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9)

전자캐드기능사
(2011-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다음 중 전류 1[A]의 정의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단위 시간에 이동한 전기량이다.
  2. 단위 시간에 발생한 기전력이다.
  3. 단위 시간에 수행한 일이다.
  4. 단위 기전력으로 수행한 일이다.
(정답률: 72%)
  • 전류는 단위 시간에 이동한 전기량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이는 전류의 정의이며, 전류는 전기를 통해 전하가 이동하는 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단위 시간에 이동한 전기량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지털 신호(2진 데이터)의 정보내용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45%)
  • PSK는 위상 변조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의 정보 내용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킵니다. 따라서 PSK가 정답입니다. ASK는 진폭 변조 방식, FSK는 주파수 변조 방식, QAM은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의 정현파로 100[㎑]의 반송파를 FM 변조했을 때 최대주파수편이가 ±100[㎑]이면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1. 20[㎑]
  2. 110[㎑]
  3. 220[㎑]
  4. 440[㎑]
(정답률: 57%)
  • FM 변조에서 최대주파수편이는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최대주파수편이가 ±100[㎑]이므로,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100+10=110[㎑], 최소 주파수는 100-10=90[㎑]입니다. 따라서,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와 최소 주파수의 차이인 110-90=20[㎑]에 변조 지수인 2를 곱한 40[㎑]에 2를 더한 80[㎑]입니다. 하지만, FM 변조에서는 대역폭이 실제로는 최대주파수편의 2배보다 더 넓어지므로, 이 값을 다시 2로 나누어 줍니다. 따라서,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80/2=40[㎑]입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하여 220[㎑]이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저항(저항률)의 단위는?

  1. Ω·cm2
  2. Ω·㎝
  3. Ω/cm2
  4. g·Ω·㎝
(정답률: 57%)
  • 비저항(저항률)의 단위는 "Ω·㎝"입니다. 이는 저항(Resistance)의 단위인 "Ω"와 길이의 단위인 "㎝"을 곱한 것입니다. 이는 길이가 달라지면 저항도 달라지기 때문에, 길이와 저항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항이 일정한 물질의 경우, 그 물질의 비저항(저항률)은 "Ω·㎝"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 f0와 대역폭 BW및 선택도 Q와의 관계식으로 옳게 표현된 것은?

  1. BW=Q/f0
  2. BW=f0+Q
  3. BW=f0/Q
  4. BW=Q
(정답률: 59%)
  • 정답은 "BW=f0/Q"입니다.

    공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 f0는 공진이 일어나는 주파수이며, 대역폭 BW는 공진주파수에서 전압이 절반으로 감소한 주파수 범위입니다. 선택도 Q는 공진주파수에서 대역폭을 나눈 값으로, 공진주파수에서의 에너지 저장 효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대역폭 BW와 선택도 Q는 공진주파수 f0에 영향을 받습니다. BW는 f0을 Q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BW=f0/Q"가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같다.
  2.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같다.
  3. 전체 저항은 두 저항의 합과 같다.
  4. 전체 저항은 두 저항 중 작은 저항의 값과 같다.
(정답률: 58%)
  • 병렬 연결된 두 저항은 같은 전압을 공유하게 됩니다. 이는 전압의 정의에 따라, 전압은 저항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N형 반도체를 만드는 불순물 원소는?

  1. 인듐(In)
  2. 붕소(B)
  3. 갈륨(Ga)
  4. 비소(As)
(정답률: 80%)
  •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불순물 원소를 첨가하여 만듭니다. 비소(As)는 5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 반도체 구조에 첨가되면 4개의 전자는 공유결합을 이루어 반도체 구조를 유지하면서, 1개의 자유전자는 전자 이동성을 높여 N형 반도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인듐(In), 붕소(B), 갈륨(Ga)는 모두 P형 반도체를 만드는 불순물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기장 안의 도체에 힘을 가하여 도체를 움직이면 도체에 기전력이 발생 하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정전유도
  2. 자기유도
  3. 전자유도
  4. 전류유도
(정답률: 42%)
  • 자기장 안에서 도체를 움직이면 도체 내부의 전자들이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도체 내부에 전하가 분리되어 전기적인 기전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전자유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미터 접지 트랜지스터 증폭회로에서 IB가 50[㎂]이고, IC가 3.65[㎃]일 때, IE는?

