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전자기기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고주파 전력증폭기에 주로 사용되는 증폭방식은?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76%)
  • 고주파 전력증폭기에서는 C급 증폭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C급 증폭기가 출력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전력 증폭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A급과 B급은 왜곡이 적지만 효율성이 낮고, AB급은 효율성은 높지만 왜곡이 많아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과변조합 전파를 수신하면 어떤 현상이 생기는가?

  1. 음성파가 많이 일그러진다.
  2. 검파기가 과부하로 된다.
  3. 음성파 전력이 작아진다.
  4. 음성파 전력이 크게 된다.
(정답률: 79%)
  • 과변조합 전파를 수신하면 음성파가 많이 일그러집니다. 이는 과변조합 전파가 여러 개의 주파수를 합쳐서 전송되기 때문에, 수신기에서는 이를 분리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주파수가 다른 주파수와 섞이면서 음성파가 일그러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로는?

  1. 주파수체배기
  2. 본주기
  3. 영상증폭기
  4. 마그네트론
(정답률: 66%)
  • 주파수체배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고주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파수체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발진주파수를 높이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파 정류회로에서 리플전압을 나타낸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콘덴서 입력형 필터 회로의 경우이다.)

  1. 리플전압은 콘덴서의 용량에만 반비례한다.
  2. 리플전압은 부하저항 및 콘덴서 용량에 반비례한다.
  3. 리플전압은 부하저항에 무관하고 콘덴서의 용량에 비례한다.
  4. 리플전압은 부하저항 및 콘덴서 용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59%)
  • 리플전압은 부하저항 및 콘덴서 용량에 반비례한다. 이는 콘덴서 입력형 필터 회로에서 콘덴서가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콘덴서의 용량이 커질수록 전류를 더 많이 공급할 수 있으므로 리플전압이 작아진다. 반면에 부하저항이 작을수록 전류가 많이 흐르므로 리플전압이 커진다. 따라서 리플전압은 부하저항 및 콘덴서 용량에 반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과 같은 정류회로에서 D1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PIV]은 몇 [V]인가?(사진이 많이 흐립니다. 더깨끗한 원본 있으시면 관리자 메일로 보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10[V]
  2. 20[V]
  3. 10√2[V]
  4. 20√2[V]
(정답률: 72%)
  • D1 다이오드는 전류가 양 방향으로 흐를 때, 반대 방향으로 역전압을 견딜 수 있는데, 이를 PIV(Peak Inverse Voltage)라고 합니다. 이 회로에서 D1 다이오드는 AC 전압이 양 극성으로 작용할 때, 즉 Vin이 음수가 되는 경우에 역전압을 견딜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 D1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Vin의 절댓값인 10[V]이 됩니다. 그러나, 이 회로에서 D1 다이오드는 정확히 45도 각도에서 전압이 0[V]이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 때, D1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은 Vin의 절댓값인 10[V]과 같지 않고, Vin에 루트 2를 곱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D1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10√2[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진폭제한기가 필요치 않으며 FV파의 일그러짐이 가장 작게 복조하는 방식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슬로프검파
  2. 계어타트비임검파
  3. 포스터실리검파
  4. 비검파
(정답률: 72%)
  • 진폭제한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FV파의 일그러짐이 가장 작게 복조하는 방식은 비검파입니다. 이는 비검파 방식이 FV파를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진폭제한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FV파의 일그러짐이 가장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검파 방식은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병합공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 f0=455[㎑], L=1[mH], Q=50이면 공진 임피던스는 약 몇 [㏀]인가?

