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0-06)

통신설비기능장
(2018-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전자교환의 망형 회선망에서 60개의 장소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총 전송로는 몇 회선이 되는가?

  1. 59
  2. 61
  3. 1,770
  4. 3,540
(정답률: 91%)
  • 60개의 장소를 상호 연결하려면, 각 장소마다 다른 59개의 장소와 직접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총 전송로의 수는 60 x 59 = 3,540개가 됩니다. 그러나 회선망은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복된 전송로를 제외하면 총 전송로의 수는 3,540 / 2 = 1,770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7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ADPCM에서 주로 사용하는 양자화는?

  1. 선형 양자화
  2. 비선형 양자화
  3. 비예측 양자화
  4. 적응형 양자화
(정답률: 74%)
  • ADPCM은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적응형 양자화를 사용합니다. 이는 이전 샘플과 현재 샘플의 차이를 계산하여 양자화 단계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더 나은 압축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전 샘플과 현재 샘플의 차이가 크면 더 많은 양자화 단계를 사용하고, 차이가 작으면 적은 양자화 단계를 사용하여 더 정확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CM 방식에서 정보의 손실없이 재생하기 위하여 표본화 주파수는 신호 주파수의 최소 몇 배 이상 되어야 하는가?

  1. 1.5배
  2. 2배
  3. 3배
  4. 5배
(정답률: 89%)
  • PCM 방식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표본화가 이루어집니다. 이때, 표본화 주파수는 신호 주파수의 최소 2배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정리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표본화 주파수가 신호 주파수의 2배 이상이면 정보의 손실 없이 완벽하게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데이터 전송에서 다른 요소가 일정하다고 할 때 신호 해석 시 틀린 것은?

  1.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하면 비트에러율(BER)이 증가한다.
  2. 신호대잡음비(SNR)가 증가하면 비트에러율(BER)이 증가한다.
  3. 전송로의 데이터 폭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률의 증가를 허용한다.
  4. 한 번의 변조로 전송 가능한 비트수가 증가되면 데이터 신호(전송)속도는 증가한다.
(정답률: 74%)
  • 신호대잡음비(SNR)가 증가하면 비트에러율(BER)이 감소한다. SNR은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신호가 잡음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SNR이 높을수록 비트에러율이 낮아지고, SNR이 낮을수록 비트에러율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에러제어에서 에러검출 또는 정정 부호가 아닌 것은?

  1. 패리티 부호
  2. BCH 부호
  3. 해밍 부호
  4. BCD 부호
(정답률: 79%)
  • BCD 부호는 에러제어를 위한 부호가 아닙니다. BCD 부호는 10진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부호체계로,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에러제어를 위한 부호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직렬 전송 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는?

  1. 근거리 전송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2. 오류 검출 및 정정이 쉽기 때문이다.
  3. 회선의 설치비용이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4. 직·병렬 변환기가 필요 없으므로 시스템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75%)
  • 직렬 전송 방식은 데이터를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병렬 전송 방식보다 회선의 수가 적게 필요합니다. 따라서 회선의 설치비용이 경제적이며, 이는 직렬 전송 방식을 채택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음성통신의 호출 정보와 데이터통신의 접속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개방 신호 처리 방식은?

  1. R2
  2. MFC
  3. NO.7
  4. SS7
(정답률: 70%)
  • SS7은 Signaling System No. 7의 약자로,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에서 호출 정보와 접속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개방 신호 처리 방식입니다. 따라서 SS7은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 종합 : no.7
    통합 : ss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동기 전송 방식과 비동기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기 방식은 데이터 블록의 앞에 동기문자가 사용된다.
  2. 동기 방식은 한 묶음으로 구성하는 글자들 사이에는 휴지 간격이 없다.
  3. 비동기 방식은 전송 속도가 보통 2,400[bps]을 넘는 경우에 사용한다.
  4. 비동기 방식은 스타트 비트 뿐만 아니라, 스톱 비트도 필요하다.
(정답률: 88%)
  • 정답: "비동기 방식은 전송 속도가 보통 2,400[bps]을 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유: 비동기 방식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한 글자씩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전송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전송 속도가 빠른 경우에만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데이터 통신에서 채널의 전송용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채널대역폭을 넓힌다.
  2. 신호세력을 높인다.
  3. 잡음세력을 줄인다.
  4. 전송속도를 높인다.
(정답률: 82%)
  • 정답은 "채널대역폭을 넓힌다."입니다.

