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전자캐드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어떤 신호 증폭기의 입력전압(V1)의 S/N 비가 90, 출력전압(V2)의 S/N 비가 30 이라면 이 증폭기의 잡음지수는?

  1. 0.33
  2. 3
  3. 3.33
  4. 2700
(정답률: 67%)
  • 잡음지수는 출력신호의 S/N 비와 입력신호의 S/N 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잡음지수 = 출력신호의 S/N 비 - 입력신호의 S/N 비 = 30 - 90 = -60 입니다. 하지만 잡음지수는 항상 양수이므로, 이 경우에는 60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인 이유는 잡음지수가 60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BJT와 비교한 F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임피던스가 높다.
  2. 잡음특성이 양호하다.
  3. 이득대역폭 적이 크다.
  4. 온도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높다.
(정답률: 57%)
  • 이득대역폭이 적다는 것은 FET의 증폭기능이 BJT보다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FET의 전압제어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데, 전압제어 특성은 전압이 바뀌어도 전류가 크게 바뀌지 않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증폭기능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FET는 BJT보다 이득대역폭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코일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
  2. 상호유도작용
  3. 공진하는 성질
  4. 전류누설작용
(정답률: 67%)
  • 코일은 전류를 통과할 때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 상호유도작용, 공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류누설작용은 코일의 성질이 아닙니다. 전류누설작용은 전류가 코일을 통과할 때 일부 전류가 코일의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코일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N형 반도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불순물의 원소는?

  1. 인듐(In)
  2. 비소(As)
  3. 갈륨(Ga)
  4. 알루미늄(Al)
(정답률: 83%)
  •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불순물을 첨가하여 만듭니다. 이때, 비소(As)는 5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반도체 구조에 첨가되면 4개의 전자는 공유결합으로 결합하고, 1개의 전자는 자유전자로 남아서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비소(As)는 N형 반도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불순물의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유도현상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법칙은?

  1.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2. 비오-사바르의 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렌쯔의 법칙
(정답률: 64%)
  • 유도현상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하는데, 이는 렌쯔의 법칙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즉,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것이 렌쯔의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비안정, 단안정, 쌍안정의 구분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1. 결합회로의 구성
  2. 전원 전류의 크기
  3. 전원 전압의 크기
  4.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정답률: 74%)
  •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비안정, 단안정, 쌍안정의 구분은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결합회로의 구성이란, 회로 내부의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등의 부품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결합회로의 구성이 다르면 회로의 동작 방식도 달라지게 되어 비안정, 단안정, 쌍안정 중 하나로 동작하게 됩니다. 전원 전류의 크기, 전원 전압의 크기,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는 회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만, 결합회로의 구성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지털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FSK
  3. PCM
  4. QAM
(정답률: 59%)
  • PCM은 디지털 변조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디지털 변조 방식입니다. ASK는 진폭 변조, FSK는 주파수 변조, QAM은 진폭과 위상 변조를 결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인파 교류 전류의 최대값이 10[A]이면 반주기 평균값은?

  1. 10/√2[A]
  2. 10/π[A]
  3. 10√2[A]
  4. 20/π[A]
(정답률: 44%)
  • 사인파의 반주기 평균값은 0이므로, 최대값인 10[A]과 최소값인 -10[A]의 평균값을 구하면 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0[A] + (-10[A])) / 2 = 0[A]

    따라서, 정답은 "20/π[A]" 입니다. 이는 최대값인 10[A]에 대해 사인파의 주기인 2π를 나눈 후 2을 곱한 값입니다.

    10[A] * 2 / (2π) = 10/π[A]

    10/π[A] * 2 = 20/π[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평행한 두 전선에 전류를 흘려주면 두 전선 상호 간에 작용하는 전자력과 전선 간격(r)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r에 비례한다.
  2. r2에 비례한다.
  3. r에 반비례한다.
  4. r2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4%)
  • 두 전선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은 다른 전선에 전자력을 작용시키며, 이 때 전선 간격(r)이 작을수록 전자력이 커집니다. 이는 전자력의 크기가 전선 간격(r)의 역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선 간격(r)이 작을수록 전자력이 커지므로, "r에 반비례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트랜지스터(TR)이 EB접합과 CE접합 모두 순방향 바이어스시 트랜지스터(TR)의 동작영역은?

