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건축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주택의 평면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능 및 관계가 상호간 연관이 있는 실 및 공간은 인접시키는 것이 좋다.
  2. 대규모 주택의 경우 거실, 식당, 주방 등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3. 거실은 일조 및 채광의 충분한 확보를 위해 가능한 동측이나 남측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식당은 어떤 공간의 위치보다 조용하고 프라이버시 유지가 가능한 곳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4%)
  • "식당은 어떤 공간의 위치보다 조용하고 프라이버시 유지가 가능한 곳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식당은 주로 식사를 취하는 공간으로, 조용하고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식사를 취하는 동안 편안하게 대화를 나누고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용어 중 극장 건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캐럴(carrel)
  2. 그린 룸(green room)
  3. 그리드아이언(gridiron)
  4. 사이틀로라마(cyclorama)
(정답률: 89%)
  • 캐럴(carrel)은 도서관이나 연구실 등에서 개인적인 공간으로 사용되는 작은 부스나 칸막이를 말하며, 극장 건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캐럴(carrel)이 극장 건축과 가장 거리가 먼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쇼핑센터 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몰(Mall)에는 확실한 방향성과 식별성이 요구된다.
  2. 전문점들과 중심상점의 주출입구는 몰에 면하지 않도록 한다.
  3. 페데스트리언 지대(Pedestrian Area)의 구성을 통해 구매 의욕을 도모하고 휴식공간을 마련한다.
  4. 전문점의 레이 아웃(Lay-out)과 전체적인 구성은 쇼핑센터의 특성 및 몰(Mall) 구성의 특색에 따라 결정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6%)
  • 전문점들과 중심상점의 주출입구는 몰에 면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고객들이 몰 안으로 더욱 쉽게 유입되어 구매 의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일반적인 쇼핑센터 계획 원칙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거단지의 보행자 동선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행자 전용도로의 폭은 충분히 넓게 확보하도록 계획 하는 것이 좋다.
  2. 필로티, 스트리트 퍼니처, 도로의 텍스츄어 등의 배려를 하는 것이 좋다.
  3. 목적동선이 그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쾌적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장 중요한다.
  4. 생활편의시설 및 놀이터나 공원 등의 커뮤니티 시설은 보행자 도로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5%)
  • "목적동선이 그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쾌적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장 중요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보행자의 이동 거리와 시간을 더 많이 소요시키며, 보행자들의 편의와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보행자 동선 계획에서는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은행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원과 고객의 출입구는 보안 관계상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다.
  2. 고객의 대기공간(객장)과 영업공간의 면적비율은 2:8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 은행 내부의 동선계획시 고객의 목적과 관계없이 하나의 동선으로 고객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대규모의 은행일 경우에도 고객의 출입구는 되도록 1개소로 하고 안여닫이로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정답률: 71%)
  • 은행은 보안이 중요한 공간이므로 직원과 고객의 출입구는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다. 대기공간과 영업공간의 면적비율은 2:8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은행 내부의 동선계획시에는 고객의 목적과 관계없이 하나의 동선으로 고객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규모의 은행일 경우에도 고객의 출입구는 되도록 1개소로 하고 안여닫이로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는 보안과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학교 교사의 배치계획 중 폐쇄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재 및 비상시에 불리하다.
  2. 일조ㆍ통풍 등 환경조건이 불균등하다.
  3. 일종의 핑거 플랜으로 구조계획이 간단하다.
  4. 교사 주변에 활용되지 않은 부분이 많은 결점이 있다.
(정답률: 79%)
  • "일종의 핑거 플랜으로 구조계획이 간단하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폐쇄형은 구조계획이 간단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하여 정확한 배치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폐쇄형은 학생들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및 비상시에 대처하기 어렵고, 일조ㆍ통풍 등 환경조건이 불균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사 주변에 활용되지 않은 부분이 많은 결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병원의 수술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 부분의 통과교통이 없는 장소에 배치한다.
  2. 인공조명은 음영이 생기지 않는 조명으로 한다.
  3. 자연채광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남측에 큰 창을 설계하는 것이 좋다.
  4. 공기조화는 다른 병실과는 별도 계통으로 하여 수술실만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90%)
  • "자연채광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남측에 큰 창을 설계하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자연채광은 인공조명보다 더욱 자연스럽고 환경 친화적이며, 수술 중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시야 확보와 집중력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건축양식과 해당 건축양식의 특징적 요소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로마네스크 건축 - 펜덴티브 돔(pendentive dome)
  2. 고딕 건축 -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
  3. 고대 로마건축 - 컴포지트 오더(composite order)
  4. 비잔틴 건축 - 도저렛(dosseret)
(정답률: 48%)
  • 로마네스크 건축은 펜덴티브 돔을 특징적 요소로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펜덴티브 돔은 비잔틴 건축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건축물의 네 모퉁이에 걸쳐 있는 아치 형태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원형 천장 위에 정육면체 형태의 돔을 올리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마네스크 건축 - 펜덴티브 돔(pendentive dom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백화점 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평동선 계획시 백화점 내에 진입한 고객들을 매장 내부 구석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2. 백화점의 속성상 각 상점이 외부의 채광으로부터 영향이 크므로 일조권 확보 계획을 우선시 한다.
  3. 2면 도로의 경우 Main 도로측에 보행자 출입구, Sub 도로측에는 차량 및 종업원 출입구를 계획한다.
  4. 통로계획시 고객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단조롭거나 상대적으로 혼잡하지 않은 세밀한 계획이 필요하다.
(정답률: 88%)
  • 백화점의 속성상 각 상점이 외부의 채광으로부터 영향이 크므로 일조권 확보 계획을 우선시 한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백화점 계획에서 일조권 확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에서도 백화점 내부 구조, 출입구 계획, 통로 계획 등 다양한 요소들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메조넷형(Maisonette Type) 아파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로가 없는 층의 평면은 프라이버시 확보에 유리하다.
  2. 소규모 주택에 적용할 경우 다양한 평면구성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3. 통로가 없는 층의 평면은 화재 발생시 대피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4. 엘리베이터 정지층 및 통로 면적의 감소로 전용면적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정답률: 85%)
  • "소규모 주택에 적용할 경우 다양한 평면구성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메조넷형 아파트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주택에 적용되며, 소규모 주택에 적용할 경우에는 구성이 제한적이며 경제적인 면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를 설치하는 경우, 접근로의 유효폭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0.6m
  2. 0.9m
  3. 1.2m
  4. 1.5m
(정답률: 67%)
  •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의 유효폭은 최소 1.2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는 장애인이 휠체어나 보조기구를 사용할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국내 법령인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서도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준수하기 위해서는 최소 1.2m의 유효폭을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시티 호텔(city hotel)계획에서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연회장
  2. 레스토랑
  3. 발코니
  4. 주차장
(정답률: 81%)
  • 시티 호텔은 도심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발코니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도심 지역에서는 주변 경관이나 자연환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코니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발코니는 시티 호텔 계획에서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르 꼬르뷔제가 제시한 근대건축의 5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1. 필로티
  2. 유니버셜 스페이스
  3. 노출 콘크리트
  4. 유기적 건축
(정답률: 74%)
  • 필로티는 르 꼬르뷔제가 제시한 근대건축의 5원칙 중에서 "스페이스"와 "구조"를 결합한 것에 해당합니다. 필로티는 건물의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이나 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지지대를 건축물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떠서 건축물의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건축물 외부에서도 건축물의 구조와 공간적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미술관의 각종 평면형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①의 경우는 소규모의 전시실에 이용이 불가능하며 대규모의 전시실에 적합하다.
  2. ②의 경우는 필요시 자유로이 각 실을 독립적으로 폐쇄 할 수 있다.
  3. ③의 경우는 전시실의 융통성 있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
  4. ②, ③의 경우는 각 실에 직접 들어갈 수 있는 점이 유리하다.
(정답률: 84%)
  • ①의 경우는 소규모의 전시실에 이용이 불가능하며 대규모의 전시실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사실 ①은 소규모의 전시실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전시 공간의 크기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형식이다. 따라서, "①의 경우는 소규모의 전시실에 이용이 불가능하며 대규모의 전시실에 적합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연장 객석 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객석과 객석의 전후간격은 60~80cm가 가장 이상적이다.
  2. 관객이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적당한 수평시각의 허용한도는 90°이다.
  3. 객석의 가시거리의 한계에서 배우의 일반적인 동작만이 보이는 2차 허용거리는 22m 이다.
  4. 관객의 눈과 무대 위의 점을 연결하는 가시선을 가리지 않도록 객석의 단면결정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객석과 객석의 전후간격, 관객이 객석에서 무대를 볼 때 적당한 수평시각의 허용한도, 객석의 가시거리의 한계에서 배우의 일반적인 동작만이 보이는 2차 허용거리는 모두 공연장 객석 계획에 대한 설명이지만, 관객의 눈과 무대 위의 점을 연결하는 가시선을 가리지 않도록 객석의 단면결정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관객이 공연을 보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지구라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된 형태 요소는 점이다.
  2. 이집트 건축보다 수직축을 더 강조하였다.
  3. 평면은 정사각형에 기초한 중앙집중식 배치로 되어 있다.
  4. 이집트 신전과 유사한 직선 축 진입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44%)
  • 지구라트는 이집트 신전과 달리 직선 축 진입방식을 채택하지 않았다. 대신, 중앙에 위치한 탑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평면 배치를 채택하였다. 따라서 "이집트 신전과 유사한 직선 축 진입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도서관의 서고면적 1m2당 능률적인 작업용량으로 서의 수용 권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00권
  2. 200권
  3. 300권
  4. 400권
(정답률: 87%)
  • 도서관의 서고면적 1m2당 능률적인 작업용량은 도서관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00권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책장의 높이, 깊이, 폭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치를 따르면서도, 다양한 도서관의 상황을 고려하여 200권을 선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페리의 근린주구 이론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부 가로망은 단지 내의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하고 통과교통에 사용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2. 상업지구는 교통의 결절점에는 설치하지 않으며 주거지 외곽의 교통이 편리한 간선도로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3. 근린주구의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용이하게 우회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되어야 한다.
  4. 근린주구는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를 가져야 하고, 그 물리적 크기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65%)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근린주구는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를 가져야 하고, 그 물리적 크기는 인구밀도에 의해 결정된다"이다. 이는 근린주구의 크기와 인구밀도에 대한 내용이며, 페리의 근린주구 이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페리의 근린주구 이론은 도시계획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도시 내의 근린생활을 위한 지역을 구획화하여 각 지역의 기능과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근린주구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용이하게 우회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화되어야 하며, 상업지구는 교통의 결절점에는 설치하지 않고 주거지 외곽의 교통이 편리한 간선도로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무소 건축의 코어(core)형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외코어형은 사무실 공간과 간섭이 적다.
  2. 편심코어형은 일반적으로 소규모 사무소 건물에 많이 쓰인다.
  3. 중앙코어형은 기준층 바닥면적이 대규모인 경우에 적합하다.
  4. 양단코어형은 대여사무소에 주로 사용되며 방재 및 피난상 불리하다.
(정답률: 82%)
  • 양단코어형은 대여사무소에 주로 사용되며 방재 및 피난상 불리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양단코어형은 건물 양쪽에 코어를 두어 출입구와 엘리베이터를 배치하는 형태로, 출입구와 엘리베이터가 두 개 있어 피난상황에서 이용이 용이하며, 대여사무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사무소 건물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외과는 1실에서 여러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로 한다.
  2. 내과는 진료검사에 시간이 걸리므로 소진료실을 다수 설치한다.
  3. 정형외과는 보행이 편리한 곳에 두고 미끄러질 염려가 있는 바닥마무리와 경사로를 피한다.
  4. 안과는 진료실, 기공실, 검사실, 암실을 설치하며, 검안을 위해 3m 정도 거리를 확보한다.
(정답률: 67%)
  • "외과는 1실에서 여러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외과는 각 환자마다 개별적인 진료실을 사용하며, 대기실에서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진료실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는 감염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벽두께 1.0B, 벽면적 30m2 쌓기에 소요되는 벽돌의 정미량은? (단, 벽돌은 표준형을 사용한다.)

