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02)

통신설비기능장
(2003-07-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ITU-T에서 규정한 음성회선에 대한 평가 잡음은 몇 [Hz]를 기준으로 하는가?

  1. 1000
  2. 1500
  3. 2500
  4. 3600
(정답률: 70%)
  • ITU-T에서 규정한 음성회선에 대한 평가 잡음은 1000Hz를 기준으로 한다. 이는 인간의 청각 민감도가 1000Hz 주파수에서 가장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성 통화의 품질을 평가할 때는 1000Hz에서의 잡음 레벨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하의 인공(Man Hole) 내에 출입시 산소(O2) 부족으로 출입이 금지되고 있는 최저의 산소량은 몇 [%] 이하부터인가?

  1. 19
  2. 17
  3. 15
  4. 12
(정답률: 71%)
  • 인공지하공간에서의 최저 산소량은 19.5%이다. 그러나 인공지하공간에서는 환기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입구 근처에서는 산소 농도가 더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출입구 근처에서는 산소 농도가 17% 이하일 경우 출입이 금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맥스웰 브리지로 장하코일의 장하량을 측정하였던 바 R1=24[Ω], R3=36[Ω], Ls=60[mH]에서 수화기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었다. 측정된 장하량은 몇 [mH]인가?

  1. 100
  2. 90
  3. 80
  4. 70
(정답률: 62%)
  • 맥스웰 브리지에서 장하량을 측정할 때, 수화기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화기 측정 부분에서 R2와 Lp의 병렬 회로에서 전류가 0이 되도록 R2를 조절해야 한다. 이때, R2의 값은 R1과 R3의 비율과 Ls와 Lp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R2 = R1 × (Ls / Lp) + R3

    따라서, R2 = 24 × (60 / Lp) + 36 이다.

    수화기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었으므로, 맥스웰 브리지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다.

    Zx = jωLp = j2πfLp

    Z2 = R2 + jωLp

    Z1 = R1

    Z3 = R3

    Zx = Z2 × Z3 / Z1

    따라서,

    j2πfLp = (24 × (60 / Lp) + 36) × 36 / 24

    j2πfLp = 96 + 2160 / Lp

    Lp = 2160 / (2πf - j96)

    여기서, 수화기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었으므로, f = 1 / (2π√(LsLp)) 이다.

    따라서,

    Lp = 2160 / (2π × 1 / (2π√(LsLp)) - j96)

    Lp = 2160 / (2π√(LsLp) - j96)

    Lp = 2160 / (2π√(0.06Lp) - j96)

    Lp = 2160 / (0.245 - j96)

    Lp = 90.02 [mH]

    따라서, 측정된 장하량은 90[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실로스코프의 X축에 2[kHz], Y축에 3[kHz]의 교류전압을 동시에 인가하였던바 그림과 같은 도형이 나타났다. 이 2개 전압의 위상차는 몇 도인가?

  1. 60°
  2. 90°
  3. 120°
(정답률: 81%)
  • X축에 인가된 2[kHz]의 주기는 0.5[ms], Y축에 인가된 3[kHz]의 주기는 0.333[ms]이다. 이 두 주기의 최소공배수는 1.5[ms]이므로, 이 도형은 1.5[ms]의 주기를 가진다. 이 도형에서 X축과 Y축의 교차점은 0도에서 시작하여 90도, 180도, 270도, 360도 순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X축과 Y축의 교차점이 처음 나타나는 지점에서의 위상차는 90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오실로스코프의 휘도(intensity)의 조정은 무엇으로 하는가?

  1. 브라운관의 제어그리드 전압조정
  2. 브라운관의 수평편향판 전압조정
  3. 브라운관의 필라멘트 전압조정
  4.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압조정
(정답률: 78%)
  • 오실로스코프의 휘도는 브라운관에 전해지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휘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브라운관의 전압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때, 제어그리드는 브라운관 내부에서 전자 빔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므로, 제어그리드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자 빔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실로스코프의 휘도 조정은 브라운관의 제어그리드 전압조정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의 회로에서 각 부품의 양단전압을 체크했을 때 가장 높은 전압이 나타나는 것은?

