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7-15)

생산자동화기능사
(2007-07-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대략구분)

1. 선반에서 그림과 같이 테이퍼 가공을 하려 할 때, 필요한 심압대의 편위랑은 얼마인가?

  1. 4mm
  2. 7mm
  3. 12mm
  4. 15mm
(정답률: 48%)
  • 테이퍼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심압대의 편위가 필요하다. 이때, 편위는 작업물의 두께와 가공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림에서는 작업물의 두께가 20mm이고, 가공 각도가 20도이므로, 편위는 20mm x tan(20도) = 7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광유 또는 혼성유에 비누류를 섞은 것으로 상온에서는 부드러운 반고체 상태이며, 온도가 오르면 녹아서 액체상태로 되는 윤활제는?

  1. 극압 유
  2. 그리스
  3. 기계 유
  4. 스핀들 유
(정답률: 79%)
  • 그리스는 광유 또는 혼성유에 비누류를 섞은 것으로, 이는 상온에서는 부드러운 반고체 상태이지만, 온도가 오르면 녹아서 액체상태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그리스는 고온에서도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기계 부품의 보호와 윤활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는 윤활제 중에서도 고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 전기 스위치류의 취급에 관한 안전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 스위치를 끊을 때에는 부하를 가볍게 하여 끊도록 한다.
  2. 전기 스위치의 위치는 잘 보이지 않고, 조작하기 어려운 곳이어야 한다.
  3. 정전은 검사기구로 확인한다.
  4. 메인 스위치의 개폐는 관계작업자에게 신호 및 연락을 해야 한다.
(정답률: 92%)
  • 전기 스위치의 위치가 잘 보이지 않고, 조작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하면, 긴급 상황에서 스위치를 끄기 어렵고, 사고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려워져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 스위치의 위치는 쉽게 보이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삭 조건에서 거친 입도의 연삭숫돌을 사용함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1. 거친 연삭, 절삭깊이와 이송량이 클 때
  2. 숫돌과 가공물의 접촉 면적이 클 때
  3. 연하고 연성이 있는 재료를 연삭할 때
  4. 다듬질 연삭, 공구 연삭을 할 때
(정답률: 40%)
  • 다듬질 연삭이나 공구 연삭은 정밀한 가공이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거친 입도의 연삭숫돌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가공물의 표면을 부드럽게 다듬거나 공구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정밀한 접촉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에서는 입도가 더 미세한 다른 종류의 연삭숫돌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링 머신은 주축에 고정한 밀링 커터를 회전시키고 테이블 위에 고정한 일감에 적삭 깊이와 이송을 주어 절삭하는 공작 기계이다. 이러한 밀링 머신으로 작업할 수 없는 것은?

  1. 평면 절삭
  2. 기어 절삭
  3. 원통 절삭
  4. 나선홈 절삭
(정답률: 65%)
  • 밀링 머신은 주축과 테이블이 평면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원통 형태의 일감을 가공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원통 절삭은 밀링 머신으로 작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구성인선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2.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3. 절삭 속도를 크게 한다.
  4. 바이트 인선에 절삭제를 주입한다.
(정답률: 70%)
  • 정답: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절삭 깊이를 크게 하면 한 번에 많은 양의 재료를 제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은 높아지지만, 동시에 구성인선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구성인선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 사항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바깥지름의 측정에 사용되는 것은?

  1. 판형 플러그 게이지
  2. 사인 바
  3. 스냅 게이지
  4. 탄젠트 바
(정답률: 41%)
  • 바깥지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도구가 원형의 외부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때 스냅 게이지는 측정 도구의 끝 부분이 원형의 외부에 위치하며, 측정 도구를 원형에 대고 누르면 스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바깥지름 측정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스냅 게이지가 바깥지름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이나 경우에 연삭 입자를 혼합하여 공구의 진동면과 일감 사이에 주입시켜 가며 초음파에 의한 상하 진동으로 표면을 다듬는 방법은?

