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생산자동화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대략구분)

1. 급속 귀환 기구를 이용한 기계는?

  1. 보링 머신
  2. 셰이퍼
  3. 밀링
  4. 선반
(정답률: 52%)
  • 급속 귀환 기구를 이용한 기계는 셰이퍼입니다. 이는 셰이퍼가 급속 귀환 기구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계들은 이러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형 일감의 구멍 뚫기 작업에 적합한 기계로서 드릴링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암(arm)과 암을 지지하는 직립 컬럼(vertical column)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탁상 드릴링 머신
  2.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
  3. 다축 드릴링 머신
  4. 이동식 드릴링 머신
(정답률: 51%)
  •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은 대형 일감의 구멍 뚫기 작업에 적합한 기계로서, 드릴링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암과 암을 지지하는 직립 컬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계는 암과 직립 컬럼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드릴링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대형 일감의 구멍 뚫기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선반에서 일반적으로 자동 이송 장치가 설치된 부분은?

  1. 주축대
  2. 에이프런
  3. 심압대
  4. 베드
(정답률: 58%)
  • 선반에서 일반적으로 자동 이송 장치가 설치된 부분은 에이프런입니다. 이는 에이프런이 선반의 중앙에 위치하여 다른 부품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에이프런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소형 가공물을 한번에 다량으로 고정하여 연삭할 때 가장 적당한 연삭기는?

  1. 나사 연삭기
  2. 직립축 평면 연삭기
  3. 성형 연삭기
  4. 센터리스 연삭기
(정답률: 39%)
  • 소형 가공물을 한번에 다량으로 고정하여 연삭할 때 가장 적합한 연삭기는 "직립축 평면 연삭기"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정성: 직립축 평면 연삭기는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작업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연삭 작업 중에 움직임이 없어지므로 정확한 연삭이 가능합니다.

    2. 다량 가공 가능: 직립축 평면 연삭기는 작업대가 크기 때문에 다량의 작업물을 한번에 고정하여 연삭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다양한 가공 가능: 직립축 평면 연삭기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습니다. 작업물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고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정확도: 직립축 평면 연삭기는 고정된 작업물을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물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소형 가공물을 한번에 다량으로 고정하여 연삭할 때 가장 적합한 연삭기는 "직립축 평면 연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링 가공에서 커터의 지름이 50mm이고 회전수가 400rpm이라고 할 때의 절삭 속도(m/min)는?

  1. 15.7
  2. 31.4
  3. 47.1
  4. 62.8
(정답률: 54%)
  • 절삭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절삭 속도(m/min) = π x 커터 지름(mm) x 회전수(rpm) / 1000

    여기서 π는 3.14입니다.

    따라서, 절삭 속도 = 3.14 x 50 x 400 / 1000 = 62.8 (m/min)

    따라서, 정답은 "62.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선반에서 ø30mm의 SM20C 재료를 노즈 반지름 0.2mm인 초경 바이트로 절삭속도 180m/min으로 가공할 때 이론적 표면 거칠기 Hmax를 구하면? (단, 이송은 0.1mm/rev이다.)

  1. 0.25μm
  2. 2.35μm
  3. 4.25μm
  4. 6.25μm
(정답률: 32%)
  • 이론적 표면 거칠기 Hma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max = (0.8 × Rz × f) / (pi × d)

    여기서, Rz는 굴곡 거칠기, f는 이송 거리, d는 바이트 직경이다.

    우선, SM20C 재료의 굴곡 거칠기 Rz는 3.2μm이다. 이송 거리 f는 0.1mm/rev이므로, 1회 회전 시 이송 거리는 0.1mm이 된다. 따라서, 초경 바이트로 가공할 때 바이트 직경 d는 0.4mm이 된다.

