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통신설비기능장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전화케이블 공사를 도로구간에서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안전표지와 관계 먼 것은?

  1. 지시표지
  2. 위험표지
  3. 서행표지
  4. 공사안내표지
(정답률: 90%)
  • 전화케이블 공사를 실시할 때에는 도로 사용자들에게 공사 진행 상황을 알리기 위해 공사안내표지를 사용하고, 도로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위험표지를 사용하며, 공사 구간에서 서행을 유도하기 위해 서행표지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전화케이블 공사를 도로구간에서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안전표지와 관계 먼 것은 "지시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동교환기의 수명보전과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교환실의 적정온도는?

  1. 최저 5[℃]에서 최고 15[℃] 이내
  2. 최저 15[℃]에서 최고 28[℃] 이내
  3. 최저 10[℃]에서 최고 30[℃] 이내
  4. 최저 25[℃]에서 최고 35[℃] 이내
(정답률: 88%)
  • 자동교환기는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해야 하며, 교환실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기계의 작동이 느려지거나 멈출 수 있고, 너무 높으면 부품의 손상이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온도는 최저 15[℃]에서 최고 28[℃]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자동교환기의 수명을 보전하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화선로가 송배전선 등 고압의 전력 시설로부터 전력유도 방해를 받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 중 잘못 된 것은?

  1. 자동전화 교환기의 릴레이가 동작 후 복구되지 않는다.
  2. 전화기의 Bell이 계속 울린다.
  3. 통화 전류가 증가되어 높은 소리로 통화할 수있다.
  4. 잡음이 증가되어 자동 전화 교환기가 오동작이 되어 고장을 야기 시킨다.
(정답률: 77%)
  • 전화선로가 고압의 전력 시설로부터 전력유도 방해를 받을 경우, 전화기에 전류가 유입되어 통화 전류가 증가되어 높은 소리로 통화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전류의 증가로 인해 음성 신호가 강화되어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현상은 잘못된 것이 아니며,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회로시험기에서 교류전압계의 지시는?

  1. 최대값
  2. 실효값
  3. 평균값
  4. 순시값
(정답률: 86%)
  • 교류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값이므로, 전압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압의 변화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때, 전압의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최대값, 평균값, 순시값 등이 있지만, 교류전압계에서는 실효값을 사용합니다. 실효값은 전압의 변화율을 고려하여 전압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 전압의 크기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회로시험기에서 교류전압계의 지시는 실효값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에서 스위치 S를 닫는 순간 전류는 몇 [A]인가?

  1. 0
  2. 1.7
  3. 2
  4. 2.5
(정답률: 75%)
  • 스위치 S를 닫으면 회로가 완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 전류는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인 오므로, 전압과 저항을 알면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전압은 12V이고, 저항은 6Ω이므로, 전류는 12V / 6Ω = 2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불변전류에 의한 계전기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기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사용하기 전에 Meter의 지침은 0의 눈금에 조정해 놓는다.
  2. 전류가 일정하면 초 시간계 지침의 기울기는 전류통과 시간에 비례한다.
  3. 초 시간계 눈금은 전 전기량 Q를 통과할 때 지침이 D를 지시한다.
  4. 눈금은 대수 눈금이며 눈금의 단위는 [sec]이다.
(정답률: 65%)
  • "눈금은 대수 눈금이며 눈금의 단위는 [sec]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계전기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기에서는 초 시간계를 사용하며, 초 시간계의 눈금은 일반적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입니다. 따라서 눈금의 단위는 [sec]이 맞지만, 대수 눈금이 아닌 실제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의 정3각파 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최대치는 200[V]이다.
  2. 최소치는 100[V]이다.
  3. 실효치는 57.7[V]이다.
  4. 평균치는 45[V]이다.
(정답률: 75%)
  • 정3각파의 경우,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크기의 루트 3배가 됩니다. 따라서, 최대치는 200[V], 최소치는 100[V]가 되며, 이를 이용하여 실효치를 구하면 200^2 + 100^2 = 50000, 루트 3을 곱하면 86603.28이 됩니다. 이를 3으로 나누면 실효치인 57.7[V]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효치는 57.7[V]이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화 케이블에서 전기저항을 점차 증가시킬 때 통화전류의 전파속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1. 일정하다.
  2. 점차 느려진다.
  3. 점차 빨라진다.
  4.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73%)
  • 전파속도는 전기저항과는 무관하며, 전파속도는 전파가 통과하는 매질의 유전율과 자기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기저항을 증가시켜도 전파속도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정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텝 인덱스형 광섬유에서 전반사 현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코어의 굴절률과 클래드의 굴절률과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성립되어야 하는가?

