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전자기기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저항 4Ω, 유도리액턴스 3Ω을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 임피던스는 몇 Ω 이 되는가?

  1. 2.4
  2. 5
  3. 7.5
  4. 10
(정답률: 46%)
  •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각 부품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로 변환하여 합성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합성 임피던스 = 1/저항 + 1/유도리액턴스

    1/합성 임피던스 = 1/4 + 1/3

    1/합성 임피던스 = 7/12

    합성 임피던스 = 12/7

    합성 임피던스 = 1.71Ω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4"가 아닌 "1.71"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저항만의 회로에서 교류 전력식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한 것은?

  1. E I cosθ
  2. E I
  3. E I sinθ
  4. E I tanθ
(정답률: 40%)
  • 저항만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상관관계는 오므로,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류 전력식은 "전압 × 전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저항만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는 같으므로, 교류 전력식은 "E I"로 가장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생활 중에서 정전기를 응용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전자 복사기
  2. 공기 청정기
  3. 전기 도금
  4. 차량 도장
(정답률: 65%)
  • 전자 복사기와 공기 청정기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제품이지만, 전기 도금과 차량 도장은 정전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분야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전기 도금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금속을 도금하는 기술로,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을 이온화시키고 그것을 다른 금속 표면에 분리시켜 도금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이상적인 발진기에서 발진주파수를 결정하는 소자는?

  1. R3, R4, C1, C2
  2. C1, C2, R1, R2
  3. C1, R1, R2, R3
  4. C1, R1
(정답률: 68%)
  • 발진기의 주파수는 발진회로에서 결정되며, 이 회로에서 C1, C2, R1, R2가 주파수 결정 소자로 사용된다. C1과 C2는 발진회로의 피드백 회로를 형성하며, R1과 R2는 발진회로의 게인을 결정한다. 따라서 C1, C2, R1, R2가 주파수 결정 소자로 사용된다. R3과 R4는 발진회로의 DC 바이어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투자율이 클수록 저항은 작아진다.
  2. 기자력이 일정하면 철심의 단면적이 클수록 자기저항은 커진다.
  3. 기자력이 일정하면 자로의 길이가 길수록 자기저항은 커진다.
  4. 자기저항이 작아지면 자속을 잘 통하게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기자력이 일정하면 철심의 단면적이 클수록 자기저항은 커진다." 이다.

    이유는 자기저항은 철심의 단면적과 자로의 길이에 반비례하며, 기자력은 철심의 단면적과 자속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심의 단면적이 커지면 기자력은 증가하지만, 자기저항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에서 전류 Ia=3+j4 A, Ib=-3+j4 A, Ic=6+j8 A이면 Id는 몇 A 인가?

  1. - 6
  2. - j6
  3. 12 + j8
  4. 8 + j12
(정답률: 58%)
  • 전류의 대략적인 방향을 파악해보면, Ia와 I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Ic는 그들의 합쳐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Id를 구해보면, Id = Ia + Ib + Ic = (3-j4) + (-3-j4) + (6+j8) = 6+j8-6 = 2+j8 = 2(1+j4)입니다. 이를 극좌표 형태로 변환하면, 크기는 2√17이고 각도는 약 75.96도입니다. 이를 다시 직교좌표 형태로 변환하면, Id = 2cos(75.96도) + j2sin(75.96도) = -0.32 + j1.94 ≈ -0.32 + j2 ≈ -j6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이오드를 사용한 브리지 정류회로는 주로 어떤 정류회로인가?

  1. 반파 정류회로
  2. 전파 정류회로
  3. 배전압 정류회로
  4. 정전압 정류회로
(정답률: 31%)
  • 다이오드를 사용한 브리지 정류회로는 주로 전파 정류회로입니다. 이는 전파를 정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전파가 양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면 전파를 정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전파 정류회로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증폭회로에서 되먹임(feed back)이 있을 때의 전압증폭도 Af 는? (단, Vf : 되먹임전압, Vo : 출력전압, β : 되먹임계수) (문제 오류로 복원중인 문제로 아래 보기 내용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보기를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 입니다.)

