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전자캐드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디지타이저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직 CAD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2. CAD나 그래픽의 전용 입력장치이다.
  3. CAD 전용 출력장치이다.
  4. CAD 전용 마우스 패드를 말한다.
(정답률: 67%)
  • 디지타이저는 CAD나 그래픽 작업을 위한 전용 입력장치로, 그림이나 도면 등을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D나 그래픽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를 이용해 손글씨나 서명 등을 디지털화하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도중 잘못된 프로그램을 정정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단어는?

  1. 코딩(CODING)
  2. 펀칭(PUNCHING)
  3. 리마크(REMARK)
  4. 디버깅(DEBUGGING)
(정답률: 77%)
  • 디버깅은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도중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정정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단어는 디버깅입니다. 코딩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 펀칭은 구멍을 뚫는 작업, 리마크는 주석을 달아 설명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컴퓨터에서 프로그램 수행 중에 정전 등의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컴퓨터의 내부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인터럽트
  2. 서브루틴
  3. 스택
  4. 어드레싱
(정답률: 50%)
  • 인터럽트는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작업을 처리한 후에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돌아가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전 등의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인터럽트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내부 상태나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유도현상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의 법칙으로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비오-사바아르의 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66%)
  • 렌츠의 법칙은 유도현상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의 법칙으로,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법칙입니다. 이는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를 때, 전류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며, 이 자기장이 회로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이 때 유도 전류는 자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도 기전력은 자기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쇄회로 기판 PCB 제조 공정에서 등사 원리를 이용하여 내산성 레지스터를 기판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으로 양산성은 높으나 정밀도가 다소 떨어지는 공정법은?

  1. 사진 부식법
  2. 오프셋 인쇄법
  3. 빛 감광법
  4. 실크 스크린법
(정답률: 48%)
  • 실크 스크린법은 인쇄물의 디자인을 메쉬로 만든 스크린을 이용하여 잉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내산성 레지스터를 직접 인쇄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양산성이 높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메쉬의 정밀도에 따라 인쇄물의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0진수 20(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 11110(2)
  2. 10101(2)
  3. 10100(2)
  4. 00001(2)
(정답률: 78%)
  • 10진수 20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합니다.
    - 20 ÷ 2 = 10 ... 0
    2. 위에서 구한 나머지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적어줍니다.
    - 0
    3. 몫이 0이 될 때까지 1, 2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 10 ÷ 2 = 5 ... 0
    - 5 ÷ 2 = 2 ... 1
    - 2 ÷ 2 = 1 ... 0
    - 1 ÷ 2 = 0 ... 1
    4. 마지막으로 구한 나머지부터 역순으로 적어줍니다.
    - 10100(2)

    따라서, 정답은 "1010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저항 6[Ω],유도리액턴스 2[Ω],용량리액턴스 10[Ω]인 직렬회로의 임피던스의 크기는 ?

  1. 10[Ω]
  2. 13.4[Ω]
  3. 4.2[Ω]
  4. 3.7[Ω]
(정답률: 39%)
  • 임피던스는 저항, 유도리액턴스, 용량리액턴스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이 세 가지 값을 모두 더해야 합니다.

    저항 6[Ω], 유도리액턴스 2[Ω], 용량리액턴스 10[Ω]을 더하면 6 + 2 + 10 = 18[Ω]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임피던스의 크기가 18[Ω]인 것은 없으며, 정답은 "10[Ω]"이 아닙니다.

    하지만, 용량리액턴스는 저항과는 반대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임피던스가 작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충분히 높다면 용량리액턴스의 크기는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저항과 유도리액턴스만 고려하면 됩니다.

    저항 6[Ω]과 유도리액턴스 2[Ω]를 더하면 6 + 2 = 8[Ω]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임피던스의 크기가 8[Ω]인 것은 없으며, 정답은 "10[Ω]"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용량리액턴스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저항과 유도리액턴스만 고려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저항, 유도리액턴스, 용량리액턴스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임피던스 = √(저항² + (유도리액턴스 - 용량리액턴스)²)

    여기서, 저항은 6[Ω], 유도리액턴스는 2[Ω], 용량리액턴스는 10[Ω]입니다. 따라서,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임피던스 = √(6² + (2 - 10)²) = √(36 + 64) = √100 = 10[Ω]