  1. 포화영역
  2. 활성영역
  3. 차단영역
  4. 역활성영역
(정답률: 54%)
  • 포화영역은 EB접합과 CE접합 모두에서 베이스-에미터 전압(VBE)과 콜렉터-에미터 전압(VCE)이 일정한 값 이상일 때 발생하는 영역입니다. 이 때, 트랜지스터는 최대 전류를 흐를 수 있는 상태로 동작하며, 이를 포화상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EB접합과 CE접합 모두에서 포화영역이 트랜지스터의 동작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정용 백열전등에 220[V]의 전압을 가하였더니 50[W]의 전력을 소비했다. 이 전등의 저항 [Ω]은?

  1. 100[Ω]
  2. 200[Ω]
  3. 970[Ω]
  4. 1250[Ω]
(정답률: 60%)
  • 전력과 전압, 저항의 관계식인 P = V^2 / R 을 이용합니다. 전압이 220[V], 전력이 50[W]이므로,

    50 = 220^2 / R

    R = 220^2 / 50

    R = 968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970[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크로스오버 왜곡(Crossover Distortion)이 발생하는 전력증폭기는?

  1. A급 전력증폭기
  2. B급 전력증폭기
  3. AB급 전력증폭기
  4. C급 전력증폭기
(정답률: 70%)
  • 크로스오버 왜곡은 전력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양 극성과 음 극성에서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B급 전력증폭기는 양 극성과 음 극성에서 출력 신호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크로스오버 왜곡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B급 전력증폭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체에 전류 i가 흐를 때 도체 주위의 한 점 P에 생기는 자장의 세기는 도선 전류의 각 미소 부분에 생기는 자장의 세기의 합이라는 법칙은?

  1. 비오-사바르 법칙
  2. 렌츠의 법칙
  3. 시타인 메쯔의 법칙
  4. 주회 적분의 법칙
(정답률: 67%)
  • 비오-사바르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위의 자기장을 구할 때, 도체 내부의 모든 미소 부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벡터 합이 해당 점에서의 자기장의 세기가 된다는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 내부의 모든 미소 부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더해져서 해당 점에서의 자기장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위의 자기장을 구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떤 저항에 10[A]의 전류를 흘리면 20[W]의 전력이 소비되었다. 이 저항에 20[A]의 전류를 흘리면 소비전력은 몇 [W] 인가?

  1. 10[W]
  2. 20[W]
  3. 40[W]
  4. 80[W]
(정답률: 45%)
  •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A]의 전류를 흘릴 때 20[W]의 전력이 소비된다면, 저항은 20[W]를 10[A]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2[Ω]가 됩니다. 이제 20[A]의 전류를 흘릴 때의 전력을 구해보면, 전류가 2배가 되었으므로 전력은 2의 제곱(4)배가 됩니다. 따라서 20[A]의 전류를 흘릴 때의 전력은 20[W] x 4 = 8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류회로에서 직류 출력전압이 100[V]이고, 교류(리플)성분의 전압이 1.2[V]일 때, 맥동률은 몇 [%] 인가?

  1. 0.9[%]
  2. 1.0[%]
  3. 1.2[%]
  4. 1.5[%]
(정답률: 69%)
  • 맥동률은 교류(리플)성분의 전압과 직류 출력전압의 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맥동률은 (1.2[V] / 100[V]) x 100[%] = 1.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자기 보수화 코드(Self Complement Code)가 아닌 것은?

  1. Excess-3 Code
  2. 2421 Code
  3. 51111 Code
  4. Gray Code
(정답률: 67%)
  • 자기 보수화 코드(Self Complement Code)는 어떤 수의 보수를 취할 때, 그 수 자체를 이용하여 보수를 구하는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 9의 자기 보수는 1이고, -9의 자기 보수도 1입니다. 따라서 자기 보수화 코드를 이용하면 양수와 음수의 덧셈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Gray Code는 이와는 다른 코드입니다. Gray Code는 이진수에서 인접한 두 수의 비트가 항상 한 비트씩만 차이나도록 만든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회로 설계나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이진수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ray Code는 자기 보수화 코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객체지향 언어이고 웹상의 응용 프로그램에 알맞게 만들어진 언어는?