  1. 두 매질의 굴절률은 같아야 한다.
  2. 클래드의 굴절률이 더 높아야 한다.
  3. 코어의 굴절률이 더 높아야 한다.
  4. 두 매질의 굴절률 사이에는 아무관계도 없다.
(정답률: 79%)
  • 코어의 굴절률이 더 높을 경우, 광섬유 내부에서 광선은 코어와 클래드 경계면에서 더 큰 각도로 굴절되어 전반사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코어의 굴절률이 더 높아야 전반사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논리회로의 결과는 어떻게 나오는가?

  1. A ⋅ B
  2. A + B  
(정답률: 57%)
  • 주어진 논리회로에서, A와 B는 AND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고, AND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 A와 B의 논리곱(A ⋅ B)입니다. 그리고 출력값은 NOT 게이트에 입력되어 있고, NOT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값의 부정(~)입니다. 따라서, 최종 출력값은 A ⋅ B의 부정인 "A ⋅ 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동 교환기에서 오접속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가입자 Dial 이 불량인 경우
  2. 가입자 Loop 저항이 많을 경우
  3. 미니멈 포오즈가 다를 경우
  4. 통화선에 귀금속을 사용치 않을 경우
(정답률: 81%)
  • 자동 교환기에서 오접속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통화선에 귀금속을 사용할 경우 발생합니다. 귀금속은 전기를 잘 전달하기 때문에 통화선에 귀금속이 사용되면 전류가 누설되어 오접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귀금속 대신 비귀금속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입자 Dial이 불량하거나 Loop 저항이 많을 경우, 미니멈 포오즈가 다를 경우에도 오접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송로 집선장치”의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1. 모국장치와 자국장치가 있다.
  2. 디지털 통신방식에 해당된다.
  3. 96채널로 다중화시켰다.
  4. 원격교환 접속방식을 채택하였다.
(정답률: 63%)
  • 정답은 "96채널로 다중화시켰다."입니다. 전송로 집선장치는 아날로그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여러 개의 전화 회선을 하나의 전송로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96채널로 다중화시켰다는 것은 96개의 전화 회선을 하나의 전송로로 묶어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최번시 1시간에 생긴 전화호수가 300이고 평균보류 시간이 3분일 때 전화호량을 [HCS]로 나타내면 얼마인가?

  1. 360
  2. 450
  3. 540
  4. 630
(정답률: 50%)
  • 전화호량 = (1시간에 생긴 전화호수) x (평균보류시간) = 300 x 3 = 900
    하지만, 문제에서 전화호량을 [HCS]로 나타내라고 했으므로, 900을 60으로 나누어줘야 함.
    [HCS] = 900 ÷ 60 = 15
    따라서, 정답은 15 x 36 = 5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파수 변조를 진폭 변조와 비교할 경우 잘못된 설명은?

  1. S/N 비가 개선된다.
  2. 에코우의 영향이 크다.
  3. 초단파대의 통신이 적합하다.
  4.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42%)
  • 에코우의 영향이 크다는 것은 주파수 변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인데, 이는 주파수 변조 신호가 전파되는 도중에 반사되어 다시 수신기에 도달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원래의 신호와 반사된 신호가 섞여서 수신기에서 원래의 신호를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에코우의 영향이 크다는 것은 주파수 변조를 사용할 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0[V]의 전위차로 가속된 전자가 얻는 에너지는? (단, m : 전자의 질량, e : 전자의 전하량)

  1. 10em[J]
  2. 10[eV]
  3. 10e/m[J]
  4. 10m[eV]
(정답률: 64%)
  • 전위차가 10[V]이므로 전자가 전위차를 이동하면서 얻는 전위에너지는 10[eV]이다. 전위에너지는 전하량과 전위차에 비례하므로 전자의 전하량인 e를 곱해주면 전자가 얻는 에너지는 10[eV]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e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374를 BCD(Binary Coded decimal)코드로 표시한 것 중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0101 0010 1000
  2. 0011 0111 0100
  3. 1000 1010 0110
  4. 0100 0110 0011
(정답률: 69%)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374를 BCD 코드로 표시하면 각 자리수를 4비트 이진수로 변환하여 연결하면 됩니다.

