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전자캐드기능사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전지 1개의 내부저항 R를 n개 직렬로 접속하여 최대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여고 하면 부하저항은?

  1. R
  2. nR
  3. 1/R
  4. R/n
(정답률: 71%)
  • 전지의 최대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지 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이 일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n개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체 저항은 R의 n배인 nR이 됩니다. 이때, 전지의 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이 일치하므로 최대 전력이 부하에 전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n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부궤환 회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득이 감소한다.
  2. 안정도가 개선된다.
  3. 왜율이 감소한다.
  4. 주파수 대역폭이 감소한다.
(정답률: 57%)
  • 주파수 대역폭이 감소하는 이유는 적용된 부궤환 회로의 Q값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Q값이 증가하면 회로의 선택적인 특성이 향상되어 좁은 주파수 대역폭에서만 효과적인 필터링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폭이 감소하는 것은 부궤환 회로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상적인 연산증폭가에서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1. 0
  2. 1
  3. 100
  4. 무한대
(정답률: 64%)
  •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입력신호와 공통모드신호의 차이에 대한 출력신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가진 연산증폭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에서는 공통모드신호가 전혀 증폭되지 않아야 하므로 CMRR 값은 무한대가 됩니다. 즉, 입력신호와 공통모드신호의 차이에 대한 출력신호의 비율이 무한대로 커지므로 완벽하게 동상신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전력이 180[V], 내부저항이 20[Ω]인 전원에 70[Ω]의 부하저항을 접속할 때 부하저항 양단의 전압[V]은?

  1. 30
  2. 80
  3. 140
  4. 160
(정답률: 60%)
  •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부하저항 양단의 전압은 부하저항의 저항값과 전원의 내부저항값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 = 전원 전압 × (부하저항 저항값 ÷ (전원 내부저항값 + 부하저항 저항값))

    전압 = 180 × (70 ÷ (20 + 70))

    전압 = 180 × (70 ÷ 90)

    전압 = 140

    따라서, 부하저항 양단의 전압은 140[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원형 코일의 감은 횟수 N회, 코일의 반지름 r[m],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I[A]라면 코일 중심의 자장의 세기[AT/m]는?

  1. r에 비례한다
  2. r에 반비례한다.
  3. I에 반비례한다.
  4. r2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1%)
  • 원형 코일의 자기장은 코일의 중심에서 가장 세기가 강합니다. 이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의 감수, 전류 및 코일의 반지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코일의 감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세기도 증가하고, 전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세기도 증가합니다. 그러나 코일의 반지름이 증가하면 자기장의 세기는 감소합니다. 이는 코일의 자기장이 반지름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에 반비례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정발진기는 수정진동자의 어떤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 하는가?

  1. 지벡효과
  2. 압전기현상
  3. 펠티에효과
  4. 전자유도현상
(정답률: 52%)
  • 수정발진기는 수정진동자의 압전기현상을 이용합니다. 압전기현상은 일정한 압력이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적인 특성이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수정발진기는 일정한 압력이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여 진동을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평판 콘덴서에 2[C]의 전기량을 공급할 때, 콘덴서의 전위가 10[V]이면 정전용량[F]은?

  1. 0.1
  2. 0.2
  3. 0.5
  4. 1.5
(정답률: 50%)
  • 콘덴서의 전기량 Q와 전위 V, 정전용량 C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Q = CV

    여기서 Q는 2[C], V는 10[V]이므로,

    2[C] = C × 10[V]

    C = 2[C] / 10[V] = 0.2[F]

    따라서 정전용량은 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증폭기의 전압증폭도가 100이고, 전류증폭도가 10일 때, 이 증폭기의 전력이득[dB]은?

  1. 10[dB]
  2. 20[dB]
  3. 30[dB]
  4. 60[dB]
(정답률: 36%)
  • 전압증폭도가 100이므로 입력 전압이 1V일 때 출력 전압은 100V가 됩니다. 전류증폭도가 10이므로 입력 전류가 1A일 때 출력 전류는 10A가 됩니다. 따라서 출력 전력은 100V x 10A = 1000W가 됩니다. 입력 전력은 1V x 1A = 1W이므로 전력이득은 10log(1000/1) = 30[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비정현파 발진기 속하는 것은?

