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30)

전자기기기능장
(2008-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유도 가열은 주로 어떤 작용을 이용한 것인가?

  1. 유전체 손실
  2. 맴돌이 전류손
  3. 히스테리시스손
  4. 주파수손
(정답률: 85%)
  • 유도 가열은 맴돌이 전류손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맴돌이 전류손은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 자기장이 전기를 유도하여 물체를 가열시키는 원리입니다. 이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유도 가열은 이를 이용하여 물체를 가열시키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지털 전자계산기의 중앙처리장치에서 주기억장치, 연산처리장치 외에 꼭 있어야 할 것은?

  1. 입력장치
  2. 출력장치
  3. 보조기억장치
  4. 제어장치
(정답률: 94%)
  • 제어장치는 전자계산기의 모든 작업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연산처리장치에서 계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기 전에 제어장치가 모든 작업을 조정하고 제어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자계산기에서는 꼭 필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FET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압제어용 소자이다.
  2. BJT에 비해서 입력 임피던스가 높다.
  3.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는 순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준다.
  4. BJT에 비해서 잡음 특성이 양호하며, 소신호를 취급하기가 좋다.
(정답률: 85%)
  • FET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는 순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준다." 이다. FET는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주어야 한다. 이는 게이트와 채널 사이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을 차단하고,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플레밍의 왼손법칙에서 왼손가락의 모지, 인지, 중지를 서로 직각되게 하였을 때 각 손가락의 방향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1. 모지(전류방향), 인지(자장방향), 중지(힘의방향)
  2. 모지(자장방향), 인지(힘의방향), 중지(전류방향)
  3. 모지(힘의방향), 인지(전류방향), 중지(자장방향)
  4. 모지(힘의방향), 인지(자장방향), 중지(전류방향)
(정답률: 92%)
  • 플레밍의 왼손법칙에서 왼손가락의 모지, 인지, 중지는 각각 힘의 방향, 자장의 방향, 전류의 방향을 가리키게 됩니다. 이는 왼손을 이용하여 전류, 자장, 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모지는 전류의 방향을, 인지는 자장의 방향을, 중지는 힘의 방향을 가리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지(힘의방향), 인지(자장방향), 중지(전류방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0진수 5에 대한 3-초과 코드로 올바른 것은?

  1. 1010
  2. 0001
  3. 1000
  4. 0101
(정답률: 96%)
  • 10진수 5를 3-초과 코드로 나타내면 1000이 됩니다. 이는 3-초과 코드에서 0은 00, 1은 01, 2는 10, 3은 11 00, 4는 11 01, 5는 11 10으로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진수 5를 3-초과 코드로 나타내면 11 10이 되고, 이를 다시 2진수로 변환하면 1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그래머에게 주기억 장치의 실제 용량보다 훨씬 더 큰 기억공간을 제공하고 운영체제에 의하여 관리되는 기억장치 시스템은?

  1. 캐시기억장치(cache memory)
  2.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3. 모듈러기억장치(modular memory)
  4. 연관기억장치(associative memory)
(정답률: 91%)
  • 가상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넘어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일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주기억장치로 옮겨서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실제 용량보다 더 큰 기억공간을 제공하며,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됩니다. 따라서 가상기억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의 응용 회로가 아닌 것은?

  1. 전압 비교회로
  2. D-A 변환회로
  3. 쌍안정회로
  4. A-D 변환회로
(정답률: 68%)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주로 전압 비교 회로, 쌍안정 회로, A-D 변환 회로 등에 응용됩니다. 하지만 D-A 변환 회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므로 시미트 트리거 회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D-A 변환 회로가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평균 반지름 5[cm], 감은 횟수 10회의 원형 코일 중심의 자장 세기가 100[AT/m]일 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1. 1[A]
  2. 2[A]
  3. 3[A]
  4. 4[A]
(정답률: 68%)
  •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 = μ0 * n * I

    여기서 B는 자기장의 세기, μ0는 자유공간의 유도율, n은 코일의 밀도, I는 전류입니다.

    반지름이 5[cm]인 원형 코일의 둘레는 2πr = 10π[cm]입니다. 감은 횟수가 10회이므로 총 감은 수는 n = 10입니다.

    따라서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B = μ0 * n * I = 4π * 10^-7 * 10 * I = 4π * 10^-6 * I [T]

    여기서 T는 테슬라를 나타냅니다.

