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2)

건축기사
(2011-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주거단지의 교통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린주구 단위 내부로의 자동차 통과 진입을 극소화한다.
  2. 주요 차도와 보도의 입구는 명백히 특징지을 수 있어야 한다.
  3. 단지 내의 통과교통량을 줄이기 위해 고밀도지역은 단지 중심부에 배치시킨다.
  4. 2차 도로체계(Sub-system)는 주도로와 연결되어 쿨드삭(Cul-de-sac)을 이루게 한다.
(정답률: 84%)
  • "단지 내의 통과교통량을 줄이기 위해 고밀도지역은 단지 중심부에 배치시킨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단지 내의 교통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밀도지역이 중심부에 모여있으면 해당 지역으로의 출입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지역은 단지 주변에 분산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건축물 중 주심포식 건축양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강릉 객사문
  2. 부석사 조사당
  3. 봉정사 극락전
  4. 위봉사 보광명전
(정답률: 47%)
  • 위봉사 보광명전은 주심포식 건축양식이 아니라 대중적인 목조 건축양식인 한옥 양식을 따른 건축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부엌의 설비기구 배치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렬형은 소규모 주택에 적합하다.
  2. 병렬형은 작업동선이 가장 긴 형식이다.
  3. ㄱ자형은 식사실과 함께 이용할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4. ㄷ자형은 평면계획상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의 설치가 곤란하다.
(정답률: 81%)
  • "병렬형은 작업동선이 가장 긴 형식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병렬형은 작업공간을 두 개로 나누어 배치하므로 작업동선이 일렬형보다는 길지만, ㄱ자형이나 ㄷ자형보다는 짧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도서관에서 장서가 50만 권일 경우 능률적인 작업용량으로서 가장 적정한 서고의 면적은?

  1. 1,500m2
  2. 2,500m2
  3. 4,000m2
  4. 4,500m2
(정답률: 88%)
  • 도서관에서 적정한 서고 면적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1. 책장의 크기와 간격
    2. 책의 크기와 무게
    3. 통로와 작업 공간의 크기
    4. 책장의 높이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책장의 크기와 간격이다. 책장의 크기와 간격이 적절하지 않으면 책을 보관하고 찾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에서 책장의 간격은 30cm, 높이는 2m 정도로 설정된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50만 권의 책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약 1,500m2의 면적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최소한의 면적으로, 작업 공간과 통로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이다. 따라서 작업 공간과 통로 등을 고려하여 면적을 더해주면, 약 2,500m2의 면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가장 적정한 서고 면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은행의 주출입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겨울철의 방풍을 위해 방풍실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2. 내부 출입문은 도난방지상 안여닫이로 하는 것이 좋다.
  3. 어린이들의 출입이 많은 곳에서는 회전문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4. 이중문을 설치하는 경우, 바깥문은 바깥여닫이 또는 자재문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91%)
  • "어린이들의 출입이 많은 곳에서는 회전문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어린이들의 출입이 많은 곳에서 회전문을 설치하는 이유는 안전을 위해서이다. 회전문은 한 번에 한 사람씩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다른 사람과 충돌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문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문을 열고 닫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 부석사 무량수전
  2. 봉정사 극락전
  3. 법주사 팔상전
  4. 화엄사 보광대전
(정답률: 76%)
  • 봉정사 극락전은 7세기에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목조 건축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후대에 지어졌기 때문에 가장 오래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장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면계획시 관리부분과 생산공정부분을 구분하고 동선이 혼란되지 않게 한다.
  2. 공장건축의 형식에서 집중식(Block Type)은 건축비가 저렴하고, 공간효율도 좋다.
  3.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은 소종다량생산(小種多量生産)이나 표준화가 쉬운 경우에 적합하다.
  4. 공장 작업장의 지붕형식으로 균일한 조도를 얻기 위해 톱날지붕을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74%)
  • 공장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은 소종다량생산(小種多量生産)이나 표준화가 쉬운 경우에 적합하다." 이다.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은 대량생산이나 대규모 생산에 적합하며, 제품 생산 과정에서 생산라인이 직선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품 생산 과정이 복잡하거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병원건축의 형식 중 분관식(Pavilion Ty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층 집약형의 형태이다.
  2. 각 병실의 채광 및 통풍 조건이 우수하다.
  3. 환자의 이동은 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4. 외래부, 부속진료부는 저층부에 병동은 고층부에 배치한다.
(정답률: 84%)
  • 분관식은 각 병동이 독립된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건물은 중앙에 위치한 공용시설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각 병동은 자연적으로 채광과 통풍이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우리나라 전통의 한식주택에서 문꼴 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겨울의 방한을 위해서
  2. 하기의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서
  3. 출입하는 데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4. 동기에 일조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
(정답률: 86%)
  • 한식주택은 전통적으로 바닥난로를 사용하여 고온다습한 환경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문꼴 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는 하기의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극장의 평면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시니엄형은 강연, 콘서트, 독주 등에 적합하다.
  2. 애리나형에서 무대의 장치나 소품은 주로 낮은 기구들로 구성된다.
  3. 애리나형은 가까운 거리에서 관람하면서 가장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
  4. 오픈 스테이지형은 연기자와 관객의 접촉면이 1면으로 한정되어 있어 많은 관람석을 두려면 거리가 멀어져 객석 수용능력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다.
(정답률: 86%)
  • 애리나형은 가까운 거리에서 관람하면서 가장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애리나형은 관객과 무대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관람각도가 좁아지기 때문에 관객 수용능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병원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실 출입구는 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이어야 한다.
  2. 간호단위의 구성시 간호사의 보행거리는 24m 이내가 되도록 한다.
  3. 1개의 간호사 대기소에서 관리할 수 있는 병상수는 30∼40개 이하로 한다.
  4. 병원의 환자용 계단에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는 최대 1/6 이하로 한다.
(정답률: 73%)
  • 병원의 환자용 계단에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는 최대 1/6 이하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장애인이나 환자들이 이용할 때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위해 경사로의 경사를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경사가 너무 가파르면 이용자들이 넘어지거나 미끄러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최대 1/6 이하로 제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백화점 판매장의 진열장 배치유형 중 직각형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열장의 규격화가 가능하다.
  2. 매장 면적의 이용률이 다른 유형에 비해 낮다.
  3. 고객의 통행량에 따라 통로 폭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4. 획일적인 진열장 배치로 매장 공간이 지루해질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74%)
  • "매장 면적의 이용률이 다른 유형에 비해 낮다."는 직각형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직각형 배치는 매장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배치 유형 중 하나이다. 직각형 배치는 진열장을 규격화할 수 있고, 고객의 통행량에 따라 통로 폭을 조절하기가 어렵지만, 매장 공간이 지루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택의 평면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써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현관의 위치는 대지의 형태, 도로와의 관계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3. 부엌은 주택의 동측이나 남측이 좋으며 서향은 피하는 것이 좋다.
  4. 노인침실은 일조가 충분하고 전망이 좋은 조용한 곳에 면하게 하고 식당, 욕실 등에 근접시킨다.
(정답률: 74%)
  •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써 사용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거실은 가족이 모여 생활하는 공간으로, 다른 방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통로나 홀로만 사용하면 가족들이 모여 생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쇼핑센터의 몰(Mal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확실한 방향성과 식별성이 요구된다.
  2. 전문점과 핵상점의 주출입구는 몰에 면하도록 한다.
  3. 몰은 고객의 주보행동선으로서 중심상점과 각 전문점에서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4.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에 의해 쾌적한 실내기후를 유지할 수 있는 오픈 몰(Open Mall)이 선호된다.
(정답률: 75%)
  •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에 의해 쾌적한 실내기후를 유지할 수 있는 오픈 몰(Open Mall)이 선호된다. - 옳은 설명이다.

