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전자기기기능장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그림에서 스위치(SW)를 닫을 때의 충전전류 i(t)[A]는?

(정답률: 94%)
  • 스위치가 닫혀있을 때, 전압이 가해지는 부분은 전기용량 C와 저항 R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전압이 V0로 유지되면서 전하가 축적되고, 이 때 충전전류 i(t)는 RC회로의 시간상수인 τ=RC에 비례하여 지수적으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충전전류는 0에 수렴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보기 중에서 ""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진수 5에 대한 3-초과 코드로 올바른 것은?

  1. 1010
  2. 0001
  3. 1000
  4. 0101
(정답률: 90%)
  • 10진수 5를 3-초과 코드로 나타내면 1000이 됩니다. 이는 3-초과 코드에서 0은 00, 1은 01로 표현되며, 5는 이진수로 101이므로, 3-초과 코드로 나타내면 10 10이 됩니다. 따라서, 10진수 5에 대한 3-초과 코드는 1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터럽트 허용신호를 직렬로 연결하여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1. 벡터
  2. 폴링
  3. 논 마스크
  4. 데이지 체인
(정답률: 92%)
  • 데이지 체인은 인터럽트 허용신호를 직렬로 연결하여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각 장치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면 그 다음 장치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고, 이어서 다음 장치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마이크로폰에 들어오는 음압이 각 주파수에 걸쳐서 일정한 크기일 때 각 주파수에 대응한 출력 압의 관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충실도
  2. 주파수 특성
  3. 선택도
  4. 감도
(정답률: 98%)
  • 주파수 특성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에서 들어오는 음압이 각 주파수에 걸쳐서 일정한 크기일 때, 이에 대응하는 출력 압의 관계를 주파수 특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의 구형파 펄스의 충격계수(duty factor)는?

(정답률: 86%)
  • 구형파의 duty factor는 pulse width와 pulse period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이 그림에서 pulse width는 1/4이고 pulse period는 1이므로 duty factor는 1/4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4개의 자극을 갖는 발진기가 초당 100회의 회전수를 갖는다면, 출력전압의 주파수는 몇 [Hz]인가?

  1. 100[Hz]
  2. 200[Hz]
  3. 400[Hz]
  4. 800[Hz]
(정답률: 66%)
  • 발진기가 1초에 100회 회전한다는 것은 1회당 0.01초가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4개의 자극을 갖는 발진기는 1회 회전할 때마다 4번의 자극을 발생시키므로, 1회 회전에 걸리는 시간은 0.01초이고, 4개의 자극을 발생시키는 주파수는 1/0.01 = 100[Hz]입니다. 그러나 이 자극은 양극성이므로, 실제 출력전압의 주파수는 100[Hz]의 2배인 200[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동기 카운터는 몇 진으로 동작하는가?

  1. 2진
  2. 3진
  3. 4진
  4. 5진
(정답률: 83%)
  • 동기 카운터는 4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2진수를 나타낼 수 있는 2개의 상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4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동기 카운터는 2^4 = 16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5진수와 4진수는 16개의 상태를 모두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답은 "3진" 입니다. 3진수는 3개의 상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3진수로 표현하면 16개의 상태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교류전력제어에 사용되는 양방향 사이리스터(thyrister)는?

  1. SCR
  2. JFET
  3. MOSFET
  4. TRIAC
(정답률: 94%)
  • 양방향 사이리스터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 중 TRIAC은 SCR과 달리 양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할 수 있으며, AC 전원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교류전력제어에 사용되는 양방향 사이리스터는 TRIA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류 회로의 직류 전압이 300[V]이고, 리플 전압이 3[V]이었다. 이 회로의 리플 함유율은?

  1. 1[%]
  2. 2[%]
  3. 3[%]
  4. 10[%]
(정답률: 91%)
  • 리플 함유율은 리플 전압과 직류 전압의 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리플 함유율은 (리플 전압 / 직류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리플 전압이 3[V], 직류 전압이 300[V]이므로 리플 함유율은 (3/300) x 100 = 1[%] 입니다.

