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생산자동화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대략구분)

1. 사인 바는 피측정물의 무엇을 측정하기에 적합한가?

  1. 나사 측정
  2. 길이 측정
  3. 임의의 각 측정
  4. 면 조도 측정
(정답률: 87%)
  • 사인 바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임의의 각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나사 측정이나 길이 측정은 다른 도구들이 더 적합하며, 면 조도 측정은 더 정밀한 측정 도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통선반의 심압대에 ø13mm 이상의 드릴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는?

  1. 맨드릴
  2. 슬리브
  3. 총형바이트
  4. 앤드밀
(정답률: 62%)
  • 슬리브는 보통선반의 심압대에 ø13mm 이상의 드릴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슬리브는 드릴의 직경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며, 심압대에 고정된 후 드릴을 삽입하여 사용합니다. 슬리브는 드릴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드릴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슬리브를 사용할 수 있어서 유연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과 같은 주위 환경에서 오는 오차 또는 자연 현상의 급변 등으로 생기는 오차는?

  1. 측정기의 오차
  2. 시차
  3. 우연오차
  4. 긴 물체의 휨에 의한 영향
(정답률: 85%)
  • 우연오차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으로, 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과 같은 주위 환경에서 오는 오차나 자연 현상의 급변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는 예측할 수 없으며, 측정값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우연오차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양두 그라인더에서 일감은 숫돌 차의 어느 곳에 대고 연삭을 하여야 하는가?

  1. 숫돌의 원주면
  2. 원통의 왼쪽 평면
  3. 숫돌의 중심축
  4. 원통의 오른쪽 평면
(정답률: 70%)
  • 양두 그라인더에서 일감은 숫돌의 원주면에 대고 연삭을 해야 합니다. 이는 숫돌의 원주면이 가장 많은 접촉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삭 효율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원주면에 대고 연삭을 하면 숫돌의 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에 연삭 후에도 정확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는 지름의 환봉재 또는 일정크기의 재료를 빠르게 중심을 찾아 고정하는 선반척은?

  1. 마그네틱 척(magnetic chuck)
  2. 콜릿척(collet chuck)
  3. 단동척(independent chuck)
  4. 벨척(bell chuck)
(정답률: 76%)
  • 콜릿척은 가는 지름의 환봉재나 일정 크기의 재료를 빠르게 중심을 찾아 고정할 수 있는 선반척입니다. 이는 콜릿이라는 작은 부품을 사용하여 재료를 고정하기 때문에 이름이 콜릿척으로 불립니다. 콜릿은 재료의 지름에 맞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재료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숏 피닝 가공에서 피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3가지는?

  1. 분사면적, 분사각, 분사시간
  2. 분사면적, 분사각, 분사속도
  3. 분사각, 분사속도, 분사시간
  4. 분사면적, 분사속도, 분사거리
(정답률: 76%)
  • 숏 피닝 가공에서 피닝 효과는 분사된 액체가 부딪히는 표면적, 각도,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주요 인자는 분사면적, 분사각, 분사속도입니다. 분사면적이 작을수록 액체가 집중되어 피닝 효과가 증가하며, 분사각이 작을수록 액체가 집중되어 피닝 효과가 증가합니다. 또한 분사속도가 높을수록 액체가 빠르게 이동하여 피닝 효과가 증가합니다. 분사시간이나 분사거리는 피닝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절삭 유제의 사용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절삭공구와 가공물의 마찰을 증가시켜 가공을 빠르게 한다.
  2. 가공물을 냉각시켜, 절삭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를 방지한다.
  3. 공구의 마모를 줄이고, 윤활 및 세척작용을 한다.
  4. 공구의 인선을 냉각시켜 공구의 경도저하를 방지한다.
(정답률: 79%)
  • "절삭공구와 가공물의 마찰을 증가시켜 가공을 빠르게 한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것은 가공 속도를 늦추고 가공물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삭 유제는 가공물을 냉각시켜 정밀도를 유지하고 공구의 마모를 줄이며, 윤활 및 세척작용을 하고 공구의 인선을 냉각시켜 경도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반 작업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절삭 중에는 측정을 하지 않는다.
  2. 기계 위에 공구나 재료를 올려놓지 않는다.
  3. 가공물이나 절삭공구의 장착은 정확히 한다.
  4. 칩이 예리하므로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
(정답률: 92%)
  • 칩은 절삭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은 조각으로 예리하므로 손에 상처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장갑을 끼고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3차원 측정기의 구동부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베어링은?