  1. 0.7[㎃]
  2. 2.6[㎃]
  3. 3.6[㎃]
  4. 3.7[㎃]
(정답률: 42%)
  • 이미터 접지 트랜지스터 증폭회로에서는 IE = IB + IC 이므로, IE = 50[㎂] + 3.65[㎃] = 3.7[㎃] 이다. 따라서 정답은 "3.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입력 파형의 기준을 다른 기준 레벨로 바꾸어 고정시키는 회로는?

  1. 펄스 회로
  2. 클램핑 회로
  3. 클리퍼 회로
  4. 리미트 회로
(정답률: 50%)
  • 클램핑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 또는 최소 값을 고정시키는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입력 파형의 기준을 다른 기준 레벨로 바꾸어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편향을 보정하거나, 출력 신호의 변화를 제어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C]의 전기량이 두 점 사이를 이동하여 10[J]의 일을 하였다면 이 두 점 사이의 전위차는 몇 [V]인가?

  1. 2[V]
  2. 5[V]
  3. 10[V]
  4. 20[V]
(정답률: 65%)
  • 전위차는 일과 전기량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전위차 = 일 ÷ 전기량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기량이 2[C]이고 일이 10[J]이므로 전위차 = 10[J] ÷ 2[C] = 5[V]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기가 0.01[sec]인 교류신호의 주파수는?

  1. 1000[㎐]
  2. 500[㎐]
  3. 100[㎐]
  4. 10[㎐]
(정답률: 75%)
  • 주파수는 주기의 역수이므로, 주기가 0.01[sec]인 교류신호의 주파수는 1/0.01 = 100[Hz] = 10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체 내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전위차를 만들어주는 힘은?

  1. 기전력
  2. 자기력
  3. 흡인력
  4. 전자기력
(정답률: 65%)
  • 기전력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기회로에 공급하여 전류를 유도하는 힘입니다. 따라서 도체 내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전위차를 만들어주는 힘은 기전력입니다. 자기력은 자기장을 만들어주는 힘이며, 흡인력은 물리적인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을 의미합니다. 전자기력은 전기적인 힘과 자기적인 힘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증폭기의 전압 증폭도가 1000 일 때 이것을 [㏈]로 나타내면 몇 [㏈] 인가?

  1. 20[㏈]
  2. 30[㏈]
  3. 40[㏈]
  4. 60[㏈]
(정답률: 42%)
  • 전압 증폭도가 1000이라는 것은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이 1000:1이라는 뜻입니다. 이를 로그로 나타내면 log(1000) = 3입니다. 로그의 단위는 데시벨(dB)이므로, 3을 10을 곱한 후 로그로 변환하면 10*log(1000) = 30dB입니다. 그러나 증폭기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입력과 출력의 전압 비율에 따라 양의 또는 음의 dB 값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이 아닌,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류가 도체에 흐르게 되면 도체 중에서 전류는 일정한 일을 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열로 변하여 온도를 상승시킨다는 법칙은?

  1. 플레밍의 왼손 법칙
  2. 줄의 법칙
  3. 쿨롱의 법칙
  4.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정답률: 67%)
  • 전류가 도체를 통과할 때, 전자들은 도체 내부에서 충돌하며 저항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저항에 의해 전자들은 일정한 일을 하게 되며, 이 일은 전자들이 가지고 있는 운동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킵니다. 이로 인해 도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설명하는 법칙이 "줄의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길이와 저항,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여 도체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채널(channel)의 종류로 옳게 묶인 것은?

  1. 다이렉트(direct) 채널과 멀티플렉서 채널
  2. 멀티플렉서 채널과 실렉터(selector) 채널
  3. 실렉터 채널과 스트로브(strobe) 채널
  4. 스트로브 채널과 다이렉트 채널
(정답률: 58%)
  • 멀티플렉서 채널과 실렉터(selector) 채널이 옳게 묶였습니다. 멀티플렉서 채널은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 신호로 합치는 역할을 하며, 실렉터 채널은 여러 개의 출력 신호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채널은 서로 반대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함께 묶여서 설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연산의 기능 중 LOAD나 STORE 명령은 어디에 속하는가?