    이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Hmax = (0.8 × 3.2μm × 0.1mm) / (pi × 0.4mm)
    = 6.37μm

    따라서, 이론적 표면 거칠기 Hmax는 약 6.37μ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중에서는 6.25μm이 가장 근접하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반에서 일감이 1회전 하는 동안, 바이트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1. 회전력
  2. 주분력
  3. 피치
  4. 이송
(정답률: 56%)
  • 선반에서 일감이 1회전하면 바이트는 피치만큼 이동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바이트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묻고 있으므로, 이송이 정답입니다. 이송은 회전하는 물체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를 의미하며, 이 경우 바이트가 선반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됩니다. 따라서 이송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직물, 피혁, 고무 등으로 만든 유연한 원판을 고속 회전시켜 일감의 표면을 매끈하고 광택있게 가공하는 것은?

  1. 텀플링
  2. 입자 벨트가공
  3. 버핑
  4. 숏 피닝
(정답률: 42%)
  • 직물, 피혁, 고무 등의 일감을 매끈하고 광택있게 가공하는 기술 중에서 유연한 원판을 고속 회전시켜 가공하는 것을 "버핑"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 Ti, Ta, Mo, Zr 등의 경질합금 탄화물 분말을 Co, Ni을 결합제로 하여 14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서 프레스로 소결 성형한 절삭 공구는?

  1. 초경 합금
  2. 고속도강
  3. 탄소 공구강
  4. 합금 공구강
(정답률: 47%)
  • W, Ti, Ta, Mo, Zr 등의 경질합금 탄화물 분말을 Co, Ni을 결합제로 하여 14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서 프레스로 소결 성형한 절삭 공구는 초경 합금입니다. 이는 경질합금 탄화물 분말과 결합제로 사용된 Co, Ni의 고온 내구성과 경도가 높기 때문에 고속 절삭에 적합하며, 높은 인장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 탄소 공구강이나 합금 공구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따라서 초경 합금은 고속 절삭용 절삭 공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드릴작업시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작업복과 작업모를 착용한다.
  2.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브러시로 제거한다.
  3. 드릴작업시에는 보호안경을 쓴다.
  4. 작은 공작물은 직접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한다.
(정답률: 91%)
  • 작은 공작물은 직접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하면 손가락이 드릴에 걸려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작업 방법이 아니다. 대신 작은 공작물은 고정대나 클램프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고정한 후 작업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대략구분)

11. 다음 중 운동용 나사에 해당하는 것은?

  1. 미터가는나사
  2. 유니파이나사
  3. 볼나사
  4. 관용나사
(정답률: 54%)
  • 운동용 나사는 일반적으로 관절 부위에서 사용되는데, 이때 관절 부위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구슬 모양의 공이 달린 나사인 볼나사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볼나사가 운동용 나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r강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경화층이 얇다.
  2. 자경성이 없다.
  3. 단접이 쉽다.
  4. 조직이 미세하다.
(정답률: 49%)
  • 조직이 미세하다는 것은 원자나 분자 수준에서 구성되어 있어서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의 요구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유동성이 좋을 것
  2. 열간 취성이 적을 것
  3.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 것
  4. 응고수축에 대한 용탕 보급성이 좋을 것
(정답률: 50%)
  • 다이캐스팅은 금형에 압력을 가해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수록 알루미늄 합금이 금형에 잘 부착되어 제작 과정에서 불량률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 것"은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합금의 요구되는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반, 밀링머신 등의 동력 전달 장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벨트는?

  1. 평 벨트
  2. V 벨트
  3. 직물 벨트
  4. 털 벨트
(정답률: 70%)
  • V 벨트는 평 벨트보다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며, 직물 벨트나 털 벨트보다 더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선반, 밀링머신 등의 동력 전달 장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V 벨트는 벨트의 모양이 V자 형태로 되어 있어서, 벨트와 풀리 사이의 접촉면적이 더 넓어져서 전달되는 힘이 더 분산되어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구용으로 사용되는 비금속재료가 아닌 것은?