  1. 83[㏀]
  2. 103[㏀]
  3. 123[㏀]
  4. 143[㏀]
(정답률: 45%)
  • 병합공진회로에서 공진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Z0 = RL // XC // XL

    여기서 RL은 부하 저항이고, XC와 XL은 각각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반응임피던스입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XC = -1/(2πfC)

    XL = 2πfL

    여기서 C는 캐패시터의 용량, L은 인덕터의 인덕턴스입니다. Q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Q = XL/RL

    이를 이용하여 RL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L = XL/Q = 2πfL/Q

    따라서 공진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Z0 = RL // XC // XL = (RLXCXL) / (XCXL + RLXL + RLXC)

    여기서 f=455[㎑], L=1[mH], Q=50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C = -1/(2πfC) = -3.49[㏀]

    XL = 2πfL = 2.86[㏀]

    RL = 2πfL/Q = 0.057[㏀]

    따라서 공진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Z0 = (RLXCXL) / (XCXL + RLXL + RLXC) = 143[㏀]

    따라서 정답은 "14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홀효과(hall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류와 자기장으로 기전력 발생
  2. 자기 저항 소자
  3. 빛과 자기장으로 기전력 발생
  4. 광전도 소자
(정답률: 65%)
  • 홀효과는 전기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면, 그 도체에서 전류와 수직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전자의 운동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서 발생하는데, 전자의 운동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이 수직이면 기전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류와 자기장으로 기전력 발생"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정용 전원의 교류 전압은 220[V]이다. 이는 무슨 값인가?

  1. 최대값
  2. 순시값
  3. 평균값
  4. 실효값
(정답률: 81%)
  • 220[V]는 가정용 전원의 교류 전압의 "실효값"입니다. 이는 전압의 효과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전압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값, 순시값, 평균값으로는 정확한 크기를 나타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전압의 효과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실효값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떤 사람의 음성 주파수 폭이 100[㎐]에서 18[㎒] 음성을 진폭 변조하면 정유 주파수 대역폭은 얼마나 필요한가?

  1. 9[㎑]
  2. 18[㎑]
  3. 27[㎑]
  4. 36[㎑]
(정답률: 68%)
  • 음성을 진폭 변조하면 주파수 대역폭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 때, 주파수 대역폭은 변조된 최고 주파수에서 변조되기 전 주파수를 뺀 값의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변조된 최고 주파수가 18[㎒]이고 변조되기 전 주파수가 100[㎐]이므로, 주파수 대역폭은 (18-0.1) x 2 = 35.8[㎑]이 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3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5[V]의 입력전압을 50[V]로 증폭했을 때 전압이폭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8%)
  • 증폭기의 증폭율은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5[V]에서 50[V]로 증폭되었으므로 증폭율은 50[V]/5[V] = 10입니다.

    증폭율을 데시벨(dB)로 변환하면 20log(10) = 20[㏈]이 됩니다. 따라서, 전압이폭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입력 전압이 500[mV]일 때 5[V]가 출력되었다면 전압 증폭도는?

  1. 9배
  2. 10배
  3. 90배
  4. 100배
(정답률: 72%)
  • 전압 증폭도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5[V] / 500[mV] = 10 이므로 전압 증폭도는 "10배" 입니다. 즉, 입력 전압이 1배일 때 출력 전압은 10배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5㎌/150V, 10㎌/150V, 20㎌/150V의 콘덴서를 서로 직렬로 연결하고 그 끝에 직류전압을 서서히 인가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1. 5㎌ 콘덴서가 가장 먼저 파괴된다.
  2. 10㎌ 콘덴서가 가장 먼저 파괴된다.
  3. 20㎌ 콘덴서가 가장 먼저 파괴된다.
  4. 모든 콘덴서가 동시에 파괴된다.
(정답률: 78%)
  • 정답은 "5㎌ 콘덴서가 가장 먼저 파괴된다."입니다.

    이유는 직렬 연결된 콘덴서들은 전압이 공유되기 때문에, 전압이 가장 낮은 콘덴서가 가장 먼저 전압을 견딜 수 없게 되어 파괴됩니다. 따라서 용량이 작은 5㎌ 콘덴서가 가장 먼저 파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출력 임피던스가 가장 적은 회로는?

