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9)

통신설비기능장
(2019-03-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1. 자동식 전화기의 단속비를 전류계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더니 평상시에 흐르는 전류는 120[mA] 이고, 전화기에 의한 임펄스 송출시에 흐르는 전류는40[mA] 이었다. 이 경우 브레이크(Break)율은 약 몇[%] 인가?

  1. 22.2
  2. 33.3
  3. 44.4
  4. 66.7
(정답률: 75%)
  • 전류계법에 의하면 브레이크(Break)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reak율 = (평상시 전류 - 임펄스 송출시 전류) / 평상시 전류 × 1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Break율 = (120[mA] - 40[mA]) / 120[mA] × 100 = 66.7[%]

    따라서 정답은 "66.7" 이다.
  • 120-40/120 * 10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NO.7 신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동기방식은 동기 플래그를 사용한다.
  2. 64[kbps] 속도로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3. OSI-7 Layer 계층구조를 그대로 사용한다.
  4. 전화망, 데이터망, ISDN 등에 적용 가능하다.
(정답률: 83%)
  • OSI-7 Layer 계층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NO.7 신호방식과 관련이 없습니다. NO.7 신호방식은 전화망, 데이터망, ISDN 등에 적용 가능하며, 동기방식을 사용하며 64[kbps] 속도로 신호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자교환기에서 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은?

  1. CDL(Central Data Link)
  2. CI(Control Interworking)
  3.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4. LDL(Local Data Link)
(정답률: 90%)
  • CCS는 전자교환기의 중앙 제어 시스템으로, 전체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합니다. 다른 서브시스템들의 동작을 감시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CCS는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고, 다른 서브시스템들 간의 상호작용을 조정합니다. 따라서, CCS는 전자교환기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까지 할 수 있는 코드는?

  1. ASCⅡ 코드
  2. Parity 코드
  3. BCD 코드
  4. Hamming 코드
(정답률: 90%)
  • Hamming 코드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따라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까지 할 수 있는 코드는 Hamming 코드입니다. ASCⅡ 코드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코드, Parity 코드는 홀수 개의 비트를 유지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코드,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코드입니다. 이들 코드는 오류를 검출할 수는 있지만, 정정까지는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8진 PSK의 위상차는 얼마인가?

  1. π
  2. π / 2
  3. π / 4
  4. π / 8
(정답률: 80%)
  • 8진 PSK에서는 8개의 위상 상태를 사용하므로, 각 위상 상태는 360도 / 8 = 45도씩 차이가 납니다. 이는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π / 4 라디안이 됩니다. 따라서 8진 PSK의 위상차는 π / 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펄스 변조방식 중 디지털형 펄스 변조방식으로 옳은 것은?

  1. PCM
  2. PAM
  3. PPM
  4. PWM
(정답률: 82%)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크기를 양자화하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 방식은 정보의 손실 없이 정확한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Nyquist 비를 만족하지 않았을 때 일어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Spectrum Overlap
  2. Aliasing
  3. Spectrum Folding
  4. Phase Shift
(정답률: 83%)
  • Nyquist 비를 만족하지 않으면 Spectrum Overlap, Aliasing, Spectrum Folding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hase Shift는 Nyquist 비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hase Shif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중화 방식 중에서 보내고자 하는 신호를 그 주파수 대역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확산시켜 전송하는 Spread Spectrum 방식을 사용하고, 각 사용자에게 서로 직교(Orthogonal)하는 고유의 코드를 부여하여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여러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2. 시분할 다중화(TDM)
  3. 부호분할 다중화(CDM)
  4. 파장부할 다중화(WDM)
(정답률: 75%)
  • 해당 방식은 각 사용자에게 서로 직교하는 고유의 코드를 부여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호분할 다중화(CDM)입니다. 주파수분할 다중화(FDM)는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각각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며, 시분할 다중화(TDM)는 시간을 나누어 각각의 시간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파장부할 다중화(WDM)는 광섬유에서 다양한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전송 부호가 갖추어야 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직류 성분이 있을 것
  2. 전송신호로부터 비트동기를 위한 정보의 추출이 용이할 것
  3. 필요로 하는 대역폭이 가급적 좁을 것
  4. 유도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
(정답률: 69%)
  • 전송 부호가 갖추어야 할 요건 중 "직류 성분이 있을 것"은 아닙니다. 직류 성분이 있다면 전송 신호의 평균값이 변하게 되어 비트 동기를 위한 정보 추출이 어려워지고, 또한 유도 잡음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송 부호는 직류 성분이 없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데이터 전송제어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OSI 참조모델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전송제어라 한다.
  2. 전송제어란 입출력제어, 회선제어, 동기제어, 에러제어를 총칭한다.
  3. SDLC와 HDLC는 전송제어 방식 중 비트방식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4. 에러제어란 전송도중 손실되는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전송하거나 정정하는 제어를 말한다.
(정답률: 67%)
  • 2단계 : 테이터 링크 계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M 송신기의 발진기 다음단에 설치하여 부하 변동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증폭 방식은 무엇인가?