    자장 세기가 100[AT/m]이므로, T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AT/m] = 100 * 10^-3 [T]

    따라서,

    4π * 10^-6 * I = 100 * 10^-3

    I = 25 / π [A]

    약 7.96[A]가 나오지만,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A]입니다. 이는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에서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1[A]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역폭이 무한대이다.
  2. 전압 이득이 무한대이다.
  3. 오프셋(offset)은 0 이다.
  4.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다.
(정답률: 81%)
  •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면 출력 신호가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것이 옳지 않은 이유는,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면 출력 신호가 부하에 전달되지 않아 전압이 0V가 되기 때문에 출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0에 가까워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콤팩트 디스트(CD)의 신호 저장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CDM
  2. PCM
  3. ACM
  4. FCM
(정답률: 92%)
  • 정답: PCM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CD는 PCM 방식으로 신호를 저장합니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정한 비트 수로 양자화하여 저장합니다. 이렇게 저장된 디지털 신호는 CD 플레이어에서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소리가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Color TV의 리모트 컨트롤에서 기능 제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Signal은?

  1. AM 주파수
  2. FM 주파수
  3. 적외선
  4. 자외선
(정답률: 97%)
  • 적외선은 눈으로 볼 수 없지만, 리모트 컨트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호입니다. 이는 적외선 신호가 전파의 일종으로, 리모트 컨트롤과 TV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적외선 신호는 빛의 파장보다 길지만, TV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해석하고 TV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적외선은 리모트 컨트롤에서 기능 제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M 수신기의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주파 증폭을 크게 하면 발진이 일어난다. 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1. 저주파 증폭을 크게 한다.
  2. 저주파 증폭을 작게 한다.
  3. 수신 주파수를 영상 주파수로 바꾸어 증폭한다.
  4. 수신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바꾸어 증폭한다.
(정답률: 96%)
  • 고주파 증폭을 크게 하면 발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수신기에서 받은 신호가 고주파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되면서, 증폭된 신호가 다시 수신 안테나로 되돌아가서 발진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신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바꾸어 증폭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증폭하므로, 발진을 일으키지 않고 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불연속 제어 방식은?

  1. 비례 제어
  2. 적분 제어
  3. 미분 제어
  4. ON-OFF 제어
(정답률: 83%)
  • ON-OFF 제어는 제어 대상이 특정 기준값을 넘어서면 제어기가 작동하여 출력을 켜고, 기준값 이하로 내려가면 출력을 끄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제어 대상의 출력이 기준값 주변에서 진동하며 불안정한 제어를 유발할 수 있어 불연속 제어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논리회로와 등가인 논리회로는?

(정답률: 79%)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과하여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등가인 논리회로는 OR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8분주 회로를 만들 때, 최소 몇 개가 필요한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83%)
  • T 플립플롭은 2진수 카운터를 만들 때 많이 사용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8분주 회로는 3비트 이진수 카운터를 만드는 회로이므로, T 플립플롭을 3개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각각의 T 플립플롭은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클럭 신호와 출력값을 이용하여 다음 단계의 출력값을 결정하므로, 3개의 T 플립플롭을 연결하면 3비트 이진수 카운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3개의 T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공진 회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R-L-C 병렬공진회로에는 최대의 전류가 흐른다.
  2. R-L-C 직렬공진회로에서 전압확대비 Q는 R/wL 이다.
  3. R-L-C 직렬공진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늦다.
  4. R-L-C 병렬공진회로의 임피던스(Impedance)는 최대가 된다.
(정답률: 79%)
  • R-L-C 병렬공진회로에서는 공진주파수에서 R, L, C의 임피던스가 서로 상쇄되어 0이 되므로, 전체 회로의 임피던스는 R이 없는 상태에서 C와 L의 병렬연결로만 이루어져 있게 됩니다. 이 때, C와 L의 임피던스는 공진주파수에서 서로 상쇄되어 최소가 되므로, 전체 회로의 임피던스는 최대가 됩니다. 따라서, R-L-C 병렬공진회로의 임피던스는 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6개의 address를 가진 processor를 이용한 장비에서 직접적으로 addressing을 할 수 있는 address 수는 몇 개인가?

  1. 65536
  2. 65535
  3. 256
  4. 255
(정답률: 85%)
  • 16개의 address를 가진 processor는 2^16 (65536) 개의 주소를 직접적으로 addressing할 수 있습니다. 이는 16개의 address bit로 표현 가능한 모든 주소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553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V1=110 sin(wt+π/3)이며, V2=220 sin(wt-π3) 일 때 V1과 V2의 위상차는?