    채널 대역폭을 넓히는 것은 채널의 전송용량을 늘리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는 채널의 물리적인 한계에 따라 제한됩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전송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전송속도를 높이면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 양이 증가하므로, 채널의 전송용량도 늘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PCM 24 채널 프레임 동기방식에 의한 타임 슬롯의 1프레임의 비트(bit) 수는?

  1. 8
  2. 33
  3. 192
  4. 193
(정답률: 81%)
  • PCM 24 채널 프레임 동기방식에서 1프레임은 24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각 채널은 8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프레임의 비트 수는 24채널 x 8비트 = 192비트 입니다. 하지만, 이 프레임 동기방식에서는 1비트를 동기화 비트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 비트는 191비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91+2(시작 비트와 끝 비트) = 19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IS-95 W-CDMA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비동기방식에서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PN코드는 모두 몇 개인가?

  1. 32개
  2. 64개
  3. 256개
  4. 512개
(정답률: 67%)
  • W-CDMA FDD에서 PN코드는 42개의 고정코드와 512개의 가변코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변코드는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기지국마다 고유한 8비트 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PN코드는 총 51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QAM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QAM신호는 2개의 직교성 DSB-SC신호를 선형적으로 합성한 것이다.
  2. M진 QAM과 M진 PSK의 전력스펙트럼과 대역폭 효율은 동일하다.
  3. 16진 QAM은 4개의 레벨을 갖는 4개의 위상과 4개의 레벨을 갖는 8개의 위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4. QAM의 소요 전송대역은 B(R)=2B로서 DSB-SC의 경우와 동일하다.
(정답률: 86%)
  • "16진 QAM은 4개의 레벨을 갖는 4개의 위상과 4개의 레벨을 갖는 8개의 위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16진 QAM은 4개의 레벨을 갖는 4개의 위상과 4개의 레벨을 갖는 4개의 위상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4진 QAM과 16진 QAM의 차이점입니다.

    QAM 방식은 실수부와 허수부를 이용하여 2개의 직교성 DSB-SC신호를 선형적으로 합성한 것입니다. M진 QAM과 M진 PSK의 전력스펙트럼과 대역폭 효율은 동일합니다. QAM의 소요 전송대역은 B(R)=2B로서 DSB-SC의 경우와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상에서 수직으로 전파를 발사하여 2[ms]뒤에 반사파가 측정되었다. 이때 전리층의 이론상 높이는?

  1. 400[㎞]
  2. 300[㎞]
  3. 200[㎞]
  4. 100[㎞]
(정답률: 75%)
  • 전파가 지상에서 수직으로 발사되어 반사파가 2[ms] 뒤에 측정되었으므로, 반사파가 지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은 4[ms]입니다. 이때 전파는 지상과 전리층을 왕복하므로, 전파가 이동한 거리는 전리층의 높이의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전리층의 이론상 높이는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이동통신시스템의 W-CDMA(Wideband CDMA) 채널 구조로 맞지 않은 것은?

  1.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2. 전달 채널(Transport Channel)
  3.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
  4. 분리 채널(Response Channel)
(정답률: 68%)
  • W-CDMA 시스템에서 분리 채널(Response Channel)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W-CDMA 시스템의 채널 구조에 해당하는데, 분리 채널은 존재하지 않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반적으로 통신용 수신기에서 통과 대역폭은 선택도 특성 곡선의 최대점(0[dB])에서 몇 [dB]까지 감쇠하는 지점의 대역폭으로 정하고 있는가?

  1. 3[dB]
  2. 6[dB]
  3. 9[dB]
  4. 12[dB]
(정답률: 79%)
  • 선택도 특성 곡선은 수신기에서 원하는 신호를 받기 위해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억제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이 곡선에서 최대점(0[dB])에서 몇 [dB]까지 감쇠하는 지점의 대역폭을 선택하는 이유는, 이 지점 이상에서는 원하는 신호도 함께 감쇠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선택도 특성 곡선의 최대점에서 6[dB]까지 감쇠하는 지점의 대역폭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는 원하는 신호를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범위를 확보하면서도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억제할 수 있는 범위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유공간에서 송신출력이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이 2배 증가하면 수신전력은 몇 배가 되는가?