  1. 3,900 매
  2. 4,095 매
  3. 4,470 매
  4. 4,604 매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바닥판 거푸집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들로 짝지어진 것은?

  1. ①-②-③
  2. ①-③-④
  3. ①-②-④
  4. ②-③-④
(정답률: 73%)
  • 바닥판 거푸집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들은 다음과 같다.

    ① 영구하중: 건물의 무게나 고정된 물체의 무게 등 영구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② 가변하중: 사람이나 기계 등이 작용하는 일시적인 하중
    ③ 바람하중: 바람이 건물에 가하는 하중
    ④ 지진하중: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

    따라서, 바닥판 거푸집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들로는 ①-②-④이 짝지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폴리머함침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계의 재료를 건조시켜 미세한 공극에 수용성폴리머를 함침ㆍ중합시켜 일체화한 것이다.
  2. 내화성이 뛰어나며 현장시공이 용이하다.
  3. 내구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4. 고속도로 포장이나 댐의 보수공사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71%)
  • 폴리머함침콘크리트는 내화성이 뛰어나며 현장시공이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폴리머함침콘크리트는 시멘트계의 재료를 건조시켜 미세한 공극에 수용성폴리머를 함침ㆍ중합시켜 일체화한 것으로, 폴리머의 함침 및 중합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장시공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배수공법 중 중력배수공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웰포인트 공법
  2. 진공압밀 공법
  3. 전기삼투 공법
  4. 집수정 공법
(정답률: 73%)
  • 집수정 공법은 중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물질을 중력을 이용하여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중력배수공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Net-Work 공정표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Activity
  2. Operation
  3. Arbitration
  4. Duration
(정답률: 66%)
  • Arbitration은 Net-Work 공정표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법적 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스입니다. Net-Work 공정표는 프로젝트 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고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발주 시 호칭규격인 25 - 24 - 150 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물ㆍ시멘트비(W/C)
  2. 슬럼프(Slump)
  3. 호칭강도
  4.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정답률: 76%)
  • 25 - 24 - 150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호칭규격으로, 25는 호칭강도, 24는 슬럼프, 150은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알 수 없는 것은 물ㆍ시멘트비(W/C)입니다. 물ㆍ시멘트비(W/C)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철근 이음의 종류 중 원형강관 내에 이형철근을 삽입하고 이 강관을 상온에서 압착가공함으로써 이형철근의 마디와 밀착하게 하는 이음방법은?

