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전자캐드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압의 크기는 코일을 쇄교하는 자속의 변화율과 권선수의 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페러데이의 법칙
  3.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
  4. 비오-사바르의 법칙
(정답률: 60%)
  • 이 법칙은 전자기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로, 전자유도 현상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즉, 자기장이 변화하면 그 안에 있는 코일에 전기적인 에너지가 생기는데, 이 때 생기는 전압의 크기는 자속의 변화율과 권선수의 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법칙은 마이클 파라데이에 의해 발견되어 "페러데이의 법칙"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T 플립플롭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럭 펄스가 가해질 때마다 출력 상태가 반전한다.
  2. 출력파형의 주파수는 입력주파수의 1/2이 되기 때문에 2분주회로 및 계수회로에 사용된다.
  3. JK플립플롭의 두 입력을 묶어서 하나의 입력으로 만든 것이다.
  4. 어떤 데이터의 일시적인 보존이나 디지털신호의 지연작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회로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JK플립플롭의 두 입력을 묶어서 하나의 입력으로 만든 것이다."입니다.

    T 플립플롭은 클럭 펄스가 가해질 때마다 출력 상태가 반전하는 특징을 가지며, 출력파형의 주파수는 입력주파수의 1/2이 되기 때문에 2분주회로 및 계수회로에 사용됩니다. 또한 T 플립플롭은 어떤 데이터의 일시적인 보존이나 디지털신호의 지연작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정현파의 전압 실효값이 E1, E2이다. 이 두 정현파의 합성 전압의 실효값은?

  1. E1+E2
  2. E1-E2
(정답률: 72%)
  • 두 정현파의 합성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므로, 각각의 주기에서 전압의 합이 최대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 전압의 합의 실효값은 각각의 전압의 실효값의 제곱합의 제곱근과 같다. 즉, √(E12+E22)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회로에서 출력전압 V0는?

  1. -2[V]
  2. 2[V]
  3. -6[V]
  4. 6[V]
(정답률: 54%)
  • 이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 회로입니다. 입력신호는 R1과 R2를 통해 비인버팅 입력단에 인가되고, 출력신호는 R3과 R4를 통해 인버팅 출력단에서 출력됩니다.

    입력신호가 없을 때, 즉 Vin=0일 때, R1과 R2를 통해 비인버팅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0V입니다. 이때, R3과 R4는 폐회로 상태이므로, V0는 -VCC인 -12V입니다.

    입력신호가 인가될 때, 즉 Vin가 양수일 때, 비인버팅 입력단의 전압이 높아지면, 인버팅 출력단의 전압은 낮아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R3과 R4를 통해 인버팅 출력단의 전압을 낮춥니다. 따라서, V0는 양수가 됩니다.

    입력신호가 인가될 때, 즉 Vin가 음수일 때, 비인버팅 입력단의 전압이 낮아지면, 인버팅 출력단의 전압은 높아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R3과 R4를 통해 인버팅 출력단의 전압을 높입니다. 따라서, V0는 음수가 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없을 때 V0는 -12V이고, 입력신호가 인가될 때 V0는 양수 또는 음수가 됩니다. 이 회로에서는 VCC가 12V이므로, 출력전압 V0의 최댓값은 12V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코일에 교류전압 100[V]를 가했을 때 10[A]의 전류가 흘렀다면 코일의 리액턴스[XL]는?