    설명: 오픈 몰은 실내와 실외가 연결되어 있어서 자연적인 환기와 채광이 가능하며, 공기조화 시스템을 통해 실내기온과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오픈 몰이 선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서관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대지조건과 도서관의 내부기능의 관계를 검토하여 출입구의 배치장소를 결정한다.
  2. 증축 예정지는 기능적 긴밀성의 유지를 위해 도서관의 평면구성보다는 단면구성을 고려하여계획한다.
  3. 도서관의 신축 시에는 대지선정과 배치단계에서 부터 장래의 성장에 따른 증축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4. 도서관의 각 구성요소의 조합에 따른 평면형식 중 서고식의 경우, 서고와 열람실은 제각기 독립된 방향의 확장을 고려한다.
(정답률: 78%)
  • "증축 예정지는 기능적 긴밀성의 유지를 위해 도서관의 평면구성보다는 단면구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증축 예정지는 기능적 긴밀성을 유지하면서도 도서관의 평면구성과 단면구성을 모두 고려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한국 근대건축 중 고딕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1. 명동성당
  2. 덕수궁 정관헌
  3. 서울 성공회성당
  4. 한국은행
(정답률: 76%)
  • 명동성당은 20세기 초에 건축된 성당으로, 유럽의 고딕양식을 적용하여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성당의 탑과 창문 등에서 고딕양식의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호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티 호텔은 일반적으로 고밀도의 고층형이다.
  2. 터미널 호텔에는 공항 호텔, 부두 호텔, 철도역 호텔 등이 있다.
  3. 리조트 호텔의 건축 형식은 주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4. 커머셜 호텔은 여행자의 장기간 체재에 적합한 호텔로서, 각 객실에는 주방설비를 갖추고 있다.
(정답률: 86%)
  • 커머셜 호텔은 여행자의 장기간 체재에 적합한 호텔로서, 각 객실에는 주방설비를 갖추고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일반적으로 커머셜 호텔은 비즈니스 출장객이나 단기 체류객을 대상으로 하며, 객실 내에 주방설비를 갖추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학교운영방식의 종류 중 학급, 학생 구분을 없애고 학생들은 각자의 능력에 맞게 교과를 선택하 고 일정한 교과가 끝나면 졸업하는 방식은?

  1. 달톤형(Dalton Type)
  2. 플래툰형(Platoon Type)
  3. 종합교실형(Usual Type)
  4. 교과교실형(Department System)
(정답률: 79%)
  • 달톤형은 학생들이 각자의 능력에 맞게 교과를 선택하고, 학급이나 학생 구분을 없애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인적인 성향과 능력을 존중하며, 개인의 발전을 중시하는 교육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점유면적이 다른 유형에 비해 작으며, 연속적으로 승강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배치 유형은?

  1. 교차식 배치
  2. 직렬식 배치
  3. 병렬단속식 배치
  4. 병렬연속식 배치
(정답률: 64%)
  • 교차식 배치는 에스컬레이터를 교차하여 배치하는 방식으로, 점유면적이 작으면서도 연속적으로 승강이 가능합니다. 이는 직렬식 배치나 병렬단속식 배치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병렬연속식 배치보다는 보행자의 이동 경로가 더욱 자연스러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시공간의 특수전시기법 중 하나의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 것으로 현장에 임한 듯한 느낌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는 전시기법은?

  1. 알코브 전시
  2. 아일랜드 전시
  3. 디오라마 전시
  4. 하모니카 전시
(정답률: 85%)
  • 디오라마 전시는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 전시기법으로, 현장에 임한 듯한 느낌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시공간 내부에 작은 공간을 만들어 그 안에서 사실적인 모형을 배치하고 조명, 소리, 향기 등을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장면을 연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디오라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생생한 경험을 제공하며, 교육적인 가치도 높은 전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다음 설명에서 의미하는 공법은?

  1. 고결안정공법
  2. 치환공법
  3. 재하공법
  4. 탈수공법
(정답률: 66%)
  • 이 그림은 "고결안정공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공법은 머리를 곧게 세우고 어깨를 펴고 가슴을 펴고 엉덩이를 살짝 내밀고 무릎을 살짝 굽히는 자세로 몸을 곧게 세우는 것입니다. 이 자세는 자신감을 높이고 긴장감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경량콘크리트공사에서 경량골재의 취급 및 저장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짐부리기, 쌓아 올리기 및 물뿌리기를 할 때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2. 골재를 쌓아둘 곳은 될 수 있는 대로 물빠짐이 좋게 한다.
  3. 골재를 쌓아둘 곳은 직사광선을 많이 받아 골재가 쉽게 건조될 수 있는 장소를 택한다.
  4. 골재에 때때로 물을 뿌리고 표면에 포장 등을 하여 항상 같은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골재를 쌓아둘 곳은 직사광선을 많이 받아 골재가 쉽게 건조될 수 있는 장소를 택한다."이다. 이유는 경량골재는 건조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많이 받아 건조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은 모두 경량골재의 취급 및 저장에 대한 올바른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골보가 일체로 되는 합성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어커넥터가 필요하다.
  2. 바닥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크다.
  3. 자재를 절감하므로 경제적이다.
  4. 경간이 작은 경우에 주로 적용한다.
(정답률: 69%)
  • "경간이 작은 경우에 주로 적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골보가 일체로 되는 합성구조는 철골보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경제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간이 작은 경우에 적용하여 자재를 절감하고 바닥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어커넥터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골보를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부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타일 시공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름에 외장타일을 붙일 경우에는 하루 전에 바탕면에 물을 충분히 적셔 둔다.
  2. 타일을 붙이기 전에 바탕의 들뜸, 균열 등을 검사하여 불량부분은 보수한다.
  3. 타일면은 일정간격의 신축줄눈을 두어 탈락, 동결융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4.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백화방지를 위하여 시멘트 가루를 뿌리는 것이 좋다.
(정답률: 82%)
  •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백화방지를 위하여 시멘트 가루를 뿌리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모르타르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타일이 제대로 붙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백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앞뒤 바퀴의 중앙부에 흙을 깎고 미는 배토판을 장착한 것으로, 주로 노반정지작업에 쓰이는 기계는?