  1. 방전 가공
  2. 전자 빔 가공
  3. 이온 가공
  4. 초음파 가공
(정답률: 86%)
  • 주어진 공구의 진동면과 일감 사이에 연삭 입자를 혼합하여 가며, 초음파에 의한 상하 진동으로 표면을 다듬는 방법은 "초음파 가공"입니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 유일하게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반적으로 세이퍼 가공에 사용하는 공구의 명칭은?

  1. 엔드 밀
  2. 바이트
  3. 호브
  4. 드릴
(정답률: 47%)
  • 세이퍼 가공에서는 바이트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바이트는 회전하는 칼날로, 재료를 절삭하여 가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이트는 세이퍼 가공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롤러의 중심거리가 100 mm인 사인 바로 5˚ 의 테이퍼를 측정하려면 약 몇 mm의 게이지 블록이 필요한가?

  1. 8.72
  2. 7.72
  3. 4.36
  4. 3.36
(정답률: 33%)
  • 사인 바로 5˚의 각도에 해당하는 삼각비는 0.08716이다. 따라서 롤러 중심에서 게이지 블록까지의 거리는 100 mm x 0.08716 = 8.716 m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8.72 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대략구분)

11. 공구재료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상온과 고온에서의 경도가 높아야 한다.
  2. 내마멸성이 작아야 한다.
  3. 강인성이 커야 한다.
  4. 열처리와 공작이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77%)
  • 내마멸성이 작아야 하는 이유는 공구재료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마찰, 충격, 부식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마멸성이 작을수록 이러한 영향에 더 잘 견딜 수 있으며, 따라서 공구재료의 내구성과 수명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열전도율이 큰 것부터 옳게 나열한 것은?

  1. Cu > Al > Ag > Pt
  2. Ag > Cu > Al > Pt
  3. Pt > Al > Cu > Ag
  4. Al > Pt > Ag > Cu
(정답률: 56%)
  • 정답: Ag > Cu > Al > Pt

    열전도율은 금속의 전자의 이동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자의 이동성이 높을수록 열전도율이 높아집니다.

    Ag (은)은 전자의 이동성이 매우 높아 열전도율이 가장 높습니다.
    Cu (구리)는 Ag보다는 전자의 이동성이 낮지만, 그래도 Al보다는 높아서 두 번째로 열전도율이 높습니다.
    Al (알루미늄)은 Cu보다는 전자의 이동성이 높지만, Ag보다는 낮아서 세 번째로 열전도율이 높습니다.
    Pt (백금)는 전자의 이동성이 가장 낮아서 열전도율이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름 30 mm인 연강재의 환봉에 축선과 직각으로 3000 kgf의 전단하중이 작용할 때 막대에 생기는 전단 응력은 약 몇 kgf/mm2 인가?

  1. 9
  2. 12.7
  3. 6.3
  4. 4.24
(정답률: 30%)
  • 전단 응력은 τ = F/A 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F는 전단하중, A는 단면적입니다.

    환봉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해 먼저 반지름을 구해보겠습니다. 지름이 30mm 이므로 반지름은 15mm 입니다. 따라서 단면적은 πr^2 = 3.14 x 15^2 = 706.5 mm^2 입니다.

    전단 응력은 τ = F/A = 3000 kgf / 706.5 mm^2 = 4.24 kgf/m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4" 이며, 이는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전단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마찰 원통 커플링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큰 토크를 전달하는데 적당하다.
  2. 긴 전동축의 연결에 편리하다.
  3. 설치 및 분해가 쉽다.
  4. 분할통은 중앙에서 양단을 향하여 1/20 ~ 1/30의 테이퍼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34%)
  • "큰 토크를 전달하는데 적당하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마찰 원통 커플링은 분할통의 테이퍼 각도에 따라 토크 전달 능력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1/20 ~ 1/30의 테이퍼 각도를 가지므로 큰 토크를 전달하는데 적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프링상수 K=2 kgf/mm 인 원통형코일스프링에 20 kgf의 인장하중이 걸려 있다면, 이 때 스프링의 늘어남은 얼마인가?