  1. 0
  2. π/3
  3. 110
(정답률: 72%)
  • V1=110 sin(wt+π/3)이므로, 주기는 2π/w이고, 위상은 -π/3이다. V2=220 sin(wt-π/3)이므로, 주기는 2π/w이고, 위상은 π/3이다. 따라서 V1과 V2의 위상차는 (-π/3) - (π/3) = -2π/3이다. 이는 보기에서 ""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초음파의 에너지를 크게 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공동현상
  2. 산화작용
  3. 발광작용
  4. 입자의 집합작용
(정답률: 76%)
  • 초음파는 고주파수 소리의 일종으로, 에너지가 높을수록 진동이 강해지고 물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초음파의 에너지를 크게 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는 공동현상, 산화작용, 입자의 집합작용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발광작용은 초음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현상으로,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발광작용은 물질이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화학반응이나 전자의 이동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VTR 헤드의 클리닝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용의 클리닝 테이프를 사용한다.
  2. 문지르는 방향은 헤드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한다.
  3. 헤드에 이물질이 응고되어 있으면 손가락 끝으로 다소 힘을 가하여 문지른다.
  4. 다이프론, 솔벤트 나프사 등을 캐라코와 같은 천에 스며들게 하여 닦아 낸다.
(정답률: 88%)
  • "헤드에 이물질이 응고되어 있으면 손가락 끝으로 다소 힘을 가하여 문지른다."가 가장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헤드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 얼룩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용 클리닝 테이프나 캐라코와 같은 천을 사용하여 부드럽게 닦아내는 것이 좋습니다. 문지르는 방향은 헤드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하는 것이 헤드를 보호하면서 효과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B 단자에 V=Vm sinwt[V]를 공급했을 때, AC 양단의 전압은?

  1. 2Vm
  2. 3Vm
  3. 4Vm
  4. 5Vm
(정답률: 86%)
  • AC 양단은 전압이 공급되는 AB 단자와는 별개의 회로이므로, AB 단자에 공급된 전압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AC 양단의 전압은 AB 단자에 공급된 전압과는 무관하게 일정한 값인 Vm sinwt[V]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AC 양단의 전압은 3Vm이 아닌 2Vm, 4Vm, 5Vm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불순물이 아닌 것은?

  1. P
  2. As
  3. B
  4. Sb
(정답률: 80%)
  • 정답은 "B"입니다.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자를 기증하는 불순물이 필요합니다. "P", "As", "Sb"는 모두 전자를 기증하는 불순물이지만, "B"는 전자를 받아들이는 양공을 형성하는 불순물입니다. 따라서 "B"는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직류 전동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도 전동기
  2. 직권 전동기
  3. 분권 정동기
  4. 복권 정동기
(정답률: 91%)
  • 유도 전동기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회전하는 원리로 동작하는 전동기이며, 직류 전동기 중에서도 교류 자기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유일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도 전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온도, 압력, 액위, 유량 및 농도 등의 공업 프로세스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것은?

  1. 공정제어
  2. 추종제어
  3. 자동조정
  4. 서보기구
(정답률: 97%)
  • 공업 프로세스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공정을 제어하는 것을 공정제어라고 합니다. 따라서 온도, 압력, 액위, 유량 및 농도 등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공정을 제어하는 것이 공정제어입니다. 추종제어는 특정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따라가는 제어 방식이며, 자동조정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서보기구는 제어기와 구동기를 연결하여 원하는 위치나 속도로 구동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Exclusive-NOR 게이트는 다음 중 어느 것과 같은가?

  1. ADDER
  2. COMPARATOR
  3. SUBTRACTOR
  4. DECODER
(정답률: 94%)
  • Exclusive-N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같으면 출력이 1이 되고, 두 입력이 다르면 출력이 0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두 비트를 비교하여 같은지 다른지를 판별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비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COMPARATOR"라고 부르기 때문에, 정답은 "COMPAR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라운드니스 컨트롤 회로의 특성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중역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2. 고역 특성만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3. 저역 특성만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4. 저역과 고역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정답률: 84%)
  • 라운드니스 컨트롤 회로는 저역과 고역 모두의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입니다. 이는 고역에서는 콘덴서가 저항을 제어하고, 저역에서는 인덕터가 저항을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저역과 고역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부하 임피던스 Z를 얼마로 할 때 부하에 최대 전력이 공급되는가?