  1. 포트란(FORTRAN)
  2. C
  3. 자바(java)
  4. SQL
(정답률: 70%)
  • 자바는 객체지향 언어이며, 웹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가 존재합니다. 또한, 자바는 운영체제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자바는 웹 개발에 적합한 언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기억장치 중 접근 시간이 빠른 것 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레지스터 - 캐시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2. 캐시메모리 -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3. 레지스터 -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4.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레지스터 -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62%)
  • 정답은 "레지스터 - 캐시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레지스터: CPU 내부에 위치하며 가장 빠른 기억장치입니다. CPU가 데이터를 처리할 때 레지스터에서 먼저 데이터를 가져오므로 접근 시간이 가장 빠릅니다.

    2. 캐시메모리: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곳입니다. CPU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캐시메모리에서 먼저 찾아보므로 접근 시간이 빠릅니다.

    3. 주기억장치: 메인 메모리로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CPU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주기억장치에서 찾아보게 됩니다. 캐시메모리보다는 느리지만 보조기억장치보다는 빠릅니다.

    4. 보조기억장치: 하드디스크, SSD 등의 외부 저장장치를 말합니다. 주기억장치보다는 느리지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CPU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는 가장 마지막에 찾아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8진수 2374를 16진수로 변환한 값은?

  1. 3A2
  2. 3C2
  3. 4D2
  4. 4FC
(정답률: 65%)
  • 8진수 2374을 2진수로 변환하면 010 111 111 100이 됩니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2 7 F 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F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8비트로 부호와 절대치 표현 방법에 의해 27과 -27을 표현하면?

  1. 27 : 00011011, -27 : 10011011
  2. 27 : 10011011, -27 : 00011011
  3. 27 : 00011011, -27 : 00011011
  4. 27 : 10011011, -27 : 10011011
(정답률: 68%)
  • 8비트로 부호와 절대치 표현 방법은 첫 번째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 7비트는 절대치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부호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를 나타냅니다.

    27을 8비트로 표현하면 00011011이 됩니다. 첫 번째 비트가 0이므로 양수를 나타냅니다.

    -27을 8비트로 표현하려면 먼저 27을 8비트로 표현한 후,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해주면 됩니다. 27을 8비트로 표현하면 00011011이므로, 모든 비트를 반전시키면 11100100이 됩니다. 이 값에 1을 더해주면 11100101이 됩니다. 첫 번째 비트가 1이므로 음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27 : 00011011, -27 : 10011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범용레지스터에서 이용하며, 가장 일반적인 주소지정방식은?

  1. 0-주소지정방식
  2. 1-주소지정방식
  3. 2-주소지정방식
  4. 3-주소지정방식
(정답률: 58%)
  • 가장 일반적인 주소지정방식은 2-주소지정방식입니다. 이는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주소가 두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첫 번째 영역은 명령어 코드를 나타내고 두 번째 영역은 데이터나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컴퓨터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며, 명령어와 데이터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고 효율적인 주소지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데이터 전송 명령어에 해당하는 것은?

  1. MOV
  2. ADD
  3. CLR
  4. JMP
(정답률: 74%)
  • MOV는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어로, 레지스터나 메모리 상의 값을 다른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로 복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명령어에 해당합니다. ADD는 덧셈, CLR은 값 초기화, JMP는 점프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연산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산기에 필요한 명령을 기억한다.
  2. 연산 작용은 주로 가산기에서 한다.
  3. 연산은 주로 10진법으로 한다.
  4. 연산 명령을 해석한다.
(정답률: 59%)
  • 연산 작용은 주로 가산기에서 한다는 이유는, 가산기가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연산도 가산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뺄셈은 보수기를 이용하여 가산기를 이용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산 작용은 주로 가산기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서 제어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기억 레지스터
  2. 누산기
  3. 상태 레지스터
  4. 데이터 레지스터
(정답률: 35%)
  •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억장치 중에서도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기억 레지스터입니다. 기억 레지스터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서 제어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기억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순서도(flowchar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프로그램 코딩(coding)의 기초 자료가 된다.
  2. 프로그램 보관시 자료가 된다.
  3. 오류 수정(debugging)이 용이하다.
  4.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기호, 형태도 달라진다.
(정답률: 80%)
  •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기호, 형태도 달라진다는 것은 순서도가 표현하는 내용은 동일하지만, 그림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언어마다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언어에서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기호를 사용하여 조건문을 나타내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사각형 모양의 기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어에 따라 순서도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논리 회로 중 Fan-out 수가 가장 많은 회로는?