  1. 다이아몬드
  2. 서멧
  3. 초경공구
  4. 고속도강
(정답률: 35%)
  • 고속도강은 금속재료이기 때문에 공구용으로 사용되는 비금속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베어링 재료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내 융착성이 좋을 것
  2. 길들임이 좋을 것
  3. 내식성이 작을 것
  4. 피로강도가 클 것
(정답률: 51%)
  • 내식성이 작을 것은 베어링 재료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베어링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바다에서 사용되는 베어링은 내식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져야 하지만, 일반적인 산업용 베어링은 내식성이 크게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식성이 작을 것이라는 조건은 베어링 재료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적인 줄의 재질은 보통 다음 중 어떤 것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가?

  1. 고속도강
  2. 초경질 합금강
  3. 주강
  4. 탄소 공구강
(정답률: 56%)
  • 일반적인 줄의 재질로는 탄소 공구강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탄소 공구강이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탄소 공구강은 가공이 용이하고 용접이 가능하며,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줄의 재질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막대의 양 끝에 나사를 깎은 머리 없는 볼트로서 한쪽 끝을 본체에 튼튼하게 박고, 다른 끝에는 너트를 끼워서 조일 수 있도록 한 볼트는?

  1. 관통 볼트
  2. 탭 볼트
  3. 스터드 볼트
  4. T 볼트
(정답률: 70%)
  • 스터드 볼트는 막대의 양 끝에 나사를 깎은 머리 없는 볼트로서 한쪽 끝을 본체에 튼튼하게 박고, 다른 끝에는 너트를 끼워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볼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설명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스터드 볼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탈아연 부식현상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재료는?

  1. 6 : 4 황동
  2. 톰백
  3. 7 : 3 황동
  4. 포금
(정답률: 38%)
  • 탈아연 부식현상은 아연과 구리가 함께 사용되는 황동 합금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아연과 구리의 비율이 6:4인 6 : 4 황동이 가장 탈아연 부식현상이 많이 일어나는 재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아연과 구리의 비율이 적거나 많아서 탈아연 부식현상이 적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축에는 홈을 파지 않고 보스에만 키 홈을 파는 키는?

  1. 성크 키
  2. 스플라인 키
  3. 평 키
  4. 새들 키
(정답률: 41%)
  • 새들 키는 축에 홈을 파지 않고 보스에만 키 홈을 파는 키입니다. 다른 세 가지 키는 축에 홈을 파는 기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전동용 기계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리벳
  2. 볼트와 너트
  3. 체인
(정답률: 66%)
  • 체인은 전동용 기계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동용 기계요소에 해당합니다. 리벳, 볼트와 너트, 핀은 기계를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부품으로, 전동용 기계의 동력 전달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표준형 고속도강의 성분이 바르게 표기된 것은?

  1. 18% W – 4% Cr – 1% V
  2. 14% W – 4% Cr – 1% V
  3. 18% Cr – 8% Ni
  4. 14% Cr- 8% Ni
(정답률: 60%)
  • 정답은 "18% W – 4% Cr – 1% V"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W은 tungsten(텅스텐)의 약자로, 고온에서도 강한 내식성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Cr은 chromium(크롬)의 약자로, 내식성이 뛰어나며, 강도와 경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 V는 vanadium(바나듐)의 약자로, 강도와 경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성분들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으면, 고속도강의 내식성과 내열성,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길이가 50mm인 표준시험편으로 인장시험하여 늘어난 길이가 65mm이었다. 이 시험편의 연산율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52%)
  • 연산율은 늘어난 길이를 원래 길이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65-50)/50 x 100 = 30% 이므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스프링와셔
  2. 캡 너트
  3. 분할 핀
  4. 로크 너트
(정답률: 42%)
  • 캡 너트는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나사의 끝을 보호하거나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장응력을 구하는 식으로 올바른 것은? (단, A는 단면적, W는 인장하중이다.)