  1. 6[Ω]
  2. 8[Ω]
  3. 10[Ω]
  4. 12[Ω]
(정답률: 85%)
  • 코일의 리액턴스[XL]는 전압과 전류의 비례 관계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리액턴스는 전압을 전류로 나눈 값인 임피던스의 크기와 위상 각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리액턴스[XL] = 전압[V] / 전류[A]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코일에 가해진 전압이 100[V]이고 전류가 10[A]이므로 리액턴스는 100[V] / 10[A] = 10[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각각의 전기량이 Q1, Q2이고 거리가 R인 대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 F는? (단, K는 비례상수이다)

(정답률: 59%)
  • 쿨롱 법칙에 따라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비례하고, 전하의 부호에 따라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K * (Q1 * Q2) / R^2

    여기서 K는 비례상수이고, Q1과 Q2는 각각의 전하 크기이며, R은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다.
  2. 동상신호제거비가 0이다.
  3. 입력 오프셋 전류가 0이다.
  4. 출력 임피던스가 0이다.
(정답률: 64%)
  • 동상신호제거비가 0이라는 것은 입력 신호와 동일한 크기의 반대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 중 하나이며, 이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동상신호제거비가 0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진폭변조의 경우 변조 파형의 최대치를 45[mm], 최소치를 5[mm]라 하면 이 때의 변조도는 몇 [%]인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53%)
  • 진폭변조의 경우 변조 파형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를 변조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도는 45[mm] - 5[mm] = 40[mm]입니다. 변조도를 전체 진폭(최대치)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내면 (40[mm] / 45[mm]) x 100 = 88.88... 이 됩니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정용 전원으로 교류 220[V]를 사용할 때, 이 220[V]가 의미하는 것은?

  1. 순시값
  2. 실효값
  3. 최대값
  4. 평균값
(정답률: 79%)
  • 220[V]는 가정용 전원에서 사용되는 교류 전압의 "실효값"을 나타냅니다. 이는 전압의 효과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교류에서는 평균값이나 최대값보다 중요한 값입니다. 따라서 가정용 전원에서는 220[V]의 실효값을 사용하여 전기기기를 작동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진주파수가 6[㎑]의 병렬 공진회로에서 Q(Quality factor)가 60 이라면, 이 회로의 대역폭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률: 58%)
  • Q = 공진주파수 / 대역폭 이므로, 대역폭 = 공진주파수 / Q = 6[㎑] / 60 = 0.1[㎑] = 10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비오-사바르 법칙에 대한 관계는?

  1. 기전력과 회전력
  2. 전기와 전기장의 세기
  3. 자석과 기전력의 변화
  4. 전류와 자기장의 세기
(정답률: 66%)
  • 비오-사바르 법칙은 전류와 자기장의 세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의 세기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전류와 자기장의 세기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발진회로에서 증폭회로의 증폭도를 A, 궤환회로의 궤환률을 β 라 할 때 발진조건은?

  1. A = β
  2. A·β<1
  3. A·β ≧ 1
  4. A·β = 0
(정답률: 57%)
  • 발진회로에서 증폭회로와 궤환회로는 함께 작동하여 발진을 유지합니다. 이때 발진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증폭회로와 궤환회로의 증폭도와 궤환률의 곱이 1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발진조건은 A·β ≧ 1 입니다.

    만약 A·β < 1 이라면, 증폭회로와 궤환회로의 곱이 1보다 작아져 발진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A·β = 0 이라면, 증폭회로나 궤환회로 중 하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발진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A = β 라면, 증폭회로와 궤환회로의 곱이 1이 되므로 발진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전력 E[V], 내부저항 r[Ω]이 되는 같은 전지 n개를 직렬로 접속하고 외부저항 R[Ω]을 직렬로 접속하였을 때 흐르는 전류 I는 몇 [A] 인가?

(정답률: 63%)
  • 전지 n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전압은 n배가 되고, 내부저항은 n배가 된다. 따라서 전압은 nE[V], 내부저항은 nr[Ω]이 된다. 이를 외부저항 R[Ω]과 직렬로 접속하면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 = 전압 / 전체저항
    = nE[V] / (nr[Ω] + R[Ω])
    = nE[V] / (n+1)R[Ω]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기저항에서 어떤 도체의 길이를 4배로 하고 단면적을 1/4로 했을 때의 저항은 원래 저항의 몇 배가 되는가?