  1. 복원중
  2. 복원중
  3. 복원중
  4. 복원중
(정답률: 82%)
  • 문제 오류로 인해 정확한 답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기 내용을 수정하거나 문제를 다시 출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계수관에서 10진 계수방전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마그네트론
  2. 데카트론
  3. 클라이스트론
  4. TWT관
(정답률: 45%)
  • 10진 계수방전관은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관으로, 각 자리마다 전기적으로 구분된 10개의 상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데카트론은 이전 자리에서 발생한 전류에 따라 다음 자리의 상태를 결정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데카트론은 계수관에서 자리수를 계산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의 회로에서 시상수가 CR << τw 인 경우, 출력파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단, TW 는 펄스폭이다.)

(정답률: 52%)
  • 시상수가 CR << τw 인 경우, 충전 및 방전 시간 상수가 펄스폭 TW 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충전 및 방전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펄스가 시작되므로 출력파형은 일정한 직류 전압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반도체 집적회로에 해당되는 것은?

  1. 박막 집적회로
  2. 혼성 박막회로
  3. 모놀리딕 IC
  4. 하이브리드 IC
(정답률: 54%)
  • 반도체 집적회로는 하나의 반도체 칩 안에 여러 개의 전자소자를 집적시킨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모놀리딕 IC는 전자소자들이 모두 같은 반도체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소형화와 고성능화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FND 507)에서 7의 숫자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은?

  1. A, B, C 를 +Vcc 에 결선한다.
  2. A, B, C 를 접지시킨다.
  3. A, F, E 를 +Vcc 에 결선한다.
  4. A, F, E 를 접지시킨다.
(정답률: 57%)
  •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에서 숫자 7은 A, B, C 세그먼트가 모두 켜져야 표시됩니다. 따라서 A, B, C를 접지시키면 해당 세그먼트가 켜지고, 나머지 세그먼트는 모두 꺼지기 때문에 숫자 7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RC 회로의 시정수가 2μs 이었다. 펄스 응답시 상승시간은 몇 μs 가 되는가?

  1. 2.2
  2. 4.0
  3. 4.4
  4. 5.2
(정답률: 40%)
  • RC 회로에서 상승시간은 시정수(RC)에 2.2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상승시간은 2μs x 2.2 = 4.4μs 이므로 정답은 "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하아틀레이형 발진기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ZCE는 어떤 성분인가?

  1. 용량성
  2. 저항성
  3. 무유도성
  4. 유도성
(정답률: 60%)
  • ZCE는 유도성 성분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여 전류의 방향을 유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유도성 성분은 발전기에서 전기를 생산하거나 전기 모터에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회로에서 입·출력전압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k는 비례상수이다.)

  1. V0 =V2/V1
  2. V0 = V1·V2
  3. V0 = k(V1 - V2)
  4. V0 = k(V2 - V1)
(정답률: 39%)
  • 연산증폭기의 입·출력전압 관계는 V0 = k(V2 - V1)이다. 이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차이를 비례상수 k만큼 증폭시킨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증가하면 출력신호도 증가하게 되고, 입력신호가 감소하면 출력신호도 감소하게 된다. 이는 연산증폭기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출력 리플주파수가 360 ㎐인 정류회로는?

  1. 단상 반파
  2. 단상 양파
  3. 3상 반파
  4. 3상 양파
(정답률: 68%)
  • 출력 리플주파수가 360㎐인 경우, 3상 양파 정류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는 3상 양파 정류회로가 3상 전원을 사용하여 출력 리플주파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단상 반파 및 단상 양파 정류회로는 단상 전원을 사용하므로 출력 리플주파수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의 기억장치로 부터 명령이나 데이터를 읽을 때 제일 먼저 하는 일은?