    따라서, 정답은 "1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자 부품 중에 콘덴서를 작도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보기의 기호와 같이 그릴 때 A의 길이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A=3B
  2. A=4B
  3. A=5B
  4. A=6B
(정답률: 56%)
  • 콘덴서는 전기적으로 축적된 전하를 저장하는 부품으로, 금속판 사이에 절연체를 두고 만들어진다. 이때 금속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저장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이 많아지므로, A와 B의 길이 비율이 클수록 콘덴서의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A와 B의 길이 비율이 4:1이므로 A의 길이는 B의 길이의 4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4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느 직류전원에 의하여 저항에 전류를 흘릴때 전원의 전압을 1.5배로하여 흐르는 전류가 1.2배가 되려면 저항값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

  1. 2배
  2. 2.5배
  3. 1.25배
  4. 4배
(정답률: 65%)
  • 전압이 1.5배로 증폭되었으므로, 저항에 걸리는 전압도 1.5배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전류는 저항값이 1.5배 작아져야 1.2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압 = 전류 x 저항

    1.5V = I x R

    전류가 1.2배가 되려면,

    1.8V = I x R

    따라서, 1.5V와 1.8V의 비율을 구하면,

    1.8V / 1.5V = 1.2

    즉, 전압이 1.5배로 증폭되었으므로, 저항값은 1.5배 작아져야 합니다. 이를 역수로 취하면 1.5의 역수인 0.67이 됩니다. 따라서, 저항값은 0.67배가 되어야 합니다.

    0.67 x 현재 저항값 = 1.25 x 현재 저항값

    즉, 저항값은 1.25배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면의 기본 단위는?

  1. mm
  2. m
(정답률: 84%)
  • 도면의 기본 단위는 mm (밀리미터)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면의 크기와 정확도를 고려하여 선택된 단위이며, 다른 단위보다 작고 세밀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mm은 SI 단위 체계에서 사용되는 단위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압 V와 전류 I 사이의 위상차 θ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

  1. 만큼 전압 V가 전류 I보다 앞선다.
  2. 만큼 전압 V가 전류 I보다 뒤진다.
  3. 만큼 전압 V가 전류 I보다 앞선다.
  4. 만큼 전압 V가 전류 I보다 뒤진다.
(정답률: 40%)
  • 위상차는 전압과 전류의 파동이 시작점에서부터 얼마나 차이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 V가 전류 I보다 앞서므로, 위상차는 양의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만큼 전압 V가 전류 I보다 앞선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500[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열기를 10시간 동안 연속 하여 사용했을 때의 전력량 W는 얼마인가 ?

  1. 5[㎾h]
  2. 50[㎾h]
  3. 500[㎾h]
  4. 5000[㎾h]
(정답률: 57%)
  • 전력량은 전력과 시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력 500[W]을 10시간 동안 사용하면 전력량은 500[W] x 10[h] = 5000[Wh]가 됩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답안으로 제시된 것은 "5[㎾h]"입니다. 이는 전력량을 표현하는 다른 단위인 "㎾h"로 표기한 것입니다. "㎾h"는 "Wh"를 1000으로 나눈 것으로, 5000[Wh]를 1000으로 나누면 5[㎾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작업 진행 과정을 눈으로 바로 확인 가능한 장치는?

  1. 메모리
  2. 하드 디스크
  3. CPU
  4. 모니터
(정답률: 86%)
  • 작업 진행 과정은 CPU에서 처리되고, 처리된 결과는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에 저장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 과정을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모니터뿐입니다. 모니터는 CPU에서 처리된 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해주는 장치이기 때문에 작업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면을 작성할 때 실물보다 작게 그리는 척도는?

  1. 실척
  2. 현척
  3. 축척
  4. 배척
(정답률: 88%)
  • 도면을 작성할 때 실제 크기보다 작게 그리는 것을 "축척"이라고 합니다. 이는 도면의 크기를 줄여서 작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축척은 일정한 비율로 실제 크기를 축소하여 그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1:50 축척은 실제 크기의 50분의 1 크기로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기. 전자. 통신에 대한 제도법은 어느 규정의 사용 방법을 따르는가?

  1. 전기용 기호(KSC0102)
  2. 옥내배선용 기호(KSC0301)
  3. 2값 논리소자 기호(KSX0201)
  4. 시퀀스 기호(KSC3016)
(정답률: 73%)
  • 전기, 전자,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심볼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전기용 기호(KSC0102)를 사용합니다. 이는 국내에서 전기, 전자,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심볼을 표준화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에 따라 제도법에서도 전기용 기호(KSC010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다음 심벌 중 가변콘덴서는?