  1. 1/2
  2. 1/4
  3. 2
  4. 4
(정답률: 78%)
  • 전파의 수신전력은 송신출력과 수신지와의 거리, 전파의 파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파장이 2배 증가하면 전파의 주파수는 반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수신전력은 1/4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4"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류가 있거나 문제가 잘못 작성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안테나에 반사기를 붙이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1. 임피던스 정합이 좋아진다.
  2. 광대역 특성이 얻어진다.
  3. 접지저항 손실이 적어진다.
  4. 전파를 한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정답률: 86%)
  • 반사기는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반사하여 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반사기를 안테나에 붙이면 전파를 한 방향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정지궤도 위성의 운용에 따른 문제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궤도확보 문제
  2. 내구성 우수함에 따른 수리제한 문제
  3. 전송손실 및 지연 문제
  4.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문제
(정답률: 87%)
  •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 주변을 고정된 궤도를 돌면서 통신, 기상, 탐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위성입니다. 이 중에서 내구성 우수함에 따른 수리제한 문제는 다른 문제들과는 거리가 먼 문제입니다. 내구성 우수함이란 위성이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러한 내구성 우수함은 위성의 설계, 제작, 운용 등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내구성 우수함이 높다는 것은 동시에 수리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로부터 매우 먼 거리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수리를 위해서는 인력, 장비, 비용 등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따라서 내구성 우수함이 높은 위성은 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안테나의 복사저항이 25[Ω]이고 손실저항이 5[Ω]일 때 이 안테나의 복사 효율은 약 얼마인가?

  1. 16[%]
  2. 25[%]
  3. 67[%]
  4. 83[%]
(정답률: 63%)
  • 복사 효율은 신호가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복사저항과 손실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복사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복사 효율 = 복사저항 / (복사저항 + 손실저항)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복사 효율 = 25 / (25 + 5) = 0.83 = 83[%]

    즉, 이 안테나의 복사 효율은 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광케이블 포설작업 중 광케이블 견인 시 케이블의 비틀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 케이블과 견인 로프 간을 연결하는 기구는?

  1. 관구가이드(Duct Guide)
  2. 되돌림쇠(Free Device)
  3. 선통선 주입기
  4. 커브가이드(Curve Guide)
(정답률: 84%)
  • 광케이블 포설작업 중 광케이블 견인 시 케이블의 비틀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 케이블과 견인 로프 간을 연결하는 기구는 되돌림쇠(Free Device)입니다. 되돌림쇠는 로프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로프가 케이블을 끌어당기면 케이블이 되돌아가는 형태로 작동하여 케이블의 비틀림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원 접속방식이 아닌 것은?

  1. SDMA
  2. FDMA
  3. TDMA
  4. CDMA
(정답률: 85%)
  • SDMA는 공간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는 다르게 사용자들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동통신에서 사용되는 다원 접속방식 중에서는 SDMA를 제외한 FDMA, TDMA, CDMA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TU-T 권고안 중 전화망을 통한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대한 인터페이스 규격은?

  1. G 시리즈
  2. V 시리즈
  3. Q 시리즈
  4. X 시리즈
(정답률: 77%)
  • V 시리즈는 전화망을 통한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대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정의하는 ITU-T 권고안 시리즈입니다. V 시리즈는 모뎀, 팩스,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통신 기기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격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V 시리즈는 전화망을 통한 아날로그 통신에 필수적인 규격이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기가비트(Gigabit) 이더넷(Ethernet)을 구현할 때 사용되는 표준규격은?