  1. 함수연산 기능
  2. 제어 기능
  3. 전달 기능
  4. 입출력 기능
(정답률: 50%)
  • LOAD와 STORE 명령은 전달 기능에 속합니다. 이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레지스터에 저장하거나,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보다 크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디스크 장치의 용량을 주기억장치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는?

  1. Flash
  2. Virtual Memory
  3. Associative Memory
  4. USB Memory
(정답률: 55%)
  • Virtual Memory는 하드디스크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용량을 보다 크게 확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카르노 맵의 표현이 바르게 된 것은?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원시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동일한 내용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계어
  2. 파스칼
  3. 컴파일러
  4. 소스 프로그램
(정답률: 73%)
  • 원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고, 컴퓨터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라고 합니다. 따라서, 원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동일한 내용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것은 컴파일러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호와 절대값을 이용한 표현 방법을 사용한다.
  2.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구성되어 있다.
  3. 2의 보수 표현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4. 고정 소수점 연산에 비해 단순하고 시간이 적게 걸린다.
(정답률: 45%)
  •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은 실수를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호는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며, 지수부는 소수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가수부는 실수의 유효숫자를 나타냅니다. 이 방법은 고정 소수점 연산에 비해 단순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CPU 모듈 동작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명령어 인출 →데이터 인출→명령어 해석→데이터처리
  2. 데이터 인출→명령어 인출→명령어 해석→데이터 처리
  3. 명령어 인출→명령어 해석→데이터 인출→데이터 처리
  4. 데이터처리→데이터 인출→명령어 해석→명령어 인출
(정답률: 72%)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CPU 모듈 동작 순서는 "명령어 인출→명령어 해석→데이터 인출→데이터 처리" 입니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먼저 메모리에서 인출하고, 그 다음에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할 작업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해당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고, 데이터 처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순서로 동작함으로써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6진수 A7B8과 1C3D를 더한 결과는?

  1. C3F5
  2. B4F6
  3. C4F5
  4. C3F6
(정답률: 33%)
  • A7B8과 1C3D를 16진수로 더하면 C3F5가 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 + 1 = B
    2. 7 + C = 13 (10진수) = D (16진수)
    3. B + 3 = E
    4. 8 + D = 15 (10진수) = F (16진수)

    따라서, A7B8 + 1C3D = C3F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단항 연산과 거리가 먼 것은?

  1. EX-OR
  2. Move
  3. Shift
  4. Complement
(정답률: 62%)
  • EX-OR은 비트 단위로 두 개의 값이 다를 때 1을 반환하는 이항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EX-OR은 다른 단항 연산자와는 달리 두 개의 값을 필요로 하며, 또한 다른 연산자들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1. 두 수의 합 = a + b
  2. 두 수의 합 = 200 + 400
  3. 두 수의 합 = 600
  4. 두 수의 합 = %d\n
(정답률: 81%)
  • 이 프로그램은 두 개의 변수 a와 b를 선언하고, 각각 200과 400의 값을 할당한 후, 두 변수의 합을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 수의 합 = 200 + 400"이 되고, 이 값은 600이므로 "두 수의 합 = 600"이 출력됩니다. 출력문에서 "%d\n"은 두 수의 합을 출력하기 위한 서식 지정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서브루틴 호출시 데이터나 주소의 임시 저장이 가능한 것은?

  1. 스택
  2. 번지 해독기
  3. 프로그램 카운터
  4.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정답률: 52%)
  • 서브루틴 호출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스택입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는 자료구조로, 서브루틴 호출시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나 데이터를 스택에 저장하고, 서브루틴 실행이 끝나면 스택에서 꺼내어 복원합니다. 이를 통해 서브루틴 호출 전후의 데이터나 주소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누산기(accumulator)의 용도는?