  1. 명령 지정
  2. 명령 출력
  3. 어드레스 지정
  4. 어드레스 인출
(정답률: 60%)
  • 컴퓨터의 기억장치는 매우 큰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나 명령을 찾기 위해서는 그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어드레스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이나 데이터를 읽을 때 제일 먼저 하는 일은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진리표를 불대수로 표현하면?

  1. Y=AB'
  2. Y=A'B
  3. Y=A+B
  4. Y=AB
(정답률: 73%)
  • 진리표에서 Y가 1인 경우는 A와 B가 모두 1일 때이므로, Y는 A와 B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Y=A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0진수 (755)10를 16진수로 변환하면?

  1. 1F3
  2. 1F5
  3. 2F3
  4. 2F5
(정답률: 57%)
  • 10진수 755를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755 % 16 = 11 (나머지는 B)

    2. 16으로 나눈 몫을 구합니다.
    755 // 16 = 47

    3. 16으로 나눈 몫이 0이 될 때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47 % 16 = 15 (나머지는 F)
    47 // 16 = 2
    2 % 16 = 2 (나머지는 2)

    4.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합니다.
    2F3

    따라서, 정답은 "2F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이나 사진 또는 도형을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는 입력장치는?

  1. 광학마크 판독기
  2. 광학문자 판독기
  3. 스캐너
  4. 마우스
(정답률: 73%)
  • 그림이나 사진 또는 도형을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는 입력장치는 스캐너입니다. 스캐너는 광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전송합니다. 따라서 스캐너는 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데 사용되며, 광학마크 판독기나 광학문자 판독기는 특정한 형태의 문자나 코드를 인식하는데 사용됩니다. 마우스는 컴퓨터의 입력장치 중 하나이지만, 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게이트(gate)들 중에서 두 수의 부호 판단에 적당한 것은?

  1. NAND
  2. EX-OR
  3. AND
  4. OR
(정답률: 60%)
  • EX-OR 게이트가 두 수의 부호 판단에 적당합니다. 이유는 EX-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 1을 출력하고, 같을 때는 0을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수의 부호가 다를 때 1을 출력하고, 같을 때는 0을 출력하여 부호 판단에 적합합니다. NAND, AND, OR 게이트는 두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에 부호 판단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순서도(flowchart)의 기본형이 아닌 것은?

  1. 직선형
  2. 조건형
  3. 반복형
  4. 분기형
(정답률: 39%)
  • 조건형은 기본형이 아닙니다. 기본형은 직선형, 분기형, 반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건형은 조건에 따라 분기되는 형태로 추가된 형태입니다. 따라서 조건형은 순서도의 기본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소지정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직접 주소지정방식
  2. 통합 주소지정방식
  3. 상대 주소지정방식
  4.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66%)
  • 통합 주소지정방식은 주소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실제 주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직접 주소지정방식,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는 상대 주소지정방식,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그림은 연산자의 전달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A, B에 알맞은 것은?

  1. A : 전송(Transport), B : 수신(Recive)
  2. A : 로드(Load), B : 스토어(Store)
  3. A : 입력(Input), B : 출력(Output)
  4. A : 해독(Decoding), B : 실행(Execute)
(정답률: 61%)
  • A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CPU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드(Load) 연산자이고, B는 CPU에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어(Store) 연산자이다. 따라서 A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송(Transport)"이 아니며, B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수신(Recive)"이 아니다. 또한 A는 입력(Input)이나 출력(Output)과도 관련이 없으며, B는 해독(Decoding)이나 실행(Execute)과도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부동 소수점 표현 방식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부호 비트
  2. 지수부
  3. 소수점
  4. 가수부
(정답률: 46%)
  • 부동 소수점 표현 방식에서는 소수점 자체가 표현되지 않습니다. 대신, 지수부와 가수부를 이용하여 소수점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소수점"은 부동 소수점 표현 방식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주변 장치의 입·출력 방법이 아닌 것은?

  1. 데이지체인 방법
  2. 트랩 방법
  3. 인터럽트 방법
  4. 폴링 방법
(정답률: 54%)
  • 트랩 방법은 주변 장치의 입·출력 방법이 아닙니다. 트랩 방법은 운영체제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예기치 않은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중단시키고 운영체제에게 오류 정보를 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변 장치의 입·출력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누산기(Accumulator)의 용도는?

