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생산자동화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대략구분)

1. 연삭숫돌 결합제에서 다이아몬드 입자와 구리, 황동 등의 분말을 분말 야금법으로 결합하는 것은 무슨 결합제에 속하나?

  1. 고무 결합제
  2. 금속 결합제
  3. 비트리파이드 결합제
  4. 실리케이트 결합제
(정답률: 71%)
  • 다이아몬드 입자와 구리, 황동 등의 분말을 분말 야금법으로 결합하는 것은 금속 결합제에 속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입자와 금속 분말이 서로 금속 결합을 이루어 결합되기 때문입니다. 금속 결합제는 금속 입자들이 전자를 공유하거나 전자를 이동시켜 결합하는 결합제로, 다양한 금속과 결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절삭저항 3분력이 아닌 것은?

  1. 표면분력
  2. 주분력
  3. 이송분력
  4. 배분력
(정답률: 74%)
  • 절삭저항은 유체의 저항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체의 운동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표면분력은 유체와 고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분력으로, 유체의 운동 상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절삭저항 3분력이 아닌 것은 "표면분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름이 50 ㎜ 인 연강 둥근 막대를 선반에서 절삭할 때, 주축의 회전수를 100 rpm 이라하면 절삭속도는 몇 m/min인가?

  1. 15.7
  2. 20.4
  3. 25.3
  4. 29.7
(정답률: 66%)
  • 절삭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절삭속도 = π × 지름 × 주축의 회전수 ÷ 1000

    여기서 π는 3.14, 지름은 50mm, 주축의 회전수는 100rpm 입니다.

    따라서, 절삭속도 = 3.14 × 50 × 100 ÷ 1000 = 15.7 (m/min)

    따라서, 정답은 "15.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각도 측정에 사용하는 사인바의 호칭 치수는?

  1. 롤러의 직경
  2. 양쪽 롤러의 중심사이 거리
  3. 사인바의 폭
  4. 사인바의 전체 길이
(정답률: 70%)
  • 사인바는 측정하려는 물체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때, 사인바의 호칭 치수는 양쪽 롤러의 중심사이 거리입니다. 이는 사인바가 물체의 각도를 측정할 때, 물체의 끝부분을 롤러에 대고 사인바를 회전시키면서 각도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양쪽 롤러의 중심사이 거리가 사인바의 호칭 치수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절삭유 중에서 지방질유에 해당되는 것은?

  1. 경유
  2. 스핀들유
  3. 기계유
  4. 종자유(seed oil)
(정답률: 75%)
  • 절삭유 중에서 지방질유에 해당되는 것은 종자유(seed oil)입니다. 이는 종자에서 추출되는 유로, 지방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경유, 스핀들유, 기계유는 모두 절삭유이지만, 지방질보다는 단백질, 탄수화물 등 다른 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웜기어 등을 가공하는 기어가공용 공작기계는?

  1. 호빙 머신
  2. 브로칭 머신
  3. 방전가공기
  4. 브릴링 머신
(정답률: 55%)
  • 호빙 머신은 회전하는 원통형 작업물에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기어의 치수와 형상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브로칭 머신은 직선적인 칼날을 이용하여 작업물을 가공하며, 방전가공기는 전기 방전을 이용하여 작업물을 가공하고, 브릴링 머신은 구멍을 뚫는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나의 측정기에 외경, 내경, 깊이 등을 측정 할 수 있도록 만든 측정기는?