  1. A × W
  2. A + W
  3. A/W
  4. W/A
(정답률: 68%)
  • 인장응력은 단면적에 인장하중을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W/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코드의 기능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G02 : 시계방향 원호 보간
  2. G01 : 직선 보간(절삭이송)
  3. G91 : 절대값 지령
  4. G28 : 자동 원점 복귀
(정답률: 57%)
  • G91은 상대적인 이동을 지시하는 지령이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이동 거리를 지정합니다. 따라서 "절대값 지령"이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NC 시스템에서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위치 결정 제어
  2. 직선 절삭 제어
  3. 윤곽 절삭 제어
  4. 가공 절삭 제어
(정답률: 37%)
  • 가공 절삭 제어는 제어방식이 아닌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가공 절삭 제어가 정답입니다. 위치 결정 제어, 직선 절삭 제어, 윤곽 절삭 제어는 모두 NC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CAD/CAM 용 출력장치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플로터
  2. 모니터
  3. 프린터
  4. 스캐너
(정답률: 60%)
  • 스캐너는 CAD/CAM 용 출력장치가 아닙니다. 스캐너는 이미지나 문서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장치이며, CAD/CAM 용 출력장치는 CAD/CAM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디자인을 실제로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에서 CAD/CAM 시스템 도입의 효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설계 생산성 향상 및 설계 변경 용이
  2. 복잡한 형상의 정밀가공 용이
  3. 정확도 향상 및 기술 수준 고도화
  4. 도면 품질 향상과 데이터 관리의 복잡화
(정답률: 80%)
  • 도면 품질 향상과 데이터 관리의 복잡화는 CAD/CAM 시스템 도입의 효과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CAD/CAM 시스템을 도입하면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가 더욱 복잡해지고, 도면 품질 향상을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CAD/CAM 시스템 도입의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휴지시간 지정을 의미하는 어드레스가 아닌 것은?

  1. P
  2. U
  3. R
  4. X
(정답률: 50%)
  • 정답은 "X"입니다. "P"는 프린터, "U"는 유저, "R"은 리프레시(휴지시간), "X"는 알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메카트로닉스 일반(대략구분)

31. CNC선반 프로그램에서 G96 S200 M03;에서 S200의 내용은?

  1. 주축속도 200m/rev로 일정제어
  2. 주축속도 200m/min로 일정제어
  3. 매분이송 200m/min로 일정제어
  4. 매회전이송 200m/rev로 일정제어
(정답률: 54%)
  • S200은 주축속도를 나타내며, M03으로 주축을 회전시키면서 주축속도를 200m/min으로 일정하게 제어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축속도 200m/min로 일정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 모델링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솔리드 모델링
  2. 서피스 모델링
  3. 와이어프레임 모델링
  4. 어셈블리 모델링
(정답률: 53%)
  • 어셈블리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의 종류가 아니라, 여러 개의 부품이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큰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솔리드 모델링, 서피스 모델링,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은 모두 3차원 기하학적 형상 모델링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NC공장기계와 산업용 로봇, 자동반송시스템, 자동화 창고 등을 총괄하여 중앙의 컴퓨터로 제어하면서 소재의 공급투입으로부터 가공, 조립, 출고까지를 관리하는 생산시스템은?

  1. CAD
  2. DNC
  3. NC
  4. FMS
(정답률: 58%)
  • FMS는 유연한 생산시스템으로, CNC공장기계, 산업용 로봇, 자동반송시스템, 자동화 창고 등을 중앙 컴퓨터로 제어하여 소재의 공급투입으로부터 가공, 조립, 출고까지를 관리합니다. 따라서 FMS가 정답입니다. CAD는 컴퓨터 지원 설계, DNC는 직접 숫자 제어, NC는 수치 제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그림과 같이 A점에서 B점으로 급속 이동시키려고 할 때 증분지령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G90 G00 X-20.0 Y-10.0;
  2. G91 G00 X-20.0 Y-10.0;
  3. G90 G00 X20.0 Y10.0;
  4. G91 G00 X20.0 Y10.0;
(정답률: 63%)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상대좌표값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G91 모드로 변경하고 X축과 Y축의 증분값을 음수로 설정하여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정답은 "G91 G00 X-20.0 Y-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표현할 때 10진법 9를 2진법으로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001
  2. 1100
  3. 0110
  4. 1110
(정답률: 67%)
  • 10진법 9를 2진법으로 바꾸면 1001이 됩니다. 이는 2의 3제곱인 8과 2의 0제곱인 1을 더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2진법에서 각 자리는 2의 제곱수로 표현되며, 1은 해당 자리의 제곱수를 더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진법 9를 2진법으로 바꾸면 100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공기압 기호의 명칭은?

