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10)

전자캐드기능사
(2015-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모놀리식(Monolithic) 집적 회로(IC)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
  2.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
  3.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소형화, 경량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4.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아날로그 회로에 사용된다.
(정답률: 74%)
  • 모놀리식 집적 회로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아날로그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모놀리식 IC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불안정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회로에는 보다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므로, 모놀리식 IC보다는 다른 유형의 IC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의 명칭은 무엇인가?

  1. 피어스 BC형 발진회로
  2. 피어스 BE형 발진 회로
  3. 하틀리 발진 회로
  4. 콜피츠 발진 회로
(정답률: 70%)
  • 이 회로는 베이스-에미터 접합을 사용하여 발진하는 회로이므로 "피어스 BE형 발진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증폭 회로에서 되먹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음 되먹임(Negative Feedback) 증폭회로라 가정한다)

  1. 이득의 감소
  2. 주파수 특성의 개선
  3. 잡음 증가
  4. 비선형 왜곡의 감소
(정답률: 65%)
  • 음 되먹임(Negative Feedback) 증폭회로에서 되먹임은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와 비교하여 차이를 취한 후, 이를 증폭기의 입력으로 되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이득의 감소와 비선형 왜곡의 감소는 되먹임의 특징으로 옳습니다. 하지만, 잡음 증가는 되먹임 회로에서 발생하는 단점 중 하나입니다. 되먹임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비교하기 위해 회로를 여러 번 지나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노이즈가 누적되어 잡음이 증폭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잡음 증가는 되먹임 회로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빈-브리지 발진회로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고주파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발진주파수의 파형이 좋다.
  2. 잡음 및 신호에 대한 왜곡이 작다.
  3. 저주파 발진기 등에 많이 사용된다.
  4.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넓다.
(정답률: 43%)
  • "고주파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발진주파수의 파형이 좋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빈-브리지 발진회로는 고주파 발진기로서, 고주파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발진주파수의 파형이 좋습니다. 이는 고주파에서는 전류가 저항보다는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빈-브리지 발진회로는 고주파에서 파형 왜곡이 적고, 주파수 범위도 넓습니다.

    따라서, "고주파에 대한 임피던스가 매우 낮아 발진주파수의 파형이 좋다."가 올바른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산증폭기의 입력 오프셋 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차동출력을 0[V]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단자 사이에 걸어주는 전압이다.
  2. 출력전압이 무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단자 사이에 걸어주는 전압이다.
  3.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이 같게 될 때의 증폭기의 입력 전압이다.
  4. 두 입력단자가 접지되었을 때 두 출력단자 사이에 나타나는 직류전압의 차이다.
(정답률: 58%)
  • 차동출력을 0[V]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입력단자 사이에 걸어주는 전압이 필요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차동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입력 오프셋 전압은 차동출력을 0[V]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단자 사이에 걸어주는 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회로의 명칭은 무엇인가?

  1. 직렬 제어형 정전압 회로
  2. 병렬 제어형 정전압 회로
  3. 직렬형 정전류 회로
  4. 병렬형 정전류 회로
(정답률: 72%)
  • 이 회로는 입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정전압 다이오드를 사용하며, 이 다이오드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입력 전압이 변화해도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병렬 제어형 정전압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음성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 방식(PCM)을 통해 송신 측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옳은 것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2.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3. 양자화 → 부호화 → 표본화
  4.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정답률: 70%)
  • 정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입니다.

    표본화는 연속적인 음성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후 양자화는 이 샘플링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에서 가장 근접한 디지털 값으로 근사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는 이렇게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송신 측에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가 옳은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저항기의 색띠가 갈색, 검정, 주황, 은색의 순으로 표시되었을 경우에 저항 값은 얼마인가?