  1. 1
  2. 4
  3. 8
  4. 16
(정답률: 72%)
  • 전기저항은 길이와 단면적에 반비례하고, 직접 비례한다. 따라서 길이를 4배로 하고 단면적을 1/4로 하면 전기저항은 4/1 x 1/4/1 = 1배가 된다. 즉, 원래 저항의 1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는 "16"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문제에서 오류가 있거나, 다른 문제의 답안이 함께 섞여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3정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μ(증폭정수)
  2. rd(드레인 저항)
  3. hfe(전류증폭율)
  4. gm(상호전달컨덕턴스)
(정답률: 50%)
  •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는 게이트-소스 저항(Rgs)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류증폭율(hfe)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fe(전류증폭율)은 FET의 3정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컴퓨터 내부에서 연산의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거나 데이터의 내용을 이송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임시 기억장치는?

  1. ROM
  2. I/O
  3. buffer
  4. register
(정답률: 56%)
  • register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CPU가 연산을 수행할 때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이송할 때 사용되는 임시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egi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순서제어 명령어로 나열된 것은?

  1. 로테이트 명령, 콜 명령, 리턴 명령
  2. 시프트 명령, 점프 명령, 콜 명령
  3. 블록 서치 명령, 점프명령, 리턴 명령
  4. 점프 명령, 콜 명령, 리턴 명령
(정답률: 51%)
  • 점프 명령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이고, 콜 명령은 현재 위치를 저장하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서 실행을 마친 후 저장된 위치로 되돌아오는 명령어입니다. 리턴 명령은 콜 명령으로 저장된 위치로 되돌아가는 명령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순서제어 명령어로 점프 명령, 콜 명령, 리턴 명령이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서브루틴에서의 복귀어드레스가 보관되어 있는 곳은?

  1. 프로그램 카운터
  2. 스택
(정답률: 71%)
  • 서브루틴에서 복귀어드레스는 호출한 함수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서브루틴으로 이동할 때 호출한 함수의 스택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복귀어드레스가 보관되어 있는 곳은 "스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 언어에서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1. int
  2. float
  3. double
  4. char
(정답률: 80%)
  •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는 "in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integer"의 약자로,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float"와 "double"은 실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며, "char"는 문자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4개의 존비트와 4개의 숫자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문 대문자를 포함하여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범용코드로서 대형 컴퓨터에 주로 사용하는 코드는?

  1. BCD 코드
  2. ASCII 코드
  3. 그레이 코드
  4. EBCDIC 코드
(정답률: 54%)
  • EBCDIC 코드는 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코드로, 4개의 존비트와 4개의 숫자비트로 이루어져 있어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문 대문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자를 표현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코드이고, ASCII 코드는 영문자와 일부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코드입니다.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를 사용하는 코드로, 숫자나 문자를 표현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EBCDIC 코드가 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다양한 문자를 표현할 수 있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버스란 MPU, Memory, I/O 장치들 사이에서 자료를 상호 교환하는 공동의 전송로를 말하는데 다음 중 양방향성 버스에 해당하는 것은?

  1. 주소 버스(Address Bus)
  2. 제어 버스(Control Bus)
  3. 데이터 버스(Data Bus)
  4. 입출력 버스(I/O Bus)
(정답률: 60%)
  • 데이터 버스는 MPU와 Memory, I/O 장치들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입니다. 따라서 양방향성 버스에 해당합니다. 주소 버스는 MPU가 Memory나 I/O 장치들에게 주소 정보를 전달하는 단방향성 버스이며, 제어 버스는 MPU가 Memory나 I/O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단방향성 버스입니다. 입출력 버스는 I/O 장치들과 M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이며, 양방향성이지만 MPU와 I/O 장치들 사이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가 양방향성 버스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어진 수의 왼쪽으로부터 비트 단위로 대응을 시켜 서로가 1이면 결과를 1, 하나라도 0이면 결과가 0으로 연산처리 되는 명령은?