  1. 단동 실린더
  2. 복동 실린더
  3. 요동 실린더
  4. 공압모터
(정답률: 77%)
  • 위 그림의 공기압 기호는 "복동 실린더"를 나타냅니다. 이는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이 두 개 있어서, 공기압을 가하면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여 작동하는 실린더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단동 실린더"는 피스톤이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실린더이고, "요동 실린더"는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지만 한쪽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 실린더입니다. "공압모터"는 회전 운동을 하는 기계로, 실린더와는 다른 종류의 공기압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3개의 전환 위치를 갖는 방향 제어 밸브에서 중간 위치는 액추에이터의 어느 위치를 나타내는가?

  1. 전진위치
  2. 중립위치
  3. 후진위치
  4. 초기위치
(정답률: 81%)
  • 중간 위치는 액추에이터가 정지한 중립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위치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어 압력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이 위치를 중립위치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절대압력과 게이지압력 그리고 대기압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식은?

  1. 절대압력 = 게이지압력 + 대기압
  2. 게이지압력= 절대압력 + 대기압
  3. 게이지압력 = 대기압 = 절대압력
  4. 절대압력 = 게이지압력 × 대기압
(정답률: 66%)
  •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포함한 전체 압력을 의미하고, 게이지압력은 대기압을 제외한 추가적인 압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절대압력은 게이지압력과 대기압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압 실린더 중 운동 에너지를 크게하여 펀칭, 리벳팅, 프레싱 등과 같은 작업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탠덤 실린더
  2. 충격 실린더
  3. 텔레스코프 실린더
  4. 케이블 실린더
(정답률: 58%)
  • 충격 실린더는 운동 에너지를 크게 발생시켜 충격적인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펀칭, 리벳팅, 프레싱 등과 같은 작업에 가장 적합합니다. 탠덤 실린더는 두 개의 실린더가 연결된 형태로서, 큰 힘을 발생시키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텔레스코프 실린더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실린더로서, 긴 거리를 이동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케이블 실린더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실린더로서, 작은 공간에서 작동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의 회로에서 1.4와 1.2의 동작조건으로 옳은 것은?

  1. OR회로
  2. AND회로
  3. NAND회로
  4. EX-OR회로
(정답률: 55%)
  • 1.4와 1.2가 모두 1인 경우에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이는 AND 회로의 동작 방식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회로"입니다. AND 회로는 입력이 모두 1일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부하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배압을 형성시켜주는 유압회로는?

  1. 블리드오프회로
  2. 카운터 밸런스회로
  3. 로킹회로
  4. 무부하회로
(정답률: 66%)
  • 카운터 밸런스회로는 부하 변화에 대해 일정한 배압을 유지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이는 카운터 밸브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양과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부하가 증가하면 카운터 밸브가 열리면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고, 부하가 감소하면 카운터 밸브가 닫혀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감소합니다. 이를 통해 일정한 배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체의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는?