  1. 27~33[㏀]
  2. 9~11[㏀]
  3. 0.9~1.1[㏀]
  4. 18~22[㏀]
(정답률: 76%)
  • 저항기의 색띠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갈색: 1
    - 검정: 0
    - 주황: 3
    - 은색: 10%

    따라서, 갈색과 검정의 순서로 나타낸 숫자는 10이 되고, 이어서 주황의 숫자 3을 곱하면 30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은색의 10%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최종 저항 값은 27~33[㏀]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9~11[㏀]"인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위에서 계산한 값인 27~33[㏀]을 3으로 나눈 결과입니다. 이유는 저항기의 저항 값은 일정한 배수로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7~33[㏀]을 3으로 나누면 9~11[㏀]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JK플립플롭을 이용하여 10진 카운터를 설계할 때, 최소로 필요한 플립플롭의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64%)
  • 10진 카운터는 0부터 9까지의 10개의 수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4개의 JK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JK플립플롭 1개로는 2진수까지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개의 JK플립플롭을 이용하면 4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고, 3개의 JK플립플롭을 이용하면 8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개의 JK플립플롭을 이용하면 10진수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1[㎌]를 F로 표시하면 얼마인가?

  1. 10-3[F]
  2. 10-6[F]
  3. 10-9[F]
  4. 10-12[F]
(정답률: 80%)
  • 1[㎌]은 1/1000[㎌]이므로 10-3[㎌]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F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10-3[㎌]을 F로 변환해야 합니다. 1[F]는 1초 동안 1볼트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 1쿨롬의 전하를 저장하는 용량을 의미합니다. 1[㎌]는 1초 동안 1/1000볼트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 1/1000쿨롬의 전하를 저장하는 용량이므로, 1[㎌]은 10-6[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제 펄스 파형에서 이상적인 펄스 파형의 상승하는 부분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새그(Sag)
  2. 링잉(Ringing)
  3. 오버슈트(Overshoot)
  4. 지연 시간(Delay time)
(정답률: 85%)
  • 오버슈트는 이상적인 펄스 파형에서 상승하는 부분이 기준 레벨보다 높은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전압이 급격하게 변화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상적인 파형에서는 발생하지 않지만 실제 파형에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로나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버슈트(Overshoo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도체에 4[A]의 전류를 10분간 흘렸을 때 도체를 통과한 전하량 C는 얼마인가?

  1. 150
  2. 300
  3. 1,200
  4. 2,400
(정답률: 78%)
  • 전하량 C는 전류 I와 시간 t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 = I x t 입니다. 여기에 전류 I는 4[A], 시간 t는 10분(600초)이므로, C = 4[A] x 600[초] = 2,400[C]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입력상태에서 따라 출력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1.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3. 쌍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4. 모든 형식의 멀티 바이브레이터
(정답률: 70%)
  • 쌍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입력 신호가 바뀌어도 출력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는데, 이는 두 개의 안정 상태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즉, 입력 신호가 바뀌어도 출력이 계속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하게 유지됩니다.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상태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안정하지 않습니다. 모든 형식의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원 회로의 구조가 순서대로 옳게 구성된 것은?

  1. 정류회로→변압회로→평활회로→정전압회로
  2. 변압회로→평활회로→정류회로→정전압회로
  3. 변압회로→정류회로→평활회로→정전압회로
  4. 정류회로→평활회로→변압회로→정전압회로
(정답률: 61%)
  • 변압회로에서는 전압을 변환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고, 정류회로에서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합니다. 평활회로에서는 DC 신호를 더욱 안정적으로 만들어주고, 정전압회로에서는 최종적으로 안정적인 고정된 전압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변압회로 → 정류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 순서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클램퍼(Clamper) 회로
  2. 슬라이서(Slicer) 회로
  3. 클리퍼(Clipper) 회로
  4. 리미터(Limiter) 회로
(정답률: 63%)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양 끝단에서 일정한 전압으로 클램핑(clamping)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클램퍼(Clamper) 회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다음 중 공통 컬렉터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압이득은 대략 1이다.
  2. 입력저항이 높아 버퍼로 많이 사용된다.
  3. 입력과 출력의 위상은 동상이다.
  4. 입력은 결합 커패시터를 통하여 이미터에 인가한다.
(정답률: 43%)
  • 입력 신호는 결합 커패시터를 통해 베이스-에미터 접합에 인가되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커패시터를 통해 DC 신호가 차단되고 AC 신호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원시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동일한 내용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계어
  2. 파스칼
  3. 컴파일러
  4. 소스 프로그램
(정답률: 74%)
  • 원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고, 컴퓨터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라고 합니다. 따라서, 원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동일한 내용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것은 컴파일러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 장치 간에 발생하는 속도차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은?