  1. A급
  2. B급
  3. C급
  4. AB급
(정답률: 82%)
  • 정답은 "A급"입니다. A급은 고정밀한 주파수 안정성과 높은 선형성을 가지며, 부하 변동에도 안정적인 발진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M 송신기에서 발진 주파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A급 증폭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무선통신에서 변조를 행하는 이유로 옳지 않는 것은?

  1. 주파수 할당을 위하여 사용
  2. 방사를 어렵게 하기 위하여 사용
  3. 잡음과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
  4. 장비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
(정답률: 85%)
  • 무선통신에서 변조를 행하는 이유는 주파수 할당을 위하여 사용하거나 잡음과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장비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옳은 이유입니다. 그러나 "방사를 어렵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이유입니다. 변조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 방사를 어렵게 하는 것은 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를 높게 하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안테나와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한다.
  2. 안테나와 병렬로 콘덴서르 접속한다.
  3. 안테나와 직렬로 코일을 접속한다.
  4. 안테나와 병렬로 코일을 접속한다.
(정답률: 77%)
  • 안테나와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하는 것은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콘덴서가 안테나와 직렬로 연결되면 안테나의 유전율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안테나의 고유주파수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즉, 안테나와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하면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λ/4 수직접지 안테나의 고유파장은?

  1. 안테나의 길이의 1/4배
  2. 안테나 길이의 1/2배
  3. 안테나 길이의 4배
  4. 안테나 길이의 2배
(정답률: 78%)
  • λ/4 안테나는 전파의 반파장을 수신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로, 안테나의 길이가 고유 파장의 1/4배여야 합니다. 이는 안테나의 길이가 전파의 파장의 1/4배인 경우, 안테나의 끝에서 반사된 파동이 안테나의 시작점에서 파동과 상쇄되어 파동이 취소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길이는 고유 파장의 4배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전파는 어느 것인가?

  1. 지표파
  2. 회절파
  3. 직접파
  4. 전리층파
(정답률: 81%)
  •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전파는 전리층파입니다. 이는 지표파와 직접파보다 더 멀리 전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리층파는 지구 대기권의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지구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지표파와 직접파보다 더 멀리 전달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리층파는 회절파보다는 전파 간섭이 적어 더욱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위성체에서 사용되는 안테나와 거리가 먼 것은?

  1. 혼 안테나
  2. 파라볼라 안테나
  3. 위상배열 안테나
  4. 역L형 안테나
(정답률: 85%)
  • 역L형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과 달리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안테나와 함께 구성된 피드라인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L형 안테나"가 아닌 다른 안테나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안테나에서 5[Km] 떨어진 곳에서 주빔의 방사전력 밀도가 1.27×10-6[W/m2]이었다. 이 때 안테나 입사전력이 100[W]였다면 안테나 이득은 몇[dB]인가?

  1. 4
  2. 5
  3. 6
  4. 7
(정답률: 64%)
  • 안테나 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안테나 이득 = 10log10(방사전력 밀도 / 입사전력)

    여기서 방사전력은 주어졌으므로, 입사전력을 구해야 합니다.

    안테나 이득 = 10log10(1.27×10-6 / 100×π×(5×103)2)

    = 10log10(1.27×10-6 / 7.85×1010)

    = 10log10(1.62×10-17)

    ≈ 6[dB]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전파의 세기가 변화되는 현상은 무엇인가?