  1. 다이얼 게이지
  2. M1형 버니어 캘리퍼스
  3. 다이얼 테스트 인디게이터
  4. 게이지 블록
(정답률: 73%)
  • M1형 버니어 캘리퍼스는 외경, 내경, 깊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범용 측정기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모든 측정을 한번에 할 수 있습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다이얼 테스트 인디게이터는 표면의 평평함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게이지 블록은 두 개의 표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삭에서 결합도에 따른 경도의 선정기준 중 결합도가 높은 숫돌(단단한 숫돌)을 사용해야 할 때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연삭 깊이가 클 때
  2. 경도가 큰 가공물을 연삭할 때
  3. 접촉 면적이 작을 때
  4. 숫돌차의 원주 속도가 빠를 때
(정답률: 42%)
  • 결합도가 높은 숫돌은 경도가 높기 때문에 연삭 깊이가 깊어질수록 숫돌의 마모가 심해지고, 경도가 큰 가공물을 연삭할 때는 숫돌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결합도가 높은 숫돌을 사용할 때는 접촉 면적이 작은 작은 부분을 연삭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숫돌과 가공물 사이의 마찰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액상 또는 기체상의 연료성 화재(휘발유, 벤젠 등)는 어느 화재의 분류에 속하는가?

  1. D급 화재
  2. C급 화재
  3. B급 화재
  4. A급 화재
(정답률: 72%)
  • 액상 또는 기체상의 연료성 화재는 B급 화재에 속합니다. 이는 연소시키는 물질이 액체나 기체인 화재로, 휘발성이 높은 물질로 인해 불이 붙으면 빠르게 확산되어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B급 화재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스, 휘발유, 알코올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링머신에서 직접 분할법을 사용할 때 다음 중 분할이 가능한 분등은?

  1. 12, 8, 6, 3 등분
  2. 28, 16, 8, 6 등분
  3. 24, 16, 8, 3 등분
  4. 24, 14, 12, 6 등분
(정답률: 68%)
  • 밀링머신에서 직접 분할법을 사용할 때는 분할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각도를 "분할 가능 각도" 라고 합니다. 이 각도는 밀링머신의 회전축과 분할기의 회전축이 이루는 각도로 결정됩니다.

    분할 가능 각도는 일반적으로 360도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눈 값이 됩니다. 예를 들어, 360도를 2의 4승으로 나누면 22.5도가 됩니다. 따라서 22.5도 간격으로 분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12, 8, 6, 3 등분"은 360도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나누어 떨어지기 때문에 분할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28, 16, 8, 6 등분"은 360도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분할이 불가능합니다.

    "24, 16, 8, 3 등분"은 360도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분할이 불가능합니다. "24, 14, 12, 6 등분"은 360도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분할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대략구분)

11. 암이나 리브, 림 등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 회전도시 단면도로 나타내려고 한다. 이 단면 현상을 도형 내의 절단한 곳에 겹쳐서 나타날 때는 어떤 선을 사용해야 하는가?

  1. 가는 실선
  2. 굵은 실선
  3. 가는 1점 쇄선
  4. 가는 파선
(정답률: 39%)
  • 회전도시 단면도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선을 가는 실선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단면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른 선들과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가는 실선은 단면의 경계를 명확하게 나타내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나사 기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 관용 테이퍼 나사
  2. : 관용 평행 암나사와 관용 테이퍼 수나사
  3. M50×3 : 미터 가는 나사
  4. : 유니파이 보통 나사
(정답률: 60%)
  • " : 관용 테이퍼 나사"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관용 테이퍼 나사는 나사의 지름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나사의 각도는 1/16이며, 주로 파이프나 호스 등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어를 도시하는데 있어서 선의 사용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잇봉우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2. 피치원은 가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3. 이골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4. 잇줄방향은 보통 3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40%)
  • 기어를 도시할 때 잇줄은 기어의 각 부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잇줄방향은 보통 3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기어의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잇줄이 교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함으로써 잇줄이 끊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공 표면의 지시기호에서 각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 는 컷오프값 · 평가 길이이다.
  2. Y 는 가공기계의 약호이다.
  3. X 는 가공방법의 약호이다.
  4. a 는 표면거칠기의 지시값이다.
(정답률: 64%)
  • Y는 가공기계의 약호가 아니라, 가공기계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지시기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의 도면은 드릴 지그의 조립도이다. 드릴이 안내되는 구멍부분 품번② 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시(Bush)
  2. 레버(Lever)
  3. 축(Shaft)
  4. 캡(Cap)
(정답률: 60%)
  • 그림에서 품번②은 구멍을 통해 드릴 지그를 고정하는 부품이다. 이 부품은 구멍과 드릴 지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드릴 지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으로는 부시(Bush)가 가장 적합하다. 부시는 구멍 안쪽에 설치되어 구멍과 드릴 지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드릴 지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부시(Bus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면에 굵은 1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을 경우 다음 중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가?