  1. OR
  2. AND
  3. EX-OR
  4. NOT
(정답률: 76%)
  • 주어진 수의 왼쪽으로부터 비트 단위로 대응을 시켜 서로가 1이면 결과를 1, 하나라도 0이면 결과가 0으로 연산처리 되는 명령은 "AND" 입니다. 이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비트가 모두 1이 아니면 결과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조회사에서 내용을 넣어 제조하는 롬(ROM)은?

  1. PROM
  2. Mask 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7%)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넣어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조과정에서 내용이 결정되어 있는 ROM은 Mask ROM이다. PROM은 사용자가 내용을 한 번만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EPROM과 EEPROM은 내용을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반면, Mask ROM은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내용을 넣어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결정된 내용을 가지고 제조되는 ROM은 Mask RO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술 시프트(Shif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좌측 시프트 후 유효 비트 1을 잃는 것을 오버플로우(Over flow)라 한다.
  2. n비트 우측으로 시프트하면 2n으로 곱한 결과가 된다.
  3. n비트 좌측으로 시프트하면 2n으로 나눈 결과가 된다.
  4. 논리 시프트와는 달리 시프트 후 빈자리에 새로 들어오는 비트는 항상 0이다.
(정답률: 56%)
  • 좌측 시프트는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가장 왼쪽에 있는 비트는 버려지고, 새로운 비트는 가장 오른쪽에 추가됩니다. 이때, 추가된 비트가 1이면, 이전에 있던 비트들이 모두 0이더라도 값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이를 오버플로우(Overflow)라고 합니다. 따라서 "좌측 시프트 후 유효 비트 1을 잃는 것을 오버플로우(Over flow)라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 과정이 필요 없는 언어는?

  1. Assembly
  2. COBOL
  3. Machine language
  4. LISP
(정답률: 70%)
  • Machine language은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로 작성된 언어이기 때문에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Assembly, COBOL, LISP는 모두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고급 언어이므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이진 코드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순서도 작성 시 지키지 않아도 될 사항은?

  1. 기호는 창의성을 발휘하여 만들어 사용한다.
  2. 문제가 어려울 때는 블록별로 나누어 작성한다.
  3. 기호 내부에는 처리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기술한다.
  4. 흐름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린다.
(정답률: 82%)
  • "기호는 창의성을 발휘하여 만들어 사용한다."는 순서도 작성 시 규칙이 아닌 가이드라인이기 때문에 지키지 않아도 된다. 이는 작성자의 창의성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모든 명령어의 길이가 같다고 할 때, 수행시간이 가장 긴 주소지정방식은?

  1. 직접(Direct) 주소지정방식
  2. 간접(Indirect) 주소지정방식
  3. 상대(Relative) 주소지정방식
  4. 즉시(Immediate)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64%)
  • 간접 주소지정방식은 주소를 참조하기 위해 한 번 더 메모리를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수행시간이 가장 길다. 직접, 상대, 즉시 주소지정방식은 모두 한 번의 메모리 접근으로 주소를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수행시간이 더 짧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KS의 부문별 분류기호에서 전기 부문 기호로 옳은 것은?

  1. KS A
  2. KS B
  3. KS C
  4. KS D
(정답률: 86%)
  • 전기 부문은 KS C입니다.

    KS A는 농업 부문, KS B는 광업 부문, KS D는 건설 부문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기 부문을 나타내는 기호는 KS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배선 알고리즘에서 하나의 기판 상에서 종·횡의 버스를 결선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저속 접속법
  2. 스트립 접속법
  3. 고속 라인법
  4. 기하학적 탐사법
(정답률: 72%)
  • 스트립 접속법은 하나의 기판 상에서 종·횡의 버스를 결선하는 방법으로,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인 금속 스트립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저속 접속법보다는 빠르고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하며, 고속 라인법보다는 비용이 적게 듭니다. 따라서 배선 알고리즘에서 종·횡의 버스를 결선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PCB 도면을 그래픽 출력장치로 인쇄할 경우 프린트 기판에 부품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은?