  1. 입·출력장치
  2. 연산장치
  3. 보조기억장치
  4. 캐시기억장치
(정답률: 80%)
  • 캐시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차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즉, 중앙처리장치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주기억장치보다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의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문자 데이터 코드들이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개수가 잘못 연결된 것은? (단, 패리티 비트는 제외한다)

  1. 2진화 10진수(BCD) 코드 : 64개
  2. 아스키(ASCII) 코드 : 128개
  3. 확장 2진화 10진(EBCDIC) 코드 : 256개
  4. 3-초과 (3-Excess) 코드 : 512개
(정답률: 68%)
  • 3-초과 (3-Excess) 코드는 3비트를 사용하여 2의 3승인 8가지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초과 코드는 2의 8승인 256가지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하나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되므로 실제 데이터의 개수는 255개입니다. 따라서 "3-초과 (3-Excess) 코드 : 512개"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24×8[bit]의 용량을 가진 ROM에서 Address Bus와 Data Bus의 필요한 선로수는?

  1. Address Bus=8선, Data Bus=8선
  2. Address Bus=8선, Data Bus=10선
  3. Address Bus=10선, Data Bus=8선
  4. Address Bus=1,024선, Data Bus=8선
(정답률: 62%)
  • ROM의 용량이 1,024×8[bit]이므로, 총 1,024개의 주소(Address)가 필요하고, 각 주소마다 8비트(Data)가 저장됩니다. 따라서 Address Bus는 10선이 필요하고, Data Bus는 8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표준 C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의 연산결과는?

  1. 6
  2. 8
  3. 24
  4. 14
(정답률: 56%)
  • 이유:

    1. 먼저, 변수 a와 b에 각각 3과 4를 대입합니다.
    2. 그 다음, a++와 ++b 연산을 수행합니다. a++는 후위 증가 연산자이므로, a의 현재 값인 3을 사용한 후 1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a의 값은 4가 됩니다. ++b는 전위 증가 연산자이므로, b의 현재 값인 4에 1을 더한 5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b의 값은 5가 됩니다.
    3. 이제 a와 b를 더한 값을 2로 나누어서 c에 대입합니다. a와 b의 합은 4 + 5 = 9이므로, c의 값은 9 / 2 = 4입니다. (정수 나눗셈이므로 소수점 이하는 버립니다.)
    4. 마지막으로, c에 2를 곱한 값을 d에 대입합니다. c의 값이 4이므로, d의 값은 4 * 2 = 8입니다.

    따라서, 연산결과는 "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지정 어드레스로 분기하고, 분기한 후에 그 명령으로 되돌아오는 명령은?

  1. 강제 인터럽트 명령
  2. 조건부 분기 명령
  3. 서브루틴 분기 명령
  4. 분기 명령
(정답률: 69%)
  • 서브루틴 분기 명령은 지정된 어드레스로 분기하여 해당 서브루틴을 실행하고, 실행이 끝난 후에는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명령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서브루틴 분기 명령은 프로그램의 재사용성과 모듈화를 쉽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기억장치로 사용되는 반도체 기억소자 중에서 읽기, 쓰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은?