    3 -> 0011
    7 -> 0111
    4 -> 0100

    따라서 374를 BCD 코드로 표시한 것은 "0011 0111 01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Data) 통신상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장치는?

  1. 단말입출력장치
  2. 전송제어장치
  3. 통신종단장치
  4. 통신제어장치
(정답률: 73%)
  • 전송제어장치는 데이터 통신에서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오류를 검출하고, 이를 정정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에서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한 장치로서 전송제어장치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급전선(feeder-line)의 필요한 조건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전송효율이 좋을 것
  2. 급전선의 파동임피던스가 적당할 것
  3. 유도방해를 주거나 받지 않을 것
  4. 송신용일 때는 절연내력이 적을 것
(정답률: 57%)
  • 송신용일 때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것이므로, 절연내력이 적을수록 전기적 신호의 손실이 적어지고 전송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송신용일 때는 절연내력이 적을 것"이 필요한 조건이 아니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현파신호로 진폭변조한 파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그 최대진폭이 45[V]이고 최소진폭이 5[V]이었다. 변조도는 얼마인가?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72%)
  • 변조도는 최대진폭과 최소진폭의 차이를 최대진폭과 최소진폭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도는 (45[V]-5[V])/(45[V]+5[V]) = 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펄스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PCM
  2. PWM
  3. PPM
  4. SSB
(정답률: 72%)
  • SSB는 직접적으로 펄스를 변조하지 않기 때문에 펄스변조 방식이 아닙니다. PCM은 펄스 코드 변조, PWM은 펄스 폭 변조, PPM은 펄스 위치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무선수신기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1. 스트레이트 수신기
  2.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
  3. 리플렉스 수신기
  4. 단동조형 수신기
(정답률: 76%)
  •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는 다른 무선수신기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쓰이는 무선수신기입니다. 이는 라디오 주파수를 더 낮은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이후에 필터링과 증폭을 거쳐 원하는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걸러내고, 원하는 신호를 더욱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SSB 통신을 DSB 통신과 비교 할 때 그 특징이 아닌 것은?

  1. 페이딩의 영향이 적다.
  2. 점유대역폭이 1/2이다.
  3. 반송파가 출력에 나타나지 않는다.
  4. 수신기장치가 간단해진다.
(정답률: 63%)
  • SSB 통신은 DSB 통신에 비해 점유대역폭이 1/2이며, 반송파가 출력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SSB 통신에서는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신호가 전송되지 않아 점유대역폭이 줄어들고, 반송파가 출력에 나타나지 않아 수신기에서 반송파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SSB 통신에서는 수신기장치가 간단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SCII 코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7비트의 정보비트로 되어 있다.
  2. 패리티검사를 위한 비트가 있다.
  3. 데이터 통신용으로 많이 쓰인다.
  4. 주로 산술연산에 사용되는 코드이다.
(정답률: 50%)
  • ASCII 코드는 주로 산술연산에 사용되는 코드가 아니라, 문자와 기호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기 위한 표준 코드이다. 따라서 "주로 산술연산에 사용되는 코드이다."가 아닌 것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동축케이블과 비교한 도파관의 마이크로파 전송특징이 아닌 것은?

  1. 도체의 오옴손실이 작다.
  2. 유전체손실이 작다.
  3. 전송전력이 작다.
  4. 방사손실이 작다.
(정답률: 65%)
  • 도파관은 동축케이블과 비교하여 전송전력이 크기 때문에 "전송전력이 작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파관은 동축케이블보다 도체의 오옴손실과 유전체손실이 작고, 대역폭이 넓으며 방사손실도 작습니다. 하지만 전송전력은 크기 때문에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마이크로파 중계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집중 중계방식
  2. 직접 중계방식
  3.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4. 검파 중계방식
(정답률: 46%)
  • 정답: 집중 중계방식

    집중 중계방식은 마이크로파를 한 지점에서 집중적으로 발생시켜 다른 지점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여러 지점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한 지점에서 모아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중계방식 중에서는 유일하게 직접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지점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모아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광섬유케이블을 심선의 구조를 설명한 내용이 내부에서 외부 쪽으로 순서대로 잘된 것은?