  1. 명령을 저장
  2. 명령을 해독
  3. 명령의 주소를 저장
  4.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정답률: 85%)
  • 누산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즉, 누산기는 CPU가 수행하는 모든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누산기는 CPU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산술 및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는?

  1.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2.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3.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4. ALU(Arithmetic Logic Unit)
(정답률: 73%)
  • ALU(Arithmetic Logic Unit)은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어큐뮬레이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며, 스택 포인터는 스택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는 ALU(Arithmetic Logic Uni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유도형 계기의 특징에 관한 사항이다. 이에 속하지 않는 사항은?

  1. 가동부에 전류를 흘릴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다.
  2. 공극이 좁고 자장이 강하므로 외부 자장의 영향이 작고, 구동 토크가 크다.
  3. 주파수의 영향이 다른 계기에 비하여 크므로 정밀급 계기에는 부적합하다.
  4. DC 전용 계기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3%)
  • 주파수의 영향이 다른 계기에 비하여 크므로 정밀급 계기에는 부적합하다. (DC 전용 계기로 주로 사용된다는 이유는, 유도형 계기가 AC 전류 측정에 적합하다는 것과, DC 전류 측정에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가동 철편형 계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분류기가 없이 비교적 큰 전류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2. 직류 전용이므로 교류를 측정하려면 정류기를 삽입하여야 한다.
  3. 눈금은 0부근을 제외하고는 균등 눈금에 가깝게 할 수 있다.
  4. 오차가 많은 결점이 있고, 감도가 높은 것은 제작이 곤란하다.
(정답률: 41%)
  • 가동 철편형 계기의 특징 중 "직류 전용이므로 교류를 측정하려면 정류기를 삽입하여야 한다."는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이유는 직류 전용이므로 교류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정류기를 삽입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측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아날로그 계기에 비하여 디지털 계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 결과를 읽을 때 개인 오차가 많이 발생된다.
  2. 비트 수에 따라 양자화 오차가 결정되므로, 고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3. 대부분의 측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4.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병용으로 계측 과정의 지능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정답률: 68%)
  • "측정 결과를 읽을 때 개인 오차가 많이 발생된다."는 디지털 계기의 특성이 아니라 오히려 아날로그 계기의 특성입니다. 디지털 계기는 비트 수에 따라 양자화 오차가 결정되므로 고정도의 측정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측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병용으로 계측 과정의 지능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참값이 100[㎃]이고, 측정값이 102[㎃]일 때 오차율은?

  1. -2 [%]
  2. 2 [%]
  3. -1.96 [%]
  4. 1.96 [%]
(정답률: 80%)
  • 오차율은 (측정값-참값)/참값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2-100)/100 x 100 = 2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류 전압을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전압계는?

  1. 교류 전자 전압계
  2. 직류 전자 전압계
  3. 교류 전위차계
  4. 고저항형 전위차계
(정답률: 29%)
  • 교류 전압을 다이오드로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다이오드가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류 전자 전압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침형 주파수계의 동작 원리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진동평형
  2. 가동철편형
  3. 편위형
  4. 전류력계형
(정답률: 45%)
  • 편위형은 지침형 주파수계의 동작 원리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지침형 주파수계는 전류력계형, 진동평형, 가동철편형으로 분류됩니다. 편위형은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이나 전류의 편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00 Ω의 TV 급전선에 75 Ω의 공중선을 접속하면 반사계수 m 은?

  1. +0.25
  2. -0.6
  3. +1.7
  4. -1.7
(정답률: 47%)
  • 반사계수 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m = (ZL - Z0) / (ZL + Z0)

    여기서 ZL은 적재 임피던스, 즉 공중선의 임피던스인 75 Ω이고, Z0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인 300 Ω입니다.