  1. 10mm
  2. 2mm
  3. 0.2mm
  4. 0.1mm
(정답률: 74%)
  • 스프링의 늘어남은 길이는 인장하중과 스프링상수, 그리고 초기 길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늘어남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늘어남의 길이 = 인장하중 / 스프링상수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늘어남의 길이 = 20 kgf / 2 kgf/mm = 10 mm

    따라서 정답은 "1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플라스틱 재료의 공통된 성질로서 옳지 못한 것은?

  1.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2. 내식성 및 내약품성이 있다.
  3. 표면경도가 금속재료에 비해 강하다.
  4. 열에 약하다.
(정답률: 85%)
  • 플라스틱 재료의 공통된 성질 중 옳지 못한 것은 "표면경도가 금속재료에 비해 강하다." 입니다. 이는 플라스틱 재료가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하기 때문에 표면경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벽주철을 고온도로 장시간 풀림해서 시멘타이트를 분해 또는 감소시키고 인성이나 연성을 증가시킨 주철로 대량 생산품에 사용되는 흑심, 백심, 펄라이트계로 구분되는 주철은?

  1. 칠드주철
  2. 회주철
  3. 가단주철
  4. 구상흑연주철
(정답률: 46%)
  • 가단주철은 벽주철을 고온도로 장시간 풀림하여 시멘타이트를 분해 또는 감소시키고 인성이나 연성을 증가시킨 주철로, 흑심, 백심, 펄라이트계로 구분되는 대량 생산품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단주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장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은?

  1. 안장 키
  2. 평 키
  3. 묻힘 키
  4. 스플라인
(정답률: 69%)
  • 스플라인은 곡선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회전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크고 온도가 600℃ 정도까지 열을 주어도 연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텅스텐(16%), 크롬(4%), 바나튬(1%)로 조성된 강은?

  1. 합금공구강
  2. 다이스강
  3. 고속도공구강
  4. 탄소공구강
(정답률: 41%)
  • 고속도공구강은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온도가 높아도 연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고속도공구 제조에 많이 사용되며, 합금공구강, 다이스강, 탄소공구강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구리에 아연을 5~20%를 첨가한 것으로 색깔이 아름답고 장식품에 많이 쓰이는 황동은?

  1. 문쯔메탈
  2. 포금
  3. 톰백
  4. 7:3황동
(정답률: 55%)
  • 톰백은 구리와 아연을 90:10 비율로 합금한 것으로, 황동보다 더 밝은 색상을 가지고 있어 장식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구리에 아연을 첨가한 황동 중에서 색깔이 가장 밝고 아름다운 것이 톰백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 방향에만 유체가 흘러가게 한 밸브는?

  1. 게이트 밸브
  2. 감압 밸브
  3. 첵 밸브
(정답률: 66%)
  • 첵 밸브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첵이라는 부품이 유체의 흐름을 막거나 열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게이트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열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역류 방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콕과 감압 밸브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베어링의 재료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충격하중에 강할 것
  2. 가공이 쉬울 것
  3. 부식에 강할 것
  4. 마모가 적고 피로강도가 작을 것
(정답률: 61%)
  • 마모가 적고 피로강도가 작을 것은 잘못된 조건입니다. 베어링은 회전 운동을 하는 부품으로서 지속적인 마찰과 부하에 노출되기 때문에 마모와 피로강도가 높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마모와 피로강도가 높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다이캐스팅 합금으로 요구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유동성이 좋을 것
  2.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 것
  3. 응고수축에 대한 용탕 보급성이 좋을 것
  4. 열간취성이 적은 것
(정답률: 45%)
  • 다이캐스팅 합금으로 요구되는 성질 중에서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 것"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금형과 합금 사이의 접착력이 강할수록 제품의 정확도와 표면 품질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수록 다이캐스팅 공정의 효율성과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계요소 부품 중에서 직접 전동용 기계요소에 속하는 것은?