(정답률: 77%)
  • 가변콘덴서는 용량이 변할 수 있는 콘덴서를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는 용량이 변할 수 있는 콘덴서입니다. 이유는 콘덴서의 용량을 결정하는 전극 사이에 회전하는 가변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가변판의 위치에 따라 용량이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m2]인 평등자기장과 직각방향으로 길이 50[㎝]의 도체에 전류 2[A]가 흐를때 발생되는 전자력은 ?

  1. F = 4[N]
  2. F = 3[N]
  3. F = 2[N]
  4. F = 1[N]
(정답률: 57%)
  • 전자력의 크기는 F = BIL 이라는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B는 평등자기장의 크기, I는 전류의 크기, L은 도체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F = 2[㏝/m2] × 2[A] × 0.5[m] = 2[N] 입니다.

    정답은 "F = 2[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회로도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옳은 것은?

  1. 신호의 흐름은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 아래에서 위쪽으로 그린다.
  2. 주회로와 보조회로가 있을 경우에도 동등하게 좌우로 나누어서 그린다.
  3. 대칭으로 동작하는 회로는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그린다.
  4. 는 선과 선이 연결이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65%)
  • 대칭으로 동작하는 회로는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그리는 이유는 회로의 대칭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그리면 회로의 구성 요소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또한, 대칭으로 그린 회로는 디자인적으로도 깔끔하고 보기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가장 옳은 설명은?

  1. 논리 연산만을 수행한다.
  2. 연산 결과를 해석하는 곳이다.
  3.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4.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레지스터의 일종이다.
(정답률: 70%)
  •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레지스터의 일종입니다. 이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할 때 중간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논리 연산만을 수행하거나 연산 결과를 해석하는 곳이 아니라, 연산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OR-GATE
  2. NAND-GATE
  3. AND-GATE
  4. NOR-GATE
(정답률: 86%)
  • 위의 기호는 NAND-GATE입니다. 이유는 기호가 AND-GATE와 NOT-GATE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AND-GATE의 출력을 NOT-GATE에 연결하면 NAND-GATE가 됩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NAND-G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제도 용지에서 A3 용지의 규격으로 옳은 것은? (단, 단위는 mm)

  1. 210 × 297
  2. 297 × 420
  3. 420 × 594
  4. 594 × 841
(정답률: 74%)
  • A3 용지는 2번인 "297 × 420" 이 옳습니다.

    A3 용지는 A4 용지를 2장 붙인 크기와 같으며, A4 용지의 가로와 세로를 각각 2배로 늘린 크기입니다. 따라서 A4 용지의 크기인 "210 × 297" 에서 가로와 세로를 각각 2배로 늘린 값인 "420 × 594" 와 "297 × 420" 중에서 세로가 더 짧은 "297 × 420" 이 A3 용지의 규격입니다. "420 × 594" 는 A2 용지의 규격이며, "594 × 841" 는 A1 용지의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항의 색띠가 1색:주황색, 2색:검은색, 3색:갈색 일때 저항 값은?

  1. 300Ω
  2. 230Ω
  3. 30㏀
  4. 23㏀
(정답률: 73%)
  • 주황색은 3번째 자리의 숫자를 나타내고, 검은색은 1번째 자리의 숫자를 나타내며, 갈색은 0번째 자리의 숫자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황색이 3이므로 세 번째 자리에 3이 들어가고, 검은색이 0이므로 첫 번째 자리에 0이 들어갑니다. 마지막으로, 갈색이 1이므로 10의 1승인 10을 곱해줍니다. 따라서, 30 x 10 = 300Ω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우리 나라 산업의 여러 부문에 따른 KS의 부문별 기호 중 전기 분야를 나타낸 것은?

  1. KSA
  2. KSB
  3. KSC
  4. KSD
(정답률: 80%)
  • KS는 한국의 산업 표준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KSA는 식품, KSB는 화학, KSC는 전기, KSD는 기계 부문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기 분야를 나타내는 기호는 KS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Hardware적 원인에 의한 인터럽트가 아닌 것은?