  1. 클래드 -코어 - 1차 코팅 - 2차 코팅
  2. 코어 -클래드 - 1차 코팅 - 2차 코팅
  3. 1차 코팅 - 2차 코팅 -클래드 -코어
  4. 1차 코어 - 1차 클래드 - 2차 코어 - 2차 클래드
(정답률: 73%)
  • 광섬유케이블의 구조는 코어(광신호를 전달하는 중심부), 클래드(코어를 감싸는 광섬유의 외부), 1차 코팅(클래드를 보호하는 역할), 2차 코팅(외부 환경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코어 -클래드 - 1차 코팅 - 2차 코팅"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파형은 선로의 각종 이상상태에 대한 반사형의 형태이다. 틀리게 짝지어진 파형은? (단, 원형펄스 )

(정답률: 63%)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원형펄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쇠하는 형태를 가지는데, "" 의 경우에는 반사파가 원형펄스보다 더 높은 진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상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원형펄스의 형태를 잘 따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전화기의 보안장치와 관계없는 것은?

  1. 피뢰기(arrestor)
  2. 퓨즈(fuse)
  3. 열선륜(heat coil)
  4. 콘덴서(condenser)
(정답률: 59%)
  • 콘덴서는 전화기의 보안장치와 관련이 없습니다. 콘덴서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전화기의 보안장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교환기의 구조장치 중 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호에 관계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는?

  1. 중앙제어장치(CC)
  2. 주사장치(SCN)
  3. 호처리기억장치(CS)
  4. 프로그램기억장치(PS)
(정답률: 69%)
  • 호처리기억장치(CS)는 전자교환기에서 호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자교환기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나타내는데, 중앙제어장치(CC)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주사장치(SCN)는 전화기의 신호를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프로그램기억장치(PS)는 전자교환기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호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는 호처리기억장치(C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TV 방송화면 하단엔 문자정보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무엇이라 하는가?

  1. Videotex
  2. Teletext
  3. Fax
  4. Telex
(정답률: 64%)
  • TV 방송화면 하단에 문자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Teletext라고 합니다. 이는 TV 방송 신호에 문자 정보를 실어 보내어 수신자가 TV 화면 하단에서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Videotex는 인터넷과 유사한 서비스이며, Fax와 Telex는 전화선을 통해 문서를 전송하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리나라의 전기통신은 누가 관장하는가?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정보통신부장관
  4. 한국통신사장
(정답률: 44%)
  • 우리나라의 전기통신은 국무총리가 관장하는 이유는, 국무총리가 정보통신 분야를 총괄하는 총리실을 관할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무총리가 전기통신 분야의 정책 수립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트랙픽 이론에서 호손율 B와 접속율 C의 상호관계는?

(정답률: 60%)
  • 호손율 B와 접속율 C는 역수 관계에 있다. 즉, B가 증가하면 C는 감소하고, B가 감소하면 C는 증가한다. 이는 호손율이 높을수록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접속율이 낮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길이가 긴 섬유를 따라 도파된 광펄스의 모양이 펄스의 폭도 커지게 되어서 이웃하는 펄스와 서로 겹침으로써 광섬유의 전송용량을 제한하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누설특성
  2. 간접특성
  3. 분산특성
  4. 도파특성
(정답률: 38%)
  • 이 현상은 광파동이 광섬유 내에서 전파할 때 발생하는 "분산"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분산특성"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광섬유의 전송거리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강전류 전선은 몇 볼트 이상의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을 말하는가?

  1. 100볼트
  2. 220볼트
  3. 300볼트
  4. 600볼트
(정답률: 56%)
  • 강전류 전선은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입니다. 일반적으로 300볼트 이상의 전압을 사용하며, 이는 높은 전압이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전류 전선은 300볼트 이상의 전압을 사용하여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화를 걸려고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었더니 “딱딱딱··”하는 소리만 계속 들리고 발신음이 들리지 않는다. 이 경우 주로 어떤 고장인가?