  1. 벨트
  2. 기어
  3. 로프
  4. 체인
(정답률: 60%)
  • 기어는 전동용 기계요소 중에서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거나 변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기어는 직접 전동용 기계요소에 속합니다. 반면에 벨트, 로프, 체인은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으로, 기어와 달리 직접적인 동력 전달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제동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브레이크
  2. 커플링
  3. 마찰차
(정답률: 83%)
  • 제동 장치는 차량을 멈추거나 속도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제동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브레이크" 입니다. 커플링은 차량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캠은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찰차는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제동을 하는 역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CAD의 이용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설계의 생산성 향상
  2. 설계시간 연장
  3. 설계작업의 표준화
  4. 설계작업의 정확성
(정답률: 87%)
  • 설계시간 연장은 CAD의 이용효과가 아니라 부작용입니다. CAD를 사용하면 설계의 생산성 향상, 설계작업의 표준화, 설계작업의 정확성 등의 이점이 있지만, 초기에는 CAD 소프트웨어를 익히는 데 시간이 걸리고, 복잡한 설계 작업에서는 CAD 소프트웨어의 성능에 따라 작업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시간 연장은 CAD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CNC 공작기계의 특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기계 기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제조원가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9%)
  • 기계 기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CNC 공작기계가 고장이나 장애가 발생할 경우 기계 작동이 멈추어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NC 공작기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CNC 공작기계는 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제조원가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여러 대의 공작기계가 컴퓨터와 직접 연결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생산시스템으로서 중앙컴퓨터, NC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 통신선, 공작기계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은?

  1. CNC
  2. DNC
  3. CAM
  4. FA
(정답률: 70%)
  • DNC는 여러 대의 공작기계가 컴퓨터와 직접 연결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생산시스템을 의미합니다. CNC는 단일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며, CA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설계하고 가공하는 시스템입니다. FA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NC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AD/CAM 시스템용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라이트 펜
  2. 키보드
  3. 마우스
  4. 프린터
(정답률: 85%)
  • 프린터는 출력장치이기 때문에 CAD/CAM 시스템용 입력장치가 아닙니다. 입력장치는 디지타이저, 라이트 펜,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CNC선반 프로그램 중 G97 S120 M03에서 S120 이 의미하는 것은?

  1. 120/min으로 원주속도 일정제어
  2. 120rpm으로 회전수 일정제어
  3. 120mm/min으로 공구이송 일정제어
  4. 120mm/rev로 공구이송 일정제어
(정답률: 57%)
  • G97 S120 M03에서 S120은 회전속도를 나타내며, 단위는 rpm(회전수 일정제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rpm으로 회전수 일정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메카트로닉스 일반(대략구분)

31. CNC공작기계에서 서보 모터의 회전을 받아서 테이블을 움직이는 나사는?

  1. 불나사
  2. 삼각나사
  3. 사각나사
  4. 사다리꼴나사
(정답률: 55%)
  • CNC공작기계에서 서보 모터의 회전을 받아서 테이블을 움직이는 나사는 "불나사"입니다. 이는 불나사가 나사의 기울기가 작아서 정밀한 움직임이 가능하며, 불나사의 나사 간격이 작아서 높은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불나사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CNC공작기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이동 중에 가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PTP 제어라고도 하며 드릴링 작업이나 스폿 용접에 사용되는 제어방식은?

  1. 위치결정 제어
  2. 직선절삭 제어
  3. 윤곽절삭 제어
  4. 형상결정 제어
(정답률: 69%)
  • 위치결정 제어는 이동 중에 가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PTP 제어이며, 이동 경로상의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드릴링 작업이나 스폿 용접과 같은 정밀한 작업에 적합합니다. 이에 반해, 직선절삭 제어는 직선 경로를 따라 가공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이며, 윤곽절삭 제어는 물체의 윤곽을 따라 가공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형상결정 제어는 물체의 형상을 따라 가공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으로, 위치결정 제어와 유사하지만 물체의 형상을 고려하여 가공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머시닝센터에서 제2원점 복귀 지령은?