  1. 베이스 접지회로
  2. 컬렉터 접지회로
  3. 이미터 접지회로
  4. 캐소드 접지회로
(정답률: 51%)
  • 컬렉터 접지회로가 출력 임피던스가 가장 적습니다. 이는 컬렉터가 출력 신호를 출력 임피던스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컬렉터는 고정된 전압을 가지고 있으므로, 출력 신호가 컬렉터에 연결되면 출력 신호는 컬렉터의 전압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컬렉터 접지회로는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에 가장 적합한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정류 회로 중 사용하는 다이오드의 수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반파 정류회로
  2. 정파 정류회로
  3. 브리지 정류회로
  4. 비전압 전파 정류회로
(정답률: 75%)
  • 브리지 정류회로는 4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입니다. 반파 정류회로와 정파 정류회로는 각각 1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며, 비전압 전파 정류회로는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하는 다이오드의 수량이 가장 많은 것은 브리지 정류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이 무한대이다.
  2. 입력임피던스가 무한대이다.
  3. 오픈 루프 전압이륙이 무한대이다.
  4. 온도에 대한 드리프트(Drift)의 영향이 크다.
(정답률: 69%)
  • "온도에 대한 드리프트(Drift)의 영향이 크다."가 틀린 것이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온도에 대한 드리프트가 작아야 한다. 드리프트란 온도나 시간에 따라 출력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온도나 시간에 민감하지 않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순서도 작성시 지키지 않아도 될 사항은?

  1. 기호는 창의성을 발휘하여 만들어 사용한다.
  2. 문제가 어려울때는 블록별로 나누어 작성한다.
  3. 기호 내부에는 처리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기술한다.
  4. 흐름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린다.
(정답률: 81%)
  • "기호는 창의성을 발휘하여 만들어 사용한다."는 순서도 작성시 규칙이 아닌 가이드라인이기 때문에 지키지 않아도 된다. 이는 작성자의 창의성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 과정이 필요 없는 언어는?

  1. Assanicly
  2. COSCL
  3. Machine Language
  4. LISP
(정답률: 79%)
  • Machine Language은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로 작성된 언어이기 때문에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언어들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어야 하기 때문에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어진 수의 왼쪽으로부터 비트 단위로 대응을 시켜 서로가 1이면 결과를 1, 하나라도 0이면 결과가 0으로 연산처리되는 명령은?

  1. OR
  2. AND
  3. EX-OR
  4. NOT
(정답률: 79%)
  • 주어진 수의 왼쪽으로부터 비트 단위로 대응을 시켜 서로가 1이면 결과를 1, 하나라도 0이면 결과가 0으로 연산처리되는 명령은 "AND" 입니다. 이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비트가 모두 1이 아니면 결과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 언어에서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1. int
  2. float
  3. double
  4. char
(정답률: 80%)
  •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 "in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integer"의 약자로,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float"와 "double"은 실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며, "char"는 문자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4개의 ○ 비트와 4개의 숫자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문 대문자를 포함하여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법용 코드로서 대형 컴퓨터에 주로 사용하는 코드는?

  1. BCD 코드
  2. ASCII 코드
  3. 그레이 코드
  4. EBCDIC 코드
(정답률: 54%)
  • EBCDIC 코드는 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코드로, 4개의 비트와 4개의 숫자비트로 이루어져 있어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문 대문자를 포함하여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법용 코드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EBCDIC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든 명령어의 길이가 같다고 할 때, 수행시간이 가장 긴 주소 지정 방식은?

  1. 직접(direct) 주소지정 방식
  2. 간접(indirect) 주소지정 방식
  3. 상대(relative) 주소지정 방식
  4. 즉시(immdiate) 주소지정 방식
(정답률: 59%)
  • 간접 주소지정 방식은 주소를 찾기 위해 한 번 더 메모리를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수행시간이 가장 길다. 직접 주소지정 방식은 주소를 바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빠르며, 상대 주소지정 방식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주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르다. 즉시 주소지정 방식은 값을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주소를 찾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버스란 MPU, Memory, I/O 장치들 사이에서 자료를 상호 교환하는 공동의 전송로를 말하는데 다음 중 양방향성 버스에 해당하는 것은?