  1. 케이블 내에 침수되었다.
  2. 가입자선로의 루프저항이 과다하다.
  3. 케이블 내에 LPG 가스가 가득 찼다.
  4. 교환기의 라인스위치가 고장 났다.
(정답률: 68%)
  •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었을 때 발신음이 들리지 않고 "딱딱딱"하는 소리만 들리는 경우, 이는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교환기의 라인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인스위치는 교환기에서 전화기와 가입자선로를 연결하는 장치로, 고장이 발생하면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의 연결이 끊어져 발신음이 들리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교환기의 라인스위치가 고장 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발진회로의 항온조에 사용되지 않는 소자는?

  1. bimetal
  2. thermister
  3. thyrister
  4. 수은온도계 접점
(정답률: 44%)
  • 발진회로의 항온조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bimetal과 thermister는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소자입니다. 수은온도계 접점은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발진회로의 항온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thyrister는 발진회로에서 전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데, 항온조에서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yrister가 항온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소자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무선통신에서 많이 이용되는 전리층에 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은 내용은?

  1. 전리층은 태양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 X-선에 의해 대기의 상태가 이온화된 상태이다.
  2. 지상 50[km]~400[km] 사이에 형성된다.
  3. 높이에 따라 D, E, F층으로 구분된다.
  4. 제일 높은 곳에 D층이 형성되며, 전자밀도가 가장 크다.
(정답률: 59%)
  • "제일 높은 곳에 D층이 형성되며, 전자밀도가 가장 크다." 이 내용은 적합한 내용이다. 이는 전리층의 높이에 따라 D, E, F층으로 구분되는데, D층은 지상 80~90km 정도에 위치하며, 이 층에서는 자외선, X-선 등에 의해 이온화된 분자들이 전자와 결합하여 전자밀도가 가장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역L형 공중선의 수평부 작용 중 옳은 것은?

  1. 복사저항을 증가시킨다.
  2. 실효고를 증가시킨다.
  3. 페이딩(fading)을 감소시킨다.
  4. 지표파를 강하게 한다.
(정답률: 50%)
  • 역L형 공중선은 수평부의 인덕턴스와 콘덴서가 서로 역행하므로, 수평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상쇄되어 전송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실효고를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효고를 증가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증폭회로에서 중화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출력신호가 입력측으로 궤환되어 일으키는 자기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전력증폭기의 부하변동에 의한 영향이 뒷단에 미치지 않기 위하여
  3. 증폭회로에서 부가되는 잡음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하여
  4. 증폭회로의 출력과 뒷단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정답률: 70%)
  • 증폭회로에서 중화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출력신호가 입력측으로 궤환되어 일으키는 자기발진을 방지하기 위하여"입니다. 중화회로는 입력과 출력 사이에 삽입되어, 출력신호가 입력측으로 되돌아가 자기발진을 일으키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증폭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FDM 다중화 신호계위에서 1 MG(mastergroup)은 몇 통화로[CH]로 구성되는가?

  1. 12
  2. 60
  3. 300
  4. 900
(정답률: 58%)
  • FDM 다중화에서 각 채널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때, 1 MG는 1,000,000 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이를 일정한 크기의 채널로 분할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각 채널의 대역폭은 보통 3 kHz 정도로 설정되며, 따라서 1 MG는 1,000,000 / 3 = 333.33... 채널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일부 채널은 제어용 채널 등으로 사용되므로, 실제 음성 통화 등에 사용되는 채널의 수는 이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1 MG가 300개의 채널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TDM 다중화 신호계위인 DS1은 몇 CH로 구성 되는가?

  1. 12
  2. 24
  3. 36
  4. 92
(정답률: 50%)
  • DS1은 1.544Mbps의 속도를 가지며, 8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에 따라 1초당 8000개의 샘플이 생성되며, 각 샘플은 8비트로 표현됩니다. 이를 TDM 다중화하여 전송하면, 24개의 채널로 구성된 DS1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광섬유의 재료 흡수손실 중 가장 큰 요인은?