  1. 기어의 피치선이다.
  2. 인접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 선이다.
  3. 특수 가공을 지시하는 선이다.
  4. 이동 위치를 표시하는 선이다.
(정답률: 72%)
  • 굵은 1점 쇄선은 특수 가공을 지시하는 선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선과는 구분하기 위해 굵은 선으로 표시되며, 해당 부분에 특수한 가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절단, 가공, 용접 등의 특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방향이 정면일 경우 제3각법으로 투상한 도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8%)
  • 정면에서 본 경우, 뒤쪽에 있는 물체들이 앞쪽에 있는 물체들보다 작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제3각법으로 투상한 도면에서는 뒤쪽에 있는 물체들이 앞쪽에 있는 물체들보다 작게 그려져야 합니다. 이를 고려할 때, ""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하 공차를 적용할 때, 단독형체에 적용하는 공차는?

  1. 원통도 공차
  2. 위치도 공차
  3. 동심도 공차
  4. 평행도 공차
(정답률: 56%)
  • 원통도 공차는 기하 공차 중 하나로, 원통의 형태와 크기에 대한 공차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단독형체에 적용하는 공차는 원통도 공차입니다. 다른 공차들은 평면이나 선에 대한 공차를 나타내는데, 단독형체는 이러한 평면이나 선이 아닌 3차원적인 형태를 가지므로 원통도 공차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하공차의 표시 방법 중 원통 도 공차를 표시한 것은?

(정답률: 69%)
  • 원통 도 공차는 원통의 지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각도, 길이, 면적 공차를 나타내는 표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합금 공구강 강재에 해당하는 재료 기호는?

  1. SS.330
  2. SHP 1
  3. STS 31
  4. SCM 415
(정답률: 69%)
  • 합금 공구강 강재는 주로 스테인리스 강재로 만들어지며, STS는 Stainless Steel의 약자입니다. 따라서 STS 31은 스테인리스 강재 중에서도 31번재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바꾸는 유압기기는?

  1. 공기 압축기
  2. 유압 펌프
  3. 오일 탱크
  4. 유압제어 밸브
(정답률: 84%)
  • 유압 펌프는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유압 유체를 이동시켜 유압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따라서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바꾸는 유압기기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파스칼의 원리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정지 유체내에 가해진 압력은 깊이에 비례하여 전달된다.
  2. 정지 유체내에 가해진 압력은 깊이에 반비례하여 전달된다.
  3. 정지 유체내에 가해진 압력은 길이의 제곱에 비례 전달된다.
  4. 밀폐된 용기내에 가해진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전달된다.
(정답률: 65%)
  • 밀폐된 용기내에 가해진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전달된다는 것은, 압력이 가해진 지점에서부터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압력이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유체 분자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이 가해지는 지점에서부터 모든 방향으로 분자들이 서로 밀어내며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스칼의 원리는 밀폐된 용기내에서 압력이 균등하게 전달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력의 표시단위가 아닌 것은?

  1. Pa
  2. bar
  3. atm
  4. N・m
(정답률: 77%)
  • "N・m"은 힘과 거리의 곱으로 일을 나타내는 단위인 뉴턴미터(N・m)이므로 압력의 표시단위가 아닙니다. 압력의 표시단위는 "Pa"(파스칼), "bar", "atm"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공압 실린더의 공기를 급속히 방출시켜서 실린더의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밸브는?