  1. G28
  2. G29
  3. G30
  4. G32
(정답률: 58%)
  • 머시닝센터에서 G30은 제2원점으로 복귀하는 지령입니다. 다른 보기인 G28은 홈 위치로 이동하는 지령이고, G29은 그리드 패턴으로 이동하는 지령이며, G32는 토크 튜닝을 위한 지령입니다. 따라서, 제2원점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G30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3차원 형상 모델링 방법이 아닌 것은?

  1. 세그먼트 모델링
  2.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3. 솔리드 모델링
  4. 서피스 모델링
(정답률: 44%)
  • 세그먼트 모델링은 3차원 형상 모델링 방법이 아닙니다. 세그먼트 모델링은 이미지나 비디오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분할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를 모델링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3차원 공간에서 모델링하는 것이 아니라 2차원 이미지나 비디오에서 객체를 분할하여 모델링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머시닝 센터에서 탭으로 M18×2의 암나사를 가공하려고 한다. 다음 중 적합한 드릴의 직경은 얼마인가?

  1. 16
  2. 18
  3. 20
  4. 22
(정답률: 52%)
  • M18×2의 나사는 18mm의 직경을 가지므로, 나사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드릴을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나사 직경의 90% 정도의 드릴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M18×2의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16mm의 드릴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래 그림은 방향 제어 밸브의 기호이다.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3포트 3위치 밸브
  2. 4포트 3위치 밸브
  3. 3포트 4위치 밸브
  4. 4포트 2위치 밸브
(정답률: 76%)
  • 정답은 "4포트 3위치 밸브"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4포트: 이 밸브는 4개의 포트가 있으며, 각각의 포트는 다른 파이프나 튜브와 연결될 수 있다.
    - 3위치: 이 밸브는 3개의 위치를 가지며, 각 위치에서는 다른 포트들이 서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밸브는 4개의 포트와 3개의 위치를 가지므로 "4포트 3위치 밸브"라고 명칭한다.

    다른 보기들은 포트나 위치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에서 압력제어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릴리프밸브
  2. 무 부하밸브
  3. 교축밸브
  4. 감압밸브
(정답률: 62%)
  • 압력제어밸브는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밸브로, 릴리프밸브, 무 부하밸브, 감압밸브가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교축밸브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로, 압력을 제어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축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압 장치의 부속 기기가 아닌 것은?

  1. 축압기
  2. 여과기
  3. 오일 탱크
  4. 진공 펌프
(정답률: 60%)
  • 유압 장치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유체를 공급하고 저장하는 부속 기기들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축압기", "여과기", "오일 탱크"는 모두 유압 장치의 부속 기기입니다. 반면에, "진공 펌프"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하지 않는 기계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유압 장치의 부속 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압 장치의 기본시스템이 아닌 것은?

  1. 동력원
  2. 공기압축기
  3. 제어밸브
  4. 유압펌프
(정답률: 74%)
  • 공압 장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시스템이므로 유압펌프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유압펌프는 유압장치에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공압 실린더는 간이자동화장치로 핸들링(handling)에 많이 활용 된다. 공압단동 실린더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클램핑
  2. 프레싱
  3. 이젝팅
  4. 로터링
(정답률: 51%)
  • 로터링은 회전 운동을 하는 장비나 부품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는 공압단동 실린더로는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공압 실린더의 용도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터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압축공기 중에 기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공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1. 피스톤 압축기
  2. 격판 압축기
  3. 스크루 압축기
  4. 베인 압축기
(정답률: 39%)
  • 격판 압축기는 압축 공기를 생산할 때 기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축기입니다. 이는 격판 압축기가 기름이나 물같은 불순물을 분리하는 필터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깨끗한 공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의료, 식품, 전자, 반도체 등의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바꾸는 유압기기는?

