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14)

전자기기기능장
(2013-04-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PM 방식의 원리 설명으로 FM 변조기 앞에 어떤 회로를 삽입하면 PM파를 얻을 수 있는가?

  1. 적분회로
  2. 미분회로
  3. 위상 변조기
  4. 평형 변조기
(정답률: 85%)
  • PM 방식은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변조 신호의 위상 변화량에 따라 변조된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FM 변조기 앞에 미분회로를 삽입하면 변조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미분하여 변조된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PM파를 생성하는 원리와 일치하므로, 미분회로를 삽입하면 PM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적분회로를 삽입하면 위상 변화량이 적분되어 변조된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PM파를 얻을 수 없습니다. 위상 변조기와 평형 변조기는 PM 방식과는 다른 방식의 변조를 수행하므로, PM파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폐회로 자동제어의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목표값 → 계측 → 조작량 → 판단
  2. 목표값 → 계측 → 판단 → 조작량
  3. 제어량 → 목표값 → 조작량 → 동작신호
  4. 제어량 → 목표값 → 동작신호 → 조작량
(정답률: 56%)
  • 제어 시스템에서는 우선적으로 제어량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합니다. 그리고 이 목표값과 실제 값을 비교하기 위해 계측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립니다.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조작량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작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제어량 → 목표값 → 동작신호 → 조작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a)의 회로를 그림 (b)와 같은 등가 회로로 바꿀 때 ET[V]와 RT[Ω]의 값은?

  1. ET = 6, RT = 2.4
  2. ET = 4, RT = 10
  3. ET = 2, RT = 6
  4. ET = 6, RT = 4
(정답률: 74%)
  • 그림 (a)의 회로를 그림 (b)와 같은 등가 회로로 바꾸면, 2Ω와 4Ω가 병렬로 연결되어 2.4Ω가 되고, 이와 6Ω가 직렬로 연결되어 총 8.4Ω가 된다. 따라서, 전압의 합인 ET는 2Ω와 4Ω에 걸리는 전압의 합인 4V와 6Ω에 걸리는 전압 2V의 합인 6V가 되며, 총 저항인 RT는 2.4Ω와 6Ω의 합인 8.4Ω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ET = 6, RT =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2차계의 과도응답에서 임계제동의 경우는?

  1. ζ<1
  2. ζ>1
  3. ζ=1
  4. ζ=0
(정답률: 81%)
  • 2차계 시스템에서 과도응답이 발생할 때, 임계제동을 적용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ζ(제동비) 값을 1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과도응답이 발생할 때, 시스템이 진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렴하도록 하는 최적의 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ζ=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회로에 전압 [V] 를 가해 전류 [A]가 흐를 때 평균전력은 몇 [W]인가?

  1. 400√3[W]
  2. 200√2[W]
  3. 300[W]
  4. 200√3[W]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순서로써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①-②-③-④-⑤
  2. ①-④-②-⑤-③
  3. ①-②-④-⑤-③
  4. ①-④-②-③-⑤
(정답률: 62%)
  •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송신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을 생성합니다.
    ② 프레임에는 목적지 주소와 출발지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③ 수신자는 전송된 프레임을 받아들이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을 해독합니다.
    ④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⑤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신이 완료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②-③-④-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국부 발진주파수가 1000[kHz]일 때, 950[kHz]의 고주파를 수신하여 헤테로다인 검파하면 출력 주파수는 몇 [kHz]인가?

  1. 25[kHz]
  2. 50[kHz]
  3. 75[kHz]
  4. 100[kHz]
(정답률: 84%)
  • 헤테로다인 검파는 국부 발진주파수와 수신한 고주파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IF)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이 때 중간주파수는 국부 발진주파수와 고주파의 차이인 50[kHz]가 됩니다. 따라서 출력 주파수는 50[k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3-cycle 인스트럭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DD
  2. LOAD
  3. STORE
  4. JUMP
(정답률: 86%)
  • 3-cycle 인스트럭션은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3개의 클럭 사이클이 필요한 인스트럭션을 말합니다. ADD, LOAD, STORE은 모두 3-cycle 인스트럭션에 속하므로 정답은 JUMP입니다. JUMP는 분기 명령어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클럭 사이클 수가 다양하기 때문에 3-cycle 인스트럭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과 같은 진리표를 만족시키는 논리식은?