  1. 용접이음
  2. 슬리브 충전이음
  3. 슬리브 압착이음
  4. 가스압접이음
(정답률: 57%)
  • 슬리브 압착이음은 원형강관 내에 이형철근을 삽입한 후, 이형철근과 원형강관 사이에 슬리브를 삽입하고 상온에서 압착가공하여 이형철근과 슬리브가 밀착되도록 하는 이음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이음과 달리 열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슬리브 충전이음보다 강도가 높은 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콘크리트 헤드(Concrete head)에 대해 옳게 설명한 것은?

  1. 콘크리트 타설 윗면에서부터 최하부면까지의 거리
  2. 콘크리트 타설 윗면에서부터 최대측압이 생기는 지점까지의 거리
  3. 콘크리트 타설 윗면에서부터 최소측압이 생기는 지점까지의 거리
  4. 콘크리트 타설 윗면에서부터 평균측압이 생기는 지점까지의 거리
(정답률: 75%)
  • 콘크리트 헤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최대 압력이 생기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윗면에서부터 최대측압이 생기는 지점까지의 거리"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어스앵커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팀대가 없어 굴착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2. 인접한 구조물의 기초나 매설물이 있는 경우 효과가 크다.
  3. 대형기계의 반입이 용이하다.
  4. 시공 후 검사가 어렵다.
(정답률: 75%)
  • "시공 후 검사가 어렵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어스앵커 공법은 지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으로, 지반에 철근을 묻어 고정시키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지반과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버팀대가 없어 굴착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대형기계의 반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인접한 구조물의 기초나 매설물이 있는 경우 효과가 크다는 것은, 지반의 안정성을 높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공 후 검사가 어렵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어스앵커 공법으로 고정시킨 철근은 시공 후에도 검사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보강 작업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목조 지붕틀 구조에 있어서 중도리와 ㅅ자보를 연결하는데 가장 적합한 철물은?

  1. 띠쇠
  2. 감잡이쇠
  3. 주걱볼트
  4. 엇꺾쇠
(정답률: 69%)
  • 중도리와 ㅅ자보를 연결하는 부분은 구조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강한 연결력과 안정성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엇꺾쇠가 가장 적합한 철물입니다. 엇꺾쇠는 강한 연결력과 안정성을 보장하며, 목조 구조물에서 많이 사용되는 철물 중 하나입니다. 띠쇠나 감잡이쇠는 연결력이 약하고 주걱볼트는 구조적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페로실리콘 합금이나 실리콘 급속 등을 제조 시 발생하는 폐가스를 집진하여 만든 것으로 수화열 저감, 건조수축 저감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며 매우 낮은 투수성을 가진 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 때 사용되는 것은?

  1. 포졸란(pozzolan)
  2. 플라이 애쉬(fly ash)
  3. 실리카 흄(silica fume)
  4. 고로 슬래그
(정답률: 59%)
  • 실리카 흄은 폐가스를 집진하여 만든 것으로, 매우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우고 강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수화열 저감과 건조수축 저감 효과도 있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정관리의 공정계획에는 수순계획과 일정계획이 있다. 다음 중 일정계획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간계획
  2. 공사기일 조정
  3. 프로젝트를 단위작업으로 분해
  4. 공정도 작성
(정답률: 69%)
  • 정답: 공사기일 조정

    프로젝트를 단위작업으로 분해하는 이유는 큰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각의 작업을 보다 쉽게 관리하고 추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일정을 계획하며, 작업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조기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위작업으로 분해된 작업들은 각각의 책임자가 있으므로 업무 분담이 명확해지고 협업이 원활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용접 결함의 종류는?

  1. 피트
  2. 언더컷
  3. 오버랩
  4. 슬래그 함입
(정답률: 68%)
  • 이 그림에서 발생하는 용접 결함은 피트입니다. 피트는 용접 부위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 부위의 두께가 다르면 용접 부위에서 열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용접 부위의 중앙 부분이 더 얇아서 피트가 발생한 것입니다. 언더컷은 용접 부위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결함, 오버랩은 용접 부위에서 두께가 겹쳐져서 발생하는 결함, 슬래그 함입은 용접 부위에서 슬래그(용접시 생성되는 불순물)가 함입되어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치장 콘크리트의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합수로 사용하는 지하수질도 착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콘크리트를 한꺼번에 높이 타설하는 경우 기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3. 콘크리트는 묽은 비빔으로 사용하므로 진동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4. 창문, 벽체줄눈, 폼 타이 구멍 등의 위치가 맞지 않은 경우 재시공 및 보수가 어려운 편이다.
(정답률: 81%)
  • "콘크리트는 묽은 비빔으로 사용하므로 진동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콘크리트는 묽은 비빔으로 사용되지만, 진동기를 사용하여 공기 포집을 방지하고 밀도를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진동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포나 공기 포집으로 인해 강도가 낮아지고 균일하지 않은 표면이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클라이밍 폼의 특징에 대하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소 작업시 안전성이 높다.
  2. 거푸집 해체시 콘크리트에 미치는 충격이 적다.
  3. 초기투자비가 적은 편이다.
  4. 비계설치가 불필요하다.
(정답률: 79%)
  • 클라이밍 폼은 안전성이 높고 비계설치가 불필요하며 거푸집 해체시 콘크리트에 미치는 충격이 적은 특징이 있지만, 초기투자비가 적은 편은 아니다. 클라이밍 폼은 전문적인 장비와 기술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초기투자비가 상당히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석고 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고 플라스터는 경화지연제를 넣어서 경화시간을 너무 빠르지 않게 한다.
  2. 경화, 건조시 치수 안정성과 내화성이 뛰어나다.
  3. 석고 플라스터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표면부터 서서히 경화한다.
  4. 시공 중에는 될 수 있는 한 통풍을 피하고 경화 후에는 적당한 통풍을 시켜야 한다.
(정답률: 66%)
  • "석고 플라스터는 경화지연제를 넣어서 경화시간을 너무 빠르지 않게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석고 플라스터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표면부터 서서히 경화합니다. 이는 석고 분자 내부의 수분과 탄산가스가 반응하여 석회석으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경화지연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선택적인 방법이며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적산온도와 관계 깊은 콘크리트는?