  1. Long-term 페이딩
  2. Short-term 페이딩
  3.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4. 지역확산
(정답률: 80%)
  • 기지국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전파의 세기가 변화되는 현상은 "Long-term 페이딩"입니다. 이는 건물, 산 등의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산란되어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장애물은 일정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전파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Long-term 페이딩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은 전형적인 안테나의 방사패턴이다.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주빔의 최대치의 방향은 안테나 빔의 방향이나 주사각도를 나타낸다.
  2. 주빔의 크기는 3[dB] 대역폭으로 결정한다.
  3. 주빔과 부엽의 크기차를 최대 부엽레벨 또는 부엽레벨이라고 하며, 단위는 [dB]이다.
  4. 주빔의 크기를 빔폭(beamwidth)이라고 하며 3차원 방사패턴을 자르는 방향에 따라 모두 같은 크기를 갖는다.
(정답률: 78%)
  • 정답은 "주빔의 크기를 빔폭(beamwidth)이라고 하며 3차원 방사패턴을 자르는 방향에 따라 모두 같은 크기를 갖는다." 입니다. 이유는 빔폭은 3차원 방사패턴을 자르는 방향에 따라 모두 같은 크기를 갖기 때문입니다. 즉, 수평면과 수직면에서의 빔폭이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안테나의 방사패턴이 대칭적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물인터넷 통신 기술 중에서 UW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전력으로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초당 400~500[Mbit]까지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2. 사용 주파수대역은 저주파수 대역(3.1~4.8[GHz]과 고주파수 대역(7.2~10.2[GHz])이다.
  3. 시스템이 단순하고 비용이 낮고 GPS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4. ISM 대역에서 작동하는 무선통신 기술로 낮은 데이터율과 네트워크 안전성을 요구하는 곳에 사용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ISM 대역에서 작동하는 무선통신 기술로 낮은 데이터율과 네트워크 안전성을 요구하는 곳에 사용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UWB는 고대역 대역폭을 사용하여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GPS보다 더 정확한 위치 인식이 가능하며, 시스템이 단순하고 비용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UWB는 낮은 데이터율과 네트워크 안전성을 요구하는 곳보다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 정확한 위치 인식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중 통신프로토콜의 3가지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문자 방식
  2. 바이트 방식
  3. 비트 방식
  4. 레코드 방식
(정답률: 79%)
  • 레코드 방식은 통신 데이터를 레코드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신 데이터의 구조와 크기가 일정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통신프로토콜의 3가지 방식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TCP(Transmission Cintrol Protocol)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접속형(Connection-Oriented)
  2. 비연결형(Connectionless)
  3. 흐름제어(Flow Control)
  4.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
(정답률: 72%)
  • TCP는 접속형(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하고, 통신이 끝나면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TCP의 특성 중 비연결형(Connectionless)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비연결형 프로토콜은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같이, 연결 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OSI7 계층을 설명한 것이다.각 계층별 역항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네트워크계층 : 통신노드에서 다양한 경로를 설정하고, 메시지등을 라우팅하며 망 노드간에 트래픽을 제어한다.
  2. 전송계층 : 종단간에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한다.
  3. 세션계층 :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 프로세서를 서로 연결유지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4. 표현계층 :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반적인 응용 작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67%)
  •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고, 암호화, 압축, 인코딩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응용 계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반적인 응용 작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형태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LAN의 전송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1. 기저대역(Baseband) 방식
  2. 광대역(Broadband) 방식
  3. 캐리어대역(Carrierband) 방식
  4. 하이브리드(Hybrid) 방식
(정답률: 83%)
  • 디지털 신호는 주파수 대역폭이 좁기 때문에 기저대역(Baseband) 방식이 적합합니다. 기저대역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서 전송 속도가 높고 신호의 왜곡이 적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송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LAN의 분류 중 네트워크 접속 형태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성형(Star)
  2. 링크형(Link)
  3. 버스형(Bus)
  4. 트리형(Tree)
(정답률: 80%)
  • 링크형은 네트워크 접속 형태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네트워크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링크(Link)의 형태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입니다. 링크형은 링크로 연결된 두 개의 장치가 직접 통신하는 형태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일반적인 TCP/IP 프로토콜의 응용 서비스와 포트 번호의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HTTP : 80
  2. DNS : 53
  3. FTP : 21
  4. TELNET : 25
(정답률: 87%)
  • TELNET은 포트 번호가 23이며, 25는 SMTP 프로토콜의 포트 번호입니다. SMTP은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TELNET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BcN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주목받는 IPTV에 관한 설명이다. IPTV의 서비스 형태와 거리가 먼 것은?