  1. 
(정답률: 69%)
  • 논리식은 " = (A ∧ ¬B ∧ C) ∨ (¬A ∧ B ∧ C) ∨ (¬A ∧ ¬B ∧ ¬C)" 이다.

    이유는 진리표에서 ""의 값이 1인 경우는 A, B, C 중에 두 개가 참이고 하나가 거짓인 경우이다. 따라서 ""의 값이 1이 되기 위해서는 "(A ∧ ¬B ∧ C)" 또는 "(¬A ∧ B ∧ C)" 또는 "(¬A ∧ ¬B ∧ ¬C)" 중 하나가 참이어야 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 = (A ∧ ¬B ∧ C) ∨ (¬A ∧ B ∧ C) ∨ (¬A ∧ ¬B ∧ ¬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블록도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PCM 송신 블록도이다. □안에 알맞은 회로 기능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① 파형정형 ② 양자화 ③ 표본화
  2. ① 표본화 ② 양자화 ③ 부호화
  3. ① 표본화 ② 양자화 ③ 파형정형
  4. ① 파형정형 ② 표본화 ③ 복호화
(정답률: 92%)
  • 정답은 "① 표본화 ② 양자화 ③ 부호화"입니다.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해야 합니다. 이를 표본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빈칸에는 "표본화"가 들어갑니다.

    다음으로, 샘플링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양자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두 번째 빈칸에는 "양자화"가 들어갑니다.

    마지막으로,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해야 합니다. 이를 부호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세 번째 빈칸에는 "부호화"가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형 다이나믹 스피커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진동판은 곡선형, 원추형, 포물선형이 있다.
  2. 콘지의 지료 및 만드는 방법에 따라 음질에 미묘한 영향을 끼친다.
  3. 콘지는 구경이 작을수록 저음 특성이 좋아진다.
  4. 콘지는 주파수가 높아지면 콘지 자체가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고, 부분적으로 움직여서 특성이 악화된다.
(정답률: 90%)
  • 콘형 다이나믹 스피커의 특징 중 하나는 콘지의 구경이 작을수록 저음 특성이 좋아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콘지의 구경이 작을수록 진동판의 진동이 더욱 정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형 다이나믹 스피커에서는 콘지의 구경을 가능한 작게 만들어서 저음을 더욱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마이크로폰에 들어오는 음압이 각 주파수에 걸쳐서 일정한 크기일 때, 각 주파수에 대응한 출력 전압의 관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감도
  2. 선택도
  3. 주파수특성
  4. 지향성
(정답률: 90%)
  • 주파수특성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에 들어오는 음압이 각 주파수에 걸쳐서 일정한 크기일 때, 각 주파수에 대응한 출력 전압의 관계를 주파수특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이미터 접지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주파 증폭에 많이 이용된다.
  2. 베이스 접지 증폭기보다 입력저항은 훨씬 크다.
  3. 전류증폭도와 전압증폭도가 모두 1 이상이다.
  4. 입력과 출력은 동위상이다.
(정답률: 82%)
  • 입력과 출력이 동위상이 아니라는 것은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 상반된 위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반전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은 동위상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priority interrup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polling 방식에는 priority가 없다.
  2. 병렬 priority interrupt 방식에는 interrupt register의 Bit 위치에 따라 priority가 결정된다.
  3. DAISY CHAIN 방식에서는 회로 결선 상태에 의해 priority가 결정된다.
  4. polling 방식의 결점은 interrupt가 많을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정답률: 87%)
  • "polling 방식에는 priority가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olling 방식에서도 interrupt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priorit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olling 방식은 interrupt가 발생할 때마다 모든 interrupt를 순차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interrupt가 많을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결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priority를 사용하더라도 polling 방식은 비효율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컴퓨터와 계측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용 표준 인터페이스 규약은?

  1. RS-422
  2. RS-232C
  3. IEEE-488
  4. CENTRONICS
(정답률: 88%)
  • RS-232C는 컴퓨터와 계측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용 표준 인터페이스 규약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규약입니다. 이는 RS-232C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데이터 전송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RS-232C는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AD 작업시 회로도(Capture)의 설계 순서가 옳은 것은?