    즉, 리플 함유율은 매우 작은 값이므로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증폭도 A가 100인 증폭 회로에 궤환율 β가 -0.01의 부궤환을 걸면 증폭도 A 는?

  1. 50
  2. 100
  3. 150
  4. 180
(정답률: 89%)
  • 부궤환을 걸면 증폭도는 A' = A/(1-βA)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A' = 100/(1-(-0.01)*100) = 50이 됩니다. 이는 부궤환을 걸기 전 증폭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계속적인 통제를 받지 않고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1. DMA
  2. FIFO
  3. SCAN
  4. INTERRUPT
(정답률: 89%)
  •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입 없이 주변장치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DMA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계속적인 통제를 받지 않고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테이프 레코더의 3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핀치 롤러의 캡스턴
  2. 테이프 전송 기구
  3. 자기 헤드
  4. 증폭기
(정답률: 75%)
  • 핀치 롤러의 캡스턴은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 요소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핀치 롤러는 테이프를 전송하고 테이프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캡스턴은 테이프 레코더에 존재하지 않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핀치 롤러의 캡스턴은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고주파 유도가열에 이용되는 것은?

  1. 히스테리시스 손
  2. 와전류 손
  3. 유전체 손
  4. 줄열 손
(정답률: 94%)
  • 고주파 유도가열은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열하는 기술입니다. 이때,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고주파 전류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고주파 전류는 물체를 통과할 때 전류의 방향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물체 내부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도 바뀝니다. 이러한 전류의 방향 변화로 인해 물체 내부에서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와전류 손"입니다. 따라서 고주파 유도가열에서는 "와전류 손"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 주파 증폭기를 사용하는 목적은?

  1. 선택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2. 조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3. 기생 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4. 비직선 일그러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93%)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중간 주파 증폭기를 사용하는 목적은 선택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입니다. 중간 주파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서 선택도를 높이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좁혀서 원하는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신호나 잡음을 제거하고, 정확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Cone)형 스피커의 저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임피던스가 커야 한다.
  2. 진동판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보이스 코일을 굵게 한다.
  3. 구경을 작게 하고, 콘에 코루게이션(corrugation) 을 많이 넣는다.
  4. 진동계의 스티프니스(stiffness)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한다.
(정답률: 92%)
  • 콘형 스피커의 저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동판이 더 큰 진폭으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진동계의 스티프니스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해야 합니다. 이는 진동판이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저음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PCM(펄스부호변조)의 기본 원리 구성은?

  1.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2.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3.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4.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정답률: 91%)
  • PCM의 기본 원리 구성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이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수행하고, 이어서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정확한 값을 부여합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를 통해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표본화와 양자화가 먼저 수행되어야 하며, 부호화는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f(t)=siny+2cost 의 라플라스 변환은?

(정답률: 55%)
  • f(t)의 라플라스 변환은 F(s)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s) = L{f(t)} = L{siny+2cost}
    = L{siny} + 2L{cost}
    = Y(s) + 2 * (s / (s^2 + 1))

    여기서 Y(s)는 siny의 라플라스 변환입니다. siny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Y(s) = L{siny} = 1 / (s^2 + 1)

    따라서 F(s)는 다음과 같습니다.

    F(s) = Y(s) + 2 * (s / (s^2 + 1))
    = 1 / (s^2 + 1) + 2s / (s^2 + 1)
    = (2s + 1) / (s^2 + 1)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회로에서 부하(RL)에 흐르는 전류는?