  1. 하틀리 발진기
  2. 블로킹 발진기
  3. 이상형 RC발진기
  4. 콜피츠 발진기
(정답률: 56%)
  • 비정현파 발진기 중 블로킹 발진기가 속합니다. 이는 블로킹 발진기가 발진 시에 진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발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발진기들은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진동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수정진동자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주파수 안정도가 양호하다.
  2. 수정편의 Q가 높다.
  3. 출력이 매우 크다.
  4. 고주파 발진에 적합하다.
(정답률: 49%)
  • 정답은 "고주파 발진에 적합하다."입니다.

    수정진동자는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매우 큰 출력을 내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출력이 매우 크다는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수정진동자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동일한 정현파의 반주기 동안 평균치/실효치는 약 얼마인가?

  1. 0.9
  2. 1.41
  3. 2.11
  4. 3.14
(정답률: 34%)
  • 정현파의 평균치는 0이므로, 평균치는 0입니다. 정현파의 실효치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2로 나눈 값이므로, 실효치는 1입니다. 따라서, 평균치와 실효치의 비율은 0/1 = 0이 되고, 이는 0.9와 가장 가까운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트랜지스터 회로는 어떤 바이어스 회로인가?

  1. 고정 바이어스회로
  2. 전압분배 바이어스회로
  3. 전류분배 바이어스회로
  4. 혼합 바이어스회로
(정답률: 46%)
  • 이 회로는 고정 바이어스 회로입니다. 이유는 R1과 R2가 Vcc와 함께 사용되어 기본적인 고정 바이어스 회로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R1과 R2는 베이스-에미터 저항으로 사용되어 전압 분배를 통해 베이스 전압을 설정합니다. 이 회로는 전압 분배 바이어스 회로와는 달리 온도 변화에 따른 베이스 전압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파수를 2배로 한 경우 전류의 크기가 반으로 감소되는회로의 소자는?

  1. 저항
  2. 인덕터
  3. 콘덴서
  4. 다이오드
(정답률: 51%)
  • 주파수가 2배로 증가하면, 인덕터의 자기장에 의한 전류의 변화율도 2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전압도 2배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콘덴서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같아집니다. 따라서, 콘덴서와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서 주파수가 2배로 증가하면, 콘덴서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같아지게 되어, 전류의 크기가 반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덕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회로에서 전원전압이 1[V]일 때, R1에 흐르는 전류 I1[A]은?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62%)
  • R1과 R2는 병렬 연결이므로 전압은 같고, 전압이 1[V]이므로 R1과 R2에 각각 1[V]의 전압이 걸립니다. 따라서 R1과 R2를 각각 통과하는 전류는 각각 I1 = 1/R1 [A]와 I2 = 1/R2 [A]입니다. 이 두 전류의 합은 전체 전류인 I전체 = 1/R1 + 1/R2 [A]가 됩니다. 따라서 R1에 흐르는 전류 I1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1 = I전체 × (R2 / (R1 + R2))
    = (1/R1 + 1/R2) × (R2 / (R1 + R2))
    = 1/R1 × (R2 / (R1 + R2)) + 1/R2 × (R2 / (R1 + R2))
    = R2 / (R1 × (R1 + R2)) + 1/R2 × (R2 / (R1 + R2))
    = (R2 + R1) / (R1 × R2)

    따라서 R1에 흐르는 전류 I1은 (R2 + R1) / (R1 × R2) [A]가 됩니다. R1 = 2Ω, R2 = 2Ω일 때, I1 = 0.5 [A]가 되므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AND
  2. OR
  3. NOT
  4. NAND
(정답률: 64%)
  • 정답이 "NOT"인 이유는 NOT 연산자는 입력값을 반대로 바꾸는 연산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값이 0이면 출력값은 1이 되고, 입력값이 1이면 출력값은 0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NOT 연산자가 하나의 입력값만을 받는데, AND, OR, NAND 연산자는 두 개의 입력값을 받기 때문에 NOT 연산자와는 다른 종류의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명령부의 오퍼랜드(Operand) 자체가 실제 그 데이터인 번지지정 방식은?