  1. 속도제어 밸브
  2. 급속배기 밸브
  3. 스로틀 밸브
  4. 스톱 밸브
(정답률: 80%)
  • 공압 실린더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방출시켜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밸브가 바로 "급속배기 밸브" 입니다. 이 밸브는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방출시켜서 실린더의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속한 속도 증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공기 압축기의 선정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기의 송출압력과 이론 공기공급량을 정하여 산정한다.
  2. 소용량의 압축기를 병렬로 여러 대 설치하는 것이 대용량 1대보다 효율적이다.
  3. 사용 공기량의 수요 증가 또는 공기 누설을 고려하여 1.5~2배 정도 여유를 둔다.
  4. 대용량 압축기 1대로 집중공급 시 불시의 고장으로 작업 중단을 예방하기 위해 2대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8%)
  • "소용량의 압축기를 병렬로 여러 대 설치하는 것이 대용량 1대보다 효율적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소용량의 압축기를 여러 대 설치하면 각 압축기의 운전 효율이 떨어지고,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대용량 1대를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축압기(어큐뮬레이터)의 용도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에너지 축척용
  2. 펌프 맥동 흡수용
  3. 충격압력의 완충용
  4. 유체 분배용
(정답률: 67%)
  • 축압기(어큐뮬레이터)는 에너지 축척용, 펌프 맥동 흡수용, 충격압력의 완충용으로 적합합니다. 그러나 유체 분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축압기가 유체를 저장하거나 분배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입니다. 축압기는 압축 공기나 유체를 저장하여 에너지를 축적하고, 필요할 때 이를 방출하여 유체나 공기를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체 분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압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유압 펌프
  2. 에어 컴프레셔
  3. 유압제어 밸브
  4. 오일 탱크
(정답률: 82%)
  • 에어 컴프레셔는 유압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압장치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데 반해, 에어 컴프레셔는 공기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따라서 유압장치와는 별개의 기술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량을 제어하는 교축 밸브 중 유압구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밸브로써, 기름의 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두 방향의 흐름을 항상 제어하는 밸브는?

  1. 스톱 밸브
  2. 스로틀 밸브
  3. 스로틀 체크 밸브
  4. 서보유압 밸브
(정답률: 56%)
  • 스로틀 밸브는 유압구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축 밸브 중 하나로, 기름의 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두 방향의 흐름을 항상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밸브 내부의 구조가 흐름을 제어하는 슬라이드나 피스톤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는 유량을 조절하거나 유압압력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보기는 공압 액추에이터 중에서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복동 실린더
  2. 단동 실린더
  3. 베인형 공압 모터
  4. 격판 실린더
(정답률: 80%)
  • 이 그림은 피스톤이 양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복동 실린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반적으로 공압 액추에이터나 공압 기기의 작동압력(kgf/cm2) 으로 가장 알맞은 압력은?

  1. 1~2
  2. 4~6
  3. 10~15
  4. 40~55
(정답률: 74%)
  • 공압 액추에이터나 공압 기기의 작동압력은 일반적으로 4~6 kgf/cm2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공압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 압력 범위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작동 불안정이나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일반적인 공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력 범위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메카트로닉스 일반(대략구분)

31. 스트레인 게이지와 로드 셀은 무슨 종류의 센서와 관계가 있는가?

  1. 온도센서
  2. 자기센서
  3. 압력센서
  4. 관센서
(정답률: 60%)
  • 스트레인 게이지와 로드 셀은 압력센서와 관계가 있습니다. 이는 물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변화하면, 그에 따라 물체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변형을 감지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압력센서입니다. 스트레인 게이지와 로드 셀은 이러한 압력센서의 일종으로, 물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을 감지하여 압력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스트레인 게이지와 로드 셀은 압력센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장 자동화의 단계에서 가장 발전된 단계는?