  1. 1.6[mA]
  2. 2[mA]
  3. 2.5[mA]
  4. 3[mA]
(정답률: 74%)
  • 전압의 분배 법칙에 따라 R1과 R2에 걸리는 전압은 각각 6V와 4V가 되고, 이에 따라 R1과 R2를 통과하는 전류는 각각 6V/3kΩ=2mA와 4V/2kΩ=2mA가 된다. 이 때, R1과 R2를 통과한 전류의 합은 부하(RL)에 흐르는 전류와 같으므로, 부하(RL)에 흐르는 전류는 2m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배타적 논리합(EX-OR)의 논리식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 
(정답률: 93%)
  • 배타적 논리합(EX-OR)은 두 개의 입력 값이 다를 때 1을 출력하고 같을 때 0을 출력하는 논리 연산입니다. 따라서, ""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은 두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 1을 출력하는 OR 연산이고, ""은 두 입력 값이 모두 0일 때 1을 출력하는 NAND 연산입니다. ""는 두 입력 값이 모두 같을 때 1을 출력하는 AND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초크 입력형과 비교한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가이다.
  2. 전압변동률이 나쁘다.
  3. 대전류에 적합하다.
  4. 첨두역전압이 높다.
(정답률: 89%)
  •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는 대전류에 적합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콘덴서는 주파수가 높은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전류는 저주파 신호이므로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에서 효과적으로 평활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는 저가이며 첨두역전압이 높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회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다만, 전압변동률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VCR에서 영상신호를 기록할 때 고역의 S/Nql 열화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1. White Peak Clipping
  2. Pre-emphasis
  3. De-emphasis
  4. Clamping
(정답률: 98%)
  • Pre-emphasis 회로는 고역의 S/Nql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고역의 신호를 강화시켜서 녹화할 때 더 많은 신호를 녹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재생할 때는 De-emphasis 회로를 통해 원래의 신호로 복원합니다. 이를 통해 녹화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 장치 사이의 속도 격차를 완화시켜주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것은?

  1. Cache Memory
  2. Main Memory
  3. Direct Memory
  4. Virtual Memory
(정답률: 96%)
  • Cache Memory는 CPU와 Main Memory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속도 격차를 완화시켜줍니다. 따라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동기식 계수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작속도가 고속이다.
  2. 설계가 어렵고 불규칙적이다.
  3. 클록발진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4. 회로가 복작하고 주로 큰 시스템에 사용된다.
(정답률: 95%)
  • 동기식 계수기는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출력 신호의 주기가 결정되는 계수기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동기화되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클록 발진기가 별도로 필요하며, 회로가 복잡하고 주로 큰 시스템에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설계가 어렵고 불규칙적이라는 특징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동 제어계의 주파수 영역 내에서의 성능을 설명해 주는 정수가 아닌 것은?

  1. 대역폭(bandwidth)
  2. 분리도(cutoff rate)
  3. 계단응답(step response)
  4. 공진주파수(resonance frequency)
(정답률: 81%)
  • 계단응답은 주파수 영역 내에서의 성능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신호가 계단 모양일 때 출력 신호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시간 영역의 성능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단응답(step respon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되먹임 제어에서 꼭 있어야 할 장치는?

  1. 안정도를 빠르게 하는 장치
  2.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
  3. 응답 속도를 빠르게 하는 장치
  4. 응답 속도를 느리게 하는 장치
(정답률: 95%)
  • 되먹임 제어에서는 입력과 출력이 일치해야 하므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꼭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장치들은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지만,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는 제어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칭 4단자 회로에서 특성 임피던스는?