  1. 고내구성콘크리트
  2. 노출콘크리트
  3. 경량콘크리트
  4. 한중콘크리트
(정답률: 82%)
  • 한중콘크리트는 적산온도와 관계 깊은 콘크리트입니다. 이는 한중콘크리트가 적산온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중콘크리트는 고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탄성 계수를 구할 때 변형 측정에 이용하는 것으로 가장 정밀도가 높은 것은?

  1. 다이얼 게이지
  2. 콤퍼레이터
  3. 마이크로미터
  4. 와이어 스트레인 게이지
(정답률: 71%)
  • 탄성 계수를 구할 때는 변형 측정이 필요하며, 이때 가장 정밀도가 높은 것은 "와이어 스트레인 게이지"입니다. 와이어 스트레인 게이지는 금속선이나 섬유를 이용하여 변형을 측정하는데, 이는 매우 민감하게 변형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성 계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타일 시공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타일 나누기는 먼저 기준선을 정확히 정하고 될 수 있는 대로 온장을 사용하도록 한다.
  2. 타일을 붙이기 전에 바탕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청소를 하여야 한다.
  3. 타일붙임 바탕의 건조상태에 따라 뿜칠 또는 솔질로 물을 고루 축인다.
  4. 외부 대형벽돌형타일 시공시 줄눈의 표준나비는 5mm 정도가 적당하다.
(정답률: 77%)
  • 외부 대형벽돌형타일 시공시 줄눈의 표준나비는 5mm 정도가 적당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외부 대형벽돌형타일 시공시 줄눈의 표준나비는 10mm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타일의 크기와 형태, 시공환경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건설공사의 품질관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ISO 9000
  2. CIC
  3. TQC
  4. Control Chart
(정답률: 69%)
  • CIC는 건설공사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기관이 아니며, 건설공사의 품질관리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ISO 9000은 품질관리 시스템의 국제 표준이며, TQC는 총질관리론으로 제조업에서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론입니다. Control Chart는 품질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변동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강재의 응력-변형도곡선에서 변형도 경화영역(stain-hardening range)에 해당하는 기호를 고르면?

  1. A
  2. B
  3. C
  4. D
(정답률: 67%)
  • 정답은 "C"입니다.

    응력-변형도곡선에서 변형도 경화영역은 고유응력(hardening stress)이 증가하면서 변형도(strain)가 거의 증가하지 않는 구간을 말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강재가 더 이상 가공이나 성형이 어렵고, 강도와 인성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강재의 응력-변형도곡선에서 변형도 경화영역에 해당하는 기호는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부정정 라멘의 B.M.D에서 P값을 구하면?

  1. 20kN
  2. 30kN
  3. 50kN
  4. 60kN
(정답률: 69%)
  • B.M.D에서 P값은 해당 지점에서의 하중이다. 그림에서는 P값이 30kN이므로 정답은 "30kN"이다. 이는 그림에서 해당 지점에서의 하중이 30kN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 작용되는 4개의 힘이 평형을 이룰때 F의 크기 및 거리 x는?

  1. F=25kN, x=1m
  2. F=50kN, x=1m
  3. F=25kN, x=0.5m
  4. F=50kN, x=0.5m
(정답률: 74%)
  • 이 구조물이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모든 힘이 서로 상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F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다른 세 힘의 크기와 방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A와 B의 힘은 모두 y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이 두 힘은 서로 상쇄됩니다. 따라서, 이 두 힘의 크기의 합은 Fy = 0이 됩니다.

    다음으로, C와 D의 힘은 모두 x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이 두 힘은 서로 상쇄됩니다. 따라서, 이 두 힘의 크기의 합은 Fx = 0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F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모든 힘의 크기와 방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A와 B의 힘은 이미 상쇄되었으므로, F는 C와 D의 힘과 상쇄되어야 합니다. C와 D의 힘의 크기는 각각 25kN이므로, F의 크기도 25kN이어야 합니다. 또한, C와 D의 힘이 구조물의 중심으로부터 0.5m 떨어져 있으므로, F도 구조물의 중심으로부터 0.5m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F=25kN, x=0.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크리프에도 영향을 미친다.
  2. 일반적으로 크리프 변형은 초기에는 작게 일어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속도가 점점 증가한다.
  3. 크리프 변형량은 하중이 작용하는 시점의 콘크리트 감도와 재령에 좌우된다.
  4. 콘크리트에 하중을 제거하면 즉시 탄성회복이 먼저 일어난 후 일부 크리프 회복이 일어난다.
(정답률: 56%)
  • 일반적으로 크리프 변형은 초기에는 작게 일어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속도가 점점 증가한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마이크로크랙이 점차 발생하면서 크리프 변형이 누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리프 변형량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에서 부정정보의 부재력 MAB의 크기는?

  1. 2 kNㆍm
  2. 3 kNㆍm
  3. 4 kNㆍm
  4. 5 kNㆍm
(정답률: 43%)
  • 부재력 MAB의 크기는 2 kNㆍm이다.

    이유는 부재력 MAB는 A와 B 사이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반력으로, A와 B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외력의 합력이 3 kNㆍm이고, 이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부재력이 1 kNㆍm이므로, 부재력 MAB의 크기는 2 kNㆍ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정정 라멘에서 A점에 발생하는 수직변위를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47%)
  • A점에서의 수직변위는 탄성파가 발생할 때 파동의 진폭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지점이기 때문에,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최대치가 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점에서의 수직변위가 최대치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길이 l= 3.0m, 단면 2차 반경 i= 3.0cm 세장비 λ=100 인 압축력을 받는 장주가 있다. 양단부의 지지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양단 고정
  2. 일단 고정, 타단 힌지
  3. 양단 힌지
  4. 일단 고정, 타단 자유
(정답률: 58%)
  • 양단 힌지가 옳은 지지조건이다. 이유는 압축력을 받는 장주는 길이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면, 장주의 길이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없으므로 압축력을 전달할 수 없다. 일단 고정, 타단 힌지나 일단 고정, 타단 자유의 경우에는 장주의 길이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접합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용입된 막댐용접의 유효목두께는 접합판 중 두꺼운 쪽의 판두께로 한다.
  2. 맞댐용접의 유효면적은 용접의 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 것으로 한다.
  3. 모살용접의 유효목두께는 모살사이즈의 0.7배로 한다.
  4. 모살용접의 유효길이는 모살용접의 총길이에서 모살사이즈 s의 2배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
(정답률: 64%)
  • "완전용입된 막댐용접의 유효목두께는 접합판 중 두꺼운 쪽의 판두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완전용입된 막댐용접의 유효목두께는 접합판 중 얇은 쪽의 판두께로 한다는 것이 옳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시 얇은 쪽의 판이 녹아서 두꺼운 쪽의 판과 완전히 용입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골구조의 볼트접합에 관한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볼트는 가공정밀도에 따라 상볼트, 중볼트, 흑볼트로 나뉜다.
  2. 볼트의 중심사이의 간격을 게이지라인이라고 한다.
  3. 게이지라인과 게이지라인과의 거리를 게이지라고 한다.
  4. 피치(pitch)는 일반적으로 3~4d(볼트직경) 이며, 최소피치는 2.5d로 한다.
(정답률: 67%)
  • "볼트의 중심사이의 간격을 게이지라인이라고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게이지라인은 볼트의 직경에 따라 정해지는 볼트의 표준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볼트의 중심사이의 간격이 아닙니다. 게이지라인과 게이지라인 사이의 거리를 게이지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과 같은 슬래브에서 직접설계법에 의한 설계모멘트를 결정하고자 한다. 화살표방향 패널 중 빗금친 부분의 정적모멘트 Mo를 구하면? (단, 등분포 고정하중 WD=7.18kPa, 등분포 활하중 WL=2.39kPa이 작용하고 있으며 기둥의 단면은 300×300mm이다.)