  1. Fe
  2. Co
  3. Mn
  4. OH-
(정답률: 55%)
  • 광섬유의 재료 흡수손실 중 가장 큰 요인은 OH- 입니다. 이는 광섬유의 재료인 실리카 유리가 수분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수산화물 때문입니다. 수산화물은 광섬유 내부에서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는 광섬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광섬유의 손실, 광섬유의 접속손실, 광섬유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는?

  1. O.T.D.R
  2. 광원ㆍ광력계
  3. 광스펙트럼 분석기
  4. Mode scrambler
(정답률: 81%)
  • O.T.D.R은 광섬유에 발생한 신호를 송신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광섬유의 손실, 접속손실,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입니다. 따라서 O.T.D.R이 광섬유의 손실, 접속손실,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인 것입니다. 광원ㆍ광력계는 광섬유의 광원과 광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광스펙트럼 분석기는 광섬유의 광파장 분포를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Mode scrambler는 광섬유의 모드를 섞어주는 역할을 하며, 광섬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실로스코프의 x축에 2[kHz]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동시에 y축에 4[kHz]의 교류전압을 인가하였던바, 그림과 같은 파형이 나타났다고 하면 이 2개 전압 사이의 위상차는?

  1. 30°의 위상차
  2. 45°의 위상차
  3. 60°의 위상차
  4. 90°의 위상차
(정답률: 37%)
  • x축에 인가된 2[kHz]의 주파수와 y축에 인가된 4[kHz]의 주파수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두 전압은 서로 독립적으로 진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두 전압 사이의 위상차는 정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의되지 않음"이어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45°의 위상차"가 정답으로 주어졌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ATV 시스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장치는?

  1. 헤드엔드
  2. 교환장치
  3. 단말장치
  4. 전송로
(정답률: 60%)
  • CATV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헤드엔드입니다. 이는 CATV 시스템에서 TV 채널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전송하는 중앙 제어 장치로, 채널 선택, 신호 처리, 인코딩 및 디코딩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CATV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과 품질은 헤드엔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OSI 에서 규정하는 데이터 통신 모델은 몇 계층으로 나누어져 있는가?

  1. 5계층
  2. 7계층
  3. 9계층
  4. 10계층
(정답률: 87%)
  • OSI 모델은 7계층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통신 과정을 물리적인 측면에서부터 응용적인 측면까지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각 계층마다 역할을 부여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지만 연결되어 있어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LAN과 LAN을 연결하는 범용적인 장비로서, 하드웨어와 프로토콜 등이 각각 다른 LAN을 연결해 줌으로서 LAN의 거리를 확장시키는 장비는?

  1. 리피터(Repeater)
  2. 브릿지(Bridge)
  3. 라우터(Router)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67%)
  • 라우터는 각각 다른 하드웨어와 프로토콜을 가진 LAN을 연결해주는 장비로, 패킷을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AN의 거리를 확장시키는데 적합한 장비입니다.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시켜서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고, 브릿지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CCP케이블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1. 심선의 색을 구별해서 케이블 접속에서는 같은색끼리 접속해야한다.
  2. 심선의 대조작업이 필요하다.
  3. 심선 절연물의 강도가 강하다.
  4. 방습성과 내후성이 좋다.
(정답률: 53%)
  • 심선의 대조작업이 필요한 이유는 케이블 접속 시에 심선의 색을 구별하여 같은 색끼리 접속해야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전송제어의 순서이다. 바른 순서로 된 것은?

  1. ②-③-①-④-⑤
  2. ③-④-②-①-⑤
  3. ④-②-③-①-⑤
  4. ④-③-②-①-⑤
(정답률: 57%)
  • 전송제어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송신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수신자에게 알립니다. 이를 통해 수신자는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② 송신자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이때 각 패킷에는 일련번호가 부여됩니다.

    ③ 수신자는 패킷을 받으면 일련번호를 확인합니다. 이전에 받았던 패킷과 일련번호가 연속적이면 데이터를 받았다는 의미이므로, 수신자는 이전 패킷과 이어서 데이터를 받습니다.

    ④ 송신자는 일정 시간이 지나도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해당 패킷을 재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⑤ 모든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송신자는 수신자에게 전송 완료를 알립니다.