  1. 1000[Ω]
  2. 100[pF]
  3. 50[pF]
  4. 47[μH]
(정답률: 75%)
  • 회로에서 가장 높은 전압은 콘덴서(Capacitor)를 통해 나타납니다. 콘덴서는 전기적으로 충전되어 전압을 저장하는 부품으로, 전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하가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콘덴서를 통해 전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하가 흐르면서, 양단의 전압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회로에서 가장 높은 전압은 콘덴서의 용량이 더 큰 50[pF]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진회로의 VC를 가변하면서 fo에 공진시키고자 한다. 공진시 전압계와 전류계의 지시치는 어떠한가?

  1. V : 최대, A : 최대
  2. V : 최대, A : 최소
  3. V : 최소, A : 최대
  4. V : 최소, A : 최소
(정답률: 65%)
  • VC를 가변하면서 fo에 공진시키고자 한다는 것은, VC를 조절하여 적정한 값으로 맞추면 공진이 일어나는 주파수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공진이 일어나는 주파수에서 전압은 최대값을 가지고, 전류는 최소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전압계는 최대값을, 전류계는 최소값을 지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V : 최소, A : 최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열전대형 계기는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브리지(bridge) 원리
  2. 제어백(zeaback) 효과
  3. 전자유도법칙
  4. 파라데이(Faraday)의 법칙
(정답률: 59%)
  • 열전대형 계기는 제어백(zeaback) 효과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제어백 효과란, 두 개의 다른 금속을 접촉시켰을 때, 그 접촉부에 열이 가해지면 두 금속 사이에 발생하는 열전위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열전대형 계기는 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에서 직류전류계 A1의 지시치가 30[mA]이고, A2의 지시치는 20[mA]이다. 저항 R의 값이 4[Ω]일 때 전류계 A2의 내부저항 Rm은 몇 [Ω]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64%)
  • 전류계 A1과 A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같아야 한다. 따라서 A2의 지시치 20[mA]는 전류계 A1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같다. 이 전류는 R을 통해 흐르므로, 오름쪽에서 아래쪽으로 전압이 R*I2 = 4*0.02 = 0.08[V] 만큼 떨어진다. 이때 A2의 내부저항 Rm은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Rm = V/I2 = 0.08/0.02 = 4[Ω] 이므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광섬유 케이블의 관로포설속도는 분당 몇 미터[m/분]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1. 1
  2. 3
  3. 10
  4. 20
(정답률: 68%)
  •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케이블 내부의 광섬유가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등의 손실이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케이블 내부의 공기나 물 등의 물질이 움직이는 속도가 느리면 좋습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의 관로포설속도는 분당 10미터 이내로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광섬유 케이블의 재생중계기의 전원은 케이블의 무엇에 의하여 급전되는가?

  1. 광심선의 코어와 클래드에 의하여
  2. 케이블의 외피와 인장선에 의하여
  3. 케이블의 외피와 접지에 의하여
  4. 케이블내의 개재페어에 의하여
(정답률: 54%)
  • 광섬유 케이블은 광섬유 코어와 클래드가 있고, 이들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기적인 전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광섬유 케이블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광신호를 사용하고, 이 광신호는 광섬유 케이블 내의 개재페어를 통해 전달됩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의 재생중계기의 전원은 케이블내의 개재페어에 의하여 급전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화 케이블에서 전기저항을 점차 증가시킬 때 통화전류의 전파속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1. 일정하다.
  2. 점차 느려진다.
  3. 점차 빨라진다.
  4.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76%)
  • 전파속도는 전기저항과는 무관하며, 전파속도는 전자기파가 통과하는 매질의 유전율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저항을 증가시켜도 전파속도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정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차도를 횡단하여 가공으로 강연선 또는 케이블을 가설할 때의 안전수칙에 의한 작업방법 중 맞는 것은?