  1. 406.2kNㆍm
  2. 506.2kNㆍm
  3. 706.2kNㆍm
  4. 806.2kNㆍm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직사각형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X축에 대한 단면 2차반경은?

(정답률: 60%)
  • 직사각형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X축에 대한 단면은 직사각형의 가로 길이와 같으므로, 2차반경은 가로 길이의 절반인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철골구조의 소성설계와 없는 것은?

  1. 형상계수(form factor)
  2. 소성힌지(plastic hinge)
  3. 붕괴기구(collapse mechanism)
  4. 전단중심(shear center)
(정답률: 52%)
  • 전단중심은 철골구조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단면이 비대칭일 때 전단력이 작용할 때 단면이 회전하는 중심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성설계와 관련이 있으며, 형상계수는 단면의 형상이 전단력에 대한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계수, 소성힌지는 단면 내부에서 소성이 발생하는 지점, 붕괴기구는 구조물이 붕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전단중심(shear cen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한계상태설계법에 따라 강구조물을 설계할 때 고려되는 강도한계상태가 아닌 것은?

  1. 기둥의 좌굴
  2. 접합부 파괴
  3. 피로 파괴
  4. 바닥재의 진동
(정답률: 73%)
  • 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구조물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한계상태를 고려하여 설계합니다. 따라서 강도한계상태, 기하학적 한계상태, 사용성 한계상태 등을 고려합니다. 하지만 바닥재의 진동은 구조물의 안전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바닥재의 진동은 한계상태설계법에서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 휨모멘트가 0이 되는 위치의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41%)
  • 이 구조물은 대칭 구조이므로 중심부에서 휨모멘트가 0이 됩니다. 따라서, 중심부와 대칭되는 왼쪽 끝과 오른쪽 끝에서도 휨모멘트가 0이 되므로 총 3개의 위치에서 휨모멘트가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각 구조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쉘(Shell)은 주로 면내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2. 라멘(Rahmen)은 주로 휨모멘트 및 전단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3. 아치(Arch)는 주로 축방향 압축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4. 트러스(Truss)는 주로 휨모멘트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정답률: 56%)
  • 쉘(Shell)은 주로 면내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가 아니라, 주로 곡률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연약지반의 기초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초 상호간을 지중보로 연결한다.
  2. 가능한 한 경질지반에 지지한다.
  3. 흙다지기, 강제배수 등의 방법으로 지반을 우성 개량한다.
  4. 말뚝의 사용을 배제한다.
(정답률: 71%)
  • 말뚝은 연약한 지반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이지만,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가능한 한 배제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말뚝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강재가 전단력을 받아 점선과 같이 변형되었을 때 전단변형도를 구하면?

  1. 0.00006 rad
  2. 0.0001 rad
  3. 0.00125 rad
  4. 0.00075 rad
(정답률: 64%)
  • 전단변형도는 변형각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형각은 변형된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이를 반지름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변형된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이가 1mm이고, 반지름이 100mm이므로 변형각은 0.0001 rad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001 ra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지반증폭계수가 가장 큰 지반은?

  1. 경암지반
  2. 연약한 토사 지반
  3. 단단한 토사 지반
  4. 보통암 지반
(정답률: 51%)
  • 지반증폭계수란 지진 등의 지반진동이 발생했을 때, 지반이 얼마나 진동을 증폭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지반증폭계수가 가장 큰 지반은 지진 등의 지반진동이 가장 크게 증폭되는 지반입니다.

    연약한 토사 지반은 지반이 부드러우며, 지진 등의 지반진동이 발생했을 때 쉽게 증폭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약한 토사 지반이 지반증폭계수가 가장 큰 지반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H형강 단면의 전소성모멘트(Mp)는 얼마인가? (단, Fy=330MPa)

  1. 1025 kNㆍm
  2. 963.6 kNㆍm
  3. 700.8 kNㆍm
  4. 575 kNㆍm
(정답률: 46%)
  • 전소성모멘트(Mp)는 단면의 허용하중(Fy)과 단면의 모멘트관성(I)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Mp = Fy × I

    먼저, 단면의 너비(b)와 높이(h)를 구해보자.

    b = 200 mm - 2 × 15 mm = 170 mm
    h = 300 mm - 2 × 15 mm = 270 mm

    다음으로, 단면의 중립축에서 가장 먼 면의 거리(c)를 구해보자.

    c = h/2 - 15 mm = 240 mm

    단면의 모멘트관성(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bh3)/12 - 2 × [(b-2t)(h-2t)3]/12
    = (170 × 2703)/12 - 2 × [(140 × 2403)/12]
    = 1.08 × 107 mm4

    따라서, 전소성모멘트(Mp)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p = Fy × I
    = 330 × 1.08 × 107
    = 3564000000 Nㆍmm
    = 3564000 kNㆍmm
    = 963.6 kNㆍm

    따라서, 정답은 "963.6 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과 같은 플랫플레이트 슬래브가 450×450mm 정사각형 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테두리보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빗금친 모서리 패널의 경우에 현행 기준에서 요구하는 슬래브의 최소두께로 옳은 것은? (단, fck=21MPa, fy=400MPa)

  1. 195mm
  2. 215mm
  3. 235mm
  4. 255mm
(정답률: 39%)
  • 이 문제는 슬래브의 최소두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hmin = (L/28) + (S/14) + deff

    여기서 L은 슬래브의 길이, S는 슬래브의 너비, deff는 효과적인 슬래브 두께입니다. 효과적인 슬래브 두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deff = h - (Ctop + Cbot + φ/2)

    여기서 h는 슬래브의 총 두께, Ctop은 상부 보강층 두께, Cbot은 하부 보강층 두께, φ는 지지하는 기둥의 지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보강층이 없으므로 Ctop과 Cbot은 0입니다. 또한 지지하는 기둥의 지름은 450mm이므로 φ/2는 225mm입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슬래브 두께는 다음과 같습니다.

    deff = h - (Ctop + Cbot + φ/2) = h - 225

    이제 최소두께 식에 대입하여 풀면 됩니다.

    hmin = (L/28) + (S/14) + deff = (450/28) + (450/14) + (h - 225)

    hmin = 16.07 + 32.14 + h - 225 = h - 176.79

    이제 균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최소두께를 구할 수 있습니다.