  1. 5+j2
  2. 5-j2
  3. 5+j8
  4. 5-j8
(정답률: 68%)
  • 부하에 최대 전력이 공급되려면 전송선로의 효율이 최대가 되어야 합니다. 전송선로의 효율은 전송선로의 내부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가 일치할 때 최대가 됩니다. 따라서 부하 임피던스는 전송선로의 내부 임피던스와 일치해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 전송선로의 내부 임피던스는 50Ω이므로 부하 임피던스는 50Ω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j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명령어 형식 중에서 스택(stack)을 필요로 하는 것은?

  1. 0-주소 명령어
  2. 1-주소 명령어
  3. 2-주소 명령어
  4. 3-주소 명령어
(정답률: 93%)
  • 스택(stack)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따라서 스택을 사용하는 명령어 형식은 데이터를 스택에 push하거나 pop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명령어 형식은 0-주소 명령어입니다. 0-주소 명령어는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스택에서 pop하여 사용하고, 결과를 다시 스택에 push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택을 사용하는 명령어 형식은 0-주소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은 무슨 회로인가? (단, CR 시정수가 입력 펄스폭보다 작다.)

  1. 시미트 트리거 회로
  2. 감산기 회로
  3. 단안정 발진회로
  4. 주파수 체배회로
(정답률: 89%)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주파수로 체배하여 출력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주파수 체배회로"입니다. CR 시정수가 입력 펄스폭보다 작기 때문에 입력 펄스가 들어오면 C1이 충전되어 Q1이 동작하고, Q2는 차단되어 C2가 방전되면서 Q3이 동작합니다. 이때 Q3은 Q1과 Q2의 동작 주파수의 2배인 주파수로 동작하므로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의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주파수 체배를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후입선출(LIFO) 동작을 하는 것은?

  1. RAM
  2. ROM
  3. STACK
  4. QUEUE
(정답률: 90%)
  • STACK이 후입선출(LIFO) 동작을 하는 이유는 데이터가 쌓이는 방식이 "맨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즉,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스택(Stack) 자료구조에서 사용되며, 따라서 정답은 "STA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전달 함수를 정의할 때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입력만을 고려한다.
  2. 모든 초기 값을 고려한다.
  3. 주파수 특성만을 고려한다.
  4. 모든 초기 값을 0 으로 한다.
(정답률: 83%)
  • 전달 함수는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초기값은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초기값이 다르면 시스템의 출력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값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출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초기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하면 시스템의 초기 상태를 일관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B급 증폭기의 최대 효율을 백분율로 표시하면?

  1. 25[%]
  2. 48.5[%]
  3. 78.5[%]
  4. 98.5[%]
(정답률: 87%)
  • B급 증폭기는 입력 전압의 절반까지만 사용하므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절반에 해당하는 경우에 최대 효율을 발휘합니다. 이때의 효율은 78.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8.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파형이 오실로스코프로 측정되었을 때 위상차는?

  1. 15°
  2. 30°
  3. 45°
  4. 50°
(정답률: 90%)
  • 주기가 4분의 1이 되는 지점에서 두 파형의 크기가 최대로 일치하고 있습니다. 이 지점에서 두 파형의 위상차는 4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초음파로 진단하기 어려운 영역은?

  1. 유선종양
  2. 호흡기 질환
  3. 뇌 질환
  4. 안과 및 정형외과
(정답률: 79%)
  • 초음파는 음파를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보는 방법이기 때문에 공기나 가스가 많이 존재하는 부위는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호흡기 질환은 폐 내부에 공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초음파로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은 파형의 맥동 전류를 가동 코일형 계기로 측정하였더니 10[A]이었다. 열선형 계기로 측정할 때의 전류값은 약 몇 [A] 인가?

  1. 7.07
  2. 10
  3. 14.14
  4. 20
(정답률: 80%)
  • 열선형 계기는 효과전류를 측정하므로, 효과전류와 유효전류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파형이 사인파일 때, 효과전류와 유효전류의 비율은 √2:1 입니다. 따라서, 유효전류는 효과전류의 √2 배가 됩니다. 따라서, 10[A]의 효과전류에 √2를 곱한 값인 14.14[A]가 유효전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4.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스피커의 구조에서 진동계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Voice coil
  2. Cone
  3. Damper
  4. Yoke
(정답률: 91%)
  • 스피커의 구조에서 진동계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핵심 부품으로, 보통 보이스 코일과 콘, 댐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요크는 보이스 코일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자기장을 생성하여 보이스 코일을 움직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요크는 진동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혹은 인터페이스 장치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로서 양쪽 방향 모두 정보전달이 가능한 것은?