  1. 통행차량을 정지시키고 가설한다.
  2. 차량통행이 한가한 틈을 이용하여 신속히 가설한다.
  3. 철선 고리가 있는 보조선을 이용한다.
  4. 도로의 중앙과 양측에 인원을 배치하여 장대로 받쳐주고 가설한다.
(정답률: 62%)
  • 철선 고리가 있는 보조선을 이용하는 이유는 보조선이 강력하고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가공하는 동안 보조선이 늘어나거나 떨어지는 일이 없어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주 운반시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운반작업조를 편성하고 조장을 지정한다.
  2. 작업자는 간편한 복장과 안전모를 착용한다.
  3. 조장은 조원의 연령, 체력, 신장 등을 고려치 않고 편리한 대로 배치한다.
  4. 작업은 조장의 구령 또는 신호에 따라 실시한다.
(정답률: 84%)
  • 조원의 연령, 체력, 신장 등을 고려하지 않고 편리한 대로 배치하는 것은 안전과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적합한 사항이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장은 조원의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배치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동축 케이블의 감쇠특성은 주파수와 대체로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주파수의 평방근에 반비례
  2. 주파수의 평방근에 비례
  3. 주파수에 비례
  4. 주파수의 자승에 비례
(정답률: 52%)
  • 동축 케이블의 감쇠특성은 주파수의 평방근에 비례합니다. 이는 전기파가 동축 케이블 내부를 통과할 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기파의 진폭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감쇠는 주파수의 제곱근에 비례하며, 이는 전기파의 진폭이 주파수의 제곱근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쇠가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특성이 틀린 2개의 균일한 선로를 접속한 복합선로에서 종단이 단락될 때 전압반사계수 m은?

  1. -1
  2. -0.5
  3. 0.5
  4. 1
(정답률: 65%)
  • 두 균일한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전압 파형이 접속점에서 반사됩니다. 이 때 전압 반사계수 m은 두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의 차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두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같은 경우, 전압 반사계수 m은 -1이 됩니다. 이는 전압 파형이 접속점에서 완전히 반사되어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월지선은 수평지선과 추지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추지선의 표준 근개 각도는 몇 도인가?

  1. 15°
  2. 30°
  3. 45°
  4. 60°
(정답률: 44%)
  • 도월지선은 수평지선과 수직지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추지선은 수직지선과 이루는 각도가 60도이기 때문에, 추지선의 표준 근개 각도는 30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광섬유 케이블의 개구수 NA는 코어의 굴절률을 n1, 클래드의 굴절률을 n2라고 할 때 어떤 식으로 나타내는가?

(정답률: 68%)
  • 광섬유 케이블의 개구수 NA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유는 광섬유 케이블에서 광선이 전달될 때,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면에서 굴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때, 광선이 코어에서 클래드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굴절되어야 합니다. 이 각도를 임계각이라고 하는데, 이 임계각은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NA는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위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내 케이블의 심선경이 아닌 것은?

  1. 0.2[mm]
  2. 0.4[mm]
  3. 0.65[mm]
  4. 0.9[mm]
(정답률: 66%)
  • 정답은 "0.2[mm]"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시내 케이블의 심선경은 대부분 0.4[mm], 0.65[mm], 0.9[mm]입니다. 0.2[mm]는 너무 얇아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시내 케이블의 배선법 중 씨.씨.피(C.C.P) 케이블에 적용되는 배선법은?