  1. 도면의 디자인(Schematic Design) → 부품의 참조 값 정의(Annotate) → 설계규칙 검사(Design Rules Check) → 속성의 갱신(Update Properties) → 설계도면의 저장(Save Design) → 네트리스트의 생성(Create Netlist)
  2. 도면의 디자인(Schematic Design) → 설계규칙 검사(Design Rules Check) → 부품의 참조 값 정의(Annotate) → 설계도면의 저장(Save Design) → 속성의 갱신(Update Properties) → 네트리스트의 생성(Create Netlist)
  3. 도면의 디자인(Schematic Design) → 부품의 참조 값 정의(Annotate) → 속성의 갱신(Update Properties) → 설계규칙 검사(Design RulesCheck) → 설계도면의 저장(Save Design) → 네트리스트의 생성(Create Netlist)
  4. 도면의 디자인(Schematic Design) → 속성의 갱신(Update Properties) → 설계규칙 검사 Design Rules Check) → 설계도면의 저장(Save Design) → 부품의 참조 값 정의(Annotate) → 네트리스트의 생성(CreateNetlist)
(정답률: 80%)
  • 도면의 디자인(Schematic Design) → 부품의 참조 값 정의(Annotate) → 설계규칙 검사(Design Rules Check) → 속성의 갱신(Update Properties) → 설계도면의 저장(Save Design) → 네트리스트의 생성(Create Netlist) 순서가 옳습니다. 이는 먼저 회로도를 디자인하고, 부품의 참조 값을 정의한 후 설계규칙을 검사하고, 속성을 갱신하고, 설계도면을 저장한 후 네트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0.1[H]의 코일과 20[Ω]의 저항의 적분회로에서 전압이 12[V]인 전지를 인가시 전류가 최종 값의 63[%]에 달할 때 시간은 몇 [ms]인가?

  1. 1[ms]
  2. 5[ms]
  3. 10[ms]
  4. 15[ms]
(정답률: 64%)
  • 적분회로에서 전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t) = frac{V}{R}e^{-frac{t}{RC}}$$

    여기서 $V$는 전압, $R$은 저항, $C$는 코일의 적분상수입니다. 시간 $t$가 충분히 커지면 지수함수의 값은 0에 수렴하므로 최종 전류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I_{final} = frac{V}{R}$$

    따라서 전류가 최종 값의 63%에 달하는 시간 $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0.63I_{final} = frac{0.63V}{R}$$

    $$e^{-frac{t}{RC}} = 0.63$$

    $$-frac{t}{RC} = ln 0.63$$

    $$t = -RCln 0.63$$

    여기서 $R=20Omega$, $C=0.1[H]$, $V=12[V]$이므로,

    $$t = -20cdot 0.1cdot ln 0.63 approx 5[ms]$$

    따라서 정답은 "5[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이크로폰의 종류 중 양지향성을 갖는 것은?

  1. MC형 마이크로폰
  2. 리본형 마이크로폰
  3. 크리스털형 마이크로폰
  4. 가동코일형 마이크로폰
(정답률: 93%)
  • 리본형 마이크로폰은 양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로폰 중 하나입니다. 이는 리본형 마이크로폰의 구조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리본이 양쪽으로 놓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본형 마이크로폰은 전방과 후방 모두에서 소리를 수집할 수 있어 양지향성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전압 회로에서 무부하일 때의 출력전압을 VNL전부하일 때의 출력전압을 VFL 이라고 하면 부하 전압변동률은?

  1. 
(정답률: 71%)
  • 정전압 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부하 전압변동률은 0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입력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비교기에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추가한 것은?

  1. 특수 OTA
  2. 가산 증폭기
  3. 격리 증폭기
  4. 시미트 트리거
(정답률: 86%)
  • 히스테리시스 기능은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야 출력이 변화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입력 잡음이나 변동에 민감하지 않고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미트 트리거는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진 비교기의 일종으로,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설 때 출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추가한 비교기에는 시미트 트리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최대 컬렉터 손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열 저항에 비례한다.
  2. 주위온도에 비례한다.
  3. 주위온도에 반비례한다.
  4. 주위온도와 관계없다.
(정답률: 68%)
  • 최대 컬렉터 손실은 태양광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로,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모듈 외부로 방출되는 열의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때,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모듈 내부의 온도와 모듈 내부의 열 저항에 비례하며, 모듈 외부로 방출되는 열은 주위 온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최대 컬렉터 손실은 주위 온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명령 중 번지 필드가 필요 없는 명령은?