  1. TTL
  2. RTL
  3. DTL
  4. CMOS
(정답률: 61%)
  • Fan-out 수란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로 전달될 수 있는 최대 장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Fan-out 수가 가장 많은 회로는 입력 신호를 가장 많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이에 따라 CMOS 회로가 Fan-out 수가 가장 많은 이유는 CMOS 회로가 다른 논리 회로에 비해 입력 장치의 부하를 적게 받기 때문입니다. 즉, CMOS 회로는 입력 신호를 가장 많은 장치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CMOS 회로가 다른 논리 회로에 비해 Fan-out 수가 가장 많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연산결과가 양수(0) 또는 음수(1), 자리올린(carry), 넘침(over flow)이 발생했는가를 표시하는 레지스터는?

  1. 상태 레지스터
  2. 누산기
  3. 가산기
  4. 데이터 레지스터
(정답률: 69%)
  • 상태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로, 양수(0) 또는 음수(1), 자리올린(carry), 넘침(over flow) 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산 결과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태 레지스터를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PCB를 제작하기 위한 파일로서 PCB 설계의 모든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을 일반적으로 일컫는 것은?

  1. Gerber 파일
  2. Print 파일
  3. BOM DATA 파일
  4. Report 파일
(정답률: 77%)
  • Gerber 파일은 PCB 설계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로, PCB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PCB를 제작하기 위한 파일로 일컫습니다. 다른 파일들은 PCB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일부분만 제공하거나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AD 시스템에서 도면화를 위한 표준 장치로서, 출력이 도형 형식일 때 정교한 표현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모니터
  2. 플로터
  3. 잉크젯 프린터
  4. 레이저 프린터
(정답률: 64%)
  • 플로터는 CAD 시스템에서 도면화를 위한 표준 장치로 사용되며, 출력이 도형 형식일 때 정교한 표현을 위해 사용됩니다. 플로터는 잉크젯 프린터나 레이저 프린터와 달리 직접적으로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선명한 출력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도면이 구비하여야 할 기본요건으로 틀린 것은?

  1. 대상물의 도형과 함께 필요로 하는 크기, 모양, 자세,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2. 대상물의 도형에 따른 크기 모양 등의 정보를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3. 애매한 해석이 생기지 않도록 표면상 명확한 뜻을 가져야 한다.
  4. 각 기술 분야의 입장에서 가능한 한 좁은 분야에 걸쳐 특이성을 가져야 한다.
(정답률: 81%)
  • 각 기술 분야의 입장에서 가능한 한 좁은 분야에 걸쳐 특이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해당 도면이 어떤 분야에서 사용될 것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고, 그 분야에서 필요한 정보와 요구사항에 맞게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도면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PCB 설계에서 부품의 배치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부품은 회로도상의 신호 흐름을 따라서 배치한다.
  2. 커넥터는 PCB의 외곽 쪽에 배피한다.
  3.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는 분리하지 않고 배치한다.
  4. 고전압부와 저전압부는 분리하여 배치한다.
(정답률: 81%)
  •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는 분리하지 않고 배치한다. 이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회로를 분리하여 배치하면 서로 간섭 없이 동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켜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소자는?