  1. 공기 베어링
  2. 오일레스 베어링
  3. 유니트 베어링
  4. 니들 베어링
(정답률: 53%)
  • 공기 베어링은 베어링 내부에 공기를 이용하여 마찰을 줄이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베어링입니다. 이는 오일레스 베어링과 달리 윤활유나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소음이 적고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3차원 측정기와 같은 정밀한 기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A 60 K m V 로 표시된 연삭숫돌에서 입자의 크기(입도)를 나타내는 것은?

  1. WA
  2. 60
  3. K
  4. V
(정답률: 80%)
  • "WA"는 연삭숫돌의 재질을 나타내는 것이고, "K"는 결합제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V"는 연삭숫돌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60"은 입자의 크기(입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WA 60 K m V로 표시된 연삭숫돌은 입도가 60인 것을 의미합니다. 입도란 연삭숫돌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며, 숫자가 작을수록 입자가 작고 연마력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대략구분)

11. 기계제도에서 사용하는 치수기입 시 사용되는 기호와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 : 45° 모떼기
  2. ø : 지름
  3. SR : 구의 반지름
  4. ◇ : 정사각형
(정답률: 90%)
  • ◇은 마름모꼴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정사각형을 나타내는 기호는 □입니다. 따라서 ◇ : 정사각형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구름베어링의 호칭번호가 6001 C2 P6으로 표시된 경우에 베어링의 안지름은 몇 mm 인가?

  1. 100
  2. 60
  3. 12
  4. 10
(정답률: 67%)
  • 6001은 베어링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이며, C2는 내경 허용오차 등급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P6은 정밀도 등급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따라서, 안지름을 구하기 위해서는 6001이라는 호칭번호만으로는 부족하며, 베어링 제조사의 카탈로그를 참고하여 해당 베어링의 안지름 값을 확인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6001 베어링의 안지름은 12mm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2"인 이유는 일반적인 경우 6001 베어링의 안지름이 12mm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계제도에 사용하는 선의 분류에서 가는 실선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치수선
  2. 치수 보조선
  3. 지시선
  4. 외형선
(정답률: 77%)
  • 기계제도에서 가는 실선은 일반적으로 부품의 외형을 표현하는 외형선, 부품의 치수를 표현하는 치수선, 치수선을 보조하는 치수 보조선, 그리고 가공 및 조립을 위한 지시선으로 분류됩니다. 그 중에서 외형선은 부품의 외형을 표현하는 것으로, 부품의 형상, 윤곽, 경계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는 실선의 용도 중에서 외형선은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KS 나사 표시 방법에서 G 1/2 A로 기입된 기호의 올바른 해독은?

  1. 가스용 암나사로 인치 단위이다.
  2. 관용 평행 암나사로 등급이 A급이다.
  3. 관용 평행 수나사로 등급이 A급이다.
  4. 가스용 수나사로 인치 단위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관용 평행 수나사로 등급이 A급이다." 입니다.

    G 1/2는 나사의 규격을 나타내는 표기 방법 중 하나로, G는 메트릭 나사 규격을 의미하며, 1/2는 나사의 직경을 나타냅니다. A는 나사의 등급을 나타내며, A급은 관용 평행 수나사의 등급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G 1/2 A는 메트릭 나사 규격의 직경이 1/2이고, 관용 평행 수나사의 A급 규격을 가진 나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재료 기호가 “SF340A”로 표시되었을 때 이 재료는 무엇인가?

  1. 탄소강 단강품
  2. 고속도 공구강
  3. 합금 공구강
  4. 소결 합금강
(정답률: 54%)
  • 재료 기호 "SF340A"는 탄소강 단강품을 나타냅니다. 이는 SF340A가 S는 강철(Steel)을 의미하고, F는 철강의 종류를 나타내며, 340은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숫자이며, A는 강재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SF340A는 탄소강 단강품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의 치수가 일 때 치수공차는 얼마인가?

  1. 0.02
  2. 0.03
  3. 0.05
  4. 0.07
(정답률: 76%)
  • 치수공차는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최대치와 최소치를 구해야 합니다.