  1. 송풍기
  2. 팬(Fan)
  3. 압축기
  4. 실린더
(정답률: 71%)
  • 유체의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는 엔진이며, 엔진은 실린더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린더"입니다. 송풍기, 팬, 압축기는 모두 유체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이지만, 엔진과 같이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공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1. 무단변속이 가능하다.
  2. 작업속도가 빠르다.
  3. 배관이 간단하다.
  4. 힘의 전달이 어렵고, 힘의 증폭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4%)
  • 공압은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시스템으로, 작업속도가 빠르고 배관이 간단하며 무단변속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공압은 압축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힘의 전달이 어렵고, 힘의 증폭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압축 공기의 특성상 압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기 압축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급 체적
  2. 공급 압력
  3. 압축기 구동 방식
  4. 압축기 제작방법
(정답률: 84%)
  • 압축기 제작방법은 압축기의 성능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공급 체적과 공급 압력은 압축기의 용량과 출력에 영향을 미치며, 압축기 구동 방식은 압축기의 효율성과 소음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압축기를 선택할 때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유압 펌프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을 때 점검할 부위가 아닌 것은?

  1. 체크 밸브
  2. 유압 회로
  3. 언로드 밸브
  4. 릴리프 밸브
(정답률: 41%)
  • 체크 밸브는 유압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유압 회로, 언로드 밸브, 릴리프 밸브는 모두 유압 압력을 제어하거나 유압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로봇이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위치에 있는 물체를 잡는데 필요한 자유도는?

  1. 4개
  2. 5개
  3. 6개
  4. 3개
(정답률: 79%)
  • 로봇이 3차원 공간에서 물체를 잡으려면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3개의 자유도가 필요합니다. 또한, 로봇의 팔이 물체를 잡을 때 회전할 수 있는 자유도가 3개 더 필요합니다. 따라서, 로봇이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위치에 있는 물체를 잡는데 필요한 자유도는 총 6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퀀스 제어계에서 제어시키고자하는 장치 혹은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제어명령
  2. 조작부
  3. 제어대상
  4. 검출부
(정답률: 62%)
  • 제어대상은 시퀀스 제어계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이며, 제어명령과 조작부에 의해 제어되고, 검출부를 통해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대상은 제어의 대상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CD 카메라로 읽은 화상을 보고 대상물체의 모양이나 양호 또는 불량 상태를 판별하는 센터는?

  1. 로드셀
  2. 광전센서
  3. 비젼센서
  4. 근접센서
(정답률: 59%)
  • CCD 카메라로 읽은 화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체의 모양이나 양호 또는 불량 상태를 판별하는 것은 비젼센서입니다. 비젼센서는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물체의 형태, 색상, 크기 등을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조 공정에서 제품의 불량을 식별하거나 검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LC 기능 중에서 특정한 I/O 상태 및 연산 결과 등을 기억하는 기능은?

  1. 레지스터
  2. 연산기능
  3. 카운터기능
  4. 인터럽트
(정답률: 61%)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있는 기억장치로, 특정한 I/O 상태나 연산 결과 등을 기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이 바로 "레지스터"인 것입니다. 연산기능은 계산을 수행하는 기능, 카운터기능은 특정한 카운트 값을 기억하는 기능, 인터럽트는 외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조건에 따라 제어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로 계전기, 타이머, 계수기 등의 기능을 반도체 소자로 대체하여 무접점화를 이룬 기기는?

  1. NEMA
  2. PC
  3. INTEL
  4. PLC
(정답률: 86%)
  •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기를 의미합니다. PLC는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조건에 따라 제어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행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반도체 소자로 대체하여 무접점화를 이룬 기기입니다. 따라서, PLC가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조건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기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에서 인간의 신체와 자동화요소와 비교하였을 때 잘못된 것은?

  1. 눈-감지기
  2. 피부-감지기
  3. 팔, 다리-액추에이터
  4. 신경계통-제어신호처리장치
(정답률: 74%)
  • 인간의 신체와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을 비교할 때, "신경계통-제어신호처리장치"가 잘못된 것입니다. 인간의 신체에서는 신경계통이 감지기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자동화시스템에서는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처리하고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신경계통-제어신호처리장치"는 인간의 신체와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에서 비교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그림과 같은 요소의 전달 특성을 직렬 결합하여 전달함수로 표시하면 어떻게 되는가?