  1. 외부신호 인터럽트
  2. 기계착오 인터럽트
  3. 입ㆍ출력 인터럽트
  4. SVC 인터럽트
(정답률: 36%)
  • SVC 인터럽트는 소프트웨어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이기 때문에, Hardware적 원인에 의한 인터럽트가 아닙니다. SVC 인터럽트는 프로그램이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때 발생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SVC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아닌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발생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이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CAD 시스템에서 회로도는 단순한 부품의 접속이 아니라 전자 회로에서의 규칙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전자 회로에서의 검사 항목으로 보기 힘든 것은?

  1. 회로의 오배선
  2. 입ㆍ출력 신호의 접속관계
  3. 전원의 극성
  4. 신호선의 길이
(정답률: 66%)
  • 전자 회로에서는 신호선의 길이가 검사 항목으로 보기 힘들다. 이는 회로의 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회로의 오배선, 입ㆍ출력 신호의 접속관계, 전원의 극성은 회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하지만 신호선의 길이는 회로의 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검사 항목으로 보기 힘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Layout에서 Zoom in의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보드상의 선택 영역을 확대한다.
  2. 보드상의 선택 영역을 축소한다.
  3. 보드상의 모든 객체를 보여준다.
  4. 보드상의 일부 객체를 보여준다
(정답률: 79%)
  • Layout에서 Zoom in은 보드상의 선택 영역을 확대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선택한 부분을 더 자세히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과 달리 전체 보드나 일부 객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선택한 영역만을 확대하여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컴퓨터 제도(CAD) 시스템에 사용되는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마우스(Mouse)
  2. 트랙볼(Trackball)
  3. 펜플로터(Penplotter)
  4. 디지타이저(Digitizer)
(정답률: 55%)
  • 펜플로터는 출력장치로, CAD 시스템에서 그린 도면을 실제로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입력장치는 마우스, 트랙볼, 디지타이저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쇄회로기판(PCB)의 장점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 생산의 효과가 높다.
  2. 오 배선의 우려가 없다.
  3. 소형 경량화에 기여한다.
  4. 소량 다품종 생산의 경우 제조 단가가 낮아진다.
(정답률: 71%)
  • 소량 다품종 생산의 경우 제조 단가가 낮아진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CB는 대량 생산 시에 효과가 높아지는 제품입니다. 대량 생산 시에는 생산 공정의 자동화와 생산 라인의 최적화로 인해 제조 단가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소량 생산 시에는 생산 공정의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부품의 단자 또는 도체 상호간을 접속하기 위해 구멍의 주위에 만든 특정한 도체 부분인 것은 ?

  1. 리드
  2. 납마스크
  3. 패턴
  4. 랜드
(정답률: 58%)
  • 랜드는 부품의 단자나 도체를 접속하기 위해 구멍 주위에 만든 도체 부분으로, 부품을 PCB에 부착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랜드"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송신기에서 고음을 강조해주고 수신측에서는 이 고음을 송신측에서 높인 만큼 억제시켜 고음에서의 S/N 저하를 막고 있는데 이 때 FM수신기에서 사용되는 회로는?

  1. 프리엠파시스 회로
  2. 디엠파시스 회로
  3. 고주파 증폭회로
  4. 저주파 증폭기
(정답률: 29%)
  • 디엠파시스 회로는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인 FM에서 사용되는 회로로, 수신측에서 고음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수신신호를 데모등으로 변환하여 기준 주파수를 제거하고, 고음 부분의 변조 신호를 추출하여 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음에서의 S/N 저하를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일정진폭, 일정 주파수로 전기 진동을 계속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현상은?

  1. 발진
  2. 재생
  3. 증폭
  4. 궤환
(정답률: 64%)
  • 일정진폭, 일정 주파수로 전기 진동을 계속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발진"이라고 합니다. 이는 일정한 주기로 전기 신호가 발생하며, 이 신호는 일정한 진폭과 주파수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발진"은 일정한 주기와 진폭,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컴퓨터의 용량 1Mbyte를 이론적으로 나타낸 것은?

  1. 1000000byte
  2. 1024000byte
  3. 1038576byte
  4. 1048576byte
(정답률: 33%)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최소 단위는 바이트(byte)이며, 1바이트는 8비트(bi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1Mbyte는 1,000,000바이트가 아니라 8바이트 x 1,048,576으로 계산되어 1048576byt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수치적 연산 중에서 필요없는 일부의 bit 혹은 문자를 지워 버리고, 나머지 bit나 문자들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산자는?