  1. 주소 버스(Address Bus)
  2. 제어 버스(Control Bus)
  3. 데이터 버스(Data Bus)
  4. 입출력 버스(I/O Bus)
(정답률: 65%)
  • 데이터 버스는 MPU와 Memory, I/O 장치들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입니다. 따라서 양방향성 버스에 해당합니다. 주소 버스는 MPU가 Memory나 I/O 장치들에게 주소 정보를 전달하는 단방향성 버스이며, 제어 버스는 MPU가 Memory나 I/O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방향성 버스입니다. 입출력 버스는 I/O 장치들과 M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이며, 양방향성이지만 MPU와 I/O 장치들 사이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가 양방향성 버스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조회사에서 내용을 넣어 제조하는 롬(ROM)은?

  1. PROM
  2. Mask 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75%)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넣어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조과정에서 내용이 결정되어 있는 ROM은 Mask ROM이다. PROM은 사용자가 내용을 한 번만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EPROM과 EEPROM은 내용을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반면, Mask ROM은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넣어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결정된 내용을 가지고 제조되는 ROM은 Mask RO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순서제어 명령어로 나열된 것은?

  1. 로테이트 명령, 콜 명령, 리턴 명령
  2. 시프트 명령, 점프 명령, 콜 명령
  3. 블록 서치 명령, 점프 명령, 리턴 명령
  4. 점프 명령, 콜 명령, 리턴 명령
(정답률: 53%)
  • 점프 명령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이고, 콜 명령은 현재 위치를 저장하고 서브루틴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 리턴 명령은 서브루틴에서 호출한 위치로 돌아가는 명령어입니다. 이 세 가지 명령어는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조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술 시프트(Shif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좌측 시프트 후 유효 비트 1을 잃는 것을 오버플로우(overflow)라 한다.
  2. n비트 우측으로 시프트하면 2으로 곱한 결과가 된다.
  3. n비트 좌측으로 시프트하면 2으로 나눈 결과가 된다.
  4. 논리 시프트와는 달리 시프트 후 빈자리에 새로 들어오는 비트는 항상 0이다.
(정답률: 60%)
  • 좌측 시프트는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가장 왼쪽에 있는 비트는 버려지고, 새로운 비트는 가장 오른쪽에 추가됩니다. 이때, 추가된 비트가 1이면, 이전에 있던 1과 합쳐져서 2가 되는데, 이는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을 넘어서는 것이므로 오버플로우라고 합니다. 따라서 "좌측 시프트 후 유효 비트 1을 잃는 것을 오버플로우(overflow)라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컴퓨터 내부에서 연산의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거나 데이터의 내용을 이송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임시기억장치는?

  1. ROM
  2. I/O
  3. buffer
  4. register
(정답률: 55%)
  • register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CPU가 연산을 수행할 때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이송할 때 사용되는 임시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egi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서브루턴에서의 복귀어드레스가 보관되어 있는 곳은?

  1. 프로그램 카운터
  2. 스텍
(정답률: 76%)
  • 복귀어드레스는 함수가 호출된 후에 함수가 끝나고 돌아갈 위치를 저장하는 값입니다. 이 값은 스텍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복귀어드레스가 보관되어 있는 곳은 "스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테로다인 주파수계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교정발진기는?

  1. 펄스발진기
  2. 수정발진기
  3. RC발진기
  4. LC발진기
(정답률: 71%)
  • 해테로다인 주파수계는 정확한 주파수 측정을 위해 교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교정발진기는 정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정발진기는 고정밀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데 적합하며, 따라서 해테로다인 주파수계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신기의 내부 잡음 측정에서 잡음이 없는 경우 잡음 지수(F)는?