  1.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2. 드래그라인(Drag Line)
  3. 트랙터셔블(Tractor Shovel)
  4. 백호(Back Hoe)
(정답률: 62%)
  • 모터그레이더는 앞뒤 바퀴의 중앙부에 배토판을 장착하여 흙을 깎고 미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로, 주로 도로 건설 및 유지보수 작업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노반정지작업에 적합한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벽돌쌓기 시 벽돌의 물축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벽돌은 전날 물을 축여 표면이 어느 정도 마른 상태에서 쌓는 것이 좋다.
  2. 내화벽돌은 점토벽돌보다 물축임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
  3. 벽돌 흡수율이 8% 이하일 때는 물축임을 하지않아도 된다.
  4. 물축임을 하지 않으면 모르타르의 수분을 벽돌이흡수하여 모르타르 강도가 저하한다.
(정답률: 66%)
  • "내화벽돌은 점토벽돌보다 물축임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내화벽돌은 물축임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 내화벽돌은 고온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축임이 적어야 내화성능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내화벽돌은 점토벽돌보다 물축임이 적어야 합니다.

    내화벽돌은 점토벽돌보다 물축임이 적은 이유는 내화벽돌의 재료가 점토보다 굳어지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내화벽돌은 고온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빠른 굳어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내화벽돌은 물축임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압연강재가 냉각될 때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 표피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패터
  2. 밀스케일
  3. 슬래그
  4. 비드
(정답률: 75%)
  • 압연강재가 냉각될 때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생기는 산화철 층을 말하는데, 이 층은 녹슨 철과 같은 색상을 띠며 표면을 덮게 된다. 이러한 산화철 층을 밀스케일이라고 부른다. 스패터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봉에서 떨어져 나온 녹슨 조각이나 불순물을 말하며, 슬래그는 용융 금속에서 떨어져 나온 불순물이나 산화물을 말한다. 비드는 금속 가공 과정에서 생긴 작은 조각이나 파편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거푸집의 안정성 검토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직하중은 고정하중+충격하중+작업하중을 검토해야 한다.
  2. 수평하중은 풍압, 콘크리트 타설방향에 따른 편심하중 등으로 그 값을 정확히 예상하기 어렵다.
  3. 측압 관련 요인 중 콘크리트의 비중이 낮을수록 측압은 크게 된다.
  4. 일반적으로 허용처짐량은 절대처짐량으로 하고 추가처짐을 고려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측압 관련 요인 중 콘크리트의 비중이 낮을수록 측압은 크게 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콘크리트의 비중이 높을수록 측압이 크게 작용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밀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질량을 지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반의 구성층을 파악하기 위하여 낙하추 또는 화약의 폭발로 지반을 조사하는 방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충격식 보링 지하탐사
  2. 전기저항 지하탐사
  3. 방사능 지하탐사
  4. 탄성파 지하탐사
(정답률: 57%)
  • 낙하추나 화약 폭발로 지반을 조사하는 방법은 지반의 구성층을 파악하는 데에는 제한적이며,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지하 구조 파악을 위해서는 탄성파 지하탐사가 가장 적합합니다. 탄성파 지하탐사는 지면에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 지반의 밀도와 경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지하시설물 설계나 지하공사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창호의 기능검사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열성
  2. 내풍압성
  3. 기밀성
  4. 수밀성
(정답률: 61%)
  • 창호의 기능검사 항목은 내풍압성, 기밀성, 수밀성이다. 내열성은 창호가 불에 접촉했을 때 내구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내열성은 창호의 기능검사 항목과는 거리가 먼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흙막이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넓게 팔 필요가 있는 경우에 터파기 여유폭은 얼마인가? (단, 흙막이의 높이가 4m인 경우)

  1. 10∼30cm
  2. 30∼50cm
  3. 60∼90cm
  4. 90∼120cm
(정답률: 47%)
  • 흙막이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터를 파야 합니다. 이때 터파기 여유폭은 흙막이의 높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터파기 여유폭은 흙막이의 높이의 15~25% 정도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흙막이의 높이가 4m인 경우, 터파기 여유폭은 60~90cm 정도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90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건축 방수공사의 성능 확인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시험방법은?

  1. 수압시험
  2. 기밀시험
  3. 실물시험
  4. 담수시험
(정답률: 81%)
  • 건축 방수공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시험방법은 담수시험이다. 이는 방수재료가 물에 담그어져도 물이 흐르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으로, 실제 사용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의 압력과 온도 등을 모사하여 시험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방수재료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건축물 내부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석재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1. 석재의 비중은 조암광물의 성질ㆍ비율ㆍ공극의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2. 석재의 강도에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매우 작다.
  3. 석재의 공극률이 클수록 흡수율이 작아져 동결융해 저항성은 우수해진다.
  4. 석재의 흡수율은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5%)
  • 석재의 강도에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매우 작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석재의 공극률이 클수록 흡수율이 작아져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해지는 이유는, 공극이 많은 석재는 물이 쉽게 흡수되어 동결되면 물이 팽창하여 석재를 파괴시키는데, 공극이 적은 석재는 물이 흡수되는 양이 적어 동결에 강하게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급자가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공사내용과 공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 집행 가능한 최소의 투자를 전제하여 시공계획과 손익의 목표를 합리적으로 표현한 금액적 계획서를 일반적으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목표예산
  2. 소요예산
  3. 도급예산
  4. 실행예산
(정답률: 53%)
  • 정답은 "실행예산"입니다. 실행예산은 공사를 실제로 진행할 때 필요한 자금을 계획하는 것으로, 공사내용과 공기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도 최소의 비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도급자가 작성하는 계획서로, 시공계획과 손익의 목표를 합리적으로 표현한 금액적 계획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 이어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 및 슬래브의 이어붓기 위치는 전단력이 작은 스팬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한다.
  2. 아치이음은 아치축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3. 부득이 전단력이 큰 위치에 이음을 설치할 경우 에는 시공이음에 촉 또는 홈을 두거나 적절한 철근을 내어 둔다.
  4. 염분 피해의 우려가 있는 해양 및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시공이음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2%)
  • 염분 피해의 우려가 있는 해양 및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시공이음부를 설치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해수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염분이 침투하여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부를 설치하여 부식을 예방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강도 콘크리트 시공 시 배합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시멘트비는 50% 이하로 한다.
  2. 단위수량은 210kg/m 이하로 한다.
  3. 슬럼프값은 150mm 이하로 한다.
  4. 단위시멘트량은 소요 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적게 되도록 정한다.
(정답률: 58%)
  • 단위수량이 210kg/m 이하로 한 이유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낮아지면 강도가 높아지지만, 동시에 시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유지하면서도 단위수량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철골공사 용접작업의 용접자세를 표현하는 기호로 옳은 것은?