  1. OR
  2. EOR
  3. AND
  4. NOT
(정답률: 45%)
  • 비수치적 연산에서 필요없는 일부의 bit나 문자를 지워 버리는 것은 비트 마스크(masking)라고 하며, 이를 수행하는 연산자는 AND 연산자입니다. AND 연산자는 두 개의 비트나 문자열을 비교하여 둘 다 1이면 1을 반환하고, 그 외에는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AND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트 마스크를 수행하면 필요한 bit나 문자열만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변압기의 원리는 어느 현상(법칙)을 이용한 것인가 ?

  1. 오옴의 법칙
  2. 전자 유도 원리
  3. 공진 현상
  4.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답률: 54%)
  • 변압기는 전자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동작합니다. 전자 유도 원리란, 자기장 내에서 변하는 자기력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변압기는 일정한 주파수로 변하는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기장을 만들고, 이 자기장 내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고 전류를 흐르게 하려는 전자들이 유도되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이렇게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는 다른 회로로 전달되어 전압이나 전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평형변조방식은 ( )를 제거하고 측파대만을 꺼내어 변조하는 방식이다." 에서 ( )안에 알맞는 방식은 ?

  1. 상측파대
  2. 하측파대
  3. 반송파
  4. 변조파
(정답률: 51%)
  • 반송파는 원래 신호와 정확히 반대되는 파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형변조방식에서는 반송파를 이용하여 측파대의 신호를 제거하고 원래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송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 양단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했을 때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P형 반도체에 (+)전압을, N형 반도체에 (-)전압을 인가한다.
  2. 전류는 N형 반도체에서 P형 반도체측으로 흐른다.
  3. P형 반도체의 다수 반송자는 정공이며, 소수 반송자는 전자이다.
  4. P형 및 N형 반도체 측의 다수 반송자는 대부분 접합면을 통과한다.
(정답률: 49%)
  • "전류는 N형 반도체에서 P형 반도체측으로 흐른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 양단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면 P형 반도체 쪽에서는 양공이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N형 반도체 쪽에서는 전자가 P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전류는 P형 반도체에서 N형 반도체측으로 흐릅니다. 이는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쇄회로기판(PCB)의 제조 공정 중 비스루홀 도금 인쇄 배선판을 사용한 제조 공정 순서가 올바르게 된 것은?

  1. 동장 적층판→ 패턴→ 에칭→ 천공→ 기호인쇄
  2. 동장 적층판→ 에칭→ 패턴→ 천공→ 기호인쇄
  3. 패턴→ 동장 적층판→ 에칭→ 천공→ 기호인쇄
  4. 패턴→ 동장 적층판→ 천공→ 에칭→ 기호인쇄
(정답률: 50%)
  • 정답은 "동장 적층판→ 패턴→ 에칭→ 천공→ 기호인쇄"입니다.

    동장 적층판은 PCB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이후 패턴을 적용하여 회로를 구성합니다. 그리고 에칭 공정을 통해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천공을 통해 비스루홀을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기호인쇄를 통해 PCB의 식별 정보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이 공정 순서가 올바르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전자 CAD용 프로그램(EDA 툴)이 아닌 것은?

  1. OrCAD
  2. CADSTAR
  3. PCAD
  4. AutoCAD
(정답률: 65%)
  • AutoCAD은 전자 CAD용 프로그램이 아니라, 주로 건축 및 기계 설계에 사용되는 2D/3D CAD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두 도체로 된 전극 또는 금속편 사이에 각종 유전 물질을 채운 부품은?

  1. 코일
  2. 콘덴서
  3. 저항
  4. 다이오드
(정답률: 60%)
  • 콘덴서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부품으로, 두 도체 사이에 유전체를 끼워놓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두 도체로 된 전극 또는 금속편 사이에 각종 유전 물질을 채운 부품은 콘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납 축전지의 전해액은?

  1. KOH
  2. NaCl
  3. CUSO4
  4. H2SO4
(정답률: 36%)
  • 납 축전지의 전해액은 H2SO4입니다. 이는 전해질로서의 역할을 하며, 전해액 내의 H+와 SO4- 이온들이 전극과 상호작용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또한, H2SO4은 높은 전해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축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적합한 전해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전하가 방전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한 리프레시 작업이 필요한 기억 소자는?

  1. mask ROM
  2. EPROM
  3. SRAM
  4. DRAM
(정답률: 57%)
  • DRAM은 동적 램으로, 전하가 방전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한 리프레시 작업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mask ROM, EPROM, SRAM은 전하를 보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중 CAD에서 수치의 직접입력이 곤란한 부분은?