  1. 데이터 전송 명령
  2. 산술 명령
  3. 스킵(skip) 명령
  4. 서브루틴 call 명령
(정답률: 83%)
  • 스킵(skip) 명령은 프로그램 카운터(PC)를 증가시키지 않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고 건너뛰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번지 필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명령어들은 실행할 데이터나 연산할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번지 필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SRA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ccess 속도가 DRAM보다 빠르다.
  2. 전력소비가 DRAM에 비해 적다.
  3. 주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하다.
  4. 가격이 DRAM에 비해 싸다.
(정답률: 77%)
  • SRAM은 정적 램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전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DRAM과는 달리 주기적으로 재충전할 필요가 없으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속도가 더 빠릅니다. 따라서 "Access 속도가 DRAM보다 빠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계기착륙방식(ILS) 중 수평 위치의 정확한 코스를 알려주는 로컬라이저 비컨국의 변조 주파수는?

  1. 100[Hz], 150[hz]
  2. 90[Hz], 150[Hz]
  3. 90[Hz], 120[Hz]
  4. 150[Hz], 300[Hz]
(정답률: 79%)
  • 로컬라이저 비컨국은 수평 위치의 정확한 코스를 알려주는데, 이는 수평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두 개의 주파수가 필요하다. 이 중 첫 번째 주파수는 90[Hz]이고, 이는 비컨국의 좌우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두 번째 주파수는 150[Hz]이며, 이는 비컨국의 상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90[Hz], 15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논리회로와 등가인 논리회로는?

  1. 
(정답률: 79%)
  • 논리회로의 입력과 출력이 같은 경우 등가인 논리회로입니다. 논리회로의 입력과 출력을 살펴보면, 입력이 A, B, C, D 4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고, 출력이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는 입력이 2개씩 필요합니다. 따라서, 입력 A, B, C, D를 2개씩 묶어서 AND 게이트를 거치고, 그 결과를 OR 게이트를 거치면 출력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 사이에는 인버터가 있습니다. 인버터는 입력값을 반대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값이 A, B, C, D일 때, 인버터를 거치면 A', B', C', D'가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다시 정리하면 (A'B')'(C'D')'가 됩니다. 이는 NAND 게이트 2개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회로와 같습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덴서의 전위차와 축적된 에너지와의 관계식을 도형으로 나타내면?

  1. 직선
  2. 타원
  3. 포물선
(정답률: 92%)
  • 콘덴서의 전위차와 축적된 에너지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전위차가 커질수록 축적된 에너지도 커지며, 전위차가 작아질수록 축적된 에너지도 작아집니다. 이러한 관계식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전위차를 x축으로, 축적된 에너지를 y축으로 하는 2차 함수 그래프가 그려집니다. 이러한 2차 함수 그래프는 포물선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포물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JK 플립플롭에서 J=1, K=1일 때 클록 펄스가 들어가면 출력 Q는?