  1. F:수평자세
  2. H:수직자세
  3. O:상향자세
  4. V:하향자세
(정답률: 76%)
  • 철골공사에서 용접작업을 할 때, 용접대상물을 상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자세를 "상향자세"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O입니다. 수평자세는 용접대상물이 수평으로 놓인 자세, 수직자세는 용접대상물이 수직으로 놓인 자세, 하향자세는 용접대상물을 하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재가 접촉하는 경우 부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부식성이 큰 금속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알루미늄>철>구리
  2. 철>알루미늄>구리
  3. 철>구리>알루미늄
  4. 구리>철>알루미늄
(정답률: 73%)
  • 서로 다른 금속재가 접촉하면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서 부식이 발생하는데, 이는 금속의 전기음성도와 관련이 있다. 전기음성도가 높은 금속은 전자를 더 잘 빼앗아 산화되기 쉽고, 전기음성도가 낮은 금속은 전자를 덜 잃어 산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전기음성도가 높은 금속이 전기음성도가 낮은 금속과 접촉하면, 전자가 더 잘 빼앗겨서 산화되고 부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알루미늄>철>구리" 순으로 나열된 것이다. 알루미늄은 전기음성도가 가장 높고, 구리는 가장 낮기 때문에, 알루미늄과 구리가 접촉하면 알루미늄이 부식되고 구리는 부식되지 않는다. 철은 알루미늄보다 전기음성도가 낮지만, 구리보다는 높기 때문에, 철과 알루미늄이 접촉하면 철이 부식되고 알루미늄은 부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정관리 용어로서 전체 공사과정 중 관리상 특히 중요한 몇몇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특정 시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간관리일
  2. 절점
  3. 표준점
  4. 비작업일
(정답률: 59%)
  • 중간관리일은 전체 공사과정 중에서 관리상 특히 중요한 몇몇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특정 시점을 말합니다. 이 시점에서는 해당 작업의 진행 상황을 체크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따라서 중간관리일은 공정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절점은 작업의 시작과 종료 지점을 의미하는 용어이고, 표준점은 일정 계획을 수립할 때 사용하는 기준점을 의미합니다. 비작업일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일정을 말합니다. 이들 용어는 중간관리일과는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은 "중간관리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커튼월(Curtain Wall)의 외관 형태별 분류에 해당 하지 않는 방식은?

  1. Mullion 방식
  2. Stick 방식
  3. Spandrel 방식
  4. Sheath 방식
(정답률: 55%)
  • Stick 방식은 커튼월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와 알루미늄 프레임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외관 형태별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Mullion 방식은 유리 패널을 각각의 프레임에 맞게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식이고, Spandrel 방식은 유리 패널과 함께 벽체를 이루는 패널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며, Sheath 방식은 패널을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다음 조건을 가진 압축재의 좌굴하중 Pc값으로 옳은 것은?

  1. 3123.8 kN
  2. 4517.8 kN
  3. 5012.8 kN
  4. 5713.8 kN
(정답률: 49%)
  • 압축재의 좌굴하중 Pc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c = (π2 × E × I) / (KL / r)2

    여기서,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 K는 좌굴계수, L은 압축재 길이, r은 압축재 단면 반경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압축재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I = π/4 × d4 이다. 또한, 압축재의 길이 L = 3m, 반경 d = 200mm, 탄성계수 E = 200GPa, 좌굴계수 K = 1.0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Pc = (π2 × 200GPa × (π/4 × 0.2m4)) / ((3m) / 200mm)2 = 5713.8 kN 이다.

    따라서, 정답은 "5713.8 k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강구조의 접합부에서 접합부에 휨모멘트 반력이 발생되지 않고, 전단력만을 저항하는 접합형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강접합
  2. 모멘트접합
  3. 핀접합
  4. 반강접합
(정답률: 52%)
  • 핀접합은 강구조물의 접합부에서 전단력만을 저항하고, 휨모멘트 반력이 발생하지 않는 형식의 접합 방법이다. 이는 핀접합의 구조가 강구조물의 끝단에 있는 핀과 그에 대응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강구조물의 회전을 방지하면서도 전단력만을 저항할 수 있어, 강접합이나 모멘트접합보다 경제적이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의 구조물은 몇 차 부정정 구조물인가?

  1. 2차
  2. 3차
  3. 4차
  4. 5차
(정답률: 59%)
  • 이 구조물은 4차 부정정 구조물이다. 이유는 구조물의 기둥이 지면으로부터 4층까지 올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4차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KBC2009기준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수평철근비로 옳은 것은? (단,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1. 0.0012
  2. 0.0015
  3. 0.0020
  4. 0.0025
(정답률: 48%)
  • KBC2009 기준에 따르면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최소수평철근비는 0.0020 이어야 한다. 이는 벽체의 전체 단면적 중 최소 0.2%는 수평철근으로 보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유는 수평철근이 벽체의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벽체의 변형을 제한하고 파손을 예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0.0020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KBC2009기준에 따른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 ld의 최소값은?

  1. 150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률: 48%)
  • KBC2009 기준에 따르면, 인장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 l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d = max{ 12t, 300mm }

    여기서 t는 철근 또는 철선의 지름입니다. 따라서, ld의 최소값은 300mm가 됩니다. 이는 t가 어떤 값이더라도 최소한 300mm의 길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건축구조의 구조별 특징을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적식 구조는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횡력에 취약하다.
  2. 가구식 구조는 삼각형보다 사각형으로 조립하면 더욱 안정한 구조체를 이룰 수 있다.
  3. 조립식 구조는 부재를 공장에서 생산ㆍ가공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공기가 짧다.
  4. 일체식 구조는 비교적 균일한 강도를 가진다.
(정답률: 74%)
  • 가구식 구조는 삼각형보다 사각형으로 조립하면 더욱 안정한 구조체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삼각형이 안정적인 이유인 삼각형의 세 변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단단한 구조체를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각형으로 조립하면 대각선 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구조체를 이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모멘트 (Mcr)값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 사용, fck=24MPa. fy=400MPa)

  1. 21.5kN ㆍ m
  2. 33.6kN ㆍ m
  3. 42.8kN ㆍ m
  4. 55.6kN ㆍ m
(정답률: 63%)
  • 균열모멘트(Mcr)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Mcr = 0.149 * fck * b * d2

    여기서, b는 단면의 너비, d는 단면의 높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Mcr = 0.149 * 24MPa * 200mm * 400mm2 = 55.6kN ㆍ m

    따라서, 정답은 "55.6kN ㆍ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은 단순보의 최대 처짐량(δmax )이 2.0cm 이하가 되기 위하여 보의 단면2차모멘트는 최소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단, 보의 탄성계수는E=1.25×104 N/mm )

  1. 15,000cm4
  2. 17,500cm4
  3. 20,000cm4
  4. 25,000cm4
(정답률: 50%)
  • 단순보의 최대 처짐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δmax = (5wL4) / (384EI)

    여기서 w는 단위 길이당 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2차모멘트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δmax가 2.0cm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2.0 = (5wL4) / (384EI)

    I를 구하기 위해 위 식을 I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 = (5wL4) / (384Eδmax)

    w는 2.5kN/m으로 주어졌으므로, L과 E, δmax만 구하면 I를 구할 수 있습니다.

    L은 그림에서 보면 3m입니다.

    E는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1.25×104 N/mm으로 사용합니다.

    δmax는 2.0cm이므로 20mm입니다.