  1. PCB 외형 치수
  2. PCB 외형 모서리각도
  3. PCB 외형의 원호
  4. PCB Machine hole 지름
(정답률: 38%)
  • CAD에서는 수치의 직접입력이 가능하지만, PCB 외형의 원호는 CAD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형태이기 때문에 수치의 직접입력이 곤란합니다. 따라서, PCB 외형의 원호는 다른 방법으로 그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AD 활용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수 작업에 의존하던 디자인의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2.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으로 개발 기간이 단축된다.
  3. 신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4.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정답률: 83%)
  •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은 CA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적인 인프라가 필요하며, 이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CAD 활용시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하나씩 읽고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기능은?

  1. 기억 기능
  2. 연산 기능
  3. 제어 기능
  4. 입ㆍ출력 기능
(정답률: 67%)
  • 제어 기능은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하나씩 읽고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어 기능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제어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자ㆍ통신용 기기의 부품 배치도를 그릴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IC의 경우 1번 핀의 위치를 반드시 표시한다.
  2. PCB 기판의 점퍼선은 표시하지 않는다.
  3. 부품 상호간의 신호가 유도되지 않도록 한다.
  4. 부품의 종류, 기호, 용량, 핀의 위치, 극성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PCB 기판의 점퍼선은 표시하지 않는 이유는 PCB 기판의 점퍼선은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거나, 회로의 수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CB 기판의 점퍼선은 회로의 동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배치도에서 표시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발진 조건을 만족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은가 ?

  1. 정궤환을 해야 함
  2. 부궤환을 해야 함
  3. 컬렉터 폴로어를 사용함
  4. 그리드 리이크 저항을 줄여야 함
(정답률: 35%)
  • 발진 조건을 만족하려면 정궤환을 해야 합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전류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부궤환을 사용하면 전류의 흐름이 불안정해져 발진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습니다. 컬렉터 폴로어를 사용하거나 그리드 리이크 저항을 줄이는 것도 발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만, 정궤환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저항값이 낮은 저항기로서 대전력용 및 표준저항기 등과 같이 고정밀도 저항기로 사용되는 저항기는?

  1. 탄소피막 저항기
  2. 솔리드 저항기
  3. 모듈 저항기
  4. 권선 저항기
(정답률: 63%)
  • 권선 저항기는 저항값이 낮은 저항기로서 대전력용 및 표준저항기 등과 같이 고정밀도 저항기로 사용됩니다. 이는 권선을 감아서 저항값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권선 저항기는 저항값이 정확하고 안정적이며, 대전력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트랜지스터 회로의 h 정수를 표현한 것중 틀린 것은? (단, V1 = 입력전압, V2 = 출력전압, i1 = 입력전류, i2 = 출력전류)

(정답률: 33%)
  • ""이 틀린 이유는 hfe 값이 음수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hfe는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값이 음수가 되면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어 회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fe 값은 양수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순서도 기호 중 산술연산, 데이터의 이동, 편집등의 처리(Process) 과정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4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기호가 처리(Process)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데이터의 이동, 비교, 조건 등을 나타내는데 반해, 이 기호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므로 처리(Process)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SO의 규격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한국산업규격
  2. 국제표준화기구
  3. 영국규격
  4. 프랑스규격
(정답률: 83%)
  • 정답은 "국제표준화기구"입니다.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국제적으로 표준화를 촉진하고 관리하는 비정부 기구입니다. 따라서 ISO는 국제적인 표준화를 담당하며, 다른 보기들은 국가별 규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자 부품 선정 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

  1. 온도특성
  2. 외형 치수
  3. 사용 유효기간
  4. 주파수 특성
(정답률: 59%)
  • 사용 유효기간은 전자 부품의 성능과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전자 부품의 수명은 사용 환경, 사용 빈도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 유효기간을 미리 정해놓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자 부품을 선택할 때는 사용 환경과 요구 사항에 맞는 온도특성, 외형 치수, 주파수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자제도에서 정격과 특성을 표시할 때는 KS C 0806의 규정에 의하여 표시된다. 다음은 전자제도에서 정격 표시의 문자 기호와 의미가 옳지 못한 것은?