  1. 고정 배선법
  2. 중복 배선법
  3. 자유 배선법
  4. 절체반 배선법
(정답률: 50%)
  • 씨.씨.피(C.C.P) 케이블은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 내부의 선들이 서로 꼬여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꼬임 구조 때문에 고정 배선법이나 중복 배선법을 적용하면 선들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씨.씨.피(C.C.P) 케이블에는 자유 배선법이 적용되어 선들이 자유롭게 배선되어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DATA 통신 System을 이용하려는 기설 전화 회선망의 회선 평형도는 1000[Hz]로 측정해서 얼마 이상 되어야 하는가?

  1. 31[dB]
  2. 46[dB]
  3. 53[dB]
  4. 68[dB]
(정답률: 50%)
  • 기설 전화 회선망의 회선 평형도는 전화 통화 시에 발생하는 음성 신호의 세기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DATA 통신 시에는 높은 신호 대 잡음 비율(SNR)이 필요하므로 회선 평형도는 높을수록 좋다.

    일반적으로 DATA 통신 시에는 46[dB] 이상의 회선 평형도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전송되는 신호가 잡음보다 46[dB] 이상 높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46[dB]" 이다.

    회선 평형도는 dB 단위로 표시되며, dB는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의 세기 차이를 상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6[dB]의 회선 평형도는 10^(46/10) = 39810.7배의 신호 세기 차이를 의미한다. 이는 잡음이 매우 작은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병렬공진회로의 실체이다. 코일의 길이 L을 L'로 약간 잡아 늘였을 경우 공진주파수는 어떻게 되는가?

  1. 낮아진다.
  2. 높아진다.
  3. 변화없다.
  4. 0으로 된다.
(정답률: 52%)
  • 병렬공진회로에서 공진주파수는 L과 C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데, L'이 L보다 크다면 코일의 인덕턴스가 더 커지므로 공진주파수는 더 높아진다. 즉, 코일의 길이를 늘이면 공진주파수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의 바이어스 회로에서 TR의 열안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저항으로써 가장 역할이 큰 것은?

  1. Ra
  2. Rb
  3. Rc
  4. Re
(정답률: 57%)
  • TR의 열안정을 위해서는 TR와 연결된 저항들의 전압이 일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TR와 연결된 저항들의 저항값이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TR와 연결된 저항들의 전류가 작아야 하므로, TR와 연결된 저항 중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진 Re가 가장 역할이 큽니다. 따라서 정답은 "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임펄스 계전기의 복구시간이 길어지면 메이크비는?

  1. 감소된다.
  2. 증가된다.
  3. 전혀 불변이다.
  4. 증가와 감소가 반복된다.
(정답률: 58%)
  • 임펄스 계전기의 복구시간이 길어지면 메이크비는 증가된다. 이는 복구시간이 길어지면 계전기가 다시 동작하기 전에 전류가 완전히 감소하지 않아서, 다음 임펄스에서 이전 임펄스의 영향이 더 오래 지속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이크비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의 드레인 궤환 바이어스 회로에서 VGS=8.5[V]일 때 드레인 전류 ID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1. 0.33[mA]
  2. 1.3[mA]
  3. 1.69[mA]
  4. 2.86[mA]
(정답률: 55%)
  • 드레인 전류 ID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D = (VDD - VDS) / RD

    여기서 VDS는 VGS에 따라 변화합니다. VGS가 8.5[V]일 때, VDS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DS = VGS - Vth = 8.5[V] - 2[V] = 6.5[V]

    따라서, ID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D = (VDD - VDS) / RD = (12[V] - 6.5[V]) / 4.7[kΩ] = 1.28[mA]

    따라서, 정답은 "1.3[m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력 증폭기 중에서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 (Cross-Over-Distortion)을 발생시키는 것은?

  1. A급 전력 증폭기
  2. AB급 전력 증폭기
  3. B급 푸시풀 전력 증폭기
  4. C급 전력 증폭기
(정답률: 51%)
  •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은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양 극성과 음 극성에서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B급 푸시풀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양 극성과 음 극성의 출력 신호를 각각 다른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로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때, 출력 신호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전류가 끊어지기 때문에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이 발생합니다. A급 전력 증폭기와 AB급 전력 증폭기는 양 극성과 음 극성의 출력 신호를 항상 증폭시키기 때문에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C급 전력 증폭기는 출력 신호를 한쪽 극성만 증폭시키기 때문에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원단누화란?