  1. Solder mask
  2. Top silk screen
  3. Solder side pattern
  4. Component side pattern
(정답률: 74%)
  • Top silk screen은 PCB의 상단에 위치하며, 부품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을 인쇄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PCB 도면을 그래픽 출력장치로 인쇄할 경우 부품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은 Top silk screen에 인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다음 중 CAD의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X-Y Plotter
  2. Monitor
  3. Pen-plotter
  4. Tablet
(정답률: 66%)
  • CAD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하기 때문에 출력장치로는 X-Y Plotter, Monitor, Pen-plotter가 가능하지만 Tablet은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CAD의 출력장치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제도 용지의 규격이 가장 큰 것은?

  1. A0
  2. A1
  3. A2
  4. A3
(정답률: 87%)
  • 제도 용지의 규격은 A0, A1, A2, A3 순으로 작아지는데, A0은 가장 큰 규격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A0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189mm와 841mm로, 다른 규격보다 크기 때문에 대형 포스터나 배너 등을 제작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품이나 단자의 납땜 장소로 사용되거나, 절연판을 관통구(Through hole)에 도금 등의 방법으로 도체를 삽입하는 장소로 허용하는 도체 부분은?

  1. 패턴(Pattern)
  2. 랜드(Land)
  3. 보드(Board)
  4. 마운트(Mount)
(정답률: 74%)
  • 도체를 부착하는 부분으로, 납땜이나 도금 등으로 도체를 고정시키는 지점을 랜드(Land)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AD 시스템을 도입하는 가장 큰 목적을 나타낸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 작성의 자동화
  2. 작업시간 단축
  3. 효율적 관리
  4. 복잡한 명령과 실행
(정답률: 85%)
  • 복잡한 명령과 실행은 CAD 시스템을 도입하는 가장 큰 목적이 아닙니다. CAD 시스템은 도면 작성의 자동화, 작업시간 단축, 효율적 관리 등의 목적으로 도입됩니다. 복잡한 명령과 실행은 CAD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중 하나일 뿐입니다. 이는 사용자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달라지며, CAD 시스템의 사용법을 익히는 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저항값이 낮은 저항기로서 대전력용 및 표준저항기 등과 같이 고정밀도 저항기로 사용되는 저항기는?

  1. 탄소피막 저항기
  2. 솔리드 저항기
  3. 권선 저항기
  4. 모듈 저항기
(정답률: 73%)
  • 권선 저항기는 저항값이 낮은 저항기로서 대전력용 및 표준저항기 등과 같이 고정밀도 저항기로 사용됩니다. 이는 권선 저항기가 저항값이 정확하게 유지되며,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권선 저항기는 작은 크기로도 높은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회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입력논리가 서로 상반될(같지 않을)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는?

  1. AND 게이트
  2. NAND 게이트
  3. Exclusive-OR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68%)
  • 입력논리가 서로 상반될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는 Exclusive-OR 게이트입니다. Exclusive-OR 게이트는 두 입력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로, 입력이 같으면 출력이 “0”이 되고, 입력이 다르면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논리가 서로 상반될 때, 즉 입력이 다를 때 출력이 “1”이 되므로 Exclusive-OR 게이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캐드 시스템의 그래픽 작업 과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 제도(Automatic drafting)
  2. 기술적 분석(Engineering analysis)
  3. 기하학적 모델링(Geometric modeling)
  4. 자동 생산(Automatic manufacturing)
(정답률: 67%)
  • 자동 생산은 캐드 시스템의 그래픽 작업 과정이 아닙니다. 캐드 시스템은 디자인 및 모델링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자동 생산은 이를 기반으로 제품을 자동으로 생산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자동 생산은 캐드 시스템의 그래픽 작업 과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기호의 명칭은?