    Mmax = Wu * L/2 = 1.4 * 21 * 4502 / 8 = 3303750 Nmm

    hmin = √(fck * b * d2 / (0.138 * Mmax))

    hmin = √(21 * 450 * d2 / (0.138 * 3303750)) = 0.007d

    여기서 d는 효과적인 슬래브 두께인 deff입니다.

    d = deff = h - 225

    0.007(h - 225) = h - 176.79

    h = 235mm

    따라서 정답은 "23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조명기구의 배광에 따른 분류 중 직접조명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향광속과 하향광속이 거의 동일하다.
  2. 천장을 주광원으로 이용하므로 천장의 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3. 매우 넓은 면적이 광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직사 눈부심이 없다.
  4. 작업면에 고조도를 얻을 수 있으나 심한 휘도의 차 및 짙은 그림자가 생긴다.
(정답률: 71%)
  • 직접조명형은 작업면에 고조도를 얻을 수 있지만, 광원이 작고 직접적으로 비추기 때문에 심한 휘도의 차와 짙은 그림자가 생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질과 관련된 용어 중 부유물질로서 오수 중에 현탁되어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은?

  1. BOD
  2. COD
  3. SS
  4. 염소이온
(정답률: 67%)
  • SS는 Suspended Solids의 약자로, 부유물질로서 오수 중에 현탁되어 있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BOD는 Bio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하며, COD는 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합니다. 염소이온은 클로린 처리 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수질과 관련된 용어 중 부유물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2000명을 수용하는 극장에서 실온을 20℃로 유지하기 위한 필요환기량은? (단, 외기온도 10℃, 1인당 발열량(현열) = 60W, 공기의 정압비열 = 1.01kJ/kgㆍ 공기의 밀도 = 1.2kg/m3, 전등 및 기타 부하는 무시한다.)

  1. 11,110 m3/h
  2. 21,222 m3/h
  3. 30,444 m3/h
  4. 35,644 m3/h
(정답률: 55%)
  • 필요환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환기량 = 인원수 × 1인당 발열량(현열) ÷ (공기의 정압비열 × (실내온도 - 외기온도) × 공기의 밀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필요환기량 = 2000 × 60 ÷ (1.01 × (20 - 10) × 1.2) ≈ 35,644 m3/h

    따라서, 정답은 "35,644 m3/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실내 열환경 평가지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복사온도는 편의상 주벽 각부의 효과를 평균화한 값을 사용한다.
  2. 수정유효온도는 유효온도네 기류의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건구온도 대신 습구온도를 이용한다.
  3. 카타한란계는 기온, 기류, 주벽면온도(복사열)의 조합이 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는 계기이다.
  4. 작용온도는 기온, 기류 및 주벽면온도(복사열)의 3요소의 조합과 체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49%)
  • "수정유효온도는 유효온도네 기류의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건구온도 대신 습구온도를 이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 모두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건구온도는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습구온도는 습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정유효온도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연기감지기를 원칙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린넨 슈트
  2. 길이가 20m인 복도
  3. 엘리베이트 권상기실
  4. 천장 또는 반자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인 장소
(정답률: 54%)
  • 연기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길이가 20m인 복도도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화재 발생 시 위험한 상황이 예상되는 장소이기 때문에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온수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증기난방에 비하여 예열시간이 길다.
  2. 온수의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이다.
  3. 온수의 순환방식에 따라 중력식과 강제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열매의 온도에 따라 저온수난방 방식과 고온수난방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온수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온수의 잠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이다." 이다. 온수난방은 온수의 잠열뿐만 아니라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온수의 잠열뿐만 아니라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것이 온수난방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관이음쇠와 그 사용 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부싱(bushing): 이경관을 연결할 때
  2. 엘보(elbow): 관이 방향을 바꿀 때
  3. 유니온(Union): 관의 끝을 막을 때
  4. 티(Tee): 관을 도중에서 분기할 때
(정답률: 66%)
  • 정답은 "유니온(Union): 관의 끝을 막을 때" 이다. 유니온은 두 개의 파이프를 분리하거나 연결할 때 사용되며, 파이프의 끝을 막는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겨울철 주택의 단열, 보온, 방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의 열전달저항은 근처의 풍속이 클수록 작게 된다.
  2. 단열재가 결로 등에 의해 습기를 함유하면 그 열관류 저항은 크게 된다.
  3. 외벽이 모서리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손실열량이 크고, 그 실내측은 결로되기 쉽다.
  4. 주택의 열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벽체 등의 단열성을 높이는 것만 아니라 틈새바람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정답률: 56%)
  • "단열재가 결로 등에 의해 습기를 함유하면 그 열관류 저항은 크게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단열재가 습기를 함유하면 열전달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열전달이 더 잘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는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최대 얼마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0[Ω]
  2. 20[Ω]
  3. 30[Ω]
  4. 40[Ω]
(정답률: 56%)
  • 제1종 접지공사의 목적은 전기적 안전을 위해 지반과 건물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접지저항값이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접지저항값이 낮을수록 전기적인 안전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최대 10[Ω]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샤워기 5개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배관의 주 배관경은 얼마인가? (단, 샤워기의 접속배관경은 20mm, 동시사용률은 70%임)

  1. 20mm
  2. 25mm
  3. 32mm
  4. 40mm
(정답률: 57%)
  • 샤워기 1개의 동시 사용량은 20mm의 배관으로 충분하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5개의 샤워기가 동시에 사용될 때는, 동시 사용률이 70%이므로 최대 동시 사용량은 3.5개입니다. 따라서, 최소한 4개의 샤워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배관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 배관경이 32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에 알맞은 냉동기는?

  1. 터보식 냉동기
  2. 흡수식 냉동기
  3. 스크류식 냉동기
  4. 왕복동식 냉동기
(정답률: 81%)
  • 이 냉동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고, 그 증발한 냉매를 다시 흡수하여 냉매를 냉각하는 흡수식 냉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카(car)가 최상층이나 최하층에서 정상 운행위치를 벗어나 그 이상으로 운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1. 완충기 (buffer)
  2. 가이드 레일(guide rail)
  3.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4.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정답률: 80%)
  • 카가 최상층이나 최하층에서 정상 운행위치를 벗어나 그 이상으로 운행하면,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카의 운행을 중지시켜야 합니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는 카가 운행 가능한 한계 위치를 설정하고, 카가 이 위치를 벗어나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중 하나로, 카의 운행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0[Ω]의 저항 10개를 직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저항은 병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저항의 몇 배가 되는가?

  1. 5배
  2. 10배
  3. 50배
  4. 100배
(정답률: 72%)
  • 10개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할 경우, 전류는 각 저항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전체 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아진다. 따라서 10[Ω] x 10 = 100[Ω]이 된다.