  1. 실시간 쌍방향 서비스
  2. 홈뱅킹 서비스
  3.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
  4. T-OMMERCE(텔레비전 전자 상거래) 서비스
(정답률: 83%)
  • IPTV는 TV 채널을 인터넷으로 전송하여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는 실시간 쌍방향 서비스, 집에서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홈뱅킹 서비스, TV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T-OMMERCE(텔레비전 전자 상거래) 서비스와 같이 인터넷과 TV를 결합한 서비스이다. 따라서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는 IPTV의 서비스 형태와 거리가 먼 것이다.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차량 내비게이션 등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 전달하는 기반기술은?

  1. 디바이스 기술
  2. 네트워크 접속 기술
  3. 센싱 기술
  4. 암호화 기술
(정답률: 91%)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전달하기 위해서는 센싱 기술이 필요합니다. 센싱 기술은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센싱 기술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소프트스위치(Softswitch)의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호 연결 서비스
  2. 교환기 호 제어
  3. 망 내에서 호 라우팅 수행
  4. 응용프로그램 운용
(정답률: 79%)
  • 소프트스위치의 기능 중 응용프로그램 운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프트스위치는 호 연결 서비스, 교환기 호 제어, 망 내에서 호 라우팅 수행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응용프로그램 운용은 소프트스위치와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응용프로그램 운용은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IPv4 네트워크 주소 체계의 범위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A class : 0.0.01 ~ 127.255.255.255
  2. B class : 128.1.0.0 ~ 191.255.255.255
  3. C class : 192.0.0.1 ~ 223.255.255.254
  4. D class : 224.0.0.0 ~ 239.255.255.254
(정답률: 79%)
  • IPv4 주소 체계에서, 첫 번째 옥텟의 값이 0에서 223까지의 범위에 따라 A, B, C, D 클래스로 구분됩니다. A 클래스는 0에서 127까지, B 클래스는 128에서 191까지, C 클래스는 192에서 223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위해 예약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C 클래스의 범위는 192.0.0.1에서 223.255.255.254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92.168.55.0의 네트워크 ID를 가지고 있다. 각 서브넷은 25개의 호스트 ID가 필요하며 가장 많은 서브네트를 가져야 한다. 어떤 서브넷 마스크가 알맞은가?

  1. 255.255.255.192
  2. 255.255.255.224
  3. 255.255.255.240
  4. 255.255.255.248
(정답률: 76%)
  • 25개의 호스트 ID를 필요로 하므로, 2^5 - 2 = 30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서브넷이 필요하다. 따라서, 2^5 = 32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192.168.55.0의 네트워크 ID를 가지고 있으므로, 첫 번째 3개의 옥텟은 네트워크 ID이고, 마지막 옥텟은 호스트 ID이다. 따라서, 32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24이다.

    이유는 255.255.255.224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의 이진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마지막 5비트는 호스트 ID를 나타낸다. 따라서, 32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서브넷을 만족시키기에 알맞은 서브넷 마스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 전화선이나 랜(LAN)의 환경을 이어주는 신호선의 한 종류이며 절연된 2개의 구리선을 서로 꼬아 만든 여러 개의 쌍 케이블로 외피를 플라스틱으로 절연시킨 케이블은 무엇인가?

  1. SPT 케이블
  2. UTP 케이블
  3. FTP 케이블
  4. CAT 케이블
(정답률: 88%)
  • UTP 케이블은 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의 약자로, 외부 간섭을 막기 위한 차폐층이 없는 케이블입니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하고 유연하며, 일반적으로 일반 전화선이나 랜(LAN)의 환경을 이어주는데 사용됩니다. SPT 케이블은 존재하지 않는 케이블이며, FTP 케이블은 Foiled Twisted Pair 케이블의 약자로, 외부 간섭을 막기 위한 알루미늄 호일 차폐층이 있는 케이블입니다. CAT 케이블은 Category 케이블의 약자로, 랜(LAN) 케이블의 종류를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시외 통신케이블의 심선수가 500회선(Pair)일 때, 이 케이블의 심선은 어떤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가?