  1. CAD
  2. CAM
  3. DNC
  4. CIM
(정답률: 66%)
  • CIM은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약어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CAD, CAM, DNC는 각각 설계, 가공, 제어에 대한 자동화를 의미하지만, CIM은 이러한 모든 단계를 통합하여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공장 자동화의 단계에서 가장 발전된 단계는 CI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체가 방사하고 있는 각종 적외선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로 최근에는 TV나 VTR 등 가전제품의 리모컨, 자동문의 스위치, 방사온도계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자기 센서
  2. 초음파 센서
  3. 적외선 센서
  4. 열전대
(정답률: 82%)
  • 적외선 센서는 물체가 방사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거리나 물체의 온도 등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센서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TV나 VTR 등의 리모컨, 자동문의 스위치, 방사온도계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PLC의 제어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1. 노이즈 방지 기능
  2. 시퀀스 처리 기능
  3. 자기진단 기능
  4. 연산 처리 기능
(정답률: 72%)
  • PLC의 제어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것은 "노이즈 방지 기능"입니다. PLC는 전기적 노이즈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방지를 위한 필터링 기능이나 접지 기능 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는 PLC의 제어기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보조적인 기능입니다. PLC의 제어기능은 시퀀스 처리, 자기진단, 연산 처리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연생산시스템(FMS)의 특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단일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이다.
  2.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3.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처리하므로 수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4. FMS의 형태는 생산되는 대상 제품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정답률: 66%)
  • 단일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은 유연생산시스템(FMS)의 특징이 아닙니다. FMS는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처리하므로 수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는 것도 FMS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FMS의 형태는 생산되는 대상 제품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감지기, 측정 장치 등과 같이 제어대상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을 측정하여 기분입력과 비교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것은?

  1. 제어 요소
  2. 동작 신호
  3. 제어 대상
  4. 되먹임 요소
(정답률: 74%)
  • 이것은 "되먹임 요소"입니다. 왜냐하면 감지기, 측정 장치 등은 제어 대상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을 측정하여 기분입력과 비교할 수 있게 하여 주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제어 요소나 동작 신호와는 다르게, 제어 대상의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제어 시스템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되먹임 요소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기동우선 회로
  2. AND 회로
  3. 인터록 회로
  4. 정지우선 회로
(정답률: 58%)
  • 이 회로는 입력 신호 중 하나라도 0이면 출력이 0이 되는 OR 게이트와, 입력 신호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AND 게이트가 결합된 회로입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입력 신호 중 하나라도 0이면 출력이 0이 되므로, 이 회로는 "기동우선 회로"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AD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한 도형묘사를 설계자와 컴퓨터간 대화를 통해 수행하는 대화형 컴퓨터그래픽에 기초를 둔 시스템인데, 이를 이용하여 설계의 자동화를 시행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설계자의 생산성 증가
  2. 설계의 품질향상
  3. 정확한 도면의 작도
  4. 공정 중 재고량의 감축
(정답률: 75%)
  • CAD 시스템은 설계의 자동화를 통해 설계자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설계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정확한 도면을 작도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하지만 공정 중 재고량의 감축은 CAD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유는 설계자의 생산성 증가, 설계의 품질향상, 정확한 도면의 작도와는 다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동화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성 향상된다.
  2. 제품 품질의 균일화되어 불량품이 감소한다.
  3. 적정한 작업 유지를 위한 원자재, 연료 등이 증가한다.
  4. 신뢰성이 높고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정답률: 88%)
  • 자동화는 생산성 향상과 제품 품질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적정한 작업 유지를 위한 원자재, 연료 등이 증가하는 것은 자동화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투자와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제품 품질의 균일화를 넘어서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릴레이제어와 비교한 PLC제어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동작 실행에 대한 내용 변경이 용이하다.
  2. 프로그램 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3. 제어기능 량에 비해 설치 면적이 적다.
  4. 신뢰성이 높고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정답률: 81%)
  • PLC제어의 장점 중 "프로그램 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PLC제어는 프로그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LC의 입력기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시등
  2. 전자개폐기
  3. 리밋스위치
  4. 솔레노이드밸브
(정답률: 71%)
  • PLC의 입력기기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PLC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리밋스위치는 기계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스위치로, 기계의 움직임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PLC에 신호를 보내어 기계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LC의 입력기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리밋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되먹임 제어의 효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외부 조건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2. 정확도가 증가한다.
  3. 대역폭이 증가한다.
  4. 시스템이 작아지고 값이 싸진다.
(정답률: 76%)
  • 시스템이 작아지고 값이 싸진다는 것은, 되먹임 제어 시스템이 더 작고 저렴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비용이 감소하고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되먹임 제어의 효과가 아니며, 외부 조건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이고, 정확도를 증가시키며,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 되먹임 제어의 주요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무인 반송차의 유도방식 중 경로에 매설한 유도선의 자계를 검출하여 경로를 인식하는 방식은?