  1. 명령을 저장
  2. 명령을 해독
  3. 명령의 주소를 저장
  4.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정답률: 83%)
  • 누산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다음 연산을 위해 이전 연산의 결과를 저장하고, 계산을 진행하는 동안 중간 결과를 저장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층 PCB 중 내부에 2개의 Layer를 Ground 및 Power 전용으로 사용하는 4-Layer PCB의 일반적인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잡음에 강한 PCB 설계가 가능하다.
  2. 접지(Earth) 선의 차폐 효과가 있다.
  3. 단·양면에 비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전원선의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다.
(정답률: 47%)
  • 단·양면에 비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유는, 4-Layer PCB에서는 내부 레이어를 활용하여 더 많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회로의 복잡도가 증가하더라도 단·양면 PCB보다 적은 수의 레이어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의 적층 형태에 따른 분류로 볼 수 없는 것은?

  1. 단면 인쇄회로기판
  2. 양면 인쇄회로기판
  3. 다층면 인쇄회로기판
  4. 유리에폭시 인쇄회로기판
(정답률: 65%)
  • 유리에폭시 인쇄회로기판은 적층 형태에 따른 분류가 아닌 PCB의 재질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입니다. 유리에폭시 인쇄회로기판은 FR-4와 같은 유형의 기판과는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며, 고온과 고주파에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따라서 적층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는 유리에폭시 인쇄회로기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Library
  2. Though
  3. Refresh
  4. Locked
(정답률: 83%)
  • 보기에서 "Library"는 유일한 명사(noun)이며, 나머지 단어들은 모두 동사(verb)나 형용사(adjective)입니다. 따라서 "Librar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반도체 소자의 형명 중 “2SC1815Y"는 어떤 소자인가?

  1. 다이오드
  2. 발광다이오드
  3. 콘덴서
  4. 트랜지스터
(정답률: 78%)
  • 2SC1815Y는 트랜지스터의 형명입니다. "2S"는 일본산 반도체 소자의 표준 접두어이며, "C"는 트랜지스터를 나타냅니다. "1815"는 해당 트랜지스터의 일련번호이며, "Y"는 제조사나 패키지 등의 추가 정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SC1815Y는 트랜지스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모니터의 신호 방식을 분류할 때 속하지 않는 것은?

  1. 오프라인(off-line) 방식
  2. 디지털(digital) 방식
  3. 멀티 싱크(multi) 방식
  4. 아날로그(analog) 방식
(정답률: 63%)
  • 오프라인(off-line) 방식은 모니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컴퓨터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모니터의 신호 방식을 분류할 때는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문 받은 사람이 주문한 사람과 검토를 거쳐서 승인을 받아 계획 및 제작을 하는데 기초가 되는 도면은?

  1. 제작도
  2. 주문도
  3. 승인도
  4. 견적도
(정답률: 56%)
  • 주문 받은 사람이 주문한 사람과 검토를 거쳐서 승인을 받아야 계획 및 제작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초가 되는 도면은 승인도입니다. 승인도는 주문한 사람과 주문 받은 사람이 협의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승인한 도면으로,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승인도가 없으면 제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면을 관리하기 위해 도면 번호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부품의 종류 및 형식
  2. 조립도 번호
  3. 도면의 크기
  4. 작성 일자
(정답률: 44%)
  • 도면 번호는 도면을 식별하는 유일한 식별자이며, 도면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품의 종류 및 형식, 조립도 번호, 도면의 크기는 모두 도면 번호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성 일자는 도면의 버전 관리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도면이 업데이트되거나 수정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성 일자는 도면 번호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기용 기호(KSC0102)에서 일반적인 전기회로의 접속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기호는?

  1. 기본 기호
  2. 전력용 기호
  3. 전기, 통신용 기호
  4. 옥내배선용 기호
(정답률: 34%)
  • 전기용 기호(KSC0102)에서 일반적인 전기회로의 접속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기호는 "기본 기호"입니다. 이는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을 나타내는 기호로, 다른 기호들은 이 기본 기호를 조합하여 전기회로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기본 기호는 전기회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EDA 툴(전자CAD 프로그램) 중 스케메틱(Schematic)에서 새로운 부품을 생성하고자 할 때 정의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부품의 외형
  2. 부품의 이름
  3. 부품의 핀 이름
  4. 부품의 참조기호
(정답률: 63%)
  • 부품의 외형은 스케마틱에서 부품을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적인 연결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의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부품의 이름, 핀 이름, 참조기호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정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4각형 패키지 형태가 아닌 것은?