  1. 쌍연
  2. 복합연
  3. 층연
  4. 유닛연
(정답률: 78%)
  • 시외 통신케이블의 심선은 유닛연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한 쌍의 심선이 하나의 유닛으로 묶여 있고, 이러한 유닛들이 여러 개가 모여서 케이블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 구조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송 속도와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비굴절률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굴절률차가 클수록 광이 코어 내에 입사하기 쉽다.
  2. 비굴절률차가 적을수록 광이 코어 내에 입사하기 쉽다.
  3. 비굴절률차가 클수록 광이 클래드 내에 입사하기 쉽다.
  4. 비굴절률차가 적을수록 광이 클래드 내에 입사하기 쉽다.
(정답률: 70%)
  • 비굴절률차란 광섬유의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이를 의미합니다. 비굴절률차가 클수록 광은 코어와 클래드 경계면에서 더욱 꺾이게 되어 코어 내부로 더욱 쉽게 입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굴절률차가 클수록 광이 코어 내에 입사하기 쉽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광섬유 코어 직경이 50[μm]인 계단형 광섬유가 갖는 모드 수는 약 몇 개인가? (단, 광파이버의 코어의 굴절률 n1=1.48, 클래드의 굴절률 n2=1.46일 때 파장 λ= 0.82[μm]이라 가정한다.)

  1. 47
  2. 539
  3. 1,079
  4. 2,157
(정답률: 72%)
  • 계단형 광섬유의 모드 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V = 2πa/λ √(n1^2 - n2^2)

    여기서 V는 광섬유의 정규화 주파수(normalized frequency)를 나타내며, a는 코어의 반지름, λ는 파장, n1과 n2는 각각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50/2 = 25[μm] (코어 반지름)

    V = 2πa/λ √(n1^2 - n2^2) = 2π×25/0.82 √(1.48^2 - 1.46^2) ≈ 47

    따라서 모드 수는 V^2/2 ≈ 539개가 된다. (여기서 2는 광섬유가 양방향으로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나누어준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약 몇 개"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으므로, 보다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V 값을 더 정확하게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V 값을 구한 후, Bessel 함수를 이용하여 모드 수를 계산해야 한다.

    V = 2πa/λ √(n1^2 - n2^2) = 2π×25/0.82 √(1.48^2 - 1.46^2) ≈ 47.2

    이제 Bessel 함수를 이용하여 모드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모드 수 = (2V/π) × ∫0^1 J0(Vρ)ρ dρ ≈ 1,079

    따라서 정답은 "1,079"이다.
  • (50*10^(-6)*Sqrt(Rationalize(1.48)^2-Rationalize(1.46)^2)*Pi/(Rationalize(0.82)*10^(-6)))^2/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광케이블에서 비굴절률 차(?)를 나타내는 식은? (단, n1 : 코어 굴절률, n2 : 클래드 굴절률, α: 코어의 반지름)

(정답률: 84%)
  • 광케이블에서 비굴절률 차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식에서 n1은 코어의 굴절률, n2는 클래드의 굴절률, α는 코어의 반지름을 나타냅니다.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식에서 분자와 분모에 모두 n1이 있기 때문에, 코어의 굴절률이 클래드의 굴절률보다 크면 비굴절률 차가 양수가 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광섬유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일모드 광섬유는 고속신호의 전송에 사용된다.
  2. 다중모드 광섬유는 낮은 부호 속도의 전송에 사용된다.
  3. 단일모드 광섬유는 광원과의 결합 효율이 높고, 광섬유끼리의 접속이 용이하다.
  4. 다중모드 광섬유는 여러 개의 모드가 전파 가능하다.
(정답률: 70%)
  • 단일모드 광섬유는 광원과의 결합 효율이 높고, 광섬유끼리의 접속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단일모드 광섬유는 광섬유의 직경이 매우 작아서 광섬유와 광원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는 정교한 광학 기술이 필요하며, 광섬유끼리의 접속도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설명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값은?