  1. IEEE 802.3u
  2. IEEE 802.3z
  3. IEEE 802.3ab
  4. IEEE 802.3ae
(정답률: 85%)
  •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기가비트 이더넷을 구현할 때 사용되는 표준규격은 IEEE 802.3ab입니다. 이는 1000BASE-T라고도 불리며, 1G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입니다. 이 규격은 4쌍의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최대 전송거리는 100m입니다. IEEE 802.3u는 100BASE-TX, IEEE 802.3z는 1000BASE-SX/LX/ZX 등을 포함하는 광섬유 이더넷 표준이며, IEEE 802.3ae는 10Gbps 이더넷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사용자 정보 인증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차별(Difference)
  2. 인가(Authorization)
  3. 인증(Authentication)
  4. 식별(Identification)
(정답률: 85%)
  • 차별(Difference)은 사용자 정보 인증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사용자 정보 인증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인증은 사용자가 자신이 주장하는 신원을 입증하는 것을 의미하며, 식별은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가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특정 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웹브라우저에서 개인정보를 수집 및 추적 하는 기술이 아닌 것은?

  1. 쿠키(Cookie)
  2. 인증서
  3. 비콘(Beacon)
  4. History Stealing
(정답률: 81%)
  • 인증서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추적하는 기술이 아닙니다. 인증서는 공개키 인프라(PKI)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인증서로, 인터넷 상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개인정보 보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넷마스크의 비트 정보를 십진수가 아니라 비트의 개수를 적어서 표기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ubneting
  2. Suppernetting
  3. Netmask
  4. CIDR
(정답률: 74%)
  • 정답은 "CIDR"입니다. CIDR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의 약자로, IP 주소를 더 작은 블록으로 분할할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CIDR은 IP 주소와 함께 슬래시(/)와 함께 사용되며, 슬래시 뒤에 오는 숫자는 해당 IP 주소에서 사용되는 비트 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92.168.0.0/24는 192.168.0.0에서 24개의 비트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IDR은 IP 주소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상위계층의 데이터에 헤더나 트레일러와 같은 각종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계층으로 내려 보내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흐름제어(Flow Control)
  2. 오류제어(Error Control)
  3. 동기화(Synjchronous)
  4. 캡슐화(Encapsulation)
(정답률: 87%)
  • 상위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계층으로 내려 보내는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하고 동기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캡슐화되어 하위계층으로 전달되며, 하위계층에서는 이를 해독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용 프로토콜은?

  1. IEEE 802
  2. TCP/IP
  3. IEEE 802.2
  4. X.21
(정답률: 85%)
  • TCP/IP은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신용 프로토콜이며,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네트워크 관련 표준이지만, TCP/I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서 가장 적합한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의 컴퓨터나 휴대폰, 사내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이나 문서, 이미지, 영상 파일 등을 암호화하여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온라인 전자화폐 지불시 해독용 암호 키를 주겠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Ransomware
  2. Spyware
  3. DDoS
  4. Dropper
(정답률: 88%)
  • Ransomware는 파일을 암호화하여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금전적 이득을 위해 해독용 암호 키를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외부환경에 능동소자 대신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수동소자를 사용해 국사에서 원격노드(Remote Node)까지 연결되는 단일 광케이블을 분기시켜 가입자들에게 연결하는 방식은?

  1. Ethernet
  2. Access Point
  3. Active Optical Network
  4. Passive Optical Network
(정답률: 82%)
  • Passive Optical Network은 외부환경에 능동소자 대신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수동소자를 사용하여 국사에서 원격노드까지 연결되는 단일 광케이블을 분기시켜 가입자들에게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전력 소비가 적고 유지보수 비용이 낮아서 경제적이며, 광케이블의 분기가 가능하여 가입자 수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전자우편을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개발된 End-to-End 방식의 보안 프로토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SSL
  2. TLS
  3. S/MIME
  4. SMTP
(정답률: 78%)
  • S/MIME은 전자우편의 내용을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통해 인증하며, 중간에 제3자가 내용을 열어볼 수 없도록 보호하는 End-to-End 방식의 보안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SSL과 TLS는 전송 계층에서의 보안을 제공하지만, 전자우편의 내용을 암호화하거나 인증하지는 않습니다. SMTP는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지 보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IPsec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IETF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이다.
  2. IP계층에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3. 송수신자의 주소에 사설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4. 연결형 무결성, 기밀성, 접근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70%)
  • 송수신자의 주소에 사설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는 IPsec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IPsec는 인터넷상에서 통신하는 호스트나 네트워크 간의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비연결형 무결성, 기밀성, 접근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IPsec은 비연결형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각 분산의 크기 나열리 맞는 것은?