    따라서 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 = (5 × 2.5 × 103 × 34) / (384 × 1.25 × 104 × 20) = 25,000 cm4

    따라서 정답은 "25,000cm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골구조에서 기둥-보 접합부와 관계된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엔드플레이트(End Plate)
  2. 다이어프램(Diaphragm)
  3. 스플릿티(Split Tee)
  4. 메탈터치(Metal Touch)
(정답률: 65%)
  • 메탈터치는 철골구조에서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접합부에 사용되는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기둥과 보의 연결부에 사용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인 엔드플레이트, 다이어프램, 스플릿티와는 달리, 보의 끝과 기둥의 측면에 설치되어 기둥과 보를 강력하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메탈터치는 철골구조에서 안정성과 강도를 보장하는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철골기둥의 주각부에 사용되는 보강재로 거리가 먼 것은?

  1.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
  2. 윙 플레이트(Wing Plate)
  3. 사이드 앵글(Side Angle)
  4.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정답률: 53%)
  • 필러 플레이트는 철골기둥의 주각부와 보강재 사이에 삽입되어 기둥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강재들은 모두 주각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필러 플레이트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중앙에 12,000N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지간 4m인 목재 보의 폭을 10cm로 잡을 때 그 높이를 최소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이 목재의 허용 휨 응력은 40MPa이다.)

  1. 12cm
  2. 14cm
  3. 16cm
  4. 18cm
(정답률: 35%)
  • 이 문제는 허용 휨 응력을 이용하여 최소 높이를 구하는 문제이다.

    휨 응력은 M / I = σ / y 인데, 여기서 M은 모멘트,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 y는 중립면에서의 최대 거리이다.

    이 문제에서는 휨 응력이 40MPa로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M = F * L / 2 = 12,000 * 4 / 2 = 24,000 Nm
    I = b * h^3 / 12 = 0.1 * h^3 / 12
    y = h / 2

    σ / y = M / I
    40 * 10^6 / (h / 2) = 24,000 / (0.1 * h^3 / 12)
    h = 14.14cm

    따라서, 최소 높이는 14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강접골조에 수평력 P=10kN이 작용하고 기둥의 강비 k=∞인 경우, 기둥의 모멘트가 0이 되는 변곡점의 h0 위치 는? (단, 괄호 안의 기호는 강비이다.)

  1. 0.4h
  2. 0.5h
  3. (4/7)h
  4. h
(정답률: 54%)
  • 기둥의 모멘트가 0이 되는 변곡점은 수평력이 작용하는 위치와 기둥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수평력이 작용하는 위치를 찾아야 한다.

    강접골조에서 수평력이 작용하면, 수직방향으로 반작용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반작용력은 기둥의 하단에서 받아들이게 되므로, 기둥의 하단에서는 수평력과 반작용력이 서로 상쇄되어 모멘트가 0이 된다.

    따라서, 수평력이 작용하는 위치는 기둥의 하단과 변곡점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이 지점의 위치를 h로 놓으면, 기둥의 하단에서부터 수평거리는 (1/2)h이고, 반작용력이 작용하는 위치는 (1/3)h이다.

    따라서, 수평력과 반작용력의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M = Ph/2 - (P/3)(h/2) = (Ph/2) - (Ph/6) = (2/3)Ph

    기둥의 모멘트가 0이 되려면, M =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h = 0 또는 h = (3/2)P이다. 하지만, h = 0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므로, h = (3/2)P = (3/2)×10 = 15 (kN)이다.

    따라서, 정답은 "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단면의 단순보에서 보의 중앙점 C단면에 생기는 휨응력 σb 와 v 전단응력 의 값은?

(정답률: 48%)
  • 단면의 중앙점 C에서의 휨응력 σb는 최대값을 가지며, 그 크기는 M/Z이다. 여기서 M은 단면에서의 모멘트이고, Z는 단면의 이너모멘트이다. 따라서 σb = M/Z이다.

    v 전단응력은 τ = VQ/It이다. 여기서 V는 전단력, Q는 단면에서 중립면까지의 면적,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 t는 단면의 두께이다. 이 문제에서는 전단력 V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v 전단응력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와 해석을 위한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형을 받아 휘기 전에 평면인 단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2. 콘크리트 압축응력 분포 형상은 직사각형만 가능하다.
  3. 철근의 변형률은 같은 위치에 있는 콘크리트의 변형률과 같다.
  4. 콘크리트는 압축변형률이 기준 값 Ecu=0.003에 도달하면 붕괴된다고 가정한다.
(정답률: 62%)
  • "콘크리트 압축응력 분포 형상은 직사각형만 가능하다." 가정은 옳지 않습니다.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분포 형상은 실제로는 직사각형이 아닌 곡선 형태를 띠며, 이를 고려한 다양한 모델들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과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보의 설계와 해석에서는 이러한 곡선 형태의 압축응력 분포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반원의 도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x0는 얼마인가? (단, )

  1. 142.2 cm4
  2. 218.5 cm4
  3. 360.6 cm4
  4. 508.9 cm4
(정답률: 3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이 캔틸레버 보가 상수 k을 가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집중 하중 P가 작용하고 있다. 스프링에 걸리는 힘은?

  1. PL3k/(3EI+kL3)
  2. 2PL3k/(3EI+kL3)
  3. PL3k/(2EI+kL3)
  4. 2PL3k/(2EI+kL3)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력볼트 1개의 인장파단 한계상태에 대한 설계인장강도는? (단, 볼트의 등급 및 호칭은 F10T, M20)

  1. 177 kN
  2. 236 kN
  3. 315 kN
  4. 385 kN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양단 수직반력을 구하면?

(정답률: 62%)
  • 양단의 수직반력은 보의 중심에서의 반력과 같으므로, 먼저 보의 중심에서의 반력을 구해야 한다. 보의 중심에서의 반력은 외력의 합력과 같으므로, 양쪽 끝에서의 단순보의 반력을 더해준다. 이때, 단순보의 반력은 하중과 길이에 비례하므로, 길이가 2배인 B보의 반력은 A보의 반력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양단의 수직반력은 A보의 반력과 B보의 반력의 합인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단순보의 중앙점에 하중 P가 작용할 때 C점의 처짐은?

(정답률: 30%)
  • C점은 단순보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P의 하중이 대칭적으로 전달되어 A와 B점에서의 반력이 같아진다. 따라서 C점에서의 처짐은 없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부동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조물의 하중을 기초에 균등하게 분포시킨다.
  2. 필요시 복합시초를 사용한다.
  3. 기초상호간을 지중보로 연결한다.
  4. 건물의 길이를 길게 한다.
(정답률: 73%)
  • 건물의 길이를 길게 한다는 것은 구조물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긴 건물은 하중을 더 많이 받게 되는데, 이를 분산시키기 위해 기초의 면적을 더 넓게 만들어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하중이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대책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다음의 냉장부하 발생 요인 중 잠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은?