  1. 전자유도방식
  2. 광학방식
  3. 자이로방식
  4. 마크추적방식
(정답률: 75%)
  • 이 방식은 유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자유도방식"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정전용량형 감지기의 검출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검출제의 두께
  2. 검출제의 색깔
  3. 검출제의 유전율
  4. 검출체의 크기
(정답률: 84%)
  • 정전용량형 감지기는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합니다. 따라서 검출제의 두께, 유전율, 크기 등은 검출 거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검출제의 색깔은 전기적인 특성과는 무관하므로 검출 거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검출제의 색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푸시버튼 스위치 a 접점 기호인 것은?

(정답률: 76%)
  • 푸시버튼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NO(Normally Open) 접점을 사용하며, ""은 NO 접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자개폐기의 철심이 진동할 경우 예상되는 원인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1.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 접촉부위에 녹이 발생했다.
  2. 전자개폐기의 코일이 단선 되었다.
  3. 전자개폐기 주위의 습기가 낮다.
  4. 접촉단자에 정격전압 이상의 전압이 가해졌다.
(정답률: 68%)
  • 전자개폐기의 철심이 진동할 경우,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 접촉부위에 녹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철심 접촉부위에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발생한 열과 습기 등이 녹을 유발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녹은 부분이 철심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NAND 소자를 나타내는 논리 소자는?

(정답률: 81%)
  • NAND 소자는 AND 소자의 출력을 NOT으로 인버트한 것입니다. 따라서 AND 소자의 출력이 모두 1일 때, NAND 소자의 출력은 0이 됩니다. 이를 보면 ""가 AND 소자의 출력이 모두 1일 때 0을 출력하기 때문에 NAND 소자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2개 이상의 회로에서 한 개의 회로만 동작을 시키고, 나머지 회로는 동작이 될 수 없도록 해주는 회로는?

  1. 자기유지 회로
  2. 순차동작 회로
  3. 인터로크 회로
  4. 시한동작 회로
(정답률: 81%)
  • 인터로크 회로는 여러 개의 회로 중에서 한 개의 회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회로입니다. 다른 회로들은 인터로크 회로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회로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회로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카르노프맵의 간략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52%)
  • 정답인 ""은 모든 1의 상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접한 1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만 1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 ""는 인접한 1의 개수가 2개 미만이므로 1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는 1의 상태가 아니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Flip-Flop 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RS Flip-Flop
  2. T Flip-Flop
  3. D Flip-Flop
  4. K Flip-Flop
(정답률: 75%)
  • K Flip-Flop은 존재하지 않는 Flip-Flop 종류입니다. 따라서 다른 Flip-Flop 종류들인 RS, T, D Flip-Flop은 K Flip-Flop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은 유접점 시퀀스 회로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입력과 PB1과 PB2는 직렬 연결이다.
  2. 입력과 PB1과 PB2는 병렬 연결이다.
  3. 입력과 PB1과 PB2는 NAND 관계이다.
  4. 입력과 PB1과 PB2는 AND 관계이다.
(정답률: 76%)
  • 입력과 PB1, PB2는 병렬 연결이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PB1과 PB2로 동시에 전달되어 각각의 스위치를 누르면 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력과 PB1, PB2는 병렬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논리 회로를 간략화 하는데 있어서 0과 1을 연산하고 할 때 틀린 것은?