  1. 재료 분산 > 모드 분산 > 구조 분산
  2. 모드 분산 > 재료 분산 > 구조 분산
  3. 재료 분산 < 모드 분산 < 구조 분산
  4. 모드 분산 < 재료 분산 < 구조 분산
(정답률: 82%)
  • 정답: 모드 분산 > 재료 분산 > 구조 분산

    설명: 모드 분산은 주파수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분산으로, 시스템의 주요 진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재료 분산은 재료의 물성에 대한 분산으로, 재료의 물성이 다르면 시스템의 동작도 다르게 됩니다. 구조 분산은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분산으로, 시스템의 구조가 다르면 동작도 다르게 됩니다. 따라서 모드 분산이 가장 크고, 재료 분산이 그 다음으로 크며, 구조 분산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외 통신 케이블의 심선수가 500회선(Pair)일 때, 이 케이블의 심선은 어떤 구조인가?

  1. 쌍연
  2. 복합연
  3. 층연
  4. 유닛연
(정답률: 83%)
  • 시외 통신 케이블의 심선수가 500회선(Pair)이므로, 이 케이블의 심선은 유닛연 구조입니다. 유닛연 구조는 한 쌍의 심선이 하나의 단위로 묶여 있으며, 이 단위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500회선의 경우, 250개의 유닛연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 구조는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쌍연
    2가닥을 꼬은 것

    복쌍연
    4가닥을 꼬은 것

    층연
    쌍연 또는 Quad를 배열한 것으로 최대 200 pair 케이블 적용

    유닛연
    50~100 pair를 배열한 유닛을 만들고 이것을 다시 배열하여 200 pair 이상의 케이블에 적용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통신선로의 외피 구조에 의한 분류로 틀린 케이블은?

  1. 비 케이블 : 가공용 케이블
  2. 포 케이블 : 산악용 케이블
  3. 대 케이블 : 관로용 케이블
  4. 선 케이블 : 해저용 케이블
(정답률: 73%)
  • "대 케이블 : 관로용 케이블"이 틀린 케이블입니다. 대 케이블은 전송거리가 긴 통신선로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외부에 보호용 케이블을 덧대어 사용합니다. 관로용 케이블은 지하 파이프나 터널 등의 관로 안에 설치되는 케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중 절연으로 절연 저항이 높아 전화 고장이 적고, 통화 품질이 우수하여 LAN, VAN, ISDN 등의 구성에 적합한 케이블은?

  1. Screen Cable
  2. Jelly Filled Cable
  3. Foam Skin Cable
  4. Optical Fiber Cable
(정답률: 76%)
  • Foam Skin Cable은 2중 절연으로 절연 저항이 높아 전화 고장이 적고, 통화 품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LAN, VAN, ISDN 등의 구성에 적합합니다. 또한, 내부에 폼 스킨이라는 물질이 채워져 있어 외부 충격에 강하고, 유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섬유의 규격화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규격화 주파수 값은 파장이 적어지면 작아진다.
  2. 규격화 주파수 값은 코어경이 작아지면 커진다.
  3. 규격화 주파수 값은 굴절율 차가 커지면 작아진다.
  4. 광섬유가 단일모드가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정답률: 63%)
  • 광섬유가 단일모드가 되기 위해서는 광섬유의 코어경이 작아야 하며, 이 때 광섬유의 규격화 주파수 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규격화 주파수 값은 코어경이 작아지면 커진다."와 "규격화 주파수 값은 굴절율 차가 커지면 작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며, "규격화 주파수 값은 파장이 적어지면 작아진다."는 일반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지만, 광섬유가 단일모드가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섬유가 단일모드가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광섬유의 손실 중 고유손실에 해당하는 것은?