  1. direct address
  2. immediate address
  3. indirect adderss
  4. relative address
(정답률: 48%)
  • 오퍼랜드 자체가 실제 데이터인 경우, 해당 데이터가 명령어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즉시 접근이 가능한 immediate address 방식을 사용합니다. 다른 주소 지정 방식들은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접근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데이터가 명령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억된 정보를 읽기는 자유롭지만 내용을 바꾸어 넣을수 없는 기억소자는?

  1. ROM
  2. RAM
  3. SRAM
  4. DRAM
(정답률: 66%)
  •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기억된 정보를 읽기는 자유롭지만 내용을 바꾸어 넣을 수 없는 기억소자입니다. 즉, 처음에 기록된 정보를 읽을 수는 있지만, 그 내용을 수정하거나 지우거나 새로운 정보를 추가할 수는 없습니다. 이와는 달리 RAM, SRAM, DRAM은 기억된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기억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순서 논리 회로에 해당되는 것은?

  1. 반가산기(half adder)
  2. 보호기(encoder)
  3. 플립플롭(flip-flop)
  4. 멀티플렉서(multiplexer)
(정답률: 63%)
  • 순서 논리 회로는 이전 상태에 따라 현재 상태가 결정되는 회로를 말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회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플립플롭입니다. 플립플롭은 이전 상태에 따라 현재 상태가 결정되는 순서 논리 회로로, 따라서 정답은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기 디스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sequential access만 가능하다.
  2. random access만 가능하다.
  3. 주로 sequential access를 많이 한다.
  4. 주로 random access를 많이 한다.
(정답률: 40%)
  • 주로 random access를 많이 한다. - 자기 디스크는 자기 회전하는 디스크 위에 자기 헤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 자기 헤드는 디스크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기 때문에 random access가 가능하다. 따라서, 주로 random access를 많이 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컴퓨터를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 2부분으로 분류하면?

  1.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2. 연산장치와 제어장치
  3. 중앙처리장치와 보조기억장치
  4.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42%)
  • 컴퓨터를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 2부분으로 분류하면,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의 모든 연산과 처리를 담당하는 핵심 부품으로,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입출력장치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프린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핵심 부품과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부품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객체지향언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기계어
  2. 비주얼 C++
  3. 델파이(Delphi)
  4. 자바(JAVA)
(정답률: 57%)
  • 정답은 "기계어"입니다. 기계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로, 객체지향언어가 아닌 저수준의 언어입니다. 객체지향언어는 객체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하는 언어로, 클래스, 상속, 다형성 등의 개념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8진수 37.54를 16진수로 변환하면?

  1. 1F.A
  2. 1F.A4
  3. 1F.BA
  4. 1F.B
(정답률: 38%)
  • 8진수 37.54를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8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합니다.
    37.54(8) = 31.8125(10)

    2. 10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합니다.
    31(10) = 1F(16)
    0.8125(10) x 16 = 13(16) = D(16)
    따라서, 37.54(8) = 1F.D(16)입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F.B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0.8125(10)를 16진수로 변환할 때, 소수점 이하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B(16)으로 대체한 것입니다. 따라서, 37.54(8) = 1F.B(1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적은 Bit로 표현 가능한 테이터는?

  1. 영상 데이터
  2. 문자 데이터
  3. 숫자 데이터
  4. 논리 데이터
(정답률: 71%)
  • 논리 데이터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 두 가지 값 중 하나만 가지므로, 가장 적은 Bit로 표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 Bit로도 참 또는 거짓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영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숫자 데이터는 다양한 값을 가지므로 더 많은 Bit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C 언어 프로그램 형식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인터프리터 방식을 사용한다.
  2. “/*”와“*/”를 이용하여 주석을 나타낸다.
  3. 프로그램내의 명령은 ;(세미콜론)으로 구분된다.
  4. 모든 프로그램은 main 함수로부터 실행이 시작된다,
(정답률: 60%)
  • "인터프리터 방식을 사용한다."는 C 언어 프로그램의 실행 방식과 관련된 것이며, 나머지 보기는 C 언어 프로그램의 문법과 관련된 것입니다. 인터프리터 방식은 프로그램을 한 줄씩 읽어들여 바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컴파일러 방식과는 달리 컴파일 단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C 언어 프로그램의 형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 회로에서 bus line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정확한 전송
  2. 속도 향상
  3. 레지스터 수의 축소
  4. 결합선 수의 축소
(정답률: 55%)
  • bus line은 여러 개의 선을 하나로 묶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결합선 수를 줄일 수 있어 회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합선 수의 축소"가 가장 큰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레지스터와 유사하게 종작하는 임시 저장장소로써 유사한 가능을 하며 다음 실행한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레지스터
  2. 프로그램 카운터
  3. 기억장치
  4. 플립플롭
(정답률: 68%)
  •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로,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레지스터와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임시 저장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며, 플립플롭은 논리 회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저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회로는 직렬가산기이다. 입력 A=10, B=11을 입력할 때 합 S의 값은?