  1. 인체의 발생열량
  2.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량
  3.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량
  4. 일사에 의한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률: 63%)
  • 일사에 의한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은 냉장부하 발생 요인 중에서 잠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유리로부터 직접적으로 취득되는 열량으로, 잠열 요소는 공기나 물 등의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열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사에 의한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은 잠열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기에 관한 기초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류는 발열작용, 화학작용, 자기작용을 한다.
  2. 병렬회로에서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같다.
  3. 오옴(ohm)의 법칙은 전압, 전류, 저항 사이의 규칙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4. 1[W]란 전압이 1[V]일 때 1[A]의 전류가 1[s] 동안에 하는 일을 말한다.
(정답률: 70%)
  • "병렬회로에서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같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병렬회로에서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다르다. 이는 전류의 분기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이 있을 때, 전압이 같으면 전류는 각각의 저항에 따라 분기되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류의 값은 각각의 저항에 따라 달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3상 동력과 단상 전등부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배전방식은?

  1. 단상 2선식 220[V]
  2. 3상 3선식 220[V]
  3. 단상 3선식 220/110[V]
  4. 3상 4선식 380/220[V]
(정답률: 74%)
  • 3상 동력은 3개의 전압이 120도씩 차이를 두고 생성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단상 전등부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3상 4선식 380/220[V]이다. 이 방식은 3개의 상(Phase)과 중앙의 중립선(Neutra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상 동력을 이용하여 3상 부하를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단상 전등부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단상 2선식 220[V], 3상 3선식 220[V], 단상 3선식 220/110[V]은 각각 단상 동력 또는 3상 동력만을 지원하므로, 단상 전등부하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기설비 용량이 각각 60[kW], 100[kW], 140[kW]인 부하설비가 있다. 그 수용률이 70%인 경우 최대수용전력은?

  1. 70[kW]
  2. 100[kW]
  3. 140[kW]
  4. 210[kW]
(정답률: 72%)
  • 수용률이 70%이므로, 각 부하설비의 최대수용전력을 70%로 곱해준 후 더하면 된다.

    60[kW] x 0.7 + 100[kW] x 0.7 + 140[kW] x 0.7 = 42[kW] + 70[kW] + 98[kW] = 210[kW]

    따라서, 최대수용전력은 210[kW]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과 같은 벽체의 열관류율은?

  1. 약 0.90 W/m2ㆍK
  2. 약 1.05 W/m2ㆍK
  3. 약 1.20 W/m2ㆍK
  4. 약 1.35 W/m2ㆍK
(정답률: 67%)
  • 벽체의 열관류율은 벽체의 열전도율과 두 개의 실외 및 내부 온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벽체는 10cm 두께의 벽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돌의 열전도율은 0.7 W/mK이다. 따라서 벽체의 열전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전도율 = (벽돌 두께 / 벽돌 열전도율) x 2
    = (0.1m / 0.7 W/mK) x 2
    ≈ 0.29 W/m²K

    이제 벽체의 열관류율을 계산하기 위해, 두 개의 실외 및 내부 온도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문제에서는 실외 온도가 -10℃이고 실내 온도가 20℃이므로, 온도 차이는 30℃이다. 따라서 벽체의 열관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관류율 = 열전도율 / (실외 온도 - 실내 온도)
    = 0.29 W/m²K / 30℃
    ≈ 0.0097 W/m²K/℃
    ≈ 0.01 W/m²K/℃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W/m²K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0.01 W/m²K/℃에 1000을 곱해주면 된다.

    열관류율 = 0.01 W/m²K/℃ x 1000
    = 10 W/m²K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W/m²K가 아니라 W/m²K로 주어졌으므로, 10을 1000으로 나눠주면 된다.

    열관류율 = 10 W/m²K / 1000
    = 0.01 W/m²K

    따라서, 정답은 약 0.90 W/m²K가 아니라 약 1.05 W/m²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터보 냉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왕복동식에 비하여 진동이 적다.
  2. 임펠러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냉매가스를 압축한다.
  3. 일반적으로 대용량에는 부적합하며 비례제어가 불가능 하다.
  4. 30% 이하의 출력에서는 서징(surging) 현상이 일어나므로 운전이 곤란하다.
(정답률: 55%)
  • 일반적으로 대용량에는 부적합하며 비례제어가 불가능 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터보 냉동기는 대용량에도 적용 가능하며, 비례제어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엘리베이터의전기적 안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완충기
  2. 도어 스위치
  3. 과부하 계전기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정답률: 58%)
  • 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안전장치가 아닙니다. 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안전장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급수설비에서 펌프의 실양정이 의미하는 것은? (단, 물을 높은 곳으로 보내는 경우)

  1. 배관계의 마찰손실에 해당하는 높이
  2. 흡수면에서 토출수면까지의 수직거리
  3. 흡수면에서 펌프축 중심까지의 수직거리
  4. 펌프축 중심에서 토출수면까지의 수직거리
(정답률: 68%)
  • 펌프의 실양정이란, 펌프가 물을 높은 곳으로 보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높이를 말합니다. 이 때, 흡수면에서 토출수면까지의 수직거리가 실양정에 해당하는 이유는, 펌프가 물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압력이 필요하며, 이 압력은 흡입하는 물의 높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펌프가 물을 흡입하는 위치인 흡수면과 물을 토출하는 위치인 토출수면 사이의 수직거리가 실양정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수격작용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밸브의 급폐쇄
  2. 감압밸브의 설치
  3. 배관방법의 불량
  4. 수도본관의 고수압(高水壓)
(정답률: 75%)
  • 수격작용은 수도관에서 물의 흐름이 갑자기 중단되어 생기는 압력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때, 감압밸브의 설치는 수도관에서 발생하는 고압을 조절하여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를 막아주기 때문에 수격작용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10층 건축물에 각 층마다 옥내소화전을 3개씩 설치하였을 경우, 옥개소화전 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6m3
  2. 7.8m3
  3. 14m3
  4. 21m3
(정답률: 73%)
  • 각 층마다 옥내소화전을 3개씩 설치하면, 총 30개의 옥내소화전이 필요하다. 옥내소화전 1개당 수원의 저수량은 0.26m3 이므로, 30개의 옥내소화전을 모두 가동하기 위해서는 최소 7.8m3의 수원의 저수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7.8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급수방식 중 고가수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급수압력이 일정하다.
  2. 2층 정도의 건물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3. 위생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다.
  4. 저수조가 없으므로 단수시에 급수할 수 없다.
(정답률: 72%)
  • 정답: "급수압력이 일정하다."

    고가수조방식은 수원에서 물을 고지대에 있는 고가수조에 저장한 후, 그 물을 이용해 하천이나 저지대에 있는 가정이나 공장 등에 급수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물의 압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급수압력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높은 층수의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저수조가 없기 때문에 위생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다. 하지만, 고가수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고지대가 필요하며, 저수조가 없기 때문에 단수시에 급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규모 건물이나 도시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직류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동 토크를 쉽게 얻을 수 있다.
  2. 승강기분이 좋고 착상오차가 적다.
  3. 속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속도제어가 가능하다.
  4. 기어드식은 120[m/min] 이상의 속도를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정답률: 63%)
  • 기어드식 엘리베이터는 속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속도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또한 기동 토크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승강기분이 좋으며 착상오차가 적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기어드식은 120[m/min] 이상의 속도를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기어드식 엘리베이터는 고속 엘리베이터에 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120[m/min] 이상의 속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기어리스식 엘리베이터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버터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2. 2선의 접속을 바꿔 회전자계의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한다.
  3. 회전자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을 변화시켜 비례 추이의 원리로 제어한다.
  4. 독립된 2조의 극수가 서로 다른 고정자 권선을 감아 놓고 필요에 따라 극수를 선택하여 극수를 변화시킨다.
(정답률: 60%)
  • 2선의 접속을 바꿔 회전자계의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하는 것은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 이는 옳은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2선의 접속을 바꿔 회전자계의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옳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설치된 감지기의 주변온도가 일정한 온도상승률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작동하는 화재 감지기는?