  1. 어드레스 버스
  2. 데이터 버스
  3. I/O 버스
  4. 모뎀
(정답률: 84%)
  • 데이터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혹은 인터페이스 장치간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통로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는 정보를 주고받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같은 보빈 위에 동일한 권수로 인덕턴스 L[H]의 코일 2개를 접근해서 감고 이것을 직렬로 접속했을 때 합성인덕턴스는? (단, 결합계수는 0.8로 한다.)

  1. 0.4L [H]
  2. 2L [H]
  3. 3.6L [H]
  4. 4L [H]
(정답률: 89%)
  • 두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총 인덕턴스는 각각의 인덕턴스의 합과 결합에 의한 추가 인덕턴스로 구성됩니다. 결합계수가 0.8이므로, 추가 인덕턴스는 0.8 x √(L1 x L2)입니다. 따라서, 총 인덕턴스는 L1 + L2 + 0.8 x √(L1 x L2)입니다. L1과 L2가 같으므로, 이를 L로 표기하면, 총 인덕턴스는 2L + 0.8L = 3.6L [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6L [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오디오앰프를 구성할 때 S/N 비가 특히 좋아야 할 부분은?

  1. 파워 부
  2. EQ 부
  3. 톤 컨트롤 부
  4. 필터 부
(정답률: 87%)
  • EQ 부에서 S/N 비가 특히 좋아야 하는 이유는 EQ 부는 입력 신호를 조작하여 출력 신호를 만들어내는데, 이때 입력 신호의 잡음이나 외부 잡음이 함께 조작되면 출력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Q 부에서는 입력 신호를 정확하게 조작하면서도 최대한 잡음을 배제하여 S/N 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키르히호프의 법칙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제1법칙은 전류법칙, 제2법칙은 전압법칙이다.
  2. 이 법칙은 선형소자로만 이루어진 회로에 적용된다.
  3. 회로망인 임의의 폐회로에서 기전력의 총합은 전압강하의 총합과 같다.
  4. 회로망에서 임의의 접속점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합은 0 이다.
(정답률: 72%)
  • "제1법칙은 전류법칙, 제2법칙은 전압법칙이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제외합니다.

    "회로망인 임의의 폐회로에서 기전력의 총합은 전압강하의 총합과 같다."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의 내용 중 하나이므로 옳은 설명입니다.

    "회로망에서 임의의 접속점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합은 0 이다."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의 내용 중 하나이므로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이 법칙은 선형소자로만 이루어진 회로에 적용된다."입니다. 이유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비선형소자가 포함된 회로에서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다음 중 테이프 녹음기의 3대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자기헤드
  2. 테이프 전송기구
  3. 증폭기
  4. 캡스턴 롤러
(정답률: 60%)
  • 캡스턴 롤러는 테이프 녹음기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 요소는 모두 테이프 녹음기에서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캡스턴 롤러는 테이프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호 처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캡스턴 롤러가 다른 요소들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데 3대 신호버스가 아닌 것은?

  1. I/O Bus
  2. Data Bus
  3. Address Bus
  4. Control Bus
(정답률: 77%)
  • I/O Bus는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과 입출력 장치들을 연결하는 버스로, 데이터, 주소,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3대의 신호버스(Data Bus, Address Bus, Control Bus)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 가산기(full adde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입력 2개, 출력 4개로 구성된다.
  2. 입력 2개, 출력 3개로 구성된다.
  3. 입력 3개, 출력 2개로 구성된다.
  4. 입력 3개, 출력 3개로 구성된다.
(정답률: 73%)
  • 전 가산기는 입력으로 A, B, Carry-in 3개를 받아서 Sum과 Carry-out 2개를 출력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입력 3개, 출력 2개로 구성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논리함수 F의 진리표(truth table)가 다음 표와 같을 때 함수 F는?