    최대치 = 16.01 + 0.05 = 16.06
    최소치 = 16.01 - 0.02 = 15.99

    따라서, 치수공차는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인 16.06 - 15.99 = 0.0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도면은 물체를 제3각법으로 정투상한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이 물체의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6%)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이 물체는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물체의 평면도는 대각선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가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물체의 기울어진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도면에 지시한 기하공차의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원통의 축선은 지름 0.02mm의 원통 내에 있어야 한다.
  2. 지시한 표면은 0.02mm 만큼 떨어진 2개의 평면 사이에 있어야 한다.
  3. 임의의 축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바깥둘레는 동일 평면 위에서 0.02mm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심원 사이에 있어야 한다.
  4. 대상으로 하고 있는 면은 0.02mm 만큼 떨어진 2개의 동축 원통면 사이에 있어야 한다.
(정답률: 70%)
  • 도면에서 보이는 것은 원통 모양의 물체이며, 기하공차는 이 원통의 축선이 지름 0.02mm의 원통 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원통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수직인 임의의 단면에서 바깥둘레가 동일한 원통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임의의 축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바깥둘레는 동일 평면 위에서 0.02mm 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심원 사이에 있어야 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면의 결 도시방법에서 제거 가공율 허락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제도 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입니다. 이 기호는 결을 제거하는 가공에서 허용되는 최대 가공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일부 남겨둘 수 있는 경우를 제한하는 제도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기능을 나타내는 제도 기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투상도에서 특정 부분의 도형이 작기 때문에 그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거나 치수를 기입할 수 없을 때, 그 부분을 확대하여 별도로 다른 곳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것은?

  1. 보조 투상도
  2. 국부 투상도
  3. 부분 확대도
  4. 부분 투상도
(정답률: 75%)
  • 부분 확대도는 투상도에서 특정 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상세히 도시하거나 치수를 기입할 수 없을 때, 그 부분을 별도로 다른 곳에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부분 확대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유압 기기에서 작동유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르지 않는 것은?

  1. 압력 전달 기능
  2. 윤활 기능
  3. 방청 기능
  4. 필터 기능
(정답률: 63%)
  • 유압 기기에서 작동유의 기능 중 필터 기능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필터 기능은 유압 기기에서 작동유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기기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고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압축공기의 건조방식이 아닌 것은?

  1. 흡수식
  2. 흡착식
  3. 냉동식
  4. 가열식
(정답률: 77%)
  • 압축공기의 건조방식 중 가열식은 공기를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다른 세 가지 방식은 각각 흡수식, 흡착식, 냉동식으로, 이들 방식은 각각 습기를 흡수하거나 흡착시켜 제거하거나 냉각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가열식은 다른 방식과 구분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유압유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도의 변화량을 표시하는 것은?

  1. 밀도
  2. 점도지수
  3. 비체적
  4. 비중량
(정답률: 78%)
  • 유압유의 온도 변화에 따라 유체의 점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점도지수는 유압유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점도지수가 유압유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도의 변화량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압유의 물성과 관련된 지표이지만, 온도 변화에 대한 정도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포핏 밸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다.
  2. 짧은 거리에서 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3. 밀봉효과가 좋고 복귀스프링이 파손되어도 공기압력으로 복귀된다.
  4. 큰 변환 조작이 필요하고, 다 방향 밸브로 되면 구조가 단순하다.
(정답률: 56%)
  • 포핏 밸브는 작은 변환 조작으로도 개폐가 가능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먼지 등의 이물질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큰 변환 조작이 필요하고, 다 방향 밸브로 되면 구조가 단순하다."는 포핏 밸브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어큐뮬레이터(축압기)의 용도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펌프 맥동 흡수
  2. 충격압력의 완충
  3. 작동유 점도 향상
  4. 유압 에너지 축적
(정답률: 73%)
  • 작동유 점도 향상은 어큐뮬레이터의 용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어큐뮬레이터는 유압 시스템에서 충격압력의 완충, 유압 에너지 축적, 펌프 맥동 흡수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공압 모터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폭발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2. 회전수, 토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3. 과부하시 위험성이 없다.
  4.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
(정답률: 54%)
  • 정답: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는 것은 입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출력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압 모터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만들기 때문에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기 모터와 달리 에너지 변환 손실이 적어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공압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력전달 방법이 간단하다.
  2. 힘의 증폭이 용이하다.
  3. 유압장치에 비해 응답성이 우수하다.
  4. 에너지의 축적이 용이하다.
(정답률: 58%)
  • 에너지의 축적이 용이하다는 것이 공압장치의 특징이 아닙니다.