(정답률: 93%)
  • 대칭 4단자 회로에서 특성 임피던스는 "" 입니다. 이유는 대칭 4단자 회로에서는 전류와 전압이 대칭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각 단자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상대적 크기와 위상이 모두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는 각 단자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임피던스 값의 평균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때, ""는 각 단자에서의 임피던스 값의 평균값을 나타내므로, 대칭 4단자 회로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콤팩트디스크(CD)의 신호 저장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CDM
  2. PCM
  3. ACM
  4. FCM
(정답률: 90%)
  • 정답: PCM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CD는 PCM 방식으로 신호를 저장합니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여 저장합니다. 이 방식은 정확하고 안정적인 신호 저장이 가능하며, CD의 고음질을 보장하는 기술적인 기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명령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전송명령
  2. 연산명령
  3. 제어명령
  4. 승산명령
(정답률: 85%)
  • 승산명령은 마이크로컴퓨터 명령의 분류 중에서는 연산명령에 속하지만, 보기에서는 연산명령과 구분하여 별도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어떤 상태 또는 명령을 2진 코드로 바꾸는 논리회로는?

  1. 인코더
  2. 디코더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94%)
  • 인코더는 입력된 상태나 명령을 2진 코드로 변환하는 논리회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인코더"입니다. 디코더는 2진 코드를 입력받아 상태나 명령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며, 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논리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반가산기에서 자리올림(carry)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A + B 
  2. A⋅B
  3.  
(정답률: 75%)
  • 반가산기에서 자리올림은 A와 B가 모두 1일 때 발생합니다. 이때, A와 B를 AND 연산한 결과가 자리올림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오디오앰프를 구성할 때 S/N 비가 특히 좋아야 할 부분은?

  1. EQ 부
  2. 파워 부
  3. 톤 컨트롤 부
  4. 필터 부
(정답률: 90%)
  • EQ 부에서 S/N 비가 특히 좋아야 하는 이유는 EQ 부는 입력 신호를 조작하여 출력 신호를 만들어내는 부분으로,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이 EQ 부에서 증폭되어 출력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Q 부에서 S/N 비가 높을수록 입력 신호의 원본성을 유지하면서 정확한 조작이 가능해지며, 최종적으로 좋은 음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덕턴스 L이 0.1[H]인 코일과 정전용량 C가 0.1[μF]인 콘덴서를 직렬 접속한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1. 1370[Hz]
  2. 1470[Hz]
  3. 1590[Hz]
  4. 1690[Hz]
(정답률: 82%)
  • 공식 f = 1 / (2π√(LC))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f = 1 / (2π√(0.1[H] × 0.1[μF])) = 1591.55[Hz]가 나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590[Hz]"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목표값이 일정한 경우의 자동제어는?

  1. 추치제어
  2. 서보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79%)
  • 목표값이 일정한 경우에는 정치제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목표값이 일정하기 때문에 제어기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초음파로 진단하기 어려운 영역은?

  1. 유선종양
  2. 호흡기 질환
  3. 뇌 질환
  4. 안과 및 정형외과
(정답률: 92%)
  • 초음파는 음파를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보는 방법이기 때문에 공기나 가스가 많이 존재하는 부위는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호흡기 질환은 폐 내부에 공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초음파로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PCB Layout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PCB의 패턴 굵기는 허용전류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2. PCB의 패턴은 가능한 짧게 설계하는 것이 좋다.
  3. 발진단은 방사 노이즈가 충분하도록 설계한다.
  4. 솔더링시 충분한 납량이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84%)
  • "발진단은 방사 노이즈가 충분하도록 설계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발진단은 PCB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합니다. 따라서, "발진단은 방사 노이즈를 최소화하도록 설계한다."가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레이더 송ㆍ수신 절환장치에서 송신기 ATR관과 TR관의 상태 중 옳은 것은?

  1. TR 및 ATR관은 방전하고 단락상태가 된다.
  2. TR관만 방전하고 OPEN 상태가 된다.
  3. TR 및 ATR관은 방전하지 않고 OPEN 상태가 된다.
  4. TR 및 ATR관은 방전하고 OPEN 상태가 된다.
(정답률: 42%)
  • 레이더 송ㆍ수신 절환장치에서 송신기 ATR관과 TR관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송신기가 작동할 때 ATR관과 TR관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절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송신기가 고장이 나면 ATR관과 TR관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 경우, ATR관과 TR관은 방전하고 단락상태가 된다. 이는 레이더 송신기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떤 회로의 피상전력이 20[kVA], 유효전력이 16[kW]일 때 이 회로의 무효율은?