  1. 송단측에서 송단측으로 들려오는 누화
  2. 송단측에서 수단측으로 들려오는 누화
  3. 수단측에서 송단측으로 들려오는 누화
  4. 수단측에서 수단측으로 들려오는 누화
(정답률: 67%)
  • 원단누화는 송단측에서 발생한 소리가 수단측으로 전달되어 들려오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송단측에서 수단측으로 들려오는 누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느 전화국의 최번시 국간중계선 통화량 측정결과, 전 중계선 8회선이 6[Erl]의 호량을 운반하였다. 이때 국간중계선의 사용능률은 몇[%]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0
  2. 70
  3. 75
  4. 80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SSB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SB와 비교)

  1. 평형 변조기로 출력측의 반송파를 제거한다.
  2. 주파수 대역폭이 작다.
  3. 필터로 상측파대와 하측파대를 통과시킨다.
  4. 다단변조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42%)
  • "평형 변조기로 출력측의 반송파를 제거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SSB 방식은 DSB 방식과 달리, 출력 신호에서 하나의 측면 대역만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평형 변조기를 사용하여 원래의 신호와 대칭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래의 신호에서 하나의 측면 대역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이 방식에서도 출력측에는 반송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터링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진폭변조(AM) 방식에 비해 주파수변조(FM) 방식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신호대 잡음비가 개선된다.
  2.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폭이 좁아진다.
  3. 수신기의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초단파대의 변조에 적합하다.
(정답률: 62%)
  •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폭이 좁아지는 것은 FM 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AM 방식의 특징입니다. AM 방식에서는 진폭 변조로 인해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폭이 넓어집니다. FM 방식에서는 주파수 변조로 인해 진폭 변화가 없기 때문에, 피변조파의 점유주파수대역폭이 좁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조법으로 구분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노리틱 집적회로
  2. 혼성 집적회로
  3. 대규모 집적회로
  4. 박막 집적회로
(정답률: 67%)
  •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조법으로 구분할 때, "대규모 집적회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제조 공정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대규모 집적회로는 수천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칩에 집적시키는 기술로,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따라서 대규모 집적회로는 다른 집적회로에 비해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FET에서 정수 gm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정답률: 54%)
  • 정답은 "" 입니다.

    FET에서 gm은 게이트-소스 전압(Vgs)에 비례하는 전도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게이트-소스 전압이 증가하면 gm도 증가합니다. 이때, ""는 Vgs가 증가함에 따라 gm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2진수를 10진수로 환산한 것은?

  1. (886)10
  2. (688)10
  3. (256)10
  4. (988)10
(정답률: 64%)
  • 주어진 2진수를 10진수로 환산하는 방법은 각 자리의 2의 거듭제곱을 구하고, 그 값을 모두 더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11이라는 2진수를 10진수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x 2^3 + 0 x 2^2 + 1 x 2^1 + 1 x 2^0 = 8 + 0 + 2 + 1 = 11

    따라서, 주어진 2진수를 10진수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x 2^9 + 0 x 2^8 + 1 x 2^7 + 1 x 2^6 + 0 x 2^5 + 0 x 2^4 + 1 x 2^3 + 0 x 2^2 + 1 x 2^1 + 0 x 2^0 = 512 + 0 + 128 + 64 + 0 + 0 + 8 + 0 + 2 + 0 = 714

    따라서, 정답은 "(886)10"이 아니라, "(714)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으로 PCM 방식에서 사용하는 표본화주파수는?