  1. F=1
  2. F>1
  3. F<1
  4. F=2
(정답률: 86%)
  • 잡음 지수(F)는 신호 대 잡음 비율(SNR)을 나타내는 값으로, 수신기의 내부 잡음이 없는 경우에는 신호 대 잡음 비율(SNR)이 무한대가 되므로 잡음 지수(F)는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F=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다음 중 자동평형 기록계기의 측정원리는?

  1. 영위법
  2. 편위법
  3. 직접측정법
  4. 간접측정법
(정답률: 76%)
  • 자동평형 기록계기는 영위법을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영위법은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준점과 측정 대상 사이의 거리나 위치를 계산하여 측정합니다. 자동평형 기록계기는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나 위치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평형을 맞추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기장 내에서 반도체 소자에 발생되는 기전력으로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는?

  1. 홀 효과(Hall effect)
  2. 톰슨 효과(Thomsonl effect)
  3. 피어조 효과(Piezo effect)
  4. 펄티어 효과(Peltier effect)
(정답률: 66%)
  • 홀 효과는 반도체 소자 내에서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에 수직으로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알아내는 효과입니다. 이는 전자의 운동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이 수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자기장 측정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충전된 두 물체 간에 작용하는 정전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한 계기는?

  1. 가동코일형 계기
  2. 전류력계형 계기
  3. 유도형 계기
  4. 정전형 계기
(정답률: 59%)
  • 충전된 두 물체 간에 작용하는 정전흡인력 또는 반발력은 전기적인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러한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양을 측정하는 계기를 정전형 계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전형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시계기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정확도가 높고 오차가 작을 것
  2. 눈금이 균등하거나 대수 눈금일 것
  3. 응답도가 낮을 것
  4. 절연 및 내구력이 높을 것
(정답률: 77%)
  • 지시계기의 구비 조건 중에서 "응답도가 낮을 것"은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지시계기의 구비 조건 중에서 필수적인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응답도란 입력 신호에 대해 출력 신호가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지시계기의 경우 입력된 값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높은 응답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응답도가 낮을 것"은 올바른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오실로스코프에서 다음과 같은 그림을 얻었다. 이것은 무엇을 측정한 파형인가? (단, A=3, B=1이다.)

  1. 100[%] AM 변조파
  2. 100[%] FM 변조파
  3. 50[%] AM 변조파
  4. 50[%] FM 변조파
(정답률: 75%)
  • 이 그림은 AM 변조파를 측정한 것이다. AM 변조파는 원래의 진폭을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 그림에서는 A=3이 원래의 진폭이고, B=1이 변화된 진폭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래프의 최대값은 A+B=4이고, 최소값은 A-B=2이다. 이 때, AM 변조파의 진폭 변화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인 2이므로, 변조 깊이는 2/A=2/3=0.67이다. 이 값에 100을 곱하면 67[%]가 되는데, 이는 원래 신호의 진폭의 67[%]만큼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그림은 50[%] AM 변조파를 측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주파 전력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의사 부하법
  2. 3전력계법
  3. C-C형 전력계
  4. C-M형 전력계
(정답률: 51%)
  • 고주파 전력 측정 방법과는 관련이 없는 것은 "3전력계법"입니다. 3전력계법은 전기 회로에서 전압, 전류, 전력을 측정하여 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고주파 전력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내부저항 rа[Ω]의 전류계에 병렬로 분류기 저항 Ra[Ω]를 접속하고 이것에 I[A]의 전류를 흘릴 때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 Ia[A]는?

(정답률: 57%)
  • 분류기 저항 Ra가 전류계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계와 Ra 사이의 전압차는 0이다. 따라서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 Ia는 내부저항 r과 Ra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의 전류와 같으며, 이는 Ia = I * (r || Ra)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덕턴스를 L, 커패시턴스를 C라고 했을 때, 흡수형 주파수계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식은?