    따라서,

    m = (75 - 300) / (75 + 300) = -0.6

    즉, 공중선과 전송선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반사계수 m은 -0.6이 됩니다. 이는 전송선에서 발생한 신호가 공중선과의 접합 부분에서 일부 반사되어 전송선으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헤테로다인 주파수계에서 더블비트(double beat)법이 싱글 비트(single beat)법 보다 좋은 이유는?

  1. 오차가 적다.
  2. 취급이 용이하다.
  3. 구조가 간단하다.
  4. 측정 주파수 범위가 넓다.
(정답률: 49%)
  • 더블비트(double beat)법은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기 때문에 싱글 비트(single beat)법보다 오차가 적습니다. 따라서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송전선로에 발생한 서지 전압이나 번개로 생기는 이상 전압 등의 파고 값과 극성을 기록할 수 있는 장치는?

  1. 딥미터
  2. 클리노도그래프
  3. 바아그래픽미터
  4. 오실로스코프
(정답률: 45%)
  • 클리노도그래프는 파고 값과 극성을 기록할 수 있는 장치로, 송전선로에 발생한 서지 전압이나 번개로 생기는 이상 전압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클리노도그래프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시 계기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동장치
  2. 계량장치
  3. 제동장치
  4. 제어장치
(정답률: 83%)
  • 지시 계기의 3대 요소는 구동장치, 제동장치, 제어장치입니다. 계량장치는 지시 계기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적인 요소로, 주로 측정값을 표시하거나 기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계량장치는 지시 계기의 3대 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캠벌주파수 브리지가 평형 되었을 때, 전원의 주파수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단, M 은 상호 인덕턴스, C 는 콘덴서의 용량이다.)

(정답률: 80%)
  • 캠벌주파수 브리지가 평형되었다는 것은 왼쪽과 오른쪽의 임피던스가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의 임피던스를 각각 계산하여 이를 평형시키는 주파수를 구하면 됩니다.

    왼쪽 임피던스는 M과 C로 이루어진 복소임피던스이고, 오른쪽 임피던스는 C로 이루어진 복소임피던스입니다. 이를 각각 계산하여 평형시키는 주파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계측기로 측정한 입력측 S/N비와 출력측 S/N비에 대한 비를 나타내며, 단위로 [dB]을 쓰는 통신 품질의 평가 척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충실도
  2. 변조지수
  3. 명료도
  4. 잡음지수
(정답률: 53%)
  • 정답은 "잡음지수"입니다.

    잡음지수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S/N비를 비교하여 통신 품질을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S/N비 차이를 dB로 나타내어 계산합니다. 이 값이 클수록 잡음이 적고, 통신 품질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잡음지수는 통신 시스템의 잡음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두개의 트랜지스터가 부하에 대하여 직렬로 동작하고 직류 전원에 대해서는 병렬로 접속되는 회로는?

  1. SEPP 회로
  2. BTL 회로
  3. OTL 회로
  4. DEPP 회로
(정답률: 65%)
  • DEPP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부하에 대해 동작하고, 직류 전원은 병렬로 접속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SEPP 회로와 유사하지만,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서로 바뀌어 있어서 출력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DEPP 회로는 BTL 회로와 OTL 회로와 같이 양쪽 출력단에서 신호를 추출할 수 있으며, 고출력 오디오 앰프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결정하는 3 요소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배율
  2. 분해 능률
  3. 투과도
  4. 빛의 세기
(정답률: 57%)
  •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결정하는 3 요소는 배율, 분해 능률, 투과도입니다. 빛의 세기는 전자현미경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전자현미경에서 사용되는 전자빛은 일정한 세기로 공급되며, 이는 전자의 에너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세기는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한 직류 자장을 테이프에 가하여 녹음에 의한 잔류 자기를 자화시켜 소거하는 방법은?