  1. 다이오드
  2. 트랜지스터
  3. 전해 콘덴서
  4.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
(정답률: 67%)
  •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 중 하나로,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자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꿀 수 있습니다. 다이오드는 양극성이 있어서, 양극성이 같은 전류는 통과시키지 않고 차단합니다. 따라서 교류를 다이오드에 통과시키면,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어 직류로 바뀌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쇄회로기판 설계시의 고려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부품 배치
  2. 부품 높이와 배열
  3. 부품의 가격
  4. 부품 부착 간격
(정답률: 83%)
  • 인쇄회로기판 설계시에는 부품의 가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가격이 전체 제품의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품의 가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부품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거리가 먼 것은 부품의 가격이 아닌 부품의 부착 간격입니다. 부품의 부착 간격은 회로의 성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는 설계자가 적절한 간격을 선택하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적 접속부위나 빈번한 착탈로 높은 전기적 특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부분적으로 실시하는 도금은?

  1. 아연
  2. 구리
(정답률: 70%)
  • 금은 전기적 접촉저항이 매우 낮고, 산화에 강하며,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부분적으로 실시하는 도금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금은 높은 가격이지만 얇은 층으로도 충분한 전기적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선택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컴퓨터 정보를 입력시키는 장치 중 도면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읽어 들이는데 사용하는 것은?

  1. 트랙볼
  2. 태블릿
  3. 디지타이저
  4. 이미지스캐너
(정답률: 76%)
  • 도면이나 그림 등의 위치좌표를 정확하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디지타이저이다. 디지타이저는 펜이나 커서를 사용하여 위치좌표를 읽어들이는데, 이는 다른 입력장치인 트랙볼이나 태블릿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스캐너는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화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이므로 디지타이저와는 다른 용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국제적으로 통일된 구격의 제정과 실천의 촉진을 위해 설립된 국제 표준화 기구는?

  1. ISO
  2. SNV
  3. BS
  4. ANSI
(정답률: 86%)
  •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국제적으로 통일된 구격의 제정과 실천을 위한 국제 표준화 기구입니다. 다른 보기인 SNV, BS, ANSI는 각각 스위스, 영국, 미국의 국내 표준화 기구이며, 국제적인 표준화 기구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설명과 같은 도면의 명칭은?

  1. 접속도
  2. 부품배치도
  3. 패턴도
  4. 패널도
(정답률: 59%)
  • 이 도면은 여러 부품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를 접속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부품의 단자 또는 도체 상호간을 접속하기 위해 구멍 주위에 만든 특정한 도체 부분인 것은?

  1. 리드
  2. 납마스크
  3. 패턴
  4. 랜드
(정답률: 65%)
  • 랜드는 부품의 단자나 도체를 접속하기 위해 구멍 주위에 만든 도체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부품을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부착할 때 사용되며, 부품의 단자가 PCB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랜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자 CAD로 작업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는/

  1. 스캐너
  2. 모니터
  3. 마우스
  4. 하드디스크
(정답률: 85%)
  • 전자 CAD로 작업한 파일은 매우 큰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가 필요합니다. 스캐너, 모니터, 마우스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정답은 하드디스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능동소자 중 pnpn 4층 구조로 3개의 pn접합이 애노드(A) 캐소드(K) 게이트(G)등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광장치나 전동차의 전력조절 등에 사용되는 소자는?

  1. 다이오드
  2. 트랜지스터
  3. SCR
  4. FET
(정답률: 56%)
  • SCR은 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의 약자로, 양방향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pnpn 4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게이트로 전류를 인가하면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조광장치나 전동차의 전력조절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C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설계자의 의도를 작업자에게 정확히 전달시켜 요구하는 물품을 만들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면은?

  1. 계획도
  2. 주문도
  3. 견적도
  4. 제작도
(정답률: 58%)
  • 제작도는 설계자의 의도를 작업자에게 정확히 전달하여 요구하는 물품을 만들기 위한 도면으로, 제품의 구성, 크기, 형태, 재료 등을 상세하게 나타내어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제작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SA562B 트랜지스터의 명칭에서 A의 용도는?

  1. PNP형 고주파용 TR
  2. PNP형 저주파용 TR
  3. NPN형 고주파용 TR
  4. NPN형 저주파용 TR
(정답률: 74%)
  • 2SA562B 트랜지스터의 명칭에서 A는 PNP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트랜지스터는 PNP형 트랜지스터입니다.