  1. 1.0
  2. 0.8
  3. 0.6
  4. 0.2
(정답률: 35%)
  • 무효율은 (피상전력^2 - 유효전력^2) / 피상전력^2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무효율은 ((20^2 - 16^2) / 20^2) = 0.6 입니다. 이는 회로에서 전력 중 60%가 무효전력으로 소모되고, 유효전력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후입선출(LIFO) 동작을 하는 것은?

  1. RAM
  2. ROM
  3. STACK
  4. QUEUE
(정답률: 80%)
  • STACK이 후입선출(LIFO) 동작을 하는 이유는 데이터가 쌓이는 구조가 마치 쌓아올린 책처럼 위에서부터 차곡차곡 쌓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마지막에 쌓인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후입선출(LIFO) 방식과 일치하므로 STACK이 후입선출(LIFO) 동작을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달함수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입력만을 고려한다.
  2. 모든 초기값을 고려한다.
  3. 주파수 특성만을 고려한다.
  4. 모든 초기값을 0으로 한다.
(정답률: 94%)
  •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때, 초기값은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초기값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출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하여 입력만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모든 초기값을 0으로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클록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Low와 High 동작을 계속할 때 플립플롭의 동작은?

  1. JK 플립플롭
  2. RS 플립플롭
  3. D 플립플롭
  4. T 플립플롭
(정답률: 78%)
  • T 플립플롭은 클록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반대로 바꾸는 동작을 합니다. 따라서 Low와 High 동작이 반복될 때 T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를 유지하거나 반대로 바꿀 것입니다. JK 플립플롭과 RS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거나 유지할 수 있지만, D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현재 상태를 변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다음의 회로에서 단자 ab에 나타나는 전압 Vab는?

  1. 2[V]
  2. 4[V]
  3. 5[V]
  4. 6[V]
(정답률: 95%)
  • 회로의 좌측 상단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전압을 계산해보면, Vab = 2V + 4V = 6V 이므로 정답은 "6[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재생용 EQ(Equalizer) 회로의 특성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저역과 중역의 이득을 올린다.
  2. 중역과 고역의 이득을 올린다.
  3. 저역의 이득을 낮추고, 고역의 이득을 올린다.
  4. 저역의 이득을 높이고, 고역의 이득을 낮춘다.
(정답률: 92%)
  • 정답은 "저역의 이득을 높이고, 고역의 이득을 낮춘다." 입니다.

    이는 저역에서는 저역의 주파수를 강조하여 더욱 강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고역에서는 고역의 주파수를 약화하여 고음이나 소리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음질을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반도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매우 낮은 온도에서 절연체가 된다.
  2.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 값이 감소한다.
  3. 전기적 전도성은 금속과 절연체의 중간적 성질을 갖고 있다.
  4. 불순물이 섞이면 저항 값이 증가한다.
(정답률: 77%)
  • 불순물이 섞이면 저항 값이 증가하는 이유는 불순물이 자유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불순물이 섞이면 결정 구조가 깨지고 결함이 생기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이 방해되어 전기 저항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FM 검파 회로에서 비(ratio) 검파 회로가 사용되는 주된 이유는?

  1. 진폭 제한 작용을 가지므로
  2. 출력 임피던스가 낮으므로
  3. 검파 출력 전압이 크므로
  4. 동조가 간단하므로
(정답률: 70%)
  • 비(ratio) 검파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이 커질수록 검파 출력 전압이 작아지는 반면, 진폭 제한 작용을 가지는 비선형 요소를 사용하는 비검파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이 커질수록 검파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FM 검파 회로에서는 비(ratio) 검파 회로보다 진폭 제한 작용을 가지는 비검파 회로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의 진폭이 크게 변화해도 검파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저항 4[Ω], 유도 리액턴스 3[Ω]이 직렬일 때 5[A]의 전류가 흐른다면 이 회로에 가한 전압은?