  1. RAM
  2. ROM
  3. EP-ROM
  4. PAL
(정답률: 72%)
  • RAM은 읽기와 쓰기가 자유롭게 가능한 반면, ROM, EP-ROM, PAL은 읽기는 가능하지만 쓰기는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로 사용되는 반도체 기억소자 중에서 읽기와 쓰기가 자유롭게 가능한 것은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10진수 (-7)을 부호화 절대치법에 의한 이진수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10000111
  2. 10000110
  3. 10000101
  4. 10000100
(정답률: 72%)
  • 부호화 절대치법에 따라서, 먼저 7을 2진수로 변환합니다. 7의 2진수는 111입니다. 그리고 이진수의 첫 번째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합니다. 음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부호 비트를 1로 설정합니다. 따라서 (-7)의 이진수는 1000011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 내의 입출력 장치들 중에서 입출력 성능이 높은 것에서 낮은 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인터페이스-채널-DMA
  2. DMA-채널-인터페이스
  3. 채널-DMA-인터페이스
  4. 인터페이스-DMA-채널
(정답률: 57%)
  • 채널-DMA-인터페이스가 입출력 성능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채널: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하드웨어적인 경로입니다. 채널을 사용하면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져 입출력 성능이 향상됩니다.
    - DMA(Direct Memory Access):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중 하나로,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져 입출력 성능이 높아집니다.
    - 인터페이스: 컴퓨터와 입출력 장치 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하드웨어적인 부분입니다.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입출력 성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널-DMA-인터페이스는 채널과 DMA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며, 인터페이스도 최적화되어 있어 입출력 성능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코더(Decoder)는 일반적으로 어떤 게이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가?

  1. NAND, NOR
  2. AND, NOT
  3. OR, NOR
  4. NOT, NAND
(정답률: 70%)
  • 디코더는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경우에 대응하는 출력 비트를 1로 만드는 논리 회로입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입력 비트의 조합에 따라 출력 비트를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AND 게이트는 모든 입력 비트가 1일 때에만 출력 비트가 1이 되는 게이트이므로, 디코더에서는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경우에 대응하는 출력 비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NOT 게이트는 입력 비트를 반전시키는 게이트이므로, 디코더에서는 입력 비트를 반전시켜서 출력 비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디코더를 일반적으로 만들 때에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를 사용하여 구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데이터의 크기를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Bit - Word - Byte - Field
  2. Bit - Byte - Field - Word
  3. Bit - Byte - Word - Field
  4. Bit - Word - Field - Byte
(정답률: 70%)
  • 정답은 "Bit - Byte - Word - Field" 입니다.

    - Bit: 컴퓨터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가집니다.
    - Byte: 8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입니다.
    - Word: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CPU의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바이트 또는 4바이트입니다.
    - Field: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개의 속성을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데이터 단위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Bit가 가장 작은 단위이고 Byte는 8개의 Bit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Bit보다 크며, Word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Byte보다 큽니다. 마지막으로 Field는 여러 개의 속성을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데이터 단위로 만든 것이므로 가장 큰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소지정방식 중 짧은 길이의 오퍼랜드로 긴 주소에 접근할 때 사용되는 방식은?

  1. 직접 주소 지정 방식
  2. 간접 주소 지정 방식
  3.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4. 즉시 주소 지정 방식
(정답률: 53%)
  •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은 짧은 길이의 오퍼랜드로 메모리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의 값을 참조하여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긴 주소에 직접 접근하는 것보다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표준규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NV는 스위스 규격을 말한다.
  2. 전기 부문의 KS 분류기호는 KS B이다.
  3. 국제규격이란 국제적인 공동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여러 나라가 협의하여 심의 규정한 규격이다.
  4. ISO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격의 제정과 실천의 촉진을 위해 설립된 기구이다.
(정답률: 76%)
  • 전기 부문의 KS 분류기호는 KS B가 아니라 KS C이다. 이유는 KS B는 건축물 및 토목 부문에 해당하는 분류기호이고, 전기 부문은 KS C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부품 선정 시의 중요사항이 아닌 것은?