    공압장치는 유압장치에 비해 응답성이 우수한 이유는 유체의 압축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유압장치는 유체의 압축성이 높아서 작동 시간이 느릴 수 있지만, 공압장치는 압축성이 낮아서 작동 시간이 빠릅니다. 따라서 공압장치는 빠른 작동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캐비테이션(공동현상)의 발생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흡입 필터가 막히거나 급격히 유로를 차단한 경우
  2. 패킹부의 공기 흡입
  3. 펌프를 정격속도 이하로 저속회전 시킬 경우
  4. 과부하이거나 오일의 점도가 클 경우
(정답률: 71%)
  • 펌프를 정격속도 이하로 저속회전 시키면, 펌프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서 액체가 기화되어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방향제어 밸브의 조작방식 중 기계조작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플런저 방식
  2. 페달 방식
  3. 롤러 방식
  4. 스프링 방식
(정답률: 60%)
  • 페달 방식은 인간의 발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방식으로, 기계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계조작 방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달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편심 로터가 흡입과 배출구멍이 있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형태의 압축기는?

  1. 피스톤 압축기
  2. 격판 압축기
  3. 미끄럼 날개 회전 압축기
  4. 축류 압축기
(정답률: 71%)
  • 편심 로터가 회전하면서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를 미끄럼 날개 회전 압축기라고 합니다. 이는 로터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압축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미끄럼 날개 회전 압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메카트로닉스 일반(대략구분)

31. 자동화시스템의 주요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입력부
  2. 출력부
  3. 제어부
  4. 전원부
(정답률: 89%)
  • 자동화 시스템의 주요 3요소는 입력부, 출력부, 제어부입니다. 이들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전원부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시스템의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은 하지 않기 때문에 주요 3요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PLC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장진단과 점검이 용이하다.
  2. 제어회로의 변경이 어렵다.
  3. 산술, 비교연산과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4. 신뢰성이 높고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정답률: 85%)
  • 제어회로의 변경이 어렵다는 것은 PLC의 프로그램이 작성된 후에는 제어회로를 변경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LC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제어회로를 작성하므로, 제어회로를 변경하려면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PLC는 제어회로를 변경하기 어렵지만,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새로운 제어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조작용 스위치가 아닌 것은?

  1. 누름버튼 스위치
  2. 셀렉터 스위치
  3. 로터리 스위치
  4. 타이머
(정답률: 81%)
  • 타이머는 조작용 스위치가 아닙니다. 타이머는 시간을 측정하거나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타이머는 조작용 스위치가 아니며,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자동판매기와 같이 정해진 순서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은?

  1. 시퀀스 제어
  2. ON 제어
  3. 전압 제어
  4. 되먹임 제어
(정답률: 88%)
  •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과정이나 동작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엘리베이터나 자동판매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일정한 순서에 따라 동작하므로 시퀀스 제어 방식을 사용합니다. ON 제어는 스위치나 버튼을 누르는 등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방식이며, 전압 제어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되먹임 제어는 동작 중인 시스템이나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시도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로봇의 구동요소 중에서 피드백 신호 없이 구동축의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것은?

  1. 스테핑 모터
  2. DC 모터
  3. 공압 구동장치
  4. 유압 구동장치
(정답률: 68%)
  • 스테핑 모터는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터로, 구동축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테핑 모터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석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회전을 구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 없이도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서보모터(Servo Motor)는 주로 어디에 속하는가?

  1. 메카니즘(mechanism)
  2. 액추에이터(actuator)
  3.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4. 센서(sensor)
(정답률: 83%)
  • 서보모터는 액추에이터에 속합니다. 액추에이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적인 장치로, 서보모터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서 액추에이터의 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서보모터는 액추에이터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기계적 위치, 방향, 자세 등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는?

  1. 자동조정
  2. 서보기구
  3. 시퀀스 제어
  4. 프로세스 제어
(정답률: 64%)
  • 서보기구는 기계적 위치, 방향, 자세 등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입니다. 이는 서보모터와 같은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제어하며,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자동조정, 시퀀스 제어, 프로세스 제어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LC의 프로그램 중 계전기 시퀀스도를 직접 기입 또는 표시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사다리 모양이 되는 프로그램방식은 어느 것인가?

  1. 래더도 방식
  2. 명령어 방식
  3. 논리도 방식
  4. 논리식 방식
(정답률: 84%)
  • "래더도 방식"은 PLC의 프로그램을 사다리 모양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계전기 시퀀스도를 직접 기입하거나 표시할 수 있어서 PLC의 프로그램 작성에 매우 편리합니다. 따라서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신호가 입력되어 출력 신호가 발생한 후에는 입력 신호가 제거되어도 그 때의 출력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제어방법은?