  1. 흡수 손실
  2. 접속 손실
  3. 마이크로 밴딩 손실
  4. 찌그러짐에 의한 손실
(정답률: 79%)
  • 광섬유의 고유손실은 광섬유 자체의 손실로, 광섬유 내부의 물질에 의한 흡수 손실이 해당합니다. 광섬유 내부의 물질은 광파장에 대해 투과하지 않고 일부를 흡수하기 때문에 광섬유를 통과하는 광파장이 감쇠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흡수 손실"이 고유손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국내 표준 FT3 광통신 방식을 국간 중계에 적용시 시스템 개통 후 양 광단국간 DS-3 신호를 1시간 동안 감시한 결과 125개의 패리티 에러가 발생하였다면 이 시스템의 BER(Bit Error Rate, Bit Error Ratio)은 약 얼마인가?

  1. 03038 × 10-8
  2. 0.078 × 10-8
  3. 12.883 × 108
  4. 26.140 × 108
(정답률: 73%)
  • BER은 전송된 비트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BER은 에러 비트 수를 전송된 비트 수로 나눈 값이다.

    양 광단국간 DS-3 신호는 44.736Mbps의 속도로 전송된다. 1시간 동안 전송되는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1시간 = 60분 = 60 x 60초 = 3600초

    전송 비트 수 = 44.736Mbps x 3600초 = 161,241,600,000비트

    따라서, BER은 다음과 같다.

    BER = 125 / 161,241,600,000 = 0.078 x 10^-8

    따라서, 정답은 "0.078 × 10^-8"이다.
  • ft3 = 44.736Mbp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섬유 심선 직경이 작아 접속하기 어렵다.
  2. 전력전송이 어려우므로 중계급 개재심선이 필요하다.
  3. 광심선 접속이 어려우므로 고도의 접속기술이 요구된다.
  4. 분기 및 결합이 가능하다.
(정답률: 78%)
  • "광섬유 심선 직경이 작아 접속하기 어렵다."는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 중 하나이며, 단점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섬유 심선 직경이 작아 접속하기 어렵다."가 아닌 "분기 및 결합이 가능하다."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여러 개의 광섬유 심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묶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분기 및 결합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장치를 하나의 광섬유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구성이 유연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주파수가 5[MHz]의 전파에 사용하는 λ/4 수직접지 안테나의 길이는?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61%)
  • 전파의 속도는 공기 중에서 약 3x10^8[m/s]이며, 주파수가 5[MHz]인 전파의 파장은 약 60[m]입니다. λ/4 수직접지 안테나의 길이는 파장의 1/4이므로 60[m]/4 = 15[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에서 동(Twisted Pair cable) 선로의 구내 배선 성능 측정항목 및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선번확인시험(와이어 맵)은 각 구간의 정확한 배선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으로서, 배선의 단선이나 뒤바뀜이 없어야 한다.
  2. 배선구간의 길이측정은 패치코드를 포함한 동선로 구간의 길이는 100[m]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3. 전기적 특성 시험은 반사손실, 최대삽입손실, 누화손실, 전력합누화손실 등의 항목에 적합하여야 한다.
  4. 측정하려는 구내배선 구간의 양단에서 패치코드를 사용하여 측정기와 접속한 후 구내배선 성능을 측정한다.
(정답률: 81%)
  • 배선구간의 길이측정은 패치코드를 포함한 동선로 구간의 길이는 96[m]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이유는 96m를 초과하면 전기적인 신호가 약해져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거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96m 이상의 구간은 중계기를 사용하여 구간을 나누어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입사한 광전력을 다수의 도파(포트)로 분리해주는 광수동소자는?

  1. 광분배함(OFD : Optical Fiber Distribution)
  2. 광스플리터(Optical Splliter)
  3. 광원(Light Source)
  4. 광 아이솔레이터(Optical Isolator)
(정답률: 78%)
  • 광수동소자 중 광스플리터는 하나의 광신호를 다수의 도파(포트)로 분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사한 광전력을 다수의 도파로 분리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은 광스플리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펄스 시험기에서 송출된 펄스가 10[㎲]이후에 수신되었다. 전파의 속도가 300[m/㎲]일 때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는 몇 [km]인가?