  1. 가변 저항기
  2. 가변 콘덴서
  3. 고정 저항기
  4. 스위치
(정답률: 83%)
  • 이 기호는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전기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을 조절하거나, 회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변 저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기판 재질 중에서 내열성이 좋고, 다층 기판 제작에 용이하며, 플렉시블(Flexible : 휨이나 절곡)한 기판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페놀(Phenol) 수지
  2. 에폭시(Epoxy) 수지
  3. 폴리이미드 필름
  4. 테프론(Teflon)
(정답률: 60%)
  • 폴리이미드 필름은 내열성이 뛰어나고, 다층 기판 제작에 용이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휨이나 절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다층 기판 제작 및 플렉시블한 기판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페놀 수지는 내열성은 높지만 플렉시블하지 않고, 에폭시 수지는 내열성은 높지만 다층 기판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테프론은 내열성은 높지만 다층 기판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비교적 비싸기 때문에 폴리이미드 필름보다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면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읽거나 원하는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는?

  1. 마우스(Mouse)
  2. 트랙볼(Track ball)
  3. 디지타이저(Digitizer)
  4. 이미지스캐너(Image scanner)
(정답률: 75%)
  • 디지타이저는 도면이나 이미지를 스캔하여 위치좌표를 읽거나 원하는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도면 작업이나 그래픽 디자인 작업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마우스나 트랙볼은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이며, 이미지스캐너는 종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NAND 게이트가 내장된 14핀 DIP IC에서 핀과 핀 사이의 간격은?

  1. 0.254[mm]
  2. 1.252[mm]
  3. 2.25[mm]
  4. 2.54[mm]
(정답률: 61%)
  • 14핀 DIP IC는 핀 간격이 2.54mm인 IC 패키지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핀 간격 중 하나이며, 핀 간격이 2.54mm인 IC 소켓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AND 게이트가 내장된 14핀 DIP IC에서 핀과 핀 사이의 간격은 2.54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전자 부품 중 에너지의 공급을 받아 신호의 증폭, 발진, 변환 등의 능동적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 아닌 것은?

  1. 연산증폭기
  2. 트랜지스터
  3. FET
  4. 콘덴서
(정답률: 63%)
  • 콘덴서는 에너지의 공급을 받아 능동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콘덴서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필터링이나 회로 안정화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콘덴서는 신호의 증폭, 발진, 변환 등의 능동적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세라믹 콘덴서의 표면에 105J로 표기되었을 때 정전용량의 값은?

  1. 0.01[㎌], ±10[%]
  2. 0.1[㎌], ±10[%]
  3. 1[㎌], ± 5[%]
  4. 10[㎌], ± 5[%]
(정답률: 69%)
  • 105J는 세라믹 콘덴서의 최대전압(Voltage rating)을 나타내는 것이며, 정전용량(Capacitance)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 ± 5[%]" 입니다. 이는 세라믹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1 마이크로파라는 뜻이며, 허용오차가 ± 5%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AD 시스템에서 회로도의 연결정보 및 기호에 정의된 정보 등을 추출하여 만들어지는 문자파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네트리스트(Net list)
  2. 라이브러리(Library)
  3. 레퍼런스(Reference)
  4. 프리프런스(Preference)
(정답률: 70%)
  • 네트리스트(Net list)는 CAD 시스템에서 회로도의 연결정보 및 기호에 정의된 정보 등을 추출하여 만들어지는 문자파일로, 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연결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회로의 동작을 분석하거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리스트는 회로 설계 및 분석에 필수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중요한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회로도가 하나의 도면으로 작성하기에 클 경우 도면의 일부를 하위 페이지로 작성하는 도면의 구조는?

  1. 평면 구조
  2. 다면 구조
  3. 계층 구조
  4. 단일 구조
(정답률: 68%)
  • 회로도가 클 경우 도면의 일부를 하위 페이지로 작성하는 도면의 구조는 계층 구조입니다. 이는 전체 회로도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을 독립적인 하위 페이지로 작성하고, 이를 다시 상위 페이지에서 조합하여 전체 회로도를 완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회로도를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연성이 있는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PCB를 뜻하며 프린터의 헤드와 같은 부분에 적용되는 것은?