    PNP형 고주파용 TR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NP형: 이 트랜지스터는 PNP형이므로, 기본적으로 NPN형과는 반대로 동작합니다. 즉, 양전하를 기준으로 하여 전류가 흐르는 구조입니다.
    - 고주파용: 이 트랜지스터는 고주파용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거나 전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TR: TR은 "Transistor"의 약어로, 트랜지스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SA562B 트랜지스터는 PNP형 고주파용 TR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CB의 일반적인 특징 중 틀린 것은?

  1. 대량 생산의 효과가 높다.
  2. 오배선의 우려가 없다.
  3. 대량생산 단가가 높다.
  4. 소형 경량화에 기여한다.
(정답률: 74%)
  • 대량생산 단가가 높다는 것은 PCB의 생산량이 적을 때는 생산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CB는 생산 과정에서 다양한 재료와 기술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생산 비용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대량 생산할수록 생산 비용이 분산되어 단가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생산량이 적을 때는 생산 비용이 분산되지 않아 단가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CB의 제조 공정 중에서 원하는 부품을 삽입하거나 회로를 연결하는 비아(Via)를 기계적으로 가공하는 고정은?

  1. 라미네이트
  2. 노광
  3. 드릴
  4. 도금
(정답률: 64%)
  • 비아는 PCB의 다층 구조에서 서로 다른 층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필요합니다. 이때 비아를 만들기 위해 PCB의 특정 위치에 작은 구멍을 뚫어야 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적 장비가 바로 드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준화 유형 중 기업 또는 공장에서 심의하고 규정하여 기업 또는 공장 내부에서 적용되는 표준은?

  1. 단체 표준
  2. 사내 표준
  3. 국가 표준
  4. 국제 표준
(정답률: 77%)
  • 기업 또는 공장에서 심의하고 규정하여 기업 또는 공장 내부에서 적용되는 표준은 사내 특정한 용도나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업 또는 공장의 특수한 요구사항과 운영환경에 맞게 조정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그림과 같이 전자 제품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간단한 기호나 직사각형과 문자로 그린 도면의 명칭은?

  1. 배치도
  2. 블록도
  3. 배선도
  4. 결합도
(정답률: 84%)
  • 이 그림은 전자 제품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간단한 기호나 직사각형과 문자로 그린 도면으로, 이를 블록도라고 합니다. 블록도는 전자 제품의 구성 요소들과 그들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품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전자 부품 중 전해콘덴서의 심벌은?

(정답률: 83%)
  • 전해콘덴서의 심벌은 "" 입니다. 이는 전해액이 포함된 콘덴서를 나타내는 심벌로, 전해액이 콘덴서의 전기적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저항, 코일,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심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회로기판이 움직여야 하는 경우나 부품의 삽입시 회로 기판의 굴곡을 요하는 경우에 유연성이 있어야 하는데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이미드 필름에 동박을 접착한 얇은 필름으로 만든 기판은?

  1. 세라믹 인쇄회로기판
  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3. 유리에폭시 인쇄회로기판
  4. 콤퍼지트재 인쇄회로기판
(정답률: 77%)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이미드 필름에 동박을 접착한 얇은 필름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유연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회로기판이 움직여야 하는 경우나 부품의 삽입시 회로 기판의 굴곡을 요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과 같은 기호가 뜻하는 것은?

  1. 스위치
  2. 퓨즈
  3. 유도기
  4. 안테나
(정답률: 75%)
  • 위의 기호는 안테나를 나타냅니다. 이는 무선 통신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사용되며, 주파수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다른 보기인 스위치, 퓨즈, 유도기는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다른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PCB 설계시 사용되는 단위에 관한 것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는?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69%)
  • 이유는 단위가 밀리미터(mm)이기 때문입니다. 1mm는 1000분의 1m이므로, 100mm는 0.1m 혹은 10c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PCB 설계시 사용되는 단위는 mm이며, 100은 100mm 혹은 10cm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주문할 사람에게 물품의 내용 및 가격 등을 설명하기 위해 견적서에 첨부하는 도면의 명칭은?