  1. 1
  2. 1.5
  3. 2
  4. 2.5
(정답률: 68%)
  •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는 송출된 펄스가 발생한 지점에서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와 반사 지점에서 수신된 지점까지의 거리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송출된 펄스가 10[㎲]이후에 수신되었으므로, 반사 지점에서 수신된 지점까지의 거리는 10[㎲]이 됩니다. 이때, 전파의 속도가 300[m/㎲]이므로, 반사 지점에서 수신된 지점까지의 거리는 10[㎲] × 300[m/㎲] = 3000[m] = 3[km]입니다. 따라서,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는 3[km] - 송출된 지점에서 반사 지점까지의 거리(=송출된 펄스의 이동 거리) = 3[km] - 1.5[km] = 1.5[k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10x300) / 2 = 150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2지점 간 포설된 동축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더니 개방 임피던스는 36[Ω]이고, 단락 임피던스는 225[Ω]이었다. 이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Z0)는 얼마인가?

  1. 25[Ω]
  2. 75[Ω]
  3. 90[Ω]
  4. 250[Ω]
(정답률: 53%)
  • 동축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개방 임피던스와 단락 임피던스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Z0 = √(36[Ω] × 225[Ω]) = √8100[Ω] = 90[Ω]

    따라서, 정답은 "90[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후방 산란법에 의한 광을 검출하는 장비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1. 오실로스코프
  2. 레벨메터
  3. OTDR
  4. 회로시험기
(정답률: 92%)
  • OTDR은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과 반사를 측정하여 광섬유 케이블의 이상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후방 산란법을 이용하여 광을 검출합니다. 따라서 후방 산란법에 의한 광을 검출하는 장비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OTD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광섬유의 통신방식에서 발광소자의 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광으로부터 전기신호로의 변환 효율이 높을 것
  2. 광섬유와 결합효율이 좋을 것
  3. 출력이 크고 휘도가 높을 것
  4. 장시간 상온에서 연속 동작할 것
(정답률: 67%)
  • "광으로부터 전기신호로의 변환 효율이 높을 것"이 맞지 않습니다. 광섬유의 통신방식에서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발광소자의 조건 중 광으로부터 전기신호로의 변환 효율이 높을 것이어야 합니다. 이는 광섬유 통신의 전송속도와 신호의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75[Ω]계에서 0[dBm]이 되려면 P=1[mW]이다. 전류(I)가 3.65[mA]일 때 부하 양단전압은?

  1. 0.274[V]
  2. 1.274[V]
  3. 0.775[V]
  4. 1.775[V]
(정답률: 60%)
  • 전력과 전압, 전류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P) = 전압(V) x 전류(I)

    0[dBm]은 1[mW]에 해당하므로, 전력은 1[mW]가 됩니다.

    따라서, 1[mW] = V x 3.65[mA] x 3.65[mA] x 75[Ω] 이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V = 0.274[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74[V]"입니다.
  • W=VI 기본은 아시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원격제어기가 아닌 것은?

  1. 가스밸브제어기
  2. 조명제어기
  3. 창문개폐제어기
  4. 난방제어기
(정답률: 88%)
  • 창문개폐제어기는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원격제어가 가능한 제어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는 정의가 잘못된 것은?

  1. “특저압”이란 직류 48볼트 이하, 교류 5볼트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
  2. “저압”이란 직류는 750볼트 이하, 교류는 600볼트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
  3. “고압”이란 직류는 750볼트, 교류는 600볼트를 초과하고 각각 7,000볼트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
  4. “특고압”이란 7,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특저압”이란 직류 48볼트 이하, 교류 5볼트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가 아닌, "“저압”이란 직류는 750볼트 이하, 교류는 600볼트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입니다. 이유는 "저압"은 직류와 교류 모두를 포함하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방송통신서비스에 사용되는 방송통신설비가 갖추어야 할 안전성 및 신뢰성에 관한 설비의 일반기준 항목과 관계없는 것은?

  1. 대체접속계통의 설정
  2. 전송로별 AS센타 구성
  3. 분산수용
  4. 전송로설비의 동작 감시
(정답률: 87%)
  • 전송로별 AS센타 구성은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과 관련이 없는 항목입니다. 이는 방송통신설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AS(Automatic Switching) 센터는 전송로의 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대체접속계통으로 전환하여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는 안전성 및 신뢰성과는 관련이 없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접지설비·구내통신설비·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 등에 대한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통신관련 시설의 접지저항은 몇 [Ω]이하를 기준으로 하는가?