  1. 0
  2. 1
  3. Q
  4. Q'
(정답률: 93%)
  • JK 플립플롭에서 J=1, K=1일 때는 토글 모드(toggle mode)가 되어 이전 상태의 반대값이 출력된다. 따라서, 이전 상태가 0이었다면 1이 출력되고, 이전 상태가 1이었다면 0이 출력된다. 따라서, 정답은 "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기식 계수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작속도가 고속이다.
  2. 설계가 어렵고 불규칙적이다.
  3. 클록발진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4. 회로가 복잡하고 주로 큰 시스템에 사용된다.
(정답률: 90%)
  • 설계가 어렵고 불규칙적인 것은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동기식 계수기는 클록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따라 계수기의 상태가 변화합니다. 따라서 설계는 클록 신호의 주기와 계수기의 동작 속도를 고려하여 쉽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영상처리시스템의 입력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스캐너
  2. 디지털 카메라
  3. 비디오카메라
  4. 소프트 카피
(정답률: 90%)
  • 소프트 카피는 입력장치가 아니라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이미지를 복사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영상처리시스템의 입력장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전달함수를 정의할 때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입력만을 고려한다.
  2. 모든 초기 값을 고려한다.
  3. 주파수 특성만을 고려한다.
  4. 모든 초기 값을 0으로 한다.
(정답률: 87%)
  •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때, 초기값은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초기값이 다르면 시스템의 출력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값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출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초기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하면 시스템의 초기 상태를 일관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입력만을 고려하여 전달함수를 정의할 때는 모든 초기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LC 발진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클랩 발진기
  2. 이상 발진기
  3. 콜피츠 발진기
  4. 하트레이 발진기
(정답률: 71%)
  • LC 발진기는 콜피츠 발진기, 하트레이 발진기, 클랩 발진기에 해당됩니다. 이상 발진기는 LC 발진기가 아닌 다른 종류의 발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PU의 산술논리연산장치는?

  1. PC
  2. ACC
  3. ALU
  4. SP
(정답률: 90%)
  • CPU의 산술논리연산장치는 ALU(산술논리연산장치)입니다. 이는 CPU에서 데이터의 산술 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과 논리 연산(AND, OR, NOT, XOR 등)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CPU의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ALU는 CPU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CPU의 성능과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떤 회사는 8개의 장치가 완전히 연결된 Mesh network를 가지고 있다. 필요한 케이블 수는 몇 개인가?

  1. 4
  2. 7
  3. 28
  4. 56
(정답률: 86%)
  • Mesh network에서는 각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장치마다 (n-1)개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따라서 8개의 장치가 모두 연결되어 있는 Mesh network에서 필요한 케이블 수는 7+6+5+4+3+2+1 = 2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오류제어방식 중 재전송 요청을 하지 않고 수신측에서 검출도니 오류를 수신측에서 정정하는 자기정정방식은?

  1. 수평 패리티 방식
  2. 군계수 검사방식
  3. 중복순환검사 방식
  4. 해밍부호 방식
(정답률: 89%)
  • 해밍부호 방식은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해 추가적인 비트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비트와 검사 비트를 함께 전송하며, 수신측에서 검사 비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검사 비트와 데이터 비트를 함께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합니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검출된 오류를 자기정정하여 재전송 요청을 하지 않아도 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의 회로에서 5[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1. 1[A]
  2. 2[A]
  3. 3[A]
  4. 4[A]
(정답률: 90%)
  • 이 회로는 직렬 회로이므로 전류는 모든 저항에서 동일합니다. 따라서 5[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1[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마이크로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사고기능
  2. 연산기능
  3. 제어기능
  4. 기억기능
(정답률: 91%)
  • 마이크로컴퓨터는 사람과 같은 사고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사고 기능은 인간의 뇌에만 있는 능력으로, 문제 해결, 추론, 판단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연산, 제어, 기억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사고 기능은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2헤드 VCR과 4헤드 VCR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VCR은 동일 기종으로 간주함)

  1. 영상신호의 기록방식은 헤드 수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2. 표준(Standard Play) 모드에서 영상신호의 재생방식은 서로 동일하다.
  3. 표준(Standard Play) 모드에서 4헤드 방식이 2헤드 방식보다 재생 화질이 더 좋다.
  4. 일시정지(Still) 모드에서 4헤드 방식이 2헤드 방식보다 영상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정답률: 66%)
  • "영상신호의 기록방식은 헤드 수와 무관하게 동일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2헤드 VCR은 비디오 헤드와 오디오 헤드가 하나씩 있어서 기록과 재생을 모두 수행합니다. 반면에 4헤드 VCR은 비디오 헤드가 두 개, 오디오 헤드가 두 개로 총 네 개의 헤드가 있어서 기록과 재생을 분리하여 수행합니다. 따라서 4헤드 VCR은 기록할 때 더 정확하게 영상신호를 기록할 수 있고, 재생할 때도 더 정확하게 영상신호를 읽어들여서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표준(Standard Play) 모드에서 4헤드 방식이 2헤드 방식보다 재생 화질이 더 좋다." 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번지(address)를 지정해서 그 내용을 자유롭게 읽어 낼 수 있고, 써넣을 수도 있는 메모리는?