  1. 부품의 단가
  2. 납품 조건
  3. 부품외형의 색상
  4. 부품의 신뢰성
(정답률: 77%)
  • 부품외형의 색상은 부품의 성능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중요사항이 아닙니다. 부품의 단가, 납품 조건, 부품의 신뢰성은 모두 부품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콘덴서에 “102K”라고 기재되어 있을 때 정전용량 값과 허용오차로 옳은 것은?

  1. 0.0001[㎌], ±10[%]
  2. 0.001[㎌], ±10[%]
  3. 0.1[㎌], ±0.25[%]
  4. 0.0022[㎌], ±20[%]
(정답률: 70%)
  • "102K"는 10과 2개의 0, 그리고 K(=1000)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콘덴서의 정전용량 값은 10 x 1000 = 10000pF = 0.01μF = 0.001[㎌]이 됩니다. 또한, 허용오차는 ±10[%]이므로, 측정된 값에서 ±10% 범위 내에서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001[㎌],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입·출력 장치로 모두 이용되고 있는 것은?

  1. 마우스
  2. 플로터
  3. 터치스크린
  4. 디지타이저와 스타일러스 펜
(정답률: 75%)
  • 터치스크린은 입력과 출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면서 동시에 출력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로 모두 이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마우스와 플로터는 입력장치로만 이용되며, 디지타이저와 스타일러스 펜은 주로 그래픽 작업 등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PCB의 제조 공정 중에서 원하는 부품을 삽입하거나, 회로를 연결하는 비아(Via)를 기계적으로 가공하는 과정은?

  1. 라미네이트
  2. 노광
  3. 드릴
  4. 도금
(정답률: 63%)
  • 비아를 만들기 위해서는 PCB의 표면에 구멍을 뚫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계가 바로 드릴입니다. 드릴은 PCB의 표면에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부품을 삽입하거나 회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드릴은 PCB 제조 공정 중에서 비아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능동 부품(Active Component)의 능동적 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신호의 증폭
  2. 신호의 발진
  3. 신호의 중계
  4. 신호의 변환
(정답률: 69%)
  • 신호의 중계는 능동 부품이 직접적으로 신호를 증폭하거나 발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치나 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능동적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표를 지정하는 방법은?

  1. 극좌표
  2. 절대좌표
  3. 상대좌표
  4. 원통좌표
(정답률: 56%)
  • 상대좌표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표를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 따라 좌표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동한 거리와 방향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값으로 좌표를 표시합니다. 이에 반해, 절대좌표는 고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지정하며, 극좌표와 원통좌표는 좌표를 지정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KS 규격의 부문별 분류에서 전기, 전자에 속하는 것은?

  1. KS A
  2. KS B
  3. KS C
  4. KS D
(정답률: 77%)
  • 전기, 전자 부문은 KS C에 속합니다. KS C는 전기, 전자, 통신, 방송 등과 관련된 규격을 다루는 부문으로, 전기 및 전자 제품의 안전성, 성능, 품질 등을 규정합니다. 따라서 전기, 전자 부문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KS C 규격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자회로 설계 시 작업내용에 따라 분류할 경우 다른 하나는?

  1. 배선패턴 설계과정
  2. 부품표 작성과정
  3. 부품의 배치과정
  4. PCB 검사과정
(정답률: 66%)
  • 다른 작업들은 전자회로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들이지만, PCB 검사과정은 설계가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설계의 마무리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PCB 검사과정은 제작된 PCB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으로, 최종적으로 완성된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우리나라에서 규정된 한국산업규격 중에서 제도통칙(KS A 0005)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것은?

  1. 도면의 크기
  2. 제품의 형상
  3. 투상법
  4. 작도일반
(정답률: 50%)
  • 제도통칙(KS A 0005)은 규격 작성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과 절차를 규정하는 규격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형상은 규격 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제도통칙(KS A 0005)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7세그먼트(FND) 디스플레이가 동작할 때 빛을 내는 것은?