  1. 2[kHz]
  2. 4[kHz]
  3. 6[kHz]
  4. 8[kHz]
(정답률: 59%)
  • PCM 방식에서는 표본화 주파수가 높을수록 더욱 정확한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표본화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송할 데이터 양이 증가하므로 전송 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PCM 방식에서는 8[kHz]의 표본화 주파수를 사용하여 적절한 전송 속도와 음질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모사 전신과 사진 전신의 장치에 있어서 다른 점은 무엇인가?

  1. 주사 방법과 기록 방법
  2. 전송 속도와 광전 변화
  3. 전신 전류와 수신 속도
  4. 모든 것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정답률: 40%)
  • 모사 전신은 스캐너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진 전신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에 따라 주사 방법과 기록 방법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모사 전신은 스캐너가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스캔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록합니다. 반면에 사진 전신은 카메라가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에 기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사 방법과 기록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화선을 이용하여 CRT와 같은 터미널에 뉴스, 일기, 스포츠, 주식시세, 의료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받아보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서비스는?

  1. 비디오텍스(videotex)
  2. 텔레텍스트(teletext)
  3.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4. 화상회의(teleconference)
(정답률: 67%)
  • 전화선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대가를 지불하는 서비스는 비디오텍스입니다. 이는 전화선을 통해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터미널을 통해 해당 정보를 열람하고 대가를 지불합니다. 텔레텍스트는 비디오텍스와 유사하지만,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적고, 터미널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워드프로세서는 문서 작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이며, 화상회의는 원격으로 회의를 진행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단말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논리 장치
  2. 주기억 장치
  3. 입출력 장치
  4. 채널 장치
(정답률: 17%)
  •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입출력 장치이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채널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두 장치는 단말장치가 될 수 없습니다. 논리 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단말장치가 될 수 없습니다. 반면에 주기억 장치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단말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기억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팩시밀리(Facsimile)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문자를 주사수단에 의해서 전송하는 방식
  2. 도형을 주사수단에 의해서 전송하는 방식
  3. 사진을 주사수단에 의해서 전송하는 방식
  4. 음성을 주사수단에 의해서 전송하는 방식
(정답률: 87%)
  • 음성은 주파수와 진폭의 변화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주사수단에 의해서 직접 전송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성을 주사수단에 의해서 전송하는 방식"은 팩시밀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계수형 전자계산기 (Digital computer)의 구성 부분 중 중앙처리장치와 관계가 적은 것은?

  1. 제어장치
  2. 입출력장치
  3. 연산장치
  4. 주기억장치
(정답률: 55%)
  • 입출력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직접적인 연결이 없으며,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중앙처리장치는 연산장치와 제어장치, 주기억장치와 함께 컴퓨터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들은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된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관계가 적은 것은 입출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치왜곡회로(pre-distorter)를 사용하지 않는 송신기는?

  1. 벡터(vector) 합성법에 의한 송신기
  2. 리액턴스(reactance)관 송신기
  3. 세라소이드(serrasoid) 송신기
  4. 암스트롱(armstrong) 송신기
(정답률: 54%)
  • 전치왜곡회로(pre-distorter)는 송신기에서 출력 신호를 왜곡시켜 선형화시키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전치왜곡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송신기는 출력 신호를 왜곡시키지 않고 직접 선형화시키는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리액턴스(reactance)관 송신기는 출력 신호를 직접 선형화시키는 기술을 사용하므로 전치왜곡회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전파의 페이딩 방지책이 아닌 것은?

  1. 공간 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사용
  2. 수신기에 AVC 설치
  3. 서로 수직으로 놓인 공중선을 합성으로 사용
  4. 송신주파수 안정
(정답률: 59%)
  • 송신주파수 안정은 전파의 페이딩 방지책이 아닙니다. 이는 송신주파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전파의 강도나 주파수 변화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송신주파수 안정이 페이딩 방지책이 아닌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정현파신호로 진폭변조한 파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그 최대진폭이 45[V]이고 최소진폭이 5[V]이었다. 변조도는 얼마인가?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74%)
  • 변조도는 최대진폭과 최소진폭의 차이를 최대진폭과 최소진폭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변조도 = (최대진폭 - 최소진폭) / (최대진폭 + 최소진폭)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도는 (45[V] - 5[V]) / (45[V] + 5[V]) = 0.8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0.8" 인 이유는 이 계산 결과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현재 우리나라의 TV 방송 방식과 주파수 대역폭은 얼마로 하고 있는가?