  1. 파일럿 제어
  2. 메모리 제어
  3. 프로그램 제어
  4. 조합 제어
(정답률: 77%)
  • 메모리 제어는 입력 신호가 제거되어도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어 방법입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발생했을 때 출력 상태를 저장하고, 이후에도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모리 제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상태를 유지하고 제어하는 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평상시 닫혀 있다고 해서 NC(normal closed) 접점이라고 하는 것은?

  1. a접점
  2. b접점
  3. c접점
  4. T접점
(정답률: 87%)
  • NC(normal closed) 접점은 평상시에는 닫혀있어서 전류가 흐르고 있으며, 외부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열리는 접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b접점"이 평상시 닫혀있으므로 NC(normal closed) 접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LC에서 외부기기와 내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노이즈를 막기 위해 입력부와 출력부에 주로 이용하는 소자는?

  1. 사이리스터
  2. 포토다이오드
  3. 포토커플러
  4. 트랜지스터
(정답률: 67%)
  • PLC에서 외부기기와 내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노이즈를 막기 위해 입력부와 출력부에 주로 이용하는 소자는 포토커플러입니다. 포토커플러는 빛을 이용하여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전달하는데, 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노이즈가 막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포토커플러는 작고 경제적이며 신뢰성이 높아 PLC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 등을 이용한 기계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1. 자동화(Automation)
  2. 기계화(Mechanization)
  3. 제어(Control)
  4. 수치제어선반(CNC)
(정답률: 88%)
  • 자동화는 작업을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기계화, 제어, 수치제어선반(CNC)은 자동화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되먹임 제어의 단점을 나타낸 것은?

  1.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외부 조건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3. 목표값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다.
  4. 제어계가 복잡해진다.
(정답률: 82%)
  • 되먹임 제어는 이전의 제어값을 참고하여 현재 제어값을 결정하기 때문에 제어계가 복잡해지게 됩니다. 이전 제어값을 저장하고 참고하는 과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제어계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전자력에 의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기능을 가진 제어기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자 계전기
  2. 선택 스위치
  3. 나이프 스위치
  4. 리밋 스위치
(정답률: 81%)
  • 전자 계전기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기능을 가진 제어기기입니다. 이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자동화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며, 정확하고 빠른 작동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자 계전기가 접점을 개폐하는 기능을 가진 제어기기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어계의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낸 것은?

  1. 목표값
  2. 전달함수
  3. 제어대상
  4. 제어량
(정답률: 54%)
  • 입력신호인 "제어량"을 "전달함수"를 통해 "제어대상"에 전달하여 "목표값"과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를 다시 "전달함수"를 통해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제어계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달함수"라고 부릅니다. 즉,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배타적 OR회로(EX-OR 회로)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모든 입력이 0일 때에만 출력이 1인 회로
  2. 서로 다른 입력이 가해질 때에만 출력이 1인 회로
  3. 모든 입력이 1인 경우만을 제외하고 출력이 1인 회로
  4. 입력이 0이면 출력이 1이고, 입력이 1이면 출력이 0인 회로
(정답률: 58%)
  • 배타적 OR회로는 두 입력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입력이 가해질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두 입력이 모두 0이거나 모두 1이면 출력은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퀀스 제어용 문자 기호 중 차단기 및 스위치류의 기호에서 압력스위치에 대항하는 것은?

  1. PF
  2. PRS
  3. PCT
  4. SPS
(정답률: 73%)
  • 압력스위치는 "PRS" (Pressure Switch)로 표시됩니다. 다른 기호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PF" (Pushbutton, Momentary Contact) : 일시적으로 눌러서 작동하는 버튼
    - "PCT" (Potentiometer, Control) : 회전하여 값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기
    - "SPS" (Selector Switch) : 여러 개의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논리식이 틀린 것은?

  1. A + B = B + A
  2. A ㆍ B = B ㆍ A
  3. A + A = A
  4. A ㆍ 1 = 1
(정답률: 72%)
  • 논리식이 틀린 것은 "A + A = A"입니다. 이는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A(1+1) = A(2) = A로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 + A는 A와 같지 않습니다.

    "A ㆍ 1 = 1"은 곱셈의 항등원인 1과 어떤 수를 곱해도 그 수가 변하지 않는다는 성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즉, 어떤 수 A와 1을 곱하면 A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A ㆍ 1은 A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퀀스 제어용 기기로서 제어회로에 신호가 들어오더라도 바로 동작하지 않고 설정시간 만큼 지연동작을 시키려할 때 사용되는 제어용 기기는?