(정답률: 79%)
  • 공진 주파수는 L과 C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L과 C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서 공진 주파수가 최대가 되는 경우이다. 이 때의 공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서 1/(2π√LC)는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는 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당 반복되는 파를 펄스로 변화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계는?

  1. 계수형 주파수계
  2. 빈 브리지형 주파수계
  3. 해테로다인법 주파수계
  4. 캠벨 브리지형 주파수계
(정답률: 54%)
  • 계수형 주파수계는 초당 반복되는 파를 펄스로 변화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는데, 이때 펄스의 주기를 측정하여 주파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계수형 주파수계는 주파수 측정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고 안정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파수의 안정도와 파형이 좋기 때문에 저주파대의 기본 발진기로 사용되는 것은?

  1. RC 발진기
  2. 음차 발진기
  3. 수정 발진기
  4. 세라믹 발진기
(정답률: 49%)
  • 음차 발진기는 주파수 안정도와 파형이 좋기 때문에 저주파대의 기본 발진기로 사용됩니다. 이는 음차 발진기가 LC 회로를 사용하여 고주파에서는 발진이 어렵지만 저주파에서는 안정적으로 발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음차 발진기는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SN 비가 40[㏈]이라고 할 때, 신호가 포함된 잡음이 신호전압의 얼마임을 가리키는가?

  1. 1/10
  2. 1/100
  3. 1/1000
  4. 1/10000
(정답률: 69%)
  • SN 비는 신호전압과 잡음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SN 비가 40[㏈]이라는 것은 신호전압이 잡음전압보다 10^4배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잡음이 신호전압의 얼마인지를 구하려면, 신호전압을 1로 가정하고 잡음전압을 구하면 됩니다.

    SN 비가 40[㏈]이므로, 잡음전압은 신호전압의 10^(-40/20) = 1/100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음파의 액체 또는 기체 중의 속도를 표시한 식으로서 옳은 것은? (단, K : 체적탄성률, d : 물질의 밀도, C : 초음파속도)

  1. [m/s]
  2. [m/s]
  3. C=Kd[m/s]
  4. C=d/K[m/s]
(정답률: 60%)
  • 정답은 "C=d/K[m/s]"입니다.

    초음파의 속도는 해당 물질의 밀도와 체적탄성률에 의해 결정됩니다. 체적탄성률은 물질이 얼마나 압축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밀도는 물질의 질량 대 부피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초음파의 속도는 물질의 밀도와 체적탄성률의 곱에 비례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C=Kd가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C=d/K가 되며, 이는 초음파의 속도를 표시한 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d/K[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주파 유도가열에서 열 발생의 원인이 되는 현상은?

  1. 와류
  2. 정전유도
  3. 광전효과
  4. 동조
(정답률: 65%)
  • 고주파 유도가열에서 열 발생의 원인은 "와류"입니다. 이는 고주파 전류가 물체 내부를 통과할 때,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자들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전자의 회전 운동이 물체 내부에서 마찰을 일으켜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FM 수신기의 고주파 증폭에 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되는 주된 이유는?

  1. 입력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2. 증폭률이 높기 때문에
  3.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4. 회로 설계가 용이하기 때문에
(정답률: 46%)
  • 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입력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FM 수신기의 고주파 증폭에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신호가 전달될 때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입력임피던스가 높은 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깨끗한 신호를 증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기녹음기에서 자기헤드의 임피던스 특성은?

  1. 풍향성
  2. 저항성
  3. 무특성
  4. 유도성
(정답률: 76%)
  • 자기녹음기에서 자기헤드의 임피던스 특성은 "유도성"입니다. 이는 자기헤드가 자기 테이프의 자기화된 부분을 통해 전기 신호를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자기헤드는 자기 테이프의 자기화된 부분을 통해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 자기장이 변화함에 따라 전기 신호가 유도되어 음성이 기록됩니다. 따라서 자기헤드의 임피던스 특성은 유도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수신기의 성능에서 종합특성이 아닌 것은?