  1. ROM
  2. RAM
  3. PROM
  4. CORE
(정답률: 90%)
  • RAM입니다. RAM은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한 휘발성 메모리로, CPU가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쓰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번지(address)를 지정해서 그 내용을 자유롭게 읽어 낼 수 있고, 써넣을 수도 있는 메모리는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의 라플라스 변환을 하면? (단, X(0+)=0이다.)

  1. 
(정답률: 76%)
  • 주어진 함수는 시간 영역에서 지수 함수이므로 라플라스 변환을 하면 분모에 s가 있고 분자에는 s에 대한 일차식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여러 개의 입ㆍ출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채널은?

  1. I/O channel
  2. duplex channel
  3. multiplexer channel
  4. register channel
(정답률: 86%)
  • Multiplexer channel은 여러 개의 입ㆍ출력장치를 하나의 채널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채널과 달리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를 분리하여 각각의 장치로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ㆍ출력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유전가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을 끊어도 가열은 계속된다.
  2. 내부가열이므로 표면의 손상이 없다.
  3.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력소비도 증가한다.
  4. 유전손에 의한 전력소비는 정전용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80%)
  • "전원을 끊어도 가열은 계속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유전가열은 전기장이 유전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유전체 내부의 분자들이 움직이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되면 전기장이 사라지므로 가열도 중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JK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J와 K입력 사이를 NOT 게이트로 연결한 플립플롭은?

  1. RST형 플립플롭
  2. RS형 플립플롭
  3. D형 플립플롭
  4. T형 플립플롭
(정답률: 59%)
  •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J가 1이고 K가 0일 때는 출력이 1이 되고, J가 0이고 K가 1일 때는 출력이 0이 되며, J와 K 입력이 모두 0일 때는 출력이 변하지 않는다. 이때 J와 K 입력 사이를 NOT 게이트로 연결하면, J와 K 입력이 서로 반대되는 상태가 되므로, J와 K 입력이 모두 0일 때는 출력이 1이 되고, J가 1이고 K가 0일 때는 출력이 0이 되며, J가 0이고 K가 1일 때는 출력이 1이 된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D형 플립플롭과 동일하므로, 정답은 D형 플립플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2진수 11110010을 16진수로 표현하면?

  1. F2
  2. 152
  3. 362
  4. 6A
(정답률: 81%)
  • 1111은 16진수로 F이고, 0010은 16진수로 2이므로 11110010은 16진수로 F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초음파의 에너지를 크게 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공동현상
  2. 산화작용
  3. 발광작용
  4. 입자의 집합작용
(정답률: 73%)
  • 초음파는 고주파수 소리의 일종으로, 에너지가 높을수록 진동이 강해지고 물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초음파의 에너지를 크게 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는 공동현상, 산화작용, 입자의 집합작용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발광작용은 초음파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현상으로,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발광작용은 물질이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화학반응이나 전자의 이동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고주파 유전 가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을 끊으면 가열은 즉시 정지하여 열의 이용이 쉽다.
  2. 고주파 용접, 음식물의 조리 등에 응용된다.
  3. 금속의 표면 가열이 쉽게 이루어진다.
  4. 전원주파수가 높을수록 분자의 방향 전환속도가 빠르게 되어 전력소비도 증가한다.
(정답률: 86%)
  • 전원을 끊으면 가열이 즉시 정지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금속의 표면 가열이 쉽게 이루어진다."입니다. 고주파 유전 가열은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질 내부의 분자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질 표면에서 전자기장에 의해 전자가 진동하면서 생기는 마찰열로 가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속과 같이 전기를 잘 전도하는 물질의 경우 표면에서 가열이 쉽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콘덴서 두 극판 사이의 간격이 d[m]이고, 전압이 V[V]이다. 이 극판 사이에 전하 Q[C]의 입자 받는 힘은?