  1. ⓐ : 0.02, ⓑ : 0.02
  2. ⓐ : 0.02, ⓑ : 0.05
  3. ⓐ : 0.05, ⓑ : 0.02
  4. ⓐ : 0.05, ⓑ : 0.05
(정답률: 71%)
  • 융착 접속 시 손실 특성
    1. 멀티모드(MMF) : 0.02[dB]
    2. 싱글모드(SMF) : 0.05[dB]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음성 주파수 대역(300~3,400[Hz])을 완전히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초 간격의 표본이 되어야 하는가?

  1. 125[μs]
  2. 147[μs]
  3. 300[μs]
  4. 3,400[μs]
(정답률: 57%)
  • 음성 주파수 대역의 최대 주파수는 3,400[Hz]이므로,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따라 샘플링 주파수는 2배 이상인 6,800[Hz]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소한 1/6,800초 간격의 표본이 필요하며, 이는 약 147[μs]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147[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광섬유케이블의 접속손실이 상부국(A) → 하부국(B) 방향으로 측정한 값이 0.05[dB], 하부국(B) → 상부국(A) 방향으로 측정한 값이 0.15[dB]이다. 이 때 광섬유 케이블 접속점의 상, 하부측의 평균 접속손실은 몇 [dB]인가?

  1. 0.05
  2. 0.5
  3. 0.01
  4. 0.1
(정답률: 67%)
  • 상부국 → 하부국 방향과 하부국 → 상부국 방향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0.05[dB] + 0.15[dB]) / 2 = 0.1[dB]

    따라서 정답은 "0.1"이다. 이유는 광섬유 케이블은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상하 방향으로 측정한 접속손실 값의 평균을 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41. 다음 중 통신 선로에서 펄스 시험기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통신선로의 고장점 측정
  2. 펄스 주기 측정
  3. 레헤르선 파장계의 고장점 측정
  4. 유선통신선로에 진행하고 있는 주파수 측정
(정답률: 80%)
  • 펄스 시험기는 전송선로에서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통해 통신선로의 고장점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신선로의 고장점 측정"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펄스 시험기로 측정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특성임피던스가 200[Ω]인 동축케이블의 무손실 선로에서 50[Ω]의 부하를 접속할 때 이 선로의 정재파비는?

  1. 0.6
  2. 1.2
  3. 3.2
  4. 4
(정답률: 85%)
  • 특성임피던스가 200[Ω]인 동축케이블에서 50[Ω]의 부하를 접속하면, 반사파가 발생하여 선로의 정재파비가 증가합니다. 이 때, 선로의 정재파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정재파비 = (ZL - Z0) / (ZL + Z0)

    여기서 ZL은 부하 임피던스, Z0은 특성임피던스입니다. 따라서,

    정재파비 = (50 - 200) / (50 + 200) = -0.6

    위 식에서 계산된 값은 부하와 선로의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반사파로 인해 정재파비가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하와 선로의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아니라, 부하 임피던스가 특성임피던스의 절반인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정재파비가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시권 이더넷 망으로 광케이블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어 광 네트워크의 속도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개선된 망구조는?

  1. Local Area Network
  2. ExtraNet
  3. Hybrid Fiber Coaxial
  4. Metro Ethernet
(정답률: 78%)
  • Metro Ethernet은 도시권 이더넷 망으로 광케이블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어 광 네트워크의 속도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개선된 망구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업무”의 광섬유 케이블 링크성능 기준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310[nm] : 6.5 [dB]이하
  2. 1,550[nm] : 5.5 [dB]이하
  3. 850[nm] : 7.5 [dB]이하
  4. 1,300[nm] : 11.5 [dB]이하
(정답률: 79%)
  • 1,310[nm] 파장은 광섬유 케이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장 중 하나이며, 6.5 [dB] 이하의 손실은 이 파장에서의 신호 전달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파장에서의 손실 기준도 중요하지만, 이 기준이 가장 엄격한 것은 이 파장에서의 성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섬유는 입사단에 고출력의 광 펄스를 입사시키며 입사된 광 펄스의 일부가 산란되어 입사단 쪽으로 되돌아오는데 이 빛을 이용하여 광섬유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굴절률 n=1.48, t=1 [μsec]라고 할 때 광섬유의 길이는 약 얼마인가?