  1. NTSC, 6[MHz]
  2. PAL, 8[MHz]
  3. SECAM, 10[MHz]
  4. BW, 12[MHz]
(정답률: 64%)
  • 현재 우리나라의 TV 방송 방식은 NTSC이며, 주파수 대역폭은 6MHz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NTSC 방식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방식 중 하나이며, 주파수 대역폭이 6MHz인 이유는 이를 위해 할당된 라디오 주파수 대역이 54~88MHz와 174~216MHz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NTSC 방식을 사용하며, 주파수 대역폭은 6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주파수분할다중방식(FDM)의 전송기기에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어느 것인가?

  1. 링(Ring) 변조기
  2. A/D 컨버터
  3. 대역통과필터
  4. 국부발진기
(정답률: 58%)
  • 주파수분할다중방식(FDM)의 전송기기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FDM은 아날로그 신호를 분할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D 컨버터는 필요하지 않은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스퀄치 회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주파입력이 없을 때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이다.
  2. FM 수신기에서만 사용한다.
  3. 잡음을 증폭하고 정류하여 저주파 증폭부를 제어한다.
  4. 결합콘덴서의 용량을 크게하여 잡음신호를 추출한다.
(정답률: 40%)
  • 결합콘덴서의 용량을 크게하여 잡음신호를 추출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스퀄치 회로는 고주파 입력이 없을 때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로, FM 수신기뿐만 아니라 AM 수신기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잡음을 증폭하고 정류하여 저주파 증폭부를 제어한다는 것은 스퀄치 회로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변조방식 중 가장 전송속도가 빠른 것은 ?

  1. QAM
  2. QPSK
  3. BPSK
  4. FSK
(정답률: 70%)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직교한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조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들에 비해 더 많은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더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나(裸)선로에서 전송선로의 정수는 주파수 크기에 따라 표피작용, 근접작용, 와류손실 등에 의하여 1차 정수는 변화한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R은 √⨍ 에 비례하여 증가
  2. L은 √⨍ 에 반비례하여 감소
  3. C는 ⨍ 에 계속 비례하여 감소
  4. G는 유전체 손실에 의하여 증가
(정답률: 34%)
  • C는 캐패시턴스(용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류의 주기가 짧아지므로 전하가 축적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캐패시턴스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주파수)에 계속 비례하여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측정용 계기는 주위온도가 변하면 지시계는 오차가 발생한다. 이에 해당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온이 변화하면 스프링과 저항선은 영향을 받으나 영구자석은 영향이 없다.
  2. 비투자율이 크고 부의 온도계수를 가진 자기분로판을 영구자석에 삽입하여 오차를 줄인다.
  3. 온도의 변화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저항선이다.
  4. 스프링 재료로써 인청동을 사용하면 오차를 줄일 수도 있다.
(정답률: 51%)
  • 정답은 "비투자율이 크고 부의 온도계수를 가진 자기분로판을 영구자석에 삽입하여 오차를 줄인다."입니다. 이유는 영구자석은 자기장을 유지하기 위해 자기분로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스프링과 저항선은 온도에 따라 길이나 전기저항이 변화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청동은 스프링 재료로써 온도에 민감하지 않아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화기에서의 측음의 크기는?

  1. 전혀 없어야 한다.
  2. 가급적 적을수록 좋다.
  3. 적당히 있어야 한다.
  4. 아주 클수록 유리하다.
(정답률: 59%)
  • 적당히 있어야 한다.