    반면, 10개의 저항을 병렬로 접속할 경우, 전류는 각 저항을 나눠서 흐르기 때문에 전체 저항은 각 저항의 역수의 합의 역수와 같아진다. 따라서 10[Ω]의 저항이 10개 병렬로 접속될 경우, 합성저항은 1/(1/10 + 1/10 + ... + 1/10) = 1/(1/1) = 1[Ω]이 된다.

    따라서,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의 합성저항은 각각 100[Ω]과 1[Ω]이므로, 직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저항은 병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저항의 100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조명률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실의 크기
  2. 마감재의 반사율
  3. 조명기구의 배광
  4. 글레어(glare)의 크기
(정답률: 63%)
  • 글레어(glare)의 크기는 조명률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조명률은 조명기구의 배광, 마감재의 반사율, 그리고 실의 크기와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 글레어는 눈에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지만, 조명의 밝기나 균일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압력수조방식의 급수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전 시에 급수가 불가능하다.
  2. 급수공급압력이 항상 일정하다.
  3. 시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든다.
  4. 단수 시에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하다.
(정답률: 67%)
  • "급수공급압력이 항상 일정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압력수조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압력수조는 수압이 높은 시간에는 물을 저장하고, 수압이 낮은 시간에는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급수공급압력이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이 방식의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규모 사무실 빌딩에 운행속도가 150[m/min]인 승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자 할 때, 이 엘리베이터의 구동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교류 1단
  2. 교류 2단
  3. 직류 기어드
  4. 직류 기어레스
(정답률: 76%)
  • 대규모 사무실 빌딩에 설치할 엘리베이터는 운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구동 방식 중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직류 기어레스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직류 기어레스 방식은 기어가 없기 때문에 손실이 적고, 전력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구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대규모 사무실 빌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엘리베이터의 구동 방식으로는 직류 기어레스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공기조화방식 중 전공기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일덕트방식
  2. 2중덕트방식
  3. 멀티존 유닛방식
  4. 팬코일 유닛방식
(정답률: 77%)
  • 팬코일 유닛방식은 전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냉난방기와 팬코일을 결합하여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공기 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그린은 여름철 냉방시 실내공기와 외기를 혼합하여 냉수 코일로 냉방하는 공기선도상의 각 점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각 점의 상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① 실내공기, ② 외기, ③ 혼합공기, ④ 취출공기
  2. ① 외기, ② 실내공기, ③ 혼합공기, ④ 취출공기
  3. ① 혼합공기, ② 외기, ③ 실내공기, ④ 취출공기
  4. ① 실내공기, ② 외기, ③ 취출공기 ④ 혼합공기,
(정답률: 61%)
  • ① 실내공기: 냉방기에서 처리된 실내공기가 냉수 코일을 통해 냉각되어 나온 상태이다.
    ② 외기: 실외의 공기가 냉방기로 유입되어 혼합되는 상태이다.
    ③ 혼합공기: 실내공기와 외기가 혼합된 상태이다.
    ④ 취출공기: 냉방기에서 처리된 공기가 건물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실내공기, ② 외기, ③ 혼합공기, ④ 취출공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에 알맞은 통기관의 종류는?

  1. 공용통기관
  2. 결합통기관
  3. 각개통기관
  4. 신정통기관
(정답률: 33%)
  • 이 그림은 여러 개의 분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여러 개의 건물이 하나의 통기관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공용통기관"입니다. "결합통기관"은 두 개 이상의 통기관이 결합된 것을 말하며, "각개통기관"은 각 건물마다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통기관을 말합니다. "신정통기관"은 제시된 보기에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압하의 물 10kg을 10℃에서 6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00 kJ
  2. 1257 kJ
  3. 1676 kJ
  4. 2095 kJ
(정답률: 37%)
  • 이 문제는 오류가 있습니다. 대기압하에서 물 10kg을 10℃에서 6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Q = mcΔT

    여기서,
    m = 10kg (물의 질량)
    c = 4.18 J/g℃ (물의 비열)
    ΔT = 60℃ - 10℃ = 50℃ (온도 변화량)

    따라서, Q = 10kg x 4.18 J/g℃ x 50℃ = 2090 J

    하지만, 보기에서 제시된 답안 중에는 J 대신 kJ 단위로 표기된 것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95 kJ"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법규

81.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거리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직선거리 300m 이내
  2. 도보거리 800m 이내
  3. 직선거리 500m 이내
  4. 도보거리 1000m 이내
(정답률: 71%)
  • 시설물과 부설주차장 사이의 거리는 직선거리로 측정됩니다. 따라서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 경계선까지의 거리도 직선거리로 측정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직선거리 300m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물의 건축허가를 신청할 때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업무시설로서 당해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 건축물
  2. 의료시설로서 그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건축물
  3. 공동주택 중 기숙사로서 그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m2 이상인 건축물
  4.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으로서 당해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69%)
  • 의료시설은 인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이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건축허가를 신청할 때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료시설로서 그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건축물"이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2. 계단실 및 부속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로 할 것
  3.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8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 반대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4. 계단실에는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부분외에는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정답률: 62%)
  •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85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 반대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 기준은 특별피난계단 출입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의 너비는 최소 0.9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피난 반대방향으로 열리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를 설치할 수 있는 곳은?

  1. 종단 구배가 10%를 초과하는 도로
  2. 횡단보도에서 5m 이내의 도로의 부분
  3. 중학교의 출입구로부터 20m 이내의 도로의 부분
  4. 장애인복지시설의 출입구로부터 20m 이내의 도로의 부분
(정답률: 53%)
  • 노외주차장의 출입구는 안전하고 원활한 차량 이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종단 구배가 10%를 초과하는 도로나 횡단보도에서 5m 이내의 도로의 부분은 출입구로 설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중학교의 출입구로부터 20m 이내의 도로의 부분이나 장애인복지시설의 출입구로부터 20m 이내의 도로의 부분은 출입구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원활한 이동과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공공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행정청이 설치한 공동구
  2. 행정청이 설치한 봉안시설
  3. 행정청이 설치하지 아니한 광장
  4. 행정청이 설치하지 아니한 저수지
(정답률: 62%)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공공시설로서 행정청이 설치한 공동구와 봉안시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광장과 저수지는 행정청이 설치하지 않아도 공공시설로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행정청이 설치하지 아니한 저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의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미터
  2. 1.2미터
  3. 1.5미터
  4. 1.8미터
(정답률: 77%)
  • 옥상광장 등의 설치에 관한 기준에서는 인접한 건물과의 최소 거리를 1.2미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옥상광장 등을 설치할 때는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특별시장ㆍ광역시장,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설치하는 노외주차장에는 주차대수 몇 대마다 한 면의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0대
  2. 50대
  3. 100대
  4. 300대
(정답률: 64%)
  • 장애인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노외주차장에는 일정한 주차대수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규정은 「장애인차량등록증 발급 및 운전면허증 교부 등에 관한 규정」 제15조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