  1. 57.6[m]
  2. 101.4[m]
  3. 153.5[m]
  4. 202.7[m]
(정답률: 60%)
  • ct/2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느 전송 선로의 입력측 전압이 9[V], 출력측 전압이 0.09[V]였다면 선로의 감쇄량은?

  1. 0.01[dB]
  2. 1[dB]
  3. 20[dB]
  4. 40[dB]
(정답률: 51%)
  • 감쇄량은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에 2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감쇄량은 20log(9/0.09) ≈ 40[dB] 이다. 9[V]의 입력 전압이 0.09[V]의 출력 전압보다 100배 크므로, 로그 값이 2이고, 20을 곱하면 40[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용역업자가 해당 공사 전반에 관한 감리업무를 총괄하는 자를 배치하는 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1. 총공사금액 10억원 미만의 공사 : 초급감리원 이상의 감리원
  2. 총공사금액 30억원 이상 70억원 미만인 공사 : 고급감리원 이상의 감리원
  3. 총공사금액 7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인 공사 : 특급감리원
  4. 총공사금액 100억원 이상 공사 : 특급감리원(기술사자격을 가진 자로 한정한다.)
(정답률: 84%)
  • "총공사금액 10억원 미만의 공사 : 초급감리원 이상의 감리원"이 잘못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총공사금액이 작을수록 감리업무의 난이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초급감리원 이상의 감리원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시공능력 평가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공사실적액은 당해 공사업자의 수급금액에서 하수급금액은 제외한다.
  2. 실질자본금은 해당 공사업자의 최근 결산일 현재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금액을 말한다.
  3. 전년도 공사업계의 기술자 1명당 평균생산액은 공사업계의 국내 총기성액을 공사업계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총수로 나눈 금액으로 한다.
  4. 보유기술인력은 해당 공사업체를 평가하는 해의 전년도 말일을 기준으로 소속되어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중 180일 이상 근무한 자에 한한다.
(정답률: 73%)
  • 공사실적액(발주자가 공급하는 자재비를 제외함)은 당해 공사업자의 수급 금액에서 하수급금액은 포함하고 하도급금액은 제외함 공사업을 영위한 기간이 평가하는 해의 전년도 말일을 기준으로 3년 이상인 경우에는 최근 3년간의 공사실적을 합산하여 3으로 나눈금액 을 연평균공사실적액으로 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접지설비구내통신설비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등에 대한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중간단자항 또는 세대단자함'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꼬임케이블의 절연 저항은 10[MΩ] 이상
  2. 꼬임케이블의 접속 저항은 0.01[Ω] 이하
  3. 광섬유케이블의 단자 또는 접속 어댑터의 삽입손실은 0.5[dB] 이하
  4. 절연저항 측정조건은 상온 및 상습상태에서 보호지지물과 접속자간 및 접속자 상호간
(정답률: 75%)
  • 꼬임케이블의 절연 저항은 50[MΩ] 이상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홈네트워크 설비 중 폐쇄회로텔레비전장비의 설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폐쇄회로텔레비전장비의 카메라는 주차장, 주동출입구, 어린이놀이터,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2. 폐쇄회로텔레비전장비를 설치하는 때에는, 설치되는 대상시설의 주요부분 등이 조망될 수 있게 설치하여야 한다.
  3. 폐쇄회로텔레비전의 영상은 보안용으로만 사용하고 거주자에게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렌즈를 포함한 폐쇄회로텔레비전장비는 결로되거나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90%)
  • "폐쇄회로텔레비전의 영상은 보안용으로만 사용하고 거주자에게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폐쇄회로텔레비전은 거주자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거주자에게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영상을 무단으로 공개하거나 외부에 유출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공동주택에서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치하는 경우에 갖추어야 할 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홈네트워크망 : 단지망 및 세대망
  2. 단독출입 시스템 : 댁내 출입시스템 및 원격검침시스템
  3. 원격제어기기 : 가스밸브 및 조명/난방 제어기
  4. 감지기 : 가스 및 개폐 감지기
(정답률: 78%)
  • 공동주택에서 지능형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는 경우에 갖추어야 할 설비 중에서 "단독출입 시스템 : 댁내 출입시스템 및 원격검침시스템"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홈네트워크와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개별 가구의 출입 및 원격검침을 위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홈네트워크 설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방재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온 및 항습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보안을 위하여 독립된 출입문을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전파유입이 없도록 차폐체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바닥은 이중바닥방식으로 시설한다.
  4. 단지 내 방범, 방재, 안전 등을 위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다.
(정답률: 8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타인에게 등록증이나 등록수첩을 빌려 준 자 또는 타인의 등록증이나 등록수첩을 빌려서 사용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86%)
  • 등록증이나 등록수첩은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무단으로 빌려서 사용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빌려 준 자나 빌려서 사용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옥내통신선의 이격거리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값은?