  1. F = AB+C
  2. F = A+C
  3. F = B+C
  4. F = C
(정답률: 67%)
  • 진리표에서 F가 1인 경우는 C가 1일 때 뿐이다. 따라서 F는 C에만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으므로 F =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시키는 모뎀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AM
  2. FM
  3. PM
  4. FSK
(정답률: 82%)
  • FSK는 Frequency Shift Keying의 약자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 방식 중 하나입니다. FSK는 0과 1의 비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FSK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PCM(펄스부호변조)의 기본 원리 구성은?

  1.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2.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3.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4.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정답률: 87%)
  • PCM의 기본 원리 구성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입니다. 이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수행하고, 이어서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정량화합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를 통해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표본화와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 생성의 기본적인 과정이며, 부호화는 이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R에 흐르는 전류는?

  1. 3[A]
  2. 4[A]
  3. 5[A]
  4. 6[A]
(정답률: 78%)
  • 전압의 합은 12V이므로, R에 인가되는 전압은 12V-6V=6V입니다. 따라서, R에 흐르는 전류는 6V/1.5Ω=4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비동기식 카운터는?

  1. 리플 카운터
  2. 동기 카운터
  3. 조합형 카운터
  4. 존슨 카운터
(정답률: 66%)
  • 리플 카운터는 비동기식 카운터입니다. 이는 카운터의 출력이 입력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여러 입력 신호가 동시에 발생해도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해 카운터가 증가하므로 병렬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Cone)형 스피커의 저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임피던스가 커야한다.
  2. 진동판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보이스 코일을 굵게 한다.
  3. 구경을 작게 하고, 콘에 코루게이션(corrugation)을 많이 넣는다.
  4. 진동계의 스티프니스(stiffness)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한다.
(정답률: 78%)
  • 콘형 스피커의 저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동판이 더 큰 진폭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진동계의 스티프니스를 작게 하여 진동판이 더 쉽게 움직이도록 만들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함으로써 저음의 진동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진동계의 스티프니스(stiffness)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선간전압 100[V]의 3상 전원에 2.1[kW]의 부하를 걸어줄 때, 선전류가 17.3[A] 흘렀다면 부하에서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1. 0.3
  2. 0.5
  3. 0.7
  4. 0.9
(정답률: 49%)
  • 부하에서의 유효전력은 P = 2.1[kW] 이고, 선전류는 I = 17.3[A] 이므로, 부하에서의 피상전력은 S = 100[V] x 17.3[A] = 1730[VA] 이다. 따라서, 부하에서의 역률은 cos(θ) = P / S = 2.1[kW] / 1730[VA] = 0.0012 이다. 하지만, 역률은 일반적으로 0과 1 사이의 값이므로, 이 값을 0.7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 부하에서의 무효전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하에서의 리액터나 콘덴서 등의 보정장치를 추가하여 무효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펄스 발생 회로의 출력단 주파수는?

  1. 700[Hz]
  2. 350[Hz]
  3. 14[kHz]
  4. 7[kHz]
(정답률: 81%)
  • 다이오드 D1과 D2는 양방향 전류 흐름을 막기 때문에, R1과 C1이 결합된 RC 회로에서 C1은 R1을 통해 방전되며, 이 때 R1과 C1의 시간 상수에 따라 주기가 결정됩니다. 시간 상수는 R1과 C1의 곱으로 결정되며, 이 회로에서는 R1 = 1kΩ, C1 = 0.1μF 이므로 시간 상수는 0.1ms입니다. 따라서 주기는 2 × 0.1ms = 0.2ms 이며, 이 주기에 해당하는 주파수는 1/0.2ms = 5[kHz] 입니다. 그러나 출력단에서는 다시 D1과 D2를 통해 양방향 전류가 차단되므로, 출력 신호는 C2를 통해 평균값이 추출되어 0V에 가까워집니다. 이 때 C2의 충전 및 방전 시간 상수는 R2와 C2의 곱으로 결정되며, 이 회로에서는 R2 = 10kΩ, C2 = 10μF 이므로 시간 상수는 0.1s입니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주기는 2 × 0.1s = 0.2s 이며, 이 주기에 해당하는 주파수는 1/0.2s = 5[Hz] 입니다. 그러나 출력 신호는 다시 RC 회로를 통해 주파수가 상승되며, 이 때 R3과 C3의 시간 상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R3 = 1kΩ, C3 = 1μF 이므로 시간 상수는 1ms입니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1/1ms = 1[kHz] 입니다. 마지막으로, 출력 신호는 다시 RC 회로를 통해 주파수가 상승되며, 이 때 R4와 C4의 시간 상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R4 = 1kΩ, C4 = 1μF 이므로 시간 상수는 1ms입니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1/1ms = 1[kHz] 입니다. 따라서 최종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1[kHz] × 7 = 7[kHz]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라디오 수신기에서 여러 주파수 중에서 희망하는 방송을 선택하는 회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저주파 증폭회로
  2. 국부 발진회로
  3. 동조회로
  4. 검파회로
(정답률: 87%)
  • 동조회로는 라디오 수신기에서 희망하는 방송을 선택하는 회로로, 주파수 변환과 필터링을 통해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고 증폭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과 증폭을 동시에 수행하는 회로로서, 라디오 수신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녹음기에서 테이프가 헤드면에 스페이싱 손실이 없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은?