  1. 50[Ω] 이하
  2. 30[Ω] 이하
  3. 20[Ω] 이하
  4. 10[Ω] 이하
(정답률: 81%)
  • 정답은 "10[Ω] 이하"입니다.

    통신관련 시설의 접지저항은 낮을수록 좋은데, 이는 안전성과 신호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접지저항이 낮을수록 기준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게 됩니다.

    50[Ω] 이하나 30[Ω] 이하는 일반적인 전기설비의 접지저항 기준이며, 통신관련 시설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20[Ω] 이하나 10[Ω] 이하를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10[Ω] 이하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이유는 더욱 안전하고 신호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각종 통신설비의 접지체는 가스, 산 등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없는 곳에 매설하여야 한다. 접지체 상단이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최소 어느 정도의 깊이에 매설하여야 하는가?

  1. 55[cm] 이상
  2. 65[cm] 이상
  3. 75[cm] 이상
  4. 85[cm] 이상
(정답률: 76%)
  • 접지체는 지하수나 습기가 많은 곳에 노출되어 부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깊이 이상으로 매설되어야 합니다. 이때 깊이는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측정합니다. 깊이가 얕으면 지표면에서의 온도 변화나 강우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아 부식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종 통신설비의 접지체는 최소 75[cm] 이상의 깊이로 매설하여 부식을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

  1. “홈게이트웨이”란 세대망과 단지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로서, 세대내에서 사용되는 홈네트워크 기기들을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으로 연결하고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2. “방재실”이란 단지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3. “단지네트워크장비”란 세대내 홈게이트웨이와 단지서버간의 통신 및 보안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백본(back-bone), 방화벽(Fire Wall), 워크그룹스위치 등을 말한다.
  4. “월패드”란 세대 내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정답률: 86%)
  • "방재실"이란 단지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말하는 것은 틀린 정의입니다. "방재실"은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재실”이란 단지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어떤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1. 공수관리
  2. 자재관리
  3. 구매관리
  4. 재고관리
(정답률: 7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제품의 컨셉 개발에서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하여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실시 하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부적절한 진행방법은 어떤 것인가?

  1. 의견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우선 고려한다.
  2. 타인의 의견에 자신의 의견을 접목시키기도 한다.
  3. 타인의 의견에 대한 비판을 하지 않는다.
  4. 여러 의견을 많이 제안 하는 것을 환영한다.
(정답률: 85%)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의견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우선 고려한다.'는 방법은 부적절합니다.

    브레인스토밍의 주 목적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실현 가능성을 우선 고려하게 되면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무리 비현실적이거나 불가능해 보이는 아이디어라도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현 가능성은 나중에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구체화하는 단계에서 고려해야 합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들은 브레인스토밍의 기본적인 원칙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타인의 의견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고, 여러 의견을 많이 제안하는 것을 환영하며, 타인의 의견에 자신의 의견을 접목시키는 것은 브레인스토밍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품질관리(Quality Control)의 분야가 아닌 것은?

  1. 품질보증
  2. 품질관리
  3. 품질경영
  4. 품질가치
(정답률: 65%)
  • 품질가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치를 의미하며, 품질관리의 분야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하여 고객에게 만족스러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품질가치는 품질관리의 분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동작시간 표준분석(PTS)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양손 작업분석
  2. 서블리그(Therblig) 분석
  3. 동시 동작분석
  4. 제품 공정분석
(정답률: 61%)
  • PTS는 작업 분석 방법론 중 하나로, 작업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제품 공정분석"은 PTS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제품 공정분석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PTS와는 다른 분석 방법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도수분포법을 이용한 데이터 정리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불량손실이나 원인을 항목별로 묶어서 비중있는 항목으로 중점관리 할 수 있다.
  2. 많은 데이터로부터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할 수 있다.
  3. 원 데이터를 규격과 대조하기가 쉽다.
  4. 흩어진 데이터의 모양을 알 수 있다.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요예측 방법의 하나인 정성적 기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델파이법
  2. 시장조사법
  3. 시계열 분석법
  4. 전문가 의견법
(정답률: 63%)
  • 시계열 분석법은 정량적인 방법론으로,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성적인 기법이 아닌, 정량적인 기법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시계열 분석법은 정성적 기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