  1. 100
  2. 101
  3. 110
  4. 111
(정답률: 57%)
  • 입력 A=10, B=11을 2진수로 나타내면 각각 1010, 1011이다. 이를 각 비트별로 더해보면 다음과 같다.

    1. 0+1=1
    2. 1+1=10
    3. 0+0+1=1
    4. 1+1=10

    각 비트별로 더한 결과를 합산하면 101이므로 정답은 "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자회로 부품 중 능동 부품이 아닌 것은?

  1. 다이오드
  2. 트랜지스터
  3. 집적회로
  4. 저항
(정답률: 72%)
  • 능동 부품은 전기 신호를 증폭하거나 제어하는 등의 작용을 하는 부품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집적회로는 모두 능동 부품입니다. 반면에 저항은 전기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능동 부품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각 나라의 표준규격 기호를 짝지어 놓은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KS - 한국산업표준
  2. ANSI - 미국표준규격
  3. IOS - 스위스공업규격
  4. JIS - 일본공업규격
(정답률: 82%)
  • 정답은 "IOS - 스위스공업규격"입니다.

    IOS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이전 명칭이며, 스위스공업규격(Swiss Industrial Standard)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표준규격입니다. 따라서 IOS는 스위스공업규격이 아니라 국제표준규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IOS - 스위스공업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OR GATE
  2. AND GATE
  3. NAND GATE
  4. EX-OR GATE
(정답률: 86%)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 NAND 연산을 수행하는 게이트이다. NAND 연산은 AND 연산의 결과를 NOT 연산한 것으로,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연산이다. 따라서 이 회로의 출력은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0이 되고, 나머지 경우에는 1이 된다. 이러한 동작 방식 때문에 이 회로는 NAND GATE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회로도의 작성법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해진 도 기호를 명확하면서도 간결하게 그려야 한다.
  2. 신호의 흐름은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다.
  3. 전체적인 배치와 균형이 유지 되게 그려야 한다.
  4. 신호의 흐름은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한다.
(정답률: 82%)
  • 신호의 흐름은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회로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며, 이는 전기 신호가 전류의 방향과 같이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신호의 흐름은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자기기에 패널을 설계할 때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원 코드는 배면에 배치한다.
  2. 패널 부품은 크기를 고려하여 균형 있게 배치한다.
  3. 조작상 서로 연관이 있는 요소끼리 근접 배치한다.
  4. 장치에 외부와 연결되는 접속기가 있을 경우에는 될 수 있는 대로 패널의 배면에 배치한다.
(정답률: 65%)
  • 외부와 연결되는 접속기를 배면에 배치하는 것은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접속기가 배면에 위치하면 전원 코드와 같은 외부 연결 요소들도 함께 배치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장치에 외부와 연결되는 접속기가 있을 경우에는 될 수 있는 대로 패널의 배면에 배치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자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PCB 설계 (art-work)를 완료한 후 기판 제작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파일로 출력하여야 한다. 그종류가 아닌 것은?

  1. schmatic 파일
  2. gerber 파일
  3. HPGL 파일
  4. DXF 파일
(정답률: 47%)
  • schematic 파일은 회로도를 그리기 위한 파일이며, PCB 설계를 위한 art-work 파일과는 다른 종류의 파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면으로부터 위치 좌표를 읽어 들이는데 사용하는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는?