  1. TQFP(Then Quad Flat Package)
  2. PQFT(Plastic Quad Flat Package
  3. PLCC(Plastic Leaded Chip Carrier)
  4. DIP(Dual Inline Package)
(정답률: 62%)
  • DIP(Dual Inline Package)은 다른 세 패키지와 달리 핀이 두 줄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IC 칩을 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서로 다른 CAD 프로그램 사이에서 도면 파일을 교환하는 규격은?

  1. STEP
  2. DXF
  3. IGES
  4. OHP
(정답률: 72%)
  • DXF는 AutoCAD에서 개발된 파일 형식으로, 다른 CAD 프로그램에서도 지원되는 범용 교환 형식입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CAD 프로그램 간에도 도면 파일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면인쇄회로기판 설계시 출력 데이터 파일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Drill Data
  2. Top Silk Screen
  3. Solder Side Pattern
  4. Component Side Pattern
(정답률: 40%)
  • 단면인쇄회로기판 설계시 출력 데이터 파일의 내용 중 "Component Side Pattern"은 회로기판의 부품이 위치할 측면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파일이다. 즉, 부품이 위치할 측면의 회로도를 제외한 다른 파일들은 회로기판의 다른 측면이나 부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Component Side Pattern"이 아닌 것은 회로기판 설계시 필수적인 정보가 아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자회로 설계하는 과정에서 10[Ω]/5[W] 저항을 기판에 실장(배치)하여야 하는데, 10[Ω]/5[W] 저항의 부피가 커서 1[W] 저항을 병렬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저항은?

  1. 10[Ω] 5개
  2. 25[Ω] 2개
  3. 50[Ω] 5개
  4. 100[Ω] 5개
(정답률: 63%)
  • 10[Ω]/5[W] 저항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1[W] 저항을 병렬로 구성하여 대체할 수 있습니다. 병렬 저항의 저항값은 각 저항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W] 저항 5개를 병렬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5 + 1/5 + 1/5 + 1/5 + 1/5 = 1

    위 식을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1/5 = 0.2

    0.2 + 0.2 + 0.2 + 0.2 + 0.2 = 1

    따라서 병렬로 구성한 1[W] 저항 5개의 저항값은 1/5[Ω]이 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원래의 10[Ω]/5[W] 저항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1/5[Ω] 저항을 50개 연결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0[Ω] 5개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50[Ω]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1/5[Ω] 저항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Ω] 5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능동 부품으로 구분되는 것은?

  1. 트랜지스터
  2. 저항
  3. 콘덴서
  4. 코일
(정답률: 80%)
  • 트랜지스터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능동 부품으로,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저항, 콘덴서, 코일은 모두 전류나 전압을 제한하거나 저장하는 수동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배선의 우려가 없다.
  2. 대량 생산의 효과가 있다.
  3. 제품의 균일성과 신뢰성이 높다.
  4. 소품종 다량 생산의 경우에는 제조 단가가 높다.
(정답률: 68%)
  • 소품종 다량 생산의 경우에는 제조 단가가 높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CB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량이 많을수록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품종 다량 생산의 경우에도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세라믹 콘덴서에서 표면에 숫자 223의 용량은? (단, K는 허용오차 범위)

  1. 220[㎌]
  2. 22[㎌]
  3. 0.22[㎌]
  4. 0.022[㎌]
(정답률: 64%)
  • 세라믹 콘덴서의 용량은 숫자 223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22와 3개의 0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용량은 22 × 10³ pF = 22 nF = 0.022 μF 입니다. K는 허용오차 범위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용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02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필름 제조와 마스터 포토툴을 생성하는 세계적 표준의 파일 형식은?