  1. 차동식
  2. 정온식
  3. 광전식
  4. 이온화식
(정답률: 73%)
  • 차동식 화재 감지기는 주변 온도가 일정한 온도 상승률 이상으로 증가할 때 작동합니다. 이는 감지기 내부의 두 개의 온도 센서가 서로 다른 온도를 감지하면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차동식 화재 감지기는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른 화재 감지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보일러의 부하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경우, 보일러의 정격출력은?

  1. HR
  2. HR+HW
  3. HR+HW+HP
  4. HR+HW+HP+He
(정답률: 51%)
  • 보일러의 부하 구성이 HR+HW+HP+He 인 경우, 이는 각각의 부하가 누적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HR은 난방 부하, HW는 온수 부하, HP는 공조 부하, He는 기타 부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하를 모두 고려하여 보일러의 정격출력을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HR+HW+HP+H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기조화방식 중 팬코일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실에 수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있다.
  2. 덕트 샤프트나 스페이스가 필요없거나 작아도 된다.
  3. 각 실의 유닛은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고, 개별제어가 쉽다.
  4. 유닛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정답률: 70%)
  • "유닛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팬코일 유닛은 공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창문 밑에 설치해도 콜드 드래프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창문 밑에 설치하는 것이 공기 순환에 유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광속이 2000[lm]인 백열전구로부터 2[m] 떨어진 책상에서 조도를 측정하였더니 200[lx]이었다. 이 책상을 백열전구로부터 4[m] 떨어진 곳에 놓고 측정하였을 때 조도는?

  1. 50[lx]
  2. 100[lx]
  3. 150[lx]
  4. 200[lx]
(정답률: 80%)
  • 조도는 광속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거리가 2배가 되면 조도는 1/4이 된다. 따라서 200[lx]에서 4[m] 떨어진 곳에서의 조도는 50[lx]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l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호텔의 주방이나 레스토랑의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세정배수 중의 유지분을 포집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오일 포집기
  2. 샌드 포집기
  3. 그리스 포집기
  4. 플라스터 포집기
(정답률: 59%)
  • 그리스 포집기는 주방에서 배출되는 세정배수 중에서 유지분인 그리스를 포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리스는 배수관을 막고 냄새와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리스 포집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현열비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잠열의 변화량에 대한 현열의 변화량의 비율
  2. 현열의 변화량에 대한 잠열의 변화량의 비율
  3. 전열량(enthalpy)의 변화량에 대한 현열의 변화량의 비율
  4. 전열량(enthalpy)의 변화량에 대한 잠열의 변화량의 비율
(정답률: 72%)
  • 정답은 "전열량(enthalpy)의 변화량에 대한 현열의 변화량의 비율"입니다.

    현열은 물질의 온도가 변하지 않고 상태가 변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말합니다. 반면에 전열량은 물질의 온도와 상태가 모두 변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열량의 변화량에 대한 현열의 변화량의 비율은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열의 흡수나 방출을 계산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클수록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열의 흡수나 방출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간선의 배선방식은?

  1. 루프식
  2. 평행식
  3. 나뭇가지식
  4. 나뭇가지 평행식
(정답률: 60%)
  • 이 그래프의 간선 배선 방식은 "나뭇가지식"이다. 이는 각 노드에서 나뭇가지처럼 여러 개의 간선이 분기되어 나가는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선 방식은 각 노드에서의 간선의 교차가 적어 시각적으로 깔끔하고 알아보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법규

81.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건축물이 높이 4미터 이하인 부분은 정북 방향의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 원칙적으로 최소 얼마 이상 거리를 띄어야 하는가?

  1. 1m
  2. 1.5m
  3. 2m
  4. 2.5m
(정답률: 64%)
  •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건축물의 높이가 4미터 이하인 부분은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 최소 1.5미터 이상의 거리를 띄어야 합니다. 이는 건축물과 인접한 대지경계선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인접한 건축물과의 거리를 유지하고, 환기와 채광 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건축허용오차(%)가 가장 큰 것은?

  1. 건폐율
  2. 용적률
  3. 건축물 높이
  4. 건축선의 후퇴거리
(정답률: 49%)
  • 정답은 "건축선의 후퇴거리"입니다.

    건축선의 후퇴거리는 건축물의 외벽과 도로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거리가 크면 건축물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크기를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건축허용오차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에 건폐율, 용적률, 건축물 높이는 모두 건축물의 크기와 관련된 요소이지만, 각각의 제한 범위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조절이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치도
  2. 투시도
  3. 건축계획서
  4. 실내마감도
(정답률: 72%)
  • 투시도는 건물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건축계획서는 건물의 구조와 기능 등을 설명하는 문서이며, 배치도는 건물의 위치와 주변환경을 보여주는 것이고, 실내마감도는 건물 내부의 마감재와 인테리어 디자인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건축법령상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은 것은?

  1. 초고층 건축물이란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2. 증축이란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 면적, 연면적, 층수 또는 높이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3. 개축이랑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로 멸실된 경우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다시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4. 부속건축물이랑 같은 대지에서 주된 건축물과 분리된 부속용도의 건축물로서 주된 건축물을 이용 또는 관리하는데에 필요한 건축물을 말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초고층 건축물이란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이다. 이유는 건축법령상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별도로 정한 기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초고층 건축물로 분류하지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다른 기준을 적용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건축법령상 지하층의 정의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2분의 1
  2. 3분의 1
  3. 3분의 2
  4. 4분의 1
(정답률: 82%)
  • 지하층은 지상면적의 (2분의 1) 이상을 지하로 파서 만든 층이다. 즉, 지상면적의 절반 이상이 지하에 위치한 층을 지하층으로 정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 바닥면적이 1,500m2일 경우 개별관람석 출구는 최소 몇 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각 출구의 유효너비를 2m로 하는 경우)

  1. 3개소
  2. 4개소
  3. 5개소
  4. 6개소
(정답률: 62%)
  • 개별관람석 바닥면적이 1,500m2이므로, 인원수는 약 750명(500명/1,000m2)이다. 출구의 유효너비가 2m이므로, 인원수가 많은 경우를 가정하여 1분에 60명씩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750명이 모두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50/60 = 12.5분이다. 따라서, 최소한 5개의 출구가 필요하다. 만약 출구가 4개 이하로 설치하면, 대량의 인원이 한꺼번에 출구로 이동하게 되어 사람들이 밀려 다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공개공지 등을 확보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공개공지등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에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준 내용은?