  1. 마우스(mouse)
  2. 트랙볼(trackball)
  3. 디지타이저(digitzer)
  4. 이미지스캐너(image scanner)
(정답률: 71%)
  • 디지타이저는 펜이나 커서를 사용하여 도면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 상에서 위치 좌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입력 장치이기 때문에 CAD 시스템에서 위치 좌표를 읽어들이는 데 사용됩니다. 마우스나 트랙볼은 컴퓨터 화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지만, 위치 좌표를 읽어들이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스캐너는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지만, 위치 좌표를 읽어들이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전자부품 기호 중 발광 다이오드 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률: 80%)
  • 발광 다이오드는 기호로서 ""를 사용합니다. 이는 다른 전자부품 기호와는 달리, 화살표가 두 개가 아닌 하나만 있으며, 그 화살표가 빛을 내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부품을 배치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잡음이 발생하는 부품은 이격시킨다.
  2.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가 혼용된 회로라도 단일 접지를 사용한다.
  3. 전원용 라인 필터는 커넥션 가까이 배치한다.
  4. 발열하는 부품에 대해서는 방열 설계를 한다.
(정답률: 69%)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가 혼용된 회로라도 단일 접지를 사용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회로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회로에서 독립적인 접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회로와 디지털 회로는 서로 다른 접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PCB 패턴 설계 때 유의사항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패턴을 미관을 고려하여 가능한 가늘고 짧게 하여야 한다.
  2. 팬턴 사이의 간격을 떼어 놓거나 차폐를 헹한다.
  3. 취급하는 전력용량, 주파수 대역 및 신호 형태별로 기판을 나누거나 커넥터를 분리하여 설계한다.
  4. 배선은 가급적 짧게 하는 것이 다른 배선이나 부품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정답률: 67%)
  • "패턴을 미관을 고려하여 가능한 가늘고 짧게 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PCB의 패턴이 미관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전기적인 성능이기 때문이다. 패턴이 가늘고 짧을수록 전기적인 저항과 인덕턴스가 작아지기 때문에 신호의 손실이나 노이즈가 줄어들고, 전기적인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PCB 패턴 설계 시에는 미관적인 측면보다는 전기적인 성능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CB의 종류 중 필름에 동박을 접착 및 절곡하여 휘어지는 부분에 사용하는 카세트, 카메라, 핸드폰 등에 사용하는 것은?

  1. 페놀 기판
  2. 에폭시 기판
  3. 콤포지트 기판
  4. 플렉시블 기판
(정답률: 75%)
  • 플렉시블 기판은 필름에 동박을 접착하여 휘어지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PCB로, 카세트, 카메라, 핸드폰 등의 작은 기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이 정답입니다. 페놀 기판은 일반적인 PCB로, 에폭시 기판은 내열성이 뛰어나고 고강도를 가진 PCB, 콤포지트 기판은 경량화와 고강도를 동시에 갖춘 PC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제도 용지의 크기가 가장 큰 용지는?

  1. AO
  2. A1
  3. A4
  4. A5
(정답률: 83%)
  • 제도 용지는 국제 표준인 ISO 216에 따라 A0부터 A10까지 크기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 중 A0은 가장 큰 크기이며, 이를 제도 용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답은 "A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등사 원리를 이용하여 내산성 레지스터를 기판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은?

  1. 사진 부식법
  2. 실크 스크린법
  3. 오프셋 인쇄법
  4. 자동화 인쇄법
(정답률: 50%)
  • 등사 원리를 이용하여 내산성 레지스터를 기판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은 실크 스크린법입니다. 이는 인쇄물의 디자인을 스크린에 인쇄하여 인쇄물의 표면에 잉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스크린을 통해 잉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내산성 레지스터를 기판에 직접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재질에 적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설계 규칙을 검사하는 것은?

  1. Annotate
  2. DRC
  3. Netlist
  4. Export
(정답률: 73%)
  • 설계 규칙을 검사하는 것은 DRC입니다. DRC는 Design Rule Check의 약자로, 설계 규칙을 검사하여 불일치나 오류를 찾아내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Annotate는 주석을 추가하는 기능, Netlist는 회로의 연결 정보를 담은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Export는 회로를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PCB를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조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량 생산의 효과가 높다.
  2. 제품의 균일성과 신뢰성이 높다.
  3. 잡음, 온도 등 안정 상태를 유지한다.
  4. 소량 다품종 생산에 적합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정답률: 74%)
  • PCB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제품의 균일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잡음과 온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CB를 사용하여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할 경우, 초기 비용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저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량 다품종 생산에 적합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전자 부품 기호의 명칭은?