  1. 플렉시블 PCB
  2. 리지드 PCB
  3. 다층 PCB
  4. 단층 PCB
(정답률: 82%)
  • 플렉시블 PCB는 유연성이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헤드와 같이 복잡한 형태를 가진 부품에 적용하기 용이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플렉시블 PC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부품 중 2000000[Ω]의 저항을 배치하고 그 값을 표시한 것 중 가장 적절한 표시 방법은?

  1. 2000000[Ω]
  2. 2000[㏀]
  3. 2[μ Ω]
  4. 2[㏁]
(정답률: 73%)
  • 정답은 "2[㏁]"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00000[Ω]"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장 큰 단위인 "메가오옴"을 사용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이 아니므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 "2000[㏀]"은 "킬로오옴"을 사용한 것으로, 저항값이 2000이라는 것은 알 수 있지만, 정확한 값을 표시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 "2[μ Ω]"는 "마이크로옴"을 사용한 것으로, 저항값이 매우 작은 것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2000000[Ω]과는 전혀 다른 값이므로 완전히 잘못된 표기법입니다.
    - "2[㏁]"은 "메가오옴"의 1/1000인 "킬로오옴"을 사용한 것으로, 2000000[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이므로 혼란스러움이 없습니다.

    따라서, "2[㏁]"이 가장 적절한 표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블록으로 그려 도면에 표시한 것은?

  1. 회로도
  2. 접속도
  3. 블록선도
  4. 배선도
(정답률: 83%)
  •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블록으로 그려 도면에 표시한 것을 블록선도라고 합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블록으로 표현하고, 각 블록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선으로 표시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만든 도면입니다. 따라서 블록선도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AD 활용 시 특징이 아닌 것은?

  1.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2. 신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3. 수작업에 의존하던 디자인의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4.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으로 개발 기간이 단축된다.
(정답률: 85%)
  • CAD는 수작업에 의존하던 디자인을 자동화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으로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CAD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CAD 활용 시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일반적으로 도면 관리 시 도면 번호를 기입하는 부분은?

  1. 부품란
  2. 윤곽선
  3. 표제란
  4. 드로잉 뒷면
(정답률: 79%)
  • 도면 번호는 일반적으로 도면의 제목이나 표제란에 기입됩니다. 이는 도면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제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쇄회로 기판 설계 시 랜드를 설계하려고 한다. D=3.0[mm], d=1.0[mm]일 때 랜드의 최소 도체 나비[W]는?

  1. 0.5[mm]
  2. 1[mm]
  3. 1.5[mm]
  4. 2[mm]
(정답률: 47%)
  • 랜드의 최소 도체 나비는 d/2 = 0.5[mm]이다. 이는 랜드의 중심에서부터 도체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이며, 이 거리가 작을수록 랜드와 도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므로 전기적으로 불리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랜드를 설계할 때는 최소 도체 나비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마일러 콘덴서의 용량은 얼마인가?

  1. 22000[pF]
  2. 224[pF]
  3. 0.22[㎌]
  4. 22.4[㎌]
(정답률: 73%)
  • 마일러 콘덴서는 용량이 0.22[㎌]이다. 이유는 콘덴서의 용량은 전기용량을 나타내는데, 전기용량은 콘덴서의 전극 사이의 전하량과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콘덴서의 용량은 전극 사이의 거리와 전극의 면적에 반비례한다. 마일러 콘덴서의 경우 전극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용량이 작아지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극의 면적을 크게 만들어 용량을 높인 것이다. 따라서 용량이 0.22[㎌]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은 조정 저항기이다. 저항 색 띠가 그림과 같을 때 저항 값은 얼마인가?