  1. 네트리스트 파일
  2. 거버 파일
  3. 라이브러리 파일
  4. DXF 파일
(정답률: 53%)
  • 거버 파일은 인쇄회로기판 제조에 필요한 필름 제조와 마스터 포토툴 생성을 위한 세계적 표준 파일 형식입니다. 이 파일 형식은 인쇄회로기판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CAD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되어 사용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거버 파일은 인쇄회로기판 제조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파일 형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래픽 출력장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프린터, 마우스, 플로터
  2. 프린터, 플로터, 포토 플로터
  3. 플로터, 디지타이저, 포토 플로터
  4. 마우스, 디지타이저, 프린터
(정답률: 73%)
  • 프린터, 플로터, 포토 플로터는 모두 출력장치에 해당하며, 그래픽 출력장치로만 짝지어진 것이기 때문에 마우스와 디지타이저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이나 사진 등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며, 마이크로컴퓨터 CAD에서는 손으로 그린 스케치도면이나, 입력 또는 데이터의 호환성이 없는 시스템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등에 사용되는 컴퓨터 입력장치는?

  1. 디지타이저
  2. 키보드
  3. 마우스
  4. 이미지 스캐너
(정답률: 65%)
  •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며, 손으로 그린 스케치도면이나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스캐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작업된 PCB 파일의 저장 장소는?

  1. CPU
  2. 모니터
  3. 하드디스크
  4. 프린터
(정답률: 85%)
  • 작업된 PCB 파일은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됩니다. 이는 PCB 파일이 컴퓨터의 저장 매체 중 하나인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CPU, 모니터, 프린터는 모두 PCB 파일을 저장할 수 없는 하드웨어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자기기 부품에서 색과 허용차(오차)의 관계를 나타낸 것 중 옳은 것은?

  1. 검정색 : ±20%
  2. 갈색 :±1%
  3. 주황색 : ±5%
  4. 금색 : ±10%
(정답률: 51%)
  • 색이 어떤지에 따라 허용차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갈색은 ±1%인 이유는 전자기기 부품에서 매우 정확한 저항값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허용차가 작은 갈색이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검정색은 허용차가 큰 ±2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회로도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부품간의 선 연결정보를 생성하는 파일은?

  1. 거버(Gerber) 파일
  2. 네트리스트(Netlist) 파일
  3. DRC(Design Rule Check) 파일
  4. ERC(Electric Rule Check) 파일
(정답률: 71%)
  • 네트리스트 파일은 회로도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연결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회로도 설계를 위해 사용되며, PCB(Printed Circuit Board)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부품들의 위치와 연결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PCB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인 파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고정 저항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탄소 피막 저항 : 탄소 저항이라고도 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권선 저항 : 저항값이 높은 저항기로 소전력용으로 사용된다.
  3. 모듈 저항 : 메탈 글레이즈를 사용한 저항기를 모듈화 한 것이다.
  4. 솔리드 저항 : 기계적 내구성이 크고 고저항에서도 단선될 염려가 없다.
(정답률: 65%)
  • 권선 저항기는 저항값이 높은 저항기로 소전력용으로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권선 저항기는 긴 선을 감아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길이에 비례하여 저항값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전력용으로 적합하며, 대용량 전력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PCB 설계 후 곧바로 PCB를 제작할 수 있는 필름 출력이 가능한 장치는?

  1. X-Y 플로터
  2. Photo 플로터
  3. Gerber Editor
  4. Ink jet 프린터
(정답률: 62%)
  • PCB 설계 후 필름 출력을 위해서는 PCB 레이아웃을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PCB 레이아웃을 높은 정밀도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는 Photo 플로터입니다. Photo 플로터는 레이저 또는 LED를 사용하여 필름에 미세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CB 제작에 필요한 미세한 디테일을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CB 설계 후 곧바로 PCB를 제작할 수 있는 필름 출력이 가능한 장치는 Photo 플로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한국산업표준(KS)의 전자제도 통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기기나 제품의 제도에는 특수한 방법이나 기호 등을 사용한다.
  2. 기하학적 도법에 기초를 둔 것으로 기기 구조의 표시방법은 기계제도와 다르다.
  3. 설계된 기기의 모양이나 치수 또는 시설의 배치 회로의 결선 등을 도면으로 정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4. 전기용 신호(KSC0102)에 규정된 사용 방법을 따르며, 도면은 반드시 정해진 규격에 따라서 그려야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기하학적 도법에 기초를 둔 것으로 기기 구조의 표시방법은 기계제도와 다르다."입니다. 이유는 KS의 전자제도 통칙에서는 기하학적 도법을 사용하여 기기 구조를 표시하며, 이는 기계제도와 다른 방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품 배치도의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형 있게 배치한다.
  2. IC의 경우 1번 핀을 표시한다.
  3. 부품 상호간 신호가 유도되도록 한다.
  4. 조정이 필요한 부품은 조작이 용이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부품 상호간 신호가 유도되도록 한다는 것은 부품들 간의 신호가 서로 간섭 없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문제를 방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린트 기판 설계시 배선으로 인한 인덕턴스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전원 라인을 가늘고, 길게 배선한다.
  2. 전원 라인을 가늘고, 짧게 배선한다.
  3. 전원 라인을 굵고, 길게 배선한다.
  4. 전원 라인을 굵고, 짧게 배선한다.
(정답률: 80%)
  • 전원 라인을 굵고, 짧게 배선하는 것이 인덕턴스 발생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전류의 흐름 경로를 최소화하여 전류의 흐름에 의한 자기장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 라인을 굵고, 짧게 배선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전자 캐드의 작업 과정 중 가장 나중에 하는 것은?