  1. 공기압축기
  2. 유압 펌프
  3. 오일 탱크
  4. 유망제어 밸브
(정답률: 85%)
  • 유압 펌프는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유압 유체를 이동시켜 유압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따라서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바꾸는 유압기기는 유압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래 그림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졌을 때, F1의 힘의 크기는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A1 = 100 cm2, A2 = 1000 cm2, F2 = 2000 N)

  1. 200 N
  2. 400 N
  3. 20000 N
  4. 40000 N
(정답률: 71%)
  •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A1에 작용하는 힘 F1은 A2에 작용하는 힘 F2와 같은 압력을 만들어야 한다.
    즉, F1/A1 = F2/A2 이므로 F1 = F2 × A1/A2 = 2000 × 100/1000 = 200 N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 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력변동에 대하여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밸브는?

  1. 가변 스로들밸브
  2. 압력 보상형 유량제어밸브
  3. 카운터 밸런스밸브
  4. 파일럿 제어밸브
(정답률: 56%)
  • 압력 보상형 유량제어밸브는 압력 변동에 따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압력 보상장치가 있어서, 압력 변동에 따라 밸브의 개폐도 조절되어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 변동이 큰 곳에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이 밸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간지연 밸브의 구성요소와 관계없는 것은?

  1. 압력 증폭기
  2. 공기 탱크
  3. 3방향 2위치 방향제어 밸브
  4. 속도조절 밸브
(정답률: 54%)
  • 압력 증폭기는 시간지연 밸브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다른 유체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시간지연 밸브는 일정 시간 동안 유체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3방향 2위치 방향제어 밸브, 속도조절 밸브, 공기 탱크 등의 구성요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기-공압 제어계의 구성요소 중에서 신호입력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전기모터
  2. 전자계전기
  3. 전자방향제어 밸브
  4. 리밋스위치
(정답률: 65%)
  • 리밋스위치는 기계나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스위치로, 기계나 장치의 동작 위치나 위치 제한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전기-공압 제어계에서는 리밋스위치가 신호입력요소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간을 지연시켜 접점을 개폐하는 제어기기는?

  1. 타이머
  2. 근접센서
  3. 전자계전기
  4. 리밋스위치
(정답률: 79%)
  • 타이머는 시간을 지연시켜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접점을 개폐하는 제어기기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타이머"입니다. 근접센서는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전자계전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기기, 리밋스위치는 기계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측정대상 물체와 직접 접촉을 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는?

  1. 리밋스위치
  2. 광전스위치
  3. 근접스위치
  4. 초음파스위치
(정답률: 69%)
  • 리밋스위치는 물체와 직접 접촉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입니다. 다른 스위치들은 광, 전자파, 음파 등을 이용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LC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2. 산술연산, 비교연산, 데이터처리는 할 수 없다.
  3. 시스템의 진행상황과 내부 논리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4. 계전기, 카운터, 타이머 등의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
(정답률: 82%)
  •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제어기입니다. 따라서 PLC는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며, 시스템의 진행상황과 내부 논리상황을 감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LC는 산술연산, 비교연산, 데이터처리를 할 수 없습니다. 이는 PLC가 주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LC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하는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형기반 언어로 현재 널리 사용되는 PLC 언어는?

  1. 니모닉 방식
  2. 래더도 방식
  3. 플로차트 방식
  4. 타임차트 방식
(정답률: 73%)
  • PLC 언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래더도 방식입니다. 이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라는 도형기반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래더 다이어그램은 전기 회로를 그릴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PLC에서도 이를 적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합니다. 래더 다이어그램은 각각의 도형이 전기 회로의 스위치나 센서 등과 같은 요소를 나타내며, 이를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이러한 래더 다이어그램은 PLC 프로그래밍을 쉽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PLC의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검출용 스위치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은?