  1. 교류 소거법
  2. 소거 헤드법
  3. 직류 소거법
  4. 테이프 소자기 사용법
(정답률: 59%)
  • 강한 직류 자장을 가하여 테이프에 자화시키면, 녹음에 의한 잔류 자기가 발생합니다. 이때, 이러한 잔류 자기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직류 자장을 가하여 자화시킨 테이프를 다시 강한 직류 자장에 노출시켜 반대 방향으로 자화시키면 됩니다. 이러한 방법을 직류 소거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주파 유도가열에 해당하는 것은?

  1. 금속 표면의 가열
  2. 음식물 조리
  3. 목재의 접착
  4. 합성수지의 접착
(정답률: 66%)
  • 고주파 유도가열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금속 표면을 가열하는 기술입니다. 전자기파가 금속 표면에 인덕션(유도)되면서 금속 내부에서 전기적 에너지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금속 표면이 가열됩니다. 따라서 "금속 표면의 가열"이 고주파 유도가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신기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사용의 주된 목적은?

  1. 페이딩(fading) 방지
  2. 주파수 편이 방지
  3. S/N 저하방지
  4. 이득저하 방지
(정답률: 79%)
  •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여 페이딩(fading)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페이딩은 신호가 전파 경로에서 감쇠되거나 반사되어 신호 강도가 갑자기 약해지는 현상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페이딩 방지를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압력 - 변위 변환기에 속하는 것은?

  1. 전자석
  2. 스프링
  3. 전자코일
  4. 슬라이드저항
(정답률: 81%)
  • 스프링은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변환기입니다. 스프링은 압력이 가해지면 그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변위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스프링은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데 적합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은?

  1. 전자 현미경
  2. 서보 기구
  3. 전자 냉동
  4. 레이더
(정답률: 85%)
  • 펠티어 효과는 전기와 열의 상호 변환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전자 냉동기는 전기를 통해 열을 흡수하여 냉각을 일으키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자 냉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구에 관측 장치를 적재하여 대기로 띄워 보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라디오존데
  2. 레이더
  3. 덱카
  4. 전파 고도계
(정답률: 68%)
  • 정답은 "라디오존데"입니다. 라디오존데는 대기 중의 온도, 습도, 기압 등을 측정하기 위해 기구에 관측 장치를 적재하여 대기로 띄워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대기 상황을 파악하고 기상 예보를 수행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레이더는 대기나 지표의 물체를 감지하는 기술이며, 덱카는 해저 탐사를 위한 장비입니다. 전파 고도계는 대기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증폭회로에 1[㎽]를 공급하였을 때 출력으로 1[W]가 얻어졌다면, 이 때 이득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7%)
  • 증폭회로의 이득은 출력 신호의 전력과 입력 신호의 전력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dB로 변환하면 10log(출력 전력/입력 전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득은 10log(1[W]/1[μW]) = 10log(1,000,000) = 60[dB]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dB가 아닌 dBm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이 값을 1[mW]에 대한 dBm 값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1[W]는 1000[mW]이므로, 1[W]에 해당하는 dBm 값은 10log(1000[mW]) + 30[dBm] = 30[dBm]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증폭회로의 이득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VTR의 영상헤드는 회전 운동을 하고 있다. 어떤 수단을 통하여 안전하게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가?

  1. 용량 결합
  2. 빛 센서에 의한 결합
  3. 로우타리 트랜스에 의한 결합
  4. 순금 슬립 링에 의한 결합
(정답률: 40%)
  • VTR의 영상헤드는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합니다. 이때, 로우타리 트랜스는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적인 수단으로, 안전하게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우타리 트랜스에 의한 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신기의 종합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도
  2. 충실도
  3. 선택도
  4. 변조도
(정답률: 65%)
  • 수신기의 종합특성은 감도, 충실도, 선택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변조도는 송신기의 특성으로,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왜곡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수신기의 종합특성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동제어의 분류에서 목표 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일정한 경우의 제어는?

  1. 프로그램 제어
  2. 추치 제어
  3. 정치 제어
  4. 서보기구 제어
(정답률: 55%)
  • 목표 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일정한 경우의 제어는 정치 제어입니다. 이는 정해진 목표 값을 유지하기 위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정치적인 결정과 같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자현미경에서 초점은 무엇으로 조정하는가?