  1. 
(정답률: 77%)
  • 전하 Q는 극판 사이의 전위차 V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 E에 영향을 받는다. 전기장 E는 극판 사이의 간격 d에 반비례하므로, 전하 Q에 작용하는 힘 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Q * E = Q * V / d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같은 보빈 위에 동일한 권수로 인덕턴스 L[H]의 코일 2개를 접근해서 감고 이것을 직렬로 접속했을 때 합성 인덕턴스는? (단, 결합계수는 0.8이다.)

  1. 0.2L[H]
  2. 0.4L[H]
  3. 3.6L[H]
  4. 3.8L[H]
(정답률: 8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합성 동기신호에서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회로는?

  1. 미분회로
  2. 적분회로
  3. 디앰퍼시스회로
  4. 프리앰퍼시스회로
(정답률: 71%)
  • 미분회로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평 동기신호는 기울기가 0이므로 미분하면 출력이 0이 되어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 동기신호에서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회로는 미분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녹음 또는 재생이라는 기계적인 방법을 거친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재생음이 떨리 나 탁해지는 원인이 되는 것은?

  1. S/N비
  2. 고조파 왜곡
  3. 에코(잔향)
  4. 와우플러터(wow and flutter)
(정답률: 82%)
  • 와우플러터는 녹음 또는 재생 시 회전하는 디스크나 테이프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음악이 떨리거나 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V1(s)를 입력, V2(s)를 출력이라 할 때, 다음 회로의 전달함수는? (단, C1=1[F], L1=1[H]이다.)

  1. 
(정답률: 70%)
  • 이 회로는 고전압/저전압 필터 회로로, 입력신호 V1(s)가 C1과 L1을 거쳐 출력신호 V2(s)로 전달된다. 이때, C1과 L1은 각각 s-domain에서 적분과 미분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C1은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L1은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이 회로의 전달함수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C1의 전달함수와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L1의 전달함수를 곱한 것과 같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s) = V2(s)/V1(s) = 1/(sC1) * sL1 = 1/(s^2C1L1)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레이저(laser)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 폭이 매우 좁은 단색광이다.
  2. 사인파의 일종으로 파장이 매우 짧다.
  3. 전자파의 유도 방출로 빛을 발생한다.
  4. 레이저의 종류에는 고체와 액체 레이저만 있다.
(정답률: 94%)
  • 레이저의 종류에는 고체와 액체 레이저만 있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고체, 액체, 기체 등 다양한 물질에서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체 레이저, 액체 레이저, 기체 레이저 등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가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음(소리)의 3요소 가운데 그 중 하나를 설명한 것은?

  1. 소리의 반사에 의한 간접 음이 잔향이다.
  2. 높은 주파수의 소리일수록 흡수되는 성질이 강하다.
  3. 낮은 주파수의 소리일수록 반사하는 성질이 강하다.
  4. 소리의 높이는 기본 주파수 또는 파장에 의하여 정해진다.
(정답률: 84%)
  • 소리의 높이는 기본 주파수 또는 파장에 의하여 정해진다는 것은 소리의 높낮이는 소리의 진동수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진동수가 높을수록 높은 음이 나오고, 진동수가 낮을수록 낮은 음이 나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펄스진폭변조(PAM)와 펄스위상변조(PPM)를 비교하여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신호대잡음비(S/N)는 PAM쪽이 뒤떨어진다.
  2. 채널수가 같은 경우 PAM쪽이 펄스폭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3. 두 변조방식 모두 다중통신에 적합하다.
  4. PPM이 채널수를 더 많이 할 수 있다.
(정답률: 50%)
  • "PPM이 채널수를 더 많이 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PAM은 펄스의 진폭을 변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채널당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PPM은 펄스의 위치를 변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채널당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더 많습니다. 따라서 PPM은 채널수를 더 많이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토콜의 기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엔티티간 긴 메시지를 전송할 때는 보통 전송이 용이하도록 세분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라고 한다.
  2. PDU들을 원래의 순서대로 복원하여 재조립하기 위해 PDU에 일련번호를 지정하며 수신측에서는 이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순서를 재조정하는 것을 순서 결정(sequence)이라고 한다.
  3. 수신 개체는 송신 개체에서 보내는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속도 등을 조절하는데 이를 흐름 제어(flow control)라고 한다.
  4. 송신측 엔티티와 수신측 엔티티 간에 타이밍을 맞추는 기능, 즉 2개의 엔티티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동기화(synchronization)라고 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엔티티간 긴 메시지를 전송할 때는 보통 전송이 용이하도록 세분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라고 한다."입니다. 이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검사의 분류 방법 중 검사가 행해지는 공정에 의한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관리 샘플링검사
  2. 로트별 샘플링검사
  3. 전수검사
  4. 출하검사
(정답률: 74%)
  • 출하검사는 제품이 출하되기 전에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는 검사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검사가 행해지는 공정에 의한 분류 중에서는 출하검사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파레토도
  2. 히스토그램
  3. 회귀분석
  4. 특성요인도
(정답률: 76%)
  •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도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 특성요인도를 사용합니다. 특성요인도는 어떤 결과물이나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을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에서도 특성요인도를 사용하여 아이디어 도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욱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계여유(slack)의 표시로 옳은 것은? (단, TE는 가장 이른 예정일, TL은 가장 늦은 예정일, TF는 총 여유시간, FF는 자유여유시간 이다.)