  1. 발광 다이오드
  2. 부저
  3. 릴레이
  4. 저항
(정답률: 86%)
  • 7세그먼트(FND) 디스플레이가 동작할 때 빛을 내는 것은 발광 다이오드입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기가 흐르면서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와 양공이 만나 결합될 때 에너지가 방출되어 빛을 내게 됩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7세그먼트(FND) 디스플레이에서 숫자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면의 종류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했을 때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작도
  2. 주문도
  3. 견적도
  4. 조립도
(정답률: 63%)
  • 조립도는 제작된 부품들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작, 주문, 견적과는 목적이 다릅니다. 따라서 조립도는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했을 때 속하지 않는 도면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층 프린트 배선에서 도금 도통 홀과 전기적 접속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금 도통 홀을 감싸는 부분에 도체 패턴의 도전재료가 없도록 한 영역은?

  1. Land
  2. Access Hole
  3. Clearance Hole
  4. Location Hole
(정답률: 60%)
  • 도금 도통 홀을 감싸는 부분에 도체 패턴의 도전재료가 없는 영역을 "Clearance Hole"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 도통 홀과 인접한 부분에 도전재료를 배치하지 않고, 충분한 간격을 두어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Clearance Hol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CAD에 대하여 잘못된 설명은?

  1. 가격이 저렴하므로 투자액이 적다.
  2. 시스템이 간편하므로 실용화가 쉽다.
  3. 설계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제도에 유리하다.
  4. 상급 시스템을 도입하면 보조 시스템으로서 효과는 없다.
(정답률: 74%)
  •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CAD는 가격이 저렴하고 간편하며 제도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급 시스템을 도입하면 보조 시스템으로서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상급 시스템을 도입하면 더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대규모 프로젝트나 복잡한 설계 작업에서는 상급 시스템이 필수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급 시스템을 도입하면 보조 시스템으로서 효과는 없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삼각자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것은?

  1. 15°
  2. 75°
  3. 90°
  4. 130°
(정답률: 75%)
  • 삼각자의 각의 합은 180°이므로, 15°+75°+90°=180°이다. 따라서, 130°은 나머지 각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AD의 종류는 크게 전자회로설계용과 기구설계용이 있다. 이 중에서 전자회로설계용 CAD는 무엇인가?

  1. OrCAD
  2. IntelliCAD
  3. UniCAD
  4. FelixCAD
(정답률: 78%)
  • 전자회로설계용 CAD 중에서 OrCAD는 전자회로설계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며, 전자회로의 시뮬레이션, PCB 디자인, BOM 생성 등의 작업을 지원한다. 따라서 OrCAD가 전자회로설계용 CAD 중에서 선택되는 이유는 전자회로설계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블록으로 그려 도면에 표시한 것은?

  1. 회로도
  2. 접속도
  3. 블록선도
  4. 배선도
(정답률: 77%)
  • 전자 또는 통신기기 등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블록으로 그려 도면에 표시한 것을 블록선도라고 합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과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블록선도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회로를 그리기 위한 환경 설정과 관계없는 것은?

  1. 도면의 크기
  2. 그리드 표시
  3. 설계 개체 요소의 색상
  4. 라우팅 패턴 굵기
(정답률: 37%)
  • 라우팅 패턴 굵기는 회로를 그리기 위한 환경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라우팅 패턴 굵기는 회로 설계 시 라우팅 패턴의 두께를 조절하는 설정으로, 회로 설계의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회로도 작성 시 고려사항 중 옳은 것은?