  1. 건폐율
  2. 용적률
  3.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4. 건축선에 따른 건축 제한
(정답률: 52%)
  • 공개공지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건폐율, 대지면적의 최소한도, 건축선에 따른 건축 제한 등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공개공지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용적률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는 건축물의 총 부피를 나타내는 지표로, 건축물의 크기와 형태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개공지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적률을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건축물의 연면적은? (단, 용적률을 산정하는 경우의 연면적)

  1. 220m2
  2. 320m2
  3. 350m2
  4. 370m2
(정답률: 71%)
  • 건축물의 연면적은 건축물의 총면적과 건축물의 높이를 곱한 값이다. 이 건축물은 지하 1층과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 1층의 면적은 50m2, 지상 1층의 면적은 70m2, 지상 2층의 면적은 80m2, 지상 3층의 면적은 70m2이다. 따라서 총 면적은 50+70+80+70=270m2이다. 용적률은 건축물의 부피 대비 건축물의 총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건축물의 용적률은 (270×3)/50=16.2이다. 따라서 연면적은 270×16.2=437.4m2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용적률을 산정하는 경우의 연면적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연면적은 22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건축법령상 건축물과 해당 건축물이 속하는 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호텔 - 숙박시설
  2. 세차장 - 자동차관련시설
  3. 어린이회관 - 관광휴게시설
  4. 일반음식점 -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정답률: 61%)
  • 일반음식점은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속하며, 근린생활시설은 주거지역 내에서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한 시설로서 일반음식점과 같은 상업시설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일반음식점과 제1종 근린생활시설은 연결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건축법령상 다중이용 건축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기 5,000m2인 건축물
  2. 종합병원의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기 5,000m2인 건축물
  3. 관광숙박시설의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기 5,000m2인 건축물
  4. 업무시설의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기 5,000m2인 건축물
(정답률: 65%)
  • 다중이용 건축물이란 주거, 상업, 문화, 교육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을 말하는데, 이 중에서 업무시설의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하인 건축물은 다중이용 건축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업무시설의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기 5,000m2인 건축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승용승강기를 가장 적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용도는? (단,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며, 8인승 승강기를 설치하는 경우)

  1. 병원
  2. 위락시설
  3. 숙박시설
  4. 공동주택
(정답률: 64%)
  •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거주자들의 이동이 많지 않아 승용승강기를 적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반면, 병원이나 위락시설, 숙박시설은 많은 사람들이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승용승강기를 많이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
  2.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4m2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할 것
  3.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난방구획마다 방화구조로 된 벽과 갑종방화문으로 된 출입문으로 구획할 것
  4. 보일러는 거실 외의 곳에 설치하되,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 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방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정답률: 48%)
  •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내화구조로 설치하면 화재 발생 시 보일러가 불이 붙어도 불길이 다른 곳으로 번지지 않고 보일러실 내에서 억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동연도로 설치함으로써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건물 전체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이 되는 창문이 있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성비를 할 것
  2.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할 것
  3. 옥외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 승강기 1대에 대하여 6m2 이상으로 할 것
  4. 승강장은 각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출입구(승강로의 출입구는 제외)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정답률: 43%)
  • 옥외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 승강기 1대에 대하여 6m2 이상으로 할 것"이 옳은 기준이다. 이유는 비상용 승강기는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장비이므로, 승강장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바닥면적이 6m2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4퍼센트를 곡선부분에서는 17퍼센트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3. 주차대수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6미터 이상인 2차로를 확보하거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를 분리하여야 한다.
  4. 곡선 부분은 자동차가 6미터(같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주차장의 총주차대수가 50대 이하인 경우에는 5미터)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4%)
  •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주차장의 높이는 지형과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할 수 없다.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4퍼센트를 곡선부분에서는 17퍼센트를 초과하여서는 안 되는 이유는, 너무 가파른 경사로는 차량의 안전 운행을 방해하고, 경사로를 오르내리는 동안 차량의 부담을 높여서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경사로 설계는 차량의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주차장에서 장애인용 주차단위구획의 최소 크기는?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1. 2.3 × 5.0m
  2. 2.5 × 5.1m
  3. 3.3 × 5.0m
  4. 2.0 × 6.0m
(정답률: 72%)
  • 장애인용 주차단위구획은 차량 출입문을 열고 내리기 위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일반 주차단위구획보다 크기가 커야 합니다. 또한, 장애인용 주차단위구획은 휠체어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최소 크기는 3.3 × 5.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주거지역을 세분화하여 지정한 지역은?

  1. 제1종 일반주거지역
  2. 제2종 일반주거지역
  3. 제3종 일반주거지역
  4. 제4종 일반주거지역
(정답률: 79%)
  • 제1종 일반주거지역은 주로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연립주택 등의 주거지역으로서, 주거환경을 중시하며 상업시설 등이 제한적으로 입지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 지역이 선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의 노외주차장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3.0m, ② 5.0m
  2. ① 3.5m, ② 5.5m
  3. ① 3.0m, ② 5.5m
  4. ① 3.5m, ② 5.0m
(정답률: 38%)
  • 주차장 내 차량 이동 및 주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차간 거리는 최소 3.5m 이상, 차폭은 최소 2.3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①)은 최소 3.5m로 설정됩니다. 또한, 주차장 내 차량 이동 및 주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차선 폭은 최소 5.5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②)는 최소 5.5m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의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상 10년 이내
  2. 3년 이상 20년 이내
  3. 5년 이상 10년 이내
  4. 5년 이상 20년 이내
(정답률: 76%)
  •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은 "5년 이상 20년 이내"이다. 이는 시가화조정구역을 지정하는 것이 장기적인 계획이며, 지정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재검토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또한, 5년 이상의 기간은 시가화조정구역을 지정하는 것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0년 이내의 기간은 지정 후 지속적인 평가와 조정을 통해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공동구의 설치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미관의 개선
  2. 도로구조의 보전
  3. 교통의 원활한 소통
  4. 유수지의 충분한 확보
(정답률: 59%)
  • 공동구의 설치목적은 도로구조의 보전, 교통의 원활한 소통, 그리고 유수지의 충분한 확보이다. 그러나 미관의 개선은 공동구의 설치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설치하여야 하는 차로의 최소 너비가 다른 주차 형식은? (단, 출입구가 1개인 노외주차장의 경우)

  1. 평행주차
  2. 교차주차
  3. 45도 대향주차
  4. 60도 대향주차
(정답률: 60%)
  • 60도 대향주차는 다른 주차 형식에 비해 차량을 더 적은 공간에 주차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너비가 더 작습니다. 이는 차량의 길이와 너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5m 이상의 차량이 주차 가능합니다. 반면, 평행주차와 교차주차는 차량을 더 많은 공간에 주차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너비가 더 큽니다. 45도 대향주차는 60도 대향주차보다는 차량을 더 많은 공간에 주차해야 하지만, 평행주차나 교차주차보다는 적은 공간에 주차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너비가 비교적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