  1. 0 + 0 = 0
  2. 1 + 0 = 1
  3. 1 · 1 = 1
  4. 1 · 0 = 1
(정답률: 83%)
  • 정답은 "1 · 0 = 1" 입니다.

    이유는 AND 연산에서 두 입력 값 중 하나라도 0이면 결과는 0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과 0을 AND 연산하면 결과는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 · 0 = 1"은 틀린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무접점 시퀀스의 출력(Y)의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A'
  2. A
  3. 0
  4. 1
(정답률: 63%)
  • 주어진 무접점 시퀀스에서 모든 비트가 같은 경우에는 출력값이 0이 된다. 이는 XOR 연산의 특성으로, 같은 비트를 XOR 연산하면 0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무접점 시퀀스에서 모든 비트가 같으므로 출력값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검출 스위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리밋 스위치
  2. 근접 스위치
  3. 온도 스위치
  4. 전자 계전기
(정답률: 66%)
  • 전자 계전기는 검출 스위치의 종류가 아닙니다. 전자 계전기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거나 변환하는 장치로, 검출 스위치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리밋 스위치, 근접 스위치, 온도 스위치는 모두 검출 스위치의 종류로, 각각 제한, 근접, 온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의 시퀀스 제어도에서 R2가 여자 되기 위한 접점에 해당 되는 것은?

  1. PBS
  2. LS
  3. R1
  4. R2
(정답률: 75%)
  • R2가 여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자" 신호가 필요합니다. 이 신호는 PBS에서 생성되어 LS와 R1, R2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R2가 여자가 되기 위한 접점은 L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반도체 논리소자를 사용한 무접점식 시퀀스 제어를 명령처리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건제어
  2. 순서제어
  3. 시한제어
  4. 직선제어
(정답률: 55%)
  • 반도체 논리소자를 사용한 무접점식 시퀀스 제어를 명령처리에 따라 분류할 때, "직선제어"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직선제어"가 시퀀스 제어 방식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조건제어"는 조건문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방식, "순서제어"는 순서대로 실행하는 방식, "시한제어"는 시간을 기준으로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퀀스 제어에서 사용하는 문자 기호와 그 해당 용어로 틀린 것은?

  1. OPM : 조작용 전동기
  2. COS : 전환 스위치
  3. LVS : 리밋 스위치
  4. CTR : 제어기
(정답률: 69%)
  • 정답은 "LVS : 리밋 스위치"입니다. LVS는 "리미트 스위치"를 뜻하며, 기계나 장치의 이동 범위나 위치 등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일정한 논리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제어는?

  1. 매뉴얼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프로세스제어
  4. 시퀀스제어
(정답률: 87%)
  • 시퀀스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나 논리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시퀀스제어는 다른 제어 방식과는 달리 일정한 순서나 논리에 따라 제어를 진행하므로, 매뉴얼제어나 프로그램제어, 프로세스제어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부하의 이상에 의한 정상전류의 증가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 장치의 대표적인 것은?

  1. thermal relay
  2. electromagnetic contractor
  3. timer
  4. counter
(정답률: 52%)
  • 부하의 이상으로 인해 전류가 증가하면, 전류가 흐르는 전선의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에 따라 thermal relay는 전선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상 전류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를 보호합니다. 따라서 thermal relay가 부하의 이상에 의한 정상전류의 증가를 검출하고 회로를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 장치의 대표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문제 복원중입니다. 문제 내용 및 보기 내용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4번 입니다.

  1. 복원중
  2. 복원중
  3. 복원중
  4. 복원중
(정답률: 80%)
  •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문제가 완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