  1. 주문도
  2. 승인도
  3. 견적도
  4. 설명도
(정답률: 68%)
  • 견적서는 주문할 물품의 내용과 가격 등을 설명하는 문서이며, 이에 첨부되는 도면은 물품의 구체적인 모양과 크기 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도면을 견적도라고 부르는데, 이는 견적서에 첨부되는 도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자 기기의 패널(pannel)은 장치의 모든 기능을 표현하는 얼굴이다. 설계 제도시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패널 부품은 크기를 고려하여 균형 있게 배치한다.
  2. 조작상 서로 연관이 있는 요소끼리 근접 배치한다.
  3. 전원 코드는 전면에 배치한다.
  4. 조작 빈도가 높은 부품은 패널의 중앙이나 오른쪽에 배치한다.
(정답률: 71%)
  • 전원 코드는 전면에 배치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전원 코드가 뒷면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장치를 뒤집어서 확인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원 코드는 전면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PCB 판이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는?

  1. 돌기(bump)
  2. 트위스터(twist)
  3. 휨(bow)
  4. 결각(indedtation)
(정답률: 81%)
  • PCB 판이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는 "휨(bow)"입니다. 이는 PCB 판의 중앙 부분이 판의 끝 부분보다 높거나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PCB 제작 과정에서 잘못된 열처리나 재료의 불균일한 팽창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부품을 적정한 상태로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기존적인 조건을 정격이라 하는데, 다음 중 정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
  2. 인가전압
  3. 임피던스
  4. 사용 장소의 온도, 습도
(정답률: 44%)
  • 임피던스는 부품이나 회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정격에 속하지 않습니다. 정격은 부품이나 회로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조건으로, 주파수, 인가전압, 사용 장소의 온도와 습도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쇄회로기판(PCB)의 설계 시 발열 부품에 대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내열 온도는 85℃ 이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발열 부품은 한 곳에 집중 배치하여, 부분적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3. 공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열에 약한 부품은 공기의 유입 부분에, 열에 강한 부품은 출구 쪽에 배치한다.
  4. 실장 면적은 부품을 PCB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납땜 시 온도의 영향을 작게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정답률: 72%)
  • "발열 부품은 한 곳에 집중 배치하여, 부분적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라는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발열 부품은 가능한 멀리 배치하여 열 분산을 유도하고, 공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열에 약한 부품은 공기의 유입 부분에, 열에 강한 부품은 출구 쪽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PCB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 분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자캐드로 작성된 도면의 요소를 지우는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 ZOOM
  2. SAVE
  3. DELETE
  4. EDIT
(정답률: 85%)
  • DELETE는 전자캐드로 작성된 도면에서 요소를 삭제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ZOOM은 확대/축소 기능, SAVE는 저장 기능, EDIT는 편집 기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기 회로망에서 전압을 분배하거나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소자는?

  1. 콘덴서
  2. 수정 진동자
  3. 저항
  4. LED
(정답률: 86%)
  • 저항은 전기 회로에서 전압을 분배하거나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일정한 비율로 분배하여 회로 안의 다른 소자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항이 전기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소자들과 함께 사용되어 전기 회로를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자 CAD를 이용한 설계의 효율성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2. 제품의 개발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된다.
  3. 설계 변경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4. 설계 데이터의 보관이 비교적 용이하다.
(정답률: 82%)
  • 전자 CAD를 이용한 설계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설계 변경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개발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됩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AD 시스템에서 도면 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회로 소자의도 기호와 PCB용 패턴 및 문자들을 제공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1. LIBRARY
  2. NRTLIST
  3. RTREELIST
  4. ANNOTATE
(정답률: 71%)
  • CAD 시스템에서 LIBRARY는 회로 소자의 도 기호와 PCB용 패턴 및 문자들을 제공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NRTLIST는 비선형 회로 해석을 위한 노드 목록, RTREELIST는 선형 회로 해석을 위한 전달 함수 목록, ANNOTATE는 도면에 주석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AD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시장 경쟁력 감소
  2. 설계의 능률화
  3. 제조의 정확성
  4. 인력의 효율화
(정답률: 83%)
  • 시장 경쟁력 감소는 CAD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CAD를 도입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CAD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CAD를 사용하면 설계의 능률화와 제조의 정확성이 향상되며, 인력의 효율화도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