    전화기에서의 측음은 상대방의 목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지만, 너무 크면 상대방의 목소리가 왜곡되거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전혀 없으면 상대방의 목소리가 너무 작아져서 듣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크기의 측음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TV 방송화면 하단에 문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무엇이라 하는가?

  1. Videotex
  2. Teletext
  3. Fax
  4. Telex
(정답률: 57%)
  • TV 방송화면 하단에 문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Teletext라고 합니다. 이는 TV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정보 서비스로, 사용자는 TV 리모컨의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Videotex는 전용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이며, Fax와 Telex는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불규칙한 펄스의 관측과 한 번 밖에 일어나지 않는 과도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는?

  1. 회로시험기
  2. 펄스시험기
  3. 마크발진기
  4. 싱크로스코프
(정답률: 54%)
  • 싱크로스코프는 불규칙한 펄스의 관측과 한 번 밖에 일어나지 않는 과도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회로나 펄스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들이지만, 싱크로스코프는 펄스의 시간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싱크로스코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기간통신사업자의 심사기준이 아닌 것은?

  1. 기술능력
  2. 종사원수
  3. 자본금
  4. 전기통신설비의 규모
(정답률: 57%)
  • 종사원수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심사기준이 아닙니다. 이는 기술능력, 자본금, 전기통신설비의 규모와 같은 기술적, 재정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종사원수는 기업의 규모나 인력 구성 등과 관련이 있지만, 기술적인 역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심사기준으로 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무선설비의 기기 중 형식등록을 하여야 하는 기기는?

  1. 주파수공용무선전화장치
  2. 디지털선택호출전용수신기
  3. 경보자동전화장치
  4. 네비텍스수신기
(정답률: 50%)
  • 주파수공용무선전화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기기로, 다른 무선 기기와 주파수를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형식등록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공용무선전화장치가 형식등록을 해야 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데이터 교환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회선 교환방식
  2. 패킷 교환방식
  3. 전용 교환방식
  4. 메시지 교환방식
(정답률: 46%)
  • 전용 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세 가지 방식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분할하지 않고 전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지만, 비용이 매우 높고 회선을 공유할 수 없어 대역폭이 한정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50%)
  • 위의 측정법에서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이를 정확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측정 결과가 참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측정 결과의 신뢰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 기기나 방법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확성이 높을수록 측정 결과의 신뢰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취급되어야 할 대상설비의 결정
  2. 정비작업에서 점검시기의 결정
  3. 대상설비 점검개소의 결정
  4.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
(정답률: 79%)
  • 예방보전의 기능은 대상설비의 결정, 점검시기 결정, 대상설비 점검개소 결정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여 장비의 이상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은 예방적인 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리 한계선을 구하는데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관리선을 구하는 관리도는?

  1. Pn 관리도
  2. U 관리도
  3. X-R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47%)
  •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불량품의 비율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하는 관리도입니다. 따라서 Pn 관리도는 불량품의 비율을 중심으로 관리를 하기 때문에, 불량품 비율이 중요한 제조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로트(Lot) 수를 가장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1회 생산수량을 의미한다.
  2.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
  3. 생산목표량을 기계대수로 나눈 것이다.
  4. 생산목표량을 공정수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62%)
  • 로트(Lot) 수는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제조 공정에서 일정한 양의 제품을 한 번에 생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할 때, 100개씩 10번 생산하는 것이 일정한 제조회수를 가진 로트 생산 방식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데이터를 보고 편차 제곱합(S)을 구하면? (단, 소숫점 3자리까지 구하시오.)

  1. 0.338
  2. 1.029
  3. 0.114
  4. 1.014
(정답률: 3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정 도시기호 중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도시기호는?

(정답률: 69%)
  • 보조 도시기호 ""는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 사용됩니다. 이는 공정계열이 너무 길어서 모든 공정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며, 생략된 공정은 해당 보조 도시기호에 대응하는 공정명으로 대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