식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축물에서 외기와 접하지 않는 내벽, 내창, 천정 등에서의 손실열량을 계산할 때 관계없는 것은?

  1. 열관류율
  2. 면적
  3. 인접시과 온도차
  4. 방위계수
(정답률: 74%)
  • 방위계수는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 온도차, 바람의 방향과 세기, 건축물의 형태와 위치 등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 내벽, 내창, 천정 등에서의 손실열량을 계산할 때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위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조화방식 중에서 외기도입을 하지 않아 덕트 설비가 필요 없는 방식은?

  1. 팬코일 유닛방식
  2. 유인 유닛방식
  3. 각층 유닛방식
  4. 멀티존 방식
(정답률: 63%)
  • 팬코일 유닛방식은 실내에 설치된 팬코일 유닛을 통해 냉난방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외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덕트 설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에서 설명하고 있는 냉방 부하의 변화요인은?

  1. 방의 크기
  2. 방의 방위
  3. 단열재의 두께
  4. 단열재의 종류
(정답률: 86%)
  • 방의 방위는 태양광이나 바람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냉방 부하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냉방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요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냉방 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방의 크기나 단열재의 두께, 종류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방의 방위가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개별 공조방식이 아닌 것은?

  1. 패키지방식
  2. 룸쿨러방식
  3. 멀티유닛방식
  4. 팬코일유닛방식
(정답률: 58%)
  • 팬코일유닛방식은 개별 공조방식이 아닙니다. 이 방식은 중앙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한 대의 중앙 공조기에 여러 개의 팬코일유닛을 연결하여 각각의 공간을 냉난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개별 공조방식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열전달 효율이 높아 온도차가 작은 유체 간의 열교환에 매우 효과적이다.
  2. 전열판에 요철 형태를 성형시켜 사용하므로 유체의 압력손실이 크다.
  3. 셸튜브형에 비해 열관류율이 매우 높으므로 전열면적을 줄일 수 있다.
  4. 다수의 전열판을 겹쳐 놓고 볼트로 고정시키므로 전열면의 점검 및 청소가 불편하다.
(정답률: 55%)
  • 다수의 전열판을 겹쳐 놓고 볼트로 고정시키므로 전열면의 점검 및 청소가 불편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전열판을 분리하여 청소 및 점검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난방 방식의 분류에서 간접 난방에 해당하는 것은?

  1. 온수난방
  2. 증기난방
  3. 복사난방
  4. 히트펌프난방
(정답률: 52%)
  • 간접 난방은 물이나 공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공간을 가열하지 않습니다. 히트펌프난방은 공기나 지하수 등에서 열을 추출하여 실내 공간을 가열하는 간접 난방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히트펌프난방이 간접 난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공기선도에서 (2)에서 (1)로 냉각, 감습을 할 때 현열비(SHF)의 값을 식으로 나타낸 것 중 옳은 것은?

(정답률: 59%)
  • 정답은 ""입니다.

    냉각, 감습을 할 때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현열비(SHF)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2)에서 (1)로 냉각, 감습을 할 때 현열비(SHF)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SHF(1) < SHF(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덕트 속에 흐르는 공기의 평균 유속 10m/s, 공기의 비중량 1.2kgf/m3, 중력 가속도가 9.8m/S3일 때 동압은?

  1. 약 3mmAq
  2. 약 4mmAq
  3. 약 5mmAq
  4. 약 6mmAq
(정답률: 42%)
  • 동압은 공기의 속도와 밀도, 그리고 중력 가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덕트 속에 흐르는 공기의 평균 유속과 비중량, 중력 가속도가 주어졌으므로 동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동압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동압 = (밀도 × 속도2) / 2 + (비중량 × 중력 가속도 × 높이)

    여기서 높이는 덕트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높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높이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동압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동압 = (1.2 × 102) / 2 + (1.2 × 9.8 × 0)
    = 60 / 2
    = 30mmAq

    하지만, 보기에서는 동압이 "약 6mmAq" 이라고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계산 결과를 보면 동압이 너무 크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공기의 속도가 너무 높아서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공기의 속도를 줄이면 동압도 감소하게 됩니다. 보기에서는 "약 6mmAq" 이라고 주어졌으므로, 계산 결과를 보면 공기의 속도를 약 1/5 정도로 줄인 경우에 동압이 약 6mmAq 가량 나오게 됩니다.

    즉, 공기의 속도를 2m/s 정도로 줄인 경우에 동압이 약 6mmAq 가량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6mmAq"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