  1. Y(s) = G(s) · X(s)
  2. Y(s) = 1/G(s) · 1/X(s)
  3. G(s) = Y(s) · X(s)
  4. G(s) = 1/Y(s) + 1/X(s)
(정답률: 58%)
  • 위 그림에서는 입력 신호 X(s)가 전달 함수 G1(s)를 거쳐 출력 신호 Y1(s)로 전달되고, 그 출력 신호 Y1(s)가 다시 전달 함수 G2(s)를 거쳐 최종 출력 신호 Y(s)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경우 직렬 결합된 전달 함수는 각 전달 함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Y(s) = G1(s) · G2(s) · X(s)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어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중 다음 그림과 같이 작업요소의 작업순서를 동작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표시해주는 제어 표현방법은?

  1. 위치도
  2. 기능선도
  3. 래더 다이어그램
  4. 변위-단계선도
(정답률: 65%)
  • 변위-단계선도는 작업요소의 작업순서를 동작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표시해주는 제어 표현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고, 제어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제어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중 "변위-단계선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장자동화 시스템 도입에 의해 얻어지는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1. 생산능력이 증가한다.
  2. 무인화가 가능하다.
  3. 신뢰성이 향상된다.
  4. 시설투자비가 감소한다.
(정답률: 84%)
  • 시설투자비가 감소하는 것은 공장자동화 시스템 도입에 의해 얻어지는 기대효과가 아닙니다. 오히려 초기 투자비용은 높아질 수 있으며, 시설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설투자비가 감소하는 것은 잘못된 기대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센서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거리가 먼 것은?

  1. 정확성
  2. 감지거리
  3. 작업자의 기술수준
  4. 신뢰성
(정답률: 89%)
  • 거리가 먼 것은 작업자의 기술수준과 관련이 있습니다. 거리가 먼 센서를 사용하면 더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지만, 이는 작업자가 센서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작업자의 기술수준이 낮을 경우에는 거리가 짧은 센서를 선택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생산분야에서 사용하는 물류 기기가 아닌 것은?

  1. 무인 반송차
  2. 컨베이어
  3. 자동창고
  4. 머니플레이터
(정답률: 66%)
  • 머니플레이터는 생산분야에서 사용하는 물류 기기가 아닙니다. 머니플레이터는 현금을 인식하고 계수하는 기기로, 주로 금융업계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미리 정해놓은 순서, 또는 일정한 논리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하는 제어는?

  1. 정치제어
  2. 추종제어
  3. 시퀀스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률: 89%)
  • 시퀀스제어는 미리 정해놓은 순서나 일정한 논리에 따라 진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순서에 따라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이 있을 때 시퀀스제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 작업이 끝나면 B 작업을 실행하고, B 작업이 끝나면 C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 시퀀스제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LC 프로그램 명령어 중에서 논리합(병렬) 조건으로 접속 되어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는?

  1. LOAD
  2. AND
  3. OR
  4. NOT
(정답률: 70%)
  • OR 명령어는 두 개 이상의 입력 신호 중 하나 이상이 참일 경우 출력 신호가 참이 되는 논리합(병렬)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논리합(병렬) 조건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O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회로를 코딩(coding)할 때 빈칸 ①, ②에 들어갈 명령어는?

  1. ① OR, ② AND
  2. ① NOT, ② LOAD
  3. ① AND, ② END
  4. ① LOAD, ② OUT
(정답률: 43%)
  • 이 회로는 입력된 스위치의 상태를 읽어서 출력으로 LED에 불을 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된 스위치의 상태를 읽어오기 위해 LOAD 명령어를 사용하고, 읽어온 값을 출력하기 위해 OU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LOAD, ② OU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푸시 버튼 스위치의 a 접점 기호인 것은?

(정답률: 79%)
  • a 접점은 스위치의 입력 단자로,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전기 신호가 흐르는 곳입니다. 따라서, 푸시 버튼 스위치의 a 접점 기호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