  1. 대각선과 곡선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2. 선과 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곳에는 점선표시를 한다.
  3. 주회로와 보조회로가 있는 경우에는 보조회로를 중심으로 그린다.
  4. 신호의 흐름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위에서 아래로 그린다.
(정답률: 52%)
  • 대각선과 곡선은 회로도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직선으로 그린 경우에는 전기적인 연결 관계를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보드 외곽선(Board Outline)그리기의 한 예이다. X, Y 좌표 값을 보기와 같이 입력했을 경우 ㉠㉡㉢㉣에 들어갈 좌표 값은?

  1. ㉠ 150, ㉡ 150, ㉢ 150, ㉣ 100
  2. ㉠ 100, ㉡ 100, ㉢ 100, ㉣ 50
  3. ㉠ 50, ㉡ 150, ㉢ 50, ㉣ 50
  4. ㉠ 100, ㉡ 150, ㉢ 50, ㉣ 150
(정답률: 73%)
  • 보드 외곽선은 시계방향으로 그려졌으므로, ㉠은 X좌표가 50, ㉡은 Y좌표가 150, ㉢은 X좌표가 50, ㉣은 Y좌표가 5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50, ㉡ 150, ㉢ 50, ㉣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각 층간 절연 재질로 분리 접착되어진 표면 도체층을 포함하여 3층 이상에 도체패턴이 있는 프린트 배선판은?

  1. 다층 프린트 배선판(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2. 양면 프린트 배선판(Double-sided Printed Circuit Board)
  3. 프린트 회로(Printed Circuit)
  4. 마더 보드(Mother Board)
(정답률: 76%)
  • 다층 프린트 배선판은 층간 절연 재질로 분리 접착되어진 표면 도체층을 포함하여 3층 이상에 도체패턴이 있는 프린트 배선판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양면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회로, 마더 보드는 층이 2층 이하이거나 도체패턴이 없는 경우를 포함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의 고려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부품 배치
  2. 부품 높이와 배열
  3. 부품의 가격
  4. 부품 부착 간격
(정답률: 75%)
  •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에는 부품의 가격도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것은 아닙니다. 부품의 가격은 설계의 비용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부품의 가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부품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부품의 가격은 부품의 성능과 품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부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부품의 가격은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에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제도용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도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는 1:√2이다.
  2. A1용지보다 B1용지가 작다.
  3. A1용지를 반으로 접으면 A2 크기가 된다.
  4. B1용지를 두 장을 붙이면 B0 크기가 된다.
(정답률: 69%)
  • 정답: A1용지보다 B1용지가 작다.

    이유: 제도용지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1:√2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가 커질수록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A1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B1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어지게 되므로, A1용지보다 B1용지가 더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각종 전자기기, 유무선 통신기기 및 장치의 접속관계를 표시하는 기호는?

  1. 전기용 기호(KSC0102)
  2. 옥내배선용 기호(KSC0301)
  3. 2값 논리소자 기호(KSX0201)
  4. 시퀀스 기호(KSC0103)
(정답률: 56%)
  • 각종 전자기기, 유무선 통신기기 및 장치의 접속관계를 표시하는 기호는 전기회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호로,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전기용 기호(KSC0102)입니다. 이 기호는 전기회로의 구성 요소들을 표시하고, 각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등 전기회로의 구성과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전기공학 분야에서는 전기용 기호(KSC0102)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쇄회로 기판의 패턴 동박에 의한 인덕턴스 값이 0.01[μH]가 발생하였다. 주파수 10[MHz]에서 기판에 영향을 주는 리액턴스(X) 값은?

  1. 62.8[Ω]
  2. 6.28[Ω]
  3. 0.628[Ω]
  4. 0.0628[Ω]
(정답률: 43%)
  • 인덕턴스(L)와 주파수(f)를 이용하여 리액턴스(X)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X = 2πfL

    여기서 X는 인덕턴스에 의한 리액턴스 값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X를 구하기 위해서는 주파수와 인덕턴스 값이 필요합니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인덕턴스 값이 0.01[μH]이고, 주파수가 10[MHz]이므로 X를 구할 수 있습니다.