  1. 부품 배치
  2. 레이어 셋팅
  3. 거버파일 작성
  4. 네트리스트 작성
(정답률: 75%)
  • 거버파일 작성은 전자 캐드 작업의 마지막 단계로, PCB 디자인을 완료하고 모든 부품이 올바르게 배치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수행됩니다. 거버파일은 PCB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파일로, PCB 디자인의 모든 레이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파일을 이용하여 PCB를 제작합니다. 따라서, 모든 작업이 완료된 후에 거버파일을 작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컴퓨터 제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선과 곡선의 처리, 도형과 그림의 이동, 회전 등이 자유롭고, 도면의 일부분 또는 전체의 축소, 확대가 용이하다.
  2. 2차원의 표현은 자유롭지만 3차원 도형과 숨은선의 표시가 곤란하다.
  3. 자주 쓰는 도형은 매크로를 사용하여 여러번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작성된 도면의 정보를 기계에 직접 적용시킬 수 있다.
(정답률: 68%)
  • 2차원의 표현은 자유롭지만 3차원 도형과 숨은선의 표시가 곤란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컴퓨터 제도는 3차원 도형과 숨은선의 표시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여러 장치를 통제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는?

  1. I/O Unit
  2. ALU
  3. memory unit
  4. control unit
(정답률: 71%)
  • 정답은 "control unit"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 I/O Unit: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장치
    - ALU: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 Memory Unit: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하지만 Control Unit은 CPU의 다른 모든 부분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중앙 제어 장치입니다. CPU의 작동을 제어하고 명령어를 해석하며, 다른 장치들과의 상호작용을 조정합니다. 따라서 여러 장치를 통제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는 Control Uni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회로도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대각선과 곡선은 가급적 피한다.
  2. 신호의 흐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린다.
  3. 선의 교차가 많고 부품이 도면의 한 쪽으로 모이도록 그린다.
  4. 주 회로와 보조 회로가 있는 경우에는 주 회로를 중심으로 그린다.
(정답률: 84%)
  • 선의 교차가 많고 부품이 도면의 한 쪽으로 모이도록 그리는 것은 회로도를 보기 쉽게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회로의 동작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선이 교차하면 회로의 동작이 복잡해지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선의 교차를 최소화하고 부품을 한 쪽으로 모아서 회로의 동작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CAD 시스템의 출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스캐너(scanner)
  2. 필름 레코더(film recorder)
  3. 컬러 프린터(color printer)
  4. X-Y 플로터(ploter)
(정답률: 69%)
  • 스캐너는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이며, 이미지나 도면을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출력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전자 소자 중 2단자 반도체 소자는?

  1. 다이오드(DIODE)
  2. 트라이액(TRIAC)
  3. 실리콘제어정류기(SCR)
  4.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정답률: 58%)
  • 다이오드는 2개의 전극(애노드와 카소드)으로 이루어진 2단자 반도체 소자입니다. 애노드에서 카소드로 전류가 흐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카소드에서 애노드로 전류가 흐를 때는 전류가 흐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거나, 전류를 정류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