  1. 리밋스위치
  2. 액면스위치
  3. 광전스위치
  4. 유지형 수동스위치
(정답률: 64%)
  • 유지형 수동스위치는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회로가 닫혀있으며, 손을 떼면 다시 열립니다. 따라서 검출용 스위치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리밋스위치, 액면스위치, 광전스위치는 스위치를 누르거나 물체가 닿으면 회로가 닫히기 때문에 검출용 스위치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되먹임 제어계에서 제어대상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을 측정하여 기준입력과 비교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제어요소
  2. 조작부
  3. 제어대상
  4. 검출부(되먹임 요소)
(정답률: 78%)
  • 검출부(되먹임 요소)는 제어대상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을 측정하여 기준입력과 비교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장치는 되먹임 제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검출부(되먹임 요소)는 제어 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유도형 센서(고주파 발진형 근접 스위치)가 검출 할 수 없는 물질은?

  1. 구리
  2. 황동
  3. 플라스틱
(정답률: 89%)
  • 유도형 센서는 고주파를 발생시켜서 그 주파수에 대한 반응을 검출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 때, 고주파는 금속 물질에 대한 반응이 높기 때문에 금속 물질을 검출하는 데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금속이 아니기 때문에 유도형 센서가 검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로봇의 구동 요소 중에서 피드백 신호 없이 구동축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것은?

  1. 스테핑 모터
  2. DC 모터
  3. 공압 구동장치
  4. 유압 구동장치
(정답률: 64%)
  • 스테핑 모터는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터로, 구동축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터 내부의 로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피드백 신호 없이도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가 피드백 신호 없이 구동축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유일한 구동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동화 시스템의 작업 요소별 구성요소에서 가공, 조립, 검사 등의 작업을 위해서 일강을 요구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교정시켜 주는 기능을 가진 것은?

  1. 감시장치
  2. 제어장치
  3. 치공구
  4. 창고 시스템
(정답률: 75%)
  • 치공구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가공, 조립, 검사 등의 작업을 위해 필요한 일강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교정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감시, 제어, 창고 관리 등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추종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해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
  2. 목표값이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제어
  3. 목표값이 시간적으로 임의로 변하는 경우의 제어
  4. 목표값의 변화가 미리 정하여져 있어 그 정하여진 대로 변화하는 것
(정답률: 49%)
  • 추종제어는 주어진 목표값에 따라 제어 대상을 움직이는 제어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중 "목표값이 시간적으로 임의로 변하는 경우의 제어"가 옳은 이유는, 제어 대상이 움직이는 동안 목표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로봇이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그 지점의 위치가 계속해서 변할 수 있다면, 로봇은 그에 맞게 움직여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 추종제어를 사용하여 목표값에 따라 로봇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리드 스위치의 구비 조건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가스, 수분 등 외부 환경의 영향에도 안정되게 동작하여야 한다.
  2. 소형 경량이며 값이 싸야 한다.
  3. ON/OFF 동작시간이 느리며 수명이 길어야 한다.
  4. 접점은 내식, 내마열성이 우수하고 개폐동작이 안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6%)
  • ON/OFF 동작시간이 느리며 수명이 길어야 한다는 것은 알맞지 않은 조건입니다. 리드 스위치는 빠른 동작시간과 짧은 수명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오히려 알맞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LC 출력부에 사용하는 출력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고속카운터 유닛
  2. 위치결정 유닛
  3. 아날로그 출력 유닛
  4. 릴레이 출력
(정답률: 29%)
  • PLC 출력부에 사용하는 출력은 디지털 출력과 아날로그 출력이 있습니다. 고속카운터 유닛은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유닛으로, 출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PLC 출력부에 사용하는 출력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 동물 이용한 기계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 을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1. 자동화(automation)
  2. 기계화(mechanization)
  3. 제어(control)
  4. 수치제어선반(CNC)
(정답률: 86%)
  • 자동화는 작업을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정답은 "자동화"입니다. 기계화는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해 기계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제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치제어선반(CNC)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프로세스 제어의 제어량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압력
  2. 온도
  3. 농도
  4. 회전속도
(정답률: 31%)
  • 압력, 온도, 농도는 모두 프로세스 제어의 제어량으로 적합한 변수들입니다. 그러나 회전속도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장치의 속도를 나타내는 변수이며, 프로세스 제어의 제어량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회전속도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기계나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며, 프로세스 제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