    X = 2πfL
    X = 2π × 10[MHz] × 0.01[μH]
    X = 0.628[Ω]

    따라서, 정답은 "0.628[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CB에서 패턴이 두께가 2[mm], 길이가 4[cm], 패턴의 저항이 1.72×10-5[Ω]일 때 패턴의 폭은 몇 [cm]인가? (단, 20[℃]에서 구리의 저항률 1.72×10-8[Ω·m]이다)

  1. 1
  2. 2
  3. 3
  4. 4
(정답률: 52%)
  • 패턴의 저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ρ * (L/A)

    여기서, R은 저항, ρ는 구리의 저항률, L은 길이, A는 Querschnittsfläche (단면적)이다.

    Querschnittsfläche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t * w

    여기서, t는 두께, w는 폭이다.

    따라서, 패턴의 저항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R = ρ * (L/(t*w))

    여기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72×10-5 = 1.72×10-8 * (0.04/(2*w))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w = 0.04/(2*1.72×10-5/1.72×10-8)

    w = 2

    따라서, 패턴의 폭은 2[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프린트 배선판의 끝부분에 형성된 프린트 콘텍트를 의미하는 것은?

  1. Edge Board Contact
  2. Printed Contact
  3. Grid
  4. Component Side
(정답률: 52%)
  • 프린트 배선판의 끝부분에 위치한 접촉 부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Edge Board"는 배선판의 끝을 의미하고, "Contact"는 접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dge Board Contact"는 프린트 배선판의 끝부분에 형성된 접촉 부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자동제도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완성된 도면의 수정은 불가능하다.
  2. 인적자원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신뢰도가 높다.
  3. 자동제도를 적용함으로써 제조오차를 줄일 수 있다.
  4. 정밀한 도형이나 곡선이 많은 제도에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정답률: 73%)
  • "완성된 도면의 수정은 불가능하다."는 자동제도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자동제도의 한계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동제도를 이용하면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인적자원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정밀한 도형이나 곡선이 많은 제도에 이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완성된 도면의 수정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설계 단계에서 신중하게 계획하고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제도용구 중 선, 원주 등을 같은 길이로 분할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1. 축척자
  2. 형판
  3. 디바이더
  4. 자유곡선자
(정답률: 64%)
  • 디바이더는 길이를 분할하는 도구로, 선이나 원주 등을 같은 길이로 나누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디바이더가 정답인 것입니다. 축척자는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고, 형판은 인쇄나 도장 제작에 사용되는 판입니다. 자유곡선자는 자유롭게 곡선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CB Design에서 설계 오류를 검사하는 기능은?

  1. Netlist
  2. Zoom
  3. Edit
  4. DRC
(정답률: 74%)
  • DRC는 Design Rule Check의 약자로, PCB Design에서 설계 규칙을 검사하여 오류를 찾아내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PCB Design에서 설계 오류를 검사하는 기능은 DR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집적도에 의한 IC분류로 옳은 것은?

  1. MSI : 100 소자 미만
  2. LSI : 100~1,000 소자
  3. SSI : 1,000~10,000 소자
  4. VLSI : 10,000 소자 이상
(정답률: 71%)
  • 집적도란 IC 내부에 포함된 소자들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IC 내부에 포함된 소자의 수가 많을수록 집적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VLSI는 10,000 소자 이상을 포함하므로, 집적도에 의한 IC분류에서 VLSI는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쇄회로기판(PCB)의 패턴 설계 시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패턴은 가급적 가늘고 길게 한다.
  2. 회로의 각 접지점마다 패턴을 설계하는 다점 접지방식으로 패턴 설계를 한다.
  3. 개별 회로의 특징이 다를지라도 기판은 하나로 통합하여 설계한다.
  4. 패턴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차폐를 행한다.
(정답률: 51%)
  • 패턴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차폐를 행하는 이유는 인쇄회로기판(PCB)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패턴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차폐를 통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간섭이 발생하면 회로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패턴 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차폐를 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