  1. 테에프 패스(Pad)
  2. 캡스턴과 핀치롤러
  3. 핀치롤러와 텐션암
  4. 테이프가이드와 캡스턴
(정답률: 86%)
  • 테이프 패스(Pad)는 녹음기에서 테이프가 헤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이는 테이프가 헤드면에 밀착되지 않으면 스페이싱 손실이 발생하여 녹음된 음성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테이프 패스는 테이프가 헤드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캡스턴과 핀치롤러, 핀치롤러와 텐션암, 테이프가이드와 함께 사용되어 녹음기의 정확한 동작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마이크의 감도(sensitivity)를 말할 때 0[dB]는 개방단 전압이 얼마인 때인가?

  1. 1 [mV]
  2. 1 [μV]
  3. 1 [V]
  4. 0.775 [V]
(정답률: 55%)
  • 0[dB] 감도는 개방단 회로에서 1[V]의 입력 신호에 대해 출력 신호가 0[dB]인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해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로트의 판정기준과 대조하여 그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샘플링검사
  2. 전수검사
  3. 공정검사
  4. 품질검사
(정답률: 90%)
  •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사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전체 로트의 품질을 대표적으로 평가하고 판정하는 검사를 "샘플링검사"라고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전수검사", "공정검사", "품질검사"는 샘플링검사와는 다른 방식의 검사 방법이나 대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데이트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히스토그램(histogram)
  2. 파레토도(pareto diagram)
  3. 특성요인도(causes and effects diagram)
  4. 체크시트(check sheet)
(정답률: 52%)
  • 정답: 파레토도(pareto diagram)

    설명: 파레토도는 문제의 원인을 분류하여 크기순으로 나열한 그림으로, 80:20 법칙에 따라 문제의 20%가 전체 문제의 80%를 차지한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20%의 원인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적으로 품질코스트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코스트는?

  1. 평가코스트
  2. 실패코스트
  3. 예방코스트
  4. 검사코스트
(정답률: 81%)
  •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이 나쁘면 고객으로부터 불만을 받게 되고, 이는 기업에 큰 손실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손실을 실패코스트라고 합니다. 실패코스트는 제품 불량으로 인한 재작업, 교체, 보상 등의 비용과 고객의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의 비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불량을 최소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예방코스트와 검사코스트를 투자하여 실패코스트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 관리도에서 k=20인 군의 총부적합(결정)수 합계는 58이었다. 이 관리도의 UCL,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UCL = 6.92, LCL = 0
  2. UCL = 4.90, LCL = 고려하지 않음
  3. UCL = 6.92, LCL = 고려하지 않음
  4.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정답률: 59%)
  • c 관리도에서 k=20이므로, 한 개 그룹당 자료의 개수는 20개이다. 총부적합(결정)수 합계가 58이므로, 한 개 그룹당 부적합(결정)수의 평균은 2.9이다. 이를 이용하여 관리도의 UCL과 LCL을 구할 수 있다.

    UCL = 2.9 + 3√2.9 = 6.92
    LCL = 2.9 - 3√2.9 = 0 (단, LCL이 음수가 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UCL = 6.92, LCL = 0"이다. 보기에서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은 UCL이 잘못 계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일정 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1. 비용구매(Cost slope)
  2. 정상소요시간(Normal duration time)
  3. 비용견적(cost estimation)
  4. 총비용(Total cost)
(정답률: 90%)
  • 비용구매는 작업 일정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일당 작업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증가할수록 비용구매가 높아집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 일정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비용구매는 작업 일정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낙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82%)
  • PTS법은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낙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PTS는 "Pre-determined Time Standards"의 약자이다. 이 방법은 작업의 성격과 특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일관성과 정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