  1. 15[V]
  2. 20[V]
  3. 25[V]
  4. 35[V]
(정답률: 90%)
  • 전압 = 전류 x 임피던스 = 전류 x (저항 + 유도 리액턴스)

    전압 = 5[A] x (4[Ω] + 3[Ω]) = 35[V]

    따라서, 정답은 "35[V]"가 되며, 이유는 위의 계산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원회로에서 무부하시 출력단자 전압이 100[V] 이고, 부하를 연결했을 때 출력단자 전압이 80[V] 이었다. 전압변동률은 몇 [%]인가?

  1. 15[%]
  2. 25[%]
  3. 30[%]
  4. 35[%]
(정답률: 94%)
  • 전압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변동률 = ((무부하시 출력단자 전압 - 부하 연결 후 출력단자 전압) / 무부하시 출력단자 전압) x 1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전압변동률 = ((100 - 80) / 100) x 100 = 20

    따라서 전압변동률은 20%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5%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반올림한 값입니다. 20%와 25%의 차이는 크지 않기 때문에, 반올림하여 25%가 정답으로 주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시키는 모뎀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AM
  2. FM
  3. PM
  4. FSK
(정답률: 83%)
  • FSK는 Frequency Shift Keying의 약자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 방식 중 하나입니다. FSK는 0과 1의 비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FSK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모뎀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영상 출력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마우스
  2. 타블렛
  3. CRT 모니터
  4. 키보드
(정답률: 90%)
  • 영상 출력 장치는 컴퓨터에서 생성된 영상을 실제로 보여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마우스, 타블렛, 키보드는 모두 입력 장치이며, 영상을 출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RT 모니터입니다. CRT 모니터는 전자총을 이용하여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에서 생성된 영상을 실제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디지털 전자계산기의 중앙처리장치에서 주기억장치, 연산처리장치 외에 꼭 있어야 할 것은?

  1. 입력장치
  2. 출력장치
  3. 보조기억장치
  4. 제어장치
(정답률: 96%)
  • 제어장치는 전자계산기의 모든 작업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연산처리장치에서 계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기 전에 제어장치가 모든 작업을 조정하고 제어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자계산기에서는 꼭 제어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음이 있을 때 필요한 소리가 소음의 영향으로 잘 들리지 않는 현상(효과)은?

  1. 스테레오 효과
  2. 양이(兩) 효과
  3. 명룡(鳴) 현상
  4. 마스킹(masking) 효과
(정답률: 98%)
  • 소음이 있을 때,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가리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마스킹(masking) 효과라고 합니다. 즉, 소음이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가리면서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제어계의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와의 비는?

  1. 전달함수
  2. 제어함수
  3. 적분함수
  4. 미분함수
(정답률: 96%)
  • 제어계의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와의 비는 전달함수입니다. 이는 제어계에서 입력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함수를 의미하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학적 모델로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전달함수를 알면 제어계의 동작을 예측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데이터 등을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버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어 버스
  2. 데이터 버스
  3. 어드레스 버스
  4. 레지스터 버스
(정답률: 79%)
  • 레지스터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 레지스터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버스이며, 외부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는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어드레스, 제어 버스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온도를 저항으로 변환시키는 것은?

  1. 스프링
  2. 전자코일
  3. 서미스터
  4. 가변저항기
(정답률: 91%)
  • 온도를 저항으로 변환시키는 것은 서미스터입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로,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전자코일, 가변저항기는 모두 서미스터와는 다른 원리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전 가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큰 열량을 얻으려면 주파수를 증가시킨다.
  2.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전원과의 임피던스 정합이 쉽다.
  3. 마이크로웨이브 레이지는 식품 가열 목적의 유전 가열이다.
  4. 플라스틱 제품의 가열, 합판 제작, PVC의 접착 등에 응용된다.
(정답률: 36%)
  •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전원과의 임피던스 정합이 쉽다는 것은 유전 가열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기장이 변화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유전체 내부에서 전기장이 발생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해 유전체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는 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큰 열량을 얻으려면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여유시간이 5분, 정미시간이 40분일 경우 내경법으로 여유율을 구하면 약 몇 [%]인가?