  1. A=1
  2. B=1.25
  3. C=1.6
  4. D=2.5
(정답률: 34%)
  • 정답은 D=2.5이다. KS C 0806에서 정격 표시에 사용되는 문자 기호와 의미는 다음과 같다.

    A: 최대 전압
    B: 최대 전류
    C: 최대 전력
    D: 최대 전류의 지속 가능한 값

    따라서 D=2.5는 최대 전류의 지속 가능한 값이 아니라 최대 전력을 나타내는 문자 기호이므로 옳지 않은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스위치 회로를 불 대수로 표현하면?

  1. F=A+B
  2. F=AㆍB'
  3. F=AㆍB
  4. F=A'ㆍB
(정답률: 62%)
  •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전류가 흐르므로, F가 1이 되기 위해서는 A와 B가 모두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F는 A와 B의 AND 연산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F=Aㆍ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CB의 일반적인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 생산의 효과가 높다.
  2. 오배선의 우려가 없다.
  3. 생산단가가 높다.
  4. 소형 경량화에 기여한다.
(정답률: 67%)
  • 생산단가가 높다는 것은 PCB 생산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이 고도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CB는 고밀도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미세한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매우 정밀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AD시스템에 의한 제품 설계 및 도면작성의 결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설계 과정의 능률 향상에 의한 도면의 품질 향상
  2. 수치 계산 결과의 정확성 증가
  3. 설계 요소의 표준화로 원가 절감
  4. 도면 형상의 자유로운 표현
(정답률: 62%)
  • CAD시스템은 제품 설계 및 도면작성을 자동화하여 설계 과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며, 설계 요소의 표준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면 형상의 자유로운 표현은 CAD시스템으로는 제한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B급 푸쉬풀 전력증폭 회로의 최대 컬렉터 효율은 ?

  1. 100[%]
  2. 82.5[%]
  3. 78.5[%]
  4. 50.0[%]
(정답률: 59%)
  • B급 푸쉬풀 전력증폭 회로의 최대 컬렉터 효율은 78.5[%]입니다. 이는 B급 푸쉬풀 회로의 경우, 컬렉터 전류가 최대일 때 컬렉터 효율이 78.5[%]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스위칭 손실과 기본 손실을 고려한 결과로, 이론적으로는 100[%]가 되어야 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손실로 인해 78.5[%]가 최대 효율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쇄 회로 기판(PCB) 설계용 CAD에서 일반적인 배선 알고리즘이 아닌 것은?

  1. 스트립 접속법
  2. 고속 라인법
  3. 기하학적 탐사법
  4. 인공지능 탐사법
(정답률: 61%)
  • 인공지능 탐사법은 일반적인 PCB 설계용 CAD에서 사용되지 않는 알고리즘이다. 이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최적의 배선 경로를 자동으로 탐색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수동적인 설계 방식과는 차별화된 기술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탐사법이 일반적인 배선 알고리즘이 아닌 것이다. 반면, 스트립 접속법, 고속 라인법, 기하학적 탐사법은 일반적으로 PCB 설계용 CAD에서 사용되는 배선 알고리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그램에서 자주 반복하여 사용되는 부분을 별도로 작성한 후 그 루틴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개방된 서브루틴이라고도 하는 것은?

  1. 매크로
  2. 레지스터
  3. 어셈블러
  4. 인터럽트
(정답률: 62%)
  • 매크로는 프로그램에서 자주 반복하여 사용되는 부분을 별도로 작성한 후 그 루틴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개방된 서브루틴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매크로는 프로그램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코드의 중복을 줄이는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자제도에서 정격과 특성을 표시할 때는 KS C 0806의 규정에 의하여 표시된다. 다음은 전자제도에서 색과 숫자의 관계를 표시하였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검정색=0
  2. 주황색=3
  3. 녹 색=5
  4. 흰 색=7
(정답률: 77%)
  • 정답: "흰 색=7"은 올바르지 않다.

    KS C 0806에서는 전자제도에서 사용되는 색과 숫자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검정색 = 0
    - 갈색 = 1
    - 빨간색 = 2
    - 주황색 = 3
    - 노란색 = 4
    - 녹색 = 5
    - 파란색 = 6
    - 보라색 = 7
    - 회색 = 8
    - 흰색 = 9

    따라서 "흰 색=7"은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반도체 소자 중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소자는?

  1. 배리스터
  2. 서미스터
  3. 트랜지스터
  4. 다이오드
(정답률: 59%)
  • 배리스터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는 일종의 전압 제어 저항으로, 일정한 전압 이상이 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압을 제한하거나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로 과전압 보호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