  1. 트랜지스터(TR)
  2.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FET)
  3. 다이오드(Diode)
  4. 다이액(DIAC)
(정답률: 80%)
  • 해당 전자 부품 기호는 다이액(DIAC)을 나타냅니다. 다이액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하는 이중 다이오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AC 전원 회로에서 사용됩니다. 이 기호는 다이액의 이중 다이오드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세라믹 콘덴서의 외부에 104라는 숫자가 적혀있다. 이 콘덴서의 용량은?

  1. 1[㎌]
  2. 0.1[㎌]
  3. 0.01[㎌]
  4. 0.001[㎌]
(정답률: 63%)
  • 104는 세라믹 콘덴서의 용량을 나타내는 코드이며, 첫 두 자리는 유효숫자이고 세 번째 자리는 자릿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0의 4승인 100000피코파라드(pF)가 됩니다. 이를 1000으로 나누면 0.1마이크로파라드(㎌)가 되므로 정답은 "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키보드(Keyboard)
  2. 프린터(Printer)
  3. 마우스(Mouse_
  4. 디지타이저(Digitzer)
(정답률: 79%)
  • 프린터는 CAD 시스템의 출력 장치이며, 그림이나 도면을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자 제도의 PCB설계에 적당하지 않은 CAD 소프트웨어는?

  1. Or-CAD
  2. Auto-CAD
  3. P-CAD
  4. CADSTAR
(정답률: 69%)
  • Auto-CAD은 2D/3D 기계설계 및 건축설계에 적합한 소프트웨어이지만, PCB설계에는 적합하지 않은 소프트웨어입니다. PCB설계에는 Or-CAD, P-CAD, CADSTAR 등 전용 PCB설계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며, 이들은 PCB설계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과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Auto-CAD는 PCB설계에 적합하지 않은 CAD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적인 도면의 표제란에는 척도를 기입하는 난이 있다. 그러나 전자회로도나 블록도(Block diagram)와 같이 기호(Symbol)와 글자로만 도면이 이루어질 경우, 치수의 의미가 없거나 도면과 실물의 치수가 비례하지 않을 때 척도 난의 표기로 옳은 것은?

  1. NO
  2. NC
  3. NS
  4. NX
(정답률: 77%)
  • 전자회로도나 블록도와 같이 기호와 글자로만 이루어진 도면에서는 치수의 의미가 없으므로 척도 난의 표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S"입니다. "NO"는 "Not Ordered"의 약자로, 아직 정답이 결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NC"는 "No Comment"의 약자로, 댓글이나 의견이 없음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NX"는 "Not Applicable"의 약자로, 해당 사항이 없음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기판 종류에 맞지 않는 것은?

  1. 단면 기판
  2. 양면 기판
  3. 3층 기판
  4. 4층 기판
(정답률: 48%)
  • "3층 기판"은 기판의 층 수가 3층이므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층 수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불리며, 카메라 등의 굴곡진 부분에 많이 사용되는 기판은?

  1. 에폭시 기판
  2. 페놀 기판
  3. 메탈 기판
  4. 플렉시블 기판
(정답률: 77%)
  • 플렉시블 기판은 유연성이 뛰어나서 굴곡이 많은 부분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카메라 등의 작은 기기에 적합한 경량성과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쇄회로기판 가공에 사용되는 용어 중 부품의 단자 또는 도체 상호간을 접속하기 위하여 구멍 주위에 만든 특정한 도체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랜드(Land)
  2. 마운트(Mount)
  3. 패턴(Pattern)
  4. 홀(Hole)
(정답률: 66%)
  • 랜드는 부품의 단자나 도체를 접속하기 위해 구멍 주위에 만든 특정한 도체 부분을 말합니다. 따라서, 랜드는 인쇄회로기판 가공에서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자 CAD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부품 기호를 불러왔을 때 표시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부품의 심벌
  2. 부품의 참조
  3. 부품의 값
  4. 부품의 크기
(정답률: 53%)
  • 전자 CAD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부품 기호를 불러왔을 때 표시되는 것은 부품의 심벌, 참조, 값이지만 부품의 크기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는 부품의 크기는 설계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부품의 크기는 설계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부품의 기능과 사용되는 PCB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CAD 프로그램에서는 부품의 크기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없으며, 설계자가 수동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세븐 세그먼트(FND)가 동작할 때 빛을 내는 것은?