  1. 투사렌즈의 여자전류
  2. 대물렌즈의 여자전류
  3. 집광렌즈의 여자전류
  4. 전자총
(정답률: 78%)
  • 전자현미경에서 초점은 대물렌즈의 여자전류로 조정됩니다. 이는 전자현미경에서 사용되는 대물렌즈가 전자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대물렌즈의 여자전류는 전자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샘플의 세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현미경에서 초점을 조정할 때는 대물렌즈의 여자전류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VTR 테이프를 재생할 때 헤드의 회전속도는 무엇으로 제어하는가?

  1.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콘트롤 신호
  2. 영상신호 속에 포함된 수직동기 신호
  3. 영상신호 속에 있는 수평동기 신호
  4. 수정발진자로 부터 얻어지는 3.58㎒ 색부반송파 신호
(정답률: 32%)
  • VTR 테이프를 재생할 때 헤드의 회전속도는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콘트롤 신호로 제어됩니다. 이는 VTR 테이프의 속도와 일치시켜 올바른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콘트롤 트랙에 기록된 콘트롤 신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라디오 수신기의 중간 주파수가 455 [KHz]이고 상측 헤테로다인 방식이라면 700 [KHz]방송을 수신할 때 국부발진 주파수는 얼마인가?

  1. 455 [KHz]
  2. 700 [KHz]
  3. 1155 [KHz]
  4. 1600 [KHz]
(정답률: 83%)
  • 상측 헤테로다인 방식에서는 국부발진 주파수가 중간 주파수보다 높기 때문에, 국부발진 주파수는 700 [KHz] + 455 [KHz] = 1155 [K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야기(YAGI) 안테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자수가 많을수록 이득이 증가하고 지향성이 예민해진다.
  2. 소자수가 많을수록 반사기나 도파기에 의한 영향으로 안테나 급전점 임피이던스가 저하된다.
  3. 도파기는 투사기보다 짧게 하여 용량성으로 동작한다
  4. 반사기는 투사기보다 짧게 하여 용량성으로 동작한다
(정답률: 43%)
  • 반사기는 투사기보다 짧게 하여 용량성으로 동작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반사기가 투사기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류가 빠르게 흐르고, 이에 따라 용량성으로 동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반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에 전장을 가하면 발광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1. 충전 발광
  2. 자장 발광
  3. 전장 발광
  4. 정전 발광
(정답률: 75%)
  • 전장을 가하면 전자와 양공이 재결합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발광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발광체라고 하며, 반도체가 대표적인 발광체입니다. 따라서 전장 발광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선박에 이용되며 방향 탐지기가 없이 보통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AN 레인지 비이컨
  2. 무지향성 비이컨
  3. 회전 비이컨
  4. 초고주파 전방향성 비이컨
(정답률: 65%)
  • 선박에서는 방향 탐지기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때 회전 비이컨은 방향성이 있는 비이컨으로, 비이컨의 안테나가 회전하면서 방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박에서 방향 탐지를 위해 가장 적합한 비이컨은 회전 비이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중간 주파수에서 증폭하므로 증폭도가 높아 감도가 좋다.
  2. 신호대 잡음비 개선을 위해 진폭 제한기를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선택도가 우수하다.
  4. 중간 주파수로 변화하므로 선택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49%)
  • 중간 주파수에서 증폭하므로 증폭도가 높아 감도가 좋다. (이것은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진폭 제한기는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한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 개선을 위해 진폭 제한기를 사용한다."는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치 증폭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량 조절 회로가 있다.
  2. 음질(tone)조정 회로가 있다.
  3. 마이크로폰이나 테이프헤드 등으로 부터 나오는 비교적 작은 신호 전압을 증폭한다.
  4.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이다.
(정답률: 37%)
  • 전치 증폭기는 작은 신호 전압을 증폭하는 회로이지만,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는 아닙니다.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는 파워 앰프(power amplifi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