  1. 감도
  2. 충실도
  3. 선택도
  4. 증폭도
(정답률: 58%)
  • 감도, 충실도, 선택도는 모두 수신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종합적인 특성이지만, 증폭도는 수신기에서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단일한 특성이기 때문에 종합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VTR의 재생 화면이 하나 또는 다수의 흰 수평선이 나타나는 드롭아웃(Drop Out) 현상의 원인은?

  1. 수평 ○기가 정확히 잡히지 않기 때문에
  2. 영상 신호에 강한 잡음 신호가 혼입되기 때문에
  3. 전원전압이 순간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4. 테이프와 헤드 사이에 먼지 등이 끼기 때문에
(정답률: 78%)
  • 테이프와 헤드 사이에 먼지 등이 끼면, 헤드가 테이프를 정확히 읽지 못하게 되어 수평 기록이 끊어지거나 불안정해져서 드롭아웃 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이클링(cycling)을 일으키는 제어는?

  1. ON-OFF 제어
  2. 비례적분제어
  3. 적분제어
  4. 비례제어
(정답률: 61%)
  • 사이클링은 제어기의 출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여 과도한 오버슈트(shoot)를 유발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어기의 출력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합니다. ON-OFF 제어는 제어기의 출력이 목표값과 일치할 때는 출력을 유지하고, 목표값과 차이가 발생하면 출력을 즉시 변경하여 목표값에 근접하게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간단하고 구현이 쉬우며, 사이클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서 사이클링을 일으키는 제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ON-OFF 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VTR의 컬러 프로세스(color process)의 VHS 방식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 신호 처리방식은?

  1. DOS 방식
  2. HPF2 방식
  3. PS(phase shift) 방식
  4. PI(phase invert) 방식
(정답률: 74%)
  • VHS 방식에서 사용하는 색 신호 처리방식은 PS(phase shift) 방식입니다. 이는 색차 신호를 90도 위상차를 두어 처리하는 방식으로, 색상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더욱 정확한 표현이 가능하며, 색상의 변화에 더욱 강건한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프로세스 제어(process control)는 어느 제어에 속하는가?

  1. 추치 제어
  2. 속도 제어
  3. 정치 제어
  4. 프로그램 제어
(정답률: 67%)
  • 프로세스 제어는 정치 제어에 속합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다른 프로세스와 충돌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운영체제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자원 할당, 스케줄링 등을 조절하여 시스템 전반적인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 제어는 시스템의 정치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박이 A 우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입항하려고 할 때, 그 전파의 방향, 즉 진북에 대한 0도의 방향을 추적함으로써, A 무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직선으로 도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로란(Loran)
  2. 데카(Decca)
  3. 호밍(Homing)
  4. 센스결정(Sense determination)
(정답률: 76%)
  • 선박이 A 무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직선으로 도달하기 위해 전파의 방향을 추적하는 것을 호밍이라고 합니다. 호밍은 선박이나 항공기 등이 목표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목표물에서 발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그 방향을 파악하고, 그 방향으로 이동하여 목표물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선박이 A 무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직선으로 도달하기 위해 전파의 방향을 추적하는 것은 호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컬러텔레비전 수상기 회로의 구성에서 튜너, 자동이륙 조절기는 어느 계통 회로에 구성되어 있는가?

  1. 영상수신계 회로
  2. 영상 회로
  3. 동기 및 편향 회로
  4. 음성 회로
(정답률: 47%)
  • 튜너와 자동이륙 조절기는 영상수신계 회로에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수신된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상수신계 회로는 TV 수신기의 핵심 회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태양전지에서 음극(-) 단자와 연결된 부분의 물질은?