  1. 한시 계전기
  2. 전자 릴레이
  3. 전자 개폐기
  4. 열동 계전기
(정답률: 79%)
  • 한시 계전기는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동작을 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퀀스 제어용 기기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무접점 릴레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동작속도가 빠르다.
  2. 노이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3. 소형이고 가볍게 제작 가능하다.
  4. 수명이 길다.
(정답률: 73%)
  • 트랜지스터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접점 릴레이에서는 노이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이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기유지기억회로를 구성하려 할 때 ( )에 알맞은 기호는?

  1. A
  2. Q
  3. A'
  4. Q'
(정답률: 78%)
  • "Q"는 자기유지기억회로의 출력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신호가 없을 때 이전에 저장된 값을 유지하며, 입력신호가 들어오면 그 값을 저장합니다. 따라서 "Q"는 이전에 저장된 값을 나타내며, "Q'"는 "Q"의 반대값을 나타냅니다. "A"와 "A'"는 입력신호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퀀스 제어기기 중에서 검출용 기기에 속하는 것은?

  1. 누름버튼 스위치
  2. 리밋 스위치
  3. 릴레이
  4. 램프
(정답률: 68%)
  • 리밋 스위치는 기계나 장치의 이동 범위나 위치를 제한하고, 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퀀스 제어기기 중에서 검출용 기기에 속하게 됩니다. 누름버튼 스위치는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릴레이는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램프는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논리 회로는 어떤 회로를 나타내는가?(단, A, B가 입력이고, X1, X2가 출력이다.)

  1. 배타적 OR 회로
  2. 인터록 회로
  3. 금지 회로
  4. 일치 회로
(정답률: 62%)
  • 이 회로는 A와 B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 X1이 1이 되고,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 X2가 1이 되는 회로이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인터록 회로의 특징이다. 따라서 정답은 "인터록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은 어떤 회로를 나타낸 것인가?

  1. 일치 회로
  2. 인터록 회로
  3. 금지 회로
  4. 배타적 OR 회로
(정답률: 60%)
  • 정답은 "일치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두 입력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회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자 접촉기(MC) b접점의 KS 기호는?

(정답률: 77%)
  • 정답은 "" 입니다.

    KS 기호는 전기 및 전자 부품의 표준화를 위해 국가 기술표준원에서 제정한 기호 체계입니다. MC 접촉기의 b접점은 보통 닫힌 상태에서 접촉이 되어 있으며,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접촉이 끊어지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동작 방식 때문에 b접점의 KS 기호는 "NC"로 표기됩니다. "NC"는 Normally Closed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보통 닫힘"이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논리식 를 간단히 하면?

  1. A+B
  2. A+C
  3. AㆍB
  4. AㆍC
(정답률: 69%)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AㆍC 입니다. 이유는 AND 연산자(&)는 두 항목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기 때문에, A와 C가 모두 참일 때만 전체 식이 참이 됩니다. 따라서 A+C가 아닌 Aㆍ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접점 시퀀스 제어회로의 b접점은 무접점 시퀀스제어 회로의 무슨 회로와 같은 역할을 하는가?

  1. AND 회로
  2. OR 회로
  3. NOT 회로
  4. NOR 회로
(정답률: 66%)
  • b접점은 무접점 시퀀스 제어회로의 NOT 회로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는 b접점이 현재 상태의 반대 값을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OT 회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OR 게이트를 나타내는 논리 회로의 기호는?

(정답률: 78%)
  • 정답은 "" 입니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회로입니다. 이를 기호로 나타내면 입력이 두 개인 경우 ""와 같이 표현됩니다. 이 기호에서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무접점 방식과 비교하여 유접점 방식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
  2. 전기적 잡음에 대해 안정적이다.
  3. 동작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다.
  4. 동작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66%)
  •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 "전기적 잡음에 대해 안정적이다.", "동작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다." 모두 유접점 방식의 장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동작속도가 빠르다." 이다.

    유접점 방식은 접점이 있기 때문에 물체의 위치나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빠른 동작속도를 보인다. 또한 무접점 방식에 비해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전기적 잡음에 대한 영향도 적다. 따라서 유접점 방식은 고속 동작이 필요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시퀀스제어와 같은 제어는 무엇인가?

  1. 되먹임 제어
  2. 피드백 제어
  3. 개루프 제어
  4. 폐루프 제어
(정답률: 65%)
  • 개루프 제어는 입력과 출력 사이에 개방된 루프를 만들어 제어하는 방식으로,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변화하며 이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시퀀스제어와 같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제어 방식으로, 이전 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단계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개루프 제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