  1. ⓐ : 6 ⓑ : 15
  2. ⓐ : 15 ⓑ : 6
  3. ⓐ : 30 ⓑ : 60
  4. ⓐ : 60 ⓑ : 30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설계도서의 보관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는 그가 작성 또는 제공한 실시설계도서를 해당 공사가 준공될 때까지 보관
  2. 공사의 목적물의 소유자는 공사에 대한 실시준공설계도서를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
  3. 소유자가 보관하기 어려운 사유가 있을 때는 관리주체가 보관
  4. 공사를 감리한 용역업자는 그가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규격에 정의된 합격품질기준(AQL) 표에 따라 샘플의 개수 및 검사 방법을 결정하는 샘플링 방법은?

  1. 상대적 샘플링 검사
  2. 수치적 샘플링 검사
  3. 층별 샘플링 검사
  4.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
(정답률: 77%)
  •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는 규격에 정의된 합격품질기준(AQL) 표에 따라 샘플의 개수 및 검사 방법을 결정하는 샘플링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검사할 제품의 수량에 따라 샘플의 개수를 조정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다른 샘플링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검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모집단이 서브 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일부 로트를 랜덤 샘플링 한 후 샘플링된 로트에서 다시 최종 샘플을 몇 개씩 샘플링하는 방법은?

  1. 2단계샘플링
  2. 계통샘플링
  3. 지그재그샘플링
  4. 층별샘플링
(정답률: 74%)
  • 일부 로트를 랜덤 샘플링하여 구성된 서브 로트에서 다시 최종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은 "2단계샘플링" 입니다. 이는 샘플링 과정이 두 단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모집단에서 일부 로트를 랜덤 샘플링하여 서브 로트를 구성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이 서브 로트에서 다시 최종 샘플을 추출합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크기가 크거나 샘플링 비용이 높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계량형 관리도에 속하는 것은?

  1. U 관리도
  2. P 관리도
  3. X 관리도
  4. C 관리도
(정답률: 71%)
  • X 관리도는 변수 데이터의 평균과 범위를 이용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계량형 관리도입니다. 다른 세 가지 관리도는 이산형 데이터를 다루는 비율, 개수, 불량률 등을 이용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X 관리도만이 계량형 관리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특수용도의 통신단말기를 대량으로 제조하고자 한다. 해당 제품은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고, 원활한 원자재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컨베이어라인을 구성한 계획이다. 이것은 어떠한 설비배치 형태인가?

  1. 셀형 배치
  2. 고정위치 배치
  3. 공정별 배치
  4. 제품별 배치
(정답률: 74%)
  • 해당 제품은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품별로 생산이 가능하며, 원활한 원자재 공급이 가능하다는 조건이 주어졌기 때문에 제품별 배치가 적합하다. 제품별 배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생산설비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특정 제품을 생산할 때 필요한 모든 설비를 한 곳에 모아 배치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따라서 컨베이어라인을 구성한 계획은 제품별 배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공정의 개선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ECRS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배제의 원칙
  2. 결합/분리의 원칙
  3. 회귀의 원칙
  4. 단순화의 원칙
(정답률: 72%)
  • ECRS: 제거(Eliminate), 결합(Combine), 교환(Rearrange), 단순화(Simplify)

    ECRS의 원칙 중 "회귀의 원칙"은 공정의 개선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원칙이 아닙니다. 회귀의 원칙은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어떤 변수와 다른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회귀선이 그려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공정의 개선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