  1. P형 실리콘판
  2. N형 실리폰판
  3. 셀련
  4. 붕소
(정답률: 80%)
  • 태양전지에서 음극(-) 단자와 연결된 부분의 물질은 N형 실리콘판입니다. 이는 N형 실리콘판이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N형 실리콘판은 산소나 질소 등의 원자를 도핑하여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물질로, 태양광 전지에서는 태양광을 흡수한 전자를 이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음극(-) 단자와 연결된 부분에는 N형 실리콘판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디오테이프에서 요구되는 특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역폭이 작을 것
  2. gka자력이 작을 것
  3. SN 비가 좋을 것
  4. 잔류 지속이 작을 것
(정답률: 73%)
  • 비디오테이프는 영상과 음성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입니다. 따라서, SN 비가 좋을 것이 가장 적합한 특성입니다. SN 비는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의미하며, 녹음된 음성이나 영상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SN 비가 높을수록 녹음된 내용이 더욱 선명하고 깨끗하게 들리게 됩니다. 따라서, 비디오테이프에서는 SN 비가 좋을 것이 요구되는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녹음기에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히스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것은?

  1. 니들(needle)
  2. 캡스턴(capstan)
  3. 캔틸레버(cantilever)
  4. 돌비 시스템(dolby stystem)
(정답률: 64%)
  • 돌비 시스템은 녹음 시 히스 잡음을 줄이기 위한 기술로,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녹음 시 발생하는 잡음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를 위해 녹음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녹음하고, 재생 시에는 이를 반대로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항에 수색레이더(SRE)와 정측레이더(PAR)의 두 레이더가 설치된 항법 보조장치는?

  1. ILS 장치
  2. 고도측정 장치
  3. 거리측정 장치
  4. 지상제어 진입 장치(GCA)
(정답률: 64%)
  • 수색레이더(SRE)와 정측레이더(PAR)는 비행기의 위치와 고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더만으로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항법 보조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지상제어 진입 장치(GCA)는 비행기의 위치와 고도를 지상에서 제어하여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지상제어 진입 장치(GC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자 냉동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의 조절이 용이하다.
  2. 최전 부분이 없으므로 소음이 없다.
  3. 대용량에서도 효율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4. 성능이 고르고 수명이 길며 취급이 간단하다.
(정답률: 66%)
  • 전자 냉동기는 대용량에서도 효율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옳지 않습니다. 전자 냉동기는 작은 규모에서는 효율적이지만 대용량에서는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용량 냉동기에는 다른 유형의 냉동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월주사를 하는 주된 이유에 해당하는 것은?

  1. 깜박거림(tilcker)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수평 주사선 수를 줄이기 위하여
  3. 콘크라스트를 좋게 하기 위하여
  4. 헌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55%)
  • 비월주사는 광원의 깜박거림(tilcker)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주파수 변별기(frequency discriminato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FM 파에서 원래의 신호파를 꺼내는 FM 검파기이다.
  2. 자동으로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3. 다중 통신의 누화를 방지한다.
  4. 잡음 감쇠기이다.
(정답률: 61%)
  • 주파수 변별기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는 회로로, FM 파에서 원래의 신호파를 꺼내는 FM 검파기이다. 이는 FM 파에서 주파수 변화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파수 변별기는 FM 방식의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잡음 감쇠기나 다중 통신의 누화 방지와는 관련이 없다. 또한 자동으로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기능도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음압의 단위는?

  1. [N/C]
  2. [ubar]
  3. [Hz]
  4. [Neper]
(정답률: 85%)
  • 음압의 단위는 파스칼(Pa)이지만, 일반적으로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음압을 표현할 때는 대기압보다 작은 값을 가지므로 음압의 단위로는 마이크로바(μbar) 또는 마이크로메터 수은(mmHg)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 마이크로바(μbar)는 대기압을 기준으로 한 압력의 단위이며, 음압을 표현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uba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