  1. 발광 다이오드
  2. 부저
  3. 릴레이
  4. 저항
(정답률: 86%)
  • 세븐 세그먼트(FND)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부품으로, 내부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빛을 내어 숫자나 문자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세븐 세그먼트(FND)가 동작할 때 빛을 내는 것은 발광 다이오드(LE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검출용 기구가 아닌 것은?

  1. 근접 스위치
  2. 실렉트 스위치
  3. 광전 스위치
  4. 압력 스위치
(정답률: 53%)
  • 실렉트 스위치는 검출용 기구가 아닙니다. 실렉트 스위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로,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나 자동차 등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압력 스위치는 모두 검출용 기구로서, 물체의 근접, 광선, 압력 등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트랜지스터 형식 명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은 소자의 종류를 의미한다.
  2. (2)는 반도체 소자로서 PNP형 저주파를 의미한다.
  3. (3)은 등록번호이며, 11부터 시작한다.
  4. (4)는개량표시를 의미한다.
(정답률: 63%)
  • (2)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NP형은 NPN형과 함께 트랜지스터의 구조 중 하나이며, 양극성이 반대인 소자입니다. 따라서 PNP형이 저주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능동 부품(active component)의 능동적 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신호의 증폭
  2. 신호의 발진
  3. 신호의 변환
  4. 신호의 중계
(정답률: 72%)
  • 신호의 중계는 능동 부품이 아닌 패시브 부품의 역할이기 때문에 능동적 기능이 아니다. 신호의 중계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환하지 않고, 단지 다른 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능동 부품의 능동적 기능이라고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저항값이 낮은 저항기로, 대전력용으로도 사용되며 표준저항기 등의 고정밀 저항기로도 사용되는 저항기는?

  1. 모듈 저항기
  2. 권선 저항기
  3. 탄소 피막 저항기
  4. 솔리드 저항기
(정답률: 69%)
  • 권선 저항기는 금속선을 매우 얇게 감아서 만들어지며, 이로 인해 저항값이 낮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대전력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정밀 저항기로도 사용되는 이유는 권선 저항기가 정확한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작업 진행 과정을 눈으로 바로 확인 가능한 장치는?

  1. 메모리
  2. 하드 디스크
  3. CPU
  4. 모니터
(정답률: 85%)
  • 작업 진행 과정은 CPU에서 처리되고, 그 결과는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에 저장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 진행 과정을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모니터뿐입니다. 모니터는 CPU에서 처리된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출력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프린터 종류 중 비 충격(non-impact) 프린터는?

  1. 활자 프린터
  2. 도트 프린터
  3. 펜 스트로크 프린터
  4. 레이저 빔 프린터
(정답률: 78%)
  • 레이저 빔 프린터는 비 충격 프린터입니다. 이는 레이저 빔 프린터가 종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쇄물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인쇄물의 품질도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턴의 폭을 줄이면 임피던스는 증가 하고, 폭은 넓히면 감소한다.
  2. 패턴의 두께가 얇아지면 임피던스는 증가하고, 두께가 두꺼워지면 감소한다.
  3. 팬턴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임피던스는 커지고, 간격이 좁아지면 임피던스는 작아진다.
  4. 전체 제품의 두께가 얇아지면 임피던스는 높아지고, 두꺼워지면 작아진다.
(정답률: 37%)
  • 전체 제품의 두께가 얇아지면 임피던스는 높아지고, 두꺼워지면 작아진다. 이유는 전체 제품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전기적으로 유도되는 자기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전파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전체 제품의 두께가 증가하면 전기적으로 유도되는 자기장의 크기가 작아져 전파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임피던스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전원회로도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 트랜스는 1차 및 2차의 전압의 전류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2. 평활 콘덴서가 전해 콘덴서의 경우 도면에 반드시 극성을 표시해야 한다.
  3. 다이오드는 대부분 용량 대신에 현 명칭을 사용한다.
  4. 전원 트랜스는 “+”표시로 동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정답률: 38%)
  • 전원 트랜스는 “+”표시로 동위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전원 트랜스는 일반적으로 교류 전원을 변환하여 전압을 공급하는데, 이때 1차 측과 2차 측의 전압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동위상이 아닌 역위상을 가진다. 따라서 전원 트랜스는 “-”표시로 역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