    따라서, 바른 순서는 "④-③-②-①-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주파수 대역폭이 30[kHz]이고, S/N비가 3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통신용량은?

  1. 36,000[bps]
  2. 60,000[bps]
  3. 90,000[bps]
  4. 120,000[bps]
(정답률: 53%)
  • 채널 용량은 Shannon-Hartley 정리에 의해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 = B log2(1 + S/N)

    여기서, C는 채널 용량, B는 대역폭, S는 신호의 평균 전력, N은 잡음의 평균 전력입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B = 30[kHz], S/N = 3이므로,

    C = 30,000 log2(1 + 3) = 60,000[bps]

    따라서, 주어진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통신용량은 60,000[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광섬유케이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대역폭이 넓다.
  2. 보안성이 우수하다.
  3. 전기적인 잡음에 강하다.
  4. 단거리 통신에 유리하다.
(정답률: 60%)
  • 광섬유케이블의 특징 중 단거리 통신에 유리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광섬유케이블은 장거리 통신에 유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광섬유케이블이 전기적인 잡음에 강하고 대역폭이 넓어서 장거리 통신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것도 광섬유케이블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광케이블 심선 접속 장비가 아닌 것은?

  1. 케이블 작키
  2. 광섬유 절단기
  3. 와이어 스트립퍼
  4. 광섬유 융착 접속기
(정답률: 54%)
  • 케이블 작키는 광케이블 심선 접속 장비가 아닙니다. 케이블 작키는 전선의 길이를 측정하거나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광섬유 절단기,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광케이블 심선 접속 장비이며, 와이어 스트립퍼는 전선의 절연을 벗기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케이블을 절연 접속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화학적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2. 누설 지(地)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3.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4. 납땜을 절약하기 위하여
(정답률: 77%)
  • 케이블을 절연 접속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누설 지(地)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화재나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데이터 처리계에 해당하는 것은?

  1. 모뎀
  2. 중앙처리장치
  3. 신호변환장치
  4. 통신회선
(정답률: 53%)
  •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는 중앙처리장치가 담당합니다.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보통신 시스템에서도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 처리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급자에 대한 보호와 구입자에 대한 보증의 정도를 규정해 두고 공급자의 요구와 구입자의 요구 양쪽을 만족하도록 하는 샘플링 검사방식은?

  1. 규준형 샘플링 검사
  2. 조정형 샘플링 검사
  3. 선별형 샘플링 검사
  4. 연속생산형 샘플링 검사
(정답률: 64%)
  • 규준형 샘플링 검사는 공급자와 구입자 모두에게 보호와 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공급자가 제공하는 제품의 일정 비율을 샘플링하여 검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공급자의 요구와 구입자의 요구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해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는 어느 회사의 월별 판매실적을 나타낸 것이다. 5개월 이동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1. 150
  2. 140
  3. 130
  4. 120
(정답률: 48%)
  • 5개월 이동평균법은 최근 5개월간의 판매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6월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야 한다.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실적은 각각 100, 110, 120, 130, 140이므로 이를 더한 값은 600이다. 따라서 6월의 예상 수요는 600/5 = 1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 관리도의 공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u 관리도에서는 공정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표준편차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 관리도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심선 = 평균
    상한선 = 평균 + 3 x 표준편차
    하한선 = 평균 - 3 x 표준편차

    따라서 ""이 올바른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수분포표를 만드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흩어진 모양을 알고 싶을 때
  2. 많은 데이터로부터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할 때
  3. 원 데이터를 규격과 대조하고 싶을 때
  4.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할 때
(정답률: 37%)
  • 도수분포표는 데이터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표이므로,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설비의 구식화에 의한 열화는?

  1. 상대적 열화
  2. 경제적 열화
  3. 기술적 열화
  4. 절대적 열화
(정답률: 48%)
  • 설비의 구식화는 기술적으로 발전된 새로운 설비가 출시되면서 상대적으로 구식 설비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상대적 열화라고 부르며, 다른 선택지인 경제적 열화나 절대적 열화와는 달리 기술적인 발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기록법
(정답률: 58%)
  • PTS법은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각 동작의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작업시간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TS법이 가장 정확한 작업시간 산정 방법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