  1. 10[㏁]
  2. 330[Ω]
  3. 220[Ω]
  4. 12[㏀]
(정답률: 82%)
  • 조정 저항기의 색 띠를 차례대로 해석하면 갈색(1), 빨강(2), 갈색(1), 금색(±5%)이다. 이를 숫자로 변환하면 1, 2, 1, 5%가 된다. 따라서 저항 값은 121 × 10^±5% 이다. 이를 계산하면 121 × 10^0 = 121[Ω]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121[Ω]을 1,000으로 나누어 [㏀] 단위로 변환하면 0.121[㏀]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정답은 12[㏀]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콘덴서 중 사용할 때 극성에 유의해야 하는 것은?

  1. 필름 콘덴서
  2. 페이퍼 콘덴서
  3. 마이카 콘덴서
  4. 전해 콘덴서
(정답률: 87%)
  • 전해 콘덴서는 극성이 중요한 콘덴서입니다. 이는 전해액이 콘덴서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전해액의 양극과 음극이 각각 콘덴서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해액의 극성이 콘덴서의 극성과 일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해 콘덴서를 사용할 때는 극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필름 콘덴서, 페이퍼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는 극성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과 같이 표현하는 도면 표시 방법은?

  1. 회로도
  2. 계통도
  3. 배선도
  4. 접속도
(정답률: 73%)
  • 이 도면은 전체 시스템의 구성과 각 부품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며, 각 부품들의 연결 관계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수정 작업에 용이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도면은 "계통도"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물체의 실제 길이와 도면에서 축소 또는 확대하여 그리는 길이의 비율을 척도라 한다. 다음 중 비례 관계가 아님을 뜻하며, 도면과 실물의 치수가 비례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것은?

  1. 배척
  2. NS
  3. 실척
  4. 축척
(정답률: 81%)
  • NS는 비례 관계가 아님을 뜻하는 비척(非尺)의 약자입니다. 배척은 도면의 크기를 실물 크기보다 크게 그리는 것이며, 실척은 도면의 크기를 실물 크기보다 작게 그리는 것입니다. 축척은 도면과 실물의 크기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비례 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NS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도면의 크기 중 A4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은?

  1. 594mm×841mm
  2. 420mm×594mm
  3. 297mm×420mm
  4. 210mm×297mm
(정답률: 84%)
  • A4 용지의 크기는 210mm x 297mm 이다. 이유는 국제 표준인 ISO 216에 따라 A0 용지의 크기가 841mm x 1189mm 이고, 이를 반으로 나누면 A1 용지의 크기가 594mm x 841mm, 다시 반으로 나누면 A2 용지의 크기가 420mm x 594mm, 또 반으로 나누면 A3 용지의 크기가 297mm x 420mm,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반으로 나누면 A4 용지의 크기가 210mm x 297mm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쇄기판 제조 공정 중 에칭 방법이 아닌 것은?

  1. 사진 부식법
  2. 드릴 가공법
  3. 실크 스크린법
  4. 오프셋 인쇄법
(정답률: 63%)
  • 드릴 가공법은 인쇄기판의 구멍을 뚫기 위한 방법으로, 인쇄 회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지만, 에칭 방법은 인쇄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화학적으로 부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드릴 가공법은 에칭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CAD Tool을 사용하여 Analog 회로의 PCB를 설계하고자 할 때, 험(Hum)이나 잡음(Noise)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신중하게 패턴 설계가 요구되는 곳은?

  1. 접지(Ground) 라인
  2. 버스(Bus) 라인
  3. 신호(Signal) 라인
  4. 바이어스(Bias) 라인
(정답률: 61%)
  • 접지(Ground) 라인은 회로에서 전기적인 기준점으로 사용되며, 회로의 안정성과 신호의 정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접지 라인의 설계가 부적절하면 험과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회로의 안정성과 신호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 라인은 가장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AD용 컴퓨터의 데이터 버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력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2. 주변장치와 8bit 병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3. 사용자 정의 형상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수치로 나타낸다.
  4. 36핀 커넥터로 되어있다.
(정답률: 60%)
  • CAD용 컴퓨터의 데이터 버퍼는 출력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유는, 출력작업과 다른 작업이 병행 처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버퍼는 입력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이를 이용하여 출력작업과 병행하여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력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