  1. TE - TL
  2. TL - TE
  3. FF - TF
  4. TE - TF
(정답률: 79%)
  • 정답은 "TL - TE"이다.

    단계여유(slack)는 각 작업의 TE와 TL 사이의 차이로 계산된다. TE는 가장 이른 예정일이고, TL은 가장 늦은 예정일이다. 따라서 "TL - TE"는 해당 작업이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만약 "TL - TE"가 양수라면 해당 작업은 예정보다 빨리 끝날 수 있으며, 음수라면 예정보다 늦게 끝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TE - TL"은 작업이 예정보다 늦게 끝나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옳지 않다. "FF - TF"는 자유여유시간과 총 여유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는 해당 작업이 완료되더라도 다음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남는 시간을 의미하므로 작업의 여유를 나타내는 값이 아니다. "TE - TF"는 작업이 시작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과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 가장 늦은 시간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는 작업의 여유를 나타내는 값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 관리도에서 k=20인 군의 총 부적합수 합계는 58이었다. 이 관리도의 UCL, LCL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UCL = 2.90, LCL = 고려하지 않음
  2. UCL = 5.90, LCL = 고려하지 않음
  3. UCL = 6.92, LCL = 고려하지 않음
  4.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정답률: 61%)
  • c 관리도에서 부적합수의 평균은 λ = k/n 이다. 여기서 k=20이므로 λ=20/n이다. 또한, 부적합수의 분산은 σ^2 = λ(1-λ/n) 이다. 이 문제에서는 부적합수의 합계가 주어졌으므로, 부적합수의 평균과 분산을 구할 수 있다.

    부적합수의 평균: λ = k/n = 20/n
    부적합수의 분산: σ^2 = λ(1-λ/n) = 20/n(1-20/n)

    c 관리도의 UCL과 LCL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UCL = λ + 3σ = 20/n + 3√(20/n(1-20/n))
    LCL = λ - 3σ = 20/n - 3√(20/n(1-20/n))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n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UCL과 LCL을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LCL은 "고려하지 않음"으로 표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테일러(F.W. Taylor)에 의해 처음 도입된 방법으로 작업시간을 직접 관측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표준시간 설정기법은?

  1. PTS법
  2. 적자료법
  3. 표준자료법
  4. 스톱워치법
(정답률: 63%)
  • 표준시간 설정기법은 작업시간을 측정하여 표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스톱워치법은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하고 끝낼 때까지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정확하며 작업자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작업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스톱워치법이 표준시간 설정기법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정 중에 발생하는 모든 작업, 검사, 운반, 저장, 정체 등이 도식화 된 것이며 또한 분석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소요시간, 운반거리 등의 정보가 기재된 것은?

  1. 작업분석(Operation Analysis)
  2. 다중활동분석표(Multiple Activity Chart)
  3. 사무공정분석(Form Process Chart)
  4. 유통공정도(Flow Process Chart)
(정답률: 74%)
  • 유통공정도는 공정 중에 발생하는 모든 작업, 검사, 운반, 저장, 정체 등을 도식화하여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작업 분석, 다중 활동 분석, 사무 공정 분석에 더 적합한 도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