    - 주차대수 30대 이하: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설치하지 않아도 됨
    - 주차대수 50대 이상: 한 면당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1개 이상 설치해야 함
    - 주차대수 100대 이상: 한 면당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2개 이상 설치해야 함
    - 주차대수 300대 이상: 한 면당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3개 이상 설치해야 함

    따라서, 주차대수가 50대 이상인 노외주차장에는 한 면당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1개 이상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개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한옥이 아닌 경우)

  1. 기존 건축물의 전부를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2. 기존 건축물의 내력벽, 기둥, 보를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3. 기존 건축물의 내력벽, 기둥을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4. 기존 건축물의 내력벽, 보, 지붕틀을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정답률: 54%)
  • "기존 건축물의 전부를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은 개축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개축은 기존 건축물의 일부를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이지, 전체를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은 재건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공연장의 개별관람석에 다음과 같이 출구를 설치하였다. 관련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단, 개별관람석의 바닥 면적은 900m2이다.)

  1. 출구를 3개소 설치하였다.
  2. 각 출구의 유효너비를 1.9m로 하였다.
  3.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를 5.0m로 하였다.
  4. 출구로 쓰이는 문을 바깥 여닫이로 하였다.
(정답률: 68%)
  • 출구의 유효너비는 인원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의 너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출구의 유효너비는 출구의 개수와 관계없이 인원 대비 충분한 크기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건축법에서는 인원수에 따라 출구의 유효너비를 규정하고 있으며, 공연장의 경우 인원수가 많은 만큼 출구의 유효너비도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를 5.0m로 하였다는 것은 인원 대비 충분한 출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출구의 유효너비를 1.9m로 하였다는 것은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2.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 이상인 것
  3.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 이상인 것
  4.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 이상인 것
(정답률: 53%)
  •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은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흙은 불에 타기 쉬우므로 방화구조물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방화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 이상인 것은 방화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석고판은 불에 타지 않는 재질이고 시멘트모르타르는 불에 타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두께가 2cm 이상이라는 조건이 있는 이유는 방화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대상건축물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례식장의 용도를 쓰는 건축물로서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
  2.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
  3. 운수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제곱미터 이상인 것
(정답률: 53%)
  • 정답: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제곱미터 이상인 것"

    해설: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은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대상건축물 기준에 포함되며,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기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시설보호지구의 지정 목적에 속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항만의 보호
  2. 문화재의 보호
  3. 학교시설의 보호
  4. 항공기의 안전운항
(정답률: 67%)
  • 시설보호지구는 자연재해, 인명·재산의 안전, 환경보전, 문화재의 보호 등을 목적으로 지정된 지역이다. 따라서, 문화재의 보호는 시설보호지구의 지정 목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공개 공지 또는 공개 공간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지역이 아닌 것은? (단, 연면적의 합계가 5천제곱미터인 문화 및 집회시설인 경우)

  1. 일반주거지역
  2. 전용주거지역
  3. 준주거지역
  4. 준공업지역
(정답률: 70%)
  • 전용주거지역은 주거지역으로만 사용되는 지역으로, 상업이나 공업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공개 공지나 공개 공간 설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용주거지역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기본설계도서 중 건축계획서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면적
  2. 주차장 규모
  3. 공개공지 및 조경계획
  4.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
(정답률: 63%)
  • 건축계획서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개공지 및 조경계획"입니다. 이는 건축허가신청 시에는 필요하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건축면적, 주차장 규모,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은 건축계획서에 반드시 표시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의 건축물의 에너지 이용과 폐자재 활용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와 규모의 건축물”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은 1번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연면적 1000제곱미터인 수련시설
  2. 연면적 1000제곱미터인 공동주택
  3. 연면적 500제곱미터인 종교시설
  4. 연면적 500제곱미터인 장례식장
(정답률: 72%)
  •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와 규모의 건축물
    2. 연면적 1000제곱미터인 수련시설
    3. 연면적 1000제곱미터인 공동주택
    4. 연면적 500제곱미터인 종교시설
    5. 연면적 500제곱미터인 장례식장

    정답: 1번

    해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와 규모의 건축물은 어떤 건축물이 해당하는지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나머지 보기들과 달리 구체적인 기준이 없습니다.

    연면적 1000제곱미터인 수련시설은 에너지 이용과 폐자재 활용에 대한 기준에서 대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수련시설이 대체로 크기가 크고 많은 인원이 이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과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전용주거지역 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해 건축물의 각 부분을 정북방향으로의 인접 대지 경계선으로부터 띄어야 할 거리의 기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공동주택이 아닌 경우)(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높이 4m의 부분 : 1m 이상
  2. 높이 6m의 부분 : 2m 이상
  3. 높이 8m의 부분 : 2m 이상
  4. 높이 10m의 부분 : 3m 이상
(정답률: 71%)
  • 4번 "높이 10m의 부분 : 3m 이상"이 옳은 것이다. 이는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해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이 4m의 부분은 1m 이상, 높이 6m의 부분은 2m 이상, 높이 8m의 부분은 2m 이상으로 각각 띄어야 할 거리가 적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3,000m2인 건축물에 원칙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비상용 승강기의 최소 설치 대수는?

  1. 1대
  2. 2대
  3. 3대
  4. 5대
(정답률: 59%)
  • 건축법 시행규칙 제27조에 따르면, 높이 31m 이상인 건축물에는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최대 바닥면적이 3,000m2 이하인 건축물에는 승강기를 1대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건축물에는 최소 2대의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제 2종 일반주거지역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숙박시설
  2. 종교시설
  3. 노유자시설
  4.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정답률: 64%)
  • 제 2종 일반주거지역은 주로 주거지역으로 사용되며, 상업적인 시설이나 시설물은 제한적으로 건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숙박시설은 상업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제 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부설주차장에 설치하여야 하는 최소 주차대수가 가장 많은 시설물은?

  1. 10타석을 갖춘 골프연습장
  2. 정원이 100명인 옥외수영장
  3. 시설면적이 700제곱미터인 위락시설
  4. 시설면적이 1,000제곱미터인 판매시설
(정답률: 61%)
  • 부설주차장은 해당 시설물을 이용하는 차량들의 주차를 위한 공간이므로, 해당 시설물을 이용하는 차량들의 수에 따라 필요한 주차대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의 수가 가장 많은 시설물인 "10타석을 갖춘 골프연습장"이 부설주차장에 설치하여야 하는 최소 주차대수가 가장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공동주택 중 아파트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최소 몇 개층 이상인 주택을 의미하는가? (단, 층수 산정시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은 층수에서 제외)

  1. 4
  2. 5
  3. 7
  4. 11
(정답률: 74%)
  • 아파트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최소 5층 이상이다. 이는 아파트의 건축규제법에서 정한 최소 층수이며, 이유는 아파트 단지 내에 주차장, 시설물 등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층수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