  1. 6.33[%]
  2. 9.05[%]
  3. 11.11[%]
  4. 12.50[%]
(정답률: 58%)
  • 여유시간과 정미시간을 이용하여 내경법으로 여유율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유율 = (여유시간 ÷ (여유시간 + 정미시간)) × 100

    여유율 = (5 ÷ (5 + 40)) × 100

    여유율 = 0.1111 × 100

    여유율 = 11.11[%]

    따라서, 정답은 "11.11[%]" 입니다. 이유는 내경법에서 여유율은 여유시간과 정미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문제에서 여유시간이 적고 정미시간이 많기 때문에 여유율이 낮게 나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로트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여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주검사
  2. 간접검사
  3. 전수검사
  4. 샘플링검사
(정답률: 96%)
  • 로트에서 랜덤하게 추출된 시료를 검사하여 전체 로트의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샘플링검사"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로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 방법이지만, 샘플링검사는 일부만 추출하여 검사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샘플링검사는 전체 로트의 품질을 대표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은 [데이터]에서 5개월 이동평균법에 의하여 8월의 수요를 예측한 값은 얼마인가?

  1. 103
  2. 105
  3. 107
  4. 109
(정답률: 74%)
  • 5개월 이동평균법은 최근 5개월간의 평균을 구하여 다음 달의 값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8월의 예측값은 4월부터 8월까지의 평균인 (100+102+104+106+110)/5 = 104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07이므로 정답은 1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관리 사이클의 순서를 가장 적절하게 표시한 것은? (단, A는 조치(Act), C는 체크(Check), D는 실시(Do), P는 계획(Plan)이다.)

  1. P→ D→ C→ A
  2. A→ D→ C→ P
  3. P→ A→ C→ D
  4. P→ C→ A→ D
(정답률: 87%)
  • 정답은 "P→ D→ C→ A" 입니다.

    먼저, 계획(Plan) 단계에서는 문제를 파악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그 다음으로, 실시(Do) 단계에서는 계획에 따라 실행하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그리고 체크(Check) 단계에서는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치(Act) 단계에서는 대안을 선택하고 실행합니다.

    따라서, "P→ D→ C→ A" 순서가 가장 적절합니다. 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하고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며, 마지막으로 대안을 선택하고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계량값 관리도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c 관리도, u 관리도
  2. x-Rs 관리도, P 관리도
  3. x-R 관리도, nP 관리도
  4. Me-R 관리도, x-R 관리도
(정답률: 70%)
  • Me-R 관리도와 x-R 관리도는 모두 계량값 관리도에 속하는 관리도이기 때문에 짝지어진 것입니다. Me-R 관리도는 중앙값과 범위를 이용하여 공정의 중심성과 변동성을 파악하는 관리도이며, x-R 관리도는 평균과 범위를 이용하여 공정의 중심성과 변동성을 파악하는 관리도입니다. 따라서 두 관리도는 모두 계량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모집단의 중심적 경향을 나타낸 측도에 해당하는 것은?

  1. 범위(Range)
  2. 최빈값(Mode)
  3. 분산(Variance)
  4.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정답률: 95%)
  • 최빈값은 데이터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값으로, 모집단의 중심적 경향을 나타내는 측도 중 하나입니다. 다른 측도들은 모집단의 분포나 변동성을 나타내는데 비해, 최빈값은 데이터의 대표값으로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값이므로 모집단의 중심적 경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